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780B1 -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780B1
KR102618780B1 KR1020230004112A KR20230004112A KR102618780B1 KR 102618780 B1 KR102618780 B1 KR 102618780B1 KR 1020230004112 A KR1020230004112 A KR 1020230004112A KR 20230004112 A KR20230004112 A KR 20230004112A KR 102618780 B1 KR102618780 B1 KR 102618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got
discharge
conveyor
water tank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4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재
Original Assignee
박정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재 filed Critical 박정재
Priority to KR1020230004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7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9/00Machines or plants for casting ing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1/00Casting non-ferrous metals or metallic compounds so far as their metallurgical properties are of importance for the casting procedure; Selection of compositions therefor
    • B22D21/02Casting exceedingly oxidisable non-ferrous metals, e.g. in inert atmosphere
    • B22D21/025Casting heavy metals with high melting point, i.e. 1000 - 1600 degrees C, e.g. Co 1490 degrees C, Ni 1450 degrees C, Mn 1240 degrees C, Cu 1083 degrees 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7/00Casting ingots, e.g. from ferrous metals
    • B22D7/005Casting ingots, e.g. from ferrous metals from non-ferrous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7/00Casting ingots, e.g. from ferrous metals
    • B22D7/06Ingot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B22D7/064Cooling the ingot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리 등이 제련된 고온의 잉곳을 배출 이송 중 적정 온도로 냉각, 특히 침지식 수랭 방식으로 이송 중인 잉곳을 빠르게 냉각하여 정렬 이송할 수 있게 하는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은, 잉곳 배출 컨베이어와, 잉곳 정렬 컨베이어와, 잉곳 냉간 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상면에 놓인 고온의 잉곳을 이송 중 냉각하여 배출하되, 상기 잉곳 냉간 이송 컨베이어는, 냉각수가 채워지는 수조와, 잉곳을 이송하는 체인으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수조의 입구측에서 수조에 잠기도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입수 이송부와 상기 입수 이송부에서 상기 수조의 출구측으로 수조에서 나오도록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출수 이송부로 이루어진 체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INGOT COOLING AND TRANSFER SYSTEM}
본 발명은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리 등이 제련된 고온의 잉곳을 배출 이송 중 적정 온도로 냉각, 특히 침지식 수랭 방식으로 이송 중인 잉곳을 빠르게 냉각하여 정렬 이송할 수 있게 하는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리 등 제련된 금속을 추후 압연, 단조 등의 가공 처리하거나 다시 용해할 목적으로 적당한 크기와 형상으로 주조한 금속 덩어리를 잉곳이라 한다.
이러한 잉곳은 주조 직후 상당한 고온(대략 400~500도)을 유지하기 때문에 보관 전 고온의 잉곳을 적정 온도로 냉각시켜야 하며, 이때 배출 공정을 간소화시키고 생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이송 중 냉각이 동시에 진행된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5733호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은 이송 중인 잉곳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런데 냉각수 분사 방식은 냉각수 소모량이 많고, 냉각 시간도 오래 걸리기 때문에 냉각이 충분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그만큼 이송 거리가 길어지게 되어,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 자체가 대형화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온의 잉곳을 이송 중 빠르고 안전하게 즉시 냉각하여 정렬 이송할 수 있도록, 수조를 이용한 침지식 수랭 방식을 채용한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은,
잉곳 배출 컨베이어와, 잉곳 정렬 컨베이어와, 잉곳 냉간 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상면에 놓인 고온의 잉곳을 이송 중 냉각하여 배출하되,
상기 잉곳 냉간 이송 컨베이어는,
냉각수가 채워지는 수조와,
잉곳을 이송하는 체인으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수조의 입구측에서 수조에 잠기도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입수 이송부와 상기 입수 이송부에서 상기 수조의 출구측으로 수조에서 나오도록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출수 이송부로 이루어진 체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에서,
상기 잉곳 정렬 컨베이어는,
상기 잉곳 배출 컨베이어에서 안착판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공급부와,
상기 슬라이드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잉곳이 안착되며,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에 안착되는 잉곳을 정지시키되, 잉곳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잉곳 안착 후 상기 안착판을 하강시키는 잉곳 스토퍼와,
상승된 안착판 하부에서 상기 잉곳 냉간 이송 컨베이어를 향해 설치되고, 하강한 상기 안착판으로부터 잉곳을 전달받아 이송하는 체인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체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에서,
상기 체인부재는 상기 출수 이송부에서 체인으로 연장 연결된 수평 이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잉곳 냉간 이송 컨베이어는 상기 수평 이송부의 잉곳을 상기 수평 이송부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비상 배출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비상 배출수단은,
상기 수평 이송부 하부에서 상기 수평 이송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일측단이 축 결합되어 타측단이 상향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강제 배출판과,
상기 강제 배출판을 상하 회동시키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에서,
상기 잉곳 배출 컨베이어와 잉곳 정렬 컨베이어 및 잉곳 냉간 이송 컨베이어는 모두 잉곳이 이송방향과 직교되는 가로방향으로 안착되어 이송되되, 상기 잉곳 배출 컨베이어와 잉곳 정렬 컨베이어는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잉곳 배출 컨베이어는,
잉곳이 가로방향으로 배열되어 안착되는 벨트로 구성된 벨트부재와,
상기 벨트부재의 상면 일측에서 잉곳의 이송 경로 중 일측 영역 일부를 침범하도록 돌출되게 설치되어, 가로방향의 잉곳을 세로방향으로 전환시켜 이송되게 하는 방향 전환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은,
이송 중인 잉곳이 수조에 잠겨서 냉각이 이루어져 보다 빠르고 안전하게 고온의 잉곳을 냉각 냉각 후 정렬 이송하여 배출할 수 있고,
배출되는 잉곳을 적정 단수로 자동으로 쌓아 바로 제품화할 수 있으면서, 작업의 효율성과 안전을 기할 수 있게 즉시 이송할 수 있고,
불량품 등 잉곳을 강제 배출시킬 필요가 있을 때 이송 작동을 멈추지 않고 해당 잉곳만을 컨베이어 밖으로 강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잉곳의 로딩방향을 전환시켜 잉곳 이송에 필요한 전체 라인을 직각 구조로 연결하여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요부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요부 정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게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방향 기준을 도 3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곳 배출 컨베이어(10)와, 잉곳 정렬 컨베이어(20)와, 잉곳 냉간 이송 컨베이어(30)를 포함하여, 상면에 놓인 고온의 잉곳(I)을 이송 중 냉각하여 배출하는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먼저 상기 잉곳 배출 컨베이어(10)와 잉곳 정렬 컨베이어(20)는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고, 잉곳 정렬 컨베이어(2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잉곳 냉간 이송 컨베이어(30)가 연장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잉곳 배출 컨베이어(10)는 주조기(M)에 연결되어 주조된 잉곳(I)을 배출하며, 상기 잉곳 냉간 이송 컨베이어(30)는 유압 리프트 등의 적층설비에 연결되어 냉각된 잉곳(I)의 배출이 완료된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컨베이어형 회전 순환식 주조기(M)의 주형에서 잉곳(I)이 낙하하여 배출되는 실시예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상기 주조기(M)에서 배출되는 잉곳(I)의 경우도 그 형상이 플랜지부(Ia)가 잉곳(I)의 좌우 양측면 상단에서 돌출된 형태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각 컨베이어(10)(20)(30)는 모두 안착된 잉곳(I)이 잉곳(I)의 이송방향과 직교되는 가로방향으로 안착되어 이송된다.
구적으로 상기 잉곳 배출 컨베이어(10)는,
잉곳(I)이 가로방향으로 배열되어 안착되는 벨트로 구성된 벨트부재(11)와,
상기 벨트부재(11)의 상면 일측에서 잉곳(I)의 이송 경로 중 일측 영역 일부를 침범하도록 돌출되게 설치되어, 가로방향의 잉곳(I)을 세로방향으로 전환시켜 이송되게 하는 방향 전환바(12)를 포함한다.
상기 벨트부재(11)는 다수개의 벨트가 스프로킷에 체인식으로 연결되어, 모터에 의해 컨베이어 방식으로 순환 이동하여 벨트부재(11) 위에 놓인 잉곳(I)을 일방향으로 이송한다.
이때 상기 벨트부재(11)는 잉곳(I)의 이송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경사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방향 전환바(12)는 잉곳 배출 컨베이어(10)의 일측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좌우 각도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측 끝단부에 롤러(121)가 축설되어 있다.
이러한 방향 전환바(12)는 벨트부재(11)의 길이방향(잉곳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벨트부재(11)의 상면 일부를 침범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가로방향으로 안착된 잉곳(I)은 일측 단부가 상기 방향 전환바(12)의 롤러(121)에 접촉함에 따라 벨트부재(11) 위에서 세로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안착방향이 전환된다.
이때 상기 방향 전환바(12)는 벨트부재(11)의 길이방향으로 2개 이상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각 방향 전환바(12)의 각도가 서로 다르게 조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잉곳 배출 컨베이어(10)는 상기 잉곳 정렬 컨베이어(20)와의 연결부에 설치되며 세로방향으로 전환된 잉곳(I)을 안착판(22)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판(13)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판(13)은 상기 벨트부재(11)의 상면 양측에서 잉곳(I)의 이송방향으로 좌우 폭이 점감되면서 슬라이드 공급부(21)를 지나 안착판(22)의 중앙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상기 방향 전환바(12)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회전한 잉곳(I)이 상기 안착판(22)의 중앙에 정확하게 안착되게 한다.
아울러 상기 잉곳 배출 컨베이어(10)는 상기 벨트부재(11)의 상면에 대하여 소정 간격 이격되면서 소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설치되는 비상 퇴출 프레임(14)을 더 포함한다.
상기 비상 퇴출 프레임(14)은 실린더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잉곳(I)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비상 퇴출 프레임(14)은 정상 가동 시 잉곳(I)의 높이보다 더 높게 상승하여 잉곳(I)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리고 만약 잉곳 정렬 컨베이어(20)나 잉곳 냉간 이송 컨베이어(30) 등의 후속 공정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비상 퇴출 프레임(14)이 하강 작동한다.
이에 상기 비상 퇴출 프레임(14)은 벨트부재(11)의 상면 이송 경로를 침범하게 되며, 주조기(M)에서 계속하여 배출되는 잉곳(I)이 상기 비상 퇴출 프레임(14)에 접촉하면서 경사도를 따라 안내되어 벨트부재(10) 외부로 이탈되게 함으로써, 비상 상황 발생 시 잉곳(I)의 이송이 계속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잉곳 정렬 컨베이어(20)는 상기 잉곳 배출 컨베이어(10)에서 안착판(22)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공급부(21)와,
상기 슬라이드 공급부(21)로부터 공급되는 잉곳(I)이 안착되며,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안착판(22)과,
상기 안착판(22)에 안착되는 잉곳(I)을 정지시키되, 잉곳 감지 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잉곳 안착 후 상기 안착판(22)을 하강시키는 잉곳 스토퍼(23)와,
상승된 안착판(22) 하부에서 상기 잉곳 냉간 이송 컨베이어(30)를 향해 설치되고, 하강한 상기 안착판(22)으로부터 잉곳(I)을 전달받아 이송하는 체인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체인부재(이하 제1 체인부재(24)로 통칭함.)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 공급부(21)는 가로방향으로 축설된 롤러(211)들이 잉곳(I)의 이송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벨트부재(11)에서 잉곳(I)이 슬라이드 공급부(21)로 전달되면, 롤러(211)들의 구름 지지로 인해 잉곳(I)이 미끄러지면서 상기 안착판(22)에 안착하여 로딩이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판(22)은 실린더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공급부(21)와 동일하게 롤러(221)들이 장착되어 있어 안착판(22) 위에 잉곳(I)이 미끄러져 안착된다.
상기 잉곳 스토퍼(23)는 상기 잉곳(I)의 슬라이드방향 측에 장착된 것으로, 압축 스프링(231)에 의해 잉곳(I)의 슬라이드 반대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잉곳 감지 센서는 상기 잉곳 스토퍼(23)의 충격 등을 감지하여 잉곳(I)의 안착 여부를 판별한다.
이러한 잉곳 감지 센서는 충격 감지 센서는 물론 잉곳 스토퍼(23)의 전후진을 감지하는 접촉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인부재(24)는 스프로킷에 연결되어 순환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잉곳(I)의 양측 플랜지부(Ia) 간격에 대응하게 좌우 한 쌍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 체인부재(24)는 잉곳(I)의 이송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제1 체인부재(24)의 후단측 하단부가 상승한 안착판(22)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게 설치된다.
이에 상기 안착판(22)으로 미끄러진 잉곳(I)이 상기 잉곳 스토퍼(23)에 접촉하면서 충격을 해소한 후 정지되면, 이를 상기 잉곳 감지 센서가 감지하여 상기 안착판(22)을 하강 작동시키고, 안착판(22)과 제1 체인부재(24)의 높이 역전으로 인해 안착판(22) 위에 놓인 잉곳(I)의 양측 플랜지부(Ia)가 제1 체인부재(24) 위에 놓여서, 가로방향으로 로딩된 잉곳(I)이 제1 체인부재(24)에 의해 잉곳 냉간 이송 컨베이어(30)를 향해 이송되며, 하강한 안착판(22)은 소정 시간 경과 후 상승 복귀하여 후속 잉곳(I)의 로딩을 준비한다.
이어서 상기 잉곳 냉간 이송 컨베이어(30)는,
냉각수가 채워지는 수조(31)와,
잉곳(I)을 이송하는 체인으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수조(31)의 입구측에서 수조(31)에 잠기도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입수 이송부(321)와 상기 입수 이송부(321)에서 상기 수조(31)의 출구측으로 수조(31)에서 나오도록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출수 이송부(322)로 이루어진 체인부재(이하 제2 체인부재(32)로 통칭함.)를 포함한다.
상기 수조(31)는 잉곳(I)의 이송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수조(31) 내부에 상기 제2 체인부재(32)의 일부가 냉각수에 잠기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체인부재(32)는 스프로킷에 의해 순환 이동하여 그 위에 높이 잉곳(I)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체인부재(2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연결되게 설치된다.
특히 상기 제1 체인부재(24)와 제2 체인부재(32)는 단일 스프로킷에 동시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체인부재(24)는 RS 체인으로 연결되고, 제2 체인부재(32)는 평체인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제1 체인부재(24)와 제2 체인부재(32)의 체인 종류를 달리한 이유는,
제1 체인부재(24)의 경우 상향 설치되어 스프로킷의 당김 압력으로 순환되는데 비하여,
제2 체인부재(32)의 경우 하향 후 상향 설치되어 수조(31) 내부에 잠기게 되는데, 이때 체인들이 팽팽해지면 제2 체인부재(32)의 경사 구조를 구현할 수 없는 바, 평체인으로 연결하여 스프로킷의 미는 압력으로 제2 체인부재(32)의 순환 작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프로킷은 서로 다른 직경의 기어부를 가져 상기 제1 체인부재(24)와 제2 체인부재(32)가 각 기어부에 결합되게 하여, 제1 체인부재(24)와 제2 체인부재(32)가 서로 연동하여 작동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체인부재(24) 위에 놓인 잉곳(I)은 상기 스프로킷을 지나면서 제2 체인부재(32) 위로 그대로 전달되어 제2 체인부재(32)에 의해 이송되며, 이때 잉곳(I)이 상기 입수 이송부(321)를 지나면서 수조(31) 내부의 물에 잠겨서 침지식 수랭 방식으로 냉각된 후 출수 이송부(322)를 지나면서 수조(31) 외부로 이탈하여 배출 이송이 계속된다.
한편 상기 제2 체인부재(32)는 상기 출수 이송부(322)에서 체인으로 연장 연결된 수평 이송부(3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잉곳 냉간 이송 컨베이어(30)는 상기 수평 이송부(323)의 잉곳(I)을 상기 수평 이송부(323)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비상 배출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비상 배출수단은,
상기 수평 이송부(323) 하부에서 상기 수평 이송부(323)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일측단이 축 결합되어 타측단이 상향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강제 배출판(33)과,
상기 강제 배출판(33)을 상하 회동시키는 회동부재(34) 포함한다.
상기 수평 이송부(323)는 잉곳(I)의 배출 완료 지점까지 연장 연결되어 있으며, 그 중간에 상기 비상 배출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강제 배출판(33)은 가로방향으로 안착된 잉곳(I)과 직교되는 세로방향으로 장착된 롤러(331)들이 가로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일측 단부에 회동축(332)이 결합되어 상기 회동축(332)을 축으로 상하 회동한다.
이때 상기 제2 체인부재(32)를 통한 잉곳(I)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상기 강제 배출판(33)은 제2 체인부재(32)가 수용되는 삽입홈(323)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동부재(34)는 실린더로 구성되어 인출입 작동하는 피스톤의 끝단이 상기 강제 배출판(33)의 타측단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이에 상기 회동부재(34)에 의해 상기 강제 배출판(33)이 수평 상태로 작동 대기하는 경우, 상기 강제 배출판(33)의 상면이 제2 체인부재(32)보다 그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강제 배출판(33)이 잉곳(I)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리고 불량품 등의 이유로 잉곳(I)의 강제 배출이 필요한 경우, 상기 회동부재(34)가 작동하여 상기 강제 배출판(33)을 상향 회동시키면, 제2 체인부재(32)와 강제 배출판(33)의 높이 역전으로 제2 체인부재(32) 위의 잉곳(I)이 강제 배출판(33)의 상면에 지지되며, 이에 강제 배출판(33)의 경사도로 인해 그 위의 잉곳(I)이 롤러(321)들을 타고 미끄러져 수평 이송부(323) 외부로 강제 배출된다.
이러한 강제 배출수단은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 전체의 가동을 정지시키지 않고, 이송 중의 특정 잉곳(I)만을 선택하여 강제 배출시킬 수 있어, 작업 로스를 없앨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잉곳 배출 컨베이어 11 : 벨트부재
12 : 방향 전환바 13 : 가이드판
14 : 비상 퇴출 프레임
20 : 잉곳 정렬 컨베이어 21 : 슬라이드 공급부
22 : 안착판 23 : 잉곳 스토퍼
24 : 제1 체인부재
30 : 잉곳 냉간 이송 컨베이어 31 : 수조
32 : 제2 체인부재 33 : 강제 배출판
34 : 회동부재

Claims (4)

  1. 잉곳 배출 컨베이어(10)와, 잉곳 정렬 컨베이어(20)와, 잉곳 냉간 이송 컨베이어(30)를 포함하여, 상면에 놓인 고온의 잉곳(I)을 이송 중 냉각하여 배출하되,
    상기 잉곳 냉간 이송 컨베이어(30)는,
    냉각수가 채워지는 수조(31)와,
    잉곳(I)을 이송하는 체인으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수조(31)의 입구측에서 수조(31)에 잠기도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입수 이송부(321)와 상기 입수 이송부(321)에서 상기 수조(31)의 출구측으로 수조(31)에서 나오도록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출수 이송부(322)로 이루어진 체인부재(32)를 포함하고,
    상기 잉곳 배출 컨베이어(10)는 잉곳(I)이 가로방향으로 배열되어 안착되는 벨트로 구성된 벨트부재(11)와, 상기 벨트부재(11)의 상면에 대하여 소정 간격 이격되면서 잉곳(I)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비스듬하게 설치되는 비상 퇴출 프레임(14)을 포함하고,
    상기 비상 퇴출 프레임(14)은 이송 중의 잉곳(I) 보다 더 높은 높이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체인부재(32)는 잉곳(I)의 양측 간격에 대응하게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체인으로 구성되어, 잉곳(I)이 좌우 한 쌍의 체인 위에 가로방향으로 올려져 이송되며, 상기 출수 이송부(322)에서 체인으로 연장 연결된 수평 이송부(3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잉곳 냉간 이송 컨베이어(30)는 상기 수평 이송부(323)의 잉곳(I)을 상기 수평 이송부(323)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비상 배출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비상 배출수단은,
    상기 수평 이송부(323) 하부에서 상기 수평 이송부(323)와 직교되는방향으로 설치되고, 일측단이 축 결합되어 타측단이 상향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강제 배출판(33)과,
    상기 강제 배출판(33)을 상하 회동시키는 회동부재(34)를 포함하고,
    상기 강제 배출판(33)은 안착된 잉곳과 직교되는 세로방향으로 롤러(331)들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체인부재(32)가 수용되는 삽입홈(323)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곳 정렬 컨베이어(20)는,
    상기 잉곳 배출 컨베이어(10)에서 안착판(22)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공급부(21)와,
    상기 슬라이드 공급부(21)로부터 공급되는 잉곳(I)이 안착되며,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안착판(22)과,
    상기 안착판(22)에 안착되는 잉곳(I)을 정지시키되, 잉곳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잉곳(I) 안착 후 상기 안착판(22)을 하강시키는 잉곳 스토퍼(23)와,
    상승된 안착판(22) 하부에서 상기 잉곳 냉간 이송 컨베이어(30)를 향해 설치되고, 하강한 상기 안착판(22)으로부터 잉곳(I)을 전달받아 이송하는 체인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체인부재(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곳 배출 컨베이어(10)와 잉곳 정렬 컨베이어(20) 및 잉곳 냉간 이송 컨베이어(30)는 모두 잉곳(I)이 이송방향과 직교되는 가로방향으로 안착되어 이송되되, 상기 잉곳 배출 컨베이어(10)와 잉곳 정렬 컨베이어(20)는 서로 직교되는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잉곳 배출 컨베이어(10)는 상기 벨트부재(11)의 상면 일측에서 잉곳(I)의 이송 경로 중 일측 영역 일부를 침범하도록 돌출되게 설치되어, 가로방향의 잉곳(I)을 세로방향으로 전환시켜 이송되게 하는 방향 전환바(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바(12)는 잉곳 배출 컨베이어(10)의 일측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좌우 각도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측 끝단부에 롤러(121)가 축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
KR1020230004112A 2023-01-11 2023-01-11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 KR102618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4112A KR102618780B1 (ko) 2023-01-11 2023-01-11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4112A KR102618780B1 (ko) 2023-01-11 2023-01-11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780B1 true KR102618780B1 (ko) 2023-12-29

Family

ID=89334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4112A KR102618780B1 (ko) 2023-01-11 2023-01-11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78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3286U (ko) * 1989-11-22 1991-07-24
JP3073286U (ja) * 2000-05-16 2000-11-14 電測メンテ・セールス株式会社 選別装置付き動力コンベア
JP3254495B2 (ja) * 1992-08-25 2002-02-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短冊状板材の反転集積装置
JP2002079367A (ja) * 2000-09-01 2002-03-19 Showa Denko Kk 連続自動鋳造システムおよび連続自動鋳造鍛造システム
JP2009149441A (ja) * 2007-11-29 2009-07-09 Sidel Participations コンベヤの上で製品を方向決め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110064443A (ko) * 2009-12-08 2011-06-15 김경탁 다이캐스팅 공정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 단자의 제조방법
KR20130123869A (ko) * 2012-05-04 2013-11-13 현대로템 주식회사 컨베이어용 원료 이송방향 전환장치
KR20160072324A (ko) * 2014-12-12 2016-06-23 주식회사 이엠케이 마그네슘 합금 빌렛 주조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3286U (ko) * 1989-11-22 1991-07-24
JP3254495B2 (ja) * 1992-08-25 2002-02-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短冊状板材の反転集積装置
JP3073286U (ja) * 2000-05-16 2000-11-14 電測メンテ・セールス株式会社 選別装置付き動力コンベア
JP2002079367A (ja) * 2000-09-01 2002-03-19 Showa Denko Kk 連続自動鋳造システムおよび連続自動鋳造鍛造システム
JP2009149441A (ja) * 2007-11-29 2009-07-09 Sidel Participations コンベヤの上で製品を方向決め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110064443A (ko) * 2009-12-08 2011-06-15 김경탁 다이캐스팅 공정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 단자의 제조방법
KR20130123869A (ko) * 2012-05-04 2013-11-13 현대로템 주식회사 컨베이어용 원료 이송방향 전환장치
KR20160072324A (ko) * 2014-12-12 2016-06-23 주식회사 이엠케이 마그네슘 합금 빌렛 주조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52169B (zh) 激光打标检测机
KR102618780B1 (ko) 잉곳 냉각 배출 및 정렬 이송 시스템
CN115504209A (zh) 一种计算机机箱侧板转移装置及操作方法
KR20100114539A (ko) 연속 주조 장치용 더미 바 및 더미 바의 이용 방법
KR102325054B1 (ko) 가열 및 냉각 동시진행형 열처리 장치
KR101742521B1 (ko) 소재 선별 공급장치
CN112499201A (zh) 一种立体式模型循环运输装置
JP6111648B2 (ja) 搬送処理システム
CN108861500B (zh) 一种输送系统
JP2004211180A (ja) アルミホイールの熱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971214B1 (ko) 이너파이프 제조장치
CN209905921U (zh) 太阳能电池组件层压机堆栈式传输料台
CN210312264U (zh) 基于plc的安检输送线控制结构
CN112141611A (zh) 一种桶装水水桶提升输送设备
JP2004043110A (ja) 移載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自動倉庫
CN218191110U (zh) 型号识别称重系统
CN110436143B (zh) 基于plc的安检输送线控制方法和结构
KR102405128B1 (ko) 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회전유닛과, 이를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 및 파렛트 이송방법
JPS5919017A (ja) 鋼片移載装置
CN217995909U (zh) 一种智能物流仓储自动装卸装置
US20140138214A1 (en) Melting furnace system
KR101659877B1 (ko) 주편 냉각설비 및 냉각방법
KR102405125B1 (ko) 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회전유닛과, 이를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 및 이송방법
CN220086003U (zh) 一种片篮翻转装置
CN218490809U (zh) 升降托盘回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