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882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882B1
KR102594882B1 KR1020210056903A KR20210056903A KR102594882B1 KR 102594882 B1 KR102594882 B1 KR 102594882B1 KR 1020210056903 A KR1020210056903 A KR 1020210056903A KR 20210056903 A KR20210056903 A KR 20210056903A KR 102594882 B1 KR102594882 B1 KR 102594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arm
terminal
fema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1088A (ko
Inventor
한창균
홍원식
신형영
선종우
전진국
박성규
정현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Publication of KR20220071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8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465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tags, mark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제1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수 터미널과 제2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수 터미널을 포함하는 다수의 수 터미널을 수용하며, 수 표시부 및 수 얼라인부를 포함하는 수 가조립 구조, 제1 암 터미널과 제2 암 터미널을 포함하는 다수의 암 터미널을 수용하며, 암 표시부 및 암 얼라인부를 포함하는 암 가조립 구조 및 상기 수 가조립 구조 및 상기 암 가조립 구조가 서로 다른 방향에서 결합하여 본조립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수 표시부는 상기 다수의 수 터미널 중 상기 제1 수 터미널이 수용되는 위치를 나타내도록 상기 수 가조립 구조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암 표시부는 상기 다수의 암 터미널 중 상기 제1 암 터미널이 수용되는 위치를 나타내도록 상기 암 가조립 구조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수 얼라인 대응부와 상기 수 얼라인부의 정렬에 의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수 가조립 구조의 본조립 위치가 정의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암 얼라인 대응부와 상기 암 얼라인부의 정렬에 의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암 가조립 구조의 본조립 위치가 정의되며, 상기 하우징, 상기 수 가조립 구조 및 상기 암 가조립 구조가 본조립되는 경우, 상기 수 표시부 및 상기 암 표시부에 의해 정의된 수용 위치에 의해 상기 제1 수 터미널로부터의 제1 전압이 상기 제1 암 터미널로 전달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자동차 리어뷰 디바이스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와이어를 개별적으로 연결하지 않고도 상기 와이어를 수용하는 가조립 구조와 하우징이 본조립을 형성함으로써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가 좌우 및 후방 도로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감시하기 위하여 좌, 우 프런트 도어 외측에 리어뷰 디바이스가 장착된다. 자동차의 리어뷰 디바이스를 폴딩하거나 틸팅하는 경우 등에 있어, 차량으로부터 리어뷰 디바이스로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리어뷰 디바이스에는 공급되는 전류를 구동수단 등의 리어뷰 모듈로 전달하기 위한 커넥터가 마련되며, 공급되는 전류는 와이어를 통해 전달된다. 그러나, 작업자가 자동차 리어뷰 디바이스의 와이어를 연결함에 있어서, 각각의 와이어를 개별적으로 연결하여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리어뷰 디바이스 내에서 보다 간단한 와이어 연결 작업을 위한 것으로, 와이어를 수용하는 가조립 구조와 하우징이 본조립을 형성함으로써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와이어 연결 작업의 강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리어뷰 디바이스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제1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수 터미널과 제2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수 터미널을 포함하는 다수의 수 터미널을 수용하며, 수 표시부 및 수 얼라인부를 포함하는 수 가조립 구조; 제1 암 터미널과 제2 암 터미널을 포함하는 다수의 암 터미널을 수용하며, 암 표시부 및 암 얼라인부를 포함하는 암 가조립 구조; 및 상기 수 가조립 구조 및 상기 암 가조립 구조가 서로 다른 방향에서 결합하여 본조립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수 표시부는 상기 다수의 수 터미널 중 상기 제1 수 터미널이 수용되는 위치를 나타내도록 상기 수 가조립 구조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암 표시부는 상기 다수의 암 터미널 중 상기 제1 암 터미널이 수용되는 위치를 나타내도록 상기 암 가조립 구조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수 얼라인 대응부와 상기 수 얼라인부의 정렬에 의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수 가조립 구조의 본조립 위치가 정의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암 얼라인 대응부와 상기 암 얼라인부의 정렬에 의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암 가조립 구조의 본조립 위치가 정의되며, 상기 하우징, 상기 수 가조립 구조 및 상기 암 가조립 구조가 본조립되는 경우, 상기 수 표시부 및 상기 암 표시부에 의해 정의된 수용 위치에 의해 상기 제1 수 터미널로부터의 제1 전압이 상기 제1 암 터미널로 전달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자동차 차체로부터 자동차용 리어뷰 디바이스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와이어의 연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가 장착된 사이드미러의 일 구현예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 커넥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 터미널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 터미널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수 가조립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수 가조립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도 8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수 가조립 구조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는 일 실시예에 제2 수 가조립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암 커넥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암 터미널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암 터미널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암 가조립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암 가조립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도 15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암 가조립 구조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암 가조립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도 2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의 조립 프로세스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며, 또한, 구성요소(element) 또는 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제1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수 터미널과 제2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수 터미널을 포함하는 다수의 수 터미널을 수용하며, 수 표시부 및 수 얼라인부를 포함하는 수 가조립 구조; 제1 암 터미널과 제2 암 터미널을 포함하는 다수의 암 터미널을 수용하며, 암 표시부 및 제암 얼라인부를 포함하는 암 가조립 구조; 및 상기 수 가조립 구조 및 상기 암 가조립 구조가 서로 다른 방향에서 결합하여 본조립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수 표시부는 상기 다수의 수 터미널 중 상기 제1 수 터미널이 수용되는 위치를 나타내도록 상기 수 가조립 구조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암 표시부는 상기 다수의 암 터미널 중 상기 제1 암 터미널이 수용되는 위치를 나타내도록 상기 암 가조립 구조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수 얼라인 대응부와 상기 수 얼라인부의 정렬에 의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수 가조립 구조의 본조립 위치가 정의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암 얼라인 대응부와 상기 암 얼라인부의 정렬에 의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암 가조립 구조의 본조립 위치가 정의되며, 상기 하우징, 상기 수 가조립 구조 및 상기 암 가조립 구조가 본조립되는 경우, 상기 수 표시부 및 상기 암 표시부에 의해 정의된 수용 위치에 의해 상기 제1 수 터미널로부터의 제1 전압이 상기 제1 암 터미널로 전달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 표시부는 제1 수 표시부 및 제2 수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 표시부는 상기 제1 수 터미널의 수용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수 표시부는 상기 제2 수 터미널의 수용 위치를 표시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암 표시부는 제1 암 표시부 및 제2 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암 표시부는 상기 제1 암 터미널의 수용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암 표시부는 상기 제2 암 터미널의 수용 위치를 표시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 표시부 또는 상기 암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숫자로써 상기 제1 수 터미널 또는 상기 제1 암 터미널의 수용 위치를 표시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 표시부 또는 상기 암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 터미널 또는 상기 암 터미널 각각의 수용 위치를 표시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 얼라인부와 상기 수 얼라인 대응부는 상기 수 가조립 구조와 상기 하우징의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암 얼라인부와 상기 암 얼라인 대응부는 상기 암 가조립 구조와 상기 하우징의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 터미널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암 터미널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 가조립 구조 및 상기 암 가조립 구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 터미널 및 상기 암 터미널의 이탈 방지를 위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 터미널 및 상기 암 터미널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방향과 평행하는 면을 기준으로 상기 수 가조립 구조 또는 상기 암 가조립 구조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을 마주보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에는 조립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조립홈의 조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2 영역의 일부가 제거된 개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는 면은, 제1 방향과 평행하되 상기 수 터미널 또는 상기 암 터미널의 외주면 상에 존재하는 가상의 제1 직선; 및 상기 제1 직선과 평행하되 상기 수 터미널 또는 상기 암 터미널의 외주면 상에 존재하는 가상의 제2 직선을 포함하는 가상의 면이며, 상기 조립홈으로부터 상기 제1 직선 및 상기 제2 직선에 이르는 거리가 같은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은 도전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전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일체로 형성되며, 단차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제1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 터미널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될 때 상기 단차부가 상기 제1 걸림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수 터미널의 과삽입을 방지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제2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암 터미널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될 때 상기 단차부가 상기 제2 걸림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암 터미널의 과삽입을 방지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 가조립 구조 또는 상기 암 가조립 구조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가조립 구조 및 제2 가조립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조립 구조는 상기 수 터미널 또는 상기 암 터미널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터미널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가조립 구조에 형성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구멍은 상기 제1 영역과 대응되는 곡면 및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는 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써 상기 수 터미널 또는 상기 암 터미널의 수용 방향을 나타내고, 상기 제1 가조립 구조는 조립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 터미널 또는 상기 암 터미널이 제1 가조립 구조에 수용될 때 상기 단차부가 상기 조립턱에 걸림으로써 과삽입을 제한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조립 구조는 외주면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안착홈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은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수 터미널 또는 상기 암 터미널이 안착되어 상기 조립홈이 상기 돌출부에 조립됨으로써 가조립을 형성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조립 구조는 외주면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1 돌기부와 인접한 제2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는 면은 상기 제1 돌기부를 연장하는 가상의 직선 및 상기 제2 돌기부를 연장하는 가상의 직선과 평행한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 터미널은 상기 제1 영역의 말단에 연결되며 꺾인 구조를 가지는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자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수 터미널과 상기 암 터미널의 전기적 개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면으로부터 상기 단자로 압력이 작용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단자는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평면영역, 상기 제1 평면영역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평면영역, 상기 제1 평면영역과 상기 제2 평면영역을 연결하는 제1 연결영역 및 상기 제2 평면영역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2 연결영역을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 가조립 구조와 상기 암 가조립 구조가 상기 하우징과 본조립을 형성하였을 때, 상기 하우징 내면은 상기 제1 연결 영역에 압력을 가하고, 상기 압력이 상기 제2 연결영역에 전달되어 상기 제2 연결영역이 상기 암 터미널에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연결영역이 상기 암 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영역과 상기 암 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촉영역은 상기 돌출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일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수 조립부위를 포함하고, 상기 수 가조립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수 돌출 조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 돌출 조립부가 상기 수 조립부위에 조립됨으로써 본조립을 형성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일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암 조립부위를 포함하고, 상기 암 가조립 구조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암 조립부위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본조립을 형성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 가조립 구조와 상기 암 가조립 구조는 서로 크기가 다른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리어뷰 디바이스에 장착되어 차량과 리어뷰 디바이스 사이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커넥터의 각 와이어를 일일이 연결하지 않아도 되도록 와이어를 수용하는 가조립 구조 및 가조립 구조와 본조립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스마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커넥터는 자동차용 리어뷰 디바이스 내에 장착되어, 자동차용 리어뷰 디바이스와 차량 사이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본 명세서의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뷰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뷰 디바이스(1)는 디바이스 하우징(2), 베이스 하우징(3) 및 스마트 커넥터(100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하우징(2)은 베이스 하우징(3)에 연결될 수 있고, 베이스 하우징(3)은 차체에 연결될 수 있다. 리어뷰 디바이스(1)는 차체에 연결된 베이스 하우징(3)에 의해 차체에 장착될 수 있다.
디바이스 하우징(2)은 운전자에게 측후방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리어뷰 모듈(5)이 설치된 하우징일 수 있다.
리어뷰 모듈(5)은 전통적인 형태의 사이드 미러 모듈일 수 있다. 또한, 리어뷰 모듈(5)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측후방 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일 수도 있다.
리어뷰 모듈(5)이 전통적인 형태의 사이드 미러 모듈인 경우, 리어뷰 모듈(5)은 반사경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제어를 위한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부품들은 전기변색소자, 반사경의 가열을 위한 히터 플레이트, 반사경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틸팅 액츄에이터, 미러의 폴딩 언폴딩을 위한 구동모터 및 차량의 상태를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되는 인디케이터 등일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3)은 디바이스 하우징(2)을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 구조일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3)은 차량의 내부의 제어부(4)와 리어뷰 모듈(5)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의 연결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커넥터(10000)는 디바이스 하우징(2) 또는 베이스 하우징(3)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마트 커넥터(10000)는 디바이스 하우징(2)에 설치될 수 있다.
스마트 커넥터(10000)는 제어부(4)와 리어뷰 모듈(5)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스마트 커넥터(10000)는 각각의 와이어를 통해 제어부(4) 또는 리어뷰 모듈(5)과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는 수 와이어(11000) 및 암 와이어(130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커넥터(10000)는 수 와이어(11000)를 통해 제어부(4)와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 커넥터(10000)는 암 와이어(13000)를 통해 리어뷰 모듈(5)과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 커넥터(10000)는 수 와이어(11000) 및 암 와이어(13000)를 보다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10000)는 수 와이어(11000)와 암 와이어(13000)를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4)로부터 연장된 수 와이어(11000)와 리어뷰 모듈(5)로부터 연장된 암 와이어(13000)는 스마트 커넥터(100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1100)은 스마트 커넥터(10000)의 본체를 구성할 수 있다.
하우징(110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0)은 상하면이 연통된 원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0)은 수 커넥터(1200) 및 암 커넥터(1300) 중 적어도 하나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0)은 수 커넥터(1200) 및 암 커넥터(1300) 중 적어도 하나를 고정하기 위한 조립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수 와이어(11000)와 암 와이어(13000)는 하우징(1100) 내부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수 와이어(11000)는 수 커넥터(1200)에 삽입될 수 있다.
수 커넥터(120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100)의 삽입부위에 삽입될 수 있다. 수 커넥터(1200)는 하우징(1100)에 제1 방향(D1)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방향(D1)은 하우징(1100)이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D1)은 수 와이어(11000)가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다.
수 커넥터(1200)는 하우징(1100)의 조립부위에 의해 하우징(1100)에 고정될 수 있다.
수 커넥터(1200)는 수 가조립 구조(1400) 및 다수의 수 터미널(1600)을 포함할 수 있다.
수 와이어(11000)는 수 가조립 구조(1400)에 삽입될 수 있다.
수 가조립 구조(1400)는 수 터미널(1600)을 수용할 수 있다.
수 가조립 구조(1400)는 암 가조립 구조(1500)와 서로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수 터미널(1600)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 터미널(1600)은 수 와이어(11000)의 일단과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터미널(1600)은 수 와이어(11000)를 통해 제어부(4)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수 터미널(1600)은 암 터미널(1700)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터미널(1600)은 수 와이어(11000)를 통해 전달받은 제어부(4)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암 터미널(17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수 터미널(1600)은 암 터미널(1700)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4)로 전달할 수 있다.
암 커넥터(1300)에는 암 와이어(13000)가 삽입될 수 있다.
암 커넥터(130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100)의 삽입부위에 삽입될 수 있다. 암 커넥터(1300)는 하우징(1100)에 제2 방향(D2)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제2 방향(D2)은 제1 방향(D1)과 반대되는 방향일 수 있다.
암 커넥터(1300)는 하우징(1100)의 조립부위에 의해 하우징(1100)에 고정될 수 있다.
암 커넥터(1300)는 암 가조립 구조(1500) 및 다수의 암 터미널(1700)을 포함할 수 있다.
암 가조립 구조(1500)에는 암 와이어(13000)가 삽입될 수 있다.
암 가조립 구조(1500)는 암 터미널(1700)을 수용할 수 있다.
암 가조립 구조(1500)는 수 가조립 구조(1400)와 서로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암 터미널(1700)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암 터미널(1700)은 수 터미널(1600)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터미널(1700)은 수 터미널(1600)을 통해 제어부(4)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는 암 터미널(1700)은 수 터미널(1600)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암 터미널(1700)은 암 와이어(13000)의 일단과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터미널(1700)은 수 터미널(1600)을 통해 전달받은 제어부(4)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암 와이어(13000)를 통해 리어뷰 모듈(5)로 전달할 수 있다.
하우징(1100)은 수 커넥터(1200) 및 암 커넥터(1300)가 삽입됨으로써 수 커넥터(1200) 및 암 커넥터(1300)와 본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수 커넥터(1200) 및 암 커넥터(1300)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하우징(1100)에 삽입될 수 있다.
하우징(1100)이 수 커넥터(1200) 및 암 커넥터(1300)와 본조립을 형성하였을 때 수 터미널(1600)은 암 터미널(1700)에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하우징(1100)에 수 커넥터(1200) 및 암 커넥터(1300)가 삽입되었을 때, 수 터미널(160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100) 내면으로부터 압력을 받을 수 있다. 하우징(1100) 내면으로부터 수 터미널(1600)의 적어도 일부에 압력이 작용함으로써 수 터미널(1600)과 암 터미널(1700)의 전기적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1100)이 수 커넥터(1200) 및 암 커넥터(1300)와 본조립을 형성함으로 인하여, 복수의 수 와이어(11000)와 암 와이어(13000)를 각각 연결할 필요 없이 보다 간편하게 제어부(4)로부터 리어뷰 모듈(5)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의 각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00)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00)은 수 커넥터(1200)가 삽입되는 수 삽입부위(1120) 및 암 커넥터(1300)가 삽입되는 암 삽입부위(11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 삽입부위(1120)는 수 커넥터(1200)를 수용할 수 있는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수 삽입부위(1120)는 암 삽입부위(1140)와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 삽입부위(1120)는 하우징(1100)에서 암 삽입부위(1140)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 삽입부위(1120)는 본조립 시 수 터미널(1600)의 과삽입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수 삽입부위(1120)는 적어도 하나의 수 조립부위(1150) 및 수 본조립 대응부(1110)를 포함할 수 있다.
수 조립부위(1150)는 수 커넥터(1200)를 고정시킴으로써 본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수 조립부위(1150)는 수 삽입부위(1120)의 일부에 구멍이 뚫린 형태일 수 있다.
수 조립부위(1150)는 수 삽입부위(1120)의 일부가 컷팅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조립부위(1150)는 수 삽입부위(1120)의 일부가 컷팅된 부분을 포함함으로써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수 조립부위(1150)는 탄성을 가짐으로 인해 보다 쉽게 수 커넥터(1200)가 하우징(1100)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수 조립부위(1150)는 수 커넥터(1200)의 일부를 구멍에 고정시킴으로써 수 커넥터(1200)와 본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수 얼라인 대응부(1110)는 후술할 수 얼라인부(1210)와의 정렬에 의해 수 커넥터(1200)와 하우징(1100)의 본조립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수 얼라인 대응부(1110)는 수 얼라인부(1210)와의 정렬에 의해 하우징(1100)과 수 커넥터(1200)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수 얼라인 대응부(1110)는 일정 길이의 돌출된 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수 얼라인 대응부(1110)는 원통형 하우징(1100)의 축 방향으로 돌출된 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암 삽입부위(1140)는 암 커넥터(1300)를 수용할 수 있는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암 삽입부위(1140)는 수 삽입부위(1120)와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암 삽입부위(1140)는 본조립 시 암 터미널(1700)의 과삽입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암 삽입부위(1140)는 적어도 하나의 암 조립부위(1170) 및 암 얼라인 대응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암 조립부위(1170)는 암 커넥터(1300)를 고정시킴으로써 본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암 조립부위(1170)는 암 삽입부위(1170)의 일부가 단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암 조립부위(1170)는 암 커넥터(1300)의 일부를 압력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암 커넥터(1300)와 본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암 얼라인 대응부(1130)는 후술할 암 얼라인부(1230)와의 정렬에 의해 암 커넥터(1300)와 하우징(1100)의 본조립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암 얼라인 대응부(1130)는 암 얼라인부(1230)와의 정렬에 의해 하우징(1100)과 수 커넥터(1300)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암 얼라인 대응부(1130)는 일정 길이의 돌출된 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암 얼라인 대응부(1130)는 원통형 하우징(1100)의 축 방향으로 돌출된 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 커넥터(1200)를 나타낸 것이다.
수 커넥터(1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 가조립 구조(1400) 및 다수의 수 터미널(1600)을 포함할 수 있다.
수 가조립 구조(1400)는 수 터미널(1600)과 가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수 가조립 구조(1400)는 수 와이어(110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수 가조립 구조(1400)는 제1 수 가조립 구조(1410)와 제2 수 가조립 구조(1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 가조립 구조(1410)와 제2 수 가조립 구조(1430) 중 적어도 하나는 수 터미널(1600)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터미널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 가조립 구조 (1410)와 제2 수 가조립 구조 (1430) 중 적어도 하나는 수 와이어(11000)를 수용할 수 있다.
수 가조립 구조(1400)는 수 얼라인부(14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 얼라인부(1413)는 제1 수 가조립 구조(1410) 또는 제2 수 가조립 구조(1430)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 얼라인부(1413)는 제1 수 가조립 구조(1410)에 형성될 수 있다.
수 얼라인부(1413)는 수 얼라인 대응부(1110, 도4 참조)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얼라인부(1413)는 제1 수 가조립 구조의 높이와 같은 길이로 패인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 얼라인부(1413)는 하우징(1100)에 형성된 수 얼라인 대응부(1110, 도 4 참조)와 정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얼라인부(1413)와 수 얼라인 대응부(1110)의 정렬에 의해 수 가조립 구조(1300)와 하우징(1100)의 본조립 위치가 정의될 수 있다.
수 얼라인부(1413)는 수 얼라인 대응부(1110)와의 정렬에 의해 수 커넥터(1200)와 하우징(1100)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수 가조립 구조(141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하우징(1100)의 수 조립부위(1150, 도 4 참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가조립 구조(141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수 조립부위(115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하우징(1100)과 본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다수의 수 터미널(1600)은 제1 수 터미널(1600a) 및 제2 수 터미널(160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 터미널(1600a)은 제1 전압이 인가되는 수 터미널(1600)일 수 있다.
제1 수 터미널(1600a)은 후술할 제1 암 터미널(170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수 터미널(1600a)은 제1 암 터미널(1700a)과 전기적 연결을 통해 제1 전압을 제1 암 터미널(1700a)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수 터미널(1600b)은 제2 전압이 인가되는 수 터미널(1600)일 수 있다.
제2 수 터미널(1600b)은 후술할 제2 암 터미널(170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수 터미널(1600b)은 제2 암 터미널(1700b)과 전기적 연결을 통해 제2 전압을 제2 암 터미널(1700b)로 전달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 터미널(1600)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수 터미널(1600)은 바디부(1640)와 단자(16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디부(1640)는 제1 영역(1610)과 제2 영역(16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1610)과 제2 영역(1630)은 제1 기준면(162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1 영역(1610)과 제2 영역(1630)은 제1 기준면(1620)을 기준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제1 기준면(1620)은 가상의 제1 직선 및 가상의 제2 직선을 포함하는 가상의 면일 수 있다.
상기 가상의 제1 직선은 제1 방향(D1)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가상의 제1 직선은 수 터미널(1600)의 외주면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가상의 제2 직선은 제1 방향(D1)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가상의 제2 직선은 수 터미널(1600)의 외주면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제1 영역(1610)은 수 가조립 구조(140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1610)은 제1 기준면(1620)을 기준으로 수 가조립 구조(140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1630)은 제1 영역(1610)과 마주보는 면 일수 있다.
제2 영역(1630)은 수 터미널(1600)이 하우징(1100)에 삽입될 때, 적어도 일부 영역이 하우징(1100)에 걸림으로써 수 터미널(1600)의 과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영역(1630)은 수 개구영역(1631)을 포함할 수 있다.
수 개구영역(1631)은 제2 영역(1630)의 일부가 제거된 영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개구영역(1631)은 수 터미널(1600)과 수 가조립 구조(1400)의 가조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제2 영역(1630)의 일부가 제거된 영역일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수 개구영역(1631)은 수 조립홈(1611)과 수 돌출부(1433)의 조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제2 영역(1630)의 일부가 제거된 영역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수 터미널(16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부(1640)와 단자(165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64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수 가조립 구조(1400)에 걸림으로써 가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바디부(164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수 와이어(110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디부(164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수 와이어(110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바디부(1640)은 제1 수 도전영역(1633), 제2 수 도전영역(1634) 및 수 단차부(16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 도전영역(1633)은 후술할 수 단차부(1635)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 도전영역(1633)은 링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수 도전영역(1633)은 제1 영역(1610) 및 제2 영역(1630)에 걸쳐 위치할 수 있다.
제1 수 도전영역(1633)은 수 와이어(110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수 도전영역(1633)은 수 와이어(11000)와 남땜 등의 방식으로 연결되어 수 와이어(110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수 도전영역(1634)은 제1 영역(1610)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수 도전영역(1634)은 수 개구영역(1631)에 의해 도전 물질이 제거됨으로써 반원의 일부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수 도전영역(1634)는 수 조립홈(1611)을 포함할 수 있다.
수 조립홈(1611)은 제2 수 도전영역(1634)의 일부가 제거된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조립홈(1611)은 제2 수 도전영역(1634)의 일부에 형성된 구멍일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수 조립홈(1611)은 원형의 구멍 형상일 수 있다.
수 조립홈(1611)은 수 가조립 구조(14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삽입됨으로써 가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조립홈(1611)은 수 돌출부(1433)에 걸림으로써 수 터미널(1600)과 수 가조립 구조(1400) 사이의 가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수 단차부(1635)는 수 개구영역(1631)과 제1 수 도전영역(1633)의 경계를 포함할 수 있다.
수 단차부(1635)는 제1 수 도전영역(1633)과 제2 수 도전영역(1634)의 단차만큼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수 단차부(1635)는 수 터미널(1600)이 수 가조립 구조(1400)에 수용될 ?, 수 가조립(14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걸림으로써 수 터미널의 과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수 단차부(1635)는 수 터미널(1600)이 하우징(1100)에 삽입될 때, 하우징(11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걸림으로써 수 터미널(1600)의 과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단자(1650)는 제1 영역(1610)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단자(1650)는 암 터미널(1700)과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단자(1650)는 하우징(1100)에 삽입되었을 때, 단자(165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하우징(1100) 내면으로부터 압력을 받을 수 있다.
단자(1650)는 꺾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자(1650)는 꺾인 구조를 통해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단자(1650)는 다수의 평면영역과 연결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자(1650)는 제1 평면영역(1651), 제2 평면영역(1653), 제1 연결영역(1655), 제2 연결영역(1657) 및 제3 평면영역(165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평면영역(1651)은 제1 영역(1610)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평면영역(1653)은 제1 평면영역(1651)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제2 평면영역(1653)은 제1 평면영역(1651)이 연장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결영역(1655)은 제1 평면영역(1651)과 제2 평면영역(1653)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연결영역(1655)은 단자(1650)가 하우징(1100)에 삽입되었을 때, 하우징(1100) 내면으로부터 압력을 받을 수 있다.
제2 연결영역(1657)은 제2 평면영역(1653)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연결영역(1657)은 단자(1650)가 하우징(1100)에 삽입되었을 때, 제1 연결영역(1655)이 하우징(1100) 내면으로부터 받은 압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2 연결영역(1655)은 암 터미널(1700)과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영역(1655)은 암 터미널(1700)에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암 터미널(1700)에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제2 연결영역(1657)으로부터 제3 평면영역(1659)이 연장될 수 있으며, 제3 평면영역(1659)은 제2 연결영역(1657)이 연장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평면영역(1659)은 단자(1650)가 하우징(1100)에 삽입될 때, 제2 연결영역(1657)이 암 터미널(1700)과 접촉하는 지점까지 보다 매끄럽게 삽입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수 가조립 구조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수 가조립 구조(1410)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도 8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수 가조립 구조(1410)를 BB'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 가조립 구조(1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수 가조립 구조(1410)와 제2 수 가조립 구조(14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수 가조립 구조(1410)와 제2 수 가조립 구조(1430)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수 가조립 구조(1410)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제1 수 가조립 구조 (1410)는 상면과 하면이 연통되도록 다수의 구멍을 포함하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제1 수 가조립 구조 (1410)는 수 터미널(1600)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수 터미널 구멍(141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수 터미널 구멍(1411)은 원주를 따라 동일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수 터미널 구멍(1411)은 수 와이어(1100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수 터미널 구멍(1411)은 각각 수 와이어(11000)를 수용할 수 있다.
수 터미널 구멍(1411)은 제1 영역과 대응되는 곡면(1411a) 및 제1 방향과 평행하는 면(1411b)을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다.
수 터미널 구멍(1411)은 제1 방향과 평행하는 면(1411b)이 원주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 터미널 구멍(1411)은 수 터미널(1600)과 수 가조립 구조(1400)의 가조립 시 수 터미널(1600)의 수용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수 가조립 구조(1400)는 수 돌출 조립부(14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수 가조립 구조(1410)는 수 돌출 조립부(14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 돌출 조립부(1417)는 제1 수 가조립 구조(1410)의 원기둥 형상의 옆면에 위치할 수 있다.
수 돌출 조립부(1417)는 제1 수 가조립 구조(1410)의 하우징(1100)과 접촉하는 면에 위치할 수 있다.
수 돌출 조립부(1417)는 제1 수 가조립 구조(1410)의 원기둥 형상의 옆면이 일부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수 돌출 조립부(1417)는 경사진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수 돌출 조립부(1417)는 하우징(11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수 돌출 조립부(1417)는 수 조립부위(1150, 도4 참조)에 걸림으로써 수 커넥터(1200)와 하우징(1100)의 본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수 가조립 구조(1400)는 수 표시부(14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표시부(1415)는 다수의 수 터미널(1600) 중 제1 수 터미널(1600a)이 수용되는 위치를 나타내도록 수 가조립 구조(1400)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수 표시부(1415)는 제1 수 가조립 구조(1410)에 형성될 수 있다.
수 표시부(1415)는 제1 수 터미널(1600a)의 제1 수 가조립 구조(1410) 상의 삽입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표시부(1415)는 제2 수 터미널(1600b)을 포함한 기타 수 터미널(1600)의 삽입 위치와 구별되는 제1 수 터미널(1600a)의 삽입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수 표시부(1415)는 제1 전압이 제1 수 터미널(1600a)로부터 제1 암 터미널(1700a)로 전달될 수 있도록 제1 수 터미널(1600a)의 수용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수 표시부(1415)는 제1 수 가조립 구조(1410) 일부에 그려진 도형일 수 있다.
수 표시부(1415)는 화살표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표시부(1415)는 제1 수 터미널(1600a)을 수용하는 수 터미널 구멍(1411)을 가리키는 화살표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 표시부(1415)는 제1 수 표시부(1415a) 및 제2 수 표시부(141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 표시부(1415a)는 제1 수 터미널(1600a)의 수용 위치를 표시하고, 제2 수 표시부(1415b)는 제2 수 터미널(1600b)의 수용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수 표시부(1415)는 다수의 수 터미널(1600) 각각의 수용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표시부(1415)는 숫자로써 다수의 수 터미널(1600) 각각의 수용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수 표시부(1415)는 각각의 수 터미널 구멍(1411)에 인접하게 그려진 서로 다른 숫자로써 다수의 수 터미널(1600) 각각의 수용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수 가조립 구조(1400)는 수 조립턱(14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 조립턱(1419)은 제1 수 가조립 구조(1410)에 형성될 수 있다.
수 조립턱(1419)는 수 터미널 구멍(141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수 조립턱(1419)은 수 터미널 구멍(1411)에 포함된 제1 방향과 평행하는 면(1411b)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조립턱(1419)은 수 터미널 구멍(1411)에 포함된 제1 방향과 평행하는 면(1411b)의 일부가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수 조립턱(1419)은 제1 방향과 평행하는 면(1411b)에서 제1 영역과 대응되는 곡면(1411a)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수 조립턱(1419)은 수 터미널(1600)의 적어도 일부에 걸림으로써 수 터미널(1600)의 과삽입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조립턱(1419)은 수 터미널(1600)이 수 가조립 구조(1410)에 삽입될 때, 수 단차부(1635)에 걸림으로써 수 터미널(1600)의 과삽입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1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수 가조립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수 가조립 구조(1430)는 다수의 돌기와 홈을 포함하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제2 수 가조립 구조 (1430)는 수 터미널(1600)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수 안착홈(1431)과 수 돌기부(143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수 안착홈(1431)은 수 터미널 구멍(14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외주면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 안착홈(1431)은 제2 수 가조립 구조(143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패인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 안착홈(1431)은 수 터미널(1600)의 형상과 대응되어 수 터미널(1600)이 안착홈(1431)에 안착하도록 수 터미널(1600)을 수용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수 돌기부(1432)는 외주면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 돌기부(1432)는 수 안착홈(1431)과 번갈아 형성될 수 있다.
수 돌기부(1432)는 제2 수 가조립 구조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돌출된 바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 돌기부(1432)는 적어도 일부가 수 터미널(160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수 터미널(1600)을 수용할 수 있다.
수 돌기부(1432)는 제1 수 돌기부(1432a) 및 제2 수 돌기부(14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 돌기부(1432a)는 제2 수 돌기부(1432b)와 인접할 수 있다.
제1 수 돌기부(1432a)를 연장하는 가상의 직선은 제1 기준면(1620, 도 6 참조)과 평행할 수 있다. 이 때, 제1 수 돌기부(1432a)를 연장하는 가상의 직선은 제1 수 돌기부(1432a)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일 수 있다.
제2 수 돌기부(1432b)는 제1 수 돌기부(1432a)와 인접할 수 있다.
제2 수 돌기부(1432b)를 연장하는 가상의 직선은 제1 기준면(1620, 도 6 참조)과 평행할 수 있다. 이 때, 제2 수 돌기부(1432b)를 연장하는 가상의 직선은 제2 수 돌기부(1432b)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일 수 있다.
수 가조립 구조(1400)는 수 돌출부(14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 돌출부(1433)는 제1 수 가조립 구조(1410) 또는 제2 수 가조립 구조(1430)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 돌출부(1433)는 제2 수 가조립 구조(1430)에 형성될 수 있다. 수 돌출부(1433)는 수 안착홈(1431)에 형성될 수 있다. 수 돌출부(1433)는 수 안착홈(143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수 돌출부(1433)는 수 안착홈(143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수 돌출부(1433)는 돌출된 원통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 돌출부(1433)는 제 1영역(1610)에서 제2 영역(163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수 돌출부(1433)는 제1 기준면(1620) 평행한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수 돌출부(1433)에 수 터미널(1600)의 일부가 걸림으로써 수 가조립 구조(1400)는 수 터미널(1600)과 가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 돌출부(1433)에 수 조립홈(1611)이 걸림으로써 수 가조립 구조(1400)는 수 터미널(1600)과 가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암 커넥터(1300)를 나타낸 것이다.
암 커넥터(1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암 가조립 구조(1500) 및 다수의 암 터미널(1700)을 포함할 수 있다.
암 가조립 구조(1500)는 암 터미널(1700)과 가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암 가조립 구조(1500)는 암 와이어(130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암 가조립 구조(1500)는 제1 암 가조립 구조(1510)와 제2 암 가조립 구조(1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암 가조립 구조(1510)와 제2 암 가조립 구조(1530) 중 적어도 하나는 암 터미널(1700)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터미널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암 가조립 구조 (1510)와 제2 암 가조립 구조 (1530) 중 적어도 하나는 암 와이어(13000)를 수용할 수 있다.
암 가조립 구조(1500)는 암 얼라인부(15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암 얼라인부(1513)는 제1 암 가조립 구조(1510) 또는 제2 암 가조립 구조(1530)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암 얼라인부(1513)는 제1 암 가조립 구조(1510)에 형성될 수 있다.
암 얼라인부(1513)는 암 얼라인 대응부(1130, 도4 참조)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얼라인부(1513)는 제1 암 가조립 구조의 높이와 같은 길이로 패인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암 얼라인부(1513)는 하우징(1100)에 형성된 암 얼라인 대응부(1130, 도 4 참조)와 정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얼라인부(1513)와 암 얼라인 대응부(1130)의 정렬에 의해 암 가조립 구조(1500)와 하우징(1100)의 본조립 위치가 정의될 수 있다.
암 얼라인부(1513)는 암 얼라인 대응부(1130)와의 정렬에 의해 암 커넥터(1300)와 하우징(1100)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암 가조립 구조(150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하우징(1100)의 암 조립부위(1170, 도 4 참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가조립 구조(150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암 조립부위(117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하우징(1100)과 본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다수의 암 터미널(1700)은 제1 암 터미널(1700a) 및 제2 암 터미널(170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암 터미널(1700a)은 제1 전압을 전달받는 암 터미널(1700)일 수 있다.
제1 암 터미널(1700a)은 전술한 제1 수 터미널(160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암 터미널(1700a)은 제1 수 터미널(1600a)과 전기적 연결을 통해 제1 전압을 제1 수 터미널(1600a)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제2 암 터미널(1700b)은 제2 전압을 전달받는 암 터미널(1700)일 수 있다.
제2 암 터미널(1700b)은 전술히한 제2 수 터미널(160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암 터미널(1700b)은 제2 수 터미널(1600b)과 전기적 연결을 통해 제2 전압을 제2 수 터미널(1600b)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암 터미널(1700)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를 참조하면, 암 터미널(1700)은 제3 영역(1710) 및 제4 영역(17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영역(1710)과 제4 영역(1730)은 제2 기준면(172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3 영역(1710)과 제4 영역(1730)은 제1 기준면(1720)을 기준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제2 기준면(1720)은 가상의 제3 직선 및 가상의 제4 직선을 포함하는 가상의 면일 수 있다.
상기 가상의 제3 직선은 제2 방향(D2)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가상의 제3 직선은 암 터미널(1700)의 외주면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가상의 제4 직선은 제2 방향(D2)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가상의 제4 직선은 암 터미널(1700)의 외주면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제3 영역(1710)은 암 가조립 구조(150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영역(1710)은 제2 기준면(1720)을 기준으로 암 가조립 구조(150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4 영역(1730)은 제3 영역(1710)과 마주보는 면 일수 있다.
제4 영역(1730)은 암 터미널(1700)이 하우징(1100)에 삽입될 때, 적어도 일부 영역이 하우징(1100)에 걸림으로써 암 터미널(1700)의 과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영역(1730)은 암 개구영역(1731)을 포함할 수 있다.
암 개구영역(1731)은 제4 영역(1730)의 일부가 제거된 영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개구영역(1731)은 암 터미널(1700)과 암 가조립 구조(1500)의 가조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제4 영역(1730)의 일부가 제거된 영역일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암 개구영역(1731)은 암 조립홈(1711)과 암 돌출부(1533)의 조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제4 영역(1730)의 일부가 제거된 영역일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암 터미널(1700)은 제1 암 도전영역(1733), 제2 암 도전영역(1734) 및 암 단차부(17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암 도전영역(1733)은 후술할 암 단차부(1735)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암 도전영역(1733)은 링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암 도전영역(1733)은 제3 영역(1710) 및 제4 영역(1730)에 걸쳐 위치할 수 있다.
제1 암 도전영역(1733)은 암 와이어(130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암 도전영역(1733)은 암 와이어(13000)와 남땜 등의 방식으로 연결되어 암 와이어(130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암 도전영역(1734)은 제3 영역(1710)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암 도전영역(1734)은 암 개구영역(1731)에 의해 도전 물질이 제거됨으로써 반원의 일부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암 도전영역(1734)은 수 터미널(1600)의 단자(1650)와 접촉하여 수 터미널(160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2 암 도전영역(1734)은 암 조립홈(1711) 및 컷팅영역(1713)을 포함할 수 있다.
암 조립홈(1711)은 제2 암 도전영역(1734)의 일부가 제거된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조립홈(1711)은 제2 암 도전영역(1734)의 일부에 형성된 구멍일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암 조립홈(1711)은 원형의 구멍 형상일 수 있다.
암 조립홈(1711)은 암 가조립 구조(15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걸림으로써 가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조립홈(1711)은 암 돌출부(1533)에 걸림으로써 암 터미널(1700)과 암 가조립 구조(1500) 사이의 가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컷팅영역(1713)은 제2 암 도전영역(1734)의 일부가 제거된 영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컷팅영역(1713) 제2 암 도전영역(1734)의 말단이 컷팅되어 제거된 영역일 수 있다.
컷팅영역(1713)은 단자(1650)가 암 터미널(1700)로 삽입될 때 단자(1650)의 구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암 단차부(1735)는 암 개구영역(1731)과 제1 암 도전영역(1733)의 경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암 단차부(1735)는 제1 암 도전영역(1733)과 제2 암 도전영역(1734)의 단차만큼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암 단차부(1735)는 암 터미널(1700)이 암 가조립 구조(1500)에 수용될 때, 암 가조립(15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걸림으로써 암 터미널(1700)의 과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암 단차부(1735)는 암 터미널(1700)이 하우징(1100)에 삽입될 때, 하우징(11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걸림으로써 암 터미널(1700)의 과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 내지 도 18를 참조하여 암 가조립 구조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암 가조립 구조(1510)를 나타낸 것이고, 도 17은 도 15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암 가조립 구조(1510)를 CC'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암 가조립 구조(1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암 가조립 구조(1510)와 제2 암 가조립 구조(15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암 가조립 구조(1510)와 제2 암 가조립 구조(1530)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암 가조립 구조(1510)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제1 암 가조립 구조 (1510)는 상면과 하면이 연통되도록 다수의 구멍을 포함하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제1 암 가조립 구조 (1510)는 암 터미널(1700)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암 터미널 구멍(151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암 터미널 구멍(1511)은 원주를 따라 동일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암 터미널 구멍(1511)은 각각 암 와이어(13000)를 수용할 수 있다.
암 터미널 구멍(1511)은 제3 영역과 대응되는 곡면(1511a) 및 제2 방향과 평행하는 면(1511b)을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다.
암 터미널 구멍(1511)은 제3 방향과 평행하는 면(1511b)이 원주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암 터미널 구멍(1511)은 암 터미널(1700)과 암 가조립 구조(1500)의 가조립 시 암 터미널(1700)의 수용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암 가조립 구조(1500)는 암 표시부(15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표시부(1515)는 다수의 암 터미널(1700) 중 제1 암 터미널(1700a)이 수용되는 위치를 나타내도록 암 가조립 구조(1500)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암 표시부(1515)는 제1 암 가조립 구조(1510)에 형성될 수 있다.
암 표시부(1515)는 제1 암 터미널(1700a)의 제1 암 가조립 구조(1510) 상의 삽입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표시부(1515)는 제2 암 터미널(1700b)을 포함한 기타 암 터미널(1700)의 삽입 위치와 구별되는 제1 수 터미널(1700a)의 삽입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암 표시부(1515)는 제1 전압이 제1 수 터미널(1600a)로부터 제1 암 터미널(1700a)로 전달될 수 있도록 제1 암 터미널(1700a)의 수용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암 표시부(1515)는 제1 암 가조립 구조(1510) 일부에 그려진 도형일 수 있다.
암 표시부(1515)는 화살표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표시부(1515)는 제1 암 터미널(1700a)을 수용하는 암 터미널 구멍(1511)을 가리키는 화살표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암 표시부(1515)는 제1 암 표시부(1515a) 및 제2 암 표시부(151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암 표시부(1515a)는 제1 암 터미널(1700a)의 수용 위치를 표시하고, 제2 암 표시부(1515b)는 제2 암 터미널(1600b)의 수용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암 표시부(1515)는 다수의 암 터미널(1700) 각각의 수용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표시부(1515)는 숫자로써 다수의 암 터미널(1700) 각각의 수용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암 표시부(1515)는 각각의 암 터미널 구멍(1511)에 인접하게 그려진 서로 다른 숫자로써 다수의 암 터미널(1700) 각각의 수용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암 가조립 구조(1500)는 암 조립턱(15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암 조립턱(1519)은 제1 암 가조립 구조(1510)에 형성될 수 있다.
암 조립턱(1519)는 암 터미널 구멍(151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암 조립턱(1519)은 암 터미널 구멍(1511)에 포함된 제2 방향과 평행하는 면(1511a)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조립턱(1519)은 암 터미널 구멍(1511)에 포함된 제2 방향과 평행하는 면(1511b)의 일부가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암 조립턱(1519)은 제2 방향과 평행하는 면(1511b)에서 제3 영역과 대응되는 곡면(1511a)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암 조립턱(1519)은 암 터미널(1700)의 적어도 일부에 걸림으로써 암 터미널(1700)의 과삽입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조립턱(1519)은 암 터미널(1700)이 암 가조립 구조(1510)에 삽입될 때, 암 단차부(1735)에 걸림으로써 암 터미널(1700)의 과삽입을 제한할 수 있다.
제1 암 가조립 구조(1510)는 하우징(11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1 암 가조립 구조(1510)는 암 조립부위(1170, 도4 참조)으로부터 압력을 받아 고정됨으로써 암 커넥터(1300)와 하우징(1100)의 본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8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암 가조립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를 참조하면, 제2 암 가조립 구조(1530)는 다수의 돌기와 홈을 포함하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제2 암 가조립 구조 (1530)는 암 터미널(1700)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암 안착홈(1531)과 암 돌기부(153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암 안착홈(1531)은 암 터미널 구멍(15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외주면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암 안착홈(1531)은 제2 암 가조립 구조(153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패인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암 안착홈(1531)은 암 터미널(1700)의 형상과 대응되어 암 터미널(1700)이 암 안착홈(1531)에 안착하도록 암 터미널(1700)을 수용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암 돌기부(1532)는 외주면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암 돌기부(1532)는 암 안착홈(1531)과 번갈아 형성될 수 있다.
암 돌기부(1532)는 제2 암 가조립 구조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돌출된 바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암 돌기부(1532)는 적어도 일부가 암 터미널(170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암 터미널(1700)을 수용할 수 있다.
암 돌기부(1532)는 제1 암 돌기부(1532a) 및 제2 암 돌기부(15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암 돌기부(1532a)는 제2 암 돌기부(1532b)와 인접할 수 있다.
제1 암 돌기부(1532a)를 연장하는 가상의 직선은 제2 방향(D2)과 평행하는 면과 평행할 수 있다. 이 때, 제1 암 돌기부(1532a)를 연장하는 가상의 직선은 제1 암 돌기부(1532a)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일 수 있다.
제2 암 돌기부(1532b)는 제1 수 돌기부(1532a)와 인접할 수 있다.
제2 암 돌기부(1532b)를 연장하는 가상의 직선은 제2 방향(D2)과 평행하는 면과 평행할 수 있다. 이 때, 제2 암 돌기부(1532b)를 연장하는 가상의 직선은 제2 암 돌기부(1532b)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일 수 있다.
암 가조립 구조(1500)는 암 돌출부(15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암 돌출부(1533)는 제1 암 가조립 구조(1510) 또는 제2 암 가조립 구조(1530)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암 돌출부(1533)는 제2 암 가조립 구조(1530)에 형성될 수 있다. 암 돌출부(1533)는 암 안착홈(1531)에 형성될 수 있다. 암 돌출부(1533)는 암 안착홈(1531)의 일부가 더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암 돌출부(1533)는 돌출된 원통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암 돌출부(1533)는 제3 영역(1710)에서 제4 영역(173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암 돌출부(1533)는 제2 방향(D2)과 평행하는 면과 평행한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암 돌출부(1533)에 암 터미널(1700)의 일부가 걸림으로써 암 가조립 구조(1500)는 암 터미널(1700)과 가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돌출부(1533)에 암 조립홈(1711)이 걸림으로써 암 가조립 구조(1500)는 암 터미널(1700)과 가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9은 도 2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10000)를 AA'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도 2 참조),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커넥터(10000)의 조립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9을 참조하면, 스마트 커넥터(10000) 조립 프로세스는 수 커넥터(1200)를 형성하는 수 가조립 단계(S100), 암 커넥터를 형성하는 암 가조립 단계(S200) 및 수 커넥터(1200)와 암 커넥터(1300)가 하우징(1100)과 조립되는 본조립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수 가조립 단계(S100)에서 수 터미널(1600)은 수 와이어(11000)와 연결된 상태로 수 가조립 구조(140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수 커넥터(1200)를 형성할 수 있다.
수 터미널(1600)은 수 표시부(1415)에 의해 수 가조립 구조(1400) 상의 수용 위치가 정의될 수 있다.
수 터미널(1600)은 수 표시부(1415)에 의해 수 가조립 구조(1400)와 가조립 시 오조립이 방지될 수 있다.
수 터미널(1600)은 수 조립홈(1611)이 수 돌출부(1433)에 삽입됨으로써 수 가조립 구조(1400)와 가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수 돌출부(1433)의 높이는 제2 수 도전영역(1633)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수 돌출부(1433)의 높이는 하우징(1100) 내면으로부터 수 가조립 구조(1400)까지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수 돌출부(1433)의 높이가 일정 길이 이하인 경우, 수 돌출부(1433)는 수 터미널(1600)과 가조립이 쉽게 해제될 수 있다. 수 돌출부(1433)의 높이가 일정 길이 이상인 경우, 수 돌출부(1433)는 수 터미널(1600)의 가조립을 방해할 수 있다.
암 가조립 단계(S200)에서 암 터미널(1700)은 암 와이어(13000)와 연결된 상태로 암 가조립 구조(150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암 커넥터(1300)를 형성할 수 있다.
암 터미널(1700)은 암 표시부(1515)에 의해 암 가조립 구조(1500) 상의 수용 위치가 정의될 수 있다.
암 터미널(1700)은 암 표시부(1515)에 의해 암 가조립 구조(1500)와 가조립 시 오조립이 방지될 수 있다.
암 터미널(1700)은 암 조립홈(1711)이 암 돌출부(1533)에 삽입됨으로써 암 가조립 구조(1500)와 가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암 돌출부(1533)의 높이는 제2 암 도전영역(1733)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암 돌출부(153)의 높이는 하우징(1100) 내면으로부터 암 가조립 구조(1500)까지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암 돌출부(1433)의 높이가 일정 길이 이하인 경우, 암 돌출부(1533)는 암 터미널(1700)과 가조립이 쉽게 해제될 수 있다. 암 돌출부(1533)의 높이가 일정 길이 이상인 경우, 암 돌출부(1533)는 암 터미널(1700)의 가조립을 방해할 수 있다.
본조립 단계(S300)에서 수 커넥터(1200)는 하우징(1100)의 수 삽입부위(1120)에 삽입됨으로써 본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수 삽입부위(1120)는 제1 걸림부(1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부(1122)는 하우징(1100)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부(1122)는 하우징(1100) 내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걸림부(1122)는 원통형 하우징(1100) 내면의 일부가 축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제1 걸림부(1122)는 본조립 시 수 터미널(1600)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걸림부(1122)는 본조립 시 암 터미널(1600)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접함으로써 암 터미널(1600)의 과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수 돌출부(1433)는 하우징(1100)의 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수 터미널(1600)에 제1 방향(D1)으로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수 터미널(1600)은 제1 걸림부(1122)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수 단차부(1635)는 제1 걸림부(1122)에 걸림으로써 수 터미널(1600)의 과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연결영역(1655)은 하우징(1100) 내면으로부터 압력을 받을 수 있다.
제2 연결영역(1657)은 제1 연결영역(1655)이 하우징(1100) 내면으로부터 받은 압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2 연결영역(1655)은 암 터미널(1700)과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영역(1655)은 암 터미널(1700)에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암 터미널(1700)에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수 커넥터(1200)는 제1 수 가조립 구조(1410)에 의해 하우징(1100)에 고정될 수 있다.
수 커넥터(1200)는 하우징(1100)에 고정됨으로써 본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수 커넥터(1200)는 수 얼라인부(1413)와 수 얼라인 대응부(1110)에 의해 하우징(1100)과의 본조립 위치가 정의될 수 있다.
수 커넥터(1200)는 수 얼라인부(1413)와 수 얼라인 대응부(1110)의 정렬에 의해 본조립 시 오조립이 방지될 수 있다.
본조립 단계(S300)에서 암 커넥터(1300)는 하우징(1100)의 암 삽입부위(1140)에 삽입됨으로써 본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암 삽입부위(1140)는 제2 걸림부(1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걸림부(1142)는 하우징(1100)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부(1142)는 하우징(1100) 내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걸림부(1142)는 원통형 하우징(1100) 내면의 일부가 축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제2 걸림부(1142)는 본조립 시 암 터미널(1700)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걸림부(1142)는 본조립 시 암 터미널(1700)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접함으로써 암 터미널(1700)의 과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암 돌출부(1533)는 하우징(1100)의 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암 돌출부(1533)는 제2 연결영역(1657)이 암 터미널(1700)과 접하는 접촉영역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 돌출부(1533)는 상기 접촉영역으로부터 수 터미널(1600)과 가까운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암 단차부(1735)는 제2 걸림부(1142)에 걸림으로써 암 터미널(1700)의 과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암 터미널(1700)에 제2 방향(D2)으로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암 터미널(1700)은 제2 걸림부(1142)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암 커넥터(1300)는 제1 암 가조립 구조(1510)에 의해 하우징(1100)에 고정될 수 있다.
암 커넥터(1300)는 하우징(1100)에 고정됨으로써 본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암 커넥터(1300)는 암 얼라인부(1513)와 암 얼라인 대응부(1130)에 의해 하우징(1100)과의 본조립 위치가 정의될 수 있다.
암 커넥터(1300)는 암 얼라인부(1513)와 암 얼라인 대응부(1130)의 정렬에 의해 본조립 시 오조립이 방지될 수 있다.
본조립 단계(S300)에서 수 커넥터(1200) 및 암 커넥터(1300)는 각각 수 얼라인 대응부(1110) 및 암 얼라인 대응부(1130)에 의해 정의된 방향으로 하우징(1100)에 삽입됨으로써 본조립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수 커넥터(1600)는 암 커넥터(1700)에 전기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제1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수 터미널과 제2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수 터미널을 포함하는 다수의 수 터미널을 수용하며, 수 표시부 및 수 얼라인부를 포함하는 수 가조립 구조;
    제1 암 터미널과 제2 암 터미널을 포함하는 다수의 암 터미널을 수용하며, 암 표시부 및 암 얼라인부를 포함하는 암 가조립 구조; 및
    상기 수 가조립 구조 및 상기 암 가조립 구조가 서로 다른 방향에서 결합하여 본조립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수 표시부는 상기 다수의 수 터미널 중 상기 제1 수 터미널이 수용되는 위치를 나타내도록 상기 수 가조립 구조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암 표시부는 상기 다수의 암 터미널 중 상기 제1 암 터미널이 수용되는 위치를 나타내도록 상기 암 가조립 구조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수 얼라인 대응부와 상기 수 얼라인부의 정렬에 의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수 가조립 구조의 본조립 위치가 정의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암 얼라인 대응부와 상기 암 얼라인부의 정렬에 의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암 가조립 구조의 본조립 위치가 정의되며,
    상기 하우징, 상기 수 가조립 구조 및 상기 암 가조립 구조가 본조립되는 경우, 상기 수 표시부에 의해 정의된 수용 위치에 수용되는 상기 제1 수 터미널과 상기 암 표시부에 의해 정의된 수용 위치에 수용되는 상기 제1 암 터미널을 통해 상기 제1 수 터미널로부터의 제1 전압이 상기 제1 암 터미널로 전달되되,
    상기 수 터미널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암 터미널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 가조립 구조 및 상기 암 가조립 구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 터미널 및 상기 암 터미널의 이탈 방지를 위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 터미널 및 상기 암 터미널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방향과 평행하는 면을 기준으로 상기 수 가조립 구조 또는 상기 암 가조립 구조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을 마주보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에는 조립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조립홈의 조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2 영역의 일부가 제거된 개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 표시부는 제1 수 표시부 및 제2 수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 표시부는 상기 제1 수 터미널의 수용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수 표시부는 상기 제2 수 터미널의 수용 위치를 표시하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 표시부는 제1 암 표시부 및 제2 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암 표시부는 상기 제1 암 터미널의 수용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암 표시부는 상기 제2 암 터미널의 수용 위치를 표시하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 표시부 또는 상기 암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숫자로써 상기 제1 수 터미널 또는 상기 제1 암 터미널 각각의 수용 위치를 표시하는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 얼라인부와 상기 수 얼라인 대응부는 상기 수 가조립 구조와 상기 하우징의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암 얼라인부와 상기 암 얼라인 대응부는 상기 암 가조립 구조와 상기 하우징의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커넥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는 면은,
    제1 방향과 평행하되 상기 수 터미널 또는 상기 암 터미널의 외주면 상에 존재하는 가상의 제1 직선; 및
    상기 제1 직선과 평행하되 상기 수 터미널 또는 상기 암 터미널의 외주면 상에 존재하는 가상의 제2 직선을 포함하는 가상의 면이며,
    상기 조립홈으로부터 상기 제1 직선 및 상기 제2 직선에 이르는 거리가 같은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도전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전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일체로 형성되며, 단차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 터미널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될 때 상기 단차부가 상기 제1 걸림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수 터미널의 과삽입을 방지하는
    커넥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2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암 터미널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될 때 상기 단차부가 상기 제2 걸림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암 터미널의 과삽입을 방지하는
    커넥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 가조립 구조 또는 상기 암 가조립 구조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가조립 구조 및 제2 가조립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조립 구조는 상기 수 터미널 또는 상기 암 터미널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터미널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가조립 구조에 형성되는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구멍은 상기 제1 영역과 대응되는 곡면 및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는 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써 상기 수 터미널 또는 상기 암 터미널의 수용 방향을 나타내고,
    상기 제1 가조립 구조는 조립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 터미널 또는 상기 암 터미널이 제1 가조립 구조에 수용될 때 상기 단차부가 상기 조립턱에 걸림으로써 과삽입을 제한하는
    커넥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조립 구조는 외주면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안착홈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은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수 터미널 또는 상기 암 터미널이 안착되어 상기 조립홈이 상기 돌출부에 조립됨으로써 가조립을 형성하는
    커넥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조립 구조는 외주면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1 돌기부와 인접한 제2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는 면은 상기 제1 돌기부를 연장하는 가상의 직선 및 상기 제2 돌기부를 연장하는 가상의 직선과 평행한
    커넥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 터미널은 상기 제1 영역의 말단에 연결되며 꺾인 구조를 가지는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자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수 터미널과 상기 암 터미널의 전기적 개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면으로부터 상기 단자로 압력이 작용하는
    커넥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평면영역, 상기 제1 평면영역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평면영역, 상기 제1 평면영역과 상기 제2 평면영역을 연결하는 제1 연결영역 및 상기 제2 평면영역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2 연결영역을 포함하는
    커넥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 가조립 구조와 상기 암 가조립 구조가 상기 하우징과 본조립을 형성하였을 때, 상기 하우징 내면은 상기 제1 연결 영역에 압력을 가하고, 상기 압력이 상기 제2 연결영역에 전달되어 상기 제2 연결영역이 상기 암 터미널에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연결영역이 상기 암 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커넥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영역과 상기 암 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촉영역은 상기 돌출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커넥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수 조립부위를 포함하고, 상기 수 가조립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수 돌출 조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 돌출 조립부가 상기 수 조립부위에 조립됨으로써 본조립을 형성하는
    커넥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암 조립부위를 포함하고, 상기 암 가조립 구조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암 조립부위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본조립을 형성하는
    커넥터.
KR1020210056903A 2020-11-23 2021-04-30 커넥터 KR102594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032 2020-11-23
KR20200158032 2020-1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088A KR20220071088A (ko) 2022-05-31
KR102594882B1 true KR102594882B1 (ko) 2023-10-27

Family

ID=817797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904A KR102639512B1 (ko) 2020-11-23 2021-04-30 커넥터
KR1020210056903A KR102594882B1 (ko) 2020-11-23 2021-04-30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904A KR102639512B1 (ko) 2020-11-23 2021-04-30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395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9126A (ja) * 2004-07-01 2006-01-19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08021490A (ja) * 2006-07-12 2008-01-31 Mitsubishi Cable Ind Ltd コネクタハウジン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8581Y2 (ja) * 1991-12-03 1999-08-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9193764A (ja) 2008-02-13 2009-08-27 Molex Inc 電気コネクタ、及び雌雄同形端子
KR20100070843A (ko) * 2008-12-18 2010-06-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어셈블리
KR20100093929A (ko) * 2009-02-17 2010-08-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JP3177894U (ja) 2012-06-11 2012-08-23 詮欣股▲分▼有限公司 コネクタ
KR20150048520A (ko) * 2013-10-28 2015-05-07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산소센서 터미널
KR20180054117A (ko) * 2016-11-15 2018-05-24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9126A (ja) * 2004-07-01 2006-01-19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08021490A (ja) * 2006-07-12 2008-01-31 Mitsubishi Cable Ind Ltd コネクタハウジン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088A (ko) 2022-05-31
KR102639512B1 (ko) 2024-02-22
KR20220071089A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9449B2 (en) Lamp unit assembling method and lamp unit mounting structure
US749770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orting clip for vehicular use
WO2003033309A1 (fr) Dispositif de fixation pour faisceau de cables
US11646522B2 (en) Male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JP2016510940A (ja) 直角ヘッダアセンブリ
US11177602B2 (en) Female terminal
KR101595188B1 (ko) 자가 정렬 가능한 전기 접속 장치 및 커넥터
US6368157B1 (en) Adapter for connecting various electronic devices to a cigarette accessory socket
KR102594882B1 (ko) 커넥터
US9831611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US20180131113A1 (en)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biased electrical connection
US11469539B2 (en) Seals for a flat flexible conductor in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326072B2 (en) Connection element for the electrically conductive connection to the lamp holder of a main headlamp
US11296438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terminal-less connection system
JP2000091012A (ja) コネクタ及びその端子ならびにコネクタの取付構造
US7033225B2 (en) Multipurpose power point for vehicular use
US7641492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vibration-resisting structure
JPH0831510A (ja) コネクタ構造
CN217753613U (zh) 汽车前照灯调光执行器
CA2333445A1 (en) Automobile mirror
CN219498260U (zh) 电连接器
KR0140193Y1 (ko) 3중결합방식 커넥터
EP4117123B1 (en) Connector fitting structure
CN210640411U (zh) 一种连接器
US20230024376A1 (en) Spring pin terminal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that provide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two electrically conductive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