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512B1 - 선형소재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선형소재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512B1
KR102626512B1 KR1020230155617A KR20230155617A KR102626512B1 KR 102626512 B1 KR102626512 B1 KR 102626512B1 KR 1020230155617 A KR1020230155617 A KR 1020230155617A KR 20230155617 A KR20230155617 A KR 20230155617A KR 102626512 B1 KR102626512 B1 KR 102626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ar material
cutting
cutter
cutting die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5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정
Original Assignee
송기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정 filed Critical 송기정
Priority to KR1020230155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5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29/00Hand-held metal-shearing or metal-cutting devices
    • B23D29/002Hand-held metal-shearing or metal-cutting devices for cutting wir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4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having only one mov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12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characterised by drives or gearings therefor
    • B23D15/14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characterised by drives or gearings therefor actuated by fluid or gas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칩배출구가 커터 및 이에 의해 절단되는 선형소재의 폭 보다 더 넓게, 특히 선형소재의 하측 뿐만 아니라 양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됨에 따라 선형소재의 절단시에 발생되는 칩에 의해 커터 또는 절단다이스의 내면이 손상됨없이 칩이 하부로 신속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선형소재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형소재 절단장치는 상부면에 작업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작업대 상에 설치되고 칩배출공이 형성되는 수평지지판과 중앙개구부가 관통형성되는 수직고정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다이스고정대와, 일측면은 상기 다이스고정대의 수직고정판에 면접고정되고 중앙에는 선형소재가 삽입되는 선형소재삽입공이 관통형성되며 타측면 중앙에는 제 1 칩배출구가 상기 선형소재삽입공 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제 1 절단다이스와, 일측면은 상기 제 1 절단다이스의 타측면에 면접고정되고 중앙에는 상기 선형소재삽입공에 대응되는 선형소재관통공이 관통형성되며 일측면 중앙에는 커터투입구가 함입 형성되고 제 2 칩배출구가 상기 커터투입구에 단차지게 함입형성되되 상기 선형소재관통공 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제 2 절단다이스와, 상기 본체의 작업대의 상부에 이격되게 하향 설치되고 하단에는 상기 제 1 절단다이스의 커터투입구 내로 투입되어 상기 선형소재를 절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칩배출구 보다 작은 폭을 가지되 상기 제 1 및 제 2 칩배출구 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커터가 구비되는 절단용 실린더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형소재 절단장치{Apparatus for cutting linear material}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앵글형, 채널형, 다각형, 원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는 선형소재를 요구되는 길이로 절단하는 선형소재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칩배출구가 커터 및 이에 의해 절단되는 선형소재의 폭보다 더 넓게, 특히 선형소재의 하측 뿐만 아니라 양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됨에 따라 선형소재의 절단시에 발생되는 불규칙한 칩에 의해 커터 또는 다이스의 내면이 손상됨없이 칩이 하부로 신속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선형소재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 또는 설치프레임을 조립형성함에 있어서 특정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는 선형소재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선형소재는 예를 들어 앵글형, 채널형, 다각형, 원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횡단면으로 길게 연장되게 제조됨에 따라, 필요에 따라 별도의 선형소재 절단장치에 의해 일정 길이로 절단되여 사용된다.
이러한 선형소재 절단장치의 일 예로, 한국 실용신안등록공고 제20-0278653호(2002.06.20. 공고)에는 각 모서리부에는 가이드 포스트와 스프링이 결합된 받침구가 볼트를 통해 결합되며, 중앙부에는 베이스 컷이 설치된 사각판체 형태의 하판과, 베이스 컷의 사각 통공의 전후 방향으로 부착된 재치대와, 저면의 각 모서리부에 슬라이더가 결합되고, 중앙부에는 끝단에 첨두부가 형성된 '∨'자 형태의 커터가 홀더를 통해 결합되고, 상면에는 타격대가 설치된 상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판 상의 가이드 포스트가 상판의 슬라이더에 관통되도록 삽착되어, 상판의 타격대에 힘을 가함으로써 커터의 첨두부가 정사각 파이프의 상측 모서리부분부터 절단하여 파이프의 찌그러짐이 없고, 정확하게 절단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파이프 절단장치가 개시된다.
또한 한국 특허공개 제10-2022-0133574호(2022.10.05. 공개)에는 10-1894669호(2018.10.04. 공고)에는 앙에 수용홈이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를 좌,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며, 파이프를 절단하는 커팅부가 형성된 절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절단부는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서 십자형상으로 돌출되며, 파이프를 절단하는 커팅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절단 장치가 개시된다.
또한 한국 실용신안등록공고 제20-0331008호(2003.10.22. 공고)에는 상부에 펀치공이 형성되고, 전후방으로 관통하는 샤시 인출구를 형성한 바이트에 샤시를 샤시 인출구에 넣어, 상기 상부에 형성된 펀치공을 통해 펀치가 강압하여 샤시를 절단가공하는 샤시 가공장치가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선형소재 절단장치의 경우에는 커터 또는 펀치를 이용하여 선형소재를 절단함에 있어서 선형소재가 횡단면 형상의 변형없이 절단될 수는 있지만, 칩배출구가 선형소재 또는 커터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커터 또는 펀치의 투입구의 직하부에 형성됨에 따라 선형소재의 절단시에 발생되는 칩이 불규칙한 형상 또는 코일 형상으로 꼬이면서 커터 또는 펀치를 손상시키거나 절단다이스의 내면을 손상시킬 뿐만 이니라 칩이 커터 또는 펀치와 절단다이스의 내면 사이에 끼어 칩이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실용신안등록공고 제20-0278653호(2002.06.20. 공고) 한국 특허공개 제10-2022-0133574호(2022.10.05. 공개) 한국 실용신안등록공고 제20-0331008호(2003.10.22.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칩배출구가 커터 및 이에 의해 절단되는 선형소재의 폭 보다 더 넓게, 특히 선형소재의 하측 뿐만 아니라 양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됨에 따라 선형소재의 절단시에 발생되는 불규칙하거나 코일 형상으로 꼬인 칩에 의해 커터 또는 절단다이스의 내면이 손상됨없이 칩이 하부로 신속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선형소재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상부면에 작업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작업대 상에 설치되고 칩배출공이 형성되는 수평지지판과 중앙개구부가 관통형성되는 수직고정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다이스고정대와, 일측면은 상기 다이스고정대의 수직고정판에 면접고정되고 중앙에는 선형소재가 삽입되는 선형소재삽입공이 관통형성되며 타측면 중앙에는 제 1 칩배출구가 상기 선형소재삽입공 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제 1 절단다이스와, 일측면은 상기 제 1 절단다이스의 타측면에 면접고정되고 중앙에는 상기 선형소재삽입공에 대응되는 선형소재관통공이 관통형성되며 일측면 중앙에는 커터투입구가 함입 형성되고 제 2 칩배출구가 상기 커터투입구에 단차지게 함입형성되되 상기 선형소재관통공 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제 2 절단다이스와, 상기 본체의 작업대의 상부에 이격되게 하향 설치되고 하단에는 상기 제 1 절단다이스의 커터투입구 내로 투입되어 상기 선형소재를 절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칩배출구 보다 작은 폭을 가지되 상기 제 1 및 제 2 칩배출구 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커터가 구비되는 절단용 실린더기구를 포함하는 선형소재 절단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절단다이스의 선형소재삽입공과 상기 제 2 절단다이스의 선형소재관통공은 상기 선형소재의 삽입관통과 절단시 변형방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선형소재의 횡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선형소재는 앵글형, 채널형, 다각형 및 원형 중 하나의 횡단면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2 절단다이스의 커터투입구는 상기 제 2 절단다이스의 일측면 양 가장자리에 라이너판이 덧대어져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절단다이스의 제 1 칩배출구는 상기 선형소재삽입공의 하부와 양측을 둘러싸도록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절단다이스의 제 2 칩배출구는 상기 선형소재관통공의 하부와 양측을 둘러싸도록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형소재 절단장치는, 제 1 절단다이스의 타측면 중앙에 제 1 칩배출구가 커터 및 선형소재삽입공 보다 더 넓은 폭으로, 특히 선형소재삽입공의 하부와 양측을 둘러싸도록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2 절단다이스의 일측면 중앙에 커터투입구가 함입 형성됨과 동시에 이 커터투입구에 단차지게 함입형성되는 제 2 칩배출구가 커터 및 선형소재관통공 보다 더 넓은 폭으로, 특히 선형소재관통공의 하부와 양측을 둘러싸도록 U자 형상으로 형성 형성됨에 따라, 선형소재의 절단시에 발생되는 불규칙하거나 코일 형상으로 꼬인 칩에 의해 커터 또는 제 1 및 제 2 절단다이스의 내면이 손상됨 없이 칩이 하부로 신속용이하게 배출되고 커터에 가해지는 부하가 감소될 수 있어 선형소재의 절단작업 능률이 향상됨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절단다이스와 커터의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소재 절단장치의 전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소재 절단장치의 요부 상세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소재 절단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소재 절단장치에 있어서, 라이너판에 의한 커터투입구의 형성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소재 절단장치의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소재 절단장치에 있어서, 선형소재의 절단 시에 발생되는 칩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소재 절단장치(1)는 예를 들어 앵글형, 채널형, 다각형, 원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는 선형소재(2)를 요구되는 길이로 절단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면에 작업대(11)가 형성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작업대(11) 상에 설치되고 칩배출공(22)이 형성되는 수평지지판(21)과 중앙개구부(24)가 관통형성되는 수직고정판(23)이 일체로 형성되는 다이스고정대(20)와, 일측면은 다이스고정대(20)의 수직고정판(23)에 면접고정되고 중앙에는 선형소재(2)가 삽입되는 선형소재삽입공(31)이 관통형성되며 타측면 중앙에는 제 1 칩배출구(33)가 선형소재삽입공(31) 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제 1 절단다이스(30)와, 일측면은 제 1 절단다이스(30)의 타측면에 면접고정되고 중앙에는 선형소재삽입공(31)에 대응되는 선형소재관통공(41)이 관통형성되며 일측면 중앙에는 커터투입구(42)가 함입 형성되고 제 2 칩배출구(43)가 커터투입구(42)에 단차지게 함입형성되되 선형소재관통공(41) 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제 2 절단다이스(40)와, 본체(10)의 작업대(11)의 상부에 이격되게 하향 설치되고 하단에는 제 2 절단다이스(40)의 커터투입구(42) 내로 투입되어 상기 선형소재(2)를 절단하되 제 1 및 제 2 칩배출구(33, 43) 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커터(51)가 구비되는 절단용 실린더기구(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0)는 선형소재(2)의 절단을 위한 일종의 작업테이블에 해당하는 것으로, 지지다리를 포함하는 테이블 형상을 가지되 상부면에는 선형소재(2)의 절단작업이 행해지는 작업대(11)가 형성된다.
전술한 본체(10)의 작업대(11) 상에는 다이스고정대(20)가 설치된다. 다이스고정대(20)는 후술될 제 1 절단다이스(30)와 제 2 절단다이스(40)가 면접고정되는 일종의 설치프레임에 해당하는 것으로, 칩배출공(22)이 관통형성되는 수평지지판(21)과, 수평지지판(21)에 일체로 형성되고 중앙개구부(24)가 관통형성되는 수직고정판(23)을 포함한다.
다이스고정대(20)의 수평지지판(21)은 체결볼트에 의해 본체(10)의 작업대(11) 상에 착탈 또는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본체(10)의 작업대(11)에는 선형소재(2)의 절단 작업시에 칩이 본체(10)의 작업대(11)를 통해 하부로 낙하될 수 있도록 칩배출공(22)에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을 통해 낙하된 칩이 수집될 수 있도록 본체(10)에는 관통공의 하부에 위치되는 칩수집서랍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수직고정판(23)에 형성되는 중앙개구부(24)는 선형소재(2)가 후술될 제 1 절단다이스(30)의 선형소재삽입공(31)을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절단다이스(30)의 선형소재삽입공(31)을 노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다이스고정대(20)의 수직고정판(23)에는 제 1 절단다이스(30)가 일측면이 면접되게 고정된다. 제 1 절단다이스(30)는 후술될 제 2 절단다이스(40)와 함게 수평방향으로는 선형소재(2)가 삽입되어 관통되고 수직방향으로는 후술될 커터(51)가 상하이동되면서 선형소재(2)가 절단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절단가이드부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절단다이스(30)의 중앙에는 선형소재(2)가 삽입되는 선형소재삽입공(31)이 관통형성된다. 이러한 선형소재삽입공(31)은 선형소재(2)의 삽입관통이 가능하도록 그리고 커터(51)에 의한 선형소재(2)의 절단시에 예를 들어 찌그러짐과 같은 선형소재(2)의 형상변형이 방지되도록 선형소재(2)의 횡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제 1 절단다이스(30)의 타측면 중앙에는 제 1 칩배출구(33)가 형성되되 선형소재삽입공(31)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칩의 하향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선형소재삽입공(31) 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 1 절단다이스(30)의 제 1 칩배출구(33)는 선형소재삽입공(31)의 직하부에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형소재삽입공(31)의 하부와 양측을 둘러싸도록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 1 절단다이스(30)의 타측면에는 제 2 절단다이스(40)가 일측면이 면접되게 면접고정된다. 제 2 절단다이스(40)는 전술한 제 1 절단다이스(30)와 함께 수평방향으로는 선형소재(2)가 삽입되어 관통되고 수직방향으로는 후술 될 커터(51)가 상하이동되면서 선형소재(2)가 절단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절단가이드부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이스고정대(20)의 수직고정판(23), 제 1 절단다이스(30) 및 제 2 절단다이스(40)를 차례로 관통하여 체결볼트와 너트의 조합에 의해 제 1 절단다이스(30)에 착탈 또는 교체 가능하게 체결된다.
제 2 절단다이스(40)의 중앙에는 선형소재(2)가 관통되는 선형소재관통공(41)이 선형소재삽입공(31)에 대응되게 관통형성된다. 이러한 선형소재관통공(41)은 선형소재(2)의 관통이 가능하도록 그리고 커터(51)에 의한 선형소재(2)의 절단시에 예를 들어 찌그러짐과 같은 선형소재(2)의 형상변형이 방지되도록 선형소재(2)의 횡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제 2 절단다이스(40)의 일측면 중앙에는 커터투입구(42)가 함입 형성된다. 커터투입구(42)는 제 2 절단다이스(40)의 일측면 중앙에 후술될 커터(51)의 폭과 두께에 대응되는 깊이만큼 홈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절단다이스(40)의 일측면 양 가장자리에 커터(51)의 두께에 대응되는 두께를 가지는 라이너판(44)이 덧대어져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라이너판(44)에는 다이스고정대(20)의 수직고정판(23), 제 1 절단다이스(30) 및 제 2 절단다이스(40)를 차례로 관통하는 체결볼트의 관통을 위한 통공이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절단다이스(40)의 일측면 중앙에는 제 2 칩배출구(43)가 커터투입구(42)에 단차지게 함입형성되되, 선형소재관통공(41)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칩의 하향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선형소재관통공(41) 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 2 절단다이스(40)의 제 2 칩배출구(43)는 선형소재관통공(41)의 직하부에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형소재관통공(41)의 하부와 양측을 둘러싸도록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체(10)의 작업대(11)의 상부에는 절단용 실린더기구(50)가 이격되게 하향 설치된다. 절단용 실린더기구(50)는 커터투입구(42)를 통해 커터(51)를 상하이동시켜 선형소재(2)의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유압 프레스형 커팅기구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체(10)의 작업대(11) 상에 설치되는 별도의 거치대에 의해 상부로 이격되게 설치되되 실린더부가 상부에 위치되고 피스톤로드가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향설치되는 유압 실린더기구로 형성 가능하다.
절단용 실린더기구(50)의 하단, 다시 말해서 피스톤로드의 하단에는 제 2 절단다이스(40)의 커터투입구(42) 내로 투입되어 선형소재(2)를 절단하는 커터(51)가 구비된다. 이러한 커터(51)는 고강도강 또는 고강도 합금으로 제조 가능하다.
커터(51)에 의해 선형소재(2)가 절단되어 발생하는 칩(3)은 선형소재(2)의 단면 형상이나 커터(51)의 가압 정도 및 커팅속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칩(3)은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양측이 절곡된 띠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나선형으로 권취된 코일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보다 더 심각하게 불규칙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형소재 절단장치(1)는, 제 1 절단다이스(30)의 타측면 중앙에 제 1 칩배출구(33)가 커터(51) 및 선형소재삽입공(31) 보다 더 넓은 폭으로, 특히 선형소재삽입공(3)의 하부와 양측을 둘러싸도록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2 절단다이스(40)의 일측면 중앙에 커터투입구(42)가 함입 형성됨과 동시에 이 커터투입구(42)에 단차지게 함입형성되는 제 2 칩배출구(43)가 커터(51) 및 선형소재관통공(41) 보다 더 넓은 폭으로, 특히 선형소재관통공(41)의 하부와 양측을 둘러싸도록 U자 형상으로 형성 형성됨에 따라, 선형소재(2)의 절단시에 발생하는 띠 형상 나선형으로 권취된 코일 형상으로 감기는 칩에 의해 커터(51) 또는 제 1 및 제 2 절단다이스(30, 40)의 내면이 손상됨 없이 칩이 하부로 신속용이하게 배출되고 커터(51)에 가해지는 부하가 감소할 수 있어 선형소재(2)의 절단작업 능률이 향상됨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절단다이스(30, 40)와 커터(51)의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선형소재 절단장치
2 : 선형소재
10 : 본체
11 : 작업대
20 : 다이스고정대
21 : 수평지지판
22 : 칩배출공
23 : 수직고정판
24 : 중앙관통개구
30 : 제 1 절단다이스
31 : 선형소재삽입공
33 : 제 1 칩배출구
40 : 제 2 절단다이스
41 : 선형소재관통공
42 : 커터투입구
43 : 제 2 칩배출구
44 : 라이너판
50 : 절단용 실린더기구
51 : 커터

Claims (5)

  1. 상부면에 작업대(11)가 형성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작업대(11) 상에 설치되고 칩배출공(22)이 형성되는 수평지지판(21)과 중앙개구부(24)가 관통형성되는 수직고정판(23)이 일체로 형성되는 다이스고정대(20);
    일측면은 상기 다이스고정대(20)의 수직고정판(23)에 면접고정되고 중앙에는 선형소재(2)가 삽입되는 선형소재삽입공(31)이 관통형성되며 타측면 중앙에는 제 1 칩배출구(33)가 상기 선형소재삽입공(31) 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제 1 절단다이스(30);
    일측면은 상기 제 1 절단다이스(30)의 타측면에 면접고정되고 중앙에는 상기 선형소재삽입공(31)에 대응되는 선형소재관통공(41)이 관통형성되며 일측면 중앙에는 커터투입구(42)가 함입 형성되고 제 2 칩배출구(43)가 상기 커터투입구(42)에 단차지게 함입형성되되 상기 선형소재관통공(41) 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제 2 절단다이스(40); 및
    상기 본체(10)의 작업대(11)의 상부에 이격되게 하향 설치되고 하단에는 상기 제 2 절단다이스(40)의 커터투입구(42) 내로 투입되어 상기 선형소재(2)를 절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칩배출구(33, 43) 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커터(51)가 구비되는 절단용 실린더기구(50)를 포함하는 선형소재 절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단다이스(30)의 선형소재삽입공(31)과 상기 제 1 절단다이스(30)의 선형소재관통공(31)은 상기 선형소재(2)의 삽입관통과 절단시 변형방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선형소재(2)의 횡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소재 절단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형소재(2)는 앵글형, 채널형, 다각형 및 원형 중 하나의 횡단면 형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소재 절단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단다이스(40)의 커터투입구(42)는 상기 제 2 절단다이스(40)의 일측면 가장자리에 라이너판(44)이 덧대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소재 절단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단다이스(30)의 제 1 칩배출구(33)는 상기 선형소재삽입공(31)의 하부와 양측을 둘러싸도록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절단다이스(40)의 제 2 칩배출구(43)는 상기 선형소재관통공(41)의 하부와 양측을 둘러싸도록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소재 절단장치.
KR1020230155617A 2023-11-10 2023-11-10 선형소재 절단장치 KR102626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5617A KR102626512B1 (ko) 2023-11-10 2023-11-10 선형소재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5617A KR102626512B1 (ko) 2023-11-10 2023-11-10 선형소재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6512B1 true KR102626512B1 (ko) 2024-01-17

Family

ID=89713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5617A KR102626512B1 (ko) 2023-11-10 2023-11-10 선형소재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51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653Y1 (ko) 2002-03-25 2002-06-20 이익중 사각 파이프 절단장치
KR200331008Y1 (ko) 2003-07-29 2003-10-22 김재영 샤시 절단 가공장치
KR200407518Y1 (ko) * 2005-08-29 2006-01-31 김양회 파이프 커팅장치
KR20060039149A (ko) * 2004-11-02 2006-05-08 김성근 홈통의 절단장치
KR20110025004A (ko) * 2009-09-03 2011-03-09 원영선 커팅(Cutting) 및 쉬어링(Shearing) 구조를 가지는 금형을 이용한 H-빔 절단공법과 그 금형세트
KR20160014262A (ko) * 2014-07-29 2016-02-11 김가나 형강류 절단장치
KR20220133574A (ko) 2021-03-25 2022-10-05 피아이테크 주식회사 파이프 절단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653Y1 (ko) 2002-03-25 2002-06-20 이익중 사각 파이프 절단장치
KR200331008Y1 (ko) 2003-07-29 2003-10-22 김재영 샤시 절단 가공장치
KR20060039149A (ko) * 2004-11-02 2006-05-08 김성근 홈통의 절단장치
KR200407518Y1 (ko) * 2005-08-29 2006-01-31 김양회 파이프 커팅장치
KR20110025004A (ko) * 2009-09-03 2011-03-09 원영선 커팅(Cutting) 및 쉬어링(Shearing) 구조를 가지는 금형을 이용한 H-빔 절단공법과 그 금형세트
KR20160014262A (ko) * 2014-07-29 2016-02-11 김가나 형강류 절단장치
KR20220133574A (ko) 2021-03-25 2022-10-05 피아이테크 주식회사 파이프 절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484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iveting
CN211161481U (zh) 一种连续送料冲压模具
US4082026A (en) Portable press
KR102626512B1 (ko) 선형소재 절단장치
CN212733797U (zh) 蔬菜大棚钢管骨架端头剪切冲孔压扁一体化模具
US4494428A (en) Cutting tool insert assembly for shears
US5988032A (en) Slotting tool
CN101367140B (zh) 钢格板组合刀具剪床用楔形压紧机构
KR200349442Y1 (ko) 모터 고정자 권선코일 분리장치
EP056506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on of picture hangers
CN110894560A (zh) 一种带状皮革用新型等间距冲孔机
KR20160014262A (ko) 형강류 절단장치
US20220088665A1 (en) Forging method and forging apparatus
CN205309080U (zh) 用于料带的切边冲孔模具
CN212042250U (zh) 一种防火阀叶片冲孔主机
CN108406265B (zh) 工件扣合夹紧机构
CN216068910U (zh) 一种全自动背心袋冲切刀模
CN210523552U (zh) 一种铝合金型材冲床
CN216027456U (zh) 一种钢结构钢材冲孔装置
CN219817812U (zh) 具有防护结构的组合式冲床
CN214722576U (zh) 刀具加工自动安装装置
CN216065050U (zh) 一种落料冲压模具的废料切断装置
CN215143852U (zh) 一种自动冲孔机
CN217223166U (zh) 一种长形成型件的油气冲压机
CN212917302U (zh) 一种铝镁合金纵梁冷弯成型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