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154B1 - 스틸패킹용 스키드의 보강구조체 - Google Patents

스틸패킹용 스키드의 보강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154B1
KR102640154B1 KR1020210109712A KR20210109712A KR102640154B1 KR 102640154 B1 KR102640154 B1 KR 102640154B1 KR 1020210109712 A KR1020210109712 A KR 1020210109712A KR 20210109712 A KR20210109712 A KR 20210109712A KR 102640154 B1 KR102640154 B1 KR 102640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d
flat portion
steel
reinforcing structure
structural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7668A (ko
Inventor
유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온
Priority to KR1020210109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154B1/ko
Publication of KR20230027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385Frames, corner posts or pallet converters, e.g. for facilitating stacking of charged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53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65D19/0077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 B65D19/0089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6Pallets comprising a flexible load carrier extending between guide elements, e.g. guide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14Materials for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024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49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 B65D2519/0052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grid type, e.g. perforated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7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 separate auxiliary element, e.g. screws, nails, bayo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틸패킹에서 중량물인 포장대상물을 올려놓고 지지하는 스키드의 프레임을 보강하기 위한 제안이다. 본 발명의 보강구조체는, 스틸패킹의 스키드를 구성하는 프레임(12)에 사용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 제1평면부(14)와 제2평면부(16)를 구비하는 형강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보강구조체(30)는, 형강의 제1평면부의 저면에 면접촉하는 상면(36)과, 상면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2평면부의 상면에 접촉하는 양측면(32,34)을 구비한다. 포장대상물의 레그(L)의 저면에 형성된 체결용 구멍(Lh)과, 형강의 제1평면부(14)에 성형된 체결공(13), 그리고 상면에 성형된 구멍을 통하여 볼트 및 너트가 체결됨으로써, 형강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스틸패킹용 스키드의 보강구조체{A reinforcing member for skid of steel packing}
본 발명은 스틸패킹용 스키드의 보강을 위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ㄷ자 형강과 같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평면부가 구비된 부분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강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상당한 중량을 가지면서 고가의 기계 등은 목재를 이용한 패킹 대신에 스틸을 이용하여 패킹하여 먼거리로 운반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렇게 금속재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포장하는 것을 스틸 패킹(Steal packing)이라고 칭한다. 이러한 스틸 패킹과 관련된 선행 특허의 일례로 한국 특허 공개 제10-2007-0040140호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틸 패킹에서, 포장 대상물은 베이스 프레임이라고 할 수 있는 스키드(Skid) 상에 올려져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처리된다. 그리고 이러한 스키드 상에 포장 대상물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상태에서, 별도의 금속재 프레임을 이용하여 다수의 측벽 및 천정을 만들어서 스틸패킹을 완성하게 된다.
여기서 포장 대상물을 올려 놓는 스키드도 일종의 프레임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스키드에는 ㄷ자형강이 많이 사용된다. 여기서 ㄷ자 형강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는 한 쌍의 평면부분를 포함하고 있다. ㄷ자형강에서 이러한 한 쌍의 평면부분은 실질적으로 하중을 받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스키드에 사용되는 ㄷ자형강도 구조적 강도를 부담해야 하는데, ㄷ자형강의 구조적 강도는 그 자체의 사양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밖에 없다. 즉 ㄷ자형강의 구조적 강도는, 그것을 형성하는 철판 자체의 두께 및 각 부분의 크기 등에 비례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스키드를 구성하는 형강의 강도는 그 크기에 비례할 수밖에 없는 단점이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키드를 구성하는 형강(예를 들면 ㄷ자형강)의 구조적 강도를 높일 수 있는 보강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강구조체는, 스틸패킹의 스키드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사용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 제1평면부와 제2평면부를 구비하는 형강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보강구조체는, 형강의 제1평면부의 저면에 면접촉하는 상면과, 상면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2평면부의 상면에 접촉하는 양측면을 구비한다. 포장대상물의 레그의 저면에 형성된 체결용 구멍과, 형강의 제1평면부에 성형된 체결공, 그리고 상면에 성형된 구멍을 통하여 볼트 및 너트가 체결됨으로써, 형강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보강구조체는, 스틸패킹에서 가장 기본적인 프레임으로 작용하는 스키드에서, 중량의 포장 대상물에 의한 하중을 분산시키는 트러스트 구조물로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강구조체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전체적인 스키드의 프레임을 더욱 경량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부분적인 구조적 강도 개선으로 더욱 견고한 지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강구조체가 적용된 스키드의 예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보강구조체가 체결된 상태의 확대 사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량이 있는 기계 등을 스틸 패킹할 때 사용되는 스키드(10)는, 포장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평면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12)과, 이러한 프레임을 바닥면에 대하여 일정 간격 이격시키기 위하여 프레임(12)의 저면에 부착되는 다수 개의 레그(2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프레임(12)은 주로 ㄷ자형강이 사용되고 있음을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키드(10)의 프레임(12)을 형성하는 ㄷ자 형강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있는 제1평면부(14)와 제2평면부(16)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제1평면부(14)와 제2평면부(16)는 서로 평행한 상태를 가지고 있으며, 일측에서 수직상태의 연결벽(18)에 의하여 연결되어 서로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강구조체(30)는, ㄷ자형강의 내부, 즉 제1평면부(14)와 제2평면부(16) 사이에 개재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보강구조체(30)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고 서로 평행한 관계를 가지는 제1평면부(14)와 제2평면부(16)를 구비하는 형강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실시례의 설명에서 이러한 형강의 일례로 ㄷ자형강을 예로 들고 있으나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될 수 없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보강구조체(30)는, 제1평면부(14)의 저면에서 면접촉을 수행하는 상면(36)과, 이러한 상면(36)의 양면에서 하방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양측면(32,34)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양측면(32,34)의 하단부는 제2평면부(16)의 상면에 접촉한다. 여기서 ㄷ자형강의 제1평면부(14)에는 체결공(13)이 성형되어 있고, 이러한 체결공(13)에 대응하는 보강구조체(30)의 상면(36)에도 동일하게 구멍이 성형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례에서, 보강구조체(30)의 양측면(32,34)은 ㄷ자형강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다. 그러나 보강구조체(30)의 양측면은 ㄷ자형상에서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렇게 구성하는 경우, 양측면의 어느 하나는 ㄷ자형강의 연결부(18)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보강구조체(30)와 ㄷ자 형강은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서로 체결됨으로써, 보강구조체(30)는 ㄷ자형강에 대하여 정해진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즉, 보강구조체(30)는 ㄷ자형강 중에서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는데, 이러한 보강구조체(30)의 고정 위치는 실질적으로 구조 해석에 기초하여 구조적 강도가 보강되어야 할 부분이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대상물의 레그(L)의 저면이 놓여지는 부분의 ㄷ자형강 속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포장대상물의 레그(L)는 포장대상물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중량체인 기계가 바닥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포장대상물의 저면에 다수 개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레그(L)의 저면에는 체결을 위한 체결용 구멍(Lh)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이러한 레그(L)의 저면이 ㄷ자형강의 제1평면부(14) 상면에 올려진 상태에서, 포장대상물의 레그(L)가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ㄷ자형강(10) 및 보강구조체(30)와 일체화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구조체(30)는, 하나의 스터드볼트(Bs)와, 스터드볼트(Bs)의 상하부분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다수의 너트(Na,Nb,Nc)를 이용하여, 제1평면부(14)와 제2평면부(16) 사이에 고정됨과 동시에 제1평면부(14) 상의 레그(L)와 체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된 상태를 살펴보면, 보강구조체(30)의 상면(36)은 제1평면부(14)와 면접촉하고 있는 상태이고, 보강구조체(30)의 양측면(32,34) 하단부는 제2평면부(16)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포장대상물의 레그(L)가 ㄷ자형강의 제1평면부(14)와 체결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포장대상물의 레그(L)에 의하여 ㄷ자형강의 상부인 제1평면부(14)에 가해지는 하중은, 보강구조체(30)의 상면(36)으로 전달되고, 이어서 보강구조체(30)의 양측면(32,34)으로 분산 전달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양측면(32,34)은 제2평면부(16)과 연결되어 있어서, 제2평면부(16)로 하중이 분산되면서 전달되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보강구조체(30)가 제1평면부(14)와 제2평면부(16) 사이에 개재되어, 하중을 분산시키는 일종의 트러스트 구조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보강구조체(30)가 제1평면부(14)와 제2평면부(16) 사이에 개재되면서 제1평면부 및 제2평면부와 모두 접촉상태로 되면 실질적으로 스키드(10)의 프레임(12)을 구성하고 있는 ㄷ자형강의 구조적 강도가 향상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강구조체(30)가 ㄷ자형강의 제1평면부(14)와 제2평면부(16)에 삽입됨으로써, 프레임(12)의 구조적 강도가 현저하게 향상됨을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점은 실질적으로 중량물인 포장 대상물을 지지할 때, 상대적으로 더 작은 프레임(12)을 사용하면서도 더욱 견고한 지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임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보강구조체(30)는 스키드를 구성하는 프레임 중에서 부하가 큰 부분에 설치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례에서는 스터드볼트와 너트를 이용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보강구조체(30)의 상면에 성형되는 구멍과 제1평면부(14)의 체결공(13)을 이용하여 보강구조체(30)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형태의 고정 요소(볼트 및 너트 포함)를 이용할 수 있음도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평면부(14)의 저면에 접촉하는 상면(36)을 구비하고, 제2평면부(16)의 상면에 접촉하는 양측면(32,34)을 구비하면서,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구조체를 주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특허법의 규정 취지상 당연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 ..... 스키드
12 ..... 프레임
13 ..... 체결공
14 ..... 제1평면부
16 ..... 제2평면부
30 ..... 보강구조체
32, 34 ..... 측면
36 ..... 상면

Claims (1)

  1. 스틸패킹의 스키드(10)를 구성하는 프레임(12)에 사용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 제1평면부(14)와 제2평면부(16)를 구비하는 형강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제1평면부(14)의 저면에 면접촉하는 상면(36)과, 상면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하단부가 제2평면부(16)의 상면에 접촉하는 양측면(32,34)을 구비하고;
    포장대상물의 레그(L)의 저면에 형성된 체결용 구멍(Lh)과, 형강의 제1평면부(14)에 성형된 체결공(13), 그리고 상면(36)에 성형된 구멍을 통하여 볼트 및 너트가 체결됨으로써, 형강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틸패킹의 스키드용 보강구조체.
KR1020210109712A 2021-08-19 2021-08-19 스틸패킹용 스키드의 보강구조체 KR102640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712A KR102640154B1 (ko) 2021-08-19 2021-08-19 스틸패킹용 스키드의 보강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712A KR102640154B1 (ko) 2021-08-19 2021-08-19 스틸패킹용 스키드의 보강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668A KR20230027668A (ko) 2023-02-28
KR102640154B1 true KR102640154B1 (ko) 2024-02-23

Family

ID=85326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712A KR102640154B1 (ko) 2021-08-19 2021-08-19 스틸패킹용 스키드의 보강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15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1523A (ja) 2002-02-05 2003-08-19 Zenkoku Coil Center Kogyo Kumiai スチールスキッド
JP3975454B2 (ja) * 1997-08-18 2007-09-12 株式会社太田興産 物品載置用金属製パレット
JP4309245B2 (ja) 2003-12-24 2009-08-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機器運搬保管装置
JP2015134617A (ja) 2014-01-16 2015-07-27 三菱電機株式会社 製品固定装置
JP6012421B2 (ja) * 2012-11-14 2016-10-25 親和パッケージ株式会社 荷役パレットおよびその組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421B2 (ja) * 1976-07-28 1985-04-01 株式会社東芝 リ−ド線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5454B2 (ja) * 1997-08-18 2007-09-12 株式会社太田興産 物品載置用金属製パレット
JP2003231523A (ja) 2002-02-05 2003-08-19 Zenkoku Coil Center Kogyo Kumiai スチールスキッド
JP4309245B2 (ja) 2003-12-24 2009-08-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機器運搬保管装置
JP6012421B2 (ja) * 2012-11-14 2016-10-25 親和パッケージ株式会社 荷役パレット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2015134617A (ja) 2014-01-16 2015-07-27 三菱電機株式会社 製品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668A (ko)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149Y1 (ko) 파렛트 적재 랙
JP3939742B1 (ja) パレット
KR20220069405A (ko) 랙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90115542A (ko) 조립식 파레트
KR102640154B1 (ko) 스틸패킹용 스키드의 보강구조체
KR101890411B1 (ko) 팔레트랙용 타이빔
KR101843781B1 (ko) 물류창고용 랙구조물
KR200468202Y1 (ko) 선박용 선반
KR20090000936U (ko) 파렛트랙 구조물용 보강비임 구조.
KR101848878B1 (ko) 트러스 구조를 갖는 천정형 크레인
JP6012421B2 (ja) 荷役パレットおよびその組立方法
KR20200016022A (ko) 팔레트랙 연결용 체결프레임
KR102536002B1 (ko) 스틸패킹용 스키드의 제조방법
JP6118944B1 (ja) 二重床
KR100806947B1 (ko) 끼워맞춤식 스틸박스
JP3244165B2 (ja) 物品収納棚
JP6748418B2 (ja) 耐力壁構造
KR101977794B1 (ko) 내진 적재설비
JP7232401B2 (ja) 耐力壁の下端構造
JP7259692B2 (ja) 支柱連結構造
JP5216419B2 (ja) 接続部材
JPH1120825A (ja) パレットサポータ
KR102112911B1 (ko) 적재 선반
KR20120137977A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물류창고용 적재용 랙 구조물
JP2021109658A (ja) パ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