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019B1 - 양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019B1
KR102625019B1 KR1020180099161A KR20180099161A KR102625019B1 KR 102625019 B1 KR102625019 B1 KR 102625019B1 KR 1020180099161 A KR1020180099161 A KR 1020180099161A KR 20180099161 A KR20180099161 A KR 20180099161A KR 102625019 B1 KR102625019 B1 KR 102625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spool support
support portion
disposed
bearing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3767A (ko
Inventor
히로키 오고세
아키라 니이츠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90053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0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6Hand crank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01K89/01921Frame disassembly features
    • A01K89/01923Rotated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01K89/0193Frame details with bearing fea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회동(回動) 부재를 스풀 지지부에 용이하게 착탈(着脫)할 수 있는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양 베어링 릴(100)은, 스풀(10)과 스풀 축(14)과 스풀 지지부(17)와 릴 본체(1)와 회동 부재(19)와 빠짐 방지 부재(21)를 구비한다. 스풀 지지부(17)는, 스풀 축(14)의 일단(一端) 측을 지지 가능하게 구성된다. 회동 부재(19)는, 릴 본체(1) 및 스풀 지지부(17)의 사이에 배치된다. 회동 부재(19)는, 스풀 지지부(17)를 릴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하여, 스풀 지지부(17)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빠짐 방지 부재(21)는, 스풀 지지부(17) 및 스풀 축심(CA)의 사이에 배치된다. 빠짐 방지 부재(21)는, 스풀 지지부(17) 및 회동 부재(19)에 계합(係合)하고, 회동 부재(19)를 스풀 지지부(17)로부터 빠짐 방지한다.

Description

양 베어링 릴{DUAL-BEARING REEL}
본 발명은, 양 베어링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양 베어링 릴은, 스풀과, 스풀 축과, 좌(左) 프레임(본체부)과, 좌 프레임에 장착되는 좌측판(스풀 지지부)과, 좌측판을 릴 본체에 장착하기 위한 좌 링 형상 부재(회동(回動) 부재)와, 좌측판을 좌 링 형상 부재로부터 빠짐 방지하기 위한 빠짐 방지 링(빠짐 방지 부재)을 구비하고 있다(특허 문헌 1을 참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276040호
종래의 양 베어링 릴에서는, 빠짐 방지 링이, 좌측판의 외주부(外周部)에 설치된 오목부와, 좌 링 형상 부재의 내주부(內周部)에 설치된 오목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특허 문헌 1의 도 4 및 도 5(b)를 참조).
이 경우, 좌측판을 좌 링 형상 부재로부터 떼어내려고 하면, 빠짐 방지 링이, 좌측판의 오목부의 벽부와, 좌 링 형상 부재의 오목부의 벽부에 당접(當接)한다. 이 때문에, 좌측판을 좌 링 형상 부재로부터 떼어내기 어렵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좌측판을 좌 링 형상 부재에 취부(取付)하기 어렵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링이, 좌측판의 오목부의 벽부와, 좌 링 형상 부재의 오목부의 벽부에 당접하는 것에 의하여, 빠짐 방지 링이 파손하여 버릴 우려도 있다. 즉, 종래의 양 베어링 릴에서는, 좌측판을 좌 링 형상 부재로부터 착탈(着脫)하는 것이 어렵고, 착탈 시에 빠짐 방지 링이 파손할 우려가 있다. 나아가, 특허 문헌 1의 도 5(a)와 같이, 좌 링 형상 부재를 좌측판에 나사 멈춤하는 것에 의하여 오목부를 구성하는 것에서는 나사를 멈추기 위한 스페이스를, 축 방향으로 준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회동 부재를 스풀 지지부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풀 지지부에 대한 회동 부재의 착탈 시에, 빠짐 방지 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동 부재와 스풀 지지부를 콤팩트하게 빠짐 방지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은, 스풀과 스풀 축과 스풀 지지부와 본체부와 회동 부재와 빠짐 방지 부재를 구비한다.
스풀에는, 낚싯줄이 감긴다. 스풀 축은, 스풀의 회전 중심에 배치된다. 스풀 지지부는, 스풀 축의 일단(一端) 측을 지지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체부에는, 스풀 지지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회동 부재는, 본체부와 스풀 지지부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회동 부재는, 스풀 지지부를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하여, 스풀 지지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빠짐 방지 부재는, 스풀 지지부 및 스풀의 회전 중심의 사이에 배치된다. 빠짐 방지 부재는, 스풀 지지부 및 회동 부재에 계합(係合)하고, 회동 부재를 스풀 지지부로부터 빠짐 방지한다.
본 양 베어링 릴에서는, 빠짐 방지 부재가, 스풀 지지부 및 스풀의 회전 중심의 사이에 배치된다. 회동 부재는, 본체부 및 스풀 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빠짐 방지 부재가, 회동 부재를 스풀 지지부로부터 빠짐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양 베어링 릴에서는, 빠짐 방지 부재가, 종래 기술과 같이 회동 부재 및 스풀 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빠짐 방지 부재를 스풀 지지부에 취부하거나 빠짐 방지 부재를 스풀 지지부로부터 떼어내거나 하는 것에 의하여, 회동 부재를 스풀 지지부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본 양 베어링 릴에서는, 스풀 지지부에 대한 회동 부재의 착탈 시에, 빠짐 방지 부재가, 회동 부재 및 스풀 지지부에 당접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빠짐 방지 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양 베어링 릴에서는, 빠짐 방지 부재가, 스풀 지지부 및 스풀의 회전 중심의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회동 부재와 스풀 지지부를 콤팩트하게 빠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에서는, 스풀 지지부가, 스풀의 회전 중심 및 회동 부재의 경(徑)방향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회동 부재를 스풀 지지부에 보다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고, 빠짐 방지 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동 부재와 스풀 지지부를 콤팩트하게 빠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에서는, 스풀 지지부가, 스풀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회동 부재를 향하여 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빠짐 방지 부재는, 장착부와 규제부를 가진다.
장착부는, 스풀 지지부 및 스풀의 회전 중심의 경방향 사이에 있어서 스풀 지지부에 장착된다. 규제부는, 장착부로부터 회동 부재를 향하여 연장된다. 규제부는, 구멍부를 통하여 회동 부재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회동 부재의 축 방향 이동을 규제한다.
이 구성에 의하여, 회동 부재를 스풀 지지부에 보다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고, 빠짐 방지 부재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동 부재와 스풀 지지부를 보다 콤팩트하게 빠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에서는, 규제부가, 구멍부를 통하여 회동 부재에 계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회동 부재를 스풀 지지부에 보다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고, 빠짐 방지 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동 부재와 스풀 지지부를 콤팩트하게 빠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에서는, 회동 부재가, 계합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계합부는, 규제부 및 스풀의 축 방향 사이에 설치된다. 계합부에는, 규제부가 계합한다.
이 구성에 의하여, 빠짐 방지 부재를 이용하여, 스풀 지지부로부터의 회동 부재의 빠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동 부재와 스풀 지지부를 콤팩트하게 또한 용이하게 빠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에서는, 계합부가, 실질적으로 환상(環狀)으로 형성되는 벽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빠짐 방지 부재를 이용하여, 스풀 지지부로부터의 회동 부재의 빠짐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동 부재와 스풀 지지부를 콤팩트하게 또한 용이하게 빠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에서는, 계합부가, 실질적으로 환상으로 형성되는 환상 홈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환상 홈부는, 상기의 벽부를 포함한다. 규제부는, 환상 홈부에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빠짐 방지 부재를 이용하여, 스풀 지지부로부터의 회동 부재의 빠짐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동 부재와 스풀 지지부를 콤팩트하게 또한 용이하게 빠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에서는, 스풀 지지부가, 실질적으로 통상(筒狀)으로 형성된 통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부는, 통부의 내주부에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빠짐 방지 부재를 스풀 지지부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회동 부재와 스풀 지지부를 콤팩트하게 빠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에서는, 빠짐 방지 부재를 탄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하여, 규제부가 구멍부에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빠짐 방지 부재를 스풀 지지부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에서는, 통부가, 규제부를 구멍부에 안내하기 위한 안내 홈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빠짐 방지 부재를 스풀 지지부에 보다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회동 부재와 스풀 지지부를 콤팩트하게 빠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에서는, 장착부가, 고정 부재에 의하여, 스풀 지지부에 위치 결정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빠짐 방지 부재를 스풀 지지부에 보다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회동 부재를 스풀 지지부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고, 빠짐 방지 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회동 부재와 스풀 지지부를 콤팩트하게 빠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양 베어링 릴의 사시도.
도 2a는 제2 측판의 사시도.
도 2b는 제2 측판의 측면도.
도 3은 스풀 지지 구조의 사시도.
도 4는 빠짐 방지 부재가 배치된 스풀 지지부의 사시도.
도 5는 스풀 지지부의 사시도.
도 6은 회동 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빠짐 방지 부재의 사시도.
도 8은 도 1의 절단선 VIII- VIII에 있어서의 부분 확대 단면도.
<양 베어링 릴의 전체 개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양 베어링 릴(100)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본체부의 일례)와 핸들(2)과 스풀(10)과 스풀 축(14)(도 4 및 도 8을 참조)과 스풀 지지 구조(15)를 구비한다.
덧붙여, 이하에 이용되는 "축 방향"은, 스풀(10)의 회전 중심 즉 스풀 축심(CA)이 연장되는 방향, 또는 스풀 축심(CA)을 따른 방향으로서 정의된다. 스풀 축심(CA)은, 스풀 축(14)의 축심과 동심(同芯)이다. 이 때문에, "축 방향"은, 스풀 축(14)이 연장되는 방향, 또는 스풀 축(14)을 따른 방향이라고도 해석할 수 있다.
"경방향"은, 스풀 축심(C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서 정의된다. "둘레 방향"은, 스풀 축심(CA) 둘레의 방향으로서 정의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에는, 핸들(2)과 스풀(10)과 스풀 축(14)(도 4 및 도 8을 참조)과 스풀 지지 구조(15)가 장착된다. 릴 본체(1)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핸들(2)은, 스풀(10)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핸들(2)은, 스풀(10)을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릴 본체(1)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핸들(2)은, 후술하는 측 커버(8a) 측에 설치된다.
덧붙여, 양 베어링 릴(100)을 낚싯대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핸들(2)을 회전하였을 경우에, 핸들(2)이 회전하는 회전 방향을, "줄 감기 방향"이라고 적는 일이 있다. 또한, 낚시줄을 방출하는 방향을 전방(前方)으로 하고, 그 반대를 후방(後方)으로 한다. 낚싯대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하방(下方), 낚싯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상방(上方)으로 한다.
스풀(10)에는, 낚싯줄이 감긴다. 스풀(10)은, 상술한 스풀 축심(CA)을 가진다. 스풀(10)은,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여기에서는, 스풀(10)은, 스풀 축(14)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풀(10)은, 스풀 축(14)을 통하여,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 축(14)은, 스풀 축심(CA)에 배치된다. 여기에서는, 스풀 축(14)은, 스풀(10)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스풀 축(14)은,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릴 본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는, 프레임(7)과, 측 커버(8a)를 가진다.
프레임(7)은, 제1 측판(7a)과 제2 측판(7b)과 복수의 연결부(7c)를 가진다. 제1 측판(7a)과 제2 측판(7b)과의 사이에는, 스풀(10)이 배치된다. 제1 측판(7a)은, 핸들(2) 측에 설치된다. 제1 측판(7a)은, 도시하지 않는 베어링을 통하여, 스풀 축(1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 측판(7b)은, 핸들(2)과는 반대 측에 설치된다. 제2 측판(7b)은,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측판(7a)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측판(7b)은, 스풀(10)을 착탈하기 위한 개구부(開口部)(7d)를 가진다. 개구부(7d)는, 스풀 축 방향으로 제2 측판(7b)을 관통한다. 개구부(7d)는, 실질적으로 원통상(圓筒狀)으로 형성된다.
개구부(7d)에는, 회동 부재(19)가 배치된다. 개구부(7d)는, 안내 오목부(7e)와 바요넷 홈부(7f)와 위치 결정 오목부(7g)를 가진다. 안내 오목부(7e)는, 회동 부재(19)의 바요넷 볼록부(19d)(후술한다)를 바요넷 홈부(7f)에 안내한다. 안내 오목부(7e)는, 개구부(7d)의 내주면에 설치된다. 여기에서는, 복수(예를 들어 2개)의 안내 오목부(7e)가, 개구부(7d)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안내 오목부(7e)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이다. 각 안내 오목부(7e)는, 제2 측판(7b)의 외면(外面)으로부터 바요넷 홈부(7f)를 향하여,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안내 오목부(7e)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예를 들어, 각 안내 오목부(7e)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180도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즉, 각 안내 오목부(7e)는, 경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여기에서는, 일방(一方)의 안내 오목부(7e)가, 낚싯대 측 즉 개구부(7d)의 하방에 배치된다. 타방(他方)의 안내 오목부(7e)는, 낚싯대로부터 멀어진 측 즉 개구부(7d)의 상방에 배치된다. 타방의 안내 오목부(7e)의 구성은, 일방의 안내 오목부(7e)의 구성과 같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요넷 홈부(7f)는, 회동 부재(19)의 바요넷 볼록부(19d)를 둘레 방향으로 안내한다. 바요넷 홈부(7f)는, 개구부(7d)의 내주면에 설치된다. 여기에서는, 복수(예를 들어 2개)의 바요넷 홈부(7f)가, 개구부(7d)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각 바요넷 홈부(7f)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다. 각 바요넷 홈부(7f)는, 각 안내 오목부(7e)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일방의 바요넷 홈부(7f)는, 하방의 안내 오목부(7e)로부터 상방의 안내 오목부(7e)를 향하여 연장된다. 상세하게는,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측판(7b)을 축 방향 외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 일방의 바요넷 홈부(7f)는, 하방의 안내 오목부(7e)로부터, 시계 방향의 둘레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다. 일방의 바요넷 홈부(7f)의 선단부(先端部)(7h)는, 상방의 안내 오목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타방의 바요넷 홈부(7f)의 구성은, 상기의 일방의 바요넷 홈부(7f)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같다. 타방의 바요넷 홈부(7f)는, 상방의 안내 오목부(7e)로부터, 하방의 안내 오목부(7e)를 향하여 연장된다. 상세하게는,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측판(7b)을 축 방향 외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 타방의 바요넷 홈부(7f)는, 상방의 안내 오목부(7e)로부터, 시계 방향의 둘레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다. 타방의 바요넷 홈부(7f)의 선단부(7h)는, 하방의 안내 오목부(7e)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복수의 바요넷 홈부(7f) 각각의 선단부(7h)에는, 바요넷 볼록부(19d)가 당접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여, 회동 부재(19)가 둘레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 오목부(7g)는, 스풀 지지부(17)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위치 결정 오목부(7g)는, 개구부(7d)의 내주면에 설치된다. 여기에서는, 적어도 1개(예를 들어 1개)의 위치 결정 오목부(7g)가, 개구부(7d)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위치 결정 오목부(7g)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이다. 위치 결정 오목부(7g)는, 일방의 바요넷 홈부(7f)의 선단부(7h), 및 상방의 안내 오목부의 둘레 방향 사이에 배치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연결부(7c)는, 제1 측판(7a)과 제2 측판(7b)을 연결한다. 복수의 연결부(7c)는, 제1 측판(7a) 및 제2 측판(7b)의 전부, 후부, 및 하부에 있어서, 제1 측판(7a) 및 제2 측판(7b)을 서로 연결한다. 하부의 연결부에는, 낚싯대 장착용의 장대 장착 다리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 커버(8a)는, 핸들(2) 측의 프레임(7)을 덮는다. 상세하게는, 측 커버(8a)는, 제1 측판(7a)에 장착되고, 제1 측판(7a)을 덮는다. 측 커버(8a)는, 도시하지 않는 베어링을 통하여, 스풀 축(14)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스풀 지지 구조의 구성>
스풀 지지 구조(15)는, 스풀 축(14)을 지지한다(도 8을 참조). 상세하게는, 스풀 지지 구조(15)는, 스풀 축(14)의 타단(他端) 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지지 구조(15)는, 릴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에서는, 스풀 지지 구조(15)는, 핸들(2)과는 반대 측의 프레임(7)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세하게는, 도 1, 도 2a,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지지 구조(15)는, 제2 측판(7b)의 개구부(7d)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측판(7b)의 개구부(7d)를 덮는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지지 구조(15)는, 스풀 지지부(17)와 회동 부재(19)와 빠짐 방지 부재(21)를 가진다.
(스풀 지지부)
도 1, 도 3,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지지부(17)는, 회동 부재(19)를 통하여, 릴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풀 지지부(17)는, 스풀 축심(CA) 및 회동 부재(19)의 경방향 사이에 배치된다.
도 4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지지부(17)는, 스풀 축(14)의 타단을 지지 가능하게 구성된다. 스풀 지지부(17)는, 회동 부재(19)를 통하여, 릴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풀 지지부(17)는, 빠짐 방지 부재(21)를 보지(保持) 가능하게 구성된다. 스풀 지지부(17)는, 빠짐 방지 부재(21)를 통하여, 회동 부재(19)를 회전 가능하게 보지한다.
도 4, 도 5,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지지부(17)는, 축 지지부(17a)와 통부(17b)와 원판부(17c)를 가진다.
도 4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 지지부(17a)는, 스풀 축(14)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축 지지부(17a)는, 실질적으로 통상으로 형성된다. 축 지지부(17a)의 중심은, 스풀 축심(CA)과 동심이다.
축 지지부(17a)의 내주부에는, 스풀 축(14)의 타단이 배치된다. 축 지지부(17a)의 내주면과 스풀 축(14)의 타단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베어링(16)이 배치된다. 즉, 축 지지부(17a)는, 베어링(16)을 통하여, 스풀 축(14)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통부(17b)는, 실질적으로 통상으로 형성된다. 통부(17b)는, 경방향에 있어서, 축 지지부(17a)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통부(17b)의 경방향 외측에는, 회동 부재(19)가 배치된다(도 8을 참조).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부(17b)는, 구멍부(17d)와 안내 홈부(17e)와 위치 결정 볼록부(17h)를 가진다. 여기에서는, 통부(17b)는, 복수(예를 들어 3개)의 구멍부(17d)와, 복수(예를 들어 3개)의 안내 홈부(17e)와, 적어도 1개(예를 들어 1개)의 위치 결정 볼록부(17h)를 가진다.
각 구멍부(17d)는, 빠짐 방지 부재(21)의 각 규제부(21b)(후술한다)를, 통부(17b)의 내주 측으로부터 회동 부재(19)를 향하여 삽통(揷通)하기 위한 것이다(도 8을 참조). 각 구멍부(17d)는, 통부(17b)를 경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즉, 각 구멍부(17d)는, 스풀 축심(CA)으로부터 회동 부재(19)를 향하여 경방향으로 연장된다. 각 구멍부(17d)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예를 들어, 각 구멍부(17d)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60도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안내 홈부(17e)는, 각 규제부(21b)를 각 구멍부(17d)에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각 안내 홈부(17e)는,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각 안내 홈부(17e)는, 통부(17b)의 단부(端部)(예를 들어 스풀(10) 측)로부터, 각 구멍부(17d)를 향하여,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각 안내 홈부(17e)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예를 들어, 각 안내 홈부(17e)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60도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 볼록부(17h)는, 릴 본체(1)에 대한 스풀 지지부(17)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위치 결정 볼록부(17h)는, 통부(17b)의 외주부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위치 결정 볼록부(17h)는, 통부(17b)의 외주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통부(17b)의 외주부로부터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위치 결정 볼록부(17h)는, 릴 본체(1)(개구부(7d))의 위치 결정 오목부(7g)(도 2a 및 도 2b를 참조)에 배치된다.
도 5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판부(17c)는, 축 지지부(17a) 및 통부(17b)를 연결한다. 원판부(17c)는, 실질적으로 원판상(圓板狀)으로 형성된다. 원판부(17c)의 내주부에는, 축 지지부(17a)가 일체로 형성된다. 원판부(17c)의 외주부에는, 통부(17b)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판부(17c)에는, 조정 다이얼(20)을 조작하기 위한 개구(17g)가 설치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판부(17c)의 내면(內面)에는, 조정 다이얼(20)을 배치하기 위한 환상 오목부(17f)가 형성된다. 여기서, 조정 다이얼(20)은, 스풀(10)의 제동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작 부재이다. 조정 다이얼(20)은, 스풀(10)의 제동력을 조정하는 스풀 제동 기구(30)(도 8을 참조)를 구성한다. 덧붙여, 스풀 제동 기구(30)의 구성 및 동작 등에 관해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별히 상술(詳述)하지 않는다.
(회동 부재)
회동 부재(19)는, 릴 본체(1)에 대하여 스풀 지지부(17)를 연결 가능하게 구성된다. 회동 부재(19)는, 스풀 지지부(17)를 릴 본체(1)에 취부하거나, 스풀 지지부(17)를 릴 본체(1)로부터 떼어내거나 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도 1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 부재(19)는, 릴 본체(1) 및 스풀 지지부(17)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회동 부재(19)는, 제2 측판(7b)의 개구부(7d) 및 스풀 지지부(17)의 경방향 사이에 배치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 부재(19)는, 스풀 지지부(17)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회동 부재(19)는, 릴 본체(1) 예를 들어 제2 측판(7b)의 개구부(7d)(도 2a 및 도 8을 참조)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3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 부재(19)는, 회동부(19a)와 조작부(19b)를 가진다. 회동부(19a)는, 실질적으로 원환상(圓環狀)으로 형성된다. 회동부(19a)는, 스풀 지지부(17)의 외주부, 예를 들어 통부(17b)의 외주면에 배치된다(도 8을 참조).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부(19a)는, 환상 홈부(19c)(계합부의 일례)와 바요넷 볼록부(19d)를 가진다. 환상 홈부(19c)는, 환상으로 형성된 홈부이다. 환상 홈부(19c)는, 회동부(19a)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환상 홈부(19c)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다.
환상 홈부(19c)는, 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벽부를 가진다. 한 쌍의 벽부 각각은, 환상으로 형성된다. 스풀(10) 측의 벽부(19e)는, 빠짐 방지 부재(21)의 각 규제부(21b)(후술한다)와 스풀(10)과의 축 방향 사이에 배치된다.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요넷 볼록부(19d)는, 회동부(19a)의 외주부에 설치된다. 여기에서는, 복수(예를 들어 2개)의 바요넷 볼록부(19d)가, 회동부(19a)의 외주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각 바요넷 볼록부(19d)는, 회동부(19a)의 외주부로부터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각 바요넷 볼록부(19d)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예를 들어, 각 바요넷 볼록부(19d)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180도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즉, 각 바요넷 볼록부(19d)는, 경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회동 부재(19)가, 릴 본체(1) 예를 들어 제2 측판(7b)의 개구부(7d)에 취부되는 경우, 각 바요넷 볼록부(19d)는, 개구부(7d)의 각 안내 오목부(7e)(도 2a 및 도 2b를 참조)에 배치되고, 스풀(10)에 가까워지는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각 바요넷 볼록부(19d)가, 각 바요넷 홈부(7f)의 위치에 도달하면, 각 바요넷 홈부(7f)를 따라 둘레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각 바요넷 볼록부(19d)는, 각 바요넷 홈부(7f)의 선단부(7h)에 당접한다. 이것에 의하여, 각 바요넷 볼록부(19d)가, 제2 측판(7b)의 개구부(7d)에 위치 결정된다.
회동 부재(19)가, 릴 본체(1) 예를 들어 제2 측판(7b)의 개구부(7d)로부터, 떼어내지는 경우, 각 바요넷 볼록부(19d)는, 각 바요넷 홈부(7f)의 선단부(7h)로부터 각 안내 오목부(7e)를 향하여, 각 바요넷 홈부(7f)를 둘레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각 바요넷 볼록부(19d)가, 각 안내 오목부(7e)에 도달하면, 각 바요넷 볼록부(19d)는, 각 안내 오목부(7e)로부터, 스풀(10)로부터 멀어지는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각 바요넷 볼록부(19d)와 제2 측판(7b)의 개구부(7d)와의 계합이 해제된다.
도 3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19b)는, 회동부(19a)를 릴 본체(1)에 대하여 회동시키기 위하여 조작되는 부분이다. 조작부(19b)는, 회동부(19a)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조작부(19b)는, 회동부(19a)로부터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회동부(19a)와 일체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낚시꾼이, 손가락을 조작부(19b)에 계합시켜, 회전 동작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회동부(19a)가 회전한다.
(빠짐 방지 부재)
빠짐 방지 부재(21)는, 스풀 지지부(17)로부터 회동 부재(19)를 빠짐 방지하는 부재이다. 도 4,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21)는, 스풀 지지부(17) 및 회동 부재(19)에 계합하고, 스풀 지지부(17)로부터 회동 부재(19)를 빠짐 방지한다. 빠짐 방지 부재(21)는, 스풀 지지부(17) 및 스풀 축심(CA)의 사이에 배치된다. 빠짐 방지 부재(21)는, 스풀 지지부(17)에 장착된다.
빠짐 방지 부재(21)는, 탄성 부재 예를 들어 금속제의 탄성 부재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21)는, 장착부(21a)와 규제부(21b)를 가진다. 장착부(21a)는, 실질적으로 원호상(圓弧狀)으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부(21a)는, 스풀 지지부(17) 및 스풀 축심(CA)의 경방향 사이에 있어서, 스풀 지지부(17)에 장착된다.
장착부(21a)는, 스풀 지지부(17)에 있어서의 통부(17b)의 내주부에 배치되고, 스풀 지지부(17)에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착부(21a)는, 스풀 지지부(17)의 통부(17b) 및 스풀 지지부(17)의 축 지지부(17a)의 경방향 사이에 배치되고, 고정 부재 예를 들어 나사 부재(22)에 의하여 스풀 지지부(17)의 원판부(17c)에 위치 결정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부(21a)에는, 복수(예를 들어 3개)의 제1 장착 오목부(21c)가 설치된다. 각 제1 장착 오목부(21c)는, 장착부(21a)의 내주부에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다. 각 제1 장착 오목부(21c)는, 장착부(21a)를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예를 들어, 각 제1 장착 오목부(21c)는, 장착부(21a)를 따르는 방향 예를 들어 둘레 방향에 있어서, 60도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제1 장착 오목부(21c)에는, 나사 부재(22)의 머리부가 배치된다(도 4를 참조).
여기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상의 덮개 부재(23)가, 장착부(21a)와, 스풀 지지부(17)의 원판부(17c)의 내면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덮개 부재(23)는, 스풀 지지부(17)의 원판부(17c)에 대하여, 조정 다이얼(20)을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덮개 부재(23)의 내경(內徑)은, 조정 다이얼(20)의 외경(外徑)보다 작다.
덮개 부재(23)에는, 복수(예를 들어 3개)의 제2 장착 오목부(23a)가 설치된다. 각 제2 장착 오목부(23a)는, 덮개 부재(23)의 외주부에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다. 각 제2 장착 오목부(23a)는, 덮개 부재(23)의 외주부를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예를 들어, 각 제2 장착 오목부(23a)는, 덮개 부재(23)의 외주부를 따르는 방향 예를 들어 둘레 방향에 있어서, 60도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각 제2 장착 오목부(23a)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장착 오목부(21c)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1 장착 오목부(21c)에는, 나사 부재(22)의 축부가 배치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빠짐 방지 부재(21)는, 나사 부재(22)에 의하여, 경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즉, 빠짐 방지 부재(21)는, 나사 부재(22)에 의하여, 경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덮개 부재(23)는, 나사 부재(22)의 머리부와 스풀 지지부(17)의 원판부(17c)와의 사이에서 협지(挾持)된다. 이것에 의하여, 덮개 부재(23)는, 나사 부재(22)에 의하여 스풀 지지부(17)의 원판부(17c)에 고정된다.
규제부(21b)는, 스풀 지지부(17)로부터의 회동 부재(19)의 빠짐을 규제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규제부(21b)는, 장착부(21a)의 외주부에 설치된다. 각 규제부(21b)는, 각 제1 장착 오목부(21c)의 경방향 외측에 있어서, 장착부(21a)의 외주부에 설치된다. 규제부(21b)는, 장착부(21a)로부터 회동 부재(19)를 향하여 연장된다(도 4 및 도 6을 참조).
여기에서는, 복수(예를 들어 3개)의 규제부(21b)가, 장착부(21a)의 외주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각 규제부(21b)는, 장착부(21a)의 외주부에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각 규제부(21b)는, 장착부(21a)를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예를 들어, 각 규제부(21b)는, 장착부(21a)를 따르는 방향 예를 들어 둘레 방향에 있어서, 60도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도 4,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규제부(21b)는, 스풀 지지부(17)의 구멍부(17d)(도 5를 참조)를 통하여 회동 부재(19)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회동 부재(19)의 축 방향 이동을 규제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규제부(21b)는, 스풀 지지부(17)(통부(17b))의 각 안내 홈부(17e)에 의하여, 스풀 지지부(17)(통부(17b))의 각 구멍부(17d)에 안내된다. 상세하게는, 원호상의 장착부(21a)를 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하여, 각 규제부(21b)가, 스풀 지지부(17)(통부(17b))의 각 안내 홈부(17e)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각 규제부(21b)는, 각 안내 홈부(17e)에 의하여 스풀 지지부(17)(통부(17b))의 각 구멍부(17d)에 안내되고, 각 구멍부(17d)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하여, 빠짐 방지 부재(21)가, 스풀 지지부(17)에 위치 결정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규제부(21b)에 있어서의 경방향 외측의 선단부는, 스풀 지지부(17)의 외주면(통부(17b)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있다.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규제부(21b)의 선단부는, 회동 부재(19)의 환상 홈부(19c)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각 규제부(21b)의 선단부를 환상 홈부(19c)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회동 부재(19)는, 스풀 지지부(17)에 대하여 빠짐 방지되고, 또한 스풀 지지부(17)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된다.
<스풀 지지 구조의 조립>
스풀 지지 구조(15)는, 다음과 같이 하여 조립할 수 있다. 우선, 회동 부재(19)가, 스풀 지지부(17)의 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회동 부재(19)의 환상 홈부(19c)가, 경방향에 있어서, 스풀 지지부(17)의 통부(17b)의 각 구멍부(17d)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다음으로, 조정 다이얼(20)이, 스풀 지지부(17)의 축 지지부(17a) 및 통부(17b)의 경방향 사이에 있어서, 스풀 지지부(17)의 환상 오목부(17f)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환상의 덮개 부재(23)가, 스풀 지지부(17)의 원판부(17c)의 내면에 배치된다.
이어서, 빠짐 방지 부재(21)가, 스풀 지지부(17)에 장착된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21)의 장착부(21a)를 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하여, 빠짐 방지 부재(21)의 규제부(21b)가, 스풀 지지부(17)의 각 구멍부(17d)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하여, 빠짐 방지 부재(21)가, 스풀 지지부(17)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빠짐 방지 부재(21)의 장착부(21a)의 외주부가, 스풀 지지부(17)의 통부(17b)의 내주부에 당접한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 지지부(17)에 대한 빠짐 방지 부재(21)의 경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나아가, 이 상태에서는, 규제부(21b)의 선단부가, 회동 부재(19)의 환상 홈부(19c)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하여, 회동 부재(19)가, 빠짐 방지 부재(21)(규제부(21b)의 선단부)에 의하여 스풀 지지부(17)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빠짐 방지되고, 스풀 지지부(17)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마지막으로, 고정 수단 예를 들어 나사 부재(22)가, 스풀 지지부(17)의 원판부(17c)에 장착된다. 이것에 의하여, 빠짐 방지 부재(21)는, 나사 부재(22)(예를 들어 머리부)에 의하여, 경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덮개 부재(23)가, 나사 부재(22)(예를 들어 머리부)에 의하여, 스풀 지지부(17)의 원판부(17c)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스풀 지지 구조(15)는, 다음과 같이 하여, 릴 본체(1)에 취부된다.
도 3에 도시하는 회동 부재(19)의 각 바요넷 볼록부(19d)가, 도 2a에 도시하는 릴 본체(1)(개구부(7d))의 각 안내 오목부(7e)에 배치되고, 도 3에 도시하는 스풀 지지부(17)의 위치 결정 볼록부(17h)가, 도 2a에 도시하는 릴 본체(1)(개구부(7d))의 위치 결정 오목부(7g)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스풀 지지 구조(15)가 스풀(10) 측으로 밀어 넣어진다. 이 때에, 스풀 축(14)의 단부가, 베어링(16)을 통하여, 스풀 지지부(17)의 축 지지부(17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어서, 회동 부재(19)가 회동되면, 회동 부재(19)의 각 바요넷 볼록부(19d)가, 각 바요넷 홈부(7f)를 따라 둘레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각 바요넷 볼록부(19d)가 각 바요넷 홈부(7f)의 선단부(7h)에 당접한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 지지 구조(15)가 릴 본체(1)에 취부된다. 덧붙여, 상기의 취부 형태와는 반대의 수순(手順)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 지지 구조(15)가 릴 본체(1)에서 떼어내진다.
<다른 실시 형태>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a)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빠짐 방지 부재(21)가, 판상(板狀)의 탄성 부재인 경우의 예를 도시하였지만, 빠짐 방지 부재(21)는, 선상(線狀)의 탄성 부재여도 무방하다. 또한, 빠짐 방지 부재(21)가, 금속제의 탄성 부재인 경우의 예를 도시하였지만, 빠짐 방지 부재(21)는, 수지제의 탄성 부재여도 무방하다.
(b)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빠짐 방지 부재(21)가, 탄성 부재인 경우의 예를 도시하였지만, 빠짐 방지 부재(21)는, 비탄성 부재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빠짐 방지 부재(2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빠짐 방지 부재(21)는, 복수의 빠짐 방지 부재로 구성되고, 각 빠짐 방지 부재가 규제부를 가진다. 각 빠짐 방지 부재의 규제부는, 구멍부(17d)를 통하여, 스풀 지지부(17)(통부(17b))의 경방향 내측으로부터 회동 부재(19)(환상 홈부(19c))에 계합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각 빠짐 방지 부재가, 나사 부재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하여, 스풀 지지부(17)(원판부(17c))에 고정된다.
(c)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정 다이얼(20)이 스풀 지지 구조(15)에 장착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였다. 이것에 대신하여, 조정 다이얼(20) 예를 들어 스풀 제동 기구(30)를 가지고 있지 않는 양 베어링 릴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d)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스풀(10)이 스풀 축(14)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였지만, 스풀(10)이 스풀 축(1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도 무방하다.
100: 양 베어링 릴
1: 릴 본체
10: 스풀
14: 스풀 축
15: 스풀 지지 구조
17: 스풀 지지부
17b: 통부
17d: 구멍부
17e: 안내 홈부
19: 회동 부재
19c: 환상 홈부
21: 빠짐 방지 부재
21a: 장착부
21b: 규제부
CA: 스풀 축심

Claims (11)

  1.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과,
    상기 스풀의 회전 중심에 배치되는 스풀 축과,
    상기 스풀 축의 일단(一端) 측을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풀 지지부와,
    상기 스풀 지지부가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스풀 지지부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스풀 지지부를 상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스풀 지지부에 대하여 회동(回動)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동 부재와,
    상기 스풀 지지부 및 상기 회전 중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풀 지지부 및 상기 회동 부재에 계합(係合)하고, 상기 회전 중심이 연장되는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를 상기 스풀 지지부로부터 빠짐 방지하는 빠짐 방지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스풀 지지부는,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회동 부재를 향하여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경(徑)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부를 가지고,
    상기 빠짐 방지 부재는, 상기 경방향에 있어서 상기 스풀 지지부 및 상기 회전 중심의 사이에서 상기 스풀 지지부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로부터 상기 회동 부재를 향하여 연장되고 또한 상기 구멍부를 통하여 상기 회동 부재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가지고,
    상기 장착부는, 고정 부재에 의하여, 상기 스풀 지지부에 위치 결정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경방향에 있어서 상기 빠짐 방지 부재가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양 베어링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지지부는, 상기 경방향에 있어서 상기 회전 중심 및 상기 회동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양 베어링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구멍부를 통하여 상기 회동 부재에 계합하는,
    양 베어링 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는, 상기 규제부가 계합하는 계합부를 가지고,
    상기 계합부에 있어서의 상기 스풀 측의 벽부는,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 및 상기 스풀의 사이에 설치되는,
    양 베어링 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는, 환상(環狀)으로 형성되는 벽부인,
    양 베어링 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는, 환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벽부를 포함하는 환상 홈부이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환상 홈부에 배치되는,
    양 베어링 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지지부는, 통상(筒狀)으로 형성된 통부를 가지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통부의 내주부(內周部)에 배치되는,
    양 베어링 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는, 상기 규제부를 상기 구멍부에 안내하기 위한 안내 홈부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빠짐 방지 부재를 탄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규제부는 상기 구멍부에 배치되는,
    양 베어링 릴.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099161A 2017-11-10 2018-08-24 양 베어링 릴 KR1026250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17786 2017-11-10
JP2017217786A JP7064316B2 (ja) 2017-11-10 2017-11-10 両軸受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767A KR20190053767A (ko) 2019-05-20
KR102625019B1 true KR102625019B1 (ko) 2024-01-16

Family

ID=66431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161A KR102625019B1 (ko) 2017-11-10 2018-08-24 양 베어링 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75942B2 (ko)
JP (1) JP7064316B2 (ko)
KR (1) KR102625019B1 (ko)
CN (1) CN110012879B (ko)
MY (1) MY194776A (ko)
TW (1) TWI7605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00979B2 (ja) * 2018-01-11 2022-07-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75449A1 (en) 2005-02-01 2006-08-10 Doyo Engineering Co., Ltd. Anti-backlash apparatus of bait reel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969U (ko) * 1988-07-14 1990-01-30
JPH0810279Y2 (ja) * 1989-08-10 1996-03-2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2575446Y2 (ja) * 1992-02-18 1998-06-2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2529054Y2 (ja) * 1992-10-29 1997-03-1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の制動装置
JPH0937689A (ja) * 1995-08-02 1997-02-10 Daiwa Seiko Inc 両軸受型リール
US6095444A (en) * 1996-01-24 2000-08-01 Daiwa Seiko, Inc. Attachment unit for a double bearing type reel for fishing
US5839682A (en) * 1996-07-12 1998-11-24 Zebco Corporation Fishing reel with removable side cover assembly
JP3495252B2 (ja) * 1998-03-30 2004-02-0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US6189823B1 (en) * 1998-03-30 2001-02-20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having side plates efficiently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frames of reel body
KR200174209Y1 (ko) * 1999-05-21 2000-03-15 주식회사신아스포츠 스풀 착탈 기구를 갖는 베이트 캐스팅 릴
KR100320405B1 (ko) * 1999-09-02 2002-01-15 현광호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의 사이드카바 착탈구조
US6206312B1 (en) * 2000-06-22 2001-03-27 Shin A Sports Co., Ltd. Fly fishing reel with detachable spool shaft supporting plate
JP3961757B2 (ja) * 2000-09-29 2007-08-22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部品支持構造
JP4272489B2 (ja) * 2003-09-12 2009-06-03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5291904B2 (ja) * 2007-08-20 2013-09-18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両軸受リールのキャストコントロール機構
JP4926037B2 (ja) * 2007-12-28 2012-05-0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4926036B2 (ja) * 2007-12-28 2012-05-09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品の電子回路装置
US8341729B2 (en) * 2008-06-03 2012-12-25 Ca, Inc. Hardware access and monitoring control
JP5124435B2 (ja) * 2008-12-16 2013-01-23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5350881B2 (ja) * 2009-05-15 2013-11-2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5746462B2 (ja) * 2009-08-20 2015-07-0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連結構造
KR101418029B1 (ko) * 2012-12-07 2014-07-09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사이드커버 분실 방지용 낚시용 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75449A1 (en) 2005-02-01 2006-08-10 Doyo Engineering Co., Ltd. Anti-backlash apparatus of bait r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12879A (zh) 2019-07-16
TW201922092A (zh) 2019-06-16
MY194776A (en) 2022-12-15
JP2019088198A (ja) 2019-06-13
US20190141973A1 (en) 2019-05-16
JP7064316B2 (ja) 2022-05-10
CN110012879B (zh) 2022-04-12
KR20190053767A (ko) 2019-05-20
TWI760559B (zh) 2022-04-11
US10375942B2 (en) 201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5019B1 (ko) 양 베어링 릴
KR20130055519A (ko) 듀얼 베어링 릴의 핸들 조립체 및 듀얼 베어링 릴
KR20140036946A (ko) 스피닝 릴
JP3977730B2 (ja) 釣り用リール部品
CN110012878B (zh) 双轴承渔线轮
JP2019088198A5 (ko)
JP2008178349A (ja) 片軸受リール
US10477846B2 (en) Spool for fishing reel
JP4276964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20130110006A (ko) 양 베어링 릴 및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작 부재
JP2019088197A5 (ko)
JP2016054712A (ja) ラインローラ
US4997143A (en) Spin casting reel with toollessly removable spool and spool cap
KR102057049B1 (ko) 낚시용 릴의 스풀 착탈 기구
GB2578218A (en) Sound generating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JP2012170434A (ja) 両軸受リール
US3958769A (en) Spool mounting mechanism in a fishing reel
KR102053854B1 (ko) 플라이 릴
JP2012157332A (ja) 魚釣用リール
AU2022377854A1 (en) Spool for angling-use spinning reel
JP2020099290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4208571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4319103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2019118335A (ja) 両軸受リール
JP2003230339A (ja) クローズドフェース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