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567B1 -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블록틀, 이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지중관 매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방도로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블록틀, 이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지중관 매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방도로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567B1
KR102636567B1 KR1020230129581A KR20230129581A KR102636567B1 KR 102636567 B1 KR102636567 B1 KR 102636567B1 KR 1020230129581 A KR1020230129581 A KR 1020230129581A KR 20230129581 A KR20230129581 A KR 20230129581A KR 102636567 B1 KR102636567 B1 KR 102636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ated concrete
concrete block
lightweight
lightweight aerat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9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삼성
김재문
이정호
박철우
옥승환
이인혜
함윤경
민경구
박범선
Original Assignee
경상남도 김해시(상하수도사업소장)
삼영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남도 김해시(상하수도사업소장), 삼영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상남도 김해시(상하수도사업소장)
Priority to KR1020230129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5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6Assemblies of separate moulds, i.e. of moulds or moulding space units, each forming a complete mould or moulding space unit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2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ith installation or service material, e.g. tubes for electricity or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B28B23/0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the elements being stres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6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 B28B7/162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for building blocks or similar block-shap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8Cores; Mandr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418Wet materials, e.g. slur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0Tunnels or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conduits, e.g. oil pipe-lines, sewer pipes ; Making conduits in situ, e.g. of concrete ; Casings, i.e. manhole shafts, access or inspection chambers or coverings of boreholes or narrow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valves, in the pipe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공장 생산 가능한 단열 콘크리트 블록과 이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지중에 관을 매설할 수 있는 방법 등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 본체의 내부에 메쉬망이 구비되고, 경량 기포 콘크리트 본체의 상부로 거양 고리가 돌출된 형태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본체가 메쉬망 및 거양 고리와 일체로 경화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블록틀, 이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지중관 매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방도로 형성 방법 {LIGHTWEIGHT AERATED CONCRETE BLOCK, BLOCK FRAME USED FOR ITS PRODUCTION, BLOCK FRAME MANUFACTURING METHOD, UNDERGROUND PIPE BURIAL METHOD AND EMBANKMENT ROAD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중에 관을 매설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블록, 블록틀, 블록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관 매설 및 제방도로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 생산 가능한 단열 콘크리트 블록과 이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지중에 관을 매설할 수 있는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상수를 가정이나 공장 등에 공급하거나 하수를 하수 처리 시설로 이송하기 위해서는 상수나 하수와 같은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관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은 사람의 통행이나 차량의 운행을 방해하지 않고, 외부의 충격에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대개 지중에 매설된다.
그런데 지반의 지지력이 약한 연약 지반의 경우 지중에 매설된 관이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하중에 의해 점점 침하되고 급기야 관의 중간이 파손되는 경우에 이르기도 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관의 외부를 비중이 낮은 물질로 두르기도 하는데, ‘특허문헌 1’에 그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발명은 관 매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경량기포혼합토(1)를 매설구에 타설한 후 관(2)을 얹은 후 관(2) 주위와 상부에 경량기포혼합토(3)를 더 타설하고 그 위에 도로층(4)을 형성한다.
그런데 종래의 관 매설 방법은 경량기포혼합토의 비중을 잘 조절하지 않으면 관(2)이 뜨거나 가라앉아 설계한 깊이에 관(2)을 위치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경량기포혼합토(1, 3)가 경화된 후에야 관(2)에 유체를 흘릴 수가 있으므로{만약 경량기포혼합토(1, 3)가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관(2)에 유체를 흘리면 유체의 무게 때문에 관(2)이 침하된다} 관을 상수관이나 하수관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기가 늦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렇다고 경량기포혼합토(1)에 관(2)을 얹은 후 경량기포혼합토(1, 3)가 경화될 때까지 기다린다면 공사기간이 너무 길어져 공사비용이 상승하고, 관리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0-0030293 A (2010. 3. 18.)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의 침강이나 부상 염려가 없고, 공사기간 및 유로 사용 시기를 단축할 수 있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과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블록틀, 지중관 매설 방법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 본체의 내부에 메쉬망이 구비되고, 경량 기포 콘크리트 본체의 상부로 거양 고리가 돌출된 형태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본체가 메쉬망 및 거양 고리와 일체로 경화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판;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의 양쪽 측면을 형성하는 제1 측판;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의 전후 측면을 형성하고 반원형 홈이 형성된 제2 측판 및 상기 제1 측판과 제2 측판의 상부에 맞닿아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의 상면을 형성하는 덮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측판 또는 제2 측판에 상기 반원형 홈의 하단보다 아래로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의 하부에 제2 측판의 반원형 홈에 삽입될 수 있는 반원기둥형 융기부가 형성되고, 반원기둥형 융기부의 양측에 주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에 메쉬망이 거치되고, 상기 메쉬망에 엮이고 상기 주입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거양 고리가 구비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 방법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의 저판, 제1 측판, 제2 측판을 결합하는 블록틀 결합 단계; 상기 제1 측판 또는 제2 측판에 형성된 지지대에 메쉬망을 안착시키는 메쉬망 안착 단계: 상기 메쉬망에 거양 고리를 엮는 거양 고리 설치 단계; 덮개에 형성된 주입홀에 거양 고리가 빠져나온 상태가 되도록 상기 덮개를 상기 제1 측판, 제2 측판 위에 결합하는 블록틀 덮개 결합 단계; 상기 주입홀을 통해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주입 단계;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 내부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경화시키는 경화 단계 및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을 분리하여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만 남기는 블록틀 분리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지중관 매설 방법은 지면을 굴착하여 관이 매설된 공간을 형성하는 관 매설로 굴착 단계;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을 관을 수용하는 공간이 위를 향하도록 관 매설로 내에 안착시키는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안착 단계; 상기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거양 고리를 제거하는 거양 고리 제거 단계; 상기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관을 수용하는 공간에 관을 안착시키는 관 안착 단계; 상기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과 마주할 제2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거양 고리를 제거하는 거양 고리 제거 단계; 상기 제2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을 관을 수용하는 공간이 아래를 향하도록 관 위에 안착시키는 제2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안착 단계 및 상기 제2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위로 토사를 덮거나 포장하여 지면을 정리하는 토사 도포/포장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제방도로 형성 방법은 제방의 일측에 지지벽을 세워 관 매설로를 형성하고 바닥에 토사를 충진하는 지지벽 형성 및 토사 충진 단계;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을 관을 수용하는 공간이 위를 향하도록 관 매설로 내에 안착시키는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안착 단계; 상기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거양 고리를 제거하는 거양 고리 제거 단계; 상기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관을 수용하는 공간에 관을 안착시키는 관 안착 단계; 상기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과 마주할 제2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거양 고리를 제거하는 거양 고리 제거 단계; 상기 제2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을 관을 수용하는 공간이 아래를 향하도록 관 위에 안착시키는 제2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안착 단계 및 상기 제2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위로 토사를 덮거나 포장하여 지면을 정리하는 토사 도포/포장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및 지중관 매설 방법에 의하면 이미 경화된 상태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을 관 매설로에 설치하기 때문에 관이 부상하거나 침강될 염려가 없다.
또 공장에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고 시공 시에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을 관 매설로에 배치하기만 하면 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공사 기간이 현저히 단축된다.
도 1은 종래의 매설관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의 제1 실시형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의 제1 실시형태에 메쉬망과 거양 고리가 설치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의 제1 실시형태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 주입 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의 제1 실시형태를 분리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을 생성하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1 실시형태의 상하 결합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1 실시형태의 연결도
도 8은 도 7에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위로 돌출된 거양 고리를 절단 제거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1 실시형태로 관을 둘러싼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제방에 자전거도로를 형성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의 제2 실시형태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2 실시형태의 사시 결합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2 실시형태의 전후 결합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2 실시형태의 연결도
도 15는 도 14에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위로 돌출된 거양 고리를 절단 제거한 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2 실시형태로 관을 둘러싼 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의 제3 실시형태의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의 제3 실시형태를 분리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을 생성하는 상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3 실시형태의 상하 결합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의 제4 실시형태의 분해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4 실시형태의 상하 결합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4 실시형태의 전후 결합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4 실시형태의 연결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4 실시형태로 관을 둘러싼 상태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4 실시형태의 상하 블록 사이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충진한 상태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3 또는 제4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제방에 자전거도로를 형성한 예시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 방법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를 이용한 지중관 매설 방법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3 또는 제4 실시형태를 이용한 지중관 매설 방법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를 이용한 제방도로 형성 방법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3 또는 제4 실시형태를 이용한 제방도로 형성 방법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블록틀, 이를 이용한 지중관 매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방도로 형성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을 먼저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의 제1 실시형태의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10)은 저판(11), 제1 측판(12), 제2 측판(13), 덮개(15)로 구성되고, 저판(11), 제1 측판(12), 제2 측판(13), 덮개(15)로 둘러싸인 공간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가 주입 및 경화되어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이 형성된다.
저판(1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10)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제1 측판(12)은 양쪽 측면을 형성한다. 제2 측판(13)은 전후 측면을 형성하는데 제2 측판(13)에는 반원형 홈(14)이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이 관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측판(12) 또는 제2 측판(13)에는 반원형 홈(14)의 하단보다 아래로 단턱 또는 지지대(18)가 형성되어 메쉬망(200)이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10)의 중단에 거치될 수 있다.
덮개(15)는 제1 측판(12)과 제2 측판(13)의 상부에 맞닿아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10)의 상면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덮개(15)의 하부에 제2 측판(13)의 반원형 홈(14)에 삽입될 수 있는 반원기둥형 융기부(16)가 형성되고, 반원기둥형 융기부(16)의 양측에 주입홀(17)이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의 제1 실시형태에 메쉬망과 거양 고리가 설치된 분해 사시도로서, 제1 측판(12) 또는 제2 측판(13)의 지지대(18)에 거치된 메쉬망(200)에 거양 고리(210)를 엮어 거양 고리(210)를 들어올렸을 때 메쉬망(200)에도 힘이 가해져, 메쉬망(200)과 일체로 경화되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을 굴삭기나 호이스트 등으로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 즉 거양 고리(210)는 굴삭기 등의 장치로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을 들어올리기(거양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의 제1 실시형태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 주입 전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10)에 메쉬망(200)과 거양 고리(210)를 설치한 후 거양 고리(210)가 덮개(15)에 형성된 주입홀(17)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와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후 주입홀(17)을 통해 경량 기포 콘크리트가 주입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의 제1 실시형태를 분리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을 생성하는 상태도로서, 주입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본체(100)가 메쉬망(200) 및 거양 고리(210)와 일체로 경화되면, 저판(11), 제1 측판(12), 제2 측판(13) 및 덮개(15)를 분리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000)을 제조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0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저판(11), 제1 측판(12), 제2 측판(13) 및 덮개(15)를 분리하는 이유는 거양 고리(210)와 지지대(18)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000)만 뽑아내듯이 분리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1 실시형태의 상하 결합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10)로 제조한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000)은 관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한 쌍이 아래, 위로 마주보고 결합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1 실시형태의 연결도로서, 도 6과 같은 한 쌍의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000) 복수 개가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관(P)을 수용하는 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
도 8은 도 7에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위로 돌출된 거양 고리를 절단 제거한 상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1 실시형태는 덮개(15)의 하부에 반원기둥형 융기부(16)가 형성된 블록틀에서 제조되기 때문에 블록을 상하로 마주 결합했을 때 원기둥형 관 수용부가 형성되고 따라서 돌출된 거양 고리(210)가 제거되어야 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1 실시형태로 관을 둘러싼 상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000)이 관(P)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지중관이 매설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000)은 관(P)의 좌우, 상하 약 30㎝를 둘러싸는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두께가 약 30㎝ 정도이면 단열 효과가 적절하게 발생하여 겨울철 관(P) 내부에서 물이 이동되지 않는 상태에 있더라도 쉽게 동파되지 않기 때문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제방에 자전거도로를 형성한 예시도로서, 제방(B)의 강이나 수로(R) 반대측에 세로벽(W)을 세워 설치공간을 형성한 후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000)이 관(P)의 주위를 둘러싸는 구조로 시공함으로써 쉽고 빠르게 자전거도로 등 제방도로를 형성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에는 친환경성인 정수장 슬러지(정수장에서 물을 걸러내고 남은 찌꺼기)가 포함될 수 있고, 정수장 슬러지의 조성은 산화알루미늄(Al2O3) 15 ~ 40 중량부, 산화규소(SiO2) 35 ~ 70 중량부, 기타 탄소, 질소, 산소, 수소 화합물인 유기물 15 ~ 25 중량부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의 제2 실시형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2 실시형태의 사시 결합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의 제2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000)이 전후 방향으로 정합될 수 있도록 오목부(110)와 돌출부(120)를 형성하는 돌출턱(13-1)과 오목턱(13-2)이 제2 측판(13)의 반원형 홈(14)에 형성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2 실시형태의 전후 결합도로서, 앞에 있는 블록의 오목부(110)에 뒤에 있는 블록의 돌출부(120)가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전후 블록간 요동을 방지하고, 정합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2 실시형태의 연결도이고, 도 15는 도 14에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위로 돌출된 거양 고리를 절단 제거한 상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2 실시형태로 관을 둘러싼 상태도로서, 시공 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000) 간 정합이 안정적이면서 앞서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1 실시형태와 유사한 지중관 매설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의 제3 실시형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의 제3 실시형태를 분리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을 생성하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의 제3 실시형태는 제2 측판(13)에 반원형 홈 대신 원의 일부를 잘라낸 활꼴형 홈(14)이 형성되고, 덮개(15)에 원기둥을 세로로 잘라낸 형상의 융기부(16)가 형성된 점 외에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3 실시형태에서 홈(14)과 융기부(16)를 제1 실시형태의 것보다 작게 형성하는 이유는 상하 마주보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000)이 이격되도록 하여 지중관 매설 시 거양 고리(210)를 제거하는 단계가 불필요하도록 하고, 상하 마주보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럭(100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제4 실시형태를 설명하고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3 실시형태의 상하 결합도로서, 블록틀의 덮개(15)에 원기둥을 세로로 잘라낸 형상의 융기부(16)가 형성되기 때문에 관 수용부의 형상이 원형이 되지 못하고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 볼록렌즈와 같은 형상으로 된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의 제4 실시형태의 분해 사시도로서, 제2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000)의 전후면에 오목부(110)와 돌출부(120)를 형성하는 돌출턱(13-1)과 오목턱(13-2)이 제2 측판(13)의 활꼴형 홈(14)에 형성된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4 실시형태의 상하 결합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4 실시형태의 전후 결합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4 실시형태의 연결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4 실시형태로 관을 둘러싼 상태도이다. 제4 실시형태로 관(P)을 둘러싸는 경우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는 한 쌍의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000) 사이에 간격(G)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4 실시형태의 상하 블록 사이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충진한 상태도로서, 제4 실시형태의 경우 마주보는 한 쌍의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000) 사이의 간격(G)을 경량 기포 콘크리트(2000)로 메우게 된다. 블록(1000) 간 간격(G)이 있으므로 거양 고리(210)를 잘라내지 않아도 되고, 오히려 거양 고리(210)가 한 쌍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000)을 결합하는 철근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어 지중관 매설 구조의 견고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제3 실시형태에서도 동일하게 발생된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3 또는 제4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제방에 자전거도로를 형성한 예시도로서, 경량 기포 콘크리트(2000)가 거양 고리(210)를 개재하여 상하의 블록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 방법, 지중관 매설 방법 및 제방도로 형성 방법을 설명한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다.
① 블록틀 결합 단계(S10):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10)의 저판(11), 제1 측판(12), 제2 측판(13)을 결합한다.
② 메쉬망 안착 단계(S20): 제1 측판(12) 또는 제2 측판(13)에 형성된 지지대(18)에 메쉬망(200)을 안착시킨다.
③ 거양 고리 설치 단계(S30): 메쉬망(200)에 거양 고리(210)를 엮는다.
④ 블록틀 덮개 결합 단계(S40): 덮개(15)에 형성된 주입홀(17)에 거양 고리(210)가 빠져나온 상태가 되도록 덮개(15)를 제1 측판(12), 제2 측판(13) 위에 결합한다.
⑤ 경량 기포 콘크리트 주입 단계(S50): 주입홀(17)을 통해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주입한다.
⑥ 경화 단계(S60):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10) 내부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경화시킨다.
⑦ 블록틀 분리 단계(S70):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10)을 분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000)만 남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를 이용한 지중관 매설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다.
㉮ 관 매설로 굴착 단계(S100): 지면을 굴착하여 관이 매설된 공간을 형성한다.
㉯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안착 단계(S200):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000)을 관을 수용하는 공간이 위를 향하도록 관 매설로 내에 안착시킨다.
㉰ 거양 고리 제거 단계(S300):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거양 고리(210)를 제거한다.
㉱ 관 안착 단계(S400):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관을 수용하는 공간에 관(P)을 안착시킨다.
㉲ 거양 고리 제거 단계(S300):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과 마주할 제2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거양 고리(210)를 제거한다.
㉳ 제2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안착 단계(S700):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000)을 관을 수용하는 공간이 아래를 향하도록 관(P) 위에 안착시킨다.
㉴ 토사 도포/포장 단계(S800): 제2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위로 토사를 덮거나 포장하여 지면을 정리한다.
㉵ 그리고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과 제2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결합을 강화하기 위하여 제2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안착 단계(S700) 전에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도포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도포 단계(S500)가 더 수행될 수 있다.
㉶ 또 매설된 지중관의 부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안착 단계(S200) 전에 관 매설로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 매트(직사각형의 패드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를 설치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매트 설치 단계(S110)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3 또는 제4 실시형태를 이용한 지중관 매설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를 이용한 지중관 매설 방법에서 거양 고리 제거 단계(S300)가 빠지고,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과 제2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을 결합하기 위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도포 단계(S500)가 더 부가된 것과 같다.
㉠ 관 매설로 굴착 단계(S100): 지면을 굴착하여 관이 매설된 공간을 형성한다.
㉡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안착 단계(S200):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000)을 관을 수용하는 공간이 위를 향하도록 관 매설로 내에 안착시킨다.
㉢ 관 안착 단계(S400):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관을 수용하는 공간에 관(P)을 안착시킨다.
㉣ 경량 기포 콘크리트 도포 단계(S500):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위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도포한다.
㉤ 제2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안착 단계(S700):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000)을 관을 수용하는 공간이 아래를 향하도록 관(P) 위에 안착시킨다.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과 사이에 경화되기 전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가 도포되어 있더라도 관(P)에 의해 제2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이 지지되기 때문에 지중관 매설 구조가 유지될 수 있다.
㉥ 토사 도포/포장 단계(S800): 제2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위로 토사를 덮거나 포장하여 지면을 정리한다.
㉦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매설된 지중관의 부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안착 단계(S200) 전에 관 매설로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 매트(직사각형의 패드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를 설치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매트 설치 단계(S110)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를 이용한 제방도로 형성 방법이고,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3 또는 제4 실시형태를 이용한 제방도로 형성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1 내지 제4 실시형태를 이용한 지중관 매설 방법 에서 관 매설로 굴착 단계(S100)가 제방(B)의 일측에 지지벽(W)을 세워 관 매설로를 형성하고 토사를 충진하여 바닥을 평평하게 하는 지지벽 형성 및 토사 충진 단계(S120)로 대체된 것과 같다. 이 경우에도 지지벽 형성 및 토사 충진 단계(S120) 이후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안착 단계(S200) 전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 매트 설치 단계(S110)가 더 수행될 수 있다.
10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
11 저판 12 제1 측판
13 제2 측판 13-1 돌출턱(13-1)
13-2 오목턱 14 반원형 홈, 활꼴형 홈
15 덮개 16 융기부
17 주입홀
100 경량 기포 콘크리트 본체 110 오목부
120 돌출부 200 메쉬망
210 거양 고리
1000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S10 블록틀 결합 단계 S20 메쉬망 안착 단계
S30 거양 고리 설치 단계 S40 블록틀 덮개 결합 단계
S50 경량 기포 콘크리트 주입 단계 S60 경화 단계
S70 블록틀 분리 단계
S100 관 매설로 굴착 단계
S110 경량 기포 콘크리트 매트 설치 단계
S120 지지벽 형성 및 토사 충진 단계
S200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안착 단계
S300 거양 고리 제거 단계 S400 관 안착 단계
S500 경량 기포 콘크리트 도포 단계 S600 거양 고리 제거 단계
S700 제2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안착 단계
S800 토사 도포/포장 단계
P 관

Claims (8)

  1. 내부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가 주입 및 경화되어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을 형성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10)로서,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1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판(11);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10)의 양쪽 측면을 형성하는 제1 측판(12);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10)의 전후 측면을 형성하고 반원형 홈(14)이 형성된 제2 측판(13) 및
    상기 제1 측판(12)과 제2 측판(13)의 상부에 맞닿아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10)의 상면을 형성하는 덮개(15)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측판(12) 또는 제2 측판(13)에 상기 반원형 홈(14)의 하단보다 아래로 지지대(18)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15)의 하부에 제2 측판(13)의 반원형 홈(14)에 삽입될 수 있는 반원기둥형 융기부(16)가 형성되고, 반원기둥형 융기부(16)의 양측에 주입홀(17)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18)에 메쉬망(200)이 거치되고,
    상기 메쉬망(200)에 엮이고 상기 주입홀(17)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거양 고리(210)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측판(13) 중 일측의 제2 측판(13)의 반원형 홈(14)에 돌출턱(13-1)이 형성되고, 타측의 제2 측판(13)의 반원형 홈(14)에 오목턱(1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10).
  2. 삭제
  3. 청구항 1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에서 제조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으로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본체(100)가 상기 메쉬망(200) 및 거양 고리(210)와 일체로 경화되고,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본체(100)의 내부에 상기 메쉬망(200)이 구비되며,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본체(100)의 상부로 상기 거양 고리(210)가 돌출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000).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본체(100)를 형성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에 산화알루미늄(Al2O3) 15 ~ 40 중량부, 산화규소(SiO2) 35 ~ 70 중량부, 기타 탄소, 질소, 산소, 수소 화합물인 유기물 15 ~ 25 중량부로 구성되는 정수장 슬러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000).
  5. 청구항 1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을 이용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10)의 저판(11), 제1 측판(12), 제2 측판(13)을 결합하는 블록틀 결합 단계(S10);
    상기 제1 측판(12) 또는 제2 측판(13)에 형성된 지지대(18)에 메쉬망(200)을 안착시키는 메쉬망 안착 단계(S20);
    상기 메쉬망(200)에 거양 고리(210)를 엮는 거양 고리 설치 단계(S30);
    상기 덮개(15)에 형성된 주입홀(17)에 거양 고리(210)가 빠져나온 상태가 되도록 상기 덮개(15)를 상기 제1 측판(12), 제2 측판(13) 위에 결합하는 블록틀 덮개 결합 단계(S40);
    상기 주입홀(17)을 통해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주입 단계(S50);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10) 내부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경화시키는 경화 단계(S60) 및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틀(10)을 분리하여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000)만 남기는 블록틀 분리 단계(S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6. 청구항 3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지중관 매설 방법으로서,
    지면을 굴착하여 관(P)이 매설된 공간을 형성하는 관 매설로 굴착 단계(S100);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000)을 관을 수용하는 공간이 위를 향하도록 관 매설로 내에 안착시키는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안착 단계(S200);
    상기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거양 고리(210)를 제거하는 거양 고리 제거 단계(S300);
    상기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관을 수용하는 공간에 관(P)을 안착시키는 관 안착 단계(S400);
    상기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과 마주할 제2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거양 고리(210)를 제거하는 거양 고리 제거 단계(S600);
    상기 제2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을 관을 수용하는 공간이 아래를 향하도록 관(P) 위에 안착시키는 제2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안착 단계(S700) 및
    상기 제2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위로 토사를 덮거나 포장하여 지면을 정리하는 토사 도포/포장 단계(S8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지중관 매설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안착 단계(S200) 전에 관 상기 매설로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 매트를 설치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매트 설치 단계(S110)가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지중관 매설 방법.
  8. 청구항 3에 따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제방도로 형성 방법으로서,
    제방(B)의 일측에 지지벽(W)을 세워 관 매설로를 형성하고 바닥에 토사를 충진하는 지지벽 형성 및 토사 충진 단계(S120);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000)을 관을 수용하는 공간이 위를 향하도록 관 매설로 내에 안착시키는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안착 단계(S200);
    상기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거양 고리(210)를 제거하는 거양 고리 제거 단계(S300);
    상기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관을 수용하는 공간에 관(P)을 안착시키는 관 안착 단계(S400);
    상기 제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과 마주할 제2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거양 고리(210)를 제거하는 거양 고리 제거 단계(S300);
    상기 제2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을 관을 수용하는 공간이 아래를 향하도록 관(P) 위에 안착시키는 제2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안착 단계(S700) 및
    상기 제2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위로 토사를 덮거나 포장하여 지면을 정리하는 토사 도포/포장 단계(S8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000)을 이용한 제방도로 형성 방법.
KR1020230129581A 2023-09-26 2023-09-26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블록틀, 이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지중관 매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방도로 형성 방법 KR102636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9581A KR102636567B1 (ko) 2023-09-26 2023-09-26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블록틀, 이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지중관 매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방도로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9581A KR102636567B1 (ko) 2023-09-26 2023-09-26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블록틀, 이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지중관 매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방도로 형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567B1 true KR102636567B1 (ko) 2024-02-14

Family

ID=89896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9581A KR102636567B1 (ko) 2023-09-26 2023-09-26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블록틀, 이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지중관 매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방도로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56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077A (ko) * 2004-01-20 2004-02-11 소형석 폐석회를 이용한 건축, 건설용 블록 및 제조방법
KR20100030293A (ko) 2008-09-10 2010-03-18 한국해양연구원 매설관의 매설방법
KR102154929B1 (ko) * 2019-04-30 2020-09-11 고재웅 삼중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형태의 alc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53741A (ko) * 2019-11-04 2021-05-12 서울주택도시공사 설비배관 홈이 형성된 경량기포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홈이 형성된 경량기포 콘크리트 블록
KR102364094B1 (ko) * 2021-12-07 2022-02-17 서금석 수생 어초형 앵커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077A (ko) * 2004-01-20 2004-02-11 소형석 폐석회를 이용한 건축, 건설용 블록 및 제조방법
KR20100030293A (ko) 2008-09-10 2010-03-18 한국해양연구원 매설관의 매설방법
KR102154929B1 (ko) * 2019-04-30 2020-09-11 고재웅 삼중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형태의 alc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53741A (ko) * 2019-11-04 2021-05-12 서울주택도시공사 설비배관 홈이 형성된 경량기포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홈이 형성된 경량기포 콘크리트 블록
KR102364094B1 (ko) * 2021-12-07 2022-02-17 서금석 수생 어초형 앵커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51876A (zh) 一种盖板式预制混凝土城市综合管廊及其施工方法
CN114875936A (zh) 一种用于高路堑边坡边沟排水及防护的施工方法
CN110820720A (zh) 一种阻排水抗浮施工结构及方法
KR20010096389A (ko) 강재 가물막이를 이용한 직접기초 시공방법
KR102636567B1 (ko)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블록틀, 이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지중관 매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방도로 형성 방법
CN110485230B (zh) 一种高水位软土桥头路基的处治结构及施工方法
CN109440812B (zh) 一种挡土墙结构及其构筑方法
JP2000008623A (ja) 構造物の復旧工法
JP4410572B2 (ja) 埋立用護岸の構築方法
KR100433653B1 (ko)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 시공방법
CN112832288A (zh) 一种坡地建筑地下室抗浮构造及其施工方法
CN109338909B (zh) 一种整体式桥墩加固结构及其施工方法
CN113152512A (zh) 一种重力式挡土墙及施工方法
CN112854131A (zh) 一种水源保护区生态护岸及其施工方法
CN214883808U (zh) 箱拱形波纹钢通道抗上浮的复合基础结构
JP2021130910A (ja) 壁モジュールによる構造物の製造方法
KR100436896B1 (ko) 교량의 교대뒷채움부 시공 방법
KR100750702B1 (ko) 생태축조블록을 이용한 성토부 축조방법
CN111519603A (zh) 换填联合注浆综合处理软土地基地下埋管不均匀沉降的装置及施工方法
KR101664103B1 (ko) 지지용 강빔을 이용한 pc벽체가 적용된 모듈식 지하구조물
CN214574483U (zh) 一种与排水沟一体的跌水井结构
KR100688617B1 (ko) 저면이 평탄한 하수관
CN215483081U (zh) 一种重力式挡土墙
CN114164726B (zh) 一种局部深开挖回填结构性路基及快速施工方法
CN218756816U (zh) 一种可防路基软化的公路路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