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131B1 - 원터치 방식의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원터치 방식의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131B1
KR102621131B1 KR1020220005223A KR20220005223A KR102621131B1 KR 102621131 B1 KR102621131 B1 KR 102621131B1 KR 1020220005223 A KR1020220005223 A KR 1020220005223A KR 20220005223 A KR20220005223 A KR 20220005223A KR 102621131 B1 KR102621131 B1 KR 102621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inner container
protrusion
upper case
container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9354A (ko
Inventor
장석훈
Original Assignee
장석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석훈 filed Critical 장석훈
Priority to KR1020220005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131B1/ko
Publication of KR20230109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40/222Means for closing the li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4Containers with two lids on one side; Containers with sever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40/221Features of the hin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40/222Means for closing the lid
    • A45D2040/223Means for closing the lid comprising a latch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2040/225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of the lid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의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원터치로 상부케이스가 하부케이스에서 걸림해제됨에 따라 화장품 용기가 개방됨에 있어서, 걸림이 해제됨에 따라 상부케이스가 위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에 텐션이 제공될 수 있는 텐션제공부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로서, 하부케이스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텐션제공부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터치 방식의 화장품 용기{A one-touch type 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의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원터치로 상부케이스가 하부케이스에서 걸림해제됨에 따라 화장품 용기가 개방됨에 있어서, 걸림이 해제됨에 따라 상부케이스가 위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에 텐션이 제공될 수 있는 텐션제공부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로서, 하부케이스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텐션제공부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원터치 방식의 화장품 용기는, 하부케이스와 힌지결합된 상태의 상부케이스가 하부케이스에 걸려 장착된 상태에서, 하부케이스 일측에 형성된 누름버튼에 의해 하부케이스로부터 걸림해제된 상부케이스가 힌지결합부분을 축으로 하여 위로 이동되면서 하부케이스의 상부가 개방되는 방식의 화장품 용기이다.
개방된 하부케이스의 내측에 화장료 등이 수용되는 내용기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원터치 방식의 화장품 용기에서, 하부케이스에 걸린 상부케이스가 하부케이스로부터 걸림해제된 상태에서 위로 이동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텐션이 상부케이스에 제공되어야 한다. 즉, 일정한 텐션이 제공된 상태에서 상부케이스가 하부케이스에 걸린 상태로 유지되다가, 누름버튼에 의해 걸림해제됨에 따라 이러한 텐션에 의해 상부케이스가 힌지결합부분을 축으로 하여 일정한 간격만큼 위로 이동된다. 이후, 사람의 손으로 상부케이스를 더 위로 올려 하부케이스를 개방하여 화장료를 사용하게 된다.
상부케이스에 텐션을 제공하는 기술적 특징이 개시된 원터치 방식의 화장품 용기에 대한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774766호를 살펴본다.
종래기술의 도 1에서 살펴보듯이, 상부케이스를 하부케이스에서 분리시키는 경우 상부케이스에 텐션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하부케이스 일측에 텐션을 제공하는 텐션고무를 별도로 구비시키고 있다.
이러한 텐션고무는 하부케이스와 별도로 제조된 이후, 하부케이스에 장착되는 과정을 거쳐 하부케이스에 구비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텐션고무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화장품 용기의 원자재 비용 상승 요인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는 실정이고, 하부케이스에 장착시키기 위해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고, 별도의 공정에 따라 인력과 비용이 추가로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텐션을 제공하는 수단에 대해서 추가적인 원자재 비용 상승을 제거하면서 별도의 공정에 따른 추가적인 인력과 비용을 절약할 수 기술적 특징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상부케이스에 텐션을 제공하는 기술적 특징을 구비하되, 종래기술에 따른 텐션고무와 같은 텐션제공수단을 제거하면서, 별도의 공정에 따른 인력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상부케이스(100); 및 상기 상부케이스(100)와 힌지결합되는 하부케이스(30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케이스(100)는, 일측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걸림돌기(12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스(300)는, 내용기(200)가 수용되는 내용기수용부(350); 상기 내용기수용부(350)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2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홈(352); 및 상기 내용기수용부(350)의 일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홈(352)에 삽입된 걸림돌기(120)의 걸림이나 걸림해제가 진행되는 누름버튼(340)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300)는, 상기 내용기수용부(350)의 외측면 일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120)가 상기 장착홈(352)에 삽입되어 장착됨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스(10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텐션제공부(360)를 포함하며,
상기 텐션제공부(360)는 상기 내용기수용부(350)와 동일한 재질로서 상기 내용기수용부(350)와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용기수용부(350)에서, 상기 장착홈(352)이 형성된 부분과 상기 텐션제공부(360)가 결합된 부분은 상기 내용기수용부(350)의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텐션제공부(360)의 일측이 상기 내용기수용부(350)의 외측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텐션제공부(360)의 타측이 상기 내용기수용부(350)의 외측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텐션제공부(360)는, 상기 내용기수용부(35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362); 및 상기 결합부(362)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는 텐션부(364)를 포함하며,
상기 텐션부(364)는 상기 내용기수용부(350)의 외측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케이스(100)는, 아래방향으로 돌출되되 나머지 하단면보다 더 아래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의 상부힌지결합부(140); 및 상기 상부힌지결합부(140)의 하부에 장착된 힌지결합축(160)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힌지결합부(140)의 내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압박돌기부(1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텐션제공부(360)는 상기 텐션부(364)의 하부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텐션돌기부(36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박돌기부(142)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과 상기 텐션돌기부(366)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은 서로 수직이며,
상기 걸림돌기(120)가 상기 장착홈(352)에 삽입되어 장착됨에 따라 상기 압박돌기부(142)와 상기 텐션돌기부(366)가 밀착되고, 상기 압박돌기부(142)와 상기 텐션돌기부(366)가 밀착됨에 따라 상기 텐션부(364)가 휘어지면서 상기 내용기수용부(350)의 외측면과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인하여 내용기수용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하부케이스에 걸린 상부케이스에 텐션을 제공하는 텐션제공부가 구비됨에 따라, 상부케이스가 걸림해제됨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위로 이동될 수 있는 바,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텐션고무 등에 따른 원자재 비용 상승이나 별도의 공정 등 불필요한 부분이 제거되어 추가적인 인력이나 비용의 소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하부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상부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가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상부케이스가 하부케이스에 장착된 상태에서 텐션이 상부케이스에 제공되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단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상부케이스(100), 내용기(200) 및 하부케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300)가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상부케이스(100)가 하부케이스(300)의 상부에 장착됨에 따라 하부케이스(300)의 상부가 폐쇄되고, 힌지결합축(160)을 축으로 하여 상부케이스(100)가 위로 이동됨에 따라 하부케이스(300)의 상부가 개방된다. 하부케이스(300)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내용기(200)에 수용된 화장료를 사용한다.
하부케이스(300)는 내용기(200)를 수용하는 중공 형태의 내용기수용부(350), 내용기수용부(350)의 상단에 형성된 홈 형태로 후술할 상부케이스(100)의 걸림돌기(12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홈(352), 내용기수용부(350)의 일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장착홈(352)에 삽입된 걸림돌기(120)의 걸림이나 걸림해제가 진행되는 누름버튼(34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케이스(100)의 일측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걸림돌기(120)가 하부케이스(300)의 상단 쪽으로 이동되면서 상술한 장착홈(352)에 삽입되어 장착됨에 따라 상부케이스(100)가 하부케이스(300)에 장착되어 하부케이스(300)의 상부가 폐쇄되고, 장착홈(352)에 삽입되어 누름버튼에 걸린 상태의 걸림돌기(120)가 누름버튼(340)에 의해 걸림해제되어 상부케이스(100)가 위로 이동됨에 따라 하부케이스(300)의 상부가 개방된다.
상부케이스(100)의 걸림돌기(120)가 장착홈(352)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에서, 누름버튼(34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누름버튼(340)이 이동되면서 상술한 걸림돌기(120)의 걸림이 해제되는데, 걸림해제시 상부케이스(100)가 일정한 간격으로 위로 이동되고, 일정한 간격 정도로 상부케이스(100)가 위로 이동된 상태에서 나머지 상부케이스(100)의 올림은 사람의 손으로 힘이 가하여 진행될 수 있다.
걸림해제됨에 따라 일정한 간격 정도로 상부케이스(100)가 위로 이동되기 위하여 하부케이스(300)에는 텐션제공부(36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텐션제공부(350)는 내용기수용부(350)의 외측면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내용기수용부(350)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술한 장착홈(352)이 형성된 부분과 텐션제공부(360)가 결합된 부분은 서로 대칭일 수 있다.
따라서, 걸림해제되는 경우 텐션제공부(350)에서 상부케이스(100)에 제공되는 텐션으로 인하여 상부케이스(100)가 일정한 간격 정도로 위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부케이스(100)가 힌지결합축(160)을 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되는 바, 이러한 힌지결합축(160) 또한 걸림이 해제되는 장착홈(352)과 내용기수용부(350)의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결국, 걸림돌기(120)가 장착홈(352)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에서 상부케이스(100)의 상부힌지결합부(140)가 밀착되는 하부케이스(300)의 일측에 텐션제공부(36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걸림돌기(120)가 장착홈(352)에 삽입되어 장착된 상태에서 상부케이스(100)의 상부힌지결합부(140)가 밀착되는 내용기수용부(350)의 외측면 일측에 텐션제공부(36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텐션제공부(360)는 내용기수용부(350)와 동일한 재질로서 내용기수용부(350)와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텐션고무 등 별도의 텐션제공수단을 구비시켰던 종래기술과 달리, 내용기수용부(350)를 성형하는 경우 이에 결합된 텐션제공부(360)를 동시에 성형할 수 있어서, 별도의 텐션제공수단에 따른 원자재 비용 상승, 추가적인 공정에 따른 추가적인 인력 및 비용 소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텐션제공부(360)는 내용기수용부(35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362), 결합부(362)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는 텐션부(364) 및 텐션부(364)의 하부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텐션돌기부(366)를 포함할 수 있다.
텐션부(364)가 내용기수용부(350)의 외측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될 수 있다. 즉, 결합부(362)가 내용기수용부(350)의 외측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텐션부(364)가 외측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바,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 텐션부(364)가 내용기수용부(350)의 외측면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케이스(100)가 하부케이스(300)의 상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부케이스(100)의 상부힌지결합부(140)가 하부케이스(300)의 일측에 형성된 텐션부(364)에 밀착됨에 따라, 텐션부(364)에 외력이 가해져 텐션부(364)가 내용기수용부(350)의 외측면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일정한 텐션이 상부케이스(100)이 제공된다. 상부케이스(100)의 걸림돌기(120)가 걸림해제되는 경우, 텐션부(364)에 의해 제공되는 텐션에 의해 상부케이스(100)가 일정한 간격 정도 위로 이동된다. 이후 사람의 손으로 상부케이스(100)를 더 들어 올릴 수 있다.
좀 더 확실한 텐션이 상부케이스(100)에 제공되기 위해서, 텐션부(364)의 하부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텐션돌기부(36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케이스(100)의 상부힌지결합부(140)가 이러한 텐션돌기부(366)에 우선적으로 밀착된다.
나아가, 상부케이스(100)의 상부힌지결합부(140)의 내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압박돌기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힌지결합부(140)가 텐션제공부(360)에 밀착되는 경우, 우선적으로 압박돌기부(142)와 텐션돌기부(366)가 착된다. 이러한 압박돌기부(142)를 통해 텐션돌기부(366)에 외력이 가해지고, 결국 텐션제공부(360)에 외력이 가해져, 상부힌지결합부(140)가 텐션제공부(360)에 밀착됨에 따라 텐션제공부(360)가 내용기수용부(350)의 외측면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텐션이 발생되고, 발생된 텐션이 상부힌지결합부(140)를 통해 상부케이스(100)에 제공된다.
나아가, 압박돌기부(142)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과 텐션돌기부(366)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은 서로 수직일 수 있다. 따라서, 압박돌기부(142)가 텐션돌기부(366)로부터 벗어나면서 밀착될 수 없기에 확실하게 텐션돌기부(366)에 밀착되어 가해진 외력에 따른 텐션이 발생된 상태에서, 상부케이스(100)가 하부케이스(300)의 상부에 장착된 상태 동안에 압박돌기부(142)가 텐션돌기부(366)에 밀착됨에 따라 발생된 텐션이 상부케이스(100)에 제공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100)에서 내용기수용부(350) 중 텐션제공부(360)가 위치되는 부분에는 힌지결합홈(38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케이스(100)의 힌지결합축(366)이 이러한 힌지결합홈(380)에 장착됨에 따라 상부케이스(100)가 하부케이스(300)에 힌지결합된다.
내용기수용부(350)의 일측에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홈의 상부에는 상술한 텐션제공부(36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홈의 하부에는 상부케이스(100)의 힌지결합축(366)이 장착될 수 있는 힌지결합홈(38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케이스(100)의 상부힌지결합부(140)의 하부면에 힌지결합축(366)이 장착될 수 있으며, 힌지결합축(366)이 상부힌지결합부(140)의 하부면에 장착됨에 따라, 상부케이스(100)가 하부케이스(300)에 장착되면서 상부힌지결합부(140)가 하부케이스(300)의 텐션제공부(360)에 밀착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100)의 힌지결합축(366)이 이러한 힌지결합홈(38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부케이스(100)가 힌지결합축(366)을 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하면서 하부케이스(300)의 상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300)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인 경우 텐션제공부(360)에서의 텐션이 해제된 상태이고, 상부케이스(100)가 장착되어 하부케이스(300)의 상부가 폐쇄된 경우에는 텐션제공부(360)에 텐션이 발생된 상태에서 상부케이스(100)에 텐션이 제공되는 상태이다.
상부케이스(100)는 아래방향으로 돌출되되 나머지 하단면보다 더 아래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의 상부힌지결합부(140), 이러한 상부힌지결합부(140)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힌지결합축(160) 및 상부힌지결합부(140)의 내측면에 형성된 압박돌기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힌지결합부(140), 힌지결합축(160) 및 압박돌기부(142)는 상술한 바와 같다.
걸림돌기(120)가 장착홈(352)에 삽입되어 장착되어 상부케이스(100)가 하부케이스(300)의 상부에 장착됨에 따라, 압박돌기부(142)와 텐션돌기부(366)가 밀착되고, 압박돌기부(142)와 텐션돌기부(366)가 밀착됨에 따라 텐션부(364)가 휘어지면서 내용기수용부(350)의 외측면과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텐션이 발생된다.
발생된 텐션은 상부케이스(100)가 하부케이스(300)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는 동안 상부케이스(100)에 제공되고, 걸림돌기(120)가 걸림해제됨에 따라 이러한 텐션으로 상부케이스(100)가 하부케이스(30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한 간격만큼 위로 이동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상부케이스
120: 걸림돌기 140: 상부힌지결합부 142: 압박돌기부 160: 힌지결합축
200: 내용기
300: 하부케이스
340: 누름버튼 350: 내용기수용부 352: 장착홈
360: 텐션제공부
362: 결합부 364: 텐션부 366: 텐션돌기부
380: 힌지결합홈

Claims (5)

  1. 상부케이스(100); 및 상기 상부케이스(100)와 힌지결합되는 하부케이스(30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케이스(100)는, 일측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걸림돌기(12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스(300)는, 내용기(200)가 수용되는 내용기수용부(350); 상기 내용기수용부(350)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2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홈(352); 및 상기 내용기수용부(350)의 일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홈(352)에 삽입된 걸림돌기(120)의 걸림이나 걸림해제가 진행되는 누름버튼(340)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300)는, 상기 내용기수용부(350)의 외측면 일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120)가 상기 장착홈(352)에 삽입되어 장착됨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스(10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텐션제공부(360)를 포함하며,
    상기 텐션제공부(360)는 상기 내용기수용부(350)와 동일한 재질로서 상기 내용기수용부(35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텐션제공부(360)는,
    상기 내용기수용부(35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362); 및
    상기 결합부(362)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는 텐션부(364)를 포함하며,
    상기 텐션부(364)는 상기 내용기수용부(350)의 외측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되며,
    상기 상부케이스(100)는, 아래방향으로 돌출되되 나머지 하단면보다 더 아래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의 상부힌지결합부(140); 및 상기 상부힌지결합부(140)의 하부에 장착된 힌지결합축(160)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힌지결합부(140)의 내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압박돌기부(1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텐션제공부(360)는 상기 텐션부(364)의 하부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텐션돌기부(36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박돌기부(142)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과 상기 텐션돌기부(366)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은 서로 수직이며,
    상기 걸림돌기(120)가 상기 장착홈(352)에 삽입되어 장착됨에 따라 상기 압박돌기부(142)와 상기 텐션돌기부(366)가 밀착되고, 상기 압박돌기부(142)와 상기 텐션돌기부(366)가 밀착됨에 따라 상기 텐션부(364)가 휘어지면서 상기 내용기수용부(350)의 외측면과의 간격이 좁아지는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수용부(350)에서, 상기 장착홈(352)이 형성된 부분과 상기 텐션제공부(360)가 결합된 부분은 상기 내용기수용부(350)의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화장품 용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05223A 2022-01-13 2022-01-13 원터치 방식의 화장품 용기 KR102621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223A KR102621131B1 (ko) 2022-01-13 2022-01-13 원터치 방식의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223A KR102621131B1 (ko) 2022-01-13 2022-01-13 원터치 방식의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354A KR20230109354A (ko) 2023-07-20
KR102621131B1 true KR102621131B1 (ko) 2024-01-03

Family

ID=87426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223A KR102621131B1 (ko) 2022-01-13 2022-01-13 원터치 방식의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1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1982A (en) 1992-05-11 1994-07-26 Wilhelm Koopmann Kg Cosmetics compact
JP2944952B2 (ja) 1997-01-30 1999-09-06 豊國樹脂工業株式會社 コンパク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8930A (ko) * 2016-06-14 2016-07-05 펌텍코리아 (주) 텐션부가 일체로 형성된 콤팩트 용기
KR20190115579A (ko) * 2018-04-03 2019-10-14 장석훈 심미성이 증대된 케이스 뚜껑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1982A (en) 1992-05-11 1994-07-26 Wilhelm Koopmann Kg Cosmetics compact
JP2944952B2 (ja) 1997-01-30 1999-09-06 豊國樹脂工業株式會社 コンパク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354A (ko) 202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5355B1 (ko) 용기를위한힌지식밀폐기구
KR101404859B1 (ko) 뚜껑 뒷면에 열림 버튼을 가지는 음료병 및 뚜껑
CA2451793C (en) Dispenser for wipes
KR101642179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CA2274659C (en) Freely openable container
EP1138608B1 (en) Openable container
JP2013142004A (ja) ボタン式容器栓
US8127954B2 (en) Closure with hinged lid for bottles and the like with an automatic lid opening system
JP4798553B2 (ja) 飲料容器
KR102575878B1 (ko) 푸시 버튼이 작동되는, 팝-오픈 뚜껑을 갖는 용기
TWI454410B (zh) 封閉件及具有封閉件之容器
JPH0739177Y2 (ja) 合成樹脂製ハウジングにおけるヒンジ結合蓋
KR101787034B1 (ko) 외부를 녹인 함침부재를 더 갖는 화장품
GB2292584A (en) Fastener for a large plastic suitcase
KR102621131B1 (ko) 원터치 방식의 화장품 용기
JP3258937B2 (ja) ヒンジ付きキャップ
JPH10338260A (ja) ヒンジ付きキャップ
KR200264628Y1 (ko) 물티슈용 포대의 덮개
CN218705285U (zh) 一种棉签盒
JP3678030B2 (ja) 小蓋付キャップ
KR200384798Y1 (ko) 걸림편을 형성한 밀폐용기
JP3849347B2 (ja) 小蓋付キャップ
CN113302135B (zh) 家庭用薄页纸收纳容器
JP4749108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170105232A (ko) 자동 열림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인출구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