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854B1 - 플라이 릴 - Google Patents

플라이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854B1
KR102053854B1 KR1020190020894A KR20190020894A KR102053854B1 KR 102053854 B1 KR102053854 B1 KR 102053854B1 KR 1020190020894 A KR1020190020894 A KR 1020190020894A KR 20190020894 A KR20190020894 A KR 20190020894A KR 102053854 B1 KR102053854 B1 KR 102053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g
frame
housing
hub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식
김진구
Original Assignee
박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식 filed Critical 박우식
Priority to KR1020190020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8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6Fly reels, i.e. with a stub shaft support
    • A01K89/0162Fly reels, i.e. with a stub shaft support with a releasable latch to retain spool on shaf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이 릴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에 허브가 구비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허브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외주의 일부분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드랙하우징과, 상기 드랙하우징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드랙노브와, 상기 드랙하우징의 타단부에 상기 드랙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드랙노브의 회전조작에 따라서 양방향의 회전이 가능하거나 또는 어느 일방향의 회전만 가능한 메인스핀들을 구비하는 드랙기구; 상기 드랙하우징의 외주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드랙기구의 드랙하우징이 상기 프레임의 허브에 끼워졌을 때, 상기 드랙하우징의 외주에 형성한 나사산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드랙기구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결합되도록 하는 결합구; 및 상기 드랙기구의 메인스핀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스핀들이 회전될 때, 상기 메인스핀들과 함께 회전되는 스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플라이 릴{Fly Reel}
본 발명은 플라이 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과 드랙기구와 스풀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플라이 릴에서 드랙기구를 프레임으로부터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프레임과 드랙기구의 제작과 조립을 용이하도록 하는 플라이 릴에 관한 것이다.
플라이 릴은 일반적으로 낚시줄을 감거나 풀기 위한 스풀과, 스풀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과, 스풀의 회전속도와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드랙기구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스풀의 일측에 부착된 손잡이를 회전시킴에 의해서 낚시줄을 스풀에 신속하게 감을 수도 있고, 반대로 낚시줄이 스풀에서 풀리는 속도는 드랙기구에 의해 가감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플라이 릴의 일 예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09444호의 플라이 릴이 개시되어 있다. 위의 플라이 릴은 스풀을 프레임에 탈부착하는 구조를 개선하고, 또 스풀의 회전속도와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드랙기구의 구성을 간단히 하면서도 드랙조절의 정밀도를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또 제작코스트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위의 플라이 릴은 프레임에 드랙기구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부품들로 이루어지는 드랙 관련 부품들, 즉 프레임의 중심에 고정결합되는 중심축과 드랙을 작용시키기 위한 압력판과, 드랙와셔, 드랙디스크부시, 드랙디스크, 드랙커버, 일방향 베어링과 같은 다양한 부품들을 프레임에 고정결합되는 중심축에 하나씩 끼워맞추어 가면서 순서대로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드랙 관련 부품들을 프레임에 조립하기가 어려워 생산성을 더 이상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위의 플라이 릴은 드랙커버의 내부에 드랙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일방향 베어링이 내장되어 있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드랙커버를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고, 드랙커버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일방향 베어링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는 있으나, 드랙커버를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드랙커버를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나사를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반드시 필요하게 되어 위의 공구가 준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방향 베어링의 잔향전환을 할 수가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위의 플라이 릴은 계속되는 반복 사용으로 인하여 프레임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드랙기구의 일부 부품들이 파손되거나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면, 프레임과 드랙기구를 전체적으로 교환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스풀의 회전속도와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드랙기구를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여 별도의 공정에 의해서 프레임과 드랙기구를 각각 제작하게 되므로 프레임과 드랙기구의 제작이 간단해지고, 또 프레임과 드랙기구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플라이 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랙기구의 내부에 내장되는 일방향 베어링의 방향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전환하고자 할 때, 일방향 베어링을 드랙기구에서 분리하기 위한 전용 공구가 필요없도록 하여 일방향 베어링의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랙기구의 일부 부품이 파손되거나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 일체로 조립되어 있는 드랙기구와 프레임을 전체적으로 교환할 필요없이 드랙기구만을 교체하도록 하여 프레임의 반복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레임과 드랙기구가 결합되기 위해서는 프레임의 규격에 맞는 드랙기구가 프레임에 끼워져야 하지만, 드랙기구가 프레임의 규격에 맞지 않는 경우라도 프레임의 규격과 관계없이 드랙기구를 프레임에 서로 결합이 가능하여 플라이 릴의 수리나 교환 등의 A/s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플라이 릴은, 중앙에 허브가 구비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허브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외주의 일부분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드랙하우징과, 상기 드랙하우징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드랙노브와, 상기 드랙하우징의 타단부에 상기 드랙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드랙노브의 회전조작에 따라서 양방향의 회전이 가능하거나 또는 어느 일방향의 회전만 가능한 메인스핀들을 구비하는 드랙기구; 상기 드랙하우징의 외주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드랙기구의 드랙하우징이 상기 프레임의 허브에 끼워졌을 때, 상기 드랙하우징의 외주에 형성한 나사산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드랙기구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결합되도록 하는 결합구; 및 상기 드랙기구의 메인스핀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스핀들이 회전될 때, 상기 메인스핀들과 함께 회전되는 스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랙기구는, 상기 프레임의 허브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내부에는 상기 드랙노브의 회전조작에 따라 회전이 가능하거나 저지되는 드랙스핀들을 구비하는 제1부분; 상기 프레임의 허브에 끼워져서 고정결합된 상기 제1부분과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내부에는 상기 스풀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메인스핀들을 구비하는 제2부분; 및 상기 드랙스핀들의 내주에 끼워져서 상기 드랙스핀들의 회전과 연동되고, 상기 메인스핀들의 외주에 끼워져서 상기 메인스핀들의 일방향 회전은 허용하고 반대방향의 회전은 억제하도록 하는 일방향 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부분은, 중심축; 상기 중심축의 외주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의 허브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드랙하우징; 상기 중심축의 외주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드랙스핀들; 상기 드랙하우징의 일측으로 돌출된 상기 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드랙노브; 및 상기 드랙노브의 회전 조작에 따라서 상기 드랙스핀들이 상기 중심축의 외주에서 회전되도록 하거나 회전을 저지하도록 하는 제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캡; 내주에는 상기 중심축의 외주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외주에는 상기 일방향 베어링이 끼워지는 중공축과, 상기 중공축에서 연장되어 상기 스풀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풀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캡의 관통공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스핀들; 및 상기 하우징캡을 상기 제1부분과 고정결합하도록 하는 지지너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랙하우징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드랙하우징이 상기 프레임의 허브에 끼워질 때, 상기 드랙하우징이 상기 프레임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더 이상 전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의 허브 내주면에는 상기 드랙하우징이 상기 프레임의 허브에 끼워질 때, 상기 드랙하우징의 걸림돌기가 상기 프레임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더 이상 전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랙하우징의 외주면에는 돌출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허브 내주면에는 상기 드랙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한 돌출부가 삽입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플라이 릴에 의하면, 스풀의 회전속도와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드랙기구를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여 별도의 공정에 의해서 프레임과 드랙기구를 각각 제작하게 되므로 프레임과 드랙기구의 제작이 간단해지고, 또 프레임과 드랙기구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플라이 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랙기구의 내부에 내장되는 일방향 베어링의 방향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전환하고자 할 때, 일방향 베어링을 드랙기구에서 분리하기 위한 전용 공구가 필요없도록 하여 일방향 베어링의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랙기구의 일부 부품이 파손되거나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 일체로 조립되어 있는 드랙기구와 프레임을 전체적으로 교환할 필요없이 드랙기구만을 교체하도록 하여 프레임의 반복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과 드랙기구가 결합되기 위해서는 프레임의 규격에 맞는 드랙기구가 프레임에 끼워져야 하지만, 드랙기구가 프레임의 규격에 맞지 않는 경우라도 프레임의 규격과 관계없이 드랙기구를 프레임에 서로 결합이 가능하여 플라이 릴의 수리나 교환 등의 A/s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드랙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드랙기구와 결합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주요 구성을 분리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에서 프레임에 드랙기구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드랙기구에서 일방향 베어링을 분리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일방향 베어링의 방향을 바꾼 상태의 도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은 프레임과 드랙기구를 서로 분리하여 프레임에 드랙기구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와 관련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주요 구성요소 즉, 프레임(10)과, 드랙기구(20)와, 결합구(24)와, 스풀(60)이 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테두리(12) 내에 리브(13)로 연결되는 허브(11)가 중앙에 구비되며, 허브(11)에는 드랙기구(20)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허브(11)의 내주면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랙기구(20)의 드랙하우징(32)이 프레임(10)의 허브(11)에 끼워질 때, 드랙하우징(32)의 일단부에 형성한 걸림돌기(32c)가 프레임(10)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더 이상 전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68)이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10)의 허브(11) 내주면에는 드랙하우징(32)의 외주면에 형성한 돌출부(32d)가 삽입되는 끼움홈(69)이 형성된다. 테두리(12)의 상측과 하측에는 스풀(60)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한 쌍의 연장부(14)가 형성되며, 일측 연장부(14)에는 낚시대를 장착하기 위한 거치부(15)가 형성된다.
드랙기구(20)는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풀(60)의 일방향 회전은 허용하고, 반대방향의 회전은 저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허브(11)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의 일부분에는 드랙기구(20)를 프레임(10)에 고정결합하기 위한 나사산(3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부에 장착된 드랙노브(34)의 회전조작에 따라서, 타단부에 장착된 메인스핀들(42)이 양방향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또는 어느 일방향의 회전만 가능하도록 하며, 3개의 주요 구성요소 즉, 제1부분(30)과, 제2부분(40)과, 일방향 베어링(50)을 구비한다.
제1부분(3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허브(1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일단에 형성한 드랙노브(34)의 회전조작에 따라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드랙스핀들(33)이 회전이 가능하거나 저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축(31)과, 드랙하우징(32)과, 드랙스핀들(33)과. 드랙노브(34)와, 제동수단을 구비한다.
드랙하우징(32)은 프레임(10)의 허브(11)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내부에 배치되는 중심축(31)의 외주에 고정결합되며, 외주의 일부분에는 드랙하우징(32)을 프레임(10)의 허브(11)에 고정결합하기 위한 나사산(32a)이 형성되며, 일단부 외주에는 드랙하우징(32)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하기 위한 걸림돌기(32c)가 형성되고, 타단부 외주에는 제2부분(40)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32b)이 형성된다.
걸림돌기(32c)는 드랙하우징(32)의 일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드랙하우징(32)이 프레임(10)의 허브(11)에 끼워질 때, 드랙하우징(32)이 프레임(10)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더 이상 전진되는 것을 방지한다. 걸림돌기(32c)는 그 외경을 프레임(10)의 허브(11) 내주면의 직경보다 작게 하여 걸림돌기(32c)가 프레임(10)의 허브(11) 내주면으로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프레임(10)의 허브(11) 내주면에 드랙하우징(32)의 걸림돌기(32c)가 끼워지는 방향으로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도록 하는 걸림턱(68)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걸림돌기(32c)가 프레임(10)의 허브(11)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므로 드랙하우징(32)과 프레임(10)의 결합상태에 대한 외관을 보다 향상시킬 수가 있다. 걸림돌기(32c)의 외경은 프레임(10)의 허브(11) 내주면의 직경보다 크게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드랙하우징(32)이 프레임(10)의 허브(11)에 끼워질 때, 걸림돌기(32c)가 프레임(10)의 허브(11)에 접촉되어 드랙하우징(32)이 더 이상 프레임(10)의 허브(11) 쪽으로 전진하지 않게 된다.
또한, 드랙하우징(32)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32c)와 나사산(32a)의 사이에 돌출부(32d)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32d)는 드랙하우징(32)이 프레임(10)의 허브(11) 내주면에 끼워졌을 때, 드랙하우징(32)의 돌출부(32d)가 프레임(10)의 허브(11) 내주면에 형성한 끼움홈(69)에 끼워져서 드랙하우징(32)이 프레임(10)의 허브(11) 내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드랙하우징(32)의 타단부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제2부분(40)의 하우징캡(41)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하기 위한 나사산(32b)이 형성된다. 나사산(32b)에는 후술하는 지지너트(43)의 내주에 형성한 나사산(43a)이 나사결합되면 드랙하우징(32)을 구비하는 제1부분(30)과, 메인스핀들(42)을 구비하는 제2부분(40)이 서로 결합되게 된다.
드랙스핀들(33)은 중심축(31)의 외주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제1부분(30)의 일단부에 형성한 드랙노브(34)의 회전조작에 따라 중심축(31)의 외주상에서 회전이 가능하거나 저지되게 되며, 일측으로 연장된 연장부(33b)의 내주면은 육각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육각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는 부분에 일방향 베어링(50)이 끼워지게 되는데, 이때 일방향 베어링(50)도 외주면이 육각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드랙스핀들(33)이 회전하게 되면, 드랙스핀들(33)의 연장부(33b) 내주면에 형성한 육각형의 부분과 일방향 베어링(50)의 외주면에 형성한 육각형의 형상이 서로 맞물리면서 드랙스핀들(33)과 일방향 베어링(50)의 회전은 서로 연동이 되게 된다.
드랙노브(34)는 드랙하우징(32)의 일측으로 돌출된 중심축(3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드랙노브(34)의 회전 조작에 따라서, 제동수단을 작동시켜 드랙스핀들(33)이 회전되도록 하거나 회전이 저지되도록 한다. 미설명부호 34a는 드랙노브나사이고, 34b는 드랙노브 오링이고, 34c는 드랙노브커버이다.
제동수단은 드랙노브(34)의 회전 조작에 따라서 드랙스핀들(33)이 중심축(31)의 외주에서 회전되도록 하거나 회전을 저지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드랙노브(34)를 회전시키게 되면, 드랙노브(34)의 회전력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랙노브 인서트(71)에 미치게 되고, 드랙노브 인서트(71)는 중심축(31)의 축방향으로 전진되면서 오링(72)을 압축시키게 되고, 오링(72)의 압축된 힘은 푸시판(73)과 푸시핀(74)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어서 푸시핀(74)의 가압력은 압력판(75)과 드랙와셔(76)와 드랙디스크(77)를 서로 밀착시키면서 드랙디스크(77)가 중심축(31)의 원주방향으로 회전이 저지되게 되며, 드랙디스크(77)의 회전이 저지되면, 드랙디스크(77)와 고정 결합되어 있는 드랙스핀들(33)의 회전도 저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드랙노브(34)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드랙노브(34)의 회전조작에 따라서, 제동수단이 작동되거나 작동되지 않도록 하여 드랙스핀들(33)이 중심축(31)의 외주 상에서 회전되거나 회전이 저지되도록 할 수가 있게 된다. 미설명부호 78은 스냅링이고, 79는 오링이다.
제2부분(40)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허브(11)에 끼워져서 고정결합된 제1부분(30)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캡(41)과, 메인스핀들(42)과, 지지너트(43)를 구비한다.
하우징캡(41)은 제1부분(30)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메인스핀들(42)을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관통공(4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 일측에는 후술하는 지지너트(43)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하는 걸림턱(41b)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스핀들(42)은 하우징캡(41)의 관통공(41a)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서, 중공축(44)과, 스풀 결합부(45)를 구비한다.
중공축(44)은 중심축(31)의 외주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며, 외주에는 중공축(44)의 일방향 회전은 허용하고, 반대방향의 회전은 저지하기 위한 일방향 베어링(50)이 끼워지게 된다.
스풀 결합부(45)는 중공축(44)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중공축(44)과 일체로 형성되며, 스풀(60)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여 스풀(60)과 메인스핀들(42)이 서로 연동되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외주에는 스풀(60)의 중앙에 형성한 허브(61)의 내주면에 형성한 육각형의 너트(미도시)와 맞물릴수 있는 육각형의 볼트(45a)가 형성된다. 따라서, 스풀(60)이 회전되게 되면, 이와 연동하여 스풀 결합부(45)도 함께 회전되게 된다. 또한, 스풀 결합부(45)의 내주에는 스풀 착탈레버(65)의 외주에 형성한 나사산(미도시)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산(45b)이 형성된다, 스풀 착탈레버(65)의 외주에 형성한 나사산(미도시)과 스풀 결합부(45)의 내주에 형성한 나사산(45b)이 나사결합되면 스풀 결합부(45)와 스풀(60)이 서로 이탈되지 않게 되므로 스풀(60)이 드랙기구(20)와 일체로 회전이 되게 된다.
중공축(44)과 스풀 결합부(45) 사이에는 후술하는 지지너트(43)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하는 환형의 걸림턱(46)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47은 메인스핀들(42)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링이고, 81은 볼베어링이며, 82, 83은 오링이다.
지지너트(43)는 하우징캡(41)의 외주에 회전 및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져서 하우징캡(41)을 제1부분(30)과 고정결합하도록 하며, 지지너트(43)의 내주에는 드랙하우징(32)의 외주에 형성한 나사산(32b)과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나사산(43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너트(43)는 하우징캡(41)의 외주에 끼워졌을 때, 하우징캡(41)의 일단부에 형성한 걸림턱(41b)과 메인스핀들(42)의 걸림턱(46) 사이에서 이동이 제한되므로 하우징캡(41)의 외주상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방향 베어링(5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이 육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드랙스핀들(33)의 내주에 끼워졌을 때, 드랙스핀들(33)의 회전과 연동되고, 또 메인스핀들(42)의 외주에 끼워져서 메인스핀들(42)의 일방향 회전은 허용하고 반대방향의 회전은 억제하도록 한다.
결합구(24)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랙기구(20)의 외주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드랙기구(20)가 프레임(10)의 허브(11)에 끼워졌을 때, 드랙기구(20)의 외주에 형성한 나사산(32a)에 체결되어 드랙기구(20)가 프레임(10)에 고정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내주에는 드랙기구(20)의 외주에 형성한 나사산(32a)과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24a)이 형성되어 있다.
스풀(60)은 드랙기구(20)의 메인스핀들(42)에 형성된 스풀 결합부(4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메인스핀들(42)이 회전될 때, 메인스핀들(42)과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서, 스풀(60)의 중앙에 형성한 허브(61) 내주면에는 스풀 결합부(45)의 회전과 연동되도록 하기 위한 육각형의 너트(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66은 스풀(60)을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이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과 드랙기구(20)가 서로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하며, 프레임(10)과 드랙기구(20)를 결합구(24)에 의해서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프레임(10)에 드랙기구(20)를 고정결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허브(11)에 드랙기구(20)를 화살표 방향으로 끼우게 되면, 드랙기구(20)의 드랙하우징(32) 외주에 형성한 걸림돌기(32c)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허브(11)에 형성한 걸림턱(68)에 걸려서 드랙기구(20)가 프레임(1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되고, 이때, 드랙하우징(32)의 외주에 형성한 돌출턱(32d)이 프레임(10)의 허부 내주에 형성한 끼움홈(69)에 끼워지게 되면, 이 상태에서는 드랙기구(20)가 프레임(10)의 허브(11) 내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도 회전되지 않게 된다.
다음에, 프레임(10)의 허브(11) 일측으로 돌출된 드랙하우징(32)의 외주에는 나사산(32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결합구(24)를 드랙하우징(32)의 외주상에 끼워서 드랙하우징(32)의 외주에 형성한 나사산(32a)과 결합구(24)의 내주면에 형성한 나사산(24a)을 나사결합시키게 되면, 드랙기구(20)가 프레임(10)에 끼워진 상태에서 드랙기구(20)와 프레임(10)이 서로 상대이동되지 않도록 고정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은 드랙기구(20)와 프레임(10)이 서로 분리가 가능하여 드랙기구(20) 만을 프레임(10)과는 별도의 공정에 의해서 생산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프레임(10)의 중심부에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드랙기구의 부품들을 번거롭게 조립해야 하는 조립상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가 있고, 또 드랙기구(20)의 일부 부품이 파손되거나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 드랙기구(20)와 프레임(10)을 전체적으로 교환할 필요없이 드랙기구(20)만을 간편하게 교환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10)의 활용도를 높힐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은 드랙기구(20)의 드랙하우징(32) 외주에 형성한 나사산(32a)과 결합구(24)의 내주에 형성한 나사산(24a)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프레임(10)과 드랙기구(20)가 서로 분리되거나 결합되게 되므로 프레임(10)이나 드랙기구(20)의 수리나 교환 등의 A/S에서 장점을 가질 수가 있다. 즉, 프레임과 드랙기구가 결합되기 위해서는 프레임의 규격에 맞는 드랙기구가 프레임에 제대로 끼워져야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드랙기구가 프레임의 규격에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일단에 드랙노브가 장착된 드랙기구를 프레임의 일측에서 끼우고, 드랙기구가 프레임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더 이상 전진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드랙하우징의 외주에 형성한 나사산에 결합구의 나사산을 나사결합시키게 되면, 프레임의 규격에 관계없이 드랙기구와 프레임이 고정 결합시킬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드랙기구가 프레임과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규격이라 하더라도 드랙기구와 프레임을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가 있으므로 플라이 릴의 수리나 교환 등의 A/s를 수월하게 수행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드랙기구(20)의 내부에는 사용자가 왼손잡이인 경우와 오른손잡이인 경우에 따라서, 회전 허용방향을 달리하기 위한 일방향 베어링(50)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은 드랙기구(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일방향 베어링(50)의 설치방향을 별도의 공구가 필요없이 간편하게 바꿀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진다.
드랙기구(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일방향 베어링(50)의 설치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드랙기구(20)의 제1부분(30)과 제2부분(40)을 결합하는 지지너트(43)를 결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드랙하우징(32)의 외주에 형성한 나사산(32b)과 지지너트(43)의 내주에 형성한 나사산(43a)의 나사결합이 해제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도 6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부분(40)의 하우징캡(41)을 드랙하우징(32)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제1부분(30)의 드랙하우징(32)과 제2부분(40)의 하우징캡(41)이 서로 분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메인스핀들(42)의 중공축(44) 외주에 끼워져 있는 일방향 베어링(50)을 중공축(44)의 외주에서 분리시킨 다음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 베어링(50)의 방향을 바꾸어 다시 중공축(44)의 외주에 끼우고, 다시 제2부분(40)의 하우징캡(41)을 제1부분(30)의 드랙하우징(32)에 끼운 상태에서 하우징캡(41)을 드랙하우징(32) 쪽으로 힘을 가하고, 이어서 드랙하우징(32)의 외주에 형성한 나사산(32b)과 지지너트(43)의 내주에 형성한 나사산(43a)의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지지너트(43)를 회전시키면, 제1부분(30)과 제2부분(40)이 결합된 드랙기구(20)가 된다.
위와 같이 드랙기구(20)의 내부에 장착되는 일방향 베어링(50)은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공구가 필요없이 간편하게 바꿀 수가 있으므로 사용 상의 편리함을 기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플라이 릴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프레임 11 : 허브
20 : 드랙기구 24 : 결합구
30 ; 제1부분 31 : 중심축
32 : 드랙하우징 32a ; 나사산
33 : 드랙스핀들 34 : 드랙노브
40 : 제2부분 41 : 하우징캡
42 : 메인스핀들 43 : 지지너트
44 : 중공축 45 : 스풀 결합부
50 : 일방향 베어링 60 ; 스풀

Claims (7)

  1. 중앙에 허브(11)가 구비된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허브(11)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외주의 일부분에는 나사산(32a)이 형성된 드랙하우징(32)과, 상기 드랙하우징(32)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드랙노브(34)와, 상기 드랙하우징(32)의 타단부에 상기 드랙하우징(32)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드랙노브(34)의 회전조작에 따라서 양방향의 회전이 가능하거나 또는 어느 일방향의 회전만 가능한 메인스핀들(42)을 구비하는 드랙기구(20);
    상기 드랙하우징(32)의 외주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드랙기구(20)의 드랙하우징(32)이 상기 프레임(10)의 허브(11)에 끼워졌을 때, 상기 드랙하우징(32)의 외주에 형성한 나사산(32a)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드랙기구(20)가 상기 프레임(10)에 고정결합되도록 하는 결합구(24); 및
    상기 드랙기구(20)의 메인스핀들(4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스핀들(42)이 회전될 때, 상기 메인스핀들(42)과 함께 회전되는 스풀(60);로 이루어지되,
    상기 드랙기구(20)는,
    상기 프레임(10)의 허브(11)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내부에는 상기 드랙노브(34)의 회전조작에 따라 회전이 가능하거나 저지되는 드랙스핀들(33)을 구비하는 제1부분(30);
    상기 프레임(10)의 허브(11)에 끼워져서 고정결합된 상기 제1부분(30)과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내부에는 상기 스풀(60)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메인스핀들(42)을 구비하는 제2부분(40); 및
    상기 드랙스핀들(33)의 내주에 끼워져서 상기 드랙스핀들(33)의 회전과 연동되고, 상기 메인스핀들(42)의 외주에 끼워져서 상기 메인스핀들(42)의 일방향 회전은 허용하고 반대방향의 회전은 억제하도록 하는 일방향 베어링(50);을 구비하고,
    상기 제2부분(40)은,
    상기 제1부분(30)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관통공(41a)이 형성된 하우징캡(41);
    내주에는 중심축(31)의 외주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외주에는 상기 일방향 베어링(50)이 끼워지는 중공축(44)과, 상기 중공축(44)에서 연장되어 상기 스풀(60)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풀 결합부(45)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캡(41)의 관통공(41a)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스핀들(42); 및
    상기 하우징캡(41)을 상기 제1부분(30)과 고정결합하도록 하는 지지너트(4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30)은,
    중심축(31);
    상기 중심축(31)의 외주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프레임(10)의 허브(11)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드랙하우징(32);
    상기 중심축(31)의 외주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드랙스핀들(33);
    상기 드랙하우징(32)의 일측으로 돌출된 상기 중심축(3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드랙노브(34); 및
    상기 드랙노브(34)의 회전 조작에 따라서 상기 드랙스핀들(33)이 상기 중심축(31)의 외주에서 회전되도록 하거나 회전을 저지하도록 하는 제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랙하우징(32)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드랙하우징(32)이 상기 프레임(10)의 허브(11)에 끼워질 때, 상기 드랙하우징(32)이 상기 프레임(10)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더 이상 전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32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허브(11) 내주면에는 상기 드랙하우징(32)이 상기 프레임(10)의 허브(11)에 끼워질 때, 상기 드랙하우징(32)의 걸림돌기(32c)가 상기 프레임(10)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더 이상 전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6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랙하우징(32)의 외주면에는 돌출부(32d)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0)의 허브(11) 내주면에는 상기 드랙하우징(32)의 외주면에 형성한 돌출부(32d)가 삽입되는 끼움홈(6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릴.
KR1020190020894A 2019-02-22 2019-02-22 플라이 릴 KR102053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894A KR102053854B1 (ko) 2019-02-22 2019-02-22 플라이 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894A KR102053854B1 (ko) 2019-02-22 2019-02-22 플라이 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854B1 true KR102053854B1 (ko) 2019-12-10

Family

ID=69002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894A KR102053854B1 (ko) 2019-02-22 2019-02-22 플라이 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8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149B1 (ko) * 2005-05-09 2006-08-17 (주)주호상사 플라이 릴
KR100809444B1 (ko) * 2006-12-13 2008-03-06 (주)주호상사 플라이 릴
KR20080098476A (ko) * 2008-10-10 2008-11-10 강석운 플라이 리일
US20150053807A1 (en) * 2013-08-23 2015-02-26 Allen Fly Fishing Fly Reel with Detachable Drag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149B1 (ko) * 2005-05-09 2006-08-17 (주)주호상사 플라이 릴
KR100809444B1 (ko) * 2006-12-13 2008-03-06 (주)주호상사 플라이 릴
KR20080098476A (ko) * 2008-10-10 2008-11-10 강석운 플라이 리일
US20150053807A1 (en) * 2013-08-23 2015-02-26 Allen Fly Fishing Fly Reel with Detachable Drag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66558B2 (ja) 両軸受リール
US4702432A (en) Spinning reel brake for fishing
TWI710315B (zh) 紡車式捲線器
KR100809444B1 (ko) 플라이 릴
US10278377B2 (en) Rotation transmission mechanism for spinning reel
JP2017158508A5 (ko)
KR102236845B1 (ko) 플라이 릴의 드랙기구
KR102053854B1 (ko) 플라이 릴
JPH1198940A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2009000078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回転伝達機構
JP2013081388A (ja) 釣り用リールのリール本体及び釣り用リール
KR20040066725A (ko)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
KR100264093B1 (ko) 낚시용릴
CN107926880B (zh) 一种摇轮的线轮新阻尼结构
KR100745549B1 (ko) 플라이 릴
CN216674370U (zh) 一种快速拆装渔线轮
KR100613149B1 (ko) 플라이 릴
JP4381885B2 (ja)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の制動操作構造
US10045518B2 (en) Fishing reel with single-handed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rocker arm assembly
KR102625019B1 (ko) 양 베어링 릴
JP7202877B2 (ja) 両軸受リール
KR20060047946A (ko)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
JP2019088198A5 (ko)
JP2002218875A (ja) 魚釣用リール
KR20040044345A (ko)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