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014B1 - 속눈썹 화장료 - Google Patents

속눈썹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014B1
KR102620014B1 KR1020207011618A KR20207011618A KR102620014B1 KR 102620014 B1 KR102620014 B1 KR 102620014B1 KR 1020207011618 A KR1020207011618 A KR 1020207011618A KR 20207011618 A KR20207011618 A KR 20207011618A KR 102620014 B1 KR102620014 B1 KR 102620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eyelash
polar solvent
polyurethane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1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8502A (ko
Inventor
유카리 다츠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이세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이세항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이세항
Publication of KR20200078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0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속눈썹 화장료는 폴리우레탄 및 극성 용매를 함유한다.

Description

속눈썹 화장료
본 발명은, 속눈썹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속눈썹 화장료(마스카라,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는 내수성이나 컬력을 중시하는 유성 재료로 구성되는 워터프루프 타입(이하 WP 타입), 전용 리무버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온수로 화장을 지우는 것이 가능하며 간편한 클렌징성을 중시하는 필름 타입(이하 FM 타입)이 있다. 그러나 근년, 내수성이나 컬력을 구비하고, 간편하게 화장을 지울 수 있는 니즈가 요구되고 있지만, 그것을 만족시키는 것은 없다.
FM 타입에서는 물을 기재로 하여, 우레탄 에멀션을 사용하여 피막 형성시키는 것(특허문헌 1) 등이 있다. 이것은 마스카라를 지우는 것이 간편하지만, 컬력은 WP 타입과 비교하여 크게 열악하여, 시장 니즈를 만족시키는 것은 아니다. 특히, 폴리우레탄의 피막은 유연하기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이 왁스 등 유계 성분을 많이 배합하거나, 특허문헌 2와 같이 아크릴 에멀션과 혼합하여 유리 전이점(Tg)을 높임으로써, 컬력을 보충할 필요가 있었다. 특허문헌 3 및 4에는, 폴리우레탄과, 유기 광물 증점제용의 활성제로서의 탄산프로필렌을 함유하는 속눈썹 화장료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5에는, 술포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및 폴리아크릴산 폴리머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염료를 함유하는 속눈썹 화장료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2688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9355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9573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20805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2000-513002호 공보
상기와 같이 기지의 속눈썹 화장료에는 아직 개선해야 할 여지가 있어, 신규의 속눈썹 화장료가 기대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는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폴리우레탄에 극성 용매를 첨가함으로써 내수성과 신축성이 대폭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에 관한 것이다.
발명 1
폴리우레탄과 극성 용매를 함유하는 속눈썹 화장료로서,
극성 용매가, 글리콜의 모노 혹은 디알킬(C1 내지 C4)에테르 또는 C2 내지 C6카르복실산과의 에스테르 화합물, 알켄(C2 내지 C4)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케톨(C3 내지 C6)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속눈썹 화장료.
발명 2
술포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및 폴리아크릴산 폴리머 및 그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고분자 염료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발명 1의 속눈썹 화장료.
발명 3
극성 용매가, 메틸글리콜, 에틸글리콜, 부틸글리콜, 에톡시디글리콜, 부톡시디글리콜, 디메톡시디글리콜, 디에톡시디글리콜, 아세트산2-에톡시에틸, 히드록시아세톤 및 디아세톤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속눈썹 화장료.
발명 4
극성 용매가, 메틸글리콜, 에틸글리콜, 부틸글리콜, 에톡시디글리콜, 부톡시디글리콜, 디메톡시디글리콜, 디에톡시디글리콜, 히드록시아세톤 및 디아세톤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발명 3에 기재된 속눈썹 화장료.
발명 5
극성 용매가 에톡시디글리콜, 탄산프로필렌 및 디아세톤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발명 4에 기재된 속눈썹 화장료.
발명 6
극성 용매가 에톡시디글리콜 및 디아세톤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발명 5에 기재된 속눈썹 화장료.
본 발명의 속눈썹 화장료는, 땀·피지 등에 강하여 화장이 지속되고, 또한 온수로 간단하게 지울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컬력이 높고 마무리가 우수하다.
도 1은 예 1(BAYCUSAN C1010만)의 내수성 시험 결과
도 2는 예 2(BAYCUSAN C1010+에톡시디글리콜)의 내수성 시험 결과
도 3은 예 3(BAYCUSAN C1010+탄산프로필렌)의 내수성 시험 결과
도 4는 예 4(BAYCUSAN C1010+디아세톤알코올)의 내수성 시험 결과
도 5는 예 5(BAYCUSAN C1010+시트르산트리에틸에스테르)의 내수성 시험 결과
도 6은 예 6(BAYCUSAN C1010+에틸글리콜)의 내수성 시험 결과
도 7은 예 7(BAYCUSAN C1010+부톡시디글리콜)의 내수성 시험 결과
도 8은 예 8(BAYCUSAN C1010+히드록시아세톤)의 내수성 시험 결과
도 9는 예 9, 예 10, 예 11, 예 12 및 예 13의 처방을 사용한 컬력 평가 시험의 사진
도 10은 컬 각도 계측의 모식도
본 발명에는 각종 대체 형태가 가능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한 양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특정한 양태의 상세히 기술은, 본 발명을 특정한 양태에 한정하고자 의도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은 특허 청구 범위에 규정한 본 발명의 진의 및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대체 형태를 포함한다.
정의
[속눈썹 화장료]
속눈썹 화장료 또는 속눈썹용 화장료란, 마스카라,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라고도 불리며, 속눈썹을 진하고, 길게 및/또는 컬되어 있도록 보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속눈썹 화장료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액상, 유액상, 젤상, 크림상, 고형상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우레탄]
본 발명의 속눈썹 화장료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우레탄(우레탄 수지)을 함유한다. 폴리우레탄은 화장품 상 허용되는 것이면 된다.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1 내지 81, 폴리우레탄 크로스폴리머-1 내지 2 등을 들 수 있다(일본 화장품 공업 연합회가 발행하는 화장품 성분 표시 명칭 리스트나 미국 퍼스널 케어 제품 평의회(PCPC)에 의한 On-Line INFOBASE 등을 참조하기 바람). 더욱 바람직하게는, 디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로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를, 디올 모노머로서 1,4-부탄디올 또는 1,6-헥산디올을 함유한다.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32, 폴리우레탄-34, 폴리우레탄-35 등을 들 수 있다. 순도 100%여도 희석되어 있어도 된다. 희석되어 있는 것으로서, 용액이어도 에멀션이어도 현탁액이어도 된다.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지만, 거기에 한정되지 않고 그의 유도체여도 상관없다. 폴리우레탄의 함유량은 0.04질량% 내지 20질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4질량% 내지 16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2질량% 내지 12질량%이다. 0.04질량% 미만이면, 속눈썹 화장료의 피막을 온수로 용이하게 지울 수 없고, 20질량%를 초과하면 양호한 컬력이 얻어지지 않는다.
[극성 용매]
본 발명의 속눈썹 화장료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극성 용매를 함유한다. 극성 용매는 조막(造膜) 보조제로서 기능한다. 극성 용매는 화장품 상 허용되는 것이며, 또한 물과 기름 양자와의 상용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글리콜의 모노 혹은 디알킬(C1 내지 C4)에테르 또는 C2 내지 C6카르복실산과의 에스테르 화합물, 환상 카르보네이트인 알켄(C2 내지 C4)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케톨(C3 내지 C6)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한다. 예를 들어, 메틸글리콜, 에틸글리콜, 부틸글리콜, 에톡시디글리콜, 부톡시디글리콜, 디메톡시디글리콜, 디에톡시디글리콜, 아세트산2-에톡시에틸, 에틸렌카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르보네이트, 부틸렌카르보네이트, 히드록시아세톤, 디아세톤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일본 화장품 공업 연합회가 발행하는 화장품 성분 표시 명칭 리스트나 화장품 원료 메이커의 카탈로그 등을 참조하기 바람).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지만, 거기에 한정되지 않고 그의 유도체여도 상관없다. 그의 함유량은 0.1질량% 내지 25질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5질량% 내지 20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질량% 내지 15질량%이다. 0.1질량% 미만이면 양호한 컬력이 얻어지지 않고, 25질량%를 초과하면 매끄러운 사용감이 얻어지지 않고, 사용감이 악화된다.
본 발명의 속눈썹 화장료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 추가로 공지된 화장료 원료이며 배합 가능하다고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1종 또는 2종 이상 함유해도 된다. 예를 들어, 휘발성 유제, 계면 활성제, 겔화제, 항케이킹제, 유화제, 분산화제, 안정제, 보습제, 증점제, 고형화제, 결합제, 증량제, 불투명화제, 활택제, 안료, 자외선 산란제, 자외선 흡수제, pH 조정제, 항산화제, 항균제, 방부제, 스킨 케어제, 윤활제, 수렴제, 에몰리언트제, 윤내기제, 광택제, 소포제, 발수성 피막제, 보호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2가지 이상의 용도·효과가 중복되어 있는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본 발명의 속눈썹 화장료는 하드 왁스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부언하면, 하드 왁스란 주위 온도(25℃)에서 고체이며, 상태가 가역성인 고체/액체의 상태 변화를 갖고, 30℃ 이상의 융해점을 갖는 친유성 화합물이며, 또한 20℃에서 5MPa보다 큰 경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이란, 본 발명의 속눈썹 화장료가 내피지성 및/또는 온수 세정 용이성을 손상시키는 양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12질량%를 초과하는 양(또는 12질량% 이상)을 함유하지 않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5질량%를 초과하는 양(또는 5질량% 이상)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본 발명의 속눈썹 화장료는 복합 수지 코어 셸형 폴리머 에멀션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복합 수지 코어 셸형 폴리머 에멀션이란, 이하의 공정 (1) 내지 (4);
(1) 에스테르기 함유 (메트)아크릴산 단량체를 함유하는 중합성 단량체로서, 이것을 중합시켜 얻어지는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가 95℃ 이상 105℃ 이하가 되는 중합성 단량체((b) 성분)의 존재 하에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과, 디메틸올프로피온산과, 지방족 또는 지환식 다가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우레탄 프리폴리머((a) 성분)를 생성시켜, (a) 성분 및 (b) 성분의 혼합액을 얻는 공정,
(2) (1)에서 얻어진 (a) 성분 및 (b) 성분의 혼합액 중의 (a) 성분이 함유하는 카르복실기를 당량의 트리에탄올아민을 사용하여 중화시켜, (a) 성분의 중화물 및 (b) 성분의 혼합액을 얻는 공정,
(3) (2)에서 얻어진 (a) 성분의 중화물 및 (b) 성분의 혼합액을, 수성 매체 중에 유화 분산시켜 유화액을 얻는 공정,
(4) (3)에서 얻어진 유화액 중의 (b) 성분을 중합시켜, 복합 수지 코어 셸형 폴리머 에멀션을 얻는 공정
의 각 공정을 순차 행함으로써 얻어지고, 공정 (1)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로서, 수 평균 분자량 10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과 수 평균 분자량 20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 2종을 94:6 내지 92:8(질량비)의 비율로 사용하고, 혼합액 중의 (a) 성분과 (b) 성분의 비율이 (a) 성분:(b) 성분(순분 질량비)=50:50 내지 60:40인 복합 수지 코어 셸형 폴리머 에멀션을 의미한다.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이란, 예를 들어 고형분 환산으로 1질량%를 초과하는 양(또는 1질량% 이상)을 함유하지 않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형분 환산으로 0.5질량%를 초과하는 양(또는 0.5질량% 이상)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본 발명의 속눈썹 화장료는 술포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및 폴리아크릴산 폴리머 및 그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고분자 염료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이란, 예를 들어 1질량%를 초과하는 양(또는 1질량% 이상)을 함유하지 않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질량%를 초과하는 양(또는 0.5질량% 이상)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속눈썹 화장료는, 당업자의 기술 상식에 따라서 관용의 처방예를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각 성분을 배합하는 방법, 순서 등은 당업자의 기술 상식에 따라서 임의이다.
실시예
이하, 구체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전혀 한정하지 않는다. 당업자는 요구되는 내수성, 온수 세정 용이성, 컬력, 기타 조건에 따라서 적절히 배합을 조정할 수 있다. 부언하면,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배합량(함유량)은 모두 질량%이다.
<극성 용매의 비교 1>
시료 제작
피막제로서, 폴리우레탄-35(BAYCUSAN C1010(폴리우레탄-35를 약 40% 함유), Covestro Deutschland AG제)를 사용하였다.
각 실시예에서는, 피막제 총량에 대하여 각 극성 용매가 10%가 되도록, 각 극성 용매 첨가하였다.
내피지성, 내수성, 온수 세정 용이성, 건조성, 안정성, 파단 강도(침수 시)에 대하여는, 피막제와 극성 용매를 혼합한 것을 닥터 블레이드로 유리 플레이트 상에 60㎛로 펴발라 2시간 건조시킨 것을 시료로서 사용하였다.
신축성에 대하여는, 실리콘형에, 피막제와 극성 용매를 혼합한 것을 2g 유입시키고, 45℃의 항온조에서 3시간 이상 건조시켜, 균일하며 두꺼운 막을 형성시키고, 형으로부터 취출한 피막을 0.2cm×5cm로 오려내어, 5kg의 누름돌을 얹어 평탄하게 하고, 방랭한 것을 시료로서 사용하였다.
평가 시험
내피지성
인공 피지(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릴(0.D.0, 닛신 오일리오 그룹(주)제)을 2방울 시료 상에 흘리고, 1분 정치하여 닦아낸 후, 그의 표면 상태를 관찰하고, 5명의 패널리스트에 의해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전원 일치로 표 1에 나타내는 평가가 되었다.
Ο: … 피막에 변화가 없다
△: … 피막이 조금 끈적거린다
×: … 피막이 현저하게 끈적거리며, 벗겨진다
내수성(24시간 액침 시험)
시료를 실온에서 물에 24시간 액침하고, 5초, 10분, 30분, 60분, 24시간에 시료를 촬영하였다. 도 1은 피막제만으로 시료를 제작한 예(예 1)이다. 도 2 내지 8은 각각 극성 용매로서 에톡시디글리콜(예 2), 탄산프로필렌(예 3), 디아세톤알코올(예 4), 시트르산트리에틸에스테르(예 5), 에틸글리콜(도 6), 부톡시디글리콜(도 7) 또는 히드록시아세톤(도 8)을 사용하여 시료를 제작한 예이다.
피막이 백탁되는 것은, 물에 팽윤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예 1, 5의 60분 후 이후에는, 액침시킨 물에 시료가 분산되어 버렸다.
촬영 결과를 5명의 패널리스트에 의해 이하의 기준으로 2단계 평가한 바, 전원 일치로 표 1에 나타내는 평가가 되었다.
○: 내수성이 좋다
×: 내수성이 나쁘다
온수 세정 용이성
시료를 약 40℃의 온수에 10초 침지하고, 5명의 패널리스트에 의해 10회 정도 손가락으로 문지르게 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전원 일치로 표 1에 나타내는 평가가 되었다.
○: … 모두 떨어진다
△: … 5할 내지 9할 정도 떨어진다
×: … 떨어지지 않는다
부언하면, 「떨어진다」란, 녹거나 또는 박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건조성
시료를 유리 플레이트에 다 칠한 순간부터, 피막의 색이 투명해질 때까지의 시간을 5명의 패널리스트에 의해 계측하여, 그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7분 미만
△: 7분 이상 9분 미만
×: 9분 이상
안정성
각 시료를 유리병에 넣어, 45℃에서 1주일 내지 1개월 정치한 후의 각 시료의 상태를, 눈으로 보거나 점도 계측에 의해, 5명의 패널리스트에 의해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전원 일치로 표 1에 나타내는 평가가 되었다.
○: … 변화 없음
△: … 약간 증점·감점된다
×: … 현저하게 증점·감점되는, 응집물이 있거나 또는 기체가 발생하고 있다.
파단 강도(침수 시)
시료를 약 40℃의 온수에 침지시켜, 5명의 패널리스트에 의해 손으로 잡아뜯게 하고, 파단 강도의 관능 평가를 1(매우 약함) 내지 5(매우 강함)로 판정하여, 그의 평균값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3.5 이상
△: 1.5 이상 3.5 미만
×: 1.5 미만
신축성
시료를 5명의 패널리스트에 의해 손으로 잡아뜯게 하고, 신축성의 관능 평가를 1(전혀 늘어나지 않음) 내지 5(잘 늘어남)로 판정하여, 그의 평균값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4.0 이상
△: 2.5 이상 4.0 미만
×: 2.5 미만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예 1, 3 및 5는 비교예이다. 예 2, 4 및 6 내지 8은 실시예이다.
시험의 결과, 극성 용매로서 탄산프로필렌을 사용한 비교예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서는 안정성이 개선되었다. 그 뿐 아니라, 건조성에 대해서도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몇 가지의 예에서는 신축성도 향상되거나, 침수 시의 파단 강도도 향상되었다.
<컬력>
처방
표 2에 따라서 2종의 속눈썹 화장료를 처방하였다.
평가 방법
붙임 속눈썹(걸즈 시크릿 01, 발매원 (주)에리자베스)을 준비하고, 1다발마다 해체한다. 그 중 1다발을, 수직으로 세운 플라스틱판에, 모가 수직 하방이 되도록 붙임 속눈썹의 뿌리를 붙이고(도 9, 10을 참조), 뷰러로 컬링시켜 상기 처방(예 9 내지 13)의 속눈썹 화장료를 30회 도포하였다. 도포 전 및 도포 5분 후의 컬 저면으로부터 모 선단까지의 각도를 측정하였다(도 9, 10을 참조). 측정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시험의 결과, 예 10의 처방은 비교예(예 9)보다도 컬력이 향상되었다. 이것은, 건조성 및 신축성이 향상된 것에서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건조 시에 피막의 수축이 보다 강하게 일어나서, 컬력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에톡시디글리콜을 피막제와 극성 용매의 합에 대하여 10%(예 10)로부터 0.1%(예 11)로 변화시켰을 때, 예 11의 처방은 예 10의 처방 정도 높은 컬력은 관찰되지 않았지만, 예 9(극성 용매 없음)보다는 높은 컬력이 얻어졌다. 또한, 그 효과는 피막제 농도가 적을 때(피막제와 극성 용매의 합을 30%(예 10)로부터 1%(예 12)로 변경)에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2)

  1. 폴리우레탄과 극성 용매를 함유하고, 술포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및 폴리아크릴산 폴리머 및 그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고분자 염료를 함유하지 않는 속눈썹 화장료로서,
    극성 용매가, 메틸글리콜, 에틸글리콜, 부틸글리콜, 에톡시디글리콜, 부톡시디글리콜, 디메톡시디글리콜, 디에톡시디글리콜, 히드록시아세톤 및 디아세톤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속눈썹 화장료.
  2. 제1항에 있어서, 극성 용매가 에톡시디글리콜 및 디아세톤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속눈썹 화장료.
KR1020207011618A 2017-10-27 2018-10-25 속눈썹 화장료 KR1026200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07721A JP6293345B1 (ja) 2017-10-27 2017-10-27 睫毛化粧料
JPJP-P-2017-207721 2017-10-27
PCT/JP2018/039598 WO2019082953A1 (ja) 2017-10-27 2018-10-25 睫毛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502A KR20200078502A (ko) 2020-07-01
KR102620014B1 true KR102620014B1 (ko) 2024-01-03

Family

ID=61628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1618A KR102620014B1 (ko) 2017-10-27 2018-10-25 속눈썹 화장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293345B1 (ko)
KR (1) KR102620014B1 (ko)
CN (1) CN111278423B (ko)
TW (1) TWI767078B (ko)
WO (1) WO20190829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0131B1 (fr) * 2019-09-03 2022-07-22 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de revêtement des fibres kératiniques
FR3100130B1 (fr) * 2019-09-03 2021-09-17 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de revêtement des fibres kératiniqu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1444A (ja) 1998-12-21 2000-07-11 L'oreal Sa ケラチン繊維を被覆するための組成物
JP2000513002A (ja) 1996-12-16 2000-10-03 ロレアル 高分子染料を含むエマルジョン形態の化粧品組成物
JP2008120805A (ja) 2006-11-08 2008-05-29 L'oreal Sa 非粘着化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3306B2 (en) * 1999-02-26 2002-07-23 L'oreal Sa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di-block, tri-block, multi-block and radial block copolymers
JP4104790B2 (ja) * 1999-08-10 2008-06-18 日本エヌエスシー株式会社 化粧料
US6656483B1 (en) * 2000-11-16 2003-12-02 Avon Products, Inc.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polyurethane
FR2824267B1 (fr) * 2001-05-04 2008-06-27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filmogene
DE102005019397A1 (de) * 2005-04-25 2006-10-26 Bayer Materialscience Ag Polyurethan-Dispersionen mit verbesserten Verfilmungseigenschaften
CA2705756C (en) * 2007-11-19 2016-02-16 Avon Products,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dry application of mascara
FR2932070B1 (fr) * 2008-06-10 2012-08-17 Oreal Ensemble de maquillage et/ou de soin des cils
EP2356981B1 (en) 2009-12-18 2019-03-20 L'Oréal SA Mascara containing aqueous dispersion of polyurethane and a hard wax
BR112013004660A2 (pt) * 2010-09-01 2016-08-02 Basf Se espessante associativo para soluções aquosas
DE102011121829C5 (de) * 2011-12-21 2023-03-09 Schwan-Stabilo Cosmetics Gmbh & Co. Kg Kosmetische Zubereitung
JP6454077B2 (ja) 2014-03-31 2019-01-16 株式会社コーセー 睫用化粧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3002A (ja) 1996-12-16 2000-10-03 ロレアル 高分子染料を含むエマルジョン形態の化粧品組成物
JP2000191444A (ja) 1998-12-21 2000-07-11 L'oreal Sa ケラチン繊維を被覆するための組成物
JP2008120805A (ja) 2006-11-08 2008-05-29 L'oreal Sa 非粘着化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67078B (zh) 2022-06-11
JP2019077659A (ja) 2019-05-23
WO2019082953A1 (ja) 2019-05-02
JP6293345B1 (ja) 2018-03-14
CN111278423A (zh) 2020-06-12
TW201922207A (zh) 2019-06-16
KR20200078502A (ko) 2020-07-01
CN111278423B (zh)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79106C (en) Cosmetic preparation containing a polyurethane-based polymer and an acrylic-based polymer
KR102453363B1 (ko) 묻어남이 개선된 메이크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1113193B (zh) 嵌段聚合物及其制备方法
US20120156153A1 (en) Naturally Derived, Polymeric Hair Fixative Systems With Pullulan, And Mascara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JP6105896B2 (ja) 液状アリール基含有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
CN104853740B (zh) 可以用温水除掉的皮肤用打底化妆品
KR102620014B1 (ko) 속눈썹 화장료
KR102463232B1 (ko)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CN105982832A (zh) 固体型彩妆化妆品组合物
JP2019522040A (ja) 粘着性が改善された、高耐久性、耐移り性を有する化粧品組成物
EP3236931A2 (en) Hair styling compositions comprising latex polymers
KR20110088179A (ko) 유중수형 눈 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CN108697628A (zh) 含莲花油的护发用头发造型组合物及其应用
JP2005170940A (ja) パーソナルケアー用途での防水剤としてのアクリレートコポリマーの使用
EP3533433A1 (en) Natural hydrocarbon/est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sensory properties, formulations and related methods
CN112336647B (zh) 一种基于水性聚氨酯分散体的美甲防溢胶
JP6144109B2 (ja) 温水で落ちる肌用下地化粧料
JP2017141165A (ja) 睫用化粧料
CN110279615A (zh) 一种可粘假睫毛的粘性眼线膏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644813B1 (ko) 고밀착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JPH10291917A (ja) 睫用化粧料
CN111789775A (zh) 用于眼部化妆的包含纤维的固体化妆品组合物
CN113811285A (zh) 化妆持久力得到改善的睫毛膏化妆料组合物
KR101754213B1 (ko) 글리세릴기가 부가된 왁스와 유연한 필름 폴리머를 함유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JP2019182840A (ja) 睫毛用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