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209B1 - 정적 혼합기 - Google Patents

정적 혼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209B1
KR102628209B1 KR1020187015259A KR20187015259A KR102628209B1 KR 102628209 B1 KR102628209 B1 KR 102628209B1 KR 1020187015259 A KR1020187015259 A KR 1020187015259A KR 20187015259 A KR20187015259 A KR 20187015259A KR 102628209 B1 KR102628209 B1 KR 102628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c mixer
components
mixing
wall
sepa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5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3673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하이머
요아힘 쉑
페르시 루이
Original Assignee
메드믹스 스위처랜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드믹스 스위처랜드 아게 filed Critical 메드믹스 스위처랜드 아게
Publication of KR20180073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25/421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by moving the components in a convoluted or labyrinthine path
    • B01F25/423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by moving the components in a convoluted or labyrinthine path by means of elements placed in the receptacle for moving or guiding th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25/43Mixing tubes, e.g. wherein the material is moved in a radial or partly reversed direction
    • B01F25/431Straight mixing tubes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that do not cause substantial pressure drop; Baffles therefor
    • B01F25/4312Straight mixing tubes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that do not cause substantial pressure drop; Baffles therefor having different kinds of baffles, e.g. plates alternating wit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25/43Mixing tubes, e.g. wherein the material is moved in a radial or partly reversed direction
    • B01F25/431Straight mixing tubes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that do not cause substantial pressure drop; Baffles therefor
    • B01F25/4315Straight mixing tubes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that do not cause substantial pressure drop; Baffles therefor the baffles being deformed flat piece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25/43Mixing tubes, e.g. wherein the material is moved in a radial or partly reversed direction
    • B01F25/431Straight mixing tubes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that do not cause substantial pressure drop; Baffles therefor
    • B01F25/4317Profiled elements, e.g. profiled blades, bars, pillars, columns or chevr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25/43Mixing tubes, e.g. wherein the material is moved in a radial or partly reversed direction
    • B01F25/432Mixing tubes, e.g. wherein the material is moved in a radial or partly reversed direction with means for dividing the material flow into separate sub-flows and for repositioning and recombining these sub-flows; Cross-mixing, e.g. conducting the outer layer of the material nearer to the axis of the tube or vice-versa
    • B01F25/4321Mixing tubes, e.g. wherein the material is moved in a radial or partly reversed direction with means for dividing the material flow into separate sub-flows and for repositioning and recombining these sub-flows; Cross-mixing, e.g. conducting the outer layer of the material nearer to the axis of the tube or vice-versa the subflows consisting of at least two flat layers which are recombined, e.g. using means having restriction or expansion z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25/43Mixing tubes, e.g. wherein the material is moved in a radial or partly reversed direction
    • B01F25/434Mixing tubes comprising cylindrical or conical inserts provided with grooves or protrusions
    • B01F25/4342Mixing tubes comprising cylindrical or conical inserts provided with grooves or protrusions the insert being provided with a labyrinth of grooves or a distribution of protru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53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eans allowing the stock of material to consist of at least two different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19Mixing dentistry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305Mixers of the two-component package type, i.e. where at least two components are separately stored, and are mixed in the moment of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8Mixing cement, mortar, clay, plaster or concrete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6Mixing of ingredients for adhesives or glues; Mixing adhesives and ga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둘 이상의 성분을 함께 혼합하는 정적 혼합기(10)에 대한 것이다. 정적 혼합기(10)는 혼합기 하우징(12); 적어도 두 개의 입출 개구부(20a, 20b, 20c)를 갖는 상류단(16)과 하류단(18)을 포함하는 혼합 요소(14) - 상기 혼합요소(14)는 상기 혼합기 하우징(12)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것임 - ; 입력측(26)에 제공되는 적어도 두 개의 유입구(24a, 24b)와 출력 표면(30)에 제공되는 적어도 두 개의 배출구(28a, 28b)를 포함하는 혼합 헤드(22) - 적어도 두 개의 유입구(24a, 24b)들의 각각은 적어도 두 개의 배출구(28a, 28b)의 어느 하나와 유체가 통하는 관계에 있음 -; 및 상기 출력 표면(30)과 상기 혼합 요소(14)의 상류단(16)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구(28a, 28b)를 이탈하는 성분들을 분리하는 분리벽(32)을 포함한다. 이때, 분리벽(32)은 상기 입출 개구부(20a, 20b, 2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배치된 자유 하류 모서리(33)를 포함하는데, 적어도 상기 분리벽(32)에 의하여 분리된 성분들의 부분 흐름들이 상기 자유 하류 모서리(33)를 넘어선 이후 합류되고, 상기 입출 개구부(20a, 20b, 2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공동으로 진입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정적 혼합기
본 발명은 적어도 둘 이상의 성분을 함께 혼합하는 정적 혼합기(Static Mixer)에 대한 것이다. 정적 혼합기는 혼합기 하우징, 적어도 2개의 입출 개구부를 갖는 상류단을 포함하는 혼합 요소, 입력측에 제공되는 적어도 2개의 유입구와 출력 표면에 제공되는 적어도 2개의 배출구를 포함하는 혼합 헤드 및 상기 출력 표면과 상류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구를 이탈하는 성분들을 분리하는 분리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방출 장치(dispensing apparatus)에 대한 것이다.
카트리지로부터 2성분 물질(two component mass)을 방출하는 다양한 방법이 종래 기술로서 알려져 있다. 방출되는 물질은 일반적으로 매트릭스 물질(matrix material)과 경화제들이다. 2성분 물질은 일반적으로 치과 인상의 형성에 사용되는 인상재(impression material), 보철 수복을 위한 치과용 시멘트 물질, 시험용 시멘트 복원 또는 임시 크라운을 위한 시멘트를 위한 임시 시멘트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2 성분 물질의 또 다른 응용례로는 산업 건축 분야에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식되는 기계적 조인트들을 대체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접착력이 있는 결합재는 창문이나 콘크리트 요소들과 같은 제품을 결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습기 차단제, 방식처리제, 미끄럼 방지층 등과 같은 요소들을 포함하는 다성분의 보호 코팅도 점차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충진된 카트리지들은 1:1.2:1.4:1 또는 10:1등 과 같은 다양한 비율을 갖는데, 각 비율에 특정된 숫자들은 방출될 2성분 물질의 각각의 양의 비율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다양한 비율이 사용되는 이유는 다양한 종류의 서로 다른 조성물이 혼합되고 방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일부 조성물들은 더 단단해질 필요가 있고, 다른 조성물들은 덜 단단해지도록 요구된다. 또한, 일부 조성물들은 더 혼합되도록 요구된다.
믹싱 팁(mixing tip)으로 지칭되기도 하는 정적 혼합기는 종래 기술로부터 잘 알려져 있다. 정적 혼합기들은 카트리지에서 조성물들이 배출될 때 조성물들을 혼합하도록 개조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다양한 2성분 혼합물들의 완전한 혼합을 보장하기 위해 서로 다른 길이와 서로 다른 지름의 믹싱 팁들이 제공된다. 이러한 믹싱 팁들은 일반적으로 개방 나선(open spiral)을 닮은 삽입부를 가지는데, 이를 통해 2성분 물질들이 서로 접촉하도록 힘을 가하고, 2성분 물질들이 혼합되도록 힘을 가한다.
혼합에 사용되는 다성분 물질들의 개별 성분들은 종종 상당히 비싼 가격을 갖기 때문에, 혼합 프로세스가 이루어진 후 손실되는 물질의 부피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정적 혼합기에 남아있는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한 특별한 설계안이 고안되었는데 이는 정적 혼합기의 길이를 감소시키게 되었다. 그러나, 길이를 감소시키는 설계안은 매우 복잡한 설계안으로 이어지는데, 길이의 감축은 일반적으로 다성분 물질의 혼합 과정에 불리한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정적 혼합기의 짧은 길이는 다성분 물질의 혼합 과정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보다 개선된 설계안에 의하여 보상되어야 한다. 정적 혼합기들은 일반적으로 사출 성형 기법에 의하여 제조되므로, 복잡한 성형기가 필요해지면, 제품의 생산에 상당한 노력과 비용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성분 물질의 전체 혼합(through mixing)이 개선된 정적 혼합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일측면으로는 혼합 공정이 종료된 후 다성분 물질의 잔량을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고, 정적 혼합기의 길이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며, 다른 측면으로는 정적 혼합기의 설계를 크게 복잡하지 않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정적 혼합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둘 이상의 성분을 함께 혼합하는데 적합한 정적 혼합기는 혼합기 하우징, 적어도 2개의 입출 개구부를 갖는 상류단과 하류단을 포함하는 혼합 요소 -상기 혼합요소는 상기 혼합기 하우징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것임-, 입력측에 제공되는 적어도 2개의 유입구와 출력 표면에 제공되는 적어도 2개의 배출구를 포함하는 혼합 헤드-적어도 두 개의 유입구들의 각각은 적어도 두개의 배출구의 어느 하나와 유체가 통하는 관계에 있음- 및 상기 출력 표면과 상류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구를 이탈하는 성분들을 분리하는 분리벽을 포함한다.
정적 혼합기는 상기 분리벽이 혼합 요소의 입출 개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배치된 자유 하류 모서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적어도 상기 분리벽에 의하여 분리된 성분들의 부분 흐름들이 상기 자유 하류 모서리를 넘어선 이후 합류되고, 상기 입출 개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공동으로 진입하도록 한다.
이러한 분리벽을 제공하는 것은, 일 측면에서는, 적어도 혼합기 하우징내에서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혼합요소가 성분들과 함께 균일하게 제공되는 것을 보장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는, 분리벽이 상기 성분들을 서로 상대적으로 위치시켜, 적어도 2개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혼합 흐름이 실제 혼합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입출 개구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성분들의 적어도 2개의 부분 흐름으로 이루어진 한 줄기(streak)는 적어도 하나의 입출 개구부로 공급된다. 이는 최적의 혼합 결과를 보장하고 그 결과 혼합 요소의 길이를 감소할 수 있게 한다. 정적 혼합기의 길이의 감소는 정적 혼합기의 사용 이후 남게되는 잔류량의 감소로 이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주의해야할 것은 혼합 요소가 하우징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되는 특징은, 적어도 혼합 요소의 혼합기 요소들이 믹서 하우징내에 배치되고, 예를 들면, 분리벽 또는 혼합 헤드의 성분들이 혼합기 하우징으로부터 방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적어도 혼합 요소와 분리벽이 혼합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분리벽은 구불구불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구불구불(meandering)” 은 분리벽이 와인딩(winding) 지점과 선회지점(turning course)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분리벽은 지그재그, 사인 곡선형, 파도 모양 또는 계단형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분리벽은 앞서 언급한 패턴들이 조합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서로 다른 벽 세그먼트들이 서로 다른 패턴을 갖는 것과 같은 형태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분리벽의 패턴은 혼합 요소의 각 입출 개구부로 성분들의 적어도 2개의 부분 흐름이 공급되도록, 예를 들면, 각 성분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흐름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줄기가 각 입출 개구부로 공급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분리벽은 적어도 2개의 선형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분리벽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세그먼트는 분리벽의 일 부분(part) 또는 일 구획(section)으로서, 이는 와인딩 또는 선회지점에 의하여 분리벽의 다른 부분 또는 구획과 구분된다. 예를 들면, 서로 평행한 2개의 세그먼트는 적어도 다른 세그먼트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다른 세그먼트는 곡선형이거나 선형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분리벽은 곡선형 세그먼트, 선형 세그먼트, 선형 또는 곡선형 세그먼트, 선형 세그먼트 및 곡선형 세그먼트를 언급한 순서대로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만약 2개의 선형 세그먼트가 하나의 선형 또는 곡선형 세그먼트를 측방으로 둔 상태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면 가장 바람직하다.
만약 성분들이 혼합 헤드의 출구를 이탈할 때 성분들에 의한 접근 가능한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해, 두꺼운 세그먼트(thickened segment)들을 포함한다면 바람직하다. 두꺼운 세그먼트들은 분리벽의 다른 세그먼트에 비하여 보다 큰 벽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분리벽 또는 분리벽의 세그먼트의 두께를 변화시켜 가면서, 출구를 이탈한 이후 성분들에 의하여 점유되는 부피가 조절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부피를 감소시키는 것은 정적 혼합기의 사용 이후 잔류하는 성분들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접근 가능한 부피는 혼합 헤드의 출구와 혼합 요소의 입출 개구부 사이의 자유 공간에 의하여 결정된다. 특히, 두꺼운 세그먼트는 혼합 헤드의 출구와 혼합 요소의 입출 개구부 사이의 자유 공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혼합비율을 1:1로 갖는 것과 관련하여, 출구를 이탈한 이후 각 성분들에 대하여 접근 가능한 부피가 동일한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두 성분들이 동일한 부피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은 특히 각 성분의 지나친 사전 진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2:1, 4:1 또는 10:1등 과 같이 높은 혼합 비율을 갖는 것의 경우, 높은 부피로 추가되는 성분을 위하여 낮은 부피의 성분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분리벽이 출력 표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출구 및/또는 혼합 요소의 상류단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입출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프레임에 맞추거나 둘러싼다면 바람직한다. 이러한 설계는 혼합 헤드의 출력 표면 및/또는 혼합 요소의 상류단 사이의 성분들의 개선된 흐름 경로를 유도하고, 성분들은 최적의 지점에서 입출 개구부에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분리벽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혼합기 하우징과 협력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혼합기 하우징의 내부 표면과 협력하여 혼합 요소의 입출 개구부에서의 성분 흐름 가이드 영역을 제공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분리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혼합기 하우징의 벽과 동일 평면의 정렬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분리벽과 혼합기 하우징의 벽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적어도 분리벽과 혼합기 하우징이 협력하는 지점 또는 동일 평면으로 정렬된 지점에서는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분리벽은 혼합 요소 또는 혼합 헤드와 통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혼합 헤드와 혼합 요소는, 혼합 요소 또는 혼합 헤드와 협력하는 분리벽에 의하여 바람직하게 형성된 플러그 결합 수단에 의하여, 하나의 축 방향으로 함께 고정될 수 있다. 플러그 결합은 또한 다른 플러그 및 혼합 요소 또는 혼합 헤드에 배치된 카운터 플러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분리벽은 혼합 요소 및 혼합 헤드와 통합형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단일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리벽, 혼합 헤드 및 혼합 요소는 사출 성형에 의하여 단일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혼합기 하우징과 앞서 언급한 단일 구조물이 서로 분리된 요소로 형성된다면 더 바람직하다. 혼합기 하우징, 혼합 헤드, 혼합 요소 및 분리벽이 서로 분리된 요소로 형성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만약 정적 혼합기가 혼합 요소의 상류단과 분리벽 사이에 배치된 중간벽을 더 포함한다면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간벽은 2개의 측면을 정의할 수 있는데, 각 측면은 혼합 헤드의 적어도 하나의 출구 및/또는 혼합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입출 개구부에 할당된다. 중간벽에 의하여 특정된 2개의 측면이 각각 하나의 배출구에 정확히 할당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유리하게는, 중간벽은 중간벽에 의하여 정의된 각 측면에 입출 개구부가 할당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만약 중간벽이 일측면에 하나의 입출 개구부를, 다른 측면에 2개의 입출 개구부를 분리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한 방편으로, 중간벽은 혼합 요소의 입출 개구부들의 하나를 가로지르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중간벽은 입출 개구부들 사이로 진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중간벽은 분리벽에 의하여 분리된 성분들을 나누도록 배치되는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벽을 가로지르도록 한다. 한 방편으로, 중간벽은 분리벽의 적어도 하나의 선형 세그먼트에 대하여 70° 내지 110° 사이의 각도로 가로지르도록 하고,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 사이의 각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 사이의 각도, 특히 90° 의 각도로 가로지르도록 한다.
중간벽은 기본적으로 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고/있거나, 분리벽과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중간벽이 가질 수 있는 다른 패턴이나 모양은 분리벽에 대한 설명을 넘어선다. 중간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믹서 하우징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중간벽은 바람직하게는 혼합 요소와 통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벽은 또한 분리벽과 통합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분리벽은 바람직하게는 혼합 헤드와 통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실시예에서, 혼합 요소와 혼합 헤드를 결합하기 위해 플러그 결합이 사용될 수 있다. 한 방편으로, 혼합 요소와 중간벽, 분리벽 및 혼합 헤드는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단일 구조물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정적 혼합기는 혼합 요소의 상류단과 혼합 헤드의 출력 표면 사이에 배치되고, 성분들 또는 성분들의 부분 흐름들을 편향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흐름 장애물을 더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흐름 장애물은 분리벽의 하류 모서리와 혼합 요소의 상류단 사이에 배치되거나, 분리벽의 하류 모서리와 중간벽의 상류 모서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적어도 하나의 흐름 장애물이 분리벽의 하류 모서리와 하나의 평면내에 배치되거나, 분리벽의 하류 모서리에 근접하도록 배치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흐름 장애물은 혼합 헤드의 출구를 이탈한 성분들 각각의 지나친 사전 진행을 방지하고, 성분들의 부분 흐름들이 혼합 요소의 입출 개구부로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을 보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흐름 장애물은 바람직하게는 평면형일 수 있고, 평평한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흐름 장애물은 사각형, 삼각형, 반원형, 렌즈형 또는 초승달 모양일 수 있다. 한 방편으로, 흐름 장애물의 두께는 분리벽 및/또는 중간벽의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 얇을 수 있다.
만약 적어도 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하나의 흐름 장애물이 적어도 2개의 배출구 중 하나에 의하여 특정되는 개구 단면에 할당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흐름 장애물은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배출구의 개구 단면과 부분적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성분들이 배출구를 이탈할 때, 혼합 요소를 향해 더 전진하기에 앞서서 먼저 각각의 흐름 장애물 뒤에 위치한 부피를 완전히 차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흐름 장애물은 변류기(deflector) 또는 중간 스토퍼의 한 종류로서 동작한다.
정적 혼합기는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 축을 가질 수 있고, 적어도 2개의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흐름 경로를 가질 수 있는데, 각각의 유입구와 배출구는 하나의 기하학적 중심을 갖는다. 적어도 2개의 유입구와 배출구의 각각의 기하학적 중심은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동일하게 이격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배출구의 적어도 하나, 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기하학적 중심들이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이격된 정도는 적어도 2개의 유입구의 적어도 하나, 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기하학적 중심들이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이격된 정도보다 더 적게 이격되도록 한다.
혼합 요소는 유리하게는 혼합될 성분들의 스트림들의 재결합 및 반복되는 분리를 위해, 서로 연달아서 배치된 복수의 혼합기 요소를 포함한다.
가능한 우수한 혼합 결과를 얻기 위해, 혼합 요소는 혼합될 물질을 복수의 스트림으로 분리하기 위한 혼합기 요소뿐만 아니라, 분리된 요소를 혼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 및 수단들은 횡단 모서리 및 횡단 모서리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연장되는 가이드 벽들을 포함하고, 또한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배치되며 개구부가 제공되는 가이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혼합 요소는 횡단 모서리 및 추종 횡단 가이드벽을 포함하고, 분리 모서리에서 종료되는 적어도 2개의 가이드 벽들을 포함하는데, 이는 측면 단부 섹션들과 가이드 벽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 섹션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횡단 모서리의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정의되고, 횡단 모서리의 다른 측면에 적어도 2개의 개구가 정의된다.
이와 달리, 혼합 요소는 혼합될 물질을 복수의 스트림으로 분리하기 위한 혼합기 요소뿐만 아니라, 분리된 요소를 혼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데, 분리 모서리들과 분리 모서리들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연장되는 횡단 모서리를 포함하며, 또한 길이 방향 축과 소정의 각도록 갖도록 배치되며 개구들이 제공되는 편향 요소들도 포함한다. 혼합 요소는 추종 가이드 벽들을 갖는 적어도 2개의 분리 모서리를 포함하는데, 추종 가이드 벽은 측면 단부 영역들과 가이드 벽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말단 영역을 포함하며, 또한 횡단 가이드 벽의 일단에 배치된 횡단 모서리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횡단 모서리의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정의되고, 횡단 모서리의 다른 측면에 적어도 2개의 개구가 정의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혼합 요소는 3개의 입출 개구부들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는 상기 횡단 모서리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2개는 상기 횡단 모서리의 다른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혼합 요소의 상세한 설계사항은 유럽 등록 특허 1426099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문헌은 혼합 요소를 공개하고 있는 정도로 참조문헌으로서 포함된다.
유리하게는 중간벽은 혼합 요소의 상류단의 제 1 횡단 가이드 벽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성분들의 부분 흐름들은 혼합 요소의 입출 개구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이미 함께 유입되므로, 성분들이 혼합 요소의 제 1 혼합기 요소를 통과한 후에는 분리 및 재결합 프로세스는 많은 개수의 스트림들 또는 줄기들을 생성하게 된다. 이는 혼합 결과를 현저하게 개선하는 것이고, 정적 혼합기의 길이 감소를 허용한다.
혼합 요소의 혼합기 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지주(strut)들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는데, 지주들은 또한 가이드 및 편향 벽들로 기능할 수 있다. 한 방편으로, 지주들은 혼합 요소가 하우징 내에 배치될 때 혼합기 하우징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지주들은 조립 동안 혼합기 하우징을 위한 가이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다성분(multi component) 카트리지와 앞서 설명되었으며 다성분 카트리지에 결합된 정적 혼합기를 포함하는 방출 장치에 대한 것으로, 이때 다성분 카트리지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성분들로 충진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다성분 카트리지로부터 정적 혼합기를 통해 성분들을 방출하기 위하여 여기에 설명된 종류의 방출 장치 또는 정적 혼합의 용도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는 다음의 도면의 설명을 통해 묘사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대한 참조와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적 혼합기의 측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정적혼합기를 좌측으로 90°만큼 회전시킨 도면이다.
도 2는 도 1a의 A-A 선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a 및 도 1b의 정적 혼합기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정적 혼합기를 180°만큼 회전시킨 도면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도 1b의 정적 혼합기의 C-C 선을 따라 바라본 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적 혼합기의 분리벽의 세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b에서 흐름 경로가 표시된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입출 개구부들의 입출 평면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를 간단히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동일하거나 균등한 기능을 갖는 부분들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돌 것이다. 구성품의 방향에 대한 서술들은 도면에 도시된 방향에 비례하여 작성되었으며, 응용품의 실제 위치에 따라 자연스럽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a는 길이 방향 축(AL)을 가진 정적 혼합기(10)의 측면을 도시한 것으로, 혼합기 하우징(12), 혼합 요소(14), 중간벽(36), 분리벽(32) 및 혼합 헤드(22)를 포함한다. 혼합기 하우징(12)은 점선으로 표시되었으며, 튜브형의 좁은 하우징 영역(15)으로부터 넓은 하우징 영역(11)을 분리하는 어깨부(13)를 포함한다. 혼합기 하우징(12) 외에는, 정적 혼합기(10)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일체형 구조물이다. 도 1b는 길이방향 축(AL)에 대하여 정적 혼합기를 좌측으로 90°만큼 회전시킨 정적 혼합기(10)를 도시한 것이다.
혼합 요소(14)와 혼합 헤드(22)의 일부분은 혼합기 하우징(12)내에 배치된다. 혼합기 하우징(12), 특히 넓은 하우징 영역(11)은 카트리지(미도시됨)와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연결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요소는 좁은 하우징 영역(15)이 삽입될 수 있는 슬리브가 될 수 있다. 슬리브는 나사 이음(screwed joint)을 설정하기 위한 내부 날(internal thread) 및/또는 상기 카트리지와의 연결을 위한 베이어닛(bayonet) 설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혼합 헤드 및/또는 슬리브는 카트리지와의 플러그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연결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혼합 헤드(22)는 입력측(26)에 제공되는 2개의 유입구(24a, 24b)를 포함한다. 2개의 유입구(24a, 24b) 각각은 출구 표면(30)에 제공되는 대응 배출구(28a, 28b)와 유체가 통하는 관계에 있다. 유입구(24a, 24b)는 배출구(28a, 28b)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유입구(24a, 24b)는 배출구(28a, 28b)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또한, 유입구(24a, 24b) 및 배출구(28a, 28b) 각각은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나아가, 유입구(24a)와 배출구(28a)에 의하여 특정되는 흐름 채널은 유입구(24b)와 배출구(28b)에 의하여 특정되는 흐름 채널과 동일한 부피 용량을 갖는다.
분리벽(32)은 출력 표면(30)과 중간벽(36) 사이에 배치된다. 분리벽(32)은 부분적으로 배출구(28b)를 에워싸고, 2개의 두꺼운 세그먼트(35) 및 추가 세그먼트(34a, 34b, 34c)들을 포함한다(도 3 및 도 4 참조). 정적 혼합기는 분리벽(32)의 하류 모서리(33)와 동일 평면에 배치되고, 배출구(28a 또는 28b)의 개구부와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는 흐름 장애물(40a, 40b)을 더 포함한다(도 3 및 도 4 참조).
중간벽(36)은 혼합 요소(14)의 상류단(16)에 위치하며, 분리벽(32)과 제 1 혼합기 요소(42)사이에 배치된다. 중간벽(36)은 분리벽(32)을 가로지르고, 2개의 측면(38a, 38b)을 정의하는데, 측면(38a)은 혼합 헤드(22)의 배출구(28a)와 혼합 요소(14)의 2개의 입출 개구부(20a, 20b)에 할당된다. 다른 측면(38b)은 배출구(28b)와 하나의 입출 개구부(20c)에 할당된다. 이는 도 2를 참조하면 보다 명확해진다.
혼합 요소(14)는 몇 개의 연속적인 혼합기 요소(42)들을 포함하는데, 각 혼합기 요소(42)는 횡단 모서리(44)를 갖는 횡단 가이드 벽(45)을 포함하는데, 이는 횡단 가이드 벽(45)에 대하여 90° 각도로 각각 연장되고, 분리 모서리(48)를 각각 갖는 2개의 가이드 벽(46a, 46b)에 의하여 추종된다. 말단 영역(50)은 그 하부측에 2개의 가이드 벽(46a, 46b) 사이에 위치한 말단 모서리(51)를 포함한다. 말단 모서리(51)는 말단 영역(50)을 2개의 경사부(49a, 49b)로 분할한다. 또한, 가이드 벽(46a, 46b)의 각각은 하나의 측면 단부 영역(52a, 52b)을 갖는다. 그리하여 성분들이 통과할 3개의 개구가 정의된다. 하나의 개구는 횡단 모서리(44)의 일측면(54b)에 정의되고, 2개의 개구는 횡단 모서리(44)의 다른 측면(54a)에 정의된다. 개구들의 배치는 입출 개구부(20a, 20b, 20c)의 배치에 대응하며, 이에 의하여 측면(56a, 56b)과 중간벽(36)에 의하여 정의되는 측면(38a, 38b)이 근본적으로 서로 대응한다. 개구들의 배치는 도 2를 참조하면 보다 명확해진다.
각각의 연속되는 혼합기 요소(42)들은 지주(56)들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는데, 지주(56)들은 또한 가이드 벽으로서 기능한다. 혼합기 요소(42)의 개수 및 그에 대응하는 지주(56)들의 길이는 정적 혼합기(10)가 분사하는 물질의 종류에 의존하여 선택된다. 일부 응용의 경우 5개의 혼합기 요소(42)를 포함하는 것 만으로 충분하지만, 다른 응용의 경우 10개 또는 그 이상의 혼합기 요소(42)가 지주(56)들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필요가 있다. 지주(56)들의 외부 표면은 혼합기 하우징(12)의 내부 표면과 동일한 곡면을 가지며, 지주(56)들은 혼합기 하우징(12)과 직접 접촉한다.
도 2는 도 1의 정적 혼합기(10)의 단면(A-A 선을 따름)을 도시한 것이고, 이를 통해 개구부(20a, 20b, 20c)들의 배치를 나타낸다. 개구부(20a, 20b)들은 중간벽(36)의 일측면(38a)에 배치되고, 다른 개구부(20c)는 다른 측면(38b)에 배치된다. 가이드 벽들(46a, 46b, 점선으로 도시됨)사이에 배치된 말단 영역(50)의 경사부(49a)는 개구부(20a)의 측면에 위치한다. 말단 영역(50)의 경사부(49b)는 개구부(20b)의 측면에 위치한다. 개구부(20c)는 가이드벽(46a, 46b)의 측면 단부 영역(52a, 52b)의 측면에 위치한다. 개구부(20a, 20b, 20c)들은 혼합될 성분들을 위한 3개의 흐름 경로들을 나타내는데, 혼합기 하우징(12)의 내부 표면은 외부 가이드 벽을 형성하면서 이러한 흐름 경로들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도 2에 따른 단면은 B-B선을 따라서도 형성될 수 있는데, 개구(20a, 20b)는 횡단 가이드 벽(45)에 의하여 개구(20c)와 분리될 수 있다.
도 3a는 정적 혼합기(1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길이방향 축(AL)에 대하여 180°만큼 회전시킨 정적 혼합기(10)를 도시한 것이다. 양 도면은 특히 분리벽(32)의 배치뿐만 아니라 흐름 장애물(40a, 40b)의 배치도 도시한다. 혼합기 하우징(12)은 보다 나은 설명을 위해 삭제되었다.
분리벽(32)은 출력 표면(30)의 주변을 따라 배치된 2개의 두꺼운 세그먼트(35)를 포함한다. 2 개의 두꺼운 세그먼트(35)는 곡선형 세그먼트(34a)들과 이어지는데, 이들은 배출구(28a)의 모서리를 향하여 모두 연장된다. 이곳으로부터 2개의 선형 세그먼트(34b)들이 배출구(28b)의 모서리를 향하여 모두 연장된다. 선형 세그먼트(34b)들은 곡선형 세그먼트(34c)에 의하여 연결되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배출구(28b)를 에워싼다. 배출구(28a, 28b)는 그러므로 분리벽(32)에 의하여 분리된다. 분리벽(32)은 출력표면(30)과 연계되고, 두꺼운 세그먼트(35)의 상부측과 직접 접촉하는 어깨부(13, 도 1a 및 도 1b 참조)와 연계되며, 양 성분들이 배출구(28a, 28b)를 이탈한 이후 접근 가능한 서로 구분된 부피를 정의하는 혼합기 하우징(12)의 넓은 영역(11)과 연계된다. 배출구(28a)에 할당된 부피는 배출구(28b)에 할당된 부피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배출구(28a, 28b)들에 할당된 부피는 두꺼운 세그먼트(35)들의 크기 및 위치의 변경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흐름 장애물(40a)은 평면 초승달 형상을 가지고, 배출구(28a)와 부분적으로 오버랩된다(도 4a 참조). 흐름 장애물(40a)은 또한 혼합기 하우징(12)의 어깨부(13)를 지지하는 외부 림(41)을 더 포함한다(도 1a 및 도 1b 참조). 좁은 하우징 영역(15)이 혼합 요소(14) 및 중간벽(36)을 에워싼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흐름 장애물(40b)도 마찬가지로 평면 초승달 형상을 가지고, 배출구(28b)와 부분적으로 오버랩된다(도 4a 참조). 또한, 흐름 장애물(40b)은 혼합기 하우징(12)의 어깨부(13)를 지지하는 림(41)을 포함한다. 흐름 장애물(40a, 40b)들은 배출구(28a, 28b)들을 이탈하는 성분들이 하류 모서리(33)를 넘어서 진행하기에 앞서서, 혼합기 하우징(12)의 어깨부(13) 및 넓은 하우징 영역(11)과 협력하여 분리벽(32)에 의하여 정의되는 부피들을 먼저 차지하도록 한다.
도 4a, 4b 및 4c 각각은 정적 혼합기(10)의 단면 사시도(도 1b의 C-C 선을 따른 영역)를 도시한다. 혼합기 하우징(12)은 보다 나은 설명을 위해 삭제되었다. 2개의 두꺼운 세그먼트(35), 3개의 곡선형 세그먼트(34a, 34c) 및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선형 세그먼트(34b)를 포함하는 분리벽(32)의 구불구불한 패턴이 명확하게 도시된다. 게다가, 중간벽(36)이 분리벽(32)의 두 개의 선형 세그먼트(34b)들을 거의 90°의 각도로 가로지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a 및 4b에서 흐름 장애물(40a, 40b)과 중간벽(36)의 아래로 분리벽(32)의 진행 경로가 점선 형태로 도시된다. 또한, 대략 2/5 정도의 개구부(28a, 28b)가 튜브 형상의 좁은 하우징 영역(15)의 단면적(도 1a 및 도 1b 참조)과 오버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좁은 하우징 영역(15)의 단면적은 가상 원의 둘레에 놓인 림(41)에 의하여 정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개구부(28a, 28b)와 좁은 하우징 영역(15)의 오버랩 부분은 1/5 과 1/2 사이의 범위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도 5a, 5b 및 5c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적 혼합기의 단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5b 및 5c 에 도시된 각 정적 혼합기(10)는 분리벽(32)의 설계에 따라 서로 달라진다. 서로 다른 분리벽(32)의 모양은 분명게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서 분리벽(32)은 곡선형 세그먼트(34a) 및 선형 세그먼트(34b)와 이어지는 두 개의 두꺼운 세그먼트(35)들을 포함한다. 서로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두 개의 선형 세그먼트(34b)들은 다른 곡선형 세그먼트(34c)에 의하여 연결된다. 두 개의 선형 세그먼트(34b)들 대신에, 도 5b에 따른 분리벽(32)은 다른 곡선형 세그먼트(34c)에 의하여 연결되는 두 개의 곡선형 세그먼트(34a)를 포함한다. 도 5c에 따른 분리벽(32)은 두꺼운 세그먼트(35)를 포함하지 않는다. 두꺼운 세그먼트(35)들은 각각 두 개의 선형 세그먼트(34b)들에 의하여 대체되는데, 이들은 혼합기 하우징(12) 및 혼합 헤드(22)의 출력 표면(30)과 함께, 배출구(28a, 28b)를 이탈하는 성분들은 접근할 수 없는 부피(31)를 둘러싼다.
도 6은 도 4b의 단면도와 동일하며, 성분들의 흐름 경로를 추가적으로 도시한다. 보다 낳은 설명을 위해 도면 부호의 대부분이 생략되었다. 정적 혼합기(10)의 동작에서 제 1 성분(A)이 카트리지로부터 유입구(24a)로 공급되고, 제 2 성분(B)이 카트리지로부터 유입구(24b)로 공급된다. 양 성분(A, B)들은 혼합헤드(22)를 통과하여 출력 표면(30)의 배출구(28a, 28b)에 도달한다. 각 성분(A, B)은 각각의 배출구(28a, 28b)를 이탈하고 분리벽(32), 출력 표면(30) 및 혼합기 하우징(12)에 의하여 정의되는 부피를 점유하기 시작한다. 그리하여, 흐름 장애물(40a, 40b)들은 성분(A, B)들이 분리벽(32)의 하류 모서리(33)를 넘어서 먼저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입출 개구부(20a, 20b, 20c)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흐름 장애물(40a, 40b)들은 입출 개구부(20a, 20b, 20c)들로 성분들이 동시에 그리고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설계된다. 각 성분들의 과도한 전진이 방지된다.
분리벽(32)의 구불구불한 패턴에 의하여, 하류 모서리(33)에 도달한 각 성분(A, B)들은 길이 방향 축(AL)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상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3개의 부분 흐름 또는 줄기로 배치된다. 이러한 3개의 흐름들은 화살표(A1, B1, B2)들로 도시되었으며, A1은 성분(B)에 대응하고, B1과 B2는 성분(B)에 대응한다. 성분(A)의 부분 흐름(A1)은 성분(B)의 2개의 부분 흐름(B1, B2)의 측면에 위치한다. 분리벽(32)의 하류 모서리(33)를 초과한 후, 3개의 부분 흐름(A1, B1, B2)은 합류되고(서로 섞이지는 않음), 중간벽(36)에 의하여 횡단 방향으로 분리되어 6 개의 부분 흐름(A11, A12, B11, B12, B21, B22) 이 생성되는데, 그림 평면으로부터 나와 상방향을 지시하는 6개의 화살표에 의하여 도시된다. A11, A12는 성분(A)의 분리된 부분 흐름(A1)을 나타낸다. B11, B12, B21, B22 은 성분(B)의 분리된 부분 흐름(B1, B2)을 각각 나타낸다. 3개의 부분흐름은, 예를 들면 B12, B22 의 측면에 위치한 A11, 중간벽(36)의 측면(38a)에 위치하고, 3개의 부분흐름은, 예를 들면 B11, B21 의 측면에 위치한 A12, 중간벽(36)의 측면(38b)에 위치한다.
중간벽(36)의 측면(38a)과 관련하여, 부분 흐름(A11)이 더 진행하면 제 1 혼합기 요소(42)의 말단 영역(50)의 말단 모서리(51)(도 2 참조)와 만나게 된다. 말단 모서리(51)는 A11을 2개의 부분으로 분할하고, 이들이 각각 측면 방향으로 밀려 개구부(20a, 20b)로 함께 유입되도록 하는데, 각각 2개의 외부 부분 흐름들(B12, B22)중 하나와 함께 유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입출 개구부(20a)는 A11 과 B12 로 이루어진 부분 흐름이 공급되고, 입출 개구부(20b)는 A11 과 B22 로 이루어진 부분 흐름이 공급된다. 이러한 분포는 입출 개구부(20a, 20b, 20c)들의 입력 평면을 따라 단순화된 단면도인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중간벽(36)의 다른 측면(38b)과 관련하여, 2개의 외부 부분 흐름(B11, B21) 각각이 더 진행하면 측면 영역(52a, 52b)의 어느 하나와 만나게 된다. 그리하여, 부분 흐름들(B11, B21)은 개구부(20c)와 만나는 부분 흐름(A12)을 향하여 측면 방향으로 밀린다. 따라서, 입출 개구부(20c)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12 와 그 측면에 배치된 B11, B21로 구성된 부분 흐름이 공급된다.
따라서, 제 1 혼합기 요소(42)의 각 개구부(20a, 20b, 20c)들은 성분(A, B)들 모두의 부분 흐름들이 공급된다. 전체적으로, 7개의 변경된 부분 흐름들이 입출 개구부(20a, 20b, 20c)로 공급될 수 있다. 부분 흐름들은 입출 개구부(20a, 20b, 20c)들 중 입출 개구부(20a)로부터 시작하여 B12, A11, B11, A12, B21, A11, B22 의 순서로 분할될 수 있다. 이는 제 1 혼합기 요소(42)를 통과한 이후 높은 혼합 레벨이 나타나도록 한다. 그리하여 연속되는 혼합기 요소(42)의 전체 개수는 작게 유지될 수 있고, 정적 혼합기의 전체 길이는 감소될 수 있다.
10: 정적 혼합기
11: 넓은 하우징 영역
12: 혼합기 하우징
13: 어깨부
14: 혼합 요소
15: 좁은 하우징 영역
16: 상류단
18: 하류단
20a, 20b, 20c: 입출력 개구부
22: 혼합 헤드
24a, 24b: 유입구
26: 입력측
28a, 28b: 배출구
30: 출력 표면
31: 부피
32: 분리벽
33: 하류 모서리
34a, 34c: 곡선형 세그먼트
34b: 선형 세그먼트
35: 두꺼운 세그먼트
36: 중간벽
38a, 38b: 중간벽에 의하여 정의되는 측면
40a, 40b: 흐름 장애물
41: 림
42: 혼합기 요소
44: 횡단 모서리
45: 횡단 가이드 벽
46a, 46b: 가이드 벽
48: 분리 모서리
50: 말단 영역
51: 말단 모서리
52a, 52b: 측면 단부 영역
54a, 54b: 횡단 모서리의 측면
56: 지주
AL: 길이방향 축
A1, A11, A12 : 성분 A의 부분 흐름
B1, B2, B11, B12, B21, B22 : 성분 B의 부분 흐름

Claims (16)

  1. 적어도 둘 이상의 성분을 함께 혼합하는 정적 혼합기(10)에 있어서,
    혼합기 하우징(12);
    적어도 두 개의 입출 개구부(20a, 20b, 20c)를 갖는 상류단(16)과 하류단(18)을 포함하는 혼합 요소(14) - 상기 혼합 요소(14)는 상기 혼합기 하우징(12)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것임 - ;
    입력측(26)에 제공되는 적어도 두 개의 유입구(24a, 24b)와 출력 표면(30)에 제공되는 적어도 두 개의 배출구(28a, 28b)를 포함하는 혼합 헤드(22) - 적어도 두 개의 유입구(24a, 24b)들의 각각은 적어도 두 개의 배출구(28a, 28b)의 어느 하나와 유체가 통하는 관계에 있음 -; 및
    상기 출력 표면(30)과 상기 혼합 요소(14)의 상류단(16)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구(28a, 28b)를 이탈하는 성분들을 분리하는 분리벽(32)을 포함하되,
    상기 분리벽(32)은 상기 입출 개구부(20a, 20b, 2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배치된 자유 하류 모서리(33)를 포함하는데, 적어도 상기 분리벽(32)에 의하여 분리된 성분들의 부분 흐름들이 상기 자유 하류 모서리(33)를 넘어선 이후 합류되고, 상기 입출 개구부(20a, 20b, 2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공동으로 진입하도록 하고,
    상기 분리벽(32)은 구불구불한 패턴을 가지며, 상기 자유 하류 모서리(33)에 도달한 성분들이 상기 정적 혼합기(10)의 길이 방향 축(AL)에 수직한 평면에서 3개의 부분 흐름(A1, B1, B2)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것인, 정적 혼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32)은 서로 평행한 적어도 두개의 세그먼트(34b)를 포함하는 것인 정적 혼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32)은 곡선형 세그먼트(34a), 선형 세그먼트(34b), 곡선 또는 선형 세그먼트(34c), 선형 세그먼트(34b) 및 곡선형 세그먼트(34a)를 나열한 순서대로 포함하는 정적 혼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32)은 상기 배출구(28a, 28b)를 이탈할 때 성분들에 대하여 접근할 수 있는 부피를 감소시키는 두꺼운 세그먼트(35)를 포함하는 정적 혼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32)은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28a, 28b)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입출 개구부(20a, 20b, 20c)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프레임을 맞추는 것인 정적 혼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32)은 상기 혼합 요소(14) 및/또는 상기 혼합 헤드(22)와 통합형으로 형성된 것인 정적 혼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32), 상기 혼합 헤드(22) 및 상기 혼합 요소(14)는 일체형 구조물이고,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된 것인 정적 혼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요소(14)의 상류단(16)과 상기 분리벽(32) 사이에 배치된 중간벽(36)을 더 포함하는 정적 혼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벽(36)은 상기 분리벽(32)의 적어도 하나의 선형 세그먼트(34b)에 대하여 70° 내지 110° 사이의 각도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것인 정적 혼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요소(14)의 상류단(16)과 상기 출력 표면(3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성분들 또는 상기 성분들의 일부 흐름들을 편향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흐름 장애물(40a, 40b)을 더 포함하는 정적 혼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흐름 장애물(40a, 40b)은 상기 분리벽(32)의 하류 모서리(33)와 상기 혼합 요소(14)의 상류단(16)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기 분리벽(32)의 하류 모서리(33)의 일 평면내에 배치되는 것인 정적 혼합기.
  13. 앞서 기재된 청구항들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요소(14)는 혼합될 성분들의 스트림들을 반복적으로 분리하고 재결합하기 위한 연달아서 배치된 복수의 혼합기 요소(42)들을 포함하되,
    상기 혼합 요소(14)는 상기 혼합될 성분들을 복수의 스트림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요소를 혼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혼합기 요소(42)를 포함하되, 횡단 모서리(44) 및 횡단 모서리(44)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연장되는 가이드 벽(46a, 46b)과 길이방향 축(A)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배치되고 개구부가 제공되는 가이드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혼합 요소(14)는 횡단 모서리 (44), 추종 횡단 가이드 벽(45) 및 측면 단부 영역(52a, 52b) 각각과 분리 모서리(48)에서 종료되고, 상기 가이드 벽(46a, 46b)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말단 영역(50)과 함께 분리 모서리(48)에서 종료되는 적어도 2개의 가이드 벽(46a, 46b)을 포함하되, 이로 인해 상기 횡단 모서리(44)의 일측(56b)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정의하고, 상기 횡단 모서리(44)의 타측(56a)에 적어도 2개의 개구부를 정의하거나, 또는
    상기 혼합 요소(14)는 상기 혼합될 성분들을 복수의 스트림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요소를 혼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혼합기 요소(42)를 포함하되, 분리 모서리(48)들 및 상기 분리 모서리(48)들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연장되는 횡단 모서리(44)와 상기 길이방향 축(A)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배치되고 개구부가 제공되는 편향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혼합 요소(14)는 측면 단부 영역(52a, 52b) 을 갖고, 상기 추종 가이드 벽(46a, 46b)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말단 영역(50)을 갖는 추종 가이드 벽(46a, 46b)들을 가진 적어도 2개의 분리 모서리(48) 및 횡단 가이드 벽(45)의 일단에 배치된 횡단 모서리(44)를 포함하고, 이로 인해 상기 횡단 모서리(44)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정의하고, 상기 횡단 모서리(44)의 타측에 적어도 2개의 개구부를 정의하는 정적 혼합기.
  14. 다성분 카트리지 및 상기 다성분 카트리지에 연결되고, 제1항에 따른 정적 혼합기(10)를 포함하는 방출 장치.
  15. 제1항에 따른 정적 혼합기(10)를 제공하는 단계; 및
    다성분 카트리지에서 성분들을 분사하기 위해 상기 정적 혼합기(10)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적 혼합기를 사용하는 방법.
  16. 제14항에 따른 방출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다성분 카트리지에서 상기 정적 혼합기(10)를 통해 성분들을 분사하기 위해 방출 장치를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출장치를 작동하는 방법.
KR1020187015259A 2015-10-30 2016-10-24 정적 혼합기 KR1026282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92415.6A EP3162433B1 (en) 2015-10-30 2015-10-30 Static mixer
EP15192415.6 2015-10-30
PCT/EP2016/075572 WO2017072079A1 (en) 2015-10-30 2016-10-24 Static mix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673A KR20180073673A (ko) 2018-07-02
KR102628209B1 true KR102628209B1 (ko) 2024-01-23

Family

ID=54366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5259A KR102628209B1 (ko) 2015-10-30 2016-10-24 정적 혼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786790B2 (ko)
EP (2) EP3162433B1 (ko)
JP (1) JP6880015B2 (ko)
KR (1) KR102628209B1 (ko)
CN (2) CN106943909B (ko)
BR (1) BR102016025204B8 (ko)
ES (2) ES2934154T3 (ko)
WO (1) WO20170720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02002T3 (es) * 2014-09-23 2022-03-24 Sika Tech Ag Dispositivo de placa de cabeza, dispositivo de recipiente de almacenamiento disposición de cartucho, aparato de dispensado y su uso
CN110869110B (zh) * 2017-07-14 2022-11-18 3M创新有限公司 用于输送多个液体流的适配器
BR112019024621A2 (pt) * 2017-07-28 2020-06-16 3lmed GmbH Misturador
DE102017011666A1 (de) 2017-12-16 2019-06-19 Adrian Zounek Leitung für Fluide mit Mischfunktion
EP3505231A1 (en) * 2017-12-29 2019-07-03 Sulzer Mixpac AG Mixer, multi-component dispenser, and method of dispensing multi-component material from a multi-component dispenser
CN108722216A (zh) * 2018-06-12 2018-11-02 江苏普华盛包装科技有限公司 用于果粒饮料生产的静态混合器
US11975352B2 (en) * 2018-07-16 2024-05-07 Ppg Industries Ohio, Inc. Composition applicator tip and instrumentation
EP3823744A1 (en) * 2018-07-18 2021-05-26 Nordson Corporation Adapter with integral mixer element
DE102019101644B4 (de) 2019-01-23 2021-02-18 3lmed GmbH Mischer und Verfahren zum Vermischen zweier Komponenten
US20220105482A1 (en) * 2019-01-24 2022-04-07 Nordson Corporation Multi-material dispensing system having a quick-connect fluid dispenser that releasably couples to a pump housing
EP4007660A1 (en) * 2019-08-02 2022-06-08 Nordson Corporation Dispense tip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EP4048435A4 (en) * 2019-10-21 2023-11-29 Re Mixers, Inc. STATIC MIXER
US11772120B2 (en) * 2019-11-26 2023-10-03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Adhesive ribbon mix head with attachment for mix applicator
EP3906994A1 (en) * 2020-05-05 2021-11-10 Sulzer Mixpac AG Static mixer
CN113304353B (zh) * 2020-08-18 2023-01-10 深圳市立心科学有限公司 具有螺旋剪切机构的注射器
CN112473418B (zh) * 2020-11-06 2021-07-02 中国石油大学(北京) 一种连续油管用超干二氧化碳泡沫发生装置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7790A (ja) * 2012-10-23 2014-05-15 Nordson Corp 混合流体を吐出する吐出組立体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5540A (en) * 1987-12-07 1991-02-26 Laurence Colin Unit dosage dispenser for dental impression materials
US4771919A (en) * 1987-10-28 1988-09-20 Illinois Tool Works Inc. Dispensing device for multiple components
EP0584428B1 (de) 1992-08-24 1996-03-13 Wilhelm A. Keller Mischer für Doppelaustragskartuschen
DE59208365D1 (de) * 1992-11-30 1997-05-22 Wilhelm A Keller Kartusche mit mindestens einem Vorratszylinder und mit Mischer
US5413253A (en) * 1993-12-06 1995-05-09 Coltene/Whaledent, Inc. Static mixer
EP0664153B1 (de) 1994-01-19 1999-03-17 Wilhelm A. Keller Mischer
EP0723807B1 (en) * 1995-01-16 2001-09-19 Wilhelm A. Keller Mixer and multiple component dispensing device assembly and method for the aligned connection of the mixer to the multiple component dispensing device
EP1125641B1 (en) * 1995-03-07 2003-05-02 Wilhelm A. Keller Bayonet fastening device for the attachment of an accessory to a multiple component cartridge or dispensing device
DE69716887T2 (de) * 1997-06-18 2003-03-20 Wilhelm A Keller Mischer
PT1426099E (pt) * 2002-12-06 2007-12-04 Systems Ag Misturador estático e método
JP2010521384A (ja) * 2007-03-19 2010-06-24 スルザー ミックスパック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着脱式に取付け可能なアクセサリを有する分注アセンブリ
US8083397B2 (en) * 2008-06-13 2011-12-27 Nordson Corporation Static mixer
US7985020B2 (en) * 2009-09-25 2011-07-26 Nordson Corporation Cross flow inversion baffle for static mixer
WO2012116873A1 (en) 2011-03-03 2012-09-07 Sulzer Mixpac Ag Static mixer for a multicomponent dispensing appliance
DE202011101066U1 (de) 2011-05-25 2011-09-15 Ritter Gmbh Statischer Mischer
CA2789725C (en) * 2011-11-29 2019-08-06 Sulzer Mixpac Ag Mixing element for a static mix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7790A (ja) * 2012-10-23 2014-05-15 Nordson Corp 混合流体を吐出する吐出組立体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955615T3 (es) 2023-12-04
KR20180073673A (ko) 2018-07-02
EP3162433B1 (en) 2022-11-30
BR102016025204A2 (pt) 2017-05-02
US10786790B2 (en) 2020-09-29
JP2018538129A (ja) 2018-12-27
US20170120206A1 (en) 2017-05-04
CN206474027U (zh) 2017-09-08
CN106943909B (zh) 2021-06-29
ES2934154T3 (es) 2023-02-17
CN106943909A (zh) 2017-07-14
EP3359286A1 (en) 2018-08-15
BR102016025204B1 (pt) 2022-09-13
EP3359286B1 (en) 2023-06-28
WO2017072079A1 (en) 2017-05-04
EP3162433A1 (en) 2017-05-03
BR102016025204B8 (pt) 2023-03-21
JP6880015B2 (ja)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8209B1 (ko) 정적 혼합기
US10946349B2 (en) Mixing element for a static mixer
EP1110599B1 (de) Dynamischer Mischer für zahnärztliche Abdruckmassen
JP6158496B2 (ja) スタティック・ミキサ用の混合要素
EP1099470B1 (de) Vorrichtung zum Vermischen zweier pastöser Massen, insbesondere zum Vermischen einer Dental-Abformmasse mit einer Katalysatormasse
JP6829719B2 (ja) 入口混合要素、関連する静的ミキサ、及び、混合方法
WO2006111273A1 (de) Applikator für zwei oder mehr komponenten
WO2020104473A2 (de) Statischer mischer
KR20180048859A (ko) 스태틱 믹서, 스태틱 믹서의 조립 방법 및 디스펜싱 장치
EP2258468A1 (de) Mischsystem für Zweikomponentenkartusche
EP3710148A1 (en) Mixer, multi-component dispenser, and method of dispensing multi-component material from a multi-component dispenser
CN111050894A (zh) 混合器
EP2258466A1 (de) Mischsystem für Zweikomponentenkartusche
EP4371657A1 (en) Static mixer
DE10158651B4 (de) Statisches Mischelement
DE202008004552U1 (de) Vorrichtung zum Mischen und zur Abgabe von Kunststoffmassen
GB2484694A (en) Mixing extruded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