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8520A - 산소센서 터미널 - Google Patents

산소센서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8520A
KR20150048520A KR1020130128694A KR20130128694A KR20150048520A KR 20150048520 A KR20150048520 A KR 20150048520A KR 1020130128694 A KR1020130128694 A KR 1020130128694A KR 20130128694 A KR20130128694 A KR 20130128694A KR 20150048520 A KR20150048520 A KR 20150048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 body
sensor element
oxygen senso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건
고양주
김정택
정윤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30128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8520A/ko
Publication of KR20150048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85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06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 G01N27/407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for investigating or analysing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41/2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relating to the failure of sensors or parameter detec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06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 G01N27/4067Means for heat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olid electroly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06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 G01N27/407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for investigating or analysing gases
    • G01N27/409Oxygen concentration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Oxygen Concentration In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소센서 터미널로써, 구체적으로 터미널 바디의 일단이 절곡상향되어 연장형성된 가압부가 형성되고 가압부의 일지점에 반구형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센서엘리먼트로 인가되는 가압력을 집중시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으로 터미널이 일부 이탈되더라도 접지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산소센서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산소센서 터미널{TERMINAL FOR OXYGEN SENSOR}
본 발명은 산소센서 터미널로써, 구체적으로 터미널 바디의 일단이 절곡상향되어 연장형성된 가압부가 형성되고 가압부의 일지점에 반구형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센서엘리먼트로 인가되는 가압력을 집중시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으로 터미널이 일부 이탈되더라도 접지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산소센서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최적의 공연비로 엔진을 가동시키고자 산소센서를 장착한다. 산소센서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산소의 양으로써 현재 연료의 연소에 사용된 산소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 피드백(feedback)한다.
다시 말해, 산소센서는 실린더의 배기통로에 연결되어 배기가스 중 포함된 산소의 양을 측정하며, 측정된 값을 ECU로 전달하고, ECU는 이론 공연비에 가깝도록 제어하여 촉매 변환기의 정화율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산소센서의 핵심부품은 고체전해질로 이루어진 센서소자(sensor element)이다. 센서소자의 일단부는 배기가스와 접촉하고, 타단부는 터미널과 접촉하는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자동차의 엔진에서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진동이나 주행시 외부로부터 오는 충격으로 인해, 산소센서와 터미널 간 접촉이 분리되거나 이탈될 수 있으므로, 터미널을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2-0109687호에서 스프링암의 일측에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센서소자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접점부를 가지는 터미널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하자만, 터미널의 가공이 복잡하고 'U' 자형으로 굴곡진 접점부만으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터미널과 접지위치를 유지시킬 수 없는 한계점이 있었다.
따라서, 터미널이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도 접지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돌기구조에 대한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미널 바디의 일단이 절곡상향되어 연장형성된 가압부가 형성되고 가압부의 일지점에 반구형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센서엘리먼트로 인가되는 가압력을 집중시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으로 터미널이 일부 이탈되더라도 접지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산소센서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산소센서의 센서엘리먼트와 접지되어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산소센서 터미널에 있어서, 터미널 바디 및 터미널 바디의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가압부를 포함하고, 가압부는 터미널 바디의 일단에서 터미널 바디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상향경사면, 상향경사면으로부터 터미널 바디와 근접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하향경사면 및 상향경사면과 하향경사면의 사이에 돌출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돌기부는 터미널 바디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반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돌기부는 터미널 바디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고, 센서엘리먼트의 접지면과 평행한 수평면을 구비하는 원추절단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돌기부는 터미널 바디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고, 센서엘리먼트의 접지면과 평행한 수평면을 구비하는 사각뿔절단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소센서 터미널은 끝단이 일부 구부러지게 구성하여 센서엘리먼트를 누르는 접점부가 탄성력을 가지고 센서엘리먼트를 가압하여 접점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미널의 구부러진 끝단이 터미널 몸체의 평탄부와 접촉하는 부분 역시 굴곡지게 구성하여 접촉에 따른 마모를 최소화하는 한편, 탄성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부에 반구형 돌기부를 형성하여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으로 인해 센서엘리먼트가 일부 이탈되더라고 터미널과 접지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부에 원추절단형 돌기부를 형성하여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도 센서엘리먼트가 쉽게 이탈됨을 방지하고, 터미널과 접지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부에 사각뿔절단형 돌기부를 형성하여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도 센서엘리먼트가 쉽게 이탈되지 않고, 터미널과 접지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가공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산소센서 터미널이 구비된 산소센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산소센서 터미널이 구비된 산소센서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산소센서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산소센서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산소센서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산소센서 터미널이 구비된 산소센서의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산소센서 터미널이 구비된 산소센서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산소센서 터미널(100)은 센서엘리먼트(300) 끝단의 상하단과 접촉하도록 설치되며, 터미널(100) 주변을 감싸도록 홀더(400)가 배치된다.
센서엘리먼트(300)의 끝단에 전도성 있는 접속단자(310)가 형성되어 외부와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 받으며, 금속성의 터미널(100)과 접촉한다. 홀더(400)의 내부에 센서엘리먼트(300) 및 터미널(10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홀(410)이 홀더(4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터미널(100)은 홀더(400)의 수용홀(410) 내부에서 센서엘리먼트(300)의 상하면에 마주보도록 대칭구조로 배치된다.
센서엘리먼트(300)의 도시되지 않은 타측은 배기가스와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홀더(400)는 센서엘리먼트(300)와 터미널(100)을 고정시켜주는 구성으로, 홀더(400)의 주변에 여러 구성들이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센서의 부품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홀더(400) 내부에 형성된 수용홀(410)은 직육면체 형상의 홈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센서엘리먼트(300)의 끝단에 터미널(100)을 고정지지할 수 있는 다른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히는, 수용홀(410)의 중심에 센서엘리먼트(300)를 배치하고 수용홀(410)의 상하면에 터미널(100)을 상하좌우 대칭되게 배치하여, 홀더(400)로 센서엘리먼트(300)와 터미널(100)이 접촉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수용홀(410)은 단면이 'H'와 같이 형성되어, 터미널(100)이 안착고정될 수 있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홀더(400)의 내부에 수용홀(410)만 형성되게 도시하고 있으나, 발명의 목적과 용도에 따라 고무튜브를 삽입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터미널(100)은 센서엘리먼트(300)와 접지되지 않는 타단에 접속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터미널 바디(110)의 일단으로부터 절곡상향된 가압부(200)가 형성되고, 가압부(200)의 상향경사면(230)과 하향경사면(240)이 만나는 즉, 하향경사면(240)이 시작되는 지점에 돌기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돌기부(220)는 직육면체, 사각뿔절단형 또는 원추절단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구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산소센서 터미널(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할 때, 터미널 바디(110)는 일측 단부가 절곡연장된 가압부(200)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외부와 전기신호를 송수신하는 접속부(12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터미널 바디(110)의 일단에 상향절곡되어 연장형성된 후 하향연장형성된 가압부(200)가 형성되어 있고, 가압부(200)의 상향경사면(230)과 하향경사면(240)이 만나는 지점에 상향돌출된 반구형의 돌기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터미널 바디(110)의 일측 단부에 절곡부(210)가 형성되고 절곡이후 가압부(200)가 상향형성되어 있고, 터미널 바디(110)로부터 가장 먼 가압부(200)의 위치에서 센서엘리먼트의 외주면 방향으로 상향 돌출된 돌기부(220)가 형성되며, 돌기부(220)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산소센서 터미널의 돌기부(220)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터미널이 일부 뒤틀리거나 이탈되더라도 절곡부(210)의 탄성구조와 돌기부(220)의 반구형 형상으로 인해 터미널과 센서엘리먼트간 접지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산소센서 터미널(101)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할 때, 터미널 바디(111)는 일측 단부가 절곡연장된 가압부(201)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외부와 전기신호를 송수신하는 접속부(121)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터미널 바디(111)의 일단에 상향절곡되어 연장형성된 후 하향연장형성된 가압부(201)가 형성되어 있고, 가압부(201)의 상향경사면(231)과 하향경사면(241)이 만나는 지점에 상향돌출된 원추절단형의 돌기부(221)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터미널 바디(111)의 일측 단부에 절곡부(211)가 형성되고 절곡이후 가압부(201)가 상향형성되어 있고, 터미널 바디(111)로부터 가장 먼 가압부(201)의 위치에서 센서엘리먼트의 외주면 방향으로 상향 돌출된 돌기부(221)가 형성되며, 돌기부(221)는 원추절단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산소센서 터미널의 돌기부(221)는 원추절단형으로 형성되어 센서엘리먼트와 평면접촉되는 구조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터미널이 일부 뒤틀리거나 이탈되기 어렵도록 지지하며, 절곡부(211)의 탄성구조와 돌기부(221)의 원추절단형 형상으로 인해 터미널과 센서엘리먼트간 접지위치를 유지하기 유리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산소센서 터미널(102)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할 때, 터미널 바디(112)는 일측 단부가 절곡연장된 가압부(202)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외부와 전기신호를 송수신하는 접속부(122)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터미널 바디(112)의 일단에 상향절곡되어 연장형성된 후 하향연장형성된 가압부(202)가 형성되어 있고, 가압부(202)의 상향경사면(232)과 하향경사면(242)이 만나는 지점에 상향돌출된 사각뿔절단형의 돌기부(222)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터미널 바디(112)의 일측 단부에 절곡부(212)가 형성되고 절곡이후 가압부(202)가 상향형성되어 있고, 터미널 바디(112)로부터 가장 먼 가압부(202)의 위치에서 센서엘리먼트의 외주면 방향으로 상향 돌출된 돌기부(222)가 형성되며, 돌기부(222)는 사각뿔절단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산소센서 터미널의 돌기부(222)는 사각뿔절단형으로 형성되어 센서엘리먼트와 평면접촉되는 구조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터미널이 일부 뒤틀리거나 이탈되기 어렵도록 지지하며, 가공이 단순하여 생산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절곡부(212)의 탄성구조와 돌기부(222)의 원추절단형 형상으로 인해 터미널과 센서엘리먼트간 접지위치를 유지하기 유리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터미널 110: 터미널 바디
200: 가압부 210: 절곡부
220: 돌기부 230: 상향경사면
240: 하향경사면 300: 센서엘리먼트
400: 홀더

Claims (4)

  1. 산소센서의 센서엘리먼트와 접지되어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는 터미널에 있어서,
    터미널 바디; 및
    상기 터미널 바디의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터미널 바디의 일단에서 상기 터미널 바디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상향경사면;
    상기 상향경사면으로부터 상기 터미널 바디와 근접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하향경사면; 및
    상기 상향경사면과 상기 하향경사면의 사이에 돌출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센서 터미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터미널 바디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반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센서 터미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터미널 바디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고, 상기 센서엘리먼트의 접지면과 평행한 수평면을 구비하는 원추절단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센서 터미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터미널 바디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고, 상기 센서엘리먼트의 접지면과 평행한 수평면을 구비하는 사각뿔절단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센서 터미널.
KR1020130128694A 2013-10-28 2013-10-28 산소센서 터미널 KR201500485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694A KR20150048520A (ko) 2013-10-28 2013-10-28 산소센서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694A KR20150048520A (ko) 2013-10-28 2013-10-28 산소센서 터미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520A true KR20150048520A (ko) 2015-05-07

Family

ID=5338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694A KR20150048520A (ko) 2013-10-28 2013-10-28 산소센서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85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089A (ko) * 2020-11-23 2022-05-31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089A (ko) * 2020-11-23 2022-05-31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94326A1 (en) Floating connector
TW200607187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hell with a portion which is elastically movable in a fitting portion of the connector
JP5218490B2 (ja) 同軸コネクタプラグ
TW200729646A (en) Electric connector
WO2007118707A3 (en) Electrical connector and system
JP2021089815A5 (ko)
CN108140974B (zh) 端子
US1006299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contacts
CN108140975B (zh) 端子
WO2014038605A1 (ja) 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KR20150048520A (ko) 산소센서 터미널
TW200642214A (en) Poke-in wire connector and contact therefor
JP2009296095A (ja) アンテナ装置
KR101500869B1 (ko) 산소센서 터미널 조립체
KR101525684B1 (ko) 산소센서 터미널
KR20150048522A (ko) 산소센서 터미널
KR101533808B1 (ko) 커넥터
HK1072130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a mating contact and a connection object
US7896706B1 (en) Audio jack connector
KR101693024B1 (ko) 센서용 신호전달 조립체
KR20150050128A (ko) 산소센서 터미널
KR20100088944A (ko) 차폐 연결용 탄성편, 이를 구비한 차폐 커넥터 및 차폐 커넥터 세트
JP6131496B2 (ja)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CN203850499U (zh) Rf连接器端子
CN104538764B (zh) 电连接器用插孔接触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