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996B1 -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카다베린의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카다베린의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996B1
KR102127996B1 KR1020180127885A KR20180127885A KR102127996B1 KR 102127996 B1 KR102127996 B1 KR 102127996B1 KR 1020180127885 A KR1020180127885 A KR 1020180127885A KR 20180127885 A KR20180127885 A KR 20180127885A KR 102127996 B1 KR102127996 B1 KR 102127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tamicum
cadaverine
corynebacterium glutamicum
strain
recombin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6551A (ko
Inventor
김일권
송봉근
주정찬
김희택
강경희
박시재
Original Assignee
대상 주식회사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상 주식회사,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7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996B1/ko
Priority to PCT/KR2018/012950 priority patent/WO2020085556A1/ko
Publication of KR20200046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4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 C12N15/77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for Corynebacterium; for Brevibacte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67General methods for enhancing the expres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01Amines; I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800/00Nucleic acids vectors
    • C12N2800/10Plasmid DNA
    • C12N2800/101Plasmid DNA for bacter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207/00Transferases transferring phosphorus-containing groups (2.7)
    • C12Y207/11Protein-serine/threonine kinases (2.7.11)
    • C12Y207/11013Protein kinase C (2.7.11.13)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401/00Carbon-carbon lyases (4.1)
    • C12Y401/01Carboxy-lyases (4.1.1)
    • C12Y401/01018Lysine decarboxylase (4.1.1.18)

Landscapes

  • Genetics & Ge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Corynebacterium glutamicum) PKC의 lysE 유전자좌가 플라스미드 pK19-mobsacB-lysEF/B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 및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다베린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카다베린의 생산방법{Recombinant Corynebacterium glutamicum strains and method of producing cadaveri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카다베린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Corynebacterium glutamicum) PKC의 lysE 유전자좌가 플라스미드 pK19-mobsacB-lysEF/B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 및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다베린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1,5-디아미노펜탄(1,5-diaminopentane)으로 알려진 카다베린(cadaverine)은 많은 산업적 응용에 있어서 중요한 기반 화학물질로서, 폴리아마이드나 폴리우레탄과 같은 고분자의 구성요소, 킬레이팅제 또는 다른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다.
카다베린은 일부 미생물에서는 L-라이신의 탈탄산 반응을 촉매하는 라이신 디카르복실라아제(lysine decarboxylase)에 의해서 직접 형성될 수 있으며, 라이신 디카르복실라아제는 식물 및 E. coli, 젖산균과 같은 박테리아에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1, 비특허문헌 2).
산업적으로 카다베린 생산을 위해서는 대표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산업용 균주인 코리네 균주를 이용한 사례가 많이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카다베린 생산을 위한 중요한 전구체인 라이신의 대량 생산능을 가진 변이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을 사용하였다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 등과 같이 카다베린 생산을 위한 균주를 개발하는 최근의 기술 진보에도 불구하고, 카다베린 생산의 이론적인 최대 수율은 달성되지 못하였고, 또한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를 이용하여 카다베린을 생산하기 위한 최적의 효소 발현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아직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공개특허 제2002-223770호 국제공개특허 WO2008/092720호 국제공개특허 WO2012/077744호
Biochem. Biophys. Res. Com. vol.34, (1969), 34-39 Int. J. Food Microbiol. vol.11, (1990), 73-8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직접 발효법에 의한 카다베린 생산시 라이신 디카르복실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가 과발현됨으로써, 카다베린의 생산성이 향상된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를 이용하여 카다베린을 고수율로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Corynebacterium glutamicum) PKC(ACS Sustainable Chem. Eng., 2018, 6 (4), pp 5296-5305)의 lysE 유전자좌가 플라스미드 pK19-mobsacB-lysEF/B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로서, 상기 플라스미드 pK19-mobsacB-lysEF/B가 플라스미드 pK19-mobsacB에, PH30 프로모터 및 터미네이터 존재하에서, 하프니아 알베이(Hafnia alvei) 유래의 유전자로서 라이신 디카르복실라아제를 코딩하는 ldcCHa 유전자가 발현되는 플라스미드 pCES208:PH30ldcCHa이 삽입되어 있는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를 이용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다베린의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는 하프니아 알베이(Hafnia alvei) 유래의 라이신 디카르복실라아제를 코딩하는 ldcCHa 유전자로 형질전환되어 있어,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배양하는 경우 라이신으로부터 카다베린으로의 전환률이 증가되어 카다베린의 생산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미드 pK19-mobsacB-lysEF/B의 개열지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조합 C. glutamicum 균주를 이용한 카다베린의 산업 생산에 대한 개략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에서 ldcC는 라이신 디카르복실라제, lysE는 라이신 익스포터, OAA는 옥살로아세테이트, TCA cycle은 트리카복실산 회로, ASP는 L- 아스파르테이트를 의미한다.
도 3은 강력한 프로모터 PH30, PH36 하에서 다른 아미노산 디카르복실라제를 포함하는 재조합 균주 C. glutamicum PKC에 의한 카다베린 생산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회분식 발효시의 재조합 C. glutamicum 균주의 세포 성장, 글루코스 소비, 라이신 농도, 카다베린 생산을 비교한 것으로서, (a)는 C. glutamicum H30EcLDC, (b)는 C. glutamicum H36EcLDC, (c)는 C. glutamicum H30HaLDC, (d)는 C. glutamicum H36HaLDC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유가식 발효시의 재조합 C. glutamicum H30EcLDC(a)와 C. glutamicum H30HaLDC(b)의 세포 성장, 글루코스 소비, 라이신 농도, 카다베린 생산을 비교한 것이다.
도 6은 회분식 발효(a) 및 유가식 발효(b)시의 재조합 C. glutamicum H30HaLDC의 세포 성장, 글루코스 소비, 라이신 농도 및 카디베린 생산의 타임 프로파일(time profile)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 "플라스미드"라는 용어는 숙주 세포에 삽입되어 숙주 세포 게놈과 재조합되고 이에 삽입되거나, 또는 에피좀으로서 자발적으로 복제하는 컴피턴트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임의의 핵산을 의미한다. 이러한 벡터로는 선형 핵산, 플라스미드, 파지미드, 코스미드, RNA 벡터, 바이러스 벡터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재조합 균주"는 본 발명의 임의의 재조합 벡터(들), 재조합 플라스미드(들) 또는 단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수용체일 수 있거나, 수용체인 개별 세포를 포함한다. 숙주 세포는 단일 숙주 세포의 자손일 수 있으며, 자손은 자연적, 우발적 또는 인공 돌연변이 및/또는 변화로 인해 원래의 모 세포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재조합 균주는 생체내 또는 시험관내에서 본 발명의 플라스미드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로 형질감염되거나, 형질전환되거나 또는 감염된 세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플라스미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균주는 재조합 숙주 세포, 재조합 세포, 재조합 미생물 또는 변이 미생물이다.
본 발명에서 "형질전환"이라는 용어는, DNA를 숙주로 도입하여 DNA가 염색체외의 인자로서, 또는 염색체로의 삽입에 의해 복제 가능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프라이머"는 상보성 RNA 또는 DNA 표적 폴리뉴클레오티드에 혼성화하고 예를 들어 폴리머라제 연쇄 반응에서 발생하는 뉴클레오티딜트랜스퍼라제의 작용에 의해 모노뉴클레오티드로부터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단계적 합성을 위한 출발점으로 기능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기능" 및 "기능성" 등은 생물학적 또는 효소적 기능을 의미한다. "증가된", "증가" 또는 "향상" 이라는 것은 비변형 미생물 또는 상이하게 변형된 미생물과 같은 대조 미생물에 비해 주어진 산물 또는 분자(예를 들면, 범용 화학물질, 바이오 연료 또는 이들의 중간체 산물)를 더 많은 양으로 생산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재조합 숙주세포의 능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당해 분야에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표준 클로닝 기술 및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특정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기본 벡터에 삽입하여 형질전환 시킨 재조합 미생물을 배양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관련되는 유전자 클로닝 방법, 재조합 미생물 및 미생물 시스템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Corynebacterium glutamicum ) PKC(ACS Sustainable Chem. Eng., 2018, 6 (4), pp 5296-5305)의 lysE 유전자좌가 플라스미드 pK19-mobsacB-lysEF/B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로서, 상기 플라스미드 pK19-mobsacB-lysEF/B는 플라스미드 pK19-mobsacB에, PH30 프로모터 및 터미네이터 존재하에서, 하프니아 알베이(Hafnia alvei) 유래의 유전자로서 라이신 디카르복실라아제를 코딩하는 ldcCHa 유전자가 발현되는 플라스미드 pCES208:PH30ldcCHa이 삽입되어 있는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에서, 상기 플라스미드 pK19-mobsacB-lysEF/B는 도 1의 개열지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에서, 상기 ldcCHa 유전자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에서, 상기 PH30 프로모터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에서, 상기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Corynebacterium glutamicum) G-H30HaLDC KCTC13668BP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에서, 상기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는 라이신 디카르복실라아제를 코딩하는 ldcCHa 유전자가 과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에서, 상기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는 글루코스으로부터 125~130 g/L, 바람직하게는 125~126 g/L의 카다베린을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플라스미드 pK19-mobsacB-lysEF/B는 코리네형 세균 뿐만 아니라, 적합한 숙주세포 내로 형질전환된 후, 숙주세포의 게놈과 무관하게 복제 가능하거나 게놈 그 자체에 봉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적합한 숙주세포는 벡터가 복제가능 한 것으로서, 복제가 개시되는 특정 핵산서열인 복제 원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플라스미드 pK19-mobsacB-lysEF/B는 선택 마커(selection marker)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선택 마커는 플라스미드로 형질전환된 형질전환체(재조합 균주)를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선택 마커가 처리된 배지에서 선택 마커를 발현하는 세포만 생존할 수 있기 때문에, 형질전환된 세포의 선별이 가능하다.
상기 선택 마커의 대표적인 예로서, 카나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 클로람페니콜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카나마이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를 이용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다베린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카다베린의 생산방법에서, 상기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의 배양은 회분식 배양(batch fermentation) 또는 유가식 배양(fed-batch fermentation)으로 배양할 수 있으나, 카다베린의 생산성 면에서 유가식 배양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의 배양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실시될 수도 있는데, 이들 공지된 배양 방법은 문헌(Qian et al., Biotechnol. Bioeng., 2011:108(1)93; Kim et al., J. Micobiol. Biotechnol., 2015:25(7)1108)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카다베린의 생산방법에서,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는 적절한 방식으로 특정 균주의 요건을 충족해야 하는데,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에 대한 배양배지는 공지되어 있는 배지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카다베린의 생산방법에서, 배양에 사용될 수 있는 당원으로는 글루코스,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프럭토오스, 말토오스, 전분, 셀룰로오스와 같은 당 및 탄수화물, 대두유, 해바라기유, 피마자유, 코코넛유 등과 같은 오일 및 지방,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리놀레산과 같은 지방산, 글리세롤,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 아세트산과 같은 유기산이 포함된다. 이들 물질은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카다베린의 생산방법에서, 배양에 사용될 수 있는 질소원으로는 펩톤, 효모 추출물, 육즙, 맥아 추출물, 옥수수 침지액, 대두박 및 요소 또는 무기 화합물, 예를 들면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인산암모늄, 탄산암모늄 및 질산암모늄이 포함된다. 질소원도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카다베린의 생산방법에서, 배양에 사용될 수 있는 인원으로는 인산이수소칼륨 또는 인산수소이칼륨 또는 상응하는 나트륨-함유 염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카다베린의 생산방법에서, 배양배지는 성장에 필요한 황산마그네슘 또는 황산철과 같은 금속염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질에 추가적으로 아미노산 및 비타민과 같은 필수 성장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배양배지에 적절한 전구체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원료들은 배양과정에서 배양물에 적절한 방식에 의해 회분식으로 또는 연속식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카다베린의 생산방법에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암모니아와 같은 기초 화합물, 인산 또는 황산과 같은 산 화합물을 적절한 방식으로 사용하여 배양물의 pH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와 같은 소포제를 사용하여 기포 생성을 억제할 수 있고, 호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배양물 내로 산소 또는 산소-함유 기체 (예,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카다베린의 생산방법에서, 배양 온도는 3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38℃, 보다 바람직하게는 36.5℃ 내지 37.5℃이고, 배양 시간은 10 내지 160 시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40 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0 시간에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카다베린의 생산방법은 상기 배양하는 단계에서 생성되는 카다베린을 회수하는 방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카다베린의 생산방법에서, 상기 카다베린을 회수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는 방법으로 세포 또는 배양 배지로부터 카다베린을 분리해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카다베린의 생산방법에서, 상기 카다베린 회수 방법의 예로서, 여과,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결정화 및 HPLC 등의 방법이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험 방법
(1). 박테리아 균주 및 플라스미드
본 실험에서 사용된 모든 박테리아 균주 및 플라스미드는 하기 표 1(박테리아 균주) 및 표 2(플라스미드)에 열거되어 있다. 일반적인 유전자 클로닝 연구를 위한 숙주로서 대장균 XL1-Blue (Stratagene, La Jolla, CA, USA)를 사용하였다.
대상(주)(군산, 대한민국)의 C. glutamicum PKC를 카다베린 생산을 위한 숙주 균주로 사용하였다. 강력한 프로모터(PH30, PH36) 하에서 상이한 라이신 디카르복실라제의 발현에 사용된 골격 플라스미드는 pCES208H30GFP 및 pCES208H36GFP(Biotechnol Bioeng. 2013;110:2959-2971)이었다.
자살 벡터 플라스미드 pK19-mobsacB는 상동성 재조합을 통한 ldcHa의 염색체 통합(chromosomal integration) 및 이전 연구(ACS Sustain Chem Eng. 2018; 6:5296-5305)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카나마이신 내성 및 SacB 시스템을 이용한 2 단계 콜로니 선별을 위해 사용되었다.
Figure 112018105369771-pat00001
Figure 112018105369771-pat00002
상기 표 1 및 표 2에서, Reference 20은 ACS Sustain Chem Eng. 2018; 6:5296-5305이고, Reference 41은 Biotechnol Bioeng. 2013;110:2959-2971이다.
(2). 플라스미드 구축
모든 DNA 조작은 표준 절차(Sambrook J, Russell DW.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vol. 3. Cold Spring Harbor: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2001)에 따라 수행되었다.
C1000 Thermal Cycler(Bio-Rad, Hercules, CA, USA)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하기 표 3의 프라이머는 Bioneer(대전, 대한민국)에서 합성되었다.
서열번호 염기서열 (5′ to 3′) 타겟 유전자
3 5′-AAGCTT AGAGGGTTCCCGCGCC 5′ 영역 of lysE
4 5′-CTGCAG GTGGATTTTCGCCGCTG
5 5′-GGATCC GACCTGTAATGAAGATTTCCAT 3′ 영역 of lysE
6 5′-GAATTC TAGCTTCACGGGTTACCGC
7 5′-GGATCC ATGAATATCATTGCCATCATGA H. alvei ldcC 오페론
8 5′-GCGGCCGC TTATGACTTCTTCGCCGCTG
E. coli(cadAEc 및 ldcCEc), Lactobacillus saerimneri(odcLs 및 ldcLs), Streptomyces coelicolor(ldcSc), Selemonas ruminantium(ldcSr), Hafnia alvei(cadAHa 및 ldcCHa) 및 Vibrio vulnoficus(ldcVv)의 아미노산 디카르복실라제는 Bioneer(대전, 대한민국)에서 합성하였다.
플라스미드 기반의 LDC 발현을 위해, ff, constructs: pCES208:PH30cadAEc, pCES208:PH36cadAEc, pCES208:PH30ldcCEc, pCES208:PH36ldcCEc, pCES208:PH30odcLs, pCES208:PH36odcLs, pCES208:PH30ldcLs, pCES208:PH36ldcLs, pCES208:PH30ldcSc, pCES208:PH36ldcSc, pCES208:PH30ldcSr, pCES208:PH36ldcSr, pCES208:PH30ldcVv, pCES208:PH36ldcVv, pCES208:PH36cadAHa, pCES208:PH36cadAHa, pCES208:PH30ldcCHa 및 pCES208:PH36ldcCHa가 pCES208:PH30GFP 및 pCES208:PH36GFP의 gfp 유전자를 각각 BamHI 및 NotI 부위에서 상응하는 라이신 디카르복실라제 유전자로 대체함으로써 개발되었다.
lysC 부위에 ldcCHa의 염색체 통합을 위해, 플라스미드 pK19mobsacB-lysEFB는 lysE의 5'-영역 및 3'-영역을 연속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제조되었으며, 이는 HindIII/PstI 및 BamHI/EcoRI 사이트에서 C. glutamicum PKC gDNA의 상기 표 3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증폭되었다.
플라스미드 pK19-mobsacB-lysEF/B는 PH30 프로모터 및 터미네이터 하에서 ldcCHa의 발현을 포함하는 플라스미드, pCES208:PH30ldcCHa의 삽입에 의해 구축되었다. 상기 구축된 플라스미드 pK19-mobsacB-lysEF/B를 도 1에 나타내었다.
(3). 배양 조건
유전자 클로닝 숙주로 사용된 E. coli XL1-Blue를 LB 배지에서 37℃에서 배양하였다. 재조합 C. glutamicum 균주를 밤새 배양을 위해 풍부한 RG 배지에서 배양 하였다. 상기 RG 배지의 조성은 글루코스 10 g/L, D-솔비톨 30 g/L, 비프 익스트랙트 10 g/L 및 뇌심장 침출액(brain heart infusion) 40 g/L이다.
재조합 C. glutamicum 균주의 플라스크 배양을 CG50 배지에서 30℃ 및 250 rpm으로 수행하였다. semi-defined CG50 배지는 글루코스 50 g/L, 효모 추출물 30 g/L, NH4SO4·7H2O 30 g/L, KH2PO4 0.5 g/L, MgSO4·7H2O 0.5 g/L, MnSO4·H2O 0.01 g/L, 20 μg/L의 카나마이신(Km)을 포함하는 FeSO·7H2O 0.01 g/L을 함유한다.
회분식 발효는 500 mL CG100 배지를 포함하는 2.5 자 퍼멘터(jar fermenter)에서 30℃, 600 rpm 및 6 vvm에서 수행하였다. 상기 CG100 배지는 100 g/L 글루코스, 30 g/L 효모 추출물, 30 g/L (NH4)2SO4·7H2O, 0.5g KH2PO4, 0.5g MgSO4·7H2O, 0.01g MnSO4·H2O, 0.01g FeSO4·7H2O, 0.5 mg의 바이오틴 및 0.3 mg의 티아민-HCl을 함유한다.
유가식 발효는 CG100 배지 500 mL가 들어 있는 2.5 L 자 퍼멘터에서 30℃, 600 rpm 및 6 vvm으로 수행되었다. 글루코스 농도는 글루코스 700 g/L, (NH4) 2SO4·7H2O 270 g/L 및 20 μg/L의 카나마이신(Km)을 포함하는 MgSO4·7H2O 0.5 g/L를 함유하는 공급 용액을 20 μg/L로 보충하여 10~40 g/L의 글루코스 농도가 유지되었다.
pH는 28 %(v/v) 암모니아 용액을 자동으로 첨가하여 조절하였고, 6.9로 유지하였다. 거품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antifoam 204를 주기적으로 첨가하였고, 세포 성장은 UV 분광 광도계로 OD600으로 측정하였다.
(4). 분석 방법
글루코스와 유기산의 농도는 Aminex HPX-76H 컬럼이 장착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Agilent Infinity 1260 (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US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라이신과 카다베린의 농도는 DEEMM 방법(J Mol Catal B: Enzym.2015;115:151-154)을 사용하여 Optimapak C18 컬럼(150ⅹ4.6mm) (Bio-Rad)이 장착된 Chemstation HPLC 시스템(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USA)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분리를 위해, 100% 아세토니트릴 및 25mM 아세트산 나트륨 완충액(pH 4.8)을 각각 이동상 A 및 B로 사용 하였다. 유속은 1 ml/min이었다. 분석하는 동안 이동상 조성은 다음과 같은 그래디언트 프로그램으로 변경되었다. 0~2 분, 20~25% A; 2~32 분, 25~60% A; 32~40 분, 60~20% A.
가변 파장 검출기(VWD)를 사용하여 284 nm에서 검출하였다. 증류 생성물의 순도는 RTX 5-Amine 컬럼(30 m x 0.25 mm x 0.5 μm; Restek)이 장착된 Agilent 7890A 시스템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헬륨(순도 99.999%)을 1.7 mL/분의 유속에서 캐리어 가스로 사용하였다. 입구 온도는 250℃이고, 검출기의 온도는 300℃이었다.
2. 실험 결과
(1). 재조합 C. glutamicum PKC를 이용하여 향상된 카다베린 생산을 위한 최적의 LDC 발현 시스템의 생체내 스크리닝
효과적인 활성을 갖는 라이신 디카르복실라제 및 효율적인 발현을 위한 적합한 프로모터 시스템으로 구성된 효율적인 생체내 효소 발현 시스템은 재조합 C. glutamicum 균주에서 라이신의 카다베린으로의 효율적인 전환을 확립하는 주요 인자이다.
그러나, 최근의 재조합 C. glutamicum을 이용한 카다베린 생산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CadAEc, LdcCEc 및 LdcHa와 같은 세 가지 효소만이 재조합 C. glutamicum 균주에서 시험하였다. 또한, 카다베린에 대한 글루코스의 이론적 최대 전환율은 달성되지 않았다. 최대 수율 53.5% mol/mol은 현재까지 보고된 최고의 실험 수율이다 (ACS Sustain Chem Eng. 2018; 6:5296-5305).
카다베린 생산을 위한 최적의 프로모터 시스템인 강력한 프로모터 시스템(PH30, PH36) 하에서 cadAEc, odcLs ldcLs, ldcSc, ldcSr, cadAHa, ldcCHa 및 ldcVv와 같은 라이신 디카르복실화를 위한 9 가지 효소가 구축되었다 (도 2 및 표 1 참조).
이러한 효소 발현 시스템은 산업적 라이신 과생산 균주인 C. glutamicum PKC(ACS Sustain Chem Eng. 2018; 6:5296-5305)로 형질전환되었다. 이전에 개발된 재조합 균주인 ldcCEc의 플라스미드 기반 발현을 하는 C. glutamicum P-H30 및 P-H36 또한 비교를 위해 포함되었다(ACS Sustain Chem Eng. 2018; 6:5296-5305).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ldcCEc(9.7~12.5 g/L) 및 ldcHa(11.4~11.5 g/L)를 발현하는 재조합 균주 C. glutamicum PKC 균주는 다름 LDC를 발현하는 다른 균주에 비해 가장 높은 역가로 생성할 수 있었다.
강력한 합성 프로모터 PH30(0.9~12.5 g/L) 하에서 LDC의 발현을 갖는 균주에 의한 카다베린 생산은 PH36 프로모터(0.68~11.4 g/L)를 갖는 균주와 비교하여 더 좋았다. C. glutamicum P-H30(12.5 g/L)과 H30HaLDC(11.5 g/L)는 P-H36(9.7 g/L)과 H36HaLDC(11.4 g/L)에 비해 높은 역가를 나타냈다.
반면에, C. glutamicum H30EcCADA(0.98 g/L), H36EcCADA(0.68 g/L), H30HaCADA(1.2 g/L) 및 H36HaCADA(1.7 g/L)에서의 cadAEc 및 cadAHa의 발현은 현저히 낮은 양의 카다베린이 각각 ldcCEc와 ldcHa를 발현하는 균주와 비교하였다.
cadAEc의 사용은 카다베린의 낮은 역가를 생산했지만, ldcCEc와 유사한 효소 카이네틱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는 ldcCEc(pH 7)가 cadAEc에 비해 플라스크 배양에서 세포 생존력을 유지하기 위한 최적 조건인 중성 pH에서 보다 활성적이기 때문일 수 있다.
L. saerimneri(odcLs 및 ldcLs), S. coelicolor(ldcSc), S. ruminantium(ldcSr) 및 V. vulnoficus (ldcVv)로부터의 라이신 디카르복실라제를 발현하는 재조합 균주는 카다베린(1.1 g/L)이 효소는 최적 pH(7) 또는 온도(30℃)에서 활성적인 C. glutamicum 숙주에서의 발현에 대해 원하는 성질 중 적어도 하나를 보유하고 있지만, 플라스크 배양 동안 현지히 낮은 양의 카다베린(1.1~6.4 g/L)을 생산하였다(도 3 참조).
이러한 결과는 생체내 효소의 선별이 우수한 효소 카이네틱 특성으로 보고 된 특정 효소라 할지라도 케미칼의 생화학적 생산을 위한 조작된 산업 균주의 개발에서 중요한 단계임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이용 가능한 LDC 레파토리의 지속적인 보안(security) 및 스크리닝은 카다베린의 생산 증대를 위한 재조합 균주를 개발하기 위한 단서를 제공하는데 필수적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ldcCEc와 ldcHa는 본 실험에서 시험된 라이신 디카르복실라화를 위한 모든 효소 중에서 카다베린의 생산에 가장 좋은 효소임이 입증되었다(도 3 참조).
따라서, E. coli의 ldcCEcH. alvei의 ldcHa를 회분식 및 유가식 발효 실험을 이용하여 최적의 LDC 발현 시스템을 결정하는 카다베린 생산 시스템의 추가적인 개발을 위한 후보 유전자로 선별하였다.
(2). 회분식 유가식 배양에서 ldcC Ec ldc Ha 발현하는 재조합 C. glutamicum PKC 균주에 의한 향상된 카다베린 생산 조사
본 발명자들의 이전 연구에서 강력한 프로모터 PH30 및 PH36 하에서 플라스미드 기반의 ldcCEc 발현을 갖는 재조합 C. glutamicum P-H30 및 C. glutamicum P-H36에 의한 카다베린 생산은 배양 방법에 따른 산소 전달의 변화에 의해 플라스크 배양과 회분식 발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관찰되었다 (ACS Sustain Chem Eng. 2018; 6:5296-5305).
따라서, 산업적인 카다베린 생산을 위한 최적의 LDC 발현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결정하기 위하여, 강력한 프로모터 PH30 및 PH36 하에서 ldcCEc 및 ldcHa를 발현하는 재조합 C. glutamicum P-H30, C. glutamicum P-H36, C. glutamicum H30HaLDC 및 C. glutamicum H36HaLDC를 사용하여 회분식 발효 및 유가식 배양을 수행하였다.
C. glutamicum H30HaLDC는 30.8 g/L에서 가장 높은 농도의 카다베린을 생성하였고, C. glutamicum H36HaLDC 균주는 28.4 g/L의 카다베린을 생산하였으며, 이는 시험된 4 가지 균주 중 두 번째로 나타났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라스크 배양시에 카다베린을 가장 많이 생산하는 C. glutamicum H30EcLDC 균주(12.5 g/L)는 회분식 발효 중 카다베린(26 g/L), 한편, C. glutamicum H30EcLDC 균주 및 C. glutamicum H36EcLDC 균주는 각각 25.7 g/L 및 19.4 g/L의 카다베린을 생산하였다.
카다베린 생산의 프로파일은 플라스크 배양과 회분식 발효 사이에 변경되었다. 예를 들어 C. glutamicum H30EcLDC와 C. glutamicum H30HaLDC 사이의 카다베린 생산 능력이 배양 방법에 따라 비교할 때, 플라스크 배양시 C. glutamicum H30HaLDC(11.5 g/L) 보다 카다베린이 8.3% 더 많은 양의 카다베린을 생산하였다. 한편, 회분식 배양시 C. glutamicum H30HaLDC(30.8 g/L)는 C. glutamicum H30EcLDC(25.7 g/L)보다 18% 더 많은 양의 카다베린을 생산할 수 있었다.
ldcCEc의 염색체 통합과 재조합 균주에 의한 카다베린 생산의 가장 좋은 역가는 C. glutamicum G-H36을 사용한 플라스크 배양에서 12 g/L이었고, C. glutamicum G-H30(ACS Sustain Chem Eng. 2018; 6:5296-5305)을 사용한 배치 발효에서 104 g/L이었다.
PH30 프로모터 하에서 ldcHa의 발현(30.8 g/L은 PH36 프로모터의 사용(28.4 g/L)에 비하여 더 높은 카다베린의 역가를 생산하였다. 재조합 균주에 의한 글루코스의 소비는 C. glutamicum H36HaLDC 균주(27 시간)를 제외하고 24 시간 이내에 완료되었다(도 4 참조).
모든 재조합 균주의 최대 세포 성장은 91~100(OD600)에 이르는 유사한 값을 보였다. 세포 성장 경향(OD600)은 카다베린 생산과 유사하여 카다베린 생산이 성장률과 관련이 있음을 암시한다. 라이신 생산에 관한 비슷한 관찰이 이미 보고되었는데, 라이신 생산은 성장률의 조절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Biotechnol Progr. 1991; 7: 501-509).
4 개의 모든 균주(23~27 시간)의 배치 발효가 끝날 때 L-Lysine의 축적이 검출되지 않았다 (도 4 참조).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C. glutamicum H30HaLDC 균주는 추후 실험을 위해 선택되었고 C. glutamicum P-H30은 이전의 연구(ACS Sustain Chem Eng. 2018; 6:5296-5305)에서 사용된 ldcCEc의 플라즈미드 기반 발현과 함께 가장 좋은 균주였다.
유가식 발효에서 C. glutamicum H30HaLDC 균주의 성능을 비교한 결과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C. glutamicum H30HaLDC(93.7 g/L)를 사용한 유가식 배양 에 의한 카다베린의 최종 생산은 C. glutamicum P-H30(82.2 g/L)보다 13% 높았다.
C. glutamicum H30HaLDC(44.6% 카다베린 mol/글루코스 mol)의 수율은 14%로 C. glutamicum P-H30 (38.6% 카다베린 mol/글루코스 mol) 보다 높았다 . C. glutamicum H30HaLDC(64 시간)는 C. glutamicum P-H30(56 시간)보다 더 긴 기간 동안 카다베린을 생산하였다.
유가식 발효 중, C. glutamicum H30EcLDC 균주의 측정된 세포 성장은 27 시간에 139에 도달하여 145~150까지 44 시간을 유지하였다. C. glutamicum H30HaLDC 균주의 세포 성장은 C. glutamicum H30EcLDC 균주에 비해 초기에 느리지만, 발효가 끝날 때 세포 성장은 99.7(26 시간)에서 149(64 시간)까지 꾸준히 증가하였다.
유가식 발효 실험에서 라이신의 축적량은 두 균주 모두 1 g/L 미만이었다 (도 5 참조). C. glutamicum에 의한 세포 성장과 카다베린 생산 C. glutamicum H30HaLDC는 배치 발효 과정에서 관찰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점진적으로 진행되었다(도 4 참조). 유가식 발효 중 C. glutamicum H30HaLDC에 의한 카다베린의 보다 높은 생산은 성장 프로파일의 차이로 인한 것일 수 있다.
C. glutamicum P-H30의 측정된 세포 성장은 30 시간 후 140에서 급격히 피크를 보였으며, 이후 비교적 오랜 기간 동안 145~150을 유지하였다. 한편, C. glutamicum H30HaLDC의 세포 성장은 28 시간 후 118에서 천천히 최고조에 도달했고, 59 시간 후에 154로 서서히 증가하였다. 감소된 세포 성장은 C. glutamicum H30HaLDC(61 시간)에 비해 C. glutamicum P-H30(56 시간)에 앞서 일찍 발생하였다.
두 균주 모두에 의한 카다베린 생산의 주요 차이점은 세포 성장률이다. C. glutamicum P-H30은 짧은 기간 후에 카다베린의 최대 세포 성장 및 역가를 달성하였다. 반면, C. glutamicum H30HaLDC는 점차적으로 자라며 계속 성장하여 배양이 끝날 때까지 계속적으로 카다베린을 생산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르면, C. glutamicum H30HaLDC의 성장 속도가 늦어지는 것이 이전에 보고된 라이신 생산 프로파일 변화(Biotechnol Progr. 1991; 7: 501-509)와 동일한 방법으로 카다베린 생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측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C. glutamicum H30HaLDC가 카다베린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최적의 효소 발현 시스템으로 선택되었다.
(3). C. glutamicum G-H30HaLDC 균주를 이용한 회분식 유가식 발효에 의 한 높은 수준의 카다베린 생산배치 및 유가 배치 발효
화학적 생산을 위한 산업 균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플라스미드 기반 발현 시스템의 사용은 종종 플라스미드 불안정성(plasmid instability) 및 대사 부하(metabolic burden)에 의해 야기되는 낮은 수율의 생화학적 생산을 나타내기 때문에 제한적이다.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한 항생제의 추가 비용 때문에 대량 생산에 사용하는 것도 비실용적이다. 따라서 최적의 LDC 발현 시스템의 게놈 기반 발현을 위한 라이신 디카르복실라제의 염색체 통합은 카다베린 생산을 위한 강력하고 안정적인 산업 균주를 개발하는 최선의 방법이다.
본 실험에서 C. glutamicum PKC의 lysE 유전자좌(locus)에서 강한 PH30 프로모터 하에서 ldcHa의 염색체 통합에 의해 C. glutamicum G-H30HaLDC가 성공적으로 개발되었다. 상기 개발된 C. glutamicum G-H30HaLDC 균주는 2018년 10월 23일에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생물자원센터에 KCTC 13668BP로 기탁되었다.
또한, 산업적 카다베린 생산을 위한 C. glutamicum G-H30HaLDC의 적용은 회분식 발효에 의해 처음으로 연구되었다.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C. glutamicum G-H30HaLDC는 카다베린(30.1 g/L)의 높은 역가를 생성할 수 있었다. C. glutamicum G-H30HaLDC(44.6%)의 몰 수율(카다베린 mol/글루코스 mol)도 C. glutamicum G-H30(38.6%)보다 높았다. C. glutamicum G-H30HaLDC(1.46 g/L/h)의 생산성은 C. glutamicum G-H30(52 시간에서 150)의 생산성과 유사하였다.
C. glutamicum G-H30HaLDC를 이용한 회분식 글루코스 소비는 C. glutamicum G-H30에 비해 7시간 지연되었다. 그러나, 상기 지연된 글루코스의 소비가 C. glutamicum G-H30HaLDC의 세포 증식 및 카다베린 생산에 악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회분식 발효시, C. glutamicum G-H30HaLDC(59 시간에서 154)와 C. glutamicum G-H30 (52 시간에서 150)의 최대 세포 성장은 비슷하였다 ((ACS Sustain Chem Eng. 2018; 6:5296-5305). 또한 C. glutamicum G-H30HaLDC(30.1 g/L)에 의한 카다베린 생산은 C. glutamicum G-H30EcLDC(23.8 g/L)보다 23% 더 높았다 (도 6의 (a) 참조). 또한 C. glutamicum G-H30HaLDC(30.1 g/L)에 의한 카다베린 생산은 C. glutamicum G-H30EcLDC(23.8 g/L)보다 23% 더 높았다(도 6의 (a) 참조).
C. glutamicum G-H30HaLDC에 의한 카다베린 생산 및 세포 성장의 경향은 플라스미드에 기초한 ldcHa 발현 재조합 균주의 회분식 발효시에 관찰된 경향과 유사 하였다 (도 4 및 도 5 참조). 모든 발효 실험에서 L-라이신의 유의한 축적은 관찰되지 않았다. 검출된 L-라이신의 양은 발효 전체 기간 동안 항상 1 g/L 미만이었다.
카다베린 수율이 글루코스의 지속적인 보충에 의해 향상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C. glutamicum G-H30HaLDC를 이용한 유가식 발효가 수행되었다 (도 6의 (b) 참조). C. glutamicum G-H30HaLDC에 대해 관찰된 세포 성장의 경향은 H30HaLDC의 측정된 성장과 유사하였다 (도 5의 (b) 및 도 6의 (b) 참조).
세포 성장은 49 시간에서 156까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고, 그 후 58 시간까지 150~158 범위에서 머물렀다(도 6의 (b) 참조). 유가식 발효의 전체 기간 동안 라이신의 축적은 발견되지 않았다(도 6의 (b) 참조).
재조합 균주 C. glutamicum G-H30HaLDC 균주는 현재까지 보고된 최고 농도 인 글루코스로부터의 카다베린 125.3 g/L를 생성하였다. 이 값은 플라스미드에 기초한 ldcHa 발현을 갖는 C. glutamicum H30HaLDC(93.7 g/L)의 33.7%보다 높다. 또한, 본 실험에서 C. glutamicum G-H30HaLDC에 의해 달성된 역가는 ldcCEc(104 g/L) 를 발현하는 재조합 균주 C. glutamicum G-H30을 사용한 이전의 결과((ACS Sustain Chem Eng. 2018; 6:5296-5305)와 비교하여 20.7% 더 높다.
C. glutamicum H30HaLDC(44.6% mol/mol) 및 C. glutamicum G-H30(53.5%)보다 각각 30% 및 12% 더 높은 C. glutamicum G-H30HaLDC 균주의 수율은 60.2%(mol/mol)이다. 회분식 발효에서 C. glutamicum H30HaLDC(1.46 g/L/h) 및 C. glutamicum G-H30 (1.59 g/L/h)에 의해 달성된 것보다 유가식 배양(1.79 g/L/h)에서 C. glutamicum G-H30HaLDC의 생산성이 높았다.
유가식 발효시 C. glutamicum G-H30HaLDC에 의해 생산된 카다베린(125.3 g/L)은 현재까지의 카다베린 중 가장 높은 역가(titer)이다.
3. 결론
본 실험에서는 효율적인 카다베린 생산이 가능한 재조합 균주를 개발하기 위해 LDC 발현 시스템을 다양한 프로모터(PH30과 PH36)와 9 가지 다른 조합으로 구성한 in vivo 효소 스크리닝을 통하여 최적의 LDC 발현 시스템을 선별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라이신 디카르복실화를 위한 효소가 C. glutamicum 균주에 도입되었다. 최적의 플라스미드 기반 LDC 발현 시스템은 회분식 및 유가식 발효 실험에 의해 선택되었다. 산업 균주의 개발과 산업적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회분식 및 유가 식 발효에 의해 게놈 기반의 LDC 발현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C. glutamicum GH30HaLDC가 산업 균주로서 후보 물질로 밝혀졌고, C. glutamicum G-H30HaLDC의 유가식 발효는 현재까지 보고된 글루코스에서 카다베린의 최고 역가인 125.3 g/L를 생산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는 하프니아 알베이(Hafnia alvei) 유래의 라이신 디카르복실라아제를 코딩하는 ldcCHa 유전자로 형질전환되어 있어,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배양하는 경우 라이신으로부터 카다베린으로의 전환률이 증가되어 카다베린의 생산 효율이 증가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3668BP 20181023
<110> Daesang Corp. & KRICT <120> Recombinant Corynebacterium glutamicum strains and method of producing cadaverine using the same <130> 11176 <160> 8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220 <212> DNA <213> Hafnia alvei <400> 1 atgaatatca ttgccatcat gaacgattta agcgcttatt ttaaggaaga acccctgcgc 60 gagctgcatc aagagttaga gaaggaaggc ttccgtattg cttatcccaa agaccgcaac 120 gatctgctga agctgattga aaacaactcc cgcctgtgtg gcgtcatttt cgactgggat 180 aaatataacc tcgaactcag cgctgaaatc agcgagctca acaaactgct gccaatttat 240 gccttcgcca atacctattc gacgcttgac gtcaacatga gcgacctgcg tcttaatgtt 300 cgcttctttg aatatgcatt aggcagcgcg caagacattg ccaccaagat ccgccaaagc 360 accgatcagt atattgatac cattctgcca ccgctgacca aggcgctgtt caaatacgtc 420 aaagaagaga aatacacagt ctgtacgccg gggcatatgg gcggaactgc gttcgataaa 480 agccctgtcg gtagcctgtt ctatgatttc ttcggtgaaa acaccatgcg ttcggatatc 540 tcgatctccg tatctgagct cggatcgctg ctcgatcata gcggcccaca ccgtgacgcc 600 gaagagtata tcgcgcgcac gttcaacgcc gatcgcagct atatcgtaac caacggaaca 660 tctacggcga ataaaattgt cggcatgtat tcatctcctg ccggtgccac tattctgata 720 gaccgtaact gccataaatc attgacccat ttgatgatga tgagcaacgt tgtccccgtc 780 tatctgcgcc caacccgtaa cgcctacggc attttaggcg ggataccgca aagcgagttc 840 acccgcgcca gcattgaaga gaaagtgaaa aatacgccca atgcgacatg gccggtgcat 900 gcggtagtca ccaactctac ctatgacggc ctgttctaca ataccgaata catcaaaaac 960 acgcttgatg ttaagtcgat tcacttcgat tcggcatggg tgccttacac caacttccat 1020 ccgatttacc aaggcaaagc agggatgagc ggtgaacgtg tgccggggaa aatcatctac 1080 gagactcagt ccacccacaa actgctggcg gcattctcgc aggcatcgat gatccacgtg 1140 aaaggtgaga tcaacgaaga aaccttcaat gaagcctata tgatgcatac ctcaacatca 1200 ccgcattacg ggatcgttgc gtcgacggaa accgcggcgg ctatgatgaa gggcaacgcc 1260 ggtaagcgtt taattaacgg ttcaattgaa cgagcgatcc gcttccgtaa agagatccgc 1320 cgcttacgta cagaatctga tggctggttc tttgacgtat ggcagccgga taacattgac 1380 gaggttgctt gctggccact caatccacgt aatgaatggc atggattccc gaacatcgac 1440 aacgatcata tgtatcttga tccgatcaaa gtcactctgc tgaccccagg tttaagcccc 1500 aatggcactc tggaagagga agggataccg gcgtcgatcg tgtcgaaata tctggatgag 1560 cacggcatca tcgtggaaaa aaccgggcca tataacctgc tcttcctgtt tagtatcggg 1620 atcgataaaa ccaaggcgtt gagcttgttg cgggcattaa ccgatttcaa acgcgtgtat 1680 gacctcaacc tgcgcgtgaa aaacgtgttg ccatcgctct ataacgaggc gcctgatttc 1740 tataaagaga tgcgaattca ggagttggct caggggattc atgctctggt gaaacaccac 1800 aatctaccag acctgatgta tcgtgcattt gaggtattac caaagctggt gatgacgccg 1860 catgatgcgt tccaagaaga agtgcgtggc aatattgagc catgtgcctt ggatgatatg 1920 ttagggaaag ttagcgccaa catgatcttg ccgtatcctc cgggtgttcc ggtggttatg 1980 ccgggagaaa tgctcactaa ggagagccgc cctgttctga gcttcttgca gatgctatgt 2040 gaaattggcg cacactatcc gggctttgaa acggatattc acggcgttca tcgtgatggt 2100 gcaacgggta aatacatggt cgtggtgctc aaacaaggcg cagatgaacc gggtgataaa 2160 ccgagtgata cggtgaagaa agcgccgggt aaaaaaccat cagcggcgaa gaagtcataa 2220 2220 <210> 2 <211> 7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ene of PH30 promoter <400> 2 aaagtaactt ttcggttaag gtagcgcatt cgtggtgttg cccgtggccc ggttggttgg 60 gcaggagtat attg 74 <210> 3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of 5 region of lysE <400> 3 caagcttaga gggttcccgc gcc 23 <210> 4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of 5 region of lysE <400> 4 ctgcaggtgg attttcgccg ctg 23 <210> 5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of 3 region of lysE <400> 5 ggatccgacc tgtaatgaag atttccat 28 <210> 6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of 3 region of lysE <400> 6 gaattctagc ttcacgggtt accgc 25 <210> 7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of Hafnia alvei ldcC operon <400> 7 ggatccatga atatcattgc catcatga 28 <210> 8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of Hafnia alvei ldcC operon <400> 8 gcggccgctt atgacttctt cgccgctg 28

Claims (9)

  1.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Corynebacterium glutamicum) PKC의 lysE 유전자좌가 플라스미드 pK19-mobsacB-lysEF/B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로서,
    상기 플라스미드 pK19-mobsacB-lysEF/B는 플라스미드 pK19-mobsacB에, PH30 프로모터 및 터미네이터 존재하에서, 하프니아 알베이(Hafnia alvei) 유래의 유전자로서 라이신 디카르복실라아제를 코딩하고,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ldcCHa 유전자가 발현되는 플라스미드 pCES208:PH30ldcCHa이 삽입되어 있는,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미드 pK19-mobsacB-lysEF/B가 도 1의 개열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30 프로모터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Corynebacterium glutamicum) G-H30HaLDC KCTC13668B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는 라이신 디카르복실라아제를 코딩하는 ldcCHa 유전자가 과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는 글루코스로부터 125~130 g/L의 카다베린을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
  8. 제1항 내지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를 이용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다베린의 생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은 회분식 배양 또는 유가식 배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다베린의 생산방법.
KR1020180127885A 2018-10-25 2018-10-25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카다베린의 생산방법 KR102127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885A KR102127996B1 (ko) 2018-10-25 2018-10-25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카다베린의 생산방법
PCT/KR2018/012950 WO2020085556A1 (ko) 2018-10-25 2018-10-29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카다베린의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885A KR102127996B1 (ko) 2018-10-25 2018-10-25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카다베린의 생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551A KR20200046551A (ko) 2020-05-07
KR102127996B1 true KR102127996B1 (ko) 2020-06-29

Family

ID=70330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885A KR102127996B1 (ko) 2018-10-25 2018-10-25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카다베린의 생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7996B1 (ko)
WO (1) WO2020085556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3394B2 (ja) 2001-02-01 2014-07-16 東レ株式会社 カダベリンの製造方法
DE102007005072A1 (de) 2007-02-01 2008-08-07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fermentativen Herstellung von Cadaverin
WO2012077744A1 (ja) 2010-12-08 2012-06-14 東レ株式会社 カダベリンの製造方法
KR101481142B1 (ko) * 2013-03-04 2015-01-15 한국과학기술원 코리네박테리아 발현용 합성프로모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enBank Accession Number X03774 (2005.04.18.)*
Young Hoon OH 등. 한국생물공학회 학술대회. P0467 페이지 486 (2015.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551A (ko) 2020-05-07
WO2020085556A1 (ko) 202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érez-García et al. Fermentative production of L‐pipecolic acid from glucose and alternative carbon sources
US20220162653A1 (en) Preparation of (R)-3-Hydroxybutyric Acid or Its Salts by One-Step Fermentation
KR101483395B1 (ko) L-라이신 생산능을 갖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l-라이신을 생산하는 방법
CN101617038B (zh) 利用棒状杆菌从含有甘油的碳源中生产发酵产品的方法
US10385328B2 (en) Carbon dioxide fixation via bypassing feedback regulation
JP6375391B2 (ja) O−アセチル−ホモセリンを生産する微生物及びこれを用いてo−アセチル−ホモセリンを生産する方法
KR20130082124A (ko) 자일로즈 이용능이 부여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의 생산방법
JP6291042B2 (ja) L−アミノ酸の生産方法
CN113249347B (zh) 丙酮酸脱氢酶的突变体及其用于生产l-氨基酸的方法
US20160304917A1 (en) Modified Microorganism for Improved Production of Alanine
Rohles et al. Systems metabolic engineering of Corynebacterium glutamicum eliminates all by-products for selective and high-yield production of the platform chemical 5-aminovalerate
US20160326554A1 (en) Recombinant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organic acids
US20150111261A1 (en) L-threonine-producing escherichia coli and method for producing l-threonine using the same
KR102127996B1 (ko)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카다베린의 생산방법
DK1591520T3 (en) Microorganism producing L-threonine and having an inactivated tyR gene,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L-threonine using the microorganism
KR101725454B1 (ko) 하프니아 알베이 유래의 라이신 디카르복실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 이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숙주세포 및 이를 이용한 카다베린의 생산방법
EP3153575B1 (en) Microorganism having ability to produce o-succinylhomoserine or succinic acid, and method for producing succinic acid or o-succinylhomoserine by using same
EP2397545B1 (en) Method for producing amino acid
KR20240000419A (ko) L-라이신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변이주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의 생산 방법
Wang et al. Metabolic engineering of Corynebacterium glutamicum CGY-PG-304 for promoting gamma-aminobutyric acid production
KR20220126610A (ko) L-라이신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변이주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의 생산 방법
KR20230175159A (ko) L-라이신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변이주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의 생산 방법
JP2023540518A (ja) L-リジン生産能が向上したコリネバクテリウムグルタミクム変異株およびこれを用いたl-リジンの生産方法
JP2024515391A (ja) L-リシン生産能が向上したコリネバクテリウム・グルタミカム変異株及びそれを用いたl-リシンの生産方法
KR20220149379A (ko) L-라이신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변이주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의 생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