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798Y1 - 걸림편을 형성한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걸림편을 형성한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798Y1
KR200384798Y1 KR20-2005-0003685U KR20050003685U KR200384798Y1 KR 200384798 Y1 KR200384798 Y1 KR 200384798Y1 KR 20050003685 U KR20050003685 U KR 20050003685U KR 200384798 Y1 KR200384798 Y1 KR 2003847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lid
locking
container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찬
Original Assignee
김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찬 filed Critical 김종찬
Priority to KR20-2005-0003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7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7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7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8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flange fitting over the rim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종래의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와 그 위로 개폐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밀폐용기중에서 뚜껑의 잠금날개와 결착하는 용기본체의 걸림리브를 형성할 때, 걸림리브가 너무 튀어나온다거나, 잠금날개에 잠금고리턱을 형성할 때, 사출의 공정이 한번 더 가야 하는 불편이 있는 제품들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단점을 개선한 것으로, 용기본체(2) 상부외측의 보강테두리(23)에 연결해서 하단으로 걸림턱(22)을 가지는 걸림편(21)을 설치하는 것이 요지이며, 이리하면 걸림편(21)이 삼각지지대의 형식으로 보강테두리(23)와 용기본체(2)를 전체적으로 지지해주는 효과가 있어서 용기본체의 모양을 보다 견고히 유지해주게 되고, 밀폐용기(1)의 결착시에 별도의 보강이 없이 작은 힘으로 뚜껑(3)과 용기본체(2)의 결착력을 향상시키고, 또한 뚜껑을 사출할 때도, 뚜껑의 결착홈(32)이 개방돼 있으므로 하여 결착편(33)이 결착홈(32)의 일편에 형성되어서 한번의 사출공정으로 뚜껑을 사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걸림편을 형성한 밀폐용기{Airtight container with the hanger parts}
종래의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와 그 위로 개폐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밀폐용기중에서 최근에 출시되는 밀폐용기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내구성이 있는 재료로 뚜껑과 힌지부를 일체로 제작한 제품이 많이 출시되는데, 그 대표적인 보기가 도 5A 및 도 5B의 모양이라 할 수 있다. 도 5의 뚜껑의 잠금날개(31)와 결착하는 걸림리브(41,41')를 형성할 때, 도 5A처럼 용기상부의 보강테두리(23)를 연장하여 걸림 리브(41)를 형성하면, 걸림리브가 너무 튀어나와서 미관에도 안 좋고, 또한 결착시힘을 받으면 구부러질 위험이 있어서 구부러지지 않게 아래로 보강대(43)를 하기도 하는 단점이 있고, 또한 도 5B의 경우처럼 보강테두리(23)의 끝하단으로 걸림리브(41')를 설치할 때는, 보강테두리(23)를 또한 걸림리브의 부분만큼 연장하게 되고, 잠금날개(31)의 잠금고리턱(42)을 걸림리브(41')에 걸리게 하는 금형에 있어서 잠금날개(31)의 내측에서 구부러진 잠금고리턱(42)을 통과하는 홈이 없어서 잠금고리턱(42)을 형성하기 위해서 한 공정이 더 가야 하는 금형과 사출의 까다로움이 있다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단점을 개선한 것으로, 용기본체 상부외측의 보강테두리(23)에 연결해서 하단으로 걸림턱(22)을 가지는 걸림편(21)을 설치하는 것이 요지이며, 이리하면 걸림편이 삼각지지대의 형식으로 보강테두리와 용기본체를 전체적으로 지지해주는 효과가 있어서 용기본체의 모양을 보다 견고히 유지해주게 되고, 밀폐용기의 결착시에 별도의 보강이 없이 작은 힘으로 뚜껑과 용기본체의 결착력을 향상시키고, 또한 뚜껑을 사출할 때도, 뚜껑의 결착홈(32)이 개방돼 있으므로 하여 결착편이 결착홈의 일편에 형성되어서 한번의 사출공정으로 뚜껑을 사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2)와 그 위로 개폐하는 뚜껑(3)으로 이루어진 밀폐용기(1)에 있어서, 용기본체(2)에는 보강테두리(23)와 연결해서 하단으로 연장하여 걸림턱(22)을 가지는 걸림편(21)을 형성하며, 뚜껑(3)에는 용기본체(2)의 상부와 닫히는 지점을 따라 밀폐용의 탄성의 패킹(35)을 설치하고, 잠금날개(31)를 힌지부(34)와 연결해서 일체로 형성하며, 잠금날개(31)에는 각각 결착턱(33)을 가지는 결착홈(32)을 형성하여, 용기본체(2)와 결착시에 용기본체(2)의 걸림편(21)의 걸림턱(22)과 각각 결착되게 제작한다.
밀폐용기(1)의 뚜껑(3)은 힌지부(34)의 원활한 굴절작용을 위해서 내구성이 강한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로 구성해야 하나, 용기본체(2)는 굴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 외에도 일부 혹은 전부 기타 합성수지, 스테인레스, 멜라민, 유리, 사기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밀폐용기(1)의 작용에 대해서 알아보면, 용기본체(2)에 뚜껑(3)을 덮어서 양편의 잠금날개(31)를 눌러 잠그면, 탄성의 패킹(35)이 약간 눌리면서 잠금날개(31)의 결착홈(32)은 결착턱(33)에 의해서 걸림편(21)의 걸림턱(22)을 통과하여 걸림편(21)의 내측에 안착하면서 다시 패킹(35)의 탄성작용으로 걸림턱(22)에 걸려서 이탈하지 않고 결착되는데, 본 고안의 요지가 되는 걸림편(21)은 둘레를 안정되게 유지하기 위한 보강테두리(23)와 하단으로 일체로 형성되어서 삼각지지대처럼 일체로 지지되어 있어서, 보다 안정되게 용기본체(2)의 모양을 유지시켜서 용기본체(2)와 뚜껑(3)을 결착시키면서 밀폐시킨다.
걸림편(21)의 걸림턱(22)부분은 뚜껑(3)의 결착턱(33)과의 원활한 결합을 위해서 약간 솟아오르고 둥글게 형성하면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걸림편(21)의 걸림턱(22)이 가로로 넓지 않아서, 뚜껑(3)의 결착홈(32)이 보다 쉽고 안정되게 착탈할 수 있게 한다.
도 1∼3에서는 잠금날개(31)의 모양이 결착홈(32)과 함께 구부러진 곡선으로 설명했으나, 잠금날개(31)의 모양은 결착턱(33)만 형성된다면, 직선 등으로 변형하여 제작할 수 있는데, 도 4의 A, B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잠금날개(31)는 직선으로 구성하면서 용기본체(2)의 걸림편(21)에 결착되는 결착턱(33)을 가지는 결착홈(32)을 결착편(36)과 함께 형성하면서 쉽게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사출을 한번에 하기 위해서는 도면에서처럼 결착턱(33)의 외부로 금형이 통과하는 결착홈(32)을 함께 형성해 둔다.
본 고안의 걸림편(21)을 형성한 밀폐용기(1)는 보강테두리(23)와 연결해서 하단으로 일체로 걸림편(21)을 형성하여 삼각지지대처럼 지지되어 있어서, 보다 안정되고 견고하게 용기본체(2)의 모양을 유지시켜서, 용기본체(2)와 뚜껑(3)을 보다 완벽하게 결착시키면서 밀폐시켜서, 용기본체(2)가 더욱 견고해지고, 결착시에 용기본체(2)의 변형도 덜 되면서 단단히 닫을 수 있어서, 용이하고 안정되게 밀폐시키는 역할을 하고 미관상에도 깔끔하다.
또한 잠금날개(31)의 결착턱(33)을 결착홈(32)에 함께 형성하여서, 금형의 제작이 용이하고, 한번의 공정으로 뚜껑(3)을 사출할 수 있으므로 하여, 비용의 절감을 가져온다.
도 1은 본 고안의 걸림편을 형성한 밀폐용기의 모양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걸림편을 형성한 밀폐용기의 뚜껑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걸림편을 형성한 밀폐용기의 뚜껑과 용기본체의 걸림편의 결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걸림편을 형성한 밀폐용기의 잠금날개의 다른 모양의 결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뚜껑과 용기본체의 걸림편의 결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A, 5B는 종래 기존의 대표적인 밀폐용기의 뚜껑과 용기본체의 결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밀폐용기 2. 용기본체
3. 뚜껑
21. 걸림편 22. 걸림턱
23. 보강테두리
31. 잠금날개 32. 결착홈
33. 결착턱 34. 힌지부
35. 패킹 36. 결착편
41. 41'. 걸림리브 42. 걸고리턱
43. 보강대

Claims (2)

  1.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2)와 그 위로 개폐하는 뚜껑(3)으로 이루어진 밀폐용기(1)에 있어서, 용기본체(2)에는 보강테두리(23)와 연결해서 하단으로 연장하여 걸림턱(22)을 가지는 걸림편(21)을 형성하며, 뚜껑(3)에는 용기본체(2)의 상부와 닫히는 지점을 따라 밀폐용의 탄성의 패킹(35)을 설치하고, 잠금날개(31)를 힌지부(34)와 연결해서 일체로 형성하며, 잠금날개(31)에는 각각 결착턱(33)을 가지는 결착홈(32)을 형성하여, 용기본체(2)와 결착시에 용기본체(2)의 걸림편(21)의 걸림턱(22)과 각각 결착되게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용기본체(2)에는 보강테두리(23)와 연결해서 하단으로 연장하여 걸림턱(22)을 가지는 걸림편(2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편을 형성한 밀폐용기.
KR20-2005-0003685U 2005-02-07 2005-02-07 걸림편을 형성한 밀폐용기 KR2003847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685U KR200384798Y1 (ko) 2005-02-07 2005-02-07 걸림편을 형성한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685U KR200384798Y1 (ko) 2005-02-07 2005-02-07 걸림편을 형성한 밀폐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798Y1 true KR200384798Y1 (ko) 2005-05-19

Family

ID=43686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685U KR200384798Y1 (ko) 2005-02-07 2005-02-07 걸림편을 형성한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7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988Y1 (ko) 2008-10-31 2011-01-25 동진기업 주식회사 플라스틱재 음식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988Y1 (ko) 2008-10-31 2011-01-25 동진기업 주식회사 플라스틱재 음식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7954B2 (en) Closure with hinged lid for bottles and the like with an automatic lid opening system
US7188746B2 (en) Container closure arrangement
JP4739334B2 (ja) 一体に製造されたびっくり贈答品のためのコンテナー
US4793502A (en) Hinged dispensing closure
US9371162B2 (en) One-piece dispensing closure
US4848612A (en) Hinged dispensing closure
US20080105684A1 (en) Latchable Lid Assemblies
RU2414403C2 (ru) Закупоривающее средство с шарнирной крышкой для бутылок и подобных изделий с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системой открывания крышки, содержащей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ую кнопку
WO2002014172A1 (en) Container closure arrangement
US4699283A (en) Plastic stopper with a snap hinge
US20100276460A1 (en) Toggle action dispensing closure with articulated rear flange
KR101831794B1 (ko)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
JP4906041B2 (ja) ヒンジ開閉式樹脂製キャップ
US20060231518A1 (en) Closing cap for a container
NZ210919A (en) Two-piece dispensing closure for a container
KR200384798Y1 (ko) 걸림편을 형성한 밀폐용기
JP4799110B2 (ja) キャップ
JP7409600B2 (ja) 栓と容器とのワンタッチ開閉構造
KR200347176Y1 (ko) 힌지부가 보강된 밀폐 저장 용기
EP0284509B1 (fr) Récipient à couvercle articulé et bande de garantie
KR101083880B1 (ko) 유리용기함체와 스텐레스 뚜껑에 형성된 잠금수단에 의하여 개폐되어지면서 밀폐되어지는 식품용기
US4401230A (en) Snap closure
WO1997033803A1 (en) Catch, hinge, lid assembly and container incorporating
KR101123235B1 (ko) 밀폐용기용 뚜껑
KR200406664Y1 (ko) 금속재 용기의 결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