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936B1 - 탈수초성 질환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를 위한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용도 - Google Patents

탈수초성 질환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를 위한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936B1
KR102635936B1 KR1020197018407A KR20197018407A KR102635936B1 KR 102635936 B1 KR102635936 B1 KR 102635936B1 KR 1020197018407 A KR1020197018407 A KR 1020197018407A KR 20197018407 A KR20197018407 A KR 20197018407A KR 102635936 B1 KR102635936 B1 KR 102635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ple sclerosis
progressive
relapsing
formula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7571A (ko
Inventor
황선관
김지혜
윤지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바이오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바이오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바이오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87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25Carbamic acids; Thiocarbamic acids; Anhydrides or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탈수초성 질환을 예방, 경감 또는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수초성 질환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를 위한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용도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탈수초성 질환을 예방, 경감 또는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65204764-pc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A1 및 A2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신경 축삭(axon)은 란비에르 결절(node of Ranvier) 부분을 제외하고 수초(myelin)가 둘러싸고 있는데 말초신경계는 슈반세포(Schwann cell)가, 중추신경계는 희소돌기아교세포(oligodendrocytes)가 수초를 형성하고 있다. 수초는 축삭을 보호, 지지하면서 전기적 차단기능이 있어 신경전도에 기여하는데, 그 전도 속도는 란비에르 결절 간의 거리나 수초의 두께에 비례한다. 탈수초성 질환은 신경세포 자체나 축삭에는 큰 손상이 없으면서 수초가 손상되는 경우로서, 말초신경계와 중추신경계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다. 탈수초성 질환 특유의 병리학적 특징에는 염증, 탈수초화 및 축삭과 희소돌기아교세포의 손실이 포함된다. 축삭은 별로 손상되지 않으면서 수초만 파괴되는 수초-축삭 해리(myelin-axonal dissociation) 현상과 함께, 주로 혈관주위에 분포하여 염증세포의 침윤을 동반하는 다발성 탈수초판(demyelinating plaque)이 보이며, 다발염증, 수초탈락, 아교세포흉터형성(glial scarring)이 특징적으로 관찰된다. 이런 병소(lesion)는 중추신경계 어디서나 나타날 수 있으나 특히 뇌실 주위 백색질, 시각신경과 시각신경교차, 척수, 뇌줄기, 소뇌다리(cerebellar peduncle), 뇌들보(corpus callosum) 등에 자주 발생한다(S Love, Demyelinating disease, J. Clin. Pathol., 2006, 59, 1151-1159).
탈수초성 질환으로는,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 시신경염(optic neuritis), 데빅(Devic) 증후군, 시각신경척수염(neuromyelitis optica, NMO), 급성파종뇌척수염(acute disseminated encephalomyelitis, ADEM), 급성 횡단척수염(acute transverse myelitis, ATM), 중심다리 수초용해(central pontine myelinolysis) 등을 들 수 있다.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은 중추신경계 탈수초성 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서, 희소돌기아교세포의 만성 염증성 탈수초화로 인해 운동신경 및 감각 기능의 점진적 쇠퇴, 및 영구적 무력화에 이르게 하는 면역-매개 질환이다. 초기에는 장애 없이 잘 회복되지만 다양한 임상 양상과 함께 회복과 재발을 반복하면서 장애가 남게 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TA Pivneva, Mechanisms Underlying the Process of Demyelination in Multiple Sclerosis, Neurophysiology, 2009, 41, 365-373).
다발성 경화증의 원인은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으로 감수성이 있는 사람이 어떤 환경 인자에 의해 면역조절기능이 깨졌을 때 발생되는 자가면역질환의 일종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로 인해 질환의 초기 과정에서 축삭 손실이 일어나고 시간 경과에 따라 광범위하게 일어나 진행성의 영구적인 신경 손상, 나아가 빈번하게는 중증 장애가 후속적으로 발달하게 된다. 상기 질환과 관련된 증상으로, 피로, 경직, 운동실조, 쇠약, 방광 및 장 교란, 성기능장애, 통증, 진전, 발작 소견, 시각 손상, 심리적 문제 및 인지 기능장애 등이 포함된다.
상기 열거된 다발성 경화증들 중 일부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재발 완화형 다발성 경화증(RR-MS: relapsing remitting multiple sclerosis)은, 1~2주에 걸쳐 발생하고, 흔히 1~2개월에 걸쳐 경감되는 분리성 운동, 감각, 소뇌 또는 시력 마비 등이 확인되며, 몇몇 환자는 각 에피소드에 대해 장애가 생기지만, 재발 사이에는 임상적으로 안정한 상태로 유지한다. 증상이 악화(재발기)되고 완화(완화기)되는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재발하는 시기를 예측하기가 어렵다. 재발하는 동안 기존에 나타났던 증상들이 악화될 수 있고, 새로운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그러나 완화되는 동안은 증상이 완전히 혹은 부분적으로 사라진다. 이와 같이 재발기와 완화기는 뚜렷하게 구분되며, 계단식으로 진행된다. 이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SP-MS: secondary progressive multiple sclerosis)은, 처음에는 재발 완화형 다발성 경화증으로 시작된 것이 이차적으로 진행되어 비가역성 장애로 발전한 경우로, 재발되는 시기, 증상이 완화되는 시기, 안정되는 시기가 나타나며,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신경기능은 점차 소실된다.
원발성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PP-MS: primary progressive multiple sclerosis)은, 다발성 경화증 환자의 약 15%에게서 나타나며, 느리게 증상이 진행되고 서서히 악화된다. 완화기와 재발기는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으며, 진행 속도의 차이는 있으나, 임의의 재발 또는 완화없이 발병으로부터 질환이 진행되는 과정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적으로 기능이 소실되게 된다.
진행 재발형 다발성 경화증(PR-MS: progressive relapsing multiple sclerosis)은, 다발성 경화증 환자의 약 6~10%에게서 나타나며, 갑작스런 급성 재발이 일어난 후 완전히 회복되거나 부분적으로 회복될 수 있지만, 재발 완화형 다발성 경화증과는 달리 재발기와 재발기 사이에도 질병이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특징이 있다.
다발성 경화증의 진단은 2010년 갱신된 맥도널드 기준에 따라 뇌의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을 포함한 두개 스캔, 장애의 축적, 재발률 및 재발 중증도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다. 그 외의 추가 검사로는 자기공명분광(MR Spectroscopy), 뇌척수액검사, 유발전위검사 등이 있고, 환자의 혈청에서 수초에 대한 항체를 직접 측정함으로써 생물학적 예측 표지(biomarker)로 이용하려는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다발성 경화증 치료는 급성기 치료와 장기적인 질병 완화 치료(disease modifying therapy), 그리고 대증요법으로 나눌 수 있다.
급성기에는 일반적으로 정맥을 통한 고용량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수 일간 처리한다.
다발성 경화증 재발 단계에서 장기적인 질환 완화 치료는 신경퇴행의 진행을 감소 또는 예방하기 위해 적용되며, 인터페론 베타 1-a(Avonex® 및 Rebif®), 인터페론 베타 1-b(Betaseron®), 글라티라머 아세테이트(Copaxone®), 미톡산트론(Novantrone®), 나탈리주맙(Tysabri®) 및 핑골리모드 (Gilenya®)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현재의 다발성 경화증의 치료요법은 단지 부분적으로 증세 완화에만 유효하고, 대부분의 경우 항-염증성 및 면역억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질환 진행의 짧은 지연만을 제공하는데 그치고 만족할 만한 수준의 효과를 얻지 못하거나 부작용으로 인하여 사용의 제한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탈수초성 질환의 다른 예로는 시신경염(optic neuritis)이 있다. 시신경염은 시신경(optic nerve)에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한 염증으로 인하여 탈수초가 일어나고 더 나아가 신경 세포에 손상이 발생하는 질병이다. 시신경은 시각 정보를 망막(retina)으로부터 뇌(brain)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데, 망막 절 세포(retinal ganglion cell)의 축삭을 통한 활동 전위(action potential)의 전달을 통하여 정보의 전달이 이루어진다. 시신경염이 발생하면 효율적인 활동 전위 전도(conduction)에 필요한 수초(myelin)가 손상되어 눈의 통증(pain), 시력 상실(vision loss), 색각 장애(loss of color vision) 내지 실명(blindness)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병인에 따라서 시신경염은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다발성 경화증과 관련이 있는 전형적 시신경염(typical optic neuritis)과 다발성 경화증과 관련이 없는 비전형적 시신경염(atypical optic neuritis)이 있다. 전형적 시신경염은 주로 20~55세 사이의 백인에게서 많이 발병하며 여성에게서 더 많은 빈도로 발생한다. 반면에 비전형적 시신경염은 12세 이하 혹은 50세 이상의 전 인종에서 발병한다 (CA Opere, KK O'Brien, MH Elhaj, Optic Neuritis: A Brief Review, US Pharm, 2016, 41(1),35-40).
전형적 시신경염의 치료는 단기적으로는 염증을 막고 회복 속도를 높이며 시력을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장기적으로는 시신경염의 재발을 방지하고 이어지는 다발성 경화증을 예방, 지연, 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반적으로 쓰이는 치료법으로는 고용량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 인터페론 베타(interferon beta) 및 글라티라머 아세테이트(glatiramer acetate) 등이 있다. 스테로이드 요법으로 호전되지 않는 환자에서는 혈장교환술(plasma exchange)이 이용되기도 한다. 비전형적 시신경염은 그 원인이 감염(infection), 압박성 종양(compressive tumor), 영양(nutrition), 독성(toxic) 또는 약물 (drug)등으로 다양하여 원인에 따른 적절한 치료법이 사용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시신경염에 대한 치료법은 염증과 면역 반응의 조절을 통하여 발병속도와 재발 빈도를 늦출 수는 있으나 이미 발생한 신경 손상을 회복할 수는 없으므로 근본적인 질병의 치료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치료법들은 체중 증가, 기분의 변화, 우울증, 안면 홍조, 복부 통증 및 불면증 등의 부작용을 수반하고 있어 사용에 제한이 따르기도 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탈수초성 질환을 예방, 경감 또는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을 탈수초성 질환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65204764-pc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A1 및 A2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치료적 유효량의 하기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을 포함하는, 탈수초성 질환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65204764-pc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8 알킬, C1-C8 할로알킬, C1-C8 티오알콕시 및 C1-C8 알콕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A1 및 A2에서 어느 하나는 CH이며, 다른 하나는 N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치료적 유효량의 상기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을 포함하고,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는, 탈수초성 질환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을 치료적 유효량으로 치료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탈수초성 질환을 예방, 경감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의, 탈수초성 질환을 예방, 경감 또는 치료하거나, 이와 관련된 징후를 개선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및 C1-C8 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C1-C8 할로알킬은 퍼플루오르알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의 카르밤산 (R)-1-(2-클로로페닐)-2-테트라졸-2-일)에틸 에스테르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9065204764-pct00004
상기 화학식 1 및 2의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제조는 당업계에서 화합물 합성에 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공지의 화합물들 또는 이로부터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화합물들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화학식 1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국제공개특허 WO 2006/112685 A1, WO 2010/150946 A1 및 WO 2011/046380 A2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인용된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상기 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화학적으로 합성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적인 방법들을 제시하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단위 조작의 순서 등이 선택적으로 바뀔 수 있는 것으로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은 탈수초성 질환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탈수초성 질환은 신경의 수초가 파괴 또는 제거 등의 손상과 연관된 질환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탈수초성 질환은 중추신경계 또는 말초신경계의 탈수초성 질환일 수 있다. 탈수초성 질환은,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시신경염(Optic neuritis), 데빅 증후군(Devic's disease), 기타 염증성 탈수초성 질환(inflammatory demyelinating diseases), 시각신경척수염(neuromyelitis optica), 만성 완화성 단독 신경병증(chronic relapsing isolated optic neuropathy, CRION), 급성 파종 뇌척수염(acute disseminated encephalomyelitis), 감염후 뇌척수염(postinfectious encephalomyelitis), 급성 출혈성 백색질척수염(acute hemorrhagic leukoencephalomyelitis, AHEM), 발로 집중 경화증(Balo's concentric sclerosis), 쉴더병(Schilder's disease), 마버그 다발성 경화증(Marburg-type multiple sclerosis), 종양성 다발성 경화증(tumefactive multiple sclerosis), 중심다리 수초용해(central pontine myelinolysis), 척수 매독(Tabes dorsalis), 백색질뇌병증(leukoencephalopathies, 진행성 다초점 백색질뇌병증(Progressive multifocal leukoencephalopathy), 백질이영양증 (Leukodystrophies), 부신백색질이영양증 (adrenoleukodystrophy), 부신척수신경병증 (adrenomyeloneuropathy), 크라베병 (Krabbe's disease), 횡단척수염(Transverse myelitis), 길랑-바레 증후군(Guillain-Barre syndrome),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신경병증(chronic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neuropathy), 항-MAG 말초신경병증(Anti-MAG peripheral neuropathy), 샤르코-마리-투스병(Charcot-Marie-Tooth disease), 진행성 염증성 신경병증(Progressive inflammatory neuropathy) 등이 포함된다.
기타 탈수초성 질환은 레베르 유전성 시신경위축(Leber's hereditary optic atrophy) 및 관련 미토콘드리아 질환(related mitochondrial disorders), HTLV(human T-cell lymphotrophic virus)-관련 척수병(HTLV-associated myelopathy) 또는 국소부상, 국소빈혈, 독성 제제 또는 대사 장애(local injury, ischemia, toxic agents, or metabolic disorders)의 결과로서의 탈수초성 질환, 레미테 증후군(Lhermitte syndrome, barber's chair syndrome), 우토프 징후(Uhthoff symptom), 및 바이러스성 탈수초성 질환(viral demyelinating disease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은 다발성 경화증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은 시신경염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다발성 경화증 환자의 상당수는 초기에 시신경에 손상이 되는 시신경염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다발성 경화증은 임상적 단독증후군(clinically isolated syndrome, CIS), 방사선적 단독증후군(Radiologically isolated syndrome, RIS), 임상적 확정 다발성 경화증(clinically definite multiple sclerosis, CDMS), 재발 완화형 다발성 경화증(relapsing remitting multiple sclerosis, RR-MS), 이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secondary progressive multiple sclerosis, SP-MS), 원발성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primary progressive multiple sclerosis, PP-MS) 및 진행 재발형 다발성 경화증(progressive relapsing multiple sclerosis, PR-M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다발성 경화증에 대한 화학식 1 및 2의 화합물의 탈수초성 질환에 대한 활성 측정을 위하여 실험적 자가면역 뇌척수염 모델(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EAE) Model)이 사용될 수 있다. 실험적 자가면역 뇌척수염(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은 실험 동물에 수초기초 단백질(myelin basic protein)을 주입하여 유도되는 염증성 자가 면역 탈수초성 질환이다. 실험적 자가면역 뇌척수염 모델(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EAE) Model)은, 뇌염(brain inflammation) 및 염증성 탈수초화(demyelination) 현상에 의해 야기되는 신경계 질환을 위한 대표적인 모델로서, 다발성 경화증 및 급성 파종 뇌척수염(acute disseminated encephalomyelitis: ADEM) 등의 치료를 위한 신약 후보물질 발굴에 이용된다. 동물에서의 만성 재발형 EAE와 사람에서의 다발성 경화증이 임상 증상이나 조직병리학적 소견에 있어 유사하므로,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탈수초화 질환의 연구를 위해 EAE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Cris S Constantinescu, Nasr Farooqi, Kate O'Brien, Bruno Gran,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EAE) as a model for multiple sclerosis (MS), Br. J. Pharmacol., 2011, 164, 1079-1106).
상기 질환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를 위한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투여량은 통상적으로 질환의 중증도, 치료 대상의 체중 및 대사 상태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개개의 환자에 대한 "치료적 유효량(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은 상기한 약리학적 효과, 즉 치료 효과를 달성하는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은 인간에게 투여 시 1일 1회 투여, 유리형 기준으로 50 내지 500mg, 50 내지 400mg, 50 내지 300mg, 100 내지 400mg, 100 내지 300mg, 50 내지 200mg, 또는 100 내지 200mg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mg, 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mg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경구, 비경구, 정맥내, 근육내, 피하 또는 직장 투여와 같이, 치료제의 투여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약제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치료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카바메이트 화합물,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수화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는, 예를 들어, 독립적으로, 아세테이트, 벤젠설포네이트, 벤조에이트, 비타르트레이트, 칼슘아세테이트, 캄실레이트, 카르보네이트, 시트레이트, 에데테이트, 에디실레이트, 에스톨레이트, 에실레이트, 푸마레이트, 글루셉테이트, 글루코네이트, 글루타메이트, 글리콜로일아르사닐레이트, 헥실레조르시네이트, 하이드라바민,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겐카르보네이트, 하이드록시나프토에이트, 요오다이드, 이세티오네이트, 락테이트, 락토비오네이트, 말레이트, 말리에이트, 만델레이트, 메실레이트, 메틸니트레이트, 메틸설페이트, 무케이트, 납실레이트, 니트레이트, 파모에이트 (엠보네이트), 판토테네이트, 포스페이트/디포스페이트, 폴리갈락트유로네이트. 살리실레이트, 스테아레이트, 서브아세테이트, 석시네이트 또는 헤미-석시네이트, 설페이트 또는 헤미-설페이트, 탄네이트, 타르트레이트, 옥살레이트(oxalate) 또는 헤미-타르트레이트, 테오클레이트, 트리에티오다이드, 벤자틴, 클로로프로카인, 콜린, 디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메글루민, 프로카인, 알루미늄, 암모늄, 테트라메틸암모늄, 칼슘, 리튬, 마그네슘, 칼륨, 나트륨 및 아연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약제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내피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질내 투여, 폐내 투여 및 직장내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경구 투여시, 일 구체예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나정으로, 또는 활성 약제를 코팅하거나 위에서의 분해로부터 보호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투여되는 경로는 치료 대상의 일반적인 조건 및 연령, 치료 조건의 성질 및 선택되는 활성 성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약제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한 번 또는 여러 번의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루 1회 내지 4회로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리형 기준으로 50 내지 500mg, 50 내지 400mg, 50 내지 300mg, 100 내지 400mg, 100 내지 300mg, 50 내지 200mg, 또는 100 내지 200mg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mg, 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mg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약제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좌약, 스프레이, 연고, 크림, 젤, 흡입제 또는 피부 패치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포유동물 투여용, 더 바람직하게는 인간 투여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고체이거나 액체일 수 있으며, 부형제,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분산제, 흡착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방부제, 붕해제, 감미제, 향미제, 활택제, 방출조절제, 습윤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및 윤활제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오스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적절한 부형제(filler)로는, 당(예컨대,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말토스 및 락토스), 전분(예컨대, 옥수수 전분), 당-알코올(예컨대, 만니톨, 솔비톨, 말티톨, 에리스리톨 및 자일리톨), 전분 가수분해물(starch hydrolysates)(예컨대, 덱스트린 및 말토덱스트린), 셀룰로스 또는 셀룰로스 유도체 (예컨대,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적절한 결합제(binder)로는, 포비돈, 코포비돈,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젤라틴, 검류, 수크로스, 전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적절한 방부제(preservative)로는, 벤조산, 소듐 벤조에이트, 벤질 알콜,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솔,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 클로르부톨, 갈레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EDTA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적절한 붕해제(disintegrant)로는, 전분 글리콜레이트 소듐염(sodium starch glycolate), 가교된 폴리비닐 피롤리돈, 가교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전분,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적절한 감미제로는 수크랄로스, 사카린, 소듐 또는 포타슘 또는 칼슘 사카린, 아세설팜 포타슘 또는 소듐 시클라메이트, 만니톨, 프럭토스, 수크로스, 말토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적절한 활택제(glidant)로는 실리카, 콜로이드성 실리콘 디옥사이드, 탈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적절한 윤활제(lubricant)로는, 장쇄 지방산 및 그 염, 예컨대,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스테아르산, 탈크, 글리세라이드 왁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예방하다(prevent)", "예방하는(preventing)" 및 "예방(prevention)"은 질병에 걸릴 가능성을 감소시키거나 가능성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경감시키다(alleviate)", "경감시키는(alleviating)" 및 "경감(alleviation)"은 질병 및/또는 이의 수반되는 증상을 모두 또는 일부 완화시키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치료하다(treat)", "치료하는(treating)" 및 "치료(treatment)"는 질병 및/또는 이의 수반되는 증상을 모두 또는 일부 제거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대상"은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객체가 되는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예컨대, 영장류(primates)(예를 들어, 사람), 소, 양, 염소, 말, 개, 고양이, 토끼, 쥐, 마우스 등), 가장 바람직하게는 사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치료적 유효량"은 연구원, 수의사, 의사 또는 다른 임상의에 의해 모색되며, 치료될 질환 또는 장애의 징후를 경감시킴을 포함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사람에서의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활성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제제의 양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조성물"은 특정 성분을 특정량으로 포함하는 생성물 및 특정량의 특정 성분의 배합물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생성되는 임의의 생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및 약제학적 조성물은 탈수초성 질환, 특히 다발성 경화증 또는 시신경염을 효율적으로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실험적 자가면역 뇌척수염(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EAE) 모델에서의 전신 운동 증상 완화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험적 자가면역 뇌척수염 모델에서 기능적 시각의 지표의 하나인 패턴 망막전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실험적 자가면역 뇌척수염 모델에서 시신경의 보호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망막 절세포 마커인 Brn3a(도 3a) 및 RBPMS(도 3b)를 이용하여 단위 면적당 망막 절세포의 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카르밤산 (R)-1-(2-클로로페닐)-2-테트라졸-2-일)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카르밤산 (R)-1-(2-클로로페닐)-2-테트라졸-2-일)에틸 에스테르(화학식 2의 화합물, 이하에서 "시험 화합물"이라고도 한다)를 국제공개특허 WO 2010/150946호의 제조예 50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험적 자가면역 뇌척수염(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EAE) 모델에서의 전신 운동 증상 완화 효과
실험동물
본 실험을 위해, 수컷 C57BL/6 마우스를 한국의 Orient Bio, Inc.로부터 구입하여, 20~24℃의 주위 온도, 55~75% 상대습도 및 12시간 주기로 명/암이 자동 조절되면서 사료(Agri Brands Purina Korea, Inc.에서 구입) 및 물을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는 환경하에 와이어망 케이지에 넣어, 동물실험 윤리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IACUC))의 실험실 동물 관리 기준에 따라 보관, 관리하였다. 일주일 가량 안정화를 시킨 후, 체중이 18 내지 23g인 마우스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EAE 유발 시료의 제조
모르타르에서 잘 파쇄한 Mycobacterium tuberculosis H37RA(killed and desiccated; Difco, 231141, USA) 100 mg에 Incomplete Freund's adjuvant(IFA; Difco, 263910, USA) 10 ml을 혼합하여 10 mg/ml의 Complete Freund's adjuvant(CFA) 보관용액을 만든 후 4℃에서 냉장 보관하였다. 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MOG35-55; Peptron, Korea)를 PBS(phosphate-buffered saline; Gibco, 10010, USA)에 2 mg/ml로 최종 희석하여 -20℃에서 보관하였다 (MOG35-55 보관용액).
마우스에 투여하기 위한 EAE 유발 시료를 만들기 위해, IFA 용액으로 2 mg/ml로 희석한 CFA 보관용액 1 ml과 MOG35-55 보관용액 1 ml을 각각 다른 주사기에 넣고, 3방향 스톱콕(3-way stopcock)을 사용하여 공기방울이 안쪽에 생기지 않도록 1:1로 10분 이상 잘 섞어 주어 최종 농도가 1 mg/ml인 에멀젼 용액을 얻었다.
PTX(pertussis toxin, PTX; Sigma, P7208, USA) 50 μg을 PBS 500 μl에 녹여 100 μg/ml 퍼투시스톡신(PTX) 보관용액을 만든 후 4℃에서 보관하였다. 실험 때는 이를 PBS에 50배 희석해서 사용하였다.
EAE 유발 시료/약물 투여 및 임상 증상 관찰
실험 첫 날(Day-1), 마우스 당 200 μl씩 상기 EAE 유발 시료 용액을 피하주사로 투여하였다. 같은 날(Day-1) 및 이틀 후(Day-3), 두 번에 걸쳐 PTX 용액 200μl씩을 마우스에 복강 투여하였다. 아울러 EAE 관련 임상 증상이 나타나는지 매일 한 차례씩 관찰하여 EAE 임상 등급(EAE score)으로 표기하였다.
EAE 임상 등급은 아래와 같다.
0.0 : normal gait
0.5 : normal gait, partially limp tail, tip of tail droops
1.0 : normal gait, paralyzed limp tail, tail droops
1.5 : uncoordinated gait, limp tail, hind limb paresis
2.0 : one hind limb dragging, one hind limb paralyzed
2.5 : both hind limb dragging, both hind limb paralyzed
3.0 : forelimb weakness, forelimb reflex after pinching
3.5 : one forelimb paralyzed, loss of movement
4.0 : both forelimb paralyzed, loss of movement
4.5 : moribund, altered breathing
5.0 : death
EAE 임상 등급이 0.5 이상 관찰된 날인 Day-11로부터, 시험 화합물을 30% 폴리에틸렌글리콜 400(polyethylene glycol 400, Sigma, USA]에 녹여, 마우스 체중 1 kg당 10 ml의 용적으로, 10 mg/kg 용량을 매일 한 차례씩 구강 투여하였고, EAE 임상 등급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통계 분석
모든 데이터는 평균±SEM으로 나타내었다. 시험 화합물을 처리한 그룹에서의 EAE 음상 등급을 날짜별로 음성대조군인 비히클 그룹과 비교하였고, 통계 분석은 그래프패드 프리즘 (GraphPad Prism ver. 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스튜던트 t-test 방식으로 양 그룹 간 차이를 분석 처리하였다.
실험 결과
음성대조군인 비히클 그룹 및 시험 화합물 처리군에서의 요일별 EAE 임상 등급 변화는 표 1 및 도 1과 같다. EAE 유발 시료 처리 후 9일째(Day-10)부터 EAE 관련 임상 증상이 관찰되기 시작하였고, Day-11부터 비히클 및 시험 화합물을 각각 1일 1회 투여한 결과, 비히클 그룹은 Day-17에 최고 수준인 2.6±0.8 정도의 임상 증상을 보였고, 시험 화합물 처리군은 Day-17에 2.1±0.6 정도의 임상 증상을 보였다. 시험 화합물 처리군은 Day-19에서 Day-22에 걸쳐 비히클 그룹 대비 EAE 임상 증상의 유의적인 억제가 관찰되었고, 이는 시험 화합물이 다발성 경화증 및 탈수초성 질환의 대표적인 동물모델인 EAE 모델에서 유의적인 약효를 보였음을 의미한다.
[표 1]
Figure 112019065204764-pct00005
실시예 2: 실험적 자가면역 뇌척수염(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EAE) 모델에서의 시신경 손상 완화 효과
실험동물
본 실험을 위해 암컷 C57BL/6 생쥐를 프랑스의 Janvier Labs으로부터 구입하여 핀란드의 동물 실험 위원회의 승인과 조사를 받은 프로토콜에 따라 온도 (22±1℃), 12시간 주기 명암 조절, 자유로운 물과 먹이 섭취 환경에서 관리하였다. 모든 동물은 구입 후 일주일 간 격리시키며 사육장에 적응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고, 11주령의 동물들이 실험에 사용되었다. 핀란드 동물 실험 위원회의 기준에 따라서, 시작점 대비 20% 이상의 체중감소, 질병 진행 정도 (clinical score) 4 또는 그 이상, 혹은 질병 진행 정도 3에서 바로잡기 반사 테스트(righting reflex test)에 실패한 경우에는 인도적인 차원에서 실험을 중단하고 동물을 희생하였다.
EAE 유발
EAE를 유발하기 위하여 100μg의 MOG35-55 펩타이드 (peptide)와 200μg의 열처리를 통해 불활화시킨 마이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 (Mycobacterium tuberculosis)를 100μl의 미네랄 오일 (mineral oil)에 녹인 접종물을 미국의 Hooke Laboratories에서 구입하였다. 생쥐 등의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 두 곳에 접종물을 각각 100μl씩 피하 주사하였다. 접종 두 시간 후와 24시간 후 두 차례에 걸쳐 100μl의 백일해 독 (pertussis toxin)을 복막에 주입하였다.
EAE에 의한 임상 증상 관찰
EAE를 유도한 생쥐들을 매일 관찰하고 아래와 같은 기준을 이용하여 질병의 진행 정도를 측정하였다 (B Gran, G-X Zhang, S Yu, J Li, XH Chen, ES Ventura, M Kamoun, A Rostami, J. Immunol., 2002, 169, 7104-7110).
0 = No disease (증상 없음)
0.5 = Partial tail weakness (부분적인 꼬리 움직임의 약화)
1.0 = Complete tail paralysis (완전한 꼬리의 마비)
1.5 = Flaccid tail and abnormal gait (waddling gait) (약화된 꼬리 움직임과 비정상적인 뒤뚱거리는 걸음걸이)
2.0 = Flaccid tail and clear weakness of hind limbs (약화된 꼬리 움직임과 명확한 뒷다리의 약화)
2.5 = Partial paralysis in one hind limbs (한쪽 뒷다리의 부분적인 마비)
3.0 = Complete paralysis in both hind limbs (양쪽 뒷다리의 완전한 마비)
4.0 = Complete paralysis in both hind limbs and weakness in forelimbs (requires euthanasia) (양쪽 뒷다리의 완전한 마비와 앞다리의 약화, 안락사 필요함)
5.0 = Complete paralysis in all limbs, moribund, death (requires euthanasia) (모든 다리의 완전한 마비, 빈사 상태, 죽음, 안락사 필요함)
화합물 준비 및 투여
시험 화합물은 30% polyethylene glycol 400(PEG 400)를 섞은 증류수에 녹인 후 초음파 파쇄기(sonicator)로 30분간 처리하였다. EAE 유도 후 12일째부터 녹인 화합물(20mg/kg 또는 30mg/kg) 또는 비히클을 매일 1회 복막 내에 주입하였다.
패턴 망막전도(pERG)측정
패턴 망막전도는 EAE 유도 이틀 전과 28일후에 이루어졌다. 옥시부프로카인(oxybuprocaine) 한 방울을 각막에 떨어트려서 부분 마취를 시행하고 체온을 대략 37℃로 유지시켜주는 설치류 실험대에 올려놓고 측정한 후 매트랩 소프트웨어(Matlab software, MathWorks, Natick, M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동물의 희생과 조직의 회수
실험 시기가 종료되었거나 인도적인 차원의 희생 시기가 도달하였을 때에는 조직 고정액(tissue fixative)를 심장 관류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생쥐를 희생시키고 추가 분석을 위하여 안구와 시신경을 적출하였다.
망막 온조직 표본의 형태 분석 (Morphological assessment of retinal wholemounts)
망막의 온조직 표본은 양쪽 눈에서 적출하였고 망막 절세포(retinal ganglion cell) 마커인 RBPMS(RNA binding protein with multiple splicing)와 Brn3a(brain-specific homeobox/POU domain protein 3A) 항체를 이용하여 염색하고 입체 형태학적(stereological) 방식으로 (StereoInvestigator, MicroBrightfield, VT, USA)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
정량적인 데이터는 프리즘 소프트웨어 버전 7(GraphPad Software Inc. La Jolla, CA)를 이용하여 그래프로 그리고 분석하였으며, 데이터는 평균 ± 표준 편차 (mean ± standard deviation) 혹은 표준 오차 (standard error of mean)로 표현하였다. 비히클 그룹과의 비교는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확률(p value)이 0.05보다 작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라고 판단하였다.
실험 결과
1) 패턴 망막전도 진폭(pERG amplitude)
음성대조군인 비히클 그룹 및 화합물 처리군에서의 패턴 망막전도의 측정 결과는 표 2 및 도 2와 같다. EAE 유발 시료 처리 이틀 전에 측정한 기준선(baseline)에 비하여, 비히클 그룹에서는 패턴 망막전도의 진폭이 약 40% 정도 감소하였다(t-test, ***p<0.001). 이와 대조적으로 시험 화합물을 20mg/kg 혹은 30mg/kg으로 처리한 처리군에서는 기준선에 비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시험 화합물에 의해서 EAE 동물 모델의 기능적인 시각 능력(functional vision)을 보호되는 경향성이 있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표 2] 패턴 망막전도 진폭(pERG amplitude)측정값
Figure 112019065204764-pct00006
2) 망막 절세포의 수
음성대조군인 비히클 그룹 및 화합물 처리군에서의 단위 면적당 망막 절세포 수의 측정 결과는 표 3 및 도 3과 같다. EAE 유도 동물에서 비히클 그룹에 비하여 시험 화합물을 20mg/kg 처리한 그룹에서는 단위 면적당 더 많은 수의 망막 절세포가 관찰되었다. 이는 시험 화합물이 EAE 동물 모델의 망막 절세포의 보호에 유의적인 약효를 보였음을 의미한다.
[표 3] 단위 면적당 망막 절세포의 수
Figure 112019065204764-pct00007

Claims (36)

  1. 치료적 유효량의 하기 화학식 2의 카르밤산 (R)-1-(2-클로로페닐)-2-테트라졸-2-일-에틸 에스테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을 포함하는, 탈수초성 질환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제로서,
    탈수초성 질환이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데빅 증후군(Devic's disease), 염증성 탈수초성 질환(inflammatory demyelinating diseasese), 중심다리 수초용해(central pontine myelinolysis), 척수 매독(Tabes dorsalis), 백색질뇌병증(leukoencephalopathies), 백질이영양증(Leukodystrophies), 시신경염(Optic neuritis), 횡단척수염(Transverse myelitis), 길랑-바레 증후군(Guillain-Barre syndrome),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신경병증(chronic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neuropathy), 항-MAG 말초신경병증(Anti-MAG peripheral neuropathy), 샤르코-마리-투스병(Charcot-Marie-Tooth disease), 및 진행성 염증성 신경병증(Progressive inflammatory neuropathy)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약제:
    [화학식 2]
    .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다발성 경화증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약제.
  6. 제5항에 있어서, 다발성 경화증이 임상적 단독증후군(clinically isolated syndrome, CIS), 방사선적 단독증후군(Radiologically isolated syndrome, RIS), 임상적 확정 다발성 경화증(clinically definite multiple sclerosis, CDMS), 재발 완화형 다발성 경화증(relapsing remitting multiple sclerosis, RR-MS), 이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secondary progressive multiple sclerosis, SP-MS), 원발성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primary progressive multiple sclerosis, PP-MS), 및 진행 재발형 다발성 경화증(progressive relapsing multiple sclerosis, PR-M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약제.
  7. 제1항에 있어서, 시신경염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약제.
  8. 제1항 및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 동물 투여용으로 제조된 것인 약제.
  9. 제1항 및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리형 기준으로 50 내지 500mg의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10. 치료적 유효량의 하기 화학식 2의 카르밤산 (R)-1-(2-클로로페닐)-2-테트라졸-2-일-에틸 에스테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을 포함하고,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는, 탈수초성 질환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탈수초성 질환이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데빅 증후군(Devic's disease), 염증성 탈수초성 질환(inflammatory demyelinating diseasese), 중심다리 수초용해(central pontine myelinolysis), 척수 매독(Tabes dorsalis), 백색질뇌병증(leukoencephalopathies), 백질이영양증(Leukodystrophies), 시신경염(Optic neuritis), 횡단척수염(Transverse myelitis), 길랑-바레 증후군(Guillain-Barre syndrome),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신경병증(chronic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neuropathy), 항-MAG 말초신경병증(Anti-MAG peripheral neuropathy), 샤르코-마리-투스병(Charcot-Marie-Tooth disease), 및 진행성 염증성 신경병증(Progressive inflammatory neuropathy)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화학식 2]
    .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다발성 경화증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다발성 경화증이 임상적 단독증후군(clinically isolated syndrome, CIS), 방사선적 단독증후군(Radiologically isolated syndrome, RIS), 임상적 확정 다발성 경화증(clinically definite multiple sclerosis, CDMS), 재발 완화형 다발성 경화증(relapsing remitting multiple sclerosis, RR-MS), 이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secondary progressive multiple sclerosis, SP-MS), 원발성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primary progressive multiple sclerosis, PP-MS), 및 진행 재발형 다발성 경화증(progressive relapsing multiple sclerosis, PR-M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약제학적 조성물.
  16. 제10항에 있어서, 시신경염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17. 제10항 및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 동물 투여용으로 제조된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18. 제10항 및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리형 기준으로 50 내지 500mg의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9. 치료적 유효량의 하기 화학식 2의 카르밤산 (R)-1-(2-클로로페닐)-2-테트라졸-2-일-에틸 에스테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을 인간을 제외한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에서 탈수초성 질환을 예방, 경감 또는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탈수초성 질환이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데빅 증후군(Devic's disease), 염증성 탈수초성 질환(inflammatory demyelinating diseasese), 중심다리 수초용해(central pontine myelinolysis), 척수 매독(Tabes dorsalis), 백색질뇌병증(leukoencephalopathies), 백질이영양증(Leukodystrophies), 시신경염(Optic neuritis), 횡단척수염(Transverse myelitis), 길랑-바레 증후군(Guillain-Barre syndrome),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신경병증(chronic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neuropathy), 항-MAG 말초신경병증(Anti-MAG peripheral neuropathy), 샤르코-마리-투스병(Charcot-Marie-Tooth disease), 및 진행성 염증성 신경병증(Progressive inflammatory neuropathy)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방법:
    [화학식 2]
    .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제19항에 있어서, 다발성 경화증을 예방, 경감 또는 치료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다발성 경화증이 임상적 단독증후군(clinically isolated syndrome, CIS), 방사선적 단독증후군(Radiologically isolated syndrome, RIS), 임상적 확정 다발성 경화증(clinically definite multiple sclerosis, CDMS), 재발 완화형 다발성 경화증(relapsing remitting multiple sclerosis, RR-MS), 이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secondary progressive multiple sclerosis, SP-MS), 원발성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primary progressive multiple sclerosis, PP-MS), 및 진행 재발형 다발성 경화증(progressive relapsing multiple sclerosis, PR-M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방법.
  25. 제19항에 있어서, 시신경염을 예방, 경감 또는 치료하는 방법.
  26. 제19항 및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이 인간을 제외한 포유 동물인 방법.
  27. 삭제
  28. 제19항 및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이 유리형 기준으로 50 내지 500mg인 방법.
  29. 하기 화학식 2의 카르밤산 (R)-1-(2-클로로페닐)-2-테트라졸-2-일-에틸 에스테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을 탈수초성 질환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제를 제조하는 데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탈수초성 질환이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데빅 증후군(Devic's disease), 염증성 탈수초성 질환(inflammatory demyelinating diseasese), 중심다리 수초용해(central pontine myelinolysis), 척수 매독(Tabes dorsalis), 백색질뇌병증(leukoencephalopathies), 백질이영양증(Leukodystrophies), 시신경염(Optic neuritis), 횡단척수염(Transverse myelitis), 길랑-바레 증후군(Guillain-Barre syndrome),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신경병증(chronic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neuropathy), 항-MAG 말초신경병증(Anti-MAG peripheral neuropathy), 샤르코-마리-투스병(Charcot-Marie-Tooth disease), 및 진행성 염증성 신경병증(Progressive inflammatory neuropathy)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방법:
    [화학식 2]
    .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제29항에 있어서, 탈수초성 질환이 다발성 경화증인 것인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다발성 경화증이 임상적 단독증후군(clinically isolated syndrome, CIS), 방사선적 단독증후군(Radiologically isolated syndrome, RIS), 임상적 확정 다발성 경화증(clinically definite multiple sclerosis, CDMS), 재발 완화형 다발성 경화증(relapsing remitting multiple sclerosis, RR-MS), 이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secondary progressive multiple sclerosis, SP-MS), 원발성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primary progressive multiple sclerosis, PP-MS), 및 진행 재발형 다발성 경화증(progressive relapsing multiple sclerosis, PR-M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방법.
  35. 제29항에 있어서, 탈수초성 질환이 시신경염인 것인 방법.
  36. 제29항 및 제33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이 유리형 기준으로 50 내지 500mg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인 방법.
KR1020197018407A 2016-12-14 2017-12-14 탈수초성 질환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를 위한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용도 KR1026359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70226 2016-12-14
KR1020160170226 2016-12-14
PCT/KR2017/014737 WO2018111006A1 (ko) 2016-12-14 2017-12-14 탈수초성 질환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를 위한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571A KR20190087571A (ko) 2019-07-24
KR102635936B1 true KR102635936B1 (ko) 2024-02-13

Family

ID=62559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407A KR102635936B1 (ko) 2016-12-14 2017-12-14 탈수초성 질환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를 위한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용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47798B2 (ko)
EP (1) EP3556365A4 (ko)
KR (1) KR102635936B1 (ko)
WO (1) WO20181110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68375A4 (en) * 2018-10-19 2022-06-29 SK Biopharmaceuticals Co., Ltd. Use of carbamate compound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or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092B1 (ko) 2015-10-22 2018-03-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에틸 파이루베이트(ethyl pyruvate)를 포함하는 말초신경계 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A (ja) * 1984-06-11 1986-01-06 Microbial Chem Res Found 脱髄性疾患治療剤
WO1999008678A1 (en) * 1997-08-14 1999-02-25 F. Hoffmann-La Roche Ag Heterocyclic vinylethers against neurological disorders
PL364680A1 (en) * 2001-02-27 2004-12-13 Ortho-Mcneil Pharmaceutical, Inc. Carbamate compounds for use in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US7598279B2 (en) * 2005-04-22 2009-10-06 Sk Holdings Co., Ltd. Neurotherapeutic azole compounds
US7601844B2 (en) 2006-01-27 2009-10-13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iperidinyl derivatives as modulators of chemokine receptor activity
AU2009348523B2 (en) 2009-06-22 2015-02-26 Sk Biopharmaceuticals Co., Ltd. Method for preparation of carbamic acid (R)-1-aryl-2-tetrazolyl-ethyl ester
US8404461B2 (en) 2009-10-15 2013-03-26 SK Biopharmaceutical Co. Ltd. Method for preparation of carbamic acid (R)-1-aryl-2-tetrazolyl-ethyl ester
WO2016197009A1 (en) * 2015-06-05 2016-12-08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Triazoles for the treatment of demyelinating diseases
KR102421013B1 (ko) 2016-05-19 2022-07-14 에스케이바이오팜 주식회사 삼차신경통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092B1 (ko) 2015-10-22 2018-03-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에틸 파이루베이트(ethyl pyruvate)를 포함하는 말초신경계 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56365A4 (en) 2020-06-17
WO2018111006A1 (ko) 2018-06-21
KR20190087571A (ko) 2019-07-24
EP3556365A1 (en) 2019-10-23
US11147798B2 (en) 2021-10-19
US20190314338A1 (en)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62197A1 (en) Lipids with odd number of carbon atoms and their use as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nutritional supplement
KR102489052B1 (ko) 섬유근육통 또는 섬유근육통의 연관된 기능적 증후군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용도
WO2017044551A1 (en) Ppar-alpha agonists for treating mitochondrial diseases
PT792160E (pt) Factor neurotrofico derivado das celulas gliais utilizado como agente neuroprotector
KR102635936B1 (ko) 탈수초성 질환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를 위한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용도
KR102635938B1 (ko) 양극성 장애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를 위한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용도
US20210393549A1 (en) New use of R-enantiomer of adrenergic beta 2 receptor agonists for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d its extra intestinal manifestations
CN110267657B (zh) 氨基甲酸酯化合物用于预防、缓解或治疗震颤或震颤综合征的用途
JP7417595B2 (ja) てんかん重積状態の予防、軽減又は治療のためのカルバメート化合物の使用
EA029157B1 (ru) Терапия макулярной дегенерации на основе баклофена и акампросата
JP2021502952A (ja) 間質性膀胱炎の処置方法
US20200268711A1 (en) Use Of Carbamate Compound For Reducing Or Treating Developmental Disorders Including Fragile X Syndrome, Angelman Syndrome Or Rett Syndrome
RU2796295C2 (ru) Карбаматное соединение и применение включающей его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облегч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острого стрессового расстройства или посттравматического стрессового расстройства
EP3854391B1 (en) Carbamate compound and use of formulation comprising same in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acute stress disorder 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N112843065B (zh) 一种用于认知障碍的药物及其制备方法
US20230346742A1 (en) Application of sesquiterpene lactone in preparing drug for treating optic neuritis
RU2774970C2 (ru) Применение карбаматных соединений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облегч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биполярного расстройства
US20170196987A1 (en) Methods for treating multiple sclerosis
CN115364100A (zh) Ly2835219作为线粒体自噬诱导剂的用途
CN112641765A (zh) 丙泊酚的抗疲劳制药用途
Barker The metabolic and hormonal response to cataract surgery: A comparison between general and local anaesthes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