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724B1 - 신발의 안창 - Google Patents

신발의 안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724B1
KR102626724B1 KR1020217041178A KR20217041178A KR102626724B1 KR 102626724 B1 KR102626724 B1 KR 102626724B1 KR 1020217041178 A KR1020217041178 A KR 1020217041178A KR 20217041178 A KR20217041178 A KR 20217041178A KR 102626724 B1 KR102626724 B1 KR 102626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layer
wall
hardness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1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0532A (ko
Inventor
하야토 히로세
Original Assignee
위닝 원 씨오.,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닝 원 씨오.,엘티디. filed Critical 위닝 원 씨오.,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010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7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7/0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lateral arch, i.e. the cuboid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4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made of sponge, rubber, or plast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4Special medical insertions for shoes for flat-feet, club-feet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발의 관절의 적절한 맞물림을, 보다 고도의 수준으로, 자연스럽게 유지시킬 수 있게 하는 신발의 안창을 제공한다.
신발의 바닥면의 전체에 배치되는 시트부와, 시트부보다도 경질의 소재로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시트부 및 지지 플레이트는 아치형으로 만곡시키고, 또한, 단부를 상방으로 상승시킨 내측 벽부와; 아치형으로 만곡시키고, 또한, 단부를 상방으로 상승시킨 외측 벽부와; 상기 내측 벽부와 상기 외측 벽부 사이에 형성된 중앙 벽부;를 가지며, 지지 플레이트는 내측 벽부와 중앙 벽부의 경계 상에 형성된 내측 볼록조부 및 상기 외측 벽부와 중앙 벽부의 경계 상에 형성된 외측 볼록조부를 가지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내측 벽부 및 상기 외측 벽부의 각각에 지지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내측 볼록조부와 외측 볼록조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중앙 벽부의 적어도 상면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아치를 그리듯이 만곡되어 있다.

Description

신발의 안창
본 발명은 신발의 안창에 관한 것이다.
운동시, 사람의 신체, 특히 발의 관절 나아가서는 발과 허리에 부담이 가해지는 것으로 신체에 통증이나 비뚤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고려하여, 본원의 발명자는, 본원과 유사한 발명으로서, 신발을 신었을 때 발의 골격의 밸런스를 맞출 수 있는 신발의 안창을 개발하고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신발의 안창은, 발바닥의 대략 전체를 배치시키는 시트부의 상면측에, 모지구보다도 약간 발뒤꿈치측의 중앙 부분에 대향하도록, 중앙 볼록부와 그 양측에 중앙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신발의 안창은, 시트부의 하면측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발뒤꿈치에 대응되는 부분까지를 대략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장착시킨 경질의 지지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 지지 플레이트에는, 시트부의 일부를 끼워 맞추게 하는 관통 구멍이, 지지 플레이트의 양측 가장자리를 대략적으로 따라 2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에는, 2열의 관통 구멍의 내측에, 안창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조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특허문헌 1의 안창은, 발의 골격을 바람직한 위치에 배치시켜, 보행시 등의 운동시에 있어서의 발이나 신체의 비뚤어짐에 기인하는 부담을 경감시키는 매우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5-085134호 공보
발은 특히 다수의 뼈가 조합되어 구성되어 있지만, 신체 전체의 체중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발의 관절이 약간만 어긋나도 자세의 밸런스가 무너질 수 있다. 또한, 발의 관절의 어긋남이 발생하면, 발보다 위의 관절에 있어서 자세의 무너짐을 교정하려고 하기 때문에, 발 이외의 전혀 다른 부분에 날마다 부담이 가해져 신체를 다치게 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관절의 적절한 맞물림을, 보다 고도의 수준으로, 또한, 발의 움직임을 무의미하게 제한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유지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발명자는 관절의 적절한 맞물림을, 보다 고도의 수준으로, 또한, 발의 움직임을 무의미하게 제한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유지시킬 수 있는 신발의 안창을 개발했다.
본 발명의 신발의 안창은, 발가락을 배치시키도록 형성된 발가락끝부, 발의 폭이 좌우로 가장 확장되는 중족골의 선단부를 배치시키도록 형성된 확장부, 중족골로부터 바깥 복사뼈의 바로 아래까지를 배치시키도록 형성된 아치부, 및 바깥 복사뼈의 바로 아래와 그 후방의 발뒤꿈치뼈를 배치시키도록 형성된 발뒤꿈치부를 가지며 신발의 바닥면의 전체에 배치되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상기 아치부 및 발뒤꿈치부의 하면에 접합되며 상기 시트부보다도 경질의 소재로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시트부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아치부에 있어서 적어도 제 1 중족골을 배치시키도록 아치형으로 만곡시키고, 또한, 단부를 상방으로 상승시킨 내측 벽부와; 적어도 제 5 중족골을 배치시키도록 아치형으로 만곡시키고, 또한, 단부를 상방으로 상승시킨 외측 벽부와; 상기 내측 벽부와 상기 외측 벽부 사이에 형성된 중앙 벽부;를 가지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내측 벽부와 상기 중앙 벽부의 경계 상에 형성된 내측 볼록조 및 상기 외측 벽부와 상기 중앙 벽부의 대략 경계 상에 형성된 외측 볼록조를 가지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내측 벽부 및 상기 외측 벽부의 각각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 볼록조부와 상기 외측 볼록조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중앙 벽부의 적어도 상면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아치를 그리듯이 만곡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시트부의 중앙 후벽부의 아치 형상이 지지 플레이트의 중앙 후벽부의 상면 형상에 지지되어, 시트부 상면에 배치되는 발에 적확하게 아치 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신발의 안창의 상기 시트부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바깥 복사뼈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발뒤꿈치부 및/또는 아치부의 기단부에 측면으로부터 대향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연장(extension)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바깥 복사뼈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발뒤꿈치부 및/또는 아치부의 기단부 즉, 입방골의 하방 부분을 외측으로부터 지지하여 발의 골격의 무너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발의 안창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경도 40D 이상 72D 미만으로 형성되며, 일정한 두께로 상기 시트부의 하면 형상을 따라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지지 플레이트에 의한 발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신발의 안창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경도 40D 이상 65D 미만으로 형성되며, 일정한 두께로 상기 시트부의 하면 형상을 따라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지지 플레이트에 의한 발에의 부담을 보다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신발의 안창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발뒤꿈치부에는, 상기 시트부의 일부를 끼워 맞추게 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시트부 및 지지 플레이트의 중앙 후벽부로 형성되는 아치 형상에 의해 발에 세로 아치 형상이 형성되는 것으로 놓이기 쉬워지는 발뒤꿈치부에의 체중을 적절히 받으면서, 발에 가해지는 체중의 밸런스를 유지시키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신발의 안창의 상기 시트부는, 다른 경도 및 반발 탄성률을 갖는 적어도 2층의 발포 수지층을 구비하며, 상면측인 제 1 층 및 상기 제 1 층보다도 하측에 마련된 제 2 층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반발 탄성 수지층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층과 상기 제 2 층은, 아스카 고무 경도계(C형)를 이용한 측정 경도와 ISO 4662로 계측한 반발 탄성률이, 이하에 나타내는 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 경도 상기 제 1 층 < 상기 제 2 층
반발 탄성률 상기 제 1 층 < 상기 제 2 층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2 층의 아스카 고무 경도계(C형)를 이용한 측정 경도가 50 이상 60 이하이고, 또한, ISO 4662로 계측한 반발 탄성률이 55% 이상 6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1 층은 아스카 고무 경도계(C형)를 이용한 측정 경도가 23 이상 28 이하이고, 또한, ISO 4662로 계측한 반발 탄성률이 47% 이상 53%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발의 관절의 적절한 맞물림을, 보다 고도의 수준으로, 또한, 발의 움직임을 무의미하게 제한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유지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신발의 안창을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신발의 안창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3의 (a)는 오른발의 골격을 정면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3의 (b)는 오른발의 골격을 외측(소지측)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신발의 안창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신발의 안창의 지지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도 6의 (b)는 도 6의 (a)의 B-B선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신발의 안창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발의 안창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이용하는 도면의 각 부분의 치수는 실제의 것과 동일한 것은 아니며,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신발의 안창(1)은, 도시되지 않은 신발의 바닥면의 전체에 배치되는 시트부(2)와, 시트부(2)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발뒤꿈치 부분에 걸쳐 시트부(2)를 하방으로부터 덮는 지지 플레이트(3)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부(2)는,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해, 발가락끝부(4), 좌우의 폭이 가장 확장된 확장부(5), 아치부(6), 및 발뒤꿈치부(7)를 갖고 있다.
발가락끝부(4)는 발가락을 배치시키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확장부(5)는 발의 폭이 좌우로 가장 확장되는, 도 3에 도시된 중족골(50)의 선단부(즉, 모지구(母趾球)로부터 소지구(小趾球))를 배치시키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발뒤꿈치부(7)는 도 3에 도시된 바깥 복사뼈(61)의 바로 아래와 그 후방의 발뒤꿈치뼈(62)를 배치시키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아치부(6)는, 도 3에 도시된, 확장부(5)를 제외한 중족골(50)로부터 바깥 복사뼈(61)의 바로 아래까지를 배치시키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시트부(2)의 외형은, 전체로서 대체로 발을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시트부(2)의 아치부(6)는, 주로 도 3에 도시된 제 1 중족골(51)을 배치시키도록 형성된 내측 벽부(8)와, 주로 도 3에 도시된 제 5 중족골(55)을 배치시키도록 형성된 외측 벽부(9)와, 내측 벽부(8)와 외측벽부(9) 사이에 형성된 중앙 벽부(10)를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내측 벽부(8)는 도 3에 도시된 주로 제 1 중족골(51)을 배치시키도록 상방으로 돌출하는 아치형으로 만곡시키고, 또한, 단부를 상방으로 매끄럽게 상승시킨 부분이다. 내측 벽부(8)의 하면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돌기(11)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벽부(9)는 도 3에 도시된 주로 제 5 중족골(55)을 배치시키도록 상방으로 돌출하는 아치형으로 만곡시키고, 또한, 단부를 상방으로 상승시킨 부분이다. 외측 벽부(9)의 하면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돌기(12)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 벽부(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A-A 단면에서 볼 때, 상하면이 모두 발가락끝부(4)를 향해 대략 직선 모양으로 상방으로 경사지는 중앙 전벽부(10a)와, 상하면이 모두 전후 방향으로 아치 형상을 그리듯이 만곡되어 있는 중앙 후벽부(10b)를 갖고 있다.
중앙 후벽부(10b)는 대략 일정한 두께로, 중앙 전벽부(10a)는 중앙 후벽부(10b)보다도 약간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부(2)의 발뒤꿈치부(7)는, 발의 발뒤꿈치의 하단 부분을 측면측으로부터 둘러싸고 유지시킬 수 있도록, 단부가 상승부(7w)를 갖고 있다. 내측 벽부(8), 상승부(7w) 및 외측 벽부(9)는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부(2)의 발뒤꿈치부(7)의 하면측에는 발뒤꿈치부(7)에 가해지는 체중을 흡수하는 육후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부(2)의 상면으로서 중앙 전벽부(10a)의 폭 방향 대략 중앙에는, 융기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볼록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 볼록부(14)는, 소위 까치발을 했을 때 체중을 지지하는 모지구의 바로 후방 내측의 발의 움푹 들어간 곳을 피트(fit)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중앙 볼록부(14)의 좌우 양측은 상대적으로 약간 움푹 패어 있다.
시트부(2)는 고무나 합성 수지 등으로 성형되며,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등의 연질 합성 수지로 성형되어 있다. 시트부(2)의 경도는 아스카 고무 경도계(C형)를 이용한 측정에서 22 이상 80 이하의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도 1, 도 4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3)는 시트부(2)의 형상을 따라 아치부(6)로부터 발뒤꿈치부(7)까지를 덮으면서 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지 플레이트(3)는 시트부(2)의 각부에 대응되는 아치부(6'), 아치부(6')를 구성하는 내측 벽부(8'), 외측 벽부(9'), 중앙 전벽부(10a'), 중앙 후벽부(10b') 및 발뒤꿈치부(7')를 갖고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3)의 발뒤꿈치부(7')도 발의 발뒤꿈치의 측면을 둘러싸고 유지시키는 상승부(7w')를 갖고 있다.
지지 플레이트(3)는 내측 벽부(8')와 중앙 후벽부(10b') 사이, 외측 벽부(9')와 중앙 후벽부(10b') 사이의 대략 경계 상, 즉, 대략 선(L) 상 또는 선(L)을 따라 각각 내측 볼록조부(15) 및 외측 볼록조부(16)를 갖고 있다.
내측 볼록조부(1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벽부(8')를 측면에서 봤을 때 하단에 나타나는 아치 형상에 대략 평행한 아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 볼록조부(1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벽부(9')를 측면에서 봤을 때 하단에 나타나는 아치 형상에 대략 평행한 아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 볼록조부(15) 및 외측 볼록조부(16)는 모두 대략 일정한 폭 치수로 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3)의 중앙 전벽부(10a')는 시트부(2)와 동일한 형상 즉, 대략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3)의 중앙 후벽부(10b')는 전체로서 대략 일정한 두께이고, 그 상면 및 하면이 시트부(2)의 중앙 후벽부(10b)의 하면 및 내측 볼록조부(15) 및 외측 볼록조부(16)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 방향의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벽부(8')의 상승부에는 지지 플레이트(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관통 구멍(18)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3)의 내측 벽부(8')에 형성된 관통 구멍(18)은, 시트부(2)의 내측 벽부(8)의 하면측에 형성된 돌기(11)를 극간없이 끼워 맞출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3)의 하면과 돌기(11)의 표면은 면이 하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측 벽부(9')에는 지지 플레이트(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관통 구멍(18)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3)의 외측 벽부(9')에 형성된 관통 구멍(18)은, 시트부(2)의 외측 벽부(9)의 하면측에 형성된 돌기(12)를 극간없이 끼워 맞출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3)의 하면과 돌기(12)의 표면은 면이 하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3)가 시트부(2)의 각부의 형상에 맞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L)을 경계로 하여 그 내측이 중앙 후벽부(10b')를 제외하고 대체로 평탄하고 지면 등의 수평면에 접하도록, 선(L)의 외측이 선(L)을 경계로 매끄럽게 상승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 후벽부(10b')와, 대략 선(L) 상에 형성된 내측 볼록조부(15) 및 외측 볼록조부(16)에 의해, 아치부(6)가 확실히 상승하게 되어, 발의 세로 아치를 서포트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3)의 발뒤꿈치부(7')에는, 발뒤꿈치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흡수하면서 받는 개구부(19)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9)는, 발뒤꿈치부(7')의 내측(7a') 및 외측(7b')에 있어서는 선(L)에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고, 발뒤꿈치부(7')의 후방측(7c')에 있어서 선(L)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약간 내측으로 연장되고, 또한 선단측(7d')의 외측에 있어서 서서히 활 모양으로 상승되고 중앙 후벽부(10b')에 걸쳐 확장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발의 발뒤꿈치와 발의 움푹 들어간 곳의 푹 방향 외측 사이에 걸쳐 연장되고 체중이 강하게 부하되기 쉬운 외측의 힘줄 등에 가해질 수 있는 부하를 경감시키거나, 바깥 복사뼈(61)의 하방을 향해 대략 수직으로 가해지는 체중을 부드럽게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시트부(2)의 두께를 가능한 범위에서 얇게 형성하여 신발의 안창(1)을 슬림하게 형성하려고 하면, 지지 플레이트(3)가 발바닥에 보다 가깝게 피트(fit)하기 때문에, 발의 발뒤꿈치나 힘줄 등의 체중이 가해지기 쉬운 부분이 지지 플레이트(3)의 경도에 의한 부하를 받기 쉬워진다. 그러나, 개구부(19)를 상기 형상으로 함으로써, 큰 체중이 가해지기 쉬운 발뒤꿈치나 힘줄에의 부하를 효과적으로 경감시키면서, 시트부(2) 및 지지 플레이트(3)의 피트(fit)감을 높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3)의 두께는 중앙 전벽부(10a), 각 관통 구멍(18) 및 개구부(19)를 둘러싸고 있는 에지 및 지지 플레이트(3)의 외주 가장자리가 되고 있는 에지를 제외하고 일정한 두께, 구체적으로는 1.1㎜ 이상 2.1㎜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2㎜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3)의 중앙 전벽부(10a')는 중앙 후벽부(10b')나 발뒤꿈치부(7') 등보다도 10% 정도 얇고, 구체적으로는 1.0mm 이상 1.9mm 미만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3)의 외주 가장자리, 관통 구멍(18) 및 개구부(19)를 형성하고 있는 에지는 시트부(2)에 잘 조화될 수 있도록 모따기(chamfering)가 실시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3)의 내측 볼록조부(15) 및 외측 볼록조부(16)는, 그 주위의 중앙 후벽부(10b')의 표면으로부터 0.9mm 이상 1.1mm 미만, 바람직하게는 1.0mm 돌출되어 있다. 내측 볼록조부(15) 및 외측 볼록조부(16) 모두 견고하게(solid)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3)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등의 경질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3)의 경도는 아스카 고무 경도계(D형)를 이용한 측정에서 40D 이상 72D 미만, 45D 이상 65D 미만의 경도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3)의 상면은, 시트부(2)의 하면에 극간없이, 또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없도록 서로 압착시킴으로써 전체가 밀착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3)의 관통 구멍(18) 및 개구부(19)에는 시트부(2)에 형성된 각각에 대응되는 돌기(11, 12) 및 육후부(13)가 끼워 넣어져 있으며, 지지 플레이트(3)의 표면과 대략 면이 하나가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신발의 안창(1)은 이하의 작용을 발휘한다.
즉, 시트부(2) 및 지지 플레이트(3)의 내측 벽부(8')의 하단, 외측 벽부(9')의 하단, 내측 볼록조부(15), 외측 볼록조부(16) 및 중앙 후벽부(10b')의 상하면의 대략 같은 만곡의 세로 아치 형상에 의해, 신발의 안창(1)의 세로 아치의 탄성력이 보다 높여진다. 또한, 내측 볼록조부(15), 외측 볼록조부(16) 및 중앙 후벽부(10b')의 아치 형상에 의해, 유연하고, 또한, 확실하게 발의 움푹 들어간 곳의 폭 방향 중앙 부분(내측 세로 아치와 외측 세로 아치 사이)를 세로 아치 형상으로 유지시키고 있다.
또한, 시트부(2)의 중앙 후벽부(10b)의 상하면에 확실히 세로 아치 형상이 형성되어, 이것을 지지 플레이트(3)의 내측 볼록조부(15), 외측 볼록조부(16) 및 중앙 후벽부(10b')의 상면이 확실하게 유지시키고 있기 때문에, 확장부(5)에 놓이는 모지구 및 소지구의 체중 및 발뒤꿈치부(7)에 놓이는 발뒤꿈치의 체중의 치우침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신발의 안창(1)의 형상에 의해, 무게 중심을 올바른 위치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시트부(2)의 중앙 전벽부(10a)에 형성된 중앙 볼록부(14)를 포함하여, 발바닥에 불필요한 극간을 형성하지 않고 발의 각 뼈 및 관절을 적절히 홀드(hold)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벽부(8'), 외측 벽부(9') 및 발뒤꿈치부(7')의 상승부(7w')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발의 제 1 중족골(51), 제 5 중족골(55) 및 발뒤꿈치의 하방 측면을 단단히, 그러나 갑갑하지 않게 홀드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이 상호적으로 조합됨으로써, 다수의 관절로 연결된 발의 뼈가 어긋나거나 비뚤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적절하게 이루어진 상태를 유지시키기 쉬워져, 보행 등 기타의 운동 시에, 발의 뼈의 어긋남으로 인한 자세의 비뚤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신발의 안창(1)의 지지 플레이트(3)는, 다른 신발의 안창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TPU 수지의 경도 범위이어도, 장시간의 사용으로 발이 약간 아프게 되는 경우가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은 아마도 본 발명의 지지 플레이트(3)의 형상에 기초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이에 대해 예의 연구한 결과, 지지 플레이트(3)의 경도를 40D 이상 72D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문제가 해소되었다.
또한, 시트부(2) 및 지지 플레이트(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바깥 복사뼈(61)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발뒤꿈치부(7, 7') 및/또는 아치부(6, 6')의 기단부에 측면으로부터 대향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연장(extension)부(20)를 갖고 있으면 더 좋다. 이 경우, 연장부(20)는 시트부(2) 및 지지 플레이트(3)의 둘다에 대해, 즉, 시트부(2)의 둘레 가장자리와 지지 플레이트(3)의 둘레 가장자리가 연장부(20)에 있어서 대략 평행으로 되어 있으면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발의 회외(즉, 발이 새끼발가락측의 사이드를 중심으로 비틀려고 하는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시트부(2)는, 다른 경도 및 반발 탄성률을 갖는 2층의 발포 수지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으며, 상면측인 제 1 층 및 상기 제 1 층보다도 하측에 마련된 제 2 층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반발 탄성 수지층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층과 상기 제 2 층은, 아스카 고무 경도계(C형)를 이용한 측정 경도 및 ISO 4662:2009로 계측한 반발 탄성률이 이하에 나타내는 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 경도 상기 제 1 층 < 상기 제 2 층이고, 또한,
반발 탄성률 상기 제 1 층 < 상기 제 2 층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층으로서, EVA를 주성분으로 한 수지를 이용하고, 반발 탄성률을 조정하기 위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실리콘 수지 등의 충격 흡수재를 혼합한 수지층으로 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스카 고무 경도계(C형)를 이용하여 측정한 경도가 23 이상 28 이하이며, ISO 4662:2009로 계측한 반발 탄성률이 47% 이상 53%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9% 이상 52% 이하인 수지를 호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층은 폴리우레탄 발포 수지층이어도 좋다.
상기 제 2 층으로서, 구체적으로는, EVA를 주성분으로 한 수지를 이용하고, 반발 탄성률을 조정하기 위해 EVA를 주성분으로 한 발포 수지를 압축한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스카 고무 경도계(C형)를 이용하여 측정한 경도가 50 이상 60 이하이며, ISO 4662:2009로 계측한 반발 탄성률이 55% 이상 65% 이하이면 좋다. 또한, 아스카 고무 경도계(C형)를 이용하여 측정한 경도가 53 이상 60 이하이고, 57% 이상 59%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층과 제 2 층은, 프레스된 후, 제 1 층의 상면에 섬유제의 시트층이 마련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제 1 층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두께 0.5㎜ 이상 4.0㎜ 이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층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두께 1.0㎜ 이상 4.0㎜ 이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층은 발가락끝보다도 발뒤꿈치 쪽을 두껍게 형성해도 좋고, 제 1 층이 폴리우레탄층인 경우에는 제 1 층 및 제 2 층 모두, 제 1 층 및 제 2 층이 EVA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두껍게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 2 층에 적절한 경도 및 반발성을 갖게 하여 발에 대한 쿠션성을 발휘시키고, 또한, 제 1 층에 낮은 경도 즉, 유연성 및 저반발성을 갖게 함으로써, 제 1 층을 발바닥의 형상을 따라 단단히 유지시켜, 부드럽게 발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발의 골격을 가급적으로 올바르게 유지시켜 발에의 충격으로부터 발을 유효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이용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등의 연질 합성 수지에 의해, 아스카 고무 경도계(C형)를 이용한 측정에서 경도 약 55로 한 시트부(2)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등의 경질 수지에 의해, 아스카 고무 경도계(D형)를 이용한 측정에서 40D의 지지 플레이트(3)를 구비한 상기 실시 태양에 나타내는 신발의 안창을 제작했다.
[실시예 2]
지지 플레이트(3)의 경도를, 아스카 고무 경도계(D형)를 이용한 측정에서 55D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신발의 안창을 제작했다.
[실시예 3]
지지 플레이트(3)의 경도를, 아스카 고무 경도계(D형)를 이용한 측정에서 63.5D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신발의 안창을 제작했다.
[비교예]
지지 플레이트(3)의 경도를, 아스카 고무 경도계(D형)를 이용한 측정에서 72D(비교예)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신발의 안창을 제작했다.
(평가 방법)
신장 약 172cm, 체중 75kg의 성인 남성 A, 신장 약 162cm, 체중 53kg의 성인 남성 B, 신장 약 160cm, 체중 52kg의 성인 여성 C, 신장 약 164cm, 체중 56kg의 성인 여성 D에게,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안창 및 비교예의 안창을 각각 운동화에 설치하여 착용시켜, 아스팔트를 약 2시간 걸었을 때의 사용감을 평가했다. 사용감은, 2시간 이내 보행시의 (1) 발바닥의 서포트감 또는 위화감의 유무, (2) 발바닥의 통증의 발생의 유무, (3) 발바닥 이외의 통증의 발생의 유무를 평가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포트감"이란, 발바닥이 안창에 의해 홀드(유지)되어 있는 감각이 있는지 여부를 의미하고, "위화감"이란, 국소적 또는 전체적인 불쾌감을 의미한다. 각 평가 결과를 표 1 내지 표 4에 나타낸다.
표 1 내지 표 4에 나타낸 평가 결과에서, 지지 플레이트(3)의 경도가 40D인 신발의 안창은, 위화감은 없지만 서포트감이 약간 약했다.
지지 플레이트(3)의 경도가 55D인 신발의 안창은, 위화감은 없고 서포트감이 양호하며, 발바닥의 통증이 발생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바닥 이외의 통증이 발생하기 어려웠던 것으로, 발바닥의 형상을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지 플레이트(3)의 경도가 63.5D인 신발의 안창은, 서포트감은 있지만 위화감이 약간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장시간의 사용으로 발바닥의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지 플레이트(3)의 경도가 72D인 신발의 안창은, 위화감을 주기 쉽고, 단시간의 사용으로도 발바닥의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 신발의 안창
2 시트부
3 지지 플레이트
4 발가락끝부
5 확장부
6 아치부
7 발뒤꿈치부
8 내측 벽부
9 외측 벽부
10 중앙 벽부
10a 중앙 전벽부
10b 중앙 후벽부
13 육후부(肉厚部)(시트부의 일부)
14 중앙 볼록부
15 내측 볼록조부
16 외측 볼록조부
18 관통 구멍
19 개구부

Claims (9)

  1. 발가락을 배치시키도록 형성된 발가락끝부, 발의 폭이 좌우로 가장 확장되는 중족골의 선단부를 배치시키도록 형성된 확장부, 중족골로부터 바깥 복사뼈의 바로 아래까지를 배치시키도록 형성된 아치부, 및 바깥 복사뼈의 바로 아래와 그 후방의 발뒤꿈치뼈를 배치시키도록 형성된 발뒤꿈치부를 가지며 신발의 바닥면의 전체에 배치되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상기 아치부 및 상기 발뒤꿈치부의 하면에 접합되며, 상기 시트부보다도 경질의 소재로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시트부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아치부에 있어서, 적어도 제 1 중족골을 배치시키도록 아치형으로 만곡시키고, 또한, 단부를 상방으로 상승시킨 내측 벽부와; 적어도 제 5 중족골을 배치시키도록 아치형으로 만곡시키고, 또한, 단부를 상방으로 상승시킨 외측 벽부와; 상기 내측 벽부와 상기 외측 벽부 사이에 형성된 중앙 벽부;를 가지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내측 벽부와 상기 중앙 벽부의 경계 상에 형성된 내측 볼록조부 및 상기 외측 벽부와 상기 중앙 벽부의 경계 상에 형성된 외측 볼록조부를 가지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내측 벽부 및 상기 외측 벽부의 각각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 볼록조부와 상기 외측 볼록조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후벽부의 적어도 상면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아치를 그리듯이 만곡되고,
    상기 중앙 후벽부의 상면 및 하면은, 상기 내측 볼록조부 및 상기 외측 볼록조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 방향의 아치 형상을 형성하고 있는 신발의 안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바깥 복사뼈의 바로 아래를 위치시키는 발뒤꿈치부 및 아치부의 기단부, 또는 상기 바깥 복사뼈의 바로 아래를 위치시키는 발뒤꿈치부, 또는 상기 아치부의 기단부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측면으로부터 대향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연장부를 갖고 있는 신발의 안창.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경도 40D 이상 72D 미만으로 형성되며, 일정한 두께로 상기 시트부의 하면 형상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신발의 안창.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경도 45D 이상 65D 미만으로 형성되며, 일정한 두께로 상기 시트부의 하면 형상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신발의 안창.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발뒤꿈치부에는, 상기 시트부의 일부를 끼워 맞추게 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신발의 안창.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다른 경도 및 반발 탄성률을 갖는 2층 이상의 발포 수지층을 구비하며,
    상면측인 제 1 층 및 상기 제 1 층의 하측에 마련된 제 2 층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반발 탄성 수지층을 구성하며,
    상기 제 1 층 및 상기 제 2 층에 있어서, 아스카 고무 경도계(C형)를 이용한 측정 경도와 ISO 4662로 계측한 반발 탄성률이 이하에 나타내는 관계에 있는 신발의 안창:
    측정 경도 상기 제 1 층 < 상기 제 2 층
    반발 탄성률 상기 제 1 층 < 상기 제 2 층.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의 아스카 고무 경도계(C형)를 이용한 측정 경도는, 50 이상 60 이하이며, 상기 제 2 층의 ISO 4662로 계측한 반발 탄성률은, 55% 이상 65% 이하인 신발의 안창.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의 아스카 고무 경도계(C형)를 이용한 측정 경도는, 23 이상 28 이하이며, 상기 제 1 층의 ISO 4662로 계측한 반발성은, 47% 이상 53% 이하인 신발의 안창.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다른 반발 탄성률을 갖는 2층 이상의 발포 수지층을 구비하며,
    상면측인 제 1 층은 폴리우레탄 발포 수지층을 구성하며,
    상기 제 1 층의 하측에 마련된 제 2 층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반발 탄성 수지층을 구성하며,
    상기 제 2 층의 아스카 고무 경도계(C형)를 이용한 측정 경도는, 50 이상 60 이하이며, 상기 제 2 층의 ISO 4662로 계측한 반발 탄성률은, 55% 이상 65% 이하인 신발의 안창.
KR1020217041178A 2019-10-30 2020-10-29 신발의 안창 KR102626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97982 2019-10-30
JP2019197982 2019-10-30
PCT/JP2020/040727 WO2021085574A1 (ja) 2019-10-30 2020-10-29 靴の中敷き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532A KR20220010532A (ko) 2022-01-25
KR102626724B1 true KR102626724B1 (ko) 2024-01-18

Family

ID=75715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1178A KR102626724B1 (ko) 2019-10-30 2020-10-29 신발의 안창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264995A1 (ko)
EP (1) EP3970549A4 (ko)
JP (1) JP6991539B2 (ko)
KR (1) KR102626724B1 (ko)
CN (1) CN113966184B (ko)
AU (1) AU2020376694B2 (ko)
CA (1) CA3144203C (ko)
WO (1) WO20210855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78511S1 (en) * 2020-11-23 2023-02-21 Shenzhen Mudadinuo Technology Co., Ltd. Inso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9765B2 (ja) * 2000-05-15 2007-09-19 株式会社アシックス 靴底の緩衝装置
KR101075172B1 (ko) * 2011-03-04 2011-10-19 주식회사 블랙야크 경도가 서로 다른 3조각의 판형 중창부재로 이루어진 신발중창
JP2015085134A (ja) * 2013-11-01 2015-05-07 ウィニングワン株式会社 靴の中敷き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81674B2 (en) * 1984-08-24 1989-03-02 Northwest Podiatric Laboratory, Inc. Variable adjustable shoe inserts
JPH0531606U (ja) * 1991-10-07 1993-04-27 東燃化学株式会社 靴の中敷
JP2756903B2 (ja) * 1993-09-17 1998-05-25 小林製薬株式会社 可撓性靴中敷
JP2002282012A (ja) * 2001-03-27 2002-10-02 Moon Star Co 靴中敷および靴底の構造
JP4033647B2 (ja) * 2001-08-01 2008-01-16 美津濃株式会社 中敷
US20040181971A1 (en) * 2003-03-21 2004-09-23 E-Z Gard Industries, Inc.. Footbed
JP4210585B2 (ja) * 2003-12-02 2009-01-21 マドラス株式会社 シャンク
US20070028484A1 (en) * 2005-08-04 2007-02-08 Skechers U.S.A., Inc. Ii Shoe bottom heel portion
US7958653B2 (en) * 2006-09-21 2011-06-14 Schering-Plough Healthcare Products, Inc. Cushioned orthotic
KR100770564B1 (ko) * 2007-05-07 2007-10-26 (주) 디유티코리아 다탄성(多彈性) 신발 안창의 구조
JP5263880B2 (ja) * 2008-11-28 2013-08-14 有限会社Opti 靴用中敷
JP5599724B2 (ja) * 2008-12-22 2014-10-01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架橋発泡用組成物、架橋発泡体及びこれを用いた靴用ミッドソール
JP4633850B1 (ja) * 2009-10-08 2011-02-23 桃子 細野 インソール
JP5134072B2 (ja) * 2010-12-17 2013-01-30 株式会社ディモコシステムス 中敷きパッド及びそれを装着した履物
JP3167048U (ja) * 2011-01-21 2011-03-31 アシックス商事株式会社 中敷
JP5729558B2 (ja) * 2011-05-25 2015-06-03 株式会社アサヒコーポレーション 靴の中敷
FR2980339B1 (fr) * 2011-09-26 2015-01-30 Salomon Sas Chaussure a semelage ameliore
JP5836212B2 (ja) * 2012-06-30 2015-12-24 株式会社アサヒコーポレーション 靴底
KR20140104207A (ko) * 2013-02-20 2014-08-28 주식회사 네오메드 신발용 기능성 뒷굽 깔창
US9565888B2 (en) * 2013-03-04 2017-02-14 Lfrj, Llc Shoe insert and method for using same
JP5984152B2 (ja) * 2014-09-11 2016-09-06 株式会社トータルヘルスケア 靴中敷
JP5858450B1 (ja) * 2015-02-12 2016-02-10 山本 秀二 靴中敷き
JP3197788U (ja) * 2015-03-18 2015-06-04 有限会社エーピーエフ インソール
JP2018515205A (ja) * 2015-05-28 2018-06-14 インプラス フットケア、エルエルシー 靴中敷
JP3222296U (ja) * 2019-05-10 2019-07-25 株式会社フィットジョイジャパン 医療用短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9765B2 (ja) * 2000-05-15 2007-09-19 株式会社アシックス 靴底の緩衝装置
KR101075172B1 (ko) * 2011-03-04 2011-10-19 주식회사 블랙야크 경도가 서로 다른 3조각의 판형 중창부재로 이루어진 신발중창
JP2015085134A (ja) * 2013-11-01 2015-05-07 ウィニングワン株式会社 靴の中敷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70549A1 (en) 2022-03-23
JP6991539B2 (ja) 2022-01-12
KR20220010532A (ko) 2022-01-25
CN113966184B (zh) 2023-07-11
JPWO2021085574A1 (ja) 2021-11-25
CA3144203A1 (en) 2021-05-06
AU2020376694A1 (en) 2022-01-20
CN113966184A (zh) 2022-01-21
CA3144203C (en) 2024-04-02
WO2021085574A1 (ja) 2021-05-06
US20220264995A1 (en) 2022-08-25
AU2020376694B2 (en) 2024-02-29
EP3970549A4 (en) 2023-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74204B (zh) 具有层叠结构的中底的鞋底
US4325380A (en) Orthotic device for the heel of a person&#39;s foot
US9775402B2 (en) Shoe sole having outsole and midsole
JP5278714B2 (ja) トレーニングに適した靴の靴底
US20120272546A1 (en) Healthy insole
WO2014151499A2 (en) Removable shoe insert for corrective sizing
KR20140133885A (ko) 과회내 및 무릎 관절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깔창
KR20070049648A (ko) 깔창 및 이것을 구비하는 풋웨어 시스템
US10433615B2 (en) Sole for dispersing pressure of midfoot and metatarsal bones and shoe having same
US20200029653A1 (en) Insole for relieving plantar facsiitis pain
KR101196835B1 (ko) 신발패드
US9877544B2 (en) Shoe insole
US20130133224A1 (en) Shoe Insole
KR102626724B1 (ko) 신발의 안창
JP2001299404A (ja) 靴 底
JP2002282012A (ja) 靴中敷および靴底の構造
US7832122B2 (en) Shoe heel cup and shoe equipped with one such heel cup
WO2022130537A1 (ja) シューズ
CN108652125B (zh) 一种全包裹式亚健康矫正鞋
JP3195381U (ja) サンダル基板及びサンダル
JP2008029611A (ja) 矯正中敷きと該矯正中敷きを用いた矯正靴
JPH11226042A (ja) アーチパッドを有する靴中敷き
JP2528487Y2 (ja) 靴の中底構造および靴の中敷
CN210143945U (zh) 鞋垫
US20240074536A1 (en) Foot Protection P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