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777B1 - 탈취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탈취방법 - Google Patents

탈취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탈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777B1
KR102629777B1 KR1020230048966A KR20230048966A KR102629777B1 KR 102629777 B1 KR102629777 B1 KR 102629777B1 KR 1020230048966 A KR1020230048966 A KR 1020230048966A KR 20230048966 A KR20230048966 A KR 20230048966A KR 102629777 B1 KR102629777 B1 KR 102629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baking soda
gum
alcohol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8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장필
Original Assignee
배장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장필 filed Critical 배장필
Priority to KR1020230048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7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7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1/00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3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취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탈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잔탄검, 구아검과 같은 검과 베이킹 소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아로마 오일 및/또는 알코올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악취의 원인인 수분을 건조시킴으로써 분뇨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냄새 나는 물질에 대하여 분말처리를 함으로써 유용한 비료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탈취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탈취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취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탈취방법{Deodorant Composition and Deodor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냄새를 유발하는 특히 반려견, 반려모, 조류, 동물, 갓난아이들의 용변 및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모든 악취의 탈취에 사용할 수 있는 탈취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탈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잔탄검, 구아검과 같은 검과 베이킹 소다를 포함하고, 여기에 선택적으로 아로마 오일 및/또는 알코올을 첨가하여 악취의 원인인 수분을 건조시킴으로써 분뇨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냄새 나는 물질에 대하여 분말처리를 함으로써 유용한 비료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탈취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탈취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려견, 반려묘, 갓난아이들의 용변 및 음식물쓰레기는 종량제 봉투가 채워지고 난 후에 버리게 되는 관계로 집안에 어느 정도 머물러있어야 하므로 집안의 냄새를 피할 수 없는 것이다.
또는 축산농가에서 배출되는 돈분, 우분, 계분 등의 가축분뇨는 배설, 수거, 저장, 이송, 재처리의 전 과정에서 심한 악취를 방출한다. 이 축사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대부분 황화수소와 암모니아로 인한 것이다.
현재 가축분뇨의 통상적인 처리방법은 분을 퇴비화(composting)하여 발효시키거나 건조시켜 활용하고, 뇨 또는 세척수는 활성오니법 등으로 정화처리하며, 가장 흔한 형태인 분뇨혼합의 경우는 톱밥이나 왕겨 등 수분조절제를 혼합하여 발효시켜 퇴비화하거나 발효 촉진제를 첨가하여 그대로 액비로 처리하는 것이 가장 보편적이다. 또한, 일부는 수거되어 미생물 등을 이용하여 가축의 분변 등으로부터 수소, 메탄가스 등을 생산하는 바이오가스 생산 공정 등에 활용되고 있으나 전체 발생량 대비 활용되는 양이 미미한 실정으로 대부분의 가축분뇨는 마땅히 활용할 방안이 없어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가축분뇨는 초기 분뇨슬러리(livestock slurry) 및 퇴비단의 단계에 이르기까지 BOD, COD, SS, 악취 등의 측정수치가 거의 개선되지 않아 침출여과수 처리 및 액비화 재처리과정에서 고비용이 소요되고 처리성능도 불안정하여 2차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등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막대한 양으로 발생하는 가축분뇨의 처리 문제는 축산농가의 해결하기 어려운 오래된 골칫거리이다.
바이오가스 생산 공정은 미생물 등을 이용하여 가축의 분변 등으로부터 수소, 메탄가스 등을 생산하는 것인데, 가축분뇨를 이러한 바이오가스 생산 공정으로 처리해도 바이오가스의 생산 후 고액분리를 통해 다량으로 발생되는 액비에서 대부분 심한 악취가 난다. 이와 같은 심한 악취로 인해 농가에서 사용을 꺼리기 때문에 발생된 액비의 처리가 또한 문제되고 있다. 실제 이러한 액비 처리의 어려움으로 바이오가스 생산을 중단하는 경우가 있으며, 최근에는 액비처리가 선결되지 않으면 바이오가스 생산에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가축분뇨의 퇴비화 과정에서 퇴비화기간을 단축시키고 퇴비화 과정 중 발생하는 악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발효촉진제와 악취제거제(또는 탈취제)가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바실러스균, 슈도모나스균, 유산균, 광합성 세균, 효모 등 미생물들로 구성된 제품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미생물 발효제들은 가축분뇨에 적용시 발효기능은 우수하나 기존에 형성된 악취의 제거 작용이 없으며, 분뇨의 퇴비화 과정 중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미생물제제는 배양 후 액상상태로 실온에서 1~2주 이상의 기간동안 생육이 불가능하여, 배양 후 약 30일이 지나면 전부 폐기 처분해 버리고 있는 실정으로 유통기간이 짧으며, 균주가 환경의 영향을 받아 효과가 재현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분뇨 악취의 근원은 수분을 머금고 분뇨 내부에 잔존하는 암모니아로 인한 것이 대다수인바, 이를 제거하기 위해 농가들은 정기적으로 청소하거나 종래의 기술인 액상 악취 제거제를 살포하는 방법을 사용해오고 있다. 그러나 위 액체형의 제거제는 분사 시 분뇨 내부로 침투하여 암모니아를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분뇨의 외면에만 잔존하여 악취제거에 탁월한 효능을 발휘하지 못하였으며, 더욱이 분뇨 내부의 수분을 제거하는 등의 근본적 원인을 해결하지 못하므로 악취를 제거하는 것이 아닌 잠시 차단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다수의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나, 대다수는 근본적으로 악취 내부에 잔존하는 수분을 제거하지 못할 뿐 아니라 현존하는 문제점을 여전히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가정의 냄새발생요인제거 또는 분뇨를 건식 처리함에 있어서, 수분제거 고형화 속도를 증가시키는 데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잔탄검 또는 구아검 등의 검 종류와 베이킹 소다 그리고 선택적인 성분으로서 아로마 오일 및/또는 알코올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악취를 제거할 경우, 각종 분비물 또는 분뇨를 처리할 때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분뇨의 암모니아 등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분뇨를 분말화시킴으로써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2459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7798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457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777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665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660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3439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0228호
본 발명의 제1과제는 반려견, 반려묘, 갓난아이들의 용변 및 음식물쓰레기는 종량제 봉투가 채워지고 난 후에 버리게 되는 관계로 집안에 어느 정도 머물러있어야 하므로 집안의 악취를 피할 수 없는 것에 대하여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탈취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탈취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과제는 분뇨를 처리할 때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분뇨의 암모니아 등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해당 분뇨를 퇴비 또는 비료로 생산하는 설비 또는 시설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탈취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탈취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a) 1종 이상의 검(gum); 및 (b) 베이킹 소다를 포함하는 탈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의 함량은 60~99.9중량%이고, 상기 베이킹 소다의 함량은 0.01~4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로마 오일, 알코올 또는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의 혼합 용액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아로마 오일, 알코올 또는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의 혼합 용액의 함량은 상기 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 초과 내지 4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은 잔탄검, 구아검, 아라비아검, 키라기난검, 타라검, 젤란검, 타마린드검, 셀룰로오스검, 캐롭검, 카로브검, 카라야검, 트래거커스검 및 가티검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탈취제 조성물을 탈취 제거 대상 물질의 표면에 뿌리거나, 상기 조성물과 탈취 제거 대상 물질을 밀폐 용기에서 교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취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효과는 반려견, 반려묘, 갓난아이들의 용변 및 음식물쓰레기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과제는 분뇨를 처리할 때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분뇨의 암모니아 등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해당 분뇨를 퇴비 또는 비료로 생산하는 설비 또는 시설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탈취제 조성물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악취 대상물의 수분제거 고형화 과정(a), 악취 대상물 표면에 흡착 도포 과정(b) 및 베이킹 소다에 의한 부피 팽창 과정(c)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탈취제 조성물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직접 뿌리는 처리(a)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실험(b)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탈취제 조성물의 실시예 1(잔탄검+베이킹 소다)에서 베이킹 소다의 함량에 따른 탈취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탈취제 조성물의 실시예 2(잔탄검+베이킹 소다+아로마 오일)에서 아로마 오일의 함량에 따른 탈취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탈취제 조성물의 실시예 3(잔탄검+베이킹 소다+알코올)에서 알코올의 함량에 따른 탈취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탈취제 조성물의 실시예 4(잔탄검+베이킹 소다+아로마 오일과 알코올 혼합액)에서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 혼합액의 함량에 따른 탈취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탈취제 조성물의 실시예 5(구아검+베이킹 소다)에서 베이킹 소다의 함량에 따른 탈취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탈취제 조성물의 실시예 6(구아검+베이킹 소다+아로마 오일)에서 아로마 오일의 함량에 따른 탈취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탈취제 조성물의 실시예 7(구아검+베이킹 소다+알코올)에서 알코올의 함량에 따른 탈취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탈취제 조성물의 실시예 8(구아검+베이킹 소다+아로마 오일과 알코올 혼합액)에서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 혼합액의 함량에 따른 탈취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 및 이하에 기술하는 실험 방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반려견, 반려묘, 갓난아이들의 용변 및 음식물쓰레기는 종량제 봉투가 채워지고 난 후에 버리게 되는 관계로 집안에 어느 정도 머물러있어야 한다.
그러한 이유로 애완동물 또는 갓난아이 집안의 악취를 피할 수 없는 것에 대하여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각종 분뇨를 건식 처리함에 있어서, 수분제거 고형화 속도를 증가시키는 데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잔탄검, 구아검과 같은 검류와 베이킹 소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아로마 오일 및/또는 알코올을 사용할 경우, 대변 및 분뇨를 처리할 때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분뇨의 암모니아 등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집안에 냄새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해당 분뇨를 퇴비 또는 비료로 생산하는 설비 또는 시설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관점에서 (a) 1종 이상의 검(gum); 및 (b) 베이킹 소다를 포함하는 탈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탈취제 조성물에 아로마 오일, 알코올 또는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의 혼합 용액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서 상기 탈취제 조성물을 탈취 제거 대상 물질의 표면에 뿌리거나, 상기 조성물과 탈취 제거 대상 물질을 밀폐 용기에서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탈취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탈취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가축뿐만 아니라 애완동물 및 사람의 분뇨, 음식물쓰레기 등 모든 분뇨에서 수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악취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분뇨가 배설물이 아닌 비료로 만드는 데에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잔탄검(모든 검류 포함)과 베이킹 소다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면, 모든 악취 대상물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100% 완벽하게 제거하는 분말형 악취 제거제를 만들 수 있다. 모든 악취 대상물(변, 배설물,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면,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다. 내부에 수분이 존재하면 악취는 수분을 근원 에너지로 삼아 부패과정을 진행시키며, 부패 과정에서 시간이 갈수록 악취가 심해지는데, 본 발명의 핵심은 이러한 부패 과정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데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악취 대상물의 수분을 건조시켜 제거함과 동시에 고형화시켜 악취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제거하는 데 있다. 동시에, 악취 대상물 표면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흡착, 도포하여 악취 발생을 원천적으로 즉시 차단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악취 대상물에 흡착, 도포되어 악취 대상물 표면과 내부를 건조시킴과 동시에 표면을 딱딱하게 고형화 시켜서 악취를 100% 제거한다.
검류의 주요기능은 악취제거 대상물(변, 음식물 쓰레기, 기타) 표면을 고르게 흡착, 도포하여 딱딱하게 고형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악취 대상물 내부의 수분을 건조시켜 악취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도 1의 (a) 및 (b)).
베이킹 소다의 주요 기능은 악취 대상물을 빵처럼 부풀게 하여 부피를 팽창시켜 준다(도 1의 (c)). 이로부터, 악취 대상물(변) 내부 특정 부위에 수분 뭉침 현상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수분제거와 고형화 과정 촉진을 도와 준다.
상기 탈취제 조성물의 구성 요소로서 검(gum) 종류와 베이킹 소다 그리고 아로마 오일 및/또는 알코올을 들 수 있다.
1. 검(gum)
검류는 수분제거 고형화 과정에서 고형화를 담당하는 데에 가장 주요한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검류의 주요 기능은 악취제거 대상물(변, 음식물 쓰레기, 기타) 표면을 고르게 흡착, 도포하여 딱딱하게 고형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악취대상물 내부의 수분을 건조시켜 악취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본원발명에서의 실시예에서는 잔탄검과 구아검을 사용하였으나 검 종류에 속하면 무방하게 사용하여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베이킹 소다
베이킹 소다의 주요 기능은 악취 대상물을 부풀게 하여 부피를 팽창시켜 악취 대상물(변) 내부 특정 부위에 포함된 수분을 팽창시킴과 동시에 수분제거와 고형화 과정 촉진을 도와주는 것이다.
부피가 팽창에 따라 수분 제거 기능이 향상되며, 고형화 기능 또한 향상된다. 또한, 베이킹 소다를 함께 사용하면 잔탐검(검류)만을 사용한 것보다 상당한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잔탄검(검류)의 가격이 2.5배 상승한 상황(대략 1톤 수입가격은 1,000만원 정도임)에서 이러한 가격 상승으로 대량 생산 및 산업용 대량 처리에 있어서 생산가격이 시장가격과 맞지 않으므로, 베이킹 소다의 사용으로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경제적 효과를 줄 수 있다.
3. 아로마 오일 및/또는 알코올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은 수분제거 고형화 과정에서 처리 속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정량의 아로마 오일을 혼합하면, 악취를 100% 제거하고, 악취가 아로마 향으로 전환되는 분말형 탈취 제거 파우더를 만들 수 있다. 악취 대상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마스킹 처리하여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아로마 향으로 전환시켜 준다.
또한, 알코올은 악취 대상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마스킹 처리하여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모든 악취 대상물(변, 음식물 쓰레기 등)의 내부에 함유한 수분을 고형화 과정을 거쳐서 제거시킴으로써, 악취 대상물이 악취를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표면을 고르게 흡착 및 도포하여 딱딱하게 고형화시켜 내부의 악취가 나오는 것을 원천 차단한다. 아울러, 알코올이 악취를 마스킹 처리하여 악취를 즉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탈취제 조성물의 구성 요소로서 검류는 잔탐검과 구아검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잔탄검(Xanthan gum)
식품의 점착성 및 점도를 증가시키고 유화 안정성을 증진하며 식품의 물성 및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식품첨가물이다. 식품에서 안정제, 증점제, 결착제, 유화제, 고결제, 발포제 등으로 사용된다. 천연 증점제인 잔탐검은 양배추의 엽소병 원인균인 잔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Xahnthomonas Campestris) 균을 사용하여 탄수화물을 순수배양 발효하여 얻은 고분자 다당류 검물질을 이소프로필알코올에 정제, 건조, 분쇄한 것으로서 포도당, 마노스 및 글루크론산의 나트륨, 칼륨 및 칼슘염 등으로 구성된 혼합물이다. 연노란색 가루로서 물에 잘 녹으며 수용액은 중성으로 강력한 증점제로서, 물에 녹으며 에탄올에 녹지 않는다.
구아검(Guar gum)
식품의 점착성 및 점도를 증가시키고 유화 안정성을 증진하며 식품의 물성 및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식품첨가물이다. 식품에서 안정제, 보형제, 유화제, 증점제 등으로 사용된다. 백-황색의 분말로서 거의 냄새가 없다. 구아검은 콩과 구아(Cyamopsis tetragonolobus) 종자의 배유를 분쇄하여 얻어지거나 또는 이를 온수나 열수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것으로서 갈락토만난으로 구성된 다당류이다. 냉수나 온수에 쉽게 분산되어 점조한 용액을 형성하며, 1% 수용액의 경우 점도는 3,000 cps이다. pH 6-10에서 점도가 최고로 증가되며, pH 10 이상 또는 pH 3.5 이하에서 점도가 저하된다. 로커스트콩 검의 경우 점도를 높이기 위해 온도를 올려서 볶아야 하지만, 구아검은 냉수에서도 수화된다. 양이온화시켜서 헤어제품에서 컨디셔닝 목적으로 다수 사용하고, 양을 많이 사용시 증점도 가능하다. 또는 비이온성 타입으로 증점 및 텍스쳐링 목적으로도 적용 가능하나, 비이온성일 때는 분산되는 정도로 용해성이 낮다.
구아검과 잔탄검을 비교하면, 구아검은 밀가루 같은 형태이고, 잔탄검은 설탕보다 약간 작은 형태로서, 구아검이 훨씬 곱고 입자가 적다(구아검은 200 메쉬이고, 잔탄검은 80메쉬). 구아검이 입자가 훨씬 부드럽고 고와서, 변에 도포 및 흡착 성능이 더 우수하다. 또한, 구아검이 잔탄검보다 아로마 오일 또는 알코올을 더 많이 흡수할 수 있다. 그러나 구아검은 분진이 잔탄검보다 더 많이 일어난다는 단점이 있다.
그 외에도 검의 종류에는 아라비아검(arabic gum), 키라기난검(carrageenan gum), 타라검(tara gum), 젤란검(gellan gum), 타마린드검(tamarind gum), 셀룰로오스검(cellulose gum), 캐롭검(구명칭: 캐럽콩검, Ceratonia Siliqua Gum), 카로브검, 카라야검(karaya gum), 트래거커스검(gum tragacanth), 가티검(ghatti gum)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제 조성물은 상세하게는 4가지로 구분된다.
(i) 잔탄검 또는 구아검(아라비아검/모든 검 종류) 및 베이킹 소다 분말을 혼합하여 악취를 100% 제거하는 경우
(i) 잔탄검 또는 구아검(아라비아검/모든 검 종류) 및 베이킹 소다 분말에 일정 비율의 아로마 오일만을 혼합하여 악취를 100% 제거하는 경우
(ii) 잔탄검 또는 구아검(아라비아검/모든 검 종류) 및 베이킹 소다 분말에 일정 비율의 알코올만을 혼합하여 악취를 100% 제거하는 경우
(iii) 잔탄검 또는 구아검(아라비아검/모든 검 종류) 및 베이킹 소다 분말에 일정 비율의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의 혼합 용액을 혼합하여 악취를 100% 제거하는 경우
상기 4가지 경우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해당 분말에 혼합하는 4가지 성분의 혼합 양이 중요하다. 혼합 양이 많을 경우 질퍽거리고 분말화되지 않고 액체화되어 악취제거 기능이 현저히 떨어지고, 반대로, 혼합 양이 너무 적을 경우 분말이 고형화되어 변 표면의 도포 및 흡착 기능이 떨어져서 악취 제거 기능이 현저히 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의 함량은 60~99.9중량%이고, 상기 베이킹 소다의 함량은 0.01~40중량%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의 함량은 60~80중량%이고, 상기 베이킹 소다의 함량은 20~4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의 함량은 70~80중량%이고, 상기 베이킹 소다의 함량은 30~40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검과 베이킹 소다를 포함하는 조성물에서 베이킹 소다가 40중량% 이하로 혼합될 때 악취제거 기능이 현저히 활성화되어 악취가 제거된다. 여기서 최적의 혼합 비율은 베이킹 소다가 20~30중량%로 혼합된 경우이고, 이때 악취가 100% 제거된다. 베이킹 소다가 30~40중량%로 혼합된 경우에는 악취가 80~90% 정도 제거된다. 또한, 베이킹 소다 혼합량이 4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악취제거 기능이 떨어지며, 새로운 분말 냄새가 증가하여 발생한다.
또한, 상기 아로마 오일, 알코올 또는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의 혼합 용액의 함량은 상기 검과 베이킹 소다의 혼합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 초과 내지 4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이때, 최적의 혼합 비율은 상기 검과 베이킹 소다의 혼합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5~35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25중량부일 수 있다. 즉, 상기 범위일 경우에 변 표면에 가장 잘 도포되고 잘 흡착된다. 또한, 분말이 전혀 고형화되지 않으며, 아로마 오일 및/또는 알코올이 수분기를 적절하게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탈취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탈취제 조성물을 탈취 제거 대상 물질(악취가 나는 배설물)의 표면에 뿌리거나, 상기 조성물과 탈취 제거 대상 물질을 밀폐 용기에서 교반 처리함으로써 악취를 제거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악취/냄새 실험은 4단계로 구분하였다.
o 1단계: 악취/냄새가 전혀 나지 않는다.
o 2단계: 악취/냄새가 연하게 난다.
o 3단계: 악취/냄새가 난다(코를 막거나 머리를 피한다).
o 4단계: 악취/냄새가 심하게 난다(구토유발).
실험은 2가지로 구분하였다.
o 분무 처리(개방)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악취 대상물 위에 분무(뿌리는) 처리 실험이다.
o 밀폐용기 교반 처리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폐용기에 변/악취 대상물을 넣고 교반 처리한 실험이다.
실시예 1: 잔탐검과 베이킹 소다를 함유한 탈취제 조성물
표 1에 기재된 함량의 잔탄검과 베이킹 소다를 각각 혼합하여 탈취제 조성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변에 직접 뿌리거나 밀폐된 플라스틱 용기에 변과 함께 담아 교반 처리(3~4회 회전)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레벨 실시예 잔탄검(g) 베이킹 소다(g) 직접 뿌리는 처리 밀폐 용기 교반 처리
레벨1 1-1 90 10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1단계)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레벨2 1-2 70 30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1단계)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레벨3 1-3 30 70 악취 냄새가 난다(3단계)
분말 냄새가 난다
악취 냄새가 난다(3단계)
분말 냄새가 난다
레벨4 1-4 10 90 악취 냄새가 난다(3단계)
분말 냄새가 난다
악취 냄새가 난다(3단계)
분말 냄새가 난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잔탄검 일정량에 베이킹 소다 일정량을 혼합하여 분말형 탈취 제거제를 제조하여 실험한 경우,
레벨 1에서 잔탄검 90g (90중량%) + 베이킹 소다 10g (10중량%)를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개방)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가 전혀 나지 않았다.
레벨 2에서 잔탄검 70g (70중량%) + 베이킹 소다 30g (30중량%)를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가 전혀 나지 않았다.
레벨 3에서 잔탄검 30g (30중량%) + 베이킹 소다 70g (70중량%)를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 냄새가 나거나 분말 냄새가 났다.
레벨 4에서 잔탄검 10g (10%) + 베이킹 소다 90g (90%)를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 실험(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 냄새가 나거나 분말 냄새가 났다.
또한, 잔탄검 75g (75중량%) + 베이킹 소다 25g (25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된 탈취제 조성물 분말로 실시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 위에 뿌리는 처리 실험(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에서 혼합 분말이 변/악취 대상물 표면에 잘 흡착 및 도포되어 즉시 악취가 제거되었다.
그리고 잔탄검 40g (40중량%) + 베이킹 소다 60g (6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된 탈취제 조성물 분말로 실시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 위에 뿌리는 처리 실험(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에서 혼합 분말이 변/악취 대상물 표면에 잘 흡착 및 도포되지 않아서 악취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베이킹 소다 40중량%부터는 빵처럼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 더욱 심해지며, 고형화가 더디게 이루어지며, 내부 악취가 표면으로 나오는 것을 차단하지 못하였다.
실시예 2: 잔탐검, 베이킹 소다 및 아로마 오일을 함유한 탈취제 조성물
잔탄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분말 100g에 표 2에 기재된 함량의 아로마 오일을 혼합하여 탈취제 조성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변에 직접 뿌리거나 밀폐된 플라스틱 용기에 변과 함께 담아 교반 처리(3~4회 회전)하고 그 결과를 표 2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레벨 실시예 아로마 오일
첨가량 (g)
직접 뿌리는 처리 밀폐 용기 교반 처리
레벨1 2-1 10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아로마 냄새가 연하게 난다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아로마 냄새가 연하게 난다
레벨2 2-2 30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아로마 냄새가 난다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아로마 냄새가 난다
레벨3 2-3 70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난다
아로마 냄새가 난다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난다
아로마 냄새가 난다
레벨4 2-4 90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난다
아로마 냄새가 강하게 난다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난다
아로마 냄새가 강하게 난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잔탄검과 베이킹 소다를 혼합한 100g에 일정량의 아로마 오일을 혼합하여 분말형 탈취 제거제를 제조하여 실험한 경우,
레벨 1에서 잔탄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분말 100g에 아로마 오일 10g을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개방)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가 전혀 나지 않았고, 아로마 냄새가 연하게 났다.
레벨 2에서 잔탄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분말 100g에 아로마 오일 30g을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가 전혀 나지 않았고, 아로마 냄새가 났다.
레벨 3에서 잔탄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분말 100g에 아로마 오일 70g을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나거나 아로마 냄새가 났다.
레벨 4에서 잔탄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분말 100g에 아로마 오일 90g을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 실험(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나거나 아로마 냄새가 강하게 났다.
또한, 잔탄검 75g (75중량%) + 베이킹 소다 25g (25중량%) + 아로마 오일 40g 이하를 혼합하여 제조된 탈취제 조성물 분말로 실시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 위에 뿌리는 처리 실험(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에서 혼합 분말이 변/악취 대상물 표면에 잘 흡착 및 도포되어 즉시 악취가 제거되었고, 고형화가 즉시 이루어지며, 외부/내부의 악취를 아로마 오일로 즉시 마스킹 처리되어 제거시켰다.
그리고 잔탄검 75g (75중량%) + 베이킹 소다 25g (25중량%) + 아로마 오일 40g 초과를 혼합하여 제조된 탈취제 조성물 분말로 실시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 위에 뿌리는 처리 실험(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에서 혼합 분말이 변/악취 대상물 표면에 잘 흡착 및 도포되지 않아서 악취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수분기가 많아져서 고형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고, 아로마 오일이 악취를 어느 정도 마스킹 처리해주지만, 여전히 연하게 악취가 존재한다.
실시예 3: 잔탐검, 베이킹 소다 및 알코올을 함유한 탈취제 조성물
잔탄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분말 100g에 표 3에 기재된 함량의 알코올을 혼합하여 탈취제 조성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변에 직접 뿌리거나 밀폐된 플라스틱 용기에 변과 함께 담아 교반 처리(3~4회 회전)하고 그 결과를 표 3 및 도 10에 나타내었다.
레벨 실시예 알코올
첨가량(g)
직접 뿌리는 처리 밀폐 용기 교반 처리
레벨1 3-1 10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레벨2 3-2 30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레벨3 3-3 70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난다
분말 냄새와 알코올 냄새가 난다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난다
분말 냄새와 알코올 냄새가 난다
레벨4 3-4 90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난다
분말 냄새와 알코올 냄새가 연하게 난다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난다
분말 냄새와 알코올 냄새가 연하게 난다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잔탄검과 베이킹 소다를 혼합한 100g에 일정량의 알코올을 혼합하여 분말형 탈취 제거제를 제조하여 실험한 경우,
레벨 1에서 잔탄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분말 100g에 알코올 10g을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개방)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가 전혀 나지 않았다.
레벨 2에서 잔탄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분말 100g에 알코올 30g을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가 전혀 나지 않았다.
레벨 3에서 잔탄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분말 100g에 알코올 70g을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나거나 분말 냄새와 알코올 냄새가 났다.
레벨 4에서 잔탄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분말 100g에 알코올 90g을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 실험(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나거나 분말 냄새와 알코올 냄새가 강하게 났다.
또한, 잔탄검 75g (75중량%) + 베이킹 소다 25g (25중량%) + 알코올 40g 이하를 혼합하여 제조된 탈취제 조성물 분말로 실시한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 위에 뿌리는 처리 실험(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에서 혼합 분말이 변/악취 대상물 표면에 잘 흡착 및 도포되어 즉시 악취가 제거되었고, 고형화가 즉시 이루어지며, 외부/내부의 악취를 알코올로 즉시 마스킹 처리되어 제거시켰다.
그리고 잔탄검 75g (75중량%) + 베이킹 소다 25g (25중량%) + 알코올 40g 초과를 혼합하여 제조된 탈취제 조성물 분말로 실시한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 위에 뿌리는 처리 실험(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에서 혼합 분말이 변/악취 대상물 표면에 잘 흡착 및 도포되지 않아서 악취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수분기가 많아져서 고형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고, 알코올이 악취를 어느 정도 마스킹 처리해주지만, 여전히 연하게 악취가 존재한다.
실시예 4: 잔탐검, 베이킹 소다 및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의 혼합액을 함유한 탈취제 조성물
잔탄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분말 100g에 표 4에 기재된 함량의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의 혼합액을 혼합하여 탈취제 조성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변에 직접 뿌리거나 밀폐된 플라스틱 용기에 변과 함께 담아 교반 처리(3~4회 회전)하고 그 결과를 표 4 및 도 13에 나타내었다.
레벨 실시예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의 혼합액 첨가량 (g) 직접 뿌리는 처리 밀폐 용기 교반 처리
레벨1 4-1 10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아로마 냄새가 연하게 난다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아로마 냄새가 연하게 난다
레벨2 4-2 30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아로마 냄새가 난다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아로마 냄새가 난다
레벨3 4-3 70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난다
아로마 냄새가 난다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난다
아로마 냄새가 난다
레벨4 4-4 90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난다
아로마 냄새가 난다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난다
아로마 냄새가 난다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잔탄검과 베이킹 소다를 혼합한 100g에 일정량의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의 혼합액을 혼합하여 분말형 탈취 제거제를 제조하여 실험한 경우,
레벨 1에서 잔탄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분말 100g에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의 혼합액 10g을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개방)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가 전혀 나지 않았고, 아로마 냄새가 연하게 났다.
레벨 2에서 잔탄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분말 100g에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의 혼합액 30g을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가 전혀 나지 않았고, 아로마 냄새가 났다.
레벨 3에서 잔탄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분말 100g에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의 혼합액 70g을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나거나 아로마 냄새가 났다.
레벨 4에서 잔탄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분말 100g에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의 혼합액 90g을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 실험(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나거나 아로마 냄새가 났다.
또한, 잔탄검 75g (75중량%) + 베이킹 소다 25g (25중량%) +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의 혼합액 40g 이하를 혼합하여 제조된 탈취제 조성물 분말로 실시한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 위에 뿌리는 처리 실험(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에서 혼합 분말이 변/악취 대상물 표면에 잘 흡착 및 도포되어 즉시 악취가 제거되었고, 고형화가 즉시 이루어지며, 외부/내부의 악취를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로 즉시 마스킹 처리되어 제거시켰다.
그리고 잔탄검 75g (75중량%) + 베이킹 소다 25g (25중량%) +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의 혼합액 40g 초과를 혼합하여 제조된 탈취제 조성물 분말로 실시한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 위에 뿌리는 처리 실험(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에서 혼합 분말이 변/악취 대상물 표면에 잘 흡착 및 도포되지 않아서 악취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수분기가 많아져서 고형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고,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이 악취를 어느 정도 마스킹 처리 해주지만, 여전히 연하게 악취가 존재한다.
실시예 5: 구아검과 베이킹 소다를 함유한 탈취제 조성물
표 5에 기재된 함량의 잔탄검과 베이킹 소다를 각각 혼합하여 탈취제 조성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변에 직접 뿌리거나 밀폐된 플라스틱 용기에 변과 함께 담아 교반 처리(3~4회 회전)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레벨 실시예 구아검(g) 베이킹 소다(g) 직접 뿌리는 처리 밀폐 용기 교반 처리
레벨1 5-1 90 10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1단계)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레벨2 5-2 70 30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1단계)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레벨3 5-3 30 70 악취 냄새가 난다(3단계)
분말 냄새가 난다
악취 냄새가 난다(3단계)
분말 냄새가 난다
레벨4 5-4 10 90 악취 냄새가 난다(3단계)
분말 냄새가 난다
악취 냄새가 난다(3단계)
분말 냄새가 난다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아검 일정량에 베이킹 소다 일정량을 혼합하여 분말형 탈취 제거제를 제조하여 실험한 경우,
레벨 1에서 구아검 90g (90중량%) + 베이킹 소다 10g (10중량%)를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개방)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가 전혀 나지 않았다.
레벨 2에서 구아검 70g (70중량%) + 베이킹 소다 30g (30중량%)를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가 전혀 나지 않았다.
레벨 3에서 구아검 30g (30중량%) + 베이킹 소다 70g (70중량%)를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 냄새가 나거나 분말 냄새가 났다.
레벨 4에서 구아검 10g (10%) + 베이킹 소다 90g (90%)를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 실험(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 냄새가 나거나 분말 냄새가 났다.
또한, 구아검 75g (75중량%) + 베이킹 소다 25g (25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된 탈취제 조성물 분말로 실시한 결과를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 위에 뿌리는 처리 실험(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에서 혼합 분말이 변/악취 대상물 표면에 잘 흡착 및 도포되어 즉시 악취가 제거되었다.
그리고 구아검 40g (40중량%) + 베이킹 소다 60g (6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된 탈취제 조성물 분말로 실시한 결과를 도 15에 나타내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 위에 뿌리는 처리 실험(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에서 혼합 분말이 변/악취 대상물 표면에 잘 흡착 및 도포되지 않아서 악취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베이킹 소다 40중량%부터는 빵처럼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 더욱 심해지며, 고형화가 더디게 이루어지며, 내부 악취가 표면으로 나오는 것을 차단하지 못하였다.
실시예 6: 구아검, 베이킹 소다 및 아로마 오일을 함유한 탈취제 조성물
구아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분말 100g에 표 6에 기재된 함량의 아로마 오일을 혼합하여 탈취제 조성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변에 직접 뿌리거나 밀폐된 플라스틱 용기에 변과 함께 담아 교반 처리(3~4회 회전)하고 그 결과를 표 6 및 도 18에 나타내었다.
레벨 실시예 아로마 오일
첨가량 (g)
직접 뿌리는 처리 밀폐 용기 교반 처리
레벨1 6-1 10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아로마 냄새가 연하게 난다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아로마 냄새가 연하게 난다
레벨2 6-2 30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아로마 냄새가 난다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아로마 냄새가 난다
레벨3 6-3 70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난다
아로마 냄새가 난다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난다
아로마 냄새가 난다
레벨4 6-4 90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난다
아로마 냄새가 강하게 난다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난다
아로마 냄새가 강하게 난다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아검과 베이킹 소다를 혼합한 100g에 일정량의 아로마 오일을 혼합하여 분말형 탈취 제거제를 제조하여 실험한 경우,
레벨 1에서 구아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분말 100g에 아로마 오일 10g을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개방)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가 전혀 나지 않았고, 아로마 냄새가 연하게 났다.
레벨 2에서 구아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분말 100g에 아로마 오일 30g을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가 전혀 나지 않았고, 아로마 냄새가 났다.
레벨 3에서 구아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분말 100g에 아로마 오일 70g을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나거나 아로마 냄새가 났다.
레벨 4에서 구아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분말 100g에 아로마 오일 90g을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 실험(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나거나 아로마 냄새가 강하게 났다.
또한, 구아검 75g (75중량%) + 베이킹 소다 25g (25중량%) + 아로마 오일 40g 이하를 혼합하여 제조된 탈취제 조성물 분말로 실시한 결과를 도 16에 나타내었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 위에 뿌리는 처리 실험(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에서 혼합 분말이 변/악취 대상물 표면에 잘 흡착 및 도포되어 즉시 악취가 제거되었고, 고형화가 즉시 이루어지며, 외부/내부의 악취를 아로마 오일로 즉시 마스킹 처리되어 제거시켰다.
그리고 구아검 75g (75중량%) + 베이킹 소다 25g (25중량%) + 아로마 오일 40g 초과를 혼합하여 제조된 탈취제 조성물 분말로 실시한 결과를 도 17에 나타내었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 위에 뿌리는 처리 실험(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에서 혼합 분말이 변/악취 대상물 표면에 잘 흡착 및 도포되지 않아서 악취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수분기가 많아져서 고형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고, 아로마 오일이 악취를 어느 정도 마스킹 처리해주지만, 여전히 연하게 악취가 존재한다.
실시예 7: 구아검, 베이킹 소다 및 알코올을 함유한 탈취제 조성물
구아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분말 100g에 표 3에 기재된 함량의 알코올을 혼합하여 탈취제 조성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변에 직접 뿌리거나 밀폐된 플라스틱 용기에 변과 함께 담아 교반 처리(3~4회 회전)하고 그 결과를 표 7 및 도 21에 나타내었다.
레벨 실시예 알코올
첨가량(g)
직접 뿌리는 처리 밀폐 용기 교반 처리
레벨1 7-1 10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레벨2 7-2 30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레벨3 7-3 70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난다
분말 냄새와 알코올 냄새가 난다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난다
분말 냄새와 알코올 냄새가 난다
레벨4 7-4 90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난다
분말 냄새와 알코올 냄새가 연하게 난다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난다
분말 냄새와 알코올 냄새가 연하게 난다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아검과 베이킹 소다를 혼합한 100g에 일정량의 알코올을 혼합하여 분말형 탈취 제거제를 제조하여 실험한 경우,
레벨 1에서 구아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분말 100g에 알코올 10g을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개방)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가 전혀 나지 않았다.
레벨 2에서 구아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분말 100g에 알코올 30g을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가 전혀 나지 않았다.
레벨 3에서 구아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분말 100g에 알코올 70g을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나거나 분말 냄새와 알코올 냄새가 났다.
레벨 4에서 구아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분말 100g에 알코올 90g을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 실험(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나거나 분말 냄새와 알코올 냄새가 강하게 났다.
또한, 구아검 75g (75중량%) + 베이킹 소다 25g (25중량%) + 알코올 40g 이하를 혼합하여 제조된 탈취제 조성물 분말로 실시한 결과를 도 19에 나타내었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 위에 뿌리는 처리 실험(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에서 혼합 분말이 변/악취 대상물 표면에 잘 흡착 및 도포되어 즉시 악취가 제거되었고, 고형화가 즉시 이루어지며, 외부/내부의 악취를 알코올로 즉시 마스킹 처리되어 제거시켰다.
그리고 구아검 75g (75중량%) + 베이킹 소다 25g (25중량%) + 알코올 40g 초과를 혼합하여 제조된 탈취제 조성물 분말로 실시한 결과를 도 20에 나타내었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 위에 뿌리는 처리 실험(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에서 혼합 분말이 변/악취 대상물 표면에 잘 흡착 및 도포되지 않아서 악취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수분기가 많아져서 고형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고, 알코올이 악취를 어느 정도 마스킹 처리해주지만, 여전히 연하게 악취가 존재한다.
실시예 8: 구아검, 베이킹 소다 및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의 혼합액을 함유한 탈취제 조성물
구아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분말 100g에 표 8에 기재된 함량의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의 혼합액을 혼합하여 탈취제 조성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변에 직접 뿌리거나 밀폐된 플라스틱 용기에 변과 함께 담아 교반 처리(3~4회 회전)하고 그 결과를 표 8 및 도 24에 나타내었다.
레벨 실시예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의 혼합액 첨가량 (g) 직접 뿌리는 처리 밀폐 용기 교반 처리
레벨1 8-1 10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아로마 냄새가 연하게 난다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아로마 냄새가 연하게 난다
레벨2 8-2 30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아로마 냄새가 난다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아로마 냄새가 난다
레벨3 8-3 70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난다
아로마 냄새가 난다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난다
아로마 냄새가 난다
레벨4 8-4 90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난다
아로마 냄새가 난다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난다
아로마 냄새가 난다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아검과 베이킹 소다를 혼합한 100g에 일정량의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의 혼합액을 혼합하여 분말형 탈취 제거제를 제조하여 실험한 경우,
레벨 1에서 구아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분말 100g에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의 혼합액 10g을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개방)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가 전혀 나지 않았고, 아로마 냄새가 연하게 났다.
레벨 2에서 구아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분말 100g에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의 혼합액 30g을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가 전혀 나지 않았고, 아로마 냄새가 났다.
레벨 3에서 구아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분말 100g에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의 혼합액 70g을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나거나 아로마 냄새가 났다.
레벨 4에서 구아검과 베이킹 소다 혼합분말 100g에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의 혼합액 90g을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변 위에 뿌리는 처리 실험(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 악취 냄새가 연하게 나거나 아로마 냄새가 났다.
또한, 구아검 75g (75중량%) + 베이킹 소다 25g (25중량%) +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의 혼합액 40g 이하를 혼합하여 제조된 탈취제 조성물 분말로 실시한 결과를 도 22에 나타내었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 위에 뿌리는 처리 실험(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에서 혼합 분말이 변/악취 대상물 표면에 잘 흡착 및 도포되어 즉시 악취가 제거되었고, 고형화가 즉시 이루어지며, 외부/내부의 악취를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로 즉시 마스킹 처리되어 제거시켰다.
그리고 구아검 75g (75중량%) + 베이킹 소다 25g (25중량%) +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의 혼합액 40g 초과를 혼합하여 제조된 탈취제 조성물 분말로 실시한 결과를 도 23에 나타내었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 위에 뿌리는 처리 실험(개방) 결과 및 밀폐 용기 교반 처리 결과 모두에서 혼합 분말이 변/악취 대상물 표면에 잘 흡착 및 도포되지 않아서 악취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수분기가 많아져서 고형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고,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이 악취를 어느 정도 마스킹 처리 해주지만, 여전히 연하게 악취가 존재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잔탄검 또는 구아검 70~90중량% 및 베이킹 소다 10~3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 100중량부와 상기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로마 오일과 알코올 혼합 용액 10~3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탈취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의 탈취제 조성물을 탈취 제거 대상 물질의 표면에 뿌리거나, 상기 조성물과 탈취 제거 대상 물질을 밀폐 용기에서 교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취방법.
KR1020230048966A 2023-04-13 2023-04-13 탈취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탈취방법 KR102629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8966A KR102629777B1 (ko) 2023-04-13 2023-04-13 탈취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탈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8966A KR102629777B1 (ko) 2023-04-13 2023-04-13 탈취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탈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9777B1 true KR102629777B1 (ko) 2024-01-29

Family

ID=89716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8966A KR102629777B1 (ko) 2023-04-13 2023-04-13 탈취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탈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777B1 (ko)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4578B1 (ko) 1995-05-23 1999-12-15 로버트 에이.스코트 카드 변부 커넥터와 함께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및그제조법
KR100520242B1 (ko) * 2002-10-28 2005-10-11 주식회사 서흥캅셀 발 세정용 발포성 과립 또는 정제의 제조방법
KR20100134393A (ko) 2009-06-15 2010-12-23 정홍주 분뇨악취제거장치
KR20110087656A (ko) * 2010-01-27 2011-08-03 황성규 남자 소변기용 요석제거제
KR101156650B1 (ko) 2012-01-13 2012-06-14 김현상 수용성 부식산에 의한 축산분뇨의 악취제거에 따른 액비 제조방법
KR101537774B1 (ko) 2014-11-21 2015-07-22 주식회사 소프트아쿠아 악취제거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24595A (ko) 2015-04-20 2016-10-28 박화열 축산분뇨의 악취제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20228B1 (ko) 2016-02-23 2018-02-28 박평기 악취가 제거된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비료 생산장치
KR20180077984A (ko) 2016-12-29 2018-07-09 조명현 가축분뇨의 악취제거 및 액비화 방법
KR20200009180A (ko) * 2018-07-18 2020-01-30 임재화 반려동물 화장실용 모래형 탈취제 제조방법
KR102086608B1 (ko) 2019-09-09 2020-03-09 오태길 축산 분뇨 악취제거용 탈취제
KR20200122039A (ko) * 2019-04-17 2020-10-27 홍경환 겔 타입 용변 잔여물 세척용 조성물
KR102225823B1 (ko) * 2020-06-10 2021-03-09 박상호 애완동물용 모래 냄새 제거제를 이용한 애완동물 화장실용 모래 및 그 제조방법
KR102430138B1 (ko) * 2020-09-17 2022-08-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4578B1 (ko) 1995-05-23 1999-12-15 로버트 에이.스코트 카드 변부 커넥터와 함께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및그제조법
KR100520242B1 (ko) * 2002-10-28 2005-10-11 주식회사 서흥캅셀 발 세정용 발포성 과립 또는 정제의 제조방법
KR20100134393A (ko) 2009-06-15 2010-12-23 정홍주 분뇨악취제거장치
KR20110087656A (ko) * 2010-01-27 2011-08-03 황성규 남자 소변기용 요석제거제
KR101156650B1 (ko) 2012-01-13 2012-06-14 김현상 수용성 부식산에 의한 축산분뇨의 악취제거에 따른 액비 제조방법
KR101537774B1 (ko) 2014-11-21 2015-07-22 주식회사 소프트아쿠아 악취제거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24595A (ko) 2015-04-20 2016-10-28 박화열 축산분뇨의 악취제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20228B1 (ko) 2016-02-23 2018-02-28 박평기 악취가 제거된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비료 생산장치
KR20180077984A (ko) 2016-12-29 2018-07-09 조명현 가축분뇨의 악취제거 및 액비화 방법
KR20200009180A (ko) * 2018-07-18 2020-01-30 임재화 반려동물 화장실용 모래형 탈취제 제조방법
KR20200122039A (ko) * 2019-04-17 2020-10-27 홍경환 겔 타입 용변 잔여물 세척용 조성물
KR102086608B1 (ko) 2019-09-09 2020-03-09 오태길 축산 분뇨 악취제거용 탈취제
KR102225823B1 (ko) * 2020-06-10 2021-03-09 박상호 애완동물용 모래 냄새 제거제를 이용한 애완동물 화장실용 모래 및 그 제조방법
KR102430138B1 (ko) * 2020-09-17 2022-08-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507358A (ja) 臭気抑制用ペットリター
DE3918306A1 (de) Desodorans
CN110180378B (zh) 一种高效除臭组合物及其生产方法
CN107029535B (zh) 一种用于养殖粪便处理的除臭组合物及其应用
KR102242680B1 (ko) 동물용 모래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
CN112205305A (zh) 一种植物猫砂及其制备工艺
KR20030023231A (ko) 축산분뇨의 발효촉진 및 악취제거용 복합조성물
KR102629777B1 (ko) 탈취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탈취방법
JP2006296739A (ja) 悪臭発生防止剤及び悪臭発生防止方法
HUT74112A (en) Compositions for deodorising animal excreta, and deodorising method therefor
CN114868659B (zh) 一种超亲水植物纤维猫砂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KR102071928B1 (ko) 방취제 조성물
EP2200661A1 (en) Odor-controlling composition
JPH1179874A (ja) 家畜糞尿の無臭発酵処理法
JP2004091225A (ja) 家畜糞尿の堆肥製造過程における無臭化処理方法
JPS62235282A (ja) けいふんその他の有機質肥料の製造方法
WO2021006264A1 (ja) 糞便の消臭剤、及び糞便の消臭方法
JPS59137385A (ja) 肥料
HU193508B (en) Process for working up waste materials
KR102263854B1 (ko) 악취 제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1258480A (ja) 動物糞尿臭消臭用飼料
JP2002087897A (ja) 有機肥料の製造方法
KR102324295B1 (ko) 친환경적인 축사용 바닥처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8168344A (ja) 家畜およびペット糞尿の無臭化用の飼料添加剤
CN107694327B (zh) 一种生物除臭剂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