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362B1 - dhaB 유전자의 발현 증대를 위한 5'-UTR 및 이의 이용 - Google Patents

dhaB 유전자의 발현 증대를 위한 5'-UTR 및 이의 이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362B1
KR102631362B1 KR1020180136672A KR20180136672A KR102631362B1 KR 102631362 B1 KR102631362 B1 KR 102631362B1 KR 1020180136672 A KR1020180136672 A KR 1020180136672A KR 20180136672 A KR20180136672 A KR 20180136672A KR 102631362 B1 KR102631362 B1 KR 102631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tr
acid
vector
dhab
synth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3258A (ko
Inventor
이정연
강혜옥
성민경
강동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136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362B1/ko
Publication of KR20200053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3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88Lyases (4.)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52Genes encoding for enzymes or proenzy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67General methods for enhancing the expres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4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xyl group including Peroxycarboxylic acids
    • C12P7/42Hydrox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402/00Carbon-oxygen lyases (4.2)
    • C12Y402/01Hydro-lyases (4.2.1)
    • C12Y402/0103Glycerol dehydratase (4.2.1.3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글리세롤 디하이드라타제 (glycerol dehydratase)를 코딩하는 dhaB 유전자의 RNA 전사량을 증가시키는 5'-UTR (untranslated region) 폴리뉴클레오티드, 이를 포함하는 벡터, 균주 및 이를 이용한 3-히드록시프로피온산(3-HP)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dhaB 유전자의 발현 증대를 위한 5'-UTR 및 이의 이용 {5'-UTR for enhancing expression level of dhaB gene and uses thereof}
글리세롤 디하이드라타제 (glycerol dehydratase)를 코딩하는 dhaB 유전자의 RNA 전사량을 증가시키는 5'-UTR (untranslated region) 폴리뉴클레오티드, 이를 포함하는 벡터,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3-히드록시프로피온산(3-HP)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3-히드록시프로피온산(3-HP)은 젖산(2-히드록시프로피온산)의 이성질체로서 고분자 코팅제의 가교제, 금속 윤활제, 섬유의 정전기 방지제 등으로 사용되고, 아크릴산, 1,3-프로판디올,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 3-히드록시프로피온산, 말로닉산, 프로피온락톤, 아크로니트릴, 또는 아크릴아마이드 등 상업적으로 중요한 여러 화학물질로 전환될 수 있는 플랫폼 화합물이다.
3-HP는 에틸렌 사이아노하이드린, 베타-아이도프로피온산, 베타-브로모프로피온산, 베타-클로로프로피온산, 베타-프로피오락톤, 아크릴산 등을 중간체로 하여 화학적 공정을 통해 생산될 수 있고, 글리세롤로부터 생물학적 공정을 통해 생산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학물질 대부분이 유독하며 발암성을 띠고, 높은 온도와 압력의 조건으로 대량의 에너지를 소모하며 다량으로 공해 물질을 배출하는 문제가 있다.
3-HP는 또한 미생물 발효를 통해 생산될 수 있다. 현재까지 대장균이나 크렙시엘라 뉴모니아 등을 이용한 3-HP 생산 공정이 연구되었으나, 생산성, 수율, 배지의 경제성 등의 측면에서 아직 상업적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한편, 미생물을 이용한 유기산 생산 공정 중 미생물의 성장 및 생존에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는 중간체가 발생할 경우 이 중간체가 생성되는 속도가 최종 물질로 전환되는 속도와 최적의 비율을 가져야만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RNA 전사량을 조절하기 위해 카피수(copy number)가 상이한 벡터를 사용하거나 특정 유전자 서열을 멀티-카피(multi-copy)로 삽입하는 방법이 있으나 정교한 조절이 어렵고 게놈 DNA에 직접 적용하기 어려우므로 대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미생물로부터 3-HP 의 생산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3-HP 생합성 경로를 매개하는 효소의 활성을 높이거나 전사량을 조절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국내특허공개 제10-2014-0003258호 (2014.01.09)
본 발명에서는 5'-UTR (untranslated region)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변형을 통해 유전자의 RNA 전사량을 조절하여 최종 산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공한다.
일 예로, 글리세롤 디하이드라타제 (glycerol dehydratase)를 코딩하는 dhaB 유전자의 RNA 전사량을 증가시키는, 서열번호 1 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단리된 5'-UTR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한다.
다른 예로, 서열번호 1 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5'-UTR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글리세롤 디하이드라타제를 코딩하는 dhaB 유전자를 포함하는 벡터를 제공한다.
다른 예로, 서열번호 1 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5'-UTR; 및 글리세롤 디하이드라타제를 코딩하는 dhaB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미생물을 제공한다.
다른 예로, 상기 미생물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리세롤 디하이드라타제를 코딩하는 dhaB 유전자의 RNA 전사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예로, 상기 미생물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히드록시프로피온산(3-HP) 생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효소(DhaB)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RNA 전사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합성 5'-UTR (untranslated region) 폴리뉴클레오티드, 이를 포함하는 벡터, 상기 합성 5'-UTR이 도입된 미생물, 상기 미생물을 이용하여 글리세롤 디하이드라타제 (glycerol dehydratase)를 코딩하는 dhaB 유전자의 전사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3-히드록시프로피온산(3-HP)을 생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라, 글리세롤 디하이드라타제 (glycerol dehydratase)를 코딩하는 dhaB 유전자의 RNA 전사량을 증가시키는, 서열번호 1 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단리된 5'-UTR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서열번호 1 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5'-UTR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글리세롤 디하이드라타제를 코딩하는 dhaB 유전자를 포함하는 벡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서열번호 1 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5'-UTR; 및 글리세롤 디하이드라타제를 코딩하는 dhaB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미생물이 제공된다. 일 구체예로, 상기 미생물은 상기 5'-UTR 이 도입되지 않은 미생물에 비하여, 글리세롤 디하이드라타제를 코딩하는 dhaB 유전자의 RNA 전사량이 증가된 미생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상기 미생물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리세롤 디하이드라타제를 코딩하는 dhaB 유전자의 RNA 전사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상기 미생물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히드록시프로피온산(3-HP) 생산 방법이 제공된다.
용어, "5'-UTR (untranslated region)" 또는 "5'-비번역영역" 이란, mRNA 전사체의 5'-말단에 존재하지만 아미노산으로 번역되지 않는 영역을 말한다. 게놈 서열에서, 5'-UTR 은 전사 시작 부위와 개시 코돈 사이에 있는 영역으로 일반적으로 정의된다. 척추동물 mRNA의 5'-UTR 은 수 십 개의 염기에서 수 백개의 염기 길이에 이를 수 있다. mRNA 가 단백질로 번역되는 과정은, 리보솜의 30S 서브유닛이 5'-UTR 에 결합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구체적으로, 리보솜의 30S 서브유닛 내의 16S rRNA(16S ribosomal RNA)가 5'-UTR의 리보솜 결합 부위(ribosome binding site, RBS)에 결합하고, tRNA 가 mRNA 의 개시코돈(AUG)을 인식하여 결합하면 단백질로의 번역이 시작된다. 5'-UTR 의 리보솜 결합 부위와 개시 코돈은 대략 6 내지 8 뉴클레오티드 거리에 존재하고, 리보솜 결합 부위 안에는 16S rRNA 의 3' 말단의 서열과 상보적인 서열이 존재하는데, 이를 샤인-달가노(Shine-Dalgarno) 서열이라 한다.
따라서, 일 예로, 본 발명에서 5'-UTR 은 16S rRNA 의 3' 말단의 서열과 상보적인 서열, 즉 샤인-달가노 서열이 보존되어 있으며 그 앞뒤의 서열이 조절된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합성 5'-UTR (untranslated region)"은 천연(야생형) 5'-UTR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과는 다른 비-천연 5'-UTR 이다. 합성 5'-UTR 은 천연 5'-UTR을 구성하는 염기서열 중 하나 이상의 염기가 변형된 것을 말하며, 이러한 변형에는 염기의 치환, 부가, 결실 또는 역위를 포함한다. 대표적인 예시로, 5'-비번역영역에서 샤인-달가노 서열은 보존되어 있으며, 그 앞뒤에 존재하는 염기서열에서 하나 이상의 염기가 치환, 부가, 결실 또는 역위 등으로 변형된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합성 5'-UTR은 5'-NNNNNNNNNN-AAAGGAGCATC-NNNN-3' 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N 은 A, T, G 또는 C 를 의미한다.
일 예로, 합성 5'-UTR은, 글리세롤 디하이드라타제를 코딩하는 dhaB 유전자의 전사량을 증가시켜, 종국적으로 균주의 3-히드록시프로피온산(3-HP) 생산량 증대에 기여한다. 상기 합성 5'-UTR은, 서열번호 1 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단리된 5'-UTR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
일 예로, 합성 5'-UTR은, 서열번호 1 의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염기 서열과 80%, 85%, 90%, 95%, 96%, 97%, 98% 또는 99% 이상 동일성이 있으며, 서열번호 1 의 폴리뉴클레오티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5'-UTR 활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서열의 "% 동일성"은 둘 이상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이 최대한 일치되도록을 정렬한 후 서열을 비교하였을 때 염기가 동일한 정도를 의미한다. 서열 동일성 백분율은 예를 들면, 비교 영역 전체에서 두 개의 최적으로 정렬된 서열을 비교하고, 두 서열 모두에서 동일한 아미노산 또는 핵산이 나타나는 위치의 갯수를 결정하여 일치된 (matched) 위치의 갯수를 수득하고, 상기 일치된 위치의 갯수를 비교 범위 내의 위치의 총 갯수 (즉, 범위 크기)로 나누고, 및 상기 결과에 100을 곱하여 서열 동일성의 백분율을 수득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서열 동일성의 퍼센트는 공지의 서열 비교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의 일례로 BLASTN(NCBI), CLC Main Workbench (CLC bio), MegAlignTM (DNASTAR Inc)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본원에 기재된 합성 5'-UTR을 포함하는 벡터가 제공된다. 벡터는 본원에 기재된 합성 5'-UTR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임의의 구체예를 포함하도록 고려될 수 있다.
합성 5'-UTR을 도입하여 글리세롤 디하이드라타제를 코딩하는 dhaB 유전자의 전사량을 향상시켜 종국적으로 3-HP의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구체예는, 합성 5'-UTR을 dhaB 유전자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 5'-UTR과 연결한 유전자를 균주에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글리세롤과 같은 탄소 기질로부터 3-HP를 생합성하는 경로로는 여러 경로가 알려져 있지만,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우선, 글리세롤 디하이드라타제에 의해 글리세롤이 탈수 반응을 통해 중간체인 3-히드록시프로피온알데히드 (3-Hydroxypropionaldehyde: 3-HPA)로 전환되며, 알데히드 디하이드로게나제(aldehyde dehydrogenase: ALDH)에 의해 3-히드록시프로피온알데히드(3-HPA)가 산화되어 3-HP가 된다. 3-HP 의 생산에 있어서, 상기 두 단계의 대사적 활성도가 균형이 맞지 않아 중간체인 3-HPA가 세포 내에 축적될 경우 세포 성장이 저해되고, 3-HP의 생산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합성 5'-UTR을 도입하여 글리세롤 디하이드라타제를 코딩하는 dhaB 유전자의 전사량을 향상시킴으로써 중간체가 생성되는 속도가 최종 물질로 전환되는 속도와 최적의 비율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종국적으로 3-HP의 생산성 증대에 기여한다.
용어, "글리세롤 디하이드라타제 (glycerol dehydratase)"는 글리세롤에서 3-히드록시프로피온알데히드 (3-HPA)로의 전환을 촉매화하는 효소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를 말한다. 글리세롤 디하이드라타제는 비타민 B12 의존성이거나 비의존성일 수 있다. 글리세롤 디하이드라타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크렙시엘라 뉴모니아(Klebsiella pneumoniae), 시트로박터 프레운디(Citrobacter freundii), 클로스트리디움 파스튜리아늄(Clostridium pasteurianum), 살모넬라 타이티무리움(Salmonella typhimurium) 또는 클렙시엘라 옥시토카(Klebsiella oxytoca),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등 유래일 수 있다. 글리세롤 디하이드라타제는 그 유래에 관계없이, 글리세롤에서 3-히드록시프로피온알데히드 (3-HPA)로의 전환을 촉매하는 효소 활성을 가지는 효소라면 본원의 범주에 포함되며,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로는 dhaB 를 예시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서는 크렙시엘라 뉴모니아 유래의 dhaB 유전자를 사용하였고, 그 서열정보는 GenBank 등록번호 NC_016845 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본원의 대표적인 구현예에 해당할 뿐, 본원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 5'-UTR 이 도입된 dhaB 유전자는 벡터 내에 클로닝되어 세포에 도입될 수 있다. 여기에서, 벡터는 개체의 세포 내에서 목적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 삽입물이 발현되도록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필수적인 조절 요소를 포함하는 유전자 작제물을 말하며, 플라스미드, 바이러스 벡터, 박테리오파지 벡터, 코즈미드 벡터 등 다양한 형태의 벡터를 사용할 수 있다.
벡터 내로 삽입되어 전달된 유전자가 숙주세포의 게놈 내로 비가역적으로 융합되어 세포 내에서 유전자 발현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지속되도록 하는 벡터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벡터는, 해당 유전자가 선택된 숙주 내에서 발현될 수 있도록 하는 전사 및 해독 발현 조절 서열을 포함한다. 발현 조절 서열로는, 전사를 실시하기 위한 프로모터, 그러한 전사를 조절하기 위한 임의의 오퍼레이터 서열, 및/또는 전사 및 해독의 종결을 조절하는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 코돈 및 종결 코돈은 일반적으로 목적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서열의 일부로 간주되며, 유전자 작제물이 투여되었을 때 개체에서 작용을 나타내야 하며 코딩 서열과 인프레임(in frame)에 있어야 한다. 벡터의 프로모터는 구성적 또는 유도성일 수 있다. 또한 복제 가능한 발현벡터인 경우 복제 기원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 인핸서, 목적하는 유전자의 3' 말단의 비번역영역, 선별 마커(예컨대, 항생제 내성 마커), 또는 복제가능단위 등을 적절하게 포함할 수도 있다. 벡터는 자가 복제하거나 숙주 게놈 DNA에 통합될 수 있다.
벡터 내의 각 구성요소는 서로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야 하며, 이들 구성요소 서열의 연결은 편리한 제한 효소 부위에서 라이게이션(연결)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그러한 부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통상의 방법에 따른 합성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어댑터(oligonucleotide adaptor) 또는 링커(linker)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유용한 발현 조절 서열의 예로는, 아데노바이러스의 초기 및 후기 프로모터들, 원숭이 바이러스 40(SV40), 마우스 유방 종양 바이러스(MMTV) 프로모터, HIV의 긴 말단 반복부(LTR) 프로모터, 몰로니 바이러스, 시토메갈로바이러스(CMV) 프로모터, 엡스타인 바이러스(EBV) 프로모터, 로우스 사코마 바이러스(RSV) 프로모터, RNA 폴리머라제 Ⅱ 프로모터, T3 및 T7 프로모터들, 파지 람다의 주요 오퍼레이터 및 프로모터 영역, 및 원핵세포 또는 진핵 세포 또는 이들의 바이러스의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구성과 유도의 기타 다른 서열 및 이들의 여러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라, 본원에 기재된 합성 5'-UTR가 도입된 균주 또는 세포가 제공된다.
상기 균주는 3-HP 생성능을 가지고 있거나 3-HP 생산능을 가지도록수 유전적으로 조작된 균주일 수 있다. 상기 균주는 합성 5'-UTR 이 도입되지 않은 미생물에 비하여 더 높은 수준의 3-HP 을 생산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3-HP 의 생산은 균주 내에서 생산되는 것, 세포 내에서 생산되어 세포 외부로 분비되는 것,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한다. 3-HP의 생산은 합성 5'-UTR 이 도입되지 않은 미생물에 비하여 약 5% 이상, 약 10% 이상, 약 15% 이상, 약 20% 이상, 약 30% 이상, 약 50% 이상, 약 60% 이상, 약 70% 이상, 약 100% 이상, 200% 이상, 또는 300% 이상 증가된 것일 수 있다.
균주에의 도입은 상기 합성 5'-UTR 과 연결한 dhaB 유전자를 숙주 세포로 도입하여 상기 핵산이 염색체외 인자로서 또는 염색체 통합완성에 의해 복제가능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합성 5'-UTR 은, 균주에서 교체될 야생형 5'-UTR 의 인접한 서열에 상동인 서열 및 합성 5'-UTR 을 포함하는 벡터를 직접 도입함으로써 야생형 5'-UTR 을 교체하기 위하여, 숙주 생물체 안으로 도입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합성 5'-UTR 을 포함하는 통합 벡터가 균주에 도입됨으로써 균주의 게놈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삽입의 조직-특이성은, 예를 들어 벡터 투여 경로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합성 5'-UTR 을 포함하는 비-통합 벡터가 숙주 생물체에 도입됨으로써 숙주 생물체에 도입될 수 있다.
상기 균주는 원핵 균주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대장균(예를 들어, E. coli DH5a, E. coli JM101, E. coli K12, E. coli W3110, E. coli X1776, E. coli B 및 E.coli XL1-Blue)을 포함하는 에스케리키아 속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며, 슈도모나스 속, 바실러스 속,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어위니아 속, 세라티아 속, 프로비덴시아 속, 코리네박테리움 속, 렙토스피라 속, 살모넬라 속, 브레비박테리아 속, 하이포모나스 속, 크로모박테리움 속, 노카디아 속 등 다양한 균주에 적용할 수 있다. 적당한 균주에 도입되면, 벡터는 숙주 게놈과 무관하게 복제하고 기능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경우에 게놈 그 자체에 통합될 수 있다.
합성 5'-UTR 과 연결한 효소 유전자를 균주로 도입하는 것은, 당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적합한 표준 기술, 예들 들어,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 전기주입법(electroinjection), 미세주입법(microinjection), 인산칼슘공동-침전법(calcium phosphate co-precipitation), 염화캄슘/염화루비듐법, 레트로바이러스 감염(retroviral infection), DEAE-덱스트란(DEAE-dextran), 양이온 리포좀(cationic liposome)법, 폴리에틸렌 글리콜 침전법(polyethylene glycol-mediated uptake), 유전자총(gene gun)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원형의 벡터를 적절한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선형의 벡터 형태로 도입할 수 있다. 균주의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는 특정한 균주의 요구조건을 적절하게 만족시켜야 한다. 상기 배지는 다양한 탄소원, 질소원, 인원 및 미량원소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배지 내 탄소원으로는 글리세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 단당류, 올리고당류, 다당류, 단일탄소기질, 또는 그의 혼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루코즈와 프럭토즈와 같은 단당류; 수크로즈, 말토즈 또는 락토즈와 같은 올리고당류; 녹말 또는 셀룰로오스와 같은 다당류; 메탄올, 포름알데히드 또는 포르메이트와 같은 단일탄소기질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저급알콜류; 글리세롤 등의 다가알콜류; 아세트산, 시트르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글루콘산 등의 유기산; 프로피온산, 부탄산, 펜탄산, 헥산산, 헵탄산, 옥탄산, 노난산, 데칸산, 운데칸산, 도데칸산 등의 지방산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물질은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배지 내 질소원으로는 펩톤, 효모 추출물, 육즙, 맥아 추출물, 옥수수 침지액, 대두밀 및 요소 또는 무기 화합물, 예를 들면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인산암모늄, 탄산암모늄 및 질산암모늄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질소원 또한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배지 내 인원으로는 인산이수소칼륨 또는 인산수소이칼륨 또는 상응하는 나트륨-함유 염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배양 배지는 성장에 필요한 황산마그네슘 또는 황산철과 같은 금속염을 포함하거나, 아미노산 및 비타민과 같은 필수 성장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된 원료들은 배양 과정에서 배양물에 적절한 방식에 의해 회분식으로 또는 연속식으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암모니아와 같은 기초 화합물 또는 인산 또는 황산과 같은 산 화합물을 적절한 방식으로 사용하여 배양물의 pH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와 같은 소포제를 사용하여 기포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호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배양물 내로 산소 또는 산소-함유 기체 (예, 공기)를 주입할 수 있으며, 배양물의 온도는 보통 20℃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 일 수 있다. 배양은 원하는 3-HP 의 생산량이 최대로 얻어질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발효 배지로부터 3-HP 을 회수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3-HP는 원심분리, 크로마토그래피, 추출, 여과, 침전,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함으로써 세포 배지로부터 얻을 수 있다.
합성 5'-UTR 사용을 통해 dhaB 유전자의 전사량을 조절함으로써 종국적으로 3-히드록시프로피온산(3-HP) 의 생산량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 5'-UTR 이 도입된 균주(실험군)와 대조군 균주에서의 3-HP 생산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 5'-UTR 이 도입된 균주(실험군)와 대조군 균주에서의 dhaB 유전자의 전사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합성 5' UTR 서열을 이용한 3HP 의 생산
표 1의 5'-UTR 서열을 마크로젠(대한민국)에 의뢰하여 합성하였다.
5'-UTR 서열 (5'->3')
실험군 gaccttcca aaaaggagcatct cga (서열번호 1)
대조군 atgaaaagat caaaacgatt (서열번호 2)
pCDFDuet-1 벡터(Sigma Aldrich)의 크기를 최적화하고 J23 프로모터를 도입한 변형 pCDFJ23 벡터를 SalI 및 NotI 제한효소로 처리하였다. 벡터를 처리한 것과 동일한 제한효소를 포함하는 Forward primer (GATCTGAATTCGTCGACGACCTTCCAAAAAGGAGCATCTCGACCATGAAA; 서열번호 3) 및 Reverse primer (ATATGCGGCCGCACTGCGAACCGA; 서열번호 4)를 이용해 합성 5'-UTR을 포함하는 이중가닥 DNA 분자를 PCR 한 뒤 상기 제한효소로 처리하였다. PCR 은 95도에서 2분간 예비변성시킨 후, 95도에서 30초, 57도에서 30초 및 72도에서 3분을 총 25회 반복하고, 72도에서 10분간 최종 신장반응을 하고, 4도에서 보관하였다. 각각 동일한 제한효소가 처리된 벡터와 PCR product를 4:1 molar ratio로 혼합하고 ligase enzyme으로 처리해 플라스미드 벡터를 제작하였다. 상기 제작된 플라스미드 벡터 및 대조군 벡터, 그리고 ALDH 효소를 코딩하는 araE 유전자를 포함하는 추가적인 공통 벡터 pTrc-araE 를 각각 E. coli W3110 (yqhD deletion) 균주에 형질전환하였다. pTrc-araE 벡터는, pTrcHisB 벡터(Thermo fisher) 및 pET22b+ 벡터 (Novagen)에 대하여 프라이머(agatctTGAAATGAGCTGTTGACAATTAAT 및 ggatccTCCACACATTATACGAGCCGGATG; 각각 서열번호 5 및 6), 제한효소 bglII 및 BamHI, 및 연결시약(Takara ligation mix)을 사용하여 pTrc22b+ 벡터를 제조한 후, 상기 pTrc22b+ 벡터에 아조스피릴럼 브라실렌스(Azospirillum brasilense) 유래의 araE 유전자(마크로젠에서 합성)을 제한효소 ecorI 및 sacI, 및 연결시약(Takara ligation mix)을 사용하여 클로닝하여 제조한 것이다. W3110 (yqhD deletion) 균주는 E.coli W3110 균주(KCTC, 대한민국)에 gene bridges 사 Quick & Easy E. coli Gene Deletion Kit 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yqhD 유전자를 결실시켜 수득한 것이다. 형질전환된 균주를 OD 0.4~0.6까지 LB 배양 후 10% 글리세롤로 2회 세척하여 제작한 competent cell에 100ng 투입한 뒤 전기천공법을 이용하여 형질전환한 뒤 Luria Bertani (BD) broth를 DW에 25g/L 농도로 혼합하여 121도 15분 오토클레이브 멸균한 LB 배지에서 30분 인큐베이션한 후 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LB 고체 배지에 도말하여 콜로니를 얻었다.
일반적인 M9 최소 배지에 CaCl2, MgSO4, 비타민 B12, 및 스트렙토마이신을 첨가한 후 글리세롤 20g/L을 탄소원으로 투입하여 만든 배지에 상기 벡터를 형질전환하여 얻은 균주의 액체 배양액을 1% 접종한 뒤 33도 250rpm으로 3일간 배양하며 시간별로 채취 후 HPLC 측정용 샘플을 제작하였다. 생산량은 HPLC로부터 생산된 3HP peak를 확인하여 해당 peak의 면적을 계산함으로써 확인하였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 대비 24h 부근의 초기 3HP 생산 속도가 실험군의 경우 더 빠른 것을 확인되었다.
실시예 2. 합성 5' UTR 서열을 이용한 dhaB 유전자의 전사량 비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대조군 벡터 및 실험군 벡터가 형질전환된 W3110 -yqhD 균주를 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하는 LB 배지 상에서 OD 0.6~1까지 배양 후 total RNA prep kit (promega)의 protocol을 따라 total RNA를 추출하였다. RNA 1ug을 cDNA 합성 kit (bioneer)의 protocol을 따라 cDNA로 전환하였으며 전환된 cDNA를 10ng/ul 농도로 희석하였다.
SYBR RT-PCR master mix (2x) (thermo fisher), DW, cDNA, Forward primer (ggcagcaacgagatgccgcc; 서열번호 7) 및 Reverse primer (cgatcgagaatggccgagg; 서열번호 8)를 각각 총 볼륨 50ul이 되도록 혼합하여 96well plate에 샘플 당 3set씩 분주한 뒤 QuantStudio real time PCR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PCR 은 95도에서 10분간 예비변성시킨 후, 95도에서 15초 및 60도에서 1분을 총 40회 반복하고, 95도에서 15초, 60도에서 1분, 및 95도에서 15초 진행하였다. 모든 PCR product는 총 200mer가 되도록 primer design되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의 dhaB RNA 전사량 대비 실험군의 dhaB 유전자의 RNA 전사량이 13배 가량 높았다. 따라서, RNA로부터 생성되는 dhaB 효소의 양도 증가되어 3HP 초기 생산량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LG CHEM, LTD. <120> 5'-UTR for enhancing expression level of dhaB gene and uses thereof <130> DPP20181919KR <160> 8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5'-UTR <400> 1 gaccttccaa aaaggagcat ctcga 25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5'-UTR (control) <400> 2 atgaaaagat caaaacgatt 20 <210> 3 <211> 5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3 gatctgaatt cgtcgacgac cttccaaaaa ggagcatctc gaccatgaaa 50 <210> 4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4 atatgcggcc gcactgcgaa ccga 24 <210> 5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5 agatcttgaa atgagctgtt gacaattaat 30 <210> 6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6 ggatcctcca cacattatac gagccggatg 30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7 ggcagcaacg agatgccgcc 20 <210> 8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8 cgatcgagaa tggccgagg 19

Claims (5)

  1. 글리세롤 디하이드라타제 (glycerol dehydratase)를 코딩하는 dhaB 유전자의 RNA 전사량을 증가시키는, 서열번호 1 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단리된 5'-UTR (untranslated region) 폴리뉴클레오티드.
  2. 서열번호 1 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5'-UTR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글리세롤 디하이드라타제 (glycerol dehydratase)를 코딩하는 dhaB 유전자
    를 포함하는 벡터.
  3. 서열번호 1 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5'-UTR; 및
    글리세롤 디하이드라타제 (glycerol dehydratase)를 코딩하는 dhaB 유전자
    로 형질전환된 미생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글리세롤 디하이드라타제 (glycerol dehydratase)를 코딩하는 dhaB 유전자의 RNA 전사량이 증가된 것인, 미생물.
  5. 제3항의 미생물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히드록시프로피온산(3-HP) 생산 방법.
KR1020180136672A 2018-11-08 2018-11-08 dhaB 유전자의 발현 증대를 위한 5'-UTR 및 이의 이용 KR102631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672A KR102631362B1 (ko) 2018-11-08 2018-11-08 dhaB 유전자의 발현 증대를 위한 5'-UTR 및 이의 이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672A KR102631362B1 (ko) 2018-11-08 2018-11-08 dhaB 유전자의 발현 증대를 위한 5'-UTR 및 이의 이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258A KR20200053258A (ko) 2020-05-18
KR102631362B1 true KR102631362B1 (ko) 2024-01-29

Family

ID=70913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672A KR102631362B1 (ko) 2018-11-08 2018-11-08 dhaB 유전자의 발현 증대를 위한 5'-UTR 및 이의 이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362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376B1 (ko) * 2010-12-10 2012-06-20 주식회사 씨티씨바이오 글리세롤디하이드라타제 및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알데히드 디하이드로게나제를 코딩하는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미생물 및 상기 재조합 미생물을 이용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제조방법
KR20140003262A (ko) * 2012-06-29 2014-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재조합 미생물을 이용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생산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재조합 미생물
KR20140003258A (ko) 2012-06-29 2014-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생산하는 재조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생산방법
KR20150110144A (ko) * 2014-03-24 2015-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글리세롤, 3-hp, 또는 아크릴산 생산능을 갖는 재조합 미생물 및 그를 이용하여 글리세롤, 3-hp, 또는 아크릴산을 생산하는 방법
KR102091259B1 (ko) * 2015-09-03 2020-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5'-비번역영역 서열 조절을 통한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트 함량 조절 방법
KR101760340B1 (ko) * 2016-01-07 2017-07-2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3-히드록시프로피온산을 생산하는 재조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3-히드록시프로피온산의 생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CS Synthetic Biology.,5(11):1247-1255(2016.4.)
Metabolic Engineering.,5(11):67-74(2012.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258A (ko) 2020-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9806B1 (ko) 아데노실트랜스퍼라제를 코딩하는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미생물 및 이의 이용
US11905539B2 (en) Isopropylmalate synthase variant and a method of producing L-leucine using the same
JP6375391B2 (ja) O−アセチル−ホモセリンを生産する微生物及びこれを用いてo−アセチル−ホモセリンを生産する方法
CN107787361B (zh) 生成l-天冬氨酸衍生物的突变微生物及使用该突变微生物生成l-天冬氨酸衍生物的方法
CN113227381A (zh) L-谷氨酸生产能力得到提高的突变株及利用其的l-谷氨酸的制造方法
JP2016506756A (ja) L−バリン産生能が向上した菌株及びこれを用いたl−バリンの産生方法
EP2904104B1 (en) Recombinant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organic acids
ES2619176T3 (es) Biocatalizador para producir ácido D-láctico
JP7046229B2 (ja) 1,3-pdo生成能を有し、3-hp生成能が阻害された組換えコリネバクテリウム及びこれを用いた1,3-pdoの製造方法
KR102631362B1 (ko) dhaB 유전자의 발현 증대를 위한 5&#39;-UTR 및 이의 이용
JP2018529354A (ja) L−トレオニンを生産する組み換え微生物及びそれを用いてl−トレオニンを生産する方法
WO2014009432A2 (en) A microorganism modified for the production of 1,3-propanediol
KR20200136242A (ko) 포도당으로부터 글리세롤로의 전환률 향상을 위한 유도성 프로모터의 이용
EP3741860A1 (en) Variant microorganism having ability to produce 1,3-propanediol, and method for preparing 1,3-pdo by using same
KR102659292B1 (ko) 포도당으로부터 글리세롤로의 전환률 향상을 위한 5&#39;-utr 및 이의 이용
WO2013146557A1 (en) Biocatalysts for production of d-lactic acid from glycerol
JP2023540518A (ja) L-リジン生産能が向上したコリネバクテリウムグルタミクム変異株およびこれを用いたl-リジンの生産方法
KR102603624B1 (ko) 포도당으로부터 3-히드록시프로피온산의 생산능을 가지는 미생물 및 이의 용도
JP2024509290A (ja) L-リジン生産能が向上したコリネバクテリウム・グルタミカム変異株およびこれを用いたl-リジンの生産方法
KR20220089528A (ko) 3-히드록시프로피온산의 생산량이 증가된 대장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3-히드록시프로피온산의 생산 방법
KR20210038244A (ko) 비타민 b12-비의존성 글리세롤 디하이드라타제를 이용한 3-히드록시프로피온산 생산 방법
KR20210036632A (ko)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생산량이 증가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3-히드록시프로피온산의 생산 방법
KR20210028779A (ko) Crispr 시스템을 이용한 포도당으로부터 글리세롤로의 전환률 향상 방법
KR20230081847A (ko) 포도당으로부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생산하는 방법
JP2005278414A (ja) 1,3−プロパンジオール及び3−ヒドロキシプロピオン酸を製造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