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186B1 - 고기 어슷썰기 장치 - Google Patents

고기 어슷썰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186B1
KR102621186B1 KR1020230095632A KR20230095632A KR102621186B1 KR 102621186 B1 KR102621186 B1 KR 102621186B1 KR 1020230095632 A KR1020230095632 A KR 1020230095632A KR 20230095632 A KR20230095632 A KR 20230095632A KR 102621186 B1 KR102621186 B1 KR 102621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here
meat
inner housing
shelf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5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트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트팩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트팩토리
Priority to KR1020230095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1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22C17/002Producing portions of meat with predetermined characteristics, e.g. weight or particular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53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by inj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0Cutting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냉동 상태의 돼지고기 또는 소고기 등을 자동으로 어슷썰어 수요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구현한 고기 어슷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절단물인 고기를 올려 놓기 위한 선반; 상기 선반의 후단에 설치되어 회전 구동하면서 상기 선반의 후방으로 노출되는 고기를 절단하는 절단 블레이드; 및 상기 선반의 후단 일측에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고기를 상기 절단 블레이드와 경사지도록 상기 선반의 후방으로 노출시켜 주는 경사 투입 유도 호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기 어슷썰기 장치{meat slicer}
본 발명은 고기 어슷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냉동 상태의 돼지고기 또는 소고기 등을 자동으로 어슷썰어 수요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구현한 고기 어슷썰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축한 고기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조리를 위해 절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고기의 절단 작업을 위해 고기 절단기(일명 육절기)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었으나 종래 고기 절단기는 고기를 자동으로 연속 절단할 수 없다는 점, 고기의 자투리 부분까지 절단할 수 없다는 점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기존 자동식 고기절단기는 평판형 베이스를 갖는 본체 전방에 고기를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 공급하는 공급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부재의 전방측에 고기를 밀대에 의해 본체 베이스 상부로 공급하는 공급실린더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평판형 베이스에는 공급되는 고기를 파지하여 진진 이동시키는 이송부재, 상기 이송부재에 이송되는 고기를 절단하는 절단부재, 상기 절단부재에 의해 절단된 고기를 배출하는 배출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자동식 고기 절단기는 공급부재의 컨베이어에 의해 고기를 자동 공급하면서 밀대에 의해 차례로 본체 베이스 상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본체 베이스 상에 공급된 고기는 이송부재가 파지한 상태로 전진 이동시키며 절단부재 에 의해 일정 두께로 절단하여 배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3-0049963호 (2023.04.14. 공개)
본 발명의 일측면은 필요에 따라 냉동 상태의 돼지고기 또는 소고기 등을 자동으로 어슷썰어 수요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구현한 고기 어슷썰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기 어슷썰기 장치는, 피절단물인 고기를 올려 놓기 위한 선반; 상기 선반의 후단에 설치되어 회전 구동하면서 상기 선반의 후방으로 노출되는 고기를 절단하는 절단 블레이드; 및 상기 선반의 후단 일측에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고기를 상기 절단 블레이드와 경사지도록 상기 선반의 후방으로 노출시켜 주는 경사 투입 유도 호퍼;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기 어슷썰기 장치는, 상기 절단 블레이드의 절단될 수 있도록 고기가 노출되는 상기 경사 투입 유도 호퍼의 후단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며, 상기 절단 블레이드에 의해 절단되기 전까지 상기 경사 투입 유도 호퍼로부터 노출되는 고기를 지지하는 고기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기 어슷썰기 장치는, 상기 경사 투입 유도 호퍼는,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선반의 후단 일측에 경사지도록 설치되되, 후단이 상기 선반의 후단 테두리와 일치하도록 절개 형성되는 유도 배관; 및 상기 유도 배관의 내주면의 전단 일측 및 타측 벽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유도 배관으로 고기의 투입을 유도하는 투입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 유도부는, 상기 유도 배관의 내측에 형성되는 이너 하우징; 원형의 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이너 하우징에 배치되는 유도 구체; 상기 유도 구체가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유도 배관의 내주면으로 연통 형성되는 구체 노출 개구; 상기 유도 구체를 자성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자성을 형성하는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유도 배관의 외향면과 대향하는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측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 구체를 체결하여 지지하며, 상기 이너 하우징의 후단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구체 노출 개구를 통해 상기 유도 구체가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이너 하우징의 전단으로 다시 복귀함에 따라 상기 구체 노출 개구를 통해 노출되었던 상기 유도 구체를 상기 이너 하우징으로 다시 수납시켜 주는 구체 수납 블록; 및 상기 유도 배관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이너 하우징으로 노출됨에 따라 상기 구체 수납 블록을 상기 이너 하우징의 후단으로 이동시켜 주거나 상기 이너 하우징으로의 노출 부위가 줄어듦에 따라 상기 구체 수납 블록을 상기 이너 하우징의 전단으로 이동시켜 주는 블록 이동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체 노출 개구는, 상기 유도 구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도 구체의 전단을 감싸는 형상으로서 중단이 개방 형성되는 아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ㄴ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체 수납 블록은,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일측면이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수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도 구체가 안착되는 타측면이 전단의 좌우 폭이 후단의 좌우 폭보다 긴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 이동 볼트는, 후단이 상기 유도 배관의 전단을 통해 상기 이너 하우징으로 삽입되되 나사산 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체 수납 블록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볼트 바디; 및 사용자가 상기 볼트 바디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도 배관의 전단으로 노출되는 상기 볼트 바디의 전단에 설치되는 볼트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체 수납 블록은,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일측면이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수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도 구체와 대향하는 타측면이 전단의 좌우 폭이 후단의 좌우 폭보다 긴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바디; 상기 블록 바디의 타측면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블록 바디의 내측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블록 안착홈; 상기 유도 구체를 자성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자성을 형성하는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블록 바디의 타측면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블록 안착홈에 안착되는 밀착 블록; 상기 유도 구체가 밀착되는 상기 밀착 블록의 경사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다단 지지볼; 및 상기 블록 안착홈의 내측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블록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밀착 블록을 지지하는 블록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냉동 상태의 돼지고기 또는 소고기 등을 자동으로 어슷썰어 수요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기 어슷썰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3은 도 1의 경사 투입 유도 호퍼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투입 유도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4의 구체 수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기 어슷썰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기 어슷썰기 장치(10)는, 선반(100), 절단 블레이드(200) 및 경사 투입 유도 호퍼(300)를 포함한다.
선반(100)은, 피절단물인 고기(P)를 올려 놓도록 하며, 절단 블레이드(200) 및 경사 투입 유도 호퍼(30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절단 블레이드(200)는, 선반(100)의 후단에 설치되어 회전 구동하면서 선반(100)의 후방으로 노출되는 고기(P)를 절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절단 블레이드(200)는, 회전 구동되는 구동 모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의 회전축(210)의 측면에 설치되어 회전축(210)이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 구동되어 선반(100)의 후방으로 노출되는 고기(P)를 절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절단 블레이드(200)는, 구동 모터의 회전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고기(P)의 해동 정도에 따라 회전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기(P)의 해동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절단 블레이드(200)의 회전 속도를 낮춰 절단 블레이드(200)의 파손을 방지하고, 고기(P)의 해동이 많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절단 블레이드(200)의 회전 속도를 높여 고기(P)의 절단 효율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기 어슷썰기 장치(10)는, 고기(P)의 해동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해동 감지 센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구동 모터의 구동을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경사 투입 유도 호퍼(300)는, 선반(100)의 후단 일측에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고기(P)를 절단 블레이드(200)와 경사지도록 선반(100)의 후방으로 노출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기 어슷썰기 장치(10)는, 고기 지지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기 지지대(400)는, 절단 블레이드(200)의 절단될 수 있도록 고기(P)가 노출되는 경사 투입 유도 호퍼(300)의 후단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며, 절단 블레이드(200)에 의해 절단되기 전까지 경사 투입 유도 호퍼(300)로부터 노출되는 고기(P)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기 어슷썰기 장치(10)는, 필요에 따라 냉동 상태의 돼지고기 또는 소고기 등을 자동으로 어슷썰어 수요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경사 투입 유도 호퍼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경사 투입 유도 호퍼(300)는, 유도 배관(310) 및 투입 유도부(500)를 포함한다.
유도 배관(310)은,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선반(100)의 후단 일측에 경사지도록 설치되되, 후단(311)이 선반(100)의 후단 테두리와 일치하도록 절개 형성된다.
투입 유도부(500)는, 유도 배관(310)의 내주면의 전단 일측 및 타측 벽면(31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어 유도 배관(310)으로 고기(P)의 투입을 유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경사 투입 유도 호퍼(300)는, 유도 배관(310)을 따라 고기(P)가 안정적으로 투입되도록 함은 물론, 유도 배관(310)으로 투입되는 고기(P)의 양측면을 주물러 고기(P)의 해동을 유도하고 고기(P)의 육질이 부드럽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투입 유도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투입 유도부(500)는, 이너 하우징(510), 유도 구체(520), 구체 노출 개구(530), 구체 수납 블록(540) 및 블록 이동 볼트(550)를 포함한다.
이너 하우징(510)은, 유도 배관(310)의 내측에 형성되며, 유도 구체(520), 구체 노출 개구(530), 구체 수납 블록(540) 및 블록 이동 볼트(55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유도 구체(520)는, 구체 수납 블록(540)에 자성에 의해 부착 체결될 수 있도록 철 등의 재질로 제작되며, 원형의 구 형태로 형성되어 이너 하우징(510)에 배치된다.
구체 노출 개구(530)는, 유도 구체(520)가 노출될 수 있도록 이너 하우징(51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유도 배관(310)의 내주면으로 연통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구체 노출 개구(5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 구체(5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될 수 있도록 유도 구체(520)의 전단을 감싸는 형상으로서 중단이 개방 형성되는 아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 수납 블록(540)은, 유도 구체(520)를 자성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자성을 형성하는 재질로 제작되며, 유도 배관(310)의 외향면과 대향하는 이너 하우징(510)의 내측 전단에 설치되어 유도 구체(520)를 체결하여 지지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이동 볼트(550)에 의해 이너 하우징(510)의 후단으로 이동함에 따라 구체 노출 개구(530)를 통해 유도 구체(520)가 노출되도록 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이동 볼트(550)에 의해 이너 하우징(510)의 전단으로 다시 복귀함에 따라 구체 노출 개구(530)를 통해 노출되었던 유도 구체(520)를 이너 하우징(510)으로 다시 수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구체 수납 블록(540)은, 이너 하우징(5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일측면이 이너 하우징(51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수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유도 구체(520)가 안착되는 타측면이 전단의 좌우 폭이 후단의 좌우 폭보다 긴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블록 이동 볼트(550)는, 유도 배관(310)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이너 하우징(510)으로 노출됨에 따라 구체 수납 블록(540)을 이너 하우징(510)의 후단으로 이동시켜 주거나 이너 하우징(510)으로의 노출 부위가 줄어듦에 따라 구체 수납 블록(540)을 이너 하우징(510)의 전단으로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블록 이동 볼트(550)는, 볼트 바디(551) 및 볼트 헤드(552)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 바디(551)는, 후단이 유도 배관(310)의 전단을 통해 이너 하우징(510)으로 삽입되되 나사산 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구체 수납 블록(540)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볼트 헤드(552)는, 사용자가 볼트 바디(55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유도 배관(310)의 전단으로 노출되는 볼트 바디(551)의 전단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볼트 헤드(552)는, 전단에 사용자가 스크류 드라이버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공구 체결홈(5521)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투입 유도부(500)는, 고기(P)의 육질 또는 해동 정도에 따라 유도 구체(520)의 노출 정도를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유도 배관(310)을 따라 고기(P)가 안정적으로 투입되도록 함은 물론, 유도 배관(310)으로 투입되는 고기(P)의 양측면을 주물러 고기(P)의 해동을 유도하고 고기(P)의 육질이 부드럽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구체 수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구체 수납 블록(540)은, 블록 바디(541), 블록 안착홈(542), 밀착 블록(543), 다단 지지볼(544) 및 블록 지지 스프링(545)을 포함한다.
블록 바디(541)는, 이너 하우징(5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일측면이 이너 하우징(51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수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유도 구체(520)와 대향하는 타측면이 전단의 좌우 폭이 후단의 좌우 폭보다 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블록 안착홈(542)은, 밀착 블록(543)이 안착될 수 있도록 블록 바디(541)의 타측면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블록 바디(541)의 내측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밀착 블록(543)은, 유도 구체(520)를 자성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자성을 형성하는 재질로 제작되며, 블록 바디(541)의 타측면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면(5431)을 형성하면서 블록 지지 스프링(545)에 의해 지지되어 블록 안착홈(542)에 안착된다.
다단 지지볼(544)은, 유도 구체(520)가 밀착되는 밀착 블록(543)의 경사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블록 지지 스프링(545)은, 블록 안착홈(542)의 내측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블록 안착홈(542)에 안착되는 밀착 블록(543)을 지지하여 밀착 블록(543)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구체 수납 블록(540)은, 유도 구체(52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유도 구체(520)에 의한 고기(P)의 밀착 정도가 일정한 힘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고기 어슷썰기 장치
100; 선반
200: 절단 블레이드
300: 경사 투입 유도 호퍼
400: 고기 지지대
500: 투입 유도부

Claims (3)

  1. 피절단물인 고기를 올려 놓기 위한 선반;
    상기 선반의 후단에 설치되어 회전 구동하면서 상기 선반의 후방으로 노출되는 고기를 절단하는 절단 블레이드; 및
    상기 선반의 후단 일측에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고기를 상기 절단 블레이드와 경사지도록 상기 선반의 후방으로 노출시켜 주는 경사 투입 유도 호퍼;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 블레이드는,
    고기의 해동 정도에 따라 회전 속도가 조절되며,
    상기 절단 블레이드의 절단될 수 있도록 고기가 노출되는 상기 경사 투입 유도 호퍼의 후단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며, 상기 절단 블레이드에 의해 절단되기 전까지 상기 경사 투입 유도 호퍼로부터 노출되는 고기를 지지하는 고기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사 투입 유도 호퍼는,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선반의 후단 일측에 경사지도록 설치되되, 후단이 상기 선반의 후단 테두리와 일치하도록 절개 형성되는 유도 배관; 및
    상기 유도 배관의 내주면의 전단 일측 및 타측 벽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유도 배관으로 고기의 투입을 유도하는 투입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입 유도부는,
    상기 유도 배관의 내측에 형성되는 이너 하우징;
    원형의 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이너 하우징에 배치되는 유도 구체;
    상기 유도 구체가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유도 배관의 내주면으로 연통 형성되는 구체 노출 개구;
    상기 유도 구체를 자성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자성을 형성하는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유도 배관의 외향면과 대향하는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측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 구체를 체결하여 지지하며, 상기 이너 하우징의 후단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구체 노출 개구를 통해 상기 유도 구체가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이너 하우징의 전단으로 다시 복귀함에 따라 상기 구체 노출 개구를 통해 노출되었던 상기 유도 구체를 상기 이너 하우징으로 다시 수납시켜 주는 구체 수납 블록; 및
    상기 유도 배관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이너 하우징으로 노출됨에 따라 상기 구체 수납 블록을 상기 이너 하우징의 후단으로 이동시켜 주거나 상기 이너 하우징으로의 노출 부위가 줄어듦에 따라 상기 구체 수납 블록을 상기 이너 하우징의 전단으로 이동시켜 주는 블록 이동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구체 노출 개구는,
    상기 유도 구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도 구체의 전단을 감싸는 형상으로서 중단이 개방 형성되는 아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체 수납 블록은,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일측면이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수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도 구체가 안착되는 타측면이 전단의 좌우 폭이 후단의 좌우 폭보다 긴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블록 이동 볼트는,
    후단이 상기 유도 배관의 전단을 통해 상기 이너 하우징으로 삽입되되 나사산 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체 수납 블록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볼트 바디; 및
    사용자가 상기 볼트 바디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도 배관의 전단으로 노출되는 상기 볼트 바디의 전단에 설치되는 볼트 헤드;를 포함하는, 고기 어슷썰기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30095632A 2023-07-21 2023-07-21 고기 어슷썰기 장치 KR102621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5632A KR102621186B1 (ko) 2023-07-21 2023-07-21 고기 어슷썰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5632A KR102621186B1 (ko) 2023-07-21 2023-07-21 고기 어슷썰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186B1 true KR102621186B1 (ko) 2024-01-04

Family

ID=89542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5632A KR102621186B1 (ko) 2023-07-21 2023-07-21 고기 어슷썰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18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1958A (ja) * 2006-12-27 2008-07-17 Nihon Career Ind Co Ltd 斜め切リスライサー
EP2084969A2 (en) * 2002-12-23 2009-08-05 Kenneth Warg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numeric values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segments of an irregularly shaped item
KR20100114586A (ko) * 2009-04-16 2010-10-26 남다겸 회전칼날식 고기 절단 장치
KR20100131635A (ko) * 2009-06-08 2010-12-16 임소정 고기 절단 장치
US7980926B2 (en) * 2004-02-27 2011-07-19 Nordischer Maschinenbau Rud. Baader Gmbh + Co Kg Device and method for the automated processing of meat
KR20200043821A (ko) * 2018-10-18 2020-04-28 박재식 식품 자동 슬라이서
KR20230049963A (ko) 2021-10-07 2023-04-14 (주)신대원 돈육의 부위별 자동식 절단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84969A2 (en) * 2002-12-23 2009-08-05 Kenneth Warg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numeric values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segments of an irregularly shaped item
US7980926B2 (en) * 2004-02-27 2011-07-19 Nordischer Maschinenbau Rud. Baader Gmbh + Co Kg Device and method for the automated processing of meat
JP2008161958A (ja) * 2006-12-27 2008-07-17 Nihon Career Ind Co Ltd 斜め切リスライサー
KR20100114586A (ko) * 2009-04-16 2010-10-26 남다겸 회전칼날식 고기 절단 장치
KR20100131635A (ko) * 2009-06-08 2010-12-16 임소정 고기 절단 장치
KR20200043821A (ko) * 2018-10-18 2020-04-28 박재식 식품 자동 슬라이서
KR20230049963A (ko) 2021-10-07 2023-04-14 (주)신대원 돈육의 부위별 자동식 절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9131B1 (ko) 식품 슬라이서의 절단편 이탈 안내장치
US5423250A (en) Automatic slicing machine
KR101469922B1 (ko) 계육 수직 절단가공장치
NO165698B (no) System for beskyttelse mot avlytting av digitalt utstyr.
ES2263021T3 (es) Aparato para cortar productos alimenticios en porciones o articulos similares.
ES2541605T3 (es) Cortadora en lonchas de cortes en D
KR20160144054A (ko) 육절기용 피가공육 고정장치
KR102621186B1 (ko) 고기 어슷썰기 장치
KR20150124084A (ko) 자동 육절 장치
KR101770166B1 (ko) 식육 고속 슬라이서
JP6308481B1 (ja) スライス装置およびこのスライス装置を用いたスライス方法
KR100400698B1 (ko) 육절기
US6634257B2 (en) Sharpe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otary knives
KR200321320Y1 (ko) 육면체 형상으로 고기를 절단하는 육절기.
JPS58152437A (ja) 頭部を切断されている魚を切身にする装置
JP2015202565A (ja) 冷凍されたストランド状の食品をスライスに切断する装置及び方法
KR102337519B1 (ko) 회전식 세절기
JP3229932B2 (ja) 食品スライサ
KR200151353Y1 (ko) 육절기의 가공물 이송장치
KR200442848Y1 (ko) 육절기용 절단육 처짐 방지 장치
JP2008044084A (ja) 不定形食肉原木のハーフカット装置
KR102334103B1 (ko) 복합형 면취 장치
JPH0810637A (ja) 凍結餌の切断装置
JPH0748394Y2 (ja) 食品切断機
JPH0724073Y2 (ja) 魚の背骨切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