KR102640192B1 - 식물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물 농축액 - Google Patents

식물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물 농축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192B1
KR102640192B1 KR1020210073241A KR20210073241A KR102640192B1 KR 102640192 B1 KR102640192 B1 KR 102640192B1 KR 1020210073241 A KR1020210073241 A KR 1020210073241A KR 20210073241 A KR20210073241 A KR 20210073241A KR 102640192 B1 KR102640192 B1 KR 102640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entrate
extract concentrate
geumhwagyu
water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4909A (ko
Inventor
정상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앤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앤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앤디테크
Priority to KR1020210073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192B1/ko
Publication of KR20220164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1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6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added before or during the fermentation stage; with flavouring ingredients added before or during the fermentation stag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 C12G3/05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6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flavour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0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 C12H1/06Precipitation by physical means, e.g. by irradiation, vibrations
    • C12H1/063Separation by filtration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Toxi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화규 추출 농축액, 마늘잎 추출 농축액, 양파잎 추출 농축액 및 쪽파뿌리 추출 농축액을 혼합한 식물 농축액을 이용한 건강 약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건강 약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물 농축액{Method for producing plant concentrate and plant concentrate produced by the same method}
본 발명은 (1) 고두밥에 입국과 물을 혼합하여 1차 발효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1차 발효한 1차 발효물에 식물 농축액, 고과당, 물엿, 전분당 및 콜라겐 분말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혼합한 혼합물을 2차 발효하는 단계; 및 (4) 상기 (3)단계의 2차 발효한 발효물을 여과하고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농축액과 콜라겐을 이용한 건강 약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건강 약주에 관한 것이다.
금화규는 “본초강목”에 그 유용성이 기록된 식물로, 식물계의 판다(PANDA)라고 불리울 만큼 진귀한 식용, 약용식물로 알려져 있다. 금화규는 한의학에서는 임질(gonorrhea), 종기(furuncle)를 치료하고 해독(detoxication)에 이용된다고 되어있다. 금화규는 플라보노이드, 리놀레산, 올레산, 비타민E, 셀레늄 및 식물성 콜라겐 등을 함유하고 있다. 금화규의 에탄올 추출물이 뇨단백의 감소 등 당뇨성 신부전증을 개선한다고 밝혀졌다.
국제적으로 한류 열풍에 의해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약주에 대한 관심도 증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양조법으로 발전시켜온 전통적인 주류는 탁주, 약주, 소주, 혼성주 등으로 최근 국민들의 기호식품과 주류의 고품질 선호도가 증대되고 외국의 고품질 주류가 수입됨에 따라 우리나라도 전통주에 대한 발효미생물, 양조 발효공정개발 등 각종 연구 활동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통주 제조기술은 일반적인 국균인 백국, 황국 및 흑국을 배양한 입국을 사용하는게 대부분으로 주질의 다양화 및 차별화가 미약한 상황이다. 또한, 발효단계에 특정재료를 첨가한 단순 투입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어 발효양조라는 특성을 표현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산업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누룩제조 단계에 특정재료를 혼합하여 배양증식시키는 방법이 요구된다. 또한, 발효 지속성을 유지, 보존, 연장시키는 특화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전 세계가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와 약용자원에 대한 자연식품 선호도가 높아져 주류산업에도 그 영향이 증가되고 있다. 국내의 전통주 산업을 감안하면 시장성이 기대되는 향식물을 이용한 차별화된 약주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2051530호에는 동아 약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719786호에는 구연산 첨가 및 열처리를 이용한 약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콜라겐 기능성 건강 약주의 제조방법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콜라겐 성분과 아스파라긴산 성분을 함유하는 금화규를 이용하여 숙취해소에 도움을 주면서 기호도가 우수한 건강 약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1) 대나무 잎에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농축하여 대나무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2) 금화규 꽃을 식초물에 담근 후 꺼내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꺼낸 금화규 꽃을 상기 (1)단계의 제조한 대나무 추출 농축액에 담근 후 꺼내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꺼낸 금화규 꽃에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농축하여 금화규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5) 마늘잎에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농축하여 마늘잎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6) 양파잎에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농축하여 양파잎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7) 쪽파뿌리에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농축하여 쪽파뿌리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8) 식물 농축액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4)단계의 제조한 금화규 추출 농축액, 상기 (5)단계의 제조한 마늘잎 추출 농축액, 상기 (6)단계의 제조한 양파잎 추출 농축액 및 상기 (7)단계의 제조한 쪽파뿌리 추출 농축액을 혼합한 식물 농축액을 살균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농축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물 농축액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고두밥에 입국과 물을 혼합하여 1차 발효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1차 발효한 1차 발효물에 식물 농축액, 고과당, 물엿, 전분당 및 콜라겐 분말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혼합한 혼합물을 2차 발효하는 단계; 및 (4) 상기 (3)단계의 2차 발효한 발효물을 여과하고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농축액과 콜라겐을 이용한 건강 약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건강 약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금화규뿐만 아니라 마늘잎, 양파잎, 쪽파뿌리를 포함하는 식물 농축액을 사용하여 숙취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향기가 좋으면서 맛이 우수하여 약주를 좋아하는 애주가들에게 높은 기호도를 나타낼 수 있는 건강 약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대나무 잎에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농축하여 대나무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2) 금화규 꽃을 식초물에 담근 후 꺼내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꺼낸 금화규 꽃을 상기 (1)단계의 제조한 대나무 추출 농축액에 담근 후 꺼내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꺼낸 금화규 꽃에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농축하여 금화규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5) 마늘잎에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농축하여 마늘잎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6) 양파잎에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농축하여 양파잎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7) 쪽파뿌리에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농축하여 쪽파뿌리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8) 식물 농축액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4)단계의 제조한 금화규 추출 농축액, 상기 (5)단계의 제조한 마늘잎 추출 농축액, 상기 (6)단계의 제조한 양파잎 추출 농축액 및 상기 (7)단계의 제조한 쪽파뿌리 추출 농축액을 혼합한 식물 농축액을 살균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농축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물 농축액의 제조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1) 대나무 잎에 물을 8~12배(v/w) 첨가하여 60~80℃에서 4~6시간 동안 추출한 후 8~12 brix로 농축하여 대나무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2) 금화규 꽃을 8~12%(v/v) 식초물에 0.8~1.2:0.8~1.2(w:v) 비율로 20~30℃에서 50~70분 동안 담근 후 꺼내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꺼낸 금화규 꽃을 상기 (1)단계의 제조한 대나무 추출 농축액에 0.8~1.2:0.8~1.2(w:v) 비율로 20~30℃에서 50~70분 동안 담근 후 꺼내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꺼낸 금화규 꽃에 물을 4~6배(v/w) 첨가하여 30~40℃에서 20~28시간 동안 추출한 후 8~12 brix로 농축하여 금화규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5) 마늘잎에 물을 4~6배(v/w) 첨가하여 30~40℃에서 30~40시간 동안 추출한 후 8~12 brix로 농축하여 마늘잎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6) 양파잎에 물을 4~6배(v/w) 첨가하여 30~40℃에서 45~55시간 동안 추출한 후 8~12 brix로 농축하여 양파잎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7) 쪽파뿌리에 물을 4~6배(v/w) 첨가하여 30~40℃에서 45~55시간 동안 추출한 후 8~12 brix로 농축하여 쪽파뿌리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8) 식물 농축액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4)단계의 제조한 금화규 추출 농축액 83~87 중량%, 상기 (5)단계의 제조한 마늘잎 추출 농축액 5~9 중량%, 상기 (6)단계의 제조한 양파잎 추출 농축액 2~6 중량% 및 상기 (7)단계의 제조한 쪽파뿌리 추출 농축액 2~6 중량%를 혼합한 식물 농축액을 80~100℃에서 10~20분 동안 살균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1) 대나무 잎에 물을 10배(v/w) 첨가하여 70℃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한 후 10 brix로 농축하여 대나무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2) 금화규 꽃을 10%(v/v) 식초물에 1:1(w:v) 비율로 25℃에서 60분 동안 담근 후 꺼내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꺼낸 금화규 꽃을 상기 (1)단계의 제조한 대나무 추출 농축액에 1:1(w:v) 비율로 25℃에서 60분 동안 담근 후 꺼내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꺼낸 금화규 꽃에 물을 5배(v/w) 첨가하여 36.5℃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한 후 10 brix로 농축하여 금화규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5) 마늘잎에 물을 5배(v/w) 첨가하여 36.5℃에서 36시간 동안 추출한 후 10 brix로 농축하여 마늘잎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6) 양파잎에 물을 5배(v/w) 첨가하여 36.5℃에서 48시간 동안 추출한 후 10 brix로 농축하여 양파잎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7) 쪽파뿌리에 물을 5배(v/w) 첨가하여 36.5℃에서 48시간 동안 추출한 후 10 brix로 농축하여 쪽파뿌리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8) 식물 농축액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4)단계의 제조한 금화규 추출 농축액 85 중량%, 상기 (5)단계의 제조한 마늘잎 추출 농축액 7 중량%, 상기 (6)단계의 제조한 양파잎 추출 농축액 4 중량% 및 상기 (7)단계의 제조한 쪽파뿌리 추출 농축액 4 중량%를 혼합한 식물 농축액을 90℃에서 15분 동안 살균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물 농축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1) 고두밥에 입국과 물을 혼합하여 1차 발효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1차 발효한 1차 발효물에 식물 농축액, 고과당, 물엿, 전분당 및 콜라겐 분말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혼합한 혼합물을 2차 발효하는 단계; 및
(4) 상기 (3)단계의 2차 발효한 발효물을 여과하고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주의 제조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1) 고두밥에 입국과 물을 혼합하여 20~30℃에서 10~20일 동안 1차 발효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1차 발효한 1차 발효물 0.8~1.2 kg에 식물 농축액 120~180 mL와 고과당 8~12 mL, 물엿 4~6 mL, 전분당 4~6 mL 및 콜라겐 분말 4~6 g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혼합한 혼합물을 20~30℃에서 8~12일 동안 2차 발효하는 단계; 및
(4) 상기 (3)단계의 2차 발효한 발효물을 여과하고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1) 고두밥에 입국과 물을 혼합하여 25℃에서 15일 동안 1차 발효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1차 발효한 1차 발효물 1 kg에 식물 농축액 150 mL와 고과당 10 mL, 물엿 5 mL, 전분당 5 mL 및 콜라겐 분말 5 g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혼합한 혼합물을 25℃에서 10일 동안 2차 발효하는 단계; 및
(4) 상기 (3)단계의 2차 발효한 발효물을 여과하고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약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기능성 식물 농축액 제조
(1) 대나무 잎에 정제수를 10배(v/w) 첨가하여 70℃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한 후 10 brix로 농축하여 대나무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2) 금화규 꽃을 10%(v/v) 식초물(오뚜기 현미식초에 물을 1:9 부피비율로 혼합)에 1:1(w:v) 비율로 25℃에서 1시간 동안 담근 후 꺼내었다.
(3) 상기 (2)단계의 꺼낸 금화규 꽃을 상기 (1)단계의 제조한 대나무 추출 농축액에 1:1(w:v) 비율로 25℃에서 1시간 동안 담근 후 꺼내었다.
(4) 상기 (3)단계의 꺼낸 금화규 꽃에 정제수를 5배(v/w) 첨가하여 36.5℃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한 후 10 brix로 농축하여 금화규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5) 마늘잎에 정제수를 5배(v/w) 첨가하여 36.5℃에서 36시간 동안 추출한 후 10 brix로 농축하여 마늘잎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6) 양파잎에 정제수를 5배(v/w) 첨가하여 36.5℃에서 48시간 동안 추출한 후 10 brix로 농축하여 양파잎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7) 쪽파뿌리에 정제수를 5배(v/w) 첨가하여 36.5℃에서 48시간 동안 추출한 후 10 brix로 농축하여 쪽파뿌리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8) 식물 농축액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4)단계의 제조한 금화규 추출 농축액 85 중량%, 상기 (5)단계의 제조한 마늘잎 추출 농축액 7 중량%, 상기 (6)단계의 제조한 양파잎 추출 농축액 4 중량%, 상기 (7)단계의 제조한 쪽파뿌리 추출 농축액 4 중량%를 혼합한 식물 농축액을 90℃에서 15분 동안 살균처리하였다.
비교예 1. 기능성 식물 농축액 제조
(1) 금화규 꽃을 10%(v/v) 식초물(오뚜기 현미식초에 물을 1:9 부피비율로 혼합)에 1:1(w:v) 비율로 25℃에서 1시간 동안 담근 후 꺼내었다.
(2) 상기 (1)단계의 꺼낸 금화규 꽃에 정제수를 5배(v/w) 첨가하여 36.5℃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한 후 10 brix로 농축하여 금화규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3) 마늘잎에 정제수를 5배(v/w) 첨가하여 36.5℃에서 36시간 동안 추출한 후 10 brix로 농축하여 마늘잎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4) 양파잎에 정제수를 5배(v/w) 첨가하여 36.5℃에서 48시간 동안 추출한 후 10 brix로 농축하여 양파잎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5) 쪽파뿌리에 정제수를 5배(v/w) 첨가하여 36.5℃에서 48시간 동안 추출한 후 10 brix로 농축하여 쪽파뿌리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6) 식물 농축액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2)단계의 제조한 금화규 추출 농축액 85 중량%, 상기 (3)단계의 제조한 마늘잎 추출 농축액 7 중량%, 상기 (4)단계의 제조한 양파잎 추출 농축액 4 중량% 및 상기 (5)단계의 제조한 쪽파뿌리 추출 농축액 4 중량%를 혼합한 식물 농축액을 90℃에서 15분 동안 살균처리하였다.
비교예 2. 기능성 식물 농축액 제조
(1) 대나무 잎에 정제수를 10배(v/w) 첨가하여 70℃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한 후 10 brix로 농축하여 대나무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2) 금화규 꽃을 10%(v/v) 식초물(오뚜기 현미식초에 물을 1:9 부피비율로 혼합)에 1:1(w:v) 비율로 25℃에서 1시간 동안 담근 후 꺼내었다.
(3) 상기 (2)단계의 꺼낸 금화규 꽃을 상기 (1)단계의 제조한 대나무 추출 농축액에 1:1(w:v) 비율로 25℃에서 1시간 동안 담근 후 꺼내었다.
(4) 상기 (3)단계의 꺼낸 금화규 꽃에 정제수를 5배(v/w) 첨가하여 36.5℃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한 후 10 brix로 농축하였다.
비교예 3. 기능성 식물 농축액 제조
(1) 대나무 잎에 정제수를 10배(v/w) 첨가하여 70℃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한 후 10 brix로 농축하여 대나무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2) 금화규 꽃을 10%(v/v) 식초물(오뚜기 현미식초에 물을 1:9 부피비율로 혼합)에 1:1(w:v) 비율로 25℃에서 1시간 동안 담근 후 꺼내었다.
(3) 상기 (2)단계의 꺼낸 금화규 꽃을 상기 (1)단계의 제조한 대나무 추출 농축액에 1:1(w:v) 비율로 25℃에서 1시간 동안 담근 후 꺼내었다.
(4) 상기 (3)단계의 꺼낸 금화규 꽃에 정제수를 5배(v/w) 첨가하여 36.5℃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한 후 10 brix로 농축하여 금화규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5) 통마늘에서 껍질을 제거한 깐마늘에 정제수를 5배(v/w) 첨가하여 36.5℃에서 36시간 동안 추출한 후 10 brix로 농축하여 마늘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6) 비늘줄기에서 껍질을 제거한 양파에 정제수를 5배(v/w) 첨가하여 36.5℃에서 48시간 동안 추출한 후 10 brix로 농축하여 양파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7) 쪽파의 녹색 줄기에 정제수를 5배(v/w) 첨가하여 36.5℃에서 48시간 동안 추출한 후 10 brix로 농축하여 쪽파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8) 식물 농축액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4)단계의 제조한 금화규 추출 농축액 85 중량%, 상기 (5)단계의 제조한 마늘 추출 농축액 7 중량%, 상기 (6)단계의 제조한 양파 추출 농축액 4 중량%, 상기 (7)단계의 제조한 쪽파 추출 농축액 4 중량%를 혼합한 식물 농축액을 90℃에서 15분 동안 살균처리하였다.
비교예 4. 기능성 식물 농축액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으로 기능성 식물 농축액을 제조하되, (8)단계의 배합 시 식물 농축액 총 중량 기준으로, 금화규 추출 농축액 80 중량%, 마늘잎 추출 농축액 10 중량%, 양파잎 추출 농축액 1 중량% 및 쪽파뿌리 추출 농축액 9 중량%를 혼합한 식물 농축액을 90℃에서 15분 동안 살균처리하였다.
제조예 2. 콜라겐 기능성 건강 약주
(1) 수침한 백미를 100℃에서 50분 증자하여 고두밥을 지었다.
(2) 상기 (1)단계의 지은 고두밥에 입국과 정제수를 혼합하여 25℃에서 15일 동안 1차 발효하였다.
(3) 상기 (2)단계의 1차 발효한 1차 발효물 1 kg에 상기 제조예 1의 기능성 식물 추출액 150 mL와 고과당 10 mL, 옥수수 물엿 5 mL, 전분당 5 mL 및 콜라겐 분말 5 g을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4) 상기 (3)단계의 혼합한 혼합물을 25℃에서 10일 동안 2차 발효하였다.
(5) 상기 (4)단계의 2차 발효한 발효물을 여과하고, 135℃에서 3~5초간 살균하였다.
비교예 5. 콜라겐 기능성 건강 약주
상기 제조예 2의 방법으로 콜라겐 기능성 건강 약주를 제조하되, (3)단계에서 1차 발효물 1150 g에 고과당 10 mL, 옥수수 물엿 5 mL, 전분당 5 mL 및 콜라겐 분말 5 g을 첨가하여 혼합한 혼합물을 이용하여, 콜라겐 기능성 건강 약주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ALDH(Acetaldehyde dehydrogenase) 활성 측정
ALDH(Acetaldehyde dehydrogenase)의 활성은 아세트알데히드 키트(Cat. No. 10 668 613 035, Roche Co., 미국)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NAD 타블렛(tablet, 0.8 mg/each)을 포타슘 디포스페이트 버퍼(potassium diphosphate buffer, pH 9.0) 3 mL에 녹이고, 상기 혼합용액 1.5 mL에 시료 0.1 mL를 첨가하였다. 그 후 상온에서 5분 동안 반응시킨 후 증류수 0.6 mL에 용해시킨 ALDH(4U/each) 0.025 mL를 첨가한 후 다시 상온에서 20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계산식 ALDH 활성(%)=[(시료 OD-시료 OD(0')) / (대조군 OD-대조군 OD(0'))]×100에 의하여 활성도를 산출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시료 대신 증류수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기능성 식물 농축액의 ALDH 활성
구분 ALDH 활성(%)
제조예 1 20.6
비교예 1 16.6
비교예 2 13.4
비교예 3 17.2
비교예 4 18.5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의 분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효소인 ALDH의 활성에 대하여 비교한 결과, 제조예 1의 식물 농축액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비교예 2의 식물 농축액이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ADH(Alcohol dehydrogenase) 활성 측정
ADH(Alcohol dehydrogenase)의 활성은 에탄올 키트(Cat. No. 10 176 290 035, Roche Co., 미국)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NAD 타블렛(tablet, 4 mg/each)을 포타슘 디포스페이트 버퍼(potassium diphosphate buffer, pH 9.0) 3 mL에 녹이고, 상기 혼합용액 1.5 mL에 시료 0.05 mL를 첨가하였다. 그 후 상온에서 5분 동안 반응시킨 후 ADH(7000U/1.6 mL) 용액을 0.025 mL 첨가한 후 다시 상온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계산식 ADH 활성(%)=[(시료 OD-시료 OD(0')) / (대조군 OD-대조군 OD(0'))]×100에 의하여 활성도를 산출하였다. 이 때 대조군은 시료 대신 증류수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기능성 식물 농축액의 ADH 활성
구분 ADH 활성(%)
제조예 1 43.3
비교예 1 34.1
비교예 2 31.4
비교예 3 36.2
비교예 4 38.3
체내 알코올 대사 1차 관여 효소인 ADH의 활성을 비교한 결과, 제조예 1의 식물 농축액이 비교예들의 식물 농축액에 비해 높은 ADH 활성을 나타내었고, 비교에들 중에서는 비교예 4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제조예 1의 농축액은 숙취해소의 기능을 갖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시예 3. 건강 약주의 관능검사
관능검사는 성인 관능검사 요원 45명을 대상으로 제조예 2와 비교예 5의 건강 약주를 각각 시음하게 하고, 향, 맛 및 전반적인 기호도를 구분하여 1점: 매우 나쁘다, 4점: 나쁘다, 3점: 보통이다, 4점: 좋다, 5점: 매우 좋음을 나타나는 5점 기호척도법으로 3 반복한 후 평균을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건강 약주의 관능검사
시료 전반적인 기호도
제조예 2 4.6 4.3 4.5
비교예 5 4.2 3.8 3.8
그 결과, 제조예 2의 건강 약주가 향, 맛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비교예 5에 비해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본 발명의 식물 농축액의 첨가로 약주의 기호도가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Claims (5)

  1. (1) 대나무 잎에 물을 8~12배(v/w) 첨가하여 60~80℃에서 4~6시간 동안 추출한 후 8~12 brix로 농축하여 대나무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2) 금화규 꽃을 8~12%(v/v) 식초물에 0.8~1.2:0.8~1.2(w:v) 비율로 20~30℃에서 50~70분 동안 담근 후 꺼내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꺼낸 금화규 꽃을 상기 (1)단계의 제조한 대나무 추출 농축액에 0.8~1.2:0.8~1.2(w:v) 비율로 20~30℃에서 50~70분 동안 담근 후 꺼내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꺼낸 금화규 꽃에 물을 4~6배(v/w) 첨가하여 30~40℃에서 20~28시간 동안 추출한 후 8~12 brix로 농축하여 금화규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5) 마늘잎에 물을 4~6배(v/w) 첨가하여 30~40℃에서 30~40시간 동안 추출한 후 8~12 brix로 농축하여 마늘잎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6) 양파잎에 물을 4~6배(v/w) 첨가하여 30~40℃에서 45~55시간 동안 추출한 후 8~12 brix로 농축하여 양파잎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7) 쪽파뿌리에 물을 4~6배(v/w) 첨가하여 30~40℃에서 45~55시간 동안 추출한 후 8~12 brix로 농축하여 쪽파뿌리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8) 식물 농축액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4)단계의 제조한 금화규 추출 농축액 83~87 중량%, 상기 (5)단계의 제조한 마늘잎 추출 농축액 5~9 중량%, 상기 (6)단계의 제조한 양파잎 추출 농축액 2~6 중량% 및 상기 (7)단계의 제조한 쪽파뿌리 추출 농축액 2~6 중량%를 혼합한 식물 농축액을 80~100℃에서 10~20분 동안 살균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농축액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식물 농축액.
  4. 삭제
  5. 삭제
KR1020210073241A 2021-06-07 2021-06-07 식물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물 농축액 KR102640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241A KR102640192B1 (ko) 2021-06-07 2021-06-07 식물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물 농축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241A KR102640192B1 (ko) 2021-06-07 2021-06-07 식물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물 농축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909A KR20220164909A (ko) 2022-12-14
KR102640192B1 true KR102640192B1 (ko) 2024-02-27

Family

ID=84438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241A KR102640192B1 (ko) 2021-06-07 2021-06-07 식물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물 농축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1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29718A (ja) * 2018-01-29 2019-08-08 長岡香料株式会社 抽出物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0720A (ko) * 2012-02-06 2013-08-14 윤봉금 콜라겐 기능성 막걸리 등 주류
KR101695927B1 (ko) * 2014-12-16 2017-01-12 김미영 조청이 첨가된 막걸리의 제조방법
KR20160064066A (ko) * 2016-05-27 2016-06-07 종 해 김 기능성 힐링식품 제조방법
KR102299934B1 (ko) * 2019-04-11 2021-09-10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숙취해소에 뛰어나며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29718A (ja) * 2018-01-29 2019-08-08 長岡香料株式会社 抽出物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909A (ko) 2022-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94124B (zh) 苦荞甜酒酿的生产工艺
KR20050102612A (ko) 포도복분자 와인 제조방법
KR101260466B1 (ko) 감국식초의 제조방법
KR101349141B1 (ko) 홍삼 현미식초의 제조방법
KR100586801B1 (ko) 산마를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
KR101690413B1 (ko) 아로니아 열매를 이용한 식초의 제조방법
US20080193592A1 (en) Method for preparing alcoholic beverage using incubated wild ginseng root
CN111937978A (zh) 一种富硒红茶的制作方法
KR102640192B1 (ko) 식물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물 농축액
KR101438587B1 (ko) 와인 부산물 막걸리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막걸리
KR100771706B1 (ko) 갈분을 이용한 기능성 발효주의 제조방법
CN103184127B (zh) 一种块菌发酵酒的酿造方法
KR101329186B1 (ko) 잣 함유 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27808A (ko) 산겨릅나무가 함유된 증류주의 제조방법
KR20160075114A (ko) 발효커피추출액을 포함하는 커피 식초의 제조방법
KR20100037942A (ko) 현미를 주원료로하는 기능성 현미식초 및 그 제조방법
CN108192797A (zh) 一种茶叶花酒及其制备方法
KR20070042384A (ko) 인삼식초의 제조방법
CN113549514A (zh) 一种桂花荔枝酒的制备方法
KR101262959B1 (ko) 율무 전처리방법 개량에 의한 율무 발효주 및 이 율무 발효주의 제조방법
JP5894095B2 (ja) 銀杏を用いた食酢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銀杏を用いたアルコールの製造方法
CN103045424B (zh) 干型枸杞果酒的酿造方法
CN101711593B (zh) 刺五加果实原汁制备方法及饮料
CN111280353A (zh) 一种冠突散囊菌发酵型苦瓜汁的制备方法
KR101835313B1 (ko) 흑삼흑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