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892B1 -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892B1
KR102618892B1 KR1020230014568A KR20230014568A KR102618892B1 KR 102618892 B1 KR102618892 B1 KR 102618892B1 KR 1020230014568 A KR1020230014568 A KR 1020230014568A KR 20230014568 A KR20230014568 A KR 20230014568A KR 102618892 B1 KR102618892 B1 KR 102618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pace
support
support unit
conn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4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배
홍민선
Original Assignee
경기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산업(주) filed Critical 경기산업(주)
Priority to KR1020230014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은, 모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기차의 구동부의 충돌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로서, 상기 전기차의 양측 사이드를 형성하는 사이드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도록 한 쌍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의 충돌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상기 구동부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지지유닛 및 한 쌍의 상기 지지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서로를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지지유닛 사이에서 강성을 확보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CLADLE MODULE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를 구동시키는 제어부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전면 충돌에 대한 강성을 확보하여 제어부의 파손과 전지의 2차적 파손에 따른 사고를 예방하는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연료를 태워 구동력을 제공받는 방식의 자동차가 대다수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으나, 전기를 통해 구동되는 전기자동차 및 가스를 통해 구동되는 천연가스 자동차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환경오염에 대비하기 위한 방법을 고안하고 있다.
특히, 전기자동차의 경우는 가스 및 휘발유를 활용하는 것보다 접근성이 높고, 자동차의 전반적인 제어를 전기적 요인에 의해 전력을 제공받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접근성과 엔진에서 휘발유와 같은 연료를 구동력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유해가스 등을 예방하기 위해 전기자동차를 예전보다 쉽게 접할 수 있다.
다만, 전기자동차의 경우 최근 뉴스에서도 몇 차례 소개된 적이 있지만, 리튬전지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구동력을 제공받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의한 파손에 다소 약한 모습을 보이고, 특히, 차량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가 차량의 전면부에 탑재되기 때문에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에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
특히, 차량의 전면충돌이 발생되는 경우, 일반적인 차량의 경우는 앞 범퍼를 교체하거나 엔진을 교체하는 등 부품별 교체가 용이할 수 있었으나, 전기자동차의 경우는 전면부에 제어부가 탑재되므로, 제어부가 손상될 경우 차량의 전반적인 기능을 활용할 수 없어 차량의 제어부 자체를 교체해야 한다는 부담이 있을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전기자동차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제어부가 보호될 수 있는 방안과 충돌로 인한 전지 혹은 제어부의 2차 사고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고안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전기자동차를 구동시키는 제어부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전면 충돌에 대한 강성을 확보하여 제어부의 파손과 전지의 2차적 파손에 따른 사고를 예방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은, 모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기차의 구동부의 충돌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로서, 상기 전기차의 양측 사이드를 형성하는 사이드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도록 한 쌍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의 충돌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상기 구동부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지지유닛 및 한 쌍의 상기 지지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서로를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지지유닛 사이에서 강성을 확보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유닛 또는 상기 연결유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유닛 또는 상기 연결유닛의 강성을 확보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전기차를 구동하는 제어부의 손상을 방지하는 강성유닛을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강성유닛은, 상기 지지유닛 또는 상기 연결유닛의 내측에서 상기 지지유닛 또는 상기 연결유닛의 내측면과 일부가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성유닛은, 상기 지지유닛 또는 상기 연결유닛 내부를 상기 지지유닛 또는 상기 연결유닛의 내측면 사이의 제1 공간 및 내부의 제2 공간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강성유닛은, 상기 제1 공간이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다수의 상기 제1 공간에 의해 상기 제어부에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강성유닛은, 상기 지지유닛 또는 상기 연결유닛의 내측면의 양측과 맞닿도록 구비되어 양측의 외부 충격에 대한 강성을 확보하는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1 보강부 사이에서 상기 지지유닛 또는 상기 연결유닛의 내측면의 하부와 맞닿아 상하방향의 외부 충격에 대한 강성을 확보하는 제2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보강부는, 상기 지지유닛 또는 상기 연결유닛의 내측면에서 상기 제2 보강부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 보강부는, 상기 제1 보강부에서 하부를 향해 직경이 가변되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보강부는, 상기 제1 보강부에서 하부를 향해 직경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보강부는, 일부가 상기 제2 공간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유닛 또는 상기 연결유닛의 내측면과 상기 제1 보강부 사이에 상기 제1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은, 전기자동차를 구동시키는 제어부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전면 충돌에 대한 강성을 확보하여 제어부의 파손과 전지의 2차적 파손에 따른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의 전반적인 설명을 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의 지지유닛의 단면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의 강성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의 강성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의 힘의 작용 방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의 힘의 분산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의 힘의 분산에 따른 강성 확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전반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의 전반적인 설명을 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의 지지유닛의 단면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의 강성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의 강성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전기차의 양측 사이드를 형성하는 사이드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도록 한 쌍이 형성되며, 모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상기 전기차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의 충돌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상기 구동부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지지유닛(100), 한 쌍의 상기 지지유닛(100) 사이에 구비되어 서로를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지지유닛(100) 사이에서 강성을 확보하는 연결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유닛(100)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부에는 상기 전기차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가 탑재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지지유닛(100)의 하부에는 상기 전기차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리튬전지 및 모터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지지유닛(100)은 상기 제어부 및 리튬전지, 모터가 구비되는 상기 전기차의 전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전기차의 전면부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 상기 제어부 및 전지에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2차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전기적 화재사고나 상기 제어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유닛(100)은 상기 전기차의 양측면을 구성하는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서 서로를 연결하기 때문에 양측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도 상기 제어부 및 전지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도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유닛(200)의 경우는 한 쌍의 상기 지지유닛(100)을 연결하되, 상기 전기차의 전면부 방향에서 충격이 가해진 경우, 상기 지지유닛(100)이 상기 전기차의 내측으로 밀려 상기 제어부와 전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 쌍의 상기 지지유닛(100) 사이에서 상기 지지유닛(100)의 배치방향과 수직하게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을 향해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지지유닛(100)에 의해 1차적으로 충격이 흡수되고, 상기 지지유닛(100)이 밀려나는 경우, 상기 연결유닛(200)에 의해 상기 지지유닛(100)이 2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제어부 및 전지를 보호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최근 전기자동차에 대한 중량이 휘발유를 활용하는 자동차에 비해 높다는 이슈가 존재했었으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유닛(100) 혹은 상기 연결유닛(200)의 내측은 공극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유닛(100) 및 상기 연결유닛(200) 내부의 공극은 하부에 배치되는 모터의 진동이 상기 제어부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진동을 저감시키고, 모터의 열기을 감쇄시키는 효과가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의 중량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대해서 전기자동차는 전기적요인에 의해 동작되므로 모터의 구동력을 통해 상기 전기차에 구동력을 제공하게 되고, 자명한 사실이지만 차제의 중량이 높을수록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가 높아지면서 전기 소모량이 늘어나 배터리의 유지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수도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차량이 전면부에 충격을 받는 경우는 가벼운 접촉사고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전봇대나 가로수와 같이 차량에 가해지는 피해량을 완충시키기에 다소 어려운 경우도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전기차에 구비되는 상기 제어부 및 전지 등을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순히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진동 및 열의 전달을 저감시키는 것 외에도 크래들모듈의 강성을 확보하여 차제의 전면에 가해지는 충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유닛(100) 혹은 상기 연결유닛(200)의 내측에 내부프레임(160)을 배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프레임(160)은 단순히 상기 지지유닛(100)만으로는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응하기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유닛(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와 같은 구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부분은 아니나 상기 지지유닛(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버텨내기 위해서는 상기 내부프레임(16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차제의 중량을 다소 높일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강성 확보를 위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가벼운 중량임에도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앞서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지지유닛(100) 또는 상기 연결유닛(200)의 내측에 상기 강성유닛(300)을 구비하여 효과적으로 전면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제어부 및 전지 등을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상기 강성유닛(300)은 상기 지지유닛(100) 또는 상기 연결유닛(200) 중 어느 하나 혹은 둘 모두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강성유닛(300)은 둘 모두 혹은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기 때문에 설명의 편의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지지유닛(100)만 제시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상기 지지유닛(100)에만 구비되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한편, 앞서 상술한 바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유닛(100) 또는 상기 연결유닛(200)에 구비되는 상기 강성유닛(300)은 상기 지지유닛(100) 또는 상기 연결유닛(200)의 내측면의 양측과 맞닿도록 구비되어 양측의 외부 충격에 대한 강성을 확보하는 제1 보강부(320) 및 상기 제1 보강부(320) 사이에서 상기 지지유닛(100) 또는 상기 연결유닛(200)의 내측면의 하부와 맞닿아 상하방향의 외부 충격에 대한 강성을 확보하는 제2 보강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여기서 상기 강성유닛(300)은 상기 지지유닛(100) 또는 상기 연결유닛(200)의 내부를 제1 공간(120) 및 제2 공간(140)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공간(120)은 상기 지지유닛(100) 또는 상기 연결유닛(200)의 내측면과 상기 강성유닛(300)의 외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제2 공간(140)은 상기 강성유닛(300)의 내측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공간(120)과 상기 제2 공간(140)이 형성되는 것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유닛(100) 및 상기 연결유닛(200)의 상하부 혹은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제어부 및 전지가 탑재되며, 특히, 하부에는 전륜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모터의 구동에 따른 진동으로 인해 상기 제어부에 영향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제1 공간(120)과 상기 제2 공간(140)은 내부의 공극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하부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상대적으로 저감시켜 상기 제어부에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모터의 동작에 따른 열전달이 상기 제어부에 전달되는 것을 상대적으로 지연시키거나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공간(120) 및 상기 제2 공간(140)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진동 저감의 효과와 모터의 열전달을 지연 및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을 수 있다.
한편,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보강부(320) 및 상기 제2 보강부(340)는 각각 도 3을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 측면방향과 상하방향에 대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추후 상술할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제1 보강부(320)는 상기 지지유닛(100) 또는 상기 연결유닛(200)의 내측면에서 양측방향과 맞닿도록 형성되고, 일부가 상측의 내측면과 맞닿아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보강부(340)는 상기 제1 보강부(320)에서 상대적으로 하측방향을 향해 연장되되, 직경이 가변되도록 연장될 수 있고 보다 명확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보상부는 일부가 상기 지지유닛(100) 또는 상기 연결유닛(200)의 내측면의 하측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형태와 배치에 따라 상기 제1 보강부(320)는 양측방향의 외력에 강성을 확보하고, 상기 제2 보강부(340)는 상하방향의 외력에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양측방향, 상하방향을 보다 명확하게 정의하자면, 상기 지지유닛(100)이 배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했을 경우, 상기 전기차를 기준으로 전후방방향을 의미하고 있을 수 있으며, 상하방향은 상기 전기차를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지지유닛(100)과 상기 연결유닛(200)은 서로 수직한 배치방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앞서 상술한 바는 상기 지지유닛(100)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상기 연결유닛(200)은 배치방향상의 차이에 따른 양측방향의 변동, 즉, 상기 전기차를 기준으로 측면에 해당하는 방향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저항하도록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지지유닛(100)을 기준으로 설명하므로 양측방향이 상기 전기차의 전후방방향이라고 언급하였을 뿐, 상기 연결유닛(200)은 상기 지지유닛(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강성유닛(300)과 양측방향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보강부(320)는 상기 전기차의 전면부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보강부(340)는 상하방향의 충격을 방지하는 효과에 대해서만 언급하였으나, 상기 제1 보강부(320)에서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켜 상기 제1 보강부(320)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저감시키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고, 이는 추후 상술할 도면을 통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앞서 상술한 기본적인 구성을 토대로 하여 상기 전기차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분산시키는 것과 변형예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의 힘의 작용 방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의 힘의 분산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의 힘의 분산에 따른 강성 확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보강부(320)는 상기 지지유닛(100) 또는 상기 연결유닛(200)의 내측에서 양측방향의 내측면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방 혹은 후방에 해당하는 양측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이에 대한 상기 지지유닛(100)의 강성을 확보하여 상기 전기차의 전면부 충돌에 따른 파손을 효과적으로 저항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보강부(340)는 상기 지지유닛(100)의 상측 내측면과 맞닿는 상기 제1 보강부(320)를 지지하여 상측에서 가해지는 충격량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보강부(320)에 가해지는 양측방향의 힘 또한 분산시켜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유닛(100)을 기준으로 전방에 해당하는 방향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것으로 가정하면, 상기 지지유닛(100)에 가해지는 충격량은 상기 지지유닛(100)의 내측면과 맞닿아 지지하는 상기 제1 보강부(320)에 전달되고, 상기 제1 보강부(320)는 상기 지지유닛(100)에 전달되는 충격이 상기 제2 보강부(34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보강부(340)의 경우는 상기 제1 보강부(320)에서 테이퍼진 경사를 가지도록 연장되고, 도 4를 기준으로 했을 경우, 직경이 좁아지도록 연장되기 때문에 힘의 전달이 분산되어 상기 제1 보강부(320)와 상기 제2 보강부(340)가 맞닿아 있는 면의 충격량의 일부가 상기 제2 보강부(340)로 전달되어 상대적으로 상기 제1 보강부(320)에 가해지는 힘이 저감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강부(320)는 상측부가 상기 지지유닛(100)의 내측면과 맞닿도록 형성되되, 상기 지지유닛(100)의 양측면 사이에 상기 제1 공간(120)이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맞닿은 내측면 사이의 상기 제1 공간(12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보강부(320)의 일부가 함몰되도록 일부 테이퍼진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1 보강부(320)에서 상기 제1 공간(120)을 지나 충격량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보강부(320) 및 상기 제2 보강부(340)가 맞닿는 면과 유사하게 충격량이 일부 분산되어 전달되도록 할 수 있고, 이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유닛(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일부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도 있다.
즉, 이와 같은 형태적 구성은 상기 전기차를 기준으로 전단면에서 가해지는 충격량에 효과적으로 상기 지지유닛(100)이 저항할 수 있도록 하고, 이는 상가 제어부 및 전지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제1 보강부(320) 및 상기 제2 보강부(340)는 상기 지지유닛(100)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분산시켜 상기 지지유닛(100)이 외부의 충격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강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충하기 위해 도 7과 같이 상기 제2 공간(140)을 제1 구분공간(142)과 제2 구분공간(144)으로 구분하는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에서 제시된 형태와 유사하지만, 상기 제2 보강부(340)도 상기 제1 보강부(320)와 유사하게 일부가 상기 지지유닛(100)의 양측면과 맞닿게 하여 양측방향 충격에 효과적으로 충격이 분산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2 보강부(340)의 경우는 테이퍼지게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전달되는 힘을 효과적으로 분산 및 감쇄시키도록 하고, 도 2와는 다르게 상기 제1 보강부(320)를 따라 이동되는 충격과 상기 제2 보강부(340)를 따라 이동되는 충격이 한 점에서 만나기 때문에 이를 효과적으로 지지 및 완화하기 위해 상기 제2 공간(140)을 상기 제1 구분공간(142)과 상기 제2 구분공간(144)으로 구분하도록 형성하여 충격을 완화시킬 수도 있다.
물론, 이와 같은 형태를 제외하고도 상기 제2 공간(140)의 다수의 공간으로 구분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제1 공간(120) 및 상기 제2 공간(140)의 구분을 통한 강성의 확보, 진동의 저감, 열전달 감소 등의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과 같은 형태가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지지유닛
120: 제1 공간
140: 제2 공간
142: 제1 구분공간
144: 제2 구분공간
160: 내부프레임
200: 연결유닛
300: 강성유닛
320: 제1 보강부
340: 제2 보강부

Claims (10)

  1. 모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기차의 구동부의 충돌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로서,
    상기 전기차의 양측 사이드를 형성하는 사이드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도록 한 쌍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의 충돌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상기 구동부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지지유닛;
    한 쌍의 상기 지지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서로를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지지유닛 사이에서 강성을 확보하는 연결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 또는 상기 연결유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유닛 또는 상기 연결유닛의 강성을 확보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전기차를 구동하는 제어부의 손상을 방지하는 강성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강성유닛은,
    상기 지지유닛 또는 상기 연결유닛 내부를 상기 지지유닛 또는 상기 연결유닛 내측면 사이의 제1 공간 및 내부의 제2 공간으로 구분하도록 상기 지지유닛 또는 상기 연결유닛의 내측에서 상기 지지유닛 또는 상기 연결유닛의 내측면과 일부가 맞닿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유닛 또는 상기 연결유닛의 내측면의 양측과 맞닿도록 구비되어 양측의 외부 충격에 대한 강성을 확보하는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1 보강부 사이에서 상기 지지유닛 또는 상기 연결유닛의 내측면의 하부와 맞닿아 상하방향의 외부 충격에 대한 강성을 확보하는 제2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보강부는,
    상기 제 1보강부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켜 상기 제1 보강부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저감시키도록 상기 지지유닛 또는 상기 연결유닛의 내측면에서 양측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강성유닛은,
    상기 제1 공간이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다수의 상기 제1 공간에 의해 상기 제어부에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보강부는,
    상기 지지유닛 또는 상기 연결유닛의 내측면에서 상기 제2 보강부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보강부는,
    상기 제1 보강부에서 하부를 향해 직경이 가변되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1 보강부에서 하부를 향해 직경이 넓어지도록 테이퍼지게 마련되어,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제1 보강부 내부에 제1 구분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보강부 내부에 사다리꼴 형태의 제2 구분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보강부를 따라 이동되는 충격과 상기 제2 보강부를 따라 이동되는 충격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제1 보강부의 일부가 상기 제1 구분공간을 향해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유닛 또는 상기 연결유닛의 내측면과 상기 제1 보강부 사이에 하나의 상기 제1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구분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유닛 또는 상기 연결유닛의 내측면과 상기 제2 보강부 사이에 대칭되는 한쌍의 상기 제1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30014568A 2023-02-03 2023-02-03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 KR102618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4568A KR102618892B1 (ko) 2023-02-03 2023-02-03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4568A KR102618892B1 (ko) 2023-02-03 2023-02-03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892B1 true KR102618892B1 (ko) 2023-12-29

Family

ID=89333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4568A KR102618892B1 (ko) 2023-02-03 2023-02-03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8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0991B2 (ko) * 1977-07-16 1982-12-22 Kubota Ltd
KR19980061522U (ko) * 1997-03-26 1998-11-05 김영귀 프론트 프레임 보강구조
JP5760991B2 (ja) * 2011-11-29 2015-08-1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モータユニット支持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0991B2 (ko) * 1977-07-16 1982-12-22 Kubota Ltd
KR19980061522U (ko) * 1997-03-26 1998-11-05 김영귀 프론트 프레임 보강구조
JP5760991B2 (ja) * 2011-11-29 2015-08-1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モータユニット支持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3487B2 (ja) 車両および関連付けられたエネルギーリザーバ支持体
JP5316278B2 (ja) 車両の充電ポート構造
JP5973497B2 (ja) 電動自動車用の取付けフレーム
US20200148050A1 (en) Electric automobile and body structure thereof
JP6997525B2 (ja) 車載用バッテリー
KR20120095913A (ko) 배터리를 포함하는 자동차 구조체
WO2019052511A1 (zh) 车身框架及具有该车身框架的汽车
US20180304767A1 (en) Vehicle
CN111546868B (zh) 一种提高新能源电动汽车侧面碰撞安全性能的车辆结构
CN110626427A (zh) 汽车小偏置碰传力机构及包括其的汽车
KR20180129084A (ko) 충돌흡수 구조를 갖는 일체형 사이드 멤버
CN103231739A (zh) 用于车辆的车架及具有其的车辆
KR102618892B1 (ko) 전기자동차용 크래들모듈
CN102371881A (zh) 动力总成支撑系统
CN114954676B (zh) 车辆前舱结构及车辆
CN213502178U (zh) 一种新能源客车保险杠减震结构
CN215284329U (zh) 一种电池包护板及车辆
CN211519653U (zh) 汽车小偏置碰传力机构及包括其的汽车
EP4126639B1 (en) A vehicle comprising a collision protection structure
KR20220093750A (ko) 차량의 후방 구조
CN114644055A (zh) 用于车辆的前围板结构
CN217259550U (zh) 自动化码头的动力电池安装装置及码头智能导引车
CN109204526B (zh) 车身结构及车辆
CN220076110U (zh) 电池包安装结构及具有其的车辆
CN216783251U (zh) 采用动力电池模组分区防护结构的纯电动汽车一体化底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