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370B1 - 쇼그렌 증후군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특정 트리플루오로에틸 퀴놀린 유사체 - Google Patents

쇼그렌 증후군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특정 트리플루오로에틸 퀴놀린 유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370B1
KR102627370B1 KR1020177031275A KR20177031275A KR102627370B1 KR 102627370 B1 KR102627370 B1 KR 102627370B1 KR 1020177031275 A KR1020177031275 A KR 1020177031275A KR 20177031275 A KR20177031275 A KR 20177031275A KR 102627370 B1 KR102627370 B1 KR 102627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drome
sjögren
trifluoroethyl
treatment
cer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1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0245A (ko
Inventor
로저 앤소니 앨런
프란체스카 바론
윌리엄 앤소니 페이
사바 나야르
Original Assignee
유씨비 바이오파마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씨비 바이오파마 에스알엘 filed Critical 유씨비 바이오파마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70140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09Non-condensed quinolines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2Non-condensed isoquinolines, e.g. papaverine
    • A61K31/4725Non-condensed isoquinolines, e.g. papaver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31Rectum, an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7Pulmonary tract; Aromatherapy
    • A61K9/0073Sprays or powders for inhalation; Aerolised or nebulised preparations generated by other means than thermal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N-{(R)-1-[8-클로로-2-(1-옥시피리딘-3-일)-퀴놀린-3-일]-2,2,2-트리플루오로에틸}-피리도[3,2-d]피리미딘-4-일아민은 쇼그렌 증후군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쇼그렌 증후군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특정 트리플루오로에틸 퀴놀린 유사체
본 발명은 공지된 화학적 화합물의 신규한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쇼그렌(Sjoegren) 증후군의 치료에서의 플루오르화된 에틸 측쇄를 포함하는 특정 치환된 퀴놀린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N-{(R)-1-[8-클로로-2-(1-옥시피리딘-3-일)퀴놀린-3-일]-2,2,2-트리플루오로에틸}-피리도[3,2-d]피리미딘-4-일아민이 WO 2012/032334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공개에서는 상기 화합물이, 특히 이상 염증성, 자가면역성, 심혈관성, 신경변성, 대사적, 종양학적, 통각수용적 및 안과적 병태의 치료에서 약학 물질로서 유리한 것으로 언급되고 있다.
하지만, WO 2012/032334에서는, 여기에 기술된 화합물이 쇼그렌 증후군의 치료에 유리할 수 있다고 구체적으로 개시하거나 제안하지 않는다.
쇼그렌 증후군은 면역 세포가 외분비선, 주로 타액선 및 누선을 공격하고 파괴하는 만성 자가면역 질환이다. 쇼그렌 증후군의 특징적 증상은 입(구강건조증) 및 눈(안구건조증; 건성각결막염)의 일반화된 건조증이다. 쇼그렌 증후군은 피부, 코 및 질 건조증을 유발할 수 있고, 신장, 혈관, 폐, 간, 췌장, 뇌 및 말초신경계를 비롯한 다른 신체 기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쇼그렌 증후군은 '일차성' 질환(스스로 발생)으로서,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결합 조직 질병, 예컨대 전신 홍반성 루프스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과 공동으로 일어나는 '이차성' 병태로서 임상적으로 분류된다.
쇼그렌 증후군은 지리학적 출현율에 있어서 변동이 거의 없거나 변동이 없이 집단 중 최대 3%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여겨진다. 여성은 질병 진전이 남성보다 거의 9배에 이른다. 평균 개시 연령은 40-60세이며, 쇼그렌 증후군의 출현율은 일반적으로 연령에 따라 증가한다.
쇼그렌 증후군은 증상이 안정되거나, 악화되거나 또는 차도를 보일 수 있는 신체의 중요 기관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일부 환자들은 건조한 눈과 입의 경미한 증상만을 경험할 수 있으나, 나머지는 건강을 약화시키는 사이클 이후에 심각한 질병으로 이어져서 고통을 받게 된다. 다수의 환자들이 이들의 증상을 개별적으로 치료할 수 있지만, 나머지는 흐린 시야, 끊임없는 눈의 불편함, 반복되는 구강 감염, 이하선의 부어오름, 쉰소리 및 삼키기와 식사의 어려움을 어쩔 수 없이 견뎌야 한다. 심신을 약화시키는 피로와 관절 통증은 삶의 질을 심각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현재 쇼그렌 증후군은 알려진 치료법도 선 분비를 회복시키는 효과적인 치료법도 없는 실정이다. 기존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증상이 있고 지지적이며, 수분 보충 요법(예, 눈 및 입의 건조증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함) 및 다양한 형태의 윤활을 포함한다. 만성 안구 건조 치료에 도움이 되는 시클로스포린과, 타액 유동의 자극에 도움이 되는 세비멜린 또는 필로카르핀을 포함한 처방약이 이용가능하다. 항염증제, 예컨대 메토트렉세이트 및 히드록시클로로퀸은, 또한 근골격계 증상의 개선을 위해 처방되었다. 하지만, 광범위한 범위의 심각한 부작용으로 인해 현재 이용가능한 약제 중 어느 것도 이상적이지 않다.
놀랍게도, N-{(R)-1-[8-클로로-2-(1-옥시피리딘-3-일)-퀴놀린-3-일]-2,2,2-트리플루오로에틸}피리도[3,2-d]피리미딘-4-일아민은 생체 내에서 쇼그렌 증후군의 동물 모델에 효과적임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쇼그렌 증후군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하기 화학식 A의 N-{(R)-1-[8-클로로-2-(1-옥시피리딘-3-일)퀴놀린-3-일]-2,2,2-트리플루오로에틸}피리도[3,2-d]피리미딘-4-일아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7106732359-pct00001
본 발명은 또한 쇼그렌 증후군의 치료 및/또는 예방 방법으로서, 이의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상기 제시된 화학식 A의 N-{(R)-1-[8-클로로-2-(1-옥시피리딘-3-일)퀴놀린-3-일]-2,2,2-트리플루오로에틸}피리도[3,2-d]피리미딘-4-일아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약제의 제조를 위한, 상기 제시된 화학식 A의 N-{(R)-1-[8-클로로-2-(1-옥시피리딘-3-일)퀴놀린-3-일]-2,2,2-트리플루오로에틸}피리도[3,2-d]피리미딘-4-일아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쇼그렌 증후군의 효과적인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해, 상기 제시된 화학식 A의 N-{(R)-1-[8-클로로-2-(1-옥시피리딘-3-일)퀴놀린-3-일]-2,2,2-트리플루오로에틸}피리도[3,2-d]피리미딘-4-일아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약학 담체와 회합된 상태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전형적인 약학 조성물은 경구용, 협측용, 비경구용, 비내용, 국부용, 안과용 또는 직장용 투여에 적당한 형태, 또는 흡입 또는 통기에 의한 투여에 적당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경구용 투여의 경우, 약학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정제, 로젠즈, 캡슐, 용액, 시럽 또는 현탁액의 형태를 취할 수 있거나, 또는 사용 전에 물 또는 다른 적당한 비히클과 구성되기 위한 건조 제품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협측용 투여의 경우, 조성물은 정제 또는 로젠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비경구용 투여의 경우, 조성물은, 예를 들어 볼루스 주사 또는 주입에 의한 주사를 위해, 피하 투여를 위해, 또는 지속성 제형, 예컨대 이식에 의해 또는 근육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는 데포트(depot) 제제로서 조제될 수 있고; 주사용 제형은 단위 제형, 예컨대 유리 앰플 또는 다중 투약 용기, 예컨대 유리 바이알 내에 존재할 수 있고, 그러한 형태를 유성 또는 수성 비히클 중 현탁액, 용액 또는 에멀션으로서 취할 수 있거나, 또는 활성 성분이 사용 전에 적당한 비히클, 예컨대 멸균 발열인자-불포함 물과 구성되기 위한 분말 형태일 수 있다. 비내용 투여 또는 흡입용 투여의 경우, 조성물은 가압 팩에 제시된 에어로졸 스프레이 또는 네뷸라이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국부용 투여의 경우, 조성물을 연고 또는 로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안과용 투여의 경우, 조성물은 미분화된 현탁액 또는 연고로서 조제될 수 있다. 직장용 투여의 경우, 조성물은 좌제로서 조제될 수 있다.
조성물은, 예를 들어 문헌[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Pharmaceutical Press, 21st Edition, 201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약학 분야에 잘 공지된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조제될 수 있다.
쇼그렌 증후군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해, N-{(R)-1-[8-클로로-2-(1-옥시피리딘-3-일)퀴놀린-3-일]-2,2,2-트리플루오로에틸}피리도[3,2-d]피리미딘-4-일아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체중을 기준으로 약 1 ng/kg 내지 1000 mg/kg, 일반적으로 약 2 ng/kg 내지 500 mg/kg, 통상 약 5 ng/kg 내지 200 mg/kg, 적절하게 약 10 ng/kg 내지 100 mg/kg, 이상적으로 약 10 ng/kg 내지 50 mg/kg, 더욱 구체적으로는 약 10 ng/kg 내지 40 mg/kg의 1일 투여량으로 적절하게 투여될 수 있다. 활성 성분은 통상 1일 1-4회의 섭생으로 투여된다.
필요하다면, N-{(R)-1-[8-클로로-2-(1-옥시피리딘-3-일)퀴놀린-3-일]-2,2,2-트리플루오로-에틸}피리도[3,2-d]피리미딘-4-일아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또다른 약학적 활성제, 예컨대 항염증제 분자, 예컨대 메토트렉세이트 또는 히드록시클로로퀸과 동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측면은 이하 기술된다.
쇼그렌 증후군을 모방하는 쥐과동물 타액선 내 이소성 림프구형성(ectopic lymphoneogenesis)의 유도성 모델로 생체내에서 N-{(R)-1-[8-클로로-2-(1-옥시피리딘-3-일)퀴놀린-3-일]-2,2,2-트리플루오로에틸}-피리도[3,2-d]피리미딘-4-일아민["화합물 A"로서 이하 지칭됨]을 조사하였다. 얻은 결과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한다.
도 1에는 비히클 또는 0일째에 예방적으로 화합물 A를 처리한 마우스의 타액선에서 캐뉼라삽입 후 15일째에서의 림프구 프로파일의 FACS(형광 표지 세포 분류) 분석을 도시한다.
Figure 112017106732359-pct00002

도 2에는 비히클 또는 캐뉼라삽입 후 3일째에 치료적으로 화합물 A를 처리한 마우스의 타액선에서 캐뉼라삽입 후 15일째에서의 림프구 프로파일의 FACS 분석을 도시한다.
Figure 112017106732359-pct00003

도 3에는 비히클 또는 0일째에 예방적으로 화합물 A를 처리한 마우스의 타액선에서 캐뉼라삽입 후 15일째에서의 TLO(3차 림프구성 기관) 관련 유전자의 유전자 발현을 도시한다. 제시된 유전자를 코딩하는 mRNA 전사산물의 RT-PCR 정량 분석은 하우스키핑 유전자로 정규화되었다. RQ로 제시된 상대 발현 값은 캐뉼라삽입 후 0일째의 타액선 값으로 보정되었다.
Figure 112017106732359-pct00004

도 4에는 비히클 또는 캐뉼라삽입 후 0일째에 예방적으로 또는 3일째에 치료적으로 화합물 A를 처리한 마우스의 타액선에서 캐뉼라삽입 후 15일째에서의 TLO 관련 유전자의 유전자 발현을 도시한다.
Figure 112017106732359-pct00005
방법
쇼그렌 증후군의 인지된 동물 모델인, 문헌[M. Bombardieri et al. in J. Immunol., 2012, 189, 3767-3776]에 의해 기술된 유도성 이소성 림프구성 조직 형성의 쥐과 모델의 생체 내에서 화합물 A를 평가하였다.
간단히 말해서, 턱밑선 배출관의 역행 캐뉼라삽입을 통해 야생형(C57BL/6) 마우스를 복제 결함 아데노바이러스 5(AdV5)(108 p.f.u.)에 감염시키고 캐뉼라삽입 후 특정 시점에 희생시켰다. 화합물 A, 또는 비히클 대조군을 위관영양법에 의해 매일 예방적 및 치료적으로 투여하였으며, 캐뉼라삽입 후 0일째 또는 3일째에 각각 개시하였다. 단리된 쥐과동물 타액선에서 면역 세포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단일 세포 현탁액 상에서의 유동 세포 분석 및 정량 리얼 타임 PCR을 사용하여 샘플 내 단백질 및 mRNA 발현을 평가하였다.
타액선 및 유동 세포 분석의 효소 분해
기질 세포 분해
화합물 A 또는 비히클을 투여한 마우스로부터의 복제 결함 AdV5-주입된 타액선을 상이한 시점에 도태된 마우스로부터 단리시켰다. 타액선을 해부하고 얼음 상 RPMI-1640(2% FCS 포함)(1 mL) 중에 배치하였다. 일단 모든 타액선을 수집하면, RPMI-1640을 제거하고 효소 믹스(2% FCS 포함 RPMI, 0.8 mg/mL 디스파제, 0.2 mg/mL 콜라게나제 P, 및 0.1 mg/mL DN아제 I)(2 mL)로 대체하였다. 타액선을 작은 조각으로 절단하고 튜브들을 자석 교반기가 구비된 37℃의 수조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20분 후, 타액선 단편들을 1 mL 피펫을 사용하여 매우 천천히 피펫팅함으로써, 조직을 좀 더 파괴하고 대부분의 세포를 방출시켰다. 혼합물을 수조에서 재배치하고 대형 단편들을 30초 동안 가라앉히고, 이 시간 후 효소 믹스를 제거하였다. 얼음 냉각된 FACS 버퍼(0.5% BSA, PBS 중 2 mM EDTA)(10 mL)를 첨가하고 원심분리하였다(1800 rpm, 4분, 4℃). 원심분리 후, 새로운 효소 믹스(2 mL)를 분해 튜브에 첨가하였다. 1 mL 피펫을 사용하여 내용물을 천천히 혼합하고, 1 mL 피펫을 사용하여 규칙적으로 천천히 혼합시키면서 인큐베이션하였다. 10분 후, 1 mL 피펫을 사용하여 30초 동안 강력하게 세포를 혼합하였다. 단편들을 다시 가라앉히고, 상청액을 제거하고 미리 회전시킨 세포 펠렛에 첨가하고, 새로운 효소 믹스(2 mL)를 분해 튜브에 첨가하였다. 이후, 빛에 들어 보았을 때 모든 잔여 타액선 단편들이 완전히 분해된 것이 분명해질 때까지 1 mL 피펫을 사용하여 매 5분마다 분해 믹스를 강력하게 혼합하였다. 최종적으로 각 수집 튜브가 타액선의 전체 세포 내용물을 함유할 때까지 각각 제거 후 상청액을 원심분리하였다(1800 rpm, 4 minutes, 4℃). 70 μm 나일론 메쉬에 세포를 여과시키고 혈구측정기를 사용하여 계수하였다.
유동 세포 분석법
단일 세포 현탁액을, 하기 항체의 '칵테일': CD45 PERCPCY5.5 (1:300) 또는 CD45 eFluor780 (1:800) 클론 30-F11, CD3e PECY7 또는 FITC (1:100) 클론 145-2C11, CD4 efluor450 (1:100) 클론 RM4-5, CD62L PE (1:500) 클론 MEL-14, CD44 FITC (1:500) 클론 IM7, CD8a APC (1:400) 클론 53-6.7, B220 FITC (1:200) 또는 B220 efluor450 (1:50) 클론 RA3-6B2, CD23 PE (1:200) 클론 B3B4, CD19 PE (1:200) 또는 APC-CY7 (1:100) 클론 1D3 및 CD5 FITC (1:100) 클론 53-7.3(모두 eBioscience) 및 CD21 APC (1:50) 클론 7G6(BD Biosciences)을 가진 얼음 냉각된 FACS 버퍼(0.5% BSA, PBS 중 2 mM EDTA) 중에서 30분 동안 4℃에서 희석된 항체(100 μL)와 인큐베이션하였다. 제조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고정/투과화 버퍼 세트(eBioscience)를 사용하여 Ki67에 대한 세포내 염색을 수행하였다. 간단히 말해서, 원하는 항체의 칵테일로 표면 염색 후, 세포를 FACS 버퍼 중에 세척하고, 고정/투과화 버퍼(eBioscience)(350 μL) 중에 재현탁하고 30분 동안 4℃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를 투과화 버퍼(eBiosciences)로 1800 rpm에서 4분 동안 2회 세척하고 이어서 20분 동안 4℃에서 Ki67 Alexa-Fluor647 (1:50) 클론 B56(BD Biosciences)과 인큐베이션하였다. 이후, 세포를 세척 버퍼로 세척하고, FACS 버퍼 중에 재현탁하고, 생존 불가능한 세포를 제외하도록 설정된 전방/측면 산란 게이트를 구비한 Cyan-ADP(Dak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FlowJo 소프트웨어(Tree Star)로 데이타를 분석하였다.
결과
단리된 림프구 상 유동 세포 분석에 의해 확인된 바와 같이, 비히클 처리된 마우스와 비교하였을 때, 화합물 A로 예방적 처리된 마우스의 캐뉼라삽입된 타액선에서 생체 내 T 및 B 세포 개수의 유의미한 감소가 관찰되었다(도 1). 유사하게, 단리된 림프구 상 유동 세포 분석에 의해 확인된 바와 같이, 비히클 처리된 마우스와 비교하였을 때, 캐뉼라삽입 후 3일째에 화합물 A로 치료적 처리된 마우스의 캐뉼라삽입된 타액선에서 생체 내 T 및 B 세포 개수의 유의미한 감소가 관찰되었다(도 2).
TLO 관련 유전자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이 또한 화합물 A로 예방적 처리된 마우스에서 유의미하게 억제되었다(도 3 & 4). 이러한 감소는 캐뉼라삽입 후 3일째에 치료적 처리된 마우스에서 보존되었다(도 4).
결론
이러한 연구는, 화합물 A가, 쇼그렌 증후군의 인지된 생체 내 동물 모델에서 예방적 또는 치료적으로 투여되었을 때 염증 병소의 분해 및 타액선 염증의 분해에 효과적임을 입증한다.

Claims (4)

  1. 삭제
  2.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로서, 유효량의 N-{(R)-1-[8-클로로-2-(1-옥시피리딘-3-일)퀴놀린-3-일]-2,2,2-트리플루오로에틸}피리도[3,2-d]-피리미딘-4-일아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쇼그렌 증후군은 일차성 쇼그렌 증후군인 약학 조성물.
KR1020177031275A 2015-04-21 2016-04-20 쇼그렌 증후군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특정 트리플루오로에틸 퀴놀린 유사체 KR1026273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1506786.1A GB201506786D0 (en) 2015-04-21 2015-04-21 Therapeutic use
GB1506786.1 2015-04-21
PCT/EP2016/058810 WO2016170014A1 (en) 2015-04-21 2016-04-20 A specific trifluoroethyl quinoline analogue for use in the treatment of sjögren's syndro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245A KR20170140245A (ko) 2017-12-20
KR102627370B1 true KR102627370B1 (ko) 2024-01-18

Family

ID=53298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1275A KR102627370B1 (ko) 2015-04-21 2016-04-20 쇼그렌 증후군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특정 트리플루오로에틸 퀴놀린 유사체

Country Status (27)

Country Link
US (1) US10493074B2 (ko)
EP (1) EP3285772B1 (ko)
JP (1) JP6721606B2 (ko)
KR (1) KR102627370B1 (ko)
CN (1) CN107530344B (ko)
AR (1) AR105552A1 (ko)
AU (1) AU2016251236B2 (ko)
BR (1) BR112017020591B8 (ko)
CA (1) CA2981631C (ko)
CL (1) CL2017002669A1 (ko)
CO (1) CO2017010573A2 (ko)
CY (1) CY1122572T1 (ko)
DK (1) DK3285772T3 (ko)
EA (1) EA032432B1 (ko)
ES (1) ES2763335T3 (ko)
GB (1) GB201506786D0 (ko)
HR (1) HRP20192273T1 (ko)
HU (1) HUE047162T2 (ko)
IL (1) IL254766B (ko)
LT (1) LT3285772T (ko)
MX (1) MX2017013148A (ko)
MY (1) MY192972A (ko)
PL (1) PL3285772T3 (ko)
PT (1) PT3285772T (ko)
SG (1) SG11201707789YA (ko)
SI (1) SI3285772T1 (ko)
WO (1) WO20161700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708856D0 (en) 2017-06-02 2017-07-19 Ucb Biopharma Sprl Seletalisib crystalline form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2334A1 (en) * 2010-09-08 2012-03-15 Ucb Pharma S.A. Quinoline and quinoxaline derivatives as kinase inhibitor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31569B (zh) * 2004-05-13 2011-06-22 艾科斯有限公司 作为人磷脂酰肌醇3-激酶δ抑制剂的喹唑啉酮
JP5527761B2 (ja) * 2007-03-23 2014-06-25 アムジエン・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複素環化合物およびそれの使用
JP5889795B2 (ja) * 2009-11-05 2016-03-22 ライゼン・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エスアー 新規キナーゼモジュレーター
UA112517C2 (uk) * 2010-07-06 2016-09-26 Новартіс Аг Тетрагідропіридопіримідинові похідні
WO2014201409A1 (en) * 2013-06-14 2014-12-18 Gilead Sciences, Inc.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inhibito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2334A1 (en) * 2010-09-08 2012-03-15 Ucb Pharma S.A. Quinoline and quinoxaline derivatives as kinase inhibi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6251236A1 (en) 2017-11-09
CA2981631C (en) 2023-02-21
CL2017002669A1 (es) 2018-05-11
CN107530344B (zh) 2020-03-17
KR20170140245A (ko) 2017-12-20
EA201792318A1 (ru) 2018-05-31
CY1122572T1 (el) 2021-01-27
SI3285772T1 (sl) 2020-02-28
EP3285772A1 (en) 2018-02-28
GB201506786D0 (en) 2015-06-03
PL3285772T3 (pl) 2020-05-18
HUE047162T2 (hu) 2020-04-28
EP3285772B1 (en) 2019-10-02
US20180092921A1 (en) 2018-04-05
BR112017020591B8 (pt) 2023-05-16
HRP20192273T1 (hr) 2020-03-06
US10493074B2 (en) 2019-12-03
SG11201707789YA (en) 2017-11-29
BR112017020591B1 (pt) 2023-02-07
WO2016170014A1 (en) 2016-10-27
MY192972A (en) 2022-09-20
CO2017010573A2 (es) 2018-03-09
EA032432B1 (ru) 2019-05-31
JP6721606B2 (ja) 2020-07-15
MX2017013148A (es) 2018-02-21
PT3285772T (pt) 2020-01-14
AR105552A1 (es) 2017-10-18
JP2018513862A (ja) 2018-05-31
LT3285772T (lt) 2020-01-10
CN107530344A (zh) 2018-01-02
BR112017020591A2 (pt) 2018-07-03
DK3285772T3 (da) 2020-01-13
IL254766B (en) 2020-05-31
CA2981631A1 (en) 2016-10-27
ES2763335T3 (es) 2020-05-28
IL254766A0 (en) 2017-12-31
AU2016251236B2 (en)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63185B1 (e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ammation-induced and/or immune-mediated bone loss
US11344545B2 (en) Use of levocetirizine and montelukast in the treatment of autoimmune disorders
JP2022058443A (ja) 全身性エリテマトーデスの治療のための3-(4-((4-(モルホリノメチル-ベンジル)オキシ)-1-オキソイソインドリン-2-イル)ピペリジン-2,6-ジオン
WO2009102021A1 (ja) 骨髄由来幹細胞、前駆細胞機能賦活による網膜疾患治療
US9814729B2 (en) Nerve agent antidotes
KR102627370B1 (ko) 쇼그렌 증후군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특정 트리플루오로에틸 퀴놀린 유사체
US10548870B2 (en) Method for treating multiple sclerosis
WO2011131705A1 (en) Treatment of multiple sclerosis with masitinib
CN110891580A (zh) 使用三氧化二砷治疗多发性硬化症的方法
CN115300507B (zh) I-brd9作为arih1激动剂的用途
US20230355549A1 (en) Method of preventing kidney injury disruption of intestinal lymphatics
US20210382037A1 (en) Identification and use of cytotoxic t lymphocyte (ctl) antigen-specific target cell killing enhancer agents
CN117442738A (zh) 一种联合用药物组合物在制备预防或治疗t细胞淋巴瘤的药物中的应用
WO2019126643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williams syndrome (ws) thera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