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4139B1 - 다수의 필라멘트들을 포함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 굵기 구간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 및 이로 제조된 가발 - Google Patents

다수의 필라멘트들을 포함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 굵기 구간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 및 이로 제조된 가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4139B1
KR102624139B1 KR1020210110345A KR20210110345A KR102624139B1 KR 102624139 B1 KR102624139 B1 KR 102624139B1 KR 1020210110345 A KR1020210110345 A KR 1020210110345A KR 20210110345 A KR20210110345 A KR 20210110345A KR 102624139 B1 KR102624139 B1 KR 102624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strand
sections
filaments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3317A (ko
Inventor
이해주
Original Assignee
이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주 filed Critical 이해주
Publication of KR20220023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83Filaments for making 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75Methods and machines for making 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46Hair pieces forming hair extensions from bundles of hair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5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all components being made from artificial or synthetic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8Wi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일정한 크기의 제1 단면적을 갖는 PN(Pencil Normal) 구간, 상기 PN 구간이 종료하는 양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하며 단면적이 감소하는 방식으로 테이퍼링된 두 개의 제1 PT(Pencil Tapering) 구간, 상기 두 개의 제1 PT 구간의 감소된 단면적을 갖는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하며 상기 감소된 단면적이 다시 증가하는 방식으로 테이퍼링된 두 개의 제2 PT 구간, 및 각각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 PT 구간과 상기 제2 PT 구간을 연결하며 일정한 크기의 제2 단면적을 갖는 두 개의 PC(Pencil Connection) 구간(PT-PN-PT 반복 단위 구간의 연결 구간)을 포함하는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 및 이를 이용한 가발이 개시된다. 상기 연속 스트랜드는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도 가발 뷰티 특성의 큰 축을 차지하게 된 MS-PT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수의 필라멘트들을 포함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 굵기 구간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 및 이로 제조된 가발{A continuous strand for wigs comprising multiple filaments and repeatedly forming a section of inclined-thicknes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wig manufactur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다수의 필라멘트들을 포함하는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 및 이로부터 제조된 가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또는 일정하지 않은 간격으로 경사 굵기 구간, 즉 소위 날카로운 '연필 테이퍼링 구간'(pencil tapering (PT) section) 또는 소위 비정 효과(non-aligned effect)를 갖는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 및 이로부터 제조된 가발에 관한 것이다.
가발(인형용 가발 포함)에 요구되는 중요한 특성은 뷰티성(beauty)(심미성), 편리성(convinience) 및 경제성(economic efficiency)이다. 유행 변화 및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상기 뷰티 특성중에서도 착용자의 진모에 연결되는 가발 상부 부분의 볼륨업 특성, 착용자의 두피로부터 가장 먼 하단부의 가지런함, 및 이와 더불어 전체적인 스타일의 자연스러움(naturalness of whole style)을 연출할 수 있는 PT 효과(PTE: Pencil Tapering Shape Effect)(소위 비정 효과)가 있다.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인 '비정'은 비정렬(non-alignment)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연필에 있어서 연필심이 노출된 테이퍼링된 단부 부분(end portion)의 경사 두께(길이 방향 = X축)을 따라 가발용 스트랜드중에 포함된 필라멘트 수의 감소에 따른 단면적 감소로 나타나는 스트랜드의 경사두께), 즉 PT 효과를 얻기 위해 가발 공장에서 실시되는 공정 특징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현재 추구되는 헤어 스타일은 모발 단부들을 숱가위 등을 이용하여 트리밍함으로써 모발들의 길이를 동일한 길이로 하지 않고 모발 단부들이 V자 형상으로 경사 길이(가변 길이)를 갖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세련되고 가지런한 느낌의 헤어 스타일을 얻을 수 있다. 즉 모발들의 상부 부분의 볼륨업과 하단부 부분의 가지런함이 추구되고 있다.
인모로 제조되는 가발은 고가 제품으로 소량 생산을 목적으로 하며 인모 수집 과정에서 인모들이 자체적으로 길이 경사 특성을 나타낸다. 대머리용 특수 가발의 경우 소량 생산의 경우이므로 일일이 숱가위 질을 통해 경사 길이를 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전세계 가발 수요의 약 90%를 차지하는 흑인용 가발은 대부분 합성 섬유(synthetic fibers)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대량 생산이 필요한 경우, 합성 섬유 가발의 제조 공정 중에서 PT 효과를 연출하기 위해 모든 필라멘트(통상적으로 모노필라멘트)들을 일일이 숱가위질 하여 제품화하는 것은 비용상으로 매우 어렵다. 구체적으로, 대략적으로 재단한 동일한 길이의 필라멘트들을 하클(일종의 큰 빗)을 이용하여 빗질을 하며 필라멘트 길이 양방향으로 필라멘트들이 엇갈려 비정렬 상태로 되게 하고, 이들 필라멘트들의 중심 부위(길이 방향 기준)를 절반으로 접어서 착용시 두피에 연결하는 중심부위 기준선으로부터 경사 길이 효과(gradient length effect)를 연출함으로써 생산 공정의 단순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 방식으로 얻을 수 있는 PT 효과는 일명 "비정 효과" 라고 당업계에서 통용되고 있다. 현재 점점 더 필라멘트들의 단부(end portion)가 더 뾰족하게(sharp) 보이도록 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최근에는 2단 비정, 즉 서로 다른 2개의 길이군(length groups)을 갖는 필라멘트들을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이들의 중심 부분을 겹치게 놓고 하클을 이용하여 빗질하는 비정 작업을 통하여 더 날카로운 PT 효과를 연출하기에 이르렀다. 더 나아가 다단 비정(MS-PT: 'Multi Step-Pencil Tapering Sharpness'로 지칭될 수 있음), 예를 들면 3단(장모, 중모, 단모) 비정도 출현하고 있다.
이러한 동향은 가발 이전의 아이템에도 확산되고 있으며, 흑인용 가발의 가장 기본 아이템인 레귤러 정정 브레이드(not-unaligned braid, 테이퍼링된 PT 구간이 없는 브레이드) 조차 비정 브레이드(non-aligned braid, 당업계에서 pre-stretched braid로도 표현됨)로 유행이 변화하고 있다. 정정 브레이드는 하클 비정에 의한 PT 효과, 즉 경사길이 효과가 없는 브레이드를 의미한다. 최종 소비자들은 정정 브레이드들을 일정량을 취하여(소분) 어설픈 수작업으로(손비정: stretching by fingers) 얻은 비정 효과를 통하여 미미한 PT 효과를 연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비정 작업을 통한 PT 효과 연출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많은 시간과 수고를 요하는 노동 집약적이며 균일한 대칭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숙련도가 절실하게 요구된다. 이러한 비정 작업을 통해 얻은 복합 스트랜드 제품군은 PT 구간에서 이에 포함된 필라멘트(통상적으로 모노필라멘트)들이 삐져나와서(돌출)이 단부 로킹(end locking)이 불안정하고 아름답지 않다. 또한 하단부 PT 구간은 필라멘트들의 가닥수가 점점 줄어드는 방식이므로 브레이딩 또는 트위스팅 후 완성된 스트랜드의 드레이프성이 떨어진다. 즉, 스트랜드가 착용자의 바디 라인에 감기는 느낌이 없고 흩날리는 듯한 불안정감을 유발한다.
또한, 기존의 하클 비정을 통한 PT 효과는 브레이드 제품을 브레이딩 및 트위스팅하여 착용한 완성품인 박스 브레이드 및 세네갈 트위스트의 하단부에 잔털 삐져나옴을 유발하여 하단부의 가지런한 날카로움(sharpness)를 추구하는 목적에 오히려 반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수(hot water)에 침지하여 잔털을 가라앉히기 위하여 최종소비자 또는 미용사가 별도의 트리밍(trimming) 작업을 하기도 하지만,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필라멘트 등 필라멘트의 종류에 따라서는 전혀 잔털이 가라앉지 않아 하단부의 필라멘트들이 서로 엉킨 것 같은 지저분한 상태를 방지하기 어렵다.
또한, 하클을 이용한 비정은 정교한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비정 대칭이 균일하지 않아 뷰티 특성을 저해할 수 있으며, 숙련도가 제품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며, 대량 제조시 가장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는 공정이기 때문에 생산 단가에도 큰 영향을 준다. 하클비정을 할 수 없는 그룹핑된 텍스처드 스트랜드와 같은 스페셜 브레이드류들은 MS-PT을 얻기 위해 하클 비정 이외의 방법을 찾아야 한다.
스트랜드 하단부에서의 잔털 삐져나옴을 정리하기 위하여 실시되는 HWS(hot water straightening of filaments)은 삐져나온 잔털(필라멘트)이 길이 방향으로 펴지면서 가지런 해져서 뷰티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스트랜드 내의 필라멘트들에 부여된 텍스처도 동시에 펴지기 때문에 텍스처에 의해 얻어지는 공극률(porosity)을 낮추고 이에 따라 겉보기 밀도(bulk density)를 높임으로써 벌키성(경량성)을 훼손시켜 결국 경제성, 편리성, 및 다른 관점의 뷰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즉, 소비자가 헤어 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해 필요한 볼륨(coverage volume)을 얻기 위해 구매 비용이 증가하고, 단위 볼륨당 중량, 즉 겉보기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두피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필라멘트를 구성하는 폴리머 성분에 따라서는 HWS가 이루어지지 않고 일부 종류의 폴리머 필라멘트만이 HWS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특히 고결정성 폴리머로 이루어진 필라멘트들은 대부분 HWS 효과를 얻기 어렵다.
스페셜 브레이드류, 즉 어떤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 완제품성 브레이드류의 경우 이러한 스페셜 브레이드를 만들기 전에 필라멘트들의 비정과 소분(일정 부분을 무게 계량을 하여 덜어냄)하여 스타일을 연출한다. 일부 스페셜 브레이드류는 강한 킨키성 텍스처가 있거나 필라멘트들이 바인딩된 굵은 스트랜드의 경우 하클 공정 자체를 실시할 수 없어 PT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유행하는 스페셜 브레이드 역시 PT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본 발명자에 의한 한국등록특허 제2078793호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당업계의 기존 연속 킨키 나선형 스트랜드들은 내재 비정(inherent tapering) 효과를 갖고 있으나, 적극적인 심미효과를 연출하기 위한 MS-PT(Smooth & Long Tapering) 효과를 연출할 수 없는 아쉬운 점이 있다. 특히 필라멘트들이 바인딩된 스트랜드는 평평한 단면, 즉 사각형 단면의 경우는 내재 비정이 없고, 원형 단면의 경우에도 제조공정중에 부여된 회전력이 보이지 않는(즉, 토네이도 효과가 없는) 원기둥 표면이 매끈한 상태의 바인딩 스트랜드인 경우 내재 비정 효과가 미미하여 심미성을 갖는 가발제품 연출에 큰 한계를 갖고 있다.
또한, 부분적으로 다른 느낌을 연출하는 연속 필라멘트 스트랜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가발업계 이외에 다양한 업계에서 브레이딩 또는 트위스팅을 통해 연속적인 스트랜드를 제조하여 로프 등의 제품에 적용되고 있으나, 가발업계에서 이러한 상태의 제품은 심미적 가치가 없는 로프를 머리에 매달은 것 같은 둔한 느낌을 준다. 따라서 가발업계에서는 지금까지 비정이라는 수작업을 이용한 경사 길이 효과로 부여하여 제품화할 수 밖에 없었다. 더구나 연필 경사(테이퍼링) 구간을 길게 연장하는 소위 2단, 3단의 수작업 비정을 추구하는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기 때문에 시장에서 요구되는 심미적 효과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대안적인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노동집약적인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도 뷰티 특성의 큰 축을 차지하게 된 MS-PT(Smooth & Long Tapering)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경사 길이 효과(필라멘트들이 기준선으로부터 스트랜드 길이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효과)에 의존하지 않고, 회전꼬임에 의하여 형성된 단순 스트랜드 및 복합 스트랜드(전형적으로는 단순 스트랜드들의 브레이딩 및/또는 교차꼬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복합 스트랜드)의 단부 부분에서 필라멘트들의 삐져나옴이 없거나 최소화된 심미성이 우수한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동집약적인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도 다단(multi-step) 연필 테이퍼링 효과(PTE)(일명 비정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스트랜드 단부 부분에서 필라멘트들의 삐져나옴이 없거나 최소화된 심미성이 우수한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정한 간격으로 부분적인 변형 패턴을 부여하거나 사이즈(즉, 굵기, 폭, 단면적)의 경사를 줌으로써 연필 테이퍼링 효과(PTE)를 갖는 PT 구간이 길이 방향(즉, X 방향 또는 MD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반복 형성된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PTE를 원하는 구간에 스트랜드 길이 방향으로 경사적으로 필라멘트들의 수축 자유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벌키성을 낮추어 테이퍼링지게 하여 PTE를 구현한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를 이용한 가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과 관련된 기술적 과제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로서,
상기 연속 스트랜드는 복수의 필라멘트들이 자전(rotation)에 의한 회전 꼬임(rotational twist)에 의해 형성된 외형을 갖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단순 스트랜드; 또는 복수의 상기 단순 스트랜드들이 공전(revolution)에 의한 교차꼬임(cross-twist) 및/또는 브레이딩(braiding)에 의해 형성된 외형을 갖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합 스트랜드의 형태이고,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순 스트랜드는 비결정성 유기 폴리머, 반결정성 유기 폴리머, 또는 이들의 폴리머 알로이를 포함하는 40 내지 4,000개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필라멘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는 각각 원형; 타원형; 또는 삼각형, 사각형 및 오각형 중에서 선택된 다각형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면 형태를 가지며, 상기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인 경우 이의 직경 또는 최장 직경은 0.2 cm 내지 3.0 cm의 범위에 있고, 상기 단면이 상기 다각형인 경우 이의 적어도 어느 한 변의 길이는 0.2 cm 내지 3.0 cm의 범위에 있고,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는 각각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일정한 크기의 제1 단면적을 갖는 PN(Pencil Normal) 구간, 상기 PN 구간이 종료하는 양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하며 단면적이 감소하는 방식으로 테이퍼링된 두 개의 제1 PT(Pencil Tapering) 구간, 상기 두 개의 제1 PT 구간의 감소된 단면적을 갖는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하며 상기 감소된 단면적이 다시 증가하는 방식으로 테이퍼링된 두 개의 제2 PT 구간, 및 각각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 PT 구간과 상기 제2 PT 구간을 연결하며 일정한 크기의 제2 단면적을 갖는 두 개의 PC(Pencil Connection) 구간(PT-PN-PT 반복 단위 구간의 연결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PN 구간, 및 상기 PN 구간의 양 단부에 이어지는 상기 두 개의 제1 PT 구간으로 이루어진 좌우 대칭 구간을 1 사이클로 하였을 때,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는 각각 2개 이상의 복수의 사이클을 반복적으로 포함하며, 이웃하는 상기 1 사이클들이 서로 상기 PC 구간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단면적은 상기 제2 단면적보다 더 크며,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를 각각 1 사이클의 상기 PN 구간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제1 PT 구간만을 갖는 상기 1 사이클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분리하였을 때, 이와 같이 하여 분리된 필라멘트들에게 부여된 텍스처 및 웨이브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필라멘트들의 길이를 측정하였을 때, 최장 필라멘트의 길이 Lmax와 최단 필라멘트의 길이 Lmin의 차이 Ld 및 상기 분리된 1 사이클의 일부분에 포함된 제1 PT 구간 길이 Lpt는 서로 같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를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복수의 사이클에 포함된 각각의 1 사이클의 중앙부에 포함된 상기 PN 구간들의 각각의 단면적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를 각각 1 사이클의 상기 PN 구간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제1 PT 구간만을 갖는 상기 1 사이클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분리하였을 때, 이와 같이 하여 분리된 상기 필라멘트들에 부여된 텍스처 및 웨이브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필라멘트들의 길이를 측정하였을 때 상기 필라멘트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를 각각 상기 PN 구간 또는 상기 제1 PT 구간 또는 제2 PT 구간을 각각 따로 절단 분리하였을 때, 이와 같이 하여 분리된 각 구간 내의 필라멘트들의 길이는 상기 필라멘트들에 부여된 텍스처 및 웨이브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직선 길이를 측정하였을 때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2개, 3개 또는 4개의 다단계 길이군(length groups)을 가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의 단위 길이에 작용하는 상기 회전꼬임, 상기 교차 꼬임 및 상기 브레이딩 중의 적어도 하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사 장력이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에 가해짐으로써 그에 따른 수축 제어 효과로 인해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의 상기 제1 및 제2 PT 구간의 선단부로 갈수록 상기 단면적이 감소하는 경사 단면적을 가지며 얇아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PN 구간과 연결된 복수의 제1 및 제2 PT 구간은 상기 필라멘트들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른 경사 수축(GS)에 의하여 실현되고, 이때 상기 경사 수축에 의하여 상기 필라멘트들의 굵기(데니어)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PT 구간에서 감소하고 상기 제2 PT 구간에서 증가하는 경사 굵기(GT 또는 경사 데니어(GD)) 및 상기 필라멘트들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 부피 비율인 공극률(porosity)이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PT 구간에서 감소하고 상기 제2 PT 구간에서 증가하는 경사공극률(GP) 중의 적어도 하나가 발현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PN 구간과 연결된 복수의 제1 및 제2 PT 구간은 상기 필라멘트들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른 경사 수축(GS)에 의하여 실현되고, 이때 상기 경사 수축에 의하여 상기 필라멘트들의 경사 굵기(GT 또는 경사 데니어(GD)) 만이 발현되어 상기 필라멘트들의 굵기(데니어)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PT 구간에서 감소하고 상기 제2 PT 구간에서 증가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PN 구간과 연결된 복수의 제1 및 제2 PT 구간은 상기 필라멘트들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른 경사 수축에 의하여 실현되고, 이때 상기 필라멘트들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 부피 비율인 공극률(porosity) 이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PT 구간에서 감소하고 상기 제2 PT 구간에서 증가하는 경사 공극률(GP)만이 발현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PT 구간의 선단부에서의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의 단위 길이에 작용하는 회전꼬임, 교차꼬임 및 브레이딩의 총합이 상기 PN 구간에서의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의 단위 길이에 작용하는 회전꼬임, 교차-꼬임 및 브레이딩의 총합보다 1.2 내지 5.5 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배(이때 상기 제1 및 제2 PT 구간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러빙 로크(RL: rubbing lock), 회전꼬임 로크, 교차꼬임 로크(CTL: cross-twisted lock) 및 브레이딩 로크(BL: braiding lock) 부분은 제외) 클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PN 구간; 및 상기 제1 및 제2 PT 구간의 공극률은 진밀도 대 벌크 밀도의 비율(RD/BD)로 계산되며,
상기 PN 구간의 상기 RD/BD 비율은 1.5 내지 30이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 2 내지 20, 5 내지 15, 또는 7 내지 20이고, 및
상기 PN 구간의 상기 RD/BD 비율은 상기 제1 및 제2 PT 구간의 상기 RD/BD 비율(이때 상기 제1 및 제2 PT 구간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러빙 로크, 회전꼬임 로크, 교차꼬임 로크 및 브레이딩 로크 부분은 제외) 보다 1.2 내지 10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배, 1.5 내지 10배, 1.8 내지 8배 또는 1.8 내지 5배 클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PN 구간은 원기둥, 타원기둥, 사각기둥 또는 오각기둥의 입체적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제1 및 제2 PT 구간은 원기둥 형상의 상기 PN 구간의 원형 단면을 밑면으로 하는 원뿔대, 타원기둥 형상의 상기 PN 구간의 타원형 단면을 밑면으로 하는 타원뿔대, 사각기둥 형상의 상기 PN 구간의 사각형 단면을 밑면으로 하는 사각뿔대, 또는 오각기둥 형상의 상기 PN 구간의 오각형 단면을 밑면으로 하는 오각뿔대의 입체적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PT 구간의 측면도에서 상기 제1 및 제2 PT 구간의 상기 원뿔대, 상기 타원뿔대, 상기 사각뿔대 또는 상기 오각뿔대의 밑면이 나타내는 선분의 중심점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원뿔대, 상기 타원뿔대, 상기 사각뿔대 또는 상기 오각뿔대의 윗면이 나타내는 선분의 중심점을 연결하여 형성된 중심선이 상기 원뿔대, 상기 타원뿔대, 상기 사각뿔대 또는 상기 오각뿔대의 어느 하나의 빗변과 이루는 각도가 0.3 내지 45도(예를 들면 0.3 내지 30도, 0.5 내지 25도, 1 내지 25도 또는 1.5 내지 25도)이고,
상기 제1 및 제2 PT 구간의 측면도에서 상기 제1 및 제2 PT 구간의 상기 밑면이 나타내는 선분의 중심점에서 상기 윗면이 나타내는 선분의 중심점을 연결하여 형성된 중심선의 길이가 1 내지 50 센티미터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PT 구간에서 상기 단면적 감소는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들 사이의 공극률 감소 및/또는 상기 필라멘트들의 굵기 감소의 결과이며,
상기 제1 및 제2 PT 구간에서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는 중심부가 비어 있는 중공(hollow) 형태가 아니라 중심부가 비어 있지 않은 중실(solid) 형태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이클이 반복하는 패턴은 상기 PN 구간의 중간 지점에서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자른 가상선을 기준으로 선대칭 패턴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 각각은 1 m 이상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들 각각은 30 내지 180 denier의 굵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PN 구간의 길이는 5 내지 200 cm, 상기 제1 및 제2 PT 구간은 각각 1 내지 50 cm, 및 상기 PC 구간은 0.3 내지 5cm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는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형태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는 비결정성 유기 폴리머, 반결정성 유기 폴리머, 또는 이들의 폴리머 알로이로부터 선택된 1종의 폴리머 성분으로 이루어진 필라멘트들로만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가발과 관련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술한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가발을 제공한다.
종래의 PT 효과를 얻기 위한 수작업에 의한 하클 비정 방법은 스트랜드 단부에서 필라멘트들이 잔털과 같이 삐져나오므로 이를 트리밍하기 위해 HWS 작업을 거쳐야 했다. HWS 작업에 의하여 삐저나온 잔털들이 단부 방향으로 펴지면서 가지런 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스트랜드에 부여된 텍스처도 동시에 펴짐으로써 볼륨성(벌키성, 경량성)이 훼손되어 결과적으로 경제성 및 편리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쉽다. 반면 본 발명의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의 경우 PT 구간 단부의 날카로움을 연출하면서 필라멘트들이 삐져나오는 것이 없거나 최소화되며, 텍스처 및 벌키성(볼륨성)의 훼손이 없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PT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를 이용하면, 필라멘트 삐져나옴이 실질적으로 없고, 단부 PT 구간에서 중간 부분에서와 유사한 중량감을 줌으로써 안정감있는 드레이프성을 얻을 수 있으며, 길이 방향(즉 MD 방향) 및 이에 수직한 CMD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PT 효과가 이루어져 로킹이 매우 안정적으로 마무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발용 스트랜드를 이용하면 스트랜드 하단부(두피 반대측)의 날카로움을 연출하면서 삐져나오는 잔털이 실질적으로 없으며 텍스처 및 벌키성(볼륨성)을 훼손하지 않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PT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브레이드류를 소위 콘로우(Corn low)라고 지칭되는 지지체를 따라 코바늘(Crochet needle)로 부착하는 방식이 유행하고 있어 스페셜 브레이드류들은 대부분 상부에 예비루프(preloop)를 형성하여야 한다. 소비자가 이러한 스페셜 브레이드류를 착용하는 경우 일일이 크로세 브레이딩(Crochet braiding)을 해야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랜드를 이용한 스페셜 브레이드 제품은 대칭적 구조로 반복되는 연속 스트랜드이기 때문에 크로세 브레이딩(Crochet braiding)의 착용 횟수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고 원하는 길이로 재단하여 사용함으로써 소비자의 기호 범위(needs window, range of needs)를 넓힐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를 이용하면 최근 가발업계 및 헤어케어업계에서 강하게 요구되는 뷰티 특성인 날카로운 PT(MS-PT) 효과가 효과적으로 부여될 수 있으므로 스트랜드 제품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고, 노동집약적 가발 제조 공정중 상당한 노동력 및 비용이 소요되는 비정 공정을 통하지 않고도 PT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종래의 수작업에 의한 하클 비정을 통해 비정 효과를 부여하는 경우 필라멘트들의 자전에 의한 회전 꼬임에 의한 단순 스트랜드; 및 2 가닥의 스트랜드의 반대 방향으로의 공전에 의한 교차꼬임(2 가닥 스트랜드가 서로 엇갈리며 꼬임)된 복합 스트랜드 또는 3 가닥의 스트랜드가 브레이딩된 복합 스트랜드의 경우 이에 포함된 필라멘트들이 길이 차이로 인해 제조과정중 바깥쪽으로 삐져 나와 가지런하지 않고 지저분하게 보인다. 또한 스트랜드 단부의 PT 구간은 필라멘트 수가 점점 줄어드는 구간이므로 스트랜드내의 필리멘트들이 브레이딩 또는 트위스팅되어 얻어진 브레이드 제품의 드레이프성이 저하한다, 즉 브레이드 제품이 착용자의 바디라인에 감기는 느낌이 나타나지 않고 흩날리는 듯한 불안정감을 유발한다. 또한 종래의 단순 스트랜드 및 복합 스트랜드 제품은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대칭성의 균일도가 부족하여 단부 로킹(end-locking)이 불안정하므로 장기 사용성이 떨어지고 단부 미감이 나쁘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스트랜드를 이용한 브레이드 제품의 경우, 필라멘트들의 삐져나옴이 없거나 최소화되고, 단부 PT 구간에서 중간 구간에서와 유사한 중량감이 부여됨으로써 안정감있는 드레이프성을 얻을 수 있으며, 길이 방향 및 이에 수직한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PT 효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트랜드는 로킹이 매우 안정적이고 단부 풀어짐이 없어 장기 사용성이 뛰어나며 단부 마무리가 깔끔하게 됨으로써 심미적 가치가 높아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MS-PT 효과를 갖는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1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도 1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단순 스트랜드(도 2(A)의 10), 2가닥의 단순 스트랜드(10a, 10b)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꼬이는 교차꼬임에 의하여 형성된 복합 스트랜드(도 2(B)), 및 3가닥의 단순 스트랜드(10a, 10b, 10c)의 브레이딩에 의해 형성된 복합 스트랜드(도 2(C))의 개략도이다.
도 3은 3가닥의 단순 스트랜드(10a, 10b, 10c)의 브레이딩에 의해 형성된 복합 스트랜드(10)의 실물 사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복합 스트랜드의 연필 테이퍼링 효과(PTE)를 발휘하는 구간, 즉 제1 PT 구간, 제2 PT 구간 및 이들을 연결하는 PC 구간을 클로즈업한 부분의 사진이다.
도 5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직선적으로 펼쳐진 연속 스트랜드(10)의 제1 및 제2 PT 구간만을 잘라낸(cut-away)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발에 대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아래의 설명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들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MS-PT 효과를 갖는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1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직선을 이루도록 펼쳐진 연속 스트랜드(10)는 길이 방향(13)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길이 방향(13), MD 방향 및 X 방향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며, CMD 방향(14)은 길이 방향(13) 또는 MD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나타낸다. 이 연속 스트랜드(10)는 복수의 필라멘트(12)들, 즉 통상적으로 모노필라멘트 또는 멀티필라멘트들이 기본적으로 자전(rotation)에 의한 회전 꼬임(rotational twist)에 의해 집합화되어 형성된 외형을 갖고 길이 방향(13)으로 연장된 단순 스트랜드(10)의 형태이다.
상기 필라멘트들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예를 들면, 상품명 MODACRYL),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스티렌(P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 폴리에스테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ASA)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PAR),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폴리머의 알로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알로이는 예를 들면 PC/ABS, PC/PET, 또는 PC/PMMA의 알로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MS-PT 효과를 갖는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는 이러한 단순 스트랜드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단순 스트랜드들(10)이 공전(revolution)에 의한 교차꼬임(cross-twist) 및/또는 브레이딩에 의해 형성된 외형을 갖고 길이 방향(13)으로 연장된 복합 스트랜드의 형태일 수 있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도 1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단순 스트랜드(도 2(A)의 10), 2가닥의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단순 스트랜드(10a, 10b)가 서로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면, 도 2(B)에 도시된 서로 교차하는 2개의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꼬이는 교차꼬임(cross-twist)에 의하여 형성된 복합 스트랜드(도 2(B)의 10), 및 3가닥의 단순 스트랜드(10a, 10b, 10c)의 브레이딩에 의해 형성된 복합 스트랜드(도 2(C)의 10)를 구조 차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단지 위에 언급된 단순 스트랜드와 복합 스트랜드의 구조상의 차이를 이해하기 쉽도록 이들 스트랜드의 길이 방향으로 일부분만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즉,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형태의 복합 스트랜드도 전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단순 스트랜드(10)를 예로 들어 이하에서 설명하는 MS-PT 효과를 갖는 PN 구간-제1 PT 구간-제2 PT 구간-PC 구간의 반복적인 구조적 특징을 구비한다. 또한 도 2(A), 도 2(B) 및 도 2(C)에는 빈 공간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 육안으로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공간은 보이지 않는다.
도 3은 3가닥의 단순 스트랜드(10a, 10b, 10c)의 브레이딩에 의해 형성된 복합 스트랜드(10)의 실물 사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 복합 스트랜드는 전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된 PN 구간-제1 PT 구간-제2 PT 구간-PC 구간의 반복적인 구조적 특징을 구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복합 스트랜드의 연필 테이퍼링 효과(PTE)를 발휘하는 구간, 즉 제1 PT 구간, 제2 PT 구간 및 이들을 연결하는 PC 구간을 클로즈업한 부분의 사진이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단순 스트랜드(10) 및 복합 스트랜드(도 2(B) 및 도 2(C))는 각각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일정한 크기의 제1 단면적을 갖는 PN 구간, 상기 PN 구간이 종료하는 양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하며 단면적이 감소하는 방식으로 테이퍼링된 두 개의 제1 PT 구간, 상기 두 개의 제1 PT 구간의 감소된 단면적을 갖는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하며 상기 감소된 단면적이 다시 증가하는 방식으로 테이퍼링된 두 개의 제2 PT 구간, 및 각각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 PT 구간과 상기 제2 PT 구간을 연결하며 일정한 크기의 제2 단면적을 갖는 두 개의 PC 구간(PT-PN-PT 반복 단위 구간의 연결 구간)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는 길이 방향(13), 즉 MD 방향으로 PN 구간 및 제1 및 제2 PT 구간을 반복적으로 가짐으로써 경사 두께 즉 연필 테이퍼링(PT) 효과를 갖는 구간이 대칭적으로 반복되는 특징으로 구비한다.
상기 PN 구간, 및 상기 PN 구간의 양 단부에 이어지는 상기 두 개의 제1 PT 구간으로 이루어진 좌우 대칭 구간을 1 사이클로 하였을 때, 상기 단순 스트랜드(10)는 각각 2개 이상의 복수의 사이클을 반복적으로 포함하며, 이웃하는 상기 1 사이클들이 서로 상기 PC 구간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PN 구간의 제1 단면적은 상기 PC의 제2 단면적보다 더 크다.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복합 스트랜드는 각각 1종 또는 2종 이상 복수종의 1 사이클들이 교대로 반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굵기의 PN 구간을 중심으로 양단에 좌우 대칭으로 2개의 제1 또는 제2 PT 구간이 연결되어 1 사이클을 이루고, 이와 동일한 제1 굵기의 PN 구간을 갖는 1 사이클이 반복되는 경우; 또는 상기한 1 사이클에 이어서 다른 제2 굵기의 PN 구간을 중심으로 양단에 좌우 대칭적으로 2개의 제1 또는 제2 PT 구간이 연결된 다른 1 사이클이 연결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면 PN 구간의 굵기만을 표시하는 경우 A 굵기-B 굵기-A 굵기 시퀀스; B 굵기-A 굵기-B 굵기 시퀀스; 또는 A 굵기-B 굵기-C 굵기 시퀀스; 또는 A 굵기-B 굵기-B 굵기-A 굵기 시퀀스가 반복될 수 있다. 이웃하는 1 사이클들은 서로 PC 구간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복합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순 스트랜드는 비결정성 유기 폴리머, 반결정성 유기 폴리머, 또는 이들의 폴리머 알로이를 포함하는 40 내지 4,000개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필라멘트(1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라멘트(12)들 각각은 30 내지 180 denier의 굵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복합 스트랜드는 비결정성 유기 폴리머, 반결정성 유기 폴리머, 또는 이들의 폴리머 알로이로부터 선택된 1종의 폴리머 성분으로 이루어진 필라멘트들로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랜드에 포함된 필라멘트를 구성하는 폴리머의 화학구조 및 열수축률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르면 서로 다른 종류의 필라멘트로 간주된다. 예를 들면, 필라멘트 A 및 B가 동일한 화학 구조의 폴리머(예를 들면, PVC)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필라멘트 A 및 B를 구성하는 폴리머의 열수축률이 다르면 상기 스트랜드는 2종의 필라멘트로 구성된 것으로 간주된다.
상기 단순 스트랜드(10) 및 복합 스트랜드(도 2(B) 및 도 2(C))는 각각 원형; 타원형; 또는 삼각형, 사각형 및 오각형 중에서 선택된 다각형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면 형태를 가지며, 상기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인 경우 이의 직경 또는 최장 직경은 0.2 cm 내지 3.0 cm의 범위에 있고, 상기 단면이 상기 다각형인 경우 이의 적어도 어느 한 변의 길이는 0.2 cm 내지 3.0 cm의 범위에 있다.
상기 단순 스트랜드(10) 및 복합 스트랜드(도 2(B) 및 도 2(C))를 각각 1 사이클의 PN 구간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포함하고 하나의 제1 PT 구간만을 갖는 1 사이클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분리하였을 때, 이와 같이 하여 분리된 필라멘트(12)들에게 부여된 텍스처 및 웨이브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길이 방향(13)으로 필라멘트(12)들의 길이를 측정하였을 때, 최장 필라멘트의 길이 Lmax와 최단 필라멘트의 길이 Lmin의 차이 Ld 및 상기 분리된 1 사이클의 일부분에 포함된 제1 PT 구간 길이 Lpt는 서로 같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2개 이상의 복수의 사이클에 포함된 각각의 1 사이클의 중앙부에 포함된 상기 PN 구간들의 각각의 단면적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복합 스트랜드를 각각 1 사이클의 PN 구간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포함하고 하나의 제1 PT 구간만을 갖는 1 사이클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분리하였을 때, 이와 같이 하여 분리된 필라멘트(12)들에 부여된 텍스처 및 웨이브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길이 방향(13)으로 필라멘트(12)들의 길이를 측정하였을 때 필라멘트(12)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복합 스트랜드를 각각 PN 구간 또는 제1 PT 구간 또는 제2 PT 구간을 각각 따로 절단 분리하였을 때, 이와 같이 하여 분리된 각 구간 내의 필라멘트(12)들의 길이는 필라멘트(12)들에 부여된 텍스처 및 웨이브를 유지한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직선 길이를 측정하였을 때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2개, 3개 또는 4개의 다단계 길이군(length groups)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스트랜드의 상술한 구조상의 형태학적 특징은 종래의 하클에 의한 비정렬 방식으로 일군의 필라멘트들의 다발에 도입된 길이 방향으로의 단면적(다발굵기)의 테이퍼링 구조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것이다.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복합 스트랜드의 단위 길이에 작용하는 회전꼬임, 교차 꼬임 및 브레이딩 중의 적어도 하나가 증가함에 따라 길이 방향(13)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사 장력이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복합 스트랜드에 가해짐으로써 그에 따른 수축 제어 효과로 인해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복합 스트랜드의 제1 및 제2 PT 구간의 선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경사 단면적을 가지며 얇아질 수 있다. 즉, 회전꼬임(자전 꼬임), 교차 꼬임(공전 꼬임: Cross Twisting) 및/또는 브레이딩이 증가함에 따라 길이 방향(13)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14)으로 증가하는 경사 장력이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복합 스트랜드에 가해짐으로써 그에 따른 수축 제어 효과로 인해 제1 및 제2 PT 구간의 선단부로 갈수록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복합 스트랜드의 굵기가 오히려 감소하여 경사도를 가지며 얇아질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PT 구간의 선단부에서의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복합 스트랜드의 단위 길이에 작용하는 회전꼬임(자전 꼬임), 교차 꼬임(공전꼬임), 및 브레이딩의 총합이 제1 및 제2 PN 구간에서의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복합 스트랜드의 단위 길이에 작용하는 회전꼬임(자전 꼬임), 교차 꼬임(공전 꼬임), 및 브레이딩의 총합보다 1.2~5.5 배, 바람직하게는 1.5~4.0배(이때 상기 제1 및 제2 PT 구간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러빙 로크(RL))= 회전 꼬임(자전 꼬임을 통한 Locking), 교차꼬임 로크(CTL) 및/또는 브레이딩 로크(BL) 부분은 제외)크도록 제어하는 것이 심미적으로 유리할 수 있다.
복수의 PN 구간과 연결된 복수의 제1 및 제2 PT 구간은 필라멘트(12)들의 길이 방향(13)을 따른 경사 수축(GS)에 의하여 실현되고, 이때 경사 수축에 의하여 필라멘트(12)들의 굵기(데니어)가 길이 방향(13)을 따라 제1 PT 구간에서 감소하고 제2 PT 구간에서 증가하는 경사 굵기(GT 또는 경사 데니어(GD)) 및 필라멘트(12)들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 부피 비율인 공극률(porosity)이 길이 방향(13)을 따라 제1 PT 구간에서 감소하고 제2 PT 구간에서 증가하는 경사공극률(GP) 중의 적어도 하나가 발현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PN 구간과 연결된 복수의 제1 및 제2 PT 구간은 필라멘트(12)들의 길이 방향(13)을 따른 경사 수축(GS)에 의하여 실현되고, 이때 경사 수축에 의하여 필라멘트(12)들의 경사 굵기(GT 또는 경사 데니어(GD)) 만이 발현되어 필라멘트(12)들의 굵기(데니어)가 길이 방향(13)을 따라 제1 PT 구간에서 감소하고 제2 PT 구간에서 증가할 수 있다.
복수의 PN 구간과 연결된 복수의 제1 및 제2 PT 구간은 필라멘트(12)들의 길이 방향(13)을 따른 경사 수축에 의하여 실현되고, 이때 필라멘트(12)들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 부피 비율인 공극률(porosity)이 길이 방향(13)을 따라 제1 PT 구간에서 감소하고 제2 PT 구간에서 증가하는 경사 공극률(GP)만이 발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PT 구간의 선단부(17, 18)에서의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복합 스트랜드의 단위 길이에 작용하는 회전꼬임, 교차꼬임 및 브레이딩의 총합이 PN 구간에서의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복합 스트랜드의 단위 길이에 작용하는 회전꼬임, 교차-꼬임 및 브레이딩의 총합보다 심미적 측면에서 1.2 내지 5.5 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배(이때 상기 제1 및 제2 PT 구간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러빙 로크(RL: rubbing lock), 회전꼬임 로크, 교차꼬임 로크(CTL: cross-twisted lock) 및 브레이딩 로크(BL: braiding lock) 부분은 제외) 클 수 있다.
PN 구간; 및 제1 및 제2 PT 구간의 공극률은 진밀도 대 벌크 밀도의 비율(RD/BD)로 계산될 수 있으며, 이때 PN 구간의 RD/BD 비율은 심미적 측면에서 1.5 내지 30이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 2 내지 20, 5 내지 15, 또는 7 내지 20일 수 있다.
PN 구간의 RD/BD 비율은 제1 및 제2 PT 구간의 RD/BD 비율(이때 제1 및 제2 PT 구간의 선단부(17, 18)에 형성되는 러빙 로크, 회전꼬임 로크, 교차꼬임 로크 및 브레이딩 로크 부분은 제외) 보다 심미적 측면에서 1.2 내지 10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배, 1.5 내지 10배, 1.8 내지 8배 또는 1.8 내지 5배 클 수 있다.
진밀도(real density)는 true density 또는 absolute density와 같은 의미이고, 벌크 밀도(bulk density)는 apparent density 또는 volumetric density와 같은 의미로서 과학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의미를 갖는다. 상기한 진밀도 대 벌크 밀도의 비율(RD/BD)은 다음과 같이 평가할 수 있다.
(1) 벌크 밀도의 측정
상기 스트랜드로부터 해당 구간의 시료를 적당히 절단하여 이의 중량을 측정함과 함께 겉보기 부피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의 길이, 폭 및 두께를 측정한다. 이때 상기 길이, 폭 및 두께 측정시 시료중의 미세한 굴곡은 무시하고 시료의 윤곽선(outline)을 기초로 측정한다. 측정된 중량 및 겉보기 부피로부터 이하의 식에 기초하여 시료의 벌크 밀도를 구한다.
벌크 밀도 = 중량/겉보기 부피.
(2) 진밀도의 측정
상기 시료에 대하여 진밀도 측정기기(Micromeritics회사제 AutoPycnometer1320)를 이용하여 헬륨 가스를 이용한 피크노미터법에 의해 상기 시료의 진밀도를 측정한다.
(3) 진밀도/벌크 밀도(RD/BD)의 비율 측정
위에서 얻은 진밀도 값을 벌크 밀도 값으로 나누어 상기 비율을 얻는다.
PN 구간은 원기둥, 타원기둥, 사각기둥 또는 오각기둥의 입체적 형상을 나타내고, 제1 및 제2 PT 구간은 원기둥 형상의 PN 구간의 원형 단면을 밑면으로 하는 원뿔대, 타원기둥 형상의 PN 구간의 타원형 단면을 밑면으로 하는 타원뿔대, 사각기둥 형상의 상기 PN 구간의 사각형 단면을 밑면으로 하는 사각뿔대, 또는 오각기둥 형상의 상기 PN 구간의 오각형 단면을 밑면으로 하는 오각뿔대의 입체적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직선적으로 펼쳐진 연속 스트랜드(10)의 제1 및 제2 PT 구간만을 잘라낸(cut-away)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PT 구간의 상기 원뿔대, 상기 타원뿔대, 상기 사각뿔대 또는 상기 오각뿔대의 밑면이 나타내는 선분(21)의 중심점(A)에서 길이 방향(13)으로 상기 원뿔대, 상기 타원뿔대, 상기 사각뿔대 또는 상기 오각뿔대의 윗면(도 1의 '17' 또는 '18'의 위치)이 나타내는 선분(22)의 중심점(B)을 연결하여 형성된 중심선(23)이 상기 원뿔대, 상기 타원뿔대, 상기 사각뿔대 또는 상기 오각뿔대의 어느 하나의 빗변(25)과 이루는 각도(α)는 0.3 내지 45도, 예를 들면 0.3 내지 30도, 0.5 내지 25도, 1 내지 25도 또는 1.5 내지 25도이고, 상기 제1 및 제2 PT 구간의 측면도에서 제1 및 제2 PT 구간의 밑면이 나타내는 선분(21)의 중심점(A)에서 상기 윗면이 나타내는 선분(22)의 중심점(B)을 연결하여 형성된 중심선의 길이가 심미적 측면에서 1 내지 50 센티미터로 조절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측면도는 주사전사현미경법(SEM) 또는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PT 구간을 중심으로 스트랜드를 관찰하여 얻은 사진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PT 구간의 경사도의 척도인 상기 각도는 제조 공정중 상기 필라멘트들에 가해지는 회전꼬임(RT), 교차꼬임(CT), 및 브레이딩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도(extent)를 조절함으로써 일어나는 상기 필라멘트들의 길이 수축(LS) 및/또는 텍스처 수축(TS)의 정도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제1 PT 구간에서 단면적 감소는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복합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들 사이의 공극률 감소 및/또는 상기 필라멘트들의 굵기 감소의 결과이며, 제1 및 제2 PT 구간에서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복합 스트랜드는 중심부가 비어 있는 중공 형태가 아니라 중심부가 비어 있지 않은 중실 형태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스트랜드는 종래 기술에 따라 필라멘트 다발을 경사 굵기를 갖는 몰드, 예를 들면 화살촉 형상의 컬 파이프에 감은 후 열고정하여 세팅함으로써 코아 부분이 중공형태로 된 형태와 구별된다.
상기 복수의 사이클이 반복하는 패턴은 PN 구간의 중간 지점(도 1의 '19' 위치)에서 길이 방향(13)에 수직하게 자른 가상선(도 1의 '19')을 기준으로 선대칭 패턴일 수 있다.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복합 스트랜드 각각은 1 m 이상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PN 구간의 길이는 5 내지 200 cm, 제1 및 제2 PT 구간은 각각 1 내지 50 cm, 및 PC 구간은 0.3 내지 5cm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복합 스트랜드는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서 길이 방향(13)에 수직한 점선(22)을 따라 PN 구간 및 이의 양단에 연결된 두 개의 제1 또는 제2 PT 구간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형태로 상기 스트랜드(10)를 절단하여 제품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착용자는 PN 구간의 중앙선(19)에서 절반으로 접은 후, 이 부분의 필라멘트들을 두피 부분의 진모에 연결하여 제1 또는 제2 PT 구간의 하단부(17 또는 22) 부분이 지면 방향으로 드레이프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착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PN 구간의 중앙선(19)에서 절단하여 절반의 PN 구간 및 하나의 제1 또는 제2 PT 구간으로 이루어진 형태로 제품화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착용자는 절단된 PN 구간의 중앙선(19) 부분의 필라멘트들을 두피 부분의 진모에 연결하여 제1 또는 제2 PT 구간의 하단부(17 또는 22) 부분이 지면 방향으로 드레이프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착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 및 복합 스트랜드를 일정한 길이로 길이 방향에 수직한 CMD 방향으로 절단(재단)한 완성 가발제품이 시장에 출시된 경우, 제1 및 제2 PT 구간의 선단부는 러빙 로크(RL), 상호꼬임 로크(CTL) 또는 브레이딩 로크(BL)된 상태일 수 있거나; 또는 열연신(HD: hot drawing) 또는 컬 가공이 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선단부의 필라멘트들이 로킹이 되지 않아 서로 구속되지 않고 풀어져 있는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가발은 위에서 설명한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연속 스트랜드는 가발 제조용 웨프트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웨프트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 밴드; 및 상기 연결 밴드에 일 단부가 연결된 복수 개의 스트랜드로서, 상기 스트랜드들의 일 단부들은 상기 연결 밴드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상기 연결 밴드의 측면에 차례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스트랜드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스트랜드는 상술한 본 발명의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가발은 상기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트랜드 또는 상기한 구성의 웨프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구조적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는 하클 비정 수작업이 아니라 제1 및 제2 PT 구간을 형성하기 위해 PN 구간을 더 굵게 만들고 상대적으로 제1 및 제2 PT 구간이 상승 또는 하강 테이퍼링되면서 얇아지도록 장력 및 필라멘트의 수축률과 Tg를 고려한 열 인가 지점 및 시간을 프로그래밍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에 의한 자동제어 방식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대량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MS-PT 효과를 갖는 스트랜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우선 스트랜드 길이 방향에 수직한 CMD 방향의 부분 장력에 해당하는 회전꼬임(RT), 교차꼬임(CT) 및/또는 브레이딩의 정도 및 스트랜드에 인가되는 온도 등을 PLC 자동 제어를 통해 증감의 경사 조건(gradient condition)을 설정하여 스트랜드의 일정 부분마다(일정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PT를 유도하여 MS-PT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이때, 스트랜드에 가해지는 회전꼬임, 교차꼬임 및/또는 브레이딩의 물리적인 장력을 정상적으로 혹은 테이퍼링을 주면서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열수축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일정한 굵기의 PN 구간 및 테이퍼링된 굵기의 스트랜드 제1 및 제2 PT 구간을 갖는 스트랜드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트랜드에 가해지는 물리적 에너지, 즉 열량(가열 온도, 인가 시간), 장력 및 압축력 조절을 통하여 제1 PT 구간에서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들의 수축률을 테이퍼링지게 조절함으로써, 즉 수축률이 점점 작아지다가(하향 테이퍼링) 다시 제2 PT 구간에서 수축률이 점점 커지도록 조절함(상향 테이퍼링)으로써, 스트랜드의 경사 굵기 구간이 스트랜드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일정 간격마다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PT 구간을 유도하는 필라멘트들의 수축률에 큰 영향을 미치는 열량은 열원 온도 및 열원 인가 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수축률을 테이퍼링지게 제어하는 힘은 스트랜드의 MD 방향의 장력 및 CMD 방향의 수직 압력(압착력) 등으로 자동 제어 장치에 의해 그 정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원하는 PT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제조되고 있는 스트랜드에 회전꼬임이나 교차꼬임이 많이 가해지면 스트랜드가 굵어져야 하나 반대로 스트랜드 CMD 방향으로 인가되는 장력이 커져서 수축 자유도가 제한되면서 스트랜드가 점점 얇아지는 현상(이하 '역현상'이라 지칭함)이 일어난다. 상기 역현상을 이용함으로써 스트랜드 내의 필라멘트들의 경사 굵기 수축 및 이 보다 더 큰 경사 텍스처 수축(GTS)을 일으켜 PT 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제조 공정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즉 제조 공정은 i) 전공정 연신방사된 필라멘트를 적정한 회전꼬임, 교차꼬임 및/또는 브레이딩의 물리력을 가하는 공정, 및 ii) 상기 물리력이 부여된 필라멘트들의 스트랜드에 열량을 가하는 공정(열수축 공정)으로 나눌 수 있다, 즉 일정량의 필라멘트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스트랜드, 또는 다수의 스트랜드에 회전 꼬임, 교차꼬임 및/또는 브레이딩을 인가하고 열수축을 유도하는 공정이 연속 공정으로 진행될 수도 있고 2 단계로 나누어 진행될 수도 있다. 이때, 열수축 챔버들의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열수축 공정을 진행하는 경우 많은 열챔버를 갖추어야 할 뿐 아니라 그 구간을 통과하는 스트랜드 길이를 세분하여 제어하기 어렵다. 따라서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는 열챔버에 체류하는 시간을 조정하여 열수축 정도를 조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이 방법 역시 체류하는 스트랜드 구간을 최대한 세분화시켜 제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열수축 챔버 구간이 아주 세분화되지 않는 한 제1 및 제2 PT 구간을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열수축 챔버의 열수축 온도 및 체류시간을 일정하게 한 상태에서 전공정의 수축자유도 제어를 통하여 제1 및 제2 PT 구간 형성하는 것이 편리하다. 즉 스트랜드 단위 길이 즉 1 미터당 회전꼬임수(단순 스트랜드의 경우), 교차꼬임수(CT) 및/또는 브레이딩수를 제어하여 인가되는 CMD 방향의 힘을 제1 및 제2 PT 구간을 형성하여야 하는 구간에서 경사(gradation)을 주는 방식으로 하여 수축 자유도에 경사(gradient)를 유도함으로써 상술한 구조적 특징을 갖는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를 제조할 수 있다. 제1 및 제2 PT 구간에서는 경사 수축률 제어 뿐만 아니라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들의 수축후 굵기에 경사 특성을 부여할 수도 있고 동시 발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스트랜드의 제조 공정에서는 필라멘트들의 텍스처 수축(TS) 및 굵기 수축이 모두 일어나지만 주로 텍스처 수축에 의존적인 PT 효과를 갖게 된다. 하지만 완성 가발 제품의 PT 구간의 선단부에서 보다 날카로운 단부를 얻기 위해 필라멘트들의 굵기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스트랜드 길이 양방향으로 열연신을 행함으로써 회전꼬임, 교차꼬임 및/또는 브레이딩이 감소된 제품도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랜드에 포함한다. 이밖에 열연신과 더불어 트위스팅, 브레이딩, 러빙 등으로 로킹(locking)된 단부를 갖는 제품도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랜드에 포함된다.
특정 구현예들 및 실시예들이 논의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청구항들의 범위가 상기 특별히 논의된 구현예들을 벗어나 다른 대안의 구현예들 및/또는 용도들 및 자명한 변형들 및 이들의 등가물에까지 연장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0)

  1.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로서,
    상기 연속 스트랜드는 복수의 필라멘트들이 자전(rotation)에 의한 회전 꼬임(rotational twist)에 의해 형성된 외형을 갖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단순 스트랜드; 또는 복수의 상기 단순 스트랜드들이 공전(revolution)에 의한 교차꼬임(cross-twist) 및/또는 브레이딩(braiding)에 의해 형성된 외형을 갖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합 스트랜드의 형태이고,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순 스트랜드는 비결정성 유기 폴리머, 반결정성 유기 폴리머, 또는 이들의 폴리머 알로이를 포함하는 40 내지 4,000개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필라멘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는 각각 원형; 타원형; 또는 삼각형, 사각형 및 오각형 중에서 선택된 다각형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면 형태를 가지며, 상기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인 경우 이의 직경 또는 최장 직경은 0.2 cm 내지 3.0 cm의 범위에 있고, 상기 단면이 상기 다각형인 경우 이의 적어도 어느 한 변의 길이는 0.2 cm 내지 3.0 cm의 범위에 있고,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는 각각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일정한 크기의 제1 단면적을 갖는 PN(Pencil Normal) 구간, 상기 PN 구간이 종료하는 양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하며 단면적이 감소하는 방식으로 테이퍼링된 두 개의 제1 PT(Pencil Tapering) 구간, 상기 두 개의 제1 PT 구간의 감소된 단면적을 갖는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하며 상기 감소된 단면적이 다시 증가하는 방식으로 테이퍼링된 두 개의 제2 PT 구간, 및 각각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 PT 구간과 상기 제2 PT 구간을 연결하며 일정한 크기의 제2 단면적을 갖는 두 개의 PC(Pencil Connection) 구간(PT-PN-PT 반복 단위 구간의 연결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PN 구간, 및 상기 PN 구간의 양 단부에 이어지는 상기 두 개의 제1 PT 구간으로 이루어진 좌우 대칭 구간을 1 사이클로 하였을 때,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는 각각 2개 이상의 복수의 사이클을 반복적으로 포함하며, 이웃하는 상기 1 사이클들이 서로 상기 PC 구간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단면적은 상기 제2 단면적보다 더 크며,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를 각각 1 사이클의 상기 PN 구간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제1 PT 구간만을 갖는 상기 1 사이클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분리하였을 때, 이와 같이 하여 분리된 필라멘트들에게 부여된 텍스처 및 웨이브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필라멘트들의 길이를 측정하였을 때, 최장 필라멘트의 길이 Lmax와 최단 필라멘트의 길이 Lmin의 차이 Ld 및 상기 분리된 1 사이클의 일부분에 포함된 제1 PT 구간 길이 Lpt는 서로 같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복수의 사이클에 포함된 각각의 1 사이클의 중앙부에 포함된 상기 PN 구간들의 각각의 단면적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를 각각 1 사이클의 상기 PN 구간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제1 PT 구간만을 갖는 상기 1 사이클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분리하였을 때, 이와 같이 하여 분리된 상기 필라멘트들에 부여된 텍스처 및 웨이브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필라멘트들의 길이를 측정하였을 때 상기 필라멘트들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를 각각 상기 PN 구간 또는 상기 제1 PT 구간 또는 제2 PT 구간을 각각 따로 절단 분리하였을 때, 이와 같이 하여 분리된 각 구간 내의 필라멘트들의 길이는 상기 필라멘트들에 부여된 텍스처 및 웨이브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직선 길이를 측정하였을 때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2개, 3개 또는 4개의 다단계 길이군(length groups)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의 단위 길이에 작용하는 상기 회전꼬임, 상기 교차 꼬임 및 상기 브레이딩 중의 적어도 하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사 장력이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에 가해짐으로써 그에 따른 수축 제어 효과로 인해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의 상기 제1 및 제2 PT 구간의 선단부로 갈수록 상기 단면적이 감소하는 경사 단면적을 가지며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PN 구간과 연결된 복수의 제1 및 제2 PT 구간은 상기 필라멘트들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른 경사 수축(GS)에 의하여 실현되고, 이때 상기 경사 수축에 의하여 상기 필라멘트들의 굵기(데니어)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PT 구간에서 감소하고 상기 제2 PT 구간에서 증가하는 경사 굵기(GT 또는 경사 데니어(GD)) 및 상기 필라멘트들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 부피 비율인 공극률(porosity)이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PT 구간에서 감소하고 상기 제2 PT 구간에서 증가하는 경사공극률(GP) 중의 적어도 하나가 발현되는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
  7.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PN 구간과 연결된 복수의 제1 및 제2 PT 구간은 상기 필라멘트들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른 경사 수축(GS)에 의하여 실현되고, 이때 상기 경사 수축에 의하여 상기 필라멘트들의 경사 굵기(GT 또는 경사 데니어(GD)) 만이 발현되어 상기 필라멘트들의 굵기(데니어)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PT 구간에서 감소하고 상기 제2 PT 구간에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
  8.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PN 구간과 연결된 복수의 제1 및 제2 PT 구간은 상기 필라멘트들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른 경사 수축에 의하여 실현되고, 이때 상기 필라멘트들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 부피 비율인 공극률(porosity) 이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PT 구간에서 감소하고 상기 제2 PT 구간에서 증가하는 경사 공극률(GP)만이 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PT 구간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러빙 로크(RL: rubbing lock), 회전꼬임 로크, 교차꼬임 로크(CTL: cross-twisted lock) 및 브레이딩 로크(BL: braiding lock) 부분은 제외하고 측정하였을 때, 상기 제1 및 제2 PT 구간의 선단부에서의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의 단위 길이에 작용하는 회전꼬임, 교차꼬임 및 브레이딩의 총합이 상기 PN 구간에서의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의 단위 길이에 작용하는 회전꼬임, 교차-꼬임 및 브레이딩의 총합보다 1.2 내지 5.5 배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N 구간; 및 상기 제1 및 제2 PT 구간의 공극률은 진밀도 대 벌크 밀도의 비율(RD/BD)로 계산되며,
    상기 PN 구간의 상기 RD/BD 비율은 1.5 내지 30이고, 및
    상기 제1 및 제2 PT 구간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러빙 로크, 회전꼬임 로크, 교차꼬임 로크 및 브레이딩 로크 부분은 제외하고 측정하였을 때, 상기 PN 구간의 상기 RD/BD 비율은 상기 제1 및 제2 PT 구간의 상기 RD/BD 비율보다 1.2 내지 10배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N 구간은 원기둥, 타원기둥, 사각기둥 또는 오각기둥의 입체적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제1 및 제2 PT 구간은 원기둥 형상의 상기 PN 구간의 원형 단면을 밑면으로 하는 원뿔대, 타원기둥 형상의 상기 PN 구간의 타원형 단면을 밑면으로 하는 타원뿔대, 사각기둥 형상의 상기 PN 구간의 사각형 단면을 밑면으로 하는 사각뿔대, 또는 오각기둥 형상의 상기 PN 구간의 오각형 단면을 밑면으로 하는 오각뿔대의 입체적 형상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PT 구간의 측면도에서 상기 제1 및 제2 PT 구간의 상기 원뿔대, 상기 타원뿔대, 상기 사각뿔대 또는 상기 오각뿔대의 밑면이 나타내는 선분의 중심점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원뿔대, 상기 타원뿔대, 상기 사각뿔대 또는 상기 오각뿔대의 윗면이 나타내는 선분의 중심점을 연결하여 형성된 중심선이 상기 원뿔대, 상기 타원뿔대, 상기 사각뿔대 또는 상기 오각뿔대의 어느 하나의 빗변과 이루는 각도가 0.3 내지 45도이고,
    상기 제1 및 제2 PT 구간의 측면도에서 상기 제1 및 제2 PT 구간의 상기 밑면이 나타내는 선분의 중심점에서 상기 윗면이 나타내는 선분의 중심점을 연결하여 형성된 중심선의 길이가 1 내지 50 센티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
  13.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T 구간에서 상기 단면적 감소는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들 사이의 공극률 감소 및/또는 상기 필라멘트들의 굵기 감소의 결과이며,
    상기 제1 및 제2 PT 구간에서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는 중심부가 비어 있는 중공(hollow) 형태가 아니라 중심부가 비어 있지 않은 중실(solid)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
  14.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이클이 반복하는 패턴은 상기 PN 구간의 중간 지점에서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자른 가상선을 기준으로 선대칭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
  15.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 각각은 1 m 이상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
  16.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들 각각은 30 내지 180 denier의 굵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
  17.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N 구간의 길이는 5 내지 200 cm, 상기 제1 및 제2 PT 구간은 각각 1 내지 50 cm, 및 상기 PC 구간은 0.3 내지 5cm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
  18.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는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
  1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순 스트랜드 및 상기 복합 스트랜드는 비결정성 유기 폴리머, 반결정성 유기 폴리머, 또는 이들의 폴리머 알로이로부터 선택된 1종의 폴리머 성분으로 이루어진 필라멘트들로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
  2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가발.

KR1020210110345A 2020-08-20 2021-08-20 다수의 필라멘트들을 포함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 굵기 구간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 및 이로 제조된 가발 KR1026241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4806 2020-08-20
KR1020200104806 2020-08-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317A KR20220023317A (ko) 2022-03-02
KR102624139B1 true KR102624139B1 (ko) 2024-01-12

Family

ID=80322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345A KR102624139B1 (ko) 2020-08-20 2021-08-20 다수의 필라멘트들을 포함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 굵기 구간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 및 이로 제조된 가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00476A1 (ko)
KR (1) KR102624139B1 (ko)
CN (1) CN115023157A (ko)
WO (1) WO2022039569A1 (ko)
ZA (1) ZA202303686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54086A1 (en) 2018-08-20 2020-02-20 Laura Mayer Hair Piece
WO2020075714A1 (ja) 2018-10-12 2020-04-16 株式会社カネカ 人工毛髪、人工毛髪ユニット、人工毛髪の施術方法、及び人工毛髪ユニットの施術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0291A (en) * 1972-10-02 1975-10-07 Nak Yang Kim Artificial hai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70141571A (ko) * 2016-06-15 2017-12-26 이광현 변형성 가발 및 가발의 변형방법
WO2019143130A2 (ko) * 2018-01-16 2019-07-25 주식회사 와이지켐 수세성 및 컬가공시 분리성을 가지며 열 표면 융착에 의하여 결합된 필라멘트들로 이루어진 연속 스트랜드, 이를 이용한 웨트룩 가발 및 이의 제조방법
EP3741243A4 (en) * 2018-01-16 2020-11-25 YG Chem Co., Ltd. M &XC8; CHE CONTINUOUS OF FILAMENTS HAVING A CHARACTER OF GRADIENT LENGTH IMPLEMENTED BY A WAVY TEXTURE &XC9; E AND A SPIRAL ROTATIONAL TORSION, AND ITS PROCESS &XC9; D &XC9; MANUFACTUR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54086A1 (en) 2018-08-20 2020-02-20 Laura Mayer Hair Piece
WO2020075714A1 (ja) 2018-10-12 2020-04-16 株式会社カネカ 人工毛髪、人工毛髪ユニット、人工毛髪の施術方法、及び人工毛髪ユニットの施術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39569A1 (ko) 2022-02-24
CN115023157A (zh) 2022-09-06
KR20220023317A (ko) 2022-03-02
ZA202303686B (en) 2023-12-20
US20230200476A1 (en)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0209B2 (en) Continuous strand of filaments having gradient-length characteristic implemented by kinky texture and spiral rotational twis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RU2401020C2 (ru) Парик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5127443B2 (ja) 人工毛髪及びそれを用いたかつら
US20200337401A1 (en) Continuous strand having water washability and separability during curling process and comprising filaments bonded to each other by thermal surface bonding, wet look wig us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100037907A1 (en) Wi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EP0742294B1 (en) Fiber for artificial hair having excellent bulkiness
TW201125507A (en) Manufacturing method of artificial eyelashes and its product
JPWO2004106600A1 (ja) 人工毛髪用繊維
KR102624139B1 (ko) 다수의 필라멘트들을 포함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 굵기 구간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가발용 연속 스트랜드 및 이로 제조된 가발
CN106455797A (zh) 用于个人护理涂敷器的刷毛部件
WO2010090191A1 (ja) かつら
OA21128A (en) Continuous strand for wig, which includes multiple filaments and in which inclined thickness section is repeatedly formed along lengthwise direction thereof, and wig manufactured using same.
JP4621206B2 (ja) 人形頭髪用繊維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人形頭髪
CN116367752A (zh) 用于假发的压缩型纹理股线及其制造方法
OA19810A (en) Continuous strand of filaments having gradient-length characteristic implemented by kinky texture and spiral rotational twis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06507663B (zh) 个人护理涂敷器
OA19812A (en) Continuous strand having water washability and separability during curling process and comprising filaments bonded to each other by thermal surface bonding, wet look wig us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22128879A (ja) 自然な外観を有する複数の繊維束を有する人工毛髪
JP2022114799A (ja) 人工毛髪の製造方法及び人工毛髪
JP2002285422A (ja) 嵩高性の改良された人工毛髪繊維束の梱包方法
JP2022100519A (ja) 造花の花弁にシワを造形する方法
RU2418553C2 (ru) Парик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H11123284A (ja) 人形頭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