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968B1 - 차량용 실내 장식재 - Google Patents

차량용 실내 장식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968B1
KR102548968B1 KR1020220059899A KR20220059899A KR102548968B1 KR 102548968 B1 KR102548968 B1 KR 102548968B1 KR 1020220059899 A KR1020220059899 A KR 1020220059899A KR 20220059899 A KR20220059899 A KR 20220059899A KR 102548968 B1 KR102548968 B1 KR 102548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vehicle
decorative panel
light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홍
임수화
우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닉
Priority to KR1020220059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9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4Lighting devices embedded in interior trim, e.g. in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2013/0287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integrating other function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2013/0293Connection or positioning of adjacen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60Y2304/078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by interchangeable parts, e.g. new part adapting to old 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장식재를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차량용 실내 장식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실내에 배치되는 모듈과; 상기 모듈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장식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과 상기 장식패널에는 상기 모듈이 상기 장식패널에 설치되도록 하는 설치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모듈에는 상기 장식패널이 배치되는 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수단은, 장식패널의 적어도 일 측부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와, 상기 제1결합돌기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모듈의 적어도 일 측벽에는 제1결합홈이 형성된 차량용 실내 장식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실내 장식재{INTERIOR DECORATION MATERIAL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실내 장식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장식재를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차량용 실내 장식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 등의 차량은 이동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승차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차량에 다양한 편의 장치를 설치하는 것은 운전자의 주의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각종 편의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컨버전스(convergence)를 통하여 여러 편의 장치를 단일의 장치로 축약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차량용 편의 장치의 일 예로 차량용 인테리어 램프 유닛은 단순하게 차량 내부에 조명을 제공해주는 형태에서 운전자와 동승자에게 편안하고 안락한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진보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인테리어 램프 유닛은 차량의 실내 루프의 중앙이나 운전석과 보조석 사이에 매립 설치되어 차량의 실내를 조명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용 인테리어 램프 유닛은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광원과, 이 광원을 커버하는 조명 렌즈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자동차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차량의 본연의 주행 성능과 관련된 기술은 물론이고, 차량 내부 공간의 고급화와 안락함을 위한 다양한 소재 및 부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1. 공개특허 제10-2020-0109405호(2020. 09. 23, 공개) 2. 등록실용신안 제20-0377091호(2005. 03. 08, 공고) 3. 공개특허 제10-2017-0100280호(2017. 09. 04, 공개) 4. 등록특허 제10-2005539호(2019. 07. 30,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전기자동차나 수소자동차와 같이 실내가 평평한 바닥 공간으로 이루어진 차량의 구조에 최적화된 형태를 제공하며 다양한 장식재를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실내 장식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실내 장식재는,
차량 실내에 배치되는 모듈과;
상기 모듈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장식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과 상기 장식패널에는 상기 모듈이 상기 장식패널에 설치되도록 하는 설치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모듈에는 상기 장식패널이 배치되는 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수단은, 장식패널의 적어도 일 측부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와, 상기 제1결합돌기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모듈의 적어도 일 측벽에는 제1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식패널 사이로 상기 모듈 상부에 배치된 조명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명부재는, 다수 개의 LED가 장착된 LED모듈과; 상기 LED 모듈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LED의 광을 확산시키는 광확산부재와; 상기 LED모듈과 상기 광확산부재를 수용하는 수용공을 구비하여 상기 LED의 광이 외부로 발산되게 하는 광발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발산부재의 적어도 일 측부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가 끼움 결합되게 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발산부재의 상면과 상기 장식패널의 상면이 동일 높이로 설치되고, 상기 광발산부재의 하단부에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모듈의 바닥에는 상기 제2결합돌기가 결합되도록 하는 제3결합홈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실내 장식재는,
차량 실내에 배치되는 모듈과;
상기 모듈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장식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과 상기 장식패널에는 상기 모듈이 상기 장식패널에 설치되도록 하는 설치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모듈에는 상기 장식패널이 배치되는 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수단은, 장식패널의 저면과 상기 배치홈의 상면에는 상기 장식패널이 모듈에 자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자력부재가 각각 부착되되,
상기 자력부재는 상기 장식패널의 저면과 상기 배치홈의 상면에 각각 형성된 삽입홈에 설치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홈은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설치수단은, 상기 장식패널의 저면과 상기 배치홈의 상면에 각각 도포된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는 유성접착제 및 수정접착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차량용 바닥매트를 대체하여 차량의 실내 공간에 대한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수소 또는 전기자동차의 평평한 바닥에 적합하도록 개선하여 상기 자동차의 실내 바닥 등에 새로운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실내 바닥 등에 감성적인 요인을 부가할 수 있어, 차량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
장식패널들 중 일부가 손상되더라도 손상된 일부만 교체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 관리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DIY(Do It Yourself)를 통해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장식패널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장식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요부 구성의 분해 단면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장식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요부 구성의 분해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장식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1a 내지 도 3의 제1 내지 제3 장식패널의 조립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장식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b에는 도 1a의 요부 구성의 분해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장식재(200a)는, 전기자동차나 수소자동차와 같이 실내 바닥이 평평한 차량의 실내에 고정 배치되는 제1 모듈(1a)과, 이 제1 모듈(1a)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제1 장식패널(100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모듈(1a)과 제1 장식패널(100a)에는 제1 모듈(1a)이 제1 장식패널(100a)에 설치되도록 하는 설치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제1 모듈(1a)에는 제1 장식패널(100a)이 배치되는 배치홈(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설치수단은, 제1 장식패널(100a)의 적어도 일 측부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101)와, 이 제1결합돌기(101)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제1 모듈(1a)의 적어도 일 측벽(4a)에는 제1결합홈(5a)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장식재(200a)는, 상기 제1 장식패널(100a) 사이로 제1 모듈(1a) 상부에 배치된 조명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조명부재는, 다수 개의 LED(31)가 장착된 LED 모듈(30)과, 이 LED 모듈(30)의 상부에 설치되어 LED(31)의 광을 확산시키는 광확산부재(20)와, 상기 LED모듈(30)과 광확산부재(20)를 수용하는 수용공(11)을 구비하여 LED(31)의 광이 외부로 발산되게 하는 제1 광발산부재(1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LED(31)는 일반적인 LED와, 조명의 세기와 색(color) 등이 원격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LED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광발산부재(10a)의 적어도 일 측부에는 제1 장식패널(100a)의 제1결합돌기(101)가 끼움 결합되게 하는 제2결합홈(1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광발산부재(10a)의 상면과 제1 장식패널(100a)의 상면은 차량의 승객 등이 걸려 넘어지거나 하는 등을 방지하기 위해 동일 높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장식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b에는 도 2a의 요부 구성의 분해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에 앞서, 후술하는 부재 중 제1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번호의 부재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 보인 것으로, 따라서 상기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장식재(200b)는, 차량 실내에 배치되는 제2 모듈(1b)과, 이 제2 모듈(1b)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제2 장식패널(100b)과, 이 제2 장식패널(100b) 사이로 제2 모듈(1b) 상부에 배치된 조명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모듈(1b)과 제2 장식패널(100b)에는 제2 모듈(1b)이 제2 장식패널(100b)에 설치되도록 하는 설치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제2 모듈(1b)에는 제2 장식패널(100b)이 배치되는 배치홈(4b)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수단은, 제2 장식패널(100b)의 저면과 제2 모듈(1b)의 배치홈(4b)의 상면에는 제2 장식패널(100b)이 제2 모듈(1b)에 자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자력부재(110,120)가 각각 부착된다.
상기 자력부재(110,120)는 제2 장식패널(100b)의 저면과 제2 모듈(1b)의 배치홈(4b)의 상면에 각각 형성된 삽입홈(3b,101b)에 설치된다.
이러한 자력부재(110,120)는 마그네트부재와, 이 마그네트부재와 자력에 의해 부착 가능한 금속부재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마그네트부재는 일반적인 자석부재이고, 이 자석부재의 다른 실시예로, 네오디움 자석, 고무자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삽입홈(3b,101b)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장식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장식재(200c)는, 차량 실내에 배치되는 제3 모듈(1c)과, 이 제3 모듈(1c)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제3 장식패널(100c)과, 이 제3 장식패널(100c) 사이로 제3 모듈(1c) 상부에 배치된 조명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 모듈(1c)과 제3 장식패널(100c)에는 제3 모듈(1c)이 제3 장식패널(100c)에 설치되도록 하는 설치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설치수단은, 상기 제3 장식패널(100c)의 저면 또는/및 제3 모듈(1c)의 배치홈의 상면에 각각 도포된 접착제(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착제(40)는 유성접착제 및 수정접착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2a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광발산부재(10b)의 하단부에는 제2결합돌기(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내지 제3 모듈(1b~1c)의 바닥에는 제2 광발산부재(10b)의 제2결합돌기(12)가 결합되도록 하는 제3결합홈(2b)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 광발산부재(10b)를 제2 내지 제3 모듈(1b~1c)의 바닥에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는 도 1a 내지 도 3의 제1 내지 제3 장식패널의 조립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장식패널(100a,100b,100c)은, 베이스판재(110)와, 이 베이스판재(110)의 상면에 접착된 PVC필름(120)과, 이 PVC필름(120)의 상면에 찍어서 형성된 인쇄층(130) 또는 장식층과, 이 인쇄층(130)이 외부에 노출되며 인쇄층(130)을 보호하는 투명보호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재(110)는, 목분, TPU(Thermo Plastic Polyurethane), PVC(Poly Vinyl Chloride),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 Plastic Elastomer, TPE), 러버(Rubber), 실리콘(Silicone) 및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목분은, 대부분의 목재분말(톱밥, 80% 내외)과,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VC 또는 PLA(Polylatic Acid, 폴리젖산)와 같은 플라스틱을 배합한 복합재료이다.
특히, 상기 베이스판재(110)의 PVC는, PVC 필름 및 PVC 발포필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베이스판재(110)는 내구성 또는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7~12mm 정도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PVC필름(120)은,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석회암 또는 화강암에 PVC를 혼합하여 필름으로 성형한 것이다.
이러한 PVC필름(120)은 강도 보강이 더 보완되도록 하기 위해, 2.0~5.5mm 두께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PVC필름(120)이 제1 내지 제3 장식패널(100a,100b,100c)에 구비되어 제1 내지 제3 장식패널(100a,100b,100c)의 미감을 부여하기 위해 다양한 색(color)을 형성하거나, 다양한 모양 또는 무늬를 인쇄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15~20㎛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보호재(140) 또는 보호필름은 외부에서 인쇄층(130)이 노출될 수 있도록 투명 PVC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투명보호재(140)는 인쇄층(130)을 보호하는 기능도 하며, 또한 제1 내지 제3 장식패널(100a,100b,100c)에 방수 성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투명보호재(140)의 상면에는 투명보호재(140)에 찍어서 형성된 엠보싱층(150) 또는 엠보시트가 구비된다.
상기 엠보싱층(150)의 형성으로 제1 내지 제3 장식패널(100a,100b,100c)의 입체적인 미감을 부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15~20㎛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엠보싱층(150)은 디지털 인쇄 방식으로 예컨대, 나무, 돌, 금속, 직물 패턴 등의 표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엠보싱층(150)의 상면에는 표면의 경도나 광택 또는 전기절연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UV코팅층(160)이 형성된다.
이러한 UV(Ultra Violet)코팅층은 UV경화수지를 코팅하거나 인쇄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UV코팅층(160)의 형성으로 제1 내지 제3 장식패널(100a,100b,100c)의 표면에 스크래치 등의 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UV코팅층(160)은 15~20㎛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내지 제3 장식패널(100a,100b,100c)의 상부나 하부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우드 베니어나 리얼스톤 베니어로 이루어진 베니어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실내 장식재(200a~200c)는, 다수 개의 장식패널(100a~100c)을 다양한 방법으로 모듈(1a~1c) 내에 결합 배치 및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자동차나 수소자동차와 같이 실내가 평평한 바닥 공간으로 이루어진 차량의 구조에 최적화된 형태를 제공하며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다양한 미감으로 차량 실내를 장식할 수 있고, 차량에 탑승한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제1 내지 제3 장식패널(100a,100b,100c)과 광발산부재(10a,10b)가 결합된 후에 제1 내지 제3 장식패널(100a,100b,100c)과 광발산부재(10a,10b)의 상부로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음으로 차량의 승객이 걸려 넘어지는 등의 문제점도 생기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a. 제1 모듈
1b. 제2 모듈
1c. 제3 모듈
10a. 제1 광발산부재
11. 수용공
12a. 제2결합홈
20. 광확산부재
31. LED
30. LED 모듈
100a. 제1 장식패널
100b. 제2 장식패널
100c. 제3 장식패널
101. 제1결합돌기
110,120. 자력부재
200a,200b,200c. 실내 장식재

Claims (8)

  1. 차량 실내에 배치되는 모듈과;
    상기 모듈 상부에 복수개로 설치된 장식패널과;
    상기 모듈의 상부의 인접하는 상기 장식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조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과, 상기 장식패널과, 상기 조명부재에는 각각, 상기 장식패널 및 조명부재가 상기 모듈 상면에 설치되도록 하는 설치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장식패널 및 조명부재가 안착되는 배치홈을 구비하고,
    상기 조명부재는 LED 모듈과, 상기 LED 모듈을 수용하는 수용공이 구비된 광발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수단은, 상기 모듈의 배치홈 측면에 형성된 제1결합홈과, 상기 광발산부재의 양측부에 형성된 제2결합홈과, 상기 장식패널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장식패널의 제1결합돌기가 상기 모듈의 제1결합홈 또는 상기 조명부재의 제2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장식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재는:
    다수 개의 LED가 장착된 LED모듈과;
    상기 LED 모듈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LED의 광을 확산시키는 광확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발산부재는 LED모듈과 상기 광확산부재를 수용하는 수용공을 구비하여 상기 LED의 광이 외부로 발산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장식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발산부재의 상면과 상기 장식패널의 상면이 동일 높이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장식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발산부재의 하단부에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모듈의 바닥에는 상기 제2결합돌기가 결합되도록 하는 제3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장식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20059899A 2022-05-17 2022-05-17 차량용 실내 장식재 KR102548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899A KR102548968B1 (ko) 2022-05-17 2022-05-17 차량용 실내 장식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899A KR102548968B1 (ko) 2022-05-17 2022-05-17 차량용 실내 장식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968B1 true KR102548968B1 (ko) 2023-06-28

Family

ID=86994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899A KR102548968B1 (ko) 2022-05-17 2022-05-17 차량용 실내 장식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96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346U (ko) * 1994-06-22 1996-01-17 정충구 후로킹 타잎의 카 매트
KR200377091Y1 (ko) 2004-11-26 2005-03-08 김은숙 자동차용 발광매트
KR20170100280A (ko) 2016-02-25 2017-09-0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명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차 조명 장치
US10245991B1 (en) * 2017-12-06 2019-04-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floor mat retention assembly
KR102005539B1 (ko) 2012-12-17 2019-07-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면조명
CN211468339U (zh) * 2019-12-31 2020-09-11 江苏祥顺布业有限公司 一种汽车内饰用可拆卸面料
KR20200109405A (ko) 2019-03-12 2020-09-23 주식회사 대솔오시스 경량과 강성을 보강한 자동차용 러기지 보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346U (ko) * 1994-06-22 1996-01-17 정충구 후로킹 타잎의 카 매트
KR200377091Y1 (ko) 2004-11-26 2005-03-08 김은숙 자동차용 발광매트
KR102005539B1 (ko) 2012-12-17 2019-07-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면조명
KR20170100280A (ko) 2016-02-25 2017-09-0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명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차 조명 장치
US10245991B1 (en) * 2017-12-06 2019-04-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floor mat retention assembly
KR20200109405A (ko) 2019-03-12 2020-09-23 주식회사 대솔오시스 경량과 강성을 보강한 자동차용 러기지 보드
CN211468339U (zh) * 2019-12-31 2020-09-11 江苏祥顺布业有限公司 一种汽车内饰用可拆卸面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06265A1 (en) Light-emitting part for vehicle
EP2215298B1 (en) Compartment
US20170291536A1 (en) Interior trim part of a motor vehicle
EP2406104B1 (en) Light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a light device
CN103958273A (zh) 车用装潢配件及车用装潢配件的设置方法
US20120063154A1 (en) Trim Means For A Motor Vehicle Having Integrated Lighting System
WO2006057531A1 (en) Light emitting mat for vehicles
JP2003210308A (ja) フロアマット
JP2009101840A (ja) 車両用照明装置
KR100775392B1 (ko) 자동차 장식용 스커프
ES2587103T3 (es) Panel transparente iluminable para una escalera mecánica, un pasillo móvil o una cabina de ascensor
KR102548968B1 (ko) 차량용 실내 장식재
KR102548967B1 (ko) 차량 실내 장식재
KR102411158B1 (ko) 차량 인테리어용 슬림형 발광 구조체
US20070019425A1 (en) Daylight emitting panel
CN217209053U (zh) 一种车用氛围灯及车辆
JP5578476B2 (ja) 車両用照明装置
JP2006205750A (ja) 車両用照明装置
US20160289962A1 (en) Edge lit floor covering
KR101260120B1 (ko)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39619B1 (ko) 장식판의 교체가 자유로운 모빌리티용 실내장식재
EP3459791A1 (en) Running board for a vehicle and vehicle comprising at least one such running board
JP2013151268A (ja) 車両用照明装置
KR200380481Y1 (ko) 자동차용 발광매트
CN213168419U (zh) 平衡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