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224B1 - 변류기 - Google Patents

변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224B1
KR102622224B1 KR1020160100171A KR20160100171A KR102622224B1 KR 102622224 B1 KR102622224 B1 KR 102622224B1 KR 1020160100171 A KR1020160100171 A KR 1020160100171A KR 20160100171 A KR20160100171 A KR 20160100171A KR 102622224 B1 KR102622224 B1 KR 102622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transformer
housing
coupled
fastening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6135A (ko
Inventor
정상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to KR1020160100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224B1/ko
Publication of KR20180016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01F38/30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formers For Measur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선로가 수용되는 홈이 형성된 상부 하우징의 일측과 본체 하우징의 일측을 힌지 부재로 연결하여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변류기의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 변류기를 제시한다. 제시된 변류기는 마그네틱 코어가 수용되는 본체 하우징 및 다른 마그네틱 코어가 수용되고, 선로가 수용되는 선로 수용 홈이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부 하우징 및 본체 하우징의 일측은 힌지 부재로 결합된다.

Description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본 발명은 변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해 선로로부터 전력을 생산하거나, 전류를 감지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에 실장되는 변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한 전원 공급 방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자기유도 방식의 전원 공급 장치는 송전선로, 배전 선로 등과 같이 대용량 전류가 흐르는 전력선에 설치되는 변류기를 포함한다. 자기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는 변류기에서 자기유도 현상을 통해 취득한 전력을 직류로 변환하여 부하로 공급한다.
한편, 변류기는 자유 유도 방식의 전원 공급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변류기는 선로에 설치되어 선로에서 발생하는 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취득하거나 전류를 센싱한다.
종래의 변류기는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이 분리된 상태로 제작되며,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 부재를 체결하여 선로에 설치된다.
이때, 종래의 변류기는 상부 구조물 및 하부 구조물의 양측을 체결해야 하기 때문에 다수의 작업자가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작업자와 체결하는 작업자가 동시에 설치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 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변류기는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의 체결을 위해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체결 부재를 이용하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시 상부 구조물 및 하부 구조물에 수용된 코어들 간의 정렬 및 결합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변류기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71971호(명칭: 분할형 변류기)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선로가 수용되는 홈이 형성된 상부 하우징의 일측과 본체 하우징의 일측을 힌지 부재로 연결하여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변류기의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 변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류기는 마그네틱 코어가 수용되는 본체 하우징 및 다른 마그네틱 코어가 수용되고, 선로가 수용되는 선로 수용 홈이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부 하우징 및 본체 하우징의 일측은 힌지 부재로 결합된다.
본체 하우징은 일측에 하부 힌지 수단을 구비하고, 타측에 하부 체결 수단을 구비하고, 상부 하우징은 일측에 하부 힌지 수단과 결합되는 상부 힌지 수단을 구비하고, 타측에 하부 체결 수단과 결합되는 상부 체결 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하부 힌지 수단과 상부 힌지 수단은 힌지 핀이 삽입되는 힌지 핀 삽입 홀이 형성되어 힌지 핀을 통해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고, 하부 체결 수단과 상부 체결 수단은 체결 핀이 삽입되는 체결 핀 삽입 홀이 형성되어 체결 핀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본체 하우징에 수용되는 마그네틱 코어는 단부의 일부가 본체 하우징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선로 수용 홈은 반원통형 및 육면체가 결합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류기는 본체 하우징의 상면에 결합되어, 본체 하우징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보빈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빈 커버는 마그네틱 코어의 단부가 관통하는 코어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류기는 라운드 형상의 굴곡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부 하우징과 다른 마그네틱 코어 사이에 개재되고, 다른 마그네틱 코어에 하부 방향으로 장력을 가하는 장력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부 하우징은 장력 부재 결합 홈이 형성되고, 장력 부재의 양단은 장력 부재 결합 홈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류기는 선로 수용 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선로 수용 홈에 결합되고, 다른 마그네틱 코어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부 하우징은 지지 수단 결함 홈이 형성되고, 지지 수단은 지지 수단 결합 홈에 결합되는 지지 수단 고정용 돌기가 형성되고, 지지 수단은 측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변류기는 본체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을 결합시 힌지 수단을 통해 일측이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고 타측이 체결 수단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한 명의 작업자가 변류기를 선로에 설치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즉, 변류기는 일측이 힌지 수단으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타측의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선로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양측을 모두 체결해야 하는 종래의 변류기에 비해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변류기는 힌지 수단 및 체결 수단을 이용해 선로에 설치됨으로써, 상부 코어 및 하부 코어의 단면들이 일정한 압력으로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변류기는 일측이 힌지 수단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타측의 체결 수단을 통해 선로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부 코어 및 하부 코어의 양쪽 단면에 동일한 힘을 가하여 변류기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변류기는 하부 코어의 일단이 삽입되는 관통 홀이 형성된 보빈 커버를 본체 하우징에 결합함으로써, 하부 코어의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하고, 진동에 의한 하부 코어의 이탈(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변류기는 하부 코어의 일단이 삽입되는 관통 홀이 형성된 보빈 커버를 본체 하우징에 결합하여 하부 코어의 이탈(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가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되어 변류기의 성능을 최적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변류기는 힌지 수단 및 체결 수단을 이용한 선로에 설치되고, 보빈 커버를 통해 하부 코어의 이탈(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가 하부 코어 및 상부 코어의 정렬 상태 및 가해지는 힘을 고려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으로 설치할 수 있어 변류기의 성능 구현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류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본체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의 보빈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도 3의 상부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3의 장력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3의 지지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변류기(100)는 본체 하우징(110), 보빈 커버(120), 상부 하우징(130), 장력 부재(140), 지지 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변류기(100)는 전력선에서 발생하는 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전원을 취득하거나, 전류를 센싱하기 위한 변류기(100)이다.
본체 하우징(110)은 내부에 마그네틱 코어(이하, 하부 코어(210))가 수용된다. 본체 하우징(110)은 하부 코어(210)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부의 일부 또는 전체를 덮는 보빈 커버(120)가 상부에 결합된다. 이때, 보빈 커버(120)에는 관통 홀이 형성되며, 관통 홀을 통해 하부 코어(210)의 단부가 외부(즉, 본체 하우징(110)이 상부 방향)로 노출된다.
상부 하우징(130)은 내부에 장력 부재(140)가 결합된 상태에서 다른 마그네틱 코어(이하, 상부 코어(220))가 수용되고, 하부에 지지 수단(150)이 결합된다. 상부 하우징(130)은 상부가 반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선로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다. 이때, 본체 하우징(110) 및 상부 하우징(130)은 힌지 부재를 통해 일측이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고, 타측이 체결 부재를 통해 결합된다.
변류기(100)의 각 구성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 하우징(110)은 하부 코어(210)가 내장되는 하부 수용 공간(111)이 내부에 형성된다. 즉, 본체 하우징(110)은 하부 외벽(112)과 하부 외벽(112)에 직교하는 4개의 측부 외벽(113)들로 구성되어, 하부 코어(210)가 내장되는 하부 수용 공간(111)을 형성한다. 이때, 본체 하우징(110)의 외벽은 하부 코어(210)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하부 수용 공간(111)에 수용된 하부 코어(210)의 일단 일부가 외부(즉, 상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체 하우징(110)은 하부 수용 공간(111)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분하기 위해 복수의 격벽(114)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하부 수용 공간(111)의 내부에는 하부 수용 공간(111)을 하부 코어 수용 공간, 회로기판 수용 공간 등으로 구분하는 복수의 격벽(114)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복수의 격벽(114)들은 본체 하우징(110)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공간 구분과 함께 하부 코어(210)에 삽입 실장되는 보빈(23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체 하우징(110)은 일측에 상부 하우징(130)과의 결합을 위한 하부 힌지 수단(115)을 구비한다. 하부 힌지 수단(115)은 본체 하우징(110)의 일측 상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하부 힌지 수단(115)은 상부 하우징(130)에 형성되는 상부 힌지 수단(135)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부 힌지 수단(135)과 결합된 후 힌지 핀(240)이 삽입되는 힌지 핀 삽입 홀(115a)이 형성된다.
본체 하우징(110)은 타측에 상부 하우징(130)과의 결합을 위한 하부 체결 수단(116)을 구비한다. 즉, 본체 하우징(110)은 하부 힌지 수단(115)이 형성된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의 상부에 하부 체결 수단(116)이 형성된다.
이때, 하부 체결 수단(116)은 본체 하우징(110)의 타측 상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하부 체결 수단(116)은 상부 하우징(130)에 형성되는 상부 체결 수단(137)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본체 하우징(110)과 상부 하우징(130)이 결합된 후 체결 핀(250; 예를 들면, 볼트 등)이 삽입되는 체결 핀 삽입 홀(116a)이 형성된다. 여기서, 체결 핀 삽입 홀(116a)의 내벽에는 체결 핀(250)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하우징(110)은 변류기(100)의 고정을 위한 고정용 홈(117a)이 형성된 복수의 고정 돌기(117)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본체 하우징(110)은 측면 하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고정 돌기(117)들이 형성된다. 이때, 복수의 고정 돌기(117) 각각에는 고정용 홈(117a)이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용 홈(117a)의 내벽에는 변류기(100)의 고정을 위한 볼트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하우징(110)은 보빈 커버(120)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본체 체결 돌기(118)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본체 하우징(110)은 상부 힌지 부재가 형성된 일측면에 인접한 측면들에 복수의 본체 체결 돌기(118)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 체결 돌기(118)에는 보빈 커버(120)의 체결을 위한 본체 체결 홈(118a)이 형성되고, 본체 체결 홈(118a)의 내벽에는 보빈 커버(120)의 체결을 위한 볼트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보빈 커버(120)는 본체 하우징(110)의 상면에 체결된다. 즉, 보빈 커버(120)는 본체 하우징(110)의 상면 일부 또는 전체를 덮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보빈 커버(120)는 본체 하우징(110)에 수용되는 하부 코어(210)에 삽입 실장되는 보빈(230)의 상부에 배치된다.
보빈 커버(120)는 하부 코어(210)의 일단이 관통하는 코어 관통 홀(121)이 형성된다. 즉, 하부 코어(210)는 상부 하우징(130)에 수용되는 상부 코어(220)와 양단이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양단부의 일부가 본체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어야 한다. 이에, 보빈 커버(120)는 하부 코어(210)의 일단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코어 관통 홀(121)이 형성된다. 여기서, 보빈 커버(120)는 보빈(23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보빈 커버(120)는 본체 하우징(110)에 형성된 복수의 본체 체결 돌기(118)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보빈 커버 체결 돌기(122)들이 형성된다. 이때, 보빈 커버 체결 돌기(122)들에는 보빈 커버 체결 홈(122a)이 형성되며, 보빈 커버 체결 홈(122a)의 내벽에는 보빈 커버(120)를 본체 하우징(110)에 체결하기 위한 볼트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빈 커버(120)는 본체 하우징(110)에 보빈(230)이 삽입된 하부 코어(210)가 수용된 상태에서 본체 하우징(110)의 본체 체결 돌기(118)에 보빈 커버 체결 돌기(122)를 정렬시킨 후에 체결 홈들(즉, 본체 체결 홈(118a), 보빈 커버 체결 홈(122a))에 볼트를 체결함에 따라 본체 하우징(110)에 체결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부 하우징(130)은 상부 코어(220)가 내장되는 상부 수용 공간(131)이 내부에 형성된다. 이때, 상부 하우징(130)은 상부에 장력 부재(140)가 결합되는 장력 부재 결합 홈(13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부 하우징(130)의 내부에 형성된 상부 수용 홈의 상부에는 소정 형상의 장력 부재 결합 홈(132)이 형성된다.
상부 하우징(130)은 반원통형의 양단이 연장된 형상의 상부 코어(220)가 실장되기 때문에 상부가 반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부 하우징(130)은 하부(즉, 본체 하우징(110)에 접촉되는 부분)에 선로가 실장되는 선로 수용 홈(133)이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부 하우징(130)은 소정 지름을 갖는 반원통형 및 육면체가 결합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소정 지름을 갖는 반원통형 및 육면체가 결합된 형상의 선로 수용 홈(133)이 형성된다. 여기서, 선로 수용 홈(133)의 반원통형 부분은 선로에 사용되는 전력선의 최대치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상부 하우징(130)의 반원통형 부분 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다.
이때, 상부 하우징(130)의 반원통형 부분은 선로 수용 홈(133)의 반원통형 형상에 비해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부 하우징(130)은 선로 수용 홈(133)이 형성됨에 따라 하부(즉, 육면체 형상의 하부 방향) 일부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부 하우징(130)은 선로 수용 홈(133)이 형성된 하부에 지지 수단(150)과 결합되는 지지 수단 결합 홈(134)이 형성된다. 즉, 상부 하우징(130)은 선로 수용 홈(133)에 인접한 양측면에 지지 수단 결합 홈(134)이 형성되어, 지지 수단(150)과 결합된다.
상부 하우징(130)은 일측에 하부 힌지 수단(115)에 대응되는 상부 힌지 수단(135)이 형성된다. 이때, 상부 하우징(130)의 일측에서 외부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연장부(136)가 형성된다. 상부 힌지 수단(135)은 상부 연장부(136)의 하부에서 하부 방향(즉, 본체 하우징(11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부 힌지 수단(135)은 하부 힌지 수단(115)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하부 힌지 수단(115)과 결합된 후 힌지 핀(240)이 삽입되는 힌지 핀 삽입 홀(135a)이 형성된다.
상부 하우징(130)은 타측에 본체 하우징(110)과의 결합을 위한 상부 체결 수단(137)을 구비한다. 즉, 상부 하우징(130)은 상부 힌지 수단(135)이 형성된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의 하부에 상부 체결 수단(137)이 형성된다. 이때, 상부 체결 수단(137)은 상부 하우징(130)의 타측 하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부 체결 수단(137)은 하부 체결 수단(116)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본체 하우징(110)과 상부 하우징(130)이 결합된 후 체결 핀(250; 예를 들면, 볼트 등)이 삽입되는 체결 핀 삽입 홀(137a)이 형성된다. 여기서, 체결 핀 삽입 홀(137a)의 내벽에는 체결 핀(250)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장력 부재(140)는 라운드 형상의 굴곡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장력 부재(140)는 양단이 상부 방향으로 굴곡되어 상부 하우징(130)에 형성된 장력 부재 결합 홈(132)에 삽입되어, 상부 하우징(130)에 결합된다. 그에 따라, 장력 부재(140)는 상부 하우징(130)에 수용되는 상부 코어(220)에 하부 방향(즉, 본체 하우징(110) 방향)으로 장력을 가하여 상부 코어(220) 및 하부 코어(210)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킨다.
장력 부재(140)는 양단에 고정 수단(141)이 형성될 수 있다. 증, 장력 부재 결합 홈(132)과 장력 부재(14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서, 장력 부재(140)의 양단에 고정 수단(14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지지 수단(150)은 선로 수용 홈(13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 하우징(130)의 하부(즉, 선로 수용 홈(133))에 결합된다. 즉, 지지 수단(150)은 원호(圓弧)의 양단이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지지 수단(150)의 양측부에는 상부 하우징(130)에 수용되는 상부 코어(220)를 지지 및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151)가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수단(150)의 상부 중앙에는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고정용 연장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용 연장부(152)에는 상부 하우징(130)의 지지 수단 결합 홈(134)과 결합되는 지지 수단 고정용 돌기(153)가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 수단 고정용 돌기(153)들은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호 간의 이격 거리가 감소하는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변류기(100)는 본체 하우징(110)과 상부 하우징(130)을 결합시 힌지 수단을 통해 일측이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고 타측이 체결 수단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한 명의 작업자가 변류기(100)를 선로에 설치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즉, 변류기(100)는 일측이 힌지 수단으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타측의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선로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양측을 모두 체결해야 하는 종래의 변류기(100)에 비해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변류기(100)는 힌지 수단 및 체결 수단을 이용해 선로에 설치됨으로써, 상부 코어(220) 및 하부 코어(210)의 단면들이 일정한 압력으로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변류기(100)는 일측이 힌지 수단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타측의 체결 수단을 통해 선로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부 코어(220) 및 하부 코어(210)의 양쪽 단면에 동일한 힘을 가하여 변류기(100)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변류기(100)는 하부 코어(210)의 일단이 삽입되는 관통 홀이 형성된 보빈 커버(120)를 본체 하우징(110)에 결합함으로써, 하부 코어(210)의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하고, 진동에 의한 하부 코어(210)의 이탈(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변류기(100)는 하부 코어(210)의 일단이 삽입되는 관통 홀이 형성된 보빈 커버(120)를 본체 하우징(110)에 결합하여 하부 코어(210)의 이탈(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상부 코어(220)와 하부 코어(210)가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되어 변류기(100)의 성능을 최적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변류기(100)는 힌지 수단 및 체결 수단을 이용한 선로에 설치되고, 보빈 커버(120)를 통해 하부 코어(210)의 이탈(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가 하부 코어(210) 및 상부 코어(220)의 정렬 상태 및 가해지는 힘을 고려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으로 설치할 수 있어 변류기(100)의 성능 구현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변류기 110: 본체 하우징
120: 보빈 커버 130: 상부 하우징
140: 장력 부재 150: 지지 수단
210: 하부 코어 220: 상부 코어
230: 보빈 240: 힌지 핀
250: 체결 핀

Claims (12)

  1. 마그네틱 코어가 수용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보빈 커버; 및
    다른 마그네틱 코어가 수용되고, 선로가 수용되는 선로 수용 홈이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은 힌지 부재로 결합되며,
    상기 보빈 커버는 상기 마그네틱 코어의 단부가 관통하는 코어 관통 홀이 형성된 변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은 일측에 하부 힌지 수단을 구비하고, 타측에 하부 체결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은 일측에 상기 하부 힌지 수단과 결합되는 상부 힌지 수단을 구비하고, 타측에 상기 하부 체결 수단과 결합되는 상부 체결 수단을 구비하는 변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힌지 수단과 상기 상부 힌지 수단은 힌지 핀이 삽입되는 힌지 핀 삽입 홀이 형성되어 힌지 핀을 통해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하부 체결 수단과 상기 상부 체결 수단은 체결 핀이 삽입되는 체결 핀 삽입 홀이 형성되어 체결 핀을 통해 결합되는 변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에 수용되는 마그네틱 코어는 단부의 일부가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로 노출되는 변류기.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선로 수용 홈은 반원통형 및 육면체가 결합된 형상인 변류기.
  8. 제1항에 있어서,
    라운드 형상의 굴곡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다른 마그네틱 코어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다른 마그네틱 코어에 하부 방향으로 장력을 가하는 장력 부재를 더 포함하는 변류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장력 부재 결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력 부재의 양단은 상기 장력 부재 결합 홈에 결합되는 변류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 수용 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선로 수용 홈에 결합되고, 상기 다른 마그네틱 코어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더 포함하는 변류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지지 수단 결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지지 수단 결합 홈에 결합되는 지지 수단 고정용 돌기가 형성되는 변류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측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변류기.
KR1020160100171A 2016-08-05 2016-08-05 변류기 KR102622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171A KR102622224B1 (ko) 2016-08-05 2016-08-05 변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171A KR102622224B1 (ko) 2016-08-05 2016-08-05 변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135A KR20180016135A (ko) 2018-02-14
KR102622224B1 true KR102622224B1 (ko) 2024-01-08

Family

ID=61229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171A KR102622224B1 (ko) 2016-08-05 2016-08-05 변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2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7094A (zh) * 2018-05-08 2018-12-07 湖南银河电气有限公司 一种基于磁调制的开合式电流传感器及其组装方法
KR102369617B1 (ko) * 2020-01-02 2022-03-03 주식회사 폰 지중 송배전 선로에 설치가 용이하고 방수/방진 기능이 개선된 고출력 전원 공급장치용 전원용 변류기
CN114121437A (zh) * 2021-11-03 2022-03-01 国网山东省电力公司临沂供电公司 一种开启式电流互感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004Y1 (ko) * 2004-09-15 2004-12-03 주식회사 평일 클램프 변류기
JP2012212837A (ja) 2011-03-30 2012-11-01 Kohshin Electric Corp 分割形変流器
WO2015044899A1 (en) 2013-09-30 2015-04-02 Lem Intellectual Property Sa Clip-on current transducer or current transformer
KR101586785B1 (ko) 2015-11-16 2016-02-02 주식회사 페라리스파워 분리형 변류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971Y1 (ko) 2004-10-21 2005-01-06 (주)시티이텍 분할형 변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004Y1 (ko) * 2004-09-15 2004-12-03 주식회사 평일 클램프 변류기
JP2012212837A (ja) 2011-03-30 2012-11-01 Kohshin Electric Corp 分割形変流器
WO2015044899A1 (en) 2013-09-30 2015-04-02 Lem Intellectual Property Sa Clip-on current transducer or current transformer
KR101586785B1 (ko) 2015-11-16 2016-02-02 주식회사 페라리스파워 분리형 변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135A (ko) 201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2224B1 (ko) 변류기
KR100993138B1 (ko)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US7798458B2 (en) Double mounted dual switch box bracket—stud divider
US8922318B1 (en) Transformer structure
KR102225868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스페이서
KR102015853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20140055306A (ko) 해양 구조물 탑사이드의 보조 모듈 설치구조와 그 방법
US9780508B2 (en) Test cable and socket adapter for a test cable
JP2006331857A (ja) 点灯装置
CN102544785A (zh) 用于定位至少一个圆形插头的装置
KR102247853B1 (ko) M바(M-bar) 고정용 금속제 가요전선관 커넥터를 겸용한 기구설치 보강대
KR101268194B1 (ko)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
KR102303740B1 (ko) 케이블 트레이
KR20140003753U (ko) 케이블 트레이용 커버
CN108494134B (zh) 绕线骨架结构、电机及空调器
KR20140005495U (ko) 케이블 트레이
US9847146B2 (en) Anti-seismic apparatus for control element drive mechanisms
KR101922153B1 (ko) 변압기
KR20090008231U (ko) 슬리브 단자대
KR20120005948U (ko) 케이블 지지대
KR20130005588U (ko) 전력용 변압기의 본체 고정구조
KR200209024Y1 (ko) 케이블 지지용 트레이의 연결구
KR100968529B1 (ko) 배선용 터미널 박스
KR102373784B1 (ko)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KR20230134218A (ko) 보빈과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