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228B1 - 악취가 제거된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비료 생산장치 - Google Patents

악취가 제거된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비료 생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228B1
KR101820228B1 KR1020160021499A KR20160021499A KR101820228B1 KR 101820228 B1 KR101820228 B1 KR 101820228B1 KR 1020160021499 A KR1020160021499 A KR 1020160021499A KR 20160021499 A KR20160021499 A KR 20160021499A KR 101820228 B1 KR101820228 B1 KR 101820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manure
unit
guide lin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9303A (ko
Inventor
박평기
이태중
이수연
박순이
Original Assignee
박평기
이태중
이수연
박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평기, 이태중, 이수연, 박순이 filed Critical 박평기
Priority to KR1020160021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228B1/ko
Publication of KR20170099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17Combinations of electrostatic separation with other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20Magnetic separation whereby the particles to be separated are in solid 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가 제거된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비료 생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에 포함된 분뇨의 악취가스와 세균 및 미세먼지를 제 1, 2, 3, 4악취제거부를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뇨와 슬러지를 유기질비료로 전환 즉, 퇴비자원화하여 축산농가의 소득증대와 퇴비의 유기질화로 토양(토질)의 개선 및 대기환경, 해양환경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악취가스와 전염성 세균이 제거된 공기가 외부로 배기됨에 따라 환경오염이 보다 현저히 줄어들수 있고, 가축이 전염성 질병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이 가능토록 시설보완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악취가 제거된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비료 생산장치{Organic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using the manure odor removal}
본 발명은 공기에 포함된 분뇨의 악취가스와 세균 및 미세먼지를 제 1, 2, 3, 4악취제거부를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뇨와 슬러지를 유기질비료로 전환 즉, 퇴비자원화하여 축산농가의 소득증대와 퇴비의 유기질화로 토양(토질)의 개선 및 대기환경, 해양환경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악취가스와 전염성 세균이 제거된 공기가 외부로 배기됨에 따라 환경오염이 보다 현저히 줄어들수 있고, 가축이 전염성 질병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이 가능토록 시설보완이 이루어질 수 있는 악취가 제거된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비료 생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돼지 등의 축사에서 배출되는 축산 분뇨는 연간 약 700여 만톤 으로 그중 일부분은 자연부산물 퇴비로 사용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축산 분뇨는 퇴비화 및 일반 자원화 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우유 제품과 음료수 제품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은 가성소다 등 응고제에 의한 침전물(슬러지)로 환원되어 있으며, 제지와 화학염료 등 염색제제에서 발생하는 유해 물질 등 년 간 1000여만 톤의 분뇨와 슬러지가 해양 및 지상에 투기됨으로서, 해양 및 토질의 오염과 환경 위생의 주범이 되어왔으며, 수년전부터 정부에서는 엄청난 예산을 투입하여 축산분뇨를 액비화 하고자 전국에 수십만 기의 축산 분뇨저장 탱크를 설치하였으나, 상기 축산분뇨 저장 탱크는 대부분이 저장된 축산 분뇨에 발효제를 넣어 분뇨를 발효시키거나 미생물을 투입하여 분뇨 악취를 제거하여 이후 액비나 퇴비를 만들어 자원화를 시도하는 것이였다.
그러나, 상기 축산분뇨 저장탱크는 축산분뇨에 함유된 질소(N 또는 NOX 등) 암모니아 가스, 메탄가스등 의 악취 가스와 온갖 세균이 오히려 증가하여 주위 환경을 오염시키고 주민들에게 불쾌감을 주어 환경보건 위생 오염의 주범으로 전락 하였고, 일부 농가에서는 오니(적니) 또는 이 엠 등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 제거 방식에 의한 퇴비를 목적으로 자원화를 시도 하고 있으나, 근본적으로 세균의 살균이 않된 상태로 토양에 투기되어 또 다른 환경오염이 발생함으로서, 사실상 거의 대부분의 축산분뇨 저장 탱크는 사용하지도 않고 논, 밭, 과수원 등에 방치되어 산화 등 부식으로 인한 흉물로 남아있는 실정으로서, 이는 수천억 원의 정부 예산 만 낭비한 문제점을 안겨주고 있다.
한편으로, 분뇨악취 제거장치에 관한 특허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23649호 등으로 상존하지만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23649호에는 악취의 근원이 되는 세균살균에 대한 대안이 없고, 분뇨저장탱크에 저장된 전체 분뇨를 분뇨순환부(블로워)를 통과시키면서 악취가스를 발생시켜 가스를 제거(세균에 대한 대안은 없음)시키고자 하여 고비용이 소요되고 악취 제거에 장기간이 소요됨으로서, 오하려 세균의 증식을 시키는 부작용이 생기는 등 악취제거유독성 악취 가스의 강제 배기로 인한 인체 유해 그리고, 가스의 유독성으로 인한 제품의 산화(부식)에 대한 대안이 없는 상태여서 축산농가에 설치하여야 할 기계장치로서는 고가인 이 기계장치는 그 사용을 1년도 할 수 없는 문제가 대두되어 시장 진입이 현저히 어려운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자는 분뇨와 슬러지에 포함된 악취가스와 세균을 고비용이 수반되는 미생물, 화공약품, 목초 액 또는 다량의 물이 아닌 순수한 전기적 방법을 이용하여 악취가스와 세균, 그리고 미세먼지 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환경오염을 현저히 줄이고, 고형 또는 액화된 분뇨 악취 제거장치 와 악취가스 및 세균의 흡착을 하기 위한 필터의 다중 필터화 및 세균제거장치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이 모든 기계장치와 필터를 모듈(module)화 하고 아울러, 악취가스와 세균이 제거된 액분을 유기질 퇴비화 하고자 하는 악취가 제거된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비료 생산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23649호
본 발명은 공기에 포함된 분뇨의 악취가스와 세균 및 미세먼지를 제 1, 2, 3, 4악취제거부를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뇨와 슬러지를 유기질비료로 전환 즉, 퇴비자원화하여 축산농가의 소득증대와 퇴비의 유기질화로 토양(토질)의 개선 및 대기환경, 해양환경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악취가스와 전염성 세균이 제거된 공기가 외부로 배기됨에 따라 환경오염이 보다 현저히 줄어들수 있고, 가축이 전염성 질병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이 가능토록 시설보완이 이루어질 수 있는 악취가 제거된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비료 생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공기유입구 및 악취가스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분뇨가 저장되는 분뇨저장탱크와; 상기 분뇨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분뇨를 폭기시키는 분뇨폭기부와; 상기 분뇨저장탱크의 악취가스배출구를 통해 내부로 공급되는 악취가스를 오존을 통해 1차제거하고, 내부 하측에 공급되는 물에 질소 및 질소산화물이 침전되는 오존발생기로 이루어지는 제 1차악취제거부와; 상기 분뇨저장탱크와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로부터 각각 악취가 제거된 분뇨와 질소 및 질소산화물이 침전된 물이 내부로 공급 및 혼합되어 생산된 유기질 비료가 내부에 저장되는 유기질비료 저장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 제거된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비료 생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 및 일부악취가스에 포함된 악취성분을 흡착하는 반응필터와, 상기 반응필터를 통과한 공기 및 일부악취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데미스터필터와, 상기 데미스터필터를 통과한 공기 및 일부악취가스를 여과시키는 헤파필터와, 상기 헤파필터를 통과한 공기 및 일부악취가스에 포함된 세균을 제거하는 항균필터가 구비되는 제 2차악취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차악취제거부로부터 공급되는 악취가 제거된 공기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는 자외선살균부로 이루어지는 제 3차악취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3차악취제거부를 통과한 악취가 제거되고 살균처리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집진하는 전기집진부로 이루어지는 제 4차악취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뇨저장탱크와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분뇨저장탱크의 내부에서 발생된 악취가스를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로 안내하는 제 1안내라인과,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와 상기 제 2차악취제거부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 및 일부악취가스를 상기 제 2차악취제거부로 안내하는 제 2안내라인과, 상기 제 2차악취제거부와 상기 제 3차악취제거부 사이에 구비되어 악취가 제거된 공기를 상기 제 3차악취제거부로 안내하는 제 3안내라인과, 상기 제 3차악취제거부와 상기 제 4차악취제거부 사이에 구비되어 악취가 제거되고 살균처리된 공기를 상기 제 4차악취제거부로 안내하는 제 4안내라인으로 구성되는 안내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라인의 제 1안내라인, 제 2안내라인 및 제 4안내라인에 각각 가스검지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라인의 제 4안내라인에 구비된 가스검지기의 가스검출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 4안내라인을 통과하는 공기를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로 순환공급하는 순환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안내라인의 제 2안내라인에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 및 일부악취가스가 집합되는 악취가스집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의 내부 하측에 공급되는 질소 및 질소산화물이 침전된 물을 일정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히터부와;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한 온도값을 근거로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분뇨저장탱크의 상층부에 있는 공기에 포함된 대장균성 악취가스와 각종 가축과 인체에 전염될 우려가 있는 전염성 세균(AI, 구제역, 광우병, 돈 콜레라, 부루셀라 병과, 대장염, 여시니아 균 등) 등의 세균 및 미세먼지를 제 1, 2, 3, 4악취제거부를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뇨와 슬러지를 유기질비료로 전환 즉, 퇴비자원화하여 축산농가의 소득증대와 퇴비의 유기질화로 토양(토질)의 개선 및 대기환경, 해양환경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악취가스와 전염성 세균이 제거된 공기가 외부로 배기됨에 따라 환경오염이 보다 현저히 줄어들수 있고, 가축이 전염성 질병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이 가능토록 시설보완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2006년 런던국제협약으로 해양오염방지를 위한 국제조약이 발효됨에 따라 동,서,남해에 투기하고 있는 년간 1,000만톤 이상의 축산농가 분뇨와 유제품등의 생산에 뒤따르는 부산물(슬러지 등)이 해양 투기가 금지되어 각 축산 농가의 축분 저장 탱크가 포화 상태이고, 축분 저장능력을 초과한 축분이 우기, 장마 시 하천에 투기됨으로서, 환경오염이 심화되고, 이로 인한 민원발생 및 환경오염 사범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바, 결국 환경 및 농 축산 분야의 국정 운영에 심한 불신과 국제적으로 축산 청정지역으로서의 위상추락을 초래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하천과 해수면 및 토양 오염이 심화 되고 있어 본 발명인 악취가 제거된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비료 생산장치로 전염성 가축 질병의 효율적인 예방과 환경 보호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에 포함된 분뇨의 악취가스를 상기 제 1, 2, 3, 4악취제거부를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함으로서, 악취가스 및 세균이 제거된 공기가 외부로 배기됨에 따라 환경오염이 보다 현저히 즐어들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축분에서 생성된 유기화합물을 이용하여 유기질비료 생산으로 농가소득증대와 기계생산에 따른 노동성 생산 및 고용 증대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악취가 제거된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비료 생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분뇨저장탱크에서 전기집진부로의 가스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유기질비료 저장탱크로 분뇨와 질소 및 질소산화물이 침전된 물을 안내하는 공급라인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유기질비료 저장탱크로 분뇨와 질소 및 질소산화물이 침전된 물을 안내하는 공급라인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자외선살균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소각부를 확대한 일부확대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악취가 제거된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비료 생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분뇨저장탱크에서 전기집진부로의 가스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악취가 제거된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비료 생산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분뇨저장탱크(10), 분뇨폭기부(20), 제 1차악취부(30) 및 유기질비료 저장탱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은 유기질비료 저장탱크로 분뇨와 질소 및 질소산화물이 침전된 물을 안내하는 공급라인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분뇨저장탱크(10)의 내부에는 축사, 돈사 등에서 발생된 가축분뇨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분뇨(2)가 저장된다.
상기 분뇨저장탱크(10)의 상부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뇨(2)가 투입되는 투입구(1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101)를 통해 상기 분뇨저장탱크(10)의 내부로는 상기 분뇨(2)와 일정비율로 배합될 인, 황, 염기성 유기물질 및 각종 영양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배합물이 투입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분뇨저장탱크(10)의 상부에는 상기 투입구(101)를 개폐하는 개폐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101) 및 상기 개폐판이 반드시 상기 분뇨저장탱크(10)의 상부에 형성 및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분뇨저장탱크(10)의 측면 또는 하부에 형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위치에 형성 및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뇨저장탱크(10)의 상부 일측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02)가 형성되고, 상기 분뇨저장탱크(10)의 상부 타측에는 공기를 포함한 분뇨의 악취가스가 배출되는 악취가스배출구(103)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분뇨폭기부(20)는 상기 분뇨저장탱크(10)의 내부에 저장된 분뇨(2)로부터 악취가스 및 세균 등을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분뇨저장탱크(20)의 내부에 저장된 분뇨(2)를 폭기시키게 된다.
상기 분뇨저장탱크(20)의 내부에 저장된 분뇨(2)를 폭기시키기 위한 매개체로서 물, 산소, 공기 등 다양한 매개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분뇨(2)를 폭기시키기 위한 매개체로서 물을 사용할 경우, 상기 분뇨폭기부(20)로서 일반 상하수도를 이용하거나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뇨폭기부(20)가 물저장탱크(210), 공급라인(220) 및 펌프(2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저장탱크(210)의 내부에는 물이 일정높이로 저장될 수 있다.
파이프, 호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공급라인(220)의 일측은 상기 분뇨저장탱크(20)의 일측 중간부를 수평관통하여 상기 분뇨저장탱크(20)의 일측 내부로 일정길이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분뇨저장탱크(20)의 내부에 저장된 분뇨(2) 방향으로 수직절곡되어 상기 분뇨(2)에 침지된 상태로 상기 분뇨저장탱크(20)의 일측 중간부에 수밀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급라인(220)의 타측은 상기 물저장탱크(2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물저장탱크(210)의 일측 하부에 수밀하게 연결될 수 있다.
모터 펌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펌프(230)는 상기 공급라인(220)에 구비되어 상기 물저장탱크(21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강제펌핑하여 상기 공급라인(220)을 통해 상기 분뇨저장탱크(20)의 내부에 저장된 분뇨(2)로 공급하여 상기 분뇨(2)를 폭기시킬 수 있다.
다른예로, 상기 분뇨(2)를 폭기시키기 위한 매개체로서 산소를 사용할 경우, 상기 분뇨폭기부(20)는 상기 공급라인(220) 및 산소발생장치(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급라인(220)의 타측은 상기 산소발생장치(미도시)의 일측에 기밀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산소발생장치(미도시)가 발생시킨 산소는 상기 공급라인(220)을 통해 상기 분뇨저장탱크(20)의 내부에 저장된 분뇨(2)로 공급되어 상기 분뇨(2)를 폭기시킬 수 있다.
또 다른예로서, 상기 분뇨(2)를 폭기시키기 위한 매개체로서 공기를 사용할 경우, 상기 분뇨폭기부(20)는 상기 공급라인(220) 및 에어컴프레셔(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급라인(220)의 타측은 상기 에어컴프레셔(미도시)의 일측에 기밀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에어컴프레셔(미도시)가 발생시킨 공기는 상기 공급라인(220)을 통해 상기 분뇨저장탱크(20)의 내부에 저장된 분뇨(2)로 공급되어 상기 분뇨(2)를 폭기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분뇨저장탱크(20)의 내부에 저장된 분뇨(2)와 배합물이 원활하게 배합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보다 많은 양의 악취가스가 상기 분뇨(2)의 상부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분뇨저장탱크(10)의 악취가스배출구(10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분뇨저장탱크(20)의 내부에 교반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교반부(200)는 구동모터 등의 구동부재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회전축(201)과, 상기 회전축(201)의 하부 외면에 등간격으로 수평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201)을 따라 정역회전하여 상기 분뇨(2)와 배합물을 교반하는 교반날개(202)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30)는 상기 분뇨저장탱크(10)의 악취가스배출구(103)를 통해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30)의 내부로 공급되는 악취가스를 오존을 통해 1차제거하는 오존발생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1차악취제거부(30)를 이루는 오존발생기의 내부 하측에는 질소 및 질소산화물이 침전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1차악취제거부(30)의 내부 하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3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물공급부(310)로서 일반 상하수도를 이용하거나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저장탱크(311), 공급라인(312) 및 펌프(31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저장탱크(311)의 내부에는 물(311a)이 일정높이로 저장될 수 있다.
파이프, 호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공급라인(312)의 일측은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30)를 이루는 오존발생기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하부에 수밀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급라인(312)의 타측은 상기 물저장탱크(31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물저장탱크(311)의 일측 하부에 수밀하게 연결될 수 있다.
모터 펌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펌프(313)는 상기 공급라인(312)에 구비되어 상기 물저장탱크(311)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강제펌핑하여 상기 공급라인(312)을 통해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30)를 이루는 오존발생기의 내부 하측으로 물(311a)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30)를 이루는 오존발생기의 내부 하측으로 공급된 물(311a)에는 질소고정방식에 의해 질소 및 질소산화물이 침전된다.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30)를 이루는 오존발생기의 오존 발생방법은 플라즈마(Plasma), 전기 음이온, 목초액, 180nm ~ 200nm의 자외선 투과, 물의 이온화, 편백나무활용 및 누구나 손쉽게 이용하고 비교적 저비용으로 고효율을 얻을 수 있는 무성방전방식인 코로나 방전방식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30)를 이루는 오존발생기의 오존 발생방법으로서 무성방전방식인 코로나 방전방식을 사용할 경우, 소음 발생 및 간극 불꽃 발생으로 인한 기기 손상 등의 일부 우려부분이 있음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30)를 이루는 오존발생기가 산화발생우려가 없는 스테인리스강, 티타늄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소음방지를 위한 무성방전방식으로 오존을 발생시키는 것이 더욱 좋다.
그리고,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30)를 이루는 오존발생기의 오존 발생방법으로서 무성방전방식인 코로나 방전방식을 사용할 경우, 박테리아, 세균성 악취제거는 가능하나 곰팡이류의 음극에는 적용되지 않으며, 오존 발생시 부수적으로 강한 마늘냄새, 생선부패악취 등의 새로운 악취가 발생하게 되나, 한편으로 세균의 핵을 파괴하는 것이 아닌 세균의 세포막을 포위하여 세균을 멸균시키고 이후 세균의 증식을 억지하는 방식인 것이 더더욱 좋다.
이는, 매년 연례적 행사처럼 되풀이 되고 있는 국내는 물론 국제적으로도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가축 및 인체에 전염되고 있는 전염성 바이러스인 조류독감균 등을 없애기 위하여 세균의 세포핵을 직접 파괴하는 방식인 농약이나 소독약 사용으로 인하여 생기는 세균의 내성으로 점점 독성이 강한 소독약의 사용 등 화학적 방법을 채택하고 있는바 지나치게 독성이 강한 농약이나 소독약 사용으로 인하여 생기는 바이러스 균의 내성이 강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유기질비료 저장탱크(40)의 내부로는 상기 분뇨저장탱크(10)와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30)를 이루는 오존발생기로부터 각각 배합물과 배합된 악취가 제거된 분뇨(2)와 질소 및 질소산화물이 침전된 물(311a)이 공급부(50)를 통해 공급 및 혼합되어 생산된 유기질 비료(41)가 일정높이로 저장된다.
상기 공급부(50)는 일예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급라인(510)과 펌프(520)로 구성될 수 있다.
파이프, 호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공급라인(510)은 제 1, 2, 3공급라인(511, 512, 5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공급라인(511)의 일측은 상기 분뇨저장탱크(10)의 타측 하부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공급라인(512)의 타측은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30)를 이루는 오존발생기의 하부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모터펌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펌프(5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는 흡입구에는 각각 상기 제 1공급라인(511)의 타측과 상기 제 2공급라인(512)의 일측이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3공급라인(513)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모터펌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펌프(52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는 배출구 및 상기 유기질비료 저장탱크(40)의 상부에 각각 수밀하게 연결고정되어 상기 제 1, 2, 3공급라인(511, 512, 513)을 통해 상기 유기질비료 저장탱크(40)의 내부로 각각 배합물과 배합된 악취가 제거된 분뇨(2)와 질소 및 질소산화물이 침전된 물(311a)이 공급 및 혼합되어 유기질 비료(41)가 생상될 수 있다.
도 4는 유기질비료 저장탱크로 분뇨와 질소 및 질소산화물이 침전된 물을 안내하는 공급라인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공급부(50)는 다른예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2공급라인(511, 512)으로 구성될 수 있는 상기 공급라인(510)과 제 1, 2펌프(521, 522)로 구성될 수 있는 펌프(520)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 1공급라인(511)의 타측은 상기 유기질비료 저장탱크(40)의 상부 일측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공급라인(512)의 일측은 상기 유기질비료 저장탱크(40)의 상부 타측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모터 펌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제 1펌프(521)는 상기 제 1공급라인(511)에 구비되어 상기 분뇨저장탱크(10)의 내부에 저장된 배합물과 배합된 상기 분뇨(2)를 강제펌핑하여 상기 제 1공급라인(511)을 통해 상기 유기질비료 저장탱크(40)의 내부로 배합물과 배합된 상기 분뇨(2)를 공급할 수 있다.
모터 펌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제 2펌프(522)는 상기 제 2공급라인(520)에 구비되어 상기 1차악취제거부(30)를 이루는 오존발생기의 내부 하측에 저장된 질소 및 질소산화물이 침전된 물을 강제펌핑하여 상기 제 2공급라인(512)을 통해 상기 유기질비료 저장탱크(4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 1, 2공급라인(511, 512)에는 상기 제 1, 2공급라인(511, 512)를 각각 개폐하는 개폐밸브(514)가 상기 제 1, 2펌프(521, 522)와 각각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유기질 비료(41)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기질비료 저장탱크(40)의 내부에는 상기 유기질비료 저장탱크(40) 내부로 공급된 배합물과 배합된 상기 분뇨(2)와 질소 및 질소산화물이 침전된 물을 교반하는 교반부(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교반부(42)는 구동모터 등의 구동부재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회전축(421)과, 상기 회전축(421)의 하부 외면에 등간격으로 수평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421)을 따라 정역회전하여 상기 유기질비료 저장탱크(40) 내부로 공급된 배합물과 배합된 상기 분뇨(2)와 질소 및 질소산화물이 침전된 물을 교반하는 교반날개(422)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30)를 이루는 오존발생기의 세균살균방식으로도 악취가스에 포함된 세균의 살균기능이 미치지 못하는 고형분, 액화된 악취가스, 가축과 인체에 전염이 우려되는 신종 바이러스성 세균과 곰팡이류의 세균 및 화학적 기능을 가지는 암모니아가스, 메탄가스 등은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3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상부에 형성될 수 있는 악취가스배출구(301)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30)의 악취가스배출구(301)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는 공기를 포함한 일부악취가스를 2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제 2차악취제거부(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차악취제거부(60)는 몸체(610), 반응필터(620), 데미스터필터(630), 헤파필터(640) 및 항균필터(6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610)의 내부에는 상기 반응필터(620), 상기 데미스터필터(630), 상기 헤파필터(640) 및 상기 항균필터(650)가 상기 몸체(610)의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몸체(610)가 상기 악취가스의 강력한 산화력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610)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등의 산화에 강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소섬유 또는 스텐, 스틸 등의 금속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응필터(620)는 상기 1차악취제거부(30)를 이루는 오존발생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 및 세균이 포함된 일부악취가스의 악취성분을 흡착시킬 수 있다.
상기 데미스터필터(630)는 상기 반응필터(620)를 통과한 공기 및 일부악취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헤파필터(640)는 상기 데미스터필터(630)를 통과한 공기 및 일부악취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흡착하여 여과시킬 수 있다.
상기 항균필터(650)는 상기 헤파필터(640)를 통과한 공기 및 일부악취가스에 포함된 암모니아가스, 메탄가스, 이황화메탄가스 등 화학적 반응을 악취가스와 세균을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반응필터(620), 상기 데미스터필터(630), 상기 헤파필터(640) 및 상기 항균필터(650)는 컴퓨터 등의 제어부(미도시)에 설치된 관리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화면출력되는 사용내구년수의 경과알림여부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몸체(610)로부터 손쉽게 교환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 5는 자외선살균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소각부를 확대한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차악취제거부(60)로부터 공급되는 악취가 제거된 공기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는 자외선살균부로 이루어지는 제 3차악취제거부(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자외선살균부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제 3차악취제거부(70)의 내부 상측에는 상기 제 2차악취제거부(60)로부터 공급되는 악취가 제거된 공기에 포함된 세균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자외선살균램프(710)가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살균램프(710)가 특히, 인체에 감염될 우려가 있고 가축들에게 전염성이 강한 조류인플루엔자(AI), 구제역, 부르셀라, 돈코레라 등의 전염성 세균을 보다 더욱 높은 효율로 살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예로, 상기 자외선살균램프(710)는 최상의 살균성인 253.7nm의 자외선에 근접하는 250nm ~ 260nm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살균램프(710)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외선살균부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제 3차악취제거부(70)의 전면에는 상기 제 3차악취제거부(7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 투명재질의 관찰창(7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살균부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제 3차악취제거부(70)의 일측 하부에는 자외선에 작업자의 눈이 노출될 위험을 방지하고자 보안경 또는 고글 등이 보관될 수 있는 보관함(730)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3차악취제거부(70)를 이룰 수 있는 자외선살균부를 통과한 악취가 제거되고 살균처리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집진하는 전기집진부로 이루어지는 제 4차악취제거부(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뇨저장탱크(10)에서 상기 제 4차악취제거부(80)방향으로 악취가스를 안내하기 위한 파이프, 호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안내라인(9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라인(90)은 제 1, 2, 3, 4안내라인(910, 920, 930, 9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안내라인(910)은 상기 분뇨저장탱크(20)와 상기 제 1악취제거부(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분뇨저장탱크(20)의 내부에서 발생된 악취가스를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30)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 1안내라인(910)에는 상기 분뇨저장탱크(20)의 내부에서 발생된 악취가스를 흡입하기 위한 모터펌프 등의 펌프 또는 블로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흡입부(9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안내라인(920)은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30)와 상기 제 2차악취제거부(60)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 및 일부악취가스를 상기 제 2차악취제거부(60)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 3안내라인(930)은 상기 제 2차악취제거부(60)와 상기 제 3차악취제거부(70) 사이에 구비되어 악취가 제거된 공기를 상기 제 3차악취제거부(70)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 4안내라인(940)은 상기 제 3악취제거부(70)와 상기 제 4차악취제거부(80) 사이에 구비되어 악취가 제거되고 살균처리된 공기를 상기 제 4차악취제거부(80)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 4안내라인(940)의 타측에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상기 제 4안내라인(940)을 개폐하는 개폐밸브(9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라인(90)의 상기 제 1안내라인(910)의 일측, 제 2안내라인(920)의 중간부 및 상기 제 4안내라인(940)의 일측에는 LED 가스검지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가스검지기(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검지기(100)는 상기 제 1, 2, 4안내라인(910, 920, 940)을 통과하는 악취가스의 성분 및 함량을 측정하여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제어부(미도시)로 측정값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가스검지기(100)가 측정한 측정값은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화면출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4안내라인(940)의 타측은 상기 제 4차악취제거부(80)의 일측 상부에 기밀하게 연결될 수 있겠으나,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4차악취제거부(8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악취가 제거되고 살균처리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을 소각하기 위한 소각부(300)의 일측에 기밀하게 연결되는 것이 더욱 좋다.
상기 소각부(300)의 내부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열발산부재(320)와 열반사부재(3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발산부재(320)는 상기 소각부(30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고온의 열을 발산할 수 있다.
상기 열발산부재(320)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열발산램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열발산램프의 경우 고온의 열에 의해 깨질 우려가 다분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발산부재(320)로서 전열코일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열반사부재(330)는 상기 소각부(300)의 내부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반사부재(330)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반사부재(330)는 상기 열반사부재(330)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외경크기가 작아지는 환형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반사부재(330)의 전측은 개방되어 상기 열반사부재(820)의 내측에 악취가 제거되고 살균처리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열발산부재(320)가 발산하는 고온의 열은 상기 열반사부재(33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열반사부재(330)의 내측으로 반사되면서 상기 열반사부재(330)의 내측으로 유입된 악취가 제거되고 살균처리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소각할 수 있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소각부(300)의 하부와 상기 제 4차악취제거부(80)의 일측 하부사이에는 상기 소각부(300)를 통해 미세먼지가 제거된 악취가 제거되고 살균처리된 공기를 상기 제 4차악취제거부(80)를 이루는 전기집진부로 배출하는 파이프, 호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배출라인(4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라인(400)에는 상기 배출라인(400)을 개폐하는 개폐밸브(40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4차악취제거부(80)를 이루는 전기집진부는 악취가 제거되고 살균처리된 공기에 포함된 미처 소각되지 못한 일부 미세먼지를 집진할 수 있고, 미세먼지가 완전제거된 악취가 제거되고 살균처리된 공기는 상기 전기집진부의 상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내라인(90)의 제 4안내라인(940)에 구비된 가스검지기(100)의 가스검출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 4안내라인(940)을 통과하는 공기를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30)를 이루는 오존발생기로 순환공급하는 순환공급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공급부(500)는 순환공급라인(501), 흡입부(502) 및 개폐밸브(503)로 구성될 수 있다.
파이프, 호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순환공급라인(501)의 일측은 상기 제 1악취제거부(30)를 이루는 오존발생기의 상부에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순환공급라인(501)의 타측은 상기 안내라인(90)의 제 4안내라인(940)의 중간부에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502)는 상기 순환공급라인(501)에 구비되는 모터펌프 또는 블로워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503)는 상기 흡입부(502)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순환공급라인(501)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공급라인(501)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안내라인(90)의 제 4안내라인(940)에 구비된 가스검지기(100)가 악취가스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4안내라인(940)에 구비된 상기 개폐밸브(941)는 상기 제 4안내라인(940)을 폐쇄할 수 있고, 상기 순환공급라인(501)에 구비된 상기 개폐밸브(503)는 상기 순환공급라인(501)을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흡입부(502)는 상기 제 4안내라인(940)을 통과하는 악취가스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순환공급라인(501)을 통해 상기 제 1악취제거부(30)를 이루는 오존발생기로 순환공급할 수 있다.
상기 안내라인(90)의 제 4안내라인(940)에 구비된 가스검지기(100)가 악취가스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흡입부(502)는 작동정지됨과 더불어 상기 제 4안내라인(940)에 구비된 상기 개폐밸브(941)는 상기 제 4안내라인(940)을 개방 및 상기 순환공급라인(501)에 구비된 상기 개폐밸브(503)가 상기 순환공급라인(501)을 폐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내라인(90)의 제 2안내라인(920)의 일측에는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3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 및 일부악취가스가 내부에 집합되는 악취가스집합부(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30)의 내부 하측에 공급되는 질소 및 질소산화물이 침전된 물이 특히 겨울철에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30)의 내부 하측에 공급되는 질소 및 질소산화물이 침전된 물을 일정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히터부와;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30)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부는 상기 제 1악취제거부(30)를 이루는 오존발생기의 바닥 내부에 구비되는 열선 등의 발열체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제 1악취제거부(30)를 이루는 오존발생기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한 상기 제 1악취제거부(30)를 이루는 오존발생기의 내부온도값이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설정된 기준온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히터부는 고온의 열을 상기 제 1악취제거부(30)를 이루는 오존발생기의 내부로 발산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한 상기 제 1악취제거부(30)를 이루는 오존발생기의 내부온도값이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설정된 기준온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히터부는 작동정지될 수 있다.
10; 분뇨저장탱크, 20; 분뇨폭기부,
30; 제 1차악취제거부, 40; 유기빌비료 저장탱크.

Claims (8)

  1.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공기유입구 및 악취가스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분뇨가 저장되는 분뇨저장탱크와;
    상기 분뇨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분뇨를 폭기시키는 분뇨폭기부와;
    상기 분뇨저장탱크의 악취가스배출구를 통해 내부로 공급되는 악취가스를 오존을 통해 1차제거하고, 내부 하측에 공급되는 물에 질소 및 질소산화물이 침전되는 오존발생기로 이루어지는 제 1차악취제거부와;
    상기 분뇨저장탱크와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로부터 각각 악취가 제거된 분뇨와 질소 및 질소산화물이 침전된 물이 내부로 공급 및 혼합되어 생산된 유기질 비료가 내부에 저장되는 유기질비료 저장탱크와;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 및 일부악취가스에 포함된 악취성분을 흡착하는 반응필터와, 상기 반응필터를 통과한 공기 및 일부악취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데미스터필터와, 상기 데미스터필터를 통과한 공기 및 일부악취가스를 여과시키는 헤파필터와, 상기 헤파필터를 통과한 공기 및 일부악취가스에 포함된 세균을 제거하는 항균필터가 구비되는 제 2차악취제거부와;
    상기 제 2차악취제거부로부터 공급되는 악취가 제거된 공기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는 자외선살균부로 이루어지는 제 3차악취제거부와;
    상기 제 3차악취제거부를 통과한 악취가 제거되고 살균처리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집진하는 전기집진부로 이루어지는 제 4차악취제거부와;
    상기 분뇨저장탱크와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분뇨저장탱크의 내부에서 발생된 악취가스를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로 안내하는 제 1안내라인과,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와 상기 제 2차악취제거부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 및 일부악취가스를 상기 제 2차악취제거부로 안내하는 제 2안내라인과, 상기 제 2차악취제거부와 상기 제 3차악취제거부 사이에 구비되어 악취가 제거된 공기를 상기 제 3차악취제거부로 안내하는 제 3안내라인과, 상기 제 3차악취제거부와 상기 제 4차악취제거부 사이에 구비되어 악취가 제거되고 살균처리된 공기를 상기 제 4차악취제거부로 안내하는 제 4안내라인으로 구성되는 안내라인과;
    상기 안내라인의 제 1안내라인, 제 2안내라인 및 제 4안내라인에 각각 구비되는 가스검지기와;
    상기 제 4안내라인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4차악취제거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악취가 제거되고 살균처리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소각하기 위해, 내부에 고온의 열을 발산하는 열발산부재와, 상기 열발산부재가 발산하는 고온의 열이 내측으로 반사되어 내측으로 유입된 악취가 제거되고 살균처리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소각하는 열반사부재가 구비되는 소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 제거된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비료 생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라인의 제 4안내라인에 구비된 가스검지기의 가스검출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 4안내라인을 통과하는 공기를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로 순환공급하는 순환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 제거된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비료 생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라인의 제 2안내라인에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 및 일부악취가스가 집합되는 악취가스집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 제거된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비료 생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의 내부 하측에 공급되는 질소 및 질소산화물이 침전된 물을 일정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히터부와;
    상기 제 1차악취제거부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한 온도값을 근거로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 제거된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비료 생산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21499A 2016-02-23 2016-02-23 악취가 제거된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비료 생산장치 KR101820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499A KR101820228B1 (ko) 2016-02-23 2016-02-23 악취가 제거된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비료 생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499A KR101820228B1 (ko) 2016-02-23 2016-02-23 악취가 제거된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비료 생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303A KR20170099303A (ko) 2017-08-31
KR101820228B1 true KR101820228B1 (ko) 2018-02-28

Family

ID=59761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499A KR101820228B1 (ko) 2016-02-23 2016-02-23 악취가 제거된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비료 생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22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560B1 (ko) 2019-10-11 2020-12-09 주식회사 네오세미텍 축분 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38578A (ko) 2022-03-23 2023-10-05 (주)성지환경건설 오존수를 이용한 농가형 고농도 폐수 자원화 및 악취 처리장치
KR20230138210A (ko) 2022-03-23 2023-10-05 (주)성지환경건설 Ro 시스템을 적용하는 악취저감형 가축분뇨 자원화 장치
KR102629777B1 (ko) 2023-04-13 2024-01-29 배장필 탈취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탈취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4547A (ja) * 2007-04-19 2008-11-27 Imex Co Ltd 脱臭装置
KR101023649B1 (ko) * 2009-06-15 2011-03-22 정홍주 분뇨악취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4547A (ja) * 2007-04-19 2008-11-27 Imex Co Ltd 脱臭装置
KR101023649B1 (ko) * 2009-06-15 2011-03-22 정홍주 분뇨악취제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560B1 (ko) 2019-10-11 2020-12-09 주식회사 네오세미텍 축분 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38578A (ko) 2022-03-23 2023-10-05 (주)성지환경건설 오존수를 이용한 농가형 고농도 폐수 자원화 및 악취 처리장치
KR20230138210A (ko) 2022-03-23 2023-10-05 (주)성지환경건설 Ro 시스템을 적용하는 악취저감형 가축분뇨 자원화 장치
KR102629777B1 (ko) 2023-04-13 2024-01-29 배장필 탈취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탈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303A (ko)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6049B2 (en) Modular ductwork decontamination assembly
KR101023649B1 (ko) 분뇨악취제거장치
US8388731B2 (en) Modular ductwork decontamination assembly
KR101820228B1 (ko) 악취가 제거된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비료 생산장치
CN103623452A (zh) 一种空气循环净化装置及方法
KR100867427B1 (ko) 축사 내,외부 소독 및 가축 음용수 생성장치
KR101825588B1 (ko)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
KR101303335B1 (ko) 오존과 오존수를 이용한 살균 및 악취 탈취 시설
KR101938121B1 (ko) 차아염소산 나트륨을 이용한 돈사 내,외부 및 주변 악취 제거겸 살균소독 시스템
JP3773942B2 (ja) 動植物飼育施設用の活性化ガス発生装置
KR102289061B1 (ko) 축사 소독용 uv-led 소독 살균 장치와 그 방법
CN213910114U (zh) 一种鞋底消毒的装置
KR101050342B1 (ko) 축사 배출가스 정화장치
CN212232568U (zh) 一种无臭防疫猪舍
KR20220016545A (ko) 축사의 공기 관리 시스템
CN201012833Y (zh) 具有杀菌消毒功能的垃圾桶
CN1188353C (zh) 无扩散的全密闭医院污水处理系统
KR200432301Y1 (ko) 자외선을 이용한 절삭유 재생처리장치
KR100363539B1 (ko) 오존발생장치를 이용한 축사의 냄새제거방법
KR200320054Y1 (ko) 저수조에 설치되는 살균소독장치
KR20220101815A (ko) 육계용 양계장의 관리시스템
KR102653588B1 (ko) 사육시설 악취제거를 위한 제취제 관리시스템
TW202235181A (zh) 密閉式有機物分解裝置
KR200297010Y1 (ko) 오존을 이용한 식품살균장치
CN214115286U (zh) 一种半密闭式医疗污水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