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972B1 - 박테리아 균주 및 암라 추출물을 이용한 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금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박테리아 균주 및 암라 추출물을 이용한 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금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972B1
KR102621972B1 KR1020210051664A KR20210051664A KR102621972B1 KR 102621972 B1 KR102621972 B1 KR 102621972B1 KR 1020210051664 A KR1020210051664 A KR 1020210051664A KR 20210051664 A KR20210051664 A KR 20210051664A KR 102621972 B1 KR102621972 B1 KR 102621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pefe
aunps
cells
gold nano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5054A (ko
Inventor
김연주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51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972B1/ko
Publication of KR20220145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9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242Gold;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82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20Ingredients acting on or related to the structure
    • A23V2200/25Nanoparticles, nano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568Gol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Bifidobacterium 균주 및 암사 추출물을 이용하여 금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금 나노입자의 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박테리아 균주 및 암라 추출물을 이용한 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금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METHOD FOR PRODUCING GOLD NANOPARTICLE USING BACTERIAL STRAIN AND PHYLLANTHUS EMBLICA EXTRACT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THE GOLD NANOPARTICLE}
본 발명은 Bifidobacterium 균주 및 암라 추출물을 이용한 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금 나노입자의 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외과절제술, 화학요법, 방사선요법과 같은 다양한 암 치료법에도 불구하고 위암 (gastric cancer; GC)은 예후가 좋지 않은 치명적인 악성 종양 중 하나로 5년 내 생존율이 25-35%에 그치고 있다. 위암을 치료하기 위해 새로운 치료법들이 도입되고 있지만, 새로 발견되는 케이스의 치료에는 큰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위암 극복을 위한 새로운 전략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항암 효과를 갖는 약용 식물이 대체 약물로서 관심을 받고 있다.
타겟팅 능력을 갖는 나노 약물 수송 시스템은 치료제 및 생약 분야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생물학적 특성들을 갖고 있다. 나노테크놀로지는 암세포 관련 단백질, 인공 세포 치료제, 효소 및 유전자의 대안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최근 금 (Au), 은 (Ag), 구리 (Cu), 아연 (Zn) 등에 의해 합성된 금속 나노입자가 비독성이고 친환경적인 ‘그린 프로덕트 (green product)’로서 관심받고 있다. 특히, 금 나노입자 (AuNP)는 암 진단 및 암 세포의 표적 치료에서 약물 수송을 비롯한 생체의학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른 금속 나노입자에 비해, AuNP는 독성이 적고 합성 시간이 짧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식물 추출물 및 박테리아 생체내변환 시스템을 이용한 AuNP의 생합성이 많은 이점을 갖는다. 현재까지, 나노입자를 합성하기 위해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열적, 전기화학적, 나노화학적 방법 등의 여러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 중에서도, 최근 박테리아, 효모, 방선균, 균류 등의 미생물을 이용한 AuNP의 생물학적 합성이 간단하고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인도 구스베리로도 알려진 암라(Phyllanthus emblica L.)는 여우주머니과(Phyllanthaceae)에 속하는 식물로, 그 열매는 인도에서 고대로부터 널리 약용 제제로 사용되었다. 암라는 비타민 C 및 폴리페놀이 풍부하여 항산화, 항암, 항염증, 항균, 항당뇨, 항비만 및 간보호 등의 여러 효능을 갖는다. 그러나, 암라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AuNP의 항암 활성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26852호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암라 열매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미생물 생합성을 통해 AuNP를 제조하고, 이의 위암 치료 효능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Bifidobacterium 균주 및 암라 추출물을 이용하여 금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금 나노입자, 상기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기능성 건강식품과 이를 이용한 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Bifidobacterium 균주; MAuX4 (여기서, M은 H, K 또는 Na이고, X는 Cl 또는 Br임)의 수용액; 및 암라(Phyllanthus emblica) 추출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금 나노입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천연물 유래 성분으로서 생체친화적이고 부작용이 없는 암라 추출물 및 Bifidobacterium 균주를 이용하여 항암 활성이 우수한 금 나노입자를 생합성한 것으로,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효과가 우수한 유망한 암 치료 후보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나노입자 샘플의 물리화학적 특성화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A) UV-Vis 스펙트럼. (B)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스펙트럼. (C) Fourier-transform infrared (FT-IR) 스펙트럼. (D) PEFE-AuNP의Field emiss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FE-TEM) 이미지. (E-F) PEFE-AuNP의 Elemental mapping 분석, (G) PEFE-AuNP의 Energy-dispersive X-ray (EDX) 분석, (H) AuNP의 Selected area electron diffraction (SAED) 이미지, (I) AuNP의 X-ray diffraction (XRD) 스펙트럼.
도 2는 PEFE-AuNP-처리 AGS 세포의 Enhanced dark-field (EDF) 현미경 이미지이다. AGS 세포 내부의 밝은 백색 점은 PEFE-AuNP의 집합 및 위치를 나타낸다. DIC, differential interference contrast; TIRS, thermal infrared sensor.
도 3은 정상 세포 및 암세포에 대한 PEFE-AuNP의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A) PEFE-Au NPs 및 PEFE의 혈액적합성. (B-C) 정상(HaCaT 및 NHDF) 및 암(AGS) 세포에 대한 PEFE-AuNP, PEFE, 및 B. lactis의 세포독성 효과. 시스플라틴은 양성 대조로서 사용되었다. (D-E) PEFE-AuNP 및 PEFE로 처리된 AGS 세포의 현미경 이미지 및 콜로니 형성. 시스플라틴은 양성 대조로서 사용되었다.
도 4는 AGS 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에 대한PEFE-AuNP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A) Mito-tracker로 염색된 AGS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형태를 나타낸 형광 현미경 이미지. 백색 및 노란색 화살표는 각각 건강한 미토콘드리아 및 손상 미토콘드리아를 나타낸다. (B-C) Mito-tracker로 염색된 AGS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ROS 생산 및 미토콘드리아 형태의 형광 현미경 이미지. (D-E) 아폽토시스-관련 mRNA 및 단백질의 발현에 대한 PEFE-AuNP 및 PEFE의 효과. 컬럼의 별표는 각각의 처리 샘플 및 비처리 대조 사이의 유의차를 나타낸다. *, p < 0.05, **, p < 0.01, ***, p < 0.001. ns, not significant.
도 5 (A)는 Hoechst 및 propidium iodide (PI)로 염색된 AGS 세포의 형광 현미경 이미지이다. 도면의 노란 화살표는 응축된 세포질을 갖는 파괴된 핵을 나타낸다. 도 5 (B)는 AGS 세포에서 아폽토시스-관련 유전자의 발현에 대한 PEFE-AuNP 및 PEFE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시스플라틴은 양성 대조로서 사용되었다. 도 5(C)는 각 단백질 발현 수준을 측정한 웨스턴 블롯팅 결과이다. 컬럼의 별표는 각각의 처리 샘플 및 비처리 대조 사이의 유의차를 나타낸다. *, p < 0.05, **, p < 0.01, ***, p < 0.001.
도 6은 AGS 세포에서 오토파지-관련 (A) mRNA 및 (B) 단백질의 발현에 대한 PEFE-AuNP 및 PEFE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컬럼의 별표는 각각의 처리 샘플 및 비처리 대조 사이의 유의차를 나타낸다. *, p < 0.05, **, p < 0.01.
도 7은 라파마이신(Rapa)으로 처리된 오토파지-자극 AGS 세포에서 오토파지-관련 (A) mRNA 및 (B) 단백질 발현에 대한 PEFE-AuNP 및 PEFE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C) Rapa-처리 AGS 세포의 형광 현미경 이미지이다. 라파마이신(Rapa)으로 처리된 오토파지-자극 AGS 세포에서 아폽토시스-관련 (D) mRNA 및 (E) 단백질 발현에 대한 PEFE-AuNP 및 PEFE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컬럼의 별표는 각각의 처리 샘플 및 비처리 대조 사이의 유의차를 나타내며, # 표시는 PEFE-AuNP 및 Rapa 사이의 유의차를 나타낸다. * 및 #, p < 0.05, ** 및 ##, p < 0.01. ***, p < 0.001. ns, not significant.
도 8은 AGS 세포에서 PEFE-AuNP에 의해 유도되는 아폽토시스 및 오토파지의 예상 경로이다. PEFE-AuNP은 Bax/Bcl-2의 활성화에 의해 미토콘드리아 기능부전을 유도하여, ROS 생산 및 전-아폽토시스 단백질 사이토크롬 c의 분비를 야기한다. 사이토크롬 c의 분비는 카스파제 9 및 3를 성공적으로 활성화시켜, 최종적으로 위암 세포에서 프로그래밍된 세포사를 이끌어낸다. 게다가, 생산된 미토콘드리아 ROS는 암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유도할 수 있다. 한편, PEFE-AuNP로 처리된 AGS 세포에서의 아폽토시스 시그널링은 LC3, Bectin-1, 및 p62와 관련된 오토파지 캐스캐이드의 활성화를 저해한다.
도 9는 PEFE-AuNP 생합성을 위해 다양한 조건을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Bifidobacterium 균주; MAuX4 (여기서, M은 H, K 또는 Na이고, X는 Cl 또는 Br임)의 수용액; 및 암라(Phyllanthus emblica) 추출물; 을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MAuX4의 수용액은 본 분야에서 사용되는 물질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HAuCl3H2O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Bifidobacterium 균주는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 lactis일 수 있다.
상기 MAuX4의 농도는 1 내지 5 mM, 예를 들어 1 내지 3 mM 또는 2 mM일 수 있고, 상기 암라 추출물의 농도는 0.01 내지 1 mg/mL, 예를 들어 0.04 내지 0.15 mg/mL 또는 0.08 mg/mL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반응은 6 내지 9, 예를 들어, 7의 pH 하에서 12 내지 72시간, 예를 들어 24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암라 추출물은 열매, 잎, 씨앗 등의 추출물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암라의 열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암라 추출물은 암라 열매를 적절한 용매로 추출한 것으로, 상기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 용매로서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에틸 에테르, 디클로로 메탄, 헥산, 에테르, 벤젠,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시클로헥산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암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금 나노입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금 나노입자는 1 내지 100 nm, 예를 들어, 5 내지 60 nm의 직경을 갖는 원형, 삼각형 또는 다각형의 입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금 나노입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 세포의 아폽토시스 세포를 증가시키고, 미토콘드리아 손상을 유도하며, 오토파지를 억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금 나노입자에 의해 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가 파괴되고 과량의 ROS가 암 세포에 축적되어 아폽토시스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금 나노입자에 의해 Bax/Bcl-2 및 카스파제 9/카스파제 3을 통해 세포내 시그널링 경로가 활성화되어 암 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금 나노입자에 의해 암 세포에서 LC3-II/LC3-I 및 Beclin-1의 발현이 저하되고 p62의 발현이 증가하여 오토파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암은 위암, 대장암, 유방암, 신장암, 폐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방광암, 간암 또는 췌장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치료"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상기 용어가 적용되는 질환 또는 질병, 또는 상기 질환 또는 질병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역전시키거나, 완화시키거나, 그 진행을 억제하거나, 또는 예방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원에서 사용된 상기 치료란 용어는 "치료하는"이 상기와 같이 정의될 때 치료하는 행위를 말한다. 따라서 포유동물에 있어서 암의 "치료" 또는 "치료요법"은 하기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1) 암의 발달을 저지시킴,
(2) 암의 확산을 예방함,
(3) 암을 경감시킴,
(4) 암의 재발을 예방함 및
(5) 암의 증상을 완화함(palliating)
상기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이나 식품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금 나노입자는 조성물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식품 조성물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금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금 나노입자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암 개선을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금 나노입자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금 나노입자를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금 나노입자를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금 나노입자와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금 나노입자와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체에게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인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상 유효량"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치료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대한 치료상 유효 투여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 있어서, 성인의 경우, 본 발명의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시, 0.01㎎/kg~100㎎/kg의 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서 본 발명의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물질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 (RPMI) 1640 medium, penicillin-streptomycin (PS), 및 fetal bovine serum (FBS)과 같은 세포 배양 시약은 GenDEPOT (Katy, TX, USA)에서 구입하였다. Dimethyl sulfoxide (DMSO), 3-(4, 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Hoechst 33258, gold (III) chloride trihydrate (HAuCl4·3H2O)및 염산은 Sigma-Aldrich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다. Propidium iodide (PI)은 Invitrogen (Carlsbad, CA, USA)에서 구입하고, 모든 프라이머는 Macrogen (Seoul, Republic of Korea)에서 설계하였다. 항체는 Abcam (Cambridge, UK) 및 Cell Signaling Technology, Inc. (Danvers, MA, USA)에서 구입하였다. L-cysteine hydrochloride monohydrate는 Samchun Chemicals (Seoul, Republic of Korea)에서 구입하였다.
실시예 1.
PEFE-AuNP의 생합성
암라(Phyllanthus emblica)의 열매(P. emblica)을 Coimbatore (Tamil Nadu, India)의 마켓에서 구입하였다. 열매는 Professor P. Jayaraman에게 인증받았으며, 시료 바우처 번호는 PARC/2017/3907이고 Plant Anatomy Research Centre, Chennai, Tamil Nadu, India에 보관하였다. 건조된 암라 열매를 분쇄하고 실온에서 70% 에탄올에 불렸다. 그 후, 42℃에서 회전 증발기를 사용하여 용액을 농축하여 암라 열매 추출물(PEFE)을 수득하였다. 균주는 요거트에서 분리하였으며, 16S rRNA 서열의 유사성은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 lactis (B. lactis) (NCBI GenBank accession number CP001606)와 99%였다. 상기 균주를 MRS (de Man, Rogosa 및 Sharpe) 및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Franklin Lakes, NJ, USA)에 배양한 후, 박테리아 세포를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수확하였다. AuNP 생합성 방법은 이전에 보고된 방법에 근거하여 약간 변형시켜 진행하였다. 우선, 수집된 세포를 증류수로 여러 번 세척한 후 10 mL의 phosphate buffer (50 mM, pH 7.0)에 현탁하였다. 원-팟 합성을 위해, 2 mM HAuCl4·3H2O및 0.08 mg/mL의 PEFE를 세포 현탁액에 첨가한 후, 37℃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혼합물을 냉수에서 60분간 초음파처리한 후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침전된 펠렛(PEFE-AuNPs) 을 원심분리(12,000 rpm, 10 min, 4℃)하여 수득하고, 철저히 세척한 후, 멸균수에 재현탁하였다. 현탁액을 공기 건조하여 PEFE-AuNP 분말을 수득하였다.
PEFE-AuNP의 물리화학적 특성화
PEFE-AuNP의 흡광 스펙트럼을 300-800 nm에서 Cary 60 ultraviolet-visible (UV-Vis) spectrophotometer (Agilent Technologies, Inc., Santa Clara, CA, USA)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JEM-2100F field emission-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FE-TEM; JEOL, Ltd., Tokyo, Japan) 을 이용하여 200 kV 에서 PEFE-AuNP의 크기 및 형태를 확인하였다. TEM network 상에서 정화 분자를 한 방울 떨어트려 현탁해 이미지를 수득하였다. X-ray diffraction (XRD) 및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를 사용하여 펠렛 형성을 모니터링하였다. energy-dispersive X-ray (EDX) spectroscopy analysis 및 selected area electron diffraction (SAED) 를 사용하여 금 나노입자의 결정 구조를 확인하였다. PEFE-AuNP의 표면에 그래프트된 폴리머의 용적 및 PEFE-AuNP의 열 안정성을 30-600℃ 의 온도에서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로 확인하였다.
AuNP의 합성은 노란색에서 진보라까지 배양 배지의 색의 변화를 관찰하여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색 변화를 관찰하여 PEFE-AuNP의 합성을 확인하였다 (도 1A). B. lactis 샘플 또는 PEFE 단독에서는 플라스몬 흡광도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PEFE-AuNP의 λmax는 545 nm의 파장에서 관찰되었으며, 이는 AuNP의 성공적인 합성을 입증한다 (도 1A).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PEFE 및 HAuCl4·3H2O 농도, 인큐베이션 시간 및 반응 pH에 따른 PEFE-AuNP 합성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최적화된 조건은 다음과 같다: 0.08 mg/mL의 PEFE 용액, 2 mM HAuCl4·3H2O, 24-h 인큐베이션 시간, 및 pH 7.0. TGA를 사용하여 폴리머의 열 안정성을 결정하여, PEFE-AuNP (52.67%)가 PEFE (66.17%)에 비해 더 적은 중량 손실을 보임을 관찰하였으며, 이는 PEFE-AuNP가 PEFE보다 열 안정성이 더 우수함을 나타내는 것이다(도 1B).
PEFE-AuNP의 기능기를 확인하기 위해, 샘플의 FT-IR 스펙트럼을 천연 성분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및 인-하우스 FT-IR spectral library를 사용해 분석하였다. 도 1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4개의 샘플이 다른 흡광 패턴을 나타냈다. spectral library에 따르면, PEFE-AuNP 및 PEFE의 각각 3408.21 및 3253.87 cm-1에서 관찰된 밴드는 페놀 화합물의 히드록시기(O-H)에 해당하는 것이다. 2919.67 및 2850.99 cm-1에서 관찰된 PEFE-AuNP의 밴드 및 2927.70 cm-1에서 관찰된 B. lactis의 밴드는 메틸 또는 메틸렌기의 C-H 결합에 의한 것이다. 1703.87 내지 1609.32 cm-1의 시그널은 방향족 이중결합(C=C) 및 카르보닐기 (C=O)에 해당한다. 1032.6 cm-1에서의 밴드는 지방족 에테르(C-O)의 존재를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PEFE-AuNP가 B. lactis, HAuCl4·3H2O, 및 PEFE의 특이 구조로 구성됨을 제시한다. 게다가, FE-TEM 이미지는 PEFE-AuNP가 5-60 nm의 크기이고 원형, 삼각형 및 다각형의 나노하이브리드를 형성함을 보였다(도 1D 및 1E).
elemental mapping analysis을 통해, 원소의 공간 분포로 AuNP의 분포를 입증하였다(도 1F). Au의 밀도는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이는 Au가 합성된 AuNP의 주요 요소임을 나타낸다. EDX spectroscopy analysis에서, 2.1 keV에서의 광학 흡광에서 가장 높은 피크는 Au에 해당하는 것이고(도 1G), 8 keV에서 풍부한 금속 그룹은 코퍼 그리드로 확인되었다. SAED 이미지는 PEFE-AuNP의 회절, 금속 특성 및 원형 구조를 보이는 것으로, 이는 결정성 NP의 형성을 제시한다 (도 1H). XRD 이미지에서의 피크 패턴은 (111), (200), (220), 및 (311)의 4개 피크를 보이며, 가장 높은 피크는 (111) 방향에 해당하는 것으로(도 1I), 이는 Bragg’s reflection의 금 격자면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2θ 수치에서 38.333°, 44.384°, 64.917°, 및 77.537°의 4개 회절 피크가 확인되었다. 종합하면, 본 발명에서 PEFE 및 Au 이온으로 B. lactis의 효소 시스템을 이용한 친환경적인 미생물 생합성 공정을 통해 PEFE-AuNP을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
실시예 2.
혈액적합성(Hemocompatibility) 분석
탈섬유소 양 혈액을 Kisan Bio Co., Ltd. (Seoul, Republic of Korea)에서 구입하여 PBS로 전체 혈액을 3회 세척한 후 원심분리(3,000 rpm, 5min)하여 적혈구를 분리하였다. PEFE-AuNP의 혈액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PEFE-AuNP 함유 나노입자 샘플을 1 mL의 PBS 에 150 μg/mL의 농도로 희석하고, 샘플 용액을 적혈구 현탁액과 1:100 (v/v)의 비율로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혼합물을 1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무-세포 상청액을 수득하였다. 마지막으로, 상청액의 흡광도를 545 nm에서 SpectraMax® ABS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LLC., San Jose, CA, USA)를 사용해 측정하고, 샘플의 혈액적합성을 PBS 및 적혈구 단독 함유 음성 대조에 대해 평가하였다.
PEFE-AuNP의 세포내 유입 및 국소화의 확인
PEFE-AuNP의 유입 능력을 시각화하기 위해, 인간 위 암종 세포주 AGS를 Korean Cell Line Bank (KCLB, Seoul, Republic of Korea)에서 입수하고, AGS 세포를 PEFE-AuNP로 처리한 후 5분 및 3시간 동안 관찰하였다. 세포 내로 나노입자의 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bright-field microscopy (Olympus Optical Co., Ltd., Tokyo, Japan) 및 enhanced dark-field (EDF) microscopy (CytoViva Inc., Auburn, AL, USA)를 사용해 사진을 촬영하였다.
세포 생존도 분석
두 유형의 정상 세포주인 인간 상피 케라티노사이트 세포주 HaCaT 및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 세포주 NHDF를 KCLB (Seoul, Republic of Korea)에서 구입하였다. HaCaT 및 NHDF 세포를 10% FBS 및 1% PS 함유 DMEM에 배양하고, 및 AGS 세포를 10% FBS 및 1% PS 함유 RPMI-1640에 배양하였다. PEFE-AuNP의 세포독성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각 세포 현탁액 (1 × 104 cells/well)을 9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였다. 24시간 동안 안정화시킨 후, 배양 상청액을 석션으로 제거하고 50, 80, 및 100 μg/mL 농도의 PEFE-AuNP를 함유함 새 배지를 세포에 첨가하였다. 처리 후 6시간째에 MTT 분석을 실시하였다.
트립판 블루 염색에 의한 콜로니 형성 분석
AGS 세포를 세포 배양 디쉬 (35 × 10 mm)에 접종하고, 24시간 동안 NP 샘플을 80 및 1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한 후, PBS로 3회 세척하였다. 콜로니-형성 세포를 시각화하기 위해, AGS 세포를 트립판 블루 용액(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으로 5분간 염색하고,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Image J software (US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Bethesda, MD, USA)를 사용해 분석하였다.
Hoechst 33258 및 propidium iodide (PI) 염색
NP 샘플을 처리한 AGS 세포를 Hoechst 33258 또는 PI로 염색하여 세포의 형태를 관찰하고 아폽토시스 세포의 수를 정량하였다. 우선, AGS 세포 (1 × 105cells)를 세포 배양 디쉬에 접종하고 48 시간 동안 안정화시킨 후, NP 샘플을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Hoechst 33258 또는 PI로 염색한 후, 세포를 Leica DM IRB fluorescence microscope (Leica Microsystems, Wetzlar, Germany)를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Reactive oxygen species (ROS) 및 Mito-SOX 정량
Mito-Tracker® Green (MTG) FM (Thermo Fisher Scientific, MA, USA)을 사용하여 미토콘드리아를 염색하였다. 형광색은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내부에 각각 유지되었다. 본 발명의 나노입자 샘플을 처리한 후, AGS 세포 (1×105cells)를MitoTracker® Green (0.1 μM)와 1시간 동안 37℃에서 인큐베이션한 후 PBS로 3회 세척하고 세포를 현미경(Leica Microsystems, Wetzlar, Germany)으로 관찰하였다. 세포내 ROS 분비를 Cellular ROS/Superoxide Detection Assay Kit (Abcam, Cambridge, MA, USA)로 검출하였다. AGS 세포 (1×105 cells)를 6-웰 플레이트에서 배양하고 각각 다른 농도의 PEFE 및 PEFE-AuNP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그런 다음 0.4 μL의 산화 검출 및 초산화 검출 시약을 첨가하였다. 30분간 인큐베이션한 후, 형광을 현미경(Leica Microsystems, Wetzlar, Germany)으로 측정하였다.
사이토솔-관련 단백질 LC3 면역형광 염색
AGS 세포 (1×105 cells)를 6-웰 플레이트에서 성장시키고 다른 농도의 PEFE 및 PEFE-AuNP로 각각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세포를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로 고정하고 0.1% Triton X-100을 사용하여 20분간 투과화시켰다. 세포를 PBS로 세척한 후 PBS 중의 2% BSA로 1시간 동안 차단시켰다. LC3의 항체를 실온에서 3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fluorescein isothiocyanate (FITC)-접합 이차 항체와 함께 30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PBS로 세척한 후, 형광을 Leica fluorescence microscope (Leica Microsystems, Wetzlar, Germany)로 촬영하고 및 Image J software를 사용해 정량하였다.
Quantitative real-time PCR (qRT-PCR)
mRNA 발현을 qRT-PCR을 사용해 확인하였다. 우선, 총 RNA를 TRIzol reagent (Bioline, Brisbane, Australia)를 사용해 추출하고 mRNA를 First-Strand Synthesis Kit (Invitrogen, Carlsbad, CA, USA)를 사용하여 cDNA로 역전사시켰다. qRT-PCR을 amfiSure qGreen Q-PCR Master Mix (GenDEPOT, Katy, TX, USA) 및 Rotor-Gene qRT-PCR machine (QIAGEN, Seoul, Republic of Korea)를 사용해 실시하였다. 내인성 대조(β-actin)에 대한 표적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은 식 2-ΔΔCt method (ΔΔCt = ΔCt[treated] - ΔCt[control])을 사용해 계산하였다. 하기 표 1 에 나타난 유전자별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qRT-PCR로 각 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웨스턴 블롯팅
총 단백질을 protease inhibitor cocktail (GenDEPOT, Katy, TX, USA) 함유 RIPA lysis buffer (Thermo Fisher Scientific, Rockford, IL, USA)를 사용해 NP-처리 AGS 세포에서 수득하였다. 동량 (50 μg)의 총 단백질을 10% SDS 함유 SDS-PAGE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로 분리하고 Protein Gel Electrophoresis Chamber System (Thermo Fisher Scientific, Rockford, IL, USA)을 사용하여 PVDF 맴브레인(polyvinylidene fluoride; 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으로 옮겼다. 블롯을 5% 탈지유 함유 PBS로 실온에서 2시간 동안 차단하고 일차 항체(Bax, Bcl-2, 사이토크롬 C, 카스파제 9, 카스파제 3, LC3-I/II, Beclin-1, p62, PTEN-induced kinase 1 (PINK1), Parkin, TOM20, 및 β-actin)와 함께 4℃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모든 일차 항체는 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에서 구입하였다. 인큐베이션한 후, 맴브레인을 PBS로 세척하고 horse radish peroxidase (HRP)-접합 이차 항체 용액(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과 함께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단백질 밴드를 Enhanced Chemiluminescence (ECL) reagent (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로 시각화하고 Image J software를 사용해 정량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는 3회 독립 실험의 평균 ± 표준편차 (SD)로 나타내고, 차이는 Student’s T-test 또는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로 평가했다. 모든 차이는 at p<0.05, p<0.01, 및 p<0.001에서 비처리 대조 및 처리 샘플 사이에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다고 간주하였다.
결과 및 결론
정상 및 암 세포에 대한 PEFE-AuNP의 세포독성 효과
PEFE-AuNP의 세포 유입을 평가하기 위해, PEFE-AuNP 처리 후 EDF microscopy를 사용하여 AGS 세포를 관찰하였다(도 2). 결과는 처리 5분 후에는 세포 내에 거의 축적되지 않음을 보였다; 그러나, 3시간 후에 밝기가 증가하여 PEFE-AuNP의 유입이 급격히 증가함 확인하였으며, 이는 합성된 PEFE-AuNP가 세포 내에 흡입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다.
나노입자에 대한 포유동물 세포의 민감도 및 이러한 생체적합물질의 생물학적 안정성 농도가 치료 시도 또는 다른 생물의학적 적용 전에 결정되어야 한다. 혈액적합성은 나노입자와 같은 생체적합물질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필수 요소이다. 따라서, PEFE-AuNP의 혈액적합성을 양 혈액으로부터 분리한 적혈구 세포를 이용해 확인하였다. 도 3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4시간 내에서 PEFE가 PEFE-AuNP(1%)보다 용혈(2%)을 더 많이 유도하였으며, 이는 PEFE-AuNP가 PEFE보다 더 적은 세포독성을 보임을 제시하는 것이다. 5% 이하의 용혈은 인간에게 안전한 것으로 여겨지므로, PEFE-AuNP는 혈액적합성에 문제가 없다.
PEFE-AuNP, PEFE, 및 B. lactis의 세포독성 효과를 두 유형의 정상 인간 세포인 HaCaT 세포 (케라티노사이트) 및 NHDF 세포 (섬유아세포)로 평가하였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조군(비처리군) 및 처리군(50-100 μg/mL의 농도로 B. lactis, PEFE, 또는 PEFE-AuNP를 처리) 사이에 세포독성의 통계학적 유의차는 없으며, 이는 모든 샘플이 실험한 농도에서 정상 세포에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반대로, PEFE-AuNP는 PEFE 및 B. lactis에 비해 투여량 의존적으로 암 세포의 생존도를 상당히 감소시켰다(도 3C). PEFE-AuNP의 IC50(half-maximalinhibitoryconcentration)은 대략 80 μg/mL이다. 그러므로, 80 및 100 μg/mL의 농도를 뒤이은 AGS 세포에 대한 PEFE-AuNP 및 PEFE의 항암 활성을 평가하는데 사용하였다. AGS 세포의 세포 형태 및 콜로니 형성은 도 3D-3E에 나타냈다. 결과는 AGS 세포 콜로니의 수가 80 및 100 μg/mL 농도의 PEFE-AuNP 또는 PEFE로 처리한 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더 많음을 보였다. 특히, PEFE-AuNP는 동일 농도의 PEFE에 비해 콜로니 수가 상당히 감소하였다. 게다가, 100 μg/mL의 PEFE-AuNP은 양성 대조(50 μM의 cisplatin)에 비해 콜로니 형성의 저해가 훨씬 저해되었으며, 이는 암 치료에서 PEFE-AuNP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도 3D 및 3E). 종합하면, 본 발명의 결과들은 PEFE-AuNP의 항암 활성이 정상 세포에 독성을 보이지 않으면서 콜로니 형성을 저해함을 제시한다.
AGS 세포에서 PEFE-AuNP에 의해 유도되는 미토콘드리아 손상
AGS 세포에 대한 PEFE-AuNP의 항암 활성의 분자 메커니즘을 연구하였다. 미토콘드리아 손상은 프로그래밍된 세포사의 초기 단계에서 중요한 특징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카스파제-유도 아폽토시스 동안, 상당한 미토콘드리아 기능부전이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 (Δψm)의 손실 및 ROS의 생산에 의해 야기된다. 본 발명에서, PEFE-AuNP로 처리된 AGS 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의 형태를 미토콘드리아-특이 프로브 Mito-tracker로 염색한 후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도 4A). PEFE-AuNP로 처리된 AGS 세포가 파괴된 미토콘드리아를 갖는 반면, 대조군 및 PEFE로 처리된 군에서는 정상적인 관 형태의 미토콘드리아를 보였다. 파괴된 미토콘드리아는 보통 반점이 있는 원형으로, 이는 미토콘드리아의 분열 또는 파쇄를 나타내는 것이다. 고농도의 미토콘드리아 초산화물이 세포내 산화 손상 및 뒤이은 암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유도할 수 있으므로, MitoSOX assay을 통해 AGS 세포의 ROA 생산을 확인하였다 (도 4B). Mito-SOX 및 ROS의 투여량 의존적 생산이 PEFE-AuNP 처리 세포에서 관찰되었으나, PEFE로 처리된 군에서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는 PEFE-AuNP의 존재시 과량의 ROS 축적이 AGS 세포에서 아폽토시스를 유도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다. ROS 및 Mito-SOX 생산 결과는 통계 분석을 위해 정량하였다 (도 4C).
PEFE-AuNP로 처리된 AGS 세포에서의 아폽토시스의 분자 메커니즘을 연구하였다. 이전 연구에서 PINK1 관련 Parkin-매개 경로는 항암 칠에서 주요 경로 중 하나임이 밝혀졌다. Δψm가 손실됨에 따라, PINK1은 일시적으로 미토콘드리아의 외막에 축적되었으며, Parkin은 선택적으로 모집되었으며 기능부전 미토콘드리아와 통합해 큰 복합체를 형성하여 오토파지를 유도하였다.본 발명의 연구에서, PEFE-AuNP로 처리된 AGS 세포에서 PINK1 및 Parkin의 mRNA 발현 및 단백질 수준이 대조군 또는 PEFE-처리 세포에 비해 투여량 의존적으로 상당히 감소하였다 (도 4D 및 4E). TOM20은 translocase of outer membrane (TOM) 패밀리의 중심 성분으로, 미토콘드리아 매트릭스로의 단백질 수송에 관여한다. 100 μg/mL 농도의 PEFE-AuNP가 음성 대조군에 비해 TOM20 발현 수준을 상당히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PEFE-AuNP에 의해 유도된 미토콘드리아 붕괴가 PINK1-Parkin-매개 Δψm 감소와 관련되어 AGS 세포에서 아폽토시스를 야기함을 제시하는 것이다.
AGS 세포에서 PEFE-AuNP에 의해 아폽토시스가 유도된다
항상성에서 중요한 과정인 아폽토시스는 암세포를 비롯한 비정상 세포를 파괴한다. 암 치료를 위한 일부 전략은 아폽토시스롤 통한 종양 세포 복제 저해와 관련되어 있다. 도 5A는 시스플라틴, PEFE-AuNP, 및 PEFE로 처리된 Hoechst- 및 PI-염색 AGS 세포의 형광 현미경 이미지이다. Hoechst 염색으로 대조군에서 희미한 파란색 핵이 보였으며, 이는 아폽토시스가 없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반대로, PEFE-AuNP (80 및 100 μg/mL)로 처리된 세포에서는 상당한 병리학적 변화가 보였으며, 이는 아폽토시스가 발생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게다가, PEFE 처리군에 비해 PEFE-AuNP로 처리한 세포에서 더 큰 규모의 아폽토시스가 유도되었다. 죽은 세포만 빨간색으로 염색되는 PI 염색에 의해 PEFE에 비해 PEFE-AuNP가 투여량 의존적 방식으로 아폽토시스 세포의 수를 상당히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PEFE-AuNP에 의해 유도되는 아폽토시스의 분자 메커니즘을 연구하였다. 다양한 아폽토시스 경로 중, Bax/Bcl-2 시그널링 경로는 미토콘드리아 아폽토시스 경로의 활성화에서 주요 역할을 하며, 미토콘드리아 막의 투과도 및 사이토크롬 c의 분비를 증가시켜 카스파제(카스파제 3 및 9)의 활성화 및 뒤이은 아폽토시스 유도를 야기한다. Bax, Bcl-2, 사이토크롬 c, 카스파제 9, 및 카스파제 3를 포함하는 아폽토시스-관련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도 5B에 나타냈다. PEFE-AuNP는 음성 대조 및 PEFE에 비해 투여량 의존적 방식으로 AGS 세포에서 평가된 모든 mRNA의 발현을 상당히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PEFE-AuNP가 Bax/Bcl-2, 사이토크롬 c, 카스파제 9, 및 카스파제 3과 같은 아폽토시스-관련 단백질의 수준을 상당히 증가시킴을 나타내는 웨스턴 블롯팅에 의한 세포내 단백질 발현 분석 결과(도 5C)와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는 AGS 세포의 아폽토시스가 PEFE-AuNP의 처리에 의해 Bax/Bcl-2 및 카스파제 9/카스파제 3을 통해 세포내 시그널링 경로를 활성화시켜 야기됨을 제시한다.
PEFE-AuNP는 AGS 세포에서 오토파지를 저해하여 아폽토시스를 촉진한다
아폽토시스는 일반적으로 오토파지에 의해 억제되며 오토파지는 아폽토시스-관련 카스파제 활성화에 의해 차단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가-파괴적인 과정 둘 다 동일 세포에서 연속하여 일어나지만 (오토파지는 일반적으로 아폽토시스보다 선행함), 이들은 서로 저해하는 방식으로 교차 조절되어 작용한다. 그러므로, PEFE-AuNP의 항암 활성이 오토파지와 관련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LC3, sequestosome 1/p62 (p62), 및 Beclin-1을 오토파지 및 오토파지 관련 과정을 확인하기 위한 마커로서 사용하였다. 오토파지 플럭스를 측정하기 위한 모델 기질인 LC3는 지질 변화 및 뒤이은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과의 결합으로 구조적으로 변화해 막-결합 LC3-II을 형성하며, 이를 면역블롯팅 또는 면역형광 분석으로 검출하였다. p62는 LC3으로의 직접 결합하고 오토파지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해되어, 오토파지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또 다른 마커이다. Beclin-1 또한 오토파지에 대한 마커로서, 아폽토시스에서 Beclin-1의 카스파제-매개 분해가 오토파지 저해에 영향을 준다. 도 6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PEFE-AuNP는 LC3-II/LC3-I 및 Beclin-1의 mRNA 발현의 상당한 하향조절 및 p6 2의 mRNA 발현의 투여량 의존적 상향조절에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결과는 웨스턴 블롯팅에 의한 세포내 단백질 발현 분석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도 6B).
반면에, 오토파지 유도제 라파마이신(Rapa)은 오토파지-관련 메커니즘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AGS 세포에 대한 PEFE-AuNP의 세포독성 활성의 자세한 메커니즘을 연구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qRT-PCR 분석 결과는 LC3-II/LC3-I 및 Beclin-1의 발현이 Rapa-처리 AGS 세포에서 상당히 하향조절되나 PEFE-AuNP 및 Rapa를 처리한 세포에서는 상향조절됨을 보였다 (도 7A 및 7B). 반면에, PEFE-AuNP 및 Rapa 처리 세포에서 p62의 발현은 Rapa 단독 처리 세포에 비해 감소하였다. 형광 현미경 관찰 결과는 PEFE-AuNP가 Rapa-처리 AGS 세포에서 LC3 발현을 저해함을 보였다(도 7C). 마지막으로, Bax, Bcl-2, 사이토크롬 c, 카스파제 9, 및 카스파제 3와 같은 아폽토시스-관련 시그널링 분자의 발현 수준을 Rapa-유도 오토파지를 갖는 AGS 세포에서 확인하였다. PEFE-AuNP는 투여량 의존적 방식으로 이러한 분자의 발현을 상당히 하향조절하며, 이는 AGS 세포에서 Rapa-자극 오토파지가 PEFE-AuNP에 의해 상당히 저해됨을 나타내는 것이다(도 7D, E). 그러므로, 이러한 결과들은 PEFE-AuNP가 AGS 세포에서 아폽토시스를 촉진하고 오토파지를 저해하여 항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도 8).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 lactis 균주;
    2 mM HAuCl4의 수용액; 및
    0.08 mg/mL의 암라(Phyllanthus emblica) 추출물;
    을 pH 7.0 하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금 나노입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금 나노입자는 1 내지 100 nm의 직경을 갖는 것인, 금 나노입자.
  7. 제 5 항에 따른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위암, 대장암, 유방암, 신장암, 폐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방광암, 간암 및 췌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약학 조성물.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금 나노입자는 암 세포의 아폽토시스 세포를 증가시키고, 미토콘드리아 손상을 유도하며, 오토파지를 억제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10. 제 5 항에 따른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1. 제 7 항에 따른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KR1020210051664A 2021-04-21 2021-04-21 박테리아 균주 및 암라 추출물을 이용한 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금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621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664A KR102621972B1 (ko) 2021-04-21 2021-04-21 박테리아 균주 및 암라 추출물을 이용한 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금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664A KR102621972B1 (ko) 2021-04-21 2021-04-21 박테리아 균주 및 암라 추출물을 이용한 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금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054A KR20220145054A (ko) 2022-10-28
KR102621972B1 true KR102621972B1 (ko) 2024-01-05

Family

ID=83835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664A KR102621972B1 (ko) 2021-04-21 2021-04-21 박테리아 균주 및 암라 추출물을 이용한 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금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97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852B1 (ko) 2013-07-10 2015-06-09 광주과학기술원 항암 효능을 가진 생체적합성 금 나노입자 및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ih-Yu Chen, et al., Applied Sciences, 2021, 11, 3670.*
Kowsik Ghosh, et al., Adv. Nat. Sci.: Nanosci. Nanotechnol., 2020, 11, 0350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054A (ko) 2022-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8953B1 (ko) 산삼 또는 인삼을 포함한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07448B1 (ko) 세트라리아 속 지의류로부터 분리된 신규 지의류 내생 곰팡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줄기세포 성장억제용 조성물
KR101670590B1 (ko) Erk 신호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줄기세포 성장 억제용 조성물
Zakłos-Szyda et al. The influence of Viburnum opulus polyphenolic compounds on metabolic activity and migration of HeLa and MCF cells
KR20110114346A (ko)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2621972B1 (ko) 박테리아 균주 및 암라 추출물을 이용한 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금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20169108A (ko) 인삼 유래 균주 및 블랙커민 추출물을 이용한 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금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659740B1 (ko) 해삼 생식선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의 항암 용도
KR102357904B1 (ko) 항암용 금 나노입자
KR102013398B1 (ko) 청각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70475B1 (ko) 암세포 사멸 유도 효과를 갖는 아실아마이드 화합물
KR101794924B1 (ko) 퉁퉁마디 유래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이소람네틴의 분리방법
Qi et al. The preventive and inhibitory effects of red raspberries on cancer
KR101185901B1 (ko) 등골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2155713B1 (ko) 해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88606A (ko)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능이 있는 이소람네틴(isorhamnetin)을 함유하는 퉁퉁마디(Salicornia SPP.) 물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KR102590150B1 (ko)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14014B1 (ko) 구골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암용 조성물
KR20190129262A (ko) 단삼 및 도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07449B1 (ko) 세트라리아 라에비가타 지의류로부터 분리된 신규 지의류 내생 곰팡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줄기세포 성장억제용 조성물
KR101189959B1 (ko)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90110602A (ko) 일본 후박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암 치료 및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KR20050024120A (ko) 플라티코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Mostafa et al. Possible Effect of Pyrogallol on Tongue Squamous Cell Carcinoma SCC-25 Cells
KR20230156202A (ko) 로바리아 레티게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줄기세포 성장 억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