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224B1 - 록킹 기능을 갖는 의자용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 - Google Patents

록킹 기능을 갖는 의자용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224B1
KR102618224B1 KR1020230071057A KR20230071057A KR102618224B1 KR 102618224 B1 KR102618224 B1 KR 102618224B1 KR 1020230071057 A KR1020230071057 A KR 1020230071057A KR 20230071057 A KR20230071057 A KR 20230071057A KR 102618224 B1 KR102618224 B1 KR 102618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member
backrest
cushioning
gea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1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효
Original Assignee
(주)광일체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일체어 filed Critical (주)광일체어
Priority to KR1020230071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2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 A47C7/4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of torsion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의 등받이 전방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가변되면서 허리를 받쳐주는 완충등받이의 위치를 간편하게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는 의자의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 전방측에 구비된 완충등받이를 상호 연결하며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상기 완충등받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의자용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로서, 하단부가 의자의 등받이 하측에 힌지 결합되고, 전방부 내측에는 오목한 수용부가 형성된 제1링크부재와; 후단부가 상기 제1링크부재의 수용부 상단 내측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단부는 완충등받이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되, 후단부의 좌우 양측면에 제1기어가 형성된 제2링크부재와; 상기 제1링크부재의 상부 내측 수용홈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 전방측에 제2기어가 형성되며, 회동 작동에 의해 상기 제2기어가 제2링크부재에 형성된 제1기어와 맞물림에 따라 상기 제1링크부재와 제2링크부재를 특정 각도로 고정하기 위한 록킹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록킹 기능을 갖는 의자용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Link device with locking function for a buffer backrest of a chair}
본 발명은 링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의 등받이 전방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가변되면서 허리를 받쳐주는 완충등받이의 위치를 간편하게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는 의자의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대부분 의자에 앉아 일이나 공부를 하게 되는데, 장시간 앉아 있으면 허리를 구부리게 되고, 이로 인해 허리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장시간 허리를 구부리게 되면 척추 하부가 척추 상부에 비해 완만한 "C"자 형태를 취하고, 상체의 하중이 척추 하부에 집중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방석이나 쿠션 등을 사용하여 허리를 지지해왔지만, 이러한 제품은 의자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적절하게 허리를 받쳐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기존 등받이 프레임에 탄성적인 힌지 이동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완충등받이를 추가한 의자가 개발되어왔다. 그러나, 이 경우 사용자의 자세 변화에 따라 등받이가 링크 장치에 의해 가변되면서 완충작용을 하지만 해당 링크 장치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기능이 없어 완충등받이의 위치가 지속적으로 가변됨에 따라 사용자의 허리를 고정적으로 지지해주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어 왔다. 또한, 완충등받이의 탄성적 지지와 고정 지지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켜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7615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의자용 완충등받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완충등받이용 링크 장치에 록킹 기능이 부가되어 사용자가 완충등받이의 탄성 지지 및 고정 지지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의자용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 전방측에 구비된 완충등받이를 상호 연결하며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상기 완충등받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의자용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로서, 하단부가 의자의 등받이 하측에 힌지 결합되고, 전방부 내측에는 오목한 수용부가 형성된 제1링크부재와; 후단부가 상기 제1링크부재의 수용부 상단 내측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단부는 완충등받이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되, 후단부의 좌우 양측면에 제1기어가 형성된 제2링크부재와; 상기 제1링크부재의 상부 내측 수용홈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 전방측에 제2기어가 형성되며, 회동 작동에 의해 상기 제2기어가 제2링크부재에 형성된 제1기어와 맞물림에 따라 상기 제1링크부재와 제2링크부재를 특정 각도로 고정하기 위한 록킹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링크부재의 좌우 양측면에는 제1중심축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링크부재의 좌우 양측면에는 제2중심축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2링크부재의 후단부가 상기 제1링크부재의 전방 상측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중심축공과 제2중심축공을 관통하는 중심축관이 삽입 결합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와 제2링크부재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중심축관의 외주면에 상기 제1링크부재와 제2링크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비틀림스프링이 개재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재는, 좌우 양측에 종단면이 대체로 'C'자형으로 전방측이 오목하게 만곡된 한쌍의 기어편이 나란하게 형성되되, 상기 각 기어편의 전방 내측 상부에는 록킹시 상기 제2링크부재의 제1기어에 맞물리는 제2기어가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좌우 양측 기어편의 중앙을 연결하며 내부에 회동축이 관통 삽입되도록 회동축관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링크부재의 상단부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 회전 작동에 따라 상기 록킹부재를 회동시키는 회전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판의 하부 일측 가장자리에는 회전판의 회전시 상기 록킹부재의 하부를 밀어 회동시키기 위한 가동핀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재의 전방 하부 양 측면에는 상기 회전판에 형성된 가동핀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장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판이 상부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링크부재의 제1기어와 상기 록킹부재의 제2기어가 맞물려 록킹시 상기 록킹부재를 고정 지지하는 잠금편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재의 회동축관을 중심으로 상측은 좌우 양측 기어편을 상호 연결하며 둥글게 만곡된 연결면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연결면의 후면 상단부에는 'ㄴ'자 형상의 단차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링크부재의 내측 상부 내벽에는 돌출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의 록킹시 상기 잠금편이 록킹부재의 단차홈과 제1링크부재의 돌출면 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링크부재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 일측에는 상기 회전판 내측면에 형성된 가동핀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원호 형상의 제1가이드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회전판의 내측면에 형성된 잠금편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원호 형상의 제2가이드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공의 하부 내측면 중앙에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잠금편의 하부에는 곡면돌출부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판의 측면 가장자리 일측에는 상기 제1링크부재의 제1돌기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원호 형상의 제3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3가이드공 일측에는 제2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제3가이드공에 삽입된 제1돌기와 회전판에 형성된 제2돌기에 스프링이 개재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부재의 좌우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판과 고정 결합되어 사용자가 파지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링크부재의 상단부 좌우 양측에 각각 측방으로 개구된 원형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노브는 상기 원형리브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완충등받이용 링크 장치에 록킹 기능이 부가되어 사용자가 완충등받이의 탄성 지지 및 고정 지지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가 구비된 의자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의 분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의 제1링크부재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의 제2링크부재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의 제1링크부재와 제2링크부재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의 록킹부재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의 제1링크부재와 록킹부재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의 회전판 구성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의 제1링크부재와 회전판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의 록킹 해제 및 록킹시 록킹부재의 작동 관계가 도시된 도면,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의 록킹 해제 및 록킹시 잠금편의 제2가이드공 내에서의 이동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100)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사무용 의자는 좌판(10), 다리(20) 및 등받이(30)를 포함하고, 등받이(30) 전방측에 완충등받이(40)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완충등받이(40)는 상단부가 등받이(30) 프레임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부는 별도의 링크 장치(100)에 의해 등받이(30) 프레임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도 2 및 3 에는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100)의 사시도와 분해도가 각각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링크 장치(100)는, 제1링크부재(110), 제2링크부재(120), 록킹부재(130), 회전판(150), 회전노브(160) 및 커버(170)를 포함한다.
제1링크부재(110)는 하단부가 의자의 등받이(30) 하측에 힌지 결합되고 상단부에는 후술하는 제2링크부재(12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내측에 후술하는 록킹부재(130)와 제2링크부재(120)의 후단부가 삽입되도록 전방부 내측에 오목한 수용부가 형성된다. 도 4 의 (a)에는 이러한 제1링크부재(110)의 측면도가, (b)에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부재(110)는 대체로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소정의 폭을 갖는 바 형태로 구성되되, 하단부와 상단부는 종단면이 원형으로 구성되고 상단부의 원형 단면의 직경이 하단부의 원형 단면의 직경 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1링크부재(110)의 하단부에는 등받이(30)의 하측에 힌지 결합되기 위한 제1힌지축공(111)이 형성되고, 상단부 좌우 양측에는 각각 측방으로 개구된 원형리브(115)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링크부재(110)의 측면 중 원형리브(115)의 내측 중앙에는 후술하는 중심축관(140)이 결합되는 제1중심축공(11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중심축공(112)의 하측에는 후술하는 회전판(150) 내측면에 형성된 가동핀(154)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원호 형상의 제1가이드공(114)이 형성되고, 상기 제1중심축공(112)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회전판(150)의 내측면에 형성된 잠금편(155)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원호 형상의 제2가이드공(117)이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공(114)과 제2가이드공(117)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체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되 좌우 양단의 내주면 형상은 상기 가동핀(154) 및 잠금편(155)의 단면 형상과 상응하게 형성되어 가동핀(154) 및 잠금편(155)이 후술하는 회전판(150)의 회전시 제1가이드공(114)과 제2가이드공(117) 내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공(117)의 하부 내측면에는 상기 잠금편(155)의 이동시 일시적인 정지를 위해 위로 뾰족하게 돌출된 걸림돌기(118)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링크부재(110)의 좌우 양측면에는 회동축공(116)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축공(116)에는 후술하는 록킹부재(130)에 결합되는 회동축(137)이 끼워진다. 또한, 도 4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부재(110)의 내측 상부 내벽, 구체적으로 상기 제2가이드공(117)의 상측에는 돌출면(119)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면(119)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록킹시 회전판(150)의 잠금편(155)이 면접촉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제2링크부재(120)는 후단부가 상기 제1링크부재(110)의 상단 내측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단부는 완충등받이(4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링크부재(120)의 전단부에는 완충등받이(40) 하단부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2힌지축공(121)이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후술하는 중심축관(140)이 관통 삽입되는 제2중심축공(122)이 형성된다.
도 5 의 (a)에는 이러한 제2링크부재(120)의 측면도가, (b)에는 후방 상향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링크부재(120)는 대체로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소정의 폭을 갖는 바 형태로 구성되되, 전단부와 후단부는 종단면이 원형으로 구성되고 후단부의 원형 단면의 직경이 전단부의 원형 단면의 직경 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2링크부재(120)의 하단부에는 등받이(30)의 하측에 힌지 결합되기 위한 제1힌지축공(111)이 형성되고, 상단부 좌우 양측에는 각각 측방으로 개구된 원형리브(115)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링크부재(120)는 후방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오목한 수용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수용부에는 후술하는 중심축관(140)과 비틀림스프링(125) 등이 수용된다. 한편, 상기 제2링크부재(120)의 후단부의 좌우 양측면에는 제2중심축공(122)의 외측 둘레에 제1기어(123)가 형성된다. 상기 제1기어(123)는 후술하는 록킹부재(130)와의 기어 맞물림에 의해 본 링크 장치(100)의 록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2중심축공(122)의 외주면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제2링크부재(120)의 회전 각도를 고려하여,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중심축공(122)의 후방측 반부 외주면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링크부재(110)와 제2링크부재(120)는 중심축관(140)에 의해 서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축관(14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관체로 구성되되, 좌우 양단 둘레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 한쌍의 후크부재(14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링크부재(120)의 후단부는 상기 제1링크부재(110)의 상단부 내측 수용부에 삽입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중심축관(140)이 제1링크부재(110)의 제1중심축공(112) 및 제2링크부재(120)의 제2중심축공(122)을 차례로 관통 삽입됨에 따라 제1링크부재(110)와 제2링크부재(120)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중심축관(140)은 좌우 단부에 돌출된 후크부재(142)가 제1링크부재(110)의 제1중심축공(112) 외측 단부에 걸림에 따라 제1링크부재(110)에 고정 결합된다.
도 6 에는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 및 후술하는 록킹부재(130)가 결합된 상태의 하부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부재(110)에 제2링크부재(1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중심축관(140)이 관통 결합되고, 상기 중심축관(140) 외주면에 비틀림스프링(125)이 개재되어 제1링크부재(110)와 제2링크부재(120) 사이의 각도 변경시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다시 복귀되는 힘을 받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완충등받이(40)가 사용자의 등을 탄성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제1링크부재(110)와 제2링크부재(120)를 특정 각도로 고정하기 위해 록킹부재(130)가 추가로 구비된다. 록킹부재(13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부재(110)와 제2링크부재(120) 사이에 개재된다. 도 7 에는 상기 록킹부재(130)의 구조가 사시도(a) 및 측면도(b)로 보다 상세히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부재(130)는 좌우 양측에 종단면이 대체로 'C'자형으로 전방측이 오목하게 만곡된 한쌍의 기어편(131)이 나란하게 형성되되, 상기 각 기어편(131)의 전방 내측 상부에는 록킹시 상기 제2링크부재(120)의 제1기어(123)에 맞물리는 제2기어(132)가 형성되며, 전방 하부 측면에는 후술하는 회전핀의 가동핀(154)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장공(135)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좌우 양측 기어편(131)을 중앙을 연결하며 내부에 회동축(137)이 관통 삽입되도록 회동축관(134)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록킹부재(130)의 회동축관(134)을 중심으로 상측은 좌우 양측 기어편(131)을 상호 연결하며 둥글게 만곡된 연결면(136)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연결면(136)의 후면 상단부에는 'ㄴ'자 형상의 단차홈(138)이 형성되어 록킹시 후술하는 잠금편(155)이 걸려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록킹부재(130)가 상기 제1링크부재(110)의 상부 내측 수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링크부재(110)의 측면에 형성된 회동축공(116)과 록킹부재(130)의 회동축관(134)에 관통 삽입된다. 도 8 로부터 상기 록킹부재(130)가 제1링크부재(110)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도 6 으로부터 록킹부재(130)가 제1링크부재(110)와 제2링크부재(120) 사이에 개재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록킹부재(130)의 잠금 및 해제 작동은 상기 록킹부재(130)가 회동축(137)을 중심으로 회동 작동됨에 의해 수행된다. 이를 위해 상기 록킹부재(130)를 회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회전노브(160)와 회전판(150)이 구비된다.
회전노브(160)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부재(110)의 좌우 양측 원형리브(115) 외측에 삽입 결합되며, 사용자가 제1링크부재(110)와 제2링크부재(120) 사이의 각도를 고정하기 위해 손으로 파지하여 회전시키는 부분으로, 대체로 내측이 개방된 수용부를 갖는 원형 부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파지 및 회전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요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판(150)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부재(110)와 회전노브(160) 사이, 보다 상세하게는 제1링크부재(110)의 원형리브(115)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회전노브(160)와 고정 결합되어 회전노브(160)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록킹부재(130)를 회동시킴에 따라 제1링크부재(110)와 제2링크부재(120) 사이의 각도를 특정 각도에서 잠금 또는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회전노브(160)와 회전판(150)의 결합을 위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노브(160)의 외측면 중앙에는 오목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 내부에는 관통홈이 형성된다. 상기 홈에는 고정볼트(162)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볼트(162)의 단부는 후술하는 회전판(150)의 중앙부에 형성된 나사홈에 결합됨에 따라 회전노브(160)와 회전판(150)이 상호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노브(160)의 오목한 홈과 고정볼트(162)는 회전노브(160)의 외측에 결합되는 커버(170)에 의해 덮여진다. 상기 커버(170)는 원판형으로 구성되어 회전노브(160)의 외측면에 형성된 원형 단턱 내측에 끼움 결합된다.
도 9 에는 이러한 회전판(150)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150)은 얇은 원판형 디스크 형태로 구성되되, 일측은 회동축공(116)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일부분이 절개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150)은 제1링크부재(1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1개씩 구비되고 이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회전판(150)의 내측면 중앙에는 연결샤프트(152)가 결합된다. 상기 연결샤프트(152)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회전판(150)과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 회전판(150)의 중앙에 형성된 사각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말단부가 사각 블럭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양측이 모두 양측 회전판(150)과 끼움 결합되도록 회전판(150)과 별개의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결합부의 형상도 사각 뿐만 아니라 오각, 육각 등 다양한 다각형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샤프트(152)는 상기 제1링크부재(110)의 상부 내측 수용부에 배치된 중심축관(140) 내부에 관통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좌우 양측 회전판(150)이 연결샤프트(152)에 의해 결합되므로 일측 회전노브(160)를 회전시키는 경우 좌우 양측 회전판(150)이 함께 회전된다.
한편,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150)의 측면 가장자리 부근에는 원호 형상의 제3가이드공(153)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3가이드공(153)은 제1링크부재(110)의 측면 원형리브(115) 내측에 형성된 제1돌기(113)가 삽입되어 회전판(150)의 안정적인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150)의 외측면 일측(도면에서는 상부)에 형성된 제3가이드공(153) 일측에는 제2돌기(157)가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제2돌기(157)는 제3가이드공(153)에 삽입된 제1링크부재(110)의 제1돌기(113)를 연결하는 스프링(158)의 일단이 고정되는 돌기이다. 도 10 에는 제1링크부재(110)에 회전판(150)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 도시되는바, 스프링(158)의 양단이 각각 제3가이드공(153)에 삽입된 제1돌기(113)와 회전판(150)에 형성된 제2돌기(157)에 결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158)은 록킹 해제시 회전판(150)이 쉽게 원래 위치로 복귀 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한편, 도 9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150)의 내측면 가장자리 일측(도면에서는 상부)에는 잠금편(155)이 돌출 형성되고, 타측(도면에서는 하부)에는 가동핀(154)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잠금편(155)은 상기 제2링크부재(120)의 제1기어(123)와 상기 록킹부재(130)의 제2기어(132)가 맞물려 록킹시 상기 록킹부재(130)를 고정 지지하는 것으로, 단면이 대체로 가로 방향이 더 긴 사각이면서 모서리가 둥글게 라운딩된 육면체 형상의 블록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편(155)이 하부에는 잠금편(155)의 돌출 높이 보다 더 작은(바람직하게는 1/2 정도) 높이를 가지며 하방으로 둥글게 원호 형상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곡면돌출부(156)가 형성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록킹 기능을 갖는 의자용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 장치(100)의 작동 관계를 도 11 및 도 12 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11 의 (a) 및 (b)에는 록킹 해제시 및 록킹시의 제1링크부재(110)와 제2링크부재(120)의 결합 관계가 단면도로 도시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30)와 완충등받이(40)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링크 장치(100)가 설치되고 상기 링크 장치(100)의 록킹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도 11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리브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이때 회전판(150)에 형성된 가동핀(154)이 록킹부재(130) 하단의 장공(135)을 따라 후방측으로 이동되어 있고 록킹부재(130) 상단 전방측에 형성된 제2기어(132)와 제2링크부재(120)에 형성된 제1기어(123)가 서로 분리 이격된 상태에 있다. 그리고, 회전판(150)에 형성된 잠금편(155)은 제1링크부재(110)의 상부 내벽과 제2링크부재(120)의 상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록킹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제1링크부재(110)와 제2링크부재(120)가 비틀림스프링(125)에 의해 탄성 지지되므로 사용자가 허리를 완충등받이(40)에 접촉하는 정도에 따라 제1링크부재(110)와 제2링크부재(120) 간의 각도가 자유자재로 변화되면서 탄성 지지되므로 완충 작용이 수행된다.
현 상태에서, 도 11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노브(16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판(150)의 가동핀(154)이 록킹부재(130)의 장공(135)에 삽입된 상태로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원호를 그리면서 이동하게 되므로 록킹부재(130)의 하부를 하방으로 눌러주는 효과가 발생하여 록킹부재(130)가 회동축(137)을 중심으로 회동됨에 따라 제2링크부재(120)의 제1기어(123)와 록킹부재(130)의 제2기어(132)가 서로 맞물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판(150)의 잠금편(155)도 시계 반시계 방향, 즉, 후방측으로 이동되어 제1링크부재(110) 상부 내벽에 형성된 돌출면(119)과 상기 록킹부재(130)의 상단 외측에 형성된 단차홈(138) 사이에 끼움 결함되어 단턱에 지지됨에 따라 제1기어(123)와 제2기어(132)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제1링크부재(110)와 제2링크부재(120)가 특정 각도로 고정된다.
한편, 도 12 의 (a) 및 (b)에는 록킹 해제시 및 록킹시 제1링크부재(110)에 형성된 제2가이드공(117)과 회전판(150)에 형성된 잠금편(155)의 위치 관계가 단면도로 도시된다. 도 12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해제시에는 회전판(150)의 잠금편(155)이 제2가이드공(117) 내부 전방측에 위치해 있다가 록킹시에는 도 12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이드공(117)의 내부 후방측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제2가이드공(117)의 하부 내측면 중앙에 걸림돌기(118)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잠금편(155)의 하부에 곡면돌출부(156)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잠금편(155)의 곡면돌출부(156)가 걸림돌기(118)에 걸려 잠시 멈추었다가 '딸깍'하는 소리와 함께 걸림돌기(118)를 타고 넘어가게 되는데, 이러한 소리와 마찰에 의해 사용자가 록킹 작동이 수행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 및 작동을 통하여,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완충등받이(40)의 탄성 지지 및 고정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 좌판 20 : 다리
30 : 등받이 40 : 완충등받이
100 : 링크 장치 110 : 제1링크부재
111 : 제1힌지축공 112 : 제1중심축공
113 : 제1돌기 114 : 제1가이드공
115 : 원형리브 116 : 회동축공
117 : 제2가이드공 118 : 걸림돌기
119 : 돌출면 120 : 제2링크부재
121 : 제2힌지축공 122 : 제2중심축공
123 : 제1기어 125 : 비틀림스프링
130 : 록킹부재 131 : 기어편
132 : 제2기어 134 : 회동축관
135 : 장공 136 : 연결면
137 : 회동축 138 : 단차홈
140 : 중심축관 142 : 후크부재
150 : 회전판 152 : 연결샤프트
153 : 제3가이드공 154 : 가동핀
155 : 잠금편 156 : 곡면돌출부
157 : 제2돌기 158 : 스프링
160 : 회전노브 162 : 고정볼트
170 : 캡

Claims (11)

  1. 등받이(30)와 상기 등받이(30) 전방측에 구비된 완충등받이(40)를 상호 연결하며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상기 완충등받이(4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의자용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100)로서,
    하단부가 의자의 등받이(30) 하측에 힌지 결합되고, 전방부 내측에는 오목한 수용부가 형성된 제1링크부재(110)와;
    후단부가 상기 제1링크부재(110)의 수용부 상단 내측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단부는 완충등받이(40)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되, 후단부의 좌우 양측면에 제1기어(123)가 형성된 제2링크부재(120)와;
    상기 제1링크부재(110)의 상부 내측 수용홈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 전방측에 제2기어(132)가 형성되며, 회동 작동에 의해 상기 제2기어(132)가 제2링크부재(120)에 형성된 제1기어(123)와 맞물림에 따라 상기 제1링크부재(110)와 제2링크부재(120)를 특정 각도로 고정하기 위한 록킹부재(130)를 포함하되;
    상기 제1링크부재(110)의 좌우 양측면에는 제1중심축공(11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링크부재(120)의 좌우 양측면에는 제2중심축공(122)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2링크부재(120)의 후단부가 상기 제1링크부재(110)의 전방 상측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중심축공(112)과 제2중심축공(122)을 관통하는 중심축관(140)이 삽입 결합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110)와 제2링크부재(120)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중심축관(140)의 외주면에 상기 제1링크부재(110)와 제2링크부재(120)를 탄성 지지하는 비틀림스프링(125)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130)는,
    좌우 양측에 종단면이 대체로 'C'자형으로 전방측이 오목하게 만곡된 한쌍의 기어편(131)이 나란하게 형성되되, 상기 각 기어편(131)의 전방 내측 상부에는 록킹시 상기 제2링크부재(120)의 제1기어(123)에 맞물리는 제2기어(132)가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좌우 양측 기어편(131)의 중앙을 연결하며 내부에 회동축(137)이 관통 삽입되도록 회동축관(134)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재(110)의 상단부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 회전 작동에 따라 상기 록킹부재(130)를 회동시키는 회전판(150)을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판(150)의 하부 일측 가장자리에는 회전판(150)의 회전시 상기 록킹부재(130)의 하부를 밀어 회동시키기 위한 가동핀(154)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130)의 전방 하부 양 측면에는 상기 회전판(150)에 형성된 가동핀(154)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장공(13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150)이 상부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링크부재(120)의 제1기어(123)와 상기 록킹부재(130)의 제2기어(132)가 맞물려 록킹시 상기 록킹부재(130)를 고정 지지하는 잠금편(155)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130)의 회동축관(134)을 중심으로 상측은 좌우 양측 기어편(131)을 상호 연결하며 둥글게 만곡된 연결면(136)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연결면(136)의 후면 상단부에는 'ㄴ'자 형상의 단차홈(138)이 형성되며, 상기 제1링크부재(110)의 내측 상부 내벽에는 돌출면(119)이 형성되고, 상기 제1기어(123)와 제2기어(132)의 록킹시 상기 잠금편(155)이 록킹부재(130)의 단차홈(138)과 제1링크부재(110)의 돌출면(119) 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기어(123)와 제2기어(132)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재(11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 일측에는 상기 회전판(150) 내측면에 형성된 가동핀(154)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원호 형상의 제1가이드공(114)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회전판(150)의 내측면에 형성된 잠금편(155)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원호 형상의 제2가이드공(11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공(117)의 하부 내측면 중앙에 걸림돌기(118)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잠금편(155)의 하부에는 곡면돌출부(15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150)의 측면 가장자리 일측에는 상기 제1링크부재(110)의 제1돌기(113)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원호 형상의 제3가이드공(153)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3가이드공(153) 일측에는 제2돌기(157)가 돌출 형성되며, 제3가이드공(153)에 삽입된 제1돌기(113)와 회전판(150)에 형성된 제2돌기(157)에 스프링(158)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재(110)의 좌우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판(150)과 고정 결합되어 사용자가 파지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회전판(15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노브(1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링크부재(110)의 상단부 좌우 양측에 각각 측방으로 개구된 원형리브(11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노브(160)는 상기 원형리브(115)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
KR1020230071057A 2023-06-01 2023-06-01 록킹 기능을 갖는 의자용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 KR102618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1057A KR102618224B1 (ko) 2023-06-01 2023-06-01 록킹 기능을 갖는 의자용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1057A KR102618224B1 (ko) 2023-06-01 2023-06-01 록킹 기능을 갖는 의자용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224B1 true KR102618224B1 (ko) 2023-12-27

Family

ID=89377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1057A KR102618224B1 (ko) 2023-06-01 2023-06-01 록킹 기능을 갖는 의자용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2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127Y1 (ko) * 2009-01-29 2009-07-01 주식회사 대하정공 다이나믹 메커니즘 의자의 틸팅축 회전억제장치
KR101107615B1 (ko) 2011-07-06 2012-01-30 주식회사 다원산업 요추지지장치가 장착된 의자
KR101296357B1 (ko) * 2013-06-18 2013-08-14 (주)광일체어 의자등받이
KR101533650B1 (ko) * 2010-04-15 2015-07-03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의 등받이에 작용하는 복원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메커니즘 및 상기 조정 메커니즘을 구비한 사무용 의자
KR101603994B1 (ko) * 2014-03-24 2016-03-16 성용기업 주식회사 코일스프링의 토션력을 이용한 틸팅부가 구비된 틸팅의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127Y1 (ko) * 2009-01-29 2009-07-01 주식회사 대하정공 다이나믹 메커니즘 의자의 틸팅축 회전억제장치
KR101533650B1 (ko) * 2010-04-15 2015-07-03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의 등받이에 작용하는 복원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메커니즘 및 상기 조정 메커니즘을 구비한 사무용 의자
KR101107615B1 (ko) 2011-07-06 2012-01-30 주식회사 다원산업 요추지지장치가 장착된 의자
KR101296357B1 (ko) * 2013-06-18 2013-08-14 (주)광일체어 의자등받이
KR101603994B1 (ko) * 2014-03-24 2016-03-16 성용기업 주식회사 코일스프링의 토션력을 이용한 틸팅부가 구비된 틸팅의자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용발명 1* *
인용발명 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2477B2 (en) Adjustable armrest for a seating unit
KR101398686B1 (ko) 틸팅 타입 의자
KR101370845B1 (ko) 틸팅 제한부가 부설된 의자 어셈블리
CN113163948A (zh) 用于座椅的锁定装置
US11350762B2 (en) Swing dining chair
CA1304668C (en) Locking mechanism for a foldable piece of seating furniture
KR102618224B1 (ko) 록킹 기능을 갖는 의자용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
JP5806088B2 (ja) 椅子
JP2005512713A (ja) 家具における使用に適した数箇所の安定位置を有する可動継手
JP6625017B2 (ja) 肘掛け、及び、椅子
WO2017057759A1 (ja) 角度調整具
JP5860513B2 (ja) 椅子
KR200436641Y1 (ko) 일체형 등판프레임 의자의 등판 틸팅장치
JP5601818B2 (ja) ロッキング椅子
KR102210240B1 (ko) 탄성력 조절이 가능한 의자 등받이 경사 조절기구
CN210541157U (zh) 可折叠手柄及锅具
KR102072935B1 (ko) 일체형 등좌판의 이동고정기능을 구비한 의자좌판
JP6117521B2 (ja) ネスティング可能なロッキング椅子
KR101883622B1 (ko) 옷걸이 기능이 구비된 의자
JP6684660B2 (ja) 肘掛け、及び、椅子
KR101753786B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팔걸이가 구비된 의자
JP2021036952A (ja) 椅子
JP6309316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の肘掛け構造及び該肘掛け構造を備えたポータブルトイレ
KR200194048Y1 (ko) 접철식 의자의 높이조절구
KR102341831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