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853B1 - 아이들 롤러 고무커버 자동 탈거 장치 - Google Patents

아이들 롤러 고무커버 자동 탈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853B1
KR102623853B1 KR1020230094518A KR20230094518A KR102623853B1 KR 102623853 B1 KR102623853 B1 KR 102623853B1 KR 1020230094518 A KR1020230094518 A KR 1020230094518A KR 20230094518 A KR20230094518 A KR 20230094518A KR 102623853 B1 KR102623853 B1 KR 102623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idle roller
rubber cover
cov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4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석준
Original Assignee
오석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석준 filed Critical 오석준
Priority to KR1020230094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8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8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4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03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수작업으로 탈거하던 컨베이어 밸트를 지지하는 아이들 롤러에 설치되는 고무커버를 자동으로 탈거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아이들 롤러 고무커버 자동 탈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선반부; 상기 선반부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어 고무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아이들 롤러의 일측을 체결한 뒤 상기 아이들 롤러를 회전 구동시켜 주는 제1 회전 체결부; 상기 제1 회전 체결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선반부의 상단 타측에 설치되어 고무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아이들 롤러의 타측을 체결한 뒤 상기 제1 회전 체결부와 함께 상기 아이들 롤러를 회전 구동시켜 주는 제2 회전 체결부; 및 상기 선반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회전 체결부와 상기 제2 회전 체결부에 의해 회전 중인 상기 아이들 롤러로부터 고무커버를 탈거시켜 주는 절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아이들 롤러 고무커버 자동 탈거 장치{Automatic removal device for idle roller rubber cover}
본 발명은 아이들 롤러 고무커버 자동 탈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수작업으로 탈거하던 컨베이어 밸트를 지지하는 아이들 롤러에 설치되는 고무커버를 자동으로 탈거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아이들 롤러 고무커버 자동 탈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는 물품을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쉽게 이동시킬 때에 사용되고, 특히 최선단 또는 최후단의 롤러와 특정 부분에만 동력원이 가해지고 그 외의 대부분의 롤러는 무부하 상태를 유지하여 피 이송물품에 의해 회전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컨베이어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컨베이어가 사용되고 있고 대표적인 예로서 벨트컨베이어와 롤러컨베이어 등이 있다.
그러나 산업현장이 대형화되고 그에 따라 관련 설비에 사용되는 부품이 대형화되면서 컨베이어는 고중량화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아이들 롤러는, 겉부분이 고무로 쌓여있는데 폐기시에 그 고무를 벗겨내고 폐기하여야 한다.
환경 및 자원순환 문제로 정부에서는 고무를 벗겨내지 않으면 폐기물로 받아주지 않는 바, 현재는 포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칼로 그어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탈거하여 제거하는 실정이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26137호 (2008.04.29. 공고)
본 발명의 일측면은 종래 수작업으로 탈거하던 컨베이어 밸트를 지지하는 아이들 롤러에 설치되는 고무커버를 자동으로 탈거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아이들 롤러 고무커버 자동 탈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들 롤러 고무커버 자동 탈거 장치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선반부; 상기 선반부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어 고무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아이들 롤러의 일측을 체결한 뒤 상기 아이들 롤러를 회전 구동시켜 주는 제1 회전 체결부; 상기 제1 회전 체결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선반부의 상단 타측에 설치되어 고무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아이들 롤러의 타측을 체결한 뒤 상기 제1 회전 체결부와 함께 상기 아이들 롤러를 회전 구동시켜 주는 제2 회전 체결부; 및 상기 선반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회전 체결부와 상기 제2 회전 체결부에 의해 회전 중인 상기 아이들 롤러로부터 고무커버를 탈거시켜 주는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선반부의 후단을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이동 레일; 상기 수평 이동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수평 이동 슬라이더; 상기 수평 이동 슬라이더의 전단에 설치되는 밀착 실린더; 및 상기 밀착 실린더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밀착 실린더가 신장 구동됨에 따라 회전 중인 상기 아이들 롤러에 밀착되어 상기 아이들 롤러로부터 고무커버를 절개시킨 뒤 상기 수평 이동 슬라이더가 수평 이동함에 따라 함께 수평 이동하면서 상기 아이들 롤러로부터 고무커버를 탈거시켜 주는 절개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개 블레이드는, 상기 밀착 실린더의 전단에 설치되는 지지 바디; 상기 지지 바디의 전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지지 바디의 내측을 따라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에 안착되는 지지 블록; 상기 이너 하우징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블록의 후단을 지지하는 블록 지지부; 개구부가 형성되는 상기 이너 하우징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블록의 전단을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 및 상기 지지 블록의 전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지지 스프링의 내측을 따라 배치된 뒤 상기 이너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지지 바디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 지지부는, 상기 지지 블록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블록을 지지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이너 하우징의 후단에 설치되는 제2 지지 플레이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회전 연결 베어링부; 상기 회전 연결 베어링부에 의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커버부;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부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커버부의 내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전 커버부를 지지하는 커버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커버부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커버 바디; 상기 회전 연결 베어링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연결 베어링부의 체결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 바디의 상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체결 헤드; 상기 커버 지지부가 삽입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바디의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 지지부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형성하면서 상기 커버 바디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 안착홈; 상기 지지부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상의 선인 나선 라인; 및 상기 나선 라인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열을 지어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 안착홈으로 노출되는 전단을 따라 기어산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기어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 안착홈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 플레이부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 안착홈의 내측에 안착된 뒤 상기 기어 블록의 기어산과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커버 바디를 지지하는 전달 부재; 상기 제2 지지 플레이부의 상단 중앙에 직립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전달 부재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전달 부재를 경유하여 상기 회전 커버부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부의 상단에서 상기 회전 부재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을 저지시켜 주는 동시에 외력에 의해 회전된 상기 회전 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주는 다수 개의 리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지지부 안착홈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 플레이부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전달 바디; 상기 회전 부재가 삽입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전달 바디의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 부재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형성하면서 상기 전달 바디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 안착홈; 상기 다수 개의 기어 블록이 모두 안착되는 동시에 상기 커버 바디로 외력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다수 개의 기어 블록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나선 라인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전달 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어 이동홈; 및 상기 기어 이동홈과 대향하면서 상기 전달 바디의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반복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되, 각각의 일단이 상기 기어 이동홈으로 노출되어 상기 기어 블록의 기어산에 기어 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각각의 타단이 상기 기둥 안착홈으로 노출되어 상기 회전 부재와 기어 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전달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제2 지지 플레이부의 상단 중앙에 직립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되, 상기 기둥 안착홈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기둥 안착홈에 삽입 안착되는 회전 기둥; 상기 기둥 안착홈으로 노출되는 상기 다수 개의 전달 기어의 각각의 기어산과 기어 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기둥의 외측을 따라 형성되는 물림 기어; 및 상기 회전 기둥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리턴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다수 개의 기둥 지지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턴 부재는, 상기 기둥 지지 날개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 플레이부의 상단에 함몰 형성되되, 상기 회전 기둥이 기 설정된 각도만큼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기둥의 회전시 상기 기둥 지지 날개의 이동 궤적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지지 플레이부의 상단에 함몰 형성되는 지지 날개 안착홈; 상기 기둥 지지 날개가 안착된 뒤 상기 지지 날개 안착홈의 일측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기둥 지지 날개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날개 지지 스프링; 및 상기 기둥 지지 날개가 안착된 뒤 상기 지지 날개 안착홈의 타측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기둥 지지 날개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날개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종래 수작업으로 탈거하던 컨베이어 밸트를 지지하는 아이들 롤러에 설치되는 고무커버를 자동으로 탈거하여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들 롤러 고무커버 자동 탈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절개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절개 블레이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블록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들 롤러 고무커버 자동 탈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들 롤러 고무커버 자동 탈거 장치(10)는, 선반부(100), 제1 회전 체결부(200), 제2 회전 체결부(300) 및 절개부(400)를 포함한다.
선반부(100)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회전 체결부(200), 제2 회전 체결부(300) 및 절개부(40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제1 회전 체결부(200)는, 선반부(100)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어 고무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아이들 롤러(20)의 일측을 체결한 뒤 아이들 롤러(20)를 회전 구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회전 체결부(200)는, 아이들 롤러(20)의 일측을 체결한 뒤 회전시킬 수 있도록 신장 및 수축과 회전 구동이 가능한 회전 클램핑 장치(21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회전 체결부(300)는, 제1 회전 체결부(200)와 대향하면서 선반부(100)의 상단 타측에 설치되어 고무커버(21)가 설치되어 있는 아이들 롤러(20)의 타측을 체결한 뒤 제1 회전 체결부(200)와 함께 아이들 롤러(20)를 회전 구동시켜 준다.
절개부(400)는, 선반부(100)의 후단에 설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회전 체결부(200)와 제2 회전 체결부(300)에 의해 회전 중인 아이들 롤러(20)로부터 고무커버(21)를 탈거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들 롤러 고무커버 자동 탈거 장치(10)는, 종래 수작업으로 탈거하던 컨베이어 밸트를 지지하는 아이들 롤러에 설치되는 고무커버를 자동으로 탈거하여 제거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절개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절개부(400)는, 수평 이동 레일(410), 수평 이동 슬라이더(420), 밀착 실린더(430) 및 절개 블레이드(500)를 포함한다.
수평 이동 레일(410)은, 수평 이동 슬라이더(420)가 연결 설치되어 탈거 공정에 대응하여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선반부(100)의 후단을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수평 이동 슬라이더(420)는, 수평 이동 레일(410)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밀착 실린더(430)는, 수평 이동 슬라이더(420)의 전단에 설치되어 탈거 공정이 시작되면 신장 구동되어 절개 블레이드(500)를 아이들 롤러(20)에 밀착시켜 주고, 탈거 공정이 모두 완료되면 수축 구동되어 절개 블레이드(500)를 아이들 롤러(20)로부터 분리시켜 준다.
절개 블레이드(500)는, 밀착 실린더(430)의 전단에 설치되며, 밀착 실린더(430)가 신장 구동됨에 따라 회전 중인 아이들 롤러(20)에 밀착되어 아이들 롤러(20)로부터 고무커버(21)를 절개시킨 뒤 수평 이동 슬라이더(420)가 수평 이동함에 따라 함께 수평 이동하면서 아이들 롤러(20)로부터 고무커버(21)를 탈거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절개부(400)는, 절개 블레이드(500)를 회전 중인 아이들 롤러(20)에 밀착시켜 아이들 롤러(20)에 설치되어 있는 고무커버(21)를 원주 방향으로 절개하는 동시에 절개 블레이드(50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고무커버(21)를 길이 방향으로 나선을 그리면서 절개시킴으로써, 아이들 롤러(20)에 설치되어 있는 고무커버(21)를 효과적으로 탈거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절개 블레이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절개 블레이드(500)는, 지지 바디(510), 이너 하우징(520), 지지 블록(530), 블록 지지부(700), 지지 스프링(540) 및 블레이드(550)를 포함한다.
지지 바디(510)는, 밀착 실린더(430)의 전단에 설치된다.
이너 하우징(520)은, 지지 바디(510)의 전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지지 바디(510)의 내측을 따라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지지 블록(530)은, 블록 지지부(700)와 지지 스프링(540)에 의해 지지되어 이너 하우징(520)에 안착된다.
블록 지지부(700)는, 이너 하우징(520)의 후단에 설치되어 지지 블록(530)의 후단을 지지한다.
지지 스프링(540)은, 개구부가 형성되는 이너 하우징(520)의 전단에 설치되어 지지 블록(530)의 전단을 지지한다.
블레이드(550)는, 지지 블록(530)의 전단에 고정 설치되며, 지지 스프링의 내측을 따라 배치된 뒤 이너 하우징(520)의 개구부를 통해 지지 바디(510)의 전방으로 노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절개 블레이드(500)는,
블레이드(550)를 지지하는 블록 지지부(700)와 지지 스프링(540)을 이용하여 블레이드(550)와 아이들 롤러(20) 간의 밀착 시 블레이드(550)가 밀착 실린더(430)에 의한 과도한 힘으로 아이들 롤러(20)에 밀착됨에 따른 충격을 방지함으로써, 블레이드(550)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적당한 힘으로 블레이드(550)가 고무커버(21)를 절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블록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블록 지지부(700)는, 제1 지지 플레이트부(710), 제2 지지 플레이부(720), 회전 연결 베어링부(730), 회전 커버부(740) 및 커버 지지부(7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블록 지지부(7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플레이트부(710)가 전방에 위치하고 제2 지지 플레이부(720)가 제1 지지 플레이트부(710)로부터 이격되어 후방에 위치하는 것과 같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지지 플레이트부(710)가 상측에 위치하고 제2 지지 플레이부(720)가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지지 플레이트부(710)는, 지지 블록(530)의 후단에 설치되어 지지 블록(530)을 지지하며, 저면에 회전 연결 베어링부(730)이 설치된다.
제2 지지 플레이부(720)는, 제1 지지 플레이트부(710)로부터 이격되어 제1 지지 플레이트부(710)와 대향하면서 이너 하우징(520)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단에 커버 지지부(750)가 연결 설치된다.
회전 연결 베어링부(730)는, 제1 지지 플레이트부(710)의 하측에 설치되어 회전 커버부(740)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회전 커버부(740)는, 회전 연결 베어링부(730)에 의해 제1 지지 플레이트부(7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 커버부(740)는, 커버 바디(741), 체결 헤드(742), 지지부 안착홈(743) 및 다수 개의 기어 블록(745)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바디(741)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체결 헤드(742), 지지부 안착홈(743) 및 다수 개의 기어 블록(745)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체결 헤드(742)는, 회전 연결 베어링부(73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회전 연결 베어링부(730)의 체결홈(731)의 형상에 대응하여 커버 바디(741)의 상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지지부 안착홈(743)은, 커버 지지부(750), 즉, 전달 바디(7511)가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배치될 수 있도록 커버 바디(741)의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고 커버 지지부(75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형성하면서 커버 바디(741)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나선 라인(744)은, 다수 개의 기어 블록(745)이 열을 지어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부 안착홈(743)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상의 선으로 이루어진다.
다수 개의 기어 블록(745)은, 나선 라인(744)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열을 지어 설치되며, 전달 기어(7514)에 기어 결합에 의해 맞물릴 수 있도록 지지부 안착홈(743)으로 노출되는 전단을 따라 기어산을 형성한다.
커버 지지부(750)는, 제2 지지 플레이부(720)의 상단에 설치되며, 회전 커버부(740)의 내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회전 커버부(74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 지지부(750)는, 전달 부재(751), 회전 부재(752) 및 다수 개의 리턴 부재(75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 부재(751)는, 지지부 안착홈(743)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지지 플레이부(72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지지부 안착홈(743)의 내측에 안착된 뒤 기어 블록(745)의 기어산과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커버 바디(741)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달 부재(751)는, 전달 바디(7511), 기둥 안착홈(7512), 기어 이동홈(7513) 및 전달 기어(7514)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 바디(7511)는, 지지부 안착홈(743)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지지 플레이부(720)의 상단(721)에 고정 설치되며, 기둥 안착홈(7512), 기어 이동홈(7513) 및 전달 기어(7514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기둥 안착홈(7512)은, 회전 부재(752)가 삽입 배치될 수 있도록 전달 바디(7511)의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고 회전 부재(752)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형성하면서 전달 바디(7511)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기어 이동홈(751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기어 블록(745)이 모두 안착되는 동시에 커버 바디(741)로 외력이 전달됨에 따라 다수 개의 기어 블록(745)이 이동할 수 있도록 나선 라인(744)의 형상에 대응하여 전달 바디(7511)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다.
전달 기어(7514)는, 기어 이동홈(7513)과 대향하면서 전달 바디(7511)의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반복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일단이 기어 이동홈(7513)으로 노출되어 기어 블록(745)의 기어산에 기어 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각각의 타단이 기둥 안착홈(7512)으로 노출되어 회전 부재(752)와 기어 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회전 부재(752)는, 제2 지지 플레이부(720)의 상단 중앙에 직립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전달 부재(75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연결 설치되며, 전달 부재(751)를 경유하여 회전 커버부(740)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회전된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 부재(752)는, 회전 기둥(7521), 물림 기어(7522) 및 다수 개의 기둥 지지 날개(752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기둥(7521)은, 제2 지지 플레이부(720)의 상단 중앙에 직립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다수 개의 기둥 지지 날개(7523)에 의해 지지되되, 기둥 안착홈(7512)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기둥 안착홈(7512)에 삽입 안착된다.
물림 기어(7522)는, 기둥 안착홈(7512)으로 노출되는 다수 개의 전달 기어(7514)의 각각의 기어산과 기어 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회전 기둥(7521)의 외측을 따라 형성된다.
다수 개의 기둥 지지 날개(7523)는, 회전 기둥(7521)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어 리턴 부재(753)에 의해 지지된다.
다수 개의 리턴 부재(753)는, 제2 지지 플레이부(720)의 상단에서 회전 부재(752)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어 회전 부재(752)의 회전을 저지시켜 주는 동시에 외력에 의해 회전된 회전 부재(752)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리턴 부재(753)는, 지지 날개 안착홈(7531), 제1 날개 지지 스프링(7532) 및 제2 날개 지지 스프링(7533)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날개 안착홈(7531)은, 기둥 지지 날개(7523)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2 지지 플레이부(720)의 상단에 함몰 형성되되, 회전 기둥(7521)이 기 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5 내지 20 º 등)만큼만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기둥(7521)의 회전시 기둥 지지 날개(7523)의 이동 궤적에 대응하여 제2 지지 플레이부(720)의 상단에 함몰 형성된다.
제1 날개 지지 스프링(7532)은, 기둥 지지 날개(7523)가 안착된 뒤 지지 날개 안착홈(7531)의 일측 공간에 설치되어 기둥 지지 날개(7523)의 일측을 지지한다.
제2 날개 지지 스프링(7533)은, 기둥 지지 날개(7523)가 안착된 뒤 지지 날개 안착홈(7531)의 타측 공간에 설치되어 기둥 지지 날개(7523)의 타측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블록 지지부(700)는, 제1 지지 플레이트부(710)와 제2 지지 플레이부(720) 간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회전 커버부(740)의 내측으로 커버 지지부(750)가 회전하면서 삽입되거나 제1 지지 플레이트부(710)와 제2 지지 플레이부(720) 간의 간격이 늘어남에 따라 회전 커버부(740)의 내측으로부터 커버 지지부(750)가 회전하면서 노출되면서 제1 지지 플레이트부(710)와 제2 지지 플레이부(720)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준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아이들 롤러 고무커버 자동 탈거 장치
100: 선반부
200: 제1 회전 체결부
300: 제2 회전 체결부
400: 절개부

Claims (8)

  1.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선반부;
    상기 선반부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어 고무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아이들 롤러의 일측을 체결한 뒤 상기 아이들 롤러를 회전 구동시켜 주는 제1 회전 체결부;
    상기 제1 회전 체결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선반부의 상단 타측에 설치되어 고무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아이들 롤러의 타측을 체결한 뒤 상기 제1 회전 체결부와 함께 상기 아이들 롤러를 회전 구동시켜 주는 제2 회전 체결부; 및
    상기 선반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회전 체결부와 상기 제2 회전 체결부에 의해 회전 중인 상기 아이들 롤러로부터 고무커버를 탈거시켜 주는 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선반부의 후단을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이동 레일;
    상기 수평 이동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수평 이동 슬라이더;
    상기 수평 이동 슬라이더의 전단에 설치되는 밀착 실린더; 및
    상기 밀착 실린더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밀착 실린더가 신장 구동됨에 따라 회전 중인 상기 아이들 롤러에 밀착되어 상기 아이들 롤러로부터 고무커버를 절개시킨 뒤 상기 수평 이동 슬라이더가 수평 이동함에 따라 함께 수평 이동하면서 상기 아이들 롤러로부터 고무커버를 탈거시켜 주는 절개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절개 블레이드는,
    상기 밀착 실린더의 전단에 설치되는 지지 바디;
    상기 지지 바디의 전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지지 바디의 내측을 따라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에 안착되는 지지 블록;
    상기 이너 하우징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블록의 후단을 지지하는 블록 지지부;
    개구부가 형성되는 상기 이너 하우징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블록의 전단을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 및
    상기 지지 블록의 전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지지 스프링의 내측을 따라 배치된 뒤 상기 이너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지지 바디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 지지부는,
    상기 지지 블록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블록을 지지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이너 하우징의 후단에 설치되는 제2 지지 플레이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회전 연결 베어링부;
    상기 회전 연결 베어링부에 의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커버부;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부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커버부의 내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전 커버부를 지지하는 커버 지지부;를 포함하는, 아이들 롤러 고무커버 자동 탈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30094518A 2023-07-20 2023-07-20 아이들 롤러 고무커버 자동 탈거 장치 KR102623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4518A KR102623853B1 (ko) 2023-07-20 2023-07-20 아이들 롤러 고무커버 자동 탈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4518A KR102623853B1 (ko) 2023-07-20 2023-07-20 아이들 롤러 고무커버 자동 탈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853B1 true KR102623853B1 (ko) 2024-01-10

Family

ID=89511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4518A KR102623853B1 (ko) 2023-07-20 2023-07-20 아이들 롤러 고무커버 자동 탈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85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9897A (ja) * 2000-03-24 2001-10-02 Toho Gas Co Ltd 被覆管用被覆材除去装置
KR100541774B1 (ko) * 2004-07-28 2006-01-11 정희종 고무롤러의 피복제거장치
KR100826137B1 (ko) 2006-11-22 2008-04-29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컨베이어의 아이들러 롤러
KR20100011319U (ko) * 2009-05-12 2010-11-22 (주)아성화학 고무롤러의 지지축 고무 잔존물 제거장치
KR101508510B1 (ko) * 2014-11-12 2015-04-14 새서울고무롤(주) 고무롤러 가공장치
KR102543012B1 (ko) * 2023-02-17 2023-06-13 김학규 롤러 연마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9897A (ja) * 2000-03-24 2001-10-02 Toho Gas Co Ltd 被覆管用被覆材除去装置
KR100541774B1 (ko) * 2004-07-28 2006-01-11 정희종 고무롤러의 피복제거장치
KR100826137B1 (ko) 2006-11-22 2008-04-29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컨베이어의 아이들러 롤러
KR20100011319U (ko) * 2009-05-12 2010-11-22 (주)아성화학 고무롤러의 지지축 고무 잔존물 제거장치
KR101508510B1 (ko) * 2014-11-12 2015-04-14 새서울고무롤(주) 고무롤러 가공장치
KR102543012B1 (ko) * 2023-02-17 2023-06-13 김학규 롤러 연마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03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rienting objects
KR102623853B1 (ko) 아이들 롤러 고무커버 자동 탈거 장치
KR20150103206A (ko) 파이프 가공 장치 및 파이프 가공 장치의 작동 방법
CH625380A5 (ko)
KR100984543B1 (ko) 식육 슬라이서
CN101456190A (zh) 设有圆刀的食用肉切片机
CN103443506B (zh) 卸带工具
WO2012007669A1 (f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composants
CN110125677B (zh) 转盘式消防阀体组装机的弹簧自动夹紧装置
JPH08290805A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および物品移載方法
CN207757302U (zh) 换刀机构
KR102410434B1 (ko) 냉동육 절단기
CN103770225B (zh) 一种四自由度水刀分切的方法及装置
CN112590893A (zh) 一种建筑材料加工用转移装置
KR200444895Y1 (ko) 코어 유니트용 가이드 블록 어셈블리
KR102207918B1 (ko) 야채 절단기
CN101733769A (zh) 切割装置
EP1120183A2 (fr) Cale destinée à être insérée dans une fente de coupe
CN215241162U (zh) 一种应用于面包物料的自动切边机
CN210914076U (zh) 一种可抗冲击的张紧式传送带装置
JP2009096570A (ja) 部材の反転装置
US20040110615A1 (en) Large size flange machining device
RU2005134065A (ru) Поворотно-взле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498158B1 (ko) 석판재 재단장치
CN220375674U (zh) 一种防水卷材翻转堆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