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813B1 - 포장 완충봉투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포장 완충봉투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813B1
KR102628813B1 KR1020210191948A KR20210191948A KR102628813B1 KR 102628813 B1 KR102628813 B1 KR 102628813B1 KR 1020210191948 A KR1020210191948 A KR 1020210191948A KR 20210191948 A KR20210191948 A KR 20210191948A KR 102628813 B1 KR102628813 B1 KR 102628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fabric
unit
tension
manufactu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2085A (ko
Inventor
김범진
유영배
Original Assignee
김범진
유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진, 유영배 filed Critical 김범진
Priority to KR1020210191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813B1/ko
Publication of KR20230102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7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70/6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 완충봉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택배 포장은 물론 각종 안전봉투로 사용될 수 있는 종이로 된 완충 봉투를 자동적으로 연속생산할 수 있도록 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종이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쉽게 폐기할 수 있고, 폐기시에도 환경오염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폐기비용도 저렴하며, 필요한 경우 재활용할 수도 있도록 개선된 포장 완충봉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장 완충봉투 제조장치{Packaging buffer bag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포장 완충봉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택배 포장은 물론 각종 안전봉투로 사용될 수 있는 종이로 된 완충 봉투를 자동적으로 연속생산할 수 있도록 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종이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쉽게 폐기할 수 있고, 폐기시에도 환경오염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폐기비용도 저렴하며, 필요한 경우 재활용할 수도 있도록 개선된 포장 완충봉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을 비롯하여 인터넷환경의 급격한 발달은 사회전반적인 구조에 있어 많은 변화를 유발하고 있다.
이를 테면, 온라인 쇼핑몰의 출현이 그러한 예중 하나이며, 특히 최근 전세계를 강타하고 있는 코로나-19 펜데믹은 온라인 상에서의 활동을 더욱 더 부추기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쇼핑의 일반화는 택배서비스의 경쟁을 초래하고 있으며, 대부분 박스 포장으로 물품을 발송하고 있다.
그런데, 소량 포장이나 평면 포장 등의 경우에는 박스 포장시 공간이 남기 때문에 흔들림이 심하고, 에어캡을 씌운다고 하더라도 깨지기 쉬운 물건들을 효과적으로 수납 배송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더구나, 물건 대비 볼륨이 상대적으로 큰 박스 포장은 비용낭비를 초래하는 단점도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에어캡이 부착되어 외부충격으로부터 물품이 파손되지 않도록 완충 보호하는 포장 봉투가 개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포장 봉투는 일단에 물건을 투입, 투출을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고, 타단은 밀봉하는 형태를 갖는데, 내구성을 위해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다 보니 제조원가가 높다는 단점은 차치(且置)하더라도 타단을 밀봉할 때 합성수지다보니 열접합을 수행해야 하는데 합지원단이 녹아 붙는 등 불량이 많고, 보통 1회 사용 후 폐기처분되는데 원단이 합성수지다보니 반드시 생활폐기물로 수거 후 안전하게 소각폐기해야만 환경오염물질을 생성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때문에, 이러한 합성수지형 포장 봉투가 택배용 1회성 포장 봉투로 사용되는 이익보다 폐기처분에 따른 폐기 손실이 더 커 실익과 실용성 모두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267009호(2013.05.16.) 완충부를 구비하는 완충진공포장봉투 국내 등록특허 제10-1928360호(2018.12.06.) 포장봉투 제조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택배 포장은 물론 각종 안전봉투로 사용될 수 있는 종이로 된 완충 봉투를 자동적으로 연속생산할 수 있도록 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종이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쉽게 폐기할 수 있고, 폐기시에도 환경오염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폐기비용도 저렴하며, 필요한 경우 재활용할 수도 있도록 개선된 포장 완충봉투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종이원단(10')과 외피원단(20')을 공급하는 원단공급부(100)와; 상기 원단공급부(100)를 통해 각각 공급된 두 개의 원단을 서로 접착시키는 원단합지부(200)와; 합지된 원단중 종이원단(10')의 일측단을 밀봉부(12)로 만들기 위해 일측면에 풀칠하는 페이스트부(400)와; 합지된 원단을 감아 봉투로 만들면서 풀칠된 면을 붙여 밀봉부(12)를 형성하는 봉투화부(500)와; 상기 봉투화부(500)에서 합지된 원단을 감을 때 설정된 길이만큼 합지된 원단을 절단하는 커팅부(300)와; 상기 봉투화부(500)를 통해 봉투화 된 포장 완충봉투를 낱장씩 분리 배출시켜 포장가공하는 분리배출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완충봉투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원단공급부(100)에서 종이원단(10')을 공급하는 종이원단롤(120)에는 감속기(122)가 설치되어 감속 조절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원단공급부(100)에서 외피원단(20')을 공급하는 외피원단롤(140)은 역삼각판(13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외피원단롤(140)과 간격을 두고 방향전환롤(150)이 설치되며, 상기 역삼각판(132)은 인장대(130)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인장대(130)에는 외피원단롤(140)의 직하방에 제1인장롤(R1)이 배치되며, 상기 제1인장롤(R1)과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상하 한 쌍의 제2인장롤(R2) 및 인장구동롤(R3)이 설치되어 외피원단(20')이 제1인장롤(R1)-방향전환롤(150)-제2인장롤(R2)과 인장구동롤(R3) 사이를 경유하여 이동할 때 외피원단(20')에 형성된 슬릿(22)이 벌어지도록 외피원단(20')을 인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이원단롤(120)과 간격을 두고 종이원단(10')을 견인하는 롤조립체를 구비하되, 상기 롤조립체는 한 쌍이 서로 마주보고 배치된 제1롤고정대(160)와, 상기 제1롤고정대(160)의 상측부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유동구멍(166)과, 상기 유동구멍(166)에 끼워진 채 유동구멍(166)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슬라이드블럭(162)과, 상기 제1롤고정대(160)의 상면을 관통하여 나사체결되면서 상기 슬라이드블럭(162)의 상단면에 제자리회전되게 조립된 핸들(164)과, 한 쌍의 상기 슬라이드블럭(162)을 가로질러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아이들롤(172)과, 상기 아이들롤(172)과 상하로 간격을 두고 제1롤고정대(160)를 가로질러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견인롤(170)과, 상기 견인롤(170)의 롤축상에 고정된 견인모터(1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단합지부(200)는 상기 롤조립체와 간격을 두고 동일 형상과 구조를 갖는 제1,2,3합지롤세트(210,220,2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합지롤세트(210)는 인장된 외피원단(20')을 견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조립체와 상기 제1합지롤세트(210) 사이에는 종이원단(10')의 상면에 외피원단(20')을 붙일 수 있도록 풀칠하는 한 쌍의 하부풀칠기(24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합지롤세트(210)의 직상방에는 외피원단(20')을 수직하방으로 안내하는 수직안내롤(260)이 더 설치되고, 상기 수직안내롤(260)의 하측에는 수직하방으로 이동하는 외피원단(20')의 종이원단(10') 합지면에 스프레이식으로 풀칠하는 한 쌍의 측부풀칠기(25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팅부(300)는 커팅프레임(310)과, 상기 커팅프레임(310) 상면에 고정된 커팅모터(320)와, 상기 커팅모터(320)의 회동력을 전달하는 회동캠(330)과, 상기 회동캠(330)에 연결되어 상기 커팅프레임(310) 하부에서 상하 왕복하는 승강부재(340)와, 상기 승강부재(340)에 고정된 커터(350)와, 상기 커터(350)와 엇갈리면서 합지된 원단을 절단하도록 안내하는 커팅블럭(36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이스트부(400)는 상기 커팅프레임(310)과 연결설치되고 다수의 롤들이 배열되어 합지된 원단을 안내하는 롤러테이블(410)과, 일단은 커팅프레임(320)에 고정되고 타단은 라운드 가공된 상태로 연장되어 롤러테이블(410) 내에서 각 조의 상하 가압롤들 사이로 배치되어 이송되는 합지 원단의 상부를 눌러주는 탄성누름가이드편(GD)과, 합지 원단이 봉투화될 때 밀봉부(12)를 이룰 부분에 풀칠하는 밀봉부풀칠기(4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테이블(410)의 배출측 최선단 상측에는 고정봉(430)이 더 설치되고, 상기 고정봉(430)에는 밀봉부상면(SP)을 눌러주는 탄성누름편(44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투화부(500)는 상기 롤러테이블(410)을 통해 배출된 합지 원단을 흡착하여 회전시키는 회동판(510)과, 상기 회동판(510)의 인접측에 설치되어 회동판(510)이 회전할 때 원단 봉투를 납작하게 눌러주는 누름판(520)과, 상기 누름판(520)을 유동시키는 작동실린더(5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배출부(600)는 상기 봉투화부(500)의 일측에 배치된 배출프레임(610)과, 상기 배출프레임(610)에 연결된 배출테이블(660)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프레임(610)의 상단에는 배출실린더(620)가 고정되며, 상기 배출실린더(620)에는 작동판(630)이 연결되어 배출실린더(62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작동판(630)에는 작동블럭(640)이 고정되며, 상기 작동블럭(640)에는 내장된 모터의 구동에 의해 90°범위내에서 서로 마주보고 회전하면서 클램핑 및 언클램핑할 수 있는 한 쌍의 파지로드(650)가 기어식으로 힌지고정되고, 상기 배출테이블(660)에는 다수의 벨트컨베어(67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택배 포장은 물론 각종 안전봉투로 사용될 수 있는 종이로 된 완충 봉투를 자동적으로 연속생산할 수 있다.
둘째,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불량이 거의 없다.
셋째, 완충 봉투가 종이 원단이기 때문에 제조원가 및 제조비용이 저렴하다.
넷째, 완충 봉투가 종이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쉽게 폐기할 수 있고, 폐기비용이 저렴하다.
다섯째, 사용된 완충 봉투는 폐기시 환경오염이 발생하지 않는다.
여섯째, 사용된 완충 봉투는 재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로 제조될 포장 완충봉투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로 포장 완충봉투를 제조하는 과정을 모식화시킨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봉투화부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분리배출부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예시적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예시된 포장 완충봉투를 만들기 위한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 설명에 앞서, 포장 완충봉투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포장 완충봉투는 내봉투(10)와, 상기 내봉투(10)의 외표면에 부착되는 완충용 외피(20)로 이루어진다.
이때, 내봉투(10)의 일단은 합지되어 밀봉부(12)를 이루고, 타단은 개방된 상태로 물건을 넣고 뺄 수 있도록 개방부(14)를 이룬다.
여기에서, 상기 완충용 외피(20)는 도 2의 예시와 같이,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슬릿(22)이 형성된 종이로서, 길이방향으로 당겨지면 슬릿(22)이 벌어지면서 대략 마름모꼴 입체 형상을 갖게 되어 완충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러한 포장 완충봉투는 내봉투(10)를 구성할 종이원단(10')이 수평하게 진행할 때 완충용 외피(20)를 구성할 외피원단(20')이 당겨지면서 슬릿(22)이 벌어진 상태로 종이원단(10')의 상면에 접착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외피원단(20')이 부착되지 않은 종이원단(10')의 일단 하면에 풀칠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외피원단(20')이 접착된 상태의 종이원단(10')이 감겨 봉투 형태를 이루게 되며, 그 과정에서 풀칠된 종이원단(10')의 단부가 붙게 되어 밀봉부(12)를 구성하게 된다.
이 경우, 종이원단(10')은 한바퀴 혹은 두바퀴 감겨 포장 완충봉투를 구성할 수 있는데 그렇게 되면 포장 완충봉투의 외표면에 완충용 외피(20)가 한번 더 둘러 싸이는 것이 되므로 완충성능이 그 만큼 더 향상되게 된다.
이와 같은 포장 완충봉투를 만들기 위해 도 3 내지 도 9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장치가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완충봉투 제조장치는 도 6의 예시와 같이, 종이원단(10')과 외피원단(20')을 공급하는 원단공급부(100)와; 상기 원단공급부(100)를 통해 각각 공급된 두 개의 원단을 서로 접착시키는 원단합지부(200)와; 합지된 원단중 종이원단(10')의 일측단을 밀봉부(12)로 만들기 위해 일측면에 풀칠하는 페이스트부(400)와; 합지된 원단을 감아 봉투로 만들면서 풀칠된 면을 붙여 밀봉부(12)를 형성하는 봉투화부(500)와; 상기 봉투화부(500)에서 합지된 원단을 감을 때 설정된 길이만큼 합지된 원단을 절단하는 커팅부(300)와; 상기 봉투화부(500)를 통해 봉투화 된 포장 완충봉투를 낱장씩 분리 배출시켜 포장가공하는 분리배출부(6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원단공급부(100)는 도 3 내지 도 6의 예시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종이원단롤(1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종이원단롤(110)에는 종이원단(10')이 걸려 풀릴 수 있도록 조립된다.
특히, 상기 종이원단롤(110)의 롤축에는 감속기(122)가 설치되어 종이원단롤(110)이 급하게 풀리지 않고 당기는 힘에 맞춰 균일하게 풀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감속기(122)는 도시와 같이, 두 개의 기어가 맞물린 구조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종이원단롤(110)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는 인장대(130)가 설치된다.
상기 인장대(130)는 외피원단(20')을 당겨 인장시킴으로써 외피원단(20')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22, 도 2 참조)이 벌어지게 하여 완충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리고, 상기 인장대(130) 상면에는 역삼각판(132)이 고정되고, 상기 역삼각판(132)의 상면 일측 꼭지점에는 외피원단롤(140)이 설치되며, 상기 외피원단롤(140)에는 외피원단(20')이 걸려 풀릴 수 있도록 조립된다.
또한, 상기 역삼각판(132)의 상면 타측 꼭지점에는 방향전환롤(150)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외피원단롤(140)의 직하방 위치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인장대(130) 상에 걸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제1인장롤(R1)이 더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방향전환롤(150)의 하방 위치에는 간격을 두고 제2인장롤(R2) 및 이와 맞물리는 인장구동롤(R3)이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인장롤(R2)과 인장구동롤(R3)은 상기 인장대(130) 상에 걸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인장구동롤(R3)은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이와 맞물려 있는 제2인장롤(R2)이 함께 회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장대(130)와 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10) 상에는 한 쌍이 서로 마주보고 배치된 제1롤고정대(160)가 설치된다.
상기 제1롤고정대(160)는 롤축을 고정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할 뿐만 아니라, 설치된 롤축을 이동시켜 롤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롤고정대(160)에는 견인롤(170)이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고, 상기 견인롤(170)의 일측 롤축에는 견인롤모터(180)가 연결 설치되어 상기 견인롤(170)을 회전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롤고정대(160)에는 슬라이드블럭(162)이 끼워져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블럭(162)은 핸들(164)에 의해 승하강될 수 있도록 조립된다.
여기에서, 상기 슬라이드블럭(162)을 끼우기 위해 상기 견인롤(170)의 상측 제1롤고정대(160) 상에는 사각형상의 유동구멍(166)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슬라이드블럭(162)이 유동구멍(166)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고, 제1롤고정대(160)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드블럭(162)의 상면에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나사조립되는 핸들(164)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블럭(162)이 상방 혹은 하방으로 움직일 수 있게 구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블럭(162)에는 아이들롤(172)의 롤축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블럭(162)을 상하로 움직여 견인롤(170)과 아이들롤(17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도 6의 예시와 같이 종이원단롤(120)로부터 풀려나온 종이원단(10')은 상기 견인롤(170)과 아이드롤(172) 사이를 통과하게 배치된다.
때문에, 상기 종이원단(10')은 상기 견인롤(170)과 아이드롤(172) 사이에 맞물려 있게 되고, 견인롤(170)이 회전 구동됨으로 인해 견인되어 원단합지부(200)를 향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외피원단(20')은 외피원단롤(140)의 직하방에 위치한 제1인장롤(R1)을 경유한 후 경사지게 상승하여 방향전환롤(150)을 거쳐 다시 하방향으로 꺽어진 다음, 제2인장롤(R2)과 인장구동롤(R3) 사이로 끼워져 맞물린 상태로 견인되어 원단합지부(200)를 향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외피원단(20')은 제2인장롤(R2)과 인장구동롤(R3)이 당기는 힘에 의해 인장되게 되는데, 이때 제1인장롤(R1)과 방향전환롤(150)을 거치면서 방향이 2번 전환되기 때문에 인장력이 커져 슬릿(22)이 쫙 벌어지면서 완벽한 완충구조를 갖추게 된다.
한편, 상기 원단합지부(2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0) 상에 상기 견인롤(170)과 아이드롤(172)과 평행하게 동일높이를 유지한 채 이들과 동일한 조합으로 구성된 제1합지롤세트(210), 제2합지롤세트(220), 제3합지롤세트(230)가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때문에, 상기 제1,2,3합지롤세트(210,220,230)도 상하 두개의 롤이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며, 당연히 롤간 상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두 롤 사이로 종이원단(10')과 외피원단(20')이 통과하면서 종이원단(10')의 상면, 즉 표면에 외피원단(20')이 접착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합지롤세트(210)와 상기 견인롤(170) 사이의 양측에 한 쌍의 하부풀칠기(240)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풀칠기(240)는 종이원단(10')의 상면, 즉 표면에 폭방향 양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쭉 연속하여 풀칠하게 된다.
다시 말해, 하부풀칠기(240)에서는 접착용 풀이 계속해서 일정량씩 분출되고, 종이원단(10')은 공정속도(라인스피드)로 연속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길게 풀칠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부풀칠기(240) 외에도 측부풀칠기(250, 도 6 참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측부풀칠기(250)는 하부풀칠기(240)가 풀칠하는 종이원단(10')의 풀칠면과 대응되는 위치의 외피원단(20')의 대응면에 풀칠하는 수단으로서, 수직하방으로 이동되는 외피원단(20')을 향해 수직분사하는 방식으로 풀칠하게 된다.
이의 구현을 위해, 상기 하부풀칠기(240)와 제1합지롤세트(210) 사이의 상부쪽에는 수직안내롤(260)이 설치되고, 외피원단(20')이 상기 수직안내롤(260)을 경유하여 수직하방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제1합지롤세트(210)를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외피원단(20')이 수직하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측부풀칠기(250)가 원활하게 풀칠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상기 커팅부(300)는 합지된 원단을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수단으로서, 커팅프레임(310)을 포함한다.
상기 커팅프레임(310)은 '역ㄱ자' 형상으로서,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단에 고정된다.
이때, 합지된 원단은 커팅프레임(310)의 하단을 관통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팅프레임(310)의 상단면에는 커팅모터(320)가 고정되고, 상기 커팅모터(320)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회동캠(330)이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커팅프레임(310)의 개방된 하부에는 상기 회동캠(330)에 링크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승강부재(340)가 설치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승강부재(340)의 전면에는 커터(350)가 볼트고정되어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 특히 상기 승강부재(340)의 직하방에는 커팅블럭(360)이 고정되는데, 상기 커팅블럭(360)은 상기 커터(350)와 어긋나게 배치되어 이를 합지된 원단이 통과할 때 커터(350)가 하강함으로써 어긋나 있는 커팅블럭(360)과의 사이에서 커팅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커팅모터(320)의 구동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의 일종인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진다.
물론, 앞서 구동되는 모터류 등의 구동원들도 모두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나, 이러한 제어는 공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을 뿐이다.
또다른 한편, 상기 페이스트부(400)는 다수의 롤러테이블(410)을 포함한다.
상기 롤러테이블(410)은 상하로 조합된 한 쌍의 가압롤이 1조를 이루고, 이 가압롤 다수조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원의 구동으로 합지된 원단을 누르면서 봉투화부(500)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풀칠된 부분이 완전히 눌리면서 잘 붙어 불량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준다.
이를 더 강화시키기 위해, 도 4와 같이, 일단은 커팅프레임(320)에 고정되고 타단은 라운드 가공된 상태로 연장되어 롤러테이블(410) 내에서 각 조의 상하 가압롤들 사이로 배치되는 탄성누름가이드편(GD)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합지된 원단은 상기 탄성누름가이드편(GD) 하부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탄성누름가이드편(GD)이 일정한 탄성력으로 합지된 원단의 풀칠부를 탄성가압하여 보다 더 완벽한 풀칠부위의 합지를 이루도록 유도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페이스트부(400)는 봉투화부(500)에 의해 봉투로 만들어질 때 밀봉부(12, 도 1 참조)가 자동으로 만들어지도록 밀봉부(12)가 형성될 위치에 풀칠이 이루어지도록 한 밀봉부풀칠기(420, 도 3 참조)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밀봉부풀칠기(420)는 합지된 원단의 일측단 하면에 풀칠하여야 하는데, 이것은 합지된 원단이 시계방향으로 감기면서 봉투화될 때 내면쪽에 풀칠이 되어야 이 부분이 외부에서 눌리게 되면 내부에서 서로 붙으면서 밀봉 작업이 완료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롤러테이블(410)의 배출측 최선단 상측에는 고정봉(430)이 더 고정되고, 상기 고정봉(430)에는 밀봉부상면(SP, 도 7 참조)을 눌러주기 위한 탄성누름편(440)이 더 설치된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밀봉부상면(SP)의 반대면인 하면에 밀봉부풀칠기(420)로 풀칠되어 서로 접착될 풀칠면을 구성하기 때문에 그 반대면인 밀봉부상면(SP)을 상기 탄성누름편(440)이 눌러주면 합지된 원단이 감기면서 봉투화될 때 납작하게 눌리면서 아주 쉽게 합지되어 밀봉부(12)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롤러테이블(410)을 이동하는 합지된 원단은 봉투화부(500)를 구성하는 회동판(510)의 앞뒤 폭을 기준으로 한 쪽으로 치우치게 이송되어야 한다.
이것은 상기 회동판(510)이 회전하면서 봉투화를 진행할 때 회동판(510)에 걸려 있지 않아야 텐션을 받은 채 감기는 과정에서 자유단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탄성누름편(440)이 눌러주는 힘을 받아 더 원활하게 서로 붙어 밀봉부(12)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다른 한편, 상기 봉투화부(500)의 회동판(510)에는 다수의 흡착공(512)이 형성되어 있고, 회동판(510)의 회동축(514)은 중공되고 상기 흡착공(512)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축(514)은 공기흡입기, 이를 테면 흡입블로어와 같은 수단에 연결된다.
그리하여, 합지된 원단이 이송되어 오면 흡착공(512)을 통해 흡착한다.
그런 다음, 회동판(510)을 회전시키면 합지된 원단이 1회전 혹은 2회전에 의해 봉투 형상을 취하게 되는데, 이때 봉투를 최대한 납작하게 만들도록 누름판(520)이 설치되어 회동판(510)의 회전에 대응하여 근접 이동하면서 봉투를 회동판(510) 쪽으로 최대한 눌러주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판(520)은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받은 작동실린더(530)의 동작에 의해 움직임이 제어된다.
덧붙여, 상기 회동판(510)이 회전할 때 수평상태일 때에 비해 수직상태가 되면 당기는 장력이 커져 합지된 원단이 찢어질 수 있으므로 회동판(510)이 승하강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회동판(510)이 흡착한 후 회전수가 결정되면 그때 커터(350)가 커팅하게 된다.
이 경우, 커팅이 되더라도 롤러테이블(410)에서 탄성적으로 눌러 파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합지된 원단이 쭈그려지거나 흘러이동하거나 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다른 한편, 상기 분리배출부(600)는 봉투화부(500)를 통해 봉투가 완성되면 완성된 봉투를 배출하여 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처리부이다.
이러한 분리배출부(600)는 도 8 및 도 9의 예시와 같이, 봉투화부(500)의 일측에 배치된 배출프레임(610)과, 상기 배출프레임(610)에 연결된 배출테이블(66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배출프레임(610)의 상단에는 배출실린더(620)가 고정되고, 상기 배출실린더(620)에는 작동판(630)이 연결되어 배출실린더(62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판(630)에는 작동블럭(640)이 고정되고, 상기 작동블럭(640)에는 내장된 모터의 구동에 의해 90°범위내에서 서로 마주보고 회전하면서 클램핑 및 언클램핑할 수 있는 한 쌍의 파지로드(650)가 기어식으로 힌지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테이블(660)에는 다수의 벨트컨베어(670)가 설치되고, 상기 벨트컨베어(670)는 상기 파지로드(650)가 클램핑하여 봉투화부(500)로부터 분리시킨 포장 완충봉투를 포장단위로 묶을 수 있도록 배출처리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파지로드(650)는 작동실린더(620)의 전진동작에 의해 회동판(510) 쪽으로 이동하며, 이동이 완료되면 파지로드(650)가 동작하여 회동판(510)에 끼워져 있던 포장 완충봉투의 밀봉부(12) 쪽을 클램핑한다.
그런 다음, 작동실린더(620)가 후퇴하면 포장 완충봉투가 파지로드(650)에 클램핑된 상태로 이동하여 배출테이블(660) 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한다.
이때, 파지로드(650)가 언클램핑하게 되고, 이에 따라 낙하되던 포장 완충봉투는 벨트컨베어(670)를 타고 포장유닛 쪽으로 이송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포장 완충봉투를 자동으로 제작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봉투화 작업시 불량이 거의 없어 불량률이 낮으며, 종이로 만들기 때문에 친환경적이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폐기시에도 비용부담이 없을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도 발생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100: 원단공급부
200: 원단합지부
300: 커팅부
400: 페이스트부
500: 봉투화부
600: 분리배출부

Claims (12)

  1. 종이원단(10')과 외피원단(20')을 공급하는 원단공급부(100)와; 상기 원단공급부(100)를 통해 각각 공급된 두 개의 원단을 서로 접착시키는 원단합지부(200)와; 합지된 원단중 종이원단(10')의 일측단을 밀봉부(12)로 만들기 위해 일측면에 풀칠하는 페이스트부(400)와; 합지된 원단을 감아 봉투로 만들면서 풀칠된 면을 붙여 밀봉부(12)를 형성하는 봉투화부(500)와; 상기 봉투화부(500)에서 합지된 원단을 감을 때 설정된 길이만큼 합지된 원단을 절단하는 커팅부(300)와; 상기 봉투화부(500)를 통해 봉투화 된 포장 완충봉투를 낱장씩 분리 배출시켜 포장가공하는 분리배출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원단공급부(100)에서 외피원단(20')을 공급하는 외피원단롤(140)은 역삼각판(13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외피원단롤(140)과 간격을 두고 방향전환롤(150)이 설치되며, 상기 역삼각판(132)은 인장대(130)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인장대(130)에는 외피원단롤(140)의 직하방에 제1인장롤(R1)이 배치되며, 상기 제1인장롤(R1)과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상하 한 쌍의 제2인장롤(R2) 및 인장구동롤(R3)이 설치되어 외피원단(20')이 제1인장롤(R1)-방향전환롤(150)-제2인장롤(R2)과 인장구동롤(R3) 사이를 경유하여 이동할 때 외피원단(20')에 형성된 슬릿(22)이 벌어지도록 외피원단(20')을 인장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완충봉투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공급부(100)에서 종이원단(10')을 공급하는 종이원단롤(120)에는 감속기(122)가 설치되어 감속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완충봉투 제조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원단롤(120)과 간격을 두고 종이원단(10')을 견인하는 롤조립체를 구비하되, 상기 롤조립체는 한 쌍이 서로 마주보고 배치된 제1롤고정대(160)와, 상기 제1롤고정대(160)의 상측부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유동구멍(166)과, 상기 유동구멍(166)에 끼워진 채 유동구멍(166)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슬라이드블럭(162)과, 상기 제1롤고정대(160)의 상면을 관통하여 나사체결되면서 상기 슬라이드블럭(162)의 상단면에 제자리회전되게 조립된 핸들(164)과, 한 쌍의 상기 슬라이드블럭(162)을 가로질러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아이들롤(172)과, 상기 아이들롤(172)과 상하로 간격을 두고 제1롤고정대(160)를 가로질러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견인롤(170)과, 상기 견인롤(170)의 롤축상에 고정된 견인모터(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완충봉투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합지부(200)는 상기 롤조립체와 간격을 두고 동일 형상과 구조를 갖는 제1,2,3합지롤세트(210,220,2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합지롤세트(210)는 인장된 외피원단(20')을 견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완충봉투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조립체와 상기 제1합지롤세트(210) 사이에는 종이원단(10')의 상면에 외피원단(20')을 붙일 수 있도록 풀칠하는 한 쌍의 하부풀칠기(24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완충봉투 제조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합지롤세트(210)의 직상방에는 외피원단(20')을 수직하방으로 안내하는 수직안내롤(260)이 더 설치되고, 상기 수직안내롤(260)의 하측에는 수직하방으로 이동하는 외피원단(20')의 종이원단(10') 합지면에 스프레이식으로 풀칠하는 한 쌍의 측부풀칠기(2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완충봉투 제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300)는 커팅프레임(310)과, 상기 커팅프레임(310) 상면에 고정된 커팅모터(320)와, 상기 커팅모터(320)의 회동력을 전달하는 회동캠(330)과, 상기 회동캠(330)에 연결되어 상기 커팅프레임(310) 하부에서 상하 왕복하는 승강부재(340)와, 상기 승강부재(340)에 고정된 커터(350)와, 상기 커터(350)와 엇갈리면서 합지된 원단을 절단하도록 안내하는 커팅블럭(3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완충봉투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부(400)는 상기 커팅프레임(310)과 연결설치되고 다수의 롤들이 배열되어 합지된 원단을 안내하는 롤러테이블(410)과, 일단은 커팅프레임(320)에 고정되고 타단은 라운드 가공된 상태로 연장되어 롤러테이블(410) 내에서 각 조의 상하 가압롤들 사이로 배치되어 이송되는 합지 원단의 상부를 눌러주는 탄성누름가이드편(GD)과, 합지 원단이 봉투화될 때 밀봉부(12)를 이룰 부분에 풀칠하는 밀봉부풀칠기(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완충봉투 제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테이블(410)의 배출측 최선단 상측에는 고정봉(430)이 더 설치되고, 상기 고정봉(430)에는 밀봉부상면(SP)을 눌러주는 탄성누름편(440)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완충봉투 제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화부(500)는 상기 롤러테이블(410)을 통해 배출된 합지 원단을 흡착하여 회전시키는 회동판(510)과, 상기 회동판(510)의 인접측에 설치되어 회동판(510)이 회전할 때 원단 봉투를 납작하게 눌러주는 누름판(520)과, 상기 누름판(520)을 유동시키는 작동실린더(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완충봉투 제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배출부(600)는 상기 봉투화부(500)의 일측에 배치된 배출프레임(610)과, 상기 배출프레임(610)에 연결된 배출테이블(660)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프레임(610)의 상단에는 배출실린더(620)가 고정되며, 상기 배출실린더(620)에는 작동판(630)이 연결되어 배출실린더(62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작동판(630)에는 작동블럭(640)이 고정되며, 상기 작동블럭(640)에는 내장된 모터의 구동에 의해 90°범위내에서 서로 마주보고 회전하면서 클램핑 및 언클램핑할 수 있는 한 쌍의 파지로드(650)가 기어식으로 힌지고정되고, 상기 배출테이블(660)에는 다수의 벨트컨베어(67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완충봉투 제조장치.
KR1020210191948A 2021-12-30 2021-12-30 포장 완충봉투 제조장치 KR102628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948A KR102628813B1 (ko) 2021-12-30 2021-12-30 포장 완충봉투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948A KR102628813B1 (ko) 2021-12-30 2021-12-30 포장 완충봉투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085A KR20230102085A (ko) 2023-07-07
KR102628813B1 true KR102628813B1 (ko) 2024-01-23

Family

ID=87155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948A KR102628813B1 (ko) 2021-12-30 2021-12-30 포장 완충봉투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81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431B1 (ko) 2001-11-06 2004-07-22 이방현 과일싸게 봉지의 제조방법
KR100838708B1 (ko) 2007-04-30 2008-06-16 김현노 포장용 봉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포장용봉투
KR101072570B1 (ko) 2009-12-07 2011-10-11 배일환 포장용지용 합지장치
KR101466256B1 (ko) 2014-06-09 2014-11-28 이영숙 포장봉투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552046B1 (ko) 2014-04-16 2015-09-09 주식회사 나우스 자동 종이봉투 및, 자동 종이봉투 제조 방법, 제조 장치
KR101928360B1 (ko) * 2017-09-18 2018-12-13 성일화학(주) 포장봉투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009B1 (ko) 2011-04-18 2013-06-04 (주)이가 완충부를 구비하는 완충진공포장봉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431B1 (ko) 2001-11-06 2004-07-22 이방현 과일싸게 봉지의 제조방법
KR100838708B1 (ko) 2007-04-30 2008-06-16 김현노 포장용 봉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포장용봉투
KR101072570B1 (ko) 2009-12-07 2011-10-11 배일환 포장용지용 합지장치
KR101552046B1 (ko) 2014-04-16 2015-09-09 주식회사 나우스 자동 종이봉투 및, 자동 종이봉투 제조 방법, 제조 장치
KR101466256B1 (ko) 2014-06-09 2014-11-28 이영숙 포장봉투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928360B1 (ko) * 2017-09-18 2018-12-13 성일화학(주) 포장봉투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085A (ko) 202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176229U (zh) 一种纸箱自动折叠粘合机
CN206242130U (zh) 一种切管机的全自动切管机构
CN202378407U (zh) 与轮转印刷包装机械联机使用的即涂胶覆膜机构
CN208085127U (zh) 一种环保型纸质提手成型装置
CN202540806U (zh) 纸袋袋口折边贴合装置
CN210503373U (zh) 一种组合烟花围招的自动包裹装置
WO2024007371A1 (zh) 一种保鲜袋折叠装盒一体机
KR102628813B1 (ko) 포장 완충봉투 제조장치
CN109850215B (zh) 一种绕纸捆胶装置
CN207496196U (zh) 一种标签纸模切机的上胶装置
CN111003280A (zh) 一种纸品包装方法
CN206885406U (zh) 一种软包装袋袋嘴热封机的包装袋上料结构
CN110884713A (zh) 一种具有压合功能的纸板捆扎装置
CN207565112U (zh) 无溶剂复合机
CN107140268A (zh) 一种对剔除的软盒烟包进行回收再利用的装置
CN111761873A (zh) 一种基于磁吸原理的纸箱胶条密封设备
CN209064440U (zh) 一种新型封箱机构
CN208930751U (zh) 一种涂布复合成型机
CN207671384U (zh) 一种包装机整卷纸盘供给装置
CN207859602U (zh) 一种纸袋均匀涂胶装置
CN106076733A (zh) 推轮式上胶系统及使用方法
CN112495688A (zh) 一种包装袋用密封纸刷胶机
CN201292031Y (zh) 卷筒端口折褶机构及自动圆柱包装机
CN101823349B (zh) 自动取盒、折盒、粘盒装置
CN217574281U (zh) 一种纸箱全自动粘箱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