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420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420B1
KR102621420B1 KR1020207036418A KR20207036418A KR102621420B1 KR 102621420 B1 KR102621420 B1 KR 102621420B1 KR 1020207036418 A KR1020207036418 A KR 1020207036418A KR 20207036418 A KR20207036418 A KR 20207036418A KR 102621420 B1 KR102621420 B1 KR 102621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recording material
voltage
transfer
secondary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6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1965A (ko
Inventor
유타카 가케히
데츠야 오오타
유스케 미나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9/021440 external-priority patent/WO2019225767A1/ja
Publication of KR20210011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03G15/167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bias applied in the transfer nip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03G15/1685Structure, details of the transfer member, e.g. chemical com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54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intermediate image carrying member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an intermediate image carrying member, e.g. intermediate transfer belt or drum, conveyor bel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29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opy material characteristics, e.g. weight, thicknes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38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thickness or rigid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6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potent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76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humidity or moisture influencing copy sheet handl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16Transferring device, details
    • G03G2215/1604Main transfer electrode
    • G03G2215/1614Transfer rol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상 담지체(1)와, 중간 전사 벨트(7)와, 전사 부재(8)와, 전사 부재(8)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20)과, 전사 부재(8)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는 검지부(21)와,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 전사 부재(8)에 인가하는 전압이 소정 전압으로 되도록 정전압 제어하는 제어부(50)를 구비하고, 제어부(50)는, 전사 시에 검지부(21)에서 검지되는 검지 결과가 소정 범위 내로 되도록 전사 부재(8)에 인가하는 전압을 변경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는, 제어부(50)는,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 전사 부재(8)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 검지부(21)에서 검지되는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범위를 변경하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방식이나 정전 기록 방식을 이용한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 사진 방식 등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감광체나 중간 전사체 등의 상 담지체로부터 종이 등의 기록재에 토너 상(像)을 정전적으로 전사하는 것이 행해진다. 이 전사는, 상 담지체와 맞닿아 전사부를 형성하는 전사 롤러 등의 전사 부재에 전사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 전사 전압이 너무 낮으면, 전사가 충분히 행해지지 않아 원하는 화상 농도를 얻지 못하는 「화상 농도 희박」이 발생하는 일이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전사 전압이 너무 높으면, 전사부에서 방전이 발생하고, 그 방전의 영향으로 토너 상의 토너의 전하의 극성이 반전하거나 하여, 토너 상이 부분적으로 전사되지 않는 「백색 보이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고품질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전사 부재에 적절한 전사 전압을 인가할 것이 요구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17920호 공보에서는, 전사 부재에 정전압 제어로 전사 전압을 인가하여 전사를 행하는 구성에 있어서의, 다음과 같은 전사 전압의 제어가 개시되어 있다. 연속 화상 형성의 개시 직전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의 전사부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전류값을 검지하고, 소정의 목표 전류가 얻어지는 전압값을 구한다. 그리고, 이 전압값에 기록재의 종류에 따른 기록재 분담 전압을 가산하여, 전사 시에 정전압 제어로 인가할 전사 전압값을 설정한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전사 부재 등의 전사부의 전기 저항값의 변동, 기록재의 전기 저항값의 변동에 구애되지 않고, 원하는 목표 전류에 따른 전사 전압을 정전압 제어로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기록재의 종류에는, 예를 들어 상질지, 코팅지와 같은 기록재의 표면의 평활성의 차이에 의한 종류와, 박지(薄紙), 후지(厚紙)와 같은 기록재의 두께의 차이에 의한 종류가 있다. 기록재 분담 전압은, 예를 들어 이러한 기록재의 종류에 따라서 미리 구해 둘 수 있다. 그러나, 유통되고 있는 기록재의 종류가 매우 많다는 점, 혹은 기록재의 전기 저항은 환경(온도·습도)이 동일해도 환경에 놓인 시간 등에 따라 변동된다는 점 등에서, 기록재 분담 전압을 미리 고정밀도로 구하는 일은 곤란한 경우가 많다. 기록재의 전기 저항의 변동분도 포함해서 전사 전압이 적절한 값이 아니면,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 농도 희박, 백색 보이드와 같은 화상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과제에 대하여, 일본 특허 제416100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75946호 공보에서는, 전사부를 기록재가 통과하고 있을 때 전사 전압을 정전압 제어로 인가하는 구성에 있어서, 전사부에 공급되는 전류의 상한값 및 하한값을 설정할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전사부를 기록재가 통과하고 있을 때 전사부에 공급되는 전류를 소정의 범위의 값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사 전류의 부족 또는 과잉에 의한 화상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일본 특허 제4161005호 공보에서는, 상한값을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구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75946호 공보에서는, 환경 이외에 기록재의 표리, 기록재의 종류, 기록재의 사이즈에 의해 상한값 및 하한값을 구하고 있다.
그러나, 전사부를 기록재가 통과하고 있을 때 전사부에 흐르는 전류로서는, 「용지 통과부 전류(통과부 전류)」와, 「용지 비통과부 전류(비통과부 전류)」가 있다. 용지 통과부 전류는, 기록재의 반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전사부의 기록재가 통과하는 영역(「용지 통과 부분(통과 영역)」)으로 흐르는 전류이다. 또한, 용지 비통과부 전류는, 기록재의 반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전사부의 기록재가 통과하지 않는 영역(「용지 비통과 부분(비통과 영역)」)으로 흐르는 전류이다. 용지 비통과 부분이 발생하는 것은, 전사 롤러 등의 전사 부재는, 다양한 사이즈의 기록재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반송 및 토너 상의 전사를 행하기 위해서, 그 길이 방향의 길이가 화상 형성 장치에서 보증하고 있는 기록재의 최대폭보다 크게 되기 때문이다.
전사부를 기록재가 통과하고 있을 때 검지할 수 있는 전류는 용지 통과부 전류와 용지 비통과부 전류의 합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화상 불량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용지 통과부 전류가 적절한 범위의 값이 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지만, 용지 통과부 전류만을 검지할 수는 없다. 게다가, 용지 비통과 부분을 형성하는 전사 부재의 전기 저항은 다양한 조건에서 변동한다. 이 다양한 조건으로서는, 제품의 변동, 환경(온도·습도), 부재의 온도·흡습도, 누적 사용 시간(화상 형성 장치의 가동 상황이나 반복 사용량 상황) 등을 들 수 있다. 그 때문에, 미리 기록재의 사이즈마다 전사 전류의 상한값 및 하한값(「전사 전류 범위」)을 구해 두어도, 전사 부재의 전기 저항의 변동에 의해 적절한 전사 전류 범위가 변화되어버린다. 일본 특허 제416100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75946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은, 이 용지 비통과 부분을 형성하는 전사 부재의 전기 저항의 변동에는 대응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사 부재의 전기 저항의 변동에 따라서,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의 허용 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토너 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와, 상기 상 담지체로부터 토너 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와, 전압이 인가되고, 전사부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로부터 기록재에 토너 상을 전사하는 전사 부재와, 상기 전사 부재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과,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는 전류 검지부와, 기록재에 토너 상을 전사하는 전사 시에 있어서,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이 소정 전압으로 되도록 정전압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록재에 토너 상을 전사하는 전사 시에 있어서, 상기 전류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가 소정 범위 내로 되도록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부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사 부재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 혹은 상기 전사 부재에 전류를 공급했을 때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범위의 상한값 및 상기 하한값을 설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토너 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와, 상기 상 담지체로부터 토너 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와, 전압이 인가되고, 전사부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로부터 기록재에 토너 상을 전사하는 전사 부재와, 상기 전사 부재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과,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는 전류 검지부와, 기록재에 토너 상을 전사하는 전사 시에 있어서,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이 소정 전압으로 되도록 정전압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부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사 부재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 혹은 상기 전사 부재에 전류를 공급했을 때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전류 검지부에서 검지되는 검지 결과를 보정하고, 해당 보정한 값이 소정 범위 내로 되도록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사 부재의 전기 저항의 변동에 따라서,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의 허용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2차 전사에 관한 구성의 모식도이다.
도 3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요부의 제어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제어의 흐름도이다.
도 5는 2차 전사부의 전압과 전류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6은 기록재 분담 전압의 테이블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용지 통과부 전류 범위의 테이블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실시예 2의 제어의 흐름도이다.
도 9는 2차 전사 전류 목표값의 테이블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용지 통과부 전류와 용지 비통과부 전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1은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12는 실시예 3에 있어서의 과제를 설명하는 표이다.
도 13은 기록재 분담 전압과 핀 홀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 3의 제어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기록재 분담 전압의 도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6은 기록재 분담 전압의 상한 테이블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5의 제어의 흐름도이다.
도 18은 용지 비통과부 전류의 보정 계수의 테이블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9는 기록재의 두께에 의한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도이다.
도 20은 용지 비통과부 전류의 보정 계수의 테이블 데이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1은 실시예 7의 제어의 흐름도이다.
도 22는 실시예 8의 제어의 흐름도이다.
도 23은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1.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및 동작
도 1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전자 사진 방식을 이용하여 풀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중간 전사 방식을 채용한 탠덤형의 복합기(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의 기능을 가짐)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복수의 화상 형성부(스테이션)로서, 각각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각 색의 화상을 형성하는 제1, 제2, 제3, 제4 화상 형성부 SY, SM, SC, SK를 갖는다. 각 화상 형성부 SY, SM, SC, SK에 있어서의 동일 또는 대응하는 기능 혹은 구성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어느 색용의 요소임을 나타내는 부호 말미의 Y, M, C, K를 생략해서 총괄적으로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부 S는, 후술하는 감광 드럼(1), 대전 롤러(2), 노광 장치(3), 현상 장치(4), 1차 전사 롤러(5), 드럼 클리닝 장치(6)를 갖고 구성된다.
화상 형성부 S는, 토너 상을 담지하는 제1 상 담지체로서의, 회전 가능한 드럼형(원통형)의 감광체(전자 사진 감광체)인 감광 드럼(1)을 갖는다. 감광 드럼(1)은, 도면 중 화살표 R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회전하는 감광 드럼(1)의 표면은, 대전 수단으로서의 롤러형의 대전 부재인 대전 롤러(2)에 의해, 소정의 극성(본 실시예에서는 부극성)의 소정의 전위에 균일하게 대전 처리된다. 대전 처리된 감광 드럼(1)의 표면은,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노광 수단으로서의 노광 장치(레이저 스캐너 장치)(3)에 의해 주사 노광되고, 감광 드럼(1) 위에 정전 상(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감광 드럼(1) 위에 형성된 정전 상은, 현상 수단으로서의 현상 장치(4)에 의해 현상제로서의 토너가 공급되어 현상(가시화)되고, 감광 드럼(1) 위에 토너 상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균일하게 대전 처리된 후에 노광됨으로써 전위의 절댓값이 저하된 감광 드럼(1) 위의 노광부(이미지부)에, 감광 드럼(1)의 대전 극성과 동일 극성에 대전한 토너가 부착된다(반전 현상 방식).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시의 토너의 대전 극성인 토너의 정규의 대전 극성은 부극성이다. 노광 장치(3)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 상은, 작은 도트 화상의 집합체로 되어 있으며, 도트 화상의 밀도를 변화시킴으로써 감광 드럼(1) 위에 형성하는 토너 상의 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색의 토너 상은, 각각 최대 농도가 1.5 내지 1.7 정도로 되어 있으며, 최대 농도일 때의 토너의 적재량은 0.4 내지 0.6㎎/㎠ 정도로 되어 있다.
4개의 감광 드럼(1)의 표면에 맞닿을 수 있도록, 토너 상을 담지하는 제2 상 담지체로서의, 무단형의 벨트로 구성된 중간 전사체인 중간 전사 벨트(7)가 배치되어 있다. 중간 전사 벨트(7)는, 복수의 걸침 롤러로서의 구동 롤러(71), 텐션 롤러(72) 및 2차 전사 대향 롤러(73)에 걸쳐져 있다. 구동 롤러(71)는, 중간 전사 벨트(7)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텐션 롤러(72)는, 중간 전사 벨트(7)의 장력을 일정하게 제어한다. 2차 전사 대향 롤러(73)는, 후술하는 2차 전사 롤러(8)의 대향 부재(대향 전극)로서 기능한다. 중간 전사 벨트(7)는, 구동 롤러(71)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도면 중 화살표 R2 방향(시계 방향)으로 300 내지 500㎜/sec 정도의 반송 속도(주속도)로 회전(주회 이동)한다. 텐션 롤러(72)는, 가압 수단으로서의 스프링의 힘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7)를 내주면측으로부터 외주면측으로 밀어내는 힘이 가해지고 있으며, 이 힘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7)의 반송 방향으로는 2 내지 5㎏ 정도의 텐션이 걸려 있다. 중간 전사 벨트(7)의 내주면측에는, 각 감광 드럼(1)에 대응하여, 1차 전사 수단으로서의 롤러형의 1차 전사 부재인 1차 전사 롤러(5)가 배치되어 있다. 1차 전사 롤러(5)는, 중간 전사 벨트(7)를 통해 감광 드럼(1)을 향해 압박되어, 감광 드럼(1)과 중간 전사 벨트(7)가 접촉하는 1차 전사부(1차 전사 닙) N1을 형성한다. 감광 드럼(1) 위에 형성된 토너 상은, 1차 전사부 N1에 있어서, 1차 전사 롤러(5)의 작용에 의해, 회전하고 있는 중간 전사 벨트(7) 위에 정전적으로 전사(1차 전사)된다. 1차 전사 공정 시에, 1차 전사 롤러(5)에는, 1차 전사 전원(도시생략)으로부터, 토너의 정규의 대전 극성과는 역극성의 직류 전압인 1차 전사 전압(1차 전사 바이어스)이 인가된다. 예를 들어 풀컬러 화상의 형성 시에는, 각 감광 드럼(1) 위에 형성된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각 색의 토너 상이, 중간 전사 벨트(7) 위에 중첩되도록 하여 순차 전사된다.
중간 전사 벨트(7)의 외주면측에 있어서, 2차 전사 대향 롤러(73)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2차 전사 수단으로서의 롤러형의 2차 전사 부재인 2차 전사 롤러(8)가 배치되어 있다. 2차 전사 롤러(8)는, 중간 전사 벨트(7)를 통해 2차 전사 대향 롤러(73)를 향해 압박되어, 중간 전사 벨트(7)와 2차 전사 롤러(8)가 접촉하는 2차 전사부(2차 전사 닙) N2를 형성한다. 중간 전사 벨트(7) 위에 형성된 토너 상은, 2차 전사부 N2에 있어서, 2차 전사 롤러(8)의 작용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7)와 2차 전사 롤러(8)의 사이에 끼움 지지되어 반송되고 있는 종이(용지) 등의 기록재(시트, 전사재) P에 정전적으로 전사(2차 전사)된다. 2차 전사 공정 시에, 2차 전사 롤러(8)에는, 2차 전사 전원(고압 전원 회로)(20)으로부터, 토너의 정규의 대전 극성과는 역극성의 직류 전압인 2차 전사 전압(2차 전사 바이어스)이 인가된다. 기록재 P는, 기록재 카세트(도시생략) 등에 수용되어 있으며, 급송 롤러(도시생략) 등에 의해 기록재 카세트로부터 1매씩 급송되고, 레지스트 롤러(9)로 보내진다. 이 기록재 P는, 레지스트 롤러(9)에 의해 일단 정지된 후, 중간 전사 벨트(7) 위의 토너 상과 타이밍이 합쳐져서 2차 전사부 N2로 공급된다.
토너 상이 전사된 기록재 P는, 반송 부재 등에 의해 정착 수단으로서의 정착 장치(10)로 반송된다. 정착 장치(10)는, 미정착의 토너 상을 담지한 기록재 P를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기록재 P에 토너 상을 정착(용융, 고착)시킨다. 그 후, 기록재 P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치 본체의 외부로 배출(출력)된다.
또한, 1차 전사 공정 후에 감광 드럼(1)의 표면에 잔류된 토너(1차 전사 잔류 토너)는, 감광체 클리닝 수단으로서의 드럼 클리닝 장치(6)에 의해 감광 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되어 회수된다. 또한, 2차 전사 공정 후에 중간 전사 벨트(7)의 표면에 잔류된 토너(2차 전사 잔류 토너)나 종이가루 등의 부착물은, 중간 전사체 클리닝 수단으로서의 벨트 클리닝 장치(74)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7)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되어 회수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7)는, 내주면측으로부터 외주면측으로 수지층, 탄성층, 표층의 3층 구조를 갖는 무단형의 벨트이다.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로서는, 폴리이미드,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층의 두께는 70 내지 100㎛가 적합하다. 또한, 탄성층을 구성하는 탄성 재료로서는 우레탄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탄성층의 두께는, 200 내지 250㎛가 적합하다. 또한, 표층의 재료로서는, 중간 전사 벨트(7)의 표면에 대한 토너의 부착력을 작게 하여, 2차 전사부 N2에 있어서 토너를 기록재 P로 전사하기 쉽게 하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에폭시 수지 등 중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탄성 재료(탄성재 고무, 엘라스토머), 부틸 고무 등의 탄성 재료 중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재료에, 표면 에너지를 작게 하여 윤활성을 높이는 재료, 예를 들어 불소 수지 등의 분체, 입자를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 혹은 이들 분체, 입자 중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입경을 다르게 한 것을 분산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층의 두께는, 5 내지 10㎛가 적합하다. 중간 전사 벨트(7)는, 카본 블랙 등의 전기 저항 조정용 도전제가 첨가되어 전기 저항이 조정되고, 바람직하게는 체적 저항률이 1×109 내지 1×1014Ω·㎝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 롤러(8)는, 코어 금속(기재)과, 코어 금속의 주위에 이온 도전계 발포 고무(NBR 고무)로 형성된 탄성층을 갖고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 롤러(8)의 외경은 24㎜, 2차 전사 롤러(8)의 표면 조도 Rz는 6.0 내지 12.0(㎛)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 롤러(8)의 전기 저항값은 N/N(23℃, 50%RH)에 있어서 2㎸를 인가하여 측정한 경우 1×105 내지 1×107Ω, 탄성층의 경도는 Asker-C 경도로 30 내지 40° 정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 롤러(8)의 길이 방향(회전 축선 방향)의 폭(기록재 P의 반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은 310 내지 340㎜ 정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 롤러(8)의 길이 방향의 폭은, 화상 형성 장치(100)가 반송을 보증하는 기록재 P의 폭(반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 중 최대의 폭(최대폭)보다 길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재 P는 2차 전사 롤러(8)의 길이 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반송되기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100)가 반송을 보증하는 기록재 P는 모두 2차 전사 롤러(8)의 길이 방향의 길이 범위 내를 통과한다. 이에 의해, 다양한 사이즈의 기록재 P를 안정적으로 반송하고, 또한 다양한 사이즈의 기록재 P에 토너 상을 안정적으로 전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는, 2차 전사에 관한 구성의 모식도이다. 2차 전사 롤러(8)는 중간 전사 벨트(7)를 통해 2차 전사 대향 롤러(73)와 맞닿음으로써 2차 전사부 N2를 형성하고 있다. 2차 전사 롤러(8)에는, 출력 전압값이 가변의 2차 전사 전원(20)이 접속되어 있다. 2차 전사 대향 롤러(73)는, 전기적으로 접지(접지에 접속)되어 있다.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 2차 전사 롤러(8)에 토너의 정규의 대전 극성과는 역극성의 직류 전압인 2차 전사 전압이 인가되고, 2차 전사부 N2의 2차 전사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7) 위의 토너 상이 기록재 P 위로 전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 시에 2차 전사부 N2에는, 예를 들어 +20 내지 +80㎂의 2차 전사 전류가 흐르게 된다. 또한, 2차 전사 롤러(8)를 전기적으로 접지하고, 2차 전사 대향 롤러(73)에 2차 전사 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류의 상한값 및 하한값(「2차 전사 전류 범위」)이 정해진다.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각종 정보는, 다음의 각 정보를 포함한다. 우선,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치 본체에 마련된 조작부(31)(도 3)나 화상 형성 장치(10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200)(도 3)로 지정된 조건에 관한 정보이다. 또한, 환경 센서(32)(도 3)의 검지 결과에 관한 정보이다. 또한,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도달하기 전에 검지되는 2차 전사부 N2의 전기 저항에 관한 정보이다. 그리고,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 2차 전사부 N2에 흐르는 2차 전사 전류를 검지하면서, 해당 2차 전사 전류가 상기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값이 되도록, 2차 전사 전원(20)으로부터 정전압 제어로 출력되는 2차 전사 전압이 제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제어를 행하기 위해서, 2차 전사 전원(20)에는, 2차 전사부 N2(2차 전사 전원(20))에 흐르는 전류(2차 전사 전류)를 검지하는 전류 검지 수단(검지부)으로서의 전류 검지 회로(2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2차 전사 전원(20)에는, 2차 전사 전원(20)이 출력하는 전압(전사 전압)을 검지하는 전압 검지 수단(검지부)으로서의 전압 검지 회로(22)가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 전원(20)과, 전류 검지 회로(21)와, 전압 검지 회로(22)는, 동일한 고압 기판 내에 마련되어 있다.
2. 제어 형태
도 3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주요부의 제어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제어부(제어 회로)(50)는, 연산 처리를 행하는 중심적 소자인 제어 수단으로서의 CPU(51), 기억 수단으로서의 RAM(52), ROM(53) 등의 메모리(기억 매체) 등을 갖고 구성된다. 재기입 가능한 메모리인 RAM(52)에는, 제어부(50)에 입력된 정보, 검지된 정보, 연산 결과 등이 저장되고, ROM(53)에는 제어 프로그램, 미리 구해진 데이터 테이블 등이 저장되어 있다. CPU(51)와 RAM(52), ROM(53) 등의 메모리는 서로 데이터의 전송이나 읽어들이기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어부(50)에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마련된 화상 판독 장치(도시생략)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200)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50)에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마련된 조작부(조작 패널)(31)가 접속되어 있다. 조작부(31)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유저나 서비스 담당자 등의 조작자에게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조작자가 화상 형성에 관한 각종 설정 등을 제어부(50)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갖고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50)에는, 2차 전사 전원(20)과, 전류 검지 회로(21)와, 전압 검지 회로(22)가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 전원(20)은, 전압 검지 회로(22)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2차 전사 롤러(8)에 정전압 제어된 직류 전압인 2차 전사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제어부(50)에는, 환경 센서(32)가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환경 센서(32)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하우징 내의 온도 및 습도를 검지한다. 환경 센서(32)에 의해 검지된 온도 및 습도의 정보는, 제어부(50)에 입력된다. 환경 센서(32)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내부 또는 외부의 적어도 한쪽의 온도 또는 습도의 적어도 한쪽을 검지하는 환경 검지 수단의 일례이다. 제어부(50)는, 화상 판독 장치나 외부 장치(200)로부터의 화상 정보, 조작부(31)나 외부 장치(200)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의 각 부를 통괄적으로 제어하여, 화상 형성 동작을 실행시킨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하나의 개시 지시(프린트 지시)에 의해 개시되는, 단일 또는 복수의 기록재 P에 화상을 형성하여 출력하는 일련의 동작인 작업(프린트 동작)을 실행한다. 작업은, 일반적으로 화상 형성 공정, 이전 회전 공정, 복수의 기록재 P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의 용지 간 공정, 및 이후 회전 공정을 갖는다. 화상 형성 공정은, 실제로 기록재 P에 형성하여 출력하는 화상의 정전 상의 형성, 토너 상의 형성, 토너 상의 1차 전사, 2차 전사를 행하는 기간이며, 화상 형성 시(화상 형성 기간)는 이 기간임을 의미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들 정전 상의 형성, 토너 상의 형성, 토너 상의 1차 전사, 2차 전사의 각 공정을 행하는 위치에서, 화상 형성 시의 타이밍은 다르다. 이전 회전 공정은, 개시 지시가 입력되고 나서 실제로 화상을 형성하기 시작할 때까지의, 화상 형성 공정 전 준비 동작을 행하는 기간이다. 용지 간 공정은, 복수의 기록재 P에 대한 화상 형성을 연속하여 행할 때(연속 화상 형성)의 기록재 P와 기록재 P의 사이에 대응하는 기간이다. 이후 회전 공정은, 화상 형성 공정 후의 정리 동작(준비 동작)을 행하는 기간이다. 비화상 형성 시(비화상 형성 기간)는, 화상 형성 시 이외의 기간이며, 상기 이전 회전 공정, 용지 간 공정, 이후 회전 공정, 나아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원 투입 시 또는 슬립 상태로부터의 복귀 시의 준비 동작인 이전 다회전 공정 등이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화상 형성 시에, 2차 전사 전류의 상한값 및 하한값(「2차 전사 전류 범위」)을 결정하는 제어가 실행된다.
3. 용지 비통과부 전류의 변동에 의한 적절한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변화
여기서, 전술의 과제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부 N2에 흐르는 전류로서는, 용지 통과부 전류(I_용지 통과부)와, 용지 비통과부 전류(I_ 용지 비통과부)가 있다.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 검지할 수 있는 전류는 용지 통과부 전류와 용지 비통과부 전류의 합이다. 전술한 화상 농도 희박, 백색 보이드와 같은 화상 불량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용지 통과부 전류가 적절한 범위의 값으로 되어 있을 것이 중요하지만, 용지 통과부 전류만을 검지할 수는 없다. 그래서, 기록재 P의 사이즈마다 적절한 2차 전사 전류의 상한값 및 하한값(「2차 전사 전류 범위」)을 미리 구해 두고, 기록재 P의 사이즈에 따라서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 중인 경우 2차 전사 전류를 그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값으로 제어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미리 적절한 2차 전사 전류 범위를 정해도, 용지 비통과 부분을 형성하는 2차 전사 롤러(8)의 전기 저항은 다양한 조건에서 변동한다. 이 다양한 조건으로서는, 제품의 변동, 환경(온도·습도), 부재의 온도·흡습도, 누적 사용 시간(화상 형성 장치의 가동 상황이나 반복 사용량 상황) 등을 들 수 있다. 그 때문에, 2차 전사 롤러(8)의 전기 저항의 변동에 의해 적절한 2차 전사 전류 범위가 변화되어버린다.
도 11을 참조하여 더욱 설명한다. 도 11의 (a)는, 미리 실험 등에 의해 정한 기록재 P의 사이즈마다의 2차 전사 전류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화상 불량을 충분히 억제하기 위해서,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는, A4 사이즈 상당의 폭(297㎜)의 기록재 P(종이)라면 15 내지 20㎂였다. 또한, A5R 사이즈 상당의 폭(148.5㎜)의 기록재 P(종이)라면, A4 사이즈보다도 폭이 짧아진 만큼 작아져서 7.5 내지 10㎂였다. 이 용지 통과부 전류의 범위를 정한 장치의 2차 전사 롤러(8)의 길이 방향의 폭은 338㎜였다. 그리고,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른 전류의 범위는, A4 사이즈라면 3.6 내지 4.4㎂, A5R 사이즈라면 16.6 내지 20.3㎂였다. 따라서,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부 N2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2차 전사 전류 범위」)는, A4 사이즈이면 18.6 내지 24.4㎂, A5R 사이즈이면 24.1 내지 30.3㎂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예를 들어 2차 전사부 N2(본 실시예에서는 주로 2차 전사 롤러(8))의 전기 저항이 낮아진 경우에는,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는 증가한다. 도 11의 (b)는, 도 11의 (a)에 도시한 2차 전사 전류 범위를 정했을 때의 상태보다도 2차 전사부 N2의 전기 저항이 낮아진 경우의 적절한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일례를 나타낸다. 2차 전사부 N2의 전기 저항이 낮아져도,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는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2차 전사부 N2의 전기 저항이 낮아지면, 용지 통과부 전류와 용지 비통과부 전류의 합인 2차 전사 전류는, 용지 비통과부 전류가 증가함으로써, 그 상한값 및 하한값 모두가 조금 높게 시프트한다. 예를 들어, A5R 사이즈의 기록재 P가 2차 전사부 N2를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류가 24.5㎂인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2차 전사 롤러(8)의 전기 저항이 도 11의 (a)에 도시한 2차 전사 전류 범위를 정했을 때의 상태와 동일하면, 2차 전사 전류는 적절한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값이기 때문에, 용지 통과 부분에 적절한 전류가 흐른다. 그러나, 2차 전사 롤러(8)의 전기 저항이, 도 11의 (b)에 도시한 2차 전사 전류 범위가 적절한 상태와 동일 정도로 낮게 되어 있는 경우에는, 2차 전사 전류가 24.5㎂인 채로는, 2차 전사 전류가 적절한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하한값(26.9㎂)보다도 작다. 그 때문에, 용지 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가 부족하여, 화상 불량이 발생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즉, 용지 비통과 부분의 전기 저항이 어떤 값인 경우의 하한값 부근의 2차 전사 전류값인 경우, 그 용지 비통과 부분의 전기 저항 상태이면 문제 없어도, 용지 비통과 부분의 전기 저항이 낮아진 상태에서는 용지 통과 부분의 전류가 화상 불량을 억제할 수 있는 하한값으로부터 벗어나버린다. 반대로, 2차 전사부 N2의 전기 저항이 높아진 경우에는,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는 줄어든다. 이 경우, 2차 전사 전류의 상한값 및 하한값 모두가 조금 낮게 시프트된다. 그 때문에, 용지 비통과 부분의 전기 저항이 어떤 값인 경우의 상한값 부근의 2차 전사 전류값의 경우, 그 용지 비통과 부분의 전기 저항 상태라면 문제 없어도, 용지 비통과 부분의 전기 저항이 높아진 상태에서는 용지 통과 부분의 전류가 화상 불량을 억제할 수 있는 상한값으로부터 벗어나버린다.
4. 2차 전사 전압 제어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2차 전사 전압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2차 전사 전압의 제어의 수순의 개략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에는, 작업을 실행할 때 제어부(50)가 실행하는 제어 중 2차 전사 전압의 제어에 관한 수순을 간략화하여 나타내고 있으며, 작업을 실행할 때의 다른 많은 제어의 도시는 생략되었다.
도 4의 (a)를 참조하여, 우선, 제어부(50)는, 조작부(31) 또는 외부 장치(200)로부터의 작업의 정보를 취득하면, 작업의 동작을 개시시킨다(S101). 본 실시예에서는, 이 작업의 정보에는, 조작자가 지정하는 화상 정보, 화상을 형성할 기록재 P의 사이즈(폭, 길이), 기록재 P의 두께와 관련이 있는 정보(두께 또는 평량), 기록재 P가 코팅지인지 여부와 같은 기록재 P의 표면성에 관련이 있는 정보가 포함된다. 즉, 종이 사이즈(폭, 길이)와 지종(紙種) 카테고리(보통지, 후지 등(두께와 관련이 있는 정보를 포함함))의 정보가 포함된다. 제어부(50)는, 이 작업의 정보를 RAM(52)에 기입한다(S102).
다음으로, 제어부(50)는, 환경 센서(32)에 의해 검지되는 환경 정보를 취득한다(S103). 또한, ROM(53)에는, 환경 정보와, 중간 전사 벨트(7) 위의 토너 상을 기록재 P 위로 전사시키기 위한 목표 전류 Itarget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50)는, S103에서 판독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경 정보와 목표 전류 Itarget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환경에 대응한 목표 전류 Itarget를 구하고, 이것을 RAM(52)에 기입한다(S104).
또한, 환경 정보에 따라서 목표 전류 Itarget를 바꾸는 것은, 환경에 따라서 토너의 전하량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상기 환경 정보와 목표 전류 Itarget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는, 미리 실험 등에 의해 구한 것이다. 여기서, 토너의 전하량은, 환경 이외에도, 현상 장치(4)에 토너를 보급하는 타이밍, 현상 장치(4)로부터 나가는 토너량과 같은 사용 이력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이들 영향을 억제하기 위해서, 현상 장치(4) 내의 토너 전하량이 어떤 일정 범위 내의 값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환경 정보 이외에도, 중간 전사 벨트(7) 위의 토너의 전하량을 좌우하는 요인을 알고 있으면, 그 정보에 따라서도 목표 전류 Itarget를 바꿔도 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에 토너의 전하량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을 마련하고, 이 측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토너의 전하량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 전류 Itarget를 바꿔도 된다.
다음으로, 제어부(50)는, 중간 전사 벨트(7) 위의 토너 상, 및 토너 상이 전사될 기록재 P가 2차 전사부 N2에 도달하기 전에, 2차 전사부 N2의 전기 저항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S105). 본 실시예에서는, ATVC 제어(Active Transfer Voltage Control)에 의해 2차 전사부 N2(본 실시예에서는 주로 2차 전사 롤러(8))의 전기 저항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즉, 2차 전사 롤러(8)와 중간 전사 벨트(7)가 접촉된 상태에서, 2차 전사 전원(20)으로부터 2차 전사 롤러(8)로 소정의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한다. 그리고,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고 있을 때의 전류값, 또는 소정의 전류를 공급하고 있을 때의 전압값을 검지하여, 전압과 전류의 관계(전압·전류 특성)를 취득한다. 이 전압과 전류의 관계는, 2차 전사부 N2(본 실시예에서는 주로 2차 전사 롤러(8))의 전기 저항에 따라서 변화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상기 전압과 전류의 관계는, 전류가 전압에 대하여 선형으로 변화(비례)하는 것이 아니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류가 전압의 2차 이상의 다항식으로 표현되듯이 변화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압과 전류의 관계를 다항식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2차 전사부 N2의 전기 저항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때 공급하는 소정의 전압 또는 전류는, 3점 이상의 다단계로 하였다.
다음으로, 제어부(50)는, 2차 전사 전원(20)으로부터 2차 전사 롤러(8)에 인가해야 할 전압값을 구한다(S106). 즉, 제어부(50)는, S104에서 RAM(52)에 기입된 목표 전류 Itarget과, S105에서 구한 전압과 전류의 관계에 기초하여,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 목표 전류 Itarget를 흘리기 위해서 필요한 전압값 Vb를 구한다. 이 전압값 Vb는, 2차 전사부 분담 전압에 상당한다. 또한, ROM(53)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록재 분담 전압 Vp를 구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정보는, 기록재 P의 평량의 구분마다의, 분위기의 수분량과 기록재 분담 전압 Vp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 데이터로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환경 센서(32)에 의해 검지되는 환경 정보(온도·습도)에 기초하여 분위기의 수분량을 구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S102에서 취득한 작업의 정보 중에 포함되는 기록재 P의 평량의 정보와, S103에서 취득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블 데이터로부터 기록재 분담 전압 Vp를 구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원(20)으로부터 2차 전사 롤러(8)에 인가할 2차 전사 전압 Vtr의 초깃값으로서, 상기 Vb와 Vp를 더한 Vb+Vp를 구하고, 이것을 RAM(52)에 기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재 P가 2차 전사부 N2에 도달할 때까지, 2차 전사 전압 Vtr의 초깃값을 구하고, 기록재 P가 2차 전사부 N2에 도달하는 타이밍에 대비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록재 분담 전압 Vp를 구하기 위한 테이블 데이터는, 미리 실험 등에 의해 구해진 것이다. 여기서, 기록재 분담 전압(기록재 P의 전기 저항 분의 전사 전압) Vp는, 기록재 P의 두께와 관련이 있는 정보(평량) 이외에도, 기록재 P의 표면성에 따라서도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테이블 데이터는, 기록재 P의 표면성에 관련된 정보에 따라서도 기록재 분담 전압 Vp가 바뀌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재 P의 두께와 관련이 있는 정보(나아가 기록재 P의 표면성에 관련된 정보)는, S101에서 취득되는 작업의 정보 중에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화상 형성 장치(100)에 기록재 P의 두께나 기록재 P의 표면성을 검지하는 측정 수단을 마련하고, 이 측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기록재 분담 전압 Vp를 구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제어부(50)는,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류의 상한값 및 하한값(「2차 전사 전류 범위」)을 결정하는 처리를 행한다(S107). 도 4의 (b)는, 도 4의 (a)의 S107에 있어서의 2차 전사 전류 범위를 결정하는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고 있다. ROM(53)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상 불량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용지 통과부 전류 범위(통과부 전류 범위)」)를 구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정보는, 분위기의 수분량과,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상한값 및 하한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 데이터로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테이블 데이터는, 미리 실험 등에 의해 구해진 것이다. 도 4의 (b)를 참조하여, 제어부(50)는, S103에서 취득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블 데이터로부터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를 구한다(S201).
또한,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는, 기록재 P의 폭에 따라 변화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테이블 데이터는, A4 사이즈 상당의 폭(297㎜)의 기록재 P를 상정하여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화상 불량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는, 환경 정보 이외에도, 기록재 P의 두께, 표면성에 따라서도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테이블 데이터는, 기록재 P의 두께와 관련이 있는 정보(평량), 기록재 P의 표면성에 관련된 정보에 따라서도 전류의 범위가 변화되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는, 계산식으로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는, 기록재 P의 사이즈마다 복수의 테이블 데이터나 계산식으로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제어부(50)는, S102에서 취득한 작업의 정보 중에 포함되는 기록재 P의 폭의 정보에 기초하여, S201에서 취득한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를 보정한다(S202). S201에서 구한 전류의 범위는 A4 사이즈 상당의 폭(297㎜)에 대응한 것이다. 예를 들어, 실제로 화상 형성에 사용하는 기록재 P의 폭이 A5 세로 이송 상당의 폭(148.5㎜), 즉, A4 사이즈 상당의 폭의 절반의 폭인 경우에는, S201에서 취득한 상한값 및 하한값이 각각 절반이 되도록, 기록재 P의 폭에 비례한 전류의 범위로 보정한다.
다음으로, 제어부(50)는, 다음의 각 정보에 기초하여,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를 구한다(S203). S102에서 취득한 작업의 정보 중에 포함되는 기록재 P의 폭의 정보, S105에서 구한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의 2차 전사부 N2의 전압과 전류의 관계의 정보, 및 S106에서 구한 2차 전사 전압 Vtr의 정보이다. 예를 들어, 2차 전사 롤러(8)의 폭이 338㎜이며, S102에서 취득한 기록재 P의 폭이 A5 세로 이송 상당의 폭(148.5㎜)인 경우, 용지 비통과 부분의 폭은 2차 전사 롤러(8)의 폭으로부터 기록재 P의 폭을 차감한 189.5㎜로 된다. 그리고, S106에서 구한 2차 전사 전압 Vtr이 예를 들어 1000V이며, S105에서 구한 전압과 전류의 관계로부터, 해당 2차 전사 전압 Vtr에 대응하는 전류가 40㎂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2차 전사 전압 Vtr에 대응하여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는, 다음의 비례 계산,
40㎂×189.5㎜/338㎜=22.4㎂
로부터 구할 수 있다. 즉, 상기 2차 전사 전압 Vtr에 대응하는 전류 40㎂를, 2차 전사 롤러(8)의 폭 338㎜에 대한 용지 비통과 부분의 폭 189.5㎜의 비율 분만큼 작게 하는 비례 계산에 의해,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를 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는, S202에서 구한 용지 통과부 전류의 상한값 및 하한값의 각각에 S203에서 구한 용지 비통과부 전류를 더하고,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류의 상한값 및 하한값(「2차 전사 전류 범위」)을 구한다(S204). 예를 들어, S201에서 취득한 A4 사이즈 상당의 폭에 대응하는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 상한값이 20㎂, 하한값이 15㎂인 경우에 대하여 생각한다. 이 경우, 실제로 화상 형성에 사용하는 기록재 P의 폭이 A5 세로 이송 상당의 폭일 때는,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의 상한값은 10㎂, 하한값은 7.5㎂로 된다. 그리고, S203에서 구한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예와 같이 22.4㎂일 때는,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상한값은 32.4㎂, 하한값은 29.9㎂로 된다.
도 4의 (a)를 참조하여, 다음으로, 제어부(50)는,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도달하고 나서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존재하는 동안, 전류 검지 회로(21)에 의해 검지되는 2차 전사 전류값과 S107에서 구한 2차 전사 전류 범위를 비교한다(S108, S109). 그리고, 제어부(50)는, 2차 전사 전원(20)이 출력하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필요에 따라서 보정한다(S110, S111). 즉, 제어부(50)는, 검지한 2차 전사 전류값이 S107에서 구한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값(하한값 이상 또한 상한값 이하)인 경우에는, 2차 전사 전원(20)이 출력하고 있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바꾸지 않고 그대로 유지한다(S110). 한편, 제어부(50)는, 검지한 2차 전사 전류값이 S107에서 구한 2차 전사 전류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는(하한값 미만 또는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해당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값이 되도록 2차 전사 전원(20)이 출력하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보정한다(S111). 본 실시예에서는, 상한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저하시켜, 2차 전사 전류가 상한값을 하회한 시점에서 2차 전사 전압 Vtr의 보정을 멈추고, 그 시점의 2차 전사 전압 Vtr을 유지한다. 전형적으로는, 2차 전사 전압 Vtr은, 소정의 간격 폭으로 단계적으로 저하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한값을 하회한 경우에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상승시켜, 2차 전사 전류가 하한값을 상회한 시점에서 2차 전사 전압 Vtr의 보정을 멈추고, 그 시점의 2차 전사 전압 Vtr을 유지한다. 전형적으로는, 2차 전사 전압 Vtr은, 소정의 간격 폭으로 단계적으로 상승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50)는, 기록재 P가 2차 전사부 N2를 통과 중에, S108 내지 S111의 처리를 반복하여, 2차 전사 전류가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값이 되면 2차 전사 전압 Vtr을 보정하는 것을 멈춰 그 시점의 2차 전사 전압 Vtr로 유지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작업의 모든 화상을 기록재 P에 전사하여 출력을 마칠 때까지, S108 내지 S111의 처리를 반복한다(S112).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전사 부재(8)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는 검지부(2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 전사 부재(8)에 인가하는 전압이 소정 전압으로 되도록 정전압 제어하는 제어부(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어부(50)는, 전사 시에 검지부(21)에서 검지되는 검지 결과가 소정 범위 내로 되도록 전사 부재(8)에 인가하는 전압을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이 제어부(50)는,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 전사 부재(8)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 검지부(21)에서 검지되는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범위를 변경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50)는,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 전사 부재(8)에 상기 소정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 전사 부재(8)에 흐르는 전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범위를 변경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50)는,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 전사 부재(8)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전압과 전사 부재(8)에 흐르는 전류의 관계인 전압 전류 특성을 취득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취득된 해당 전압 전류 특성에 기초하여,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 전사 부재(8)에 상기 소정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 전사 부재(8)에 흐르는 전류를 취득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해당 취득된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범위를 변경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50)는,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 전사 부재(8)에 상기 소정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 전사 부재(8)에 흐르는 전류에 관한 정보와, 기록재 P의 반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폭 방향의 사이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범위를 변경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50)는, 소정의 기록재 P에 화상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상기 소정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 전사 부재(8)에 상기 소정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 전사 부재(8)에 흐르는 전류에 관한 정보가 나타내는 전류가 제1 전류인 경우에, 상기 소정 범위를 제1 소정 범위로 설정한다. 또한,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 전사 부재(8)에 상기 소정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 전사 부재(8)에 흐르는 전류에 관한 정보가 나타내는 전류가 제1 전류보다도 높은 제2 전류인 경우에, 상기 소정 범위를 제2 소정 범위로 설정한다. 이때, 제1 소정 범위의 상한값의 절댓값은, 제2 소정 범위의 상한값의 절댓값보다도 작다. 예를 들어,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A4 사이즈의 기록재 P에 화상 형성하는 경우에, 전사 부재(8)의 전기 저항이 어떤 값이며, 소정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흐르는 전류가 제1 전류인 경우에는, 전사 전류의 제1 소정 범위는 18.6 내지 24.4㎂로 된다. 한편, 예를 들어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A4 사이즈의 기록재 P에 화상 형성하는 경우에, 전사 부재(8)의 전기 저항이 상기 어떤 값보다 작은 값이며, 상기 소정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흐르는 전류가 제1 전류보다도 높은 제2 전류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된다. 즉, 이 경우에는, 전사 전류의 제2 소정 범위는 19.2 내지 25㎂로 된다. 이와 같이, 제1 소정 범위의 상한값의 절댓값(24.4㎂)은, 제2 소정 범위의 상한값의 절댓값(25㎂)보다도 작다. 또한, 제1 소정 범위의 하한값의 절댓값(18.6㎂)은, 제2 소정 범위의 하한값의 절댓값(19.2㎂)보다도 작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는, 기록재 P에 따른 상기 소정 범위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5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50)는,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 전사 부재(8)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 전사 부재(8)에 흐르는 전류에 관한 정보와, 기억부(53)에 기억된 상기 소정 범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범위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제1 기록재로서의 A4 사이즈의 기록재 P에 화상 형성하는 경우에는, 전사 부재(8)의 전기 저항에 따라서, 전사 전류의 제1 소정 범위는 18.6 내지 24.4㎂(도 11의 (a)), 19.2 내지 25㎂(도 11의 (b))로 된다. 한편, 제2 기록재로서의 A5R 사이즈(A4보다 폭이 좁은)의 기록재 P에 화상 형성하는 경우에는, 전사 부재(8)의 전기 저항에 따라서, 전사 전류의 제2 소정 범위는 24.1 내지 30.3㎂(도 11의 (a)), 26.9 내지 33.1㎂(도 11의 (b))로 된다. 이와 같이, 제1 소정 범위의 상한값의 절댓값(24.4㎂ 혹은 25㎂)은, 제2 소정 범위의 상한값의 절댓값(30.3㎂ 혹은 33.1㎂)보다도 작다. 또한, 제1 소정 범위의 하한값의 절댓값(18.6㎂ 혹은 19.2㎂)은, 제2 소정 범위의 하한값의 절댓값(24.1㎂ 혹은 26.9㎂)보다도 작다. 또한, 제1 소정 범위의 상한값과 하한값의 차분인 제1 차분은, 제2 소정 범위의 상한값과 하한값의 차분인 제2 차분보다도 작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50)는, 기록재 P의 반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가 소정의 길이인 경우에, 상기 소정 범위를, 다음 중 하나에 따라서 다르게 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내부 또는 외부의 적어도 한쪽의 온도 또는 습도, 기록재 P의 두께에 관련된 지표값, 및 기록재의 표면 조도에 관련된 지표값 중 적어도 하나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50)는,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 전원(20)으로부터 3수준 이상의 다른 전압 또는 전류를 전사부 N2에 공급했을 때의 검지부(21)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압 전류 특성을 취득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압 전류 특성은, 전류가 전압의 2차 이상의 다항식으로 표현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를, 기록재 P가 2차 전사부 N2에 도달하기 전에 2차 전사부 N2의 전기 저항에 관한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예측한다. 그리고, 예측한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와, 화상 불량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를 더함으로써,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류 범위를 정한다. 또한, 그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값이 되도록,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압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다양한 상황에서 변동하는 2차 전사부 N2(본 실시예에서는 주로 2차 전사 롤러(8)) 및 기록재 P의 전기 저항에 관계 없이, 적절한 화상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S107에 있어서,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를 통과하지 않는 용지 비통과 시에 2차 전사부 N2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 2차 전사부 N2에 흐르는 전류에 기초하여, 전사 시(용지 통과 시)에 2차 전사부 N2에 흐르는 허용되는 전류의 범위를 변경하였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전사 시(용지 통과 시)에 2차 전사부 N2에 흐르는 허용되는 전류의 범위를 일정하게 하고, 용지 비통과 시에 2차 전사부 N2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 2차 전사부 N2에 흐르는 전류에 기초하여, 용지 통과 시의 전류 검지 결과를 보정해도 된다. 즉, 제어부(50)는,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 전사 부재(8)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 검지부(21)에서 검지되는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전사 시에 검지부(21)에서 검지되는 검지 결과를 보정하고, 해당 보정한 값이 소정 범위 내로 되도록 전사 부재(8)에 인가하는 전압을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부(50)는, 검지부(21)에서 검지되는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에서 전사 부재(8)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전압과 2차 전사부 N2에 흐르는 전류의 관계인 전압 전류 특성을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취득된 해당 전압 전류 특성에 기초하여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에서 전사 부재(8)에 소정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에 관한 전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는, 해당 취득된 전류 정보에 기초하여 검지부(21)에서 검지되는 검지 결과를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는, 취득된 전압 전류 특성에 기초하여,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에서 전사 부재(8)에 소정 전압이 인가된 경우의 2차 전사부 N2에 흐르는 전류가 제1 전류인 경우에, 검지부(21)에서 검지되는 검지 결과를 제1 보정값으로 보정할 수 있다.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에서 전사 부재(8)에 소정 전압이 인가된 경우의 2차 전사부 N2에 흐르는 전류가 제1 전류보다도 높은 제2 전류인 경우에, 검지부(21)에서 검지되는 검지 결과를 상기 제1 보정값보다도 작은 제2 보정값으로 보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의 변동분을 보정할 수 있다. 이 결과, 용지 비통과부의 저항 변동에 의해 용지 통과부 전류를 적정한 범위로 제어할 수 없게 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은,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것과 동일 또는 대응하는 기능 혹은 구성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에서는,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를 상한값으로부터 하한값까지 폭을 갖게 하고 있었다. 그러나,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가 비교적 좁아, 해당 전류를 목표 전류로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할(즉,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전류 범위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할) 것이 요망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롤러(8)에 인가할 2차 전사 전압은, 2차 전사 롤러(8)에 흐르는 전류를 실질적으로 일정한 값으로 제어하는, 소위 정전류 제어를 행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일정하게 제어하고 싶은 용지 통과 부분의 전류에 대하여, 용지 비통과 부분의 전기 저항의 변동에 의해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가 변동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제어 대상으로 되는 용지 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와,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를 더한 2차 전사 전류값이 변동해버린다. 즉, 용지 비통과 부분의 전기 저항이 변동함으로써 용지 통과부 전류와 용지 비통과부 전류의 합인 2차 전사 전류값이 바뀌는 현상은, 2차 전사 전류값에 폭을 갖게 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2차 전사 전류값을 실질적으로 일정한 값으로 제어하는 경우도 고려해야 할 과제이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용지 통과 부분에 흘리는 전류를 목표 전류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값으로 제어하는 구성에 있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도달하기 전에 2차 전사부 N2의 전기 저항을 검지한다. 그리고, 그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류의 목표값(「2차 전사 전류 목표값」)을 구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2차 전사 전압의 제어의 수순의 개략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의 (a)의 S301 내지 S312의 처리는, 각각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도 4의 (a)의 S101 내지 S112와 마찬가지이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도 4의 (a)의 S107(2차 전사 전류 범위를 결정하는 처리)에 대응하는 도 8의 (a)의 S307의 처리(2차 전사 전류 목표값을 결정하는 처리)가 실시예 1과는 다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도 4의 (a)의 S109(2차 전사 전류 범위와 비교하는 처리)에 대응하는 도 8의 (a)의 S309의 처리(2차 전사 전류 목표값과 비교하는 처리)가 실시예 1과는 다르다. 도 8의 (b)는, 도 8의 (a)의 S307에 있어서의 2차 전사 전류 목표값을 결정하는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특히 실시예 1과 상이한 점에 대하여 설명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처리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ROM(53)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상 불량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용지 통과부 전류(통과부 전류)」)의 값을 구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정보는, 분위기의 수분량과,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 데이터로서 설정되어 있다. 이 수분량과 전류값의 관계는, 미리 실험 등에 의해 구한 것이다. 또한,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값은, 기록재 P의 폭에 따라 변화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테이블 데이터는, A4 사이즈 상당의 폭(297㎜)의 기록재 P를 상정하여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부 N2의 폭이 2차 전사 롤러(8)의 폭 상당의 338㎜로 되어 있다. 따라서,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의 목표 전류 Itarget는, 도 9의 테이블 데이터에 나타내는 전류의 값에 338/297배(≒ 1.14배)한 것이 된다. 여기서, 화상 불량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값은, 환경 정보 이외에도, 기록재 P의 두께, 표면성에 따라서도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테이블 데이터는, 기록재 P의 두께와 관련이 있는 정보(평량), 기록재 P의 표면성에 관련된 정보에 따라서도 전류값이 변화되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값은, 계산식으로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값은, 기록재 P의 사이즈마다 복수의 테이블 데이터나 계산식으로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환경 정보에 따라서 목표 전류 Itarget를 바꾸는 것은, 환경에 따라 토너의 전하량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다른 변경 양태로 목표 전류 Itarget를 바꿔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의 (a)의 S304에 있어서, 이 도 9에 도시한 테이블 데이터를 참조하여, 목표 전류값 Itarget를 구해서 RAM(52)에 기입한다.
도 8의 (a)를 참조하여, 제어부(50)는,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류의 목표값(「2차 전사 전류 목표값」)을 결정하는 처리를 행한다(S307). 도 8의 (b)를 참조하여, 제어부(50)는, S302에서 취득한 작업의 정보 중에 포함되는 기록재 P의 폭의 정보에 기초하여, S304에서 취득한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값(S304에서는 이 전류값으로부터 목표 전류 Itarget를 취득)을 보정한다(S401). S304에서 취득한 전류값은 A4 사이즈 상당의 폭(297㎜)에 대응한 것이다. 예를 들어, 실제로 화상 형성에 사용하는 기록재 P의 폭이 A5 세로 이송 상당의 폭(148.5㎜), 즉, A4 사이즈 상당의 폭의 절반의 폭인 경우에는, S304에서 취득한 전류값이 절반이 되도록, 기록재 P의 폭에 비례한 전류값으로 보정한다.
다음으로, 제어부(50)는, 다음 각 정보에 기초하여,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를 구한다(S402). S302에서 취득한 작업의 정보 중에 포함되는 기록재 P의 폭의 정보, S305에서 구한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의 2차 전사부 N2의 전압과 전류의 관계의 정보, 및 S306에서 구한 2차 전사 전압 Vtr(=Vb+Vp)의 정보이다. 제어부(50)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S304에서 RAM(52)에 기입된 목표 전류 Itarget과, S305에서 구한 전압과 전류의 관계에 기초하여,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 목표 전류 Itarget를 흘리기 위해서 필요한 전압값 Vb를 구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Vp를 취득한다. 이 도 8의 (b)의 S402의 처리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도 4의 (b)의 S203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제어부(50)는, S401에서 구한 용지 통과부 전류에 S402에서 구한 용지 비통과부 전류를 더하여,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류 목표값을 구한다(S403). 예를 들어, S304에서 취득한 A4 사이즈 상당의 폭에 대응하는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값이 18㎂인 경우에 대하여 생각한다. 이 경우, 실제로 화상 형성에 사용하는 기록재 P의 폭이 A5 세로 이송 상당의 폭일 때는,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값은 9㎂로 된다. 그리고, S402에서 구한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예와 마찬가지로 22.4㎂일 때는, 2차 전사 전류 목표값은 31.4㎂로 된다.
도 8의 (a)를 참조하여, 다음으로, 제어부(50)는,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존재하는 동안, 전류 검지 회로(21)에 의해 검지되는 2차 전사 전류값과 S403에서 구한 2차 전사 전류 목표값을 비교한다(S308, S309). 그리고, 제어부(50)는, 2차 전사 전원(20)이 출력하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필요에 따라서 보정한다(S310, S311).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도달하고 나서 소정의 기간(초기)은, S306에서 결정한 2차 전사 전압 Vtr을 인가한다. 이것은, 기록재 P의 유무에 따라 전기 저항이 크게 변동하는 시스템의 경우, 기록재 P가 없는 상태로부터 정전류 제어로 전압을 인가하고자 하면, 전압값이 크게 변동하여 흐르는 전류가 오히려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는 기간의 초기는, 어떤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기록재 P의 반송 방향의 선단이 2차 전사부 N2에 돌입한 후에 소정의 기간(예를 들어 선단의 여백부가 통과를 마칠 때까지의 기간)이 경과한 후부터, 2차 전사 전류값이 어떤 일정한 전류값이 되도록 전압을 인가하도록 하였다. 제어부(50)는, 검지한 2차 전사 전류값이 S403에서 구한 2차 전사 전류 목표값과 실질적으로 동일(제어상 허용할 수 있는 오차 범위에서 달라도 됨)한 경우에는, 2차 전사 전원(20)이 출력하고 있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바꾸지 않고 그대로 유지한다(S310). 한편, 제어부(50)는, 검지한 2차 전사 전류값이 S403에서 구한 2차 전사 전류 목표값으로부터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해당 2차 전사 전류 목표값이 되도록 2차 전사 전원(20)이 출력하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보정한다(S311).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 전류값이 2차 전사 전류 목표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해진 시점에서 2차 전사 전압 Vtr의 보정을 멈추고, 그 시점의 2차 전사 전압 Vtr을 유지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50)는,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는 기간 중 전사부 N2를 기록재 P의 소정의 선단부가 통과하고 있는 제1 기간은, 전사 부재(8)에 소정 전압이 인가되도록 정전압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제1 기간에 이어지는 제2 기간은, 전사 부재(8)에 흐르는 전류가 소정 전류가 되도록 검지부(21)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전사 부재(8)에 흐르는 전류를 정전류 제어한다. 그리고, 이 제어부(50)는,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 전사 부재(8)에 상기 소정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 전사 부재(8)에 흐르는 전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전류를 변경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를, 기록재 P가 2차 전사부 N2에 도달하기 전에 2차 전사부 N2의 전기 저항에 관한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예측한다. 그리고, 예측한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와, 화상 불량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값을 더함으로써,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류 목표값을 정한다. 또한, 그 2차 전사 전류 목표값이 되도록,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압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다양한 상황에서 변동하는 2차 전사부 N2(본 실시예에서는 주로 2차 전사 롤러(8)) 및 기록재 P의 전기 저항에 구애되지 않고, 적절한 화상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3]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은,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것과 동일 또는 대응하는 기능 혹은 구성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2에서는, 2차 전사부 N2의 전기 저항에 관한 정보로서의 전압과 전류의 관계는, 측정용 전압 또는 전류를 3점 이상의 다단계로 취득하였다. 이것은, 해당 전압과 전류의 관계가, 전류가 전압의 2차 이상의 다항식으로 표현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취득할 데이터의 수가 증가하면, 기록재 P가 2차 전사부 N2에 도달할 때까지 행하는 제어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져서, 화상 출력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는, 기록재 P가 2차 전사부 N2에 도달할 때까지 행하는 2차 전사부 N2의 전기 저항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동작을, 다음의 제1 모드와, 제2 모드에서 실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1 모드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원 ON 시나 잼 처리 복귀 후 등의 이전 다회전 공정에서 행하는, 상대적으로 제어 시간이 긴 모드이다. 제2 모드는, 상기 이외의 타이밍, 전형적으로는 각 작업의 이전 회전 공정에서 행하는, 제1 모드에 비하여 제어 시간이 짧은 모드이다. 즉, 각 작업의 이전 회전 공정에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도 4의 S105,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도 8의 S305의 처리에 의해 2차 전사부 N2의 전압과 전류의 관계를 구하는 경우에, 이 제2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는, 측정용 전압 또는 전류를 3점 이상의 다단계로 데이터를 취득한다. 제1 모드에 의한 전압과 전류의 관계를 구하는 방법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한편, 제2 모드에서는, 측정용 전압 또는 전류는 1점 또는 2점으로 된다. 그리고, 당해 제2 모드보다 전에 행한 제1 모드(전형적으로는 마지막에 행한 제1 모드)의 결과와, 금회의 제2 모드의 결과를 참조하여, 전압과 전류의 관계를 구한다.
예를 들어, 마지막에 행한 제1 모드의 결과, 2차 전사부 N2의 전압 V와 전류 I의 관계가 하기 식 1과 같은 2차 함수로 되어 있다고 하자. 여기서, 하기 식 1 중의 a, b, c는, 제1 모드의 결과로부터 구해지는 계수이다.
I=aV2+bV+c …(식 1)
또한, 상기 제1 모드의 후에 행한, 측정용 전압 또는 전류를 전압 V0의 1점으로 한 제2 모드의 결과, 2차 전사부 N2에 흐른 전류가 I2인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 1에 전압 V0을 적용하여, 하기 식 2에 의해 전류 I1이 산출되는 것으로 한다.
I1=aV12+bV1+c …(식 2)
이 경우, 제2 모드의 결과로서의 2차 전사부 N2의 전압 V와 전류 I의 관계는, 상기 I1과 I2의 비례 계산에 의해 하기 식 3과 같이 구해진다.
I=I2/I1*(aV2+bV+c) … (식 3)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50)는, 다음의 제1 모드와, 제2 모드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모드는,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 전원(20)으로부터 3수준 이상의 다른 전압 또는 전류를 전사부 N2에 공급했을 때의 검지부(21)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전사 부재(8)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전압과 전사 부재(8)에 흐르는 전류의 관계인 전압 전류 특성을 취득하는 모드이다. 제2 모드는,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 전원으로부터 제1 모드보다도 적은 수준의 전압 또는 전류를 전사부에 공급했을 때의 검지부(21)의 검지 결과와, 선행하여 행해진 제1 모드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압 전류 특성을 취득하는 모드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 2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짐과 함께,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도달하기 전에 행하는 제어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여, 화상 출력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4]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은,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것과 동일 또는 대응하는 기능 혹은 구성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내지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지 통과부 전류 범위를 설정함으로써 화상 농도 희박이나 백색 보이드 등의 화상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용지 통과부 전류 범위를 설정하는 것만으로는, 발생의 유무를 예측하는 것이 어려운 「핀 홀」이라는 화상 불량이 있다. 핀 홀이란, 2차 전사부 N2를 통과 중의 기록재 P가 방전을 받으면, 해당 부분의 토너가 기록재 P에 전사되지 않게 되어, 점형상으로 백색 보이드되는 화상 불량이다. 도 12는, 다음과 같이 하여 조사한 용지 통과부 전류와 핀 홀의 발생 유무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다. 「×」는 핀 홀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고, 「○」는 발생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실험 환경은, NL(온도 23℃, 습도 5%)로 하였다. 기록재 P로서는, 시판 중인 A4 사이즈의 용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시판 중인 개별 포장에서 꺼낸 직후(개봉 직후)와, NL 환경에 24시간 이상 방치한 후(방치 후)의 각각의 상태의 용지를 사용하고, 용지 통과부 전류를 일으켜서, 핀 홀의 유무를 조사하는 실험을 행하였다. 도 12의 결과로부터, 방치 후의 용지를 사용한 경우 쪽이, 개별 포장에서 꺼낸 직후의 용지를 사용한 경우보다도 낮은 용지 통과부 전류에서 핀 홀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기록재 P의 종류가 동일하여도, 방치 상태에 따라 핀 홀이 발생하는 용지 통과부 전류가 다르다. 따라서, 용지 통과부 전류 범위를 설정하는 것만으로는, 화상 농도 희박이나 백색 보이드와는 다른 과제인 핀 홀의 억제를 도모하기가 어렵다.
여기서, 핀 홀에 관해서는, 기록재 P의 두께가 두꺼울 수록, 핀 홀이 발생할 시의 기록재 분담 전압의 값이 커진다는 것이 실험에 의해 판명되어 있다. 도 13은, 기록재 P의 두께와 2차 전사 시의 기록재 분담 전압(절댓값)의 관계의 개요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계성을 이용하여, 지종(두께)마다 기록재 분담 전압의 상한값(임계값)을 설정한다. 이에 의해, 핀 홀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실시예 1 내지 3과 마찬가지로 2차 전사 전류의 제어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2차 전사 전압의 제어의 수순의 개요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의 S501 내지 S508의 처리는, 각각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도 4의 (a)의 S101 내지 108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S507에 있어서의 2차 전사 전류 범위를 결정하는 처리의 수순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도 4의 (b)에 도시한 S201 내지 S204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제어부(50)는, 전류 검지 회로(21)에 의해 검지된,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 중인 경우 2차 전사 전류값이, S507에서 구한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하한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09). 제어부(50)는, S509에서 하한값 미만(「예」)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실제의 기록재 분담 전압 Vpth를 구한다(S510). 여기서, 실제의 기록재 분담 전압 Vpth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미리 결정되어 ROM(53)에 기억된 기록재 분담 전압 Vp와는 달리, 2차 전사 중에 있어서의 실제의 산출값이다. 도 15를 이용하여 실제의 기록재 분담 전압 Vpth의 산출 방법을 설명한다.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 전사 중에는, 2차 전사 롤러(8), 2차 전사 대향 롤러(73), 및 기록재 P에 2차 전사 전압 Vtr이 인가되고, 용지 통과부 전류가 흐르고 있다. 도 15의 (a)에 있어서 Vtr은 2차 전사 전압, Vpth는 실제의 기록재 분담 전압, Vbth는 실제의 2차 전사부 분담 전압(주로 2차 전사 롤러(8)와 2차 전사 대향 롤러(73)가 분담하고 있는 전압)이다.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제의 기록재 분담 전압 Vpth는, 2차 전사 전압 Vtr로부터 실제의 2차 전사부 분담 전압 Vbth를 차감함으로써 도출할 수 있다. 도 15의 (b)를 참조하여 더 설명한다. 제어부(50)는, 다음의 각 정보에 기초하여, 실제의 기록재 분담 전압 Vpth를 구할 수 있다. S502에서 취득한 작업의 정보 중에 포함되는 기록재 P의 폭의 정보, S505에서 구한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의 2차 전사부 N2의 전압과 전류의 관계의 정보, 및 S506에서 구한 2차 전사 전압 Vtr의 정보이다. 즉, 도 15의 (b)의 좌측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 전사 전압 Vtr을 인가했을 때의 용지 통과부 전류 Ip는, 검지된 2차 전사 전류 Itr로부터, 용지 비통과부 전류(S507에 있어서 도 4의 (b)의 S203과 마찬가지의 처리로 구해짐)를 차감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한, 도 15의 (b)의 중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용지 통과부 전류 Ip가 흐를 때의 실제의 2차 전사부 분담 전압 Vbth는, S505의 ATVC 제어로 구한 전압과 전류의 관계로부터 구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5의 (b)의 우측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 전사 전압 Vtr과 이 실제의 2차 전사부 분담 전압 Vbth의 차분을 산출함으로써, 실제의 기록재 분담 전압 Vpth를 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는, 실제의 기록재 분담 전압 Vpth가 상한값(임계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11).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재 P의 두께와 관련이 있는 정보(두께 또는 평량)마다, 실제의 기록재 분담 전압 Vpth의 상한값이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박지, 보통지, 후지 1, 후지 2(후지 1보다 두께가 두꺼운 후지)…」와 같은 지종 카테고리(평량)마다, 실제의 기록재 분담 전압 Vpth의 상한값이 미리 설정되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테이블 데이터로서 ROM(53)에 기억되어 있다. 제어부(50)는, S502에서 취득한 작업의 정보 중에 포함되는 지종 카테고리(평량)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지종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실제의 기록재 분담 전압 Vpth의 상한값을 상기 테이블 데이터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한다. 또한, 실제의 기록재 분담 전압 Vpth의 상한값의 설정 방법은, 본 실시예의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록재 P의 두께와, 핀 홀이 발생하는 실제의 기록재 분담 전압 Vpth(상한값, 임계값)의 관계식 등을 ROM(53)에 기억시켜 두고, 작업마다 기록재 P의 두께 정보를 직접 취득하여, 실제의 기록재 분담 전압 Vpth의 상한값을 설정해도 된다. 기록재 P의 두께 정보의 취득 방법으로서는, S501에 있어서 조작자가 직접 기록재 P의 두께를 입력하는 방법, 초음파 등을 사용한 두께 센서를 기록재 P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레지스트 롤러(9)보다 상류에 마련하여 작업마다 측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50)는, S511에서 실제의 기록재 분담 전압 Vpth가 상한값 이하(「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높인다(S512). 이때, 전형적으로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소정의 간격 폭만큼 상승시킨다. 한편, 제어부(50)는, S511에서 실제의 기록재 분담 전압 Vpth가 상한값을 초과하였다(「아니오」)고 판단한 경우에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바꾸지 않고 그대로 유지한다(S513).
또한, 제어부(50)는, S509에서 하한값 이상(「아니오」)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전류 검지 회로(21)에 의해 검지된,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 중인 경우 2차 전사 전류값이, S507에서 구한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상한값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14). 제어부(50)는, S514에서 상한값을 초과하였다(「예」)고 판단한 경우에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낮춘다(S515). 이때, 전형적으로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소정의 간격 폭만큼 저하시킨다. 한편, 제어부(50)는, S514에서 상한값을 초과하지 않았다(「아니오」)고 판단한 경우에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바꾸지 않고 그대로 유지한다(S516). 그 후, 제어부(50)는, 작업의 모든 화상을 기록재 P에 전사하여 출력을 마칠 때까지, S508 내지 S516의 처리를 반복한다(S517).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어에 의해, 핀 홀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실시예 1 내지 3과 마찬가지로 2차 전사 전류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 전류가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하한값 미만이어도, 2차 전사 전압 Vtr을 높이지 않는 경우가 있고, 핀 홀의 억제를, 화상 농도 희박이나 백색 보이드의 억제보다도 우선하고 있다. 이것은, 2차 전사 전류 부족과, 핀 홀의 발생 메커니즘을 고려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하한값은, 평균적인 유저의 사용 방법보다 높은 Duty(고화상 비율)이며, 2차 전사 전류가 많이 필요한 경우를 상정하여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2차 전사 전류가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하한값을 하회해도, 출력 화상에 있어서 전사 불량이 현재화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핀 홀은, 기록재 분담 전압 Vp에 좌우되어 발생하고, 출력 화상이 솔리드 화상인지 중간조인지에 관계없이 현재화해버린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핀 홀의 억제를, 화상 농도 희박이나 백색 보이드의 억제보다도 우선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50)는,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 전사 부재(8)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 전사 부재(8)에 흐르는 전류와, 기록재 P의 반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의 폭에 관한 정보와, 전사 시에 검지부(21)에 의해 검지된 전사 부재(8)에 흐르는 전류에 기초하여 취득되는 값의 절댓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전사 시에 전사 부재(8)에 흐르는 전류의 절댓값이 소정 범위의 하한값 미만이어도, 전사 부재(8)에 인가하는 전압의 절댓값을, 전사 시에 전사 부재(8)에 흐르는 전류가 소정 범위 내로 되도록 크게 하는 일은 행하지 않는다. 여기서,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 기록재 P의 반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전사부 N2의 기록재 P가 통과하지 않는 비통과 영역에 흐르는 전류를 비통과부 전류로 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50)는,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 전사 부재(8)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전사 부재(8)에 흐르는 전류에 기초하여 취득되는 비통과부 전류와, 전사 시에 전사 부재(8)에 흐르는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값으로서 전사 시의 기록재 P의 분담 전압을 구한다. 또한, 상기 임계값은, 기록재 P의 두께에 관한 지표값(두께, 평량 등)에 따라서 설정되어 있다. 전형적으로는, 상기 지표값이 나타내는 두께가 제1 두께의 기록재 P에 대한 상기 임계값보다도, 상기 지표값이 나타내는 두께가 제1 두께보다도 두꺼운 제2 두께의 기록재 P에 대한 상기 임계값 쪽이 크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제의 기록재 분담 전압 Vpth에 따라서 2차 전사 전압 Vtr을 높이는 것을 제한하는 제어를, 실시예 1의 제어에 대하여 조합하였지만, 실시예 2의 제어에 대하여 조합해도 된다. 그 경우, 2차 전사 전류가 2차 전사 전류 목표값 미만인 경우라도, 실제의 기록재 분담 전압 Vpth가 상한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높이는 것은 행하지 않도록 하면 된다.
[실시예 5]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은,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것과 동일 또는 대응하는 기능 혹은 구성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 기록재의 두께에 의한 영향
전술한 바와 같이, 전사 부재의 전기 저항의 변동에 의해 적절한 전사 전류 범위가 바뀌는 과제에 대해서는, 기록재 P가 2차 전사부 N2에 도달하기 전에 2차 전사부 N2의 전기 저항을 검지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화상 형성에 사용하는 기록재 P가 후지 등의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기록재 P인 경우 등에는, 기록재 P의 두께에 의해 용지 비통과 부분의 압력이 낮아진다. 그 때문에, 실제의 용지 비통과부 전류가, 기록재 P가 2차 전사부 N2에 도달하기 전에 예측한 값에 대하여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도 23은, 이 기록재 P가 통과함으로써 발생하는, 기록재 P의 반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2차 전사부 N2의 압력 분포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23에 도시한 예에서는, 기록재 P의 폭은 300㎜이다. 도 23 중에 파선으로 나타낸 플롯이, 기록재 P가 2차 전사부 N2에 존재하지 않을 때의 2차 전사부 N2의 압력 분포를 측정한 결과이다. 한편, 도 23 중의 실선으로 나타낸 플롯이, 그 2차 전사부 N2의 기록재 P의 반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의 중앙 부근을, 평량 300g/㎡, 폭 105㎜의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부 N2의 압력 분포를 측정한 결과이다.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존재하지 않을 때의 2차 전사부 N2의 압력 분포(도 23 중의 파선)는, 기록재 P의 반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의 균일하다. 그러나,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존재할 때는, 용지 통과 부분의 압력(도 23 중의 실선의 중앙 부근)은, 기록재 P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 비하여 높게 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용지 비통과 부분의 압력(도 23 중의 실선의 중앙 이외의 영역)은, 기록재 P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 비하여 낮게 되어 있다. 2차 전사부 N2의 압력이 낮을수록, 기록재 P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전사 벨트(7)와 2차 전사 롤러(8)의 접촉 영역이 작아지기 때문에, 동일한 2차 전사 전압을 인가해도 흐르는 전류가 작아져버린다. 이 현상을 고려하지 않고, 기록재 P가 2차 전사부 N2에 도달하기 전에 검지한 2차 전사부 N2의 전기 저항으로부터 예측한 용지 비통과부 전류에 기초하여 전사 전류 범위를 결정하면, 전사 전류 범위가 필요 이상으로 높은 편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전사 전류가 과도하게 커진 경우에는, 방전 현상에 의한 화상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후지 등의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기록재 P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류가 적절한 범위로부터 벗어남에 따른 화상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2. 2차 전사 전압 제어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2차 전사 전압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2차 전사 전압의 제어의 수순의 개략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에는, 작업을 실행할 때 제어부(50)가 실행하는 제어 중 2차 전사 전압의 제어에 관한 수순을 간략화해서 나타내고 있으며, 작업을 실행할 때의 다른 대부분의 제어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부(31)나 외부 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기록재 P의 두께 및 기록재 P의 폭에 관한 정보가 취득된다. 단, 화상 형성 장치(100) 내에 기록재 P의 두께나 폭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마련하여, 이 검지 수단에 의해 취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의 (a)를 참조하여, 우선, 제어부(50)는, 조작부(31) 또는 외부 장치(200)로부터의 작업의 정보를 취득하면, 작업의 동작을 개시시킨다(S601). 본 실시예에서는, 이 작업의 정보에는, 조작자가 지정하는 화상 정보, 화상을 형성하는 기록재 P의 사이즈(폭, 길이), 기록재 P의 두께와 관련이 있는 정보(두께 또는 평량), 기록재 P가 코팅지인지 여부와 같은 기록재 P의 표면성에 관련이 있는 정보가 포함된다. 즉, 종이 사이즈(폭, 길이)와 지종 카테고리(보통지, 후지 등(두께와 관련이 있는 정보를 포함함))의 정보가 포함된다. 제어부(50)는, 이 작업의 정보를 RAM(52)에 기입한다(S602).
다음으로, 제어부(50)는, 환경 센서(32)에 의해 검지되는 환경 정보를 취득한다(S603). 또한, ROM(53)에는, 환경 정보와, 중간 전사 벨트(7) 위의 토너 상을 기록재 P 위로 전사시키기 위한 목표 전류 Itarget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50)는, S603에서 판독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경 정보와 목표 전류 Itarget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환경에 대응한 목표 전류 Itarget를 구하고, 이것을 RAM(52)에 기입한다(S604).
또한, 환경 정보에 따라서 목표 전류 Itarget를 바꾸는 것은, 환경에 따라 토너의 전하량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상기 환경 정보와 목표 전류 Itarget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는, 미리 실험 등에 의해 구한 것이다. 여기서, 토너의 전하량은, 환경 이외에도, 현상 장치(4)에 토너를 보급하는 타이밍, 현상 장치(4)로부터 나가는 토너량과 같은 사용 이력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이들 영향을 억제하기 위해서, 현상 장치(4) 내의 토너 전하량이 어떤 일정 범위 내의 값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환경 정보 이외에도, 중간 전사 벨트(7) 위의 토너의 전하량을 좌우하는 요인을 알고 있으면, 그 정보에 따라서도 목표 전류 Itarget를 바꿔도 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에 토너의 전하량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을 마련하고, 이 측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토너의 전하량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 전류 Itarget를 바꿔도 된다.
다음으로, 제어부(50)는, 중간 전사 벨트(7) 위의 토너 상, 및 토너 상이 전사될 기록재 P가 2차 전사부 N2에 도달하기 전에, 2차 전사부 N2의 전기 저항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S605). 본 실시예에서는, ATVC 제어(Active Transfer Voltage Control)에 의해 2차 전사부 N2(본 실시예에서는 주로 2차 전사 롤러(8))의 전기 저항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즉, 2차 전사 롤러(8)와 중간 전사 벨트(7)가 접촉된 상태에서, 2차 전사 전원(20)으로부터 2차 전사 롤러(8)로 소정의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한다. 그리고,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고 있을 때의 전류값, 또는 소정의 전류를 공급하고 있을 때의 전압값을 검지하여, 전압과 전류의 관계(전압·전류 특성)를 취득한다. 이 전압과 전류의 관계는, 2차 전사부 N2(본 실시예에서는 주로 2차 전사 롤러(8))의 전기 저항에 따라서 변화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상기 전압과 전류의 관계는, 전류가 전압에 대하여 선형으로 변화(비례)하는 것이 아니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류가 전압의 2차 이상의 다항식으로 표현되도록 변화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압과 전류의 관계를 다항식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2차 전사부 N2의 전기 저항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때 공급하는 소정의 전압 또는 전류는, 3점 이상의 다단계로 하였다.
다음으로, 제어부(50)는, 2차 전사 전원(20)으로부터 2차 전사 롤러(8)에 인가해야 할 전압값을 구한다(S606). 즉, 제어부(50)는, S604에서 RAM(52)에 기입된 목표 전류 Itarget과, S605에서 구한 전압과 전류의 관계에 기초하여,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 목표 전류 Itarget를 흘리기 위해 필요한 전압값 Vb를 구한다. 이 전압값 Vb는, 2차 전사부 분담 전압에 상당한다. 또한, ROM(53)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록재 분담 전압 Vp를 구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정보는, 기록재 P의 평량의 구분마다의, 분위기의 수분량과 기록재 분담 전압 Vp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 데이터로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환경 센서(32)에 의해 검지되는 환경 정보(온도·습도)에 기초하여 분위기의 수분량을 구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S602에서 취득한 작업의 정보 중에 포함되는 기록재 P의 평량의 정보와, S603에서 취득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블 데이터로부터 기록재 분담 전압 Vp를 구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원(20)으로부터 2차 전사 롤러(8)에 인가할 2차 전사 전압 Vtr의 초깃값으로서, 상기 Vb와 Vp를 더한 Vb+Vp를 구하고, 이것을 RAM(52)에 기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재 P가 2차 전사부 N2에 도달할 때까지, 2차 전사 전압 Vtr의 초깃값을 구하고, 기록재 P가 2차 전사부 N2에 도달하는 타이밍에 대비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록재 분담 전압 Vp를 구하기 위한 테이블 데이터는, 미리 실험 등에 의해 구해진 것이다. 여기서, 기록재 분담 전압(기록재 P의 전기 저항분의 전사 전압) Vp는, 기록재 P의 두께와 관련이 있는 정보(평량) 이외에도, 기록재 P의 표면성에 따라서도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테이블 데이터는, 기록재 P의 표면성과 관련이 있는 정보에 따라서도 기록재 분담 전압 Vp가 바뀌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재 P의 두께와 관련이 있는 정보(나아가 기록재 P의 표면성과 관련이 있는 정보)는, S601에서 취득되는 작업의 정보 중에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화상 형성 장치(100)에 기록재 P의 두께나 기록재 P의 표면성을 검지하는 측정 수단을 마련하고, 이 측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기록재 분담 전압 Vp를 구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제어부(50)는,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류의 상한값 및 하한값(「2차 전사 전류 범위」)을 결정하는 처리를 행한다(S607). 도 17의 (b)는, 도 17의 (a)의 S607에 있어서의 2차 전사 전류 범위를 결정하는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고 있다. ROM(53)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상 불량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용지 통과부 전류 범위(통과부 전류 범위)」)를 구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정보는, 분위기의 수분량과,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상한값 및 하한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 데이터로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테이블 데이터는, 미리 실험 등에 의해 구해진 것이다. 도 17의 (b)를 참조하여, 제어부(50)는, S603에서 취득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블 데이터로부터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를 구한다(S701).
또한,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는, 기록재 P의 폭에 따라 변화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테이블 데이터는, A4 사이즈 상당의 폭(297㎜)의 기록재 P를 상정하여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화상 불량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는, 환경 정보 이외에도, 기록재 P의 두께, 표면성에 따라서도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테이블 데이터는, 기록재 P의 두께와 관련이 있는 정보(평량), 기록재 P의 표면성과 관련이 있는 정보에 따라서도 전류의 범위가 변화되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는, 계산식으로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는, 기록재 P의 사이즈마다 복수의 테이블 데이터나 계산식으로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제어부(50)는, S602에서 취득한 작업의 정보 중에 포함되는 기록재 P의 폭의 정보에 기초하여, S701에서 취득한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를 보정한다(S702). S701에서 구한 전류의 범위는 A4 사이즈 상당의 폭(297㎜)에 대응한 것이다. 예를 들어 실제로 화상 형성에 사용하는 기록재 P의 폭이 A5 세로 이송 상당의 폭(148.5㎜), 즉 A4 사이즈 상당의 폭 절반의 폭인 경우에는, S701에서 취득한 상한값 및 하한값이 각각 절반이 되도록, 기록재 P의 폭에 비례한 전류의 범위로 보정한다. 즉, 도 7의 테이블 데이터로 구해지는 보정 전의 용지 통과부 전류의 상한값을 Ip_max, 하한값을 Ip_min, 도 7의 테이블 데이터를 정했을 때의 기록재 P의 폭을 Lp_bas라 한다. 또한, 실제로 반송되는 기록재 P의 폭을 Lp, 보정 후의 용지 통과부 전류의 상한값을 Ip_max_aft, 하한값을 Ip_min_aft라 한다. 이때, 보정 후의 용지 통과부 전류의 상한값, 하한값은, 각각 하기 식 4, 식 5에 의해 구할 수 있다.
Ip_max_aft=Lp/Lp_bas*Ip_max …(식 4)
Ip_min_aft=Lp/Lp_bas*Ip_min …(식 5)
다음으로, 제어부(50)는, 다음의 각 정보에 기초하여,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를 구한다(S703). S602에서 취득한 작업의 정보 중에 포함되는 기록재 P의 폭의 정보, S605에서 구한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의 2차 전사부 N2의 전압과 전류의 관계의 정보 및S606에서 구한 2차 전사 전압 Vtr의 정보이다. 예를 들어, 2차 전사 롤러(8)의 폭이 338㎜이며, S602에서 취득한 기록재 P의 폭이 A5 세로 이송 상당의 폭(148.5㎜)인 경우, 용지 비통과 부분의 폭은 2차 전사 롤러(8)의 폭으로부터 기록재 P의 폭을 차감한 189.5㎜로 된다. 그리고, S606에서 구한 2차 전사 전압 Vtr이 예를 들어 1000V이며, S605에서 구한 전압과 전류의 관계로부터, 해당 2차 전사 전압 Vtr에 대응하는 전류가 40㎂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2차 전사 전압 Vtr에 대응하여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는, 다음의 비례 계산,
40㎂×189.5㎜/338㎜=22.4㎂
로부터 구할 수 있다. 즉, 상기 2차 전사 전압 Vtr에 대응하는 전류 40㎂를, 2차 전사 롤러(8)의 폭 338㎜에 대한 용지 비통과 부분의 폭 189.5㎜의 비율 만큼 작게 하는 비례 계산에 의해,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를 구할 수 있다.
기록재 P의 두께가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S703에서 구한 값을 용지 비통과부 전류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기록재 P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존재할 때의 용지 비통과 부분의 압력이 감소하고, 이에 의해 용지 비통과부 전류가 작아진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50)는, 기록재 P의 두께에 따라서 용지 비통과부 전류를 보정하는 제어를 행한다(S704). S703에서 구한 보정 전의 비통부 전류를 Inp_bef, 보정 후의 용지 비통과부 전류를 Inp_aft, 보정 계수를 e(%)라 한다. 이때, 보정 후의 용지 비통과부 전류는, 하기 식 6에 의해 구할 수 있다.
Inp_aft=e*Inp_bef …(식 6)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식 6 중의 보정 계수 e는, 미리 실험 등에 의해 구해져서 ROM(53)에 기억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록재 P의 평량의 구분마다의, 기록재 P의 폭과 보정 계수 e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제어부(50)는, S602에서 취득한 작업의 정보 중에 포함되는 기록재 P의 폭과 기록재 P의 평량의 정보에 기초하여, 도 18에 도시한 테이블 데이터를 참조하여, 보정 계수 e를 결정한다. 기록재 P의 두께가 두꺼울, 용지 비통과 부분의 압력이 낮아진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기록재 P의 두께가 두꺼울, 보정 후의 용지 비통과부 전류가 작아지도록 보정 계수 e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기록재 P의 폭이 넓을수록, 용지 비통과 부분의 중간 전사 벨트(7)와 2차 전사 롤러(8)가 접촉하기 어려워, 용지 비통과 부분의 압력이 낮아진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기록재 P의 폭이 넓을수록, 보정 후의 용지 비통과부 전류가 작아지도록 보정 계수 e가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기록재 P의 폭이 A5 세로 이송 상당(148.5㎜)이고, 기록재 P의 평량이 350g/㎡인 경우에는, 보정 전의 용지 비통과부 전류 Inp_bef를 85%로 한 것이 보정 후의 용지 비통과부 전류 Inp_aft로 된다. 이에 비하여, 예를 들어 기록재 P의 폭이 상기와 마찬가지의 A5 세로 이송 상당(148.5㎜)이고, 기록재 P의 평량이 52g/㎡인 경우에는, 보정 전의 용지 비통과부 전류 Inp_bef를 100% 그대로 유지한 것이 보정 후의 용지 비통과부 전류 Inp_aft로 된다.
다음으로, 제어부(50)는, 다음과 같이 하여,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류의 상한값 및 하한값(「2차 전사 전류 범위」)을 구하고, 구한 2차 전사 전류 범위를 RAM(52)에 기억시킨다(S705). 즉, 제어부(50)는, S702에서 구한 용지 통과부 전류의 상한값 및 하한값의 각각에 S704에서 구한 보정 후의 용지 비통과부 전류를 더하여,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류의 상한값 및 하한값(「2차 전사 전류 범위」)을 구한다. 즉,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류의 상한값을 I_max, 하한값을 I_min이라 한다. 이때, 2차 전사 전류의 상한값, 하한값은, 각각 하기 식 7, 식 8에 의해 구할 수 있다.
I_max=Ip_max_aft+Inp_aft …(식 7)
I_min_Ip_min_aft+Inp_aft …(식 8)
예를 들어, S701에서 취득한 A4 사이즈 상당의 폭에 대응하는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의 상한값이 20㎂, 하한값이 15㎂인 경우에 대하여 생각한다. 이 경우, 실제로 화상 형성에 사용하는 기록재 P의 폭이 A5 세로 이송 상당의 폭일 때는,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의 상한값은 10㎂, 하한값은 7.5㎂로 된다. 그리고, S703에서 구한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예와 같이 22.4㎂일 때, 기록재 P가 평량 350g/㎡ 상당의 후지인 경우에는, 상기 22.4㎂를 85%로 보정한 19㎂가 보정 후의 용지 비통과부 전류로 된다. 이 경우에는,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상한값은 29㎂, 하한값은 26.5㎂로 된다. 한편, S703에서 구한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와 마찬가지로 22.4㎂일 때, 기록재 P가 평량 52g/㎡의 용지인 경우에는, 보정 후의 용지 비통과부 전류는 보정 전의 용지 비통과부 전류인 22.4㎂로 유지된다. 그 때문에, 이 경우에는,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상한값은 32.4㎂, 하한값은 29.9㎂로 된다.
도 17의 (a)를 참조하여, 다음으로, 제어부(50)는,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도달하고 나서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존재하는 동안, 전류 검지 회로(21)에 의해 검지되는 2차 전사 전류값과 S607에서 구한 2차 전사 전류 범위를 비교한다(S608, S609). 그리고, 제어부(50)는, 2차 전사 전원(20)이 출력하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필요에 따라서 보정한다(S610, S611). 즉, 제어부(50)는, 검지한 2차 전사 전류값이 S607에서 구한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값(하한값 이상 또한 상한값 이하)인 경우에는, 2차 전사 전원(20)이 출력하고 있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바꾸지 않고 그대로 유지한다(S610). 한편, 제어부(50)는, 검지한 2차 전사 전류값이 S607에서 구한 2차 전사 전류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는(하한값 미만 또는 상한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해당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값으로 되도록 2차 전사 전원(20)이 출력하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보정한다(S611). 본 실시예에서는, 상한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저하시켜, 2차 전사 전류가 상한값을 하회한 시점에서 2차 전사 전압 Vtr의 보정을 멈추고, 그 시점의 2차 전사 전압 Vtr을 유지한다. 전형적으로는, 2차 전사 전압 Vtr은, 소정의 간격 폭으로 단계적으로 저하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한값을 하회하고 있는 경우에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상승시켜, 2차 전사 전류가 하한값을 상회한 시점에서 2차 전사 전압 Vtr의 보정을 멈추고, 그 시점의 2차 전사 전압 Vtr을 유지한다. 전형적으로는, 2차 전사 전압 Vtr은, 소정의 간격 폭으로 단계적으로 상승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50)는, 기록재 P가 2차 전사부 N2를 통과 중에, S608 내지 S611의 처리를 반복하여, 2차 전사 전류가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값이 되면 2차 전사 전압 Vtr을 보정하는 것을 멈춰 그 시점의 2차 전사 전압 Vtr로 유지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작업의 모든 화상을 기록재 P에 전사하여 출력을 마칠 때까지, S608 내지 S611의 처리를 반복한다(S612).
본 실시예의 제어를 행함에 따른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변화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 기록재 P가 2차 전사부 N2에 도달하기 전에 2차 전사부 N2의 전기 저항을 검지한 결과가 동일 정도이고, 2차 전사 시에 필요한 2차 전사 전압이 동일 정도인 경우에 대하여 생각한다. 이때, 최대폭의 기록재 P를 사용하는 경우의 2차 전사 전류 범위에 비하여, 최대폭보다도 폭이 좁은 기록재 P를 사용하는 경우의 2차 전사 전류 범위는 약간 높게(전류의 절댓값이 커지도록) 시프트한다. 그러나, 이 시프트량은, 기록재 P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작아진다.
예를 들어, 기록재 P로서 평량 52g/㎡의 종이(박지)와, 평량 350g/㎡의 종이(후지)를 각각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생각한다. 또한, 기록재 P가 2차 전사부 N2에 도달하기 전에 2차 전사부 N2의 전기 저항을 검지한 결과는 어느 경우에도 동일 정도이며, 1000V 인가로 30㎂의 전류가 흐른 것으로 한다. 이때, 평량 52g/㎡의 종이에서는, A4 사이즈(폭 297㎜)의 경우의 2차 전사 전류 범위는 24.9 내지 19.9㎂이지만, A5 세로 이송 사이즈(폭 148.5㎜)의 경우의 2차 전사 전류 범위는 32.3 내지 29.8㎂로 된다. 즉, 평량 52g/㎡의 종이에서는, 기록재 P의 폭이 좁아지면, 2차 전사 전류 범위가 전체적으로 약간 높게 시프트되어, 하한값에서 약 10㎂ 높아진다. 한편, 평량 350g/㎡의 용지에서는, A4 사이즈(폭 297㎜)의 경우의 2차 전사 전류 범위는 24.1 내지 19.1㎂이지만, A5 세로 이송 사이즈(폭 148.5㎜)의 경우에는 29 내지 26.5㎂로 된다. 즉, 평량 350g/㎡의 용지에서는, 기록재 P의 폭이 좁아지면, 2차 전사 전류 범위가 전체적으로 약간 높게 시프트되지만, 하한값에서 약 6.5㎂밖에 높아지지 않아, 평량 52g/㎡의 용지의 경우에 비하여 시프트량은 작아진다.
실제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가 두꺼운 기록재 P일수록, 전기 저항이 높아지기 쉽고, 2차 전사 시에 필요한 2차 전사 전압 Vtr은 높아지기 쉽다. 그 때문에, 후지를 사용하는 경우와 박지를 사용하는 경우는, 후지를 사용하는 경우 쪽이 2차 전사 시에 필요한 2차 전사 전압 Vtr은 커진다. 2차 전사 전압 Vtr이 크면,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을 때의 2차 전사 전류도 크고, 기록재 P의 사이즈가 변화한 경우의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변화량도 커진다. 도 19는, 본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도 17의 (a)의 S606에서 결정되는 초기의 2차 전사 전압 Vtr이 변화한 경우의, A5 세로 이송 사이즈의 경우의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하한값과, A4 사이즈의 경우의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하한값의 차를 플롯한 그래프도이다. 도 19 중의 파선은 평량 52g/㎡의 종이의 경우의 플롯, 실선은 평량 350g/㎡의 종이의 경우의 플롯이다. 기록재 P의 두께가 다르면 초기의 2차 전사 전압 Vtr은 변화한다. 그러나, 2차 전사 전압 Vtr을 몇 수준인가 변화시켜, 기록재 P의 폭의 차이에 의한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하한값의 차를 플롯해 가니, 다음과 같이 되었다. 즉, 어떤 2차 전사 전압 Vtr의 경우의 기록재 P의 폭의 차이에 의한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하한값의 차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가 두꺼운 기록재 P 쪽이 작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의 2차 전사부 N2의 전기 저항에 관한 정보를, 실제로 2차 전사부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 흐르는 전류를 검지함으로써 취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미리 환경 센서(32)의 출력값과 2차 전사부 N2의 전기 저항의 관계 등, 환경 정보로부터 2차 전사부 N2의 전기 저항을 구하기 위한 정보를 테이블 데이터 등으로서 작성해 둘 수 있다. 그리고, 환경 센서(32)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블 데이터 등을 참조하여, 2차 전사부 N2의 전기 저항을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50)는,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 전사 부재(8)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 검지부(21)에서 검지되는 검지 결과와, 전사부 N2를 통과하는 기록재 P의 두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범위를 변경한다. 여기서, 전사부 N2에서 토너 상이 전사될 수 있는 기록재 P 중 기록재 P의 반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최대인 기록재 P의 폭을 최대폭이라 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50)는,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 전사 부재(8)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 검지부(21)에서 검지되는 검지 결과가 나타내는 전기 저항이 소정의 전기 저항인 경우에 있어서, 전사부 N2를 통과하는 기록재 P의 폭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이 하여 상기 소정 범위의 상한값의 절댓값을 변경 가능하다. 즉, 전사부 N2를 통과하는 기록재 P의 두께가 제1 두께인 경우에는, 전사부 N2를 통과하는 기록재 P의 폭의 최대폭으로부터의 변화에 대한 상기 소정 범위의 상한값의 변화량이 제1 양이며, 전사부 N2를 통과하는 기록재 P의 두께가 제1 두께보다도 두꺼운 제2 두께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 범위의 상한값의 변화량이 제1 양보다도 작은 제2 양이도록, 상기 소정 범위의 상한값을 변경한다.
환언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50)는, 다음과 같이 하여 상기 소정 범위를 변경한다. 즉,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 전사 부재(8)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 검지부(21)에서 검지되는 검지 결과가 나타내는 전기 저항이 소정의 전기 저항이며, 전사부 N2를 통과하는 기록재 P의 두께가 제1 두께(예를 들어 상기 예에 있어서의 평량 52g/㎡의 박지)인 경우에 있어서, 기록재 P의 반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기록재 P의 폭이 제1 폭(예를 들어 상기 예에 있어서의 A4 사이즈 상당의 폭)인 경우에 상기 소정 범위를 제1 소정 범위(예를 들어 상기 예에 있어서의 24.9 내지 19.9㎂)로 설정하고, 기록재 P의 폭이 제1 폭보다도 좁은 제2 폭(예를 들어 상기 예에 있어서의 A5 세로 이송 사이즈 상당의 폭)인 경우에 상기 소정 범위를 제2 소정 범위(예를 들어 상기 예에 있어서의 32.3 내지 29.8㎂)로 설정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소정 범위의 상한값의 절댓값은 제1 소정 범위의 상한값의 절댓값보다도 크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때, 제2 소정 범위의 하한값의 절댓값은 제1 소정 범위의 하한값의 절댓값보다도 크다. 또한, 제어부(50)는,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 전사 부재(8)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 검지부(21)에서 검지되는 검지 결과가 나타내는 전기 저항이 상기 소정의 전기 저항이며, 전사부 N2를 통과하는 기록재 P의 두께가 제1 두께보다도 두꺼운 제2 두께(예를 들어 상기 예에 있어서의 평량 350g/㎡의 후지)인 경우에 있어서, 기록재 P의 폭이 상기 제1 폭인 경우에 상기 소정 범위를 제3 소정 범위(예를 들어 상기 예에 있어서의 24.1 내지 19.1㎂)로 설정하고, 기록재 P의 폭이 상기 제2 폭인 경우에 상기 소정 범위를 제4 소정 범위(예를 들어 상기 예에 있어서의 29 내지 26.5㎂)로 설정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4 소정 범위의 상한값의 절댓값은 제3 소정 범위의 상한값의 절댓값보다도 크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때, 제4 소정 범위의 하한값의 절댓값은 제3 소정 범위의 하한값의 절댓값보다도 크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소정 범위와 제2 소정 범위 사이에서의 상한값의 절댓값의 차분(예를 들어 상기 예에 있어서의 7.4㎂(=32.3-24.9))보다도, 제3 소정 범위와 제4 소정 범위 사이에서의 상한값의 절댓값의 차분(예를 들어 상기 예에 있어서의 4.9㎂(=29-24.1)) 쪽이 작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소정 범위와 제2 소정 범위 사이에서의 하한값의 절댓값의 차분(예를 들어 상기 예에 있어서의 9.9㎂(=29.8-19.9))보다도, 제3 소정 범위와 제4 소정 범위 사이에서의 하한값의 절댓값 차분(예를 들어 상기 예에 있어서의 7.4㎂(=26.5-19.1)) 쪽이 작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재 P에 따른 상기 소정 범위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5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 전사 부재(8)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 검지부(21)에서 검지되는 검지 결과와, 전사부 N2를 통과하는 기록재 P의 두께에 관한 정보와, 기억부(53)에 기억된 상기 소정 범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범위를 변경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50)는,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원으로부터 3수준 이상의 다른 전압 또는 전류를 전사부 N2에 공급했을 때의 검지부(21)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전사 부재(8)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전압과 전사 부재(8)에 흐르는 전류의 관계인 전압 전류 특성을 취득하고, 이 전압 전류 특성에 기초하여,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 전사 부재(8)에 소정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 전사 부재(8)에 흐르는 전류를 취득하고, 해당 취득된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범위를 변경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전압 전류 특성은, 2차 이상의 다항식으로 표현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를, 기록재 P가 2차 전사부 N2에 도달하기 전에 2차 전사부 N2의 전기 저항에 관한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예측한다. 이때, 상기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의 예측값을, 기록재 P의 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변화시킴과 함께, 그 예측값을 기록재 P의 두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록재 P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상기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가 작아지도록 보정을 행한다. 이에 의해, 상기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예측한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와, 화상 불량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를 더함으로써,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류 범위를 정한다. 또한, 그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값으로 되도록,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압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후지 등의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기록재 P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다양한 상황에서 변동하는 2차 전사부 N2(본 실시예에서는 주로 2차 전사 롤러(8)) 및 기록재 P의 전기 저항에 관계 없이, 적절한 화상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6]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은,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것과 동일 또는 대응하는 기능 혹은 구성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5에서는, 도 18의 테이블 데이터를 참조하여, 기록재 P의 두께에 기초하는 용지 비통과부 전류의 보정을 행하였다. 여기서, 기록재 P의 두께의 차이에 의한 용지 비통과부 전류의 변화가 현저하게 확인될 수 있는 것은, 기록재 P의 두께와 관련이 있는 지표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예를 들어 평량이 소정의 평량 이상)인 경우이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기록재 P의 평량이 소정의 평량 이상의 경우에만, 도 17의 (b)의 S704의 처리에서 용지 비통과부 전류를 보정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재 P의 평량이 실시예 5의 경우보다도 큰 소정의 평량 이상인 경우에만, 도 17의 (b)의 S704의 처리에서 용지 비통과부 전류를 보정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도 17의 (b)의 S704의 처리에서 사용하는 테이블 데이터를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도 18의 테이블 데이터로부터 도 20의 테이블 데이터로 변경한다. 도 20의 테이블 데이터에서는, 기록재 P의 평량이 200g/㎡ 미만인 경우에는 보정 계수 e가 100%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 17의 (b)의 S704의 처리에 있어서의 용지 비통과부 전류의 보정은, 기록재 P의 평량이 200g/㎡ 미만인 경우에는 행해지지 않고, 평량이 200g/㎡ 이상인 경우에만 행해진다.
이와 같이, 제어부(50)는, 전사부 N2를 통과하는 기록재 P의 두께가 소정의 두께 이상인 경우에, 전사부 N2를 통과하는 기록재 P의 두께에 기초하는 2차 전사 전류 범위(소정 범위)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용지 비통과부 전류의 변화가 특히 현저한 두께의 기록재 P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2차 전사부의 전기 저항의 검지 결과 및 기록재 P의 폭에 기초하는 용지 비통과부 전류의 예측값 보정을 행한다. 이에 의해, 실시예 5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짐과 함께, 제어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7]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은,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것과 동일 또는 대응하는 기능 혹은 구성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지 통과 부분에 흘리는 전류를 목표 전류로 실질적으로 일정한 값으로 제어하는 구성에 있어서,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도달하기 전에 2차 전사부 N2의 전기 저항을 검지한다. 그리고, 그 검지 결과와 기록재 P의 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용지 비통과부 전류의 예측값을 구함과 함께, 그 예측값을 기록재 P의 두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한다. 이에 의해,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류의 목표값(「2차 전사 전류 목표값」)을 구한다.
도 2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2차 전사 전압의 제어의 수순의 개략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1의 (a)의 S801 내지 S812의 처리는, 각각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도 17의 (a)의 S601 내지 S612와 마찬가지이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도 17의 (a)의 S607(2차 전사 전류 범위를 결정하는 처리)에 대응하는 도 21의 (a)의 S807의 처리(2차 전사 전류 목표값을 결정하는 처리)가 실시예 5와는 다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도 17의 (a)의 S609(2차 전사 전류 범위와 비교하는 처리)에 대응하는 도 21의 (a)의 S809의 처리(2차 전사 전류 목표값과 비교하는 처리)가 실시예 5와는 다르다. 도 21의 (b)는, 도 21의 (a)의 S807에 있어서의 2차 전사 전류 목표값을 결정하는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특히 실시예 5와 상이한 점에 대하여 설명하고, 실시예 5와 마찬가지의 처리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ROM(53)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상 불량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용지 통과부 전류(통과부 전류)」)의 값을 구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정보는, 분위기의 수분량과,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 데이터로서 설정되어 있다. 이 수분량과 전류값의 관계는, 미리 실험 등에 의해 구한 것이다. 또한,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값은, 기록재 P의 폭에 따라 변화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테이블 데이터는, A4 사이즈 상당의 폭(297㎜)의 기록재 P를 상정하여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부 N2의 폭이 2차 전사 롤러(8)의 폭 상당의 338㎜로 되어 있다. 따라서,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의 목표 전류 Itarget는, 도 9의 테이블 데이터에 나타내는 전류의 값에 338/297배(≒1.14배)한 것으로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1의 (a)의 S804에 있어서, 이 도 9에 도시한 테이블 데이터를 참조하여, 목표 전류값 Itarget를 구해서 RAM(52)에 기입한다.
여기서, 화상 불량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값은, 환경 정보 이외에도, 기록재 P의 두께, 표면성에 따라서도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테이블 데이터는, 기록재 P의 두께와 관련이 있는 정보(평량), 기록재 P의 표면성에 관련된 정보에 따라서도 전류값이 변화되도록 설정 되어 있어도 된다.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값은, 계산식으로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값은, 기록재 P의 사이즈마다 복수의 테이블 데이터나 계산식으로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실시예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환경 정보에 따라서 목표 전류 Itarget를 바꾸는 것은, 환경에 따라 토너의 전하량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실시예 5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다른 변경 양태로 목표 전류 Itarget를 바꿔도 된다.
도 21의 (a)를 참조하여, 제어부(50)는,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류의 목표값(「2차 전사 전류 목표값」)을 결정하는 처리를 행한다(S807). 도 21의 (b)를 참조하여, 제어부(50)는, S802에서 취득한 작업의 정보 중에 포함되는 기록재 P의 폭의 정보에 기초하여, S804에서 취득한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값(S804에서는 이 전류값으로부터 목표 전류 Itarget를 취득)을 보정한다(S901). S804에서 취득한 전류값은 A4 사이즈 상당의 폭(297㎜)에 대응한 것이다. 예를 들어, 실제로 화상 형성에 사용하는 기록재 P의 폭이 A5 세로 이송 상당의 폭(148.5㎜), 즉, A4 사이즈 상당의 폭의 절반의 폭인 경우에는, S804에서 취득한 전류값이 절반이 되도록, 기록재 P의 폭에 비례한 전류값으로 보정한다. 즉, 도 9의 테이블 데이터로 구해지는 보정 전의 용지 통과부 전류를 Ip_tag, 도 9의 테이블을 정했을 때의 기록재 P의 폭을 Lp_bas, 실제로 반송되는 기록재 P의 폭을 Lp, 보정 후의 용지 통과부 전류를 Ip_tag_aft라 한다. 이때, 보정 후의 용지 통과부 전류는, 하기 식 9에 의해 구할 수 있다.
Ip_tag_aft=Lp/Lp_bas*Ip_tag …(식 9)
다음으로, 제어부(50)는, 다음 각 정보에 기초하여,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를 구한다(S902). S802에서 취득한 작업의 정보 중에 포함되는 기록재 P의 폭의 정보, S805에서 구한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의 2차 전사부 N2의 전압과 전류의 관계의 정보 및 S806에서 구한 2차 전사 전압 Vtr(=Vb+Vp)의 정보이다. 즉 제어부(50)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S804에서 RAM(52)에 기입된 목표 전류 Itarget과, S805에서 구한 전압과 전류의 관계에 기초하여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 목표 전류 Itarget를 흘리기 위해서 필요한 전압값 Vb를 구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Vp를 취득한다. 이 도 21의 (b)의 S902의 처리는,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도 17의 (b)의 S703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제어부(50)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기록재 P의 두께에 따라서 용지 비통과부 전류를 보정하는 제어를 행한다(S903). S902에서 구한 보정 전의 비통부 전류를 Inp_bef, 보정 후의 용지 비통과부 전류를 Inp_aft, 보정 계수를 e(%)라 한다. 이때, 보정 후의 용지 비통과부 전류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의 하기 식 6에 의해 구할 수 있다.
Inp_aft=e*Inp_bef …(식 6)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식 6 중의 보정 계수 e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의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테이블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다음으로, 제어부(50)는, 다음과 같이 하여,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류 목표값을 구하고, 구한 2차 전사 전류 목표값을 RAM(52)에 기억시킨다(S904). 즉, 제어부(50)는, S901에서 구한 용지 통과부 전류에 S902에서 구한 용지 비통과부 전류를 더하여,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류 목표값을 구한다. 즉, 2차 전사 전류 목표값Itarget_aft는, 하기 식 10에 의해 구할 수 있다.
Itarget_aft=Ip_tag_aft+Inp_aft …(식 10)
예를 들어, S804에서 취득한 A4 사이즈 상당의 폭에 대응하는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값이 18㎂인 경우에 대하여 생각한다. 이 경우, 실제로 화상 형성에 사용하는 기록재 P의 폭이 A5 세로 이송 상당의 폭일 때는,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값은 9㎂로 된다. 그리고, S902에서 구한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가 실시예 5에서 설명한 예와 마찬가지로 22.4㎂일 때, 기록재 P가 평량 350g/㎡ 상당의 후지인 경우에는, 상기 22.4㎂를 85%로 보정한 19㎂가 보정 후의 용지 비통과부 전류가 된다. 이 경우에는, 2차 전사 전류 목표값은, 28(=9+19)㎂로 된다. 한편, S902에서 구한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와 마찬가지로 22.4㎂일 때, 기록재 P가 평량 52g/㎡의 용지인 경우에는, 보정 후의 용지 비통과 전류는 보정 전의 용지 비통과부 전류인 22.4㎂로 유지된다. 그 때문에, 이 경우에는, 2차 전사 전류 목표값은 31.4(=9+22.4)㎂로 된다.
도 21의 (a)를 참조하여, 다음으로, 제어부(50)는,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존재하는 동안, 전류 검지 회로(21)에 의해 검지되는 2차 전사 전류값과 S904에서 구한 2차 전사 전류 목표값을 비교한다(S808, S809). 그리고, 제어부(50)는, 2차 전사 전원(20)이 출력하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필요에 따라서 보정한다(S810, S811).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도달하고 나서 소정의 기간(초기)은, S806에서 결정한 2차 전사 전압 Vtr을 인가한다. 이것은, 기록재 P의 유무에 따라 전기 저항이 크게 변동하는 시스템의 경우, 기록재 P가 없는 상태로부터 정전류 제어로 전압을 인가하고자 하면, 전압값이 크게 변동하여 흐르는 전류가 바뀌어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는 기간의 초기에는, 어떤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기록재 P의 반송 방향의 선단이 2차 전사부 N2에 돌입한 후에 소정의 기간(예를 들어 선단의 여백부가 통과를 마칠 때까지의 기간)이 경과한 후로부터, 2차 전사 전류값이 어떤 일정한 전류값이 되도록 전압을 인가하도록 하였다. 제어부(50)는, 검지한 2차 전사 전류값이 S904에서 구한 2차 전사 전류 목표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한(제어상 허용할 수 있는 오차 범위에서 달라도 되는) 경우에는, 2차 전사 전원(20)이 출력하고 있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바꾸지 않고 그대로 유지한다(S810). 한편, 제어부(50)는, 검지한 2차 전사 전류값이 S904에서 구한 2차 전사 전류 목표값으로부터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해당 2차 전사 전류 목표값이 되도록 2차 전사 전원(20)이 출력하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보정한다(S811).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 전류값이 2차 전사 전류 목표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해진 시점에서 2차 전사 전압 Vtr의 보정을 멈추고, 그 시점의 2차 전사 전압 Vtr을 유지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50)는,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 전사 부재(8)에 흐르는 전류가 소정 전류가 되도록 전사 부재(8)에 인가하는 전압의 정전류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50)는,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 전사 부재(8)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 검지부(21)에서 검지되는 검지 결과와, 전사부 N2를 통과하는 기록재 P의 두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전류를 변경한다. 이때, 제어부(50)는,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는 기간 중 전사부 N2를 기록재 P의 소정의 선단부가 통과하고 있는 제1 기간은, 전사 부재(8)에 소정 전압이 인가되도록 전사 부재(8)에 인가하는 전압의 정전압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제1 기간에 이어지는 제2 기간은, 상기 정전류 제어를 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예측한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와, 화상 불량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값을 더함으로써,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류 목표값을 정한다. 또한, 그 2차 전사 전류 목표값이 되도록,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압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후지 등의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기록재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다양한 상황에서 변동하는 2차 전사부 N2(본 실시예에서는 주로 2차 전사 롤러(8)) 및 기록재 P의 전기 저항에 관계 없이, 적절한 화상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8]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은,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것과 동일 또는 대응하는 기능 혹은 구성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5 내지 7에서는,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용지 통과부 전류 범위」)와, 용지 비통과부 전류의 예측값(기록재 P의 두께에 의한 보정 후)을 더한 2차 전사 전류 범위(또는 2차 전사 전류 목표값)를 구하였다. 그리고, 2차 전사 시에 측정한 2차 전사 전류가 그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값(또는 2차 전사 전류 목표값)이 되도록, 2차 전사 전압을 제어하였다. 이에 반하여, 2차 전사 시에 측정한 2차 전사 전류로부터, 용지 비통과부 전류의 예측값(기록재 P의 두께에 의한 보정 후)을 차감함으로써 용지 통과부 전류를 구하고, 구한 용지 통과부 전류가 소정의 용지 통과부 전류 범위의 값으로 되도록 2차 전사 전압을 제어해도 된다.
도 2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2차 전사 전압의 제어 수순 개략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2의 S1 내지 S6의 처리는, 각각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도 17의 (a)의 S601 내지 S606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22의 S7의 처리는,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도 17의 (b)의 S701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이하, 특히 실시예 5와 상이한 점에 대하여 설명하고, 실시예 5와 마찬가지의 처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50)는, S7에서,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도 17의 (b)의 S701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하여, A4 사이즈 상당의 용지 통과부 전류 범위를 구한다. 그 후, 제어부(50)는,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도달하고 나서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존재하는 동안, 2차 전사 전압 Vtr을 인가했을 때 2차 전사 전류를 전류 검지 회로(21)에 의해 검지한다(S8).
그리고, 제어부(50)는, 다음의 각 정보에 기초하여,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를 구한다(S9). S2에서 취득한 작업의 정보 중에 포함되는 기록재 P의 폭의 정보, S5에서 구한 2차 전사부 N2에 기록재 P가 없는 상태에서의 2차 전사부 N2의 전압과 전류의 관계의 정보, 및 현재 인가하고 있는 2차 전사 전압 Vtr의 정보이다. S9에 있어서의 용지 비통과부 전류를 구하는 처리는,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도 17의 (b)의 S703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단, S9에서는, 2차 전사 전압 Vtr로서, 현재 인가하고 있는 2차 전사 전압(초깃값은 S6에서 구한 것)을 사용한다. 즉, S9에서 용지 비통과부에 흐르는 전류를 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2차 전사 전압 Vtr은, 작업의 처음의 기록재 P가 2차 전사부 N2에 돌입한 타이밍에는, S6에서 구한 초깃값이다. 그 후, 하기의 플로우로 2차 전사 전압 Vtr을 변경한 경우에는, 변경한 2차 전사 전압 Vtr을 사용하여 용지 비통과부에 흐르는 전류를 구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어부(50)는,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도 17의 (b)의 S704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하여, 기록재 P의 두께에 따라서 용지 비통과부 전류를 보정하는 제어를 행한다(S10). S9에서 구한 보정 전의 용지 비통과부 전류를 Inp_bef, 보정 후의 용지 비통과부 전류를 Inp_aft, 보정 계수를 e(%)라 한다. 이때, 보정 후의 용지 비통과부 전류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의 하기 식 6에 의해 구할 수 있다.
Inp_aft=e*Inp_bef …(식 6)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식 6 중의 보정 계수 e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의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테이블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다음으로, 제어부(50)는, S8에서 검지한 2차 전사 전류로부터 S10에서 구한 보정 후의 용지 비통과부 전류를 차감한 전류를 용지 통과부 전류로서 산출한다(S11). 즉, 2차 전사 전류를 Itr, 용지 통과부 전류를 Ip로 하면, 용지 통과부 전류는, 하기 식 11에 의해 구할 수 있다.
Ip=Itr-Inp_aft …(식 11)
상기 식 11에서 구한 용지 통과부 전류 Ip는, 실제로 반송되는 기록재 P의 폭에 대응하는 전류값인 데 비하여, S7에서 구한 용지 통과부 전류 범위는, 기준이 되는 기록재 P의 사이즈(본 실시예에서는 A4 사이즈) 상당의 폭에 대응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50)는, 상기 식 11에서 구한 용지 통과부 전류 Ip를 기준이 되는 기록재 P의 사이즈 상당의 폭에 대응하는 전류값으로 환산하는 처리를 행한다(S12). 도 7의 테이블 데이터를 결정했을 때의 기록재 P의 폭을 Lp_bas, 실제로 반송되는 기록재 P의 폭을 Lp, 환산 후의 용지 통과부 전류를 Ip_aft라 한다. 이때, 환산 후의 용지 통과부 전류는, 하기 식 12에 의해 구할 수 있다.
Ip_aft=Lp_bas/Lp*Ip …(식 12)
다음으로, 제어부(50)는, S12에서 구한 환산 후의 용지 통과부 전류 Ip_aft를 S7에서 구한 용지 통과부 전류 범위와 비교한다(S13). 그리고, 제어부(50)는, 2차 전사 전원(20)이 출력하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필요에 따라서 보정한다(S14, S15). 즉, 제어부(50)는, 환산 후의 용지 통과부 전류 Ip_aft가 S7에서 구한 용지 통과부 전류 범위의 값(하한값 이상 또한 상한값 이하)인 경우에는, 2차 전사 전원(20)이 출력하고 있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바꾸지 않고 그대로 유지한다(S14). 한편, 제어부(50)는, 환산 후의 용지 통과부 전류 Ip_aft가 S7에서 구한 용지 통과부 전류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는(하한값 미만 또는 상한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해당 용지 통과부 전류 범위의 값으로 되도록 2차 전사 전원(20)이 출력하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보정한다(S15). 즉, 환산 후의 용지 통과부 전류 Ip_aft가 용지 통과부 전류 범위의 상한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저하시킨다. 그리고, 상한값을 하회한 시점에서 2차 전사 전압 Vtr을 보정하는 것을 멈추고, 그 시점의 Vtr을 유지한다. 전형적으로는, 2차 전사 전압 Vtr은, 소정의 간격 폭으로 단계적으로 저하시킨다. 또한, 환산 후의 용지 통과부 전류 Ip_aft가 용지 통과부 전류 범위의 하한값을 하회하고 있는 경우에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상승시킨다. 그리고, 하한값을 상회한 시점에서 2차 전사 전압 Vtr을 보정하는 것을 멈추고, 그 시점의 Vtr을 유지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50)는, 기록재 P가 2차 전사부 N2를 통과 중에, S15에서 2차 전사 전압 Vtr을 변화시킨 경우에는, 처리를 S8로 되돌린다. 그리고, 변화시킨 2차 전사 전압 Vtr에 대하여 환산 후의 용지 통과부 전류 Ip_aft를 구하는 플로우(S8 내지 S12)를 행한다. 그리고, 환산 후의 용지 통과부 전류 Ip_aft가 S7에서 구한 용지 통과부 전류 범위의 값이 될 때까지 이 플로우를 반복해서 행한다. 그리고, 해당 용지 통과부 전류 범위의 값이 된 시점에서 2차 전사 전압 Vtr을 보정하는 것을 멈추고, 그 시점의 Vtr을 유지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작업의 모든 화상을 기록재 P에 전사하여 출력을 마칠 때까지, S8 내지 S15의 처리를 반복한다(S16).
또한, 실시예 7과 같이 2차 전사 전압의 정전류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본 실시예와 같이 2차 전사 전류의 측정값으로부터 용지 비통과부 전류의 예측값을 차감하여 구한 용지 통과부 전류에 기초하는 제어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S7에 대응하는 처리에서 용지 통과부의 목표 전류값을 결정하고, 본 실시예의 S13에 대응하는 처리에서 용지 통과부 전류가 상기 목표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예측한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한 2차 전사 전류로부터 차감함으로써, 제어해야 할 용지 통과부 전류를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 또한, 이 용지 통과부 전류의 값을 소정의 용지 통과부 전류 범위의 값으로 되도록, 2차 전사부 N2를 기록재 P가 통과하고 있을 때에 2차 전사 전압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후지 등의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기록재 P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다양한 상황에서 변동하는 2차 전사부 N2(본 실시예에서는 주로 2차 전사 롤러(8)) 및 기록재 P의 전기 저항에 관계 없이, 적절한 화상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타]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입각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기록재는, 반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전사 부재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반송되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한쪽의 단부측을 기준으로 하여 반송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되며, 본 발명을 동등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 형성부를 하나만 갖는 모노크롬 화상 형성 장치에도 동등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감광 드럼 등으로 이루어지는 상 담지체부터 기록재에 토너 상이 전사되는 전사부에 관하여 적용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사 부재의 전기 저항의 변동에 따라서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의 허용 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알리기 위해서 이하의 청구항을 첨부한다.
본원은, 2018년 5월 25일에 제출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8-101059호 및 2018년 10월 15일에 제출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8-194691호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그 기재 내용의 전부를 여기에 원용한다.

Claims (28)

  1. 토너 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와,
    상기 상 담지체로부터 토너 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와,
    전압이 인가되어, 전사부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로부터 기록재에 토너 상을 전사하는 전사 부재와,
    상기 전사 부재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과,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는 전류 검지부와,
    상기 전류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검지 결과가, 기록재가 상기 전사부를 통과하는 동안 기록재의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소정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이 소정 전압으로 되도록 정전압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지 결과가, 기록재가 상기 전사부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소정 범위 밖에 있는 경우에, 상기 검지 결과가 상기 소정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소정 전압을 조정하고, 조정된 상기 소정 전압으로 상기 정전압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부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사 부재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 혹은 상기 전사 부재에 전류를 공급했을 때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범위의 상한값 및 하한값을 설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부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사 부재에 상기 소정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에 관한 전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전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한값 및 상기 하한값을 설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부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사 부재에 테스트 전압을 인가했을 때에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테스트 전류와 상기 테스트 전압의 관계인 전압 전류 특성을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전압 전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상한값 및 상기 하한값을 설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부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사 부재에 상기 소정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에 관한 제1 전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제1 전류 정보, 기록재에 토너 상을 전사하는 전사 시에 기록재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사이즈 정보 및 상기 전류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전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제2 전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한값 및 상기 하한값을 설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기록재에 화상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전사부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사 부재에 상기 소정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에 관한 전류 정보가 나타내는 전류가 제1 전류인 경우에, 상기 상한값을 제1 상한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전사부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사 부재에 상기 소정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에 관한 전류 정보가 나타내는 전류가 상기 제1 전류보다도 높은 제2 전류인 경우에, 상기 상한값을 제2 상한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상한값은, 상기 제2 상한값보다도 작은, 화상 형성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소정 사이즈의 기록재에 따른 상기 소정 범위에 관한 제1 범위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1 범위 정보와, 전사 시에 상기 전사부를 통과하는 기록재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사이즈 정보에 기초하여 전사 시에 상기 전사부를 통과하는 기록재의 사이즈에 따른 상기 소정 범위에 관한 제2 범위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제2 범위 정보 및 상기 제2 전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한값 및 상기 하한값을 설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록재의 두께에 관련된 지표값, 및 기록재의 표면 조도에 관련된 지표값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상기 상한값 및 상기 하한값을 다르게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부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원으로부터 3 수준 이상의 다른 전압 또는 전류를 상기 전사 부재에 공급했을 때의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 또는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전압 전류 특성을 취득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부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원으로부터 3수준 이상의 다른 전압 또는 전류를 상기 전사 부재에 공급했을 때의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 또는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전압 전류 특성을 취득하는 제1 모드와,
    상기 전사부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제1 모드보다도 적은 수준의 전압 또는 전류를 상기 전사 부재에 공급했을 때의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 또는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되는 전압과, 선행하여 행해진 상기 제1 모드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압 전류 특성을 취득하는 제2 모드
    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전류 특성은, 전류가 전압의 2차 이상의 다항식으로 표현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부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사 부재에 테스트 전압을 인가했을 때에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테스트 전류와 상기 테스트 전압의 관계인 전압 전류 특성을 취득하고, 기록재에 인가되는 기록재 분담 전압 Vpth값의 절댓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전사 시에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값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어도,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의 절댓값을 크게 하는 것은 행하지 않고, 상기 Vpth값은 상기 소정 전압 및 상기 전압 전류 특성에 기초하여 취득되는 전압 정보인, 전사부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에서 전사 부재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전사부 분담 전압 Vbth에 기초하여 취득되는 값인, 화상 형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 전류 특성과, 상기 제2 전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압 정보 Vbth를 취득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임계값은, 기록재의 두께에 관한 지표값에 따라서 설정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값이 나타내는 두께가 제1 두께인 기록재에 대한 상기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지표값이 나타내는 두께가 상기 제1 두께보다도 두꺼운 제2 두께인 기록재에 대한 상기 소정의 임계값이 더 큰, 화상 형성 장치.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록재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기록재의 폭에 기초하여, 상기 전사부를 통과하는 기록재의 두께가 제1 두께인 경우에는, 기록재의 폭의 최대폭으로부터의 기록재의 폭의 변화에 대한 상기 상한값의 변화량이 제1 양이며, 상기 전사부를 통과하는 기록재의 두께가 상기 제1 두께보다도 두꺼운 제2 두께인 경우에는, 상기 상한값의 변화량이 상기 제1 양보다도 작은 제2 양이도록, 상기 상한값을 변경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부를 통과하는 기록재의 두께가 제1 두께인 경우에 있어서, 기록재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기록재의 폭이 제1 폭인 경우에 상기 상한값을 제1 상한값으로 설정하고, 기록재의 상기 폭이 상기 제1 폭보다도 좁은 제2 폭인 경우에 상기 상한값을 제2 상한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상한값은 상기 제1 상한값보다도 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부를 통과하는 기록재의 두께가 상기 제1 두께보다도 두꺼운 제2 두께인 경우에 있어서, 기록재의 상기 폭이 상기 제1 폭인 경우에 상기 상한값을 제3 상한값으로 설정하고, 기록재의 상기 폭이 상기 제2 폭인 경우에 상기 상한값을 제4 상한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4 상한값은 상기 제3 상한값보다도 크고,
    상기 제1 상한값과 상기 제2 상한값의 차분보다도, 상기 제3 상한값과 상기 제4 상한값의 차분 쪽이 더 작은, 화상 형성 장치.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부를 통과하는 기록재의 두께가 소정의 두께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전사부를 통과하는 기록재의 두께에 기초하는 상기 상한값과 상기 하한값의 설정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토너 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와,
    상기 상 담지체로부터 토너 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와,
    전압이 인가되어, 전사부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로부터 기록재에 토너 상을 전사하는 전사 부재와,
    상기 전사 부재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과,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는 전류 검지부와,
    상기 전사부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사 부재에 테스트 전압을 인가했을 때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테스트 전류, 혹은 상기 전사 부재에 테스트 전류를 공급했을 때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되는 테스트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전류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검지 결과를 보정하도록 구성되는 보정부와,
    보정된 상기 검지 결과가, 기록재가 상기 전사부를 통과하는 동안 기록재의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소정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이 소정 전압으로 되도록 정전압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보정된 상기 검지 결과가, 기록재가 상기 전사부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소정 범위 밖에 있는 경우에, 보정된 상기 검지 결과가 상기 소정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소정 전압을 조정하고, 조정된 상기 소정 전압으로 상기 정전압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전사부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사 부재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취득되는 상기 전사 부재의 전압 전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전류 검지부에 의해 검지되는 검지 결과를 보정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전사부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사 부재에 상기 소정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에 관한 전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전류 정보가 나타내는 전류가 제1 전류인 경우에, 상기 전류 검지부에서 검지되는 검지 결과를 제1 보정값으로 보정하고, 취득된 상기 전류 정보가 나타내는 전류가 상기 제1 전류보다도 높은 제2 전류인 경우에, 상기 전류 검지부에서 검지되는 검지 결과를 상기 제1 보정값보다도 작은 제2 보정값으로 보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21. 토너 상을 담지하도록 구성되는 상 담지체와,
    상기 상 담지체로부터 토너 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와,
    전압이 인가되어, 전사부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로부터 기록재에 토너 상을 전사하도록 구성되는 전사 부재와,
    상기 전사 부재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전원과,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도록 구성되는 전류 검지부와,
    상기 전류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검지 결과가, 기록재가 상기 전사부를 통과하는 동안 기록재의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소정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이 목표 전압으로 되도록 정전압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지 결과가, 기록재가 상기 전사부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소정 범위 밖에 있는 경우에, 상기 검지 결과가 상기 소정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목표 전압을 조정하고, 조정된 상기 목표 전압으로 정전압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부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사 부재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 혹은 상기 전사 부재에 전류를 공급했을 때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범위의 상한값을 설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부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사 부재에 상기 목표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에 관한 전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전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한값을 설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부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사 부재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에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와 상기 전압의 관계인 전압 전류 특성을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전압 전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상한값을 설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부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사 부재에 상기 목표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에 관한 제1 전류 정보 Inp를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제1 전류 정보 Inp, 기록재에 토너 상을 전사하는 전사 시에 기록재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사이즈 정보 및 상기 전류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전류 정보 Ip를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제2 전류 정보 Ip에 기초하여 상기 상한값을 설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25. 토너 상을 담지하도록 구성되는 상 담지체와,
    상기 상 담지체로부터 토너 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와,
    전압이 인가되어, 전사부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로부터 기록재에 토너 상을 전사하는 전사 부재와,
    상기 전사 부재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전원과,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도록 구성되는 전류 검지부와,
    상기 전류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검지 결과가, 기록재가 상기 전사부를 통과하는 동안 기록재의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소정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이 목표 전압으로 되도록 정전압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지 결과가, 기록재가 상기 전사부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소정 범위 밖에 있는 경우에, 상기 검지 결과가 상기 소정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목표 전압을 조정하고, 조정된 상기 목표 전압으로 상기 정전압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부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사 부재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 혹은 상기 전사 부재에 전류를 공급했을 때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범위의 하한값을 설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부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사 부재에 상기 목표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에 관한 전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전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한값을 설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부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사 부재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에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와 상기 전압의 관계인 전압 전류 특성을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전압 전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하한값을 설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부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사 부재에 상기 목표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에 관한 제1 전류 정보 Inp를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제1 전류 정보 Inp, 기록재에 토너 상을 전사하는 전사 시에 기록재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사이즈 정보 및 상기 전류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전류 정보 Ip를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제2 전류 정보 Ip에 기초하여 상기 하한값을 설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207036418A 2018-05-25 2019-05-23 화상 형성 장치 KR1026214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01059 2018-05-25
JP2018101059 2018-05-25
JP2018194691A JP7250469B2 (ja) 2018-05-25 2018-10-15 画像形成装置
JPJP-P-2018-194691 2018-10-15
PCT/JP2019/021440 WO2019225767A1 (ja) 2018-05-25 2019-05-23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965A KR20210011965A (ko) 2021-02-02
KR102621420B1 true KR102621420B1 (ko) 2024-01-08

Family

ID=68767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418A KR102621420B1 (ko) 2018-05-25 2019-05-23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250469B2 (ko)
KR (1) KR102621420B1 (ko)
CN (1) CN112424700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1276A (ja) * 2009-02-19 2010-09-0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18010140A (ja) * 2016-07-13 2018-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4317B2 (ja) * 1989-06-20 1997-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2278307A (ja) * 2001-03-22 2002-09-2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除電手段のバイアス制御方法
JP2004272120A (ja) * 2003-03-11 2004-09-30 Sharp Corp ベルト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010499A (ja) * 2003-06-19 2005-01-1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転写バイアス制御方法
JP2008209599A (ja) * 2007-02-26 2008-09-11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8275946A (ja) 2007-04-27 2008-11-13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4878635B2 (ja) 2009-08-18 2012-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693426B2 (ja) * 2010-10-04 2015-04-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68816B2 (ja) * 2012-04-03 2017-07-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71256B2 (ja) 2012-06-06 2017-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68910B2 (ja) * 2013-08-19 2017-07-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20150378283A1 (en) * 2014-06-27 2015-12-31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JP6413554B2 (ja) * 2014-09-26 2018-10-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転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6128863A (ja) * 2015-01-09 2016-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41162B2 (ja) * 2015-08-24 2018-06-1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および転写条件変更方法
EP3246760A1 (en) * 2016-05-18 2017-11-2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1276A (ja) * 2009-02-19 2010-09-0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18010140A (ja) * 2016-07-13 2018-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424700B (zh) 2023-09-15
KR20210011965A (ko) 2021-02-02
JP7250469B2 (ja) 2023-04-03
CN112424700A (zh) 2021-02-26
JP2019207387A (ja)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25767A1 (ja) 画像形成装置
US1100981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ntrol of power to transfer roller
WO2021002410A1 (ja) 画像形成装置
US710698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8010140A (ja) 画像形成装置
JP2021009346A (ja) 画像形成装置
KR102621420B1 (ko) 화상 형성 장치
JP2020027144A (ja) 画像形成装置
JP7350536B2 (ja) 画像形成装置
JP735385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801014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266686A (ja) 画像形成装置
JP7207934B2 (ja) 画像形成装置
US1172641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adjusts voltage for charging photosensitive member
JP7350537B2 (ja) 画像形成装置
US1176845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099659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267646A (ja) 画像形成装置
JP609480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0101584A (ja) 画像形成装置
JP2021182060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