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697B1 - 차량용 하이루프 조립체의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하이루프 조립체의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697B1
KR102625697B1 KR1020230134522A KR20230134522A KR102625697B1 KR 102625697 B1 KR102625697 B1 KR 102625697B1 KR 1020230134522 A KR1020230134522 A KR 1020230134522A KR 20230134522 A KR20230134522 A KR 20230134522A KR 102625697 B1 KR102625697 B1 KR 102625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frame
roof
vehicle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4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김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수 filed Critical 김민수
Priority to KR1020230134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6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6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차량용 하이루프 조립체의 조명장치를 개시하며, 차량의 루프에 일정 면적으로 절개면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면의 개구 상방으로 경사지게 용접 설치되는 철재프레임부와, 상기 철재프레임부를 포함하도록 설치되는 방음단열용패드와, 상기 방음단열용패드의 상측으로 상기 절개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개구된 루프를 마감하는 하이루프커버, 상기 철재프레임부를 따라 볼트 체결되어 상기 차량의 루프 내부 공간이 확장되도록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며 상방과 하방을 향하여 개방되는 루프내피프레임, 및 상기 루프내피프레임에 설치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루프내피프레임의 개구된 상단측에 설치되는 사각의 틀 형상의 조명프레임과, 상기 조명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차량의 실내를 향하여 설치되는 조명패턴플레이트와, 상기 조명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기판 상에 서로 이격 상태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조명패턴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조명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하이루프 조립체의 조명장치{Lighting device of vehicle high roof assembly}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하이루프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루프 실내 공간을 확장시키는 하이루프 조립체에 구비되어 차량 내부에 조명 효과를 갖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사용 용도나 구동방식, 차체 모양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구분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일반 승용자동차나 대형버스, 단순 화물자동차가 아닌 미니버스 차량이라든지 밴(van)형 차량, 레저용 차량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자동차 사용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각국의 자동차 메이커들은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다양한 차종의 차량을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특히 내수용 차량이 아닌 수출용 차량의 경우 수출 대상 국가의 관련 법규나 세제 혜택 등에 부합시켜 차량의 구조를 변경 및 판매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예를 들어 1톤급 미니버스 차량의 경우 유럽 및 중남미 등지에서 하이루프(high roof) 차량의 선호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며, 특정의 국가에서는 밴형 차량의 경우 화물칸 내부의 실내 용적율이 일정 수준 이상 만족 시 세제 혜택을 부여하고 있는 것은 물론 일부 국가에서는 아예 용적율을 법규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수출 대상 국가의 여러 가지 요인들을 고려하여 차량 구조를 변경하지 않을 경우 시장 확대의 장애가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 차량 판매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현재 충분한 실내 용적율의 확보를 위하여 고려될 수 있는 것 중 하나가 차량의 천장부를 하이루프 구조로 변경하는 것이다.
차량 천장을 일정 크기로 절개하여 개구한 후 그 상부에 일정 용량의 내부공간을 가지는 돔 형상의 하이루프가 설치되는 것이다.
일정 용량의 내부공간을 가지는 용기 형상의 하이루프를 차체의 천장부에 뒤집어 씌운 형태로 설치함으로써, 차체의 실내고를 높히는 한편 충분한 실내 용적율을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하이루프를 적정 강도 수준의 만족을 위하여 강화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를 성형하여 제작하였으며, 차체와의 일체화를 위하여 차체 패널에 볼트 체결로 고정하였다.
그러나 하이루프 차량은 천장이 높아지고 내부 공간이 확장됨에도 불구하고, 조명시설이 부족한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825482호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차량의 하이루프 구조물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내구성이 강화되고, 루프 내부 공간이 충분히 확장될 수 있는 차량의 하이루프 조립체를 제공하며, 하이루프 조립체에 인테리어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조명장치에 사용자가 직접 다양한 격자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미려한 조명 효과는 물론, 사용자의 조명감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차량용 하이루프 조립체의 조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차량용 하이루프 조립체의 조명장치에서는, 차량의 루프에 일정 면적으로 절개면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면의 개구 상방으로 경사지게 용접 설치되는 철재프레임부와, 상기 철재프레임부를 포함하도록 설치되는 방음단열용패드와, 상기 방음단열용패드의 상측으로 상기 절개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개구된 루프를 마감하는 하이루프커버, 상기 철재프레임부를 따라 볼트 체결되어 상기 차량의 루프 내부 공간이 확장되도록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며 상방과 하방을 향하여 개방되는 루프내피프레임, 및 상기 루프내피프레임에 설치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루프내피프레임의 개구된 상단측에 설치되는 사각의 틀 형상의 조명프레임과, 상기 조명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차량의 실내를 향하여 설치되는 조명패턴플레이트와, 상기 조명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기판 상에 서로 이격 상태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조명패턴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조명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틀 형상의 상기 루프내피프레임은 상기 차량 루프의 후방측에 위치되는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와 대향하여 상기 차량 루프의 전방측에 위치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1측면 및 제2측면과,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과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상단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철재프레임부에 상기 볼트 체결되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후면부에는 스피커가 설치되고, 상기 전면부에는 영상기기가 설치되며,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에는 보조조명이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부의 내측으로는 상기 조명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명장치에서 상기 확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사이에 이격대와 이격블록이 설치되어 상기 확산판과 상기 회로기판을 이격시켜서 빛의 확산을 돕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철재프레임부와 상기 루프내피프레임의 사이에 볼트 체결로 설치되는 상기 조명프레임의 조명플랜지에는 에어시트와 완충와셔를 매개로 설치되며, 상기 에어시트는 내부에 완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와셔는 축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부와셔와 하부와셔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와셔와 상기 하부와셔의 사이에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와셔에는 일정 면적의 홈부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와셔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홈부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하이루프 조립체의 조명장치에서는, 차량의 루프 대부분을 절개하고 절개 부분에 설치되는 철제프레임과, 방음단열용패드, 하이루프커버, 루프내피프레임 및 조명장치로 이루어지는 하이루프조립체로, 내구성과 탑승자의 안전성이 증대되고, 루프 내부 공간이 확장되어 공간 활용도가 높아지며, 조명장치를 통하여 미려한 조명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조명장치에 사용자가 직접 다양한 격자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미려한 조명 효과는 물론, 사용자의 조명감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루프 차량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루프 차량에 철재프레임부의 설치를 차량 내부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루프 조립체에서 루프내피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루프 조립체에서 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조명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철재프레임과 조명장치 및 루프내피부재의 체결부를 보여주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루프 조립체의 설치 사시도이고,
도 9a,b는 본 개시의 조명장치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격자패턴의 연출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전방", "후방"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루프 차량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루프 차량에 철재프레임부의 설치를 차량 내부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루프 조립체에서 루프내피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루프 조립체에서 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조명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철재프레임과 조명장치 및 루프내피부재의 체결부를 보여주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루프 조립체의 설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차량의 하이루프 조립체(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차량(10)의 루프(12)에 일정 면적으로 절개된 절개면(16)에 설치되는 철재프레임부(110)와, 철재프레임부(110)를 포함하도록 설치되는 방음단열용패드(120)와, 상기 철재프레임부(110)의 상측으로 절개면(16)을 따라 설치되는 하이루프커버(130)와, 상기 철재프레임부(110)를 따라 설치되어 차량(10)의 루프 내부 공간이 확장되도록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루프내피프레임(140) 및 루프내피프레임(140)에 설치되는 조명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하이루프(high roof) 차량에 충분한 실내 용적율의 확보를 위하여 차량의 천장부를 하이루프 조립체(100)로 구조 변경하고자 하는 것이다.
여기서 차량(10)은 RV차량으로 국내에서는 일 예로 카니발의 하이리무진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차량(10)의 루프(12)에 일정 면적으로 절개를 하여 차량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절개면(16)을 형성하게 된다.
대체적으로 RV차량에는 루프(12) 상에 루프랙(14)이 설치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의 절개면(16)은 마주하는 루프랙(14)의 사이에서 상기 루프랙(14)과 근접한 부분부터 절개하여 직사각의 절개면(16)을 형성하게 된다.
이는 차량(10)의 실내에서 보았을 때에는 차량(10)의 도어(미도시)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제거하고, 제거된 손잡이부 위치부터 절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차량(10)의 루프(12) 전체면적에서 구조적 강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최대한 절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절개면(16)을 따라 철재프레임부(110)가 용접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철재프레임부(110)는 전체적으로 상방을 향할 수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단 폭은 점점 좁아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철재프레임부(110)는 도 2에서와 같으며, 도 1에서는 점선으로 대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차량(10)의 중량이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재질이 사용되며, 다시 크게 후방프레임(111), 전방프레임(112), 후방프레임(111)과 전방프레임(112)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세로바(113)와, 세로바(113) 사이에 설치되는 가로바(114)로 구성될 수 있다.
후방프레임(111)은 전체 형상이 사다리꼴로 차량 루프(12)의 후방측 절개면(16)에 수직하게 용접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후방프레임(111)과 대향하여 차량 루프(12)의 전방측 절개면(16)에 동일 형상으로 수직하게 용접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강성 보강을 위하여 각 후방프레임(111)과 전방프레임(112)에는 절개면(16)과 용접되어 윗변과 연결되는 수직바(115)가 다수개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마주하는 후방프레임(111)과 전방프레임(112)을 용접으로 다수개의 세로바(113)가 일직선으로 연결 설치된다.
세로바(113)는 사라디리꼴의 후방프레임(111)과 전방프레임(112)에서 윗변과 양측변을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 다수개의 세로바(113) 사이에는 가로바(114)가 설치되어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서로 용접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방음단열용패드(120)는 개방된 루프(12) 상에 철재프레임부(110)를 포함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방음단열용패드(120)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방음단열용패드(120)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멜트블로운 극세사를 포함한 섬유재와, 섬유재의 양측에 형성된 부직포로 구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멜트블로운 극세사는 중량부로 40 내지 60중량부는 1 내지 3㎛의 평균직경을 갖는 초극세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초극세사로 이루어져서 고밀도 구조를 유지할 수 있으며, 그물 구조의 섬유층 사이에 수많은 공기층과 초극세사가 함께 얽혀 있어 결집 강도가 증가하면서 동일 체적 내에 섬유가닥수도 증가하고 표면적이 증가하므로 단열성 및 흡음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초극세사의 양면에 부착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중량부로 면 30 내지 40중량부, 셀룰로오즈 10 내지 30 중량부, 폴리에스테르 30 내지 4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섬유를 평행 또는 부정 방향으로 배열되어 얇은 펠트 모양의 웹을 형성 및 결합시켜 제조될 수 있다.
계속해서, 방음단열용패드(120)의 상측 즉, 루프(12)의 절개면(16)을 따라 차량(10)의 개구된 루프(12)를 하이루프커버(130)로 폐쇄하게 된다.
상기 하이루프커버(130)는 일 예로 카니발의 하이리무진에 적용되는 커버일 수 있다.
상기 하이루프커버(130)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돔 형상으로 루프(12)에 철재프레임부(110)를 포함하도록 돔 형상의 하이루프커버(130)를 차량(10)의 루프(12)에 뒤집어 씌운 형태로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실내고를 높이게 된다.
하이루프커버(130)는 적정 강도 수준의 만족을 위하여 강화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를 성형하여 제작되며, 절개면(16)을 따라 볼트 체결되고, 철재프레임부(110)와도 볼트로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를 따라 실리콘으로 마감처리하게 된다.
한편, 철재프레임부(110)를 따라 볼트 체결되어 차량(10)의 루프(12) 내부 공간이 확장되도록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루프내피프레임(140)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루프내피프레임(140)은 도 3 또는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차량의 내부 공간을 향하여 폭이 확대되면서 상방과 하방은 개방되는 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차량 루프(12)의 후방측에 위치되는 후면부(141)와, 후면부(141)와 대향하여 차량 루프(12)의 전방측에 위치되는 전면부(142)와, 전면부(142)와 후면부(141)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1측면(143) 및 제2측면(144)으로 이루어져서 상방과 하방이 개방된 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제1측면(143)과 제2측면(144), 전면부(142), 후면부(141)의 상단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철재프레임부(110)에 볼트(S) 체결되는 플랜지부(145)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랜지부(145)는 전체 형상에서 하단에도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145)는 철재프레임부(110)의 전방프레임(112)과 후방프레임(111), 가로바(114)와 볼트(S)로 체결되고, 제1측면(143)과 제2측면(144)은 가로바(114)에 체결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후면부(141)에는 스피커(200)가 설치되고, 전면부(142)에는 영상기기(210)가 설치되며, 제1측면(143)과 제2측면(144)에는 보조조명(220)이 설치될 수 있다.
스피커(200), 영상기기(210) 및 조명(22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온/오프 작동되며, 각 설치홀(도면번호 미부여)에 일면이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방이 개구된 상기 루프내피프레임(140)의 상단 내측으로 조명장치(1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50)는 천장이 높아진 루프 실내를 밝힐 수 있는 메인 등일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50)는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루프내피프레임(140)의 개구된 상단측에 설치되는 사각의 틀 형상의 조명프레임(151)과, 상기 조명프레임(151)의 내부에 상기 차량의 실내를 향하여 설치되는 조명패턴플레이트(152)와, 조명프레임(151)의 내부에 설치되며, 기판 상에 서로 이격 상태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153a)를 포함하는 회로기판(153) 및 회로기판(153)과 조명패턴플레이트(152)의 사이에 설치되어 조명을 확산시키는 확산판(154)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프레임(151)은 금속재로 제작되며, 사각의 틀 형상으로 조명플랜지(151a)가 일체로 형성되어 철재프레임부(110)에 볼트(S) 체결되는 플랜지부(145)와 함께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조명패턴플레이트(152)는 합성수지재 또는 투명 PC(Polycarbonate) 또는 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재질의 하이그로시로 제작될 수 있고, 조명프레임(151)의 내측 면적과 같으며, 격자 패턴이 형성되어 고급스러운 장식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153)은 발광다이오드(153a)들이 실장되는 기판이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발광다이오드(153a)들에 전달하여 광이 발생될 수 있도록 소정의 회로패턴(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로기판(153)은 PCB(인쇄회로기판) 또는 FPCB(연성인쇄회로기판)가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53a)들은 상기 회로기판(153) 상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어 실장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53a)들은 상기 회로기판(153)을 통하여 전원을 인가받으면, 광들을 출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로기판(153) 상에 발광다이오드(153a)들이 복수개 실장되어 있는 구조는 널리 사용되고 있기에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회로기판(153)은 미도시된 전원스위치와 제어부에 의하여 점등 및 밝기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발광다이오드(153a)에서 발광한 광은 확산판(154)으로 출사되어 광이 확산되어 조명패턴플레이트(152)를 통해 출사될 수 있다.
확산판(154)은 발광다이오드(153a)의 광을 집광, 확산 등을 시켜는 광학시트를 통해 균일한 면 광원을 조명패턴플레이트(152)로 출사하게 된다.
상기 확산판(154)에는 회로기판(153)과의 이격 설치를 통해 광의 확산 효과를 돕게 된다.
상기 확산판(154)과 상기 회로기판(153)의 사이에 다수개의 이격대(155)와 이격블록(156)이 설치될 수 있다.
확산판(154)에 다수개의 홀(154a)이 일정하게 배열 형성되고, 상기 홀(154a)에 수직하게 이격대(155)가 삽입 설치되며, 봉 형태의 이격대(155)에 원통형의 이격블록(156)이 삽입 위치될 수 있다.
즉, 이격대(155)를 포함하도록 이격블록(156)이 설치되고, 이격블록(156)에 회로기판(153)이 맞닿아 이격블록(156)의 높이만큼 이격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와 같이, 볼트(S)의 체결부위에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진동흡수기능을 갖는 에어시트(160)와 완충와셔(170)를 매개로 설치될 수 있다.
에어시트(160)는 볼트(S)가 체결되는 철재프레임부(110)와 조명프레임(151)의 조명플랜지(151a) 사이에 맞대어 설치되고, 완충와셔(170)는 볼트머리와 루프내피프레임(140)의 사이에 설치되어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에어시트(160)는 내부에 완충공간(162)이 형성되며, 상기 완충공간(162)에는 에어가 충진되어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게 되고, 상기 에어시트(160)는 고무재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완충와셔(170)는 축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부부재(171)와 하부부재(172)로 구성되고, 상부부재(171)와 하부부재(172)의 사이에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이격공간(17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부재(172)에는 일정 면적의 홈부(172a)가 형성되고, 홈부(172a)에 위치되도록 상부부재(171)에는 돌기(171a)가 돌출되어 홈부(172a)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부부재(171)의 돌기(171a)와 하부부재(172)의 홈부(172a)는 다수개가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기(171a)의 폭은 홈부(172a)의 면적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외부 충격이 전달과정에서 상부부재(171)와 하부부재(172)를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이격공간(173)과 돌기(171a)가 압축되면서 적절한 단면적을 가지는 홈부(172a)내에서 수직방향 작용력 및 측방향 작용력에 대한 지지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하이루프 조립체의 설치는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차량(10)의 루프(12)에 설치되는 루프랙(14)을 사이에 두고 대부분 면적을 절개하여 차량(1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절개면(16)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미리 전방프레임(112)과 후방프레임(111), 세로바(113) 및 가로바(114)가 상호 용접된 철재프레임부(110)를 절개면(16)에 용접으로 고정 설치하게 된다.
전방프레임(112)은 차량(10)의 전방측에 위치되고, 후방프레임(111)은 차량(10)의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절개면(16)에 철재프레임부(110)가 설치되면, 철재프레임부(110)의 상측으로 방음단열용패드(120)를 덮어 씌워서 설치하고, 그 상측으로는 절개면(16)으로 개구된 루프(12)에 하이루프커버(130)를 설치하게 된다.
하이루프커버(130)는 철재프레임부(110)와 볼트 등으로 체결될 수 있다.
계속해서, 철재프레임부(110)의 내측으로 즉, 차량(10)의 내부 공간으로 루프내피프레임(140)과 함께 조명장치(150)를 설치하게 되며, 설치는 볼트(S)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차례로 철재프레임부(110)와 조명플랜지(151a), 플랜지부(145)가 체결되고, 이와 같이 전면부(142), 후면부(141) 및 제1측면(143)과 제2측면(144)도 맞대어지는 철재프레임부(110)의 수직바(115) 또는 가로바(114)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조명장치(150)에는 미리 조명프레임(151)에 차례로 조명패턴플레이트(152)와 이격대(155)와 이격블록(156)이 설치된 확산판(154)이 설치되고, 확산판(154)과 이격하여 회로기판(153)이 조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더욱이 철재프레임부(110)와 조명플랜지(151a)의 사이에는 에어시트(160)가 설치되고, 플랜지부(145)와 볼트(S)에는 완충와셔(170)가 설치되어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그리고 루프내피프레임(140)에는 인테리어 제품들이 설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전면부(142)에 영상기기(210)가 설치되고, 후면부(141)에는 스피커(200)가 설치되며, 제1측면(143)과 제2측면(144)에는 보조조명(220)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a, 9b는 본 개시의 조명장치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격자패턴의 연출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동일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9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조명장치(150)에서 조명패턴플레이트(152)의 다른 실시 예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조명패턴플레이트(18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일정 깊이의 가이드홈(182)이 형성되며, 9a에서는 조명패턴플레이트(180)의 세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세로패턴바(184)가 설치되고, 9b에서는 가로 방향을 가로지르는 가로패턴바(18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세로패턴바(184)는 양단으로 세로가이드돌기(184a)가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홈(182)에 삽입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세로가이드돌기(184a)에는 미도시되었으나, 단면에 자석판이 부착 설치되어 금속재의 조명패턴플레이트(180)의 가이드홈(182)에 자력으로 부착되어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세로패턴바(184)의 양측면으로는 세로가이드홈(184b)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로패턴바(186)의 양단으로도 가로가이드돌기(186a)가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홈(182)에 삽입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또 가로가이드돌기(186a)에도 미도시되었으나, 단면에 자석판이 부착 설치되어 금속재의 조명패턴플레이트(180)의 가이드홈(182)에 자력으로 부착되어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도 9a에서와 같이 세로패턴바(184)의 길이는 조명패턴플레이트(180)의 내측 길이와 같을 수 있으며, 가로 방향의 중앙에 위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세로패턴바(184)의 양측면 세로가이드홈(184b)과 가이드홈(182)의 사이에 일정 거리 간격 이격하여 다수개의 가로패턴바(186)가 설치될 수 있다.
가로패턴바(186)는 9b에서의 가로패턴바(186)와는 길이를 달리하며, 최초 소비자에게 길이를 달리하는 여러 종류의 가로패턴바(186)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정 길이의 가로패턴바(186)가 장착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가로패턴바(186)의 간격에 따라 다양한 격자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가로패턴바(186)의 양단에 가로가이드돌기(186a)가 형성되어 가이드홈(182)과 세로가이드홈(184b)에 설치될 수 있다.
도 9b에서는 9a에서와 반대로 조명패턴플레이트(180)의 가로 방향의 내측 길이와 같은 가로패턴바(186)가 제공되고, 가로패턴바(186)를 중심으로 세로패턴바(184)가 설치될 수 있다.
가로패턴바(186)의 양측면 가로가이드홈(186b)과 가이드홈(182)의 사이에 일정 거리 간격 이격하여 다수개의 세로패턴바(184)가 설치될 수 있다.
최초 소비자에게 길이를 달리하는 여러 종류의 세로패턴바(184)를 제공할 수 있다.
적정 길이의 세로패턴바(184)가 장착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세로패턴바(184)의 간격에 따라 다양한 격자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세로패턴바(184)의 양단에 세로가이드돌기(184a)가 형성되어 가이드홈(182)과 가로가이드홈(186b)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공되는 다양한 길이의 가로패턴바(186)와 세로패턴바(184)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격자 패턴을 용이하게 변경이 가능하여 다양한 조명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차량의 루프 대부분을 절개하고 절개 부분에 설치되는 철제프레임과, 방음단열용패드, 하이루프커버, 루프내피프레임 및 조명장치로 이루어지는 하이루프조립체로, 내구성과 탑승자의 안전성이 증대되고, 루프 내부 공간이 확장되어 공간 활용도가 높아지며, 조명장치를 통하여 미려한 조명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조명장치에 사용자가 직접 다양한 격자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미려한 조명 효과는 물론, 사용자의 조명감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차량 12 : 루프
14 : 루프랙 16 : 절개면
100 : 하이루프 조립체
110 : 철재프레임부 111 : 후방프레임
112 : 전방프레임 113 : 세로바
114 : 가로바 115 : 수직바
120 : 방음단열용패드 130 : 하이루프커버
140 : 루프내피프레임 141 : 후면부
142 : 전면부 142a : 장공
142b : 연장부
143 : 제1측면 144 : 제2측면
145 : 플랜지부 150 : 조명장치
151 : 조명프레임 151a : 조명플랜지
152 : 조명패턴플레이트 153 : 회로기판
153a : 발광다이오드 154 : 확산판
155 : 이격대 156 : 이격블록
160 : 에어시트 162 : 완충공간
170 : 완충패드 171 : 상부부재
171a : 돌기 172 : 하부부재
172a : 홈부 173 : 이격공간
200 : 스피커 210 : 영상기기
220 : 보조조명

Claims (5)

  1. 차량의 루프에 일정 면적으로 절개면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면의 개구 상방으로 경사지게 용접 설치되는 철재프레임부와,
    상기 철재프레임부를 포함하도록 설치되는 방음단열용패드와,
    상기 방음단열용패드의 상측으로 상기 절개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개구된 루프를 마감하는 하이루프커버,
    상기 철재프레임부를 따라 볼트 체결되어 상기 차량의 루프 내부 공간이 확장되도록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며 상방과 하방을 향하여 개방되는 루프내피프레임, 및
    상기 루프내피프레임에 설치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루프내피프레임의 개구된 상단측에 설치되는 사각의 틀 형상의 조명프레임과,
    상기 조명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차량의 실내를 향하여 설치되는 조명패턴플레이트와,
    상기 조명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기판 상에 서로 이격 상태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조명패턴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조명을 확산시키는 확산판,
    상기 확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확산판과 상기 회로기판을 이격으로 빛의 확산을 돕는 이격대 및 이격블록을 포함하고,
    틀 형상의 상기 루프내피프레임은,
    상기 차량 루프의 후방측에 위치되는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와 대향하여 상기 차량 루프의 전방측에 위치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1측면 및 제2측면과,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과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상단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철재프레임부에 상기 볼트 체결되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철재프레임부와 상기 루프내피프레임의 사이에 볼트 체결로 설치되는 상기 조명프레임의 조명플랜지에는 에어시트와 완충와셔를 매개로 설치되며,
    상기 에어시트는 고무재로 내부에 에어가 충진되는 완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와셔는,
    축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부와셔와 하부와셔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와셔와 상기 하부와셔의 사이에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와셔에는 일정 면적의 홈부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와셔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홈부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조명패턴플레이트는,
    내측 테두리를 따라 일정 깊이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양측면으로 세로가이드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양단으로 세로가이드돌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위치 되도록 세로패턴바가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세로패턴바의 상기 세로가이드홈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양단으로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가로패턴바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세로패턴바와 상기 가로패턴바를 이용하여 격자 패턴을 배치할 수 있는, 차량용 하이루프 조립체의 조명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에는 스피커가 설치되고, 상기 전면부에는 영상기기가 설치되며,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에는 보조조명이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부의 내측으로는 상기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차량용 하이루프 조립체의 조명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230134522A 2023-10-10 2023-10-10 차량용 하이루프 조립체의 조명장치 KR102625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4522A KR102625697B1 (ko) 2023-10-10 2023-10-10 차량용 하이루프 조립체의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4522A KR102625697B1 (ko) 2023-10-10 2023-10-10 차량용 하이루프 조립체의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5697B1 true KR102625697B1 (ko) 2024-01-16

Family

ID=89719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4522A KR102625697B1 (ko) 2023-10-10 2023-10-10 차량용 하이루프 조립체의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6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3228B2 (ja) * 2003-10-17 2006-09-20 現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ハイルーフ構造
KR101825482B1 (ko) 2016-09-28 2018-02-06 (주)탑아이엔디 차량의 하이루프 구조물 및 하이루프의 시공방법
KR20200102776A (ko) * 2019-02-22 2020-09-01 오토렉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하이루프 조립체
KR20220067164A (ko) * 2020-11-17 2022-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입체 패턴을 그라데이션으로 발광시키는 차량용 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3228B2 (ja) * 2003-10-17 2006-09-20 現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ハイルーフ構造
KR101825482B1 (ko) 2016-09-28 2018-02-06 (주)탑아이엔디 차량의 하이루프 구조물 및 하이루프의 시공방법
KR20200102776A (ko) * 2019-02-22 2020-09-01 오토렉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하이루프 조립체
KR20220067164A (ko) * 2020-11-17 2022-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입체 패턴을 그라데이션으로 발광시키는 차량용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6442B2 (en) Floor coverings for vehicles having integrated air and lighting distribution
US20150274066A1 (en) Vehicle trim panels with interior illumination systems
US6120091A (en) Molded headliner with relatively rigid frame in combination with a less rigid mat
CN100416154C (zh) 结构板
KR20180107144A (ko) 장착 지점들을 가지고 있는 언더바디 패널
JP7492171B2 (ja) 車両用内装材
US20070046073A1 (en) Headliner with improved attachment structure
KR102352130B1 (ko)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KR102625697B1 (ko) 차량용 하이루프 조립체의 조명장치
US10300863B1 (en) Vehicle console assembly
KR102645133B1 (ko) 차량용 가니시 구조물
CN103359177A (zh) 车辆顶篷组件和车顶组件
KR102352123B1 (ko)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KR102643625B1 (ko) 차량의 하이루프 조립체
KR102617417B1 (ko)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KR20070091477A (ko) 자동차 헤드라이너 보강구조
JP2015089795A (ja) 車両用ドア
WO2021060291A1 (ja) 車両用照明装置
JP2019036519A (ja) ランプユニット
JP7415819B2 (ja) 照明装置の取付構造および照明装置付内装材
JP7333021B2 (ja) 車両の収納ボックスの照明構造
KR102548968B1 (ko) 차량용 실내 장식재
KR200497586Y1 (ko) 브라켓 일체형 차량 실내등
KR102439619B1 (ko) 장식판의 교체가 자유로운 모빌리티용 실내장식재
KR102236044B1 (ko) 램프 유닛, 및 램프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