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4736B1 -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24736B1 KR102624736B1 KR1020210021781A KR20210021781A KR102624736B1 KR 102624736 B1 KR102624736 B1 KR 102624736B1 KR 1020210021781 A KR1020210021781 A KR 1020210021781A KR 20210021781 A KR20210021781 A KR 20210021781A KR 102624736 B1 KR102624736 B1 KR 1026247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larm
- hearing
- visually impaired
- electrical
- impaired
- Prior art date
Links
- 208000032041 Hearing impaired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10002091 carb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30 cognitive 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6354 hearing los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9257 visio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93 visual impair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설비에서 발생하는 전기재해 위험요소를 감지하여 시청각장애인에게 직접 경보를 알리고, 전기재해의 위험요소 및 정전으로 인한 불편사항을 신속히 제거하기 위해 제3자에게 유선통신을 통해 안내하는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방법은 전기설비에서 누전, 단락, 과전류 중 어느 하나가 발생시 누전차단기 2차측의 전원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전기설비의 이상 발생 또는 화재 발생시 시각장애인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직접 경보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직접 경보 알림과 동시에 무선통신을 통해 시청각장애인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경보문구 표시 또는 경보음성이 재생되어 간접 경보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설비에서 발생하는 전기재해 위험요소를 감지하여 시청각장애인에게 직접 경보를 알리고, 전기재해의 위험요소 및 정전으로 인한 불편사항을 신속히 제거하기 위해 제3자에게 유선통신을 통해 안내하는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모든 전기설비는 일반인들의 정상적인 시청각 인지능력을 기준으로 제작 및 설치되고 있으며, 누전차단기 동작이 발생했을 때 시각장애인 또는 청각장애인이 인지 및 대처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시각장애인 또는 청각장애인이 누전차단기 동작 시 분전반 위치를 알 수 없거나 대처하는 방법을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이나 절차는 국내외에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 또는 청각장애인이 전기재해 위험을 인지 및 대처하거나 또는 정전으로 인한 불편사항을 신속히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단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누전차단기의 동작을 감지하여 시청각장애인에게 직접 경보 알림을 제공하고, 제3자에게 간접으로 경보를 제공하여 전기재해 위험요소를 신속히 제거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청각장애인이 사용하는 전기설비에서 발생하는 전기재해를 예방하여 사회 소외계층의 전기안전 사각지대를 해소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주지의 전기설비에 대해 불안감을 가지거나 전기안전과 관련된 고충 발생시 문제해결 방법을 찾고자 하는 일반인의 전기설비에 적용하여 일반용 정기점검 및 일반용 안전진단 분야에 활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방법은 전기설비에서 누전, 단락, 과전류 중 어느 하나가 발생시 누전차단기 2차측의 전원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전기설비의 이상 발생 또는 화재 발생시 시각장애인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직접 경보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직접 경보 알림과 동시에 무선통신을 통해 시청각장애인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경보문구 표시 또는 경보음성이 재생되어 간접 경보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호자 또는 미리 설정된 콜센터에 경보 내용을 전송하는 단계와, 시청각장애인과, 보호자 또는 장애인 콜센터와, 전기안전 콜센터가 유무선 통신연결을 통해 전기설비 위험요소를 파악하는 단계와, 위험요소를 파악 후 상기 전기안전 콜센터가 긴급출동고충처리 출동하여 전기재해 위험요소를 제거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누전차단기 2차측의 전원을 감지하는 단계 이후에 화재 감지부가 가스누설 감지, 연기 감지 또는 열 감지를 통해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각장애인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직접 경보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는 경보장치의 본체 전면부 경보알림판을 통해 경고문구 또는 불빛이 점등되어 청각장애인에게 직접 경보 신호 및 조치 방법을 안내하는 단계와, 상기 경보장치 내부의 부저에서 경보음이 발생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직접 경보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설비 위험요소를 파악하는 단계는 청각장애인과, 보호자 또는 장애인 콜센터와, 상기 전기안전 콜센터가 3자 유무선 통신연결을 통해 전기설비 위험요소를 파악하는 단계와, 시각장애인과, 보호자 또는 상기 전기안전 콜센터가 직접 유무선 통신연결을 통해 전기설비 위험요소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장치는 전원 감지부, 화재 감지부, 경보 알림부, 제어부, 통신부 및 경보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감지부는 전기설비에서 누전, 단락, 과전류 중 어느 하나가 발생시 누전차단기 2차측의 전원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경보 알림부는 전기설비의 이상발생 또는 화재 발생시 시각장애인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경보음 또는 경보신호를 통해 경보 알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경보 알림부를 제어하여 경보를 발생함과 동시에 통신부를 제어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시각장애인 또는 청각장애인의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경보 문구를 표시하거나 경보 음성을 재생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보 알림부는 본체 전면부 경보알림판에 비상등 또는 경보등의 불빛이 점등되어 청각장애인에게 시각적인 경보 알림을 제공하는 시각경보 알림모듈과, 본체 내부의 부저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청각적인 경보 알림을 제공하는 청각경보 알림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가스누설 감지, 연기 감지 또는 열 감지를 통해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재 감지부는 화재발생시 일산화탄소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일산화탄소 감지센서와, 화재발생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센서와, 화재발생시 열을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방법 및 장치는 시청각장애인이 전기재해의 위험을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으며, 정전으로 인한 불편사항을 신속히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누전차단기의 동작을 감지하여 시청각장애인에게 직접 경보 알림을 제공하고, 제3자에게 유무선통신을 통한 간접으로 경보를 제공하여 전기재해 위험요소를 신속히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청각장애인이 사용하는 전기설비에서 발생하는 전기재해를 예방하여 사회 소외계층의 전기안전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주지의 전기설비에 대해 불안감을 가지거나 전기안전과 관련된 고충 발생시 문제해결 방법을 찾고자 하는 일반인의 전기설비에 적용하여 일반용 정기점검 및 일반용 안전진단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청각장애인의 전기재해 위험과 정전으로 인한 불편사항을 조기에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장치(10)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장치(10)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장치(10)는 누전차단기(21) 동작시 전원차단을 감지하고, 경보 장치(10)의 본체(11) 전면부에서 불빛, 음성 등의 시청각효과를 통해 경보를 표시하여 시청각장애인에게 직접 경보 알림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접 경보 알림의 수행과 동시에 근거리 통신기술과 휴대용 단말기(40)의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하여 시청각효과를 통한 경보메시지와 음성 등의 경보 알림을 휴대용 단말기(40)의 화면과 스피커를 이용하여 출력함으로써 간접 경보 알림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휴대용 단말기(40)에는 스마트폰과 테블릿 P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청각장애인의 스마트폰(40)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보호자 또는 장애인 콜센터 또는 전기안전공사 콜센터에 유무선통신으로 연결함으로써 전기재해 위험요소와 정전으로 인한 불편사항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설비(20)에 연결된다. 또한, 전기설비(20)에는 누전차단기(21)와, 분전반에서 분기되는 상시전원을 정류하여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SMPS(22)는 계통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 후, 다른 부하 설비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직류 전원 공급장치를 나타낸다. 즉, SMPS(22)는 스위칭 동작을 이용하여 전류나 전압의 특성을 변환한 후 다른 전자기기에 변환된 직류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SMPS(22)는 스위치 소자를 이용하여 공급받는 전류나 전압을 일정하게 분할하고, 분할된 전압원(스위칭 주파수)의 공급 시간을 제어하여 DC 전압을 조절한다. 즉, SMPS(22)는 스위칭 주파수를 공급하는 SMPS(22)의 온(ON) 시간이 길면 공급되는 DC 전압이 높아지고, SMPS(22)의 온(ON) 시간이 짧으면 출력되는 DC 전압이 낮아지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배터리(30)는 SMPS(22)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전원을 충전하고, 전기설비(20)의 이상발생시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장치(1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장치(10)는 전원 감지부(100), 화재 감지부(200), 경보 알림부(300), 제어부(400), 통신부(500) 및 경보 저장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감지부(100)는 전기설비(20)에서 누전, 단락, 과전류 중 어느 하나가 발생시 누전차단기(21) 2차측의 전원차단을 감지한다. 즉, 전원 감지부(100)는 누전, 단락, 과전류 중 어느 하나로 인해 누전차단기(21)가 동작하여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누전차단기(21) 2차측의 전원을 측정하여 전기설비(20)의 이상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또한, 화재 감지부(200)는 가스누설 감지, 연기 감지 또는 열 감지를 통해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즉, 화재 감지부(200)는 화재발생시 일산화탄소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일산화탄소 감지센서(210)와, 화재발생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센서(220)와, 화재발생시 열을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230)를 포함한다.
경보 알림부(300)는 전기설비(20)의 이상발생 또는 화재 발생시 시청각장애인에게 경보음 또는 경보신호를 통해 경보 알림을 제공한다. 즉, 경보 알림부(300)는 경보 장치(10)의 본체(11) 전면부 경보알림판에 비상등 또는 경보등과 같은 불빛이 점등되어 청각장애인에게 시각적인 경보 알림을 제공하는 시각경보 알림모듈(310)과, 경보 장치(10) 내부의 부저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청각적인 경보 알림을 제공하는 청각경보 알림모듈(320)을 포함한다.
또한, 경보 알림부(300)는 전기설비(20)의 이상발생 또는 화재 발생의 여부에 따라 미리 대응되도록 설정된 자극적인 향을 이용하여 경보 알림을 제공하는 후각경보 알림모듈(330)과, 미리 설정된 진동 주기를 이용하여 전기설비(20)의 이상발생 또는 화재 발생의 경보 알림을 제공하는 진동경보 알림모듈(340)을 포함한다.
제어부(400)는 전원 감지부(100), 화재 감지부(200), 경보 알림부(300) 및 통신부(50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경보 알림부(300)를 제어하여 경보를 발생함과 동시에 통신부(500)를 제어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시각장애인 또는 청각장애인(이하, 시청각장애인)의 휴대용 단말기(4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경보 문구를 표시하거나 경보 음성을 재생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시각장애인 또는 청각장애인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보호자 또는 장애인 콜센터 또는 전기안전 콜센터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전기안전 콜센터는 전기안전공사의 긴급출동고충처리 콜센터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청각장애인과 보호자 또는 장애인콜센터 또는 전기안전공사의 긴급출동고충처리 콜센터가 3자 통신연결을 통해 전기설비(20)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긴급출동고충처리 콜센터가 출동하여 전기재해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경보 저장부(600)는 시각장애인 또는 청각장애인의 장애인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되는 경보 신호를 저장한다. 즉, 경보 저장부(600)는 전기설비(20)의 이상발생 또는 화재 발생의 상황에 따라 미리 설정되는 경보음, 경보 문구 또는 경보등 신호를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장치(10)는 경보수단 변환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보수단 변환부(700)는 시각장애인 또는 청각장애인의 장애인 정보에 따라 전기설비(20)의 이상발생 또는 화재 발생시 경보 신호를 대응되는 경보음 또는 경보 문구 및 경보등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시각장애인의 경우에는 경보 저장부(600)에 저장된 경보 신호 또는 통신부(500)를 통해 수신된 경보 신호를 청각적인 음성 경보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또한, 청각장애인의 경우에는 경보 저장부(600)에 저장된 경보 신호 또는 통신부(500)를 통해 수신된 경보 신호를 시각적인 문자 경보 또는 경보등 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장치(10)는 시청각장애인의 전기재해 위험과 정전으로 인한 불편사항을 조기에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청각장애인에 대한 누전차단기(21)의 동작상태 경보 알림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연계를 통해 사회 소외 계층 전기안전 사각지대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아크차단기 등의 전기설비(20)와, 일산화탄소 감지센서(210), 연기 감지센서(220) 및 온도 감지센서(230) 등을 연계하여 전기 분야뿐만 아니라 소방, 가스 등을 포함한 안전관리 전반에서 시청각장애인의 재해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방법은 전기설비(20)에서 누전, 단락, 과전류 중 어느 하나가 발생시 전원 감지부(100)가 누전차단기(21) 2차측의 전원을 감지하는 단계(S10)와, 전기설비(20)의 이상 발생 또는 화재 발생시 경보 알림부(300)를 통해 시각장애인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직접 경보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S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누전차단기(21) 2차측의 전원을 감지하는 단계(S10) 이후에 화재 감지부(200)가 가스누설 감지, 연기 감지 또는 열 감지를 통해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11)와, 경보수단 변환부(700)가 시각장애인 또는 청각장애인의 장애인 상태 정보에 따라 전기설비(20)의 이상발생 또는 화재 발생시 경보 신호를 대응되는 경보음 또는 경보 문구 및 경보등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S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11)는 일산화탄소 감지센서(210)를 이용하여 화재발생시 일산화탄소 발생 여부를 감지하거나, 연기 감지센서(220)를 이용하여 화재발생시 연기를 감지하거나, 온도 감지센서(230)를 이용하여 화재발생시 열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경보 신호를 대응되는 경보음 또는 경보 문구 및 경보등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S12)는 시각장애인의 경우에는 경보 저장부(600)에 저장된 경보 신호 또는 통신부(500)를 통해 수신된 경보 신호를 청각적인 음성 경보로 변환하여 제공하고, 청각장애인의 경우에는 경보 저장부(600)에 저장된 경보 신호 또는 통신부(500)를 통해 수신된 경보 신호를 시각적인 문자 경보 또는 경보등 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시각장애인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직접 경보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S20)는 경보장치(10)의 본체(11) 전면부 경보알림판을 통해 경고문구 또는 불빛이 점등되어 청각장애인에게 직접 경보 신호 및 조치 방법을 안내하는 단계(S21)와, 경보장치(10) 내부의 부저에서 경보음이 발생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직접 경보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S2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보 알림부(300)를 통한 직접 경보 알림과 동시에 무선통신을 통해 시청각장애인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경보문구 표시 또는 경보음성이 재생되어 간접 경보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S30)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호자 또는 미리 설정된 콜센터에 경보 내용을 전송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콜센터에 경보 내용을 전송하는 단계(S4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호자 또는 장애인 콜센터 또는 전기안전 콜센터에 연결하여 경보 내용을 전송한다. 여기에서, 상기 전기안전 콜센터는 한국전기안전공사의 긴급출동고충처리 콜센터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청각장애인과, 보호자 또는 장애인 콜센터와, 전기안전 콜센터가 유무선 통신연결을 통해 전기설비 위험요소를 파악하는 단계(S50)와, 위험요소를 파악 후 상기 전기안전 콜센터가 긴급출동고충처리 출동하여 전기재해 위험요소를 제거하도록 요청하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전기설비 위험요소를 파악하는 단계(S50)는 청각장애인과, 보호자 또는 장애인 콜센터와, 상기 전기안전 콜센터가 3자 유무선 통신연결을 통해 전기설비 위험요소를 파악하는 단계(S51)와, 시각장애인과, 보호자 또는 상기 전기안전 콜센터가 직접 유무선 통신연결을 통해 전기설비 위험요소를 파악하는 단계(S5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장치(10) 및 방법은 시청각장애인과 같은 사회소외계층의 전기안전 사각지대 해소뿐만 아니라, 고령자 및 독거노인 같은 취약계층과 노후시설에 거주하는 일반인 대상의 안전경보 알림을 통해 전기재해 예방활동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 :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장치
11 : 본체 20 : 전기설비
21 : 누전차단기 22 : SMPS
30 : 배터리 40 : 휴대용 단말기
100 : 전원 감지부 200 : 화재 감지부
210 : 일산화탄소 감지센서 220 : 연기 감지센서
230 : 온도 감지센서 300 : 경보 알림부
310 : 시각경보 알림모듈 320 : 청각경보 알림모듈
330 : 후각경보 알림모듈 340 : 진동경보 알림모듈
400 : 제어부 500 : 통신부
600 : 경보 저장부 700 : 경보수단 변환부
11 : 본체 20 : 전기설비
21 : 누전차단기 22 : SMPS
30 : 배터리 40 : 휴대용 단말기
100 : 전원 감지부 200 : 화재 감지부
210 : 일산화탄소 감지센서 220 : 연기 감지센서
230 : 온도 감지센서 300 : 경보 알림부
310 : 시각경보 알림모듈 320 : 청각경보 알림모듈
330 : 후각경보 알림모듈 340 : 진동경보 알림모듈
400 : 제어부 500 : 통신부
600 : 경보 저장부 700 : 경보수단 변환부
Claims (8)
-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설비에서 발생하는 전기재해 위험요소를 감지하고 시청각장애인에게 경보 알림을 제공하는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방법에 있어서,
전기설비에서 누전, 단락, 과전류 중 어느 하나가 발생시 누전차단기 2차측의 전원을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전기설비의 이상 발생 또는 화재 발생시 시각장애인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직접 경보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S20);
상기 직접 경보 알림과 동시에 무선통신을 통해 시청각장애인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경보문구 표시 또는 경보음성이 재생되어 간접 경보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S30); 및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호자 또는 미리 설정된 콜센터에 경보 내용을 전송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되,
상기 S20단계에서, 시각장애인 또는 청각장애인의 장애인 정보에 따라 시각장애인과 청각장애인을 구분하여 전기설비(20)의 이상발생 또는 화재 발생시 경보 신호를 대응되는 경보음 또는 경보 문구 및 경보등 신호로 변환하는 경보수단 변환단계를 더 포함하여, 전기설비(20)의 이상발생 또는 화재 발생의 여부에 따라 미리 대응되도록 설정된 향을 통해 경보알림을 제공하고, 미리 설정된 진동 주기를 이용하여 전기설비(20)의 이상발생 또는 화재 발생의 경보 알림을 제공하며,
상기 S40단계에서 시각장애인 또는 청각장애인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보호자 또는 장애인 콜센터 또는 전기안전 콜센터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전차단기 2차측의 전원을 감지하는 단계(S10) 이후에
화재 감지부가 가스누설 감지, 연기 감지 또는 열 감지를 통해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장애인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직접 경보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S20)는 경보장치의 본체 전면부 경보알림판을 통해 경고문구 또는 불빛이 점등되어 청각장애인에게 직접 경보 신호 및 조치 방법을 안내하는 단계(S21)와,
상기 경보장치 내부의 부저에서 경보음이 발생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직접 경보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S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센터에 경보 내용을 전송하는 단계(S40) 이후에
시청각장애인과, 보호자 또는 장애인 콜센터와, 전기안전 콜센터가 유무선 통신연결을 통해 전기설비 위험요소를 파악하는 단계(S50)와,
위험요소를 파악 후 상기 전기안전 콜센터가 긴급출동고충처리 출동하여 전기재해 위험요소를 제거하도록 요청하는 단계(S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설비 위험요소를 파악하는 단계(S50)는 청각장애인과, 보호자 또는 장애인 콜센터와, 상기 전기안전 콜센터가 3자 유무선 통신연결을 통해 전기설비 위험요소를 파악하는 단계(S51)와,
시각장애인과, 보호자 또는 상기 전기안전 콜센터가 직접 유무선 통신연결을 통해 전기설비 위험요소를 파악하는 단계(S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방법.
- 전기설비에서 누전, 단락, 과전류 중 어느 하나가 발생시 누전차단기 2차측의 전원을 감지하는 전원 감지부;
상기 전기설비의 이상발생 또는 화재 발생시 시각장애인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경보음 또는 경보신호를 통해 경보 알림을 제공하는 경보 알림부; 및
상기 경보 알림부를 제어하여 경보를 발생함과 동시에 통신부를 제어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시각장애인 또는 청각장애인의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경보 문구를 표시하거나 경보 음성을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장애인 정보에 따라 시각장애인와 청각장애인을 구분하여 전기설비의 이상발생 또는 화재 발생시 경보 신호를 대응되는 경보음 또는 경보 문구 및 경보등 신호로 변환하는 경보수단 변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보 알림부는 전기설비의 이상발생 또는 화재 발생의 여부에 따라 미리 대응되도록 설정된 향을 이용하여 경보알림을 제공하는 후각경보 알림모듈과, 미리 설정된 진동 주기를 이용하여 전기설비의 이상발생 또는 화재 발생의 경보 알림을 제공하는 진동경보 알림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시각장애인 또는 청각장애인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보호자 또는 장애인 콜센터 또는 전기안전 콜센터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알림부는 본체 전면부 경보알림판에 비상등 또는 경보등의 불빛이 점등되어 청각장애인에게 시각적인 경보 알림을 제공하는 시각경보 알림모듈과, 본체 내부의 부저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청각적인 경보 알림을 제공하는 청각경보 알림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가스누설 감지, 연기 감지 또는 열 감지를 통해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재 감지부는 화재발생시 일산화탄소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일산화탄소 감지센서와, 화재발생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센서와, 화재발생시 열을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1781A KR102624736B1 (ko) | 2021-02-18 | 2021-02-18 |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1781A KR102624736B1 (ko) | 2021-02-18 | 2021-02-18 |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8088A KR20220118088A (ko) | 2022-08-25 |
KR102624736B1 true KR102624736B1 (ko) | 2024-01-12 |
Family
ID=83111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1781A KR102624736B1 (ko) | 2021-02-18 | 2021-02-18 |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24736B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8984B1 (ko) * | 2004-11-09 | 2006-09-27 | 한국 전기안전공사 | 전기화재 감지 시스템 |
KR100888951B1 (ko) | 2007-04-27 | 2009-03-16 | 동신기전 주식회사 | 경보장치를 갖는 다기능 배전반 |
KR20090002667U (ko) * | 2007-09-12 | 2009-03-17 | 전혜림 | 자동 통보장치를 구비한 누전 차단기 |
KR20170000530A (ko) * | 2015-06-24 | 2017-01-03 | 박윤구 | 무선으로 화재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경보 및 표시하는 장치 |
-
2021
- 2021-02-18 KR KR1020210021781A patent/KR102624736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8088A (ko) | 2022-08-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21457B2 (en) | Global positioning system equipped with hazard detector and a system for providing hazard alerts thereby | |
US8648723B2 (en) | Biological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 |
JP6080289B2 (ja) | 非常放送設備 | |
US9466226B1 (en) | General purpose device to assist the hard of hearing | |
JPH07129875A (ja) | 警報装置 | |
JP2008161299A (ja) |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 |
KR102624736B1 (ko) | 시청각장애인용 전기안전 경보 방법 및 장치 | |
JPH04295991A (ja) | 火災感知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火災警報システム | |
KR102403237B1 (ko) | 세대 단말기를 이용한 약자 케어 방법 및 프로그램 | |
JP2008086388A (ja) |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 |
JP2005293204A (ja) | 防災機器 | |
JP2017167617A (ja) | 電池式警報器 | |
KR100784798B1 (ko) | 재난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재난 관리 프로그램을 갖는디지털 셋탑박스 | |
KR101555182B1 (ko) | 위급 상황 신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JP2010051565A (ja) |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 |
JP2007148797A (ja) | 避難支援装置および避難支援方法 | |
TWM599008U (zh) | 具有緊急通報功能之住宅消防系統 | |
KR20170123798A (ko) | 청각장애인용 화재 경보밴드 | |
KR20140141868A (ko) | 피난 안내 시스템 | |
JP3810314B2 (ja) | 警報装置 | |
JP7410537B2 (ja) | 火災等の災害を報知するシステム | |
JP2009232095A (ja) | インターホン装置 | |
JP2004206685A (ja) | 災害時弱者支援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災害時弱者支援端末装置 | |
KR20150081973A (ko) | 영상음향장치 제어기능을 갖는 전원제어장치 | |
JP2007079628A (ja) | 消防用設備設置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