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603B1 -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603B1
KR102621603B1 KR1020180075856A KR20180075856A KR102621603B1 KR 102621603 B1 KR102621603 B1 KR 102621603B1 KR 1020180075856 A KR1020180075856 A KR 1020180075856A KR 20180075856 A KR20180075856 A KR 20180075856A KR 102621603 B1 KR102621603 B1 KR 102621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
stage
transmission tower
climb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398A (ko
Inventor
김종보
최규택
권영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75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603B1/ko
Publication of KR20200002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4Arrangements for erecting or lowering towers, masts, poles, chimney stacks, or the like
    • E04H12/342Arrangements for stacking tower sections on top of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산악지에 관형 송전철탑을 조립하기 위한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Assembly device of Power Transmission Tower of Tubular and assembly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산악지에 관형 송전철탑을 조립하기 위한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송전선로의 설치를 위해서는 송전철탑을 세우게 되는데, 송전철탑에 대한 주민들의 기피현상이 가중됨에 따라 민원을 완화하고자 산악지 등 민가와 떨어진 지역에 관형 송전철탑을 설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관형 송전철탑은 이동식 크레인을 이용하여 조립되는데, 이동식 크레인을 이용한 조립공법은 도로가 인접한 지역에서만 가능하여 산악지 등 송전선로가 경과하는 대부분의 지역에는 관형 송전철탑 설치에 한계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1099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아파트 공사현장 등 대형 철탑 조립에 사용되는 타워크레인 공법을 이용하여 도로가 인접하지 않은 산악지 등에서도 관형 송전철탑을 조립할 수 있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되는 판형상의 받침대;
받침대 상에 설치되는 1단가대;
1단가대와 동축이 되도록 1단가대의 상측에 결합되는 2단가대;
1단가대와 2단가대의 내측에서 상하방향 이동하는 클라이밍;
클라이밍 내측에 삽입되어 클라이밍에 의해 상방향 이동하면서 복수 개 적층되는 마스트;
마스트 중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마스트의 상단에 결합되어 관형 송전철탑 유닛을 적층시키는 크레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클라이밍은,
내측에 마스트가 위치하는 클라이밍 본체부와,
클라이밍 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클라이밍 본체부를 상하방향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클라이밍 본체부에는, 내측에 위치하는 마스트의 하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하단 고정용 지지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단 고정용 지지대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클라이밍 본체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삽입부;
클라이밍 본체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삽입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삽입부의 중심축에 대해 삽입부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부;
삽입부의 외경부에 형성되어 삽입부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며, 삽입부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단 고정용 지지대는,
클라이밍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을 가로지르며, 클라이밍 본체부의 전후방향으로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린더는,
하단이 받침대에 고정되는 피스톤부;
외측에 클라이밍 본체부가 결합되며, 팽창에 의해 피스톤부에 대해 상하방향 이동하면서 클라이밍 본체부를 상하방향 이동시키는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단가대의 내측에서, 클라이밍 본체부가 삽입되는 부분의 전후방향 폭은 실린더가 삽입되는 부분의 전후방향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1단가대의 내측 단면은 1단가대의 양측을 가로지르는 중심선에 대해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1단가대의 내측에서 클라이밍 본체부가 삽입되는 부분의 모서리부에는 일측벽과 타측벽을 사선으로 연결하는 형상의 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롤러는 클라이밍 본체부의 모서리부와 맞닿아 실린더에 의한 클라이밍 본체부의 상하방향 이동을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단가대는 1단가대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단가대는 1단가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단가대의 내측에는 1단가대와 동일한 위치에 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단가대에는, 내측에 위치하는 마스트의 상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상단 고정용 지지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단 고정용 지지대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2단가대의 내측에 위치하는 삽입부;
2단가대의 외측에 위치하며, 삽입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삽입부의 중심축에 대해 삽입부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부;
삽입부의 외경부에 형성되어 삽입부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며, 삽입부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단가대의 일측과 타측을 가로지르며, 2단가대의 전후방향으로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단가대, 2단가대 및 마스트는 조립식 앵글을 이용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스트는,
높이방향 앵글을 사각형상으로 연결하며,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상단부;
높이방향 앵글을 사각형상으로 연결하며,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바닥부;
높이방향 앵글을 사각형상으로 연결하며, 상단부와 바닥부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하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단부 중 양측의 높이방향 앵글을 연결하는 상단부에는 하면으로부터 상면을 향하여 일정 깊이의 상단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단삽입홈은 상단부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단부 중 양측의 높이방향 앵글을 연결하는 하단부에는 하면으로부터 상면을 향하여 일정 깊이의 하단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단삽입홈은 하단부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를 이용한 조립방법에 있어서,
지면을 평탄화 시키는 단계;
평탄화 된 지면에 받침대가 설치되는 단계;
받침대 위에 1단가대가 설치되는 단계;
1단가대 내측에 클라이밍이 삽입되는 단계;
제1마스트 설치단계;
제2마스트 설치단계;
제N마스트 설치단계;
관형 송전철탑 유닛 적층 단계;를 포함한다.
제1마스트 설치단계는,
클라이밍 본체부 내측에 제1마스트가 삽입되는 단계;
클라이밍 본체부와 제1마스트가 서로 결합되는 단계;
제1마스트의 상측에 관형 송전철탑 유닛을 들어올리기 위한 크레인이 결합되는 단계;
클라이밍의 실린더가 팽창하는 단계;
실린더 팽창에 의해 클라이밍 본체부와 제1마스트가 일정 높이 상방향 이동하는 단계;
1단가대의 상측에 2단가대를 설치하는 단계;
2단가대와 제1마스트가 서로 결합되는 단계;
클라이밍 본체부와 제1마스트의 결합이 해제되는 단계;
클라이밍 본체부가 하향 이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클라이밍 본체부와 제1마스트가 서로 결합되는 단계는,
클라이밍 본체부에 설치된 하단 고정용 지지대의 삽입부가 회전되는 단계;
삽입부가 회전되면서 하단 고정용 지지대의 고정부가 제1마스트 내측을 향하여 회전되는 단계;
고정부가 제1마스트의 하단삽입홈에 삽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린더 팽창에 의해 클라이밍 본체부와 제1마스트가 일정 높이 상방향 이동하는 단계에서,
클라이밍 본체부와 제1마스트의 이동 완료 시 하단 고정용 지지대는 1단가대의 상측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단가대의 상측에 2단가대를 설치하는 단계에서,
2단가대의 내측에는 1단가대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단가대와 제1마스트가 서로 결합되는 단계는,
2단가대에 설치된 상단 고정용 지지대의 삽입부가 회전하는 단계;
삽입부가 회전되면서 상단 고정용 지지대의 고정부가 제1마스트의 내측을 향하여 회전되는 단계;
고정부가 제1마스트의 상단삽입홈에 삽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클라이밍 본체부와 제1마스트의 결합이 해제되는 단계는,
하단 고정용 지지대의 삽입부가 제1마스트의 외측을 회전되는 단계;
삽입부가 회전되면서 하단 고정용 지지대의 고정부가 제1마스트 외측을 향하여 회전되는 단계;
고정부가 제1마스트의 하단삽입홈에 탈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마스트 설치단계는,
제1마스트의 하측으로 클라이밍 본체부 내측에 제2마스트가 삽입되는 단계;
클라이밍 본체부와 제2마스트가 서로 결합되는 단계;
제1마스트와 제2마스트를 서로 결합시키는 단계;
2단가대와 제1마스트의 결합이 해제되는 단계;
실린더 팽창에 의해 클라이밍 본체부와 제2마스트가 일정 높이 상방향 이동하는 단계;
2단가대와 제2마스트가 서로 결합되는 단계;
클라이밍 본체부와 제2마스트의 결합이 해제되는 단계;
클라이밍 본체부가 하향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마스트와 제2마스트를 서로 결합시키는 단계에서,
제1마스트의 하단부 하면에 형성된 홈부에 제2마스트의 상단부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단가대와 제1마스트의 결합이 해제되는 단계는,
상단 고정용 지지대의 삽입부가 제1마스트의 외측을 회전되는 단계;
삽입부가 회전되면서 상단 고정용 지지대의 고정부가 제1마스트 외측을 향하여 회전되는 단계;
고정부가 제1마스트의 상단삽입홈에 탈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N마스트 설치단계에서는,
N개의 마스트가 제2마스트 설치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되면서 크레인의 높이가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N개의 마스트는 모두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N마스트 적층 시 일정 높이 부분의 마스트에는 마스트의 횡진을 예방하기 위한 마스트 가이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스트 가이드의 내측에는 롤러가 장착되어 마스트의 모서리부와 맞닿아 마스트의 상하방향 이동을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스트 가이드는, 마스트 가이드의 외측에 형성된 마스트 가이드 지지대에 의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관형 송전철탑 유닛의 플랜지부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형 송전철탑 유닛 적층 단계에서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관형 송전철탑 유닛을 적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관형 송전철탑 조립 시 사용되던 이동식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도로와 인접하지 않은 산악지 등에서도 관형 송전철탑을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클라이밍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1단가대 및 2단가대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마스트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받침대에 설치된 1단가대의 상면도 및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1단가대 내측에 설치된 클라이밍의 상면도 및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클라이밍 내측에 설치된 제1마스트의 상면도 및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고정용 지지대를 이용한 클라이밍과 제1마스트의 고정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마스트 상측에 설치되는 크레인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린더를 이용한 제1마스트 상향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1단가대 상측에 조립되는 2단가대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마스트 고정 후 클라이밍의 하향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마스트 고정 완료 단계 개념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마스트 고정 완료 후 제2마스트 삽입 단계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마스트 상향 단계 개념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마스트 고정 완료 단계 개념도.
도 16은 본 발명의 마스트가이드 개념도.
도 17은 본 발명의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를 이용한 관형 송전철탑 조립 개념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산악지에 관형 송전철탑을 조립하기 위한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는, 지면에 설치되는 판형상의 받침대(2)와, 상기 받침대(2) 상에 설치되는 1단가대(4)와, 상기 1단가대(4)와 동축이 되도록 상기 1단가대(4)의 상측에 결합되는 2단가대(6)와, 상기 1단가대(4)와 상기 2단가대(6)의 내측에서 상하방향 이동하는 클라이밍(16)과, 상기 클라이밍(16)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클라이밍(16)에 의해 상방향 이동하면서 복수 개 적층되는 마스트(34)와, 상기 마스트(34) 중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마스트(34)의 상단에 결합되어 관형 송전철탑 유닛(54)을 적층시키는 크레인(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클라이밍(16)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클라이밍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클라이밍(16)은 상기 1단가대(4)와 동축이 되도록 상기 1단가대(4)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조립식 앵글을 이용한 직육면체 형상이며 내측에 상기 마스트(34)가 위치하는 클라이밍 본체부(18)와,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에는,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마스트(34)의 하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하단 고정용 지지대(20)가 설치된다.
상기 하단 고정용 지지대(20)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의 내측에 위치하는 삽입부(22)와,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삽입부(22)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22)의 중심축에 대해 상기 삽입부(22)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부(24)와, 상기 삽입부(22)의 외경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22)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며 상기 삽입부(22)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는 고정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단 고정용 지지대(20)의 상기 손잡이부(24)는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삽입부(22)는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의 일측과 타측을 가로지르도록 위치하게 된다. 상기 하단 고정용 지지대(20)는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의 전후방향으로 복수 개 설치되어 상기 마스트(34)의 하단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28)는, 상기 받침대(2)에 고정되는 피스톤부(30)와, 외측에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가 결합되며 내측에 상기 피스톤부(30)가 삽입되어 팽창에 의해 상기 피스톤부에 대해 상하방향 이동하면서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를 상하방향 이동시키는 실린더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1단가대 및 2단가대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1단가대(4)와 상기 2단가대(6)는 조립식 앵글을 이용한 직육면체 형상이다.
먼저 상기 1단가대(4)의 형상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1단가대(4)의 내측에서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가 삽입되는 부분의 전후방향 폭은 상기 실린더(28)가 삽입되는 부분의 전후방향 폭보다 큰 것으로, 상기 1단가대(4)의 내측 단면은 상기 1단가대(4)의 양측을 가로지르는 중심선에 대해 대칭형상이 된다.
상기 1단가대(4)의 내측에서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가 삽입되는 부분의 모서리 부에는 서로 수직방향의 일측벽과 타측벽을 사선으로 연결하는 형상의 롤러(52)가 설치된다. 상기 롤러(52)는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의 상하방향 이동 시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의 모서리와 맞닿아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의 상하방향 이동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보조하게 된다. 상기 롤러(52)는 상기 1단가대(4) 내측의 모서리부 4곳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2단가대(6)는 상기 1단가대(4)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1단가대(4)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롤러(52)는 상기 2단가대(6)의 내측에도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2단가대(6)에 설치되는 상기 롤러(52) 또한 상기 1단가대(4)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의 상하방향 이동 시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의 모서리와 맞닿아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의 상하방향 이동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보조하게 된다.
상기 2단가대(6)에는 상기 2단가대(6)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마스트(34)의 상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상단 고정용 지지대(8)가 설치된다.
상기 상단 고정용 지지대(8)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2단가대(6)의 내측에 위치하는 삽입부(10)와, 상기 2단가대(6)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삽입부(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10)의 중심축에 대해 상기 삽입부(10)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부(12)와, 상기 삽입부(10)의 외경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10)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며 상기 삽입부(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는 고정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단 고정용 지지대(8)의 상기 손잡이부(12)는 상기 2단가대(6)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삽입부(10)는 상기 2단가대(6)의 일측과 타측을 가로지르도록 위치하게 된다. 상기 상단 고정용 지지대(8)는 상기 2단가대(6)의 전후방향으로 복수 개 설치되어 상기 마스트(34)의 상단을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하단 고정용 지지대(20)와 상기 상단 고정용 지지대(8)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각각 상기 마스트(34)의 하단과 상기 마스트(34)의 상단을 지지하게 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마스트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마스트(34)는 조립식 앵글을 이용한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마스트(34)는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의 일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와 동축이 되도록 상기 클라이밍(16)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마스트(34)는 높이방향 앵글을 사각형상으로 연결하며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상단부(40)와, 높이방향 앵글을 사각형상으로 연결하며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바닥부(44)와, 높이방향 앵글을 사각형상으로 연결하며 상기 상단부(40)와 상기 바닥부(44)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하단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스트(34)의 상단부(40) 중 양측의 상기 높이방향 앵글을 연결하는 상단부(40)에는 하면으로부터 상면을 향하여 일정 깊이의 상단삽입홈(46)이 형성된다.
상기 상단삽입홈(46)은 상기 마스트(34)의 상단부(40)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단 고정용 지지대(8)의 고정부 (14) 개수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상단 고정용 지지대(8)의 상기 고정부(14)가 상기 상단삽입홈(46)에 삽입되어 상기 상단 고정용 지지대(8)가 상기 마스트(34)의 상단을 고정 지지하게 된다.
상기 마스트(34)의 하단부 중 양측의 상기 높이방향 앵글을 연결하는 하단부(42)에는 하면으로부터 상면을 향하여 일정 깊이의 하단삽입홈(48)이 형성된다.
상기 하단삽입홈(48)은 상기 마스트(34)의 하단부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단 고정용 지지대(20)의 고정부(26) 개수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하단 고정용 지지대(20)의 상기 고정부(26)가 상기 하단삽입홈(48)에 삽입되어 상기 하단 고정용 지지대(20)가 상기 마스트(34)의 하단을 고정 지지하게 된다.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를 이용한 관형 송전철탑 조립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관형 송전철탑 조립방법은,
지면을 평탄화 시키는 단계;
평탄화 된 지면에 받침대(2)가 설치되는 단계;
상기 받침대(2) 위에 1단가대(4)가 설치되는 단계;
상기 1단가대(4) 내측에 클라이밍(16)이 삽입되는 단계;
제1마스트(36) 설치단계;
제2마스트(38) 설치단계;
제N마스트 설치단계;
관형 송전철탑 유닛(54) 적층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된다.
먼저, 포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가 설치될 장소의 지면을 평탄화 시키게 된다. 평탄화 된 지면에 상기 받침대(2)를 설치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2) 위에 상기 1단가대(4)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1단가대(4)의 설치가 끝나면 상기 1단가대(4)의 내측 단면 형상에 맞춰 상기 1단가대(4)의 내측에 상기 클라이밍(16)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1단가대(4)의 내측에 상기 클라이밍(16) 설치 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단가대(4) 내측에 설치된 상기 롤러(52)가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의 상하방향 이동을 보조할 수 있도록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의 모서리가 상기 롤러(52)에 맞닿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 클라이밍(16)의 설치가 종료되면 상기 제1마스트(36) 설치단계가 시작된다.
상기 제1마스트(36) 설치단계는,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 내측에 제1마스트(36)가 삽입되는 단계;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와 상기 제1마스트(36)가 서로 결합되는 단계;
상기 제1마스트(36)의 상측에 관형 송전철탑 유닛(54)을 들어올리기 위한 크레인(50)이 결합되는 단계;
상기 클라이밍(16)의 실린더(28)가 팽창하는 단계;
상기 실린더(28) 팽창에 의해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와 상기 제1마스트(36)가 일정 높이 상방향 이동하는 단계;
상기 1단가대(4)의 상측에 2단가대(6)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2단가대(6)와 상기 제1마스트(36)가 서로 결합되는 단계;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와 상기 제1마스트(36)의 결합이 해제되는 단계;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가 하향 이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된다.
상기 클라이밍(16)의 설치가 종료되면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의 내측에는 복수 개의 마스트(34) 중 가장 먼저 설치되며, 복수 개의 마스트(34) 중 가장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제1마스트(36)가 삽입된다.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는 상기 실린더(28)에 의해 상방향 이동하면서 상기 제1마스트(36)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와 상기 제1마스트(36)는 서로 결합된다.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와 상기 제1마스트(36)가 서로 결합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에 설치된 상기 하단 고정용 지지대(20)의 삽입부(22)가 회전되는 단계;
상기 삽입부(22)가 회전되면서 상기 하단 고정용 지지대(20)의 고정부(26)가 상기 제1마스트(36) 내측을 향하여 회전되는 단계;
상기 고정부(26)가 상기 제1마스트(36)의 하단삽입홈(48)에 삽입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와 상기 마스트(34)의 결합은 상기 하단 고정용 지지대(20)의 고정부(26)가 상기 제1마스트(36)의 하단삽입홈(48)에 삽입되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측을 향해 위치하던 상기 하단 고정용 지지대(20)의 고정부(26)가 상기 제1마스트(36)의 하단삽입홈(48)에 삽입되도록 작업자가 상기 하단 고정용 지지대(20)의 손잡이부(24)를 회전시키면 이에 따라 상기 하단 고정용 지지대(20)의 삽입부(22)가 회전되어 상기 하단 고정용 지지대(20)의 고정부(26)가 상기 제1마스트(36)의 내측을 향해 회전되면서 상기 하단 고정용 지지대(20)의 고정부(26)가 상기 제1마스트(36)의 하단삽입홈(48)에 삽입된다.
상기 고정부(26)의 회전 시 상기 고정부(26)는 상측을 향하지 않는다,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와 상기 제1마스트(36)가 서로 결합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마스트(36)의 상측에 관형 송전철탑 유닛(54)을 들어올리기 위한 크레인(50)을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크레인(5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28)가 팽창하여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와 상기 제1마스트(36)를 일정 높이 상방향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의 상방향 이동 시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는 상기 1단가대(4)의 롤러(52)에 의해 보다 수월하게 이동된다.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와 상기 제1마스트(36) 상방향 이동 완료 시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에 설치된 상기 하단 고정용 지지대(20)는 상기 1단가대(4)의 상측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해야 한다.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와 상기 제1마스트(36)의 상방향 이동이 종료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상기 클라이밍(16)이 위치하도록 상기 1단가대(4)의 상측에 상기 2단가대(6)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1단가대(4)의 상측에 2단가대(6)를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1단가대(4)와 결합된 상기 2단가대(6)의 내측에는 상기 1단가대(4)의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삽입되어 상기 제2단가대(6)의 내측에는 상기 제1마스트(36)가 삽입된 상태가 된다.
상기 2단가대(6)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2단가대(6)와 상기 제1마스트(36)를 서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단가대(6)와 상기 제1마스트(36)가 서로 결합되는 단계는,
상기 2단가대(6)에 설치된 상단 고정용 지지대(8)의 삽입부(10)가 회전하는 단계;
상기 삽입부(10)가 회전되면서 상기 상단 고정용 지지대(8)의 고정부(14)가 상기 제1마스트(36)의 내측을 향하여 회전되는 단계;
상기 고정부(14)가 상기 제1마스트(36)의 상단삽입홈(46)에 삽입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된다.
상기 2단가대(6)와 상기 마스트(34)의 결합은 상기 상단 고정용 지지대(8)의 고정부(14)가 상기 마스트(34)의 상단삽입홈(46)에 삽입되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측을 향해 위치하던 상기 상단 고정용 지지대(8)의 고정부(14)가 상기 제1마스트(36)의 상단삽입홈(46)에 삽입되도록 작업자가 상기 상단 고정용 지지대(8)의 손잡이부(12)를 회전시키면 이에 따라 상기 상단 고정용 지지대(8)의 삽입부(10)가 회전되어 상기 상단 고정용 지지대(8)의 고정부가 상기 제1마스트(36)의 내측을 향해 회전되면서 상기 상단 고정용 지지대(8)의 고정부(14)가 상기 제1마스트(36)의 상단삽입홈(46)에 삽입된다.
상기 고정부(14)의 회전 시 상기 고정부(14)는 상측을 향하지 않는다,
상기 상단 고정용 지지대(8)의 고정부(14)가 상기 제1마스트(36)의 상단삽입홈(46)에 삽입되어 상기 제1마스트(36)가 상기 2단가대(6)에 고정되면,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와 상기 제1마스트(36)의 결합을 해제시키게 된다.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와 상기 제1마스트(36)의 결합이 해제되는 단계는,
상기 하단 고정용 지지대(20)의 삽입부(22)가 상기 제1마스트(36)의 외측을 회전되는 단계;
상기 삽입부(22)가 회전되면서 상기 하단 고정용 지지대(20)의 고정부(26)가 상기 제1마스트(36) 외측을 향하여 회전되는 단계;
상기 고정부(26)가 상기 제1마스트(36)의 하단삽입홈(48)에 탈거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된다.
상기 제1마스트(36)의 하단삽입홈(48)에 삽입되어있던 상기 하단 고정용 지지대(20)의 고정부(26)가 상기 제1마스트(36)의 하단삽입홈(48)에서 탈거되도록 작업자가 상기 하단 고정용 지지대(20)의 손잡이부(24)를 회전시키면 이에 따라 상기 하단 고정용 지지대(20)의 삽입부(22)가 회전되어 상기 하단 고정용 지지대(20)의 고정부(26)가 상기 제1마스트(36)의 외측을 향해 180도 회전되면서 상기 하단 고정용 지지대(20)의 고정부(26)가 상기 제1마스트(36)의 하단삽입홈(48)에서 탈거된다.
상기 하단 고정용 지지대(20)의 고정부(26)가 상기 제1마스트(36)의 하단삽입홈(48)에서 탈거되어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와 상기 제1마스트(36)의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이동하여 상기 제1마스트(36)의 설치 단계가 완료된다.
상기 제1마스트(36)의 설치가 완료되면 제2마스트(38) 설치단계가 시작된다.
상기 제2마스트 설치단계는,
상기 제1마스트(36)의 하측으로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 내측에 제2마스트(38)가 삽입되는 단계;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와 상기 제2마스트(38)가 서로 결합되는 단계;
상기 제1마스트(36)와 상기 제2마스트(38)를 서로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2단가대(6)와 상기 제1마스트(36)의 결합이 해제되는 단계;
상기 실린더(28) 팽창에 의해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와 상기 제2마스트(38)가 일정 높이 상방향 이동하는 단계;
상기 2단가대(6)와 상기 제2마스트(38)가 서로 결합되는 단계;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와 상기 제2마스트(38)의 결합이 해제되는 단계;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가 하향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마스트(36)의 고정이 완료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마스트(36)의 하측으로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의 내측에 상기 제2마스트(38)를 삽입하게 된다.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와 상기 제2마스트(38)가 서로 결합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와 상기 제1마스트(36)가 서로 결합되는 단계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상기 제1마스트(36)와 상기 제2마스트(38)를 서로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마스트(36)의 하단부 하면에 형성된 홈부에 상기 제2마스트(38)의 상단부 상면에 돌출부가 억지끼움되면서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 제2마스트(38)와 상기 2단가대(6)의 결합을 위해 상기 제1마스트(36)와 상기 2단가대(6)의 결합을 해제시키게 된다.
상기 2단가대(6)와 상기 제1마스트(36)의 결합이 해제되는 단계는,
상기 상단 고정용 지지대(8)의 삽입부(10)가 상기 제1마스트(36)의 외측을 회전되는 단계;
상기 삽입부(10)가 회전되면서 상기 상단 고정용 지지대(8)의 고정부(14)가 상기 제1마스트(36) 외측을 향하여 회전되는 단계;
상기 고정부(14)가 상기 제1마스트(36)의 상단삽입홈(46)에 탈거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된다.
상기 제1마스트(36)의 상단삽입홈(46)에 삽입되어있던 상기 상단 고정용 지지대(8)의 고정부(14)가 상기 제1마스트(36)의 상단삽입홈(46)에서 탈거되도록 작업자가 상기 상단 고정용 지지대(8)의 손잡이부(12)를 회전시키면 이에 따라 상기 상단 고정용 지지대(8)의 삽입부(10)가 회전되어 상기 상단 고정용 지지대(8)의 고정부(14)가 상기 제1마스트(36)의 외측을 향해 180도 회전되면서 상기 상단 고정용 지지대(8)의 고정부(14)가 상기 제1마스트(36)의 상단삽입홈(46)에서 탈거된다.
상기 2단가대(6)와 상기 제1마스트(36)의 결합이 해제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28)의 팽창에 의해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와 상기 제2마스트(38)가 일정 높이 상방향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마스트(38)가 일정 높이 상방향 이동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마스트(38)의 이동 높이는 상기 제1마스트(36)가 일정 높이 상방향 이동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마스트(36)의 이동 높이와 서로 동일하다.
상기 제2마스트(38)는 상방향 이동 후 상기 2단가대(6)와 서로 결합하게 된다.
상기 2단가대(6)와 상기 제2마스트(38)가 서로 결합되는 단계는 상기 2단가대(6)와 상기 제1마스트(36)가 서로 결합되는 단계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상기 2단가대(6)와 상기 제2마스트(38)가 서로 결합되면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와 상기 제2마스트(38)의 결합이 해제되는 단계가 진행되며,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와 상기 제2마스트(38)의 결합이 해제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와 상기 제1마스트(36)의 결합이 해제되는 단계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상기 제2마스트(38)와의 결합 해제 후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18)는 하향 이동하게 되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마스트(38)의 고정이 완료된다.
상기 제N마스트 설치단계에서는 N개의 상기 마스트(34)가 상기 제2마스트(38) 설치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되면서 상기 제1마스트(36) 상측에 연결된 상기 크레인(50)의 높이가 상승된다. 상기 마스트(34)의 적층 개수 및 높이는 관형 송전철탑의 높이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N개의 상기 마스트(34)는 모두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제N마스트 적층 시 일정 높이 부분의 상기 마스트(34)에는 상기 마스트(34)의 횡진을 예방하기 위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마스트 가이드(58)가 설치된다.
상기 마스트 가이드(58)는 N개의 마스트(34) 적층으로 마스트(34) 적층 높이가 일정 높이 이상 되었을 때 적층된 마스트(34)의 횡진으로 인한 도괴 예방 등 고소공작물의 안정성 향상을 위한 것으로, 상기 마스트 가이드(58)에 의해 상기 마스트(34)의 좌우전후방향 움직임은 제한되고, 상기 마스트 가이드(58) 내측에 설치된 롤러(52)에 상기 마스트(34)의 모서리부와 맞닿아 상기 마스트34()의 상하방향 이동이 보조된다.
상기 마스트(34)가 일정 개수 적층되면 상기 크레인(50)을 이용하여 상기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의 일측에 복수 개의 상기 관형 송전철탑 유닛(54)을 적층시키게 된다.
도 17에는 본 발명의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를 이용한 관형 송전철탑 조립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복수 개의 상기 관형 송전철탑 유닛(54) 적층 시 상기 관형 송전철탑 유닛(54)의 양단에는 플랜지부(56)가 형성되어, 상기 관형 송전철탑 유닛(54) 적층 시 서로 인접하는 관형 송전철탑 유닛(54)의 플랜지부(56)가 서로 볼트 결합됨으로써 복수 개의 관형 송전철탑 유닛(54)이 서로 결합된다.
상기 마스트 가이드(58)는 상기 마스트 가이드(58)의 외측에 형성된 마스트 가이드 지지대(60)에 의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관형 송전철탑 유닛(54)의 플랜지부(56)와 고정된다. 상기 마스트 가이드 지지대(60)는 턴버클(62) 조정을 통해 길이가 조정되어 상기 마스트(34)가 상기 마스트 가이드(58)의 내측을 원활히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 : 받침대
4 : 1단가대
6 : 2단가대
8 : 상단 고정용 지지대
10 : 상단 고정용 지지대의 삽입부
12 : 상단 고정용 지지대의 손잡이부
14 : 상단 고정용 지지대의 고정부
16 : 클라이밍
18 : 클라이밍 본체부
20 : 하단 고정용 지지대
22 : 하단 고정용 지지대의 삽입부
24 : 하단 고정용 지지대의 손잡이부
26 : 하단 고정용 지지대의 고정부
28 : 실린더
30 : 피스톤부
32 : 실린더부
34 : 마스트
36 : 제1마스트
38 : 제2마스트
40 : 상단부
42 : 하단부
44 : 바닥부
46 : 상단삽입홈
48 : 하단삽입홈
50 : 크레인
52 : 롤러
54 : 관형 송전철탑 유닛
56 : 플랜지부
58 : 마스트 가이드
60 : 마스트 가이드 지지대
62 : 턴버클

Claims (38)

  1. 송전을 위한 관형 송전철탑을 조립하는 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되는 판형상의 받침대;
    상기 받침대 상에 설치되는 1단가대;
    상기 1단가대와 동축이 되도록 상기 1단가대의 상측에 결합되는 2단가대;
    상기 1단가대와 상기 2단가대의 내측에서 상하방향 이동하는 클라이밍;
    상기 클라이밍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클라이밍에 의해 상방향 이동하면서 복수 개 적층되는 마스트;
    상기 마스트 중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마스트의 상단에 결합되어 관형 송전철탑 유닛을 적층시키는 크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밍은,
    내측에 상기 마스트가 위치하는 클라이밍 본체부와,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를 상하방향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에는,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마스트의 하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하단 고정용 지지대가 설치되며,
    상기 2단가대에는,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마스트의 상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상단 고정용 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1단가대의 내측에서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가 삽입되는 부분의 모서리부에는 일측벽과 타측벽을 사선으로 연결하는 형상의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2단가대의 내측에도 상기 1단가대의 롤러와 동일한 위치에 롤러가 설치되어,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의 상하방향 이동을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고정용 지지대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삽입부;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의 중심축에 대해 상기 삽입부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부;
    상기 삽입부의 외경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며, 상기 삽입부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고정용 지지대는,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을 가로지르며,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의 전후방향으로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하단이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는 피스톤부;
    외측에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가 결합되며, 팽창에 의해 상기 피스톤부에 대해 상하방향 이동하면서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를 상하방향 이동시키는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가대의 내측에서,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가 삽입되는 부분의 전후방향 폭은 상기 실린더가 삽입되는 부분의 전후방향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단가대의 내측 단면은 상기 1단가대의 양측을 가로지르는 중심선에 대해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의 모서리부와 맞닿아 상기 실린더에 의한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의 상하방향 이동을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단가대는 상기 1단가대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단가대는 상기 1단가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고정용 지지대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2단가대의 내측에 위치하는 삽입부;
    상기 2단가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의 중심축에 대해 상기 삽입부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부;
    상기 삽입부의 외경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며, 상기 삽입부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고정용 지지대는
    상기 2단가대의 일측과 타측을 가로지르며, 상기 2단가대의 전후방향으로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가대, 상기 2단가대 및 상기 마스트는 조립식 앵글을 이용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는,
    높이방향 앵글을 사각형상으로 연결하며,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상단부;
    높이방향 앵글을 사각형상으로 연결하며,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바닥부;
    높이방향 앵글을 사각형상으로 연결하며, 상기 상단부와 상기 바닥부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하단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 중 양측의 상기 높이방향 앵글을 연결하는 상단부에는 하면으로부터 상면을 향하여 일정 깊이의 상단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삽입홈은 상기 상단부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 중 양측의 상기 높이방향 앵글을 연결하는 하단부에는 하면으로부터 상면을 향하여 일정 깊이의 하단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삽입홈은 상기 하단부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23. 제1항, 제4항 내지 제8항, 제10항 내지 제12항, 제15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의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를 이용한 관형 송전철탑 조립방법에 있어서,
    지면을 평탄화 시키는 단계;
    평탄화 된 지면에 받침대가 설치되는 단계;
    상기 받침대 위에 1단가대가 설치되는 단계;
    상기 1단가대 내측에 클라이밍이 삽입되는 단계;
    제1마스트 설치단계;
    제2마스트 설치단계;
    제N마스트 설치단계;
    관형 송전철탑 유닛 적층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N마스트 적층 시 일정 높이 부분의 상기 마스트에는 상기 마스트의 횡진을 예방하기 위한 마스트 가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마스트 가이드의 내측에는 롤러가 장착되어 상기 마스트의 모서리부와 맞닿아 상기 마스트의 상하방향 이동을 보조하며,
    상기 마스트 가이드는, 상기 마스트 가이드의 외측에 형성된 마스트 가이드 지지대에 의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관형 송전철탑 유닛의 플랜지부와 고정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를 이용한 조립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스트 설치단계는,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 내측에 제1마스트가 삽입되는 단계;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와 상기 제1마스트가 서로 결합되는 단계;
    상기 제1마스트의 상측에 관형 송전철탑 유닛을 들어올리기 위한 크레인이 결합되는 단계;
    상기 클라이밍의 실린더가 팽창하는 단계;
    상기 실린더 팽창에 의해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와 상기 제1마스트가 일정 높이 상방향 이동하는 단계;
    상기 1단가대의 상측에 2단가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2단가대와 상기 제1마스트가 서로 결합되는 단계;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와 상기 제1마스트의 결합이 해제되는 단계;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가 하향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를 이용한 조립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와 상기 제1마스트가 서로 결합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에 설치된 하단 고정용 지지대의 삽입부가 회전되는 단계;
    상기 삽입부가 회전되면서 상기 하단 고정용 지지대의 고정부가 상기 제1마스트 내측을 향하여 회전되는 단계;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1마스트의 하단삽입홈에 삽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를 이용한 조립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팽창에 의해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와 상기 제1마스트가 일정 높이 상방향 이동하는 단계에서,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와 상기 제1마스트의 이동 완료 시 상기 하단 고정용 지지대는 상기 1단가대의 상측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를 이용한 조립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1단가대의 상측에 2단가대를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2단가대의 내측에는 상기 1단가대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를 이용한 조립방법.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2단가대와 상기 제1마스트가 서로 결합되는 단계는,
    상기 2단가대에 설치된 상단 고정용 지지대의 삽입부가 회전하는 단계;
    상기 삽입부가 회전되면서 상기 상단 고정용 지지대의 고정부가 상기 제1마스트의 내측을 향하여 회전되는 단계;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1마스트의 상단삽입홈에 삽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를 이용한 조립방법.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와 상기 제1마스트의 결합이 해제되는 단계는,
    상기 하단 고정용 지지대의 삽입부가 상기 제1마스트의 외측을 회전되는 단계;
    상기 삽입부가 회전되면서 상기 하단 고정용 지지대의 고정부가 상기 제1마스트 외측을 향하여 회전되는 단계;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1마스트의 하단삽입홈에 탈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를 이용한 조립방법.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스트 설치단계는,
    상기 제1마스트의 하측으로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 내측에 제2마스트가 삽입되는 단계;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와 상기 제2마스트가 서로 결합되는 단계;
    상기 제1마스트와 상기 제2마스트를 서로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2단가대와 상기 제1마스트의 결합이 해제되는 단계;
    상기 실린더 팽창에 의해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와 상기 제2마스트가 일정 높이 상방향 이동하는 단계;
    상기 2단가대와 상기 제2마스트가 서로 결합되는 단계;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와 상기 제2마스트의 결합이 해제되는 단계;
    상기 클라이밍 본체부가 하향 이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를 이용한 조립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스트와 상기 제2마스트를 서로 결합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1마스트의 하단부 하면에 형성된 홈부에 상기 제2마스트의 상단부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를 이용한 조립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2단가대와 상기 제1마스트의 결합이 해제되는 단계는,
    상기 상단 고정용 지지대의 삽입부가 상기 제1마스트의 외측을 회전되는 단계;
    상기 삽입부가 회전되면서 상기 상단 고정용 지지대의 고정부가 상기 제1마스트 외측을 향하여 회전되는 단계;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1마스트의 상단삽입홈에 탈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를 이용한 조립방법.
  33.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N마스트 설치단계에서는,
    N개의 상기 마스트가 상기 제2마스트 설치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되면서 상기 크레인의 높이가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를 이용한 조립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상기 마스트는 모두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를 이용한 조립방법.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송전철탑 유닛 적층 단계에서는,
    상기 크레인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관형 송전철탑 유닛을 적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를 이용한 조립방법.
KR1020180075856A 2018-06-29 2018-06-29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KR102621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856A KR102621603B1 (ko) 2018-06-29 2018-06-29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856A KR102621603B1 (ko) 2018-06-29 2018-06-29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398A KR20200002398A (ko) 2020-01-08
KR102621603B1 true KR102621603B1 (ko) 2024-01-08

Family

ID=69154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856A KR102621603B1 (ko) 2018-06-29 2018-06-29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6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6297A (ja) * 2001-05-31 2002-12-10 Kyowa Exeo Corp 鉄塔建設用クレーン及び該クレーンを用いた鉄塔建設方法
JP2016069918A (ja) * 2014-09-30 2016-05-09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ベント組立装置およびベント組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0991B1 (ko) 1999-05-31 2001-10-17 임종남 송전철탑용 조립식 타워크레인
KR20140005755A (ko) * 2013-01-08 2014-01-15 (주)서해전설 철탑인상장치, 이 장치를 이용한 철탑인상방법 및 철탑보수방법
KR101553966B1 (ko) * 2014-01-09 2015-09-18 삼성물산(주) 외벽설치 타워크레인 등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6297A (ja) * 2001-05-31 2002-12-10 Kyowa Exeo Corp 鉄塔建設用クレーン及び該クレーンを用いた鉄塔建設方法
JP2016069918A (ja) * 2014-09-30 2016-05-09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ベント組立装置およびベント組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398A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9441B2 (en) Modular monopole tower foundation
US20130081337A1 (en) Tower erection system and method
US8046970B2 (en) Unguyed telescoping tower
KR19990072014A (ko) 위에서지면으로건축물을건설하는리프트업공법
KR102621603B1 (ko)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US20110083394A1 (en) Rapid Deployable Structure for Remote Installation
US643089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uilding a domed structure
JP2010084367A (ja) 高所作業台
JP7058892B1 (ja) 既設柱状体の周囲に構築される鉄骨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CN103343641B (zh) 一种便携式升降信号塔
CN103334629B (zh) 一种便携式单管塔
CN102022018A (zh) 升降塔以及移动式基站
KR100978214B1 (ko) 고층건물의 빔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컬럼 및 이를 이용한철골구조물 구축공법
CN219411763U (zh) 一种自卡式电梯井操作平台装置
CN103334624B (zh) 一种便携式液压升降信号塔
KR102628253B1 (ko) 스태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
JP3263504B2 (ja) 塔状構造物の架設工法
CN103343642B (zh) 一种便携式单管塔结构
KR102569337B1 (ko) 스카이 받침대
JP7037911B2 (ja) 取付架台、クライミングクレーンおよびクレーン本体の上昇方法
JP6953161B2 (ja) クライミングクレーンのマスト、クライミングクレーンおよび建築物の工法
KR101509666B1 (ko) 해상용 풍력발전타워 시공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JP2016216134A (ja) クレーン設置構造体
JP4584705B2 (ja) アンテナタワーユニット
TWM645008U (zh) 安全圍籬之配重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