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650B1 - 의자의 등받이에 작용하는 복원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메커니즘 및 상기 조정 메커니즘을 구비한 사무용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의 등받이에 작용하는 복원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메커니즘 및 상기 조정 메커니즘을 구비한 사무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650B1
KR101533650B1 KR1020127029858A KR20127029858A KR101533650B1 KR 101533650 B1 KR101533650 B1 KR 101533650B1 KR 1020127029858 A KR1020127029858 A KR 1020127029858A KR 20127029858 A KR20127029858 A KR 20127029858A KR 101533650 B1 KR101533650 B1 KR 101533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scissors
adjustment
arm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9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8736A (ko
Inventor
아르민 잔더
크리스토퍼 슈미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디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디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디즈
Publication of KR20130028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5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with a central column, e.g. rocking offic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A47C1/0326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A47C1/0327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coil springs

Abstract

조정 메커니즘(6)은 의자의 등받이에 작동하는 복원력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복원력을 생성하기 위한 스프링 부재(24), 지지부(16) 및 지지 축선(A1)에 대하여 피봇가능하도록 지지부(16) 상에 장착되는 등받이 지지부(12)와 같은 특징들을 가진다.
한 쌍의 가위형 방식으로 설계되고 제 1 가위형 아암(20A) 및 제 2 가위형 아암(20B)을 포함하는 조정 부재(20)가 구비되고, 가위형 아암(20A, 20B)들이 가위형 축선(A3)에 대하여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1 가위형 아암(20A)은 조정 축선(A2)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등받이 지지부(12) 상에 장착되고; 스프링 부재(24)에 의해 생성된 스프링력이 제 2 가위형 아암(20B)에 작용하며, 지지 축선(A1)과 가위형 축선(A3) 사이에 제 1 작동-레버 길이(W1)가 정의되고, 상기 제 1 작동-레버 길이는 조정 축선(A2)에 대해 조정 부재(20)를 피봇하여 복원력을 조정하는 회전 장치(26)를 이용하여 변경가능하다.

Description

의자의 등받이에 작용하는 복원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메커니즘 및 상기 조정 메커니즘을 구비한 사무용 의자 {ADJUSTING MECHANISM FOR ADJUSTING A RESTORING FORCE THAT ACTS ON A BACKREST OF A CHAIR, AND OFFICE CHAIR WITH SUCH AN ADJUSTING MECHANISM}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포괄적으로 기재된 부분에 대한 특징을 가지는, 의자의 등받이에 작용하는 복원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정 메커니즘을 가지는 사무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사무용 의자는 바람직하게는 소위 동기 메커니즘(synchronous mechanism)을 구비한다. 이 같은 의자들의 등받이의 기울기는 통상 복원력에 대해 조정가능하다. 안락의자의 경우, 상이한 무게의 사용자의 요구에 적용가능하도록 이 복원력이 조정가능하도록 제공된다.
그러한 조정을 실행하도록, 상이한 메커니즘들과 방법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복원력을 가하는 스프링의 압축 응력은 가령 핸드휠과 같은 작동 부재를 통해 수동으로 조정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스프링 압축 응력의 조정은 매우 큰 힘을 요구하여, 통상 고가의 트랜스미션(transmission)이 요구되며, 또한 현저한 조정을 성취하기 위해 비교적 높은 회전수가 실행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야기한다.
대안적으로, 전체 스프링 어셈블리 배열체 또는 일반적으로 스프링 부재들의 배열체를 피봇가능한 방식으로 설계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어, 상기 스프링 부재들의 접합점이 평행사변형으로 힘을 변화한다. 그러나, 이것은 전체 스프링 부재가 피봇되어야 하기 때문에 비교적 큰 공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이미 알려진 조정 가능성들은, 상기 스프링 부재에 의해 발휘되는 초기력(정지된 위치에서)의 최대력(기울어진 위치에서)에 대한 비율이 중량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좋지 않은 동작을 종종 보이는 문제점을 포함한다. 즉, 이는 등받이의 기울기 조정을 통해 스프링 부재에 의해 가해진 복원력이 가벼운 사람 및 무거운 사람에 의해 상이하게 인식되는데, 예를 들면, 가벼운 사람에게 우선 알맞은 것으로 인식된 부드러운 조정이, 기울기가 증가됨에 따라 더욱 더 뻣뻣하게 인식되며, 예를 들면, 무거운 사람과 같은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등받이의 기울기 조정에 따른 정확한 밸런싱의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최근 기술분야에서는 복원력의 조정을 위해 등받이 지지부의 회전 축선과 스프링 부재의 작용점 사이의 유효 레버 길이의 변화를 제공하는 조정 메커니즘들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국제출원 WO 2006/114250 A1로부터 알려진 메커니즘에서, 롤러가 한편으로는 등받이 지지부의 표면을 따라 통과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선회 레버의 표면을 따라 조정 레버에 의해 조정되며, 상기 롤러와 상기 선회 레버가 스프링 부재의 작용점과 상이한 유효 레버 길이들의 조정을 위해 등받이 지지부를 연결한다.
유럽특허공개 EP 1258212 A2로부터, 등받이 지지부에서의 스프링 부재의 작용점이 작용점과 선회 축선 사이의 유효 레버 길이를 변화시키기 위해 조정될 수 있는 조정 메커니즘이 알려져 있다. 마찬가지로, 유럽특허공개 EP 1258211 A2는 상이한 작동-레버 길이를 조정하기 위해 슬라이딩 가이드를 따라 변위가능한 베어링 블럭을 개시한다.
상기로부터 시작하여, 본 발명은 이 같은 의자, 특히 동기 메커니즘을 구비한 의자에서 복원력을 조정하기 위한 개선된 조정 메커니즘을 제공하기 위한 과제를 기초로 한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1의 특징을 구비한 조정 메커니즘 뿐만 아니라 이 같은 조정 메커니즘을 구비한 사무용 의자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 조정 메커니즘은 일반적으로 의자의 등받이에 작용하는 복원력을 조정하기 위해 설계된다. 이를 위해, 조정 메커니즘은 복원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프링 부재 뿐만 아니라 지지부 및 선회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 위에 장착되는 등받이 지지부를 포함한다.
복원력의 중량-종속 조정을 위해서, 가위형의 방식으로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가위형 아암들을 가지는 조정 부재가 필수 부재로서 구비되며, 상기 가위형 아암들은 가위형 축선 둘레로 회전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 1 가위형 아암은 조정 축선 둘레로 피봇가능하도록 상기 등받이 지지부에 장착된다. 상기 스프링 부재에 의해 가해진 스프링력은 상기 제 2 가위형 아암에 작용한다. 지지 축선과 가위형 축선 사이에 제1 유효 레버 길이가 정의되고, 상기 제1 유효 레버 길이는 조정 축선 둘레로 조정 부재를 선회함으로써 복원력을 조정하는 회전 장치에 의해서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일반적으로 링크 체인 타입을 통해 단지 간접적으로만 상기 등받이 지지부에 영향을 주며, 특히 상기 등받이 지지부의 움직임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회전 장치는 스프링력을 상기 등받이 지지부로 전달하기 위한 트랜스미션 부재를 형성한다. 상기 조정 축선 둘레로 전체 가위들을 회전함으로써, 거리 및 그에 따른 가위형 축선과 지지 축선 사이의 제1 유효 레버 길이가 간단한 방식으로 변화된다. 상기 스프링 부재에 의해 가해진 스프링력은 상기 조정 부재를 통해 다중 관절형 방식으로 방향이 바뀌어, 복원력으로써 상기 등받이 지지부로 전달된다. 상기 제1 유효 레버 길이가 상기 회전 장치를 통해 선택될 경우, 상기 지지 축선에 대한 상기 가위형 축선의 위치는 바람직하게 적절하게 고정될 것이다, 즉, 조정 프로세스 동안, 이러한 유효 레버 길이는 불변될 것이다. 전체적으로 가위들은 스프링력을 전달하기 위해 기계적 버클링-아암 기어의 방식으로 작용할 것이다.
따라서, 전통적인 조정 메커니즘과는 반대로, 상기 스프링 부재가 상기 레버 아암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아, 상기 스프링 부재의 작용점이 상이한 레버 아암들을 조정하기 위해 변화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선택된 중량-종속 조정과 관계없이 항상 조정 메커니즘 내에서 동일한 위치에 작용하며, 그것의 위치는 불변하며 특히 등받이의 기울기 변화 동안 불변한다. 등받이의 기울기 변화는 상기 가위들을 통해서 그리고 상기 스프링 부재의 작용점을 레버-아암 길이의 조정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이는 특히 등받이의 기울기 변화 동안 결정적인 장점을 제공하며, 가해진 스프링력은 전체 기울기 경로에 걸쳐 일정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울기 변화의 전체 움직임 동안 균일한 복원력을 인식하게 되어, 높은 안락함이 완전히 달성된다.
적절한 개선에 따라, 상기 조정 메커니즘은 하중이 가해지지 않은 기본 위치에서, 즉, 특히 등받이 지지부에 장착된 등받이가 직립 초기 위치에 있는, 등받이 지지부의 위치에서 두 개의 가위형 아암들이 적어도 상당한 정도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서로 정확하게 평행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두 개의 가위형 아암들은 서로 정렬된다. 상기 제 1 가위형 아암의 단부가 작동-레버 길이를 조정하기 위해 피봇가능하도록 상기 등받이 지지부 상에 장착되고 동시에, 스프링력이 상기 제 2 가위형 아암의 단부에 작용하고, 두 개의 가위형 아암들의 평행한 방향배치는 상기 조정 축선 둘레의 베어링이 가능한 한 힘이 없는(forcefree) 것을 보장한다. 상기 스프링 부재에 의해 가해진 스프링력이 아닌, 단지 마찰력들은 상기 조정 축선 둘레의 조정 운동에 반작용한다. 이는 사용자가 매우 간단하고 하중이 없는 방식으로 제1 유효 레버 길이를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상기 두 개의 가위형 아암들은 서로에 대해 상기 조정 부재의 힘이 없는(forcefree) 조정이 가능한 방식으로 배치된다.
적절한 개선에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링킹 부재를 통해 단지 간접적으로만 상기 제 2 가위형 부분에 작용하며, 상기 링킹 부재는 링킹 축선 둘레로 피봇가능하도록 상기 가위형 부분과 연결된다. 상기 링킹 축선은 특히 상기 가위형 축선의 반대편의 상기 제 2 가위형 아암의 단부에 형성된다. 기본 위치에서, 상기 링킹 축선과 상기 조정 축선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정확하게 정렬된다.
적절한 방식으로서, 상기 링킹 부재는 또 다른 선회 축선 둘레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링킹 부재 자체가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며, 상기 스프링 부재는 이 선회 축선 둘레의 회전에 대하여 상기 링킹 부재 상에 토크(torque)를 가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위형 아암이 상기 등받이 지지부에 링크되는 동안, 상기 제 2 가위형 아암은 일반적으로 상기 지지부에 연결된다. 상기 링킹 부재를 구비한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이는 상기 링킹 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실행된다. 따라서, 우선 선형적으로 작용하는 상기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력은 상기 링킹 부재를 통해 대응 토크를 갖는 회전 운동으로 변형되고, 복원력을 가하기 위해 다중-관절식 커플링(multi-articulated coupling)을 통해 상기 등받이 지지부 상에 전달된다.
컴팩트한 구성의 관점에서는, 상기 링킹 부재는 바람직하게 오목부(indentation)를 포함하며, 상기 오목부 내로 상기 가위형 축선이 제1 유효 레버 길이를 변경하기 위해 피봇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상기 링킹 부재는 C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이다.
제1 유효 레버 길이를 조정하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 장치에 의해 조정된 제1 유효 레버 길이를 적절하게 고정시키는 록킹 부재가 구비되며, 그에 따라 제1 유효 레버 길이가 기울기 변화 동안 또한 불변한다. 편의상, 상기 록킹 부재는 사용자를 통한 추가 핸들링의 요구 없이, 조정이 실행된 이후에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상기 회전 장치는 일반적으로 레버 길이의 수동 조정을 위해 설계되며 예를 들어 핸드휠, 레버 등이다. 상기 회전 장치와 상기 록킹 부재는 서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 장치는 록킹 부재로서 자체-록킹 스핀들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 제1 유효 레버 길이는 상기 스핀들을 통한 회전식 조정을 통해 조정된다. 상기 스핀들의 일 단부는 상기 가위형 축선에 작용하고, 상기 스핀들의 다른 단부는 상기 등받이 지지부 상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축선 상에 놓인다.
상기 레버 길이가 고정될 때, 즉 조정이 상기 회전 장치에 의해 실행된 후, 다양한 선회 축선, 즉 서로에 대한 지지 축선, 조정 축선, 가위형 축선의 위치는 기계적으로 적절하게 고정되고, 이러한 축선들은 일종의 기계적으로 단단한 삼각형을 형성하며 이 삼각형을 경유하여 힘이 전달된다.
컴팩트한 실시예의 관점에서, 상기 선회 축선은 상기 지지 축선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가위들은 두 개의 관절 지점들 사이에 배치된다. 용어 "하부(below)" 및 "상부(above)"는 의자의 통상의 위치를 지칭한다, 즉 "상부"라는 용어에 의해 시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해하고, "하부"라는 용어에 의해, 바닥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해한다.
특별한 실시예에 의해, 상기 제 2 유효 레버 길이는 상기 선회 축선과 상기 제 2 가위형 아암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유효 레버 길이는 상기 선회 축선으로부터 상기 제 2 가위형 아암에 수직한 것까지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 2 유효 레버 길이는 상기 조정 부재가 상기 조정 축선 둘레로 선회될 때 또한 가변적이고, 상기 제 1 유효 레버 길이에 비해 반대 방향으로 변화한다. 즉, 상기 조정 축선(A2) 둘레로 상기 조정 부재(20)가 선회하는 동안 상기 제 1 유효 레버 길이(W1)가 감소할 때, 상기 제 2 유효 레버 길이(W2)는 증가한다.
상기 등받이 지지부가 장착되는 상기 지지 축선 뿐만 아니라, 상기 링킹 부재가 장착되는 상기 선회 축선의 위치들은, 상기 축선들이 상기 지지부에 의해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부에 대해 고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두 개 축선들 사이의 거리는 항상 일정하다.
상기 지지부는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반대 측 벽들을 가지는 트레이 방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정 메커니즘의 부재들의 일부가 상기 트레이 내부로 수용된다. 전술된 상기 가위들, 상기 링킹 부재와 같은 개별 부재들은 바람직하게 이중으로 존재하며 상기 지지부의 사이드 벽의 영역에서 서로 반대로 배치된다. 상기 링킹 부재 뿐만 아니라 상기 가위형 아암들은 편평한, 판형 구성부재로서 형성되며, 각각의 경우 서로 또는 상기 지지부 상에 또는 상기 등받이 지지부 상에 샤프트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샤프트들은 개별 축선들을 형성한다. 상기 스프링 부재는 특히 압축 스프링으로 설계된다. 상기 스프링 부재는 특히 상기 링킹 부재 상의 작용 샤프트에 작용한다. 상기 스프링 부재의 다른 단부는 상기 지지부의 전면 단부 상의 지지 샤프트를 통해 장착된다. 상기 스프링 부재는 등받이의 기울기 변화 동안, 트랙킹(track)하도록 상기 지지 샤프트 둘레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링킹 부재는 상기 선회 축선 둘레로 피봇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부분적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들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a는 동기 메커니즘을 구비한 사무용 의자의 측면도,
도 1b는 도 1a의 사무용 의자에 하중이 가해져 등받이가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
도 2a는 기본 위치(직립 등받이)에서의 등받이 지지부와 시트 지지부를 구비한 조정 메커니즘의 전체적인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기울어진 위치에서의 전체도,
도 3은 시트 지지부와 우측 스프링 부재가 없는 도 2a 및 도 2b의 조정 메커니즘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a는 기본 위치에서 "가벼운" 무게 조정을 하는 도 3에 도시된 조정 메커니즘의 외부 측면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위치에 따른 조정 메커니즘의 단면도,
도 4c는 기울어진 위치에 있는 도 4a의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무거운" 중량 조정을 하는 경우, 도 4a 내지 도 4c에 각각 대응되는 도면들,
도 6a는 기본 위치(직립 등받이)에서의 "무거운" 중량 조정의 경우 그 기능을 도시하는 조정 메커니즘의 개략도,
도 6b는 기울어진 위치(후방으로 기울어진 등받이)에서 "무거운" 조정을 하는 도 6a의 조정 메커니즘의 개략적 도해,
도 7a는 기본 위치에서의 "가벼운" 중량 조정을 하는 조정 메커니즘의 도 6a에 대응하는 설명 및
도 7b는 기울어진 위치에서의 "가벼운" 중량 조정을 하는 도 6b에 대응하는 설명이다.
도 1a 및 도 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동기 메커니즘을 구비한 피봇식 사무용 의자는, 등받이(2), 시트(4), 상기 시트(4) 아래 배치되는 시트 메커니즘 또는 조정 메커니즘(6)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 메커니즘 또는 상기 조정 메커니즘(6)에는 상기 등받이(2)에 작용하는 복원력을 조정하기 위한 개별 구성요소들이 통합된다. 더욱이, 베이스부(미도시)와 연결되는 스탠드 튜브(stand tube; 8)가 보여질 수 있다. 상기 스탠드 튜브는 통상적으로 늘였다 줄였다 할 수 있는 튜브로 형성되는데, 이를 통해 높이가 조정될 수 있다. 상기 동기 메커니즘을 통하여, 시트(4)의 운동과 등받이(2)의 운동이 서로 커플링됨으로써, 도 1a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1b에 도시된 위치로 등받이(2)를 조정하는 경우, 시트(4)가 도 1에 따른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부터 후방으로 기울어진 위치로 움직인다.
상기 동기 메커니즘은 등받이 지지부(12)를 포함하는데, 이를 통해 등받이(2)가 장착된다. 더욱이, 상기 동기 메커니즘은 상기 시트(4)를 지지하는 시트 지지부(14)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5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조정 메커니즘(6)은, 이하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16)로 지정된, 트레이 방식으로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6) 상에, 상기 등받이 지지부(12) 뿐만 아니라 시트 지지부(14)가 장착된다(도 2a, 도 2b). 상기 등받이 지지부(12)는 지지부 샤프트에 의해 정의되는 지지 축선(A1) 둘레로 피봇가능하게 링크된다. 상기 지지부(16)는 두 개 사이드 벽(18)들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벽들은 사이드 벽들 사이의 중앙 부분을 둘러싼다.
상기 조정 메커니즘(6)은, 제 1 가위형 아암(20A)(특히 도 4b,도 5b 참조) 뿐만 아니라 제 2 가위형 아암(20B)을 가지는, 가위의 방식으로 형성된 조정 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가위형 아암(20A)은 조정 축선(A2)(도 4b,도 4c,도 5b,도 5c)을 형성하는 조정 샤프트를 통해 상기 등받이 지지부(12)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된다. 두 개의 가위형 아암(20A,20B)들은 가위형 축선(A3)을 형성하는 가위 액슬(axle)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 2 가위형 아암(20B)은 링킹 축선(A4)을 형성하는 링킹 액슬을 통해 링킹 부재(22)와 연결된다. 상기 링킹 부재(22)는 선회 축선(A5)을 형성하는 선회 샤프트를 통해 상기 지지부(16)(예를 들면 도 4a, 도 4b 참조)와 피봇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링킹 부재(22)는 작용 축선(A6)을 형성하는 작동 샤프트를 통해 스프링 부재(24)(일 실시예의 압축 스프링)과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 부재의 반대쪽 단부는 지지 축선(A7)을 형성하는 지지 샤프트 상에 놓이며, 상기 지지 샤프트는 상기 지지부(16)의 전방에서 유지된다.
상기 지지 축선(A1)과 가위형 축선(A3) 사이에 제1 유효 레버 길이(W1)가 정의된다(도 4a, 도 4c 뿐만 아니라 도 5a, 도 5c 참조). 제2 유효 레버 길이(W2)는 상기 선회 축선(A5)으로부터 상기 제 2 가위형 아암(20B)까지, 즉 상기 선회 축선(A5)으로부터, 상기 가위형 축선(A3)과 링킹 축선(A4) 사이의 연결 라인까지이며, 상기 가위형 축선(A3)과 링킹 축선(A4) 사이의 연결 라인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유효 레버 길이(W1)의 조정을 위해서, 여기에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은 핸드휠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조정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상기 조정 메커니즘은 스핀들 너트 내에서 가이드되는 스핀들을 구비한 자체-록킹 회전 장치(26)로 구성된다. 상기 스핀들 너트는 상기 핸드휠의 작동에 의해 상기 조정 축선(A2) 둘레로 상기 제 1 가위형 아암(20A)을 조정하도록 상기 제 1 가위형 아암(20A)과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 장치는 트랜스미션의 방식으로 협동하는 수 개의 치형 휠들을 통해 앞서-언급한 핸드휠에 의해 작동한다. 원칙적으로 상기 조정 메커니즘의 다른 실시예들이 또한 가능하다.
상기 가위형 아암(20A,20B)들은 판들(plates), 특히 배튼(batten)-형상의 구성요소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가위형 아암(20B)은 이중 배튼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가위형 아암(20A)이 상기 지지부(16)에 의해 형성된 트레이 내부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데 비해, 상기 제 2 가위형 아암은 상기 사이드 벽(18)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가위형 아암들(20A, 20B)은 상기 사이드 벽(18)들과 평행하다.
상기 링킹 부재(22) 또한 판-형 부재로서 형성되고,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가위형 아암과 같이, 상기 사이드 벽(18) 외측에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구성요소들은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개별 구성 요소들의 배치는 상기 지지부(16)를 통해 연장된 중심 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거울-이미지로 이루어진다. 이는 특히 상기 링킹 부재(22)의 가위형 아암(20A,20B)들과, 상기 스프링 부재들(24)에 특히 적용한다. 구성요소 쌍들은 대개 각각의 샤프트 또는 액슬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각각의 경우 서로 평행하고, 가로 방향으로 연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링킹 부재(22)는 오목부(27)를 구비한 대략 C자 형상이고, 상기 제1 유효 레버 길이(W1)가 조정될 때(예를 들어 도 4a, 도 5a 참조) 상기 오목부(27) 안에서 상기 조정 축선(A2)이 피봇될 수 있다. 상기 링킹 부재(22)와 협동하는 축선들(선회 축선(A5), 링킹 축선(A4), 및 작용 축선(A6))은 가상의 삼각형의 코너에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용 축선(A6)은 상기 링킹 부재(22)의 최고점에 배치되고, 상기 선회 축선(A5)은 상기 링킹 부재(22)의 최저점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용 축선(A6)은 대략 상기 지지 축선(A1)의 높이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선회 축선(A5) 뿐만 아니라 상기 링킹 축선(A4)은 상기 지지 축선(A1) 아래 배치된다.
복원력을 조정하기 위한 상기 메커니즘의 기능적 원리는, 이제 "가벼운" 중량 조정에 대해서는 도 4a 내지 도 4c에 의해, "무거운" 중량 조정에 대해서는 도 5a 내지 도 5c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
일반적인 기능적 원리는 "가벼운" 중량 조정을 위한 도 4a, 도 4c에 대응하는 도 7a, 도 7b로부터 또한 도시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도 6a, 도 6b는 도 5a, 도 5c의 "무거운" 중량 조정에 대응한다.
상기 등받이 지지부(12)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고, 기울어지지 않은 초기 위치(실질적으로 상기 등받이 지지부(12)의 수평 위치 또는 상기 등받이(2)의 직립 위치)인, 기본 위치에서(도면 번호에서 "a"가 표시된 도면들), 상기 가위형 아암들(20A, 20B)은 서로 평행하여, 상기 링킹 축선(A4) 및 상기 조정 축선(A2)은 서로 정렬된다. 상기 회전 장치(26)를 통하여, 상기 조정 축선(A2) 둘레로 상기 제 1 레버 아암(20A)가 선회함으로써 상기 제1 유효 레버 길이(W1)가 변화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7a에 따른 "가벼운" 중량 조정이 도 6a에 따른 "무거운" 중량 조정으로의 전환되는 것, 또는 대응하는 도 4a, 도 5a 참조).
이러한 실시예의 특별한 이점은, 기본 위치에서 어떠한 스프링력들이 발휘되지 않기 때문에, 조정이 거의 중량-없이 실행된다는 사실이다. 상기 회전 장치(26)의 자체-록킹과, 기울기 조정 동안 유지될 수 있는 위치로 인해, 상기 가위형 축선(A3)의 위치가 원하는 위치에서 적절하게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 부재는 스프링력(압축력)을 상기 작용 축선(A6)으로 전달하여 상기 선회 축선(A5) 둘레에,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에 대응하는 토크(28)를 생성한다. 이러한 토크(28)는 상기 링킹 액슬(링킹 축선(A4))을 통해 상기 제 2 선회 아암(20B)에 전달되고, 상기 제 2 선회 아암으로부터 상기 제 1 선회 아암(20A)으로 전달되며, 마지막으로 상기 제 1 선회 아암(20A)으로부터 상기 등받이 지지부(12)로 전달된다. 따라서, 재설정 토크(30)는 화살표를 따라 상기 지지 축선(A1) 둘레로 가해져서 상기 등받이(2)의 기울기 조정에 반작용하는 원하는 복원력을 결정한다. 상기 재설정 토크(30)는 조정된 제1 유효 레버 길이(W1)의 함수이다. 가벼운 중량 조정의 경우 조정된 작은 제1 유효 레버 길이(W1)로, 상대적으로 낮은 복원력이 작용하고, 도 5a에 따라 조정된 큰 제1 유효 레버 길이(W1)로, 확실히 더 높은 복원력이 유효하게 된다. 복원력의 양은 오로지 제1 유효 레버 길이(W1)의 조정에 달려있다. 상기 스프링 부재(24)에 의해 가해진 스프링력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기울기 조정은 상기 스프링 부재에 의해 가해진 토크(28)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상기 선회 축선(A5) 둘레로 상기 링킹 부재의 회전 운동을 수반하여, 상기 스프링 부재(24)가 압축된다. 한편으로 도 4a, 도 4c와 비교할 때, 다른 한편으로 도 5a, 도 5c와 비교할 때, 상기 스프링 부재가 "무거운" 중량 조정에서보다 "가벼운" 중량 조정에서 더 작은 양만큼 압축되는 것이 도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제1 유효 레버 길이(W1) 때문에, 상이한 "트랜스미션 비율"들이 상기 가위들(20) 및 상기 링킹 부재(22)에 의해 형성된 "관절형 체인"에 의해 조정된다, 즉 동일한 기울기 조정을 위해, 상기 스프링 부재(24)들의 조정 이동은 중량 조정들과는 상이하다.
전체적으로,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의해, 중량 조정을 위한 컴팩트한 구성의 메커니즘이 달성되고, 특히 기본 위치에서의 거의 힘이 없는 중량 조정이 특징이 된다. 더욱이, 조정 이동을 따른 복원력의 유사한 경로는, 실행된 중량 조정과 관계없이, 기울기 조정을 위해 달성된다. 특히, 직립된 위치와 기울어진 위치에서의 복원력의 비율은, "가벼운" 중량 조정과 "무거운" 중량 조정에 대해 적어도 유사하며, 기울기 경로를 따른 복원력의 과정은 적어도 상당한 정도로, 실행된 중량 조정과는 독립적이다.
2: 등받이
4: 시트
6: 조정 메커니즘
8: 스탠드 튜브
12: 등받이 지지부
14: 시트 지지부
16: 지지부
18: 사이드 벽
20: 조정 부재
20A: 제 1 가위형 아암
20B: 제 2 가위형 아암
22: 링킹 부재
24: 스프링 부재
26: 회전 장치
27: 오목부
28: 토크
30: 재설정 토크
A1: 지지 축선
A2: 조정 축선
A3: 가위형 축선
A4: 링킹 축선
A5: 선회 축선
A6: 작용 축선
A7: 지지 축선

Claims (15)

  1. 의자의 등받이에 작용하는 복원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메커니즘(6)을 구비한 사무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조정 메커니즘(6)은,
    트레이 방식으로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지지부(16);
    지지 축선(A1) 둘레로 피봇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지지부(16)에 장착되는 등받이 지지부(12); 및
    상기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일단부가 작용 축선(A6)을 형성하는 작동 샤프트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가 지지 축선(A7)을 형성하는 지지 샤프트를 통해 상기 지지부의 전면 단부에 장착되는 스프링 부재(24)를 가지고,
    가위 형태로 형성된 제 1 가위형 아암(20A) 및 제 2 가위형 아암(20B)을 가지는 조정 부재(20)가 구비되고, 가위형 축선(A3) 둘레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가위형 아암(20A, 20B)들이 서로 연결되며,
    조정 축선(A2) 둘레로 피봇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제 1 가위형 아암(20A)이 상기 등받이 지지부(12)에 장착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24)에 의해 상기 제 2 가위형 아암(20B)에 스프링력이 가해지며,
    스핀들 너트 내에서 가이드되어, 일 단부는 상기 가위형 축선(A3)에 작용하고, 다른 단부는 상기 지지 축선 상에 배치되는 스핀들을 구비한 회전장치(26)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가위형 아암(20A)이 상기 조정 축선(A2) 둘레로 피봇가능하도록 상기 제1 가위형 아암(20A)은 상기 스핀들을 구비한 회전장치(26)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 축선(A1)과 상기 가위형 축선(A3) 사이에 제1 유효 레버 길이(W1)가 정의되고, 상기 회전 장치(26)의 상기 스핀들을 통한 회전식 조정을 통해 상기 조정 축선(A2) 둘레로 상기 제1 가위형 아암(20A)을 선회시켜 상기 제1 유효 레버 길이(W1)가 변경될 수 있는 조정 메커니즘을 구비한 사무용 의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장치(26)의 상기 스핀들을 통한 회전식 조정을 통해 상기 조정 축선(A2) 둘레로 상기 제1 가위형 아암(20A)이 선회되어 상기 제1 유효 레버 길이(W1)가 변경되면, 변경된 상기 제1 유효 레버 길이(W1) 및, 이에 따라 조정된 상기 복원력은 상기 의자의 등받이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메커니즘을 구비한 사무용 의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선회 축선(A5)을 형성하는 선회 샤프트를 통해 상기 지지부(16)와 피봇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16)에 장착되고, 상기 작용 축선(A6)을 형성하는 상기 작동 샤프트를 통해 상기 스프링 부재(24)과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 부재(24)에 의해 토크가 가해지는 링킹 부재(22)가 구비되고,
    상기 링킹 부재(22)는 링킹 축선(A4) 둘레로 피봇가능하도록 상기 링킹 축선(A4)을 형성하는 링킹 액슬을 통해 상기 제 2 가위형 아암(20B)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메커니즘을 구비한 사무용 의자.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중이 가해지지 않은 기본 위치에서, 상기 제 1 가위형 아암(20A)과 제 2 가위형 아암(20B)은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메커니즘을 구비한 사무용 의자.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선회 축선(A5)과 상기 제 2 가위형 아암(20B) 사이에, 상기 제 2 가위형 아암(20B)에 대해 수직하도록 제 2 유효 레버 길이(W2)가 정의되고, 상기 조정 축선(A2) 둘레로 상기 조정 부재(20)가 선회하는 동안 상기 제 1 유효 레버 길이(W1)가 감소할 때, 상기 제 2 유효 레버 길이(W2)는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메커니즘을 구비한 사무용 의자.
  14. 삭제
  15. 삭제
KR1020127029858A 2010-04-15 2011-04-13 의자의 등받이에 작용하는 복원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메커니즘 및 상기 조정 메커니즘을 구비한 사무용 의자 KR1015336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0005037.5 2010-04-15
DE202010005037 2010-04-15
PCT/EP2011/001858 WO2011141107A1 (de) 2010-04-15 2011-04-13 Verstellmechanik zur einstellung einer auf eine rückenlehne eines stuhls einwirkende rückstellkraft und bürostuhl mit einer solchen verstellmechani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736A KR20130028736A (ko) 2013-03-19
KR101533650B1 true KR101533650B1 (ko) 2015-07-03

Family

ID=44626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9858A KR101533650B1 (ko) 2010-04-15 2011-04-13 의자의 등받이에 작용하는 복원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메커니즘 및 상기 조정 메커니즘을 구비한 사무용 의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28973B2 (ko)
KR (1) KR101533650B1 (ko)
CN (1) CN102843930B (ko)
WO (1) WO20111411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8224B1 (ko) * 2023-06-01 2023-12-27 (주)광일체어 록킹 기능을 갖는 의자용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014953D0 (en) * 2010-09-08 2010-10-20 Birkbeck Hilary R Slide chair action
WO2013017279A1 (en) 2011-08-03 2013-02-07 Haworth, Inc. Adjusting mechanism for setting a restoring force which acts on a backrest of a chair, and office chair having an adjusting mechanism of this type
WO2014021796A1 (en) * 2012-08-03 2014-02-06 Kummer Klaus Juergen Adjustable support structure
EP2886015B1 (en) 2013-12-17 2016-07-13 Donati S.p.A. Chair with adjustable backrest
CA2852691A1 (en) * 2014-05-27 2015-11-27 Keilhauer Ltd. Seat pan-based spring tilt mechanism
US9241573B1 (en) * 2014-10-22 2016-01-26 Zhongshan Shi Songlin Furniture Co., Ltd. Resilient-support adjusting device of chair backrest
DE102014226645B4 (de) 2014-12-19 2023-10-05 Hangzhou Zhongtai Industrial Group Co., Ltd. Verstellmechanik zur Einstellung einer auf eine Rückenlehne eines Stuhls einwirkenden Rückstellkraft und Bürostuhl mit einer solchen Verstellmechanik
TWI685317B (zh) 2016-10-07 2020-02-21 堡勝企業股份有限公司 椅背緩衝調整裝置及具有椅背緩衝調整裝置的椅子
KR101952033B1 (ko) * 2017-10-17 2019-02-25 장근대 의자의 틸팅 레인지용 조절장치
CN109393797B (zh) * 2018-10-22 2024-04-12 浙江粤强家具科技有限公司 一种就坐自适应可调节椅座结构
DE202019100107U1 (de) * 2019-01-10 2020-04-16 Innotec Motion GmbH Sitzmöbelchassis
DE102019113582B4 (de) * 2019-05-21 2022-06-15 Bock 1 Gmbh & Co. Kg Synchronmechanik
DE102019135732B4 (de) * 2019-12-23 2021-09-23 Neura Robotics GmbH Vorrichtung zur Messung einer Längenänder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620A (ko) * 2001-06-15 2004-03-18 혼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개선된 인체공학적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45795A5 (en) * 1979-07-23 1984-10-31 Drabert Soehne Chair, in particular visual display unit chair
CH666171A5 (de) * 1984-10-03 1988-07-15 Giroflex Entwicklungs Ag Stuhl mit rueckwaerts neigbarem sitz- und rueckenlehnentraeger.
US4966411A (en) * 1987-10-24 1990-10-30 Kokuyo Co., Ltd. Chair provided with a backrest
DE9002416U1 (ko) * 1990-03-02 1990-05-03 Roeder Gmbh, 6000 Frankfurt, De
US5207479A (en) * 1990-06-06 1993-05-04 Kimball International, Inc. Chair control mechanism
DE10123316A1 (de) 2001-05-14 2002-11-28 Johannes Uhlenbrock Stuhl, insbesondere Bürostuhl, mit einstellbarer Rückenlehnen-Vorbelastungskraft
DE10126001A1 (de) * 2001-05-18 2002-11-21 Bock 1 Gmbh & Co Vorgespannte Federanordnung, insbesondere zur Federbeaufschlagung von Synchronmechaniken von Bürostühlen
DE10126000A1 (de) 2001-05-18 2002-11-21 Bock 1 Gmbh & Co Synchronmechanik für die simultane Sitzflächen- und Rückenlehnen-Schwenkbewegung bei Bürostühlen
US7147285B2 (en) * 2004-01-20 2006-12-12 Tung Yu Oa Co., Ltd. Reclining apparatus for chair
DE202005001166U1 (de) * 2005-01-24 2005-03-31 Bock 1 Gmbh & Co Kg Synchronmechanik
ITVE20050027A1 (it) 2005-04-28 2006-10-29 Imarc Spa Dispositivo di regolazione della forza di oscillazione in meccanismi per sedie da ufficio.
DE102007001194A1 (de) * 2007-01-05 2008-07-10 Omp S.R.L Bewegungsgekoppelte Servoeinrichutng für ein Sitzteil, insbesondere eines Stuhls
US7530637B1 (en) * 2008-03-18 2009-05-12 Yao-Chuan Wu Chair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620A (ko) * 2001-06-15 2004-03-18 혼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개선된 인체공학적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8224B1 (ko) * 2023-06-01 2023-12-27 (주)광일체어 록킹 기능을 갖는 의자용 완충등받이 링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43930A (zh) 2012-12-26
US8528973B2 (en) 2013-09-10
US20130038105A1 (en) 2013-02-14
WO2011141107A1 (de) 2011-11-17
KR20130028736A (ko) 2013-03-19
CN102843930B (zh) 2016-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650B1 (ko) 의자의 등받이에 작용하는 복원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메커니즘 및 상기 조정 메커니즘을 구비한 사무용 의자
US6582019B2 (en) Tilt assembly for a chair
US8146990B2 (en) Mechanism for an office chair
US9265348B2 (en) Adjusting mechanism for setting a restoring force which acts on a backrest of a chair, and office chair having an adjusting mechanism of this type
KR101564800B1 (ko) 의자의 등받이와 시트의 경사를 동조화하기 위한 장치
CA2882241C (en) Chair having laterally tilting seat plate and linked backrest supports
US5026117A (en) Controller for seating and the like
US4411469A (en) Chair, particularly a data display chair
EP2725943B1 (en) Tilt mechanism for a chair and chair
US20040140703A1 (en) Synchronizing mechanism for office chairs
US9974389B2 (en) Adjusting mechanism for adjusting a restoring force acting on the backrest of a chair, and office chair provided with such an adjusting mechanism
KR101661949B1 (ko) 의자의 시트와 등받이를 동기화하는 장치
JP5654871B2 (ja) 椅子、特に可傾レッグレストを設けたシートを有する歯科医用の椅子
US20110074199A1 (en) Adjustable vehicle seat and method
AU2011313848A1 (en) Ergonomic adjustable chair mechanisms
IE990637A1 (en) A chair
CN113142869A (zh) 一种可前后倾仰的椅子
US20060082201A1 (en) Chair
MX2007008192A (es) Silla con asiento y respaldo con movimiento sincronizado.
KR20040049039A (ko) 틸팅 가능 의자
JP3046348B2 (ja) トーションばねを用いた椅子のためのトーションばねおよび調整式取付機構
JP2797273B2 (ja) 背もたれ付き椅子
EP3599938B1 (en) Articulation system for chairs
JPH0646935A (ja) 椅子の背,座部の連動支持機構
JPH045569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