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217B1 -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 - Google Patents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217B1
KR102459217B1 KR1020210099136A KR20210099136A KR102459217B1 KR 102459217 B1 KR102459217 B1 KR 102459217B1 KR 1020210099136 A KR1020210099136 A KR 1020210099136A KR 20210099136 A KR20210099136 A KR 20210099136A KR 102459217 B1 KR102459217 B1 KR 102459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mbustion
heating
panel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경
Original Assignee
김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경 filed Critical 김태경
Priority to KR1020210099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2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2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 F23J15/025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using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24B1/024Closed stoves for pulverulent fu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7/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F24B7/005Flue-gas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에 개폐도어가 마련되고 내부에 연소공간을 갖으며 상면 일단에 열기공이 형성된 연소하우징과, 상기 열기공과 연통되게 상기 연소하우징의 상면에 하단부가 연결되는 가속관부와, 상기 가속관부를 감싸면서 상기 연소하우징의 상면에 고정되고 일면에 배기구가 형성된 발열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소하우징에는 양측면에 내부에 유도공간을 갖는 보온유도캡이 더 체결되며, 상기 보온유도캡의 하측에는 외부유입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연소하우징의 양측면 상측에는 상기 외부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내부유입공들이 형성되어,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기가 순차적으로 연소하우징 및 발열하우징으로 이동됨과 아울러 보온유도캡 및 열기제어패널에 의해 연료의 연소와 함께 발열되는 일반 난로에 비해 열기의 체류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열효율이 향상되고 보온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 { Wood stove with double insulation structure }
본 발명은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기가 순차적으로 연소하우징 및 발열하우징으로 이동됨과 아울러 보온유도캡 및 열기제어패널에 의해 연료의 연소와 함께 발열되는 일반 난로에 비해 열기의 체류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열효율이 향상되고 보온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에 관한 것이다.
겨울철 난방기구로 가스, 전기, 석유, 석탄, 목재 등의 열원을 이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난방기구들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안전성, 효율성 및 심미적인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진화를 거듭하면서 새로운 모델들이 계속해서 출시되고 있다.
화석 연료의 고갈이 현실화되어 가면서 연료 가격은 지속적으로 오르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가스 및 전기 가격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나아가 원자재의 가격 폭등이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는 매우 불안정한 작금의 상황을 부정할 수 있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안타깝게도 우리 주변에는 지금도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겨울철을 나기 힘든 사람들이 있다. 원자재 가격의 폭등은 넉넉하지 못한 사람들의 겨울철 나기를 더욱 어렵게 할 것이 분명하다.
한편, 겨울철에 재래 시장이나 농촌의 장터에서는 추위를 견디기 위해 넓은 공터에서 불을 피우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또한, 도로 주변에 설치된 가판대에서도 각종 목재, 폐휴지가 적재되어 있거나 소각하는 모습을 가끔 목격할 수 있다.
이러한 모습이 보편적인 것은 아니지만 우리 생활 주변에는 공사장 폐기물, 각종 폐기 가구, 나무상자, 종이 박스 등이 다량 발생하고 있음을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폐기물은 좋은 연료가 될 수 있지만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오히려 비용을 지불하면서 처분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반면, 공사장 등에서 배출된 각종 폐목재를 구입하고자 한다면 매우 저렴한 가격에 다량 구입이 가능하기도 하다.
그러므로, 우리 생활주변에서 발생하는 목재, 종이류 등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난방기구가 제공된다면 고가의 석유나 석탄, 전기, 가스 등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저렴한 난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목재를 이용한 난방기구로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유형은 벽버너인데, 멋과 운치가 중요한 레스토랑 등에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 화목버너는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20-2013-0005929호에서와 같이 설치공간이 제한되는 재래시장 좌판의 노점상인들, 도로에 설치되는 가판 점포, 각종 공사장 등에서 이용하기에 적절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즉, 이러한 화목버너는 부녀자들도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성이 결여되어 있고, 전기 버너 수준으로 소형화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점을 개선한 화목버너가 보급된다면, 경제적으로 넉넉하지 않은 상인들의 겨울철 난방문제가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노점상인들의 경우, 전기 버너를 이용하더라도 음식의 조리, 보관이 어렵고, 따스한 온수를 공급받기 어렵다. 그러므로, 이동성 소형 화목버너가 따스한 음식을 조리, 보관하거나, 심지어 밥을 지을 수 있도록 하고, 따스한 온수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면, 특별한 조리시설 및 급수시설을 갖추기 어려운 상인들에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 분명하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 제206405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기가 순차적으로 연소하우징 및 발열하우징으로 이동됨과 아울러 보온유도캡 및 열기제어패널에 의해 연료의 연소와 함께 발열되는 일반 난로에 비해 열기의 체류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열효율이 향상되고 보온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측에 개폐도어가 마련되고 내부에 연소공간을 갖으며 상면 일단에 열기공이 형성된 연소하우징과, 상기 열기공과 연통되게 상기 연소하우징의 상면에 하단부가 연결되는 가속관부와, 상기 가속관부를 감싸면서 상기 연소하우징의 상면에 고정되고 일면에 배기구가 형성된 발열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소하우징에는 양측면에 내부에 유도공간을 갖는 보온유도캡이 더 체결되며, 상기 보온유도캡의 하측에는 외부유입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연소하우징의 양측면 상측에는 상기 외부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내부유입공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속관부는 상기 열기공과 연통되게 하단부가 상기 연소하우징의 상면에 연결되고, 상부에 연결공이 형성된 돔케이싱과, 상기 돔케이싱의 연결공과 연통되게 하단부가 상기 돔케이싱의 상부에 고정되는 가속관유닛과, 상기 가속관유닛에 끼움되는 열기제어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하우징의 전면패널은 하부지지패널과,상기 하부지지패널에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단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열기경사안내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소하우징의 상면패널에는 저면에 상기 열기공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지게 유도경사면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소하우징에는 상면에 상기 발열하우징을 감싸면서 보온하우징의 하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발열하우징과 상기 보온하우징 사이에는 유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보온하우징의 외면과 상면에는 통기공들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하우징에는 연료를 연소시 발생하는 분진이나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걸림형분진수집배출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걸림형분진수집배출수단은 상기 발열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배기구에 끼움되고 유입구가 상기 발열하우징의 배면패널의 내면을 바라보도록 형성되는 곡선의 절곡관과, 상기 절곡관의 유입구에 설치되어 분진이나 이물질을 걸러내는 차단망과, 상기 발열하우징의 하부에 상기 배기구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안내패널과, 상기 발열하우징의 배면패널에 형성되고, 인출도어가 마련된 이물질배출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곡관의 유입구와 상기 배면패널 사이에는 배출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는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기가 순차적으로 연소하우징 및 발열하우징으로 이동됨과 아울러 보온유도캡 및 열기제어패널에 의해 연료의 연소와 함께 발열되는 일반 난로에 비해 열기의 체류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열효율이 향상되고 보온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화목난로라 명명함)는 나무와 같은 연료를 발화시켜 열기를 발생시키도록 된 화목난로(10)로서, 이에 이와같은 화목난로(10)는 연소하우징(20)과 가속관부(30)와 발열하우징(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소하우징(20)은 일측에 개폐도어(21)가 마련되고 내부에 연소공간을 갖으며 상면 일단에 열기공(22)이 형성된다.
상기 연소하우징(20)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연료를 투입함과 아울러 발화된 연료의 재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개폐도어(21)가 힌지결합된다.
상기 연소하우징(20)은 사각의 케이싱구조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지지다리들이 용접되어 고정된다.
상기 가속관부(30)는 상기 열기공(22)과 연통되게 상기 연소하우징(20)의 상면에 하단부가 연결된다.
상기 가속관부(30)는 금속재로 형성시키게 되며, 상기 발열하우징(4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소하우징(20)에서 이동되는 열기와 연기를 상기 발열하우징(40)으로 안내하게 된다.
상기 가속관부(30)는 상기 열기공(22)과 연통되게 하단부가 상기 연소하우징(20)의 상면에 하단부가 용접되어 연결되고, 상부에 연결공(311)이 형성된 반타원형 형상의 돔케이싱(31)과, 상기 돔케이싱(31)의 연결공(311)과 연통되게 하단부가 상기 돔케이싱(31)의 상부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관 구조의 가속관유닛(32)과, 상기 가속관유닛(32)에 끼움되는 열기제어패널(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열기제어패널(33)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편심되게 설치공이 형성되어 상기 설치공을 상기 가속관유닛(32)에 끼운 후 용접 또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가속관유닛(32)의 내경이 상기 돔케이싱(3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열기 및 연기가 가속되게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이동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열기제어패널(33)의 양측부와 후단은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발열하우징(40)의 양측면패널과 배면패널(25)의 내측면과 맞닿게 배치하게 되고, 상기 열기제어패널(33)의 선단과 상기 발열하우징(40)의 전면패널(24)의 내측면 사이에 이동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속관유닛(32)을 통해 상기 발열하우징(40)의 내부로 유입되는 열기 및 연기가 상기 발열하우징(40)의 배면패널(25)에 형성되는 배기구(41)로 바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열기제어패널(33)에 안내되어 상기 이동공간을 통해 이동된 후 상기 배기구(41)를 통해 배출되어 열기의 체류시간을 늘려 발열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속관부(30)의 상단부와 상기 발열하우징(40)의 상면패널의 내면은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열기 및 연기가 상기 가속관부(30)의 상단부를 통해 상기 발열하우징(40)의 내부에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속관부(30)는 상기 발열하우징(40)의 배면패널(25)에 근접되게 배치되어, 상기 열기제어패널(33)에 이동공간에 의해 일정경로를 따라 열기 및 연기가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체류시간을 늘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속관유닛(32)의 내면에는 나선의 소용돌이홈(321)이 더 형성되어, 상기 소용돌이홈(321)을 따라 연기가 소용돌이 형태로 회전되면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회전되는 연기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분진이 충돌하여 파쇄되어, 이물질이나 분진을 배출시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고, 점차 배기구(41)에 쌓여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돔케이싱(31)의 내면에는 나선의 와류나선홈(312)이 더 형성되어, 상기 와류나선홈(312)을 따라 연기가 소용돌이 형태로 회전되면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회전되는 연기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분진이 충돌하여 파쇄되어, 이물질이나 분진을 배출시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고, 점차 배기구(41)에 쌓여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열기제어패널(33)의 저면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내열성을 갖는 합성섬유시트의 상단부를 나사체결 또는 부착하여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합성섬유시트에 연기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분진이 부착되어 걸러진 후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하우징(40)은 상기 가속관부(30)를 감싸면서 상기 연소하우징(20)의 상면에 고정되고 일면에 배기구(41)가 형성된다.
상기 발열하우징(40)은 하부가 개방된 사각의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소하우징(20)의 상면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상기 발열하우징(40)은 금속재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배기구(41)는 상기 발열하우징(40)의 배면패널(25) 하측에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연소하우징(20)에는 양측면에 내부에 유도공간을 갖는 보온유도캡(50)이 더 체결되며, 상기 보온유도캡(50)의 하측에는 외부유입공(51)들이 형성되고, 상기 연소하우징(20)의 양측면 상측에는 상기 외부유입공(51)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내부유입공(23)들이 형성된다.
상기 보온유도캡(50)은 일면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개방된 부분이 폐쇄되도록 상기 연소하우징(20)의 양측면에 각각 용접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연소하우징(20)에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상기 유도공간의 공기와 상기 보온유도캡(50)이 가열되어 보온효과 및 발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상기 연소하우징(20)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외부유입공(51)이 상기 보온유도캡(50)의 하부에 형성되고 내부유입공(23)이 상기 연소하우징(20)의 양측면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유입공(51)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도공간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연소하우징(20)에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가열된 후 상기 내부유입공(23)을 통해 상기 연소하우징(20)의 내부로 유입되어, 발열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고, 발화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며, 보온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온유도캡(50)에는 상기 배기구(41)와 연통되게 통기구가 더 형성된다.
상기 발열하우징(40)의 전면패널(24)은 하부지지패널(241)과, 상기 하부지지패널(241)에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단부로 갈수록 내측(배기구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열기경사안내패널(242)로 이루어져, 상기 가속관유닛(32)에서 배출되는 열기 및 연기가 경사진 상기 열기경사안내패널(242)을 따라 안내되어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경사지게 형성되어 내측면에 분진이나 이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연소하우징(20)에는 상면에 상기 발열하우징(40)을 감싸면서 보온하우징(60)의 하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발열하우징(40)과 상기 보온하우징(60) 사이에는 유격공간(61)이 형성되며, 상기 보온하우징(60)의 외면과 상면에는 통기공(62)들이 더 형성되어, 상기 발열하우징(40)에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상기 유격공간(61)의 공기가 가열되어 보온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되고, 가열된 공기와 상기 발열하우징(40)의 열기에 의해 상기 보온하우징(60)이 발열되어 발열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유격공간(61)의 가열된 공기는 상기 통기공(6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화목난로(10)가 설치된 공간의 실내 온도를 높이거나 일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온하우징(60)은 하부가 상기 연소하우징(20)의 상면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발열하우징(40)에는 외면에 지지샤프트(41)들의 일단을 더 용접하고, 상기 지지샤프트(41)들의 타단을 상기 보온하우징(60)의 내면에 용접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열전달효율을 높여 상기 보온하우징(60)이 발열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소하우징(20)의 상면패널에는 저면에 상기 열기공(22)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지게 유도경사면(26)이 더 형성되어, 상기 연소하우징(20)에서 발생되는 열기 및 연기가 상기 유도경사면(26)을 따라 상기 열기공(22)으로 안내되어,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연기가 정체되어 외부로 상기 개폐도어(21)를 통해 상기 연소하우징(2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발열하우징(40)에는 연료를 연소시 발생하는 분진이나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걸림형분진수집배출수단(70)이 더 마련된다.
상기 걸림형분진수집배출수단(70)은 상기 발열하우징(40)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배기구(41)에 끼움되고 유입구가 상기 발열하우징(40)의 배면패널(25)의 내면을 바라보도록 형성되는 곡선의 절곡관(71)과, 상기 절곡관(71)의 유입구에 테두리 부분이 용접 또는 접착되어 고정되며, 분진이나 이물질을 걸러내는 차단망(72)과, 상기 발열하우징(40)의 하부에 상기 배기구(41)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발열하우징(40)의 내측면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경사안내패널(73)과, 상기 발열하우징(40)의 배면패널(25)에 형성되고, 인출도어가 힌지회동되게 마련된 이물질배출구(74)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곡관(71)의 유입구와 상기 배면패널(25) 사이에는 배출공간(75)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절곡관(71)으로 유입되어 상기 배기구(4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연기에 포함된 분진이나 이물질이 상기 차단망(72)이 걸리진 후 이물질이나 분진은 상기 발열하우징(4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물질배출구(7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이물질이나 분진이 걸러진 연기는 상기 절곡관(71)을 통해 외부에 배출되어, 이물질이나 분진이 포함된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떨어진 이물질이나 분진은 상기 경사안내패널(73)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이물질배출구(74)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절곡관(71)의 유입구가 상기 배면패널(25)을 바라보도록 곡선지게 형성되어, 발열하우징(4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는 이물질이나 분진이 상기 유입구로 이동되는 연기를 따라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입구는 상기 배기구(41) 보다 상측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절곡관(71)에는 외면에 금속재로 이루어진 마찰핀(711)의 일단을 용접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마찰핀(711)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걸림핀들의 일단을 용접하여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절곡관(71)의 유입구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물질이나 분진이 걸림되어 상기 발열하우징(40)의 내측 하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열하우징(40)의 외면에는 진동기인 바이브레이터를 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켜, 상기 진동기의 진동에 의해 상기 발열하우징(40)의 내면이나 상기 절곡관(71)의 외면과 상기 차단망(72) 및 상기 경사안내패널(73)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탈거시킨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절곡관(71)에는 끝단에 원형의 관구조로 이루어지며 금속재로 형성된 거름망(712)의 일단을 끼우고, 상기 거름망(712)의 타단을 상기 발열하우징(40)의 배면패널(25) 내면에 용접하여 고정시키킴으로써, 상기 거름망을 통해 연기만 관통하여 유입된 후 상기 배기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이물질이나 분진은 걸러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화목난로
20 : 연소하우징
21 : 개폐도어
22 : 열기공
23 : 내부유입공
24 : 전면패널
241 : 하부지지패널
242 : 열기경사안내패널
25 : 배면패널
26 : 유도경사면
30 : 가속관부
31 : 돔케이싱
311 : 연결공
312 : 와류나선훔
32 : 가속관유닛
321 : 소용돌이홈
33 : 열기제어패널
40 : 발열하우징
41 : 배기구
42 : 지지샤프트
43 : 진동기
50 : 보온유도캡
51 : 외부유입공
60 : 보온하우징
61 : 유격공간
62 : 통기공
70 : 걸림형분진수집배출수단
71 : 절곡관
711 : 마찰핀
712 : 거름망
72 : 차단망
73 : 경사안내패널
74 : 이물질배출구
75 : 배출공간

Claims (5)

  1. 일측에 개폐도어가 마련되고 내부에 연소공간을 갖으며 상면 일단에 열기공이 형성된 연소하우징;
    상기 열기공과 연통되게 상기 연소하우징의 상면에 하단부가 연결되는 가속관부; 및
    상기 가속관부를 감싸면서 상기 연소하우징의 상면에 고정되고 일면에 배기구가 형성된 발열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소하우징에는 양측면에 내부에 유도공간을 갖는 보온유도캡이 더 체결되며,
    상기 보온유도캡의 하측에는 외부유입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연소하우징의 양측면 상측에는 상기 외부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내부유입공들이 형성된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에 있어서,
    상기 가속관부는 상기 열기공과 연통되게 하단부가 상기 연소하우징의 상면에 연결되고, 상부에 연결공이 형성된 돔케이싱과,
    상기 돔케이싱의 연결공과 연통되게 하단부가 상기 돔케이싱의 상부에 고정되는 가속관유닛과,
    상기 가속관유닛에 끼움되는 열기제어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열하우징의 전면패널은 하부지지패널과,
    상기 하부지지패널에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단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열기경사안내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소하우징의 상면패널에는 저면에 상기 열기공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지게 유도경사면이 더 형성되고,
    상기 연소하우징에는 상면에 상기 발열하우징을 감싸면서 보온하우징의 하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발열하우징과 상기 보온하우징 사이에는 유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보온하우징의 외면과 상면에는 통기공들이 더 형성되며,
    상기 가속관유닛의 내면에는 나선의 소용돌이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소용돌이홈을 따라 연기가 소용돌이 형태로 회전되면서 이동되도록 되고,
    상기 돔케이싱의 내면에는 나선의 와류나선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와류나선홈을 따라 연기가 소용돌이 형태로 회전되면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발열하우징에는 외면에 지지샤프트들의 일단을 더 용접하고, 상기 지지샤프트들의 타단을 상기 보온하우징의 내면에 용접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열전달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하우징에는 연료를 연소시 발생하는 분진이나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걸림형분진수집배출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걸림형분진수집배출수단은,
    상기 발열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배기구에 끼움되고 유입구가 상기 발열하우징의 배면패널의 내면을 바라보도록 형성되는 곡선의 절곡관과,
    상기 절곡관의 유입구에 설치되어 분진이나 이물질을 걸러내는 차단망과,
    상기 발열하우징의 하부에 상기 배기구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안내패널과,
    상기 발열하우징의 배면패널에 형성되고, 인출도어가 마련된 이물질배출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곡관의 유입구와 상기 배면패널 사이에는 배출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

KR1020210099136A 2021-07-28 2021-07-28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 KR102459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136A KR102459217B1 (ko) 2021-07-28 2021-07-28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136A KR102459217B1 (ko) 2021-07-28 2021-07-28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217B1 true KR102459217B1 (ko) 2022-10-25

Family

ID=83804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136A KR102459217B1 (ko) 2021-07-28 2021-07-28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21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1014A (ja) * 2002-12-13 2004-07-08 Sunpot Co Ltd ペレット燃料燃焼装置
KR101397435B1 (ko) * 2014-01-23 2014-05-20 김칠기 회돌이 온돌식 화목 보일러
KR101803193B1 (ko) * 2016-06-08 2017-11-29 김태경 편심 열기안내구조를 갖는 화목난로
KR101959138B1 (ko) * 2017-09-20 2019-03-15 김태경 이중 연소하우징 구조를 갖는 화목난로
KR102064058B1 (ko) 2018-03-02 2020-01-08 (주) 대화이에스 화목난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1014A (ja) * 2002-12-13 2004-07-08 Sunpot Co Ltd ペレット燃料燃焼装置
KR101397435B1 (ko) * 2014-01-23 2014-05-20 김칠기 회돌이 온돌식 화목 보일러
KR101803193B1 (ko) * 2016-06-08 2017-11-29 김태경 편심 열기안내구조를 갖는 화목난로
KR101959138B1 (ko) * 2017-09-20 2019-03-15 김태경 이중 연소하우징 구조를 갖는 화목난로
KR102064058B1 (ko) 2018-03-02 2020-01-08 (주) 대화이에스 화목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393B1 (ko) 화목난로
KR101734025B1 (ko) 요리겸용 화목난로
US4303198A (en) Wood-burning boiler
KR101481295B1 (ko) 수평식 화목 난로
KR102459217B1 (ko) 이중보온구조를 갖는 화목난로
US4128094A (en) Heater
RU2490553C2 (ru) Печь-каменка
EP1141635A1 (en) Brickless stove
US4831941A (en) Wrap-around heat and smoke extractor
CN104913343B (zh) 一种炉灶装置
US5029534A (en) Wrap-around heat and smoke extractor
CN206944237U (zh) 多功能炉子
KR200425900Y1 (ko) 석탄 보일러
KR870002471Y1 (ko) 고체연료용 난방기구
KR20190031919A (ko) 실내용 난로 겸 보일러
KR102251182B1 (ko) 화목 난로
KR102502330B1 (ko) 화목난로
US4951582A (en) Wrap-around heat and smoke extractor
CA1166911A (en) Furnace
KR101288273B1 (ko) 다기능을 보유한 효율향상 펠릿 보일러
EP4160094A1 (en) Domestic/industrial pellet-burning system
JPH0248721Y2 (ko)
CN107013947A (zh) 一种节能烤火热水炉
KR20230121426A (ko) 완전연소를 유도하는 다용도 난로
CN111664476A (zh) 环保燃炉及燃炉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