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242B1 -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 - Google Patents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242B1
KR102617242B1 KR1020217022558A KR20217022558A KR102617242B1 KR 102617242 B1 KR102617242 B1 KR 102617242B1 KR 1020217022558 A KR1020217022558 A KR 1020217022558A KR 20217022558 A KR20217022558 A KR 20217022558A KR 102617242 B1 KR102617242 B1 KR 102617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mart
puller
sealing
fi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2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4239A (ko
Inventor
얀메이 양
뱌오 우
지아원 루오
송쿤 우
Original Assignee
션전 오스마트링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1126134.XA external-priority patent/CN112354132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2346516.5U external-priority patent/CN214260485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2346440.6U external-priority patent/CN214260484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2346402.0U external-priority patent/CN214378136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2349623.3U external-priority patent/CN214260486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2352459.1U external-priority patent/CN214260487U/zh
Application filed by 션전 오스마트링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션전 오스마트링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20/139098 external-priority patent/WO2022082992A1/zh
Publication of KR20220054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2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 A63B21/156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the position of the pulleys being variable, e.g. for different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7Details of attachments, e.g. clips o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3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wound-up and unwound during exercise, e.g. from a r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A63B21/169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for anchoring on or against a w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4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powered illuminating means, e.g. ligh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 로프(110),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 고정 풀리 어셈블리(130) 및 조절기(140)를 포함하는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를 제공한다. 탄성 로프(110)는 탄성을 가지고,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는 탄성 로프(110)의 일단에 설치되어 있다. 조절기(140)는 하우징(141)과 와이어 권취 기둥(142)을 포함하고, 와이어 권취 기둥(142)은 하우징(141) 내에 위치하며, 탄성 로프(110)의 타단은 하우징(141) 내에 삽입되여, 와이어 권취 기둥(142)에 권취 설치된 후, 하우징(141)으로부터 나가며, 탄성 로프(110)의 타단은 고정 풀리 어셈블리(130)를 권취한 후 하우징(141)에 고정 연결 되어 있다.

Description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
본 출원은 피트니스 장비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에 관한 것이다.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는 사람들의 근육 트레이닝을 돕고, 바디 곡선의 형성을 도우며, 체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기에, 많은 피트니스 애호가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바, 일반적인 스마트 풀러는 핸들 2 개와 탄성 로프로 구성된다.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는 점유 면적이 작고, 가볍고 휴대하기 쉬운 특성을 가지기에,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근력, 유연성, 스트레칭, 근육 풀기 등의 전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바, 자유도가 매우 높은 실내 피트니스 장비이다. 하지만, 기존의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는, 사용자가 트레이닝할 때, 사용자의 트레이닝 과정에 대한 데이터 통계를 수행할 수 없으며, 스마트화 정도가 높지 않다. 또한, 탄성 로프의 길이를 조절할 때, 조절 버클이 탄성 로프에 전단력을 인가하기에, 장기간 사용 후, 탄성 로프가 파손되기 쉽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기술적 과제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는, 탄성 로프, 운동 감지 검출 장치, 고정 풀리 어셈블리 및 조절기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로프는 탄성을 가지고, 상기 운동 감지 검출 장치는 상기 탄성 로프의 일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운동 감지 검출 장치 내에는 배터리, 회로 기판 및 인장력 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와 상기 인장력 센서는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기는 하우징과 와이어 권취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권취 기둥은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상기 탄성 로프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여, 상기 와이어 권취 기둥에 권취 설치된 후,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나가며, 상기 탄성 로프의 타단은 상기 고정 풀리 어셈블리에 권취된 후 상기 하우징에 고정 연결되어 있다.
본 출원 실시예의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에 따르면, 하우징 내에 와이어 권취 기둥을 설치하는 것을 통해, 탄성 로프는 와이어 권취 기둥에 권취 설치되고, 사용자가 탄성 로프의 일부분을 조절기의 하우징 내에 이동시킬 경우, 탄성 로프는 와이어 권취 기둥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우징 내의 공간이 제한되어 있기에, 탄성 로프의 구동 하에서, 탄성 로프의 기타 일부분은 하우징 내로부터 밀려난다. 따라서, 조절기와 탄성 로프 일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스마트 풀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스마트 풀러를 사용할 때, 탄성 로프의 두 개의 부분이 각각 인장력을 받으며, 인장력이 클수록, 와이어 권취 기둥에서의 탄성 로프의 권취력이 더욱 크기에, 탄성 로프에 대한 위치 고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로프의 일단에 인장력 센서를 설치하는 것을 통해, 탄성 로프의 인장력을 검출할 수 있기에, 사용자 트레이닝 상황을 모니터링 및 기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트레이닝을 세밀하게 기획하는 데 용이하다.
본 발명의 전술한 및/또는 추가된 양태와 장점은, 하기 도면과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고 이해하기 쉬워 질것이다. 여기서,
도 1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풀러의 구성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풀러의 하부 하우징 구성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풀러의 상부 하우징 구성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풀러의 하우징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풀러의 운동 감지 검출 장치의 구성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풀러의 보호 하우징의 구성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풀러의 보호 하우징의 다른 시각에서의 구성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풀러의 연결 하우징의 구성 개략도이다.
도 9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풀러의 운동 감지 검출 장치의 국부적인 구성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의 구성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탄성 로프 및 조절기의 구성 개략도이다.
도 12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풀러의 일부 구조의 분해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하부 하우징 및 와이어 권취 기둥의 구성 개략도이다.
도 14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풀러의 일부 구조의 분해도이다.
도 15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기어와 래칫이 조립될 때의 구성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기어와 래칫이 분리될 때의 구성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의 분해도이다.
도 18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토글 핸들, 래칫 어셈블리, 와이어 권취 기둥, 연결 기둥의 조립 개략도이다.
도 19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토글 핸들, 래칫 어셈블리, 와이어 권취 기둥, 연결 기둥의 분해도이다.
도 20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제1 하부 하우징, 제2 하부 하우징 및 토글 핸들의 구성 개략도이다.
도 21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풀러의 개략도이다.
도 22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버튼의 개략도이다.
도 23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개략도이다.
도 24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운동 감지 검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5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운동 감지 검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6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삽입 연결 부재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는 바, 실시예의 예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100)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100)는, 탄성 로프(110),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 고정 풀리 어셈블리(130) 및 조절기(1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탄성 로프(110)는 탄성을 가지고,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는 탄성 로프(110)의 일단에 설치되고,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 내에는 배터리(121), 회로 기판(16) 및 인장력 센서(124)가 설치되어 있으며, 배터리(121)와 인장력 센서(124)는 회로 기판(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장력 센서(124)는 탄성 로프(110)의 인장력을 검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인장력 센서(124)는 검출된 데이터를 회로 기판(16) 위의 전기 부품으로 전송하며, 대응하는 전기 부품은 데이터 변환을 통해, 인장력 센서(124)에 의해 검출된 정보를, 사용자가 판독할 수 있는 정보 형태로 변환할 수 있기에, 사용자는 스마트 풀러(100)에 인가되는 인장력 상황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인장력 센서(124)는, 스마트 풀러(100)의 길이가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하기 위해, 탄성 로프(110)의 탄성 저항에 따라 스마트 풀러(100)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배터리(121)는 인장력 센서(124), 회로 기판(16) 위의 전기 부품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기(140)는, 하우징(141)과 와이어 권취 기둥(142)을 포함하고, 와이어 권취 기둥(142)은 하우징(141) 내에 위치한다. 탄성 로프(110)의 타단은, 하우징(141) 내에 삽입되여, 와이어 권취 기둥(142)에 권치 설치된 후, 하우징(141)으로부터 나가며, 탄성 로프(110)의 타단은 고정 풀리 어셈블리(130)에 권치된 후 하우징(141)에 고정 연결되며, 탄성 로프(110)의 권취 경로는 도 2에서 화살표로 도시된다. 탄성 로프(110)의 타단은 하우징(141)으로부터 나간 후, 고정 풀리 어셈블리(130)를 관통하여, 하우징(141)에 연결된다. 따라서, 당해 부분의 탄성 로프(110)의 길이를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고정 풀리 어셈블리(130) 양측의 탄성 로프(110)의 길이를 균형화 시킬수 있다.
조절기(140)는 탄성 로프(110)를 두 개의 부분으로 분할할 수 있다. 그 중, 일부분은 탄성 로프(110)의 일단으로부터 조절기(140)까지인 바, 이 부분에는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트레이닝할 때,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를 당기는 것을 통해 탄성 로프(110)에 인장력을 인가함과 동시에,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를 통해 인장력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기타 일부분은 탄성 로프(110)의 타단으로부터 조절기(140)까지인 바, 당해 부분에서, 탄성 로프(110)는 고정 풀리 어셈블리(130)에 권취되고, 사용자는 트레이닝할 때, 고정 풀리 어셈블리(130)를 당기는 것을 통해 탄성 로프(110)에 인장력을 인가할 수 있다.
스마트 풀러(100)를 사용할 때, 탄성 로프(110)의 두 개의 부분은 각각 인장력을 받는 바, 인장력의 작용 하에서, 탄성 로프(110)는 와이어 권취 기둥(142)에 권치 설치되고, 인장력이 클수록, 와이어 권취 기둥(142)에서의 탄성 로프(110)의 권취력이 더욱 커지기에, 탄성 로프(110)와 와이어 권취 기둥(142) 사이의 상대적 위치가 변경되기 어려우며, 이 때 와이어 권취 기둥(142)은 탄성 로프(110)에 대해 위치 고정 역할을 한다. 스마트 풀러(100)가 자연상태일 경우, 탄성 로프(110)는 외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탄성 로프(110)는 자연 상태에서 와이어 권취 기둥(142)에 권취 설치되며, 탄성 로프(110)와 와이어 권취 기둥(142) 사이에는 작용력이 없다. 사용자가 탄성 로프(110)의 일부분을 조절기(140)의 하우징(141) 내에 이동시킬 경우, 탄성 로프(110)는 와이어 권취 기둥(14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하우징(141) 내의 제한된 공간으로 인해, 탄성 로프(110)의 구동 하에서, 탄성 로프(110)의 기타 일부분은 하우징(141) 내에서 밀려난다. 따라서, 조절기(140)와 탄성 로프(110) 일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스마트 풀러(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스마트 풀러(100)가 자연 상태인 경우, 조절기(140)의 일측에 위치한 탄성 로프(110)에 힘을 인가하는 바, 사용자가 조절기(140)를 구동하여 탄성 로프(110)에 따라 운동할 때, 탄성 로프(110)는 와이어 권취 기둥(142) 주위로 운동할 수 있으며, 조절기(140) 일측에 위치한 탄성 로프(110)의 길이와 조절기(140) 타측에 위치한 탄성 로프(110)의 길이는 모두 변화 상태에 있는 바, 이 때 스마트 풀러(100)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출원 실시예의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100)에 따르면, 하우징(141) 내에 와이어 권취 기둥(142)을 설치하는 것을 통해, 탄성 로프(110)를 와이어 권취 기둥(142)에 권취할 수 있고, 사용자가 탄성 로프(110)의 일부분을 조절기(140)의 하우징(141) 내에 이동시킬 때, 탄성 로프(110)는 와이어 권취 기둥(14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하우징(141) 내의 제한된 공간으로 인해, 탄성 로프(110)의 구동 하에서, 탄성 로프(110)의 기타 일부분은 하우징(141) 내로부터 밀려난다. 따라서, 조절기(140)와 탄성 로프(110) 일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스마트 풀러(100)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스마트 풀러(100)를 사용할 때, 탄성 로프(110)의 두 개의 부분은 각각 인장력을 받고, 인장력이 클수록, 와이어 권취 기둥에서의 탄성 로프의 권취력이 더욱 크기에, 탄성 로프(110)에 대한 위치 고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로프(110)의 일단에 인장력 센서(124)을 설치하는 것을 통해, 탄성 로프(110)의 인장력을 검출할 수 있기에, 사용자 트레이닝 상황을 모니터링 및 기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트레이닝을 세밀하게 기획하는 데 용이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41)은 2 색 사출 성형 부품일 수 있으며, 또한 경질 프레임(1411)과 경질 프레임(1411)에 피복된 연질 고무층(1416)을 포함한다. 2 색 사출 성형은 2 차 사출 성형 방법 중 하나로서, 두 회의 사출 성형 과정에서, 사출 재료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선택할수 있어, 성형 구조를 쉽게 관찰하고, 제품 품질 향상이 용이한다. 2 색 사출 성형 공정은 간단하고, 경질 프레임(1411)은 하우징(141)에 강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기에, 하우징(141)의 전체적인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질 프레임(1411)은 하우징(141) 내부를 향해 보강 리브(1412)를 연신하고, 보강 리브(1412)는 와이어 통로(1413)를 정의하고, 탄성 로프(110) 중 하우징(141) 내에 위치한 일부분은, 와이어 통로(1413) 내에 위치한다. 한편으로, 경질 구조를 이용하여 와이어 통로(1413)를 정의하여, 하우징(141) 내에서의 탄성 로프(110)의 방향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기에, 조절기(140) 위치를 조절하는 데 용이하며; 다른 한편으로, 보강 리브(1412)는 또한 지지 역할을 하기에, 하우징(141)의 전체적인 강도를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통로(1413)는 직선 섹션(1414)과 확장 섹션(1415)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직선 섹션(1414)은 직선에 따라 연신되고, 직선 섹션(1414)과 확장 섹션(1415)은 연통되며, 확장 섹션(1415)의 최소 폭은 직선 섹션(1414)의 최대 폭보다 넓으며, 와이어 권취 기둥(142)은 확장 섹션(1415) 내에 설치된다. 직선 섹션(1414)은, 하우징(141) 내부에서의 탄성 로프(110)의 방향을 제한할 수 있고, 탄성 로프(110)가 확장 섹션(1415) 내의 와이어 권취 기둥(142)에 권취 설치될 때, 탄성 로프(110)는 상대적으로 큰 공간을 필요로 하지만, 확장 섹션(1415)이 와이어 권취 기둥(142)에 권취된 탄성 로프(110)를 수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기에, 하우징(141)과 탄성 로프(110)의 상대적 위치를 조절하는 데 용이하다. 또한,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탄성 로프(110)가 와이어 권취 기둥(142)에 권취 설치될 때, 탄성 로프(110)는 한 바퀴 권취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41) 내부로의 탄성 로프(110)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141)은 상부 하우징(143)과 하부 하우징(144)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상부 하우징(143)과 하부 하우징(144)은 연결되여, 장착 캐비티(1443)를 정의하고, 와이어 권취 기둥(142)의 일단은 하부 하우징(144)에 연결되고, 상부 하우징(143) 내부에는 위치 고정 홈(1431)이 있으며, 와이어 권취 기둥(142)의 타단은 위치 고정 홈(1431) 내에 위치한다. 위치 고정 홈(1431)을 설치하고, 와이어 권취 기둥(142)의 자유 단부를 위치 고정 홈(1431) 내에 설치하는 것을 통해, 한편으로 위치 고정 홈(1431)을 이용하여 와이어 권취 기둥(142)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위치 고정 홈(1431)의 홈 벽을 이용하여 와이어 권취 기둥(142)을 지지할 수 있기에, 와이어 권취 기둥(142)이 탄성 로프(110)의 인장력을 받을 때 경사, 굽힘 등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43)과 하부 하우징(144)을 함께 고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144)은 나사 기둥(1442)을 구비하고, 나사 기둥(1442)은 상부 하우징(143)을 향해 연신되며, 나사는 상부 하우징(143)을 관통한 후 나사 기둥(1442)에 나사 연결되기에, 상부 하우징(143)과 하부 하우징(144)이 함께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나사를 이용하여, 상부 하우징(143)과 하부 하우징(144)을 고정할 수 있다. 나사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부 하우징(144)에 나사 기둥(1442)을 설치하는 것을 통해, 나사 기둥(1442)에 의한 나사 고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43)과 하부 하우징(144)의 고정 방식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바, 상부 하우징(143)과 하부 하우징(144)을 함께 고정 연결하기 만 하면 된다. 예를 들어, 일부 예에 있어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43)은 제1 클램핑부(1432)를 구비하고, 하부 하우징(144)은 제2 클램핑부(1441)를 구비하며, 제1 클램핑부(1432)와 제2 클램핑부(1441)는 클램핑될 수 있고, 제1 클램핑부(1432)와 제2 클램핑부(1441) 중 하나는 슬롯이고, 다른 하나는 후크이다. 또한, 제1 클램핑부(1432)와 제2 클램핑부(1441)는 모두 복수 개일 수 있고, 복수의 제1 클램핑부(1432)와 복수의 제2 클램핑부(1441)는 일대일 대응되게 클램핑된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는 연결 하우징(125)과 보호 하우징(11)을 포함할 수 있고, 연결 하우징(125)과 보호 하우징(11)은 연결되며, 연결 하우징(125)과 탄성 로프(110)의 일단은 연결되며, 회로 기판(16), 배터리(121) 및 인장력 센서(124)는 보호 하우징(11) 내에 설치된다. 따라서, 연결 하우징(125) 내의 부품과 보호 하우징(11) 내부 사이의 간섭이 방지됨과 동시에, 보호 하우징(11) 내의 부품이 분해 및 수리될 때, 연결 하우징(125) 내의 부품에 영향 주지 않기에, 스마트 풀러(100)의 전반적인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예에서, 보호 하우징(11) 내에 제1 캐비티(1261)와 제2 캐비티(1262)가 있으며, 배터리(121)와 회로 기판(16)은 제1 캐비티(1261) 내에 위치하고, 인장력 센서(124)는 제2 캐비티(1262) 내에 위치하며, 제2 캐비티(1262) 내에는 지지 리브(1263)가 설치되고, 지지 리브(1263)는 인장력 센서(124)를 지지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인장력 센서(124)의 조립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인장력 센서(124)의 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호 하우징(11)과 연결 하우징(125)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연결 하우징(125)은 보호 하우징(11)의 단부를 향해 돌기(1251)를 가지며, 보호 하우징(11)은 연결 하우징(125)의 단부를 향해 홈 바디(1264)를 가지며, 연결 하우징(125)과 보호 하우징(11)이 회전 버클링 연결될 때, 돌기(1251)는 연결 하우징(125)을 따라 홈 바디(1264) 내에 회전 버클링된다. 돌기(1251)는 보호 하우징(11)의 회전 버클링 방향에 따라 연신될 수 있는 바, 연결 하우징(125)을 보호 하우징(11)에 장착할 때, 연결 하우징(125)이 보호 하우징(1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돌기(1251)는 홈 바디(1264) 내로 회전된다. 돌기(1251)와 홈 바디(1264)가 협력될 때, 연결 하우징(125)과 보호 하우징(11)의 조립이 완성된다.
또한, 돌기(1251)가 홈 바디(126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251)의 자유 단부에는 위치 제한 홈(1252)이 있고, 홈 바디(1264)의 내부 바닥 벽에는 위치 제한 돌출부(1265)가 있으며, 위치 제한 돌출부(1265)는 위치 제한 홈(1252) 내에 감합된다. 따라서, 위치 제한 돌출부(1265)를 위치 제한 홈(1252) 내에 클램핑하는 것을 통해, 돌기(1251)를 홈 바디(1264) 내에 안정적으로 제한할 수 있기에, 연결 하우징(125)과 보호 하우징(11)의 조립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연결 하우징(125)과 보호 하우징(11)의 우연한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조절기(140)는 코드 릴을 더 포함하고, 탄성 로프(110)는 코드 릴 내에 권취 설치되며, 탄성 로프(110)의 타단은 하우징(141) 내에 삽입되여, 코드 릴에 권취 설치된 후, 하우징(141)으로부터 나가며, 탄성 로프(110)의 타단은 고정 풀리 어셈블리(130)에 권취된 후 하우징(141)에 고정 연결된다.
코드 릴은, 스마트 풀러(100)를 제어하여 탄성 로프(110)를 코드 릴 내에 수납하거나 또는 코드 릴 내로부터 탄성 로프(110)를 해제하여, 스마트 풀러(100)의 자연적인 길이를 조절하는 데 적합하다. 코드 릴은 탄성 로프(110)를 수납 또는 해제할 수 있는 바, 스마트 풀러(100)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시, 코드 릴을 제어하여 탄성 로프(110)를 해제하거나, 또는 탄성 로프(110)를 수납하는 것을 통해, 스마트 풀러(100)의 전체적인 길이의 조절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절기(140)의 구조를 간단화 할수 있을 뿐만아니라, 클램핑 부품에 의해 탄성 로프(110)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탄성 로프(110)를 보호할 수 있기에, 탄성 로프(110)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코드 릴은 레벨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선택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코드 릴은 소정의 길이 비율에 따라 탄성 로프(110)를 해제 또는 수납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코드 릴이 탄성 로프(110)의 길이를 조절할 때마다, 해제 또는 수납되는 탄성 로프(110)의 길이는 모두 동일하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통로(1413)는 직선 섹션(1414)과 확장 섹션(1415)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직선 섹션(1414)은 직선에 따라 연신되고, 직선 섹션(1414)과 확장 섹션(1415)은 연통되며, 확장 섹션(1415)의 최소 폭은 직선 섹션(1414)의 최대 폭보다 넓으며, 코드 릴은 확장 섹션(1415) 내에 설치된다. 직선 섹션(1414)은 하우징(141) 내부에서의 탄성 로프(110)의 방향을 제한할 수 있고, 확장 섹션(1415)은 코드 릴을 수용할 수 있기에, 코드 릴을 설치하여, 하우징(141)과 탄성 로프(110)의 상대적 위치를 조절하는 데 용이하다.
하우징(141) 내부로의 탄성 로프(110)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141)은 상부 하우징(143)과 하부 하우징(144)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상부 하우징(143)과 하부 하우징(144)은 연결되여, 장착 캐비티(1443)를 정의하고, 코드 릴은 장착 캐비티(1443)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코드 릴을 하우징(141) 내부에 장착할 때, 먼저 코드 릴을 하부 하우징(144) 내에 배치한 후, 상부 하우징(143)을 버클링하며, 이어서 상부 하우징(143)과 하부 하우징(144)을 고정 연결할 수 있기에, 코드 릴을 하우징(141) 내부에 고정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141)은 와이어 출구 홀(145)을 구비하고, 탄성 로프(110)는 와이어 출구 홀(145) 내에 관통 설치되며, 와이어 출구 홀(145)은 둥근 모서리를 갖는다. 탄성 로프(110)는 사용되는 과정에서, 하우징(141)과 마찰 접촉하기에, 탄성 로프(110)의 구조적 강도가 감소되여, 탄성 로프(110)의 안정성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와이어 출구 홀(145)에 둥근 모서리를 설치하면, 둥근 모서리와 탄성 로프(110)가 접촉될 때, 하우징(141)과 탄성 로프(110) 사이의 마찰이 감소될 수 있고, 스마트 풀러(100)의 구조적 강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또한 스마트 풀러(100)의 안전성과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둥근 모서리의 반경을 3-6mm로 설정하면 둥근 모서리를 탄성 로프(110)에 보다 밀착시킬 수 있기에, 하우징(141)과 탄성 로프(110) 사이의 마찰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둥근 모서리의 상대적으로 작은 반경은, 둥근 모서리가 하우징(141)에 더욱 적합하도록 하고, 하우징(141)의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기(140)는 래칫 어셈블리(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래칫 어셈블리(43)는 하우징(141)에 연결되고, 래칫 어셈블리(43)는, 선택적으로 와이어 권취 기둥(142)을 고정하거나 또는 와이어 권취 기둥(142)을 해제하여, 스마트 풀러(100)의 길이를 조절하는 데 사용된다.
도 12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 어셈블리(43)는 기어(431), 래칫(432) 및 토글 핸들(433)을 포함할 수 있고, 기어(431)는 와이어 권취 기둥(142)에 설치되어 있으며, 기어(431)와 와이어 권취 기둥(142)은 동축으로 회전하며, 래칫(432)은 기어(431)에 치합되고, 토글 핸들(433)은 하우징(141) 외부에 설치되여, 사용자가 토글하도록 하며, 토글 핸들(433)은 래칫(432)에 고정 연결되어 있다. 토글 핸들(433)이 토글될 때, 토글 핸들(433)은 래칫(432)을 회전시켜 래칫(432)을 기어(431)로부터 이탈시키여, 와이어 권취 기둥(142)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탄성 로프(110)를 와이어 권취 기둥(142) 주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탄성 로프(110)의 일단과 조절기(140)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토글 핸들(433)의 설치를 통해, 사용자가 스마트 풀러(100)의 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조절이 필요하지 않을 때, 래칫 어셈블리(43)의 구조적 안정성이 양호하다.
예를 들어, 래칫(432)과 기어(431)는 모두 복수의 이격된 톱니부를 가지고, 토글 핸들(433)이 초기 상태에 있을 때, 래칫(432)의 적어도 하나의 톱니부는 기어(431)의 인접한 두 개의 톱니부 사이에 맞닿으며, 기어(431)의 적어도 하나의 톱니부는 래칫(432)의 인접한 두 개의 톱니부 사이에 맞닿으며, 따라서 래칫(432)과 기어(431) 사이는 서로 제한될 수 있다. 기어(431)와 와이어 권취 기둥(142)이 동축으로 회전하기에, 와이어 권취 기둥도 마찬가지로 회전할 수 없다. 토글 핸들(433)은 기어(431)와 래칫(432)을 서로 분리시킬 수 있는 바, 이 때 와이어 권취 기둥을 회전시키여, 스마트 풀러(100)의 길이 조정을 실현할 수 있으며, 기어(431)와 래칫(432)의 설치를 통해, 스마트 풀러(100)의 유단계 조정을 실현할 수 있다. 물론, 기타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래칫 어셈블리(43)는 폴(pawl)과 같은 구조를 가지여, 래칫 어셈블리(43)의 무단계 조정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복수”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래칫 어셈블리(43)는 재설정 부재(434)를 더 포함하고, 재설정 부재(434)는 래칫(432)에 연결되여, 래칫(432)과 기어(431)가 지속적으로 치합되도록 구동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마트 풀러(100)의 길이를 조절한 후, 사용자 자신이 토글 핸들(433)을 제어하여 재설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기에, 사용자의 조작 단계가 감소된다. 예를 들어, 재설정 부재(434)는 장착 기둥을 가질 수 있고, 재설정 부재(434)는 장착 기둥과 연결되여, 래칫(432)과 기어(431)가 지속적으로 치합되도록 구동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432)과 토글 핸들(433) 사이에는 연결 기둥(50)이 연결되어 있고, 연결 기둥(50)에는 복수의 리브가 설치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복수의 리브는 연결 기둥(5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여 있으며, 예를 들어, 래칫(432)에는 천공(4324)의 원주 방향에 따라 이격 분포된 복수의 회피 홈(51)이 설치되어 있으며, 래칫(432)에는 복수의 돌기(4323)에 대응되게 설치된 회피 홈(51)이 있으며, 돌기(4323)는 회피 홈(51) 중으로 연신되고, 연결 기둥(50)이 회전할 때, 회피 홈(51)의 설치는, 돌기(4323)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연결 기둥(50)이 래칫(432)을 회전시키는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연결 기둥(50)은 복수의 회피 홈(51)을 가지고, 래칫(432)은 돌기(4323)를 가지며, 여기에서는 제한하지 않는다.
재설정 부재(434)는 토션 스프링이고, 토션 스프링은 연결 기둥(50)에 슬리브 설치되고, 토션 스프링의 일단은 하우징(141)에 맞닿고, 토션 스프링의 타단은 토글 핸들(433)에 맞닿는다. 토션 스프링의 설치를 통해, 토글 핸들(433)이 토션 스프링의 작용력 하에서 서서히 재설정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스마트 풀러(100)를 조절하는 작업 단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은 하우징(141)을 향해 연신되는 장착부(4341)를 가질 수 있고, 하우징(141)은 장착 홀 또는 장착 홈을 가질 수 있으며, 장착부(4341)는 장착 홀 또는 장착 홈으로 연신되여, 토션 스프링과 하우징(141) 장착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토글 핸들(433)이 초기 상태인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432)과 기어(431)가 서로 제한하고, 사용자가 스마트 풀러(100)를 당기면, 와이어 권취 기둥(142)은 회전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스마트 풀러(100)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 토글 핸들(433)을 토글할 수 있고, 재설정 부재(434)가 토글 핸들(433)에 따라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토글 핸들(433)의 연결 기둥(50)은 래칫(432)을 이동시키여, 래칫(432)과 기어가 분리되도록 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432)은 이때 기어(431)의 위치를 제한하지 않고, 와이어 권취 기둥(142)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탄성 로프(110)를 당기는 등과 같은 동작을 통해, 와이어 권취 기둥(142)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탄성 로프(110)를 권취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풀러(100)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고, 스마트 풀러(100)의 길이 조정을 실현할 수 있다. 사용자가 토글 핸들(433)의 토글을 정지할 경우, 재설정 부재(434)의 작용 하에서, 토글 핸들(433)은 초기 상태로 회복될 때까지 서서히 재설정되고, 래칫(432)과 기어(431)는 서로 제한되여, 와이어 권취 기둥(142)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며, 따라서, 스마트 풀러(100)의 길이 조정이 완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토글 핸들(433)은 연결부(4331) 및 연결부(4331)에 연결된 토글부(4332)를 포함하고, 연결부(4331)는 래칫(432)에 연결되고, 토글부(4332)는 긴 스트립 형상을 나타내는 바, 이는 사용자의 토글을 용이하게 하고, 동시에, 연결부(4331)는 원형 형상으로서, 연결부(4331)와 래칫(432)의 형상이 구별되기에, 사용자가 조작하기에 편리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 풀러(100)의 양단에는 모두 풀 링(90)이 있으며, 사용자는 그 중 일단의 풀 링(90)을 손에 쥐고, 타단의 풀 링(90)을 발목에 바인딩하여 트레이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그 중 일단의 풀 링(90)을 손에 쥐고, 타단의 풀 링(90)을 상대적으로 무거운 물체에 장착하여, 트레이닝할 수도 있다. 물론, 스마트 풀러(100)는 다양한 사용 방법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제한하지 않는다.
일부 예에서,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432)은 본체부(4321) 및 본체부(4321)에 연결된 치합부(4322)를 포함하고, 본체부(4321)는 토글 핸들(433)에 연결되고, 치합부(4322)는 기어(431)에 치합되여, 래칫(432)과 기어(431) 사이의 제한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본체부(4321)는 천공(4324)을 가질 수 있고, 연결 기둥(50)은 천공(4324)에 관통 설치되여, 연결 기둥(50)과 래칫(432)이 조립될 수 있도록 하며, 연결 기둥(50)이 래칫(43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연결 기둥(50)과 래칫(432)의 장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래칫(432)과 토글 핸들(433)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단계를 간단화하고, 조립을 용이하게 하며, 조립 효율을 향상시키고, 구조가 안정적이고 신뢰될 수 있다. 또는, 래칫(432)은 나사로 토글 핸들(433)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방법은 래칫(432)과 토글 핸들(433)의 운동의 일관성을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물론, 래칫(432)과 토글 핸들(433)은 또한 다양한 협력 방식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제한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141)은 상부 하우징(143)과 하부 하우징(144)을 포함할 수 있고, 상부 하우징(143)과 하부 하우징(144)이 연결되고, 와인딩 권취 기둥(142)의 일단은 하부 하우징(144)에 연결되며, 와이어 권취 기둥(142)의 타단은 상부 하우징(143)을 향해 연신되며, 이리하여, 스마트 풀러 (100)의 분해와 장착이 용이하다.
상부 하우징(143)은 위치 결정 홈(미도시)을 가질 수 있고, 와이어 권취 기둥(142)의 타단은 위치 결정 홈 내에 위치하며. 이렇게 하면, 와이어 권취 기둥(142)과 상부 하우징(143)의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상부 하우징(143) 또는 하부 하우징(144)은 위치 고정 기둥(4111)을 가질 수 있고, 와이어 권취 기둥(142)은 위치 고정 기둥(4111)에 슬리브 설치될 수 있으며, 이리하여, 한편으로, 위치 고정 장착이 용이하고, 연결이 안정적일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와이어 권취 기둥(142)이 회전될 때, 위치 고정 기둥(4111)은 와인딩 포스트 (142)가 축 방향으로 변위되어 상부 하우징(143)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143) 내에는 복수의 나사 기둥(4112)이 설치되고, 나사 기둥(4112)은 하부 하우징(144)을 향해 연신되며, 상부 하우징(143)과 하부 하우징(144)은 나사로 연결되고, 나사는 나사 기둥(4112)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하부 하우징(144)에도 마찬가지로 복수의 나사 기둥(4112)이 설치되여, 장착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바, 상부 하우징(143)의 나사 기둥(4112)과 하부 하우징(144)의 나사 기둥(4112)을 나사로 관통 설치하는 것을 통해, 양자(兩者)를 고정할 수 있다. 또는, 상부 하우징(143)과 하부 하우징(144)은 클램핑 연결된다. 물론, 기타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143)과 하부 하우징(144)은 또한 복수의 장착 방식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4과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144)은 제1 하부 하우징(4121)과 제2 하부 하우징(4122)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하부 하우징(4121)과 제2 하부 하우징(4122)은 복수의 패스너(80)를 통해 고정되어, 양자의 장착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제2 하부 하우징(4122)은 토글 핸들(433)과 제1 하부 하우징(4121) 사이에 설치되고, 연결 기둥(50)은 제1 연결단(52)과 제2 연결단(53)을 가질 수 있고, 제1 연결단(52)은 제2 하부 하우징(4122)의 관통 홀(4123) 내로 연신되여, 하부 하우징(144)과 연결 기둥(50)의 장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연결단(52)의 직경은, 단차부(54)를 형성하기 위해, 제2 연결단(53)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이리하여, 한편으로 관통 홀(4123)의 직경을 감소시키여 하부 하우징(144)의 구조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단차부(54)가 관통 홀(4123)의 바닥 벽을 피할 수 있기에, 제2 하부 하우징(4122)과 연결 기둥(50)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을 방지할 수 있다. 회피 홈(51)은 제2 연결단(53)에 설치되고, 이와 같이 설치된 제2 연결단(53)은 구조적 신뢰성이 양호하다.
이하, 도 21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풀러(100)의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는 스마트 풀러(100)에 적용될 수 있기에, 사용자가 스마트 풀러(100)를 사용할 때의 운동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도 21, 도 22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는 주로 보호 하우징(11), 회로 기판(16), 스위치(17) 및 버튼(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중, 보호 하우징(11) 내에는 상대적으로 밀폐된 수용 캐비티(14)가 형성되어 있으며, 보호 하우징(11)의 표면에는 또한 수용 캐비티(14)와 연통된 버튼 홀(15)이 개설되어 있으며, 회로 기판(16)과 스위치(17)는 모두 보호 하우징(11)의 상대적으로 밀폐된 수용 캐비티(14) 내에 장착 설치되며, 보호 하우징(11)은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설치를 통해, 보호 하우징(11)은 외계의 이물질이 수용 캐비티(14) 중에 진입하여 회로 기판(16)과 스위치(17)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가 외력 충격을 받을 때, 보호 하우징(11)은 회로 기판(16)과 스위치(17)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기에,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의 구조적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16)은 운동의 감지 검출에 사용될 수 있고, 스위치(17)는 회로 기판(16)에 설치될 수 있으며, 스위치(17)는 버튼 홀(15)에 대응되고, 스위치(17)는 회로 기판(16)의 온 오프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스마트 풀러(100)가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사용자는 스위치(17)를 제어하여 회로 기판(16)을 온 시키여, 사용자의 운동에 대한 감지 검출을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가 스마트 풀러(1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스위치(17)를 제어하여 오프 시킬 수 있기에, 회로 기판(16)의 작업을 정지시키고, 이와 같은 설치를 통해,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의 정상적인 작업을 보장한 전제 하에서,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의 에너지 소비를 효과적으로 절약하기에,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20)은 탄성 버튼이고, 버튼(20)은 버튼 홀(15)에 설치되며, 버튼(20)은 주로 가압부(21), 압력 전달부(22) 및 제1 밀봉부(23)를 포함할 수 있고, 가압부(21)는 가압면(24)을 가지고, 제1 밀봉부(23)는 가압부(21)의 외주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밀봉부(23)는 버튼 홀(15)의 외주 벽에 밀봉될 수 있으며, 압력 전달부(22)는 제1 밀봉부(23) 내에 설치되고, 가압부(21)는 압력 전달부(22)를 통해 스위치(17)와 협력하고, 사용자가 가압부(21)의 가압면(24)을 가압할 경우, 가압부(21)는 압력 전달부(22)에 접근하는 일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압력 전달부(22)에 대해 가압하며, 가압된 압력 전달부(22)는 스위치(17) 일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따라서 스위치(17)를 트리거하여, 스위치(17)가 회로 기판(16)에 대해 온 오프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가압부(21)에 대한 힘 인가를 정지한 후, 가압부(21)와 압력 전달부(22)는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여, 원 상태를 회복하고, 사용자가 다음의 가압 조작을 수행하도록 하며, 이와 같은 설치를 통해, 사용자가 스위치(17)를 간단하고 직접적으로 제어하도록 하고, 또한 버튼(20)의 구조가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있으며, 버튼(20)이 사용자에 의해 여러번 가압된 후 오작동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버튼(20)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밀봉부(23)와 버튼 홀(15)의 외주 벽의 밀봉 협력을 통해, 버튼 홀(15)과 버튼(20) 사이의 틈새를 밀봉할 수 있고, 회로 기판(16)과 스위치(17)가 외계와 격리되도록 하기에, 외계의 물 또는 이물질이 버튼(20)과 버튼 홀(15) 사이의 틈새를 통해 수용 캐비티(14)에 진입하여, 수용 캐비티(14) 내의 부품을 손상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이리하여 버튼(20)의 정상적인 작업에 영향 주지 않는 전제 하에서,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버튼(20)의 제 1 밀봉부(23)와 버튼 홀(15)의 외주 벽의 밀봉 협력을 통해, 외계의 물이 버튼 홀(15)을 통해 보호 하우징(11)의 수용 캐비티(14) 내에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2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밀봉부(23)에는 밀봉 홈과 밀봉 돌기 중 하나가 설치되고, 보호 하우징(11)에는 버튼 홀(15)에 밀봉 홈과 밀봉 돌기 중 다른 하나가 설치되며, 밀봉 돌기는 밀봉 홈 내에서 협력되며, 이리하여 버튼(20)이 버튼 홀(15)에 설치된 후, 밀봉 돌기는 밀봉 홈 중에 연신될 수 있고, 밀봉 돌기는 밀봉 홈과 서로 맞닿어 협력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버튼 홀(15)에서의 버튼(20)의 연결 고정을 완성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버튼(20)과 버튼 홀(15) 사이의 밀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기에, 외계의 물이 버튼(20)과 버튼 홀(15) 사이로부터 수용 캐비티(14) 내에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맞닿음에 의한 협력은 간단하고 편리하며, 보조 도구가 필요하지 않기에,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의 구조 및 생산을 간단화할 수 있다.
도 22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돌기 중 수용 캐비티(14)를 향하는 일측 표면이 제1 밀봉 경사면(25)이고, 밀봉 홈 중 수용 캐비티(14)을 향하는 일측 측벽이 제2 밀봉 경사면(26)이며, 제1 밀봉 경사면(25)과 제2 밀봉 경사면(26)은 밀봉 협력되고, 밀봉 돌기는 밀봉 홈 중에 연신되고, 또한 밀봉 홈과 서로 맞닿어 협력된 후, 밀봉 돌기의 제1 밀봉 경사면(25)과 밀봉 홈의 제2 밀봉 경사면(26)은 서로 긴밀히 부착되기에, 버튼(20)과 버튼 홀(15) 사이의 밀봉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의 방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16)에는 버튼 홀(15)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가 설치되며, 버튼(20)은 발광 소자의 광선을 투과하는 광 투과 소자이며, 사용자가 버튼(20)을 가압하여, 회로 기판(16)의 온 오프를 제어할 때, 회로 기판(16)의 발광 소자는 회로 기판(16)에 대한 온 오프 제어 성공 여부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고, 회로 기판(16) 현재의 작업 상태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발광 소자가 발광되면, 회로 기판(16)은 작업 상태에 있고, 발광 소자가 소멸되면, 회로 기판(16)이 오프 상태에 있으며, 사용자가 스마트 풀러(100)를 사용하기 시작하면, 버튼(20)을 가압하여, 버튼(20)이 스위치(17)를 트리거하여 회로 기판(16)을 온 시키기에, 발광 소자를 발광시킬 수 있고, 발광 소자의 발광은 회로 기판(16)의 온 성공을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 풀러(100)의 사용을 정지하면, 버튼(20)을 가압하여, 버튼(20)이 스위치(17)를 트리거하여 회로 기판(16)을 오프 시키기에, 발광 소자를 소멸시킬 수 있고, 발광 소자의 소멸은 회로 기판(16)의 오프 성공을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으며, 이리하여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의 구조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버튼(20)이 광 투과 소자이기에, 사용자는 버튼(20)을 통해 발광 소자의 발광과 소멸을 직접 관찰할 수 있기에, 사용자가 회로 기판(16)의 온 오프를 더욱 직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중, 버튼(20)은 투명한 고무 재질로 제조될 수 있는 바, 이렇게 하면 버튼(20)의 광 투과성을 보장할뿐만 아니라, 버튼(20)의 양호한 탄성을 보장할 수 있기에, 사용자의 버튼(20) 가압 조작 및 버튼(20)의 재설정을 용이하게 한다.
도 24과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하우징(11)에는 삽입 연결 홀(29)이 설치되고,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는 삽입 연결 부재(28)와 밀봉 플러그(30)를 더 포함하고, 삽입 연결 부재(28)는 회로 기판(16)에 설치되어 있으며, 삽입 연결 부재(28)와 스위치(17)는 이격되여 설치되며, 삽입 연결 부재(28)는 삽입 연결 홀(29)의 내측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밀봉 플러그(30)는 개폐 가능하게 삽입 연결 홀(29)에 장착되며, 삽입 연결 부재(28)와 회로 기판(16)은 서로 협력하여,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의 상응한 기능을 완성하며, 밀봉 플러그(30)는 삽입 연결 홀(29)을 밀봉할 수 있기에, 외계의 물이 삽입 연결 홀(29)을 통해 수용 캐비티(14) 내에 유입되어, 수용 캐비티(14) 내의 부품을 손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밀봉 플러그(30)는 개폐 가능하게 삽입 연결 홀(29)에 장착되며, 이리하여 밀봉 플러그(30)는 삽입 연결 홀(29)을 효과적으로 밀봉한 전제 하에서, 사용자가 밀봉 플러그(30)를 오픈하여, 삽입 연결 부재(28)를 수리하고 교체하는 데 용이하며,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의 구조적 설계를 최적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5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플러그(30)는 주로 고정부(31), 연결부(32) 및 제2 밀봉부(3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연결부(32)는 고정부(31)와 제2 밀봉부(33) 사이에 연결되며, 고정부(31)는 수용 캐비티(14) 내에 고정되며, 제2 밀봉부(33)는 개폐 가능하게 삽입 연결 홀(29)에 밀봉되며, 고정부(31)를 통한 수용 캐비티(14) 내의 장착 고정 설치는 밀봉 플러그(30)의 장착 고정을 실현할 수 있고, 제2 밀봉부(33)는 삽입 연결 홀(29)을 밀봉하여, 외계의 물과 이물질이 삽입 연결 홀(29)로부터 수용 캐비티(14) 중에 진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에,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의 방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그 중, 밀봉 플러그(30)는 연결부(32)과 멀어지는 일단 단부에 걸쇠가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걸쇠를 통해 밀봉 플러그(30)의 장착과 분해를 실현할 수 있기에, 제2 밀봉부(33)는 개폐 가능하게 삽입 연결 홀(29)에 밀봉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31), 연결부(32) 및 제2 밀봉부(33)는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기에, 생산 공정을 간단화할 수 있을뿐만아니라 밀봉 플러그(30)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5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플러그(30)는 주로 위치 제한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위치 제한부(34)는 제2 밀봉부(33) 중 삽입 연결 부재(28)를 향한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위치 제한부(34)는 연결부(32)와 이격되여 설치되어 있으며, 위치 제한부(34)와 삽입 연결 부재(28)는 위치 제한 협력에 있으며, 위치 제한부(34)는 삽입 연결 부재(28)에 대해 위치 제한 고정의 역할을 할 수 있기에, 삽입 연결 부재(28)의 장착 설치를 더욱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를 사용할 때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에 상대적으로 큰 힘을 인가하여 삽입 연결 부재(28)가 느슨해지거나 또는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의 구조적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위치 제한부(34)와 연결부(32)의 이격 설치는 밀봉 플러그(30)의 중력 분포를 더욱 균일하게 할 수 있기에, 밀봉 플러그(30)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하우징(11)은 주로 제1 보호 하우징(12)과 제2 보호 하우징(13)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보호 하우징(12)과 제2 보호 하우징(13)은 대응되게 설치되고, 또한 제1 보호 하우징(12)과 제2 보호 하우징(13)은 수용 캐비티(14)를 정의할 수 있으며, 이리하여 보호 하우징(11)의 장착 설치가 용이할 뿐만아니라, 사용자가 보호 하우징(11)을 오픈하여, 수용 캐비티(14) 내의 부품을 수리 또는 교체하는 데 용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 제1 보호 하우징(12)과 제2 보호 하우징(13)의 연결부에 틈새가 존재할 수 있기에, 제1 보호 하우징(12)과 제2 보호 하우징(13)은 수용 캐비티(14) 주위의 가장자리에 밀봉용 밀봉 링(35)을 설치할 수 있으며, 밀봉 링(35)은 수용 캐비티(14)의 가장자리를 효과적으로 밀봉할 수 있으며, 외계의 물이 수용 캐비티(14)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용 캐비티(14) 내에 유입되어, 수용 캐비티(14) 내의 부품을 손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호 하우징(11)의 방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의 구조적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1과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보호 하우징(12) 및 제 2 보호 하우징 (13) 중 하나는 수용 캐비티(14) 주위의 가장자리에 수용 홈이 설치되고, 제1 보호 하우징(12) 및 제2 보호 하우징(13) 중 다른 하나에는 위치 제한 돌기(19)가 설치되어 있으며, 밀봉 링(35)은 수용 홈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위치 제한 돌기(19)는 수용 홈 내로 연신될 수 있으며, 이리하여 밀봉 링(35)을 위치 제한 고정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제1 보호 하우징(12)과 제2 보호 하우징(13)의 연결 고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밀봉 링(35)은 위치 제한 돌기(19)와 위치 제한 홈 사이의 틈새를 밀봉할 수 있으며, 외계의 물과 이물질이 위치 제한 돌기(19)와 위치 제한 홈 사이의 틈새로부터 수용 캐비티(14)에 진입하여, 수용 캐비티(14) 중의 부품을 손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호 하우징(11)의 방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의 구조적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스마트 풀러(100)는 주로 탄성 로프 및 전술한 감지 검출 장치(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감지 검출 장치(10)는 탄성 로프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탄성 로프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상황을 감지 검출할 수 있기에,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적인 실시예", "예", "특정 예"또는 "일부 예" 등 참조 용어에 대한 설명은, 당해 실시예 또는 예와 함께 설명된 특정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은 모두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용어의 개략적 표현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설명된 특정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은 적합한 방식으로 임의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 또는 예에서 조합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들이 나타내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원리 및 요지을 벗어나지 않고 이들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변경, 수정, 대체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 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
스마트 풀러(100); 탄성 로프(110); 배터리(121); 인장력 센서(124);
연결 하우징(125); 돌기(1251); 위치 제한 홈(1252);
제1 캐비티(1261); 제2 캐비티(1262); 지지 리브(1263); 홈 바디(1264); 위치 제한 돌출부(1265);
고정 풀리 어셈블리(130); 조절기(140);
하우징(141); 경질 프레임(1411); 보강 리브(1412); 와이어 통로(1413); 직선 섹션(1414); 확장 섹션(1415); 연질 고무층(1416); 와이어 출구 홀(145); 와이어 권취 기둥(142);
상부 하우징(143); 위치 고정 홈(1431); 제1 클램핑부(1432);
하부 하우징(144); 제2 클램핑부(1441); 나사 기둥(1442); 장착 캐비티(1443); 제1 하부 하우징(4121); 제2 하부 하우징(4122); 관통 홀(4123);
래칫 어셈블리(43); 위치 고정 기둥(4111); 나사 기둥(4112); 기어(431);
래칫(432); 본체부(4321); 치합부(4322); 돌기(4323); 천공(4324);
토글 핸들(433); 연결부(4331); 토글부(4332); 재설정 부재(434); 장착부(4341);
연결 기둥(50); 회피 홈(51); 제1 연결단(52); 제2 연결단(53); 단차부(54); 풀 링(Pull Ring)(90);
운동 감지 검출 장치(10); 보호 하우징(11); 제1 보호 하우징(12); 제2 보호 하우징(13); 수용 캐비티(14); 버튼 홀(15); 회로 기판(16); 스위치(17); 위치 제한 돌기(19);
버튼(20); 가압부(21); 압력 전달부(22); 제1 밀봉부(23); 가압면(24); 제1 밀봉 경사면(25); 제2 밀봉 경사면(26); 삽입 연결 부재(28); 삽입 연결 홀(29); 밀봉 플러그(30); 고정부(31); 연결부(32); 제2 밀봉부(33); 위치 제한부(34); 밀봉 링(35).

Claims (24)

  1.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에 있어서,
    탄성을 가지는, 탄성 로프와;
    상기 탄성 로프의 일단에 설치되고, 내부에 배터리, 회로 기판 및 인장력 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와 상기 인장력 센서는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운동 감지 검출 장치와;
    고정 풀리 어셈블리와;
    하우징과 와이어 권취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권취 기둥은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 로프의 타단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 권취 기둥에 권취 설치된 후,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나가며, 상기 탄성 로프의 타단이 상기 고정 풀리 어셈블리에 권취된 후 상기 하우징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탄성 로프의 일 부분이 상기 하우징 내로 이동되면 상기 탄성 로프는 상기 와이어 권취 기둥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되고 상기 탄성 로프의 다른 일 부분은 상기 하우징 내로부터 밀려나도록 구성되는, 조절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2 색 사출 성형 부품이고, 또한 경질 프레임과 상기 경질 프레임에 피복된 연질 고무층을 포함하고, 상기 경질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 내부를 향해 보강 리브를 연신하고, 상기 보강 리브는 와이어 통로를 정의하고, 상기 탄성 로프 중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한 일부분은 상기 와이어 통로 내에 위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통로는 직선 섹션과 확장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직선 섹션은 직선에 따라 연신되고, 상기 직선 섹션과 상기 확장 섹션은 연통되며, 상기 확장 섹션의 최소 폭은 상기 직선 섹션의 최대 폭보다 넓으며, 상기 와이어 권취 기둥은 상기 확장 섹션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은 연결되어 장착 캐비티를 정의하고,
    상기 와이어 권취 기둥의 일단은 상기 하부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 내부에는 위치 고정 홈이 있으며, 상기 와이어 권취 기둥의 타단은 상기 위치 고정 홈 내에 위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나사 기둥을 구비하고, 상기 나사 기둥은 상기 상부 하우징을 향해 연신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은 나사로 연결되며, 상기 나사와 상기 나사 기둥은 연결되며; 또는,
    상기 상부 하우징은 제1 클램핑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은 제2 클램핑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클램핑부와 상기 제2 클램핑부는 클램핑되며, 상기 제1 클램핑부와 제2 클램핑부 중 하나는 슬롯이고, 다른 하나는 후크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중부는 상기 장착 캐비티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의 중부는 상기 장착 캐비티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와이어 출구 홀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 로프는 상기 와이어 출구 홀 내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 출구 홀은 둥근 모서리를 가지며, 상기 둥근 모서리의 반경이 3-6mm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는 코드 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로프는 상기 코드 릴 내에 권취 설치되며, 상기 탄성 로프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여, 상기 코드 릴에 권취 설치된 후,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나가며, 상기 코드 릴은, 상기 스마트 풀러를 제어하여 상기 탄성 로프를 상기 코드 릴 내에 수납하거나 또는 상기 코드 릴 내로부터 상기 탄성 로프를 해제하여, 상기 스마트 풀러의 자연적인 길이를 조절하는 데 적합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는 래칫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래칫 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래칫 어셈블리는 선택적으로 상기 와이어 권취 기둥을 고정하거나 또는 상기 와이어 권취 기둥을 해제하는 데 사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 어셈블리는,
    상기 와이어 권취 기둥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와이어 권취 기둥과 동축으로 회전하는, 기어와;
    상기 기어에 치합되는, 래칫과;
    상기 하우징 외부에 설치되여, 사용자가 토글하도록 하고, 상기 래칫에 고정 연결되는, 토글 핸들
    을 포함하고,
    상기 토글 핸들이 토글될 때, 상기 토글 핸들은 상기 래칫을 회전시키여, 상기 래칫과 상기 기어를 이탈시키고, 상기 와이어 권취 기둥이 회전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탄성 로프가 상기 와이어 권취 기둥 주위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탄성 로프의 일단과 상기 조절기의 조절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 어셈블리는 재설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설정 부재는 상기 래칫에 연결되여, 상기 래칫과 상기 기어가 지속적으로 치합되도록 구동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과 상기 토글 핸들 사이에는 연결 기둥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 기둥에는 복수의 리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상기 리브는 상기 연결 기둥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여 있으며,
    상기 재설정 부재는 토션 스프링이고,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연결 기둥에 슬리브 설치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에 맞닿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토글 핸들에 맞닿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 핸들은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토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래칫에 연결되고, 상기 토글부는 긴 스트립 형상을 나타내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은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된 치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토글 핸들에 연결되고, 상기 치합부는 상기 기어에 치합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과 상기 토글 핸들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또는,
    상기 래칫은 나사로 상기 토글 핸들에 연결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감지 검출 장치는,
    내부에 수용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 캐비티와 연통된 버튼 홀이 개설되어 있는, 보호 하우징과;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설치된, 운동 감지 검출용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버튼 홀에 대응하는, 스위치와;
    탄성 버튼으로서 상기 버튼 홀에 설치된, 버튼
    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가압부, 압력 전달부 및 제1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가압면을 가지고, 상기 제1 밀봉부는 상기 가압부의 외주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버튼 홀의 외주 벽에 밀봉되고, 상기 압력 전달부는 상기 제1 밀봉부 내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압력 전달부를 통해 상기 스위치와 협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부에는 밀봉 홈과 밀봉 돌기 중 하나가 설치되고, 상기 보호 하우징은 상기 버튼 홀에 밀봉 홈과 밀봉 돌기 중 다른 하나가 설치되고, 상기 밀봉 돌기는 상기 홈 내에서 협력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돌기 중 상기 수용 캐비티를 향하는 일측 표면이 제1 밀봉 경사면이고, 상기 밀봉 홈 중 상기 수용 캐비티을 향하는 일측 측벽이 제2 밀봉 경사면이며, 상기 제1 밀봉 경사면과 상기 제2 밀봉 경사면은 밀봉 협력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에는, 상기 버튼 홀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가 설치되며, 상기 버튼은 상기 발광 소자의 광선을 투과하는 광 투과 소자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하우징에는 삽입 연결 홀이 설치되고,
    상기 운동 감지 검출 장치는, 삽입 연결 부재와 밀봉 플러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 연결 부재는 상기 회로 기판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스위치와 이격되여 설치되며, 상기 삽입 연결 부재는 상기 삽입 연결 홀의 내측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밀봉 플러그는 개폐 가능하게 상기 삽입 연결 홀에 장착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플러그는 고정부, 연결부 및 제2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제2 밀봉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고정되며, 상기 제2 밀봉부는 개폐 가능하게 상기 삽입 연결 홀에 밀봉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플러그는 위치 제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제한부는 상기 제2 밀봉부 중 상기 삽입 연결 부재를 향한 일측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연결부와 이격되여 설치되며, 상기 위치 제한부와 상기 삽입 연결 부재는 위치 제한 협력에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하우징은 제1 보호 하우징과 제2 보호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 하우징과 상기 제2 보호 하우징은 대응되게 설치되고 또한 상기 수용 캐비티를 정의하고, 상기 제1 보호 하우징과 상기 제2 보호 하우징은, 상기 수용 캐비티 주위의 가장자리에 밀봉용 밀봉 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 하우징과 상기 제2 보호 하우징 중 하나는, 상기 수용 캐비티 주위의 가장자리에 수용 홈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다른 하나에는 위치 제한 돌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밀봉 링은 상기 수용 홈 내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위치 제한 돌기는 상기 수용 홈 내로 연신되여 상기 밀봉 링을 위치 제한 고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
KR1020217022558A 2020-10-20 2020-12-24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 KR102617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1126134.X 2020-10-20
CN202011126134.XA CN112354132B (zh) 2020-10-20 2020-10-20 健身用的智能拉力器
CN202022346516.5 2020-10-20
CN202022346516.5U CN214260485U (zh) 2020-10-20 2020-10-20 调节器及健身用的智能拉力器
CN202022349623.3 2020-10-20
CN202022346440.6U CN214260484U (zh) 2020-10-20 2020-10-20 健身用的智能拉力器
CN202022352459.1 2020-10-20
CN202022346402.0U CN214378136U (zh) 2020-10-20 2020-10-20 智能拉力器的运动传感检测装置和智能拉力器
CN202022346440.6 2020-10-20
CN202022349623.3U CN214260486U (zh) 2020-10-20 2020-10-20 健身用的智能拉力器
CN202022352459.1U CN214260487U (zh) 2020-10-20 2020-10-20 健身用的智能拉力器
CN202022346402.0 2020-10-20
PCT/CN2020/139098 WO2022082992A1 (zh) 2020-10-20 2020-12-24 健身用的智能拉力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239A KR20220054239A (ko) 2022-05-02
KR102617242B1 true KR102617242B1 (ko) 2023-12-21

Family

ID=81186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558A KR102617242B1 (ko) 2020-10-20 2020-12-24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18305A1 (ko)
EP (1) EP4011462B1 (ko)
JP (1) JP7333820B2 (ko)
KR (1) KR102617242B1 (ko)
CN (1) CN1150662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6752A (ko) * 2022-08-22 2024-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강도 조절이 가능한 운동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723666U (zh) * 2015-05-08 2015-10-28 王文环 可测量显示拉力数值的拉力模组
US20190209885A1 (en) * 2016-08-15 2019-07-11 Hyfit Ltd Combined training and monitoring device
CN210384691U (zh) * 2019-07-25 2020-04-24 东莞市致海服饰有限公司 一种trx悬挂拉力绳
CN210963711U (zh) * 2019-10-11 2020-07-10 江苏省亿康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锻炼用拉力绳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5789A (en) * 1974-06-21 1975-05-27 Michael E Deluty Exercising device
US4114875A (en) * 1977-03-29 1978-09-19 Deluty Michael E Friction type exercising device
JPS606554U (ja) * 1983-06-23 1985-01-17 株式会社 国際武道具商会 エキスパンダ−
US9821188B2 (en) * 2014-08-18 2017-11-21 Stripe Fitness Llc Exercise device for suspended body weight training
US20160325132A1 (en) * 2015-02-03 2016-11-10 Lauri Monica Nelson Exercise Apparatus with Tension Adjustment Mechanism and Dynamo
US9764177B2 (en) * 2015-03-31 2017-09-19 Mad Dogg Athletics, Inc. Physical fitness training system
CN109200566A (zh) * 2017-06-30 2019-01-15 深圳泰山体育科技股份有限公司 弹力带测试装置
CN207950442U (zh) * 2017-12-27 2018-10-12 浙江工商大学 智能健身拉力器
US10556145B2 (en) * 2018-05-22 2020-02-11 Raja Chaudhuri Resistance training system
WO2020176773A1 (en) * 2019-02-27 2020-09-03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System and method for quantification of exercise and physical therapy
CN110201360B (zh) * 2019-07-10 2024-04-02 深圳市神特科技有限公司 拉力器
CN210583477U (zh) * 2019-07-29 2020-05-22 宁波杰伦体育器材有限公司 健身拉力器
US20210077849A1 (en) * 2019-09-13 2021-03-18 Vertimax, Llc Smart pulle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723666U (zh) * 2015-05-08 2015-10-28 王文环 可测量显示拉力数值的拉力模组
US20190209885A1 (en) * 2016-08-15 2019-07-11 Hyfit Ltd Combined training and monitoring device
CN210384691U (zh) * 2019-07-25 2020-04-24 东莞市致海服饰有限公司 一种trx悬挂拉力绳
CN210963711U (zh) * 2019-10-11 2020-07-10 江苏省亿康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锻炼用拉力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11462B1 (en) 2023-11-15
EP4011462A1 (en) 2022-06-15
US20220118305A1 (en) 2022-04-21
EP4011462C0 (en) 2023-11-15
JP7333820B2 (ja) 2023-08-25
EP4011462A4 (en) 2022-06-15
JP2023502185A (ja) 2023-01-23
CN115066278A (zh) 2022-09-16
CN115066278B (zh) 2023-09-19
KR20220054239A (ko) 202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22805B1 (en) Bead chain type pull cord mechanism for a window shade
JP2019509818A (ja) 自動化されたフットウェア・プラットフォームのためのアクチュエータ
US20080277076A1 (en) Window covering device
KR102617242B1 (ko) 피트니스용 스마트 풀러
KR102576704B1 (ko) 체결 디바이스
CN110664187B (zh) 电动屏风装置
WO2017175586A1 (ja) 巻取装置
JP6505783B2 (ja) 日射遮蔽装置、ボトムレールの下限位置調整装置
US8033958B2 (en) Portable isometric exercise device
CN214913153U (zh) 健身用的智能拉力器
WO2023000663A1 (zh) 旋转推拉收绳器和鞋子
KR20180090065A (ko) 끈 조임 장치
CN112354132B (zh) 健身用的智能拉力器
WO2022082992A1 (zh) 健身用的智能拉力器
US20080277075A1 (en) Window covering device
CN214971497U (zh) 健身用的智能拉力器
US20050236117A1 (en) Sun screen device with a flexible screen body that can be arbitrarily adjusted
CA2680424A1 (en) Automatically-collapsible multi-folded umbrella
CN214260484U (zh) 健身用的智能拉力器
JP6698378B2 (ja) 電動スクリーン装置
CN216319791U (zh) 健身用的智能拉力器
WO2022198783A1 (zh) 健身用的智能拉力器及运动健身互动系统
JP6796181B2 (ja) 電動スクリーン装置
WO2022188672A1 (zh) 健身用的智能拉力器
CN214260486U (zh) 健身用的智能拉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