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948U - 케이블 지지대 - Google Patents

케이블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948U
KR20120005948U KR2020110001273U KR20110001273U KR20120005948U KR 20120005948 U KR20120005948 U KR 20120005948U KR 2020110001273 U KR2020110001273 U KR 2020110001273U KR 20110001273 U KR20110001273 U KR 20110001273U KR 20120005948 U KR20120005948 U KR 201200059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able
seating
cable suppor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2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대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1100012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5948U/ko
Publication of KR201200059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94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a plate, spring, wire or ring immovable with regard to the bolt or object and main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bo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앵글지지대에 결합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대로서, 앵글지지대에 결합되는 체결부 및 케이블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되, 체결부 및 안착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지지대{CABLE SUPPORT}
본 고안은 케이블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의 발달로 전력수요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증가하는 전력수요와 도시환경 등의 미관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지중송전선이 확대되고 있다. 이를 위해, 지하에 맨홀 등과 같은 지하 구조물을 설치한 후, 지하 구조물 내부에 지중송전선로를 형성하고 있다. 이때, 지중송전선은 지하 구조물 벽체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서, 지하 구조물의 벽체에는 다수개의 체결홀을 포함하는 앵글지지대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앵글지지대의 수직방향으로 앵글지지대와 체결되는 행거가 설치된다. 또한, 행거 위에는 케이블을 지지하는 받침대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행거는 아연도금 산형강 재질로 제작되어 중량이 무겁고, 이로 인해 취급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행거의 길이 역시 장소에 따라서 불필요하게 길게 제작된다. 행거 위에 설치되는 받침대는 합성수지 재질로 행거와 달리 별도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행거와 받침대는 각각 다른 재질로 별로도 제작됨으로, 고가의 제작 비용을 필요로 한다. 또한, 중량이 무거워 운반 및 설치 용이하지 못하다.
본 고안은 종래의 케이블을 지지하는 행거와 받침대를 일체화한 케이블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중량이 경량이며, 앵글지지대에 취부가 용이한 케이블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일측면은 케이블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앵글지지대에 결합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대로서, 앵글지지대에 결합되는 체결부 및 케이블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되, 체결부 및 안착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케이블 지지대가 제공된다.
체결부는 앵글지지대와 결합되는 결합홈 및 결합홈을 관통하는 고정홀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는 결합홈에 앵글지지대를 삽입한 상태에서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앵글지지대에 체결될 수 있다.
안착부는 케이블이 수용되도록 양 측면이 상승 절곡되는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는 안착홈을 지지하는 안착홈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홈 지지부는 十자 형태로 형성되는 보강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착홈은 케이블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는 상하로 적층되는 복수의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 및 안착부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대는 행거와 받침대를 일체화 함으로써, 제작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대는 길이 및 재질의 변경으로 중량을 감소시켜 앵글지지대에 취부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대는 길이 및 재질의 변경으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대의 설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이물질 내지 대체이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1을 참고하면, 케이블 지지대(100)는 체결부(110) 및 안착부(120)를 포함한다.
체결부(110)는 결합홈(111) 및 고정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111)은 벽체에 설치된 앵글지지대와 결합된다. 여기서 앵글지지대는 벽체에 설치되어 본 고안의 케이블 지지대(100)를 벽체에 거치시키기 위한 구조물이다. 즉, 결합홈(111)은 앵글지지대의 일부를 삽입함으로써, 앵글지지대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홈(111)에 앵글지지대의 일부가 삽입되면서, 케이블 지지대(100)가 앵글 지지대와 수직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홀(112)은 앵글지지대에 케이블 지지대(100)를 고정시킨다. 즉, 앵글지지대가 결합홈(111)에 삽입되면, 체결부재가 고정홀(112) 및 앵글지지대에 형성된 체결홀에 관통되면서, 케이블 지지대(100)와 앵글지지대가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는 볼트 및 너트가 될 수 있다. 고정홀(112)은 한 개 이상이 될 수 있으며, 고정홀(112)의 간격은 앵글지지대의 체결홀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홀(112)의 간격이 앵글지지대의 체결홀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된다는 것을 일 실시예일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결합홈(111) 및 고정홀(112)을 포함하는 체결부에 의해서 케이블 지지대(100)가 벽체에 설치된 앵글지지대에 고정될 수 있다.
안착부(120)의 상부는 케이블이 안착되는 안착홈(121)을 포함한다. 안착부(120)의 상부는 양 측면이 상승 절곡된 형태 형성됨으로써, 내측에 형성된 일정한 공간인 안착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도니 안착홈(121)에 케이블이 수용될 수 있다.
안착부(120)의 하부는 안착홈(121)을 지지하는 안착홈 지지부(122)를 포함한다. 안착홈 지지부(122)는 안착홈(121) 하단에 十자 형태로 형성되는 보강부재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안착홈 지지부(122)에 의해서 안착홈(121)에 안착되는 케이블의 하중 등에 의해서 케이블 지지대(10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안착홈 지지부(122)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안착홈 지지부(122)의 형태는 안착홈(121)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20)의 일단은 체결부(110)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부(120)는 체결부(110)의 일측에 체결부(1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10) 및 안착부(120)는 중 어느 하나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체결부(110) 및 안착부(120) 모두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대의 설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2를 참고하면, 케이블 지지대(100)의 체결부(110)는 앵글지지대(200)의 일부와 결합된다. 이때, 체결부(110)의 고정홀(112)과 앵글지지대(200)의 체결홀(210)이 서로 겹치게 케이블 지지대(1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체결부(110)의 고정홀(112)과 앵글지지대(200)의 체결홀(210)이 겹쳐지면, 체결부재(300)인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100)를 앵글지지대(200)에 고정시킨다. 이때, 케이블 지지대(100)는 앵글지지대(200)에 수직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 지지대(100)를 앵글지지대(200)에 설치한 후, 케이블(400)이 케이블 지지대(100)의 안착부(120)에 안착될 수 있다.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3을 참고하면, 케이블 지지대(100)는 다수개의 안착부(120)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지지대(100)는 체결부(110) 및 안착부(120)를 포함한다.
체결부(110)는 결합홈(도1의 111) 및 고정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도1의 111)은 벽체에 설치된 앵글지지대와 수직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결합홈(도1의 111)에 앵글지지대의 일부가 삽입되면, 케이블 지지대(100)가 앵글지지대와 수직이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고정홀(112)은 앵글지지대에 케이블 지지대(100)를 고정시킨다. 즉, 앵글지지대가 결합홈(도1의 111)에 삽입되면, 체결부재가 고정홀(112) 및 앵글지지대의 체결홀에 관통되면서, 케이블 지지대(100)와 앵글지지대가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안착부(120)에는 케이블이 안착되는 안착홈(121 122 123)을 다수 개 포함한다. 안착부(120)는 좌측 및 우측이 상승 절곡된 형태에 의해 내측에 안착홈(121 122 123)이 형성된다.
여기서, 안착부(120)는 일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안착홈(121 122 12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개의 안착홈(121 122 123)은 체결부(110)가 형성된 안착부(120)의 타 측면의 반대방향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3에서는 3개의 안착홈(121 122 123)을 도시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예일뿐, 케이블 지지대(10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케이블 지지대(100)에 형성되는 안착홈(121 122 123)의 크기 및 개수는 당업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4를 참고하면, 케이블 지지대(100)는 다수개의 안착부(120')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지지대(100)는 체결부(110) 및 안착부(120')를 포함한다.
체결부(110)는 결합홈(도1의 111) 및 고정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도1의 111)은 벽체에 설치된 앵글지지대와 수직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결합홈(도1의 111)에 앵글지지대의 일부가 삽입되면, 케이블 지지대(100)가 앵글지지대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고정홀(112)은 앵글지지대에 케이블 지지대(100)를 고정시킨다. 즉, 앵글지지대가 결합홈(도1의 111)에 삽입되면, 체결부재가 고정홀(112) 및 앵글지지대의 체결홀에 관통되면서, 케이블 지지대(100)와 앵글지지대가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안착부(120')에는 케이블이 안착되는 안착홈(121' 122' 123')을 다수 개 포함한다. 여기서, 안착부(120')는 다수개의 안착홈(121' 122' 123')이 상하로 적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4에서는 3개의 안착홈(121' 122' 123')이 상하로 적층되도록 도시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예일뿐, 케이블 지지대(10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케이블 지지대(100)에 형성되는 안착홈(121' 122' 123')의 크기 및 개수는 당업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지지대는 종래의 케이블 행거와 받침대를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대는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따라서, 행거와 받침대를 일치화 함으로써,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지지대의 길이를 감소시키고, 재질을 합성수지로 변경함으로써, 경량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경량의 감소로 앵글지지대에 케이블 지지대를 취부 하는데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케이블 지지대 110: 체결부
111: 결합홈 112: 고정홀
120 120': 안착부 121 121' 122 122' 123 123': 안착홈
122: 안착홈 지지부 200: 앵글지지대
210: 체결홀 300: 체결부재
400: 케이블

Claims (9)

  1. 앵글지지대에 결합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대로서,
    상기 앵글지지대에 결합되는 체결부; 및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 및 상기 안착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케이블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앵글지지대와 결합되는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홈을 관통하는 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지지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결합홈에 상기 앵글지지대를 삽입한 상태에서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상기 앵글지지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지지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케이블이 수용되도록 양 측면이 상승 절곡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지지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안착홈을 지지하는 안착홈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지지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 지지부는 十자 형태로 형성되는 보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지지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일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지지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하로 적층되는 복수의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지지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 및 상기 안착부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지지대.
KR2020110001273U 2011-02-15 2011-02-15 케이블 지지대 KR2012000594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273U KR20120005948U (ko) 2011-02-15 2011-02-15 케이블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273U KR20120005948U (ko) 2011-02-15 2011-02-15 케이블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948U true KR20120005948U (ko) 2012-08-23

Family

ID=53683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273U KR20120005948U (ko) 2011-02-15 2011-02-15 케이블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594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539A (ko) * 2018-04-16 2019-10-24 이재걸 케이블 클리트용 차화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차화 시스템
KR20190125644A (ko) * 2018-04-30 2019-11-07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행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539A (ko) * 2018-04-16 2019-10-24 이재걸 케이블 클리트용 차화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차화 시스템
KR20190125644A (ko) * 2018-04-30 2019-11-07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행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4843B2 (en) Dome cover supporter
US8398033B2 (en) Cable clamp
KR101242050B1 (ko) 케이블트레이
US10288269B2 (en) Ceiling system
KR101562909B1 (ko) 태양광 모듈용 브라켓 설치구조
KR20150055519A (ko) 벽돌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KR20120005948U (ko) 케이블 지지대
KR20090010869U (ko)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JP6144304B2 (ja) 分離帯構造体
KR101281159B1 (ko)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CN102544785A (zh) 用于定位至少一个圆形插头的装置
KR200452039Y1 (ko) 배관 트레이용 받침대
KR101499690B1 (ko) 내구성과 작업성이 향상된 케이블 지지용 채널 결합체
KR101389958B1 (ko) 천장 루버
JP3184705U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架台
JP6801864B2 (ja) 外装材の仮支持部材
KR101931483B1 (ko) 케이블트레이용 케이블 정리부재
KR101508898B1 (ko)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KR100928592B1 (ko) 태양열 전지모듈 고정장치
KR200433347Y1 (ko) 케이블지지 구
KR101404952B1 (ko) 도시가스 배관용 고정장치
KR20150004188U (ko) 장벽 채널 트레이
KR20120000162U (ko) 선박용 케이블 거치장치
JP5755951B2 (ja) グレーチング
KR101437282B1 (ko) 송전탑 구조 연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