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512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39512B1 KR102639512B1 KR1020210056904A KR20210056904A KR102639512B1 KR 102639512 B1 KR102639512 B1 KR 102639512B1 KR 1020210056904 A KR1020210056904 A KR 1020210056904A KR 20210056904 A KR20210056904 A KR 20210056904A KR 102639512 B1 KR102639512 B1 KR 1026395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le
- arm
- terminal
- housing
-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465—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tags, mark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수 터미널,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암 터미널, 상기 수 터미널 및 상기 암 터미널이 삽입되는 터미널 홀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수 터미널은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 형성되며 꺾인 구조를 가지는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부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평면영역, 상기 제1 평면영역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평면영역, 상기 제1 평면영역과 상기 제2 평면영역을 연결하는 제1 연결영역 및 상기 제2 평면영역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2 연결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면, 상기 하우징 내면은 상기 제1 연결영역에 압력을 가하고, 상기 압력이 상기 제2 연결영역에 전달되어 상기 제2 연결영역이 상기 암 터미널에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연결영역이 상기 암 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 리어뷰 디바이스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와이어를 개별적으로 연결하지 않고도 상기 와이어를 수용하는 가조립 구조와 하우징이 본조립을 형성함으로써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가 좌우 및 후방 도로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감시하기 위하여 좌, 우 프런트 도어 외측에 리어뷰 디바이스가 장착된다. 자동차의 리어뷰 디바이스를 폴딩하거나 틸팅하는 경우 등에 있어, 차량으로부터 리어뷰 디바이스로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리어뷰 디바이스에는 공급되는 전류를 구동수단 등의 리어뷰 모듈로 전달하기 위한 커넥터가 마련되며, 공급되는 전류는 와이어를 통해 전달된다. 그러나, 작업자가 자동차 리어뷰 디바이스의 와이어를 연결함에 있어서, 각각의 와이어를 개별적으로 연결하여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리어뷰 디바이스 내에서 보다 간단한 와이어 연결 작업을 위한 것으로, 와이어를 수용하는 가조립 구조와 하우징이 본조립을 형성함으로써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와이어 연결 작업의 강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리어뷰 디바이스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수 터미널;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암 터미널; 상기 수 터미널 및 상기 암 터미널이 삽입되는 터미널 홀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수 터미널은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 형성되며 꺾인 구조를 가지는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부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평면영역, 상기 제1 평면영역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평면영역, 상기 제1 평면영역과 상기 제2 평면영역을 연결하는 제1 연결영역 및 상기 제2 평면영역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2 연결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면, 상기 하우징 내면은 상기 제1 연결영역에 압력을 가하고, 상기 압력이 상기 제2 연결영역에 전달되어 상기 제2 연결영역이 상기 암 터미널에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연결영역이 상기 암 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자동차 차체로부터 자동차용 리어뷰 디바이스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와이어의 연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가 장착된 사이드미러의 일 구현예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수 커넥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수 가조립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수 터미널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수 터미널의 하우징으로의 삽입 전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수 터미널의 하우징으로의 삽입 후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도 5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 커넥터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암 커넥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암 가조립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암 터미널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암 터미널의 확대도이다.
도 17은 도 12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암 커넥터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의 조립 프로세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수 커넥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수 가조립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수 터미널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수 터미널의 하우징으로의 삽입 전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수 터미널의 하우징으로의 삽입 후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도 5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 커넥터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암 커넥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암 가조립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암 터미널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암 터미널의 확대도이다.
도 17은 도 12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암 커넥터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의 조립 프로세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며, 또한, 구성요소(element) 또는 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수 터미널;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암 터미널; 상기 수 터미널 및 상기 암 터미널이 삽입되는 터미널 홀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수 터미널은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 형성되며 꺾인 구조를 가지는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부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평면영역, 상기 제1 평면영역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평면영역, 상기 제1 평면영역과 상기 제2 평면영역을 연결하는 제1 연결영역 및 상기 제2 평면영역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2 연결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면, 상기 하우징 내면은 상기 제1 연결영역에 압력을 가하고, 상기 압력이 상기 제2 연결영역에 전달되어 상기 제2 연결영역이 상기 암 터미널에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연결영역이 상기 암 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평면영역과 상기 제2 평면영역은 상기 단자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기 전에 제1 연결각을 가지고, 상기 제1 평면영역과 상기 제2 평면영역은 상기 단자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면 제2 연결각을 가지며 상기 제1 연결각은 상기 제2 연결각보다 작은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영역을 지나며 터미널의 삽입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과 상기 제1 연결영역 사이의 최단 거리인 제1 거리는, 상기 단자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연결영역이 상기 암터미널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연결영역을 지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과 상기 제1 연결영역 사이의 최단 거리인 제2 거리보다 큰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수 터미널을 수용하며, 수 삽입부와 수 수용부를 포함하는 수 가조립 구조; 및 상기 다수의 암 터미널을 수용하며, 암 삽입부와 암 수용부를 포함하는 암 가조립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 가조립 구조와 상기 암 가조립 구조가 상기 하우징과 본조립을 형성하였을 때, 상기 수 터미널이 상기 암 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 터미널은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수 가조립 구조를 향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의 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 가조립 구조는 상기 수 돌출부가 걸림으로써 가조립을 형성할 수 있는 수 조립홈을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 삽입부는 상기 수 터미널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수 터미널 구멍이 원주를 따라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 수용부는 상기 수 터미널이 수용될 수 있도록 수 상기 수 터미널 구멍과 연결되는 위치에 외주면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수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수 조립홈은 상기 수 안착홈에 형성되고, 상기 수 안착홈은 상기 수 터미널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수 터미널이 안착되어 상기 수 돌출부가 상기 수 조립홈에 걸림으로써 가조립을 형성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암 터미널은 상기 암 터미널에서 상기 암 가조립 구조를 향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의 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암 가조립 구조는 상기 암 돌출부가 걸림으로써 가조립을 형성할 수 있는 암 조립홈을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암 삽입부는 상기 암 터미널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암 터미널 구멍이 원주를 따라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암 수용부는 상기 암 터미널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암 터미널 구멍과 연결되는 위치에 외주면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암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암 조립홈은 상기 암 안착홈에 형성되고, 상기 암 안착홈은 상기 암 터미널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암 터미널이 안착되어 상기 암 돌출부가 상기 암 조립홈에 걸림으로써 가조립을 형성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서 케이블이 연결되기 위한 케이블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는 상기 수 터미널 및 상기 암 터미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와 서로 다른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리어뷰 디바이스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가 상기 리어뷰 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하우징이 상기 리어뷰 디바이스에 고정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베이스 하우징과 서브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은 상기 다수의 수 터미널이 삽입되는 수 터미널 홀 및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1 케이블 홀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 하우징은 상기 다수의 암 터미널이 삽입되는 암 터미널 홀 및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2 케이블 홀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서브 하우징 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케이블 홀과 상기 제2 케이블 홀이 연통되어 케이블홀을 형성하고, 상기 수 터미널 홀과 상기 암 터미널 홀이 연통되어 터미널 홀을 형성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수 터미널을 수용하며, 수 삽입부와 수 수용부를 포함하는 수 가조립 구조; 및 상기 다수의 암 터미널을 수용하며, 암 삽입부와 암 수용부를 포함하는 암 가조립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 가조립 구조와 상기 암 가조립 구조가 상기 하우징과 본조립을 형성하였을 때, 상기 수 터미널이 상기 암 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 수용부에 결합하여 상기 수 터미널의 위치를 고정하는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는 일단부에 형성된 제1 후크와 타단부에 형성된 제2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후크와 상기 제2 후크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가 상기 수 수용부에 결합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는 수 가조립부 및 제1 본조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 가조립 구조는 수 가조립 대응부 및 상기 제1 본조립부와 연결되어 전체로서 수 본조립부를 형성하는 제2 본조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 가조립부와 상기 수 가조립 대응부의 정렬에 의해 상기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와 상기 수 가조립 구조의 결합 위치가 정의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수 본조립 대응부와 상기 수 본조립부의 정렬에 의해 상기 수 가조립 구조와 상기 하우징의 본조립 위치가 정의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 터미널 위치고정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수 하우징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 고정부재는 상기 수 하우징 체결부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수 터미널 위치고정부재를 고정시키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암 수용부에 결합하여 상기 암 터미널의 위치를 고정하는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는 일단부에 형성된 제3 후크와 타단부에 형성된 제4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3 후크와 상기 제4 후크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가 상기 암 수용부에 결합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는 암 가조립부 및 제3 본조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암 가조립 구조는 암 가조립 대응부 및 상기 제3 본조립부와 연결되어 전체로서 암 본조립부를 형성하는 제4 본조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암 가조립부와 암 가조립 대응부의 정렬에 의해 상기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와 상기 암 가조립 구조의 결합 위치가 정의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암 본조립 대응부와 암 본조립부의 정렬에 의해 상기 암 가조립 구조와 상기 하우징의 본조립 위치가 정의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서브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암 터미널 위치고정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암 하우징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암 고정부재는 상기 암 하우징 체결부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암 터미널 위치고정부재를 고정시키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 터미널의 바디부는 제1 돌출영역 및 상기 제1 돌출영역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돌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영역과 제2 돌출영역의 이격된 사이에 상기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가 결합하며, 상기 제1 돌출영역이 상기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에 걸림으로써 상기 수 터미널의 과삽입을 방지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암 터미널은 말단의 가장자리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로 인해 상기 단자부가 상기 암 터미널로 삽입될 때 상기 단자부의 구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암 터미널은 제3 돌출영역 및 제3 돌출영역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4 돌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돌출영역과 상기 제4 돌출영역의 이격된 사이에 상기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가 결합하며, 상기 제3 돌출영역이 상기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에 걸림으로써 상기 암 터미널의 과삽입을 방지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얼라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얼라인 대응부를 포함하며, 상기 얼라인부와 상기 얼라인 대응부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서브 하우징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 내에 삽입될 때 상기 얼라인부와 상기 얼라인 대응부의 정렬에 의해 오조립을 방지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청본 발명은 자동차용 리어뷰 디바이스에 장착되어 차량과 리어뷰 디바이스 사이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커넥터의 각 와이어를 일일이 연결하지 않아도 되도록 와이어를 수용하는 가조립 구조 및 가조립 구조와 본조립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스마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커넥터는 자동차용 리어뷰 디바이스 내에 장착되어, 자동차용 리어뷰 디바이스와 차량 사이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본 명세서의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리어뷰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리어뷰 디바이스(1)는 디바이스 하우징(2), 베이스 하우징(3) 및 스마트 커넥터(100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하우징(2)은 베이스 하우징(3)에 연결될 수 있고, 베이스 하우징(3)은 차체에 연결될 수 있다. 리어뷰 디바이스(1)는 차체에 연결된 베이스 하우징(3)에 의해 차체에 장착될 수 있다.
디바이스 하우징(2)은 운전자에게 측후방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리어뷰 모듈(5)이 설치된 하우징일 수 있다.
리어뷰 모듈(5)은 전통적인 형태의 사이드 미러 모듈일 수 있다. 또한, 리어뷰 모듈(5)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측후방 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일 수도 있다.
리어뷰 모듈(5)이 전통적인 형태의 사이드 미러 모듈인 경우, 리어뷰 모듈(5)은 반사경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제어를 위한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부품들은 전기변색소자, 반사경의 가열을 위한 히터 플레이트, 반사경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틸팅 액츄에이터, 미러의 폴딩 언폴딩을 위한 구동모터 및 차량의 상태를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되는 인디케이터 등일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3)은 디바이스 하우징(2)을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 구조일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3)은 차량의 내부의 제어부(4)와 리어뷰 모듈(5)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의 연결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커넥터(10000)는 디바이스 하우징(2) 또는 베이스 하우징(3)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마트 커넥터(10000)는 디바이스 하우징(2)에 설치될 수 있다.
스마트 커넥터(10000)는 제어부(4)와 리어뷰 모듈(5)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스마트 커넥터(10000)는 각각의 와이어를 통해 제어부(4) 또는 리어뷰 모듈(5)과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는 수 와이어(11000) 및 암 와이어(130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커넥터(10000)는 수 와이어(11000)를 통해 제어부(4)와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 커넥터(10000)는 암 와이어(13000)를 통해 리어뷰 모듈(5)과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 커넥터(10000)는 수 와이어(11000) 및 암 와이어(13000)를 보다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10000)는 수 와이어(11000)와 암 와이어(13000)를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로부터 연장된 수 와이어(11000)와 리어뷰 모듈(5)로부터 연장된 암 와이어(13000)는 스마트 커넥터(100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1100)은 스마트 커넥터(10000)의 본체를 구성할 수 있다.
하우징(110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0)은 상하면이 연통된 원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0)은 수 커넥터(1200) 및 암 커넥터(1300) 중 적어도 하나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0)은 수 커넥터(1200) 및 암 커넥터(1300) 중 적어도 하나를 고정하기 위한 조립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수 와이어(11000)와 암 와이어(13000)는 하우징(1100) 내부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수 와이어(11000)는 수 커넥터(1200)에 삽입될 수 있다.
수 커넥터(120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100)의 삽입부위에 삽입될 수 있다. 수 커넥터(1200)는 하우징(1100)에 제1 방향(D1)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방향(D1)은 하우징(1100)이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D1)은 수 와이어(11000)가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다.
수 커넥터(1200)는 하우징(1100)의 조립부위에 의해 하우징(1100)에 고정될 수 있다.
수 커넥터(1200)는 수 가조립 구조(1400), 다수의 수 터미널(1600) 및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 와이어(11000)는 수 가조립 구조(1400)에 삽입될 수 있다. 수 가조립 구조(1200)는 수 와이어(110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수 가조립 구조(1400)는 수 터미널(1600)을 수용할 수 있다.
수 가조립 구조(1400)는 암 가조립 구조(1500)와 서로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수 터미널(1600)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 터미널(1600)은 수 와이어(11000)의 일단과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터미널(1600)은 수 와이어(11000)를 통해 제어부(4)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수 터미널(1600)은 암 터미널(1700)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터미널(1600)은 수 와이어(11000)를 통해 전달받은 제어부(4)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암 터미널(17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수 터미널(1600)은 암 터미널(1700)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4)로 전달할 수 있다.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는 수 터미널(1600)이 수용된 수 가조립 구조(1400)에 결합하여 수 터미널(16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암 커넥터(1300)에는 암 와이어(13000)가 삽입될 수 있다. 암 커넥터(1300)는 암 와이어(130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암 커넥터(130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100)의 삽입부위에 삽입될 수 있다. 암 커넥터(1300)는 하우징(1100)에 제2 방향(D2)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제2 방향(D2)은 제1 방향(D1)과 반대되는 방향일 수 있다.
암 커넥터(1300)는 하우징(1100)의 조립부위에 의해 하우징(1100)에 고정될 수 있다.
암 커넥터(1300)는 암 가조립 구조(1500), 다수의 암 터미널(1700) 및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를 포함할 수 있다.
암 가조립 구조(1500)에는 암 와이어(13000)가 삽입될 수 있다.
암 가조립 구조(1500)는 암 터미널(1700)을 수용할 수 있다.
암 가조립 구조(1500)는 수 가조립 구조(1400)와 서로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암 터미널(1700)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암 터미널(1700)은 수 터미널(1600)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터미널(1700)은 수 터미널(1600)을 통해 제어부(4)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는 암 터미널(1700)은 수 터미널(1600)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암 터미널(1700)은 암 와이어(13000)의 일단과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터미널(1700)은 수 터미널(1600)을 통해 전달받은 제어부(4)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암 와이어(13000)를 통해 리어뷰 모듈(5)로 전달할 수 있다.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는 암 터미널(1700)이 수용된 암 가조립 구조(1500)에 결합하여 암 터미널(17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하우징(1100)은 수 커넥터(1200) 및 암 커넥터(1300)가 삽입됨으로써 수 커넥터(1200) 및 암 커넥터(1300)와 본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수 커넥터(1200) 및 암 커넥터(1300)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하우징(1100)에 삽입될 수 있다.
하우징(1100)이 수 커넥터(1200) 및 암 커넥터(1300)와 본조립을 형성하였을 때 수 터미널(1600)은 암 터미널(1700)에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하우징(1100)에 수 커넥터(1200) 및 암 커넥터(1300)가 삽입되었을 때, 수 터미널(160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100) 내면으로부터 압력을 받을 수 있다. 하우징(1100) 내면으로부터 수 터미널(1600)의 적어도 일부에 압력이 작용함으로써 수 터미널(1600)과 암 터미널(1700)의 전기적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1100)이 수 커넥터(1200) 및 암 커넥터(1300)와 본조립을 형성함으로 인하여, 복수의 수 와이어(11000)와 암 와이어(13000)를 각각 연결할 필요 없이 보다 간편하게 제어부(4)로부터 리어뷰 모듈(5)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의 각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00)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00)은 수 커넥터(1200)가 삽입되는 수 삽입부위(1120) 및 암 커넥터(1300)가 삽입되는 암 삽입부위(11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 삽입부위(1120)는 수 커넥터(1200)를 수용할 수 있는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수 삽입부위(1120)는 암 삽입부위(1140)와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 삽입부위(1120)는 하우징(1100)에서 암 삽입부위(1140)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 삽입부위(1120)는 적어도 하나의 수 조립부위(1150) 및 수 본조립 대응부(1110)를 포함할 수 있다.
수 조립부위(1150)는 수 커넥터(1200)를 고정시킴으로써 본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수 조립부위(1150)는 수 삽입부위(1120)의 일부에 구멍이 뚫린 형태일 수 있다.
수 조립부위(1150)는 수 삽입부위(1120)의 일부가 컷팅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조립부위(1150)는 수 삽입부위(1120)의 일부가 컷팅된 부분을 포함함으로써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수 조립부위(1150)는 탄성을 가짐으로 인해 보다 쉽게 수 커넥터(1200)가 하우징(1100)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수 조립부위(1150)는 수 커넥터(1200)의 일부를 구멍에 고정시킴으로써 수 커넥터(1200)와 본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수 본조립 대응부(1110)는 후술할 수 본조립부(1210)와의 정렬에 의해 수 커넥터(1200)와 하우징(1100)의 본조립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수 본조립 대응부(1110)는 수 본조립부(1210)와의 정렬에 의해 하우징(1100)과 수 커넥터(1200)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수 본조립 대응부(1110)는 일정 길이의 돌출된 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수 본조립 대응부(1110)는 원통형 하우징(1100)의 축 방향으로 돌출된 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암 삽입부위(1140)는 암 커넥터(1300)를 수용할 수 있는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암 삽입부위(1140)는 수 삽입부위(1120)와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암 삽입부위(1140)는 적어도 하나의 암 조립부위(1170) 및 암 본조립 대응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암 조립부위(1170)는 암 커넥터(1300)를 고정시킴으로써 본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암 조립부위(1170)는 암 삽입부위(1170)의 일부가 단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암 조립부위(1170)는 암 커넥터(1300)의 일부를 압력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암 커넥터(1300)와 본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암 본조립 대응부(1130)는 후술할 암 본조립부(1230)와의 정렬에 의해 암 커넥터(1300)와 하우징(1100)의 본조립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암 본조립 대응부(1130)는 암 본조립부(1230)와의 정렬에 의해 하우징(1100)과 수 커넥터(1300)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암 본조립 대응부(1130)는 일정 길이의 돌출된 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암 본조립 대응부(1130)는 원통형 하우징(1100)의 축 방향으로 돌출된 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수 커넥터(1200)를 나타낸 것이다.
수 커넥터(1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 가조립 구조(1400), 수 터미널(1600) 및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 가조립 구조(1400)는 수 터미널(1600)과 가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수 가조립 구조(1400)는 수 와이어(110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수 가조립 구조(1400)는 수 삽입부(1410)와 수 수용부(14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 삽입부(1410)와 수 수용부(1430) 중 적어도 하나는 수 터미널(1600)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터미널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수 삽입부(1410)와 수 수용부(1430) 중 적어도 하나는 수 와이어(11000)를 수용할 수 있다.
수 가조립 구조(1400)는 제2 본조립부(14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본조립부(1437)는 수 삽입부(1410) 또는 수 수용부(1430)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본조립부(1437)는 수 삽입부(1410)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본조립부(1437)는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본조립부(1437)는 후술할 제1 본조립부(1870)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전체로서 수 본조립부(1210)를 형성할 수 있다.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는 수 가조립 구조(1400)에 결합하여 수 터미널(16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는 수 수용부(1430)에 결합하여 수 터미널(16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 및 수 삽입부(141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는 수 삽입부(1410)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는 제1 본조립부(18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본조립부(1870)는 제2 본조립부(1437)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가 수 가조립 구조(1400)에 결합하면 제1 본조립부(1870)와 제2 본조립부(1437)가 전체로서 수 본조립부(1210)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제1 본조립부(1870)는 제2 본조립부(1437)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하나의 홈처럼 보일 수 있다.
수 본조립부(1210)는 하우징(1100)에 형성된 수 본조립 대응부(1110, 도 4 참조)와 정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본조립부(1210)와 수 본조립 대응부(1130)의 정렬에 의해 수 가조립 구조(1300)와 하우징(1100)의 본조립 위치가 정의될 수 있다.
수 본조립부(1210)는 수 본조립 대응부(1110)와의 정렬에 의해 수 커넥터(1200)와 하우징(1100)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수 본조립부(1210)는 수 본조립 대응부(1130, 도4 참조)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본조립부(1210)는 일정 길이의 패인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 본조립부(1210)는 수 하우징 체결부(18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 하우징 체결부(1890)는 하우징(1100)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체결될 수 있다.
수 하우징 체결부(1890)는 하우징(1100)에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하우징 체결부(1890)는 하우징(1100)이 원통이 아닌 형상일 때, 하우징(1100)에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수 가조립 구조(14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수 가조립 구조(1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 삽입부(1410)와 수 수용부(14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삽입부(1410)와 수 수용부(14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수 삽입부(1410)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수 삽입부(1410)는 상면과 하면이 연통되도록 다수의 구멍을 포함하는 연통된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수 삽입부(1410)는 수 터미널(1600)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수 터미널 구멍(141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수 터미널 구멍(1411)은 원주를 따라 동일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수 터미널 구멍(1411)은 각각 수 와이어(11000)를 수용할 수 있다.
수 수용부(1430)는 다수의 돌기와 홈을 포함하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수 수용부(1430)는 수 터미널(1600)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수 안착홈(1431)과 수 돌기부(143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수 안착홈(1431)은 수 터미널 구멍(14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외주면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 안착홈(1431)은 수 수용부(143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패인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 안착홈(1431)은 수 터미널(1600)의 형상과 대응되어 수 터미널(1600)이 안착홈(1431)에 안착하도록 수 터미널(1500)을 수용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수 돌기부(1432)는 외주면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 돌기부(1432)는 수 안착홈(1431)과 번갈아 형성될 수 있다.
수 돌기부(1432)는 일정 길이의 돌출된 바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 돌기부(1432)는 적어도 일부가 수 터미널(160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수 터미널(1600)을 수용할 수 있다.
수 가조립 구조(1400)는 수 조립홈(1433) 및 수 가조립 대응부(14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 조립홈(1433)은 수 삽입부(1410) 또는 수 수용부(1430)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 조립홈(1433)은 수 수용부(1430)에 형성될 수 있다. 수 조립홈(1433)은 수 삽입부(1410)와 이격된 수 안착홈(1431)의 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 수 조립홈(1433)은 수 안착홈(1431)의 일부가 더 패인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 조립홈(1433)에 수 터미널(1600)의 일부가 걸림으로써 수 가조립 구조(1400)는 수 터미널(1600)과 가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수 가조립 대응부(1435)는 수 삽입부(1410) 또는 수 수용부(1430)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 가조립 대응부(1435)는 수 수용부(1430)에 형성될 수 있다. 수 가조립 대응부(1435)는 수 돌기부(1432)에 형성될 수 있다.
수 가조립 대응부(1435)는 수 돌기부(1432)의 일부가 더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 가조립 대응부(1435)는 일정 길이의 돌출된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 가조립 대응부(1435)는 수 가조립 구조(1400)와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의 결합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수 가조립 대응부(1435)는 수 가조립 구조(1400)와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 사이의 오결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라 수 가조립 구조(1400)에 결합된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는 제1 후크(1810), 제2 후크(1830), 수 가조립부(1850) 및 제1 본조립부(18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후크(1810)는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제2 후크(1830)는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의 타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후크(1810)와 제2 후크(1830)가 체결됨으로써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는 수 가조립 구조(1400)에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후크(1810)와 제2 후크(1830)가 체결됨으로써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는 수 수용부(1430)에 결합할 수 있다.
제1 후크(1810)와 제2 후크(1830)가 체결되어 수 가조립 구조(1400)를 죔으로써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는 수 터미널(16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수 가조립부(1850)는 수 가조립 구조(1400)와 접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수 가조립부(1850)는 수 가조립 대응부(1435, 도6 참조)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가조립부(1850)는 일정 길이의 패인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 가조립부(1850)는 수 가조립 대응부(1435)와의 정렬에 의하여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와 수 가조립 구조(1400)의 결합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가조립부(1850)는 제1 본조립부(1870)와 제2 본조립부(1437)의 정렬을 위한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의 결합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제1 본조립부(1870)는 하우징(1100)과 접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본조립부(1870)는 수 가조립 구조(1400)의 일부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본조립부(1870)는 수 삽입부(1410)의 일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제1 본조립부(1870)는 제2 본조립부(1437, 도6 참조)와 연결될 수 있다.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는 탄성을 가짐으로써 수 가조립 구조(1400)에 보다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수 터미널(1600)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수 터미널(1600)은 바디부(1610)와 단자부(1630) 및 수 돌출부(165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610)는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가 결합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61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에 걸림으로써 수 터미널(1600)의 과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바디부(1610)는 수 와이어(11000)와 연결될 수 있다. 바디부(161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수 와이어(110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바디부(1610)는 다수의 돌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부(1610)는 제1 돌출영역(1611), 제2 돌출영역(1613), 수 와이어 고정부(1615) 및 수 끼임부(161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영역(1611)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돌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영역(1611)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두 개의 돌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영역은 수 와이어(11000)의 적어도 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돌출영역(1613)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돌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출영역(1613)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두 개의 돌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출영역(1613)은 제1 돌출영역(161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수 끼임부(1619)는 제1 돌출영역(1611)과 제2 돌출영역(1613)의 이격된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수 끼임부(1619)에는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가 결합할 수 있다.
수 끼임부(1619)는 제1 돌출영역(1611) 및 제2 돌출영역(1613)과 단차를 가짐으로 인해 수 터미널(1600)의 일부가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에 걸릴 수 있다.
수 와이어 고정부(1615)는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돌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수 와이어 고정부(1615)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두 개의 돌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수 와이어 고정부(1615)는 수 와이어(110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수 와이어 고정부(1615)는 수 와이어(11000)의 일단과 납땜, 압착 등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수 터미널(1600)과 수 와이어(11000)가 압착으로 고정되는 경우, 수 터미널(1600)은 수 와이어(11000)의 피복을 압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제1 돌출영역(1611) 및 수 와이어 고정부(1615) 중 적어도 하나는 수 와이어(11000)의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자부(1630)는 바디부(1610)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단자부(1630)는 암 터미널(1700)과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단자부(1630)는 하우징(1100)에 삽입되었을 때, 단자부(163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하우징(1100) 내면으로부터 압력을 받을 수 있다.
단자부(1630)는 꺾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자부(1630)는 꺾인 구조를 통해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단자부(1630)는 다수의 평면영역과 연결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자부(1630)는 제1 평면영역(1631), 제2 평면영역(1633), 제1 연결영역(1635), 제2 연결영역(1637) 및 제3 평면영역(163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평면영역(1631)은 바디부(1610)로부터 연장되고, 제2 평면영역(1633)은 제1 평면영역(1631)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제2 평면영역(1633)은 제1 평면영역(1631)이 연장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결영역(1635)은 제1 평면영역(1631)과 제2 평면영역(1633)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연결영역(1635)은 단자부(1630)가 하우징(1100)에 삽입되었을 때, 하우징(1100) 내면으로부터 압력을 받을 수 있다.
제2 연결영역(1637)은 제2 평면영역(1633)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연결영역(1637)은 단자부(1630)가 하우징(1100)에 삽입되었을 때, 제1 연결영역(1635)이 하우징(1100) 내면으로부터 받은 압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2 연결영역(1635)은 암 터미널(1700)과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영역(1635)은 암 터미널(1700)에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암 터미널(1700)에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제2 연결영역(1637)으로부터 제3 평면영역(1639)이 연장될 수 있으며, 제3 평면영역(1639)은 제2 연결영역(1637)이 연장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평면영역(1639)은 단자부(1630)가 하우징(1100)에 삽입될 때, 단자부(16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평면영역(1639)이 없고 단자부(1630)가 제2 평면영역(1633)이 연장된 상태로 형성되는 경우, 단자부(1630)가 하우징(1100)에 삽입될 때 하우징(1100)의 일면에 의해 단자부(1630)가 바디부(1610) 방향으로 꺾어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단자부(1630)가 손상될 수 있다.
수 돌출부(1650)는 바디부(1610)에 형성될 수 있다.
수 돌출부(1650)는 바디부(1610)에서 수 가조립 구조(14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수 돌출부(1650)는 제1 돌출영역(1611)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수 돌출부(1650)는 제2 돌출영역(1613)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수 돌출부(1650)는 수 가조립 구조(1400)를 향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돌출부(1650)는 바디부(1610)의 일부가 절개되어 수 가조립 구조(1400)를 향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수 돌출부(1650)는 바디부(1610)의 일부 절개된 영역이 구부러져 바디부(1610)와 일정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수 돌출부(1650)는 수 가조립 구조(1400)의 수 조립홈(1433, 도6 참조)에 걸림으로써 수 터미널(1600)과 수 가조립 구조(1400) 사이의 가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 내지 10은 하우징(1100)에 삽입되기 전후 수 터미널(1600)의 단자부(1630)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단자부(1630)는 하우징(1100) 내에 삽입되면 하우징(1100) 내면으로부터 압력을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0) 내면은 제1 연결영역(1635)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제1 연결영역(1635)에 가해진 압력은 제2 연결영역(1637)에 전달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제2 연결영역(1637)이 암 터미널(1700)에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제2 연결영역(1637)이 암 터미널(1700)에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단자부(1630)는 하우징(1100) 내에 삽입되면 하우징(1100) 내면으로부터 압력을 받아 하우징(1100)에 삽입되기 전과 모양이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자부(1630)가 하우징(1100) 내에 삽입되면 제1 평면영역(1631)과 제2 평면영역(1633)이 이루는 각이 커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평면영역(1631)과 제2 평면영역(1633)은 단자부(1630)가 하우징(1100)에 삽입되기 전에 제1 연결각(A1)을 가질 수 있다.
제2 연결영역(1637)을 지나며 수 터미널(1600)의 하우징(1100)으로의 삽입 방향인 제1 방향(D1, 도 3 참조)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과 제1 연결영역(1635) 사이의 최단 거리는, 단자부(1630)가 하우징(1100)에 삽입되기 전에 제1 거리(H1)를 가질 수 있다.
제1 거리(H1)는 하우징(1100) 내면과 바디부(1610)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평면영역(1631)과 제2 평면영역(1633)은 단자부(1630)가 하우징(1100) 내에 삽입되면 제2 연결각(A2)을 가질 수 있다.
단자부(1630)가 하우징(1100) 내에 삽입되어 제2 연결영역(1637)이 암 터미널(1700)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2 연결영역(1637)을 지나며 수 터미널(1600)의 하우징(1100)으로의 삽입 방향인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과 제1 연결영역(1635) 사이의 최단 거리는 제2 거리(H2)를 가질 수 있다.
제2 거리(H2)는 하우징(1100) 내면과 바디부(1610) 사이의 거리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제1 연결각(A1)은 제2 연결각(A2)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제1 거리(H1)는 제2 거리(H2)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단자부(1630)는 하우징(1100)에 삽입됨으로써 더 펴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단자부(1630)는 하우징(1100)에 삽입되기 전의 모양으로 돌아가려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자부(1630)는 탄성에 의해 하우징(1100)에 삽입되기 전의 모양으로 돌아가려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단자부(1630)는 하우징(1100) 내면으로부터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삽입되기 전의 모양으로 돌아가는 것이 저지될 수 있다.
단자부(1630)는 삽입되기 전의 모양으로 돌아가는 것이 저지됨으로써 암 터미널(1700)과의 전기적 개방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1은 도 5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 커넥터(1200)를 AA'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 참조).
도 11을 참조하면, 수 터미널(1600)은 수 와이어(11000)와 연결된 상태로 수 가조립 구조(14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수 돌출부(1650)는 수 터미널(1600)이 수 가조립 구조(1400)에 제1 방향(D1)으로 보다 매끄럽게 삽입되게 할 수 있다.
수 돌출부(1650)는 수 조립홈(1433)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수 돌출부(1650)는 바디부(1610)의 일부가 절개되어 수 조립홈(1433)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수 돌출부(1650)는 바디부(1610)의 일부가 절개되어 개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방된 영역에 의해 수 돌출부(1650)는 바디부(1610)와 단차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차에 의해 수 돌출부(1650)는 수 조립홈(1433)에 걸림으로써 수 가조립 구조(1400)와 가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수 돌출부(1650)는 수 삽입면과 수 제한면을 가질 수 있다.
수 삽입면은 단자부(1630)와 인접한 면이고, 수 제한면은 수 끼임부(1619)와 인접한 면일 수 있다.
수 삽입면은 바디부(1610)의 하면과 연결된 면일 수 있다.
수 삽입면은 바디부(1610)의 하면과 일정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수 터미널(1600)은 수 가조립 구조(1400)에 삽입될 때 수 삽입면을 타고 삽입될 수 있다.
수 제한면은 빈 영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제한면은 바디부(1610)의 일부가 절개되어 개방된 영역일 수 있다.
수 터미널(1600)은 수 제한면이 수 조립홈(1433)에 걸림으로써 수 가조립 구조(1400)와 가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수 돌출부(1650)는 수 터미널(1600)이 수 가조립 구조(1400)와 가조립을 형성한 후에, 제2 방향(D2)으로의 움직임을 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돌출부(1650)는 수 조립홈(1433)에 걸림으로써 수 터미널(1600)의 제2 방향(D2)으로의 움직임을 저지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수 제한면은 수 조립홈(1433)에 걸림으로써 수 터미널(1600)의 제2 방향(D2)으로의 움직임을 저지할 수 있다.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는 수 터미널(1600)이 수 가조립 구조(14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수 끼임부(1619)에 결합할 수 있다.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는 수 끼임부(1619)에 결합하여 수 터미널(16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 돌출영역(1610)은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에 걸림으로써 수 터미널(1600)의 과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는 수 삽입부(1410)와 접할 수 있다.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는 수 삽입부(1410)보다 직경의 크기가 클 수 있다. 이 경우, 제1 본조립부(1870)는 제2 본조립부(1437)보다 홈의 깊이가 깊을 수 있다.
수 커넥터(1400)는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와 수 삽입부(1410)에 의해 하우징(1100)에 고정될 수 있다.
수 커넥터(1400)는 하우징(1100)에 고정됨으로써 본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암 커넥터(1300)를 나타낸 것이다.
암 커넥터(1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암 가조립 구조(1500), 암 터미널(1700) 및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를 포함할 수 있다.
암 가조립 구조(1500)는 암 터미널(1700)과 가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암 가조립 구조(1500)는 암 와이어(130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암 가조립 구조(1500)는 암 삽입부(1510)와 암 수용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암 삽입부(1510)와 암 수용부(1530) 중 적어도 하나는 암 터미널(1700)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터미널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암 삽입부(1510)와 암 수용부(1530) 중 적어도 하나는 암 와이어(13000)를 수용할 수 있다.
암 가조립 구조(1500)는 제4 본조립부(15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본조립부(1537)는 암 삽입부(1510) 또는 암 수용부(1530)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4 본조립부(1537)는 암 삽입부(1510)에 형성될 수 있다.
제4 본조립부(1537)는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본조립부(1537)는 후술할 제3 본조립부(1970)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전체로서 암 본조립부(1230)를 형성할 수 있다.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는 암 가조립 구조(1500)에 결합하여 암 터미널(17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는 암 수용부(1530)에 결합하여 암 터미널(17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는 제3 본조립부(19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본조립부(1970)는 제4 본조립부(1537)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가 암 가조립 구조(1500)에 결합하면 제3 본조립부(1970)와 제4 본조립부(1537)가 전체로서 암 본조립부(1230)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제3 본조립부(1970)는 제4 본조립부(1537)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하나의 홈처럼 보일 수 있다.
암 본조립부(1230)는 하우징(1100)에 형성된 암 본조립 대응부(1130, 도 4 참조)와 정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본조립부(1230)와 암 본조립 대응부(1130)의 정렬에 의해 암 가조립 구조(1400)와 하우징(1100)의 본조립 위치가 정의될 수 있다.
암 본조립부(1230)는 암 본조립 대응부(1130)와의 정렬에 의해 암 커넥터(1300)와 하우징(1100)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암 본조립부(1230)는 암 본조립 대응부(1130, 도4 참조)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본조립부(1230)는 일정 길이의 패인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암 본조립부(1230)는 암 하우징 체결부(19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암 하우징 체결부(1990)는 하우징(1100)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체결될 수 있다.
암 하우징 체결부(1990)는 하우징(1100)에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하우징 체결부(1990)는 하우징(1100)이 원통이 아닌 형상일 때, 하우징(1100)에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암 가조립 구조(15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암 가조립 구조(1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암 삽입부(1510)와 암 수용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삽입부(1510)와 암 수용부(15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암 삽입부(1510)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암 삽입부(1510)는 상면과 하면이 연통되도록 다수의 구멍을 포함하는 연통된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암 삽입부(1510)는 암 터미널(1700)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암 터미널 구멍(151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암 터미널 구멍(1511)은 원주를 따라 동일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암 터미널 구멍(1511)은 각각 암 와이어(13000)를 수용할 수 있다.
암 수용부(1530)는 다수의 돌기와 홈을 포함하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암 수용부(1530)는 암 터미널(1700)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암 안착홈(1531)과 암 돌기부(153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암 안착홈(1531)은 암 터미널 구멍(15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외주면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암 안착홈(1531)은 암 수용부(153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패인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암 안착홈(1531)은 암 터미널(1700)의 형상과 대응되어 암 터미널(1500)이 암 안착홈(1531)에 안착하도록 암 터미널(1700)을 수용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암 돌기부(1532)는 외주면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암 돌기부(1532)는 암 안착홈(1531)과 번갈아 형성될 수 있다.
암 돌기부(1532)는 일정 길이의 돌출된 바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암 돌기부(1532)는 적어도 일부가 암 터미널(170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암 터미널(1700)을 수용할 수 있다.
암 가조립 구조(1500)는 암 조립홈(1533) 및 암 가조립 대응부(15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암 조립홈(1533)은 암 삽입부(1510) 또는 암 수용부(1530)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암 조립홈(1533)은 암 수용부(1530)에 형성될 수 있다. 암 조립홈(1533)은 암 삽입부(1510)와 이격된 암 안착홈(1531)의 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 암 조립홈(1533)은 암 안착홈(1531)의 일부가 더 패인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암 조립홈(1533)에 암 터미널(1700)의 일부가 걸림으로써 암 가조립 구조(1500)는 암 터미널(1700)과 가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암 가조립 대응부(1535)는 암 삽입부(1510) 또는 암 수용부(1530)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암 가조립 대응부(1535)는 암 수용부(1530)에 형성될 수 있다. 암 가조립 대응부(1535)는 암 돌기부(1532)에 형성될 수 있다.
암 가조립 대응부(1535)는 암 돌기부(1532)의 일부가 더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암 가조립 대응부(1535)는 일정 길이의 돌출된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암 가조립 대응부(1535)는 암 가조립 구조(1500)와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의 결합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암 가조립 대응부(1535)는 암 가조립 구조(1500)와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 사이의 오결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은 제1 실시예에 따라 암 가조립 구조(1500)에 결합된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는 제3 후크(1910), 제4 후크(1930), 암 가조립부(1950) 및 제3 본조립부(19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후크(1910)는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제4 후크(1930)는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의 타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후크(1910)와 제4 후크(1930)가 체결됨으로써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는 암 가조립 구조(1500)에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후크(1910)와 제4 후크(1930)가 체결됨으로써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는 암 수용부(1530)에 결합할 수 있다.
제3 후크(1910)와 제4 후크(1930)가 체결되어 암 가조립 구조(1500)를 죔으로써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는 암 터미널(17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암 가조립부(1950)는 암 가조립 구조(1500)와 접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암 가조립부(1950)는 암 가조립 대응부(1535, 도13 참조)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가조립부(1950)는 일정 길이의 패인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암 가조립부(1950)는 암 가조립 대응부(1535)와의 정렬에 의하여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와 암 가조립 구조(1500)의 결합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제3 본조립부(1970)는 하우징(1100)과 접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본조립부(1970)는 암 가조립 구조(1500)의 일부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본조립부(1970)는 암 삽입부(1510)의 일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제3 본조립부(1970)는 제4 본조립부(1537, 도13 참조)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암 터미널(1700)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1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암 터미널(1700)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암 터미널(1700)은 단자부(1630)와 접촉하여 수 터미널(160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암 터미널(1700)은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가 결합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암 터미널(1700)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에 걸림으로써 암 터미널(1700)의 과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암 터미널(1700)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암 와이어(1200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암 터미널(1700)은 다수의 돌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터미널(1700)은 제3 돌출영역(1710), 제4 돌출영역(1730), 암 끼임부(1740), 암 돌출부(1750) 및 암 와이어 고정부(17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돌출영역(1710)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돌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돌출영역(1710)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두 개의 돌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돌출영역(1710)은 암 와이어(13000)의 적어도 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4 돌출영역(1730)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돌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돌출영역(1730)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두 개의 돌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돌출영역(1730)은 제3 돌출영역(171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암 끼임부(1740)는 제3 돌출영역(1710)과 제4 돌출영역(1730)의 이격된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암 끼임부(1740)에는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가 결합할 수 있다.
암 끼임부(1740)는 제3 돌출영역(1710) 및 제4 돌출영역(1730)과 단차를 가짐으로 인해 암 터미널(1700)의 일부가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에 걸릴 수 있다.
암 와이어 고정부(1720)는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돌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암 와이어 고정부(1720)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두 개의 돌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암 와이어 고정부(1720)는 암 와이어(130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암 와이어 고정부(1720)는 암 와이어(13000)의 일단과 납땜, 압착 등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암 터미널(1700)과 암 와이어(11000)가 압착으로 고정되는 경우, 암 터미널(1600)은 암 와이어(13000)의 피복을 압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제3 돌출영역(1710) 및 암 와이어 고정부(1720) 중 적어도 하나는 암 와이어(13000)의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암 돌출부(1750)는 암 터미널(1700)에서 암 가조립 구조(15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암 돌출부(1750)는 제3 돌출영역(1710)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암 돌출부(1750)는 제3 돌출영역(1710)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암 돌출부(1750)는 암 가조립 구조(1500)를 향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돌출부(1750)는 암 터미널(1700)의 일부가 절개되어 암 가조립 구조(1500)를 향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암 돌출부(1750)는 암 터미널(1700)의 일부 절개된 영역이 구부러져 암 터미널(1700)와 일정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암 돌출부(1750)는 암 가조립 구조(1500)의 암 조립홈(1533, 도13 참조)에 걸림으로써 암 터미널(1700)과 암 가조립 구조(1500) 사이의 가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5 및 16을 참조하면, 암 터미널(1700)은 경사부(17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1770)는 암 터미널(1700) 말단의 가장자리에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1770)는 제4 돌출영역(1730)의 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1670)는 단자부(1530)가 암 터미널(1600)로 삽입될 때 단자부(1530)의 구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사부(1670)는 제3 평면영역(1639, 도 8 참조)이 암 터미널(1600)에 의해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사부(1670)의 높이는 제3 평면영역(1639)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사부(1670)는 높이가 제3 평면영역(1639)의 높이보다 낮음으로 인해 제3 평면영역(1670)이 암 터미널(1700)에 걸려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사부(1670)는 경사진 옆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옆면은 제4 돌출영역(1730)과 연결되는 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사부(1670)는 단자부(1530)가 어떤 방향에서 삽입되더라도 꺾이지 않도록 경사진 옆면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1670)는 제2 방향(D2)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사부(1670)는 제2 방향(D2)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짐으로 인해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단자부(1530)가 암 터미널(1700)에 삽입될 때, 제2 연결영역(1637, 도8 참조)은 경사부(1670)를 타고 삽입될 수 있다.
도 17은 도 12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암 커넥터(1300)를 AA'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 참조).
도 17을 참조하면, 암 터미널(1700)은 암 와이어(13000)와 연결된 상태로 암 가조립 구조(15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암 돌출부(1750)는 암 터미널(1700)이 암 가조립 구조(1500)에 제2 방향(D2)으로 보다 매끄럽게 삽입되게 할 수 있다.
암 돌출부(1750)는 암 조립홈(1533)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암 돌출부(1750)는 암 터미널(1700)의 일부가 절개되어 암 조립홈(1533)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암 돌출부(1750)는 암 터미널 (1700)의 일부가 절개되어 개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방된 영역에 의해 암 돌출부(1750)는 암 터미널(1700)과 단차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차에 의해 암 돌출부(1750)는 암 조립홈(1533)에 걸림으로써 암 가조립 구조(1500)와 가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암 돌출부(1750)는 암 삽입면과 암 제한면을 가질 수 있다.
암 삽입면은 암 터미널(1700)의 하면과 연결된 면일 수 있다.
암 삽입면은 암 터미널(1700)의 하면과 일정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암 터미널(1700)은 암 가조립 구조(1500)에 삽입될 때 암 삽입면을 타고 삽입될 수 있다.
암 제한면은 빈 영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제한면은 암 터미널(1700)의 일부가 절개되어 개방된 영역일 수 있다.
암 터미널(1700)은 암 제한면이 암 조립홈(1533)에 걸림으로써 암 가조립 구조(1500)와 가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암 돌출부(1750)는 암 터미널(1700)이 암 가조립 구조(1500)와 가조립을 형성한 후에, 제1 방향(D1)으로의 움직임을 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돌출부(1750)는 암 조립홈(1533)에 걸림으로써 암 터미널(1700)의 제1 방향(D1)으로의 움직임을 저지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암 제한면은 암 조립홈(1533)에 걸림으로써 암 터미널(1700)의 제1 방향(D1)으로의 움직임을 저지할 수 있다.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는 암 터미널(1700)이 암 가조립 구조(15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암 끼임부(1740)에 결합할 수 있다.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는 암 끼임부(1740)에 결합하여 암 터미널(17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제3 돌출영역(1710)은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에 걸림으로써 암 터미널(1700)의 과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암 터미널(1700)에 제2 방향(D2)으로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는 제3 돌출영역(171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암 터미널(1700)에 제1 방향(D1)으로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는 제4 돌출영역(173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는 암 삽입부(1510)와 접할 수 있다.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는 암 삽입부(1510)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이 경우, 제3 본조립부(1970)는 제4 본조립부(1537)보다 홈의 깊이가 깊을 수 있다.
암 커넥터(1500)는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와 암 삽입부(1510)에 의해 하우징(1100)에 고정될 수 있다.
암 커넥터(1500)는 하우징(1100)에 고정됨으로써 본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10000)의 조립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스마트 커넥터(10000) 조립 프로세스는 수 커넥터(1200)를 형성하는 수 가조립 단계(S100), 암 커넥터를 형성하는 암 가조립 단계(S200) 및 수 커넥터(1200)와 암 커넥터(1300)가 하우징(1100)과 조립되는 본조립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 가조립 단계(S100)에서 수 터미널(1600)은 수 돌출부(1650)가 수 조립홈(1433)에 걸림으로써 수 가조립 구조(1400)와 가조립을 형성할 있다.
수 터미널(1600)은 수 와이어(11000)와 연결된 상태로 수 가조립 구조(140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가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는 수 터미널(1600)과 가조립을 형성한 수 가조립 구조(1400)에 결합함으로써 수 터미널(16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는 수 끼임부(1640)에 결합하여 수 터미널(16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는 수 터미널(1600)과 가조립을 형성한 수 가조립 구조(1400)에 결합함으로써 수 커넥터(1200)를 형성할 수 있다.
암 가조립 단계(S200)에서 암 터미널(1700)은 암 돌출부(1750)가 암 조립홈(1533)에 걸림으로써 암 가조립 구조(1500)와 가조립을 형성할 있다.
암 터미널(1700)은 암 와이어(13000)와 연결된 상태로 암 가조립 구조(150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가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는 암 터미널(1700)과 가조립을 형성한 암 가조립 구조(1500)에 결합함으로써 암 터미널(17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는 암 끼임부(1740)에 결합하여 암 터미널(17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는 암 터미널(1700)과 가조립을 형성한 암 가조립 구조(1500)에 결합함으로써 암 커넥터(1300)를 형성할 수 있다.
본조립 단계(S300)에서 수 커넥터(1200) 및 암 커넥터(1300)는 하우징(1100)에 삽입됨으로써 본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수 커넥터(1200)는 하우징(1100)의 수 삽입부위(1120)에 삽입됨으로써 본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암 커넥터(1300)는 하우징(1100)의 암 삽입부위(1140)에 삽입됨으로써 본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수 커넥터(1600)는 암 커넥터(1700)에 전기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터미널(1600)의 단자부(1630)가 암 터미널(1700)에 전기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와 비교하여 하우징에 동축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블 홀을 더 포함하는 것 이외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20000)는 수 와이어(11000), 암 와이어(13000), 동축 케이블 플러그(21000) 및 동축 케이블 잭(23000)을 수용할 수 있다.
수 와이어(11000)와 암 와이어(13000)는 스마트 커넥터(200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2100)은 스마트 커넥터(20000)의 본체를 구성할 수 있다.
하우징(2100)은 적어도 일부가 리어뷰 디바이스(1)의 일부에 걸림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은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2100)은 장착부가 리어뷰 디바이스(1)의 일부 또는 차체 측에 걸림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장착부는 돌출된 형상으로써, 리어뷰 디바이스(1)의 일부 또는 차체 측에 걸림으로써 하우징(21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하우징(2100)은 수 터미널 홀(2115), 암 터미널 홀(2135), 제1 케이블 홀(2113) 및 제2 케이블 홀(2133)을 포함할 수 있다.
수 터미널 홀(2115) 및 암 터미널 홀(2135)은 서로 연통되어 하나의 터미널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케이블 홀(2113) 및 제2 케이블 홀(2133)은 서로 연통되어 하나의 케이블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터미널 홀과 케이블 홀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수 터미널 홀(2115)은 수 와이어(11000)를 수용하고, 암 터미널 홀(2135)은 암 와이어(13000)를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로부터 연장된 수 와이어(11000)와 리어뷰 모듈(5)로부터 연장된 암 와이어(13000)는 각각 수 터미널 홀(2115) 및 암 와이어 홀(2135)에 삽입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케이블 홀(2113)은 동축 케이블 플러그(21000)를 수용하고, 제2 케이블 홀(2133)은 동축 케이블 잭(23000)을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축 케이블 플러그(21000)와 동축 케이블 잭(23000)은 각각 제1 케이블 홀(2113) 및 제2 케이블 홀(2133)에 삽입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동축 케이블 플러그(21000) 및 동축 케이블 잭(23000)에 의해 전달되는 신호는 수 와이어(11000)와 암 와이어(13000)에 의해 전달되는 신호와 서로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축 케이블 플러그(21000) 및 동축 케이블 잭(23000)은 서로 연결되어 영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동축 케이블 플러그(21000) 및 동축 케이블 잭(23000)에 의해 전달되는 신호는 수 와이어(11000)와 암 와이어(13000)에 의해 전달되는 신호에 비해 더 큰 용량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2100)은 베이스 하우징(2110)과 서브 하우징(213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2110)은 서브 하우징(2130)의 적어도 일부에 삽입됨으로써 전체로써 하나의 하우징(2100)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2110)은 적어도 일부가 서브 하우징(2130)의 일부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2110)은 적어도 일부가 서브 하우징(2130)의 일부와 정렬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2110)은 수 터미널 홀(2115)과 제1 케이블 홀(2113)을 포함할 수 있다.
수 터미널 홀(2115)은 수 터미널(1600)을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터미널 홀(2115)은 수 터미널(1600)을 수용한 상태의 수 커넥터(1200)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케이블 홀(2113)은 차체로부터 연장되는 동축 케이블 플러그(21000)를 수용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2110)은 수 고정부재(2117) 및 플러그 고정부재(2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 고정부재(2117)는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의 수 하우징 체결부(1890)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수 고정부재(2117)는 수 하우징 체결부(1890)와 대응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수 고정부재(2117)는 수 하우징 체결부(1890)에 체결됨으로써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고정부재(2117)는 수 하우징 체결부(1890)와 대응되는 면이 수 하우징 체결부(1890)에 체결됨으로써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플러그 고정부재(2118)는 동축 케이블 플러그(21000)와 대응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고정부재(2118)는 동축 케이블 플러그(21000)에 체결됨으로써 동축 케이블 플러그(210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고정부재(2118)는 동축 케이블 플러그(21000)와 대응되는 면이 동축 케이블 플러그(21000)에 체결됨으로써 동축 케이블 플러그(210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2110)은 적어도 하나의 얼라인부(2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얼라인부(2112)는 서브 하우징(213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얼라인부(2112)는 서브 하우징(2130)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얼라인부(2112)는 서브 하우징(2130)의 적어도 일부와 정렬함으로써 베이스 하우징(2110)과 서브 하우징(2130)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서브 하우징(2130)은 베이스 하우징(2110)과 조립됨으로써 전체로써 하나의 하우징(2100)을 형성할 수 있다.
서브 하우징(2130)은 적어도 일부가 베이스 하우징(2110)의 일부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서브 하우징(2130)은 적어도 일부가 베이스 하우징(2110)의 일부와 정렬될 수 있다.
서브 하우징(2130))은 베이스 하우징 삽입부(2139), 암 터미널 홀(2135) 및 제2 케이블 홀(2133)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2110)은 베이스 하우징 삽입부(2139)에 삽입될 수 있다.
암 터미널 홀(2135)은 암 터미널(1700)을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터미널 홀(2135)은 암 터미널(1700)을 수용한 상태의 암 커넥터(1300)를 수용할 수 있다.
암 터미널 홀(2135)은 베이스 하우징(2110)이 베이스 하우징 삽입부(2139)에 삽입됨으로써 수 터미널 홀(2115)과 연통될 수 있다.
암 터미널 홀(2135)은 베이스 하우징(2110)이 베이스 하우징 삽입부(2139)에 삽입됨으로써 수 터미널 홀(2115)과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터미널 홀(2135)은 수 터미널 홀(2115)과 연통됨으로써 수 터미널(1600)은 암 터미널(1700)에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제2 케이블 홀(2133)은 리어뷰 디바이스(1)로부터 연장되는 동축 케이블 잭(23000)을 수용할 수 있다.
제2 케이블 홀(2133)은 베이스 하우징(2110)이 베이스 하우징 삽입부(2139)에 삽입됨으로써 제1 케이블 홀(2113)과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케이블 홀(2133)이 제1 케이블 홀(2113)과 연통됨으로써 동축 케이블 잭(23000)은 동축 케이블 플러그(21000)에 연결되어 영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서브 하우징(2130)은 암 고정부재(2137) 및 잭 고정부재(21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암 고정부재(2137)는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의 암 하우징 체결부(1990)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암 고정부재(2137)는 암 하우징 체결부(1990)와 대응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암 고정부재(2137)는 암 하우징 체결부(1990)에 체결됨으로써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고정부재(2137)는 암 하우징 체결부(1990)와 대응되는 면이 암 하우징 체결부(1990)에 체결됨으로써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잭 고정부재(2138)는 동축 케이블 잭(23000)과 대응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잭 고정부재(2138)는 동축 케이블 잭(23000)에 체결됨으로써 동축 케이블 잭(230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잭 고정부재(2138)는 동축 케이블 잭(23000)과 대응되는 면이 동축 케이블 잭(23000)에 체결됨으로써 동축 케이블 잭(230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 삽입부(2139)는 적어도 하나의 얼라인 대응부(2132)를 포함할 수 있다.
얼라인 대응부(2132)는 얼라인부(211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얼라인 대응부(2132)는 얼라인부(2112)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패인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얼라인 대응부(2132)는 베이스 하우징(2110)이 베이스 하우징 삽입부(2139)에 삽입될 때, 얼라인부(2112)와 정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얼라인 대응부(2132)는 얼라인부(2112)와 정렬함으로써 베이스 하우징(2110)과 서브 하우징(2130)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수 와이어(11000)와 암 와이어(13000)는 하우징(2100) 내부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와이어(11000)와 암 와이어(13000)는 수 터미널 홀(2115) 및 암 터미널 홀(2135)가 연통됨으로써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수 와이어(11000)는 수 커넥터(1200)에 삽입될 수 있다.
수 커넥터(1200)의 적어도 일부는 베이스 하우징(2110)의 수 터미널 홀(2115)에 삽입될 수 있다.
수 커넥터(1200)는 수 가조립 구조(1400), 다수의 수 터미널(1600) 및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 와이어(11000)는 수 가조립 구조(1400)에 삽입될 수 있다. 수 가조립 구조(1400)는 수 와이어(110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수 가조립 구조(1400)는 수 터미널(1600)을 수용할 수 있다.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는 수 터미널(1600)이 수용된 수 가조립 구조(1400)에 결합하여 수 터미널(16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2100)의 적어도 일부와 체결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는 수 하우징 체결부(1890)를 포함할 수 있다.
수 하우징 체결부(1890)는 수 고정부재(2117)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 하우징 체결부(1890)는 수 고정부재(2117)와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하우징 체결부(1890)는 수 고정부재(2117)와 체결되어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8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암 와이어(13000)는 암 커넥터(1300)에 삽입될 수 있다.
암 커넥터(1300)의 적어도 일부는 서브 하우징(2130)의 암 터미널 홀(2135)에 삽입될 수 있다.
암 커넥터(1300)는 암 가조립 구조(1500), 다수의 암 터미널(1700) 및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를 포함할 수 있다.
암 와이어(13000)는 암 가조립 구조(1500)에 삽입될 수 있다. 암 가조립 구조(1500)는 암 와이어(130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암 가조립 구조(1500)는 암 터미널(13000)을 수용할 수 있다.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는 암 터미널(1300)이 수용된 암 가조립 구조(1500)에 결합하여 암 터미널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2100)의 적어도 일부와 체결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는 암 하우징 체결부(1990)를 포함할 수 있다.
암 하우징 체결부(1990)는 암 고정부재(2137)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암 하우징 체결부(1990)는 암 고정부재(2137)와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하우징 체결부(1990)는 암 고정부재(2137)와 체결되어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19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3)
-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수 터미널;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암 터미널;
상기 수 터미널 및 상기 암 터미널이 삽입되는 터미널 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수 터미널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수 터미널 구멍이 원주를 따라 동일 간격으로 형성된 수 삽입부 및 상기 수 터미널이 수용되도록 상기 수 터미널 구멍에 연결되는 위치에 외주면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수 안착홈을 포함하는 수 수용부를 포함하는 수 가조립 구조; 및
상기 다수의 암 터미널을 수용하는 암 가조립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수 터미널은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 형성되며 꺾인 구조를 가지는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부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평면영역, 상기 제1 평면영역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평면영역, 상기 제1 평면영역과 상기 제2 평면영역을 연결하는 제1 연결영역, 상기 제2 평면영역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2 연결영역, 및 상기 단자부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될 때 상기 단자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평면영역이 연장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평면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면, 상기 하우징의 내면은 상기 제1 연결영역에 압력을 가하고, 상기 압력이 상기 제2 연결영역에 전달되어 상기 제2 연결영역이 상기 암 터미널에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연결영역이 상기 암 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되,
상기 수 터미널은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수 가조립 구조를 향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의 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 가조립 구조는 상기 수 돌출부가 걸림으로써 가조립을 형성할 수 있는 수 조립홈을 포함하는,
커넥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면영역과 상기 제2 평면영역은 상기 단자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기 전에 제1 연결각을 가지고,
상기 제1 평면영역과 상기 제2 평면영역은 상기 단자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면 제2 연결각을 가지며
상기 제1 연결각은 상기 제2 연결각보다 작은
커넥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영역을 지나며 터미널의 삽입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과 상기 제1 연결영역 사이의 최단 거리인 제1 거리는,
상기 단자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연결영역이 상기 암터미널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연결영역을 지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과 상기 제1 연결영역 사이의 최단 거리인 제2 거리보다 큰
커넥터.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 조립홈은 상기 수 안착홈에 형성되고,
상기 수 안착홈은 상기 수 터미널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수 터미널이 안착되어 상기 수 돌출부가 상기 수 조립홈에 걸림으로써 가조립을 형성하는
커넥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암 가조립 구조는 상기 암 터미널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암 터미널 구멍이 원주를 따라 동일 간격으로 형성된 암 삽입부와 상기 암 터미널이 수용되도록 상기 암 터미널 구멍과 연결되는 위치에 외주면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암 안착홈을 포함하는 암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암 터미널은 상기 암 터미널에서 상기 암 가조립 구조를 향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의 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암 가조립 구조는 상기 암 돌출부가 걸림으로써 가조립을 형성할 수 있는 암 조립홈을 포함하는
커넥터.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암 조립홈은 상기 암 안착홈에 형성되고,
상기 암 안착홈은 상기 암 터미널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암 터미널이 안착되어 상기 암 돌출부가 상기 암 조립홈에 걸림으로써 가조립을 형성하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서 케이블이 연결되기 위한 케이블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는 상기 수 터미널 및 상기 암 터미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와 서로 다른
커넥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리어뷰 디바이스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가 상기 리어뷰 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하우징이 상기 리어뷰 디바이스에 고정되는
커넥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베이스 하우징과 서브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은 상기 다수의 수 터미널이 삽입되는 수 터미널 홀 및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1 케이블 홀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 하우징은 상기 다수의 암 터미널이 삽입되는 암 터미널 홀 및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2 케이블 홀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서브 하우징 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케이블 홀과 상기 제2 케이블 홀이 연통되어 케이블 홀을 형성하고, 상기 수 터미널 홀과 상기 암 터미널 홀이 연통되어 터미널 홀을 형성하는
커넥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수 터미널을 수용하며, 수 삽입부와 수 수용부를 포함하는 수 가조립 구조; 및
상기 다수의 암 터미널을 수용하며, 암 삽입부와 암 수용부를 포함하는 암 가조립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 가조립 구조와 상기 암 가조립 구조가 상기 하우징과 본조립을 형성하였을 때, 상기 수 터미널이 상기 암 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커넥터.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 수용부에 결합하여 상기 수 터미널의 위치를 고정하는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는 일단부에 형성된 제1 후크와 타단부에 형성된 제2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후크와 상기 제2 후크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가 상기 수 수용부에 결합하는
커넥터.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는 수 가조립부 및 제1 본조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 가조립 구조는 수 가조립 대응부 및 상기 제1 본조립부와 연결되어 전체로서 수 본조립부를 형성하는 제2 본조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 가조립부와 상기 수 가조립 대응부의 정렬에 의해 상기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와 상기 수 가조립 구조의 결합 위치가 정의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수 본조립 대응부와 상기 수 본조립부의 정렬에 의해 상기 수 가조립 구조와 상기 하우징의 본조립 위치가 정의되는
커넥터.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 터미널 위치고정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수 하우징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 고정부재는 상기 수 하우징 체결부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수 터미널 위치고정부재를 고정시키는
커넥터.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암 수용부에 결합하여 상기 암 터미널의 위치를 고정하는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는 일단부에 형성된 제3 후크와 타단부에 형성된 제4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3 후크와 상기 제4 후크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가 상기 암 수용부에 결합하는
커넥터.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는 암 가조립부 및 제3 본조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암 가조립 구조는 암 가조립 대응부 및 상기 제3 본조립부와 연결되어 전체로서 암 본조립부를 형성하는 제4 본조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암 가조립부와 암 가조립 대응부의 정렬에 의해 상기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와 상기 암 가조립 구조의 결합 위치가 정의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암 본조립 대응부와 암 본조립부의 정렬에 의해 상기 암 가조립 구조와 상기 하우징의 본조립 위치가 정의되는
커넥터.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암 터미널 위치고정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암 하우징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암 고정부재는 상기 암 하우징 체결부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암 터미널 위치고정부재를 고정시키는
커넥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 터미널의 바디부는 제1 돌출영역 및 상기 제1 돌출영역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돌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영역과 제2 돌출영역의 이격된 사이에 상기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가 결합하며,
상기 제1 돌출영역이 상기 수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에 걸림으로써 상기 수 터미널의 과삽입을 방지하는
커넥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암 터미널은 말단의 가장자리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로 인해 상기 단자부가 상기 암 터미널로 삽입될 때 상기 단자부의 구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암 터미널은 제3 돌출영역 및 제3 돌출영역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4 돌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돌출영역과 상기 제4 돌출영역의 이격된 사이에 상기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가 결합하며,
상기 제3 돌출영역이 상기 암 터미널 위치 고정부재에 걸림으로써 상기 암 터미널의 과삽입을 방지하는
커넥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얼라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얼라인 대응부를 포함하며,
상기 얼라인부와 상기 얼라인 대응부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서브 하우징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 내에 삽입될 때 상기 얼라인부와 상기 얼라인 대응부의 정렬에 의해 오조립을 방지하는
커넥터.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수 가조립 구조와 상기 암 가조립 구조가 상기 하우징과 본조립을 형성하였을 때, 상기 수 터미널이 상기 암 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58032 | 2020-11-23 | ||
KR1020200158032 | 2020-11-2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1089A KR20220071089A (ko) | 2022-05-31 |
KR102639512B1 true KR102639512B1 (ko) | 2024-02-22 |
Family
ID=817797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6903A KR102594882B1 (ko) | 2020-11-23 | 2021-04-30 | 커넥터 |
KR1020210056904A KR102639512B1 (ko) | 2020-11-23 | 2021-04-30 | 커넥터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6903A KR102594882B1 (ko) | 2020-11-23 | 2021-04-30 |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594882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93764A (ja) | 2008-02-13 | 2009-08-27 | Molex Inc | 電気コネクタ、及び雌雄同形端子 |
JP3177894U (ja) | 2012-06-11 | 2012-08-23 | 詮欣股▲分▼有限公司 | コネクタ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98581Y2 (ja) * | 1991-12-03 | 1999-08-16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2006019126A (ja) * | 2004-07-01 | 2006-01-19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ジョイントコネクタ |
JP2008021490A (ja) * | 2006-07-12 | 2008-01-31 | Mitsubishi Cable Ind Ltd | コネクタハウジング |
KR20100070843A (ko) * | 2008-12-18 | 2010-06-28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커넥터어셈블리 |
KR20100093929A (ko) * | 2009-02-17 | 2010-08-26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커넥터 |
KR20150048520A (ko) * | 2013-10-28 | 2015-05-07 |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 산소센서 터미널 |
KR20180054117A (ko) * | 2016-11-15 | 2018-05-24 |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 커넥터 어셈블리 |
-
2021
- 2021-04-30 KR KR1020210056903A patent/KR10259488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04-30 KR KR1020210056904A patent/KR10263951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93764A (ja) | 2008-02-13 | 2009-08-27 | Molex Inc | 電気コネクタ、及び雌雄同形端子 |
JP3177894U (ja) | 2012-06-11 | 2012-08-23 | 詮欣股▲分▼有限公司 | コネク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1089A (ko) | 2022-05-31 |
KR102594882B1 (ko) | 2023-10-27 |
KR20220071088A (ko) | 2022-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239815A1 (en) | Vehicular camera having tolerance accommodating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 | |
JP3311997B2 (ja) | コネクタ | |
JP5227599B2 (ja) | コネクタ | |
JP4958684B2 (ja) | コネクタ | |
US7497708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shorting clip for vehicular use | |
JPH10208815A (ja) | アースジョイントコネクタ | |
US20070010112A1 (en) | Joint connector block | |
CN103493296A (zh) | 线束连接器 | |
US5295860A (en) | Integral battery cable solenoid connector | |
JP2000269623A (ja) |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の接続構造 | |
EP3547464B1 (en) | Elelctrical connector | |
KR102639512B1 (ko) | 커넥터 | |
CN111224256B (zh) | 连接器 | |
US20180131113A1 (en) |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biased electrical connection | |
EP4117123A1 (en) | Connector fitting structure | |
JPH087972A (ja) | 分割多極コネクタ | |
US7819695B2 (en) | Multi-unit connector | |
US7326072B2 (en) | Connection element for the electrically conductive connection to the lamp holder of a main headlamp | |
US6488518B2 (en) | Squibb electronic connector | |
CN114447664A (zh) | 连接器和包括该连接器的具有电线的连接器 | |
JP2000091012A (ja) | コネクタ及びその端子ならびにコネクタの取付構造 | |
CN217768990U (zh) | 连接器以及具有防护外壳的连接器 | |
JPH10199627A (ja) | アースジョイントコネクタの取付構造 | |
CN217753613U (zh) | 汽车前照灯调光执行器 | |
JPH09106853A (ja) | シールド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