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7946A -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7946A
KR20060047946A KR1020050040717A KR20050040717A KR20060047946A KR 20060047946 A KR20060047946 A KR 20060047946A KR 1020050040717 A KR1020050040717 A KR 1020050040717A KR 20050040717 A KR20050040717 A KR 20050040717A KR 20060047946 A KR20060047946 A KR 20060047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screw
mounting portion
mounting
operation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8627B1 (ko
Inventor
케이고 키타지마
타쿠지 타카마츠
엉 켕 후아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50084A external-priority patent/JP438188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71290A external-priority patent/JP440301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71293A external-priority patent/JP451712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60047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과제] 제동 조작 구조에 있어서, 조작 손잡이가 장착부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과 함께, 조작 손잡이를 장착부에 대하여 안정하게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하는 것)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제동 조작 구조(6)는 릴 본체(1)에 장착되며, 회동 조작에 의하여 스풀의 제동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 구조는, 장착통부(1c)와, 조작 손잡이(27)와, 나사 부재(28)를 구비하고 있다. 장착통부는 릴 본체로부터 원통상(圓筒狀)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조작 손잡이는 장착통부를 수납 가능하게 바닥이 있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회동 조작에 의하여 스풀의 제동력을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나사 부재는 외주(外周)에 수나사부(29a, 29b)를 가지며,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장착통부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부터 장착통부에 장착 가능하게 분할되어 있다. 이 나사 부재는 장착통부의 외주와 조작 손잡이의 내주(內周)와의 사이에서 장착통부와 조작 손잡이에 계합하고 있다. 그리고 조작 손잡이를 장착통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고 또한 장착통부의 돌출 방향으로 발지(拔止, 빠지는 것을 방지/고정) 가능하게 하고 있다.
낚시용 릴, 스풀, 제동 조작 구조, 조작 손잡이, 릴 본체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BRAKE OPERATION STRUCTURE FOR FISHING REEL SPOOL}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피닝 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스피닝 릴의 제동 조작 구조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제동 조작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제동 조작 구조의 장착통부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장착통부의 배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피닝 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스피닝 릴의 제동 조작 구조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제동 조작 구조 (제1 조작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도 8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 6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그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상기 리어 드랙 조작 구조의 배면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제2 리어 드랙 손잡이를 시계 회전으로 요동시켰을 때의 도 12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상기 제2 리어 드랙 손잡이를 반시계 회전으로 요동시켰을 때의 도 12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핸들의 확대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c, 76 장착통부
1d 암나사부 (제2 암나사부의 일례)
6, 56 제동 조작 구조
9, 59 리어 드랙 기구
22  압압 부재 (이동 부재의 일례)
22d  수나사부 (제2 수나사부의 일례)
26   발지홈
27  조작 손잡이
27a  암나사부 (제1 암나사부의 일례)
28  나사 부재
29a, 29b   수나사부 (제1 수나사부의 일례)
30a, 30b   반으로 자른 환상 돌기 (제1 발지 돌출부의 일례)
31a, 31b  테두리부
77, 216 수나사부 (제3 수나사부의 일례)
81 제1 조작 부재 (조작 손잡이의 일례)
83, 217 통상부 (제2 발지 돌출부의 일례)
84a, 218 암나사부 (제3 암나사부의 일례)
88a, 220 돌출부
90 압압부 (조정부의 일례)
92a, 292c  오목부 (홈부의 일례)
93a, 293c  규제부 (톱니 멈춤쇠부의 일례)
215 제3 조작 부재 (조작 손잡이의 일례)
본 발명은 제동 조작 구조, 특히, 낚시용 릴의 릴 본체에 장착되며, 스풀의 제동력을 조절하여 조작하기 위한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낚시용 릴에는 회동(回動) 조작에 의하여 릴 본체 내부에 넣어진 각종 기구를 조절하여 스풀의 제동력을 변화시키는 제동 조작 구조가 광범위하게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동 조작 구조에는 예를 들어, 리어 드랙형 스피닝 릴의 리어 드랙 기구의 드랙력을 조절하는 것이 있다.
종래의 스피닝 릴의 리어 드랙 기구에 사용되는 제동 조작 구조는, 장착부와, 조작 손잡이와, 음출 부재와, 고정 볼트를 구비하고 있다. 장착부는 릴 본체 후부(後部)에 원통상(圓筒狀)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고, 외주(外周)에 수나사부를 가지고 있다. 조작 손잡이는 장착부를 수납 가능하게 바닥이 있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주(內周)에 암나사부를 가지고 있다. 이 암나사부는 장착부의 수나사부에 나사로 감합(嵌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조작 손잡이에는 압압(押壓) 부재가 포함되어 있고, 이 압압 부재는 장착부의 내주부에서 리어 드랙 기구의 후부에 배치되어 있다. 압압 부재는 원기둥상의 압압부와 압압부로부터 원기둥상으로 돌출한 돌출부로 이루어져 있다. 압압부는 리어 드랙 기구측에 배치되어 있고, 리어 드랙 기구를 압압하는 부분이다. 돌출부는 압압부보다 소경(小徑)으로 형성되어 있고, 조작 손잡이측에 배치되어 조작 손잡이에 장착된다. 이 돌출부의 외주에는 요철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음출 부재는, 예를 들어, 반원상(半圓狀)의 용수철 부재이며, 양 단부가 장착부를 외주측으로부터 내주측으로 관통하고 있다. 음출 부재의 양 단부는 장착부의 내주부에서 압압 부재의 돌출부 외주에 형성된 요철에 계합하고 있다. 또한 음출 부재의 양 단부는 압압 부재의 압압부 후부를 계지 가능하게 되어 있고, 압압 부재의 후방으로 빠지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고정 볼트는 조작 손잡이의 저부(底部)측 바깥쪽으로부터 조작 손잡이의 저부를 관통하여 압압 부재를 조작 손잡이에 고정하고 있다.
종래의 제동 조작 구조에서는, 우선, 릴 본체에 장착된 리어 드랙 기구의 후부에 압압 부재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장착부에 음출 부재를 장착하여, 음출 부재의 양 단부를 압압 부재의 압압부의 후방에서 압압 부재의 돌출부의 요철에 계합시킨다. 마지막으로, 조작 손잡이를 장착부에 나사로 감합시키면서 장착하여, 고정 볼트를 사용하여 압압 부재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제동 조작 구조에서는, 조작 손잡이를 회동 조작하였을 때, 음출 부재의 양 단부가 압압 부재의 요철 에 충돌을 반복하여 클릭음을 발한다. 이 때, 조작 손잡이에 고정 볼트로 고정된 압압 부재가, 리어 드랙 기구를 압압하거나 압압 해제하거나 하여, 리어 드랙 기구의 드랙력이 조절된다. 여기서, 리어 드랙 기구의 압압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조작 손잡이를 계속 회동시켜 가면, 압압 부재가 조작 손잡이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고, 결국 압압 부재의 압압부 후부가 음출 부재의 양 단부에 접촉하여 계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압압 부재를 포함하는 조작 손잡이는 장착부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된다.
 <특허 문헌 1> 실용 전문 소화60-168375호 공보 (도 1, 도 6)
종래의 제동 조작 구조에서는, 리어 드랙 기구의 압압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조작 손잡이를 회동시켰을 때, 압압 부재를 포함하는 조작 손잡이가 장착부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압압 부재의 압압부 후부를 음출 부재의 양 단부에 접촉시켜 계지시키고 있다. 그렇지만 압압 부재의 압압부 후부를 음출 부재의 양 단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리어 드랙 기구의 압압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조작 손잡이를 더 회동시켜 버리면, 조작 손잡이의 암나사부 및 장착부의 수나사부의 마모의 정도가 커져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서는, 조작 손잡이의 암나사부 및 장착부의 수나사부의 나사산이 손상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면 조작 손잡이를 안정하게 회동시키기 어려워진다.
한편, 종래의 제동 조작 구조에서는, 조작 손잡이를 장착부에 나사로 감합시키고 있다. 그리고 고정 볼트가 조작 손잡이의 저부측 바깥쪽으로부터 조작 손잡 이의 저부를 관통하여 압압 부재를 조작 손잡이에 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고정 볼트를 사용하여 압압 부재를 조작 손잡이에 고정하면, 볼트 머리부가 조작 손잡이의 저부 외면에 나타나기 때문에, 조작 손잡이가 볼품이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제동 조작 구조에 있어서, 조작 손잡이가 장착부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하는 것과 함께, 조작 손잡이를 장착부에 대하여 안정하게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제동 조작 구조에 있어서, 보기 좋게 조작 손잡이를 장착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발명 1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는, 낚시용 릴의 릴 본체에 장착되고, 회동 조작에 의하여 스풀의 제동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는, 장착부와, 조작 손잡이와, 나사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장착부는 릴 본체로부터 원통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조작 손잡이는 장착부를 수납 가능하게 바닥이 있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회동 조작에 의하여 스풀의 제동력을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나사 부재는 외주 또는 내주에 나사부를 가지며,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장착부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부터 장착부에 장착 가능하게 분할되어 있다. 이 나사 부재는 장착부의 외주와 조작 손잡이의 내주와의 사이에서 장착부와 조작 손잡이에 계합하고 있다. 그리고 조작 손잡이를 장착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고 또한 장착부의 돌출 방향으로 발지(拔止)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제동 조작 구조에서는, 분할된 나사 부재가 장착부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부터 장착부에 장착된다. 이 나사 부재는 장착부의 외주에서 장착부에 계합한다. 조작 손잡이는 내주부에 장착부를 수납하여, 내주에서 나사 부재에 계합한다. 이러한 조작 손잡이는 나사 부재에 의하여, 장착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고 또한 장착부의 돌출 방향으로 발지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 손잡이를 회동 조작하는 것으로, 스풀의 제동력이 조절된다.
여기서는, 나사 부재가 장착부의 외주와 조작 손잡이의 내주와의 사이에서 장착부와 조작 손잡이에 계합하여, 조작 손잡이를 장착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고 또한 장착부의 돌출 방향으로 발지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 손잡이를 회동 조작하는 것으로, 스풀의 제동력이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조작 손잡이를 장착부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조작 손잡이를 장착부에 대하여 안정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작 손잡이를 발지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하면, 고정 볼트와 같은 고정 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기 좋게 조작 손잡이를 장착부에 장착할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에서는, 발명 1에 기재된 구조에 있어서, 장착부의 외주에 환상(環狀)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나사 부재의 내주에는 환상 홈에 감합 가능한 제1 발지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장착부의 외주에 형성된 환상 홈에 나사 부재의 제1 발지 돌출부가 감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나사 부재의 제1 발지 돌출부를 장착부의 환상 홈에 감합하는 것으로, 나사 부재가 장착부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나사 부재를 장착부에 대하여 안정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에서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구조에 있어서, 나사 부재의 외주에 나사부로서의 제1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 손잡이의 내주에는 조작 손잡이를 나사 부재에 연결하기 위하여 제1 암나사부가 제1 수나사부에 나사로 감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나사 부재의 외주에 형성된 제1 수나사부에 조작 손잡이의 내주에 형성된 제1 암나사부가 나사로 감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나사 부재의 제1 수나사부에 조작 손잡이의 제1 암나사부를 나사로 감합하는 것으로, 조작 손잡이를 나사 부재에 연결하여 나사 부재와 함께 장착부 주위에 안정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발명 4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에서는, 발명 3에 기재된 구조에 있어서, 나사 부재의 일단부의 외주에서 테두리부가 직경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테두리부의 외경은 나사 부재의 외주에 형성된 제1 수나사부의 외경보다 대경(大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나사 부재의 일단부의 외주에 형성된 테두리부의 외경이, 나사 부재의 외주에 형성된 제1 수나사부의 외경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나사 부재의 외주에 형성된 제1 수나사부에 조작 손잡이의 내주에 형성된 제1 암나사부를 나사로 감합시킬 때에, 조작 손잡이를 나사 부재의 테두리부에 접촉시켜 나사 부재에 확실히 조여 장착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에서는, 발명 1 내지 4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구조에 있어서, 장착부의 내주에 제2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 손잡이에는 이동 부재가 포함되어 있다. 이동 부재는 조작 손잡이의 저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이동 부재는 장착부 내주의 제2 암나사부에 나사로 감합 가능한 제2 수나사부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조작 손잡이를 회동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이동 부재는 장착부의 내주부에서 회전하면서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풀의 제동력을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조작 손잡이에는 저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이동 부재가 포함되어 있다. 이 이동 부재는 제2 수나사부를 장착부 내주의 제2 암나사부에 나사로 감합시키는 것으로, 장착부의 내주에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 손잡이를 회동 조작하면, 이동 부재가 장착부의 내주부에서 회전하면서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풀의 제동력이 조절된다. 이와 같이 하여 두면, 나사 부재를 통하여 장착부에 발지된 조작 손잡이를 장착부에 대하여 회동시켰을 때에, 스풀의 제동력을 확실히 조절할 수 있다.
발명 6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에서는, 발명 1에 기재된 구조에 있어서, 장착부의 외주에 제2 발지 돌출부와 제3 수나사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발지 돌출부는 장착부의 선단(先端)측 외주에서 직경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3 수나사부는 장착부의 기단(基端)측 외주에서 내경이 제2 발지 돌출부의 외주보다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나사 부재의 내주에는 장착부의 제3 수나사부에 나사로 감합 가능한 나사부로서의 제3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장착부의 기단측 외주에 형성된 제3 수나사부에 나사 부재의 내주에 형성된 제3 암나사부가 나사로 감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장착부의 제3 수나사부의 내경은 장착부의 선단측 외주에 형성된 제2 발지 돌출부의 외주보다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것 보다, 장착부의 제3 수나사부에 나사 부재인 제3 암나사부를 나사로 감합시키는 것으로, 나사 부재를 장착부에 대하여 안정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이 때, 나사 부재를 회동시켜 장착부의 선단측으로 이동시키면, 이 나사 부재가 장착부 선단측의 제2 발지 돌출부에 결국 접촉하기 때문에, 나사 부재가 장착부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나사 부재가 장착부의 제2 발지 돌출부에 접촉하면, 그 이상은 나사 부재를 회동시켜 장착부의 선단측으로 이동시킬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장착부의 제3 수나사부와 나사 부재인 제3 암나사부에 생길 수 있는 발지시의 마모나 나사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 7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에서는, 발명 6에 기재된 구조에 있어서, 조작 손잡이의 내주에 조작 손잡이의 개구측으로부터 저부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나사 부재의 외주에는 조작 손잡이와 나사 부재와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기 위하여, 돌출부가 조작 손잡이의 홈부에 감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조작 손잡이의 내주에 형성된 홈부에 나사 부재의 외주에 형성된 돌출부가 감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조작 손잡이의 홈부에 나사 부재의 돌출부를 감합하는 것으로, 조작 손잡이를 나사 부재에 연결하여 나사 부재와 함께 장착부에 대하여 안정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발명 8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에서는, 발명 7에 기재된 구조에 있어서, 나사 부재의 돌출부가 장착부의 돌출 방향 역측으로 조작 손 잡이의 홈부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조작 손잡이의 개구측의 홈부의 저부에 톱니 멈춤쇠부가 홈부의 저부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조작 손잡이의 개구측에서 조작 손잡이의 홈부의 저부에 톱니 멈춤쇠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손잡이의 홈부에 나사 부재의 돌출부를 감합하였을 때에, 나사 부재의 돌출부가 장착부의 돌출 방향 역측으로 조작 손잡이의 홈부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조작 손잡이를 나사 부재에 연결하여 나사 부재와 함께 장착부 주위에 안정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발명 9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에서는, 발명 6 내지 8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구조에 있어서, 조작 손잡이의 저부에 조정부가 저부로부터 개구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조정부는 조작 손잡이를 회동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장착부의 내주부에서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풀의 제동력을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조작 손잡이의 저부에 설치된 조정부가 조작 손잡이를 회동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장착부의 내주부에서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풀의 제동력이 조절된다. 이와 같이 하여 두면, 나사 부재를 통하여 장착부에 발지된 조작 손잡이를 장착부에 대하여 회동시켰을 때에, 스풀의 제동력을 확실히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 손잡이를 회동 조작하면, 조작 손잡이의 저부에 설치된 조정부가 장착부의 내주부에서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풀의 제동력이 조절된다. 이와 같이 하여 두면, 나사 부재를 통하여 장착부에 발지된 조작 손잡이를 장착부에 대하여 회동시켰을 때에, 스풀의 제동력을 확실히 조절할 수 있다.
발명 10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에서는, 발명 1 내지 9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구조에 있어서, 장착부가 스피닝 릴의 릴 본체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부는 스풀축을 제동하는 리어 드랙 기구를 내주부에 수납하고 있다. 여기서, 조작 손잡이는 리어 드랙 기구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 손잡이이다. 이 경우, 조작 손잡이가 장착부의 내주부에 수납된 리어 드랙 기구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 손잡이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리어 드랙 기구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 손잡이가 장착부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조작 손잡이를 장착부에 대하여 안정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작 손잡이를 발지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하면, 고정 볼트와 같은 고정 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기 좋게 조작 손잡이를 장착부에 장착할 수 있다.
발명 11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에서는, 발명 1 내지 9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구조에 있어서, 장착부가 양베어링 릴의 릴 본체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부는 스풀축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축 부재를 내주부에 수납하고 있다. 여기서, 조작 손잡이는 스풀축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축 부재를 제동하는 캐스팅 컨트롤 기구의 조작 손잡이이다. 이 경우, 조작 손잡이가 스풀축으로 연동하여 회전하는 축 부재를 제동하는 캐스팅 컨트롤 기구의 조작 손잡이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캐스팅 컨트롤 기구의 조작 손잡이가 장착부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조작 손잡이를 장착부에 대하여 안정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리어 드랙 릴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0)을 구비한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전부(前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터(2)와, 로터(2)의 전부에 배치되며 낚싯줄을 감기 위한 스풀(3)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로터(2)에는 낚싯줄을 스풀(3)에 감기 위한 베일 암(4)이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베일 암(4)에는 낚싯줄을 안내하는 라인 롤러(5)가 장착되어 있다.
릴 본체(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보디(1a)를 가지고 있고, 릴 보디(1a)의 상부에는 스피닝 릴을 낚싯대에 장착하기 위한 장대 장착부(1b)가 형성되어 있다. 릴 보디(1a)의 후부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장착통부(1c, 원통부)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장착통부(1c)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보디(1a)와 일체 형성된 통상(筒狀) 부재이며, 전후로 나란히 배치된 발지홈(26)과 환상 장착홈(25)을 외주면(外周面)에 가지고 있다. 또한 장착통부(1c)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주부에 형성된 암나사부(1d)와, 외주부로부터 내주부에 관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길어지도록 형성된 관통장공(23)을 가지고 있다. 장착통부(1c)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등의 합성 수지 또는 금속을 형성형(型成型)하여 얻을 수 있던 것이며, 암나사부(1d)와 관통장공(23)이 1회의 성형 가공에 의하여 동시에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부(1d)는 암나사부(1d)가 형성되는 부분에 외주에 수나사부(22d)가 형성된 중자(中子)를 장착한 상태로 성형 가공하고, 성형 후에 중자를 회전시켜 뽑아 내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관통장공(23)은 장착통부(1c)의 외측의 금형(金型)으로 관통장공(23)이 형성되는 부분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형성하고, 합성 수지 또는 금속을 흘려 넣는 것에 의하여 암나사부(1d)와 동시에 형성형한다.
관통장공(23)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통부(1c)의 후단(後端)측의 좌우 두 곳에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마찰 플레이트(19b)의 돌출부(19d)가 계지 가능하다. 관통장공(23)은 돌출부(19d)가 계지되고 전후 방향으로 긴 제1 관통장공(23a)과, 제1 관통장공(23a)과 연결되어 통하며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관통장공(23b)을 가지는 대략 T자상의 관통공이다. 덧붙여 제2 관통장공(23b)은 용수철 부재(24)가 장착되는 환상 장착홈(25)과 일부가 겹치도록 연결되어 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장착통부(1c)에 마찰 플레이트(19b)를 장착하려면, 마찰 플레이트(19b)를 장착통부(1c)의 전후 방향으로 기울인 상태로 내주부에 장착하고, 관통장공(23)에 돌출부(19d)를 장착하였을 때에 마찰 플레이트(19b) 전체를 세워 관통장공(23)에 돌출부(19d)를 계지한다. 장착통부(1c)의 내부에는 스풀(3)을 제동하는 리어 드랙 기구(9)가 수납되어 있다. 외부에는 리어 드랙 기구(9)의 제동력을 조정 조작하기 위한 제동 조작 구조(6)가 장착되어 있다.
릴 보디(1a)의 내부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2)를 회전시키기 위한 로터 구동 기구(7)와, 스풀(3)을 로터(2)의 회전축심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스풀(3)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오실레이팅 기구(8)가 설치되어 있다.
로터 구동 기구(7)는 핸들축(10a)과 함께 회전하는 마스터 기어(11)와, 이 마스터 기어(11)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부는 로터(2)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스풀(3)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릴 보디(1a)에 지지된 베어링(13a, 13b)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피니언 기어(12)의 중심부를 스풀축(14)이 회전축심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하고 있다. 스풀축(14)의 선단에 스풀(3)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의 중심부에 있어서 내경과 스풀축(14)의 외경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間隙)이 확보되어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8)는 핸들(10)에 의하여 핸들축(10a)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스풀축(14)을 전후 방향으로 운동시키는 기구이다. 오실레이팅 기구(8)는 스풀축(14)의 아래 가장 안쪽에 배치된 나선축(15)과, 나선축(15)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16)와, 나선축(15)의 하방에 배치된 가이드 축 (도시하지 않음)과, 나선축(15)의 선단에 고정되고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리는 중간 기어 (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나선축(15)과 가이드 축은 스풀축(14)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리어 드랙 기구(9)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상의 부시(18)와, 3종류 6매의 전후로 나란히 배치된 마찰 플레이트(19a, 19b, 19c)로 이루어지는 마찰 계합부(19)와, 마찰 계합부(19)의 마찰 플레이트(19a, 19b, 19c) 압박용의 코일 스프링(21)과, 코일 스프링(21)을 압압하는 압압 부재(22)로 구성되어 있다.
부시(18)는 스풀축(14) 후부의 외주에 회전 불가능 또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부시(18)의 중앙 외주면상에는 음출을 위한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요철부(18a)와 플랜지부(18b)가 전후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부시(18)의 후부 외주면에는 모따기부(18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시(18)의 내주부에는 스풀축(14)의 후단부에 형성된 모따기부(14a)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장공부(18d)가 형성되어 있다. 요철부(18a)에는 릴 보디(1a)에 장착된 판용수철(20)의 선단이 접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드랙 작동시에 부시(18)가 스풀축(14)과 함께 회전하면 판용수철(20)이 진동하여 발음한다.
마찰 플레이트(19a)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상의 드랙 와셔(washer)이며, 플랜지부(18b)의 후부로부터 1매 간격으로 합계 3매 배치된다.
마찰 플레이트(19b)는 외주부가 관통장공(23)에 계지되고 장착통부(1c)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하여 장착통부(1c)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한 귀붙이 와셔이며, 앞에서부터 2번째와 최후단에 2매 장착되어 있다. 마찰 플레이트(19b)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장착통부(1c, 후술)의 관통장공(23)에 계지 가능한 2개의 돌출부(19d)를 가지고 있다. 돌출부(19d)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의 두 곳에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마찰 플레이트(19b)는 돌출부(19d)의 최외경이 장착통부(1c)의 외주부의 직경보다 소경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마찰 플레이트(19b)의 내주부(19e)의 직경은 마찰 플레이트(19a, 19c)의 내경, 즉 부시(18)의 외경보다 커지도록 형 성되어 있다.
마찰 플레이트(19c)는 모따기부(18c)에 의하여 부시(18)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키 와셔이며, 앞에서부터 4번째에 장착된다. 덧붙여 마찰 계합부(19)의 마찰 플레이트(19a, 19b, 19c)의 매수나 형상은 예시이며,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찰 플레이트(19b)의 후면에는 마찰 계합부(19)의 후부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21)의 일단이 접촉하고 있다.
압압 부재(22)는 코일 스프링(21)의 타단을 계지 가능하게 전면이 패인 대경의 테두리부(22a)를 전단부에 가지고 있다. 또한 압압 부재(22)의 중앙 외주면에는 음출용의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요철부(22b)가 형성되어 있다. 후단 외주면에는 X자상으로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연결부(22c)가 형성되어 있다. 요철부(22b)에는 장착통부(1c)에 장착된 용수철 부재(24)가 접촉하고 있다. 압압 부재(22)의 테두리부(22a)의 외주면에는 장착통부(1c)의 암나사부(1d)에 나사로 감합하는 수나사부(22d)가 형성되어 있다.
용수철 부재(24)는 탄성 선재를 반원형으로 만곡(彎曲)하여 형성되어 있고,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접어 구부려진 한 쌍의 돌출부(24a)가 반원의 양 단에 형성되어 있다. 용수철 부재(24)는 장착통부(1c)에 형성된 환상 장착홈(25)에 장착되어 있다. 환상 장착홈(25)에는 두 곳의 관통부(25a)가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24a)는 관통부(25a)를 관통하여 요철부(22b)에 접촉하고 있다. 이 용수철 부재(24)는 드랙 조작시에 발음하는 기능과, 압압 부재(22)를 발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돌출부(24a)는 테두리부(22a)의 배면측에 접촉하여 압압 부재(22)가 장착통부 (1c)의 내주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제동 조작 구조(6)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의 릴 보디(1a) 후부에 설치된 장착통부(1c, 상술)와, 스풀(3)의 제동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작 손잡이(27)와, 조작 손잡이(27)에 나사 끼움 고정된 나사 부재(28)를 가지고 있다.
조작 손잡이(27)는 장착통부(1c)를 수납 가능하게 후단이 약간 직경이 작아지는 바닥이 있는 원통상으로 형성되며, 회동 조작에 의하여 스풀(3)의 제동력을 조절 가능한 것이다. 조작 손잡이(27)의 내주면(內周面)의 선단측에는 암나사부(27a)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 손잡이(27)의 저면에는 압압 부재(22)를 향하여 돌출하는 계합 오목부(27b)가 형성되어 있다. 계합 오목부(27b)는 연결부(22c)에 회전 불가능 또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계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조작 손잡이(27)을 회동시키면, 암나사부(1d)에 나사로 감합하는 압압 부재(22)가 회동하여 전후로 이동하고, 코일 스프링(21)을 신축시켜, 드랙력을 증감시킨다.
나사 부재(28)는 테두리붙이 통상 부재를 직경상에서 이분할한 반으로 자른 테두리붙이 원통형상의 제1 및 제2 분할 부재(28a, 28b)를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 분할 부재(28a, 28b)의 외주면에는 선단부에 조작 손잡이(27)에 접촉하는 대경의 테두리부(31a, 31b)가, 중간부에 조작 손잡이(27)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27a)에 나사로 감합 가능한 수나사부(29a, 29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테두리부(31a, 31b)는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고, 테두리부(31a, 31b)의 외경이 수나사부(29a, 29b)의 외형보다 커지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나사 부 재(28)의 외주에 형성된 수나사부(29a, 29b)에 조작 손잡이(27)의 내주에 형성된 암나사부(27a)를 나사로 감합시킬 때에, 조작 손잡이(27)를 나사 부재(28)의 테두리부(31a, 31b)에 접촉시켜 나사 부재(28)에 확실히 조여 장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분할 부재(28a, 28b)의 내주면의 후단부에는 발지홈(26)에 계합하는 발지용의 반으로 자른 환상 돌기(30a, 30b)가 직경 방향 안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분할 부재(28a)가 제2 분할 부재(28b)와 대향하는 분할면에는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32a, 도 3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분할 부재(28b)가 제1 분할 부재(28a)와 대향하는 분할면에는 한 쌍의 위치 결정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2개의 분할 부재(28a, 28b)는 확실히 위치 결정되고, 분할된 수나사부(29a, 29b)가 암나사부(27a)에 나사로 감합 가능하게 정렬된다.
다음으로, 리어 드랙 릴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릴 본체(1)로부터의 줄 방출시에는, 베일 암(4)을 줄 개방측으로 넘어뜨린다. 그리고 낚싯대를 캐스팅하면, 스풀(3)로부터 낚싯줄이 방출된다. 줄 감기시에는 베일 암(4)을 줄 감기측으로 되돌린다. 이 상태에서 핸들(10)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회전력이 핸들축(10a) 및 마스터 기어(11)를 통하여 피니언 기어(12)에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12)에 전달된 회전력은, 피니언 기어(12)의 전부에서 로터(2)를 회전시킨다. 한편, 피니언 기어(12)에 전달된 회전력은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리는 중간 기어 (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나선축(15)을 회전시킨다. 이 때, 나선축(15)의 나선홈에 맞물리는 슬라이더(16)가 가이드 축으로 안내되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더(16)가 이동하면, 슬라이더(16)와 함께 스 풀축(14)과 스풀(3)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이러한 로터(2)의 회전과 스풀(3)의 전후 이동에 의하여, 베일 암(4) 및 라인 롤러(5)로부터 안내되는 낚싯줄은, 스풀(3)의 외주에 전후 방향으로 균일하게 감긴다.
리어 드랙 기구(9)는 스풀(3)을 제동하는 것이고, 조작 손잡이(27)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풀(3)에 대한 드랙력을 조절할 수 있다. 릴 본체(1)의 후부의 조작 손잡이(27)를 조이면, 압압 부재(22)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압압 부재(22)에 접촉하는 코일 스프링(21)이 밀어 넣어진다. 그러면, 마찰 계합부(19)의 복수의 마찰 플레이트(19a, 19b, 19c)가 서로 압접(壓接)하고, 부시(18)가 복수의 마찰 플레이트(19a, 19b, 19c)에 의하여 릴 보디(1a)를 향하여 압압된다. 이와 같이, 부시(18)가 릴 보디(1a)를 향하여 압압되는 것에 의하여, 부시(18)에 대하여 회동 불가능한 스풀축(14)도 회전하기 어려워져, 스풀(3)에 작용하는 드랙력은 강해진다. 한편, 조작 손잡이를 느슨하게 하면, 압압 부재(22)는 후방으로 이동하고, 코일 스프링(21)이 밀어 넣어진 상태가 서서히 해제된다. 그러면, 마찰 플레이트(19a, 19b, 19c)에 의한 부시(18)의 압압이 해제되어, 부시(18)에 대하여 회동 불가능한 스풀축(14)은 회전하기 쉬워져, 스풀(3)에 작용하는 드랙력은 약해진다.
이러한 리어 드랙 기구(9)를 릴 본체(1)에 장착하는 리어 드랙 장착 구조에서는, 장착통부(1c)의 외주부로부터 내주부에 관통하는 관통장공(23)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암나사부(1d)가 형성되는 부분에 중자를 장착하여 뽑아 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이 때문에 성형 가공에 의하여 관통장공(23)과 암나사부(1d)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노치(notch) 홈부를 후가공할 필요가 없 기 때문에, 장착통부(1c)의 형성이 용이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동 조작 구조의 조립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동 조작 구조(6)를 조립할 때에는, 먼저 리어 드랙 기구(9)를 조립하여 용수철 부재(24)를 환상 장착홈(25)에 장착한다. 그리고 양 분할 부재(28a, 28b)를 장착통부(1c)에 반으로 자른 환상 돌기(30a, 30b)를 발지홈(26)에 계합시킨 상태에서 장착한다. 암나사부(27a)를 수나사부(29a, 29b)에 나사로 감합시킨 상태에서 조작 손잡이(27)를 선단이 테두리부(31a, 31b)에 접촉할 때까지 나사 부재(28)에 밀어 넣는다. 이 때, 계합 오목부(27b)가 압압 부재(22)의 연결부(22c)에 계합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하여, 조작 손잡이(27)가 발지된 상태에서 장착통부(1c)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예의 제동 조작 구조(6)에서는, 리어 드랙 기구(9)의 기능은 그대로이고, 조작 손잡이(27)를 장착통부(1c)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조작 손잡이(27)를 장착통부(1c)에 대하여 안정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 볼트를 사용하는 일 없이, 조작 손잡이(27)를 장착통부(1c)에 대하여 발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기 좋게 조작 손잡이(27)를 장착통부(1c)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발지 부재를 사용하는 일 없이, 조작 손잡이(27)가 장착통부(1c)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6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채용한 리어 드랙 릴은, 주로, 핸들(60)을 구비한 릴 본체(51)와, 릴 본체(51)의 전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터 (52)와, 로터(52)의 전부에 배치되고 낚싯줄을 감아 올리기 위한 스풀(53)을 구비하고 있다. 로터(52)에는 낚싯줄을 스풀(53)에 감기 위한 베일 암(54)이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베일 암(54)에는 낚싯줄을 안내하는 라인 롤러(55)가 장착되어 있다.
릴 본체(51)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보디(51a)를 가지고 있고, 릴 보디(51a)의 상부에는 스피닝 릴을 낚싯대에 장착하기 위한 장대 장착부(51b)가 형성되어 있다. 릴 보디(51a)의 내부에는 로터(52)를 회전시키기 위한 로터 구동 기구(57)와, 스풀(53)을 로터(52)의 회전축심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스풀(53)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레벨 와인드 구동 기구(58)가 설치되어 있다. 릴 보디(51a)의 후부에는 리어 드랙 기구(59)가 내장되어 있다. 이 리어 드랙 기구(59)를 조작하기 위하여, 제동 조작 구조(56)가 릴 보디(51a)의 후부에 장착되어 있다.
로터 구동 기구(57)는 핸들축(60a)과 함께 회전하는 마스터 기어(61)와, 이 마스터 기어(61)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62)를 가지고 있다. 피니언 기어(62)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부는 로터(52)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스풀(53)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62)는 릴 보디(51a)에 지지된 볼 베어링(63a, 63b)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피니언 기어(62)의 중심부를 스풀축(64)이 회전축심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하고 있다. 피니언 기어(62)의 내경과 스풀축(64)의 외경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확보되어 있다.
레벨 와인드 구동 기구(58)는 핸들(60)에 의하여 핸들축(60a)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선단에 스풀(53)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축(64)을 전후 방향으로 운동시키는 기구이다. 레벨 와인드 구동 기구(58)는 스풀축(64) 아래 가장 안쪽에 배치된 나선축(65)과, 나선축(65)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66)와, 나선축(65)의 하방에 배치된 가이드 축(67)과, 나선축(65)의 선단에 고정되고 피니언 기어(62)에 맞물리는 중간 기어 (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나선축(65)과 가이드 축(67)은 스풀축(64)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리어 드랙 기구(59)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상의 부시(68)와, 복수의 마찰 플레이트(69a, 70a)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마찰 계합부(69, 70)와, 제1 마찰 계합부(69)의 마찰 플레이트(69a) 압박용의 코일 스프링(71)과, 제2 마찰 플레이트(70a) 압박용의 압압 부재(72)로 구성되어 있다. 부시(68)는 스풀축(64) 후부의 외주에 끼워져 있다. 이 부시(68)에 대하여, 스풀축(64)은 회동 불가능 또한 접동(摺動, 접촉하여 미끄러져 움직이는) 가능하게 되어 있다. 부시(68) 후부의 외주면상에는 제1 플랜지부(73)가, 부시(68) 전부의 외주면상에는 제2 플랜지부(7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플랜지부(73, 74)에 제1 및 제2 마찰 계합부(69, 70)의 마찰 플레이트(69a, 70a)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1 마찰 계합부(69)의 후부에는 코일 스프링(71)이 장착되고, 제2 마찰 계합부(70)의 후부에는 압압 부재(72)가 배치되어 있다.
제동 조작 구조(56)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51)의 릴 보디(51a) 후부에 통상으로 설치된 장착통부(76)와, 제1 및 제2 나사 부재(78, 79)와, 제2 나사 부재(79)를 장착통부(76)에 유지하는 유지 부재(80)와, 제1 및 제 2 조작 부재(81, 82)를 구비하고 있다. 장착통부(76)는 릴 보디(51a)에 형성된 수나사부(77)와, 수나사부(77)와 일체로 형성되는 통상부(83)를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 나사 부재(78, 79)에는 장착통부(76)의 수나사부(77)에 나사로 감합 가능한 암나사부(84a, 84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통상부(83)는 제1 및 제2 나사 부재(78, 79)의 암나사부(84a, 84b)의 내경보다 대경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나사 부재(78, 79)는 축방향으로 반원통상(半圓筒狀)으로 분할되고, 제1 및 제2 맞댐부(85a, 86a (85b, 86b))가 양 나사 부재(78, 79)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나사 부재(78)는 수나사부(77) 후방측에서, 제2 나사 부재(79)는 수나사부(77) 전방측에서, 장착통부(76)에 나사로 감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및 제2 나사 부재(78, 79)의 제1 맞댐부(85a, 85b)에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88a, 88b)가 외주면상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 나사 부재(79)와 압압 부재(72)와의 사이에는, 제2 나사 부재(79)의 동작을 압압 부재(72)에 전달하기 위하여, 압압 부재(72)를 회전 불가능 또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계지하는 계지부(87)가 배치되어 있다.
제1 조작 부재(81)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원통상으로 형성되며, 통상부(83)를 수납 가능한 수납부(83a)를 가지고 있다. 수납부(83a)의 저부에는 압압부(9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조작 부재(81)는 장착통부(76)의 수나사부(77) 외주에 나사로 감합시킨 제1 나사 부재(78)에 장착시키고 있다. 이 때, 압압부(90)는 제1 마찰 계합부(69)의 후부에 장착된 코일 스프링(71)에 직렬로 연결된다.
제2 조작 부재(82)는 원통상으로 형성되며, 제2 나사 부재(79)를 회동 가능하게 조작하기 위한 직경 방향으로 돌출한 돌기부(91)를 가지고 있다. 제2 조작 부재(82)는 제1 조작 부재(81)의 전방에서, 제2 나사 부재(79)에 장착된 유지 부재(80)에 장착되어 있다.
제1 및 제2 조작 부재(81, 82)는 원통 내면에 형성된 오목부(92a)를 가지며, 이 오목부(92a)와 제1 및 제2 나사 부재(78, 79)의 돌출부(88a, 88b)가 감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오목부(92a)와 돌출부(88a, 88b)를 감합시킨 후, 오목부(92a)로부터 돌출부(88a, 88b)가 빠지지 않도록, 오목부(92a)의 저부 전부에는 규제부(9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규제부(93a)는 오목부(92a)의 저부로부터 제1 및 제2 나사 부재(78, 79)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한 돌기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리어 드랙 릴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릴 본체(51)로부터의 줄 방출시에는 베일 암(54)을 줄 개방측으로 넘어뜨린다. 그리고 낚싯대를 캐스팅 하면, 스풀(53)로부터 낚싯줄이 방출된다. 줄 감기시에는 베일 암(54)을 줄 감기측으로 되돌린다. 이 상태에서 핸들(60)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회전력이 핸들축(60a) 및 마스터 기어(61)를 통하여 피니언 기어(62)에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62)에 전달된 회전력은 피니언 기어(62)의 전부에서 로터(52)를 회전시킨다. 한편, 피니언 기어(62)에 전달된 회전력은 피니언 기어(62)에 맞물리는 중간 기어 (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나선축(65)을 회전시킨다. 이 때, 나선축(65)의 나선홈에 서로 맞물리는 슬라이더(66)가 가이드 축(67)에 안내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더(66)가 이동하면, 슬라이더 (66)와 함께 스풀축(64)과 스풀(53)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이러한 로터(52)의 회전과 스풀(53)의 전후 이동에 의하여, 베일 암(54) 및 라인 롤러(55)로부터 안내되는 낚싯줄은, 스풀(53)의 외주에 전후 방향으로 균일하게 감긴다.
리어 드랙 기구(59)는 제1 및 제2 조작 부재(81, 82)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풀(53)에 대한 드랙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릴 본체(51) 후부의 제1 조작 부재(81)를 조이면, 제1 조작 부재(81)와 일체로 형성된 압압부(90)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압압부(90)에 연결된 코일 스프링(71)이 밀어 넣어진다. 그러면, 제1 마찰 계합부(69)의 복수의 마찰 플레이트(69a)면이 서로 근접하고, 부시(68)의 제1 플랜지부(73)가 복수의 마찰 플레이트(69a)에 의하여 협지(挾持)된다. 이와 같이, 부시(68)의 제1 플랜지부(73)가 압압되는 것에 의하여, 부시(68)에 대하여 회동 불가능한 스풀축(64)도 회전하기 어려워져, 스풀(53)에 작용하는 드랙력은 강해진다. 한편, 제1 조작 부재(81)를 느슨하게 하면, 압압부(90)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코일 스프링(71)이 밀어 넣어진 상태가 서서히 해제된다. 그러면, 마찰 플레이트(69a)에 의한 제1 플랜지부(73)의 압압이 해제되고, 부시(68)에 대하여 회동 불가능한 스풀축(64)은 회전하기 쉬워져, 스풀(53)에 작용하는 드랙력은 약해진다.
제2 조작 부재(82)를 조이면, 제2 조작 부재(82)와 함께 제2 나사 부재(79)가 회전한다. 그러면, 제2 나사 부재(79)와 압압 부재(72)와의 사이에 배치된 계지부(87)를 통하여, 압압 부재(72)가 스풀축(64)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압압 부재(72)의 이동에 의하여, 제2 마찰 계합부(70)의 복수의 마찰 플레이트(70a)면이 서로 근접하고, 부시(68)의 제2 플랜지부(74)가 마찰 플레이트(70a)에 의하여 협지된다. 이와 같이 부시(68)의 제2 플랜지부(74)가 압압되는 것에 의하여, 부시(68)에 대하여 회동 불가능한 스풀축(64)도 회전하기 어려워져, 스풀(53)에 작용하는 드랙력은 강해진다. 한편, 제2 조작 부재(82)를 느슨하게 하면, 압압 부재(72)는 스풀축(64)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고, 제2 마찰 계합부(7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되돌려진다. 그러면, 마찰 플레이트(70a)에 의한 제2 플랜지부(74)의 압압이 해제되어, 부시(68)에 대하여 회동 불가능한 스풀축(64)은 회전하기 쉬워져, 스풀(53)에 작용하는 드랙력은 약해진다.
다음으로 제동 조작 구조(56)의 조립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동 조작 구조(56)를 조립할 때에는, 우선, 분할된 제2 나사 부재(79)를 장착통부(76)의 수나사부(77) 전방에 나사로 감합시켜 장착한다. 이어서, C형으로 형성된 스냅 링(snap ring) 부재를 제2 나사 부재(79)의 외주면에 장착하고, 제2 나사 부재(79)를 장착통부(76)에 고정한다. 그리고 원통상으로 형성된 제2 조작 부재(82)를 통상부(83)측으로부터 제2 나사 부재(79)를 향하여 끼우고, 제2 조작 부재(82)의 원통 내면에 형성된 오목부(92a)를 제2 나사 부재(79)의 제1 맞댐부(85b)에 설치된 돌출부(88b)에 맞추어 끼운다. 다음으로, 분할된 제1 나사 부재(78)를 장착통부(76)의 수나사부(77) 후방에 나사로 감합시켜 장착한다. 이어서, 바닥이 있는 원통상으로 형성된 제1 조작 부재(81)의 저부를 통상부(83)에 대향시켜, 제1 조작 부재(81)의 저부에 형성된 압압부(90)을 장착통부(76) 내부에 삽입하면서, 제1 조작 부재(81)의 원통부를 제1 나사 부재(78)에 끼운다. 그리고 제1 조작 부재(81)의 원통 내면에 형성된 오목부(92a)를 제1 나사 부재(78)에 설치된 돌 출부(88a)에 맞추어 끼운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실시예의 제동 조작 구조(56)에서는, 통상부(83)가 제1 및 제2 나사 부재(78, 79)의 암나사부(84a, 84b)의 나사산 내경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양 나사 부재(78, 79)는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통부(76)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양 나사 부재(78, 79)의 외형을 통상부(83)의 외형보다 크게 하여 두면, 제1 및 제2 조작 부재(81, 82)는 양 나사 부재(78, 79)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조작 부재(81, 82)나 제1 및 제2 나사 부재(78, 79)를 장착통부(76)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고 하여도, 양 조작 부재(81, 82)와 양 나사 부재(78, 79)가 장착통부(76)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고려하여 두는 것은, 리어 드랙 기구(59)가 분해하는 등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의미에서 중요하다. 본 실시예의 제동 조작 구조(56)에서는 양 나사 부재(78, 79)의 암나사부(84a, 84b)의 나사산 내경보다 대경으로 형성된 장착통부(76)의 통상부(83)에 의하여, 양 나사 부재(78, 79)는 장착통부(76)로부터 떨어지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또한 양 조작 부재(81, 82)의 오목부(92a)가 양 나사 부재(78, 79)의 돌출부(88a, 88b)에 끼워지는 것으로, 양 조작 부재(81, 82)는 양 나사 부재(78, 79)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 또한 축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으로부터, 양 나사 부재(78, 79)가 떨어지는 것만 규제하여 두면, 양 나사 부재(78, 79)에 장착된 양 조작 부재(81, 82)도 장착통부(76)로부터 떨어지는 일은 없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예의 제동 조작 구조(56)에서는 리어 드랙 기구(59)의 기능은 그대로이고, 조작 손잡이 (제1 및 제2 조작 부재(81, 82))를 장착통부(76)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제1 및 제2 조작 부재(81, 82)를 장착통부(76)에 대하여 안정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 볼트를 사용하는 일 없이, 제1 및 제2 조작 부재(81, 82)를 장착통부(76)에 대하여 발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기 좋게 제1 및 제2 조작 부재(81, 82)를 장착통부(76)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발지 부재를 사용하는 일 없이, 양 조작 손잡이가 장착통부(76)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동 조작 구조(6, 56)에 대하여, 리어 드랙 기구(9, 59)의 조작 손잡이로 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조작 손잡이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릴 본체(1, 51)의 기구를 조작하는 것이면, 어떠한 것에서도 무방하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동 조작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 제동 조작 구조에 있어서는, 제3 나사 부재(213)와, 유지 부재(214)와, 제3 조작 부재(215)가, 양베어링 릴의 캐스팅 컨트롤 기구의 조작 손잡이로 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양베어링 릴의 제동 조작 구조는, 릴 본체의 보디에 설치된 나사 끼움부(212)와, 제3 나사 부재(213)와, 유지 부재(214)와, 제3 조작 부재(215)를 구비하고 있다. 나사 끼움부(212)는 보디에 형성된 수나사부(216)와, 수나사부(216)에 일체로 형성되는 통상부(217)를 가지고 있다. 제3 나사 부재(213)에는 나사 끼움부(212)의 수나사부(216)에 나사로 감합 가능한 암나사부(218)가 설치되고, 이 암나사부 (218)의 내경보다 대경이 되도록, 통상부(217)는 형성되어 있다. 제3 조작 부재(215)의 원통 내주면상에는 오목부(292c)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292c)의 저부에는 규제부(293c)가 형성되어 있다. 이 규제부(293c)는 오목부(292c)의 저부로부터 제3 나사 부재(213)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한 돌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조작 부재(215)는 통상부(217)측으로부터 제3 나사 부재(213)의 돌출부(220)에 감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양베어링 릴의 캐스팅 컨트롤 기구의 조작 손잡에 있어서도, 나사 끼움부(212)의 수나사부(216)에 제3 나사 부재(213)를 분할하여 장착할 수 있고, 통상부(217)에 의하여 제3 나사 부재(213)가 떨어지는 것이 규제되기 때문에, 상기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b)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나사 부재에 발지용의 반으로 자른 환상 돌기를 설치하였지만, 장착통부에 환상 돌기를 설치하고, 나사 부재에 반으로 자른 발지홈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c)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제2 조작 부재를 갖지 않는 리어 드랙 릴을 예시하였지만, 제2 실시예와 같은 제2 조작 부재를 가지는 리어 드랙 릴이어도 무방하다.
제2 조작 부재를 가지는 스피닝 릴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핸들(1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101)와, 로터(102)와, 스풀(103)과, 제1 리어 드랙 손잡이(150, 제동 조작 구조의 일례) 및 제2 리어 드랙 손잡이(151)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101)의 릴 보디(101a)의 후부에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으로 돌출하는 장착통부(152)가 통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장착통부(152)를 관통하도록 커버 부재(101c)가 장착되어 있다. 장착통부(152)에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부 내주면에 암나사부(152a)와, 중앙부 외주면에 제3 수나사부(152e)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3 수나사부(152e)의 후방에는 환상의 발지홈(152c)이 형성되어 있다.
핸들(110)은, 도 15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축(110a, 도 10)의 선단에 장착되는 핸들 암(110b)과, 핸들 암(110b)의 선단에 핸들 암(110b)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일체 성형된 장착부(110c)와, 장착부(110c)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손잡이(110d)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 암(110b) 및 장착부(110c)는 아연 합금을 다이캐스트 성형하여 일체로 얻어진 것이다.
장착부(110c)는 다이캐스트의 금형을 뽑기 위하여 뽑는 방향 (도 15에서는 우측 방향)을 향하여 소경으로 되는 테이퍼(taper)부(110e)와, 테이퍼부(110e)의 기단부에 대경으로 되도록 형성된 원기둥상의 제1 지지부(110f)와, 테이퍼부(110e)의 선단부에 소경으로 되도록 형성된 원기둥상의 제2 지지부(110g)를 가지고 있다. 덧붙여 제1 지지부(110f) 및 제2 지지부(110g)의 축방향 길이는, 테이퍼부(110e)의 축방향 길이에 비하여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때문에 다이캐스트의 금형이 빠지기 어렵게 되는 일은 없다.
핸들 손잡이(110d)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로 형성되고 중앙부가 패인 북상의 부재이다. 핸들 손잡이(110d)는 선단부 내주가 제1 지지부(110f)에 지지되는 제1 원통부(110h)와, 제1 원통부(110h)보다 소경으로 형성되고 내주가 제2 지지부(110g)에 지지되는 제2 원통부(110i)와, 제2 원통부(110i)보다 소경으로 형성되고 제2 지지부(110g)의 선단에 나사 고정하기 위한 나사 부재(110j)가 장착되는 관통공(110k)과, 관통공(110k)보다 대경으로 형성되고 나사 부재(110j)의 머리부가 수납되는 수납 오목부(110l)를 가지고 있다. 덧붙여 나사 부재(110j)의 머리부와 핸들 손잡이(110d)와의 사이에는, 조그마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이 때문에 핸들 손잡이(110d)가 장착부(110c)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종래의 핸들은 장착부에 테이퍼부만 설치하고, 핸들 손잡이의 내주부를 테이퍼상으로 형성하여 테이퍼면에서 지지하고 있었지만, 이 경우에는, 장착부와 핸들 손잡이와의 테이퍼 맞춤이 매우 곤란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본건에서 기재한 핸들(110)은 핸들 손잡이(110d)의 제1 원통부(110h) 및 제2 원통부(110i)가 장착부(110c)의 제1 지지부(110f) 및 제2 지지부(110g)의 원통 부분에 각각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테이퍼 맞춤을 실시할 필요가 없고, 이 때문에 핸들 손잡이(110d)의 지지 구조가 용이하게 된다.
제1 리어 드랙 손잡이(150)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손잡이(156)와, 나사 부재(155)를 가지고 있다. 조작 손잡이(156)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이며, 장착통부(152)를 수납 가능하게 후단이 약간 직경이 작아지는 바닥이 있는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회동 조작에 의하여 스풀(103)의 제동력을 조절 가능한 것이다. 조작 손잡이(156)의 내주면의 선단측에는 암나사부(156a)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 손잡이(156)의 저면에는 제1 압압 부재(122)를 향하여 돌출하는 계합 오 목부(156e)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조작 손잡이(156)를 회동시키면, 암나사부(152a)에 나사로 감합하는 제1 압압 부재(122)가 회동하여 전후로 이동하여, 드랙력을 증감시킨다.
나사 부재(155)는 테두리붙이 통상 부재를 직경상에서 이분할한 반으로 자른 테두리붙이 원통형상의 제1 및 제2 분할 부재(155a, 155b)를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 분할 부재(155a, 155b)의 외주면에는 선단부에 조작 손잡이(156)에 접촉하는 대경의 테두리부(155c, 155d)가, 중간부에 조작 손잡이(156)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56a)에 나사로 감합 가능한 수나사부(155e, 155f)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 외의 나사 부재(155)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같다.
제2 리어 드랙 손잡이(151)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통부(152)에 관통하여 장착되며, 릴 보디(101a)의 후부에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2 리어 드랙 손잡이(151)는 레버 부재(190)와, 레버 부재(190)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통상 부재(195)를 가지고 있다. 통상 부재(195)가 제3 수나사부(152e)에 나사로 감합한다.
릴 보디(101a)의 후부는 장착통부(152)의 전부측의 릴 보디(101a)의 후부 외주면에 일체 성형되고 상하 방향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 계지 돌기(153)를 가지고 있다. 계지 돌기(153)는 장착통부(152)의 상측의 외주면에 일체 성형된 제1 계지 돌기(153a)와, 장착통부(152)의 하측의 외주면에 일체 성형된 제2 계지 돌기(153b)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2 리어 드랙 손잡이(151)의 측부 우측 내주부에는, 계지 돌기(153)의 제1 계지 돌기(153a) 및 제2 계지 돌기(153b)에 접촉하여 제2 리 어 드랙 손잡이(151)의 요동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단일의 회전 규제부(154)가 내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제2 리어 드랙 손잡이(151)를 시계 회전으로 요동시켰을 때,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리어 드랙 손잡이(151)의 회전 규제부(154)가 장착통부(152)의 하측의 제2 계지 돌기(153b)에 접촉하고, 제2 리어 드랙 손잡이(151)의 회전을 규제하고 있다. 또한 제2 리어 드랙 손잡이(151)를 반시계 회전으로 요동시켰을 때,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리어 드랙 손잡이(151)의 회전 규제부(154)가 장착통부(152)의 상측의 제1 계지 돌기(153a)에 접촉하고, 제2 리어 드랙 손잡이(151)의 회전을 규제하고 있다. 즉, 제2 리어 드랙 손잡이(151)는 제1 계지 돌기(153a) 및 제2 계지 돌기(153b)의 사이에 있어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 요동 각도는 예를 들어 100도 이상 150도 이하의 범위이며, 구체적으로는 120도이다. 또한 제1 계지 돌기(153a) 및 제2 계지 돌기(153b)는 회전 규제부(154)와의 접촉면이 회전 규제부(154)에 수직으로 접촉하도록 우측으로 경사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피닝 릴에서는, 제2 리어 드랙 손잡이(151)의 내주부에 회전 규제부(154)가 설치되고, 장착통부(152)의 외주부의 상하 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는 제1 계지 돌기(153a) 및 제2 계지 돌기(153b)가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 규제부(154)를 제1 계지 돌기(153a) 및 제2 계지 돌기(153b)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2 리어 드랙 손잡이(151)의 요동 범위를 규제하고 있다. 여기서는, 장착통부(152)의 외주부의 상하 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는 제1 계지 돌기(153a) 및 제2 계지 돌기(153b)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장착통부(152)의 좌우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 부를 가지는 회전 고정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릴 보디(101a)의 후부의 좌우의 폭을 작게 하면서, 제2 리어 드랙 손잡이(151)의 요동 범위를 규제할 수 있다.
(d)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조작 부재(81)를 오목부(92a)와 규제부(93a)에 의하여 제1 나사 부재(78)에 고정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제1 조작 부재(81)를 고정하는 방법은 상기 제2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조작 부재(81)는 제1 나사 부재(78)에 압입(壓入)하거나 접착하거나 하여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2 및 제3 조작 부재(82, 215)에서는 제2 및 제3 나사 부재(79, 213)를 유지 부재(80, 214)로 탄성 계지한 후, 제2 및 제3 조작 부재(82, 215)를 오목부(92b, 292c)와 규제부(93b, 293c)에 의하여 제2 및 제3 나사 부재(79, 213)에 고정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 경우도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지 부재(80, 214)를 제2 및 제3 나사 부재(79, 213)에, 제2 및 제3 조작 부재(82, 215)를 유지 부재(80, 214)에, 압입하거나 접착하거나 하여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e)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규제부(93a, 93b, 293c)의 돌기에 의하여, 제1 내지 제3 조작 부재(81, 82, 215)가 제1 내지 제3 나사 부재(78, 79, 213)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규제부(93a, 93b, 293c)의 형상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f)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관통장공(23)은 장착통부(1c)의 후단측의 좌우 두 곳에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장착통부(1c)의 후단측의 상하 두 곳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관통장공(23)은 장착통부(1c)의 내부에 장착 가능하면, 1개 또는 2개 이상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관통장공(23)은 대략 T자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대략 장방형이나 대략 타원형이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나사 부재가 장착부의 외주와 조작 손잡이의 내주와의 사이에서 장착부와 조작 손잡이에 계합하여, 조작 손잡이를 장착부의 돌출 방향으로 발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 손잡이를 회동 조작하는 것으로, 스풀의 제동력이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조작 손잡이가 장착부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과 함께, 조작 손잡이를 장착부에 대하여 안정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작 손잡이를 발지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하면, 고정 볼트와 같은 고정 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기 좋게 조작 손잡이를 장착부에 장착할 수 있다.

Claims (11)

  1. 낚시용 릴의 릴 본체에 장착되고, 회동(回動) 조작에 의하여 스풀의 제동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동 조작 구조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에 원통상(圓筒狀)으로 돌출하여 설치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를 수납 가능하게 바닥이 있는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동 조작에 의하여 상기 스풀의 제동력을 조절 가능한 조작 손잡이와,
    외주(外周) 또는 내주(內周)에 나사부를 가지고,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부터 상기 장착부에 장착 가능하게 분할되며, 상기 장착부의 외주와 상기 조작 손잡이의 내주와의 사이에서 상기 장착부와 상기 조작 손잡이에 계합하여 상기 조작 손잡이를 상기 장착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장착부의 돌출 방향으로 발지(拔止) 가능하게 하는 나사 부재
    를 구비하는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외주에는 환상(環狀)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 부재의 내주에는 상기 환상 홈에 감합(嵌合) 가능한 제1 발지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부재의 외주에는 상기 나사부로서의 제1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작 손잡이의 내주에는 상기 조작 손잡이를 상기 나사 부재에 연결하기 위하여 제1 암나사부가 상기 제1 수나사부에 나사로 감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부재의 외주에는, 일단부에 있어서 테두리부가 직경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테두리부의 외경이 상기 제1 수나사부의 외형보다 대경(大徑)으로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내주에는 제2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작 손잡이에는 상기 조작 손잡이의 저부(底部)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제2 암나사부에 나사로 감합 가능한 제2 수나사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회동 조작에 의하여 상기 장착부의 내주부에 있어서 회전하면서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풀의 제동력을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외주에는 선단(先端)측에서 직경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된 제2 발지 돌출부와, 기단(基端)측에서 내경이 상기 제2 발지 돌출부의 외주보다 소경(小徑)으로 형성된 제3 수나사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나사 부재의 내주에는 상기 제3 수나사부에 나사로 감합 가능한 상기 나사부로서의 제3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손잡이의 내주에는 개구측으로부터 저부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 부재의 외주에는 상기 조작 손잡이와 상기 나사 부재와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기 위하여 돌출부가 상기 홈부에 감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저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장착부의 돌출 방향 역측으로 상기 홈부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측에 있어서 톱니 멈춤쇠부가 상기 저부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손잡이의 저부에는 조정부가 상기 저부로부터 개구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회동 조작에 의하여 상기 장착부의 내주부에 있어서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풀의 제동력을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스피닝 릴의 상기 릴 본체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스풀축을 제동하는 리어 드랙 기구를 내주부에 수납하고 있고,
    상기 조작 손잡이는 상기 리어 드랙 기구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 손잡이인,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양베어링 릴의 상기 릴 본체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스풀축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축 부재를 내주부에 수납하고 있고,
    상기 조작 손잡이는 상기 축 부재를 제동하는 캐스팅 컨트롤 기구의 조작 손잡이인,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
KR1020050040717A 2004-05-20 2005-05-16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 KR1011886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50084A JP4381885B2 (ja) 2004-05-20 2004-05-20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の制動操作構造
JPJP-P-2004-00150084 2004-05-20
JPJP-P-2004-00171290 2004-06-09
JPJP-P-2004-00171293 2004-06-09
JP2004171290A JP4403019B2 (ja) 2004-06-09 2004-06-09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アドラグ取付構造
JP2004171293A JP4517127B2 (ja) 2004-06-09 2004-06-09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アドラグ操作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946A true KR20060047946A (ko) 2006-05-18
KR101188627B1 KR101188627B1 (ko) 2012-10-08

Family

ID=34941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717A KR101188627B1 (ko) 2004-05-20 2005-05-16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98218B2 (ko)
EP (1) EP1597966B1 (ko)
KR (1) KR101188627B1 (ko)
AT (1) ATE344619T1 (ko)
DE (1) DE602005000238T2 (ko)
MY (1) MY134922A (ko)
SG (1) SG117579A1 (ko)
TW (1) TWI33101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981B1 (ko) * 2006-05-26 2014-05-14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스피닝 릴의 드래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4106B (zh) * 2013-12-30 2015-09-16 宁波羚祐渔具有限公司 一种安装有快速泄力调整器的垂钓卷线器
US10426151B2 (en) * 2017-04-18 2019-10-01 Pure Fishing, Inc. Drag adjustment assembly for a star drag reel
KR102474110B1 (ko) * 2020-07-01 2022-12-06 주식회사 코커스 비돌출식 메커니컬 브레이크를 구비한 베이트 캐스팅 릴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8879A (en) * 1980-05-09 1986-07-08 Matsuo Kogyo Co., Ltd. Drag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JPS60168375U (ja) 1984-04-18 1985-11-0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ル
JPS62210937A (ja) * 1986-03-13 1987-09-1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のドラグ装置
US4804150A (en) * 1986-07-30 1989-02-14 Daiwa Seiko, Inc.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rag-force of a fishing reel
US5149009A (en) * 1988-10-31 1992-09-22 Shimano Industrial Co., Ltd. Fishing reel
US4988057A (en) * 1989-02-10 1991-01-29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Drag device for a spinning reel
JP2557651Y2 (ja) * 1990-11-07 1997-12-10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ドラグ構造
JP3198234B2 (ja) * 1995-07-21 2001-08-1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3505359B2 (ja) * 1997-07-31 2004-03-0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US6029922A (en) * 1998-12-08 2000-02-29 Brunswick Corporation Retainer element for a securing element used to maintain a crank handle on a fishing reel
KR100320403B1 (ko) * 1999-09-02 2002-01-12 현광호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의 브레이크 컨트롤노브의 소리발생
KR100334622B1 (ko) * 1999-09-02 2002-05-03 현광호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의 핸들 착탈구조
JP3454211B2 (ja) * 1999-11-30 2003-10-06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家具用脚装置
JP3879814B2 (ja) * 2001-03-28 2007-02-14 株式会社イトーキ 机用の照明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学習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981B1 (ko) * 2006-05-26 2014-05-14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스피닝 릴의 드래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05778A (en) 2006-02-16
TWI331014B (en) 2010-10-01
KR101188627B1 (ko) 2012-10-08
DE602005000238T2 (de) 2007-05-24
ATE344619T1 (de) 2006-11-15
EP1597966A1 (en) 2005-11-23
EP1597966B1 (en) 2006-11-08
US20050279872A1 (en) 2005-12-22
US7198218B2 (en) 2007-04-03
SG117579A1 (en) 2005-12-29
MY134922A (en) 2008-01-31
DE602005000238D1 (de) 200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4725B2 (en) Reverse prevention mechanism for lever drag reel
KR101614817B1 (ko) 듀얼 베어링 릴
KR101759072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연결 구조
TWI504346B (zh) 雙軸承捲線器的變速操作機構
KR101389000B1 (ko) 양 베어링 릴의 캐스트 컨트롤 기구
JP5258688B2 (ja) 両軸受リールの発音装置
TW201300015A (zh) 雙軸承捲線器的牽引機構
EP1329156A2 (en) Component assembly for fishing reel
EP1500330B1 (en) Dual-bearing reel
KR101188627B1 (ko)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
JP518475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装置
US7077351B2 (en) Dual-bearing reel
KR20090066208A (ko)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및 핸들 조립체
US6957788B2 (en) Sound generating mechanism for a fishing reel
US7165736B2 (en) Rear drag operation structure for a spinning reel
KR20040107370A (ko)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JP4381885B2 (ja)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の制動操作構造
KR20040081329A (ko)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US6409112B1 (en) Dual-bearing reel having control knob for adjusting braking force
KR100987100B1 (ko)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
JP440301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アドラグ取付構造
JP4384890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調整つまみ
JP4272489B2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2034400A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496321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