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121B1 - 미생물 탈취 장치 및 탈취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생물 탈취 장치 및 탈취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121B1
KR102621121B1 KR1020217032334A KR20217032334A KR102621121B1 KR 102621121 B1 KR102621121 B1 KR 102621121B1 KR 1020217032334 A KR1020217032334 A KR 1020217032334A KR 20217032334 A KR20217032334 A KR 20217032334A KR 102621121 B1 KR102621121 B1 KR 102621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orizing
air
water
ventilation resistanc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2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2193A (ko
Inventor
요시히사 시마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라이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045125A external-priority patent/JP730515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24256A external-priority patent/JP745091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라이에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라이에
Publication of KR20210132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1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B01D53/85Biological processes with gas-sol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38Removing components of undefined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8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34Internal compartments or part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36Means for collection or storage of gas; Gas hol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5/00Means for supporting, enclosing or fixing the microorganisms, e.g. immuno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06Nozzles; Sprayers; Spargers;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95Specific microorg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30Sulfur compounds
    • B01D2257/304Hydrogen sulf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30Sulfur compounds
    • B01D2257/306Organic sulfur compounds, e.g. mercapt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40Nitrogen compounds
    • B01D2257/406Ammon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90Odorous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7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5Bio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6Polluted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과제] 대형 탈취조를 구비한 대규모 장치라도, 제조 비용의 앙등을 억제하면서, 분해 탈취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는 미생물 탈취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미생물 탈취 장치(1A)의 탈취조(1)는, 공기가 챔버부(3)로부터 개구부(19)로 통과하는 공기 유로(20)를 형성하고, 공기 유로(20)에 있어서, 발포재(17)가 충전된 탈취부(5)와, 탈취부(5)에 근접 또는 인접하여 설치된, 공기 유로(20)를 흐르는 공기의 통기 저항을 높이는 통기 저항층(4)과, 탈취부(5), 및/또는, 통기 저항층(4)에 인접 또는 근접하여 설치된, 탈취조(1)에 보내진 공기를 일시적으로 저류(貯留)하는 방으로서의 챔버부(3)를 구비하고, 공기 유로(20)를 흐르는 공기의 유통이, 통기 저항층(4)에 의해 통기 저항이 높여진 결과, 공기는 챔버부(3)에 있어서 탈취부(5)의 거의 전체면에 퍼진 상태로 탈취부(5)에 보내진다.

Description

미생물 탈취 장치 및 탈취 처리 시스템
본 발명은, 미생물 유지 담체에 의해 공기의 냄새 성분을 탈취(脫臭)하기 위한 미생물 탈취 장치 및 탈취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농도의 악취를 발생하는 퇴비화 처리 시설, 배수 처리 시설 등, 악취의 발생을 수반하는 각종 시설에 있어서는, 발생한 악취를 그대로 대기 중에 방출하면 인근 주민과의 분쟁의 원인이 되므로, 지역과의 조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취기(臭氣) 대책이 필요불가결이 되고 있다.
종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탈취조 내에 미생물 유지 담체를 수용하고, 이 탈취조 내에 악취를 포함하는 공기를 보내고, 미생물 유지 담체에 서식하는 미생물에 의해 냄새 성분을 분해 탈취하는 탈취 장치이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은, 탈취조 내부의 위쪽 영역에 살수 장치 및 가스 배출구가 설치되고, 이 살수 장치와 저수부는, 순환 수단을 통하여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가스 공급구로부터 공급된 유기산은, 살수 장치에 의해 습윤 상태가 된 탈취조 내부의 탈취 재료와 접촉하여 물에 용해한다. 동시에, 일부 유기산은, 탈취 재료의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고, 가스 배출구로부터 배출된다. 탈취 재료로 저수부에 낙하한 물은, 순환 수단에 의해 저수부로부터 살수 장치로 순환하고, 다시 탈취 재료에 살수된다.
일본공개특허 제2011-56339호 공보
그런데, 하수 설비나 제지 공장 등의 오수 처리 시설에서는, 황화수소나 황화메틸 등의 고농도의 황화계 취기가 발생한다. 이 황화계 취기의 경우에는, 주로 유황 세균을 미생물에 정착(定着)하여 탈취할 때, 이 미생물이 유황 화합물을 분해하여 황산을 발생시킨다.
이 경우에,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순환수 방식을 채용하면, 물을 순환할 때마다 순환수 중의 황산 농도가 높아지고, 순환수의 수소 이온 농도가 pH=1 부근까지 저하되어, 미생물이 서식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미생물의 사멸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순환수에 알칼리계의 중화제를 투여할 필요가 있다. 이 중화제를 투여하지 않을 경우에는, 저수부의 물을 순환시키지 않거나, 혹은 저수부로부터 오버플로우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수도 사용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새롭게 발생한다.
또한, 양돈장에서는 밀폐 세로형 발효 장치로 불리우는 분뇨처리설비가 보급되고 있지만, 본 설비로부터는 2000-3000ppm-NH3 이상의 극히 고농도의 악취가 발생한다. 또한 이 배기 가스는 온도가 50℃-70℃ 정도로 고온이다. 이 분뇨처리설비의 탈취에는 종래, 물 스크러버(scrubber)(세정탈취)가 사용되고 있지만, 물의 사용량이 설비 1대당 100톤/일을 초과하여, 환경 부하가 매우 크다.
만일, 이와 같은 고농도의 악취의 처리에 생물 탈취를 채용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의 생물 탈취에서는, 400ppm-NH3 이상의 암모니아를 흐르게 하면 균이 불활화하므로, 사전에 농도를 묽게 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밀폐 세로형 발효 장치의 배기 가스는 온도가 60℃ 정도로 높아, 역시 균의 반응 온도대(40℃ 이하)를 초과하므로, 이 온도도 낮출 필요가 있었다. 예를 들면, 3000ppm-NH3의 악취의 경우, 가스 농도를 400ppm으로 하기 위해서는 7.5배로 희석할 필요가 있고, 가스 유량(流量)이 큰 폭으로 증가하므로, 탈취 설비가 대형화, 고액화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대형의 탈취조를 구비한 대규모 장치라도, 제조 비용의 앙등을 억제하면서, 분해 탈취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는 미생물 탈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미생물 탈취 장치 내를 흐르는 물에 의해 미생물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탈취를 계속할 수 있고, 물의 사용량을 저감시킨 탈취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미생물 유지 담체로서의 발포재를 수용하는 중공(中空)의 탈취조를 구비하고, 상기 탈취조에 공기를 보내고, 상기 공기가 함유하는 냄새 성분을 상기 탈취조에 수용된 상기 발포재에 서식하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 탈취하는 미생물 탈취 장치로서,
상기 탈취조는, 상기 공기가 한쪽 측으로부터 다른 쪽 측으로 통과하는 공기 유로(流路)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 유로에 있어서, 상기 발포재가 충전된 탈취부와, 상기 탈취부에 근접 또는 인접하여 설치된, 상기 공기 유로를 흐르는 상기 공기의 통기(通氣) 저항을 높이는 통기 저항부와, 상기 탈취부, 및/또는, 상기 통기 저항부에 인접 또는 근접하여 설치된, 상기 탈취조에 보내진 상기 공기를 일시적으로 저류(貯留)하는 방으로서의 챔버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 유로를 흐르는 상기 공기의 유통(流通)이, 상기 통기 저항부에 의해 통기 저항이 높여진 결과, 상기 공기는 상기 챔버부에 있어서 상기 탈취부의 거의 전체면에 퍼진 상태로 상기 탈취부에 보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통기 저항부는, 상기 공기 유로에서의 상기 공기의 유통 방향에 면(面)하여 배치되어 상기 공기 유로의 거의 전체면을 막는 통기 저항층으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통기 저항부는, 상기 통기 저항층에 더하여, 상기 탈취조의 내주부의 벽면으로부터 내측을향하여 돌출 설치된 통기 저항 돌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에더하여, 상기 챔버부는, 상기 탈취조에서의 상기 탈취부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유로는 상기 탈취조의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상기 공기를 흐르게 하는 상태로 구성되며, 상기 챔버부에는, 상기 챔버부에 상기 공기를 도입하는 도입부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도입부로부터 유입된 상기 공기를 수평 방향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공기 유로로서의 확산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확산로는, 복수의 U자 홈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 또는 5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챔버부의 위쪽에는, 상기 발포재의 상기 챔버부로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대략 메쉬형의 낙하 방지 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에더하여, 상기 발포재에 살수하기 위한 물을 도통시키는 살수용 배관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탈취조의 아래쪽에는, 살수된 상기 물을 저류하는 저수조가 설치되고, 상기 살수용 배관은, 상기 탈취조를 따라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저수조에 저류한 물을 순환하여 살수할 수 있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의미생물 탈취 장치와, 오수를 유입로로부터 유입하여 정화 처리하고, 그 처리수를 유출로에 배출하는 오수 처리 설비와, 상기 처리수의 일부를 상기 미생물 탈취 장치로 안내하여 상기 미생물 유지 담체의 미생물에 살수하고 또한, 살수하여 상기 미생물 탈취 장치 내를 통과한 물을 상기 오수 처리 설비의 상기 유입로 측으로 리턴하도록 구성한 살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공기 유로를 흐르는 공기의 통기 저항을 향상시키는 통기 저항부와, 탈취부, 및/또는, 통기 저항부에 인접 또는 근접하여 설치된, 탈취조에 보내진 공기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방으로서의 챔버부를 구비하고, 공기 유로를 흐르는 공기의 유통이, 통기 저항부에 의해 통기 저항이 높여진 결과, 공기는 챔버부에 있어서 탈취부의 거의 전체면에 대응하여 퍼진 상태로 탈취부에 보내지도록 구성된 것에 의해, 탈취조에 보내진 공기가 챔버부의 거의 전체에 확산된 상태로 탈취부에 보내지게 되어, 탈취부 전역(全域)의 미생물 유지 담체에 취기를 수반하는 공기가 접촉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공기 교반 장치 등에 의한 탈취조 내의 공기의 강제적인 교반을 행하지 않아도, 탈취부 전역에 있어서 미생물에 의한 취기의 분해 탈취가 행해져서, 효율이 높은 탈취를 행할 수 있다. 이로써, 대형의 탈취조를 구비한 대규모 장치라도, 제조 비용의 앙등을 억제하면서, 분해 탈취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통기 저항부는, 공기 유로에서의 공기의유통 방향에 면하여 배치되어 공기 유로의 거의 전체면을 막는 통기 저항층으로서 형성된 것에 의해, 공기 유로 전역에 걸쳐 용이한 공기의 유통이 저해된 결과, 탈취조에 보내진 취기를 수반하는 공기는 탈취부 전역에 골고루 퍼지기 쉬워지고, 또한, 탈취조를 흐르는 공기의 유속(流速)이 억제되어, 탈취부 전역의 미생물 유지 담체에, 취기를 수반하는 공기를 장시간 접촉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대형의 탈취조를 구비한 대규모 장치라도, 탈취부 전역에 있어서 미생물에 의한 취기의 분해 탈취를 효율적으로 행하게 하여, 한층 높은 분해 탈취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통기 저항부는, 통기 저항층에 더하여, 탈취조의 내주부의 벽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 통기 저항 돌출부를 구비한 것에 의해, 공기의 유통하기 쉬운 탈취조 내부의 벽면부 근방의 공기의 유통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층 높이고, 그 결과, 탈취조에 보내진 취기를 수반하는 공기는 탈취조 내부에 체류하여 탈취조 전역에 한층 골고루 퍼지기 쉬워진다. 이로써, 대형의 탈취조를 구비한 대규모 장치라도, 제조 비용의 앙등을 억제하면서, 한층 높은 분해 탈취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챔버부는, 탈취조에서의 탈취부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공기 유로는 탈취조의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공기를 흐르게 하는 상태로 구성되며, 챔버부에는, 챔버부에 공기를 도입하는 도입부가 설치되고 또한, 도입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수평 방향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공기 유로로서의 확산로가 형성된 것에 의해, 도입부로부터 보내진 공기를, 챔버부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확산시켜 탈취부에 보낼 수 있다. 이로써, 취기를 수반하는 공기는 탈취조 전역에 한층 골고루 퍼지기 쉬워진다. 이로써, 대형의 탈취조(1)를 구비한 대규모 장치라도, 제조 비용의 앙등을 억제하면서, 한층 높은 분해 탈취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확산로는, 복수의 U자 홈에 의해 형성된 것에 의해, 확산로를 저비용으로 구축하고, 또한, 도입부로부터 보내진 공기를, 챔버부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구조를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챔버부의 위쪽에는, 발포재의 상기 챔버부로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대략 메쉬형의 낙하 방지 부재가 설치된 것에 의해, 발포재가 챔버부에 낙하하여 챔버 부내의 공기 유로를 막아버려, 취기를 수반하는 공기가 탈취조에 골고루 퍼지지 않게 되는 사태를 간편한 구조로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살수된 물을 저류하는 저수조를 탈취조의아래쪽에 설치하고, 그 물의 산성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탈취부에 살수하는 물을 순환시키면서 사용할수 있다. 그리고, 물의 산성 농도가 높아진 경우에는, 물을 항상 순환시키지 않고 오수 처리 설비에서 정화 처리한 처리수를 유입시킬 수도 있다.
또한, 살수용 배관은 탈취조를 따라 배치되는 것에 의해, 살수시키는 물을 유통시키는 살수용 배관은 탈취조 내의 미생물이 발하는 열로 저절로 보온되게 된다. 이 때문에, 미생물 탈취 장치를 한냉지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살수용 배관을 유통하는 물의 동결을 간단하게 또한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살수부는, 오수 처리 설비의 처리수의 일부를 미생물 탈취 장치로 안내하여 미생물 유지 담체의 미생물에 살수하고 또한, 살수하여 미생물 탈취 장치 내를 통과한 물을 오수 처리 설비의 유입로 측으로 리턴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미생물 탈취 장치 내를 흐르는 물을 계속 순환시킴으로써 미생물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탈취를 계속할 수 있고, 물의 사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미생물 탈취 장치 내를 흐르는 물에 오수 처리 설비의 유출로에 배출된 처리수를 사용하므로, 수온이 높지 않고, 미생물 탈취 장치 내를 흐르는 공기를냉각하고, 미생물의 반응 온도대를 유지하므로, 미생물에 의한 분해 탈취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도 1은 이 실시형태 1에 따른 탈취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미생물 탈취 장치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미생물 탈취 장치(수용부에 수용한 것)를, 챔버부의 위치에서 절단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미생물 탈취 장치(수용부에 수용한 것)를, 팰릿 및 낙하 방지 부재의 위치에서 절단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 2에 따른 탈취 처리 시스템의 미생물 탈취 장치에 사용하는 유통용 하우징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 3에 따른 탈취 처리 시스템의 미생물 탈취 장치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 4에 따른 탈취 처리 시스템의 미생물 탈취 장치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탈취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
도 1은, 이 실시형태 1에 따른 탈취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탈취 처리 시스템(50)은, 오수 처리 설비(60)와, 미생물 탈취 장치(1A)와, 살수부(70)를 구비한다.
각종 시설(100)은, 악취를 포함하는 공기를 발생하고, 그 공기가 미생물 탈취 장치(1A)로 보내지고, 이 미생물 탈취 장치(1A)에서 탈취되고 대기로 방출된다. 또한, 각종 시설(100)은, 오수를 발생하고, 그 오수가 오수 처리 설비(60)에 보내지고, 이 오수 처리 설비(60)에서 정화 처리되어 처리수로서 배출된다. 살수부(70)는, 오수 처리 설비(60)로부터 배출된 처리수의 일부를 미생물 탈취 장치(1A)로 안내하고, 미생물 탈취 장치(1A)에 살수한 후, 살수하여 미생물 탈취 장치(1A)를 통과한 물을 오수 처리 설비(60)에 유입 측으로 리턴하는 것이다.
각종 시설(100)은, 오수 및 악취를 포함하는 공기를 발생하는, 장치, 시설, 설비 등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각종 시설(100)은, 오수 및 고농도의 악취를 발생하는 축사, 제지 공장, 화학 공장, 식품 공장 등의 시설이지만, 오수 및 악취를 포함하는 공기를 발생하는 시설이라면, 이들 이외의 어떤 시설이라도 된다. 각종 시설(100)은, 오수 및 악취를 수반하는 공기를 대량으로 배출하는 대형의 시설이나 장치인 것이 상정(想定)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소형의 시설이나 장치라도 된다.
각종 시설(100)은, 배기관(200)을 통하여 미생물 탈취 장치(1A)에 접속되어 있다. 이 미생물 탈취 장치(1A)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각종 시설(100)은, 오수 배관(210)을 통하여 오수 처리 설비(60)와 접속되어 있다. 이 오수 배관(210)에는, 각종 시설(100)에 의해 발생한 오수를 오수 처리 설비(60)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용의 펌프(310)와, 개폐용의 개폐 밸브(41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개폐 밸브(410)를 열고 펌프(310)를 구동함으로써, 각종 시설(100)에 의해 발생한 오수를, 오수 배관(210)을 통하여 오수 처리 설비(60)에 유입시킬 수 있다. 오수 처리 설비(60)에는, 오수 처리 후의 처리수를 유출시키는 「유출로」로서의 처리수 배관(220)이 접속되어 있다.
오수 처리 설비(60)는, 예를 들면, 축사, 제지 공장, 화학 공장, 식품 공장 등의 각종 시설(100)로부터 배출된, 단백질, 암모니아 등의 질소 성분을 포함하는 오수에 대한 오수 처리로서, 예를 들면 생물에 의한 질소 처리를 행하고, 질화액순환법 및 내생탈질화법(內生脫窒化法) 등이 사용된다.
상기 질화액순환법에 있어서는, 먼저, 처리 대상인 오수(원수) 중의 암모니아성 질소를 질화세균에 의해 호기 조건 하에서 아질산성 질소 또는 질산성 질소로 전환한다. 그 후, 탈질화 세균에 의해, 유기물을 환원력으로서 무산소 조건 하에서 아질산성 질소 또는 질산성 질소를 질소 가스로 환원한다. 오수를 호기조(질화조) 및 무산소조(탈질화조)에서 순환하여 질화 및 탈질화를 반복적으로 행함으로써, 오수가 생물 처리된다.
또한, 오수에 인이 포함된 경우, 인 제거균에 의해 인을 제거한다. 인 제거균은, 혐기 조건에서 오수 중의 유기물을 세포 내에 섭취하고, 세포 내에 축적된 인을 오수에 배출한다. 이 상태의 인 제거균을 호기 조건에서 노출될 때, 세포 내에 축적된 유기물을 영양원으로 하여 번식을 행하고, 오수 중의 인을 과잉 섭취하고, 세포 내에 다시 축적함으로써, 오수 중의 인이 제거된다.
또한, 오수 처리 설비(60)는, 미생물 탈취 장치(1A) 내의 탈취부(후술)를 살수하여 저수조에 적하한 물이 리턴 배관(240)을 거쳐 오수 배관(210)의 오수와 합류하고, 그 물이 산성물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알칼리수 등을 사용하여 중화한다.
그리고, 오수 처리 설비(60)에서는, 예를 들면, 질화액순환법을 사용하여 오수를 처리한 예와, 미생물 탈취 장치(1A)로부터 배출된 산성수를 처리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오수 및 산성수 등을 처리 가능한 설비라면, 어떠한 설비라도 된다.
그리고, 배기관(200), 오수 배관(210), 및 처리수 배관(220)은, 내압성(耐壓性), 내부식성(耐腐食性)을 가지는 재질, 예를 들면, 금속이나 염화 비닐 등의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 또는 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파이프, 튜브, 호스 등이다.
[미생물 탈취 장치의 구성]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 1의 탈취 처리 시스템의 미생물 탈취 장치(1A)는, 배기관(200)의 도중에 각종 시설(100) 측으로부터 미생물 탈취 장치(1A) 측에 공기를 강제적으로 송기(送氣)하는 송풍기(300)와, 배기관(200)을 개폐하는 밸브(40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미생물 탈취 장치(1A)는, 대형의 장치, 예를 들면, 세로·가로 10미터, 높이 3미터 정도의 크기의 대략 직육면체의 장치로서 형성된다. 다만, 내부에 「미생물 유지 담체」로서의 발포재(17)(후술)를 유지하여 공기를 탈취할 수 있는 것이면, 미생물 탈취 장치(1A)의 크기나 형상은 어떤 것이라도 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미생물 탈취 장치(1A)는, 상자형의 수용부(500)에 수용되어 사용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 수용부(500)에는, 미생물 탈취 장치(1A)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기(모터)나 전기 케이블이나 각종 배선이나 각종 배관 등이 수용된다.
도 1에 나타낸, 이 실시형태 1의 탈취 처리 시스템의 미생물 탈취 장치(1A)는, 대략 직육면체의 탈취조(1)를 구비한다. 탈취조(1)는, 내부에 발포재(17)(후술) 등을 유지할 수 있고, 내압성과 내부식성이 높은 재질, 예를 들면, 금속, 경질의 수지, 철근 콘크리트 등에 의해 형성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탈취조(1)는, 아래쪽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저수조(2), 챔버부(3), 「통기 저항부」로서의 통기 저항층(4), 탈취부(5)가 설치되어 있다.
저수조(2)는, 주위가 밀폐된 용기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저수조(2)의 내부에는, 펌프(330)가 설치되고, 이 펌프(330)는 리턴 배관(240)에 접속되어 있다. 펌프(330)를 구동함으로써, 저수조(2) 내의 물을 리턴 배관(240)과, 오수 배관(210)을 통하여 오수 처리 설비(60)에 유입시킨다.
이 경우에, 저수조(2) 내로부터 오버플로우한 물을 리턴 배관(240)과, 오수 배관(210)을 통하여 오수 처리 설비(60)에 유입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저수조(2)를 설치하지 않고, 탈취부(5), 통기 저항층(4), 및 챔버부(3)를 통과한 물을 리턴 배관(240)으로 직접 배출하도록 해도 된다.
챔버부(3)는, 격벽(9)을 통하여 저수조(2)의 위쪽에, 내부가 중공의 방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탈취조(1)에 보내진 공기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챔버부(3)의 일부에는, 챔버부(3)에 공기를 도입하는 「도입부」로서의 삽통공(揷通孔)(10)이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이 삽통공(10)에는, 챔버부(3)에 취기를 포함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배기관(200)이 삽통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바와 같이, 챔버부(3)의 내부에는, 콘크리트나 경질의 수지 등, 강성(剛性)과 내부식성이 높은 재질에 의해 형성된 U자 홈(11)이 복수 배치되어, 유통로(12)를 형성하고 있다. 유통로(12)는, 배기관(200)에 가까운 개소에서는, 배기관(200)으로부터 챔버부(3)에 유입된 공기를 수평 방향(도 3의 평면 방향)으로 확산하는 확산로(13)를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로(13)에 있어서, 제1행 U자 홈(11a, 11a)의 개구부(11e, 11e)와 제2행 U자 홈(11b, 11b)의 개구부(11e, 11e)가 수평 방향으로 어긋난 상태로(도 3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어긋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행 U자 홈(11b, 11b)의 개구부(11e, 11e)와 제3행 U자 홈(11c, 11c)의 개구부(11e, 11e)와, 및 제3행 U자 홈(11c, 11c)의 개구부(11e, 11e)와 제4생 U자 홈(11d, 11d)의 개구부(11e, 11e) 모두, 수평 방향으로 어긋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확산로(13)를 유통하는 공기는, 도 3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흐름으로써, 수평 방향으로 확산하면서 챔버부(3)의 내부를 흐른다. 다만, 확산로(13)에서의 U자 홈(11)의 배치는 도 3에 나타낸 것 이외라도 된다. 또한, 확산로(13)에서의 U자 홈(11)은 상기 이외의 재질로 구성해도 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챔버부(3)의 위쪽에는, 격벽(3a)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격벽(3a)에는, 통기공부(3b)가 개구하여 형성되어 있다. 격벽(3a)의 위쪽에는, 탈취조(1)의 내벽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설치돌출부(14)가 돌출 설치되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돌출부(14)의 위쪽에는 팰릿(15)이 배치되어 있다. 이 팰릿(15)은, 강성과 내부식성이 높은 재질, 예를 들면, 경질의 수지 등으로 형성된, 공기를 유통시키는 모눈형의 간극부(15a)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팰릿(15)의 위쪽에는, 낙하 방지 부재(16)가 부설되어 있다. 이 낙하 방지 부재(16)는, 유연성이 있고 내부식성이 높은 재질, 예를 들면 연질의 수지 등에 의해 대략 메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낙하 방지 부재(16)의 그물코의 크기는, 공기를 유통시키면서, 대부분의 발포재(17)가 챔버부(3) 내에 낙하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을 정도, 예를 들면, 직경 2밀리미터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다만, 낙하 방지 부재(16)의 그물코는, 대부분의 발포재(17)가 챔버부(3)에 낙하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라면 어떤 크기라도 된다. 그리고, 도 4는, 도시의 간략화를 위하여, 팰릿(15)의 일부만 위쪽에 낙하 방지 부재(16)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낙하 방지 부재(16)는 팰릿(15)의 위쪽 전역(全域)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팰릿(15) 및 낙하 방지 부재(16)가 배치되는 것에 의해, 배기관(200)으로부터 챔버부(3)에 유입한 공기를 위쪽의 통기 저항층(4)이나 탈취부(5)로 흘리면서, 발포재(17)가 챔버부(3)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팰릿(15) 및 낙하 방지 부재(16)의 위쪽에는, 통기 저항층(4)이 배치되어 있다. 이 통기 저항층(4)은, 발포재(17)가 배치된 상태의 탈취부(5)보다 통기 저항이 높은 재질, 예를 들면, 암면(rock wool)(4a)이, 수평 방향 거의 전역에 걸쳐 소정의 두께(예를 들면, 몇 센티미터로부터 몇십 센티미터 정도의 두께)의, 챔버부(3) 측으로부터 볼 때 탈취부(5)의 거의 전체면을 막는 층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통기 저항층(4)은, 통기 저항이 높은 재질이나 물질(예를 들면 부직포나 부직포형의 물질 등)이라면, 암면(4a) 이외의 어떤 재질이나 물질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 1에서는, 통기 저항층(4)은 수평 방향 거의 전역에 배치하였으나, 통기 저항이 높고, 탈취부(5)에 유입하는 공기의 유속을 저하시킬 수 있으면, 어떤 위치나 어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통기 저항층(4)은 수평 방향의 일부, 예를 들면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중앙부 만이나 평면에서 볼 때 둘레부 만이나 평면에서 볼 때 배기관(200)이 배치된 측에만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탈취부(5)의 위쪽에 통기 저항층(4)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 1에서는, 통기 저항층(4)에 암면(4a)과, 탈취부(5)를 구성하는 발포재(17)가 혼재하는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암면(4a)만으로 형성한 통기 저항층(4)이 경년(經年) 변화하여 통기 저항이 지나치게 커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통기 저항층(4)에는, 발포재(17)가 혼재하지 않는 태양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기 저항층(4)의 위쪽에는, 통기 저항층(4)에 접하여, 탈취부(5)가 설치되어 있다. 탈취부(5)에는, 발포재(17)가 다수 충전되어, 소정의 두께(예를 들면, 1미터∼3미터 정도의 두께. 다만, 이보다 두터워도 되고 얇아도 된다.)의 층형(層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는, 기재의 간략화를 위하여, 탈취부(5)의 일부에만 발포재(17)를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는, 발포재(17)는 탈취부(5)의 거의 전역에 충전된다.
탈취부(5)를 구성하는 각각의 발포재(17)는, 예를 들면 직경 5밀리미터∼몇십 밀리미터 정도의 크기의 다공질의 포러스이다. 발포재(17)의 각각의 구멍부(도시하지 않음)의 구경은 약 수 마이크로미터∼약 몇십 마이크로미터정 도이다. 발포재(17)의 각각의 구멍부(도시하지 않음)에는, 탈취 효과가 있는 미생물(악취의 원인이 되는 화학물질(예를 들면 암모니아나 황화수소 등)을 생분해하는 미생물(예를 들면, 암모니아를 분해하는 소화균이나 아소화균, 황화수소를 분해하는 유황세균 등)이 다수 서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의 발포재(17)는, 예를 들면, 유리병을 주원료로 한 재활용 유리를 소성(燒成)하고 발포시켜, 1그램당의 표면적이 약 80평방미터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저비용으로, 적은 용적에 대량의 미생물을 서식시켜 높은 탈취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발포재(17)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발포재(17)는, 통기 저항이 작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송풍기(300)의 송기 저항이 과대하게 되는 것을 억제하고, 송풍기(300)를 구동시키는 전기요금을 삭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실시형태의 발포재(17)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재활용 유리의 소성에 의해 형성한다. 발포재(17)를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발포재를 콘크리트로 형성한 경우(상기 [특허문헌 1] 참조)와 같이, 암모니아나 황화수소 등의 가스에 대한 부식성에 의해 경년 열화가 생길 가능성을 억제하거나, 혹은 발포재를 나무 칩과 같은 유기물로 형성한 경우와 같이, 미생물 분해에 의한 경년 열화가 생길 가능성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발포재(17)는, 가격이 저렴하며, 표면적이 큰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발포재(17)로서의 기능을 하는 부재이면, 어떤 부재(예를 들면, 목재나 세라믹 등)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탈취부(5)에 위치하고, 탈취조(1)의 내벽에는, 「통기 저항부」로서의 통기 저항 돌출부(18)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통기 저항 돌출부(18)는, 탈취조(1)의 내부에 있어서, 공기의 유량이 많아지는 경향이 있는, 탈취조(1)의 내벽의 거의 전역에 설치되어 있다. 다만, 통기 저항 돌출부(18)는, 탈취조(1)를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흐르는 공기의 유속을 저하시키는 것이면, 어떤 위치에 어떤 태양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통기 저항 돌출부(18)가, 평면에서 볼 때, 배기관(200)이 설치된 위치 근방에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탈취조(1)의 탈취부(5)의 위쪽에는, 개구부(19)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탈취조(1)의 내부는, 공기가 「한쪽 측」으로서의 아래쪽(챔버부(3))으로부터 「다른 쪽 측」으로서의 위쪽(개구부(19))으로 통과하는 공기 유로(20)를 형성하고 있다. 즉, 탈취조(1)의 내부의 공기 유로(20)에 있어서는, 도 1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가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통과한다. 다만, 공기 유로(20)의 「한쪽 측」과 「다른 쪽 측」은 어떤 위치라도 된다. 예를 들면, 「한쪽 측」이 탈취조(1)의 위쪽이고, 「다른 쪽 측」이 탈취조(1)의 아래쪽이라도 되고, 「한쪽 측」이 탈취조(1)의 일측면이고, 「다른 쪽 측」이 탈취조(1)의 타측면이라도 된다.
[살수부의 구성]
살수부(70)는, 일단이 처리수 배관(220)에 접속된 바이패스 배관(230)과, 이 바이패스 배관(230)의 타단에 장착된 살수부(22)와, 저수조(2) 내에 설치된 펌프(330)와, 일단이 펌프(330)에 접속되고 타단이 오수 배관(210)에 접속된 리턴 배관(240)을 구비한다.
바이패스 배관(230)에는, 오수 처리 설비(60)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미생물 탈취 장치(1A)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용의 펌프(320)와, 개폐용의 개폐 밸브(420)가 설치되어 있다.
살수부(22)는, 탈취조(1) 내에 있어서 탈취부(5)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살수부(22)는, 분무기로서 구성되며, 탈취부(5)의 위쪽으로부터 바이패스 배관(230)을 유통한 물을 안개상으로 하여 탈취부(5)에 적하시킨다. 다만, 살수부(22)는, 탈취부(5)에 물을 적하시키는 것이면, 어떤 태양이라도 되고, 예를 들면, 살수부(22)을 바이패스 배관(230)의 타단에 개구된 하나 또는 복수의 작은 구멍부로서 형성한 것이라도 된다.
리턴 배관(240)에는, 개폐용의 개폐 밸브(430)가 설치되어 있다. 리턴 배관(240)은, 펌프(330)를 구동함으로써, 미생물 탈취 장치(1A) 내의 탈취부(5)를 살수하고 저수조(2)에 적하된 물을 오수 처리 설비(60)에 유입시킬 수 있다.
[미생물 탈취 장치의 사용 태양]
다음으로, 이 실시형태 1의 탈취 처리 시스템의 미생물 탈취 장치(1A)의 사용 태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각종 시설(100)에 있어서 발생한 악취를 포함하는 공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400)를 열면, 송풍기(300)의 송기에 의해, 배기관(200)을 거쳐 미생물 탈취 장치(1A)의 챔버부(3)에 보내진다.
챔버부(3)의 위쪽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기공부(3b)가 개구 형성된 격벽(3a)를 개재하여 통기 저항층(4)이 존재하고, 이 통기 저항층(4)의 통기 저항의 높음에 의해 챔버부(3)에 유입된 공기가 즉시 위쪽으로 유동하는 것이 저해되므로, 챔버부(3)에 유입된 공기는, 도 3에 나타낸 확산로(13)를 포함하는 U자 홈(11)의 유통로(12)를 지나고, 챔버부(3) 내를 수평 방향으로 확산한다.
그리고, 챔버부(3)의 전역에 확산된 공기는, 통기공부(3b)를 통과하여 위쪽으로 유동한다. 이 때, 통기 저항층(4)의 통기 저항이 높으므로, 통기 저항층(4)에 있어서 공기의 유동(流動)이 억제되어, 공기의 위쪽으로의 유동 속도가 느려진다. 이로써, 공기는 천천히 위쪽으로 유동하고, 통기 저항층(4)을 통과하여 탈취부(5)에 도달하고, 그 후에도 탈취부(5)에 있어서 천천히 위쪽으로 유동한다. 이 때문에, 공기의 탈취부(5)로의 체재(滯在) 시간이 길어져, 높은 탈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탈취부(5)에 도달한 공기는, 발포재(17)에 접촉하면, 공기에 포함되는 악취 성분이 발포재(17)의 내부에 정착하고 서식하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악취 성분이 제거된다. 여기서, 배기관(200)으로부터 챔버부(3)에 유입된 공기는, 챔버부(3)에 있어서 수평 방향 거의 전역에 걸쳐 확산하고 위쪽으로 유동하고, 탈취부(5)에 도달하므로, 공기는 탈취부(5)의 수평 방향 거의 전역에서 발포재(17)에 접촉한다. 즉, 탈취부(5)에 있어서, 공기는 많은 발포재(17)와 접촉하여, 높은 탈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탈취부(5)에 있어서는, 통기 저항 돌출부(18)가, 공기가 흐르기 쉬운 탈취조(1)의 내벽 거의 전역의 공기의 유동을 저해하므로, 탈취조(1)의 내벽 부근에서 공기의 유속이 빨라져서 탈취 효과가 저하되는 사태를 억제한다. 이로써, 탈취부(5)의 거의 전역에 있어서, 천천히 공기를 유동시켜, 높은 탈취 효과를 얻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탈취부(5)를 통과하고, 발포재(17)의 미생물에 의해 악취 성분이 분해·탈취된 공기는, 탈취조(1)의 위쪽의 개구부(19)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이 실시형태 1의 미생물 탈취 장치(1A)는, 악취를 포함하는 공기의 악취 성분을 제거하고, 탈취한 공기를 외부로 방출한다.
한편, 바이패스 배관(230)에 유입된 처리수의 일부는, 살수부(22)로부터 탈취조(1)의 내부에 살수된다. 이 살수된 물은, 탈취조(1)의 내부에 적하되어, 탈취부(5)나 통기 저항층(4)의 발포재(17)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생육에 사용된다.
또한, 탈취부(5)나 통기 저항층(4)으로부터 더욱 적하된 물은, 챔버부(3)에 적하하고, 챔버부(3)로부터 저수조(2)에 더욱 적하하여 저수조(2)에 저류된다. 그리고, 살수부(22)로부터 탈취조(1)의 내부에 살수되는 물의 양이나 살수의 빈도는, 기온 등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이, 발포재(17)에 정착하여 서식하는 미생물의 생육과 활동을촉진시키는상에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는, 살수부(22)로부터 탈취조(1)의 내부로의 살수의 횟수나 1회마다 살수량을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용 효과]
이상 이 실시형태 1의 탈취 처리 시스템(50)의 미생물 탈취 장치(1A)에 있어서는 공기 유로(20)를 흐르는 공기의 통기 저항을 높이는 통기 저항층(4)과, 탈취부(5) 및/또는 통기 저항층(4)에 인접 또는 근접하여 설치된, 탈취조(1)에 보내진 공기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방으로서의 챔버부(3)를 구비하고, 공기 유로(20)를 흐르는 공기의 유통이, 공기 저항층(4)에 의해 공기 저항이 높아진 결과, 공기는 챔버(3)에 있어서 탈취부(5)의 거의 전체면에 대응하여 퍼진 상태에서 탈취부(5)에 보내지도록 구성되는 것에 의해, 탈취조(1)에 보내진 공기가 챔버(3)의 거의 전체에 확산된 상태에서 탈취부(5)에 보내지게 되어, 탈취부(5) 전역의 발포재(17)에 취기를 수반하는 공기가 접촉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공기 교반 장치 등에 의한 탈취조(1) 내의 공기의 강제적인 교반을 행하지 않아도, 탈취부(5) 전역에 있어서 미생물에 의한 취기의 분해 탈취가 행해져, 효율이 높은 탈취를 행할 수 있다. 이로써, 대형의 탈취조(1)를 구비한 대규모 장치라도, 제조 비용의 앙등을 억제하면서, 분해 탈취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이 실시형태 1의 탈취 처리 시스템(50)의 미생물 탈취 장치(1A)에 있어서는, 통기 저항층(4)은, 공기 유로(20)에서의 공기의 유통 방향에 면하여 배치되어 공기 유로(20)의 거의 전체면을 막는 통기 저항층으로서 형성된 것에 의해, 공기 유로(20) 전역에 걸쳐 용이한 공기의 유통이 저해된 결과, 탈취조(1)에 보내진 취기를 수반하는 공기는 탈취부(5) 전역에 골고루 퍼지기 쉬워지고, 또한, 탈취조(1)를 흐르는 공기의 유속이 억제되어, 탈취부(5) 전역의 발포재(17)에, 취기를 수반하여 공기를 장시간 접촉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대형의 탈취조(1)를 구비한 대규모 장치라도, 탈취부(5) 전역에 있어서 미생물에 의한 취기의 분해 탈취를 효율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 1의 탈취 처리 시스템(50)의 미생물 탈취 장치(1A)에 있어서는, 통기 저항층(4)을 부직포형의 재질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악취에 섞인 분진이 탈취부(5)에 유입하고, 탈취부(5)에 배치된 발포재(17)의 세공(細孔)을 폐색(閉塞)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 실시형태 1의 탈취 처리 시스템(50)의 미생물 탈취 장치(1A)에 있어서는, 통기 저항층(4)은, 통기 저항층(4)에 더하여, 탈취조(1)의 내주부의 벽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 통기 저항 돌출부(18)를 구비한 것에 의해, 공기가 유통하기 쉬운 탈취조(1) 내부의 벽면부 근방의 공기의 유통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층 높이고, 그 결과, 탈취조(1)에 보내진 취기를 수반하는 공기는 탈취조(1) 내부에 체류하여 탈취조(1) 전역에 한층 골고루 퍼지기 쉬워진다. 이로써, 대형의 탈취조(1)를 구비한 대규모 장치라도, 제조 비용의 앙등을 억제하면서, 한층 높은 분해 탈취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이 실시형태 1의 탈취 처리 시스템(50)의 미생물 탈취 장치(1A)에 있어서는, 챔버부(3)는, 탈취조(1)에서의 탈취부(5)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공기 유로(20)는 탈취조(1)의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공기를 흐르게 하는 상태로 구성되며, 챔버부(3)에는, 챔버부(3)에 공기를 도입하는 삽통공(揷通孔)(10)이 설치되고 또한, 삽통공(10)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수평 방향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유통로(12)로서의 확산로(13)가 형성된 것에 의해, 삽통공(10)으로부터 보내진 공기를, 챔버부(3)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확산시켜 탈취부(5)에 보낼 수 있다. 이로써, 취기를 수반하는 공기는 탈취조(1) 전역에 한층 골고루 퍼지기 쉬워진다. 이로써, 대형의 탈취조(1)를 구비한 대규모 장치라도, 제조 비용의 앙등을 억제하면서, 한층 높은 분해 탈취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이 실시형태 1의 탈취 처리 시스템(50)의 미생물 탈취 장치(1A)에 있어서는, 확산로(13)는, 복수의 U자 홈(11)에 의해 형성된 것에 의해, 확산로(13)를 저비용으로 구축하고, 또한, 삽통공(10)으로부터 보내진 공기를, 챔버부(3)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구조를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의 탈취 처리 시스템(50)의 미생물 탈취 장치(1A)에 있어서는, 챔버부(3)의 위쪽에는, 발포재(17)의 챔버부(3)로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대략 메쉬형의 낙하 방지 부재(16)가 설치된 것에 의해, 발포재(17)가 챔버부(3)에 낙하하여 챔버부(3) 내의 공기 유로(20)를 막아버려, 취기를 수반하는 공기가 탈취조(1)에 골고루 퍼지지 않게 되는 사태를 간편한 구조로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살수부의 사용 태양]
각종 시설(100)에 있어서 발생한 오수는, 개폐 밸브(410)를 열고 펌프(310)를 구동함으로써, 오수 배관(210)을 통하여 오수 처리 설비(60)에 보내진다.
오수 처리 설비(60)에 보내진 오수는, 정화 처리되고, 처리수로서 처리수 배관(220)으로부터 배출된다. 이 처리수는, 개폐 밸브(420)를 열고 펌프(320)를 구동함으로써, 그 처리수의 일부가 바이패스 배관(230)을 통하여 살수부(22)로부터 안개형으로 하고, 탈취부(5)의 위쪽으로부터 탈취부(5)에 적하시킨다. 탈취부(5)에 적하된 물은, 탈취부(5)나 통기 저항층(4)의 발포재(17)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생육과 활동의 촉진에 사용된다.
탈취부(5)나 통기 저항층(4)으로부터 더욱 적하된 물은, 챔버부(3)에 적하하고, 챔버부(3)로부터 저수조(2)에 더욱 적하하여 저수조(2)에 저류된다. 저수조(2)에 저류한 물은, 개폐 밸브(430)를 열고 펌프(330)를 구동함으로써, 리턴 배관(240)을 거쳐 오수 배관(210) 내를 유통하는 오수와 합류하고 오수 처리 설비(60)에 유입한다.
여기서, 미생물 탈취 장치(1A) 내에 보내진 냄새 성분이 황화수소나 황화메틸 등의 고농도의 황화계 취기인 경우에는, 주로 유황세균을 미생물에 정착하여 탈취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미생물이 유황 화합물을 분해하여 황산을 발생시킨다. 이 때문에,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순환수 방식을 채용하면, 물을 순환할 때마다 순환수 중의 황산 농도가 높아지고, 그 순환수의 수소이온 농도가 pH=1 부근까지 저하되어, 미생물이 서식할 수 없게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살수부(70)에 의해, 오수 처리 설비(60)의 처리수를 미생물 탈취 장치(1A)로 안내하고 미생물 유지 담체의 미생물에 살수하고 또한, 살수하여 미생물 탈취 장치(1A) 내를 통과한 물을 오수 처리 설비(60)의 유입로 측으로리턴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미생물 탈취 장치(1A) 내를 흐르는 물을 계속 순환시키는 것에 의해 미생물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작용 효과]
이상, 이 실시형태 1의 탈취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살수부(70)는, 오수 처리 설비(60)의 처리수를 미생물 탈취 장치(1A)로 안내하고 미생물 유지 담체의 미생물에 살수하고 또한, 살수하여 미생물 탈취 장치(1A) 내를 통과한 물을 오수 처리 설비(60)의 유입로 측으로 리턴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미생물 탈취 장치(1A) 내를 흐르는 물을 계속 순환시키는 것에 의해 미생물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탈취를 계속할 수 있고, 물의 사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미생물 탈취 장치(1A) 내를 흐르는 물에 오수 처리 설비(60)의 처리수배관(220)에 배출된 처리수를 사용하므로, 수온이 높지 않고, 미생물 탈취 장치(1A) 내를 흐르는 공기를 냉각하고, 미생물의 반응 온도대를 유지하므로, 미생물에 의한 분해 탈취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2]
도 5는, 이 실시형태 2의 탈취 처리 시스템(50)의 미생물 탈취 장치(1B)의 일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일부의 부품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 실시형태 2에 있어서는, 이 실시형태 1의 탈취 처리 시스템(50)의 미생물 탈취 장치(1A)의 격벽(3a)과 설치돌출부(14)와 팰릿(15)에 대신하여, 챔버부(3)의 내부에, 도 5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유통용 하우징부(24)가 배치된 구성을 가진다.
이 유통용 하우징부(24)는, 이 실시형태 1의 탈취 처리 시스템(50)의 미생물 탈취 장치(1A)의 챔버부(3)와 팰릿(15)의 기능을 함께 가진다. 즉, 유통용 하우징부(24)는, 배기관(200)으로부터 챔버부(3)에 유입된 공기를 수평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기능, 및 챔버부(3)와 통기 저항층(4)이나 탈취부(5)를 통기시키면서 발포재(17)가 아래쪽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유통용 하우징부(24)는, 특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 예를 들면 경질의 수지에 의한 성형품 등에 의해, 대략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만, 유통용 하우징부(24)는, 특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수지 이외의 재질, 예를 들면, 목재나 두꺼운 종이 등, 어떤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5에 나타내는, 이 실시형태의 유통용 하우징부(24)는, 세로 방향 크기(L), 가로 방향 크기(W), 높이(H)가, 챔버부(3)의 내부의 세로 방향 크기(L), 가로 방향 크기(W), 높이(H)와 대략 동일하게 되고, 챔버부(3)의 내부에 거의 간극없이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통용 하우징부(24)에는, 챔버부(3)의 삽통공(10)에 대응하는 위치에 삽통공부(10a)가 형성되어 있다. 유통용 하우징부(24)의 위쪽은 그물코형의 개구부(10b)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0b)는, 대부분의 발포재(17)가 낙하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개구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지 않지만, 유통용 하우징부(24)의 내부에는, 수지 성형 등에 의해, 이 실시형태 1의 챔버부(3)의 확산로(13)를 포함하는 유통로(12)(도 3 참조)와 마찬가지의 유통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고, 이 유통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배기관(200)으로부터 챔버부(3)에 유입된 공기는 수평 방향으로 확산한다.
상기한 것 이외의 미생물 탈취 장치(1B)의 구성은, 이 실시형태 1의 미생물 탈취 장치(1A)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 2에 있어서는, 챔버부(3)의 내부에, 수지 등으로 형성된 유통용 하우징부(24)를 설치하고, 이 유통용 하우징부(24)의 내부의 유통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배기관(200)으로부터 챔버부(3)에 유입된 공기를 수평 방향으로 확산시킴으로써, 삽통공(10a)으로부터 보내진 공기를, 챔버부(3)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확산시켜 탈취부(5)에 보내는 구성과, 챔버부(3)와 통기 저항층(4)이나 탈취부(5)를 통기시키면서 발포재(17)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경량으로 또한 강성이 높은 상태로, 나아가서는 저비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3]
도 6은, 이 실시형태 3의 탈취 처리 시스템(50)의 미생물 탈취 장치(1C)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 실시형태 3에 있어서는, 탈취부(5), 및 통기 저항층(4)에서의 공기 유로(20)가, 도 6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래비린스(labyrinth) 형상(꾸불꾸불한 산길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실시형태 3의 탈취부(5), 및 통기 저항층(4)에는, 측면에서 볼 때의 상태로,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 설치된 아래쪽돌출부(25a)와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 설치된 위쪽돌출부(25b)가, 수평 방향을 향해 교호적(交互的)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 3에 있어서, 아래쪽돌출부(25a)는 격벽(3a)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탈취조(1)의 위쪽의 일측 측으로부터 타측 측에 걸쳐 판형의 천장부(19a)가 설치되고, 개구부(19)는, 천장부(19a)보다 탈취조(1)의 타측 측에 개구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 3에 있어서는, 이 실시형태 1의 살수부(22)에 대신하여, 아래쪽돌출부(25a)와 위쪽돌출부(25b)의 간극(間隙)마다 복수 예를 들면 5개의 살수부(22a, 22b, 22c, 22d, 22e)가 설치되어 있다. 다만, 살수부(22a, 22b, 22c, 22d, 22e)의 개수는 아래쪽돌출부(25a)와 위쪽돌출부(25b)의 간극의 개수와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고, 탈취부(5) 및 통기 저항층(4)에 배치된 발포재(17)의 미생물을 서식시키기 위해 충분한 살수를 할 수 있는 위치나 개수가 설치되어 있으면, 살수부(22a, 22b, 22c, 22d, 22e)의 배치 위치나 배치 개수는 어떤 것이라도 된다.
상기한 것 이외의 미생물 탈취 장치(1C)의 구성은, 이 실시형태 1의 탈취 처리 시스템의 미생물 탈취 장치(1A)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 3에 있어서는, 챔버부(3)를 거쳐 통기공부(3b)로부터 통기 저항층(4) 및 탈취부(5)에 유입된 공기는, 형성된 공기 유로(20)를 따라, 도 6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경로를 따라 통기 저항층(4) 및 탈취부(5)를 흐른다. 구체적으로는, 통기공부(3b)로부터 통기 저항층(4) 및 탈취부(5)에 유입된 공기는, 아래로부터 위로, 위로부터 아래로 상하 방향으로 진로를 바꾸면서 일측 측으로부터 타측 측(도 6에서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진행하고, 개구부(19)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이 실시형태 3의 탈취 처리 시스템의 미생물 탈취 장치(1C)는, 아래쪽돌출부(25a)와 위쪽돌출부(25b)와, 및 격벽(3a)과 천장부(19a)에 의해, 통기 저항층(4) 및 탈취부(5)의 공기 유로(20)를 래비린스형으로 형성한 것에 의해, 이 실시형태 1과 같이 아래쪽돌출부(25a)와 위쪽돌출부(25b)와, 및 천장부(19a)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에 비교하여 통기 저항층(4) 및 탈취부(5)에서의 공기의 이동 거리가 길어진다. 이 때문에, 통기 저항층(4) 및 탈취부(5)에 있어서, 발포재(17)(및 발포재(17)에 서식하는 미생물)에 접촉하는 공기의 양이 증대한다. 이 때문에, 통기 저항층(4) 및 탈취부(5)에 있어서, 더욱 높은 탈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실시형태 3에 있어서는, 아래쪽돌출부(25a)와 위쪽돌출부(25b)의 간극마다 베치된 22a, 22b, 22c, 22d, 22e에 의해 탈취부(5) 및 통기 저항층(4)에 살수됨으로써, 아래쪽돌출부(25a)와 위쪽돌출부(25b)에 의해 살수가 저해되지 않고, 탈취부(5) 및 통기 저항층(4)의 발포재(17)에 살수하고, 발포재(17)의 미생물의 성육을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 3에 있어서는, 아래쪽돌출부(25a)를 통기 저항층(4)의 아래쪽의 격벽(3a)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 설치하고, 통기 저항층(4) 및 탈취부(5)의 공기 유로(20)를 래비린스 형상으로 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아래쪽돌출부(25a)를 탈취조(1)의 탈취부(5)의 위치의 측방 벽면으로부터 돌출 설치시키고, 탈취부(5)의 공기 유로(20)만을 래비린스 형상으로 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4]
도 7은, 이 실시형태 4의 탈취 처리 시스템(50)의 미생물 탈취 장치(1D)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 실시형태 4의 탈취조(1)에는, 살수용 배관(7)이 설치되어 있다. 이 살수용 배관(7)은, 탈취조(1)의 벽면, 특히, 탈취조(1)의 탈취부(5)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저수조(2)에는, 일부에 배관 삽통공(6)이 개구 형성되고, 배관 삽통공(6)에는 저수조(2)에 저류된 물을 유통시키기 위한 살수용 배관(7)이 삽통되어 있다.
이 살수용 배관(7)은, 일단 측이 저수조(2)에 배치되고, 타단 측이 탈취조(1)의 위쪽에 배치된 바이패스 배관(23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살수용 배관(7)의 일부에는, 펌프(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펌프(21)는, 전동기(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하고, 저수조(2)의 내부에 저류된 물을 살수용 배관(7)에 흡인하고, 살수용 배관(7)의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유동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 그리고, 바이패스 배관(230)의 타단 측에는, 살수부(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살수부(22)는 분무기로서 형성되고, 탈취부(5)의 위쪽으로부터 살수용 배관(7)을 유통한 물 및 바이패스 배관(230)을 유통하는 처리수를 안개형으로 하여 탈취부(5)에 적하시킨다. 다만, 살수부(22)는 탈취부(5)에 물을 적하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떤 태양이라도 된다.
또한, 살수용 배관(7)에는, 망형의 스트레이너(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트레이너(23)는, 살수용 배관(7)의 내부를 물과 함께 흐르는 미세한발포재(17)를 여과하고, 제거하여 회수하기 위한 기능을 발휘한다.
저수조(2)의 내부에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 장치(8)가 설치되어 있다. 이 마이크로 버블 발생 장치(8)는, 저수조(2)의 내부의 물에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키고, 기포를 함유하는 물을 살수용 배관(7)에 유입시킨다.
살수용 배관(7)에 유입된 물은,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유동하고, 저수조(2) 내를 순환하거나, 혹은 바이패스 배관(230)을 유통하는 처리수와 일부가 합류하여 살수부(22)로부터 탈취조(1)의 내부에 살수된다. 살수된 물은, 탈취조(1)의 내부에 적하되어, 탈취부(5)나 통기 저항층(4)의 발포재(17)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성육에 사용된다.
탈취조(1)의 내부에 살수되는 물은, 저수조(2)의 내부에서 마이크로 버블 발생 장치(8)가 발생한 미세한 기포를 포함하는, 공기 함유량이 많은 물이므로, 발포재(17)의 내부나, 저수조(2)에 저류된 물속에서 서식하는 미생물의 성육과 활동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탈취부(5)나 통기 저항층(4)으로부터 더욱 적하한 물은, 챔버부(3)에 적하하고, 챔버부(3)로부터 저수조(2)에 더욱 적하하여 저수조(2)에 다시 저류된다. 이와 같이, 미생물 탈취 장치(1D)에 있어서는, 물을 순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발포재(17)에 서식하는 미생물은 활동 시에 열을 발하므로, 발포재(17)가 배치된 탈취부(5)나 통기 저항층(4)은 발열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살수용 배관(7)은, 탈취조(1)의 벽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므로, 살수용 배관(7)의 내부를 흐르는 물은, 탈취부(5)나 통기 저항층(4)으로부터 발생하는 열로 데워진다. 이 때문에, 미생물 탈취 장치(1D)를 한냉지에서 사용하는 경우라도, 살수용 배관(7)의 내부를 유통하는 물의 동결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탈취부(5)나 통기 저항층(4)에 존재하는 미세한 발포재(17)는, 물의 적하와 함께 저수조(2)에 낙하하여 저수조(2)에 침전한다. 이 저수조(2)에 침전한 미세한 발포재(17)는, 살수용 배관(7)에 설치된 스트레이너(23)에 여과되어 제거되고, 회수된다.
이 실시형태 4의 탈취 처리 시스템(50)의 미생물 탈취 장치(1D)에 있어서는, 살수된 물을 저류하는 저수조(2)를 탈취조(1)의 아래쪽에 설치하고, 그 물의 산성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탈취부(5)에 살수하는 물을 순환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물의 산성 농도가 높아진 경우에는, 물을 항상 순환시키지 않고 오수 처리 설비(60)에서 정화 처리한 처리수를 유입시켜, 산성 농도를 희석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살수된 저수조(2) 내의 물의 pH값을 pH센서에 의해 상시 측정하고, 이 pH센서의 pH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저하한 경우에, 펌프(320, 330) 및 개폐 밸브(420, 43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오수 처리 설비(60)에서 정화 처리한 처리수를 유입시켜 pH값을 중성 부근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들 제어를 원격으로 또한 자동으로 조작하기 위해서는, 펌프(320, 330) 및 개폐 밸브(420, 430)를 원격 조작 가능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실시형태 4의 탈취 처리 시스템(50)의 미생물 탈취 장치(1D)에 있어서는, 살수용 배관(7)은 탈취조(1)를 따라 배치되는 것에 의해, 살수시키는 물을 유통시키는 살수용 배관(7)은 탈취조(1) 내의 미생물이 발하는 열로 저절로 보온 되게 된다. 이 때문에, 미생물 탈취 장치(1D)를 한냉지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살수용 배관(7)을 유통하는 물의 동결을 간편하게 또한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 1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례이며, 본 발명이 본 실시형태 1 내지 4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각 실시형태의 탈취 처리 시스템(50)에 있어서, 고농도이면서 고온 암모니아성 가스를 탈취하는 경우에는, 유리 탈취 방식에 있어서, 순환수의 살수량을 종전의 양(유리 재충전량의 몇%)보다 대폭으로 증가함으로써, 탈취조(1)를 흐르는 배기 가스 온도를 냉각하고, 순환수 중의 암모니아 농도의 과잉한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 양돈장에는, 오수 처리 설비로서의 오줌 처리 설비(6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탈취용의 순환수로서 오줌 처리 설비(60)의 처리 후의 물을 이용하고, 또한 순환수 중 일정량을 고의로 저수조(2) 내로부터 오버플로우시킨다.
이로써, 탈취조(1) 내부를 흐르는 배기 가스를 냉각시키고, 또한 탈취조(1) 내를 흐르는 물의 암모니아 농도의 과잉한 상승을 방지할수 있다. 또한, 순환수를 저수조(2) 내로부터 오버플로우시킴으로써, 수온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황화계, 고농도 암모니아 모두, 미생물 탈취 장치(1A, 1B, 1C, 1D)와 오줌 처리 설비(60)의 급배수량은 1일에 1∼2 톤 정도이므로, 오줌 처리 설비(60)에 대한 환경 부하는 거의 없는 것과 같다.
또한, 예를 들면, 이 실시형태 1의 탈취 처리 시스템(50)에 있어서, 오수 처리 설비(60)에 배기관의 일단이 접속되고, 이 배기관의 타단이 배기관(200)에 접속하고, 상기 배기관의 도중에는, 그 배기관에 오수 처리 설비(60)의 공기를 배기관(200)에 강제적으로 송기하는 송풍기와, 상기 배기관을 개폐하는 밸브를 설치하고, 오수 처리 설비(60) 내의 취기를 수반하는 공기를 배기관(200)에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오수 처리 설비(60) 내로부터 취기를 수반하는 공기를 배출할수 있다.
또한, 각 실시형태의 탈취 처리 시스템(50)에 있어서, 각종 시설(100)은, 오수 및 악취를 포함하는 공기의 양쪽을 발생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오수를 발생하는 시설과, 악취를 포함하는 공기를 발생하는 시설이 분리하여 구성된 것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의 탈취 처리 시스템(50)의 미생물 탈취 장치(1A, 1B, 1C, 1D)는, 다양한 분야에서, 악취를 포함하는 공기의 탈취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탈취 처리 시스템(50)의 미생물 탈취 장치(1A, 1B, 1C, 1D)는, 말, 소, 돼지, 닭 등의 가축의 똥으로부터 제조하는 가축분 퇴비의 제조 시설에 있어서 발생하는 악취를 포함하는 공기로부터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예를 들면, 미생물 탈취 장치(1A, 1B, 1C, 1D)는, 제지 공장에서의 탈수 공정에서 발생하는 악취(황화수소 등)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예를 들면, 미생물 탈취 장치(1A, 1B, 1C, 1D)는, 하수 오니(汚泥) 등의 유기성 페기물의 처리 시설 등에 있어서, 유기성 페기물로부터 제조하는 하수 퇴비의 제조에 있어서 발생하는 악취를 포함하는 공기로부터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미생물 탈취 장치(1A, 1B, 1C, 1D)는, 이들 구체예 이외의 다양한 악취를 발생하는 시설이나 장치 등의 악취의 제거에 사용된다.
1A, 1B, 1C, 1D: 미생물 탈취 장치
1: 탈취조
2: 저수조
3: 챔버부
4: 통기 저항층(통기 저항부)
5: 탈취부
7: 살수용 배관
10: 삽통공(도입부)
11: U자 홈
13: 확산로
16: 낙하 방지 부재
17: 발포재
18: 통기 저항 돌출부(통기 저항부)
19: 개구부
20: 공기 유로
50: 탈취 처리 시스템
60: 오수 처리 설비, 오줌 처리 설비
70: 살수부
100: 각종 시설
200: 배기관
210: 오수 배관(유입로)
220: 처리수 배관(유출로)
230: 바이패스 배관
240: 리턴 배관
300: 송풍기
310: 펌프
320: 펌프
330: 펌프
400, 410, 420, 430: 개폐 밸브

Claims (8)

  1. 미생물 유지 담체로서의 발포재를 수용하는 중공(中空)의 탈취조(脫臭槽)를 구비하고, 상기 탈취조에 공기를 보내고, 상기 공기가 함유하는 냄새 성분을 상기 탈취조에 수용된 상기 발포재에 서식하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 탈취하는 미생물 탈취 장치로서,
    상기 탈취조는, 상기 공기가 한쪽 측으로부터 다른 쪽 측으로 통과하는 공기 유로(流路)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 유로에 있어서,
    상기 발포재가 충전된 탈취부와,
    상기 탈취부의 위쪽, 아래쪽 또는 중간에 인접하여 상기 탈취부의 윗면, 아랫면 또는 중간의 전체면(全面)을 막도록 설치되고, 상기 발포재가 충전된 상태의 상기 탈취부보다도 통기 저항이 높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섬유상(纖維狀)의 통기 저항층으로서 형성되어 상기 공기 유로를 흐르는 상기 공기의 통기(通氣) 저항을 높이는 통기 저항부와,
    상기 탈취부, 및/또는, 상기 통기 저항부에 인접 또는 근접하여 설치된, 상기 탈취조에 보내진 상기 공기를 일시적으로 저류(貯留)하는 방으로서의 챔버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 유로를 흐르는 상기 공기의 유통(流通)이, 상기 통기 저항부에 의해 상기 통기 저항이 높여진 결과, 상기 공기는 상기 챔버부에 있어서 상기 탈취부의 거의 전체면에 퍼진 상태로 상기 탈취부에 보내지도록 구성된,
    미생물 탈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저항부는, 상기 통기 저항층에 더하여, 상기 탈취조의 내주부의 벽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 통기 저항 돌출부를 구비한, 미생물 탈취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는, 상기 탈취조에서의 상기 탈취부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유로는 상기 탈취조의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상기 공기를 흐르게 하는 상태로 구성되며,
    상기 챔버부에는, 상기 챔버부에 상기 공기를 도입하는 도입부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도입부로부터 유입된 상기 공기를 수평 방향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공기 유로로서의 확산로가 형성된, 미생물 탈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로는, 복수의 U자 홈에 의해 형성된, 미생물 탈취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의 위쪽에는, 상기 발포재의 상기 챔버부로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대략 메쉬형의 낙하 방지 부재가 설치된, 미생물 탈취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재에 살수(散水)하기 위한 물을 도통(導通)시키는 살수용 배관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탈취조의 아래쪽에는, 살수된 상기 물을 저류하는 저수조가 설치되고,
    상기 살수용 배관은, 상기 탈취조를 따라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저수조에 저류한 물을 순환하여 살수할 수 있도록 배치된, 미생물 탈취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미생물 탈취 장치,
    오수를 유입로(流入路)로부터 유입하여 정화 처리하고, 그 처리수를 유출로에 배출하는 오수 처리 설비, 및
    상기 처리수의 일부를 상기 미생물 탈취 장치로 안내하여 상기 미생물 유지 담체의 미생물에 살수하고 또한, 살수하여 상기 미생물 탈취 장치 내를 통과한 물을 상기 오수 처리 설비의 상기 유입로 측으로 리턴하도록 구성한 살수부
    를 포함하는 탈취 처리 시스템.
  8. 삭제
KR1020217032334A 2019-03-12 2020-02-25 미생물 탈취 장치 및 탈취 처리 시스템 KR102621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45125A JP7305153B2 (ja) 2019-03-12 2019-03-12 微生物脱臭装置
JPJP-P-2019-045125 2019-03-12
JP2020024256A JP7450914B2 (ja) 2020-02-17 2020-02-17 脱臭処理システム
JPJP-P-2020-024256 2020-02-17
PCT/JP2020/007294 WO2020184159A1 (ja) 2019-03-12 2020-02-25 微生物脱臭装置及び脱臭処理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193A KR20210132193A (ko) 2021-11-03
KR102621121B1 true KR102621121B1 (ko) 2024-01-03

Family

ID=72426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334A KR102621121B1 (ko) 2019-03-12 2020-02-25 미생물 탈취 장치 및 탈취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61189A1 (ko)
EP (1) EP3939688A4 (ko)
KR (1) KR102621121B1 (ko)
CN (1) CN113557075B (ko)
WO (1) WO20201841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109339B2 (en) * 2020-11-03 2024-10-08 Hong Min Kim Flatulence cleaning apparatus
CN116589106B (zh) * 2023-06-18 2023-12-08 无锡轻大百特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利用微生物的污水除臭处理工艺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3885A (ja) * 2003-06-26 2005-01-20 Canon Inc 排ガスの脱臭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100686937B1 (ko) 2006-08-01 2007-02-26 주식회사 엔바이온 회전식 고압분사수단을 부착한 생물학적 탈취장치
JP2014004522A (ja) 2012-06-25 2014-01-16 Tottori Prefecture 畜産動物排泄物、畜産副産物等の脱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2679A (ja) * 1983-02-03 1984-08-15 Fuji Electric Co Ltd 画像の射影分布検出回路
JP2605412Y2 (ja) * 1993-04-30 2000-07-17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容量調節型脱臭装置
JP3845683B2 (ja) * 1998-04-28 2006-11-15 独立行政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脱臭装置
JP2001334124A (ja) * 2000-05-26 2001-12-04 Nichiboo:Kk 脱臭装置および方法
DE202008009666U1 (de) * 2008-07-18 2008-11-27 Kompetenzteam Gbr (Vertretungsberechtigte Gesellschafter: Uwe Wessel Filter zur Luftreinigung auf biologischer Basis
CN101632899B (zh) * 2009-04-14 2011-11-16 北京昊海天际科技有限公司 恶臭气体的除臭灭菌处理装置及方法
JP2011056339A (ja) 2009-09-07 2011-03-24 Gunma Industry Support Organization 脱臭装置
CN101745310B (zh) * 2010-02-05 2012-05-09 江苏博恩环境工程成套设备有限公司 一种利用生物土壤过滤除臭的方法及装置
US20120202275A1 (en) * 2011-02-04 2012-08-09 Luis Uribe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airborne contaminants from exhaust gas
KR101206936B1 (ko) * 2012-10-19 2012-12-04 주식회사삼영이앤티 바이오탈취기의 그레이팅 고정용 망체 고정구
CN107185395A (zh) * 2017-07-07 2017-09-22 西原环保工程(上海)有限公司 除臭装置和应用其除臭的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3885A (ja) * 2003-06-26 2005-01-20 Canon Inc 排ガスの脱臭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100686937B1 (ko) 2006-08-01 2007-02-26 주식회사 엔바이온 회전식 고압분사수단을 부착한 생물학적 탈취장치
JP2014004522A (ja) 2012-06-25 2014-01-16 Tottori Prefecture 畜産動物排泄物、畜産副産物等の脱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193A (ko) 2021-11-03
WO2020184159A1 (ja) 2020-09-17
US20220161189A1 (en) 2022-05-26
CN113557075B (zh) 2024-08-16
CN113557075A (zh) 2021-10-26
EP3939688A1 (en) 2022-01-19
EP3939688A4 (en) 202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307B1 (ko) 축산시설 악취처리 시스템
KR101112079B1 (ko) 세정탑을 이용한 발효건조실과 축사의 오염공기 탈취장치
KR101024296B1 (ko) 고농도 복합 악취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생물학적 탈취 장치
KR102621121B1 (ko) 미생물 탈취 장치 및 탈취 처리 시스템
JPH11169654A (ja) 循環式微生物脱臭装置
KR101860480B1 (ko) 축사 관리 시스템
KR20180031211A (ko) 악취물질을 먹이로 한 호기성 유용 미생물군을 이용한 악취제거 돈사와 그 시스템
WO2020040244A1 (ja) 畜舎、畜舎の臭気低減システム及び脱臭装置並びに畜舎の換気システム
KR101056064B1 (ko) 고농도 악취와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를 위한 스크러버와 바이오필터 일체형 탈취장치
CN201249097Y (zh) 多级多段复合脱臭装置
KR101248110B1 (ko) 액비를 이용한 악취 저감 돈사 세정 순환 시스템
KR102047210B1 (ko) 복합탈취장치
JP2011056339A (ja) 脱臭装置
JP2691517B2 (ja) 生物脱臭装置
JP2005161258A (ja) 高濃度アンモニア含有ガスの亜硝酸化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7450914B2 (ja) 脱臭処理システム
JPH0833884A (ja) 脱臭装置付設廃水処理装置
KR100749726B1 (ko) 악취 탈취장치
CN211051226U (zh) 臭气除臭系统
JP3845683B2 (ja) 脱臭装置
JP7305153B2 (ja) 微生物脱臭装置
KR100937106B1 (ko) 악취 저감 장치
JPH04330915A (ja) 脱臭装置
CN211246098U (zh) 集装箱式除臭系统
JP2002113323A (ja) 脱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