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113B1 - 시설물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시설물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113B1
KR102627113B1 KR1020190068606A KR20190068606A KR102627113B1 KR 102627113 B1 KR102627113 B1 KR 102627113B1 KR 1020190068606 A KR1020190068606 A KR 1020190068606A KR 20190068606 A KR20190068606 A KR 20190068606A KR 102627113 B1 KR102627113 B1 KR 102627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acility
shock absorber
shock
electric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1726A (ko
Inventor
유정훈
김상권
김동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068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113B1/ko
Publication of KR20200141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1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for column or post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시설물 완충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시설물 완충장치는: 전주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표시부가 구비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설물 완충장치{ABSORBING SHOCK DEVICE FOR FACILITY}
본 발명은 시설물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주의 위치 확인이 가능함은 물론, 전주에 차량 등 대상체가 충돌되는 경우 충격을 완화시키는 시설물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에는 주간에 식별이 용이하고 야간에 차량의 불빛을 반사하여 전주의 위치를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주 도색판이 설치된다. 그러나, 전주 도색판은 주의 표시만 할 뿐이므로, 전주에 차량의 충돌사고 등 외력이 가해지면 전주가 전복되거나 굴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주 주변의 시설물 등이 파손되거나 보행자가 다치는 사고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0122호(발명의 명칭: 전주도색판, 공개일: 2009.08.25.)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전주의 위치 확인이 가능함은 물론, 전주에 차량 등 대상체가 충돌되는 경우 충격을 완화시키는 시설물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시설물 완충장치는: 전주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표시부가 구비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는 복수개로 상기 본체부의 외측둘레를 따라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전주를 감싸고, 개폐가능하며, 외측면에 상기 표시부가 구비되고, 상기 충격흡수부가 돌출되는 본체베이스부; 및 상기 본체베이스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주와 접촉되는 제1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본체베이스부의 내측둘레를 따라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베이스부의 하측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본체바닥부; 및 상기 본체바닥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바닥과 접촉되는 제2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본체바닥부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베이스부는, 상기 전주를 감싸고, 외측면에 상기 표시부가 구비되며,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제1회전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본체베이스판; 이웃한 상기 본체베이스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베이스판을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상기 본체베이스판을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바닥부는 복수개의 상기 본체베이스판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본체바닥판을 구비하고, 복수개의 상기 본체바닥판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제2회전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는, 상기 본체부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충격흡수판; 및 상기 충격흡수판의 내부에 배치되며, 충격을 흡수하여 분산시키는 충격흡수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완충장치는 표시부를 통해 전주의 위치 확인이 가능함은 물론, 차량 등 대상체의 충돌시 회전되면서 충격의 일부를 회전모멘트로 변환시켜 대상체이 전주를 비켜나도록 함으로써, 전주에 대상체가 충돌되는 경우 충격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격흡수부가 본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외력을 가하는 대상체와 가장먼저 부딪혀 대상체가 가하는 외력을 흡수하여 전주로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막아 외력으로부터 전주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주를 감싸는 본체베이스부가 개폐가능하므로, 시설물 완충장치를 전주에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주를 감싸는 본체베이스부에 제1회전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은 물론, 바닥과 접촉되는 본체바닥부에도 제2회전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시설물 완충장치에 대상체가 충돌시 시설물 완충장치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완충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완충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완충장치가 개폐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완충장치에 대상체가 충돌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완충장치에 대상체가 충돌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완충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완충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완충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완충장치가 개폐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완충장치에 대상체가 충돌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완충장치에 대상체가 충돌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완충장치(1)는 본체부(100)와 충격흡수부(2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전주(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표시부(117)가 구비된다. 본체부(100)는 전주(10)의 외측면을 감싸며, 외력이 충격흡수부(200)에 가해지는 경우, 즉 차량 등 대상체(30)가 부딪히는 경우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외력을 가하는 대상체(30)의 방향을 변환하여 대상체(30)가 전주(10)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 즉, 대상체(30)의 충돌시 회전되면서 충격의 일부를 회전모멘트로 변환시켜 대상체(30)가 전주(10)를 비켜나도록 한다. 전주(10) 및 후술된 지상기기(20)는 시설물에 포함된다.
본체부(100)는 외측면에 표시부(117)가 구비되어 전주(1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표시부(117)는 형광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야간에서 인식이 가능하다(도 1 참조).
충격흡수부(200)는 본체부(10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충격을 흡수한다. 충격흡수부(200)는 복수개로 본체부(100)의 외측둘레를 따라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충격흡수부(200)는 본체부(10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외력을 가하는 대상체(30)와 가장먼저 부딪혀 대상체(30)가 가하는 외력을 흡수하여 전주(10)로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충격흡수부(200)는 외력이 전주(1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 즉, 대상체(30)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여, 외력으로부터 전주(1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전주(10)에 근처에 설치되는 지상기기(20)에 대상체(30)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본체베이스부(110)와 제1회전부(120)를 포함한다. 본체베이스부(110)는 전주(10)를 감싸고, 외측면에 표시부(117)가 구비되고, 충격흡수부(200)가 돌출된다. 본체베이스부(110)는 개폐하여 전주(10)로부터 본체부(100)를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제1회전부(120)는 본체베이스부(1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주(10)와 접촉된다.
제1회전부(120)는 본체베이스부(110)의 내측둘레를 따라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제1회전부(120)는 본체베이스부(1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된다(도 2 참조).
본체부(100)는 본체바닥부(130)와 제2회전부(140)를 더 포함한다. 본체바닥부(130)는 본체베이스부(110)의 하측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제2회전부(140)는 본체바닥부(13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바닥(40)과 접촉된다. 제2회전부(140)는 본체바닥부(130)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배치된다(도 2 내지 도 4 참조).
도 5,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충격흡수부(200)에 대상체(30)가 외력을 가하면, 제1회전부(120)가 전주(10)의 외측둘레를 따라 회전되고, 본체베이스부(110)가 회전된다. 이때, 제2회전부(140) 역시 바닥(40)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되고, 본체바닥부(130)가 회전된다. 이로써, 본체부(100)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100)가 용이하게 회전됨에 따라 충격흡수부(200)에 외력을 가한 대상체(30)의 방향이 신속하게 변환될 수 있다. 그 결과, 전주(10)에 직접적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것, 즉 대상체(30)가 정면충돌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체베이스부(110)는 복수개의 본체베이스판(111, 112, 113), 힌지부(115) 및 결합부(116)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본체베이스판(111, 112, 113)은 전주(10)를 감싸고, 외측면에 표시부(117)가 구비되며,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1회전부(12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힌지부(115)는 이웃한 본체베이스판(111, 112, 113) 사이에 배치되어 본체베이스판(111, 112, 113)을 연결한다. 결합부(116)는 힌지부(115)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본체베이스판(111, 112, 113)을 결합한다(도 3, 도 4 참조).
일 예로, 복수개의 본체베이스판(111, 112, 113)은 제1베이스판(111), 제2베이스판(112) 및 제3베이스판(113)을 포함한다. 제1베이스판(111)은 전주(10)의 일측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제2베이스판(112)은 힌지부(115)에 의해 제1베이스판(1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3베이스판(113)은 힌지부(115)에 의해 제1베이스판(1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베이스판(112)과 제3베이스판(113)은 힌지부(115)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서로 벌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100)를 전주(10)에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전주(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제1베이스판(111), 제2베이스판(112) 및 제3베이스판(113)에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1회전부(1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상체(30)의 충돌시 회전되면서 충격의 일부를 회전모멘트로 변환시켜 대상체(30)가 전주(10)를 비켜나도록 할 수 있다.
제2베이스판(112) 및 제3베이스판(113)은 각각 결합판(112a, 113a)을 구비하며, 결합판(112a, 113a)에는 결합홀부(112b, 113b)가 형성된다. 이때, 결합홀부(112b, 113b)는 복수개가 결합판(112a, 113a)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도 1, 도 2 참조).
결합부(116)는 볼트와 너트로 볼트가 결합홀부(112b, 113b)를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너트가 볼트와 나사결합되면서 제2베이스판(112)과 제3베이스판(113)이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체부(100)는 전주(10)를 감싸도록 전주(10)에 설치될 수 있다.
본체바닥부(130)는 복수개의 본체베이스판(111, 112, 113)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본체바닥판(131, 132, 133)을 구비하고, 복수개의 본체바닥판(131, 132, 133) 중 적어도 하나에 제2회전부(14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도 2, 도 3 참조).
일 예로, 복수개의 본체바닥판(131, 132, 133)은 제1바닥판(131), 제2바닥판(132) 및 제3바닥판(133)을 포함한다. 제1바닥판(131)은 제1베이스판(111)의 하측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제2바닥판(132)은 제2베이스판(112)의 하측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제3바닥판(133)은 제3베이스판(113)의 하측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제1바닥판(131), 제2바닥판(132) 및 제3바닥판(133)에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2회전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본체베이스판(111, 112, 113)은 제1베이스판(111), 제2베이스판(112) 및 제3베이스판(113) 세 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는 한정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복수개의 본체베이스판(111, 112, 113)의 개수는 변경가능하다. 복수개의 본체바닥판(131, 132, 133) 역시 제1바닥판(131), 제2바닥판(132) 및 제3바닥판(133) 세 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는 한정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복수개의 본체바닥판(131, 132, 133)의 개수는 변경가능하다. 이때, 복수개의 본체바닥판(131, 132, 133)은 복수개의 본체베이스판(111, 112, 113)와 동일한 개수로 변경될 수 있다.
충격흡수부(200)는 충격흡수판(210)과 충격흡수재(220)를 포함한다. 충격흡수판(210)은 본체부(100)에서 일측으로 돌출된다. 충격흡수재(220)는 충격흡수판(2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충격을 흡수하여 분산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완충장치(1)는 표시부(117)를 통해 전주(10)의 위치 확인이 가능함은 물론, 차량 등 대상체(30)의 충돌시 회전되면서 충격의 일부를 회전모멘트로 변환시켜 대상체(30)가 전주(10)를 비켜나도록 함으로써, 전주(10)에 대상체(30)가 충돌되는 경우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시설물 완충장치 10 : 전주
20 : 지상기기 30 : 대상체
40 : 바닥 100 : 본체부
110 : 본체베이스부 111 : 제1베이스판
112 : 제2베이스판 113 : 제3베이스판
112a, 113a : 결합판 112b, 113b : 결합홀부
115 : 힌지부 116 : 결합부
117 : 표시부 120 : 제1회전부
130 : 본체바닥부 131 : 제1바닥판
132 : 제2바닥판 133 : 제2바닥판
140 : 제2회전부 200 : 충격흡수부
210 : 충격흡수판 220 : 충격흡수부재

Claims (9)

  1. 전주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표시부가 구비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전주를 감싸고, 개폐가능하며, 외측면에 상기 표시부가 구비되고, 상기 충격흡수부가 돌출되는 본체베이스부;
    상기 본체베이스부의 하측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본체바닥부; 및
    상기 본체바닥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바닥과 접촉되는 제2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완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는 복수개로 상기 본체부의 외측둘레를 따라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완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베이스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주와 접촉되는 제1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완충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본체베이스부의 내측둘레를 따라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완충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본체바닥부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완충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베이스부는,
    상기 전주를 감싸고, 외측면에 상기 표시부가 구비되며,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제1회전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본체베이스판;
    이웃한 상기 본체베이스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베이스판을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상기 본체베이스판을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완충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바닥부는 복수개의 상기 본체베이스판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본체바닥판을 구비하고,
    복수개의 상기 본체바닥판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제2회전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완충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는,
    상기 본체부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충격흡수판; 및
    상기 충격흡수판의 내부에 배치되며, 충격을 흡수하여 분산시키는 충격흡수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완충장치.
KR1020190068606A 2019-06-11 2019-06-11 시설물 완충장치 KR102627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606A KR102627113B1 (ko) 2019-06-11 2019-06-11 시설물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606A KR102627113B1 (ko) 2019-06-11 2019-06-11 시설물 완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726A KR20200141726A (ko) 2020-12-21
KR102627113B1 true KR102627113B1 (ko) 2024-01-22

Family

ID=74090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606A KR102627113B1 (ko) 2019-06-11 2019-06-11 시설물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1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357B1 (ko) * 2011-05-13 2012-01-02 임동규 충격 보호대
KR101179235B1 (ko) * 2012-01-30 2012-09-04 우리화학 주식회사 충격 완화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357B1 (ko) * 2011-05-13 2012-01-02 임동규 충격 보호대
KR101179235B1 (ko) * 2012-01-30 2012-09-04 우리화학 주식회사 충격 완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726A (ko) 202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99429A2 (en) Vehicle hood hinge
KR20010027302A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
KR100921102B1 (ko) 자동차의 후드 힌지 구조
JP2003191812A (ja) オペレータの保護構造物及びその支持装置
KR102060503B1 (ko) 가공배전선로가 구비된 전신주 추돌 방지 장치
JP3716422B2 (ja) 車両用前部構造
KR102627113B1 (ko) 시설물 완충장치
KR100726165B1 (ko) 차량의 액티브 후드용 힌지장치
EP2380787B1 (en) Hinge Mechanism
CN105114406A (zh) 一种箱盖辅助防护装置
JP2016216036A (ja) ボンネットヒンジ、ボンネットヒンジ制御システム及び車両
CN220909420U (zh) 车门铰链组件及车辆
KR100471495B1 (ko) 자동차용 후드패널의 충격흡수구조
KR20020044304A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100376469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20110004946A (ko) 지상기기 보호용 방호대
KR20090097554A (ko) 주차장 자동차 보호 장치
KR100376465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0143652B1 (ko) 자동차 도어 보호 장치
KR200327332Y1 (ko) 윙 바디 트럭의 개폐장치
KR100440052B1 (ko) 대형차량의 가이드암 보호장치
KR100384602B1 (ko) 차량 충돌시 충격 완화 장치
KR100398441B1 (ko) 자동차 후드의 충격 완화장치
KR200284120Y1 (ko) 대형차량의 승객보호용 안전장치
KR100482101B1 (ko) 자동차 도어의 승객 보호용 충격 흡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