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214B1 - 이너파이프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이너파이프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214B1
KR101971214B1 KR1020180015233A KR20180015233A KR101971214B1 KR 101971214 B1 KR101971214 B1 KR 101971214B1 KR 1020180015233 A KR1020180015233 A KR 1020180015233A KR 20180015233 A KR20180015233 A KR 20180015233A KR 101971214 B1 KR101971214 B1 KR 101971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ner pipe
plate
fixed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안
Original Assignee
전병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안 filed Critical 전병안
Priority to KR1020180015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2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9/00Forging presses
    • B21J9/0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8Accessories for handling work or tools
    • B21J13/10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8Accessories for handling work or tools
    • B21J13/14Eject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너파이프를 일련의 공정으로 자동화하여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이너파이프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1)를 세워서 공급하는 1차공급부(100); 1차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파이프(1)를 1개씩 순차적으로 이송 및 상승시키는 2차공급부(200); 2차공급부(200)의 일측에 배치되어 다수의 파이프홈(310)을 구비하는 임시고정판(300); 임시고정판(300)의 일측에 설치되어 파이프(1)를 압축하여 이너파이프(10)를 성형하도록 1차상,하부금형(410)(420)과 2차상,하부금형(430)(440)을 구비하는 프레스금형부(400); 프레스금형부(40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이너파이프(10)를 수거통(510)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500); 임시고정판(300)의 전,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2차공급부(200)에서 공급되는 파이프(1) 및 이너파이프(10)를 클램핑하여 파이프홈(310)과 1,2차하부금형(420)(440) 및 이송부(500)에 순차적으로 투입하도록 다수의 클램프(610)를 각각 구비하는 투입레버(600); 투입레버(600)의 타측 하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투입레버(60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전후작동부(700); 투입레버(600)의 일측에 설치되어 투입레버(600)를 승강 및 좌우로 이동시키는 승강좌우작동부(8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너파이프 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for inner pipe}
본 발명은 중앙부가 볼록하게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너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이너파이프를 일련의 공정으로 자동화하여 다수의 장치에 의해 성형되는 단조공정을 하나의 원시스템 단조공정으로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원가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이너파이프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너파이프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이너파이프는 중앙부가 볼록하게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자동차 등의 산업분야 전반에 걸쳐서 매우 다양하게 사용되는 제품이다.
일 예로 이너파이프는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공개특허 제10-2017-000702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자동차 방진부싱용 이너파이프에 사용되고 있으며, 또 다른 일 예로 이너파이프는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공개특허 제10-2016-014102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차량용 마운팅 장치에 사용되고 있으며, 또 다른 일 예로는 이너파이프는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특허 제10-132242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자동차용 필로우 볼 부시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중앙부가 볼록하게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너파이프를 제조함에 있어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파이프를 금형에 투입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에는 일정 크기로 절단된 파이프를 수작업으로 금형에 투입하여 고정하였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고 원가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여러 가지 불편한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이너파이프를 제조하는 단조공정이 하나의 공정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2번 또는 그 이상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므로 다수의 장치를 각각 별도로 설치해야 하므로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하나의 단조공정을 거친 후 다시 다음 단조공정을 거쳐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중앙부가 볼록하게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너파이프를 일련의 공정으로 자동화하여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제조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공개특허 제10-2017-0007021호(공개일자 : 2017.01.18) 특허문헌 2 : 공개특허 제10-2016-0141021호(공개일자 : 2016.12.08) 특허문헌 3 : 등록특허 제10-1322426호(등록일자 : 2013.10.2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중앙부가 볼록하게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너파이프를 일련의 공정으로 자동화하여 다수의 장치에 의해 성형되는 이너파이프의 단조공정을 하나의 장치에 의해 단조성형되도록 함으로 한층 더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이너파이프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너파이프의 단조공정을 원시스템으로 자동화하여 관리의 편의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품의 원가 및 가공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이너파이프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1차공급부로 이너파이프의 원재료인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원통형 파이프를 수직으로 세워서 공급하고, 상기 1차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파이프를 2차공급부에서 1개씩 순차적으로 이송 및 상승시키며, 상기 2차공급부의 일측에 파이프가 끼워지는 다수의 파이프홈이 구비된 임시고정판을 배치하고, 상기 임시고정판의 일측에 파이프를 압축하여 중앙부가 볼록하게 곡면형상으로 형성된 이너파이프를 성형하는 1차상,하부금형과 2차상,하부금형이 구비된 프레스금형부를 설치하며, 상기 프레스금형부의 일측 하부에 이너파이프를 수거통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설치하고, 상기 임시고정판의 전,후방에 2차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파이프 및 이너파이프를 클램핑하여 파이프홈과 1,2차하부금형 및 이송부에 순차적으로 투입하는 다수의 클램프가 각각 구비된 투입레버를 길이방향으로 각각 배치하며, 상기 투입레버의 타측 하부에 투입레버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전후작동부를 승강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투입레버의 일측에 투입레버를 승강 및 좌우로 이동시키는 승강좌우작동부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1차공급부는 파이프를 공급하는 공급통, 상기 공급통에서 공급되는 파이프를 상부로 이동시켜 토출시키는 토출기, 상기 토출기에서 토출된 파이프를 1열로 정렬하여 이송시키는 이송기, 상기 이송기에서 이송되는 파이프를 안내하여 2차공급부에 수직으로 세워서 공급하는 공급가이드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급통은 프레임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공급통을 회전시키는 실린더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토출기는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와 상부에 형성된 토출구를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다단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판, 상기 고정판들 사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파이프를 상부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면서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다수의 승강판, 상기 케이스의 내부 양측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승강판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어 고정판에 끼워지는 다수의 안내장공을 구비하는 측판, 상기 측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이송기는 컨베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에는 경사판을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급가이드는 파이프를 안내하는 통로가 구비된 경사부와 곡선부 및 수직부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2차공급부는 상판과 하판 사이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판의 투입공을 통해 낙하되는 파이프를 지지하는 지지구, 상기 지지구의 상부 타측에 고정되어 지지구의 이동시 투입공을 차단하는 차단판, 상기 지지구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상기 하판의 일측에 형성된 안내공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파이프를 상승시키는 승강봉, 상기 승강봉을 승강시키는 실린더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판에는 지지구내로 파이프가 낙하된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상판의 일측에는 파이프의 높이를 감지하도록 파이프의 상부에 접촉되는 감지베어링을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2차공급부의 전방에는 감지베어링에 접촉된 파이프의 높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디스플레이에 나타난 측정된 파이프의 높이가 셋팅된 높이와 다를 경우 상승한 불량 파이프를 클램핑하여 회수통으로 낙하시키는 회수클램프를 승강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임시고정판에는 등간격으로 3개의 파이프홈을 형성하고, 상기 투입레버에는 등간격으로 6개의 클램프를 각각 설치하며, 상기 클램프들 중 어느 하나의 클램프에는 클램핑을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투입레버의 클램프에는 파이프 및 이너파이프를 클램핑하는 클램핑홈을 각각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전후작동부는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에 고정레일과 가동레일을 통해 승강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대, 상기 승강대의 상부 전,후방에 고정레일과 가동레일을 통해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이송너트를 구비하는 전후이동대, 상기 전후이동대의 이송너트를 전후로 각각 이동시키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를 정역으로 각각 구동시키는 모터, 상기 전후이동대의 상부에 고정레일과 가동레일로 각각 연결되어 투입레버의 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좌우이동대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승강좌우작동부는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에 고정레일과 가동레일 및 브래킷을 통해 승강가능하게 연결되어 이송너트를 구비하는 승강대, 상기 승강대의 이송너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를 정역으로 구동시키는 모터, 상기 승강대의 상부에 고정레일과 가동레일을 통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좌우이동대. 상기 승강대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좌우이동대와 연결되어 이송너트를 구비하는 하부좌우이동대, 상기 하부좌우이동대의 이송너트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를 정역으로 구동시키는 모터, 상기 하부좌우이동대의 전,후방에 고정레일과 가동레일을 통해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투입레버에 각각 고정되는 전후이동대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너파이프 제조장치에 따르면, 1차공급부, 2차공급부, 임시고정판, 프레스금형부, 이송부, 투입레버, 전후작동부 및 승강좌우작동부로 이루어져 중앙부가 볼록하게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너파이프를 연속적으로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 등의 산업분야 전반에 걸쳐서 매우 다양하게 사용되는 이너파이프를 일련의 공정으로 자동화하여 다수의 장치에 의해 성형되는 이너파이프의 단조공정을 하나의 장치에 의해 단조성형되도록 함으로 한층 더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너파이프의 단조공정을 원시스템으로 자동화하여 관리의 편의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품의 원가 및 가공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1차공급부의 토출기를 보인 정면도.
도 4a,4b는 본 발명에 따른 토출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1차공급부의 이송기를 보인 예시도.
도 6a,6b,6c는 본 발명에 따른 2차공급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a,7b는 본 발명에 따른 전후작동부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투입레버와 전후작동부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입레버와 전후작동부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좌우작동부를 보인 사시도.
도 11a,11b 내지 도 16a,16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와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너파이프의 성형과정을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너파이프 제조장치는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너파이프(10)의 원재료인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원통형 파이프(1)를 수직으로 세워서 공급하는 1차공급부(100); 상기 1차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파이프(1)를 1개씩 순차적으로 이송 및 상승시키는 2차공급부(200); 상기 2차공급부(200)의 일측에 배치되어 파이프(1)가 끼워지는 다수의 파이프홈(310)을 구비하는 임시고정판(300); 상기 임시고정판(300)의 일측에 설치되어 파이프(1)를 압축하여 중앙부가 볼록하게 곡면형상으로 형성된 이너파이프(10)를 성형하도록 1차상,하부금형(410)(420)과 2차상,하부금형(430)(440)을 구비하는 프레스금형부(400); 상기 프레스금형부(40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이너파이프(10)를 수거통(510)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500); 상기 임시고정판(300)의 전,후방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 2차공급부(200)에서 공급되는 파이프(1) 및 이너파이프(10)를 클램핑하여 파이프홈(310)과 1,2차하부금형(420)(440) 및 이송부(500)에 순차적으로 투입하도록 다수의 클램프(610)를 각각 구비하는 투입레버(600); 상기 투입레버(600)의 타측 하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투입레버(60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전후작동부(700); 상기 투입레버(600)의 일측에 설치되어 투입레버(600)를 승강 및 좌우로 이동시키는 승강좌우작동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이너파이프 제조장치는 중앙부가 볼록하게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너파이프(10)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이너파이프 제조장치는 1차공급부(100), 2차공급부(200), 임시고정판(300), 프레스금형부(400), 이송부(500), 투입레버(600), 전후작동부(700) 및 승강좌우작동부(800)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1차공급부(100), 2차공급부(200), 임시고정판(300), 프레스금형부(400), 이송부(500), 투입레버(600), 전후작동부(700) 및 승강좌우작동부(800)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자동제어하는 제어부(900)가 구비된다.
상기 1차공급부(100)는 이너파이프(10)의 원재료인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원통형 파이프(1)를 수직으로 세워서 공급하는 것으로, 이러한 1차공급부(100)는 2차공급부(200)에 파이프(1)를 수직으로 세워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이너파이프(10)의 원재료인 파이프(1)는 주철이나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1차공급부(100)는 파이프(1)를 공급하는 공급통(110), 상기 공급통(110)에서 공급되는 파이프(1)를 상부로 이동시켜 토출시키는 토출기(120), 상기 토출기(120)에서 토출된 파이프(1)를 1열로 정렬하여 이송시키는 이송기(130), 상기 이송기(130)에서 이송되는 파이프(1)를 안내하여 2차공급부(200)에 수직으로 세워서 공급하는 공급가이드(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통(110)은 토출기(120)에 파이프(1)를 공급하는 것으로, 이러한 공급통(110)은 프레임(11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11)에는 공급통(110)을 회전시키는 실린더(112)가 구비된다.
상기 공급통(110)에는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다수의 파이프(1)들이 수용되고, 상기 공급통(110)은 레버(113)의 일단에 회전축(113a)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레버(113)의 타단에는 실린더(112)의 로드(112a)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112)를 작동시켜 공급통(110)을 토출기(120)측으로 경사지게 회전시키면, 공급통(110)에 수용된 파이프(1)가 굴러 떨어지면서 토출기(120)의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토출기(120)는 공급통(110)에서 공급되는 파이프(1)를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이송기(130)로 토출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토출기(120)는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121a)와 상부에 형성된 토출구(121b)를 구비하는 케이스(121), 상기 케이스(121)의 내부에 다단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판(122), 상기 고정판(122)들 사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파이프(1)를 상부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면서 토출구(121b)로 토출시키는 다수의 승강판(123), 상기 케이스(121)의 내부 양측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승강판(123)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어 고정판(122)에 끼워지는 다수의 안내장공(124a)을 구비하는 측판(124), 상기 측판(124)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125)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21)는 토출기(120)의 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케이스(121)의 후방 하부에는 파이프(1)가 공급되는 유입구(121a)가 형성되고, 케이스(121)의 전방 상부에는 파이프(1)를 이송기(130)로 토출시키는 토출구(121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21)의 유입구(121a)에는 공급통(110)에서 공급되는 파이프(1)가 투입된다.
상기 고정판(122)은 도 4a,4b에서와 같이 케이스(121)의 내부에 다단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다수의 고정판(122)은 승강판(123)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높이를 달리하도록 각각 배치되고, 다수의 고정판(122)은 케이스(121)의 양측 내벽에 측판(124)을 사이에 두고 나사체결로 각각 고정되며, 상기 고정판(122)의 상부에는 파이프(1)가 안쪽으로 굴러가도록 안내하는 경사판(122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고정판(122)들 사이에는 승강판(123)이 승강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고정판(122)들과 케이스(121)의 양측 내벽 사이에는 측판(124)이 승강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상기 승강판(123)은 다수의 고정판(122)들 사이에 승강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다수의 승강판(123)은 파이프(1)를 상부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면서 토출구(121b)로 토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승강판(123)의 상부에는 파이프(1)가 안쪽으로 굴러가도록 안내하는 경사판(123a)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21a)로 공급된 파이프(1)는 다수의 승강판(123)들 중 좌측 최하부에 배치된 첫 번째 승강판(123)의 상부 경사판(123a)에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상기 측판(124)은 케이스(121)의 내부 양측으로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승강판(123)의 양측에 나사체결로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 측판(124)에는 승강시 다수의 고정판(122)들과의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고정판(122)에 각각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는 다수의 안내장공(124a)이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양측 측판(124)은 다수의 승강판(123)을 동시에 승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실린더(125)는 양측 측판(124)을 동시에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실린더(125)는 케이스(121)의 하부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양측 측판(124)에는 수평으로 배치된 연결판(126)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연결판(126)의 중앙부에는 실린더(125)의 로드(125a)가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121)의 내부 양측에는 연결판(126)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가이드(127)가 수직으로 각각 설치되며, 상기 연결판(126)의 양측에는 승강가이드(127)를 따라 승강하는 슬라이더(126a)가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도 4a,4b에서와 같이 상기 실린더(125)의 로드(125a)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연결판(126)과 측판(124) 및 다수의 승강판(123)이 동시에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좌측 최하부에 배치된 첫 번째 승강판(123)의 경사판(123a)에 공급된 파이프(1)는 상부로 이동하면서 두 번째 배치된 고정판(122)의 경사판(122a)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실린더(125)의 로드(125a)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연결판(126)과 측판(124) 및 다수의 승강판(123)이 동시에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두 번째 배치된 고정판(122)의 경사판(122a)으로 이동된 파이프(1)는 두 번째 배치된 승강판(123)의 경사판(123a)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같은 작동을 몇 차례 더 거치면 다수의 승강판(123)의 경사판(123a)에는 파이프(1)가 모두 공급된 상태가 되고, 이때부터는 최상부에 배치된 승강판(123)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파이프(1)를 케이스(121)의 토출구(121b)로 순차적으로 토출시키며, 토출구(121b)로 토출된 파이프(1)는 이송기(130)에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즉, 상기 실린더(125)의 로드(125a)를 상하 왕복으로 작동시키면, 다수의 승강판(123)이 승강작동을 반복하면서 파이프(1)를 순차적으로 한 단계씩 상부로 이동시키고, 최상부에 배치된 승강판(123)은 승강작동을 반복하면서 파이프(1)를 케이스(121)의 토출구(121b)로 순차적으로 토출시키고, 토출구(121b)로 토출된 파이프(1)는 이송기(130)에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상기 이송기(130)는 토출기(120)에서 토출된 파이프(1)를 1열로 정렬하여 공급가이드(140)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이송기(130)는 컨베이어(131)로 이루어지고, 상기 컨베이어(131)의 양측에는 경사판(13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토출기(120)에서 케이스(121)의 토출구(121b)로 토출되는 파이프(1)는 양측 경사판(132)에 의해 컨베이어(131)로 안내되면서 1열로 공급되고, 컨베이어(131)로 공급된 파이프(1)는 컨베이어(131)를 따라 공급가이드(140)에 1열로 이송된다.
상기 공급가이드(140)는 이송기(130)에서 이송되는 파이프(1)를 안내하여 2차공급부(200)에 수직으로 세워서 공급하는 것으로, 이러한 공급가이드(140)는 파이프(1)를 안내하는 통로가 형성된 경사부(141)와 곡선부(142) 및 수직부(14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공급가이드(140)로 이송된 파이프(1)는 경사부(141)와 곡선부(142)의 내부 통로를 따라서 자중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동하게 되고, 곡선부(142)로 이동된 파이프(1)는 수직부(143)의 내부 통로를 따라서 자중에 의해 순차적으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급가이드(140)의 수직부(143)는 후술하는 2차공급부(200)의 상판(211)에 형성된 투입공(211a)의 상부에 연결된다.
상기 2차공급부(200)는 1차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파이프(1)를 1개씩 순차적으로 이송 및 상승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2차공급부(200)는 투입레버(600)에 파이프(1)를 수직으로 세워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2차공급부(200)는 상판(211)과 하판(212) 사이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판(211)의 투입공(211a)을 통해 낙하되는 파이프(1)를 지지하는 지지구(210), 상기 지지구(210)의 상부 타측에 고정되어 지지구(210)의 이동시 투입공(211a)을 차단하는 차단판(220), 상기 지지구(21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실린더(230), 상기 하판(212)의 일측에 형성된 안내공(212a)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파이프(1)를 상승시키는 승강봉(240), 상기 승강봉(240)을 승강시키는 실린더(25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구(210)는 상판(211)과 하판(212) 사이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판(211)의 투입공(211a)을 통해 낙하되는 파이프(1)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구(210)는 투입공(211a)을 통해 하부로 낙하된 파이프(1)를 안내공(212a)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지지구(210)는 파이프(1)를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안전하게 감싸도록 형성되어 하판(212)의 상부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판(211)에는 파이프(1)가 통과할 수 있도록 투입공(211a)이 형성되어 투입공(211a)의 상부에는 공급가이드(140)의 수직부(143)가 연결되며, 상기 하판(212)의 일측에는 승강봉(240)이 끼워지는 안내공(212a)이 형성된다.
상기 차단판(220)은 지지구(210)의 상부 타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차단판(220)은 지지구(210)가 안내공(212a)의 상부로 이동할 때 같이 이동하면서 다음에 공급되는 파이프(1)가 투입공(211a)으로 낙하하지 못하도록 투입공(211a)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실린더(230)는 지지구(21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실린더(230)의 로드(231)는 지지구(210)의 타측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230)의 로드(231)을 좌우 왕복으로 작동시키면, 지지구(210)가 좌우이동을 반복하면서 파이프(1)를 순차적으로 안내공(212a)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승강봉(240)은 하판(212)의 일측에 형성된 안내공(212a)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승강봉(240)은 안내공(212a)의 상부로 이동된 파이프(1)를 상부로 이동시켜 지지구(210)로부터 파이프(1)의 지지를 해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승강봉(240)은 지지구(210)에 끼워진 파이프(1)를 상승시켜 지지구(210)에서 파이프(1)가 상부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승강봉(240)의 상부에는 파이프(1)의 내경으로 끼워지는 테이퍼가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250)는 승강봉(240)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실린더(250)는 승강봉(240)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250)를 상하 왕복으로 작동시키면, 승강봉(240)이 상하이동을 반복하면서 안내공(212a)에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파이프(1)를 순차적으로 승강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판(212)에는 지지구(210)내로 파이프(1)가 낙하된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260)가 설치되고, 상기 상판(211)의 일측에는 파이프(1)의 높이를 감지하도록 파이프(1)의 상부에 접촉되는 감지베어링(270)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2차공급부(200)의 전방에는 감지베어링(270)에 접촉된 파이프(1)의 높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P)가 구비된 프레임(F)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F)에는 디스플레이(P)에 나타난 측정된 파이프(1)의 높이가 셋팅된 높이와 다를 경우 상승한 불량 파이프(1)를 클램핑하여 회수통(281)으로 낙하시키는 회수클램프(280)가 승강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센서(260)는 하판(212)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센서(260)는 지지구(210)내로 파이프(1)가 낙하된 상태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감지베어링(270)은 상판(211)의 일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감지베어링(270)은 센서(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안내공(212a)으로 이동되는 파이프(1)의 상부에 접촉되면서 파이프(1)의 높이를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2차공급부(200)의 전방에는 감지베어링(270)에 접촉된 파이프(1)의 높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P)가 구비된 프레임(F)이 설치되고, 상기 감지베어링(270)과 디스플레이(P)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베어링(270)에서 측정된 파이프(1)의 높이를 디스플레이(P)에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상기 회수클램프(280)는 프레임(F)에 승강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회수클램프(280)는 디스플레이(P)에 나타난 측정된 파이프(1)의 높이가 셋팅된 높이와 다를 경우 승강봉(240)에 의해 상승한 불량 파이프(1)를 클램핑하여 회수통(281)으로 낙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회수클램프(280)는 디스플레이(P)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가이드(140)의 수직부(143)로 이동된 파이프(1)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판(211)의 투입공(211a)을 통해 지지구(210)의 내부로 투입되고, 지지구(210)의 내부로 파이프(1)가 투입되면 센서(260)가 파이프(1)의 투입상태를 감지함과 동시에 실린더(230)가 작동하여 지지구(21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며, 파이프(1)는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감지베어링(270)의 하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정지하게 되고, 감지베어링(270)은 접촉된 파이프(1)의 높이를 측정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P)는 측정된 파이프(1)의 높이를 디스플레이하고, 회수클램프(280)는 디스플레이(P)에 나타난 측정된 파이프(1)의 높이가 셋팅된 높이와 같은지 다른지를 판독하게 되며, 이러한 판독이 끝나면 실린더(230)가 작동하여 지지구(210)를 다시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파이프(1)는 안내공(212a)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지지구(21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차단판(220)이 동시에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다음에 공급되는 파이프(1)가 투입공(211a)으로 낙하하지 못하도록 투입공(211a)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상기 안내공(212a)의 상부로 파이프(1)가 이동되면 실린더(250)가 작동하여 승강봉(240)을 상부로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파이프(1)는 상승하면서 지지구(210)의 상부로 돌출되어 지지구(210)로부터 이격되며, 파이프(1)의 상승이 완료되면 실린더(230)가 반대로 작동하여 지지구(210)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투입공(211a)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지지구(210)의 상부로 돌출된 파이프(1)가 불량일 경우에는 회수클램프(280)가 작동하면서 불량 파이프(1)를 클램핑하여 회수통(281)으로 낙하시키며, 지지구(210)의 상부로 돌출된 파이프(1)의 높이가 정상일 경우 정상 파이프(1)는 후술하는 투입레버(600)의 클램프(610)에 클램핑되어 임시고정판(300)의 첫 번째 파이프홈(310)으로 투입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지지구(21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차단판(220)이 동시에 좌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투입공(211a)이 개방되므로 공급가이드(140)의 수직부(143)로 이동된 대기중인 파이프(1)는 투입공(211a)을 통해 지지구(210)의 내부로 투입되어 다음 작동을 대기하게 된다.
상기 승강봉(240)에 의해 상부로 이동된 파이프(1)가 회수클램프(280) 또는 투입레버(600)에 클램핑되면, 실린더(250)가 반대로 작동하여 승강봉(240)을 하부로 하강시키고, 승강봉(240)이 하강하면 실린더(230)가 상기와 같은 작동을 반복하게 되며, 2차공급부(200)는 이러한 작동을 순차적으로 반복하면서 안내공(212a)의 상부로 파이프(1)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임시고정판(300)은 2차공급부(200)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임시고정판(300)에는 파이프(1)가 끼워지는 다수의 파이프홈(31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임시고정판(300)은 전방 투입레버(600)와 후방 투입레버(600) 사이 중앙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임시고정판(300)은 파이프(1)를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프레스금형부(400)는 임시고정판(3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프레스금형부(400)에는 파이프(1)를 압축하여 중앙부가 볼록하게 곡면형상으로 형성된 이너파이프(10)를 성형하도록 1차상,하부금형(410)(420)과 2차상,하부금형(430)(440)이 구비된다.
상기 1차상,하부금형(410)(420)은 파이프(1)를 1차 성형하는 것으로, 이러한 1차상,하부금형(410)(420)에는 파이프(1)를 1차 성형하기 위한 1차성형홈이 각각 형성되고, 1차하부금형(420)에는 파이프(1)가 순차적으로 공급되며, 1차상부금형(410)은 상하로 이동하면서 파이프(1)를 압축하여 1차적으로 이너파이프(10)를 성형한다.
상기 2차상,하부금형(430)(440)은 1차상,하부금형(410)(420)에서 1차 성형된 이너파이프(10)를 다시 2차 성형하여 완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2차상,하부금형(430)(440)에는 1차 성형된 이너파이프(10)를 2차 성형하기 위한 2차성형홈이 각각 형성되고, 2차하부금형(440)에는 1차상,하부금형(410)(420)에서 1차 성형된 이너파이프(10)가 순차적으로 공급되며, 2차상부금형(430)은 상하로 이동하면서 이너파이프(10)를 2차 압축 성형하여 이너파이프(10)를 완성한다.
상기 이송부(500)는 프레스금형부(40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이송부(500)는 프레스금형부(400)에서 성형된 이너파이프(10)를 수거통(510)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이송부(500)는 컨베이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입레버(600)는 임시고정판(300)의 전,후방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투입레버(600)에는 2차공급부(200)에서 공급되는 파이프(1) 및 이너파이프(10)를 클램핑하여 파이프홈(310)과 1,2차하부금형(420)(440) 및 이송부(500)에 순차적으로 투입하도록 다수의 클램프(610)가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투입레버(600)는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전방 투입레버(600)와 후방 투입레버(6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임시고정판(300)에는 등간격으로 3개의 파이프홈(310)이 형성되고, 상기 투입레버(600)에는 등간격으로 6개의 클램프(610)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610)들 중 어느 하나의 클램프(610)에는 클램핑을 감지하는 센서(62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2차공급부(200)의 안내공(212a)과 3개의 파이프홈(310) 및 1,2차하부금형(420)(440)과 6개의 클램프(610)는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따르면 상기 투입레버(600)의 클램프(610)에는 파이프(1) 및 이너파이프(10)를 클램핑하는 클램핑홈(61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전후작동부(700)는 투입레버(600)의 타측 하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전후작동부(700)는 투입레버(60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후작동부(700)는 베이스(B)에 고정되는 고정대(710), 상기 고정대(710)에 고정레일(711)과 가동레일(721)을 통해 승강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대(720), 상기 승강대(720)의 상부 전,후방에 고정레일(722)과 가동레일(731)을 통해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이송너트(732)를 구비하는 전후이동대(730), 상기 전후이동대(730)의 이송너트(732)를 전후로 각각 이동시키는 스크류(740), 상기 스크류(740)를 정역으로 각각 구동시키는 모터(750), 상기 전후이동대(730)의 상부에 고정레일(733)과 가동레일(761)로 각각 연결되어 투입레버(600)의 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좌우이동대(76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대(710)는 베이스(B)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대(710)는 승강대(720)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고정대(710)의 일측에는 고정레일(711)이 수직으로 고정된다.
상기 승강대(720)는 고정대(710)에 고정레일(711)과 가동레일(721)을 통해 승강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승강대(720)의 타측에는 고정대(710)의 고정레일(71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동레일(721)이 수직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승강대(720)의 상부 전,후방 양측에는 폭방향으로 고정레일(722)이 각각 고정된다.
상기 전후이동대(730)는 승강대(720)의 상부 전,후방에 고정레일(722)과 가동레일(731)을 통해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전후이동대(730)의 하부에는 이송너트(732)가 각각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전후이동대(730)는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전방 전후이동대(730)와 후방 전후이동대(730)로 구성되고, 상기 전,후방 전후이동대(730)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고정레일(733)이 각각 고정된다.
상기 스크류(740)는 전,후방 전후이동대(730)의 이송너트(732)를 전후로 각각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스크류(740)는 승강대(720)의 상부 전,후방에 베어링으로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스크류(740)는 이송너트(732)에 나사결합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740)는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전방 스크류(740)와 후방 스크류(740)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750)는 전,후방 스크류(740)를 정역으로 각각 구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모터(750)는 승강대(720)의 하부 전,후방에 각각 고정된다. 이때, 상기 모터(750)는 풀리(751)(752)와 벨트(753)를 통해 스크류(740)와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모터(750)를 구동시키면 풀리(751)가 구동하게 되고, 상기 풀리(751)가 구동하면 벨트(753)를 통해 풀리(752)가 구동하기 때문에,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스크류(740)가 구동하게 된다.
상기 좌우이동대(760)는 전,후방 전후이동대(730)의 상부에 고정레일(733)과 가동레일(761)을 통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좌우이동대(760)는 전,후방 투입레버(600)의 하부에 각각 고정된다. 이때, 상기 좌우이동대(760)는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전방 좌우이동대(760)와 후방 좌우이동대(760)로 구성되고, 상기 좌우이동대(760)의 하부에는 전후이동대(730)의 고정레일(733)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동레일(761)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750)를 정역으로 구동시키면 스크류(740)가 정역으로 구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스크류(740)에 나사결합된 이송너트(732)가 전후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전후이동대(730)는 고정레일(722)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게 되고, 또한 상기 전후이동대(730)가 전후로 이동하면 이와 동시에 좌우이동대(760)와 투입레버(600)도 같이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후방 모터(750)를 동시에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전방 투입레버(600)는 전방으로 이동하지만, 반대로 후방 투입레버(600)는 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전,후방 모터(750)를 동시에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전,후방 투입레버(600)는 클램핑을 해지할 수 있도록 서로 벌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전,후방 모터(750)를 동시에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전방 투입레버(600)는 후방으로 이동하지만, 반대로 후방 투입레버(600)는 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전,후방 모터(750)를 동시에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전,후방 투입레버(600)는 파이프(1) 및 이너파이프(10)를 클램핑할 수 있도록 서로 오므라지게 된다.
상기 승강좌우작동부(800)는 투입레버(6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승강좌우작동부(800)는 투입레버(600)를 승강 및 좌우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승강좌우작동부(800)는 베이스(B)에 고정되는 고정대(810), 상기 고정대(810)에 고정레일(811)과 가동레일(821) 및 브래킷(822)을 통해 승강가능하게 연결되어 이송너트(823)를 구비하는 승강대(820), 상기 승강대(820)의 이송너트(823)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스크류(830), 상기 스크류(830)를 정역으로 구동시키는 모터(840), 상기 승강대(820)의 상부에 고정레일(824)과 가동레일(851)을 통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좌우이동대(850), 상기 승강대(820)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좌우이동대(850)와 연결되어 이송너트(861)를 구비하는 하부좌우이동대(860), 상기 하부좌우이동대(860)의 이송너트(861)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스크류(870), 상기 스크류(870)를 정역으로 구동시키는 모터(880), 상기 하부좌우이동대(860)의 전,후방에 고정레일(862)과 가동레일(891)을 통해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투입레버(600)에 각각 고정되는 전후이동대(89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대(810)는 베이스(B)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대(810)는 승강대(820)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고정대(810)의 일측에는 고정레일(811)이 수직으로 고정된다.
상기 승강대(820)는 고정대(810)에 고정레일(811)과 가동레일(821) 및 브래킷(822)을 통해 승강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승강대(820)의 타측에는 브래킷(822)이 고정되고, 브래킷(822)의 타측에는 고정대(810)의 고정레일(81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동레일(821)이 수직으로 고정되며, 승강대(820)의 후면에는 이송너트(823)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승강대(820)의 상부 전,후방에는 길이방향으로 고정레일(824)이 각각 고정된다.
상기 스크류(830)는 승강대(820)의 이송너트(823)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스크류(830)는 베이스에 베어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크류(830)는 이송너트(823)에 나사결합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830)는 승강대(820)의 이송너트(823)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모터(840)는 스크류(830)를 정역으로 구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모터(840)는 베이스에 고정된다.
상기 상부좌우이동대(850)는 승강대(820)의 상부에 고정레일(824)과 가동레일(851)을 통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부좌우이동대(850)의 하부 전,후방에는 승강대(820)의 고정레일(824)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동레일(851)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고정된다.
상기 하부좌우이동대(860)는 승강대(820)의 하부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하부좌우이동대(860)는 상부좌우이동대(850)에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하부좌우이동대(860)에는 이송너트(861)가 구비되며, 하부좌우이동대(860)의 하부 타측에는 폭방향으로 고정레일(862)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하부좌우이동대(860)와 상부좌우이동대(850)는 다수의 볼트체결 등을 통해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같이 좌우로 이동하고, 상기 승강대(820)에는 상,하부좌우이동대(850)(860)를 연결한 볼트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공이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870)는 하부좌우이동대(860)의 이송너트(861)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스크류(870)는 승강대(820)의 하부에 베어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크류(870)는 이송너트(861)에 나사결합으로 연결된다.
상기 모터(880)는 스크류(870)를 정역으로 구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모터(880)는 승강대(820)의 일측에 고정된다.
상기 전후이동대(890)는 하부좌우이동대(860)의 전,후방에 고정레일(862)과 가동레일(891)을 통해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전후이동대(890)는 전,후방 투입레버(600)에 각각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전후이동대(890)는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전방 전후이동대(890)와 후방 전후이동대(890)로 구성되고, 상기 전후이동대(890)의 상부에는 하부좌우이동대(860)의 고정레일(862)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동레일(891)이 각각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전후이동대(890)는 상술한 상기 전후작동부(700)의 전후이동대(730) 및 투입레버(600)의 전후 이동시 고정레일(862)을 따라 동시에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840)를 정역으로 구동시키면 스크류(830)가 정역으로 구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스크류(830)에 나사결합된 이송너트(823)가 상하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승강대(820)는 고정레일(81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또한 상기 승강대(820)가 상하로 이동하면 이와 동시에 상,하부좌우이동대(850)(860)와 전,후방 투입레버(600) 및 전후작동부(700)의 승강대(720),전후이동대(730),좌우이동대(760)도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터(84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면 투입레버(600)는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모터(84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면 투입레버(600)는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880)를 정역으로 구동시키면 스크류(870)가 정역으로 구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스크류(870)에 나사결합된 이송너트(861)가 좌우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상,하부좌우이동대(850)(860)는 고정레일(824)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게 되고, 또한 상기 상,하부좌우이동대(850)(860)가 좌우로 이동하면 이와 동시에 전후이동대(890)와 전,후방 투입레버(600) 및 전후작동부(700)의 전,후방 좌우이동대(760)도 같이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터(88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면 투입레버(600)는 클램프(610)와 클램프(610) 사이 간격만큼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모터(88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면 투입레버(600)는 클램프(610)와 클램프(610) 사이 간격만큼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너파이프(10)의 원재료인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원통형 파이프(1)는 1차공급부(100)의 토출기(120)와 이송기(130) 및 공급가이드(140)를 거쳐 2차공급부(200)의 투입공(211a)으로 세워진 상태로 공급되고, 또한 상기 파이프(1)는 2차공급부(200)의 지지구(210)를 통해 안내공(212a)의 상부로 이송된 후 승강봉(240)에 의해 순차적으로 상승하게 되고, 상승된 파이프(1)의 높이가 셋팅된 높이와 다른 불량일 경우에는 회수클램프(280)가 작동하여 회수하고, 상승된 파이프(1)의 높이가 정상일 경우 파이프(1)는 상승된 상태에서 다음 작동을 위해 잠시 대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후방 투입레버(600)는 도 11a,11b에서와 같이 하강한 상태와 서로 벌어진 상태 및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승강봉(240)에 의해 정상적인 파이프(1)가 상승하면 모터(880)가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도 12a,12b에서와 같이 전,후방 투입레버(600)를 동시에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전,후방 투입레버(600)의 첫 번째 클램프(610)는 서로 벌어진 상태에서 파이프(1)와 마주하는 위치까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 12a,12b에서와 같이 상기 투입레버(600)의 두 번째 클램프(610)는 임시고정판(300)의 첫 번째 파이프홈(310)과 마주하고, 상기 투입레버(600)의 세 번째 클램프(610)는 임시고정판(300)의 두 번째 파이프홈(310)과 마주하며, 상기 투입레버(600)의 네 번째 클램프(610)는 임시고정판(300)의 세 번째 파이프홈(310)과 마주하고, 상기 투입레버(600)의 다섯 번째 클램프(610)는 1차하부금형(420)과 마주하며, 상기 투입레버(600)의 여섯 번째 클램프(610)는 2차하부금형(440)과 마주하게 된다.
투입레버(600)의 좌측이동이 완료되면 전,후방 모터(750)가 동시에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도 13a에서와 같이 전,후방 투입레버(600)를 서로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전,후방 투입레버(600)의 첫 번째 클램프(610)는 서로 오므라지면서 파이프(1)를 클램핑하게 된다. 이때, 투입레버(600)에 설치된 센서(620)는 클램핑을 감지하여 다음 작동을 알리게 된다.
투입레버(600)의 첫 번째 클램프(610)가 파이프(1)를 클램핑하면 모터(840)가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도 14b에서와 같이 전,후방 투입레버(600)를 상부로 동시에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전,후방 투입레버(600)의 첫 번째 클램프(610)는 파이프(1)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투입레버(600)가 상승하면 승강봉(240)은 하강하여 다음 작동을 대기하게 된다.
투입레버(600)의 파이프(1)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상승이 완료되면 모터(880)가 정방향으로 구동하여 도 15a,15b에서와 같이 전,후방 투입레버(600)를 동시에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투입레버(600)의 첫 번째 클램프(610)는 파이프(1)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임시고정판(300)의 첫 번째 파이프홈(310)과 마주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투입레버(600)의 우측이동이 완료되면 모터(840)가 정방향으로 구동하여 도 16b에서와 같이 전,후방 투입레버(600)를 하부로 동시에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첫 번째 클램프(610)에 클램핑된 파이프(1)의 하부는 임시고정판(300)의 첫 번째 파이프홈(310)에 끼워지면서 안착하게 된다.
파이프(1)가 첫 번째 파이프홈(310)에 안착되면 전,후방 모터(750)가 동시에 정방향으로 구동하여 전,후방 투입레버(600)를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전,후방 투입레버(600)의 첫 번째 클램프(610)는 서로 벌어지면서 파이프(1)의 클램프를 해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2차공급부(200)에서는 승강봉(240)이 파이프(1)를 상승시켜 다음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준비하게 된다.
투입레버(600)가 벌어져 클램핑이 해지되면 모터(870)가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전,후방 투입레버(600)를 동시에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전,후방 투입레버(600)의 첫 번째 클램프(610)는 서로 벌어진 상태에서 파이프(1)와 마주하는 위치까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투입레버(600)는 좌측이동→클램핑→상승→우측이동→하강→클램핑해지 작동을 순차적으로 반복하게 되고, 이에 의해 투입레버(600)의 첫 번째 클램프(610)는 승강봉(240)에 의해 순차적으로 상승되는 파이프(1)를 클램핑하여 임시고정판(300)의 첫 번째 파이프홈(310)에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두 번째 클램프(610)는 첫 번째 파이프홈(310)에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파이프(1)를 클램핑하여 두 번째 파이프홈(310)에 순차적으로 투입하며, 세 번째 클램프(610)는 두 번째 파이프홈(310)에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파이프(1)를 클램핑하여 세 번째 파이프홈(310)에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네 번째 클램프(610)는 세 번째 파이프홈(310)에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파이프(1)를 클램핑하여 1차하부금형(420)에 순차적으로 투입하며, 다섯 번째 클램프(610)는 1차하부금형(310)에서 순차적으로 1차 성형되는 이너파이프(10)를 클램핑하여 2차하부금형(440)에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여섯 번째 클램프(610)는 2차하부금형(310)에서 순차적으로 2차 성형되는 이너파이프(10)를 클램핑하여 이송부(500)로 순차적으로 투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 과정에서 투입레버(600)의 네 번째 클램프(610)에 의해 파이프(1)가 1차하부금형(420)에 투입되고, 또한 투입레버(600)의 다섯 번째 클램프(610)에 의해 1차 성형된 이너파이프(10)가 2차하부금형(440)에 투입되면 1,2차상부금형(410)(430)이 동시에 하강하게 되며, 이에 의해 상기 1차상부금형(410)은 하강하면서 1차하부금형(420)에 투입된 파이프(1)를 압축하여 1차적으로 이너파이프(10)를 성형하게 되고, 상기 2차상부금형(430)은 하강하면서 2차하부금형(440)에 투입된 이너파이프(10)를 2차 압축 성형하여 이너파이프(10)를 완성하게 되며, 이후 1,2차상부금형(410)(430)이 동시에 상승하게 된다.
상기 1,2차상부금형(410)(430)은 상하 왕복으로 이동하면서 순차적으로 이너파이프(10)를 성형하게 되고, 2차성형된 이너파이프(10)는 투입레버(600)의 여섯 번째 클램프(610)에 클램핑되어 이송부(500)로 순차적으로 투입되며, 이송부(500)로 투입된 이너파이프(10)는 수거통(510)으로 이송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900)는 본 발명의 제조장치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어부(900)는 1차공급부(100), 2차공급부(200), 임시고정판(300), 프레스금형부(400), 이송부(500), 투입레버(600), 전후작동부(700) 및 승강좌우작동부(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1차공급부(100), 2차공급부(200), 임시고정판(300), 프레스금형부(400), 이송부(500), 투입레버(600), 전후작동부(700) 및 승강좌우작동부(800)로 이루어져 중앙부가 볼록하게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너파이프(10)를 연속적으로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 등의 산업분야 전반에 걸쳐서 매우 다양하게 사용되는 이너파이프(10)를 일련의 공정으로 자동화하여 다수의 장치에 의해 성형되는 이너파이프(10)의 단조공정을 하나의 장치에 의해 단조성형되도록 함으로 한층 더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이너파이프(10)의 단조공정을 원시스템으로 자동화하여 관리의 편의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품의 원가 및 가공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은 프레스금형부(400)에 이너파이프(10)를 성형하는 1차상,하부금형(410)(420)과 2차상,하부금형(430)(440)이 구비되기 때문에, 이너파이프(10)를 하나의 공정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 파이프 10 : 이너파이프
100 : 1차공급부 110 : 공급통
111 : 프레임 112 : 실린더
120 : 토출기 121 : 케이스
121a : 유입구 121b : 토출구
122 : 고정판 123 : 승강판
124 : 측판 124a : 안내장공
125 : 실린더 130 : 이송기
131 : 컨베이어 132 : 경사판
140 : 공급가이드 141 : 경사부
142 : 곡선부 143 : 수직부
200 : 2차공급부 210 : 지지구
211 : 상판 211a : 투입공
212 : 하판 212a : 안내공
220 : 차단판 230 : 실린더
240 : 승강봉 250 : 실린더
260 : 센서 270 : 감지베어링
280 : 회수클램프 281 : 회수통
300 : 임시고정판 310 : 파이프홈
400 : 프레스금형부 410 : 1차상부금형
420 : 1차하부금형 430 : 2차상부금형
440 : 2차하부금형 500 : 이송부
510 : 수거통 600 : 투입레버
610 : 클램프 611 : 클램핑홈
620 : 센서 700 : 전후작동부
710 : 고정대 711 : 고정레일
720 : 승강대 721 : 가동레일
722 : 고정레일 730 : 전후이동대
731 : 가동레일 732 : 이송너트
733 : 고정레일 740 : 스크류
750 : 모터 760 : 좌우이동대
761 : 가동레일 800 : 승강좌우작동부
810 : 고정대 811 : 고정레일
820 : 승강대 821 : 가동레일
822 : 브래킷 823 : 이송너트
824 : 고정레일 830 : 스크류
840 : 모터 850 : 상부좌우이동대
851 : 가동레일 860 : 하부좌우이동대
861 : 이송너트 862 : 고정레일
870 : 스크류 880 : 모터
890 : 전후이동대 891 : 가동레일
P : 디스플레이 F : 프레임
B : 베이스

Claims (12)

  1. 이너파이프(10)의 원재료인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원통형 파이프(1)를 수직으로 세워서 공급하는 1차공급부(100);
    상기 1차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파이프(1)를 1개씩 순차적으로 이송 및 상승시키는 2차공급부(200);
    상기 2차공급부(200)의 일측에 배치되어 파이프(1)가 끼워지는 다수의 파이프홈(310)을 구비하는 임시고정판(300);
    상기 임시고정판(300)의 일측에 설치되어 파이프(1)를 압축하여 중앙부가 볼록하게 곡면형상으로 형성된 이너파이프(10)를 성형하도록 1차상,하부금형(410)(420)과 2차상,하부금형(430)(440)을 구비하는 프레스금형부(400);
    상기 프레스금형부(40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이너파이프(10)를 수거통(510)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500);
    상기 임시고정판(300)의 전,후방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 2차공급부(200)에서 공급되는 파이프(1) 및 이너파이프(10)를 클램핑하여 파이프홈(310)과 1,2차하부금형(420)(440) 및 이송부(500)에 순차적으로 투입하도록 다수의 클램프(610)를 각각 구비하는 투입레버(600);
    상기 투입레버(600)의 타측 하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투입레버(60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전후작동부(700);
    상기 투입레버(600)의 일측에 설치되어 투입레버(600)를 승강 및 좌우로 이동시키는 승강좌우작동부(800)를 포함하는 이너파이프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공급부(100)는 파이프(1)를 공급하는 공급통(110), 상기 공급통(110)에서 공급되는 파이프(1)를 상부로 이동시켜 토출시키는 토출기(120), 상기 토출기(120)에서 토출된 파이프(1)를 1열로 정렬하여 이송시키는 이송기(130), 상기 이송기(130)에서 이송되는 파이프(1)를 안내하여 2차공급부(200)에 수직으로 세워서 공급하는 공급가이드(1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파이프 제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통(110)은 프레임(11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11)에는 공급통(110)을 회전시키는 실린더(11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파이프 제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기(120)는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121a)와 상부에 형성된 토출구(121b)를 구비하는 케이스(121), 상기 케이스(121)의 내부에 다단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판(122), 상기 고정판(122)들 사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파이프(1)를 상부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면서 토출구(121b)로 토출시키는 다수의 승강판(123), 상기 케이스(121)의 내부 양측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승강판(123)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어 고정판(122)에 끼워지는 다수의 안내장공(124a)을 구비하는 측판(124), 상기 측판(124)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12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파이프 제조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130)는 컨베이어(131)로 이루어지고, 상기 컨베이어(131)의 양측에는 경사판(13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파이프 제조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가이드(140)는 파이프(1)를 안내하는 통로가 형성된 경사부(141)와 곡선부(142) 및 수직부(1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파이프 제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공급부(200)는 상판(211)과 하판(212) 사이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판(211)의 투입공(211a)을 통해 낙하되는 파이프(1)를 지지하는 지지구(210), 상기 지지구(210)의 상부 타측에 고정되어 지지구(210)의 이동시 투입공(211a)을 차단하는 차단판(220), 상기 지지구(21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실린더(230), 상기 하판(212)의 일측에 형성된 안내공(212a)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파이프(1)를 상승시키는 승강봉(240), 상기 승강봉(240)을 승강시키는 실린더(2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파이프 제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212)에는 지지구(210)내로 파이프(1)가 낙하된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260)가 설치되고, 상기 상판(211)의 일측에는 파이프(1)의 높이를 감지하도록 파이프(1)의 상부에 접촉되는 감지베어링(270)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2차공급부(200)의 전방에는 감지베어링(270)에 접촉된 파이프(1)의 높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P)가 구비된 프레임(F)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F)에는 디스플레이(P)에 나타난 측정된 파이프(1)의 높이가 셋팅된 높이와 다를 경우 상승한 불량 파이프(1)를 클램핑하여 회수통(281)으로 낙하시키는 회수클램프(280)가 승강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파이프 제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고정판(300)에는 등간격으로 3개의 파이프홈(310)이 형성되고, 상기 투입레버(600)에는 등간격으로 6개의 클램프(610)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610)들 중 어느 하나의 클램프(610)에는 클램핑을 감지하는 센서(6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파이프 제조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레버(600)의 클램프(610)에는 파이프(1) 및 이너파이프(10)를 클램핑하는 클램핑홈(611)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파이프 제조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작동부(700)는 베이스(B)에 고정되는 고정대(710), 상기 고정대(710)에 고정레일(711)과 가동레일(721)을 통해 승강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대(720), 상기 승강대(720)의 상부 전,후방에 고정레일(722)과 가동레일(731)을 통해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이송너트(732)를 구비하는 전후이동대(730), 상기 전후이동대(730)의 이송너트(732)를 전후로 각각 이동시키는 스크류(740), 상기 스크류(740)를 정역으로 각각 구동시키는 모터(750), 상기 전후이동대(730)의 상부에 고정레일(733)과 가동레일(761)로 각각 연결되어 투입레버(600)의 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좌우이동대(7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파이프 제조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좌우작동부(800)는 베이스(B)에 고정되는 고정대(810), 상기 고정대(810)에 고정레일(811)과 가동레일(821) 및 브래킷(822)을 통해 승강가능하게 연결되어 이송너트(823)를 구비하는 승강대(820), 상기 승강대(820)의 이송너트(823)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스크류(830), 상기 스크류(830)를 정역으로 구동시키는 모터(840), 상기 승강대(820)의 상부에 고정레일(824)과 가동레일(851)을 통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좌우이동대(850), 상기 승강대(820)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좌우이동대(850)와 연결되어 이송너트(861)를 구비하는 하부좌우이동대(860), 상기 하부좌우이동대(860)의 이송너트(861)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스크류(870), 상기 스크류(870)를 정역으로 구동시키는 모터(880), 상기 하부좌우이동대(860)의 전,후방에 고정레일(862)과 가동레일(891)을 통해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투입레버(600)에 각각 고정되는 전후이동대(89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파이프 제조장치.
KR1020180015233A 2018-02-07 2018-02-07 이너파이프 제조장치 KR101971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233A KR101971214B1 (ko) 2018-02-07 2018-02-07 이너파이프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233A KR101971214B1 (ko) 2018-02-07 2018-02-07 이너파이프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214B1 true KR101971214B1 (ko) 2019-08-27

Family

ID=67807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233A KR101971214B1 (ko) 2018-02-07 2018-02-07 이너파이프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21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4281A (ja) * 1991-12-13 1993-06-29 Gou Shoji Kk 分岐管の製造法
JP2812883B2 (ja) * 1994-08-09 1998-10-22 株式会社三星製作所 パイプのプレス成形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322426B1 (ko) 2011-11-30 2013-10-28 주식회사 일진 자동차용 필로우 볼 부시
KR101334786B1 (ko) * 2013-04-22 2013-11-29 오진성 중공 관의 성형방법
KR101516127B1 (ko) * 2014-09-25 2015-04-30 서진산업 주식회사 롤 포밍 및 핫 블로우 포밍 융합공법을 이용한 원피스 폐단면 샤시부품의 제조방법
KR20160141021A (ko) 2015-05-27 2016-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마운팅 장치
KR20170007021A (ko) 2015-07-10 2017-01-18 (주)에스에스이티 방진부싱용 이너파이프와 아우터파이프의 접착제 도포장치
JP6463008B2 (ja) * 2014-06-18 2019-01-30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成形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4281A (ja) * 1991-12-13 1993-06-29 Gou Shoji Kk 分岐管の製造法
JP2812883B2 (ja) * 1994-08-09 1998-10-22 株式会社三星製作所 パイプのプレス成形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322426B1 (ko) 2011-11-30 2013-10-28 주식회사 일진 자동차용 필로우 볼 부시
KR101334786B1 (ko) * 2013-04-22 2013-11-29 오진성 중공 관의 성형방법
JP6463008B2 (ja) * 2014-06-18 2019-01-30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成形装置
KR101516127B1 (ko) * 2014-09-25 2015-04-30 서진산업 주식회사 롤 포밍 및 핫 블로우 포밍 융합공법을 이용한 원피스 폐단면 샤시부품의 제조방법
KR20160141021A (ko) 2015-05-27 2016-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마운팅 장치
KR20170007021A (ko) 2015-07-10 2017-01-18 (주)에스에스이티 방진부싱용 이너파이프와 아우터파이프의 접착제 도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336B1 (ko) 단조소재 이송공급 장치
KR101934844B1 (ko) 환봉 절단장치
CN108481656B (zh) 立式管状注肩自动化设备
KR870005451A (ko) Ic 시이트 절단 프레스 및 이를 이용한 ic 시이트 가공장치
CN112496127A (zh) 一种自动下料冲压设备
CN112453240B (zh) 红冲自动化生产线
CN110920132A (zh) 一种适用于金刚石刀头模具的自动拆模、装模方法
CN110217565B (zh) 一种全自动弯管生产供料线及其应用的弯管生产方法
KR101742521B1 (ko) 소재 선별 공급장치
KR20150141351A (ko) 소재 공급 및 가공품 배출시스템
KR101971214B1 (ko) 이너파이프 제조장치
CN214442352U (zh) 一种多工位级进模具蓄料及输料机构
KR100830411B1 (ko) 거푸집용 세퍼타이 제조장치
CN109129174B (zh) 钢管抛光下料机及其送料控制方法
CN209507018U (zh) 一种贯流端盖的布司上料和端盖下料装置
CN216784825U (zh) 一种自动排料上料系统
CN116174322A (zh) 一种轴类零件长度自动检测设备
CN110386447A (zh) 料盒输送装置
CN105692218A (zh) 一种托盘料仓用物料输送装置
KR100970514B1 (ko) 이동통신단말기 사출 케이스의 인서트철판 공급기
CN108838233B (zh) 一种多功能立式液压红冲加工机构
CN217837491U (zh) 一种半导体收料装置的传动装置
CN213704626U (zh) 一种自动进出料冷压机
CN212496839U (zh) 无心磨床的送料机构
CN219885080U (zh) 一种盖板自动生产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