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867B1 - 백바디 및 백바디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백바디 및 백바디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867B1
KR102630867B1 KR1020237030874A KR20237030874A KR102630867B1 KR 102630867 B1 KR102630867 B1 KR 102630867B1 KR 1020237030874 A KR1020237030874 A KR 1020237030874A KR 20237030874 A KR20237030874 A KR 20237030874A KR 102630867 B1 KR102630867 B1 KR 102630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back body
restraining
opening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0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4620A (ko
Inventor
사토시 이나가키
히데히로 후지타
이세이 우메츠
히로후미 코야마
마사타카 키노시타
코지 카지와라
히로노리 카와무라
Original Assignee
교와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후도 테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와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후도 테트라 filed Critical 교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34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4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7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bags filled at the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Abstract

백바디(bag body;10)는 석재(12)를 속채움하고 있다. 백바디(10)의 직경을 W, 백바디(10)의 저부로부터, 그 중심을 관통하고, 매다는 로프(15)와 맞추어 매달아올리는 백바디(10)의 저부로부터, 그 중심을 관통하고, 백재의 매다는 로프(15)의 근원 위치까지의 구속 로프(14)의 길이를 H1, 백재(bag material;11)에 속채움재(12)를 속채움한 때의 직경을 W0로 했을 때 W/H1(직경/구속 로프 길이)=15.898×(W/W0)^2-17.784×(W/W0)+6.6314로 표시되는 곡선을 중심으로 하고, 그 상하의 소정의 범위 내에 있다.

Description

백바디 및 백바디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백바디(bag body) 및 백바디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파랑 안정성에 적합한 백바디 및 백바디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백바디가,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3-129444호 공보(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동 공보에 의하면, 수류나 파랑의 반복 작용을 받아도 속채움재의 이동을 방지하고, 전단 변형이 생기지 않는 토목공사용 백재(bag meterial)와 이것을 이용한 백바디를 제공하기 위해 합성 섬유로 편성한 망으로 형성하고 속채움재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백재를 이용하여 백재에 연결하고, 백재의 개구를 닫은 입구부로부터 밖으로 인출되는 저부와 입구부를 연결하는 구속수단 기구를 마련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2003-129444호 공보
종래로부터 있는 자루형 기초고정용 백재는 작용 파랑(파고)에 대해 백바디 필요 질량을 계산할 때에 필요하게 되는 안정성의 계수가 기존 실험에 의해 구해져 있지만 형태가 각기 다르고 안정성이 한결같지 않아 시공 장소의 파랑을 특정하여 시공하여도 백재가 파랑에 의해 미끄러 움직이거나 굴러 쓰러져 유실된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파랑에 대해 백바디에서의 구속 수단 기구인 구속 로프의 길이를 조정하여 백바디의 높이와 직경의 최적치를 제공함과 함께, 그와 같은 백바디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백바디(bag body)는 저부와 개구부를 갖는 백재(bag material)를 포함하고, 개구부에는 매다는 로프가 마련되고, 저부에는 개구부를 통과하여 취출되는 구속 로프가 마련된다. 백재에는 속채움재가 충전되어 백바디가 형성된다. 백재는 속채움재가 충전된 때 개구부가 닫혀진다. 백바디의 직경을 W, 백바디의 저부로부터 그 중심을 관통하고 백재의 매다는 로프 근원 위치까지의 구속 로프의 길이를 H1, 백재에 속채움재를 충전한 때의 가장 파도에 대해 안정된 때의 백바디의 직경을 W0로 했을 때, W/H1(직경/구속 로프 길이)=15.898×(W/W0)^2-17.784×(W/W0)+6.6314로 표시되는 곡선을 중심으로 하고, 그 상하의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범위는 83%∼111%의 범위이다.
구속 로프가 합성 섬유의 로프 또는 벨트라도 좋다.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구속 로프는 백재의 저부의 망을 묶어서 입구부 방향으로 끌어올린 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개구부에는 매다는 로프의 하방에 입구 묶는 로프가 마련되고, 개구부는 입구 묶는 로프에 의해 닫혀지고, 구속 로프는 매다는 로프 및 입구 묶는 로프와 조합된다.
구속 로프가 백재의 저부의 망을 묶어 입구부 방향으로 끌어올린 망의 집합체와, 이것에 연결한 로프의 조합이고, 최적의 구속 로프의 고정 위치가 명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서는 백바디의 제조 방법은 백바디의 제작 테두리를 준비하는 스텝과, 개구에 있는 매다는 로프와, 그 하부에 마련된 입구 묶는 로프와, 그 저부에 일단이 고정된 구속 로프를 갖는 백재를 준비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구속 로프에는 백바디에서의 최적의 구속 로프의 고정 위치가 명시되어 있고, 제작 테두리의 내부에 백재를 그 개구에 있는 매다는 로프가 제작 테두리의 개구단에 걸리도록 두고, 구속 로프 타방단을 백재의 중심을 통과하여 그 외부에 취출한 상태에서 백재에 최적의 구속 로프의 고정 위치가 될 때까지 속채움재를 투입하는 스텝과, 속채움재의 투입 후에 입구 묶는 로프에 의해 백재의 개구를 닫고, 구속 로프와 매다는 로프에 의해 백바디를 제작 테두리로부터 취출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발명자들은 다양한 실험에 의거하여 백바디의 안정성을 검토하고, 그 결과, W/H1(직경/구속 로프 길이)가 소정의 식으로 표시되는 곡선을 중심으로 하여 얻어진 곡선이 가장 파랑에 대해 안정성을 갖는 것을 밝혀냈다.
그 결과, 파랑에 대해 유효한 백바디의 형상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 타입의 백바디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통상 타입의 백바디보다도 종방향으로 길다란 배고(背高) 타입의 백바디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통상 타입의 백바디보다도 폭방향으로 길다란 폭광(幅廣) 타입의 백바디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파도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조파(造波) 수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실험 결과에 의거하여 백바디의 직경과, 직경/구속 로프 길이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7은 도 6의 관계에 의거하여 무차원화한 경우의, 백바디의 직경과, 직경/구속 로프 길이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8은 백바디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발명자들은 속채움 충전재를 충전한 백바디를 일정한 크기로 축소한 모델의 각종의 형상을 갖는 것을 이용하여 다양한 파랑 조건(파고 및 주기)을 작용시켜서 백바디의 안정성을 확인하는 실험을 행하여 일정한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하, 그 내용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실험에 이용한 백바디에 관해 설명한다. 여기서, 실험에 이용한 백바디는 설정 중량 8t을 모델로 하고, 실물의 약 1/35이다.
도 1은 백바디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백바디(10)는 합성 섬유로 편성한 망으로 형성한 백재(11)와, 백재(11)에 충전된 쇄석, 옥석, 콘크리트 각(殼), 철광석 괴(塊), 중정석 괴, 철강 슬래그 괴, 철강 슬래그 수화고화체 괴 등의 밀도 2t/㎥ 이상의 속채움 충전재(12)를 포함한다. 백재(11)는 원래, 상부에 개구부를 가지고, 그 개구부의 주위에는 매다는 로프(15)가 마련되고, 그 하부의 네트에 입구 묶는 로프(13)가 마련되어 있다.
백재(11)는 속채움 충전재를 충전 후, 그 개구부가 입구 묶는 로프(13)로 묶여지고, 매다는 로프(15)와 함께 후에 설명하는 제작 테두리로부터 밖으로 인출된다. 또한, 백재(11)의 저부에는 구속 수단이 되는 구속 로프(14)가 부착되고, 이 구속 로프(14)가, 백바디(10)의 바닥(16)의 중심을 통과하고, 입구 묶는 로프(13) 및 매다는 로프(15)와 일체화되어 백바디(10)가 매달려 올려진다.
여기서, 백재(11)에 석재(12)를 속채움한 때의 직경을 W로 하고, 구속 로프(14)는 백바디(10)의 바닥(16)에 구속 로프(14)가 부착된 저부(16a)로부터 그 중심을 관통하여 백재(11)의 입구 묶는 로프(13)의 근본 위치(16b)까지의 길이를 H1로 한다. 또한, 백바디(10)의 바닥(16)부터 입구 묶는 로프(13)의 근본 위치(16b)까지의 길이를 H로 한다.
또한, 구속 로프(14)를 매다는 로프(15)와 함께 매달아 올리면, 도 1∼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속 로프(14)의 하부가 저부(1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16)으로부터도 들어 올려지기 때문에, H1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속 로프(14)가 들어 올려지는 저부(16a)의 위치로부터 백바디(10)의 상단부(16b)의 위치까지의 치수가 된다. 여기서, 백바디(10)의 상단부(16b)의 위치는 입구 묶는 로프(13)의 근본 위치이고, 구속 로프(14)의 들어 올려진 위치는 통상적으로 속채움재를 수용한 백바디(10)의 전체 높이(H)의 약 40∼120%이다.
백바디(10)의 형상은 상기(이것을 통상 타입이라고 한다)로 하여 백바디(10)는 그 형상이 보다 높이 방향이 높은 형상(이것을 배고(背高) 타입이라고 한다)과, 그 형상이 보다 폭방향으로 넓은 형상(이것을 폭광 타입이라고 한다)이 있을 수 있다. 그들의 형상을 도 2 및 도 3에 도시한다. 도 2는 백바디(10)의 형상이 보다 높이 방향이 높은 형상이고, 도 3은 그 형상이 보다 폭방향으로 넓은 형상이다.
도 2와 같이 높은 형상의 백바디라면, 설치 후에 굴러 쓰러져(轉倒) 안정성이 결여되는 경우가 있고, 도 3과 같은 폭방향에 넓은 형상이라면, 설치 후에 말려 올라감에 의해 안정성이 결여되는 경우가 있다. 폭방향의 치수(W)가 동일해도 구속 로프(14)의 길이(H1)에 따라 마찬가지의 일이 생긴다.
그래서, 발명자들은 이들의 치수에 의한 비(比)(W/H1)=(직경/구속 로프 길이)와, 직경(W)과의 관계에 주목하여 직경마다 어느 정도의 비라면, 백바디(10)가 설치 후에 굴러 쓰러져 안정성이 결여되는 경우가 있고, 어느 정도 폭방향으로 넓은 형상이라면, 설치 후에 말려 올라감에 의해 안정성이 결여되는 경우가 있는지를 실험에 의해 확인했다.
즉, 본 발명에 관한 백바디를 이용한 물체의 파랑에서의 거동은 유체 현상이고 상사칙이 성립된다. 그래서, 백바디 형상의 직경(W)과 구속 로프 길이(H1)를 변동시킨 1/35의 축척 모형 백바디를 이용하여 2차원 조파(造波) 수로에서 각각의 파랑 작용 중의 백바디의 상태(안정, 말려 올라감, 굴러 쓰러짐)를 관찰했다.
구체적으로는 일정 입경 범위 내에 있는 쇄석을 백(자루)에 채우고, 직경(W)이 75㎜∼110㎜가 되는 모형 백바디를 조파 수로 내에 배치하고, 앞바다로부터 연안 방향으로 일정 주기(1초)의 파도를 작용시켰다. 각각의 직경(W)에서는 다양한 구속 로프 길이(H1)을 변화시켜서 서서히 파고를 올린 때에 모형이 이동한 이동 형태(말려 올라감에 의한 이동, 굴러 쓰러짐에 의한 이동 등)를 관찰하고, 이동 한계가 되는 파고시의 W/H1의 비를 구했다.
여기서, 안정성의 판정에는 본 실시의 형태가, 바다용의 내파랑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하는 것이기 때문에 파고를 6㎝∼12㎝로 변화시키고, 그 주기를 1초로 하여 판정했다. 또한, 파도의 특성을 도 4에, 이용한 조파 수로의 구성을 도 5에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조파 수로는 폭, 깊이, 길이의 각각이 710㎜×1000㎜×30000㎜이다. 그 위에 왼쪽의 끝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1 대 1.5의 비로 서서히 낮아지는 법면을 수평 방향으로 450㎜ 마련하고, 그곳에 폭 150㎜의 수평의 단부를 마련하고, 그 후, 또한 동일한 비로 서서히 낮아지는 법면을 수평 방향으로 675㎜ 마련하고 있다. 이 연안은 기초 사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상기 단부의 오른쪽 끝에 속채움재를 충전한 백바디를 두고, 그곳에 우측으로부터 파도를 맞혀서 속채움재를 충전한 백바디의 안정성을 판단했다.
속채움재를 충전한 백바디의 배치의 위치에 관해서는 정선(汀線) 부근이 가장 유체력이 작용하며, 백바디의 안정성을 평가하는데는 가장 과혹한 조건이다.
또한, 여기서, 수평부(150㎜)에서의 법면의 내리막부 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백바디의 모형을 설치한 때, 수평부에서의 백바디의 모형 직경이 150㎜보다 작고, 법면 오르막부에 간극이 있다. 그 간극에서의 이동시의 시작과 종료를 측정했다.
파(波)에 의한, 백바디의 모형의 이동의 시작을 「시작점」으로 하고, 법면 오르막부에 백바디의 모형이 당접한 때를 「종료」로 판단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표 1은 안정된 경우의 W가 75㎜∼110㎜까지의 8단계에서의 H, H1, W/H1, W0, W/W0을 나타낸다.
[표 1]
◎은 파고 10㎝ 이상에서도 안정된 케이스.
○ 및 ●은 파고 8.5㎝ 이상∼10.0㎝ 미만에서 안정된 케이스.
×는 파고 8.5㎝ 미만에서 말려 올라감, 굴러 쓰러짐, 미끄러 움직여 유출된 케이스이고, ×A는 말려 올라가 불안정한 경우를 나타내고, ×B는 굴러 쓰러져 불안정한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표 1을 참조하면, ◎의 데이터는 그 대부분이 H<H1로 되어 있고, 이것은 도 1과 다르게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것은 백바디를 달아 올린 때 망과 속채움재의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공간이 없으면 속채움재가 고정된 백바디로 되어 재치 장소에의 추종성이 상실된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가 존재한다.
이들의 데이터에 관해 횡축을 직경(W)으로 하고, 종축을 W/H1로 했을 때의 그래프를 도 6에 도시한다. 도 6으로부터, 백바디(10)가 파랑에 대해 가장 안정된 상태인 것이 확인된 때(표 1에서 2중 ○으로 판정된 것으로, 그래프에서 ●로 나타낸 점을 접속한 곡선)의 구속 로프 길이(H1)와 직경(W)의 비를 근사 곡선으로서 파악한 때,
W/H1(직경/구속 로프 길이)=0.0016×W^2-0.178×W+6.33로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가장 안정된 상태」라는 것은 상기한 「시작점」부터 「종료」까지의 사이에 백바디가 말려 올라가는 이동이나 굴러 쓰러지는 이동 등을 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파랑에 대해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한계점은 파고 8.5㎝∼10.0㎝ 미만이고, 그 상태의 백바디에 관해 구속 로프 길이(H1)와 직경(W)의 비를 근사 곡선으로써 파악한 때(표 1에서 ○으로 판정된 것으로, 그래프에서 ◆로 나타낸 점을 접속한 곡선),
W/H1(직경/구속 로프 길이)=0.0016×W^2-0.178×W+5.5(1점 쇄선으로 표시)와,
(표 1에서 ●으로 판정된 것으로, 그래프에서 ■로 나타낸 점을 접속한 곡선) W/H1(직경/구속 로프 길이)=0.0016×W^2-0.178×W+7.9(2점 쇄선으로 표시)로 나타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얻어진 곡선으로부터, W/H1(직경/구속 로프 길이)가 커지면 백바디의 높이가 높아지고, 중심(重心) 위치가 높아지기 때문에 굴러 쓰러져 현저하게 안정성이 상실된다.(1점 쇄선의 라인).
W/H1(직경/구속 로프 길이)가 작아지면, 백바디의 구속성이 상실되어 말려 올라가 현저하게 안정성이 상실된다.(2점 쇄선의 라인)
상기 곡선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백바디의 형상이 가장 파랑에 대해 유효한 백재의 형상이다.
실제의 백바디(10)는 그 크기에 따라 4t용, 6t용, 8t용 등이 있고, 각각은 당연하지만, W나 H1 등이 다르다. 그래서, 표 1의 결과에 의거하여 무차원화한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여기서, 무차원화에 있어서는 실험 결과로부터 파랑에 대해 가장 안정된 때의 구속 로프 들어감의 속채움재를 충전한 백바디 형상, 즉, 직경을 W0=100㎜로 백재 직경을 제산(除算)함에 의해 무차원화를 행했다.
그 결과를 도 7에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백재에 석재를 속채움한 때의 백바디(10)의 직경을 W, 백바디(10)의 저부로부터 그 중심을 관통하고, 구속 로프(14)에서의 백바디의 매다는 로프 근원 위치까지의 길이를 H1, 파도의 상태에 대해 가장 안정된 때의 백바디(10)의 직경을 W0로 했을 때,
W/H1(직경/구속 로프 길이)=15.898×(W/W0)^2-17.784×(W/W0)+6.631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바디가 파랑에 대해 가장 안정된 형상을 나타낸다.
얻어진 곡선으로부터, W/H1(직경/구속 로프 길이)가 커지면 백바디의 구속 성능이 상실되어 말려 올라갈 가능성이 발생하고, 현저하게 안정성이 상실된다.(1점 쇄선의 라인)
W/H1(직경/구속 로프 길이)가 작아지면, 백바디의 높이가 높아지고, 중심 위치가 높아지기 때문에 굴러 쓰러질 가능성이 발생하고, 현저하게 안정성이 상실된다.(2점 쇄선의 라인)
백바디의 형상이 1점 쇄선의 라인, 2점 쇄선의 라인으로 둘러싸인 범위에 들어감으로써, 작용 파랑에 대해 말려 올라감이나 굴러 쓰러짐에 의한 이동을 피할 수 있는 안정성이 확보된다. 이 범위를 백바디 제작시에 있어서의 관리가 행해지기 쉽도록 형상으로 수치화하기 위해 W의 치수가 3점 이상의 데이터가 있는 점을 이용한 표 2를 작성했다.
[표 2]
Figure 112023099845677-pct00002
() 내의 수치는 근사 곡선(W/H1)(직경/구속 로프 길이)=15.898×(W/W0)^2-17.784×(W/W0)+6.6314에 의한 계산치와의 비를 나타낸다.
이상으로부터, 백바디가 안정되는 범위는 W/H1이 최소 비율인 83%∼119%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W<W0로 한정하면 소정의 범위가 71%∼123%의 범위인 것을 알 수 있다.
구속 로프를 넣음으로써, 속채움재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지만 보다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구속 로프의 최적치를 구하여 그것이 분명하게 됐다.
또한, 이 식을 이용하여 H1=W/(15.898×(W/W0)^2-17.784×(W/W0)+6.6314)를 구하면, W의 값에 따른 백재의 구속 로프의 속채움재를 충전한 후에 있어서의 최적의 고정 위치의 길이를 구할 수 있고, 그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백바디의 제조 방법이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구속 로프에 속채움재를 충전한 후에 있어서의 최적의 고정 위치의 길이를 명시한 백바디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 실시의 형태에 관한 백바디의 제조에서는 역 육각추대형의 백바디의 제작 테두리(17)의 내부에 백재(11)를 그 개구에 있는 매다는 로프(15)가 제작 테두리(17)의 개구단에 걸리도록 놓는다. 이때 백재(11)의 개구에 마련된 매다는 로프(15)의 하방의 네트에 입구 묶는 로프(13)가 삽통되어 있고, 백재(11)의 저부(16a)에 구속 로프(14)의 한쪽 단이 고정되고, 그 다른쪽 단은 백재(11)의 중심을 통과하여 그 외부에 취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석재 등의 속채움재(12)이 백재(11)의 내부에 투입된다.
여기서, 구속 로프(14)의 저부(16a)로부터, 상기한 식에 의거하여 H1을 구하여 그 구한 길이의 구속 로프 위치에 최적의 구속 로프의 고정 위치가 미리 마킹(도 8에서 ●로 도시한다)이 되어 있다. 이 마킹에 의해 백바디의 제조시에 어느 위치에서 로프를 묶으면 좋은지를 알 수 있다.
이 후, 매다는 로프(15)로 백재의 개구를 닫고, 그 주위를 입구 묶는 로프(13)에 의해 묶어, 백바디를 완성하여 구속 로프(14)와 매다는 로프(15)를 일체화하여 백바디를 제작 테두리(17)으로부터 취출한다.
구속 로프(14)는 합성 섬유제의 로프 또는 벨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참고로 구속 로프의 길이(H1)의 계산례를 나타내면, 표 1의 판정이 ◎로 나타낸 백바디 중, W=75㎜(실제 치수 2625㎜)의 것에서 구속 로프의 길이(H1)는 1190㎜이고, W=90㎜(실제 치수 3150㎜)의 것에서 구속 로프의 길이(H1)는 910㎜이고, W=110㎜(실제 치수 3850㎜)의 것에서 구속 로프의 길이(H1)는 612㎜이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백재의 저부에 1개의 구속 로프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 관해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구속 로프는 백재의 저부의 망을 묶어 입구부 방향으로 끌어올린 망을 포함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1개의 구속 로프 위치에 최적의 구속 로프의 고정 위치가 미리 마킹 되어 있는 경우에 관해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구속 로프가 백재의 저부의 망을 묶어 입구부 방향으로 끌어올린 망의 집합체와, 이것에 연결한 로프의 조합이고, 그것들에 최적의 구속 로프의 고정 위치가 명시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도시하는 실시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 대해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백바디는 가장 파랑에 대해 안정성을 갖기 때문에 파랑에 대해 안정된 백바디로서 유리하게 사용된다.
10: 백바디(bag body) 11: 백재(bag material)
12: 속채움 충전재 13: 입구 묶는 로프
14: 구속 로프 15: 매다는 로프
16a: 저부 16b: 백바디의 상단부

Claims (7)

  1. 저부와 개구부를 갖는 백재((bag material)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에는 매다는 로프가 마련되고, 상기 저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취출되는 구속 로프가 마련되고,
    상기 백재에는 속채움재가 충전되어 백바디(bag body)가 형성되고,
    상기 백재는 상기 속채움재가 충전된 때 상기 개구부가 닫혀지고,
    상기 백바디의 직경을 W, 상기 백바디의 저부로부터, 그 중심을 관통하고, 상기 백재의 매다는 로프 근원 위치까지의 상기 구속 로프의 길이를 H1, 상기 백재에 속채움재를 충전한 때의 가장 파에 대해 안정된 때의 백바디의 직경을 W0로 했을 때,
    W/H1(직경/구속 로프 길이)=15.898×(W/W0)^2-17.784×(W/W0)+6.6314로 표시되는 곡선을 중심으로 하고, 그 상하의 소정의 범위 내에 있고,
    상기 소정의 범위는 83%∼119%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바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로프가 합성 섬유의 로프 또는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바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로프는 상기 백재의 저부의 망을 묶어 입구부 방향으로 끌어올린 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바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매다는 로프의 하방에 입구 묶는 로프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입구 묶는 로프에 의해 닫혀지고,
    상기 구속 로프는 상기 매다는 로프 및 상기 입구 묶는 로프와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바디.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로프가 상기 백재의 저부의 망을 묶어 입구부 방향으로 끌어올린 망의 집합체와, 이것에 연결한 로프의 조합이고, 최적의 구속 로프의 고정 위치가 명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바디.
  6. 제5항에 기재된 백바디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백바디의 제작 테두리를 준비하는 스텝과,
    개구에 있는 매다는 로프와, 그 하부에 마련된 입구 묶는 로프와, 그 저부에 일단이 고정된 구속 로프를 갖는 백재를 준비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구속 로프에는 백바디에서의 최적의 구속 로프의 고정 위치가 명시되어 있고, 제작 테두리의 내부에 백재를 그 개구에 있는 매다는 로프가 제작 테두리의 개구단에 걸리도록 놓고, 구속 로프 타방단을 백재의 중심을 통과하여 그 외부에 취출한 상태에서 백재에 최적의 구속 로프의 고정 위치가 될 때까지 속채움재를 투입하는 스텝과,
    속채움재의 투입 후에 입구 묶는 로프에 의해 백재의 개구를 닫고, 구속 로프와 매다는 로프에 의해 백바디를 제작 테두리로부터 취출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바디의 제조 방법.
  7. 삭제
KR1020237030874A 2021-05-07 2021-05-07 백바디 및 백바디의 제조 방법 KR102630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17483 WO2022234645A1 (ja) 2021-05-07 2021-05-07 袋体および袋体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620A KR20230134620A (ko) 2023-09-21
KR102630867B1 true KR102630867B1 (ko) 2024-01-30

Family

ID=82929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0874A KR102630867B1 (ko) 2021-05-07 2021-05-07 백바디 및 백바디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4317591A1 (ko)
JP (1) JP7121957B1 (ko)
KR (1) KR102630867B1 (ko)
AU (1) AU2021444459B2 (ko)
CA (1) CA3215688C (ko)
TW (1) TWI807808B (ko)
WO (1) WO202223464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9842A (ja) 1999-05-06 2000-11-21 Seiritsu Shoko Kk 洗掘防止材
JP2003129444A (ja) 2001-10-24 2003-05-08 Kyowa Co Ltd 中繋ぎ材を設けた耐波浪性土木工事用袋材とこの袋材を用いた耐波浪性土木工事用袋体の製造方法。
JP2008063837A (ja) 2006-09-07 2008-03-21 Kyowa Co Ltd 土のう袋とこの土のう袋を用いた土のうの製作方法
JP2018188805A (ja) * 2017-04-28 2018-11-29 キョーワ株式会社 耐波浪性土木工事用袋材および耐波浪性土木工事用袋体の製造方法
JP2021017729A (ja) 2019-07-19 2021-02-15 前田工繊株式会社 土木工事用袋体および土木工事用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585889Y (zh) * 2002-10-29 2003-11-12 江苏省水利物资总站邳州储运站物资经理部 柔性集装网袋
JP6401415B1 (ja) * 2018-04-05 2018-10-10 前田工繊株式会社 土木工事用袋体
CN110438941A (zh) * 2019-07-09 2019-11-12 中交天津航道局有限公司 一种利用模箱抛投赛克格宾的方法
CN112030978A (zh) * 2020-09-08 2020-12-04 浙江世润建创科技发展有限公司 复杂地形水下精确抛石系统及抛石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9842A (ja) 1999-05-06 2000-11-21 Seiritsu Shoko Kk 洗掘防止材
JP2003129444A (ja) 2001-10-24 2003-05-08 Kyowa Co Ltd 中繋ぎ材を設けた耐波浪性土木工事用袋材とこの袋材を用いた耐波浪性土木工事用袋体の製造方法。
JP2008063837A (ja) 2006-09-07 2008-03-21 Kyowa Co Ltd 土のう袋とこの土のう袋を用いた土のうの製作方法
JP2018188805A (ja) * 2017-04-28 2018-11-29 キョーワ株式会社 耐波浪性土木工事用袋材および耐波浪性土木工事用袋体の製造方法
JP2021017729A (ja) 2019-07-19 2021-02-15 前田工繊株式会社 土木工事用袋体および土木工事用構造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07808B (zh) 2023-07-01
TW202300755A (zh) 2023-01-01
EP4317591A1 (en) 2024-02-07
CA3215688C (en) 2024-02-13
AU2021444459B2 (en) 2023-12-14
JPWO2022234645A1 (ko) 2022-11-10
CA3215688A1 (en) 2022-11-10
AU2021444459A1 (en) 2023-11-09
JP7121957B1 (ja) 2022-08-19
WO2022234645A1 (ja) 2022-11-10
KR20230134620A (ko)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61053B (zh) 一种高土石坝抗震结构及其施工方法
Choudhary et al. Uplift capacity of horizontal anchor plate in geocell reinforced sand
JP2010521602A (ja) 土粒子拘束用蜂巣状補強材
KR102630867B1 (ko) 백바디 및 백바디의 제조 방법
US5320452A (en) Cast-in-place concrete pil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in the ground
CN106761913B (zh) 一种有效提高稳固性的溜井降段封堵的方法及其结构
CN105862659B (zh) 一种高频泥石流护岸导流方法
JP2009002007A (ja) 地盤改良工法
JP5351720B2 (ja) 地盤改良工法
KR101196631B1 (ko) 지반 개량 공법
JP2009079415A (ja) 盛土の補強構造と補強方法および線状盛土
Zhu et al. Investigation to arch action and hydraulic fracturing of core rockfill dam
JP2005220706A (ja) 波緩衝体及びそれを用いた波緩衝装置
CN112528539A (zh) 确定病险水闸安全控制运行水位的方法
JP6159586B2 (ja) 既設防波堤の補強構造、既設防波堤の補強方法、補強体
TW201529932A (zh) 軟弱地盤及有液化疑慮之地盤的施工方法及填平方法、以及結構體袋
JP7461211B2 (ja) 地盤改良工法
JP2007239202A (ja) 谷埋め盛土部の耐震補強構造
JP4066030B2 (ja) 護岸ブロック
CN107142803B (zh) 土工格栅和路基施工方法
JP4164921B2 (ja) 周辺地盤変状防止工法
JP2004019249A (ja) 盛土補強装置
Aparnna et al. Influence of aggregate filled geocell reinforcement on the uplift capacity of anchor plate
Hoffmans et al. Instability of grass caused by wave overtopping
Giudici Discussion of “Rockfill Structures Subject to Water F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