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024Y1 - 케이블 지지용 트레이의 연결구 - Google Patents

케이블 지지용 트레이의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024Y1
KR200209024Y1 KR2019980019541U KR19980019541U KR200209024Y1 KR 200209024 Y1 KR200209024 Y1 KR 200209024Y1 KR 2019980019541 U KR2019980019541 U KR 2019980019541U KR 19980019541 U KR19980019541 U KR 19980019541U KR 200209024 Y1 KR200209024 Y1 KR 2002090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onnector
holes
cable support
dri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5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3999U (ko
Inventor
심상인
Original Assignee
심상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상인 filed Critical 심상인
Priority to KR20199800195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024Y1/ko
Publication of KR199900039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9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0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024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케이블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사다리꼴 형태의 트레이를 연결시키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레이와 트레이의 연결 작업이 신속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연결부재의 측벽에 뚫려진 통공과 사이드레일에 뚫려진 통공을 일치시키는 작업이 까다롭고 여러개의 볼트를 사용하여 체결함에 따라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조립작업의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이드레일(11)의 사이에 프레임(12)들이 결합된 사다리꼴 트레이(10)들의 측벽에 뚫려진 통공(11a)들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고정편(21) 상,하부에 "ㄷ"형으로 연속 절곡된 한쌍의 연결봉(22)들의 선단에 나사산(22a)이 형성된 연결구(20)가 끼워져 너트(22b)에 의하여 체결 고정되는 케이블 지지용 트레이의 연결구를 구성토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봉(22)을 사이드레일(11)의 통공(11a)들을 통해 끼우고 너트(22b)를 체결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하여 트레이(10)의 연결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므로 그 작업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매우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져 대외 경쟁력을 높여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지지용 트레이의 연결구
본 고안은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케이블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사다리꼴 형태의 트레이를 연결시키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레이와 트레이의 연결 작업이 신속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레이는 평행으로 설치된 한쌍의 사이드레일 사이에 일정간격을 이루며 결합되는 연결용 프레임들에 의하여 사다리꼴 형태로 구성되고, 여러개의 트레이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케이블의 안내로 역할을 수행토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트레이들의 연결에는 주로 금속판이 "┗┛"형으로 절곡된 연결부재를 트레이와 트레이 사이에 설치하고 사이드레일과 연결부재의 측벽에 뚫려진 통공들에 여러개의 볼트를 체결하여 트레이들을 연결시키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기술은 연결부재의 측벽에 뚫려진 통공과 사이드레일에 뚫려진 통공을 일치시키는 작업이 까다롭고 여러개의 볼트를 사용하여 체결함에 따라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조립작업의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또한, 별도의 연결부재를 제작하고 여러개의 볼트를 사용하여 체결함에 따라 부품이 과다하게 사용되고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바, 전체적인 트레이의 설치에 많은 비용이 지출되어 대외 경쟁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트레이와 트레이의 연결 작업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상당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케이블 지지용 트레이의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사이드레일(11)의 사이에 프레임(12)들이 결합된 사다리꼴 트레이(10)들의 측벽에 뚫려진 통공(11a)들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고정편(21) 상,하부에 "ㄷ"형으로 연속 절곡된 한쌍의 연결봉(22)들의 선단에 나사산(22a)이 형성된 연결구(20)가 끼워져 너트(22b)에 의하여 체결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지지용 트레이의 연결구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트레이에 설치되는 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트레이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트레이에 설치된 상태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트레이 11 : 사이드레일
11a : 통공 12 : 프레임
20 : 연결구 21 : 고정편
22 : 연결봉 22a : 나사산
22b : 너트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내에 설치되는 케이블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케이블의 안내로 역할을 수행하는 트레이(10)는 평행으로 설치된 사이드레일(11)의 사이에 프레임(12)들이 결합된 사다리꼴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12)들 위에 케이블이 놓여져 배선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레일(11)의 측벽 양측에는 2개의 통공(11a)들이 각각 뚫려져 있고, 복수개의 트레이(10)들이 연속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일측 사이드레일(11)의 통공(11a)을 통해 타측 사이드레일(11)의 통공(11a)에 끼워져 결합되는 연결구(20)에 의하여 트레이(10)들이 견고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구(20)는 고정편(21) 상,하부에 "ㄷ"형으로 연속 절곡된 한쌍의 연결봉(22)들의 선단에 나사산(22a)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고정편(21)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연결봉(22)들이 사이드레일(11)의 통공(11a)들에 끼워진다.
즉, 상기 연결봉(22)들의 선단이 일측 사이드레일(11)의 통공(11a)을 통해 삽입된 후 타측 사이드레일(11)의 통공(11a)에 "ㄷ"형으로 끼워져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타측 사이드레일(11)의 통공(11a)을 통해 돌출된 연결봉(22)들 선단의 나사산(22a)에는 너트(22b)가 체결되어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연결구(20)에 의하여 트레이(10)들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본 고안은 연결구(20)를 사이드레일(11)의 통공(11a)을 통해 끼우고 너트(22b)를 체결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하여 트레이(10)의 연결 작업이 완료되므로 그 작업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등의 이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금속판이 절곡된 연결부재와 여러개의 볼트와 너트를 사용함에 따라 부품이 과다하게 사용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완벽하게 해소되므로 대외 경쟁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짧게 형성된 고정편(21)의 중앙에 1개의 연결봉(22)이 "ㄷ"형으로 연속 절곡되고 그 선단에 나사산(22a)이 형성된 연결구(20)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연결구(20)가 연결봉(22)의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론, 1개의 연결봉(22)을 갖는 연결구(20)도 전술한 트레이(10)의 연결 작업에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사이드레일(11)의 사이에 프레임(12)들이 결합된 사다리꼴 트레이(10)들의 측벽에 뚫려진 통공(11a)들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고정편(21) 상,하부에 "ㄷ"형으로 연속 절곡된 한쌍의 연결봉(22)들의 선단에 나사산(22a)이 형성된 연결구(20)가 끼워져 너트(22b)에 의하여 체결 고정되는 케이블 지지용 트레이의 연결구를 구성토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봉(22)을 사이드레일(11)의 통공(11a)들을 통해 끼우고 너트(22b)를 체결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하여 트레이(10)의 연결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므로 그 작업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매우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져 대외 경쟁력을 높여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사이드레일(11)의 사이에 프레임(12)들이 결합된 사다리꼴 트레이(10)들의 측벽에 뚫려진 통공(11a)들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고정편(21) 상,하부에 "ㄷ"형으로 연속 절곡된 한쌍의 연결봉(22)들의 선단에 나사산(22a)이 형성된 연결구(20)가 끼워져 너트(22b)에 의하여 체결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지지용 트레이의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0)는 고정편(21)의 중앙에 1개의 연결봉(22)이 "ㄷ"형으로 연속 절곡되고 그 선단에 나사산(22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지지용 트레이의 연결구.
KR2019980019541U 1998-10-13 1998-10-13 케이블 지지용 트레이의 연결구 KR2002090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541U KR200209024Y1 (ko) 1998-10-13 1998-10-13 케이블 지지용 트레이의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541U KR200209024Y1 (ko) 1998-10-13 1998-10-13 케이블 지지용 트레이의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999U KR19990003999U (ko) 1999-01-25
KR200209024Y1 true KR200209024Y1 (ko) 2001-01-15

Family

ID=69504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541U KR200209024Y1 (ko) 1998-10-13 1998-10-13 케이블 지지용 트레이의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0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007B1 (ko) 2010-11-02 2012-03-29 아인텍(주) 신축 연결부 일체형 케이블 트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735B1 (ko) * 2023-08-21 2024-01-12 (주) 여명기술단 공동주택의 전선케이블 서포팅기구
KR102624734B1 (ko) * 2023-08-21 2024-01-12 (주) 여명기술단 완충기능을 갖춘 안전형 건축물 배전선 보호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007B1 (ko) 2010-11-02 2012-03-29 아인텍(주) 신축 연결부 일체형 케이블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999U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9105B1 (ko) 건축물의 외부 설치형 통신케이블 트레이 구조
US4428172A (en) Fastening device for screen or wall panels
KR102156232B1 (ko)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KR102225868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스페이서
KR101657939B1 (ko) 렁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20090125401A (ko) 배전반 프레임 연결용 앵글 구조체
KR200209024Y1 (ko) 케이블 지지용 트레이의 연결구
KR101767118B1 (ko) 케이블 트레이용 가로대
US2886269A (en) Adjustable support for transmission lines
US20020082096A1 (en) Counterweight arbor guide system
KR200451739Y1 (ko) 고정부재가 구비된 배선용 박스
KR200274777Y1 (ko) 바닥배선용 케이블가이드
KR200154834Y1 (ko) 회로기판 및 케이스의 고정받침장치
KR0124505Y1 (ko) 케이블 배선용 랙
JP5070181B2 (ja) ケーブル固定具
ATE240669T1 (de) Lagergestell
KR200299028Y1 (ko) 랙 캐비넷
KR940002816Y1 (ko) 정보연산 처리기기의 확장 기판지지장치
KR200357299Y1 (ko) 가구의 서랍식 케이지의 레일 취부구조
KR200196980Y1 (ko) 터미널 블록
KR200207356Y1 (ko) 천정설치구조물용 천정지지구조체
KR20230142227A (ko) 케이블트레이 싱글브라켓
KR200157915Y1 (ko) 텔레비젼의 수직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KR970005023Y1 (ko) 디지탈 피아노의 상부 판넬 고정장치
AU2023263458A1 (en) Cable clamp for photovoltaic power 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