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917Y1 - 숯불 점화기 - Google Patents

숯불 점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917Y1
KR200351917Y1 KR20-2004-0006183U KR20040006183U KR200351917Y1 KR 200351917 Y1 KR200351917 Y1 KR 200351917Y1 KR 20040006183 U KR20040006183 U KR 20040006183U KR 200351917 Y1 KR200351917 Y1 KR 2003519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harcoal
outer cylinder
closing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구
Original Assignee
이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구 filed Critical 이진구
Priority to KR20-2004-0006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9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9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9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2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 F23J15/027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using cyclone 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02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for igniting solid fuel
    • F23Q7/04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for igniting solid fuel with fans for transfer of heat to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14Portable igni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2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7/00Intercepting solids
    • F23J2217/40Intercepting solids by cycl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숯불 점화기에 관한 것으로, 송풍기의 송풍에 따라 연소로(爐) 내부에 발생되는 팽창압에 의해 배출되는 물에 숯의 연소시 발생되는 불꽃과 분진이 집진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숯의 연소시 발생되는 불꽃과 분진으로 주위의 오염과 작업자의 고충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배출구(112)와 유출공(114) 및 물주입관(116)이 구비된 외통(110), 외통(110)과의 사이에 물을 저수할 수 저수공간(130)이 형성되도록 외통(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통(120), 저수공간(130)에 설치되어지되 외통(110)의 배출구(112)와 내통(120)의 집진공(122) 사이에 설치되는 집진 분리판(140), 내통(120)의 내부에 구성되어 내통(120)의 내측과 숯을 연소시키는 연소실(154)을 구성하되 그 하부면에는 다수의 송풍공(152)이 관통 형성된 연소로(150), 외통(110)으로부터 내통(120)을 경유하여 연소로(150) 하부의 송풍공(152)에 인접되게 연장 설치되는 송풍관(160), 송풍관(160)을 통해 숯의 연소시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170) 및 내통(120)의 상부를 개폐시켜 연소실(154)을 개폐시키는 개폐뚜껑(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숯불 점화기{A charcoal fire lighter}
본 고안은 숯불 점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갈비나 구이를 하는 음식점 등에서 숯불 구이기를 이용하여 육류를 구울 때 사용되는 숯을 어느 정도 연소된 상태로 안전하게 점화시키는 가운데 발생되는 불꽃과 분진(재)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숯불 점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나 돼지 등의 구이를 전문으로 하는 음식점들의 영업장 등에서 고기를 구울 때 사용되는 육류 구이기의 열원으로써 가스나 전기 등을 이용하기는 하나, 대체적으로 소나 돼지 등의 육류가 갖는 고유한 맛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그 열원으로써 주로 숯불을 사용하고 있음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
한편, 숯은 원적외선 방사기능이 있어 숯불을 이용하여 육류 등을 굽게 되면 숯의 연소시 발생되는 원적외선이 구워지는 육류에 작용하여 구워지는 육류의 안과 밖을 골고루 익혀지도록 한다. 따라서, 육류 구이기의 열원으로써 가스나 전기 등을 이용하기보다는 대체적으로 숯불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숯불을 사용함에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이 육류의 안과 밖을 골고루 익혀지도록 하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숯을 열원으로써 사용하기 위해서는 숯을 어느 정도 점화시켜 연소된 상태의 것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숯을 점화하는 작업에는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즉, 숯을 점화하기 위한 지금까지의 작업 방법은 대부분 화덕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행하고 있기 때문에 매캐한 불꽃에 의한 고충이나 숯의 연소시 발생되는 분진(연소시 발생되어 날리는 재)으로 인한 고충이 따른다. 더구나, 숯을 점화하는 작업에는 작업자는 화기를 다루기 때문에 화상이나 화재 등의 안전상에도 상당한 문제점이 야기된다.
특히, 구이를 전문으로 하는 음식점들의 영업장에서는 많은 양의 숯불을 사용함에 따라 점화시켜야 할 숯의 양도 많을 뿐만 아니라 수시로 숯불을 점화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술한 문제점이 가중되는 것이고, 대부분의 영업장에서는 실외에서 숯의 점화작업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날씨의 조건에 따라서도 더욱 작업성의 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외에서 숯의 점화작업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숯을 그 내부에서 연소시키는 연소실이 구비된 로(爐)와 연소실을 개폐시키는 개폐뚜껑 및 숯이 연소됨에 필요한 공기를 주입시키기 위한 송풍팬으로 이루어진 숯불 점화기의 개발이 이루어져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숯불 점화기는 숯을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점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숯불 점화기는 그 이전의 점화작업에 비해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숯불을 점화시킬 수 있다고는 하나, 숯의 점화시 발생되는 불꽃이나 연소시 발생되는 분진(숯의 재)이 필터링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출구를 통해 외기로 배출되기 때문에 이로 인한 문제점에는 여전하다 할 수 있다. 즉, 숯의 점화시 발생되는 불꽃이나 연소시 발생되는 분진(숯의 재)을 필터링하는 기술에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숯불 점화기는 그 내부에서 숯불을 어느 정도의 상태로 점화시킨 후 점화된 상태의 숯불을 꺼낼 때 개폐뚜껑을 열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없기 때문에 작업자는 가열된 개폐뚜껑을 열 때 화상의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송풍기의 송풍에 따라 연소로(爐) 내부에 발생되는 팽창압에 의해 배출되는 물에 숯의 연소시 발생되는 불꽃과 분진이 집진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숯의 연소시 발생되는 불꽃과 분진으로 인한 주위의 오염과 작업자의 고충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한 숯불 점화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숯불 점화기의 상부측에 연소실의 개폐뚜껑을 개폐시킬 수 있는 뚜껑 개폐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숯불을 어느 정도의 상태로 점화시킨 후 점화된 상태의 숯불을 꺼낼 때 뚜껑 개폐장치를 통해 개폐뚜껑을 개폐시켜 화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 점화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숯불 점화기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 점화기에 의한 숯의 연소시 발생되는 불꽃 및 분진 등의 배출 경로를 보인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숯불 점화기의 화덕뚜껑을 개폐시키는 뚜껑 개폐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5 는 도 4 의 작용 상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 점화기의 화덕뚜껑을 열어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숯불 점화기 110. 외통
120. 내통 130. 저수공간
140. 집진 분리판 150. 연소로
160. 송풍관 170. 송풍기
180. 개폐뚜껑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숯불 점화기는 일측면 상부에 내부와 내통 형성되는 배출구와 배출구의 하부 일측에 내부와 내통 형성되는 유출공 및 물주입관이 구비되어 외부를 구성하는 외통; 외통의 내부에 설치되어지되 외통과의 사이에 물을 저수하는 저수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한편 그 상부 일측에는 숯의 연소시 발생되는 불꽃과 분진을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다수의 집진공이 형성된 내통; 외통과 내통 사이의 저수공간에 설치되어지되 외통의 배출구와 내통의 집진공 사이를 가로막아 숯의 연소시 발생된 불꽃과 분진이 저수공간을 휘돌면서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집진 분리판; 내통의 내부에 구성되어 내통의 내측과 숯을 연소시키는 연소실을 구성하되 그 하부면에는 다수의 송풍공이 관통 형성된 연소로; 외통으로부터 내통을 경유하여 연소로 하부의 송풍공에 인접되게 연장 설치되는 송풍관; 외통의 외측면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송풍관을 통해 숯의 연소시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한편 송풍에 의해 발생되는 송풍압을 통해 저수공간의 물을 유동시켜 유입된 불꽃과 분진이 유동된 물에 집진되도록 하고, 상기 연소실과 저수공간 내부에 팽배하게 발생된 송풍압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빠르게 배출됨으로써 외통 내측의 배출구 주위에 작용되는 압력차에 의해 유동된 물이 배출구를 통해 분출되도록 하는 송풍기; 및 내통의 상부를 개폐시켜 연소실을 개폐시키는 개폐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 점화기의 구성에서 외통의 하부에는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납 설치되어 연소실에서 숯을 연소시킨 후 연소로의 내측에 잔류된 재찌꺼기를 모아들이는 재받이가 더 구성됨이 보다 양호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숯불 점화기의 구성에는 외통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개폐뚜껑 중심의 상부측 일정 높이로 절곡 설치되어지되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지지부재; 지지부재의 끝단에 상하의 직선 방향으로 지지되어지되 그 중심은 개폐뚜껑 중심과 일치되도록 구비되는 중공의 상하 가이드 관; 개폐뚜껑의 상부면 중심에 수직으로 결합되어지되 상하 가이드 관을 관통 결합되어 개폐뚜껑을 개폐시 상하로 안내하는 개폐뚜껑 가이드 봉; 개폐뚜껑 가이드 봉의 외주면 상에 결합되어지되 상하 가이드 관의 하단과 개폐뚜껑의 상부면 사이에 위치되어 개폐뚜껑을 상시 하향시키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하는 탄성스프링; 및 지지부재 끝단부 상부면 상에 일측 끝단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한편 상하 가이드 관의 상단 상부측으로 노출된 개폐뚜껑 가이드 봉의 상단에 끝단의 힌지 결합부로부터 일정거리 위치의 일부분이 상하로 일정범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개폐뚜껑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뚜껑 개폐레버로 이루어진 뚜껑 개폐장치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외통의 하부면에는 숯불 점화기를 밀거나 끌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바퀴가 더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외통의 상부면 가장자리에는 원호의 형태로 지지되어 숯불 점화기를 밀거나 끌어 이동시킬 경우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숯불 점화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 점화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숯불 점화기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 점화기에 의한 숯의 연소시 발생되는 불꽃 및 분진 등의 배출 경로를 보인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숯불 점화기의 화덕뚜껑을 개폐시키는 뚜껑 개폐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5 는 도 4 의 작용 상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 점화기의 화덕뚜껑을 열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숯불 점화기(100)는 배출구(112)와 유출공(114) 및 물주입관(116)이 구비된 외통(110), 외통(110)과의 사이에 물을 저수할 수 저수공간(130)이 형성되도록 외통(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통(120), 저수공간(130)에 설치되어지되 외통(110)의 배출구(112)와 내통(120)의 집진공(122) 사이에 설치되는 집진 분리판(140), 내통(120)의 내부에 구성되어 내통(120)의 내측과 숯을 연소시키는 연소실(154)을 구성하되 그 하부면에는 다수의 송풍공(152)이 관통 형성된 연소로(150), 외통(110)으로부터 내통(120)을 경유하여 연소로(150) 하부의 송풍공(152)에 인접되게 연장 설치되는 송풍관(160), 송풍관(160)을 통해 숯의 연소시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170) 및 내통(120)의 상부를 개폐시켜 연소실(154)을 개폐시키는 개폐뚜껑(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숯불 점화기(100)는 먼저, 저수공간(130)에 유출공(114)의 하부까지 물을 저수한 후, 연소실(154) 내부에서 숯에 점화하여 불을 붙인 상태에서 송풍기(170)를 구동시켜 숯이 연소되는데 필요한 공기를 공급한다. 이처럼 숯에 불을 붙여 연소시키게 되면 숯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꽃과 분진(숯의 재)은 내통(120)의 상부측에 형성된 집진공(122)을 통해 저수공간(130)으로 유입되어 저수공간(130)을 한 바퀴 돌면서 외통(110)의 배출구(112)를 통해 외기로 배출된다.
이때, 송풍기(170)의 송풍에 의해 숯불 점화기(100)의 내부에는 송풍압이 발생되어 그 내부는 팽배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저수공간(130)에 저수된 물은 송풍압에 의해 유동되어 열린 부분인 외통(110)의 배출구(112)를 통해 작은 물방울 형태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저수공간(130)으로 유입된 불꽃과 분진(숯의 재)은 저수공간(130) 상에서 요동치는 물과 섞이고, 또한 배출구(112)를 통해 작은 물방울에 섞인 상대로 배출됨으로써 매캐한 불꽃이나 분진이 외기로 날리지 않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숯불 점화기(100)의 내부에 송풍압이 팽배하게 발생시 저수공간(130)에 저수된 물이 송풍압에 의해 외통(110)의 배출구(112)를 통해 작은 물방울 형태로 배출되는 이론적인 근거는 숯불 점화기(100) 내부가 거의 밀폐된 상태에서 송풍기(170)에 의해 계속적으로 송풍이 이루어지게 되면 숯불 점화기(100) 내부는 팽배하게 되어 저수공간(130) 상에 저수된 물을 누르는 압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팽배하게 발생된 압력에 의해 저수공간(130) 상의 물은 요동치게 된다.
이때, 외통(110)의 배출구(112)는 열려 있는 상태로 있기 때문에 숯불 점화기(100)의 내부에 팽배한 압력은 배출구(112)를 통해 외기로 배출이 이루어지면서 저수공간(130)에 위치하는 배출구(112)의 내측단 주위에는 다른 부분에 비해 저압인 상태가 된다. 이처럼 저수공간(130)에 위치하는 배출구(112)의 내측단 주위에는 다른 부분에 비해 저압인 상태가 되면 숯불 점화기(100) 내부에 팽배하게 발생된 압력에 의해 요동치는 물은 저압인 배출구(112)의 내측단으로 그 흐름이 이루어져 결국에는 배출구(112)를 통해 외기로 분출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구(112)를 통해 저수공간(130) 상의 물이 외기로 분출되어질 때 숯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내통(120)의 집진공(122)을 통해 저수공간(130)으로 유입되어 저수공간(130)을 한 바퀴 돌면서 배출구(112)로 배출되는 불꽃과 분진(숯의 재)은 배출구(112)를 통해 분출되는 물과 섞인 상태로 배출되어진다. 따라서, 불꽃이나 분진이 종래의 기술에 비해 외기로 날리지 않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통(110)은 숯불 점화기(100)의 회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 외통(110)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면 상부에 내부와 내통 형성되는 배출구(112)와 배출구(112)의 하부 일측에 내부와 내통 형성되는 유출공(114) 및 저수공간(130) 상으로 물을 주입하기 위한 물주입관(116)이 구비된다.
전술한 외통(110)의 구성에서 배출구(112)는 숯불 점화기(100)의 내부에 압력이 팽배해짐으로써 요동되는 저수공간(130) 상에 물과 숯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된 불꽃이나 분진이 배출되는 것으로, 이 배출구(112)는 외통(110)의 일측면 상부에 저수공간(130)과 내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외통(110)의 구성에서 유출공(114)은 저수공간(130) 상에 물을 주입하는 경우 일정수위 이상이 주입되는 경우 일정수위 이상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오버 플로우(over flow)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 유출공(114)은 배출구(112)의 하부측인 외통(110) 일측에 저수공간(130)과 내통되게 형성된다.
한편, 물주입관(116)은 외통(110)과 내통(120) 사이에 형성되는 저수공간(130) 상에 물을 주입하기 위한 것으로, 이 물주입관(116)은저수공간(130)으로부터 외통(112)의 상부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내통(120)은 후술하는 연소로(150)와 연소실(154)을 구성하는 한편 외통(110)과의 사이에 물을 저수할 수 있는 저수공간(130)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이 내통(120)은 외통(110)과 같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그 직경은 외통(110)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외통(110)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외통(110)과의 사이에 물을 저수할 수 있는 저수공간(130)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내통(120)의 상부측에는 숯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꽃이나 분진(숯의 재)이 저수공간(130) 상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다수의 집진공(122)이 형성된다. 이처럼 형성된 집진공(122)은 연소실 내부가 집진공(12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숯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꽃과 분진은 집진공(122)을 통해 저수공간(130)으로 유입된다.
저수공간(130)은 불꽃과 분진을 물에 섞이게 하여 외기로 배출시킴으로써 불꽃과 분진으로 인한 작업자의 고충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 저수공간(130)은 외통(110)과 내통(120) 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저수공간(130) 상에는 집진 분리판(140)이 설치되는데 그 설치 위치는 내통(120)의 집진공(122)과 외통(110)의 배출구(112) 사이에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통(120)의 집진공(122)과 외통(110)의 배출구(112) 사이의 저수공간(130) 상에 설치된 집진 분리판(140)은 집진공(122)을 통해 유입된 불꽃과 분진 곧바로 배출구(112)를 통해 외기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숯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불꽃과 분진이 내통(120)의집진공(122)을 통해 저수공간(130) 상으로 유입되면 곧바로 배출구(112)를 통해 외기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저수공간(130)을 한 바퀴 돌아 집진 분리판(140)의 타측면에 위치한 외통(110)의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연소로(150)는 숯을 연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연소로(150)는 그 하부면에 다수의 송풍공(152)이 형성된 상태로 내통(120)의 내측에 적정한 높이 설치되어 연소로(150) 상부측과 내통(120)의 내주면 사이에 숯을 넣어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실(154)을 구성한다.
송풍관(160)은 숯의 연소시 필요한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이 송풍관(160)은 외통(110)의 외측으로부터 저수공간(130)과 내통(120)을 경유하여 연소로(150) 하부측에 형성된 송풍공(152)의 하부측으로 인접되게 연장 설치된다.
송풍기(170)는 그 주된 목적이 숯의 연소시 필요한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이 송풍기(170)는 외통(110)의 외측면 하부에 설치 고정되어 송풍관(160)을 통해 연소로(150)의 송풍공(152)으로 숯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게 된다.
또한, 송풍기(1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숯의 연소시 필요한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기 위한 목적 이외에 계속적인 공급을 통해 숯불 점화기(100) 내부에 팽배한 상태의 알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외통(110)의 배출구(112) 내단 주위에 저압이 발생되도록 하는 한편, 저수공간(130) 상에 저수된 물을 유동시켜 배출구(112)를 통해 분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통(110)의 배출구(112) 내단 주위에 저압이 발생되도록하는 한편, 저수공간(130) 상에 저수된 물을 유동시켜 배출구(112)를 통해 분출되도록 함으로서 숯의 연소에 따라 발생된 불꽃과 분진이 배출구(112)를 통해 외기로 배출될 경우에는 배출구(112)를 통해 분출되는 물과 함께 섞여 외기로 배출된다. 따라서, 불꽃과 분진은 대기로 날리지 않게 되어 주위의 환경을 오염되지 않게 한다.
개폐뚜껑(180)은 연소실(154)을 개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개폐뚜껑(180)은 연소로(150)와 함께 연소실(154)을 구성하는 내통(120)의 상단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 점화기(100)의 구성에는 연소실(154)에서 숯을 연소시킨 후 연소로(150) 내부에 잔류된 재찌꺼기를 몰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재받이(118)가 더 구성된다. 이러한 재받이(118)는 통상 외통(110)의 하부에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납 설치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숯불 점화기(1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더하여 숯의 연소시 가열된 상태의 개폐뚜껑(180)을 보다 안전하게 열기 위한 뚜껑 개폐장치가 더 구성된다. 이러한 뚜껑 개폐장치는 외통(110)의 상부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부재(190), 지지부재(190)의 끝단에 상하의 방향으로 설치되어지되 개폐뚜껑(180) 중심에 일치되도록 구비되는 중공의 상하 가이드 관(192), 개폐뚜껑(180)의 상부면 중심에 결합되어 상하 가이드 관(192)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개폐뚜껑(180)을 상하의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개폐뚜껑 가이드 봉(194), 상하 가이드 관(192)의 하단과 개폐뚜껑(180)의 상부면 사이의 개폐뚜껑 가이드 봉(194)외주면 상에 결합되어 개폐뚜껑(180)을 상시 하향시키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하는 탄성스프링(196) 및 지지부재(190)의 끝단부 상부면과 개폐뚜껑 가이드 봉(194)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 회전시키는 것을 통해 개폐뚜껑(180)을 개폐시키는 뚜껑 개폐레버(198)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뚜껑 개폐장치는 개폐뚜껑(180)을 닫아 숯을 연소시킨 상태에서 개폐뚜껑(180)을 여는 경우 뚜껑 개폐레버(198)의 끝단을 상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개폐뚜껑 가이드 봉(194)이 상향으로 가이드 되면서 개폐뚜껑(180)이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이 개폐뚜껑(180)이 열린 상태에서 지지부재(190)를 좌우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연소실(154)의 상부를 완전히 개방시킬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뚜껑 개폐장치의 구성에서 지지부재(19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110)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개폐뚜껑(180) 상부측 일정 높이로 절곡 설치되어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지지부재(190)의 개폐뚜껑(180) 상부측 끝단은 개폐뚜껑(180)의 중심부 상부측에 위치된다.
상하 가이드 관(192)은 후술하는 개폐뚜껑 가이드 봉(194)을 상하로 가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 이 상하 가이드 관(192)은 지지부재(190)의 끝단에 상하의 직선 방향으로 지지되게 설치된다. 이때, 중공의 상하 가이드 관(192)은 그 중심이 개폐뚜껑(180)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설치된다.
개폐뚜껑 가이드 봉(194)은 개폐뚜껑(180)을 상하의 직선 열리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 개폐뚜껑 가이드 봉(194)은 개폐뚜껑(180)의 상부면 중심에 결합된 상태로 상하 가이드 관(192)을 관통하여 그 상단이 상하 가이드 관(192)의 상단 상부로 노출되게 구성된다.
탄성스프링(196)은 개폐뚜껑(180)을 통해 연소실(154)을 닫는 경우 그 탄성력을 통해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 탄성스프링(196)은 개폐뚜껑 가이드 봉(194)의 외주면 상에 결합되어지되 상하 가이드 관(192)의 하단과 개폐뚜껑(180)의 상부면 사이에 위치되어 개폐뚜껑(180)을 상시 하향시키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뚜껑 개폐레버(198)를 상향으로 올려 개폐뚜껑(180)을 열은 상태에서 뚜껑 개폐레버(198)를 상향으로 올리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개폐뚜껑(180)은 탄성스프링(196)의 탄성력에 의해 그 즉시 하향으로 이동된다. 물론, 개폐뚜껑 가이드 봉(194) 역시 하향으로 이동되고, 뚜껑 개폐레버(198)도 원위치 된다.
뚜껑 개폐레버(198)는 숯의 연소에 따라 가열된 상태의 개폐뚜껑(180)을 화상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개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뚜껑 개폐레버(198)는 그 끝단의 두 부분이 각각 지지레버(190)의 상부면과 상하 가이드 관(192)의 상단 상부측으로 노출된 개폐뚜껑 가이드 봉(194)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일정범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뚜껑 개폐레버(198)는 상향의 회전에 의해 개폐뚜껑 가이드 봉(194)을 상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개폐뚜껑(180)을 개방시키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숯불 점화기(100)의 구성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 이외에 숯불 점화기(100)를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외통(110)의 하부면 상에 다수의 바퀴(200)가 더 구성된다. 이외에 외통(110)의상부면 가장자리에는 원호의 형태로 지지되어 숯불 점화기(100)를 밀거나 끌어 이동시킬 경우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210)가 더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은 숯의 연소시 발생되는 불꽃과 분진이 물과 섞인 상태에서 외기로 배출되기 때문에 불꽃과 분진으로 인한 작업자의 고충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주위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송풍기의 송풍에 따라 연소로(爐) 내부에 발생된 팽창압에 의해 배출되는 물에 숯의 연소시 발생되는 불꽃과 분진이 집진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숯의 연소시 발생되는 불꽃과 분진으로 인한 주위의 오염과 작업자의 고충을 해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숯불 점화기의 상부측에 연소실의 개폐뚜껑을 개폐시킬 수 있는 뚜껑 개폐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숯불을 어느 정도의 상태로 점화시킨 후 점화된 상태의 숯불을 꺼낼 때 뚜껑 개폐장치를 통해 개폐뚜껑을 개폐시켜 화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일측면 상부에 내부와 내통 형성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의 하부 일측에 내부와 내통 형성되는 유출공 및 물주입관이 구비되어 외부를 구성하는 외통;
    상기 외통의 내부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외통과의 사이에 물을 저수하는 저수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한편 그 상부 일측에는 숯의 연소시 발생되는 불꽃과 분진을 상기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다수의 집진공이 형성된 내통;
    상기 외통과 내통 사이의 저수공간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외통의 배출구와 내통의 집진공 사이를 가로막아 숯의 연소시 발생된 불꽃과 분진이 상기 저수공간을 휘돌면서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집진 분리판;
    상기 내통의 내부에 구성되어 내통의 내측과 숯을 연소시키는 연소실을 구성하되 그 하부면에는 다수의 송풍공이 관통 형성된 연소로;
    상기 외통으로부터 내통을 경유하여 연소로 하부의 송풍공에 인접되게 연장 설치되는 송풍관;
    상기 외통의 외측면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관을 통해 숯의 연소시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한편 송풍에 의해 발생되는 송풍압을 통해 상기 저수공간의 물을 유동시켜 유입된 불꽃과 분진이 유동된 물에 집진되도록 하고, 상기 연소실과 저수공간 내부에 팽배하게 발생된 송풍압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빠르게 배출됨으로써 상기 외통 내측의 배출구 주위에 작용되는 압력차에 의해 유동된 물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분출되도록 하는 송풍기; 및
    상기 내통의 상부를 개폐시켜 상기 연소실을 개폐시키는 개폐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숯불 점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하부에는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납 설치되어 상기 연소실에서 숯을 연소시킨 후 상기 연소로의 내측에 잔류된 재찌꺼기를 모아들이는 재받이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점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숯불 점화기에는 외통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개폐뚜껑 중심의 상부측 일정 높이로 절곡 설치되어지되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끝단에 상하의 직선 방향으로 지지되어지되 그 중심은 개폐뚜껑 중심과 일치되도록 구비되는 중공의 상하 가이드 관;
    상기 개폐뚜껑의 상부면 중심에 수직으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상하 가이드 관을 관통 결합되어 개폐뚜껑을 개폐시 상하로 안내하는 개폐뚜껑 가이드 봉;
    상기 개폐뚜껑 가이드 봉의 외주면 상에 결합되어지되 상기 상하 가이드 관의 하단과 개폐뚜껑의 상부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개폐뚜껑을 상시 하향시키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지지부재 끝단부 상부면 상에 일측 끝단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한편 상기 상하 가이드 관의 상단 상부측으로 노출된 상기 개폐뚜껑 가이드 봉의 상단에 끝단의 힌지 결합부로부터 일정거리 위치의 일부분이 상하로 일정범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폐뚜껑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뚜껑 개폐레버로 이루어진 뚜껑 개폐장치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숯불 점화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하부면에는 상기 숯불 점화기를 밀거나 끌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바퀴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점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상부면 가장자리에는 원호의 형태로 지지되어 상기 숯불 점화기를 밀거나 끌어 이동시킬 경우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점화기.
KR20-2004-0006183U 2004-03-08 2004-03-08 숯불 점화기 KR2003519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183U KR200351917Y1 (ko) 2004-03-08 2004-03-08 숯불 점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183U KR200351917Y1 (ko) 2004-03-08 2004-03-08 숯불 점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917Y1 true KR200351917Y1 (ko) 2004-06-04

Family

ID=49431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183U KR200351917Y1 (ko) 2004-03-08 2004-03-08 숯불 점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9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2463A (en) Portable wood burning camp stove
KR100281507B1 (ko) 소각기능을 갖춘 기름보일러 겸용 나무 보일러
KR101249548B1 (ko) 숯불착화기
KR200457499Y1 (ko) 숯불착화기
US4347831A (en) Fuel burning stove
KR102064058B1 (ko) 화목난로
KR200169830Y1 (ko) 전기점화식 숯불구이기
KR200351917Y1 (ko) 숯불 점화기
KR100495582B1 (ko) 숯불 착화장치
KR101224120B1 (ko) 숯불 연소장치
KR200481740Y1 (ko) 화목 및 펠릿 겸용 난로
JPH0832888B2 (ja) 防水工事用アスファルト溶解釜
CN215175237U (zh) 柴火炉
US4485800A (en) Stove construction
KR200257557Y1 (ko) 숯불 숙성기
KR102633021B1 (ko) 숯불 착화장치
KR102591827B1 (ko)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
KR200156316Y1 (ko) 난방 및 건조기능을 가지는 숯불 점화기
CN215831989U (zh) 一种双模式燃烧炉
KR100323331B1 (ko) 로스터용 숯불 착화장치
KR200435114Y1 (ko) 숯점화기
CN217004450U (zh) 一种火种灯
KR102251182B1 (ko) 화목 난로
KR101188901B1 (ko) 펠릿 보일러용 연소기
JP3148541U (ja) 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