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481B1 - 보관 시설 내에서 유닛을 운반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관 시설 내에서 유닛을 운반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481B1
KR102633481B1 KR1020197030815A KR20197030815A KR102633481B1 KR 102633481 B1 KR102633481 B1 KR 102633481B1 KR 1020197030815 A KR1020197030815 A KR 1020197030815A KR 20197030815 A KR20197030815 A KR 20197030815A KR 102633481 B1 KR102633481 B1 KR 102633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exchange
shuttle
items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0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4662A (ko
Inventor
제이드 아부-차크라
Original Assignee
데마틱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17901286A external-priority patent/AU2017901286A0/en
Application filed by 데마틱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데마틱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134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4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85Check-in, check-o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9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cars adapted to travel in storage ais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65G1/065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with self propelled cars

Abstract

보관 시설 내에서 물품을 보관 및 회수하고 전달하기 위한 자동화 창고 보관 시스템이 개시되며, 이 시스템은 복수의 주 다레벨 보관 랙을 포함하고, 주 다라벨 보관 랙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고 또한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복수의 주 다라벨 보관 랙은 적어도 하나의 보관 랙 교환 레벨을 가지며, 물품은 보관 랙에 전달되거나 그로부터 회수되며, 또한 주 다라벨 보관 랙은 적어도 하나의 보관 랙 교환 레벨에서 적어도 하나의 교환 위치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전달 셔틀은, 보관 랙의 교환 위치에 걸쳐 있고 또한 제 1 방향에 대해 횡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전달 셔틀과 교환 위치는 물품을 회수하거나 전달하기 위해 전달 셔틀과 보관 랙의 교환 위치 사이에서 물품을 교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보관 시설 내에서 유닛을 운반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창고 또는 다른 보관 시설 내에서, 보관 유닛 또는 토트(tote)를 포함하여, 피보관 물품을 효율적으로 보관하고 이동시키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과 시스템은 다수 층의 시설 또는 다수 레벨의 보관 랙에 보관되는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을 위한 효율적인 랙간 이동에 대해 특별한 용도를 갖는다. 그러나, 본 방법과 시스템은 더 넓은 용도를 가지며 그 특정한 용도에 한정되지 않는다.
AU 2013301752에는, 보관 시설 내에서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을 운반하기 위해 랙과 셔틀을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거기서, 물품은 횡방향 전달 위치에 의해 서로 인접하는 랙 사이에서 교환되고, 그 위치를 통해 셔틀 자체가 물품을 한 인접 랙으로부터 다른 랙으로 밀거나 끌어 당겨 랙 사이에서 물품을 적극적으로 교환하게 된다. 이로써, 통상적으로 물품의 교환이 일어나는 소위 전방 영역 또는 예비 영역의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통로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랙 사이의 셔틀로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을 전달하고 이를 시설로부터 운반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더욱이, 랙이 혼잡하거나 유지 보수를 위해 가동 중단되면,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을 그 랙 또는 통로를 지나 전달하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하게 된다.
DE 10 2009 032 406 A1에는, 보관 랙킹(racking)이 통로를 담당하는 단일의 레벨 셔틀을 갖는 보관 시설이 개시되어 있고, 그 레벨 셔틀은 랙킹 통로의 한 단부에 있는 리프트를 사용하거나 그 랙킹 통로의 다른 단부에 있는 보관 및 회수 카트(cart)를 사용하여 레벨을 변경하고, 랙킹 통로는 통로의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배향되는 트랙을 따라 있다.
EP 2 287 093 A1에는, 보관 랙킹이 통로를 담당하기 위해 제 1 트랙 상에서 주행하는 단일의 레벨 셔틀을 갖는 보관 시설이 개시되어 있고, 이 보관 시설은 제 1 트랙을 가로질러 배향된 제 2 트랙을 가지며, 셔틀은 제 1 트랙에서 제 2 트랙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보관 시설 내에서 물품을 보관 및 회수하고 전달하기 위한 자동화 창고 보관 시스템이 개시되고, 이 시스템은 복수의 주 다레벨 보관 랙을 포함하고, 상기 주 다라벨 보관 랙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고 통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고 또한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복수의 주 다라벨 보관 랙은 적어도 하나의 보관 랙 교환 레벨을 가지며, 물품은 보관 랙에 전달되거나 그로부터 회수되며, 적어도 2개의 보관 랙 통로는 적어도 하나의 보관 랙 교환 레벨에서 적어도 하나의 교환 위치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전달 셔틀은, 보관 랙의 교환 위치에 걸쳐 있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전달 셔틀과 교환 위치는 물품을 회수하거나 전달하기 위해 전달 셔틀과 보관 랙의 교환 위치 사이에서 물품을 교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랙은 전달 셔틀과 교환 영역을 공유하고, 전달 셔틀의 이동 루트는 교환 위치를 갖는 랙에 걸쳐 있다. 전달 셔틀과 랙의 보관 및 회수 장치가 교환 영역에 접근 가능하여, 이것들은 교환 영역을 통해 물품을 교환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예비 영역을 없앨 수 있거나 적어도 줄일 수 있다.
그러므로 교환 위치를 사용하여 전달 셔틀과 랙의 보관 및 회수 장치의 기능을 버퍼링하고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보관 시설 내에서 물품을 보관 및 회수하고 전달하기 위한 자동화 창고 보관 시스템이 개시되고, 이 시스템은 복수의 주 다레벨 보관 랙을 포함하고, 상기 주 다라벨 보관 랙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고 통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며 또한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서로 이웃하는 통로들의 상기 주 다라벨 보관 랙은 서로 인접하고, 물품의 보관 및 회수를 위한 자동화 보관 및 제거 장치(ASRS)가 각 통로 마다 제공되어 있고, 상기 장치는 피동적인 횡방향 전달 위치를 사용하여 제 1 통로의 보관 랙과 인접 통로의 보관 랙 사이에서 물품을 능동적으로 변위시켜 특정 레벨에 있는 인접 보관 랙 사이에서 직접 물품을 교환하고, 각 통로는 보관 랙 교환 레벨에서 적어도 하나의 교환 위치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전달 셔틀이 보관 랙 교환 레벨에 위치되고, 보관 랙의 교환 위치에 걸쳐 있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교환 위치로 부터 물품을 회수하거나 전달하기 위해 랙의 교환 위치와 물품을 교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보관 시설 내에서 물품을 보관하고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고, 이 시스템은 다수의 보관 랙 레벨에 있는 복수의 보관 랙을 포함하고, 각 보관 랙 레벨은 복수의 주 랙을 포함하고, 주랙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며 또한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시스템은 또한 하나 보다 많은 방향으로 주 랙 상에 접근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이탈할 수 있게 해주는 복수의 교환 단부를 포함하고, 교환 단부 각각은 주 랙 중 하나의 제 1 단부에 위치되고, 교환 단부는 제 2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서로 일렬로 되어 있고, 시스템은 또한 복수의 셔틀을 포함하고, 각 셔틀은 개별적인 보관 랙 레벨에 위치되고, 각 셔틀은 복수의 주 랙에 걸쳐 있고,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을 교환 단부로부터 회수하거나 전달하고 또한 렉간 전달을 제공하기 위해 랙의 교환 단부에 인접하여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어떤 형태에서, 셔틀은 독립적인 운반 차량의 형태로 되어 있다. 어떤 형태에서, 셔틀은 트랙 안내 운반 차량 또는 가동 플랫폼의 형태로 되어 있다. 어떤 형태에서, 셔틀은 와이어 안내 운반 차량 또는 가동 플랫폼의 형태로 되어 있다. 셔틀은 물품을 전달하기 위한 어떤 가동 지지부 또는 컨테이너의 형태라도 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랙 또는 보관 위치 사이에서의 물품 교환을 위한 대안적인 루트를 제공한다. 이는 AU2013301752에서 처럼 직접 랙 교환만이 사용되는 경우 보다 서로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위치되는 랙 사이에서의 교환을 가속시킬 수 있다.
교환 위치를 갖는 교환 레벨 및 전달 셔틀은 일반적으로 보관 랙을 위해 창고의 중심 레벨에 위치될 것이고(수직 방향으로), 하지만 보관 랙 마다 여러 레벨에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심지어 보관 랙의 각 라벨에 존재할 수 있다.
복수의 다라벨 보관 랙은 교환 라벨 마다 적어도 하나의 전달 셔틀이 있는 적어도 2개의 보관 랙 교환 레벨을 갖는다.
반대로, 일반적으로, 교환 레벨 마다 적어도 하나의 전달 셔틀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트랙의 길이, 교환 위치와 랙의 수, 원하는 처리량 등에 따라, 하나 보다 많은 전달 셔틀이 교환 레벨에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임의의 수의 패스트 트랙 통로(또는 트랙)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그래서, (위치 및 배향에 독립적으로) 자체의 트랙에는 예컨대 3개의 전달 셔틀이 있을 수 있고 또는 더 긴 단일 트랙을 공유하는 3개의 전달 셔틀이 있을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보관 랙 사이에서 운반 유닛의 직접 교환이 보관 랙의 횡방향 전달 위치를 통해 한 보관 랙킹 통로로부터 인접 보관 랙킹 통로로 일어나면, 예비 영역에서 분배 및/또는 복잡한 분류가 없어도 되는데, 왜냐하면, 운반 유닛은, 처음에 공통의 랙킹 통로에 배치되지 않더라도, 보관 제거될 때 이미 분류되어 있고 처음에 다른 곳에 보관되더라도 당분간 보관 제거 통로에 보관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통로 외부에서의 분배 및 분류가 없어, 서로를 가로지르는 컨베이어 없이 운반 유닛의 직접적인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는 감소된 그리고 단순화된 기술적 경비 및 더 작은 공간 요건 및 높은 수준의 신뢰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운반 유닛은 요구되는 순서로 각각의 통로로부터 간단히 보관 제거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보관 진입 및 보관 제거 장치는 운반 유닛을 횡방향 전달 위치(Q)에서 움직이는 역할을 하는데, 즉, 랙에는 추가의 구동 기술이 없지만, 보관 진입 및 보관 제거 장치 자체는 횡방향 변위에 관여되는 능동 기구뿐이다. 특히, 보관 진입 및 보관 제거 장치는 소스 통로로부터 운반 유닛을 직접 목표 통로의 횡방향 전달 위치에 두며(다중 깊이 보관 진입에 의해), 이는 인접하는 목표 통로의 보관 진입 및 보관 제거 장치는 그에 간단히 접근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이는 완전 자동화된 보관 시설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해, 접하는 랙의 랙킹 보관 위치는 운반 유닛을 랙의 한측에서 다른 측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고, 그래서, 운반 유닛은 햇치의 경우 처럼 한 랙으로부터 다른 랙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므로, 횡방향 전달 또는 분류가 랙 자체 내에서 가능하고, 따라서 예비 영역에서의 "횡방향 전달"이 없어도 된다.
편리한 방식으로, 횡방향 전달 위치가 보관 랙의 각 레벨 또는 선택된 레벨에 제공된다.
랙의 길이 방향으로 횡방향 전달 위치가 중심에 배치되거나 보관 제거 리프트 또는 보관 진입 리프트에 더 가까이 배치되면, 특히 효과적인 변위-시간 최적화가 얻어진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레벨에서 또한 선택적으로 상이한 위치에서 복수의 횡방향 전달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횡방향 전달 위치는 임시 보관 영역 또는 가장 이상적인 완충 영역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데, 즉 운반 유닛은 실제로 요구되거나 보관 제거될 때까지 그 영역 안에 유지된다. 이는, 횡방향 전달 위치가 운반 유닛의 최종 목표 통로와 관련되면 특히 편리하다.
교환은 보관 진입 또는 보관 제거 장치에 대해 능동적으로 또는 피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즉 한편으로, 횡방향 전달 위치는 단순히 피동적인 보관 위치일 수 있고, 이 위치에서 한 통로의 보관 진입 및 보관 제거 장치는 운반 유닛을 보관하고(즉 운밧 유닛을 보관시킴), 인접 통로의 랙킹 서빙 유닛이 그로부터 운반 유닛을 받는다(즉 운밧 유닛을 보관 제거함). 이러한 절차는 각 랙킹 보관 위치 또는 횡방향 전달 위치에 대해 항상 한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마찬가지로, 횡방향 전달 위치에 피동 롤러, 선택적으로 경사지는 루스(loose) 롤러 컨베이어, 구동 장치를 갖거나 갖지 않는 컨베이어 밸트 등과 같은 대응하는 재료 취급 기술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보관 진입 및 보관 제거 장치는 운반 유닛을 보관할 수 있고, 횡방향 전달 위치의 재료 취급 기술은 운반을 수행한다. 따라서, 횡방향 전달 위치는 통상적인 보관 위치, 경사지거나 경사지지 않으며 능동적인 또는 피동적인 구동 장치를 갖거나 갖지 않는 라이브(live) 보관 랙, 롤러 컨베이어, 벨트 컨베이어 등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횡방향 전달 위치는 또한 운반 유닛을 위한 밀기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횡방향 전달 위치의 단순성으로, 횡방향 전달 위치가 나중에 개장(retrofitting) 및 전환될 수 있고 또한 보관 시스템의 필요한 용량에 유연하게 적합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횡방향 전달 위치는 선택적으로 양방향 또는 일방향 교환 및/또는 능동적인 또는 피동적인 교환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보관 진입 및 보관 제거 장치는 교환 목적으로 횡방향 전달 위치에서 운반 유닛을 단일 깊이 내지 복수의 깊이에서 보관할 수 있다. 한 통로의 보관 진입 및 보관 제거 장치는, 윤반 유닛이 이미 인접 랙에 할당되고 "통상적으로" 대응하는 보관 진입 및 보관 제거 장치에 의해 도달될 수 있는 깊이에서 횡방향 전달 위치에 운반 유닛을 보관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보관 진입 및 보관 제거 장치의 로드 픽업 수단, 예컨대 신축자재형 레일 아암은 연장된 도달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보관 진입 및 보관 제거 장치는 복수의 랙 레벨을 담당하기 위해 승강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운반 유닛은 적층된 형태로 보관되고/보관되거나 운반될 수 있고, 둘 모두는 운반 셔틀을 사용할 때 가능하다.
횡방향 전달 위치와 교환 위치는 매우 큰 하중을 받기 때문에, 횡방향 전달 위치 및/또는 교환 위치는 마찰 감소 표면을 갖고/갖거나 구조적 보강이 이루어지는 것이 편리하다. 그러므로, 운반 유닛에 대한 손상이 또한 감소되거나 심지어 완전히 방지된다.
보관 진입 및 보관 제거 장치는 랙킹 서빙 유닛 또는 단일 레벨 랙킹 서빙 유닛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셔틀 또는 위성 차량이 특히 적합하다. 한 이동 레일로부터 복수의 레벨을 담당하기 위해 리프팅 플랫폼 또는 복수의 로드 픽업 수단 플랫폼(서로 상하로 배치됨)을 갖는 셔틀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동화 보관 및 제거 장치는 통로에 배치되는 셔틀, 소위 통로 셔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달 셔틀 및 통로 셔틀은 소위 MultiShuttle® 장치일 수 있는데, 이 장치는 특히 단일 레벨 랙 서빙 유닛 또는 셔틀로서 사용된다. 이는 예컨대 EP 1 254 852 A1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셔틀은, 통로에서 작동하고 랙을 담당하는 레일 구속 차량이다. 셔틀은 예컨대 EP 2 351 698 A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신축자재형 로드 취급 수단을 갖는 물품 지탱 영역을 갖는 레일 안내 차량이다. 셔틀은 또한 EP 2 526 032 A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연한 길이(이동 방향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을 가질 수 있고 그래서 가변적인 물품 지탱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셔틀은 2개의 변형예, 즉 "캡티브(captive)" 또는 "로밍(roaming)" 배치로 사용될 수 있다. 캡티브 배치에서, 셔틀은 각각의 레벨에 유지되는데,이는 셔틀은 단일 레벨에서 한 통로만 담당함을 의미한다. 로딩 배치에서, 셔틀은 요구 사항에 따라 레벨을 변경할 수 있는데, 이는 셔틀은 레벨을 변화시킬 수 있고 혹시 심지어 통로를 변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의 배향이 서로에 대해 횡방향이므로, 지탱 셔틀에 대한 물품의 배향은 한 셔틀에서 다른 셔틀로의 전달시 변하게 된다. 그러므로, 전달 셔틀은 통로 셔틀에 있는 물품을 가로질러 배향되는 물품을 지탱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예컨대 가변적인 물품 지탱 영역(전술한 바 참조) 또는 상이한 고정된 길이를 사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각 또는 선택된 통로는 하나 보다 많은 교환 위치를 가질 수 있다. 한 통로는 각각의 랙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한 통로는 예컨대 통로 안으로의 물품 진입을 위해 완충 목적을 추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다른 통로는 통로로부터의 물품 배출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교환 위치가 랙의 길이 방향으로 보관 제거 리프트 또는 보관 진입 리프트에 가깝게 배치되면 특히 효과적인 변위-시간 최적화가 얻어진다.
교환 위치는 임시 보관 영역 또는 가장 이상적인 완충 영역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데, 즉 운반 유닛은 실제로 요구되거나 보관 제거될 때까지 그 영역 안에 유지된다. 이는, 교환 위치가 운반 유닛의 최종 목표 통로와 관련되면 특히 편리하다.
어떤 형태에서, 교환 위치는, 전달 셔틀이 접근 가능하고 또한 각 통로의 자동화 보관 및 제거 장치가 접근 가능한 교환 플랫폼으로 형성된다.
그러한 교환 플랫폼은 랙 내의 선반 또는 보관 위치와 같은 평평한 표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그것은, 전달 셔틀 및 ASRS(또는 통로 셔틀)이 서로 접근 가능한 영역으로서 기능하고, 그래서 셔틀은, 마치 교환 플랫폼이 통상적인 보관 선반인 것처럼, 물품을 그 교환 플랫폼 상에 번갈아 배치하거나 그로부터 회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대안적인 버젼에서, 교환 위치는, 자동화 보관 및 제거 장치 또는 통로 셔틀을 위해 전달 셔틀이 들어 올리거나 내려 놓을 수 있도록 물품을 위치시킬 수 있는 컨베이어 수단에 의해 기계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마찬가지로, 교환 위치에 피동 롤러, 선택적으로 경사지는 루스 롤러 컨베이어, 구동 장치를 갖거나 갖지 않는 컨베이어 밸트 등과 같은 대응하는 재료 취급 기술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보관 진입 및 보관 제거 장치는 운반 유닛을 내려놓을 수 있고, 교환 위치의 재료 취급 기술은 운반을 수행한다. 따라서, 교환 위치는 통상적인 보관 위치, 경사지거나 경사지지 않으며 능동적인 또는 피동적인 구동 장치를 갖거나 갖지 않는 라이브 보관 랙, 롤러 컨베이어, 벨트 컨베이어 등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교환 위치는 또한 운반 유닛을 위한 밀기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교환 위치는 보관 랙 또는 통로의 한 단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스트 트랙 교환 및 혹시 또한 횡방향 전달 위치를 사용하는 실시 형태에서, 시스템은 전달 셔틀의 트랙에 인접하여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향되는 보조 랙을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실시 형태에서, 시스템은 복수의 제 2 주 다레벨 보관 랙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 1 주 다라벨 보관 랙의 교환 위치 및 복수의 제 2 주 다레벨 보관 랙의 교환 위치는 서로 마주한다.
시스템은 보관 랙 레벨과 보관 랙 교환 레벨 사이에서 물품을 교환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물품 리프트를 포함하는 것, 특히 통로 셔틀이 캡티브한 것이 유용하다. 그래서 리프트는 각 랙에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통로의 한 리프트는 제거 리프트로서 구성될 수 있고 다른 리프트는 진입 리프트로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제거 및 진입 모두를 위해 하나의 리프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떤 리프트 구성에서도, 리프트로부터 물품을 받거나 물품을 리프트에 전달하는 버퍼 위치(예컨대, 롤러 컨베이어)를 사용하여 리프트를 통로 담당 기계, 즉 ASRS 또는 셔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리프가 각 운반 위치에 대해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컨베이어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각 리프트는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컨베이어가 제공되는 2개의 운반 위치를 갖는 것이 의미 있고, 그 컨베이어는 상이한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그러므로, 각 레벨에 대한 두 운반 유닛의 전달은 상이한 방향으로 또는 버퍼 상으로, 예컨대 좌우로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이를 위해, 운반되는 물품을 리프트 상에 수용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물품이 한 레벨에 전달되도록 제어된다.
시스템 내에서 주문 이행을 위해 상품-개인 픽킹 스테이션(GTP)이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은, GTP 용례에서 사용되는 경우, 통로, 픽킹 스테이션, 리프트의 수, 교환 트랙 또는 루트 및 위치의 수, 주문 이용 및 분배와 주문 및 보관 상세(프로파일)에 근거하여, 주문 처리 및 전 케이스 취급을 위한 4개의 전략, 및 패스트 트랙 교한 및/또는 횡방향 전달에 의한 랙간 교환을 사용하는 자동 보관 시설에 있는 전 소스 유닛의 통합 전략을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 관련된 소스 유닛만이 횡방향 전달 위치 및/또는 전달 셔틀에 의해 특정 통로에 전달되고, 이 통로는 통로들 사이에서 횡방향 전달 위치에서의 이동의 최소화 및/또는 교환 위치와 전달 셔틀을 사용하는 이동의 최소화 그리고 주문 이용과 분배에 근거하여 선택된다. 다시 말해, 픽킹 목적으로, 선택된 통로는 주문 처리 또는 전 소스 유닛의 통합을 위한 제품 유닛 이동의 최소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통로이고, 주문 또는 부분적인 주문은 단일의 픽킹 스테이션에서 완료될 수 있다.
- 주문 유닛만 횡방향 전달 위치에 의해 그리고/또는 교환 위치와 전달 셔틀을 사용하여 보관 시설에서 전달된다. 다시 말해, 픽킹은 각 관련 통로에서 수행되고, 주문이 이행될 때까지, 관련 제품 유닛은 그 통로에서 보관되고 주문 유닛은 복수의 통로를 통해 "이동"하여 복수의 픽킹 스테이션으로 가게 된다.
- 주문 유닛 및 제품 유닛은 횡방향 전달 위치에 의해 그리고/또는 교환 위치와 전달 셔틀을 사용하여 자동 보관 시설에서 전달된다. 다시 말해, 픽킹은 더 작은 수의 선택된 통로에서 수행되고, 주문을 위한 관련 제품 유닛은 횡방향 전달 위치 및/또는 전달 셔틀에 의해 통합되고, 그래서 주문이 이행될 때까지 주문 유닛은 복수의 통로를 통해 동일한 방식으로 "이동"하여 선택된 픽킹 스테이션으로 가게 된다. 주문 유닛과 제품 유닛의 통합은 주문 이용과 분배의 최적화 및 그러한 가동 리소스, 예컨대 랙킹 서빙 유닛, 리프트 등의 최적 사용에 기반한다.
- 횡방향 전달 위치에서의 횡방향 변위의 최소화를 고려하여 또는 교환 위치 및 전달 셔틀을 사용하여, 보관 진입시에 이용 가능한 정보에 근거하여, 들어가는 소스 유닛 또는 전체 소스 유닛은, 주문 처리를 위해 사용될 또는 사용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특정한 통로 또는 가장 가까운 가능한 통로 안으로 직접 들어가 자동 보관 시설에 보관된다. 이 정보는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하지만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 보관 시설에서 순간적인 제품 분배 또는 각 제품의 편차;
- 개별 통로와 이미 관련된 주문;
- 처리 대기 중인 주문;
- 패밀리 또는 제품 카테고리의 요약.
GTP 스테이션은 개별적인 픽킹 레벨에 배치될 수 있고, 물품을 GTP에 운반하기 위해 리프트(전술한 바와 같은)를 사용하여 직접적인 연결로 소싱될 수 있다. 각 통로 또는 선택된 통로는, 바람직하게는 각 랙의 두 리프트(한 리프트는 배출을 위한 것이고 다른 한 리프트는 공급을 위한 것임)을 사용하여 GTP 스테이션 또는 대안적으로 하나 보다 많은 GTP 스테이션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보관 시설 내에서 물품을 보관, 회수 및 전달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며, 이 방법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고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보관 및 회수 장치의 서비스를 받는 복수의 주 보관 랙을 제공하는 단계; 교환 레벨에서 각 주 랙의 한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보관 및 회수 장치로부터 물품을 받으며 또한 보관 및 회수 장치가 물품을 들어 올릴 수 있게 해주도록 구성된 복수의 정렬된 교환 위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교환 레벨에 있고 교환 레벨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 2 방향으로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복수의 정렬된 교환 위치에 걸쳐 이동하는 전달 셔틀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랙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물품을 운반하기 위해 셔틀과 교환 위치 사이에서 물품을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보관 시설 내에서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을 보관하고 전달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며, 본 방법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고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주 랙을 제공하는 단계, 주 랙 상에 접근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이탈할 수 있게 해주는 복수의 정렬된 교환 단부를 제공하는 단계, 복수의 랙에 걸쳐 있고 교환 단부에 인접하여 제 1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주적인 셔틀을 제공하는 단계, 및 셔틀을 이용하여 랙 사이에서 물품을 운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과 관련하여 논의된 상세 및 특징은 제안된 방법에서 적용되거나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통로는 보관 및 회수 장치로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리프트를 사용하여 물품을 상기 교환 레벨에 또한 그로부터 전달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물품을 보관, 회수 및 전달하기 위한 방법은, 랙으로부터 물품을 상기 통로 셔틀 상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통로 셔틀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방향으로 물품을 상기 교환 위치에 가까운 위치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 2 방향으로 물품을 교환 위치 상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 1 방향으로 물품을 교환 단부로부터 상기 전달 셔틀 상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전달 셔틀을 사용하여 물품을 제 2 방향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방법은 상기 전달 셔틀을 사용하여 상기 제 2 방향으로 물품을 상기 교환 위치에 가까운 위치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 1 방향으로 물품을 교환 위치 상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 2 방향으로 물품을 교환 단부로부터 상기 통로 셔틀 상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통로 셔틀을 사용하여 물품을 제 1 방향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통로 셔틀로부터 물품을 랙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시스템은 랙 사이에서의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의 이동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음에 따라 보관 시설에 사용되기에 유리하다. 또한, 어떤 형태에서, 본 시스템은 일련의 랙을 가로지르는 하나 보다 많은 루트를 허용할 수 있어, 장애물로 인한 정체된 영역(들)을 피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방법에도 해당된다.
본 개시에서,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은 보관 시설에서 사용되는 보관되는 물품, 보관 유닛 또는 토트을 넓게 규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의 설명적인 용어는 보관되거나 전달되는 대상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랙이라는 단어는 보관 시설에 사용되는 보관 랙을 말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다른 용어는 언급되는 랙, 선반 또는 스탠드에 대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시스템과 방법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것이 편리하다. 도면 및 관련 설명의 상세 사항은 방법과 시스템에 대한 앞의 전반적인 설명의 일반성을 대체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시스템의 한 실시 형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a는 도 1의 확대된 교환 위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랙들 사이이 직접 교환을 나타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를 나타내며, 도 4는 본 개시의 시스템의 제 2 실시 형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시스템의 제 3 실시 형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시스템의 제 3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개시의 시스템의 제 4 실시 형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개시의 시스템의 제 5 실시 형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제 1 원리에 따라 작동되는 본 발명의 보관 시설의 단순화된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제 2 원리에 따라 작동되는 본 발명의 보관 시설의 단순화된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제 3 원리에 따라 작동되는 본 발명의 보관 시설의 단순화된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제 4 원리에 따라 작동되는 본 발명의 보관 시설의 단순화된 개략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보관 시설 내에서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을 보관하고 또한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을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다수의 보관 랙 레벨에 있는 복수의 보관 랙을 포함하고, 각 보관 랙 레벨은 복수의 주 랙을 가지며, 주 랙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고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시스템은 또한 하나 보다 많은 방향으로 주 랙 상에 접근하거나 그로부터 이탈할 수 있게 해주는 복수의 교환 단부를 포함하고, 각 교환 단부는 주 랙 중 하나의 제 1 단부에 위치되고, 교환 단부는 제 2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서로 일렬로 있고, 복수의 자주적인 셔틀이 제공되어 있고, 각 셔틀은 개별적인 보관 랙 레벨에 위치되고, 각 셔틀은 복수의 주 랙에 걸쳐 있고 또한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교환 단부로부터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을 회수하거나 전달하고 또한 랙간 전달을 제공하기 위해 교환 단부에 인접해 있다.
어떤 형태에서, 주 랙의 적어도 일부분은 서로 인접하여 쌍으로 배치된다.
어떤 형태에서,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의 직접 전달은 랙의 서로 인접하는 쌍사이에서 일어난다.
어떤 형태에서, 접근 통로가 쌍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어떤 형태에서,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의 직접 전달은 통로에 위치하는 셔틀을 사용하여 그 통로를 가로질러 일어난다.
어떤 형태에서, 교환 단부는,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이 셔틀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이 하나 보다 많은 접근 영역 사이를 지나갈 수 있게 해주는 교환 영역을 포함한다. 어떤 형태에서, 교환 단부는 90도를 통해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을 교환할 수 있게 해준다.
어떤 형태에서, 시스템은 자주적인 셔틀의 이동에 평행하게 배향되는 보조 랙을 더 포함한다.
어떤 형태에서, 보조 랙은 주 랙으로서 작용한다. 어떤 형태에서, 보조 랙은 90도 방향 전환된다.
어떤 형태에서, 시스템은 복수의 루트에 걸쳐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이 보관 랙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보관 시설 내에서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을 보관하고 또한 그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고, 이 방법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고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주 랙을 제공하는 단계, 각 주 랙의 한 단부에 위치되고 주 랙 상으로의 접근 또는 그로부터의 이탈을 가능하게 해주는 복수의 정렬된 교환 단부를 제공하는 단계, 복수의 랙에 걸쳐 있고 정렬된 교환 단부에 인접하여 실질적으로 제 1 방향을 가로질러 주행하도록 구성된 자주적인 셔틀을 제공하는 단계, 및 이 셔틀을 사용하여 랙 사이에서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을 운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어떤 형태에서, 본 방법은 제 1 방향으로 주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통로 셔틀을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어떤 형태에서, 본 방법은, 랙으로부터 물품을 상기 통로 셔틀 상으로 전달하는 단계, 제 1 방향으로 물품을 교환 단부에 가까운 위치로 전달하는 단계, 제 2 방향으로 물품을 교환 단부 상으로 전달하는 단계, 제 1 방향으로 물품을 교환 단부로부터 자주적인 셔틀 상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물품을 제 2 방향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어떤 형태에서, 본 방법은 주 랙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90도 방향 전환된 추가의 보조 랙을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전 시스템에서는, 다층 시스템에서 랙 또는 통로 사이에서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을 이동시킬 때, 물품을 한 랙으로부터 다른 랙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필요하여, 이동이 단일 루트 또는 복수의 랙과 교차하는 적어도 하나의 루트에 한정된다.
도는 전체적으로 참조 번호 "1"로 나타나 있는 보관 시설을 도시하며, 이 시설은 복수의 보관 랙킹 통로(2) 및 복수의 레벨(3)을 갖는 보관 랙(R)을 갖는다.
이 형태에서,보관 랙(R)은, 외부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보관 랙(R) 각각은 서로 인접하여 쌍으로 배치되고 일측에서 랙킹 랙킹 보관 통로(2)를 갖도록 배치된다. 각 경우에 내부에 위치되는 보관 랙(R)은 그의 "후방부"로 서로에 접한다.
한 단부측에는, 각 경우에 2개의 위치를 갖는 리프트(8)가 각 보관 랙킹 통로(2)를 위해 제공된다. 어떤 형태에서, 최하측 레벨에서, 리프(8)에는 보관 진입공급 라인(4) 및 보관 제거 공급 라인(6)이 인접해 있다(도 8 참조). 보관 랙킹 통로(2)에서 이동하는 위성 차량(5)(통로 셔틀이라고도 함)으로부터 리프트(8)를 분리시키기 위해, 리프트(8)와 각 레벨(3)에서 있는 보관 랙(R) 사이에는 대응하는 보관 진입 및 보관 제거 버퍼 라인(7, 9)이 있다. 보관 진입 공급 라인(4) 및 보관 제거 공급 라인(6)이 픽킹 위치 등을 위한 적절한 전달 라인에 연결되어 있다.
셔틀(5)은 그 위치에서 각 랙킹 보관 통로(2)에서 각 레벨(3)에 제공되어 있다. 이는 소위 "캡티브(captive)" 변형예인데, 이 경우, 셔틀(5)은 한 레벨(3)에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고, 이론적으로 가능한 레벨 또는 통로를 변경하지 않는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셔틀(5)은 각각의 운반 유닛(T)(로딩 보조구 등이 없는 상자, 트레이, 컨테이너, 상품,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운반 플랫폼(10)을 포함한다. 각 경우에 운반 플랫폼(10)의 측면에는 신축자재형 아암(11)이 배치되며, 이 아암은 운반 유닛(T)을 플랫폼(10)으로부터 밀어내거나 플랫폼 상으로 위로 끌어 당기게 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신축자재형 아암(11)은 보관 랙킹 통로(2)의 양측에서 랙(R) 안으로 진입할 수 있고, 공지된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는 캐리어(12)를 가질 수 있다.
보관 랙(R)에는 각 레벨(3)에서, 운반 유닛(T)을 한 랙(R)으로부터 인접 랙(R)으로 횡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한 특정한 교환 위치(Q)가 제공되어 있고, 그래서 운반 유닛(T)은 보관 랙(R) 자체의 내부에서 교환되며 예비 영역에서의 대응하는 경비(outlay)가 회피될 수 있다.
그로므로 셔틀(5) 또는 그의 신축자재형 아암(11)은 운반 유닛(T)을 횡방향 전달 위치(Q)에 배치할 수 있고 그것들을 인접 랙(R) 내의 대응 위치 안으로 밀어넣을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운반 유닛(T)은 신축자재형 아암(11)의 캐리어(12)의 작용을 받아 제 1 랙(R)의 한 횡방향 전달 위치(Q)의 후방 보관 위치(13)를 넘어 인접 랙(R)의 인접 횡방향 전달 위치(Q)의 각각의 후방 보관 위치(13)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또한, 보관 랙(R)은 횡방향 전달 위치(Q2)를 포함한다. 횡방향 전달 위치(Q)와는 달리, 횡방향 전달 위치(Q2)는 양방향인데, 이는 2개의 랙(R)으로부터 각각 인접하는 랙(R)으로의 교환이 일어날 수 있음을 의미하며, 방향은 먼저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운반 유닛에 의해 결정된다. 각 경우에 복수의 "통상적인" 횡방향 전달 위치(Q)가 제공되어(이 경우, 각 랙(R)에 대해 2개의 횡방향 전달 위치가 있음), 그 위치는 즉시 비워질 필요는 없고, 보관으로부터 제거될 주문품의 구성에 따라 임시 보관 영역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그 임시 보관 영역으로부터 주문품은 보관으로부터 직접 제거된다. 그러므로, 인접하는 랙킹 통로의 셔틀이 분리될 수 있다.
보관으로부터의 제거를 위해, 운반 유닛(T)은 셔틀(5)에 의해 보관 랙(R)으로부터 제거되어 보관 제거 버퍼(9)에 전달되고, 이 버퍼는 운반 유닛(T)을 계속 리프트(8)에 전달하고 또한 그래서 보관 제거 공급 라인(6)에 전달한다. 반대로, 보관 진입 공급 라인(4), 리프트(8) 및 보관 제거 버퍼(7) 및 셔틀(5)을 통해 각각의 보관 랙(R) 안으로 보관 진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보관 진입 및 보관 제거는 또한 풀릴 수 있고 또한 보관 랙(R) 상의 다른 지점에서, 예컨대, 다른 단부측에서 일어날 수 있고 또는 심지어 보관 랙(R)에서 옆에서 통합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1a를 참조하면, 창고(1)의 보관 시설(2)이 개시되어 있다. 이 도시되어 있는 형태에서, 주 랙(R)은 제 1 단부(13a)로부터 제 1 방향으로 교환 단부(13b)까지 연장되어 있다. 교환 단부(13b)는 공유 영역의 형태일 수 있고, 제 1 방향으로 교환 플랫폼(14) 상에 접근하거나 그로부터 이탈할 수 있게 해주고 또한 제 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 2 방향으로 교환 플랫폼(14) 상에 접근하거나 그로부터 이탈할 수 있게 해준다. 교환 단부(13b)는, 교환 플랫폼(14)의 인접하는 측면에 위치되는 복수의 접근 영역(15)을 포함한다.
도시되어 있는 형태에서, 각 주 랙(R)의 교환 단부(13b) 또는 플랫폼(14)은 제 2 방향(제 1 방향 및 주 랙의 길이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임)으로 서로 정렬된다. 교환 단부(13b)의 정렬로, 주 랙(R)의 일 단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패스트 트랙(fast-track) 통로(16)가 생길 수 있다.
어떤 형태에서, 시스템(1)은 패스트 트랙 전달 셔틀(17)을 더 포함하고, 이 셔틀은 제 2 방향으로, 즉 복수의 주 트랙(R)의 길이를 가로질러 패스트 트랙 통로(16)를 따라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어떤 형태에서, 패스트 트랙 전달 셔틀(17)은 복수의 교환 단부 및 플랫폼에 인접하도록 위치된다. 어떤 형태에서, 자주적인 패스트 트랙 셔틀(17)은, 한 주 랙(R)의 교환 플랫폼(14)으로부터 물품 또는 유닛을 얻어 다른 랙의 교환 플랫폼(14)에 전달함으로써 통로간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패스트 트랙 셔틀(17)의 운동 방향은 통로(16)을 따라 있고 위치를 모든 주랙과 "공유"한다.
각각의 또는 선택된 통로는 하나 보다 많은 교환 위치(14)를 갖는다. 각 위치는 각각의 랙(R)과 일렬로 배치된다. 교환 위치(14)는 평평한 표면을 갖는 교환 플랫폼으로 형성되고, 그 표면에는 전달 셔틀(17) 및 각 통로의 통로 셔틀(5)이 접근 가능하다.
다시 말해, 각 위치는 전달 셔틀(17) 및 통로 셔틀(5)이 서로 접근 가능한 영역(교환 영역)으로서 기능하고, 그래서 이들 셔틀은, 마치 교환 플랫폼(14)이 통상적인 보관 선반인 것처럼, 물품을 그 교환 플랫폼 상에 번갈아 배치하거나 그로부터 회수할 수 있다.
교환 위치는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 모두로 물품의 단일의 깊은 배치 또는 복수의 깊은 배치를 가능하게 해준다.
이러한 교환 과정은 도 1a에 나타나 있는데, 이 도에서 해시선 또는 점선은 전달 셔틀(17)과 물품(i)의 운동을 나타낸다.
교환 플랫폼(14)에 인접하는 제 1 위치에서, 전달 셔틀(17)은,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교환 플랫폼으로부터 물품(i)을 그의 지탱 영역 상으로 끌어 당길 수 있다. 제 2 위치에서, 전달 셔틀(이제 17*로 나타나 있음)은,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물품(i)을 그의 지탱 영역으로부터 각각의 교환 플랫폼(14*) 상으로 밀 수있다.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통로 셔틀(5)은 물품(i)을 각각의 교환 플랫폼으로 지탱 영역 상으로 끌어 당기거나 또는 물품(i)을 지탱 영역으로부터 각각의 교환 플랫폼(14*) 상으로 밀 수 있다.
제 1 방향의 배향과 제 2 방향의 배향이 서로에 대해 횡방향이므로, 셔틀(5, 17) 상의 물품의 배향은 한 셔틀에서 다른 셔틀로 전달됨에 따라 변하게 된다. 그러므로, 전달 셔틀(17)은 통로 셔틀(5) 상의 물품과 비교하여 횡방향으로 배향되는 물품을 지탱하도록 되어 있다.
어떤 형태의 시스템은 주 랙 사이에서의 운동에 대한 정지 또는 방해의 수를 줄여 랙 사이의 가능한 대안적인 루트를 증가시키고 또한 랙 사이에서의 운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이점을 갖는다.
도 4를 참조하면, 시스템의 대안적인 실시 형태가 개시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는, 대체로 서로 평행한 복수의 주 랙(R)을 포함하는 보관 시설이 개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형태에서, 주 랙(R)의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인접하여 쌍으로 배치된다. 쌍으로 있을 때, 랙(3)의 한 측면 가장자리(35)는 인접 랙의 측면 가장자리(35)와 접하게 된다. 랙(R)의 쌍은 랙(R)에의 접근을 가능하게 해주는 통로(2)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이 도시된 형태에서, 주 랙(R)은 제 1 단부(38)로부터 제 1 방향으로 교환 단부 또는 교환 플랫폼(14)까지 연장되어 있다. 교환 단부(14)는 공유 영역의 형태일 수 있고, 제 1 방향으로 교환 단부(14) 상에 접근하거나 그로부터 이탈할 수 있게 해주고 또한 제 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 2 방향으로 교환 단부(14) 상에 접근하거나 그로부터 이탈할 수 있게 해준다. 교환 단부(14)는, 교환 단부(10)의 인접하는 측면에 위치되는 복수의 접근 영역(15)을 포함한다. 접근 영역(11) 사이의 통로는 한 셔틀에서 다른 셔틀로의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고, 이때 운동은 두 방향으로 일어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의 회전이 일어난다.
각 주 랙(3)의 교환 단부(10)는 제 2 방향(제 1 방향 및 주 랙의 길이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임)으로 서로 정렬된다. 교환 단부(10)의 정렬로, 주 랙(3)의 일 단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패스트 트랙 통로(12)가 생길 수 있다.
시스템(1)은 복수의 주 랙의 길이를 가로지르는 제 2 방향으로 패스트 트랙(12)을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주적인 패스트 트랙 셔틀(13)을 포함한다. 자주적인 패스트 트랙 셔틀(13)은 복수의 교환 단부에 인접해서 주행하도록 위치된다. 자주적인 패스트 트랙 셔틀(13)은, 한 주 랙(3)의 교환 단부(10)로부터 물품 또는 유닛을 얻어 다른 랙의 교환 단부(10)에 전달함으로써 통로간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시스템(1)은, 주 트랙(R) 사이에 위치되는 통로(6)에서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자주적인 통로 셔틀(5)을 더 포함한다. 이 통로 셔틀(5)은 사용시 랙 내의 위치로부터 물품을 얻어 제 1 방향으로 랙(R) 내의 다른 위치 또는 패스트 트랙 셔틀에의 교환을 위한 교환 단부(14)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조 랙(18) 또는 패스트 트랙 레인(lane)이 주 랙에 대해 어떤 각도로 배치되어 있다. 이 형태에서, 보조 트랙(18)은 제 1 방향에 대해 90도로 배치되어 있는데, 즉, 보조 트랙은 주 트랙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다. 패스트 트랙 셔틀(17)은 보조 트랙(18)과 일렬로 연장되어 있는 루트를 갖는다. 어떤 형태에서, 이 루트는 트랙을 따라 배치된다.
보조 트랙(18)은 여전히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을 보관하고 전달할 때 랙으로서 기능한다.
주 랙(R)과는 달리, 어떤 형태에서 보조 랙(18)은 물품을 3중으로 깊히 보관할 수 있는데, 이는 교환 플랫폼(14)을 사용하여 물품이 셔틀(5)과 셔틀(17) 사이에서 교환될 때 그 물품의 배향이 변하기 때문이다.
실시 형태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패스트 트랙 전달 셔틀(17)을 사용하여, 횡방향 위치 전달을 수행하는 통로 셔틀에 대한 셔틀 작업 부하를 변경하거나 줄일 수 있고, 또한 더 큰 거리를 갖는 랙과 통로 사이에서의 전달을 빠르게 할 수 있다. 어떤 형태에서, 패스트 트랙 전달 셔틀의 사용으로, 보조 랙과 주 랙 사이의 더 작은 거리의 더 빠른 이동이 가능하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주 랙(3)을 포함하는 추가 시스템(1)이 나타나 있다. 주 랙(R)의 일부분은 서로 인접하여 쌍(4)으로 배치되어 있다. 쌍으로 있을 때, 랙(R)의 한 측면 가장자리(5)은 인접하는 랙의 측면 가장자리(5)와 접한다. 랙의 쌍(4)은 랙(R)에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통로(6)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주 랙(R)은 주 랙의 한 단부에 위치되는 교환 단부(14)를 포함한다. 이 교환 단부는 다른 주 랙(R)의 교환 단부(104)와 정렬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을 교환 단부 상으로 또는 그로부터 전달할 수 있게 해준다. 전달은 주 랙(R)의 길이와 정렬되는 제 1 방향으로 또는 주 랙을 가로지르는 제 2 방향으로 일어날 수 있다. 교환 단부(104)로부터의 전달은 교환 단부(14)의 인접 측면으로부터 일어난다.
이 도시된 형태에서, 자주적인 패스트 트랙 셔틀(17)은 내부 통로에서 교환 단부로부터 패스트 트랙 셔틀(17) 상으로의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의 통로간 전달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교환 단부(10)에 인접하여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자주적인 통로 셔틀(5)은 랙(R)과 일렬로 주 랙을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형태에서, 보조 랙(8)이 주 랙(R)에 수직하게 또한 패스트 트랙 셔틀(17)과 정렬되어 연장되어 있다.
이 형태에서 랙의 레벨 또는 층 사이에서의 전달을 위한 복수의 리프트(8)가 해 나타나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고, 이 시스템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 형태의 여러 특징을 공유하며, 그래서 차이점만 설명할 것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 두 세트의 독립적인 주 랙(R)이 사용되고, 주 랙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에 대해 횡방으로 있는 패스트 트랙 통로(16)에서 주행하도록 구성된 패스트 트랙 전달 셔틀(17)을 가지며, 이 셔틀은 주 랙(R)의 세트 사이에서 공유된다. 그러므로, 2개의 보관 랙 세트가 사용되지만, 이 형태에서는 단지 하나의 패스트 트랙 교환(FT)이 요구되어, 비용과 공간이 절감된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통로 셔틀의 일부분을 갖는 주 랙(R)의 일부분, 주 랙(R)에 대해 횡방향으로 있고 그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패스트 트랙 셔틀(17)을 갖는 보조 패스트 트랙 랙(18), 및 패스트 트랙 랙(18)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제 3 랙(20)의 일부분을 이용하도록 더 설계되어 있다. 다시 말해, 랙은 조합 요소로서 패스트 트랙 및 교환 단부를 사용하여 내포되어 있거나 짜맞추어져 있어, 공간이 절감되고 또한 효율이 상승된다.
패스트 트랙 셔틀(17)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트랙 상의 다수의 위치에 걸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그러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통로 셔틀로부터 패스트 트랙 셔틀 및 그 반대 방향으로의 교환은 교환 단부(10)의 사용으로 일어난다.
도 8에는, 도 4의 실시 형태와 유사한 실시 형태가 나타나 있다. 앞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각 경우 2개의 위치를 갖는 리프트(8)가 각 보관 랙킹 통로(2)를 위해 제공되어 있다. 하측 레벨에서 리프트(8)에는 보관 진입 공급 라인(4) 및 보관 제거 공급 라인(6)(다른 특징은 더 양호한 이해를 위해 생략되어 있는 최상측 통로에 나타나 있음)이 인접해 있다. 대안적으로, 리프트에는 최상측 레벨에서 심지어 레벨 사이에서 또는 심지어 각 레벨에서 각각의 컨베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보관 랙킹 통로(2)에서 이동하는 통로 셔틀(5)로부터 리프트(8)를 분리시키기 위해, 각 레벨에서 리프트(8)와 보관 랙(R) 사이에는 대응하는 보관 입구 및 보관 제거 버퍼 라인(7, 9)이 배치되어 있다.
보관 진입 공급 라인(4) 및 보관 제거 공급 라인(6)은 적절한 픽킹 스테이션(P)에 연결되어, 도 5의 루프와 유사한 루프를 형성함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횡방향 전달 위치(Q)는 이제 교환 단부(10)에 있는 교환 플랫폼(14) 옆에 위치해 있다.
시스템 내에서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을 전달하고 보관하는 방법은,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을 주 랙(R)으로부터 통로 셔틀(5) 상으로 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통로 셔틀은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을 주 랙(R)에 평행한 제 1 방향으로 전달하고 또한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을 주 랙의 교환 단부(10)에 있는 교환 플랫폼(14)에 전달한다. 전달은 제 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 2 방향으로 일어난다. 그런 다음에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은 패스트 트랙 셔틀(17)에 의해 제 1 방향으로 픽업된다. 그리고 패스트 트랙 셔틀(17)은 물품을 트랙(16)을 따라 이동하면서, 주 랙을 가로지르는 제 2 방향으로 전달한다. 그런 다음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은 교환 단부(10)의 추가 교환 플랫폼(14)에, 또는 보조 랙이 패스트 트랙 셔틀과 일렬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조 랙에 전달하거나 또는 리프트에 전달할 수 있다.
도 9 내지 12와 관련하여, 이하 위의 보관 시설을 참조하여 4개의 작업 원리를 설명할 것이다.
도 9에서, 소위 "공항 출발" 전략을 설명한다. 이 작업 원리에 따르면, 관련된 소스 유닛(D)만 또는 전체 소스 유닛이 선택된 통로에 전달된다. 그 통로가 소스 통로에 가까우면, 전달은 횡방향 전달 위치(Q)에 의해 일어난다. 그러나 소스 및 목적지 통로가 서로 더 멀리 떨어져 있으면, 전술한 패스트 트랙 교환(FT)이 사용된다. 그러므로, 통로 및 운반 루트는 통로와 주문품 이용 및 분배 사이의 횡방향 전달 위치(Q)에서의 이동을 최소화하는 것에 기반하여 선택된다.
다시 말해, 픽킹/통합을 위해, 선택된 통로는 주문 처리를 위해 제품 유닛(D)의 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통로이고, 주문은 한 개별적인 통로에서 또는 주문 유닛(O)이 대응하는 제품 유닛(D)으로부터의 모든 주문 물품으로 채워지는 단일 픽킹 스테이션(P)에서 완료될 수 있다. 주문 유닛(O)은 임시 보관 및 통합을 위해 픽킹 스테이션(P)으로부터 다시 보관 시설 안으로 전달될 수 있고, 또는 픽킹 스테이션들을 연결하는 외부 컨베이어(E)에 의해 주문의 완료를 위해 발송 스테이션에 전달될수 있다. 전체 소스 유닛을 통합할 때, 동일한 주문과 관련된 전체 소스 유닛은 주문 처리를 기다릴 때가지 통로에서 보괸된다. 그런 다음, 소스 유닛은 통로부터 연속적으로 보관 제거되고, 대부분에 대해 특정된 순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10에서, 소위 "리무진" 전략을 설명한다. 이 작업 모드에 따르면, 주문 유닛(O)만 횡방향 전달 유치(Q) 또는 패스트 트랙 교환(FT)에 의해 자동 보관 시설을 통해 이동된다. 다시 말해, 픽킹은 각 관련된 통로에서 수행되고, 주문이 처리될 때까지, 관련 제품 유닛 또는 소스 유닛이 그 통로에서 보관되고 주문 유닛(O)은 통로를 통해 "이동"하여 복수의 픽킹 스테이션(P)으로 가게 된다. 필요한 이동 거리에 따라, 횡방향 전달 위치(Q) 또는 패스트 트랙 교환(FT)이 사용된다.
도 11에서, 소위 "버스 정류장" 전략을 설명한다. 이 작업 전략에 따르면, 주문 유닛(O) 및 제품 유닛(D)이 자동 보관 시설에서, 필요한 이동 거리에 따라 횡방향 전달 위치(Q) 또는 패스트 트랙 교환(FT)에 의해 전달된다. 다시 말해, 픽킹은 적은 수의 선택된 통로(2)에서 수행되고, 주문에 대한 관련 제품 유닛(D)이 횡방향 전달 위치(Q)에 의해(거리가 작은 경우) 또는 패스트 트랙 교환(FT)을 사용하여(거리가 더 큰 경우) 통합되고, 주문이 이행될 때까지 주문 유닛(O)은 복수의 통로(2)를 통해 동일한 방식으로 "이동"하여, 선택된 픽킹 스테이션(P)으로 가게 된다. 주문 유닛(O)과 제품 유닛(D)의 통합은 주문 이용과 분배의 최적화 및 그러한 가동 리소스, 예컨대 랙킹 서빙 유닛, 리프트 등의 최적 사용에 기반한다.
도 12에서, 소위 "공항 도착" 전략을 설명한다. 이 작업 모드에 따르면, 횡방향 전달 위치(Q)(거리가 작은 경우)에서의 횡방향 변위의 최소화를 고려하여 또는 패스트 트랙 교환(FT)을 사용하여(거리가 더 큰 경우), 보관 진입시에 이용 가능한 정보에 근거하여, (보관되도록) 들어가는 소스 유닛 또는 전체 소스 유닛(D)은, 주문 처리를 위해 사용될 또는 사용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특정한 통로 또는 가장 가까운 가능한 통로 안으로 직접 들어가 자동 보관 시설에 보관된다. 이 정보는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하지만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 보관 시설에서 순간적인 제품 분배 또는 각 제품의 편차;
- 개별 통로와 이미 관련된 주문;
- 처리 대기 중인 주문;
- 패밀리 또는 제품 카테고리의 요약.
제 1 주문과 관련되어 있는 보관될 소스 유닛(D1) 및 제 2 주문과 관련되어 있는 보관될 소스 유닛(D2)은 전술한 규칙에 따라 입력 컨베이어(I) 상에서 보관 시설 또는 대응하는 통로 안으로 전달되고, 이는 보관 진입 공급 라인에 연결되어 있다.
입력 컨베이어(I)가 제공되어 있지 않으면, 공급/내향 전달이 재고품 관리 소프트웨어의 규정에 따라, 예컨대, 수동으로, 자동 안내 차량, 디팔렛타이저(depalletizer) 등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패스트 트랙 레인(16)과 전달 셔틀(17)이 사용될 수 있다.
보관 시설 내에서, 소스 유닛(D)은 횡방향 전달 위치(Q)에 의해(거리가 작은 경우) 또는 패스트 트랙 교환(FT)을 사용하여(거리가 더 큰 경우) 실제 통토에 전달되고, 그런 다음 그 통로에서 픽킹이 실제로 일어나고, 예컨대, 소스 유닛(D1)이 한 주문에서 사용된 후에 다른 주문에서 사용될 소스 유닛(D2)이 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여기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짧은 거리를 위해 횡방향 전달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서로 이웃하는 통로 또는 다음의 두 통로 사이에서의 물품 교환이 사용될 수 있다. 통로가 5개의 통로 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으면, 패스트 트랙 전달이 일반적으로 사용될 것이다. 중간 거리(2 내지 5 개의 통로)는 중간 영역이고, 랙의 길이 방향 내의 물품의 위치, 통로 셔틀과 전달 셔틀의 이용 가능성 및 횡방향 전달 위치와 교환 위치에서의 통행 등과 같은 다른 요인에 달려 있다.
본 방법은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이 복수의 루트에서 통로를 가로지를 수 있게 해주는 통로간 전달의 대안적인 경로를 얻을 수 있게 해준다. 루트의 수는 2(n-1) 이고, 여기서 n은 랙의 수이다. 이는 패스트 트랙 셔틀 또는 통로 셔틀과 인접 통로들 사이의 직접 전달의 조합을 사용하여 물품, 토트 또는 유닛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심한 정체 또는 많이 이용되는 통로의 회피가 유지 보수 중인 통로의 회피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상황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을 갖는다.
이하의 청구 범위 및 본 개시의 전술한 요약에서, 명확한 표현 또는 필요한 암시로 인해 문백이 달리 요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포함하는"이라는 단어는 "포괄" 한다는 의미로 사용되는데, 즉 특정된 특징은 시스템과 방법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서 추가 특징과 관련될 수 있다.
청구의 정신 또는 범위 내에서 벗어나지 않는 변화 및 수정이 전술한 부분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9)

  1. 보관 시스템 내에서 물품을 보관 및 회수하고 전달하기 위한 자동화 창고 보관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복수의 주 다레벨 보관 랙을 포함하고, 상기 주 다라벨 보관 랙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고 또한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복수의 주 다라벨 보관 랙은 적어도 하나의 보관 랙 교환 레벨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관 랙 교환 레벨에서 물품은 보관 랙에 전달되거나 보관 랙으로부터 회수되며, 또한 상기 주 다라벨 보관 랙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관 랙 교환 레벨에서 적어도 하나의 교환 위치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전달 셔틀은, 보관 랙의 교환 위치에 걸쳐 있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전달 셔틀과 교환 위치는 물품을 회수하거나 전달하기 위해 전달 셔틀과 보관 랙의 교환 위치 사이에서 물품을 교환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주 다라벨 보관 랙은 서로 마주하는 쌍으로 위치되고, 상기 쌍의 각 보관 랙 사이에는 통로가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통로들의 상기 주 다라벨 보관 랙은 서로 인접하고, 물품의 보관 및 회수를 위한 자동화 보관 및 제거 장치가 각 통로 마다 제공되어 있고, 상기 장치는 피동적인 횡방향 전달 위치를 사용하여 제 1 통로의 보관 랙과 인접 통로의 보관 랙 사이에서 물품을 능동적으로 변위시켜 특정 레벨에 있는 인접 보관 랙 사이에서 직접 물품을 교환하고, 상기 자동화 보관 및 제거 장치는 상기 통로에 위치되는 통로 셔틀이고,
    교환 위치는 전달 셔틀이 접근 가능한 교환 플랫폼으로 형성되고, 상기 교환 플랫폼에는 또한 각 통로의 자동화 보관 및 제거 장치가 접근 가능하며,
    상기 통로 셔틀은 랙킹 서빙 유닛 또는 단일 레벨 랙킹 서빙 유닛이고,
    상기 교환 위치는 전달 셔틀이 접근 가능한 교환 플랫폼으로 형성되고, 상기 교환 플랫폼에는 또한 각 통로의 자동화 보관 및 제거 장치가 접근 가능하며, 그러한 교환 플랫폼은 평평한 표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자동화 창고 보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위치는 보관 랙의 한 단부에 위치되는, 자동화 창고 보관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로가 하나 보다 많은 교환 위치를 갖는, 자동화 창고 보관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플랫폼은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 모두로 물품의 단일의 깊은 배치 또는 복수의 깊은 배치를 가능하게 해주는, 자동화 창고 보관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교환 위치는, 자동화 보관 및 제거 장치 또는 통로 셔틀을 위해 전달 셔틀이 들어 올리거나 내려 놓을 수 있도록 물품을 위치시킬 수 있는 컨베이어 수단을 갖는, 자동화 창고 보관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교환 위치는 "볼 컨베이어"로 형성되는, 자동화 창고 보관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위치는 보관 랙의 한 단부 또는 중간에 위치되는, 자동화 창고 보관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셔틀은 통로 셔틀 상의 물품의 배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향되는 물품을 운반하도록 되어 있는, 자동화 창고 보관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향되는 보조 랙을 더 포함하는 자동화 창고 보관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 창고 보관 시스템은 복수의 제 2 주 다레벨 보관 랙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제 1 주 다라벨 보관 랙의 교환 위치 및 복수의 제 2 주 다레벨 보관 랙의 교환 위치는 서로 마주하는, 자동화 창고 보관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보관 랙 레벨과 보관 랙 교환 레벨 사이에서 물품을 교환하기 위해 각 랙에 있는 물품 리프트를 더 포함하는 자동화 창고 보관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셔틀은 트랙 상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동화 창고 보관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셔틀 및/또는 통로 셔틀은 트랙 안내 운반 차량 또는 가동 플랫폼의 형태 또는 와이어 안내 운반 차량 또는 가동 플랫폼의 형태로 되어 있는, 자동화 창고 보관 시스템.
  14. 보관 시설 내에서 물품을 보관, 회수 및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고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보관 및 회수 장치의 서비스를 받는 복수의 주 보관 랙을 제공하는 단계;
    교환 레벨에서 각 주 랙의 한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보관 및 회수 장치로부터 물품을 받으며 또한 보관 및 회수 장치가 물품을 들어 올릴 수 있게 해주도록 구성된 복수의 정렬된 교환 위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교환 레벨에 있고 교환 레벨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 2 방향으로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복수의 정렬된 교환 위치에 걸쳐 이동하는 전달 셔틀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랙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물품을 운반하기 위해 셔틀과 교환 위치 사이에서 물품을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보관 및 회수 장치로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주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통로 셔틀을 제공하는 단계, 및 리프트를 사용하여 물품을 상기 교환 레벨에 또한 교환 레벨로부터 이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또한
    상기 방법은,
    랙으로부터 물품을 상기 통로 셔틀 상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통로 셔틀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방향으로 물품을 상기 교환 위치에 가까운 위치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 2 방향으로 물품을 교환 위치 상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 1 방향으로 물품을 교환 단부로부터 상기 전달 셔틀 상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전달 셔틀을 사용하여 물품을 제 2 방향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보관 시설 내에서 물품을 보관, 회수 및 전달하기 위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셔틀을 사용하여 상기 제 2 방향으로 물품을 상기 교환 위치에 가까운 위치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 1 방향으로 물품을 교환 위치 상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 2 방향으로 물품을 교환 단부로부터 상기 통로 셔틀 상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통로 셔틀을 사용하여 물품을 제 1 방향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통로 셔틀로부터 물품을 랙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97030815A 2017-04-07 2018-04-05 보관 시설 내에서 유닛을 운반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633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7901286 2017-04-07
AU2017901286A AU2017901286A0 (en) 2017-04-07 Method and system for transporting units within a storage facility
PCT/EP2018/058751 WO2018185231A1 (en) 2017-04-07 2018-04-05 Method and system for transporting units within a storage faci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662A KR20190134662A (ko) 2019-12-04
KR102633481B1 true KR102633481B1 (ko) 2024-02-02

Family

ID=62044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0815A KR102633481B1 (ko) 2017-04-07 2018-04-05 보관 시설 내에서 유닛을 운반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142400B2 (ko)
EP (1) EP3606846B1 (ko)
KR (1) KR102633481B1 (ko)
CN (1) CN110506014A (ko)
AU (1) AU2018248877B2 (ko)
CA (1) CA3056728A1 (ko)
ES (1) ES2923702T3 (ko)
SG (2) SG11201908249UA (ko)
WO (1) WO20181852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509921D0 (en) * 2015-06-08 2015-07-22 Ocado Innovation Ltd Object storage, handling and retrieving system and method
PL238377B1 (pl) * 2018-08-07 2021-08-16 Przed Produkcyjno Uslugowo Handlowe Zrembud W Cieszynie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System transportowy dla regałów magazynowych
US11365050B2 (en) * 2018-09-12 2022-06-21 Beijing Geekplus Technology Co., Ltd. Robot control system and method, comput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0921170A (zh) * 2019-11-29 2020-03-27 北京极智嘉科技有限公司 容器存储系统、仓储系统、机器人控制方法和机器人
DE102020202859B3 (de) * 2020-03-05 2021-05-06 Gebhardt Fördertechnik GmbH Verfahren zum Lagern und/oder Entnehmen eines Lagerguts in oder aus einem Lagersystem sowie ein entsprechendes Lagersystem
WO2021252329A1 (en) * 2020-06-08 2021-12-16 Comau Llc Assembly material logistics system and methods
CN111839155A (zh) * 2020-07-15 2020-10-30 深圳市丰巢科技有限公司 一种多格口智能仓、派件和取件方法
EP4116230A1 (en) * 2021-07-09 2023-01-11 Dematic GmbH Storage system with a multi-level storage rack, a vertical lift connecting the levels of the multi-level storage rack and method of operation
CN113788263B (zh) * 2021-10-14 2023-05-02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立体库存储物巡检方法以及系统
DE102021132568A1 (de) 2021-12-09 2023-06-15 Dematic Gmbh System und Verfahren zur Abarbeitung einer Vielzahl von Kommissionieraufträgen mit mehreren Artikel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6427A (en) 1996-05-29 2000-03-14 Daifuku Co., Ltd. Guided vehicle system for transporting loads
JP2013010630A (ja) 2011-06-30 2013-01-17 Tsubakimoto Chain Co 物品搬送仕分装置
JP2013052960A (ja) 2011-09-02 2013-03-21 Daifuku Co Ltd 物品搬送設備
EP2949604A1 (en) 2014-05-28 2015-12-02 Dematic Systems GmbH Method of commissioning in a storage facility having a plurality of lift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0389A (en) * 1970-01-16 1971-11-16 Sverre Munck As System for transporting goods to and from storage shelves
US3924300A (en) * 1972-03-08 1975-12-09 Ato Inc Shuttel car mechanism for transferring loads between two stations
US6652213B1 (en) * 2000-09-08 2003-11-25 California Natural Products Automated warehousing system and method
US6321138B1 (en) * 2000-09-15 2001-11-20 Woodson Incorpor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with automated order make up
DE10142395C5 (de) 2001-05-03 2009-07-30 Dematic Gmbh & Co. Kg Lager- und Transportsystem in modularer Bauweise
JP4329035B2 (ja) * 2004-08-18 2009-09-09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装置
CN201046851Y (zh) * 2007-06-29 2008-04-16 南京格敏思信息网络有限公司 高速多小车物流自动化存取系统
EP2351698B1 (en) 2008-10-27 2014-08-20 Dematic Accounting Services GmbH Transfer shuttle for automated warehouse
DE102009032406A1 (de) 2009-07-09 2011-01-13 Psb Intralogistics Gmbh Regallager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Regallagersystems
DE102009033697A1 (de) * 2009-07-17 2011-01-27 Knapp Ag Verfahren und Lagersystem zum Lagern und Kommissionieren von Artikeln
DE102009029438A1 (de) 2009-08-19 2011-02-24 Psb Intralogistics Gmbh Regallagersystem sowie ein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Regallagersystems
US9522781B2 (en) 2010-09-30 2016-12-20 Dematic Systems Gmbh Shuttle for automated warehouse
US10822168B2 (en) * 2010-12-15 2020-11-03 Symbotic Llc Warehousing scalable storage structure
JP5541178B2 (ja) * 2011-01-26 2014-07-09 村田機械株式会社 移載装置
ES2606514T3 (es) * 2011-09-28 2017-03-24 Dematic Gmbh Almacen automatizado de niveles multiples
DE102012107176A1 (de) 2012-08-06 2014-02-06 Dematic Accounting Services Gmbh Verfahren zum Bereitstellen von Transporteinheiten aus einem Lager
DE202014100476U1 (de) * 2014-02-04 2014-03-13 SSI Schäfer PEEM GmbH Lagerregalanordnung mit stationären Vertikalförderern in stirnseitig angeordneter Vorzone
JP6176142B2 (ja) * 2014-02-19 2017-08-09 株式会社ダイフク 順序搬送システム
EP2949605B1 (en) * 2014-05-28 2017-07-05 Dematic GmbH Method of order fulfilling by making storage units available from a storage facility at a picking station
JP2016016964A (ja) * 2014-07-10 2016-02-01 株式会社岡村製作所 自動倉庫における物品入出庫装置
AT516404B1 (de) * 2015-03-04 2016-05-15 Knapp Ag Regallager mit einem Kreisverkehr auf einer geschlossenen Führungsbahn
JP6733138B2 (ja) * 2015-08-11 2020-07-29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自走式搬送台車を用いた保管設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6427A (en) 1996-05-29 2000-03-14 Daifuku Co., Ltd. Guided vehicle system for transporting loads
JP2013010630A (ja) 2011-06-30 2013-01-17 Tsubakimoto Chain Co 物品搬送仕分装置
JP2013052960A (ja) 2011-09-02 2013-03-21 Daifuku Co Ltd 物品搬送設備
EP2949604A1 (en) 2014-05-28 2015-12-02 Dematic Systems GmbH Method of commissioning in a storage facility having a plurality of lif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248877A1 (en) 2019-09-26
AU2018248877B2 (en) 2023-08-17
SG10201913294YA (en) 2020-03-30
EP3606846A1 (en) 2020-02-12
CN110506014A (zh) 2019-11-26
AU2018248877A2 (en) 2019-10-03
WO2018185231A1 (en) 2018-10-11
EP3606846B1 (en) 2022-05-04
SG11201908249UA (en) 2019-10-30
US20200122925A1 (en) 2020-04-23
KR20190134662A (ko) 2019-12-04
US11142400B2 (en) 2021-10-12
CA3056728A1 (en) 2018-10-11
ES2923702T3 (es)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3481B1 (ko) 보관 시설 내에서 유닛을 운반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6679678B2 (ja) 保管設備からの運搬ユニット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
JP6764004B2 (ja) 注文調達及び保管ユニットの補充の方法
US9988212B2 (en) Method of order fulfilling by preparing storage units at a picking station
JP2016526519A (ja) 選別ステーションで保管ユニットを調製することによる注文調達方法
US11655101B2 (en) Storage system
US20230331475A1 (en) Method for operating a storage facility without lifts
JP2011162329A (ja) 荷搬送システムの荷搬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