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854B1 - 커넥터 및 커넥터 쌍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 쌍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854B1
KR102619854B1 KR1020210126213A KR20210126213A KR102619854B1 KR 102619854 B1 KR102619854 B1 KR 102619854B1 KR 1020210126213 A KR1020210126213 A KR 1020210126213A KR 20210126213 A KR20210126213 A KR 20210126213A KR 102619854 B1 KR102619854 B1 KR 102619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ross
fitting guide
side portion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5408A (ko
Inventor
사토시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20055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8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소형 저배이면서, 높은 강도를 발휘하는 동시에, 정확한 치수 정밀도를 갖는 보강 금속구를 구비하여, 신뢰성이 높아지도록 한다.
커넥터 본체는,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끼워맞춤 가이드부이며, 상대방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 본체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상대방 끼워맞춤 가이드부와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보강 금속구는, 끼워맞춤 가이드부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상면부와, 끼워맞춤 가이드부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단면부와, 끼워맞춤 가이드부의 각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1 측면부와, 끼워맞춤 가이드부의 각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2 측면부를 포함하고, 단면부는 상면부에 접속되고, 제1 측면부는 상면부에 접속되어, 제2 측면부는, 제1 측면부보다도 끼워맞춤 가이드부의 단면 근처에 위치하여, 단면부에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커넥터 쌍{connector and connector pair}
본 개시는 커넥터 및 커넥터 쌍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한 쌍의 평행한 회로 기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등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는, 한 쌍의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상호 대향하는 면의 각각에 설치되고, 서로 끼워맞춤되어 도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양단부에 설치된 보강 금속구를 전력 단자로서 기능시켜, 상대방 커넥터와의 사이에서 전원의 전류를 통전시키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참조.).
도 11은 종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811은 도시되지 않은 제1 회로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이며, 도시되지 않은 제2 회로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워맞춤 오목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볼록부(812)를 갖는다. 당해 볼록부(812)는 하우징(8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 돌기부이며, 복수의 단자(861)가 소정의 피치로 나란히 배치되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811)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보강 금속구(851)가 설치되어 있다. 당해 보강 금속구(851)는 하우징(811)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보호하는 동시에, 도시되지 않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보강 금속구와 접촉하여, 전원의 전류를 통전시키는 전력 단자로서도 기능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 금속구(851)는, 하우징(811)의 상면의 일부를 덮는 상면부(852)와, 당해 상면부(852)에 상단이 만곡부를 통해 접속되어, 상기 상면부(852)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우징(811)의 단면의 일부를 덮는 단면부(853)와, 상기 상면부(852)에 상단이 만곡부를 통해 접속되어, 상기 상면부(852)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우징(811)의 좌우 양측의 측면의 일부를 덮는 제1 측면부(854) 및 제2 측면부(85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측면부(854)의 하단은 도시되지 않은 제1 회로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전원 접속 패드에, 납땜 등의 수단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2 측면부(855)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워맞춤되면,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의 보강 금속구와 접촉하여 도통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85541호
그러나 상기 종래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보강 금속구(851)의 제1 측면부(854)의 외측면 및 제2 측면부(855)의 외측면의 커넥터 폭 방향에 관한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이 곤란하다.
상기 보강 금속구(851)는, 1매의 금속판에 타발 가공을 실시하여 상면부(852)와 단면부(853), 제1 측면부(854) 및 제2 측면부(855)가 일체적으로 접속된 개략 평판상 부재를 형성한 후, 당해 개략 평판상 부재에 구부림 가공을 실시하여, 상면부(852)에 대해 단면부(853), 제1 측면부(854) 및 제2 측면부(855)를 직교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 때, 예를 들어 제1 측면부(854)의 외측면과 제2 측면부(855)의 외측면을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면부(852)의 좌우 양측에 있어서, 제1 측면부(854) 및 제2 측면부(855)는 서로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금형 부재에 의해 동시에 구부림 가공이 실시되는 것으로 되지만, 서로 독립한 부재이기 때문에, 구부림의 정도가 엄밀하게는 동일하게 되지 않으며, 그 때문에 제1 측면부(854)의 외측면과 제2 측면부(855)의 외측면을 엄밀하게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예를 들어 커넥터의 폭 방향에 관해, 제1 측면부(854)의 위치를 제2 측면부(855)의 위치로부터 편의시키기 위해서는, 제1 측면부(854)와 제2 측면부(855)에 상이한 정도의 구부림 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있지만, 제1 측면부(854)와 제2 측면부(855)는 서로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밀도의 구부림 가공을 개별로 실시하는 것이 곤란하다.
특히, 최근에는,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低背化)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보강 금속구(851)의 각부도 미세화되어 있고, 미세하며 또한 상면부(852)의 좌우 양측에 있어서 서로 근접하는 제1 측면부(854) 및 제2 측면부(855)의 각각에 고정밀도의 구부림 가공을 실시하여, 제1 측면부(854)의 외측면 및 제2 측면부(855)의 외측면의 커넥터 폭 방향에 관한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은 현저하게 곤란하다.
여기서는, 상기 종래의 커넥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소형 저배(小型低背)이면서 높은 강도를 발휘하는 동시에, 정확한 치수 정밀도를 갖는 보강 금속구를 구비하여,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 및 커넥터 쌍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때문에, 커넥터에 있어서는, 커넥터 본체와, 당해 커넥터 본체에 설치되는 단자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설치되는 보강 금속구를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끼워맞춤 가이드부이며, 상대방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 본체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상대방 끼워맞춤 가이드부와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금속구는, 상기 끼워맞춤 가이드부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상면부와, 상기 끼워맞춤 가이드부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단면부와, 상기 끼워맞춤 가이드부의 각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1 측면부와, 상기 끼워맞춤 가이드부의 각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2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면부는 상면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측면부는 상면부에 접속되며, 상기 제2 측면부는 제1 측면부보다도 상기 끼워맞춤 가이드부의 단면 근처에 위치되어 상기 단면부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단면부는 그 상단이 후방 만곡부를 통해 상기 상면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측면부는 그 상단이 전방 만곡부를 통해 상기 상면부에 접속되며, 상기 제2 측면부는 그 후단이 측방 만곡부를 통해 상기 단면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상면부는 그 전단의 좌우 양측에 각각 접속된 전방 접속편을 포함하고, 각 제1 측면부는 그 상단이 상기 전방 만곡부를 통해 각 전방 접속편의 선단에 접속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단면부는 그 좌우 양측단에 각각 접속된 측방 접속편을 포함하고, 각 제2 측면부는 그 후단이 상기 측방 만곡부를 통해 각 측방 접속편의 선단에 접속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상면부는 그 폭 방향 양측연에 각각 형성된 삽입 오목부를 포함하고, 각 제2 측면부는 그 상단에 접속된 상단 만곡부와, 당해 상단 만곡부의 선단에 접속되어 하방 또는 경사 하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보조편을 포함하고, 당해 보조편은 상기 삽입 오목부내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제2 측면부는 그 상단에 접속된 상단 만곡부와, 당해 상단 만곡부의 선단에 접속되어 하방 또는 경사 하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보조편을 포함하며, 당해 보조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끼워맞춤 가이드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제1 측면부의 하단에는, 기판 상의 접속 패드에 접속되는 테일부가 접속되고, 상기 단면부의 하단에는, 기판 상의 접속 패드에 접속되는 하방 돌출부가 접속되며, 상기 제1 측면부 및 단면부의 측면에는, 납땜 들뜸 또는 플럭스 들뜸을 방지하는 배리어부가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제1 측면부 및 단면부의 측면에는, 니켈의 하지 도금 위에 금도금이 실시되고, 상기 배리어부는 니켈이 상면에 노출된 부분이다.
커넥터 쌍에 있어서는, 본 개시의 커넥터와, 당해 커넥터와 끼워맞춤되는 상대방 커넥터를 갖는다.
본 개시에 의하면, 커넥터는 소형 저배이면서 높은 강도를 발휘하는 동시에, 정확한 치수 정밀도를 갖는 보강 금속구를 구비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2면도이며, (a)는 상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보강 금속구의 4면도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상면도, (d)는 하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보강 금속구의 외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a)는 제1 사시도, (b)는 제2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보강 금속구의 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a)는 제1 사시도, (b)는 제2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에 설치된 제1 보강 금속구를 나타내는 단면이며, (a)는 도 2의 (a)에 있어서의 A-A 화살표를 따른 단면도, (b)는 도 2의 (a)에 있어서의 B-B 화살표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보강 금속구가 설치된 제1 하우징의 제1 돌출 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a)는 전체도, (b)는 (a)에 있어서의 C부 확대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2면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분해도,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커넥터의 분해도,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전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a)는 상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이며, 커넥터 쌍(커넥터 페어)인 한 쌍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한쪽으로서의 제1 커넥터이다. 당해 제1 커넥터(1)는 실장 부재로서의 기판인 도시되지 않은 제1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표면 실장형 커넥터이며, 커넥터 쌍에 있어서의 상대방 커넥터인 제2 커넥터(101)와 끼워맞춤된다. 또한, 당해 제2 커넥터(101)는 한 쌍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다른 쪽이며, 실장 부재로서의 기판인 도시되지 않은 제2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표면 실장형 커넥터이며, 상기 제1 커넥터(1)와 끼워맞춤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는 바람직하게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지만, 다른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은, 예를 들어 전자기기 등에 사용되는 프린트 회로 기판,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FFC), 플렉시블 회로 기판(FPC) 등이지만, 어떠한 종류의 기판이라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커넥터(1), 제2 커넥터(101) 등의 각부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 하, 좌, 우, 전, 후 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표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것이며, 상기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 등의 각부가 도면에 나타내는 자세인 경우에 적절하지만, 그 자세가 변화한 경우에는 자세의 변화에 따라 변경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커넥터(1)는 이른바 플러그 커넥터형인 것으로서, 합성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커넥터 본체로서의 제1 하우징(11)을 갖는다. 당해 제1 하우징(11)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략 직방체인 개략 장방형의 후판상 형상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1 하우징(11)의 제2 커넥터(101)에 끼워넣어지는 측, 즉 끼워맞춤면(11a) 측(Z축 정방향 측)에는, 제1 하우징(11)의 길이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오목 홈부(13)와, 당해 오목 홈부(13)의 외측을 획정하는 동시에, 제1 하우징(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볼록부로서의 제1 볼록부(1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당해 제1 볼록부(12)는 오목 홈부(13)의 양측을 따라, 또한 제1 하우징(11)의 양측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커넥터(1)는, 예를 들어 세로 약 10.0 mm, 가로 약 1.1 mm 및 두께 약 0.5 mm의 치수를 구비하는 것이지만, 치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각 제1 볼록부(12)에는, 단자로서의 제1 단자(61)가 설치되어 있다. 당해 제1 단자(61)는 소정의 피치(예를 들어, 약 0.35 mm)로 좌우 양측에 복수개(예를 들어, 25개)씩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자(61)의 피치 및 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오목 홈부(13)는 제1 기판에 실장되는 측, 즉 실장면(11b) 측(Z축 부방향 측)이 바닥판에 의해 닫혀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자(61)는 제1 하우징(11)에 압입되어 보유되는 것이어도 되지만, 여기서는 상기 제1 단자(61)는 오버몰드 성형(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1 하우징(11)과 일체화되는 부재인 것으로서 설명한다. 즉, 제1 하우징(11)은 제1 단자(61)를 미리 내부에 세트한 금형의 캐비티 내에 수지를 충전함으로써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단자(61)는 제1 하우징(11)으로부터 이격하여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설명의 편의상 도 3에 있어서는, 제1 하우징(1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도록 묘사되어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제1 단자(61)는 도전성 금속판에 타발하여, 구부림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제1 접촉부(65)와, 당해 제1 접촉부(65)의 상단에 접속된 접속부(64)와, 당해 접속부(64)의 외방 단에 접속된 제2 접촉부(66)와, 상기 제1 접촉부(65)의 하단에 접속된 테일부(62)를 구비한다. 당해 테일부(62)는 제1 하우징(11)의 외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고, 제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상기 도전 트레이스는 전형적으로는 신호 라인이다. 또한, 제1 접촉부(65), 접속부(64) 및 제2 접촉부(66)의 표면이 제1 볼록부(12)의 각 측면 및 끼워맞춤면(11a)에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하우징(11)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끼워맞춤 가이드부로서의 제1 돌출 단부(21)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당해 제1 돌출 단부(21)는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이 각 제1 볼록부(12)의 길이방향 양단에 접속된 두꺼운 부재이며, 그 상면은 거의 장방형 형상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1 돌출 단부(21)는,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당해 제2 커넥터(101)가 구비하는 제2 돌출 단부(121)의 끼워맞춤 오목부(122)에 삽입되는 삽입 볼록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제1 돌출 단부(21)에는, 보강 금속구로서의 제1 보강 금속구(51)가 설치된다.
당해 제1 보강 금속구(51)는 금속판에 타발하여, 구부림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제1 돌출 단부(21)의 상면(21a)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상면부(52)와, 제1 돌출 단부(21)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11)의 길이방향 외측의 면인 단면(21c)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단면부(53)와, 제1 돌출 단부(21)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Y축 방향) 외측의 양면인 측면(21d)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측면부로서의 제1 측면부(54) 및 제2 측면부(55)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 측면부(54)의 하단에는,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테일부(54a)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상면부(52)는 상기 끼워맞춤면(11a) 및 실장면(11b)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판이다. 또한, 상기 단면부(53)는 상면부(52)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11)의 길이방향 외측 단부 에지에 접속되어, 실장면(11b)의 방향(Z축 부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평판이다. 또한, 상기 제1 측면부(54)는 상면부(52)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 외측 단부 에지에 접속되어, 실장면(11b)의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평판이다. 또한, 상기 제2 측면부(55)는 제1 측면부(54)와 거의 평행이며, 실장면(11b)의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평판이지만, 상기 단면부(53)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 외측 단부 에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출 단부(21)의 단면(21c)에는 단면 오목부(22a)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 단부(21)의 측면(21d)에는 제1 측면 오목부(22b) 및 제2 측면 오목부(22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보강 금속구(51)가 제1 돌출 단부(21)에 설치될 때는, 제1 보강 금속구(51)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위치로부터, 제1 하우징(11)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시켜져서, 단면부(53)가 단면 오목부(22a)에 삽입되어 수용되고, 제1 측면부(54) 및 제2 측면부(55)가 제1 측면 오목부(22b) 및 제2 측면 오목부(22c)에 삽입되어 수용된다. 또한, 상기 제1 돌출 단부(21)의 상면(21a)에는 오목부(21b)가 형성되고 있어, 상기 제2 측면부(55)가 갖는 후술되는 보조편(55e)의 적어도 하단이 상기 오목부(21b)에 삽입되어 수용된다.
상기 제1 측면부(54)의 테일부(54a)는, 제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상기 도전 트레이스는 전형적으로는 전력 라인 또는 그라운드 라인이다. 또한, 상기 단면부(53)의 하단도 마찬가지로 제1 기판의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2 커넥터(101)는, 이른바 리셉터클 커넥터형인 것이며, 합성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대방 커넥터 본체로서의 제2 하우징(111)을 갖는다. 당해 제2 하우징(111)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략 직방체인 개략 장방형의 후판상 형상을 구비하고, 제1 커넥터(1)가 끼워넣어지는 측, 즉 끼워맞춤면(111a) 측(Z축 부방향 측)에는, 주위가 둘러싸인 개략 장방형 오목부(112)이며, 제1 커넥터(1)의 제1 하우징(11)과 끼워맞춤되는 오목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커넥터(101)는, 예를 들어 세로(X축 방향의 치수) 약 11.0 mm, 가로(Y축 방향의 치수) 약 1.9 mm 및 두께(Z축 방향의 치수) 약 0.6 mm의 치수를 구비하는 것이지만, 치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112) 내에는 제1 커넥터(1)의 오목 홈부(13)와 끼워맞춤되는 중간 섬(中島)으로서의 제2 볼록부(113)가 제2 하우징(1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2 볼록부(113)의 양측(Y축 정방향 측 및 부방향 측)에는 당해 제2 볼록부(113)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측벽부(114)가 제2 하우징(1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볼록부(113) 및 측벽부(114)는 오목부(112)의 저면을 획정하는 바닥판으로부터 상방(Z축 부방향)을 향해 돌출하고, 제2 하우징(111)의 길이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2 볼록부(113)의 양측에는, 오목부(112)의 일부로서, 제2 하우징(1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오목부인 오목 홈부(112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볼록부(113)의 양측의 측면에는 오목 홈상 제2 단자 수용 내측 캐비티(11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벽부(114)의 내측의 측면에는 오목 홈상 제2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115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단자 수용 내측 캐비티(115a)와 제2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115b)는, 오목 홈부(112a)의 저면에서 연결되어 서로 일체화하고 있기 때문에, 제2 단자 수용 내측 캐비티(115a)와 제2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115b)를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경우에는, 제2 단자 수용 캐비티(115)로서 설명한다. 또한, 당해 제2 단자 수용 캐비티(115)는 상기 바닥판을 판 두께 방향(Z축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단자 수용 캐비티(115)는, 제2 하우징(111)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당해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Y축 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볼록부(113)의 양측에, 제1 커넥터(1)의 제1 단자(61)와 마찬가지의 피치로 동일한 수만큼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자 수용 캐비티(115)의 피치 및 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자 수용 캐비티(115)의 각각에 수용되어 제2 하우징(111)에 설치되는 단자로서의 제2 단자(161)도 제2 볼록부(113)의 양측에 마찬가지의 피치로 같은 수만큼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단자(161)는, 도전성 금속판에 타발하여, 구부림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피보유부(163)와, 당해 피보유부(163)의 하단에 접속된 테일부(162)와, 상기 피보유부(163)의 상단에 접속된 상측 접속부(167)와, 당해 상측 접속부(167)의 하단에 접속되어 상기 피보유부(163)에 대향하는 제2 접촉부(166)와, 당해 제2 접촉부(166)의 하단에 접속된 하측 접속부(164)와, 당해 하측 접속부(164)에 있어서의 제2 접촉부(166)와 반대 측의 단에 접속된 내측 접속부(165)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피보유부(163)는 끼워맞춤 방향(Z축 방향), 즉 제2 하우징(111)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115b)에 끼워넣어져 보유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테일부(162)는 피보유부(163)에 대해 구부러져 접속되어, 좌우 방향(Y축 방향), 즉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 돌출되고, 제2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상기 도전 트레이스는 전형적으로는 신호 라인이다. 또한, 상기 상측 접속부(167)는 상방(Z축 부방향)을 향해 돌출하도록 만곡된 부분이다.
상기 상측 접속부(167)에 있어서의 피보유부(163)와 반대 측의 하단에는, 하방(Z축 정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접촉부(166)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측 접속부(164)는, 상기 제2 접촉부(166)의 하단에 접속된 대략 U자상 측면 형상을 구비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내측 접속부(165)의 상단에는, 상방을 향해, 그리고 제2 접촉부(166)를 향해 돌출하도록 약 180도 만곡된 제1 접촉부(165a)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2 단자(161)는 제2 하우징(111)의 하면(Z축 정방향면)인 실장면(111b) 측으로부터, 제2 단자 수용 캐비티(115) 내에 끼워넣어져, 피보유부(163)가 측벽부(114)의 내측의 측면에 형성된 제2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115b)의 측벽에 의해 양측으로부터 협지됨으로써, 제2 하우징(111)에 고정된다. 이 상태, 즉 제2 단자(161)가 제2 하우징(111)에 장전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165a)와 제2 접촉부(166)는 오목 홈부(112a)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여, 서로 마주하고 있다. 상기 제2 단자(161)는 금속판에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탄성을 구비한다. 그리고 그 형상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제1 접촉부(165a)와 제2 접촉부(166)와의 간격은, 탄성적으로 변화 가능하다. 즉, 제1 접촉부(165a)와 제2 접촉부(166) 사이에 제1 커넥터(1)가 구비하는 제1 단자(61)가 삽입되면, 그에 의해 제1 접촉부(165a)와 제2 접촉부(166)와의 간격은 탄성적으로 신장된다.
또한, 당해 제2 하우징(111)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상대방 끼워맞춤 가이드부로서의 제2 돌출 단부(121)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제2 돌출 단부(121)에는, 상기 오목부(112)의 일부로서 끼워맞춤 오목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끼워맞춤 오목부(122)는 거의 장방형 오목부이며, 각 오목 홈부(112a)의 길이방향 양단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122) 내에는,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1)가 구비하는 제1 돌출 단부(21)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2 돌출 단부(121)는, 끼워맞춤 방향에서 보아, 거의 일본어 コ 자상 측벽이며, 끼워맞춤 오목부(122)의 3방을 획정하는 측벽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2 볼록부(113)의 길이방향의 단부에는, 요입하는 섬단(島端) 오목부(113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돌출 단부(121)에는, 제2 하우징(111)에 설치되는 보강 금속구로서의 제2 보강 금속구(151)가 설치된다. 당해 제2 보강 금속구(151)는 금속판에 타발하여, 구부림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제2 돌출 단부(121)의 단벽부(端壁部)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상면부(152)와, 제2 돌출 단부(121)에 있어서의 제2 하우징(111)의 길이방향 외측의 면인 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단면부(153)와, 제2 돌출 단부(121)에 있어서의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Y축 방향) 외측의 양면인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측면부(155)와, 끼워맞춤 오목부(122)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저면 커버부(158)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상면부(152)는 측방 접속부(152a) 및 전방 접속부(152b)를 포함하고, 상기 측방 접속부(152a)의 선단에 측면부(155)가 접속되고, 상기 전방 접속부(152b)의 선단에 저면 커버부(158)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155)의 상단에는, 끼워맞춤 오목부(122)의 저면을 향해 경사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접촉편(155a)이 접속되며, 상기 저면 커버부(158)의 선단에는 섬단 커버부(158a)가 접속되어 있다. 당해 섬단 커버부(158a)의 선단은 섬단 오목부(113a) 내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접촉편(155a)의 하단 근방은,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가 끼워맞춤되었을 때에, 제1 보강 금속구(51)의 제2 측면부(55)와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도통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측면부(155)의 하단은 제2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상기 도전 트레이스는 전형적으로는 전력 라인 또는 그라운드 라인이다. 또한, 상기 단면부(153)의 하단도 마찬가지로 제2 기판의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그 다음에, 상기 제1 보강 금속구(51)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보강 금속구의 4면도,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보강 금속구의 외측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보강 금속구의 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에 설치된 제1 보강 금속구를 나타내는 단면,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보강 금속구가 설치된 제1 하우징의 제1 돌출 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상면도, (d)는 하면도이며, 도 7 및 8에 있어서, (a)는 제1 사시도, (b)는 제2 사시도이며, 도 9에 있어서, (a)는 도 2의 (a)에 있어서의 화살표 A-A를 따른 단면도, (b)는 도 2의 (a)에 있어서의 화살표 B-B를 따른 단면도이며, 도 10에 있어서, (a)는 전체도, (b)는 (a)에 있어서의 C부 확대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보강 금속구(51)의 상면부(52)는, 거기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11)의 길이방향 내측단인 전단의 좌우 양측에 각각 접속된 전방 접속편(52a)을 포함하고 있다. 당해 전방 접속편(52a)은 도 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끼워맞춤 방향)에서 보아, 거의 크랭크상 형상을 갖는 띠상 판이며, 그 선단에는,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의 길이방향에서 보아, 하방을 향하도록 거의 90도 구부러져 만곡된 전방 만곡부(52a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 접속편(52a)을 형성하지 않을 때, 상기 전방 만곡부(52a1)의 상단은 제1 보강 금속구(51)의 상면부(52)의 전단 근방의 좌우 양측에 각각 접속되어도 된다.
그리고 당해 전방 만곡부(52a1)의 선단, 즉 하단에는, 실장면(11b)의 방향, 즉 하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제1 측면부(54)의 상단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당해 제1 측면부(54)의 선단, 즉 하단에는,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의 길이방향에서 보아,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거의 90도 구부러져 만곡된 하단 만곡부(54a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하단 만곡부(54a1)의 선단에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테일부(54a)가 접속되어 있다. 당해 테일부(54a)는, 제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1 측면부(54)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11)의 길이방향 내측단, 즉 전단에는, 걸림 결합 돌기(54b)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걸림 결합 돌기(54b)는, 제1 측면부(54)가 제1 하우징(11)의 제1 측면 오목부(22b)에 삽입되면,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1 측면 오목부(22b)의 전측 내측벽(22b1)에 식입되고, 이에 의해, 제1 측면부(54)가 제1 측면 오목부(22b) 내에 안정되게 보유된다.
또한, 상기 상면부(52)는, 거기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11)의 길이방향 외측단인 후단에 접속되어,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에서 보아, 하방을 향하도록 거의 90도 구부러져 만곡된 후방 만곡부(52b)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당해 후방 만곡부(52b)의 선단, 즉 하단에 단면부(53)의 상단이 접속되어 있다.
당해 단면부(53)는, 그 하단에 접속되어, 폭 방향(Y축 방향)의 중앙에 있어서 하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방 돌출부(53a)를 포함하고 있다. 당해 하방 돌출부(53a)의 하단은 제1 기판의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상기 단면부(53)는 좌우 양측단에 각각 접속된 측방 접속편(53b)을 포함하고 있다. 당해 측방 접속편(53b)은 폭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띠상 판이며, 그 선단에는, 도 6의 (c) 및 6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을 향하도록 거의 90도 구부러져 만곡된 측방 만곡부(53b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측방 만곡부(53b1)의 선단, 즉 전단에는, 제2 측면부(55)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11)의 길이방향 외측단, 즉 후단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2 측면부(55)는, 상하 및 전후 방향, 즉 X-Z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상 상측부(55a) 및 하측부(55b)를 포함하고 있다.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부(55a)는 하측부(55b)보다도 광폭으로, 구체적으로는 전후 방향의 치수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부(55a)의 후단 및 하측부(55b)의 후단은, 제1 하우징(11)의 길이방향에 관해서 동일위치에 있기 때문에, 상측부(55a) 전단은 하측부(55b)의 전단보다도, 제1 하우징(11)의 길이방향 내측 근처, 즉 전방에 위치한다.
상기 상측부(55a)의 외표면은 제2 커넥터(101)의 제2 보강 금속구(151)의 접촉편(155a)의 하단 근방과 접촉하는 부분이다.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상측부(55a)는 제1 측면부(54)보다도, 또한 하측부(55b)보다도 전후 방향의 치수가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가 끼워맞춤했을 때에, 다소의 위치 차이가 발생한 경우라도, 확실하게 제2 보강 금속구(151)의 접촉편(155a)의 하단 근방과의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측부(55b)의 전단에는, 걸림 결합 돌기(55c)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걸림 결합 돌기(55c)는, 제2 측면부(55)가 제1 하우징(11)의 제2 측면 오목부(22c)에 삽입되면,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2 측면 오목부(22c)의 전측 내측벽(22c1)에 식입되고, 이에 의해 제2 측면부(55)가 제2 측면 오목부(22c) 내에 안정되게 보유된다.
또한, 상기 상측부(55a)의 상단에는,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이 하방 또는 경사 하방을 향하도록 만곡된 상단 만곡부(55d)가 접속되고, 당해 상단 만곡부(55d)의 선단에는, 하방 또는 경사 하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보조편(55e)의 상단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7~9 등에는, 도시의 편의상, 보조편(55e)이 경사 하방은 아니고, 거의 수직으로 하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예만이 묘사되어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편(55e)의 전단에는, 걸림 결합 돌기(55f)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걸림 결합 돌기(55f)는, 보조편(55e)의 적어도 하단을 포함하는 일부가 제1 하우징(11)의 오목부(21b)에 삽입되면, 당해 오목부(21b)의 전측 내측벽에 식입되고, 이에 의해 보조편(55e)이 오목부(21b) 내에 안정되게 보유된다.
또한, 상기 상면부(52)의 폭 방향 양측연에는, 폭 방향 내측을 향해 요입하는 오목부로서 삽입 오목부(52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측면부(55)의 상단 근방 부분의 적어도 일부,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단 만곡부(55d)의 선단 근방 및 보조편(55e)은 상기 삽입 오목부(52c) 내에 삽입되고, 상기 보조편(55e)의 적어도 하단을 포함하는 일부가 상기 오목부(21b) 내에 삽입되어 보유된다. 또한, 상기 상단 만곡부(55d)의 선단 근방 및 보조편(55e)은 삽입 오목부(52c)에 접촉하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제2 측면부(55)와 상면부(52)는 비접촉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측면부(55)의 상단 근방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오목부(52c) 내에 삽입됨으로써, 제2 측면부(55)의 상단면인 상단 만곡부(55d)의 정상면(55d1)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하우징(11)의 두께 방향(Z축 방향)에 관한 정상면(55d1)의 위치가 상면부(52)의 위치보다도 높아지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의 두께 방향에 관해, 정상면(55d1)의 위치가 상면부(52)의 위치와 동일, 또는 상면부(52)의 위치보다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일, 제1 하우징(11)의 두께 방향에 관한 정상면(55d1)의 위치가 상면부(52)의 위치보다도 높아지면,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의 끼워맞춤 작업 시에, 제1 커넥터(1)를 제2 커넥터(101)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 또는 좌우 방향(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 경우, 상기 정상면(55d1) 및 그 근방이 제2 커넥터(101)의 제2 보강 금속구(151) 등에 걸려, 제2 측면부(55)가 말려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단 만곡부(55d)의 선단 근방 및 보조편(55e)이 삽입 오목부(52c)내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정상면(55d1)의 위치가 상면부(52)의 위치보다도 높아지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보조편(55e)의 적어도 하단을 포함하는 일부가 제1 하우징(11)의 오목부(21b)에 삽입되어 보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다 확실하게 정상면(55d1)의 위치가 상면부(52)의 위치보다도 높아지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삽입 오목부(52c), 상단 만곡부(55d), 및 보조편(55e)이 형성된 제1 보강 금속구(51)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들을 형성하지 않는 제1 보강 금속구(51)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삽입 오목부(52c)의 오목부 부분이 상면으로서의 판편(板片)을 갖고, 제2 측면부(55)에 상단 만곡부(55d)와 보조편(55e)을 형성하지 않는 형상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제2 측면부(55)의 상단은 상면부(52)의 위치보다도 높아지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제1 보강 금속구(51)에 있어서, 단면부(53)는 후방 만곡부(52b)를 통해 상면부(52)에 접속되고, 제1 측면부(54)는 전방 만곡부(52a1)를 포함하는 전방 접속편(52a)을 통해 상면부(52)에 접속되며, 제2 측면부(55)는 측방 만곡부(53b1)를 포함하는 측방 접속편(53b)을 통해 단면부(53)에 접속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제1 보강 금속구(51)와 같은 금속구의 제작에 있어서는, 1매의 금속판에 타발 가공을 실시하고, 각부가 일체적으로 접속된 개략 평판상 부재를 형성한 후에, 당해 개략 평판상 부재에 구부림 가공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3차원의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얻는다. 상기 제1 보강 금속구(51)의 경우라면, 1매의 금속판에 타발 가공을 실시하고, 상면부(52), 단면부(53), 제1 측면부(54) 및 제2 측면부(55)를 포함하는 각부에 상당하는 부분이 일체적으로 접속된 개략 평판상 부재를 형성한 후에, 당해 개략 평판상 부재에 구부림 가공을 실시하고, 후방 만곡부(52b), 전방 만곡부(52a1), 측방 만곡부(53b1) 등의 만곡된 부분을 형성하여, 최종적으로 도 6~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3차원의 형상을 구비하는 제품인 제1 보강 금속구(51)를 얻을 수 있다. 그러면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 양측의 측면(21d)의 각각을 덮는 제1 측면부(54)와 제2 측면부(55)는, 최종적인 제품인 제1 보강 금속구(51)에 있어서는, 서로 근접하고 있지만, 구부림 가공이 개별로 실시되어 얻어진 부분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제1 보강 금속구(51)에 있어서는,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Y축 방향)에 관해 제1 측면부(54)의 위치와 제2 측면부(55)의 위치를 개별로 동시에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에 관한 제1 측면부(54)의 외표면과 제2 측면부(55)의 외표면을 정확하게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좌우의 테일부(54a)끼리의 간격이 넓으면 제1 보강 금속구(51)의 제1 기판에 대한 접속 강도가 보다 안정되는 것을 고려하여,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에 관한 제1 측면부(54)의 위치를 제2 측면부(55)의 위치보다도 외측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에 관한 제2 측면부(55)의 외표면의 위치를, 거기에 접촉하는 제2 커넥터(101)의 제2 보강 금속구(151)의 접촉편(155a)의 하단 근방의 위치에 맞춰 엄밀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보강 금속구(51)를 납땜에 의해 제1 기판에 접속하는 경우, 제2 보강 금속구(151)의 접촉편(155a)의 하단 근방과 접촉하는 제2 측면부(55)에, 납땜 들뜸 또는 플럭스 들뜸에 기인한 땜납 또는 플럭스가 부착되는 경우가 없다. 상기 제1 보강 금속구(51)에 있어서는, 제1 측면부(54)의 하단에 접속된 테일부(54a) 및 단면부(53)의 하방 돌출부(53a)의 하단에 납땜이 시공된다. 그러나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 양측에 있어서 제1 측면부(54)와 제2 측면부(55)가 근접하고 있어도, 땜납 또는 플럭스는 테일부(54a)로부터 제2 측면부(55)까지 도달하기 위해서는, 제1 측면부(54), 전방 접속편(52a), 상면부(52), 단면부(53), 측방 접속편(53b) 등을 통하는 긴 경로를 이동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사실상 제2 측면부(55)에 도달할 수 없다. 또한, 단면부(53)의 하방 돌출부(53a)의 하단에 부여된 땜납 또는 플럭스도, 제1 단자(61)의 피치보다도 충분히 큰 치수인 제1 커넥터(1)의 폭 1/2 정도의 폭 방향의 거리를 단면부(53)를 따라 통하고, 그리고 측방 접속편(53b)을 통한다고 하는 긴 경로를 이동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사실상 제2 측면부(55)에 도달할 수 없다.
또한, 땜납 또는 플럭스의 부착을 따라 확실하게 방지할 필요가 있으면, 납땜 들뜸 또는 플럭스 들뜸을 방지하기 위한 배리어부를 제1 측면부(54)의 하단 근방 및 하방 돌출부(53a)의 상단 근방에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강 금속구(51)가, 금속판의 표면에 하지 도금으로서 니켈(Ni) 도금이 실시된 부재이고, 테일부(54a) 및 하단 만곡부(54a1)를 포함하는 제1 측면부(54)의 표측, 이측 등의 측면, 그리고 하방 돌출부(53a)를 포함하는 단면부(53)의 표측, 이측 등의 측면에는 추가로 금(Au) 도금이 실시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 레이저 비임을 조사함으로써, 레이저 비임이 조사된 부분에서는 금이 용융하여 니켈이 표면에 노출되어, 배리어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배리어부를, 제1 측면부(54)의 하단 근방의 표측, 이측 등의 측면, 그리고 단면부(53)의 하단 또는 하방 돌출부(53a)의 상단 근방의 표측, 이측 등의 측면에, X축 및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띠상으로 되도록 형성하면, 그보다 상방으로의 납땜 들뜸 또는 플럭스 들뜸이 방지되기 때문에, 제2 측면부(55)로의 땜납 또는 플럭스의 부착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다음에, 상기 구성의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를 끼워맞춤시키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제1 커넥터(1)는, 제1 단자(61)의 테일부(62)가 도시되지 않은 제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되는 동시에, 제1 보강 금속구(51)의 제1 측면부(54)의 테일부(54a)가 제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되고, 또한 단면부(53)의 하방 돌출부(53a)의 하단도 제1 기판의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제1 기판에 표면 실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단자(61)의 테일부(62)가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신호 라인이며, 상기 제1 보강 금속구(51)의 제1 측면부(54)의 테일부(54a)가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전력 라인인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면부(53)의 하방 돌출부(53a)의 하단이 접속되는 접속 패드는, 전력 라인에 연결되어 있어도,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제2 커넥터(101)는 제2 단자(161)의 테일부(162)가 도시되지 않은 제2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되는 동시에, 제2 보강 금속구(151)의 측면부(155)의 하단이 제2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되고, 또한 단면부(153)의 하단도 제2 기판의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제2 기판에 표면 실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단자(161)의 테일부(162)가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신호 라인이며, 상기 제2 보강 금속구(151)의 측면부(155)가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전력 라인인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면부(153)의 하단이 접속되는 접속 패드는, 전력 라인에 연결되어 있어도,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한다.
먼저, 오퍼레이터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의 제1 하우징(11)의 끼워맞춤면(11a)과 제2 커넥터(101)의 제2 하우징(111)의 끼워맞춤면(111a)을 대향시킨 상태로 하고, 제1 커넥터(1)의 제1 볼록부(12)의 위치가 제2 커넥터(101)가 대응하는 오목 홈부(112a)의 위치와 합치하고, 제1 커넥터(1)의 제1 돌출 단부(21)의 위치가 제2 커넥터(101)가 대응하는 끼워맞춤 오목부(122)의 위치와 합치하면,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와의 위치맞추기가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제1 커넥터(1) 및/또는 제2 커넥터(101)를 상대방 측에 접근하는 방향, 즉 끼워맞춤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1 커넥터(1)의 제1 볼록부(12) 및 제1 돌출 단부(21)가 제2 커넥터(101)의 오목 홈부(112a) 및 끼워맞춤 오목부(122) 내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의 끼워맞춤이 완료되면, 제1 단자(61)와 제2 단자(161)가 도통된 상태로 된다.
그런데 면적이 넓은 제1 기판 및 제2 기판에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가 각각 실장되어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제1 커넥터(1)의 끼워맞춤면(11a)과 제2 커넥터(101)의 끼워맞춤면(111a)을 눈으로 볼 수 없어, 손으로 더듬어 끼워맞춤 작업을 행하는 것으로 된다. 그러면 손으로 더듬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맞추기를 할 수 없으며, 제1 커넥터(1)의 위치와 제2 커넥터(101)의 위치가 벗어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제1 커넥터(1) 및/또는 제2 커넥터(101)를 끼워맞춤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1 커넥터(1)의 한쪽의 제1 돌출 단부(21)에, 제2 커넥터(101)의 어느 한쪽의 제2 돌출 단부(121)가 맞닿아서, 상기 제1 돌출 단부(21)는 제2 돌출 단부(121)로부터 끼워맞춤 방향의, 즉 도 1에 있어서의 위로부터 아래를 향한 큰 가압력을 받는 것으로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돌출 단부(21)에는 제1 보강 금속구(51)가 설치되고, 제1 돌출 단부(21)의 상면(21a)의 대부분이 제1 보강 금속구(51)의 상면부(52)에 의해 덮이고, 제1 돌출 단부(21)의 단면(21c)의 대부분이 제1 보강 금속구(51)의 단면부(53)에 의해 덮이고, 제1 돌출 단부(21)의 측면(21d)의 대부분이 제1 보강 금속구(51)의 제1 측면부(54) 및 제2 측면부(55)에 의해 덮이고 있기 때문에, 제2 돌출 단부(121)로부터 큰 가압력을 받아도, 당해 가압력은 제1 보강 금속구(51)로부터 제1 기판에 전달되기 때문에, 제1 돌출 단부(21)에는 대부분 전달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제1 돌출 단부(21)가 손상을 받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없어, 높은 강도를 발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커넥터(1)는, 제1 하우징(11)과, 제1 하우징(11)에 설치되는 제1 단자(61)와, 제1 하우징(11)에 설치되는 제1 보강 금속구(51)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 하우징(11)은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제1 돌출 단부(21)이고, 제2 커넥터(101)의 제2 하우징(111)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제2 돌출 단부(121)와 끼워맞춤되는 제1 돌출 단부(21)를 포함하며, 제1 보강 금속구(51)는 제1 돌출 단부(21)의 상면(21a)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상면부(52)와, 제1 돌출 단부(21)의 단면(21c)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단면부(53)와, 제1 돌출 단부(21)의 각 측면(21d)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1 측면부(54)와, 제1 돌출 단부(21)의 각 측면(21d)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2 측면부(55)를 포함하고, 단면부(53)는 상면부(52)에 접속되고, 제1 측면부(54)는 상면부(52)에 접속되며, 제2 측면부(55)는 제1 측면부(54)보다도 제1 돌출 단부(21)의 단면(21c) 근처에 위치하여 단면부(53)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커넥터(1)는, 소형 저배이면서 높은 강도를 발휘하는 동시에, 정확한 치수 정밀도를 갖는 제1 보강 금속구(51)를 구비할 수 있어,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단면부(53)는 그 상단이 후방 만곡부(52b)를 통해 상면부(52)에 접속되고, 제1 측면부(54)는 그 상단이 전방 만곡부(52a1)를 통해 상면부(52)에 접속되며, 제2 측면부(55)는 그 후단이 측방 만곡부(53b1)를 통해 단면부(53)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구부림 가공을 개별로 실시하여, 제1 측면부(54)와 제2 측면부(55)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에 관해 제1 측면부(54)의 위치와 제2 측면부(55)의 위치를 개별로 동시에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면부(52)는 그 전단의 좌우 양측에 각각 접속된 전방 접속편(52a)을 포함하고, 각 제1 측면부(54)는 그 상단이 전방 만곡부(52a1)를 통해 각 전방 접속편(52a)의 선단에 접속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면부(53)는 그 좌우 양측단에 각각 접속된 측방 접속편(53b)을 포함하고, 각 제2 측면부(55)는 그 후단이 측방 만곡부(53b1)를 통해 각 측방 접속편(53b)의 선단에 접속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의해, 제1 측면부(54)와 제2 측면부(55)를 개별의 가공 공정에 의해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제1 측면부(54)의 위치 및 제2 측면부(55)의 위치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면부(52)는 그 폭 방향 양측연에 각각 형성된 삽입 오목부(52c)를 포함하고, 각 제2 측면부(55)는 그 상단에 접속된 상단 만곡부(55d)와, 상단 만곡부(55d)의 선단에 접속되어 하방 또는 경사 하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보조편(55e)을 포함하며, 보조편(55e)은 삽입 오목부(52c)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조편(55e)이 삽입 오목부(52c)내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측면부(55)의 상단면인 상단 만곡부(55d)의 정상면(55d1)의 위치가 상면부(52)의 위치보다도 높아지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 단부(21)의 상면(21a)에는 오목부(21b)가 형성되고, 보조편(55e)의 적어도 하단은 오목부(21b) 내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보조편(55e)이 삽입 오목부(52c)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가 안정적으로 보유된다.
또한, 제1 측면부(54)의 하단에는, 기판 상의 접속 패드에 접속되는 테일부(54a)가 접속되고, 단면부(53)의 하단에는, 기판 상의 접속 패드에 접속되는 하방 돌출부(53a)가 접속되며, 제1 측면부(54) 및 단면부(53)의 측면에는, 납땜 들뜸 또는 플럭스 들뜸을 방지하는 배리어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측면부(55)에 땜납 또는 플럭스가 부착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측면부(54) 및 단면부(53)의 측면에는, 니켈의 하지 도금 위에 금도금이 실시되고, 배리어부는 니켈이 표면에 노출된 부분이다. 따라서 레이저 비임을 조사함으로써, 납땜 들뜸 또는 플럭스 들뜸을 방지하는 배리어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시는, 바람직하고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관한 특징을 서술한 것이다. 여기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 및 그 취지 내에 있어서의 다양한 다른 실시형태, 수정 및 변형은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의 개시를 총람함으로써 당연하게 생각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단자의 지그재그 배치는 규칙적이지 않아도 된다. 또한, 좌우의 반체부에서 단자의 배치가 동일할 필요는 없다. 또한, 좌우의 반체부가 선대칭이 아니라도 된다.
본 개시는 커넥터 및 커넥터 쌍에 적용할 수 있다.
1: 제1 커넥터
11: 제1 하우징
11a, 111a: 끼워맞춤면
11b, 111b: 실장면
12: 제1 볼록부
13, 112a: 오목 홈부
21: 제1 돌출 단부
21a: 상면
21b, 112: 오목부
21c: 단면
21d: 측면
22a: 단면 오목부
22b: 제1 측면 오목부
22b1, 22c1: 전측 내측벽
22c: 제2 측면 오목부
51: 제1 보강 금속구
52, 152, 852: 상면부
52a: 전방 접속편
52a1: 전방 만곡부
52b: 후방 만곡부
52c: 삽입 오목부
53, 153, 853: 단면부
53a: 하방 돌출부
53b: 측방 접속편
53b1: 측방 만곡부
54, 854: 제1 측면부
54a, 62, 162: 테일부
54a1: 하단 만곡부
54b, 55c, 55f: 걸림 결합 돌기
55, 855: 제2 측면부
55a: 상측부
55b: 하측부
55d: 상단 만곡부
55d1: 정상면
55e: 보조편
61: 제1 단자
64: 접속부
65, 165a: 제1 접촉부
66, 166: 제2 접촉부
101: 제2 커넥터
111: 제2 하우징
113: 제2 볼록부
113a: 섬단 오목부
114: 측벽부
115: 제2 단자 수용 캐비티
115a: 제2 단자 수용 내측 캐비티
115b: 제2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
121: 제2 돌출 단부
122: 끼워맞춤 오목부
151: 제2 보강 금속구
152a: 측방 접속부
152b: 전방 접속부
155: 측면부
155a: 접촉편
158: 저면 커버부
158a: 섬단 커버부
161: 제2 단자
163: 피보유부
164: 하측 접속부
165: 내측 접속부
167: 상측 접속부
811: 하우징
812: 볼록부
851: 보강 금속구
861: 단자

Claims (14)

  1. (a) 커넥터 본체와, 당해 커넥터 본체에 설치되는 단자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설치되는 보강 금속구를 구비하는 커넥터이며,
    (b) 상기 커넥터 본체는,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끼워맞춤 가이드부이며, 상대방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 본체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상대방 끼워맞춤 가이드부와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c) 상기 보강 금속구는, 상기 끼워맞춤 가이드부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상면부와, 상기 끼워맞춤 가이드부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단면부와, 상기 끼워맞춤 가이드부의 각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1 측면부와, 상기 끼워맞춤 가이드부의 각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2 측면부를 포함하고,
    (d) 상기 단면부는 상기 상면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상면부에 직접 접속되며,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단면부에 직접 접속되고 상기 상면부에 직접 접속되지 않으며, 상기 제2 측면부는 제1 측면부보다도 상기 끼워맞춤 가이드부의 단면 근처에 위치하여 상기 단면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부는 그 상단이 후방 만곡부를 통해 상기 상면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측면부는 그 상단이 전방 만곡부를 통해 상기 상면부에 접속되며, 상기 제2 측면부는 그 후단이 측방 만곡부를 통해 상기 단면부에 접속되어 있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그 전단의 좌우 양측에 각각 접속된 전방 접속편을 포함하고, 각 제1 측면부는 그 상단이 상기 전방 만곡부를 통해 각 전방 접속편의 선단에 접속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단면부는 그 좌우 양측단에 각각 접속된 측방 접속편을 포함하고, 각 제2 측면부는 그 후단이 상기 측방 만곡부를 통해 각 측방 접속편의 선단에 접속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그 폭 방향 양측연에 각각 형성된 삽입 오목부를 포함하고, 각 제2 측면부는 그 상단에 접속된 상단 만곡부와, 당해 상단 만곡부의 선단에 접속되어 하방 또는 경사 하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보조편을 포함하고, 당해 보조편은 상기 삽입 오목부 내에 삽입되어 있는,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부는 그 상단에 접속된 상단 만곡부와, 당해 상단 만곡부의 선단에 접속되어 하방 또는 경사 하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보조편을 포함하고,
    당해 보조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끼워맞춤 가이드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삽입되어 있는,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의 하단에는 기판 상의 접속 패드에 접속되는 테일부가 접속되고, 상기 단면부의 하단에는 기판 상의 접속 패드에 접속되는 하방 돌출부가 접속되며, 상기 제1 측면부 및 단면부의 측면에는 납땜 들뜸 또는 플럭스 들뜸을 방지하는 배리어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 및 단면부의 측면에는 니켈의 하지 도금 위에 금도금이 실시되고, 상기 배리어부는 니켈이 표면에 노출된 부분인,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와, 당해 커넥터와 끼워맞춤되는 상대방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쌍.
  9. (a) 커넥터 본체와, 당해 커넥터 본체에 설치되는 단자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설치되는 보강 금속구를 구비하는 커넥터이며,
    (b) 상기 커넥터 본체는,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끼워맞춤 가이드부이며, 상대방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 본체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상대방 끼워맞춤 가이드부와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c) 상기 보강 금속구는, 상기 끼워맞춤 가이드부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상면부와, 상기 끼워맞춤 가이드부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단면부와, 상기 끼워맞춤 가이드부의 각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1 측면부와, 상기 끼워맞춤 가이드부의 각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2 측면부를 포함하고,
    (d) 상기 단면부는 상기 상면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상면부에 접속되며, 상기 제2 측면부는 제1 측면부보다도 상기 끼워맞춤 가이드부의 단면 근처에 위치하여 상기 단면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단면부는 그 상단이 후방 만곡부를 통해 상기 상면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측면부는 그 상단이 전방 만곡부를 통해 상기 상면부에 접속되며, 상기 제2 측면부는 그 후단이 측방 만곡부를 통해 상기 단면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상면부는 그 전단의 좌우 양측에 각각 접속된 전방 접속편을 포함하고, 각 제1 측면부는 그 상단이 상기 전방 만곡부를 통해 각 전방 접속편의 선단에 접속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단면부는 그 좌우 양측단에 각각 접속된 측방 접속편을 포함하고, 각 제2 측면부는 그 후단이 상기 측방 만곡부를 통해 각 측방 접속편의 선단에 접속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그 폭 방향 양측연에 각각 형성된 삽입 오목부를 포함하고, 각 제2 측면부는 그 상단에 접속된 상단 만곡부와, 당해 상단 만곡부의 선단에 접속되어 하방 또는 경사 하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보조편을 포함하고, 당해 보조편은 상기 삽입 오목부 내에 삽입되어 있는, 커넥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부는 그 상단에 접속된 상단 만곡부와, 당해 상단 만곡부의 선단에 접속되어 하방 또는 경사 하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보조편을 포함하고,
    당해 보조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끼워맞춤 가이드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삽입되어 있는, 커넥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의 하단에는 기판 상의 접속 패드에 접속되는 테일부가 접속되고, 상기 단면부의 하단에는 기판 상의 접속 패드에 접속되는 하방 돌출부가 접속되며, 상기 제1 측면부 및 단면부의 측면에는 납땜 들뜸 또는 플럭스 들뜸을 방지하는 배리어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 및 단면부의 측면에는 니켈의 하지 도금 위에 금도금이 실시되고, 상기 배리어부는 니켈이 표면에 노출된 부분인, 커넥터.
  14. 제9항에 기재된 커넥터와, 당해 커넥터와 끼워맞춤되는 상대방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쌍.
KR1020210126213A 2020-10-26 2021-09-24 커넥터 및 커넥터 쌍 KR1026198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78779 2020-10-26
JP2020178779A JP6968965B1 (ja) 2020-10-26 2020-10-26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対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408A KR20220055408A (ko) 2022-05-03
KR102619854B1 true KR102619854B1 (ko) 2024-01-04

Family

ID=78605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213A KR102619854B1 (ko) 2020-10-26 2021-09-24 커넥터 및 커넥터 쌍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764510B2 (ko)
JP (3) JP6968965B1 (ko)
KR (1) KR102619854B1 (ko)
CN (2) CN215911623U (ko)
TW (2) TWI7890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95059B2 (en) 2019-04-25 2021-08-17 Molex, Llc Connector
JP7364363B2 (ja) * 2019-04-25 2023-10-1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1711754S (ja) * 2021-08-24 2022-04-05 電気コネクタ
JP1738074S (ja) * 2022-06-27 2023-03-02 コネク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85541A (ja) * 2014-03-20 2015-10-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2018163894A (ja) * 2018-07-27 2018-10-1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US20190363467A1 (en) 2018-05-24 2019-11-28 Molex Llc Receptac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US20200067217A1 (en) 2018-08-24 2020-02-2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4253B2 (ja) * 2009-09-11 2012-06-1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486885B2 (ja) * 2009-09-14 2014-05-0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
JP5685216B2 (ja) * 2012-03-29 2015-03-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5809198B2 (ja) * 2013-06-10 2015-11-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ガイド金具付電気コネクタ
KR102063296B1 (ko) 2015-01-19 2020-01-0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접속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JP2016152084A (ja) * 2015-02-16 2016-08-2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コネクタ
JP6399063B2 (ja) 2016-09-07 2018-10-03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1586037S (ko) 2017-02-13 2017-09-19
KR20180111144A (ko) 2017-03-31 2018-10-11 몰렉스 엘엘씨 기판 대 기판 커넥터
JP6842359B2 (ja) * 2017-05-10 2021-03-17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N207069118U (zh) * 2017-06-08 2018-03-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合
JP2019186062A (ja) 2018-04-11 2019-10-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1605911B2 (en) 2018-06-22 2023-03-14 Fujikura Ltd.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detachably fitting to each other
JP1624138S (ko) 2018-08-24 2019-02-12
CN209119431U (zh) * 2018-10-26 2019-07-16 连展科技(天津)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与板对板连接器组件
CN209329318U (zh) 2018-12-28 2019-08-3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对接连接器
US11095059B2 (en) * 2019-04-25 2021-08-17 Molex, Llc Connector
CN209929525U (zh) * 2019-05-29 2020-01-10 连展科技(天津)有限公司 插头电连接器与插座电连接器
CN209929524U (zh) 2019-05-29 2020-01-10 连展科技(天津)有限公司 插头电连接器与插座电连接器
CN209860189U (zh) * 2019-06-18 2019-12-2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CN209860225U (zh) * 2019-06-19 2019-12-27 启东乾朔电子有限公司 电连接器
CN211404849U (zh) 2020-02-26 2020-09-01 东台润田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板对板连接器公端结构
CN214505933U (zh) 2020-08-03 2021-10-26 广濑电机株式会社 连接器
JP7484062B2 (ja) 2020-08-17 2024-05-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85541A (ja) * 2014-03-20 2015-10-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US20190363467A1 (en) 2018-05-24 2019-11-28 Molex Llc Receptac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JP2018163894A (ja) * 2018-07-27 2018-10-1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US20200067217A1 (en) 2018-08-24 2020-02-2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70214A (ja) 2022-05-12
TWI789046B (zh) 2023-01-01
KR20220055408A (ko) 2022-05-03
TWI849627B (zh) 2024-07-21
JP2022069874A (ja) 2022-05-12
JP7536724B2 (ja) 2024-08-20
JP6968965B1 (ja) 2021-11-24
US20220131303A1 (en) 2022-04-28
CN113725653A (zh) 2021-11-30
JP7550128B2 (ja) 2024-09-12
CN215911623U (zh) 2022-02-25
US11764510B2 (en) 2023-09-19
TW202315241A (zh) 2023-04-01
JP2022070210A (ja) 2022-05-12
TW202218261A (zh) 2022-05-01
US20230396012A1 (en) 2023-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985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쌍
JP7535080B2 (ja) コネクタ組立体
US10651581B1 (en) Connector
KR101832599B1 (ko) 커넥터
US11936127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12027802B2 (en) Connector
US830849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CN111934110B (zh) 连接器
JP5197294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US11978973B2 (en) Connector
JP2018081869A (ja) コネクタ
JP2023001183A (ja) 金具、金具付き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2021002534A (ja) コネクタ
JP5642611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