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579A - 심미성이 증대된 케이스 뚜껑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심미성이 증대된 케이스 뚜껑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579A
KR20190115579A KR1020180038451A KR20180038451A KR20190115579A KR 20190115579 A KR20190115579 A KR 20190115579A KR 1020180038451 A KR1020180038451 A KR 1020180038451A KR 20180038451 A KR20180038451 A KR 20180038451A KR 20190115579 A KR20190115579 A KR 20190115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id
container
protrusion
injection molding
sheet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석훈
Original Assignee
장석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석훈 filed Critical 장석훈
Priority to KR1020180038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5579A/ko
Publication of KR20190115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57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45D33/008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comprising a mirr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18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3/00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 B41F23/005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of non-fla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4Security printing
    • B41M3/148Transitory images, i.e. images only visible from certain viewing a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005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 G03H1/0011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for security or authent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미성이 증대된 케이스 뚜껑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케이스 뚜껑; 상기 케이스 뚜껑의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 뚜껑의 내측에 장착되는 시트지; 및 상기 케이스 뚜껑의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 뚜껑의 내측에 장착되되, 상기 시트지 위에 위치되면서 상기 케이스 뚜껑의 상부를 폐쇄시키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사출성형물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지의 상단면은 평면적 이미지 또는 입체적 이미지로 형성되어 있는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심미성이 증대된 케이스 뚜껑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A cosmetic container with a case lid with enhanced esthetic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심미성이 증대된 케이스 뚜껑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하부 및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 뚜껑인 상태에서, 입체적 이미지가 형성된 시트지와 이러한 시트지와 분리된 투명 또는 반투명 사출성형물을 케이스 뚜껑의 상부로 삽입시켜 장착시킴으로써, 케이스 뚜껑을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종래의 화장품 용기보다 증대된 심미감을 느끼게 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이다. 나아가, 케이스 뚜껑에 일체화되어 있던 케이스 뚜껑의 상부면이 차지하는 두께가 없어짐에 따라 좀 더 슬림화된 케이스 뚜껑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이란 인체를 청결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을 말한다.
화장품의 종류로는 크게 기초 화장품, 기능성 화장품, 색조 화장품으로 나눌 수 있다. 색조화장품이란 용모를 아름답게 변화시켜 피부를 아름답게 연출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피부색을 균일하게 하고 결점을 커버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베이스 메이크업과 입술, 눈, 손톱 등 부분적으로 입체감을 높이는 포인트 메이크업으로 구분되며 베이스 메이크업에는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포인트 메이크업에는 립스틱,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장품 용기는 여성들이 핸드백에 넣어 휴대하면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케이스 뚜껑이 위로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화장품 용기 자체의 편의성 및 외형적 디자인도 중요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디자인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여러 가지 화장품 용기가 개발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는, 상하로 분리되어진 케이스와 케이스 뚜껑이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 내측에는 화장품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하고 케이스 뚜껑에는 명판이나 거울이 위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화장품 용기는 소비자의 다양한 구매 취향을 만족시키기 위해 보다 다양한 형태나 디자인으로 지속적으로 변경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실정에서 소비자가 인식하는 화장품 용기에 대한 심미감은 소비자의 화장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574997호를 일례로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케이스 뚜껑을 살펴본다.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스 뚜껑은 하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일정한 높이를 갖는 측면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부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부면으로 인하여 케이스 뚜껑의 상부가 폐쇄된다. 케이스 뚜껑의 상부면 외측면에는 일반적으로 명판이 장착되고, 내측면에는 거울이 장착된다.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 케이스 뚜껑의 내측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데, 케이스 뚜껑을 닫을 때 이러한 공간으로 케이스 내측에 장착된 내용기의 일부, 퍼프나 브러쉬 등 도포부재 또는 화장품 용기를 구성하는 기타 구성요소가 삽입된다. 따라서, 케이스 뚜껑에서 일정한 높이의 측면에 의해 형성된 소정의 공간은 화장품 용기에 필수적인 공간일 수 밖에 없다.
이러한 필수적인 공간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화장품 용기의 슬림화 추세에 따라 케이스 뚜껑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증대된 심미감을 느끼게 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대한 연구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케이스 뚜껑의 내측에 필요한 소정의 공간에 불구하고 케이스 뚜껑의 높이를 최소화하고, 나아가 케이스 뚜껑의 심미감이 증대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화장품 용기의 심미감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케이스 뚜껑을 제조함에 있어서 제조공정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케이스 뚜껑(120);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에 장착되는 시트지(170); 및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에 장착되되, 상기 시트지(170) 위에 위치되면서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상부를 폐쇄시키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사출성형물(160)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지(170)의 상단면(172)은 평면적 이미지 또는 입체적 이미지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지(170)의 하단면에는 거울(174)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지(170)는 홀로그램 시트지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면에는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상단보다 낮은 곳에 위치되는 제1돌출부(122) 및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돌출부(122)보다 낮은 곳에 위치되는 제2돌출부(1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출성형물(160)의 측면에는 상기 사출성형물(160)의 상단 아래에 위치되어 돌출된 사출성형물돌출부(16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지(170)의 하단면 일측이 상기 제2돌출부(124)의 상단면에 밀착되며, 상기 사출성형물(160)의 하단면이 상기 시트지(170)의 상단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사출성형물돌출부(166)가 상기 제1돌출부(122)의 하단면에 밀착된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은, 시트지(170)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상태의 케이스 뚜껑(120)의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에 장착되는 단계; 및 투명 또는 반투명 사출성형물(160)이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에 장착되되, 상기 시트지(170) 위에 위치되면서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상부를 폐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지(170)의 상단면(172)은 평면적 이미지 또는 입체적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지(170)의 하단면에는 거울(174)이 부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면에는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상단보다 낮은 곳에 위치되는 제1돌출부(122) 및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돌출부(122)보다 낮은 곳에 위치되는 제2돌출부(1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출성형물(160)의 측면에는 상기 사출성형물(160)의 상단 아래에 위치되어 돌출된 사출성형물돌출부(16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지(170)의 하단면 일측이 상기 제2돌출부(124)의 상단면에 밀착되며, 상기 사출성형물(160)의 하단면이 상기 시트지(170)의 상단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사출성형물돌출부(166)가 상기 제1돌출부(122)의 하단면에 밀착된다.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기존 케이스 뚜껑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케이스 뚜껑의 상부면이 제거된 상태에서, 우선적으로 평면적 또는 입체적 이미지가 형성된 시트지가 장착되고, 시트지 위에 장착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사출성형물이 장착됨으로써 케이스 뚜껑의 상부가 폐쇄되는 바, 기존 케이스 뚜껑 상부면의 두께만큼의 높이를 줄일 수 있어 종래기술에 따른 화장품 용기보다 더 슬림화된 심미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출성형물을 통하여 보이는 시트지의 이미지가 입체감이 있게 보여 케이스 뚜껑의 심미감이 더욱 증대된다.
나아가,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 뚜껑에 시트지와 사출성형물을 장착하는 단순한 제조공정으로써 케이스 뚜껑의 조립이 완성되는 바, 케이스 뚜껑의 상부를 폐쇄시키는 상부면이 위치된 상태에서 명판이나 거울을 별도의 제조공정으로 장착해야 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스 뚜껑 제조공정에 비하여, 제조공정이 축소됨에 따라 제조공정의 효율성이 증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따른 아래에서 위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따른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 1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케이스 뚜껑(120), 케이스 뚜껑(120)의 일측에 연결된 케이스(140), 케이스(140) 내부에 장착되는 제1내용기(300), 케이스(140) 일측에 힌지결합된 제2내용기(200), 제2내용기(200)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제2내용기 뚜껑(250)을 포함한다.
케이스(140) 내부로 제1내용기(300)가 장착된다. 케이스(140)의 상단면에는 케이스힌지축(14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제2내용기(200)의 타측에 형성된 힌지홈(205)에 케이스힌지축(145)이 삽입됨에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힌지축(145)과 힌지홈(205)의 결합으로 후술할 제2내용기(200) 는 케이스(140)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이러한 케이스(140)와 제2내용기(200)의 힌지결합은 케이스(140) 일측을 기준으로 제2내용기(200)가 회동 가능하면 어느 형태이든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내용기(300)는 케이스(140) 내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1내용기(300)를 교체하여 화장품 내용물 리필 효과를 발휘하기 위함이다. 즉, 제1내용기(300)를 분리시켜 화장품 내용물을 리필한 후에 다시 장착하거나 또는 화장품 내용물이 충진된 다른 제1내용기(300)를 기존 분리된 제1내용기(300) 자리에 다시 장착시킬 수 있다.
케이스(140)의 하부면에는 일정 크기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 케이스(140)에서 제1내용기(300)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케이스(140) 하부면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제1내용기(300)을 밀어올려 분리시킬 수 있다.
제1내용기(300)의 상부면에는 상부면 테두리에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제1테두리벽(304), 제1테두리벽(304)에서 제1내용기(300) 상부 중심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져 형성된 제1수용공간벽(310)이 형성되어 있다.
제1수용공간(302)은 제1내용기(300)에 형성된 제1수용공간벽(310)에 의해 형성된다.
제1수용공간벽(310)은 제1테두리벽(304)에서 제1내용기(300) 상부 중심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져 형성된 제1외측수용공간벽(306) 및 제1외측수용공간벽(306)에서 제1내용기(300) 상부 중심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져 형성된 제1내측수용공간벽(308)을 포함한다.
화장품 내용물은 제1내측수용공간벽(308)으로 형성된 제1수용공간(302)에 수용된다.
제1내용기(300) 내부에는 제1외측수용공간벽(306)과 제1내측수용공간벽(308) 사이의 간격에 삽입됨과 동시에 제1내측수용공간벽(308) 상단면을 커버하는 'ㄱ'형 밀폐부재(320)가 위치된다.
밀폐부재(320)는 제1외측수용공간벽(306)과 제1내측수용공간벽(308) 사이로 삽입되는 밀폐수직부(324)와 밀폐수직부(324)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일정부분 돌출되어 제1내측수용공간벽(308) 상단면을 커버하는 밀폐수평부(322)를 포함한다.
밀폐수평부(322)는 제1내측수용공간벽(308)의 상단면의 폭보다 더 길게 중심방향으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후술할 제2내용기(200)의 하단면이 밀폐수평부(322)에 밀착되었을 때, 제1수용공간(302)을 효율적으로 밀폐시키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제1수용공간(302)에 수용된 화장품 내용물은 제1수용공간(302)이 밀폐된 상태에서 제1내측수용공간벽(308)의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는다.
나아가, 후술할 제2내용기(200)의 하단면이 제1내용기(300) 상단면에 밀착되더라도, 제1내측수용공간벽(308) 상단과 제2내용기(200)의 하단면 사이에 밀폐수평부(322)가 위치되어, 제1수용공간(302)에 수용된 화장품 내용물(제1수용공간(302)에 수용되는 화장품 내용물은 제1내측수용공간벽(308)의 상단을 넘지 않게 수용됨)와 제2내용기(200) 하단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내용기(200)의 하단면이 밀폐수평부(322)에 밀착되더라도 이러한 간격 때문에 제2내용기(200)의 하단면에 화장품 내용물이 묻지 않는다.
제2내용기(200)의 하단면이 제1내용기(300) 상단면에 밀착됨에 따라 제1수용공간(302)이 밀폐됨을 설명한다.
후술할 제2내용기(200)의 하부면에는 하부면에서 아래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2하부밀착벽(2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하부밀착벽(212)에서 하부면 중심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져 하부면에서 아래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2하부밀착판(214)이 위치된다. 제2하부밀착판(214)은 제2내용기(200) 상부면에 형성된 제2수용공간(202)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내용기(200)의 제2하부밀착벽(212)과 제2하부밀착판(214) 사이로 제1외측수용공간벽(306)이 삽입되며, 제2하부밀착판(214) 일부분은 밀폐수평부(322)에 밀착된다. 제2내용기(200)의 제2하부밀착벽(212)은 제1외측수용공간벽(306)과 제1테두리벽(304) 사이로 삽입된다.
제2내용기(200)는 제1내용기(300)의 위에 장착되며, 내부에는 화장품 내용물이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202)이 형성되어 있다.
제2내용기(200)는 케이스(140) 상단면에 위치된 케이스힌지축(145)에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제2내용기(200)의 하단면이 제1내용기(300) 상단면에 밀착됨에 따라 제1내용기(300)에 형성된 제1수용공간(302)이 밀폐된다.
제2내용기(200)에는 화장품 내용물이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202)이 형성되어 있다.
제2내용기(200)는 제2내용기(200) 상부면 테두리에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제2테두리벽(204), 제2테두리벽(204)에서 중심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져 형성된 제2수용공간벽(210)을 포함한다.
화장품 내용물은 제2수용공간벽(210)에 의해 형성된 제2수용공간(202)에 수용된다.
제2내용기(200) 일측에는 힌지결합부(207)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내용기 뚜껑(250)의 일측에 형성된 내용기뚜껑힌지축(255)은 제2내용기(200)의 힌지결합부(207)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또는, 제2내용기(200) 일측에 힌지축(미도시)이 형성되고 제2내용기 뚜껑(250)의 일측에 힌지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러한 힌지축(미도시)이 힌지홈(미도시)에 결합됨에 따라 제2내용기 뚜껑(250)이 제2내용기(200)에서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제2내용기(200) 일측을 기준으로 제2내용기 뚜껑(250)이 회동 가능하면 이러한 힌지결합은 힌지결합부(207) 및 내용기뚜껑힌지축(255) 외에 어느 형태이든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내용기뚜껑힌지축(255)과 힌지결합부(207)의 힌지결합부분은 케이스(140) 상단면 위에 위치하게 된다.
제2내용기 뚜껑(250)의 하단면이 제2내용기(200) 상단면에 밀착됨에 따라 제2수용공간(202)이 밀폐됨을 설명한다.
후술할 제2내용기 뚜껑(250)의 하부면에는 하부면에서 아래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3외측하부밀착벽(2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3외측하부밀착벽(252)에서 제2내용기 뚜껑(250) 하부면 중심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져 하부면에서 아래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3내측하부밀착벽(254)가 위치된다.
제2내용기 뚜껑(250)의 제3외측하부밀착벽(252)과 제3내측하부밀착벽(254) 사이로 제2수용공간벽(210)이 삽입되며, 제2내용기 뚜껑(250)의 제3외측하부밀착벽(252)은 제2수용공간벽(210)과 제2테두리벽(204) 사이로 삽입된다.
화장품 용기 사용상 제2내용기 뚜껑(250)이 오픈되는 방향은 케이스 뚜껑(120)이 오픈되는 방향에서 수직 방향임이 바람직하다. 케이스 뚜껑(120)이 오픈된 상태에서 손에 의해 제2내용기 뚜껑(250)이 오픈되는 경우, 손의 움직임이 이미 오픈된 케이스 뚜껑(120)에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내용기 뚜껑(250)은 제2내용기(200) 위에 위치된다. 제2내용기 뚜껑(250)의 하단면이 제2내용기(200) 상단면에 밀착됨에 따라 제2내용기(200)에 형성된 제2수용공간(202)이 밀폐된다. 제2내용기 뚜껑(250)은 제2내용기(200)를 덮는 덮개 기능을 한다.
제2내용기 뚜껑(250) 일측에는 내용기뚜껑힌지축(25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내용기뚜껑힌지축(255)은 제2내용기(200)의 일측에 위치된 힌지결합부(207)에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용기뚜껑힌지축(255)이 힌지홈(미도시)으로 그리고 힌지결합부(207)가 힌지축(미도시)으로 변경되어 힌지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는, 제2내용기 뚜껑(250) 일측에는 힌지축(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힌지축(미도시)은 제2내용기(200)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홈(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이러한 힌지결합은 제2내용기(200)의 일측을 기준으로 제2내용기 뚜껑(250)이 회동 가능하면 어느 형태이든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내용기 뚜껑(250) 상에는 퍼프(260)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상태의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에는, 개방된 케이스 뚜껑(120)의 상부로 삽입되어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에 장착되는 시트지(170) 및 케이스 뚜껑(120) 상부로 삽입되어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에 장착되되 시트지(170) 위에 위치되면서 개방된 케이스 뚜껑(120) 상부를 폐쇄시키는 투명 또는 반투명 사출성형물(160)이 장착된다.
시트지(170)와 사출성형물(160)은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 밀착되어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에 장착된다.
사출성형물(160)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성형재료가 금형 내측으로 사출되어 형성된 것을 지칭한다.
시트지(170)의 상단면(172)은 평면적 이미지 또는 입체적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케이스 뚜껑에 일체화되어 케이스 뚜껑의 상부를 폐쇄시키는 상부면이 위치된 상태에서, 증착이나 코팅, 레이저 커팅으로 디자인화가 이루어진 사출성형된 명판이 케이스 뚜껑의 상부면 상에 위치되거나, 또는 사출성형된 명판 상면에 디자인을 인쇄하는 방법으로 디자인화가 이루어진 명판이 케이스 뚜껑의 상부면 상에 위치되었는데, 많은 제조비용이 들고, 또한 표현하고자 하는 디자인의 선택범위도 좁을 수 밖에 없으며, 디자인화하더라도 입체감을 표현하기 어려워 케이스 뚜껑의 심미감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심미감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 뚜껑(120)의 상부면이 제거되어 우선적으로 케이스 뚜껑(120)이 더 슬림화되었으며, 시트지(170)에 원하는 디자인을 형성시킬 수 있어 디자인의 선택 폭이 넓어졌으며, 나아가 평면적 이미지뿐만 아니라 입체적 이미지가 형성된 시트지(170)를 장착시키고, 이러한 이미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사출성형물(160)을 시트지(170) 위에 위치시켜 장착시킴으로써 케이스 뚜껑(120)의 입체감이 증대될 수 있어 심미감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시트지(170)의 하단면에는 거울(174)이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 뚜껑(120)을 연 상태에서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에 위치된 거울(174)을 보면서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에서 보는 케이스 뚜껑(120)의 입체감을 더욱 살리기 위해 입체적 이미지가 시트지의 상단면(172)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시트지(170)는 홀로그램 시트지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케이스 뚜껑(120)의 상부 내측에 장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시트지(170)가 개방된 케이스 뚜껑(120)의 상부로 삽입되어 장착되고, 이후 사출성형물(160)이 개방된 케이스 뚜껑(120)의 상부로 삽입되어 시트지(170) 위에 장착될 수 있다. 시트지(170)의 하단면에 거울(174)이 부착된 상태에서 시트지(170)가 케이스 뚜껑(120) 내측에 장착될 수 있고, 또는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에 장착된 시트지(170)의 하단면에 거울(174)이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스 뚜껑의 상부면에 별도로 명판과 거울을 장착해야 하는 제조공정과 달리, 시트지(170)와 사출성형물(160)을 개방된 케이스 뚜껑(120) 상부에 단순히 장착함으로써 제조공정이 완성되는 바, 시간과 공정이 축소되어 제조공정의 효율성이 증가된다.
시트지(170)와 사출성형물(160)이 개방된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 상부에 장착되는데 필요한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면에는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케이스 뚜껑(120)의 상단보다 낮은 곳에 위치되는 제1돌출부(122) 및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제1돌출부(122)보다 낮은 곳에 위치되는 제2돌출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시트지(170)가 개방된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 상부로 삽입되면서 제1돌출부(122)와 제2돌출부(124)의 높이 사이에 형성된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되어 장착된다. 시트지(170)의 하단면 일측이 제2돌출부(124)의 상단면에 밀착된 상태로 장착된다.
개방된 케이스 뚜껑(120)의 상부로 사출성형물(160)이 삽입되어 시트지(170) 위에 밀착된 상태에서 장착된다. 제1돌출부(122)는 케이스 뚜껑(120)의 상단보다 낮은 곳에 위치되고, 사출성형물(160)의 상단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후술할 사출성형물돌출부(166)가 이러한 제1돌출부(122)의 하단면에 밀착됨에 따라 고정되고, 이에 따라 케이스 뚜껑(120)의 상단면과 사출성형물(160)의 상부면은 어떠한 돌출부 없이 매끄러운 동일 평면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케이스 뚜껑(120)의 상단면과 사출성형물(160) 상부면 사이의 간격은 제1돌출부(122)의 돌출 길이에 의해 결정되는 바, 제1돌출부(122)의 돌출 길이는 아주 짧은 길이로 돌출된 사출성형물돌출부(166)가 걸릴 정도의 짧은 길이이면 충분한 바, 케이스 뚜껑(120)의 상단면과 사출성형물(160) 상부면 사이의 간격은 육안으로 인식될 수 없을 정도로 짧은 간격일 수 있다.
제1돌출부(122) 및 제2돌출부(124)는 각각 케이스 뚜껑(120)의 중앙 수직선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한 쌍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돌출부(122) 및 제2돌출부(124)는 원주면 형태인 케이스 뚜껑(120) 내측면에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출성형물(160)이 케이스 뚜껑(120) 상부에 장착된 상태에서(사출성형물돌출부(166)가 제1돌출부(122) 아래에서 밀착된 상태에서) 균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케이스 뚜껑(120) 내측면 중앙 수직선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한 쌍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뚜껑(120)의 상단과 하단을 수직 방향으로 연결한 수직선을 기준으로, 제1돌출부(122)가 접하는 수직선과 제2돌출부(124)가 접하는 수직선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착탈의 용이성을 위하여 제1돌출부(122)가 위치하는 측면과 제2돌출부(124)가 위치하는 측면이 겹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의 케이스 뚜껑(120) 내측면에 사출성형물(16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데, 사출성형물(160)의 측면에는 사출성형물(160)의 상단 아래에 위치되어 돌출된 사출성형물돌출부(166)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트지(170)의 하단면 일측이 제2돌출부(124) 상단면에 밀착되고, 사출성형물(160)의 하단면이 시트지(170) 위에서 시트지(170)의 상단면(172)과 밀착되어 위치되고, 사출성형물돌출부(166)가 제1돌출부(122)의 하단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사출성형물(160)가 케이스 뚜껑(120) 상부를 폐쇄시키면서 장착된다.
일단 장착된 상태에서는 고정력이 유지되지만, 일정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착탈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케이스 뚜껑(120)이 조립되기 위해 소정의 장소에 위치되는 단계로서, 우선적으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에 시트지(170) 및 사출성형물(16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케이스 뚜껑(120)이 소정의 장소에 위치된다.
다음 단계로, 시트지(170)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상태의 케이스 뚜껑(120)의 상부로 삽입되어 장착된다. 이후, 투명 또는 반투명 사출성형물(160)이 케이스 뚜껑(120)의 상부로 삽입되어 시트지(170) 위에 장착되면서 케이스 뚜껑(120)의 상부를 폐쇄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지(170)의 상단면(172)은 평면적 이미지 또는 입체적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시트지(170)의 하단면에는 거울(174)이 부착되어 있다. 시트지(170)의 하단면에 거울(174)이 부착된 상태에서 시트지(170)가 케이스 뚜껑(120)에 장착될 수 있거나, 또는 케이스 뚜껑(1420) 내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시트지(170)의 하단면에 거울(174)이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시트지(170) 및 사출성형물(160)이 케이스 뚜껑(120)의 상부로 삽입되어 장착되는 단계로서, 개방된 케이스 뚜껑(120)의 상부로 삽입되어 시트지(170)의 하단면 일측이 대칭적으로 형성된 제2돌출부(124) 상단면에 밀착된다. 사출성형물(160)이 개방된 케이스 뚜껑(120)의 상부로 삽입되어 장착되되, 대칭적으로 형성된 사출성형물돌출부(166)가 대칭적으로 형성된 제1돌출부(122) 하단면에 밀착되면서 장착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20: 케이스 뚜껑
122: 제1돌출부 124: 제2돌출부
140: 케이스 145: 케이스힌지축
160: 사출성형물
166: 사출성형물돌출부
170: 시트지
172: 시트지 상단면
174: 거울
200: 제2내용기
202: 제2수용공간 204: 제2테두리벽
205: 힌지홈 207: 힌지결합부
210: 제2수용공간벽
212: 제2하부밀착벽 214: 제2하부밀착판
250: 제2내용기 뚜껑
255: 내용기뚜껑힌지축 252: 제3외측하부밀착벽
254: 제3내측하부밀착벽
260: 퍼프
300: 제1내용기
302: 제1수용공간 304: 제1테두리벽
306: 제1외측수용공간벽 308: 제2내측수용공간벽
310: 제1수용공간벽

Claims (5)

  1.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케이스 뚜껑(120);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에 장착되는 시트지(170); 및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에 장착되되, 상기 시트지(170) 위에 위치되면서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상부를 폐쇄시키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사출성형물(160)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지(170)의 상단면(172)은 평면적 이미지 또는 입체적 이미지로 형성되어 있는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지(170)의 하단면에는 거울(174)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지(170)는 홀로그램 시트지인 화장품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면에는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상단보다 낮은 곳에 위치되는 제1돌출부(122) 및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돌출부(122)보다 낮은 곳에 위치되는 제2돌출부(1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출성형물(160)의 측면에는 상기 사출성형물(160)의 상단 아래에 위치되어 돌출된 사출성형물돌출부(16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지(170)의 하단면 일측이 상기 제2돌출부(124)의 상단면에 밀착되며,
    상기 사출성형물(160)의 하단면이 상기 시트지(170)의 상단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사출성형물돌출부(166)가 상기 제1돌출부(122)의 하단면에 밀착되는 화장품 용기.
  4. 시트지(170)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상태의 케이스 뚜껑(120)의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에 장착되는 단계; 및
    투명 또는 반투명 사출성형물(160)이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에 장착되되, 상기 시트지(170) 위에 위치되면서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상부를 폐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지(170)의 상단면(172)은 평면적 이미지 또는 입체적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지(170)의 하단면에는 거울(174)이 부착되어 있는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면에는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상단보다 낮은 곳에 위치되는 제1돌출부(122) 및 상기 케이스 뚜껑(12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돌출부(122)보다 낮은 곳에 위치되는 제2돌출부(1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출성형물(160)의 측면에는 상기 사출성형물(160)의 상단 아래에 위치되어 돌출된 사출성형물돌출부(16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지(170)의 하단면 일측이 상기 제2돌출부(124)의 상단면에 밀착되며,
    상기 사출성형물(160)의 하단면이 상기 시트지(170)의 상단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사출성형물돌출부(166)가 상기 제1돌출부(122)의 하단면에 밀착되는 화장품 용기.
KR1020180038451A 2018-04-03 2018-04-03 심미성이 증대된 케이스 뚜껑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155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451A KR20190115579A (ko) 2018-04-03 2018-04-03 심미성이 증대된 케이스 뚜껑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451A KR20190115579A (ko) 2018-04-03 2018-04-03 심미성이 증대된 케이스 뚜껑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579A true KR20190115579A (ko) 2019-10-14

Family

ID=68171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451A KR20190115579A (ko) 2018-04-03 2018-04-03 심미성이 증대된 케이스 뚜껑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557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1111A (ko) * 2020-04-23 2021-11-02 펌텍코리아 (주) 탈착식 거울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2434433B1 (ko) * 2021-04-01 2022-08-22 주식회사 삼화 화장품 용기
KR20230109354A (ko) * 2022-01-13 2023-07-20 장석훈 원터치 방식의 화장품 용기
KR20240044427A (ko) 2021-08-24 2024-04-04 엔텍 아시아 가부시키가이샤 납 축전지용 페이스팅 페이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1111A (ko) * 2020-04-23 2021-11-02 펌텍코리아 (주) 탈착식 거울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2434433B1 (ko) * 2021-04-01 2022-08-22 주식회사 삼화 화장품 용기
KR20240044427A (ko) 2021-08-24 2024-04-04 엔텍 아시아 가부시키가이샤 납 축전지용 페이스팅 페이퍼
KR20230109354A (ko) * 2022-01-13 2023-07-20 장석훈 원터치 방식의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5579A (ko) 심미성이 증대된 케이스 뚜껑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9199B1 (ko) 리필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1684243B1 (ko) 뚜껑에 개폐버튼이 구비된 화장료용 콤팩트 용기
JP2019524332A (ja) 構造が単純で化粧料充填工程が改善されたコンパクト容器
US6227208B1 (en) Compact with inserted decorated mirror
KR20170060625A (ko) 자기력에 의해 뚜껑 개폐가 용이한 립스틱 용기
KR20170114004A (ko) 투명 배출판 저면에 불투명 박막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
KR20190010756A (ko) 내용기의 회전 체결구조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US6526989B2 (en) Cosmetic pot with hidden hinge between cover and base
KR20110008652U (ko) 화장품용 콤팩트 케이스
WO2015101358A1 (zh) 化妆品包装
US9101192B2 (en) Refill-locking system, a package comprising said locking system, and a refill
KR20160002903U (ko) 위아래로 개방되는 이중 콤팩트 용기
KR200436393Y1 (ko) 콤팩트용기
KR200439642Y1 (ko) 색조화장품 케이스
KR200409745Y1 (ko) 화장품 케이스
KR20180103245A (ko) 별도의 누름버튼을 갖는 콤팩트 용기
KR102012897B1 (ko) 슬림화된 케이스 뚜껑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15582A (ko) 퍼프지지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292441B1 (ko) 내용물접시의 하부 결합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480771Y1 (ko) 버튼이 일체로 형성된 콤팩트 용기
US1910522A (en) Vanity case
KR20210001803A (ko) 블러셔 용기
KR20220046877A (ko)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
KR200453583Y1 (ko) 색조 화장품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