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182B1 - 화목 난로 - Google Patents

화목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182B1
KR102251182B1 KR1020190163378A KR20190163378A KR102251182B1 KR 102251182 B1 KR102251182 B1 KR 102251182B1 KR 1020190163378 A KR1020190163378 A KR 1020190163378A KR 20190163378 A KR20190163378 A KR 20190163378A KR 102251182 B1 KR102251182 B1 KR 102251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firewood stove
backflow prevention
communicatio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식
Original Assignee
정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식 filed Critical 정창식
Priority to KR1020190163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2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o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15Means for removing a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5Fireboxes; Frames; Hoods; Heat reflectors
    • F24B1/1955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며, 연료가 수용되는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의 상측으로 결합되며, 깔때기 형상을 갖는 역류 방지부; 상기 제1 몸체부와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측에 연통 결합부를 구비한 제2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몸체부에서 발생된 연기가 상기 제2 몸체부로 이동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연결체; 및 상기 연결체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연결 부위 또는 상기 연결체 내부에 위치하며,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차단벽; 을 포함하고, 상기 연통 결합부의 직경은, 상기 역류 방지부의 하단부 직경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난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목 난로{FIREWOOD STOVE}
본 발명은 화목 난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소율이 향상되어 매연 발생율이 현저히 감소된 화목 난로에 관한 것이다.
난방 장치의 하나로서 나무, 석탄, 석유, 가스 따위의 연료를 때거나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내어 방 안의 온도를 올리는 기구를 난로라 칭한다. 난로에는 나무를 사용하는 화목 난로, 석유를 사용하는 석유 난로, 및 가스를 사용하는 가스 난로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나 축사 또는 공장이나 공공장소 등 규모가 넓은 장소에서 난방을 하기 위해서는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갈탄이나 연탄 그리고 목재 등의 연료를 사용하는 화목 난로를 주로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화목 난로는 불완전 연소율이 높아 매연이 크게 발생하고, 타고 남은 재의 수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소율을 향상시켜 매연을 감소시키고, 타고 남은 재의 수거가 용이한 화목 난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기 및 고구마와 같은 식재료를 가열하여 요리할 수 있는 화목 난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며, 연료가 수용되는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의 상측으로 결합되며, 깔때기 형상을 갖는 역류 방지부, 상기 제1 몸체부와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측에 연통 결합부를 구비한 제2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몸체부에서 발생된 연기가 상기 제2 몸체부로 이동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연결체, 및 상기 연결체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연결 부위 또는 상기 연결체 내부에 위치하며,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차단벽을 포함하고, 상기 연통 결합부의 직경은, 상기 역류 방지부의 하단부 직경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목 난로는, 일단부가 연통 결합부 내부에 삽입되며, 타단부에 배기팬을 구비한 연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통 결합부 내부에는, 상기 연통의 일단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돌출된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불판, 상기 불판의 제1 몸체부 측 일단부에 세워진 제1 보조판, 상기 불판의 제2 몸체부 측 타단부에 세워진 제2 보조판, 및 상기 불판과 상기 제1 보조판의 연결 부위에 형성된 관통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료 수용부 내부에 삽입되며, 손잡이부를 구비한 재 수거통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부, 상기 제2 몸체부, 및 상기 연결체는, LPG 폐 가스통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소율을 향상시켜 매연을 감소시키고, 타고 남은 재의 수거가 용이한 화목 난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기 및 고구마와 같은 식재료를 가열하여 요리할 수 있는 화목 난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목 난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목 난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제1 몸체부와 역류 방지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역류 방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단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통 결합부와 연통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통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뚜껑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목 난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목 난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목 난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특히 도 1에서는 역류 방지부(20), 연통(60), 재 수거통(70), 불판 덮개(100)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였고, 도 2에서는 상술한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또한, 도 3은 제1 몸체부와 역류 방지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역류 방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단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목 난로는 제1 몸체부(10), 역류 방지부(20), 제2 몸체부(30), 연통 결합부(40), 연결체(50), 연통(60), 차단벽(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부(10)는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며, 목재 등과 같은 연료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몸체부(10)는 LPG 폐 가스통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몸체부(10)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원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제1 몸체부(10)의 주위에는 안전 망이 배치될 수 있다.
역류 방지부(20)는 제1 몸체부(10)의 상측으로 결합되며, 윗부분이 폭이 넓고 아랫부분은 폭이 좁은 깔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류 방지부(20)는 상대적으로 넓은 직경을 갖는 상단부(21)와 상기 상단부(21)에 비하여 작은 직경(W1)을 갖는 하단부(22)로 구성될 수 있다.
역류 방지부(20)의 상단부(21)는 제1 몸체부(10)와 직경이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되므로, 역류 방지부(20)가 제1 몸체부(10)에 결합되는 경우 하단부(22)는 제1 몸체부(10) 내에 삽입되고 상단부(21)는 제1 몸체부(10)의 상단에 위치될 수 있다(도 2 참조).
이러한 깔때기 구조의 역류 방지부(20)를 통하여 제1 몸체부(10)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바로 제1 몸체부(10)의 상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2 몸체부(20)는 제1 몸체부(1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측에 연통 결합부(4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몸체부(30) 역시 제1 몸체부(10)와 같이 LPG 폐 가스통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몸체부(30)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원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통 결합부(40)는 제2 몸체부(3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일례로 제2 몸체부(30) 상측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통 결합부(40)에는 연통(60)이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연통(60)의 직경은 연통 결합부(40)에 비하여 작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통(60)은 연통 결합부(40) 내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연결체(50)는 제1 몸체부(10)와 제2 몸체부(30) 사이에 연결되어, 제1 몸체부(10)에서 발생된 연기가 제2 몸체부(30)로 이동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연결체(50)는 LPG 폐 가스통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결체(50)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원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차단벽(120)은 제1 몸체부(10)에서 발생한 재 등의 이물질이 제2 몸체부(30)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체(50)와 제2 몸체부(30)의 연결 부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차단벽(12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는데 일례로 연결체(5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러한 차단벽(120)에는 연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개구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목 난로는 불판(80), 제1 보조판(91), 제2 보조판(92), 및 관통구(95)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불판(80)은 화목 난로에서 발생되는 열을 통해 고기, 고구마와 같은 식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체(5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연결체(50)의 상측 소정 영역을 제거한 뒤, 해당 제거 부분에 판 형상의 불판(80)을 용접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몸체부(10)에서 발생된 열이 불판(80)으로 전해지게 되며, 해당 열을 통해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제1 보조판(91)과 제2 보조판(92)은 불판(80) 상에 위치한 식재료의 외부 이탈을 막기 위해 배치되는 것으로, 제1 보조판(91)은 불판(80)의 제1 몸체부(10) 측 일단부에 세워지고, 제2 보조판(92)은 불판(80)의 제2 몸체부(30) 측 타단부에 세워질 수 있다.
관통구(95)는 불판(80)에서 발생된 기름을 빼내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최초 난로 가동 시 연료 점화기가 삽입되는 점화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관통구(95)는 불판(80)과 제1 보조판(91)의 연결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구마 등과 같은 식재료의 조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불판 덮개(1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불판 덮개(100)는 불판(80)의 부착을 위해 연결체(50) 상측에서 제거된 부분을 활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불판 덮개(100)의 상측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11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화목 난로의 가동이 완료되면 제1 몸체부(10) 내부에는 타고 남은 재가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재의 수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1 몸체부(10) 내부에는 재 수거통(7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재 수거통(70)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71)가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화목 난로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사용자는 목재 등의 연료를 역류 방지부(20)를 통해 제1 몸체부(10)로 투입한다. 그 후, 관통구(95)를 통해 연료 점화기(미도시)를 제1 몸체부(10) 내부로 삽입하여 연료를 점화시킨다.
이에 따라 제1 몸체부(10)에서는 연료 점화에 따라 연기가 발생하기 시작하며, 발생된 연기는 역류 방지부(20)에 의해 제1 몸체부(10)의 상측으로 나가는 것이 차단되고, 연결체(50)를 통해 제2 몸체부(30)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몸체부(10)에서 발생된 재 등의 이물질이 연결체(50)로 유입될 수 있으나, 차단벽(120)에 의해 제2 몸체부(30)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제2 몸체부(30)로 유입된 연기는 연통 결합부(40)를 통해 연통(60)으로 이동되어, 최종적으로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화목 난로의 가동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는 재 수거통(70)을 외부로 꺼내 제1 몸체부(10) 내부에 위치한 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연기의 역류 현상을 차단하고 그 배출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연통 결합부(40)의 직경(W2)은 역류 방지부(20)의 하단부(22) 직경(W1)과 동일하거나 그 보다 크게 설계될 수 있다.
즉, 연통 결합부(40)의 직경(W2)이 역류 방지부(20)의 하단부(22) 직경(W1) 보다 작게 설계될 경우, 양단의 압력차에 의하여 연기가 역류 방지부(20) 측으로 나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연기의 역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통 결합부(40)의 직경(W2)을 역류 방지부(20)의 하단부(22) 직경(W1) 이상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몸체부(10) 내에 위치하는 역류 방지부(20)의 하단부(22)의 길이(H2)와 제1 몸체부(10)의 길이(H1)는 1:3 내지 1:2의 비율로 설정될 수 있다.
즉, 하단부(22)의 길이(H2)가 제1 몸체부(10) 길이(H1)의 1/3 이상으로 설정되어야 연기의 역류 방지 효과를 생기며, 하단부(22)의 길이(H2)가 제1 몸체부(10) 길이(H1)의 1/2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연료의 배치 공간이 너무 협소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역류 방지부(20)의 상측에는 별도의 뚜껑(170)이 추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뚜껑(170)은 화목 난로의 장기간 미사용 시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화목 난로의 사용시에도 역류 방지부(20) 측을 폐쇄함으로써 미연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역류 방지부(20)의 하단부(22)에는 절개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역류 방지부(20)와 제1 몸체부(10)의 결합 시, 절개부(25)는 연결체(50) 측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통구(95)를 통해 삽입되는 연료 점화기와 역류 방지부(20)의 간섭이 해소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통 결합부와 연통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연통(60)의 일단부(61)는 연통 결합부(40) 내부에 삽입 결합되며, 연통(60)의 타단부(62)에는 배기팬(130)이 설치될 수 있다. 배기팬(130)의 작동을 통해 연기의 배출량이 증가될 수 있으며, 난로 점화 초기 시 연기의 역류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연통 결합부(40)의 내부에는 삽입된 연통(60)의 일단부(61)를 지지하기 위한 걸림부(4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통 결합부(40)의 상단부 내주면을 따라 걸림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통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통 결합부(40)에는 연통(60)의 개폐 조절을 위한 개폐판(42)이 추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판(42)은 외부에 위치한 손잡이부(43)와 연결되며, 사용자는 손잡이부(43)를 회전시킴으로써 개폐판(42)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개폐판(42)을 통하여 연통(60)의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뿐만 아니라, 연통(60)의 개도율(개방 정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화목 난로의 화력 조절을 위하여 개도율을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바람이 심하게 부는 날씨에서 연기가 역류되는 현상을 막기 위하여 개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뚜껑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뚜껑부(170)는 몸체(171)와 개폐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71)는 역류 방지부(20)의 상단부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역류 방지부(20)와 대응한 형태(예를 들어, 원형)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몸체(171)의 중앙부에는 구멍(173)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개폐부(172)는 상술한 구멍(173)을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뚜껑부(170)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개폐부(172)를 통하여 목재와 같은 연료를 추가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화력 조절 또는 역류 방지 등을 위하여 개폐부(172)의 개폐 정도(개폐율)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개폐부(172)는 구멍(173)의 개구율을 조절할 수 있는 형태로 몸체(171)에 결합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개폐부(172)는 체결부(174)를 통하여 몸체(171)에 회동 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172)는 몸체(171)에 형성된 구멍(173)을 완전히 덮기 위하여 구멍(173)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지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제1 몸체부
20: 역류 방지부
30: 제2 몸체부
40: 연통 결합부
50: 연결체
60: 연통
80: 불판
91: 제1 보조판
92: 제2 보조판
95: 관통구
100: 불판 덮개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며, 연료가 수용되는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의 상측으로 결합되며, 깔때기 형상을 갖는 역류 방지부;
    상기 제1 몸체부와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측에 연통 결합부를 구비한 제2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몸체부에서 발생된 연기가 상기 제2 몸체부로 이동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연결체;
    상기 연결체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연결 부위 또는 상기 연결체 내부에 위치하며,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차단벽;
    상기 연결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불판;
    상기 불판의 제1 몸체부 측 일단부에 세워진 제1 보조판;
    상기 불판의 제2 몸체부 측 타단부에 세워진 제2 보조판; 및
    상기 불판과 상기 제1 보조판의 연결 부위에 형성된 관통구; 를 포함하고,
    상기 역류 방지부는,
    상단부, 및 상기 상단부에 비하여 작은 직경을 가지며 절개부가 형성된 하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단부에 형성된 절개부는,
    상기 연결체 측을 바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통 결합부의 직경은,
    상기 역류 방지부의 하단부 직경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단부의 길이와 상기 제1 몸체부의 길이는 1:3 내지 1:2의 비율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난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목 난로는,
    일단부가 연통 결합부 내부에 삽입되며, 타단부에 배기팬을 구비한 연통;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통 결합부 내부에는,
    상기 연통의 일단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돌출된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난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 내부에 삽입되며, 손잡이부를 구비한 재 수거통; 을 더 포함하는 화목 난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 상기 제2 몸체부, 및 상기 연결체는,
    LPG 폐 가스통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난로.
KR1020190163378A 2019-12-10 2019-12-10 화목 난로 KR102251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378A KR102251182B1 (ko) 2019-12-10 2019-12-10 화목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378A KR102251182B1 (ko) 2019-12-10 2019-12-10 화목 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182B1 true KR102251182B1 (ko) 2021-05-11

Family

ID=75914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378A KR102251182B1 (ko) 2019-12-10 2019-12-10 화목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18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7338A (ja) * 2011-12-19 2013-06-27 Ishimura Kogyo Kk 薪ストーブ
KR20150060137A (ko) * 2013-11-26 2015-06-03 한성열 공기 순환식 난로
KR101542350B1 (ko) * 2014-03-12 2015-08-07 최춘환 축열식 화목 난방장치
KR20160022688A (ko) * 2014-08-20 2016-03-02 김철섭 화목난로
KR20160086089A (ko) * 2015-01-09 2016-07-19 김민 고기구이 불판을 갖는 화목 난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7338A (ja) * 2011-12-19 2013-06-27 Ishimura Kogyo Kk 薪ストーブ
KR20150060137A (ko) * 2013-11-26 2015-06-03 한성열 공기 순환식 난로
KR101542350B1 (ko) * 2014-03-12 2015-08-07 최춘환 축열식 화목 난방장치
KR20160022688A (ko) * 2014-08-20 2016-03-02 김철섭 화목난로
KR20160086089A (ko) * 2015-01-09 2016-07-19 김민 고기구이 불판을 갖는 화목 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4290B2 (en) Ash cleanout system
KR101138127B1 (ko) 하향식 연소방식을 채용한 화목 난로
US20130174834A1 (en) Pellet fueled grill with cleanout port
KR101481295B1 (ko) 수평식 화목 난로
KR200486674Y1 (ko) 난로
KR101382093B1 (ko) 벽난로를 겸한 화목 보일러
KR102251182B1 (ko) 화목 난로
KR101757026B1 (ko) 화목 및 펠렛 겸용 난로
KR100495582B1 (ko) 숯불 착화장치
KR200481740Y1 (ko) 화목 및 펠릿 겸용 난로
KR102076495B1 (ko) 착화공을 갖는 다목적 난로
KR100766469B1 (ko) 보일러 겸용 벽난로
KR101718202B1 (ko) 캠핑용 난방화덕
KR101380464B1 (ko) 오븐실을 겸비한 하향연소식 난로
US10202555B2 (en) Gasification stove
KR100407205B1 (ko) 열효율을 개선한 가스 튀김기의 구조
CN101619860B (zh) 自动添加燃料的柴草炉灶
JP3130641U (ja) 暖房装置
KR102297258B1 (ko) 유해연소가스를 제거 가능한 펠릿 난로
KR101634360B1 (ko)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KR102357848B1 (ko) 난로
CN212644684U (zh) 一种无动力下料带多级配风的生物质烤火炉
RU2740962C1 (ru) Конвекторная печь
CN217715869U (zh) 旋转燃烧炉
KR102459217B1 (ko)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