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474B1 - 숯 착화장치 - Google Patents

숯 착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474B1
KR102631474B1 KR1020230043433A KR20230043433A KR102631474B1 KR 102631474 B1 KR102631474 B1 KR 102631474B1 KR 1020230043433 A KR1020230043433 A KR 1020230043433A KR 20230043433 A KR20230043433 A KR 20230043433A KR 102631474 B1 KR102631474 B1 KR 102631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ignition device
charcoal
main body
link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3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정
류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정, 류찬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정
Priority to KR1020230043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13/00Ignit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Q13/04Ignit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portable burners, e.g. torches, fire p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20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 F23D14/22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with separate air and gas feed ducts, e.g. with ducts running parallel or crossi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23J1/02Apparatus for 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ash-pits, e.g. by employing trucks or conveyors, by employing suc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4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using washing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5/00Casings; Linings;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7/00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숯 착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소가스의 열교환 및 분진수거 효율을 높이도록 내부 유로를 형성하면서, 사용 편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숯 착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숯 착화장치는, 본체부가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분리 구획되고, 하부 공간은 상부 유로와 하부 유로로 분리 구획되는 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숯 착화장치{Charcoal igni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숯 착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소가스의 열교환 및 분진수거 효율을 높이도록 내부 유로를 형성하면서, 사용 편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숯 착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의 육류를 불에 구워 제공하는 식당 등 업체에서는 소비자의 선호로 인해 숯불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종래에는 다양한 숯불 착화기가 개시되기에 이르렀다.
일반적으로, 숯을 착화하기 위해서 숯가마에 숯불을 미리 피워놓고 필요할 때마다 숯불을 옮겨 담아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 경우 숯의 소비가 많고 별도의 숯가마를 설치해야 하는 비용적, 장소적인 부담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숯가마는 안전상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여 관리상의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따라, 숯불이 필요할 때 비교적 용이하게 숯불을 착화시킬 수 있는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숯불 착화장치는 사용이 불편하고, 장치 외부로 발열되는 발열량이 많아 안전상의 이유로 좁은 곳에서 사용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버너에서 방사되는 화염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해 에너지 효율이 지나치게 낮고 착화 시간이 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29688호를 통해 열교환 기능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숯불 착화기는, 숯불 착화시 발생하는 열기가 송풍될 때 송풍 경로를 제공하면서 열기를 냉각 처리하기 위한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종래의 숯불 착화기는 열기를 하부에 구비된 측부 공간으로 유도하면서 배출되는 흐름을 가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버너에서 방사되는 화염에 의해 숯을 착화시키고 발생된 연소가스는 뜨거운 열기와 함께 착화 과정 중 숯을 통해 생성된 분진(숯 먼지, 숯에서 쪼개진 칩, 이물질, 미세 먼지 등)(이하, '분진'이라고 함)을 포함하고 있다.
(특허문헌 0001)에서 개시된 종래의 숯불 착화기는, 이러한 분진을 포함한 연소가스를 측부 공간으로 유도하여 배출되게 하면서, 낙하되는 분진은 하부에 구비된 이물질 제거부로 낙하되게 만들고 수납하여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분진을 포함한 연소가스가 측부 공간을 통과하면서, 측부 공간에는 분진이 쌓일 수 밖에 없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쌓이게 되는 분진의 양은 늘어날 수 밖에 없었다.
이와 같이 측부 공간에 쌓인 분진은 결국 통로 역할을 하는 측부 공간을 막아버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막힌 측부 공간을 통해 분진을 포함한 연소가스가 통과되지 못하게 되고, 이는 결국 숯불 착화기의 고장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숯불 착화기는 숯 착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강한 열기가 상부에서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종래의 숯불 착화기는 사용자가 상부 손잡이를 잡고 열고 닫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착화시킨 숯을 꺼내기 위해서는 손잡이를 잡고 덮개를 열 수밖에 없는데, 사용자는 항상 뜨거운 열기가 상부로 올라온다는 것을 염두해 둔 상태에서 덮개를 열어야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었다.
그러나, 미숙하거나 시간에 쫓긴 사용자가 상부 손잡이를 열면서, 무의식 중에 얼굴을 숯불 착화기에 가까이 가져갈 수 있음에 따라, 종래의 숯불 착화기는 항상 화상 발생에 대한 안전사고에 노출된 상태일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분진을 포함한 연소가스의 열교환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분진수거 효율을 높이도록 내부 유로를 형성하고,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사용의 편이성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29688호 (2019.11.20.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소가스의 열교환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분진수거 효율을 높이도록 내부 유로를 형성한 숯 착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사용의 편이성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 숯 착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구비된 화덕에 숯이 수용되고, 상기 화덕을 밀폐되게 덮는 덮개부에 구비된 버너에서 방사되는 화염으로 숯을 착화시키는 숯 착화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숯 착화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은, 상기 화덕이 배치되고, 상기 화덕에서 연장된 연통관이 관통 배치되는 상부 공간; 및, 상기 연통관을 통해 유입된 분진을 포함한 연소가스가 통과되면서 열교환 및 분진수거가 이루어지고, 상기 연소가스는 다시 상기 상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흐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 공간과 분리판을 통해 분리 구획되는 하부 공간;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하부 공간은, 상기 연통관의 하단부와 연통되어 유입되는 연소가스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흐르는 흐름을 형성하도록 하부 유로를 형성하는 하부 제1 공간; 및, 상기 하부 유로를 통과하여 연결 통로를 통해 상승한 상기 연소가스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흐르는 흐름을 형성하도록 상부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 공간과 상기 분리판의 일측에 형성된 제1 배출공을 통해 연통되는 하부 제2 공간;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부 공간은, 상기 하부 제1 공간과 상기 하부 제2 공간을 분리 구획하는 유로 격벽이 구비된 연소가스 처리부를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연소가스 처리부는, 상기 하부 공간을 차단하면서 상기 하부 제1 공간으로 인출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 수거함;과, 상기 수거함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수거함의 전면부의 내측면과 설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이격되어 상기 하부 제1 공간과 상기 하부 제2 공간을 연통시키는 상기 연결 통로를 형성하는 상기 유로 격벽;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거함의 내부 수용공간에는 상기 유로 격벽의 저면과 설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물이 수용된다.
한편, 상기 하부 제1 공간의 양측에는 상기 수거함의 양측과 접하면서 상기 수거함의 인출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방측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지지되는 회전바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상기 숯 착화장치는, 상기 회전바의 일측 힌지축에 연장되어 제어에 따라 상기 회전바를 회전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바와, 상기 링크바의 단부에 형성된 누름판을 포함하는 개폐 작동부를 포함한다.
한편, 일 실시예로, 상기 링크바는, 상기 회전바의 일측 힌지축이 연장된 제1 링크바; 상기 제1 링크바의 단부에 일측이 힌지 축 결합된 제2 링크바;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되, 후방측이 상기 본체부에 힌지 축 결합되면서 상기 본체부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부분의 일측에 상기 제2 링크바의 타측이 힌지 축 결합되고, 단부에 상기 누름판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3 링크바;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 작동부는, 상기 제3 링크바를 지지하면서 상기 제3 링크바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3 링크바가 관통되면서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를 갖는 장공이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3 링크바는, 일측에 상기 본체부와 일측이 고정 결합된 탄성부재의 타측이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는, 내부 공간에 상기 버너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관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스공급관로는, 일측에 설정량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기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본체부는, 외측에 케이블이 포함되게 설정 길이를 갖는 관 형상의 케이블 보호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숯 착화장치는, 연통관을 따라 배출되는 분진을 포함한 연소가스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흐르는 흐름을 형성하도록 하부 유로와, 전방에서 후방으로 흐르는 흐름을 형성하도록 상부 유로를 통과하면서 배출됨에 따라 분진이 측부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수명을 높이고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연소가스에 포함된 분진은 측방으로 흐르지 않고 오직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하는 흐름을 가짐에 따라 하방으로 낙하되어 수거가 용이한 효과를 가진다.
더불어, 분진을 포함한 연소가스가 연통관을 통과해 하방으로 배출되면서, 수거함에 채워진 물과 부딪침에 따라, 분진의 수거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누름판을 발로 밟아 연결된 링크바를 통해 덮개부를 열고 닫을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더불어, 가스공급관로에 가스와 함께 공기를 함께 혼합하여 공급함으로 버너의 화력을 높이면서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케이블을 케이블 보호부를 통해 보호함으로 전기적인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착화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착화장치의 연소가스 흐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착화장치에서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착화장치에서 본체부의 좌측판을 탈거시킨 상태에서의 내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착화장치의 가스공급관로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착화장치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착화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착화장치의 연소가스 흐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착화장치에서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착화장치에서 본체부의 좌측판을 탈거시킨 상태에서의 내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착화장치의 가스공급관로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착화장치(100)는, 크게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부(110), 덮개부(120), 컨트롤러부(130), 연소가스 처리부(140), 개폐 작동부(150), 지지부(160) 및 화덕(17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숯 착화장치(100)는, 본체부(11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된 화덕(170)에 숯이 수용되고, 화덕(170)을 밀폐되게 덮는 덮개부(120)에 구비된 버너(126)에서 방사되는 화염으로 화덕(170)에 수용된 숯을 착화시키게 된다.
이때, 가스공급관로(L1)를 통해 버너(126)로 가스가 공급된다.
이러한 가스공급관로(L1)는 외부의 별도 가스통(G) 또는 도시가스 라인과 연결되어 가스를 공급받게 되며, 본체부(110)의 내부에 공급된 가스를 전달할 수 있도록 가스공급관로(L1)가 길이를 가지며 연장된다.
이와 같은 화염을 이용한 숯의 착화 방법은 이미 공지된 기술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착화장치(100)는, 숯의 착화 과정 중, 화덕(170)에서 생성된 분진을 포함한 연소가스의 열교환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분진수거 효율을 높이고,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으로, 사용의 편이성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착화장치(100)는, 숯의 착화 과정 중 화덕(170)에서 분진을 포함한 연소가스가 발생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분진을 포함한 연소가스는 화덕(170)의 하부로 연장된 연통관(171)을 통해 하부의 연소가스 처리부(140)로 유입된다.
그리고, 연소가스 처리부(140)로 유입된 분진(ch)을 포함한 연소가스는 연소가스 처리부(140) 내에서 열교환되면서 온도가 떨어지고, 열교환되는 과정 중에서 분진은 하방으로 낙하되어 수거된다. 그리고, 분진이 수거된 연소가스는 본체부(110)의 내부 공간 상에 배치된 강제배출부(F)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강제배출부(F)는 일측에서 에어를 흡입해 타측으로 배출시키는 통상의 알려진 공기배출장치의 구조를 가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해 구체적인 구조와 구성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착화장치(100)를 다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먼저, 본체부(110)는 내부 공간을 갖는 함체 형상을 갖는다.
후술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본체부(110)는 분리판(112)을 통해 상부 공간(B)과 하부 공간(A)으로 분리 구획된다. 이러한 상부 공간(B)과 하부 공간(A)은 연소가스가 열교환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호 연통된 구간을 갖는다.
상부 공간(B)은 다시 필요에 따라 각각의 격벽에 의해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공간(B)은, 하부 공간(A)의 상부로 연통관(171)이 배치되는 제1 공간(B1), 제1 공간(B1)의 상부로 화덕(170)이 배치되는 제4 공간(B4), 상기 제1 공간(B1)의 전방으로 상술한 강제배출부(F)가 배치되는 제2 공간(B2) 및, 제4 공간(B4)의 전방 및 제2 공간(B2)의 상부에 가스공급밸브(미도시) 및 가스공급관로(L1)의 일부분이 연결 배치되는 제3 공간(B3)을 포함한다.
한편, 제3 공간(B3)의 일측에는 숯 착화장치(100)를 설정에 따라 제어할 수 있도록 작동 버튼 및 조작 패널(131)을 포함한 컨트롤러부(13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공간(B)의 격벽을 이용한 분리 구획은 필요에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분리 구획된 제1 공간(B1) 내지 제4 공간(B4)을 통해 내부 구성요소들이 화덕(170)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기에도 고장나지 않고 각각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4 공간(B4)의 상부에 화덕(170)을 밀폐되게 덮을 수 있는 구조의 덮개부(120)가 배치된다.
덮개부(120)는 화덕(17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반구 형상의 돔 구조를 갖는 덮개(121)와, 덮개(121)를 사용자가 잡고 밀어올려 화덕(170)을 수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덮개(121)의 전방에 형성된 손잡이(122)를 포함한다.
한편, 덮개(121)는 후방에 연결된 관 형상의 지지바(123)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바(123)는 본체부(110)의 상부측 후방에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힌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바(124)의 중심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회전바(124)는 필요에 따라 본체부(110)의 상부측 후방에 형성된 별도의 지지프레임(125)의 일측에 힌지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이러한 회전바(124)의 일측, 도시에서는 우측 일부분은 내부의 가스공급관로(L1)가 연장되면서 연결되어 지지바(123)까지 연결된다.
그리고, 지지바(123)를 통해 가스공급관로(L1)는 덮개(121)의 내부에 배치된 버너(126)로 가스를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가스공급관로(L1)는 상부 공간(B)의 제3 공간(B3)까지 연결되어, 제3 공간(B3)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가스 연결부(115)를 통해 외부 가스통 또는 도시가스 공급라인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숯 착화를 위한 가스 공급 및, 컨트롤러부(130)의 구조, 제3 공간(B3)에서의 가스 연결 구조는 이미 공지의 구조와 기능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구조와 구성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착화장치(100)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상술에서와 같이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착화장치(100)는, 숯 착화과정 중에서 발생된 분진을 포함한 연소가스의 열교환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분진수거 효율을 높이도록 내부 유로를 형성한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착화장치(100)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본체부(110)의 내부 공간은 분리판(112)에 의해 상부 공간(B)과 하부 공간(A)으로 분리 구획된다.
이때, 상부 공간(B)에는 화덕(170)이 배치되고, 화덕(170)에서 연장된 연통관(171)이 하방으로 관통 배치된다.
그리고, 하부 공간(A)에는 연통관(171)을 통해 유입된 분진(ch)을 포함한 연소가스가 통과되면서 열교환 및 분진수거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분진이 제거된 연소가스는 다시 상부 공간(B)으로 유입되고 강제배출부(F)에 의해 외부로 배출 처리된다.
이때,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 공간(A)은 하부 유로(U1)를 형성하는 하부 제1 공간(A1)과, 상부 유로(U2)를 형성하는 하부 제2 공간(A2)으로 유로 격벽(142)에 의해 분리 구획된다.
구체적으로, 하부 제1 공간(A1)은 연통관(171)의 하단부와 관통공(142a)에 의해 연통되며, 유입되는 연소가스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흐르는 흐름을 형성하도록 하부 유로(U1)를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 제2 공간(A2)은 상술한 하부 유로(U1)를 통과한 연소가스가 일측에 형성된 연결 통로(143)를 통해 상승하게 되고, 상승한 연소가스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흐르는 흐름을 형성하도록 상부 유로(U2)를 형성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제1 공간(A1)과 하부 제2 공간(A2)은 본체부(110)의 후면판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유로 격벽(142)에 의해 분리 구획된다.
이러한 유로 격벽(142)은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본체부(110)의 후면판과 좌측판(110a) 및 우측판(110b)과 연결되게 결합하고, 전방 일측으로 상술한 연결 통로(143)가 형성되게 간극(d1, 도6)을 가진다.
이와 같은 본체부(110)에 형성된 상부 공간(B)과 하부 공간(A), 구체적으로 하부 공간(A)이 연소가스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흐르는 흐름을 형성하도록 하부 유로(U1)를 형성하는 하부 제1 공간(A1)과, 연소가스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흐르는 흐름을 형성하도록 상부 유로(U2)를 형성하는 하부 제2 공간(A2)으로 구획됨에 따라, 연통관(171)을 통해 하방으로 유입되는 분진을 포함한 연소가스는 측방으로 흐르지 않고 오직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하는 흐름을 가짐에 따라 연소가스에 포함된 분진은 유로를 막지 않고 하방으로 낙하되어 수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숯 착화장치(100)는, 분진 수거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하면서도 고온의 연소가스를 빠른 시간안에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연소가스 처리부(140)를 본체부(110)의 하부에 구성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이러한 연소가스 처리부(140)는, 수거함(141)과 상술한 유로 격벽(142)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먼저 수거함(141)은 본체부(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본체부(110)의 하부 공간(A)이 노출되지 않게 차단하면서 필요에 따라 하부 제1 공간(A1)으로 인출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수거함(141)은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다.
한편, 이러한 수거함(141)의 내부 수용 공간에는 상술한 유로 격벽(142)의 저면과 설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물(W)이 채워진다.
이와 같이 물(W)이 채워진 수거함(141)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연통관(171)을 통해 분진을 포함한 연소가스가 유입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분진을 포함한 연소가스는 연통관(171)의 하단부를 통해 배출됨과 동시에 수거함(141) 내부의 물(W)에 부딪치게 되고, 분진(ch)은 물(W)과 충돌하면서 물 분자에 의해 사로 잡혀 그대로 물(W) 속으로 수거된다.
그리고, 분진(ch)이 제거된 연소가스는 하부 공간(A)에 형성된 하부 유로(U1)와 연결 통로(143) 및 상부 유로(U2)를 순차적으로 통과되며 재차 분리판(112)의 일측에 형성된 제1 배출공(112a)을 통해 연통관(171)이 배치된 상부 공간(B)-구체적으로 제1 공간(B1)-으로 유입되는 흐름을 갖는다(① -> ② -> ③).
필요에 따라 상술한 제1 배출공(112a)은 장공, 원형, 타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 공간(B1)으로 유입된 연소가스는 제2 배출공(114)을 통해 강제배출부(F)가 구비된 제2 공간(B2)으로 유입되고, 강제배출부(F)에 의해 본체부(110)의 일측에 형성된 외부 배출공(113)을 통해 외부 배출된다.
이때, 외부 배출공(113)에는 별도의 외부 연통관이 연장되게 연결되어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화덕(170)과 연결된 연통관(171)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는 분진을 포함한 연소가스는 ① -> ② -> ③ -> ④의 공간을 통과하면서, 분진이 완전히 수거되어 제거되고, 고온의 연소가스는 열교환되어 안전하게 외부로 배출되어 처리된다.
한편, 연소가스 처리부(140)의 유로 격벽(14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함(141)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술한 유로 격벽(142)은 수거함(141)의 전면부의 내측면과 설정의 간극(d1, 도6)을 가지면서 이격되고, 이와 같이 이격된 간극(d1)은 하부 제1 공간(A1)의 하부 유로(U1)와 하부 제2 공간(A2)의 상부 유로(U2)를 연통시키는 연결 통로(143)를 형성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 하부 제1 공간(A1)의 양측에는 상술한 수거함(141)이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수거함(141)의 양측과 접하면서 수거함(141)의 인출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144)이 더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144)은 일 예로, "ㄷ"자 형상의 프레임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수거함(141)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착화장치(100)는,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면서도 사용의 편이성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상술한 덮개부(120)를 손으로 잡지 않고 개폐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다시 말해, 덮개부(120)를 쉽게 개폐할 수 있는 개폐 작동부(150)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덮개부(120)는 본체부(110)의 후방측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지지되는 회전바(124)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착화장치(100)는, 회전바(124)의 일측 힌지축에 연장되어 제어에 따라 회전바(124)를 회전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바와, 링크바의 단부에 형성된 누름판(154)을 포함하는 개폐 작동부(1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 개폐 작동부(150)를 구성하는 링크바는, 제1 링크바(151)와 제2 링크바(152) 및 제3 링크바(153)를 포함한다.
제1 링크바(151)는 회전바(124)의 일측 힌지축이 연장된 바 형상을 갖는다.
제2 링크바(152)는 상술한 제1 링크바(151)의 단부에 일측이 힌지 축 결합되고, 설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된 바 형상을 갖는다.
제3 링크바(153)는 본체부(110)의 하부 외측- 도시에서는 좌측판(110a)의 하부 외측-에 구비되되, 후방측이 본체부(110)에 힌지 축 결합되면서 본체부(110)의 전방으로 연장된 바 형상을 갖는다.
이때, 제3 링크바(153)의 연장된 부분의 일측에 제2 링크바(152)의 타측이 힌지 축 결합되고, 단부에는 상술한 누름판(154)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누름판(154)은 사용자가 발로 밟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개폐 작동부(150)는 사용자가 누름판(154)을 발로 밟으면 제3 링크바(153), 제2 링크바(152) 및 제1 링크바(151)의 연결구조에 따라 제1 링크바(151)에 연결된 회전바(124)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바(124)의 회전에 따라 덮개부(120)는 도 2에서와 같이, 상방으로 열리게 되어 화덕(170)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사용자는 화덕(170)에 착화시키고자 하는 숯을 안착시킨 다음, 재차 누름판(154)을 밟거나 누름판(154)의 고정을 해제시켜 덮개부(120)를 도 1에서와 같이, 하방으로 내려 화덕(170)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닫게 된다.
한편, 개폐 작동부(150)는, 제3 링크바(153)를 지지하면서 제3 링크바(153)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 부재(155)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이러한 가이드 부재(155)는 제3 링크바(153)가 관통되면서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를 갖는 장공(155a)을 포함한다.
일 예로, 가이드 부재(155)는 장공(155a)이 형성되고, 상하로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폐쇄된 프레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가이드 부재(155)의 형상은 일 실시예로, 제3 링크바(153)를 지지하면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면, 스프링을 통해 연결되거나, 폐쇄되지 않고 일측이 오픈된 프레임 구조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3 링크바(153)는 사용자가 발로 누름판(154)을 밟았다가 떼면 정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56)가 일측에 결합된 구조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링크바(153)는 일측에 본체부(110)와 일측이 고정 결합된 탄성부재(156)의 타측이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탄성부재(156)는 일 예로 스프링 형태일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상술한 제1 링크바(151), 제2 링크바(152) 및 제3 링크바(153)를 포함하여 또다른 별도의 링크바를 필요에 따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착화장치(100)는, 덮개부(120)에 구비된 버너(126)에 공급되는 가스 소비량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화력을 보다 높일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도 7을 참조하면, 본체부(110)는 내부 공간에 상술한 버너(126)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관로(L1)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가스공급관로(L1)는 일측에 설정량의 공기를 내부에 공급하는 공기 공급기(127)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공기 공급기(127)는 산소 공급기일 수 있으며, 가스공급관로(L1)상에 가스와 함께 공기가 더 포함되기 때문에, 가스만 공급되는 버너에 비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버너(126)는 보다 강한 화염(126a)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스공급관로(L1)에 가스와 함께 공기를 함께 혼합하여 공급함으로 버너(126)의 화력을 높이면서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착화장치(100)는, 숯 착화 과정 중에 화덕(170)에서 생성된 고온의 연소가스 열기에 의해 케이블(C)이 손상되지 않도록, 이러한 케이블(C)을 본체부(110)의 외부에 배치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본체부(110)는, 외측에 케이블(C)이 포함되게 설정 길이를 갖는 관 형상의 케이블 보호부(19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케이블 보호부(190)는 고정 부재에 의해 본체부(110)의 일측에 지지되며, 케이블(C)은 케이블 보호부(190)에 의해 피복이 손상되거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숯 착화장치(100)는, 전기적 안전사고 또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숯 착화장치(100)는, 연통관(171)을 따라 배출되는 분진을 포함한 연소가스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흐르는 흐름을 형성하는 하부 유로(U1)와, 전방에서 후방으로 흐르는 흐름을 형성하는 상부 유로(U2)를 통과하면서 배출됨에 따라 분진이 측부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수명을 높이고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연소가스에 포함된 분진은 측방으로 흐르지 않고 오직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하는 흐름을 가짐에 따라 하방으로 낙하되어 수거가 용이하다.
더불어, 분진을 포함한 연소가스가 연통관(171)을 통과해 하방으로 배출되면서, 수거함(141)에 채워진 물(W)과 부딪침에 따라, 분진의 수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누름판(154)을 발로 밟아 연결된 링크바를 통해 덮개부(120)를 열고 닫을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더불어, 가스공급관로(L1)에 가스와 함께 공기를 함께 혼합하여 공급함으로 버너(126)의 화력을 높이면서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C)을 케이블 보호부(190)를 통해 보호함으로 전기적인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 부호 160은 지지부로, 본체부(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설치된 바닥면에서 설정의 높이를 가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지지부(160)는 바퀴를 포함하여 이동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숯 착화장치 110 : 본체부
110a : 좌측판 111 : 외기유입구
112 : 분리판 112a : 제1 배출공
113 : 외부 배출공 114: 제2 배출공
115 : 가스연결공 120 : 덮개부
121 : 덮개 122 : 손잡이
123 : 지지바 124 : 회전바
125 : 지지프레임 126 : 버너
126a : 화염 127 : 공기 공급기
130 : 컨트롤러부 131 : 조작 패널
140 : 연소가스 처리부 141 : 수거함
142 : 유로 격벽 143 : 연결 통로
144 : 가이드 레일 150 : 개폐 작동부
151 : 제1 링크바 152 : 제2 링크바
153 : 제3 링크바 154 : 누름판
155 : 가이드 부재 155a : 장공
156 : 탄성부재 160 : 지지부
170 : 화덕 171 : 연통관
190 : 케이블 보호부

Claims (12)

  1.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구비된 화덕에 숯이 수용되고, 상기 화덕을 밀폐되게 덮는 덮개부에 구비된 버너에서 방사되는 화염으로 숯을 착화시키는 숯 착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은,
    상기 화덕이 배치되고, 상기 화덕에서 연장된 연통관이 관통 배치되는 상부 공간; 및, 상기 연통관을 통해 유입된 분진을 포함한 연소가스가 통과되면서 열교환 및 분진수거가 이루어지고, 상기 연소가스는 다시 상기 상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흐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 공간과 분리판을 통해 분리 구획되는 하부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공간은,
    상기 연통관의 하단부와 연통되어 유입되는 연소가스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흐르는 흐름을 갖도록 하부 유로를 형성하는 하부 제1 공간;
    상기 하부 유로를 통과하여 연결 통로를 통해 상승한 상기 연소가스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흐르는 흐름을 갖도록 상부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 공간과 상기 분리판의 일측에 형성된 제1 배출공을 통해 연통되는 하부 제2 공간; 및,
    상기 본체부의 후면판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후면판과 좌측판 및 우측판과 연결되고, 전방으로 상기 연결 통로를 형성하게 간극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제1 공간과 상기 하부 제2 공간을 분리 구획하는 유로 격벽;을 포함하는, 숯 착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공간은,
    상기 유로 격벽이 구비된 연소가스 처리부를 포함하는, 숯 착화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 처리부는,
    상기 하부 공간을 차단하면서 상기 하부 제1 공간으로 인출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 수거함과,
    상기 수거함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수거함의 전면부의 내측면과 설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이격되어 상기 하부 제1 공간과 상기 하부 제2 공간을 연통시키는 상기 연결 통로를 형성하는 상기 유로 격벽을 포함하는, 숯 착화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의 내부 수용공간에는 상기 유로 격벽의 저면과 설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물이 수용되는, 숯 착화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제1 공간의 양측에는 상기 수거함의 양측과 접하면서 상기 수거함의 인출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는, 숯 착화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방측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지지되는 회전바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숯 착화장치는,
    상기 회전바의 일측 힌지축에 연장되어 제어에 따라 상기 회전바를 회전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바와, 상기 링크바의 단부에 형성된 누름판을 포함하는 개폐 작동부를 포함하는, 숯 착화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바는,
    상기 회전바의 일측 힌지축이 연장된 제1 링크바;
    상기 제1 링크바의 단부에 일측이 힌지 축 결합된 제2 링크바;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되, 후방측이 상기 본체부에 힌지 축 결합되면서 상기 본체부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부분의 일측에 상기 제2 링크바의 타측이 힌지 축 결합되고, 단부에 상기 누름판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3 링크바;를 포함하는, 숯 착화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작동부는,
    상기 제3 링크바를 지지하면서 상기 제3 링크바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숯 착화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3 링크바가 관통되면서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를 갖는 장공이 형성되는, 숯 착화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링크바는,
    일측에 상기 본체부와 일측이 고정 결합된 탄성부재의 타측이 고정 결합되는, 숯 착화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내부 공간에 상기 버너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관로를 포함하되,
    상기 가스공급관로는,
    일측에 설정량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기를 포함하는, 숯 착화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외측에 케이블이 포함되게 설정 길이를 갖는 관 형상의 케이블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숯 착화장치.
KR1020230043433A 2023-04-03 2023-04-03 숯 착화장치 KR102631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433A KR102631474B1 (ko) 2023-04-03 2023-04-03 숯 착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433A KR102631474B1 (ko) 2023-04-03 2023-04-03 숯 착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1474B1 true KR102631474B1 (ko) 2024-01-31

Family

ID=89717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433A KR102631474B1 (ko) 2023-04-03 2023-04-03 숯 착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4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557Y1 (ko) * 1999-02-11 2001-12-24 윤기용 숯불 숙성기
KR200457499Y1 (ko) * 2011-02-01 2011-12-22 조재환 숯불착화기
KR20190129688A (ko) 2019-01-07 2019-11-20 김태봉 열교환 기능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
KR20190129689A (ko) * 2019-01-07 2019-11-20 김태봉 송풍을 이용하여 공기 혼합 가스를 공급하는 숯불 착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557Y1 (ko) * 1999-02-11 2001-12-24 윤기용 숯불 숙성기
KR200457499Y1 (ko) * 2011-02-01 2011-12-22 조재환 숯불착화기
KR20190129688A (ko) 2019-01-07 2019-11-20 김태봉 열교환 기능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
KR20190129689A (ko) * 2019-01-07 2019-11-20 김태봉 송풍을 이용하여 공기 혼합 가스를 공급하는 숯불 착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8996B1 (ko) 숯불 착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장치
KR101249548B1 (ko) 숯불착화기
KR200457499Y1 (ko) 숯불착화기
KR102631474B1 (ko) 숯 착화장치
US20100307475A1 (en) Dual ignition safe charcoal starter
US4381758A (en) Ignitor chamber for gas grill
US5938426A (en) Pilotless flare ignitor
KR101370391B1 (ko) 잔류가스소진식 휴대용 가스버너
KR101303457B1 (ko) 열 보유 챔버를 갖는 펠릿 난로
KR200454479Y1 (ko)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
KR101312963B1 (ko) 화목연소장치
US20030044741A1 (en) Pilotless flare ignitor
KR200481740Y1 (ko) 화목 및 펠릿 겸용 난로
KR101188901B1 (ko) 펠릿 보일러용 연소기
KR100758115B1 (ko) 연료 저장식 보일러
KR100831170B1 (ko)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
KR200452565Y1 (ko) 옥수수를 연료로 하는 구이용 화덕장치
JP3649849B2 (ja) 廃油ストーブ
KR20190030448A (ko) 펠릿공급장치
KR200196669Y1 (ko) 숯불고기구이기의 가스버너 점화장치
KR200156316Y1 (ko) 난방 및 건조기능을 가지는 숯불 점화기
JP2018200158A (ja) 燃焼装置及び燃焼方法
KR950003781B1 (ko) 자동 숯발화기
KR20110008726U (ko) 개선된 숯 점화장치
KR200351917Y1 (ko) 숯불 점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